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원간호사의 전문직업성과 의사결정역량이 재직의도와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

        김정아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임상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병원간호사들의 전문직업성과 의사결정역량을 확인하고, 간호사의 이직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인정되는 재직의도와 이직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다문화 사회의 공감과 소통의 경로에 관한 연구 : 외국이주민에 대한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김정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의 공감과 소통의 경로에 관한 연구이며, 다문화사회의 사회적 기반 및 정책을 마련하고, 선주민과 이주민의 다문화시민으로서 역할과 책임감의 동기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체류 외국인 200만 시대, 걸음마 단계라고 할 수 있는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 한국사회는 다문화에 대한 사회인식의 지반이 약하다. 이에, 이주민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만연하고 다문화에 대한 무관심, 반다문화현상 등 부정적 인식에 따른 사회 문제의 심각성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셋째, 미디어는 효과적이고 파급력이 있는 수단이다. 미디어 매체에 표출된 외국이주민 방송의 왜곡여부와 정부와 지자체, 영화제, 대안 미디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과 활동을 통해 다문화사회의 공감과 소통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부 및 지자체 현황과 문헌연구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미디어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하는 MWTV 이주민 방송, 이주민 영화제, 디아스포라 영화제 등을 통해 선주민과 이주민 간의 공감과 소통의 경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본질은, 시민의 다문화 인식은 교육과 사회·문화의 융합 안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공감과 소통을 통해 마련되는 것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 및 아젠다(Agenda)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민의 현황과 정책 및 사업 분석을 통해 다문화 정책의 한계를 보완하는 것이 시급하며, 외국이주민에 대한 형평성을 갖춘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 정책의 기반은 ‘소수자’ 배려이지만, 사회 전반의 이해와 합의가 부족하여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절실하다. 이를 위한 세밀하고 다양한 교육정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셋째, 정부 및 지자체와 미디어센터, 평생학습관 등 다문화사회의 시민양성을 돕는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폭넓고 지속 가능하며 전문적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다문화 관련 정책의 고려와 시민 미디어 단체, 대안 미디어의 정부 및 사회적 지원과 관심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일 것이다. 넷째, TV 방송 매체를 통한 외국이주민 관련의 프로그램은 다문화 인식의 부재와 이주민에 대한 편견을 마련할 수 있는 방송 프레임을 개선해야 하는 부분이 드러났다. 이를 위한 다문화 관련 방송 인식과 환경 개선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MWTV 이주민 방송, 이주민 영화제, 디아스포라 영화제 등을 통해 다문화사회에 제시되는 담론을 주목해야 한다.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 선주민과 이주민 간의 다문화의 경험은 서로 간의 공감의 장을 마련하고, 자발적인 민주 시민의 연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현장이라고 볼 수 있다. 다문화사회의 공감과 소통의 경로는 여러 사례의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통해 다양성을 모색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한편, 연구의 제언에 따른 후속연구는 더 다양한 미디어 리터러시 사례를 통해 다문화사회의 공감과 소통경로의 면밀한 분석이 요구되어 진다. 정부와 지자체의 다문화 미디어 교육 현황 조사와 늘어나는 다문화 관련 방송의 모니터, 특히 이주민 방송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MNTV 사례 분석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의 경로를 파악하여 연구의 일반화와 보편화를 완성하는 연구가 되어야 한다.

      •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 직후 피로요인 분석

        김정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 직후 피로와 피로요인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상관 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1999년 10월 1일에서 18일까지였고, 서울 및 경기지역(분당)에 소재하는 3개 대학병원 인공신장실과 1개 투석전문 내과의원에서 편의 표출하여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투석 직후 피로요인을 크게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생리적 요인, 투석 과정 요인으로 보았다. 심리적 요인은 스트레스와 적응이며 환경적 요인은 사회적 지지와 생활사건이다. 생리적 요인은 피로 부작용 항고혈압제제 복용 여부, 당뇨 합병 여부, 수면 불만족 정도, nPCR과 혈청 알부민등의 영양상태, Bun, Cr, Na, K, P등의 전해질 불균형,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등의 산화지표, 주당 주입되는 조혈호르몬 용량이다. 투석 과정 요인은 투석간 체중 증가량과 투석 치료 동안의 여과량, 투석 적절도, 생체적합성 투석막의 사용, 혈압변화, 투석 전후 증상, 투석 중 활동과 자세, 음식물 섭취, 투석 치료 동안 느끼는 지루함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100mm 선상의 피로시각상사척도와 스트레스 측정도구(전시자, 1986), 적응 측정도구(김영경, 1990),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김옥수, 1993), 수면 불만족 도구(김신미, 1997)이며 혈액검사 결과와 의무기록, 연구자가 작성한 임상 기록지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투석 직후 피로 및 각 피로요인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빈도, 범위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요인들과 투석 직후 피로와의 관계는 t-검정, 일원 분산분석, chi-square, 단순상관관계, 공분산분석을 하였다. 관련성이 확인되는 요인의 설명력을 보기 위해서 투석 직후 피로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적 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평균 투석 전 피로점수는 37.29이고 투석 직후에는 50.73으로 혈액투석 직후에 대상자가 지각하는 피로 정도는 증가하였다(t=4.7, p<.01). 2) 심리적 요인인 스트레스와 적응은 투석 직후 피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상자가 지각하는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투석 직후 피로를 많이 느끼는 반면(r=.224, p=.029) 적응 정도가 낮을수록 투석 직후 피로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r=-.231, p=.023). 3) 환경적 요인 중 사회적 지지는 투석 직후 피로 정도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투석 직후 피로를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r=-.211, p=.039). 4) 투석 과정 요인 중에서는 생체적합성 막의 사용과 대상자가 투석 치료 시에 느끼는 지루함, 기도를 하는 투석 중 활동이 투석 후 피로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생체적합성 투석막을 사용한 대상자의 투석 직후 피로가 높았다(t=-2.211, p=<.05). 투석 치료를 지루하게 느낄수록 투석 직후 피로가 높았으며(r.=.292, p=.004) 투석 중에 기도를 한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투석 직후 피로가 낮았다.(t=2.341, p=<.05). 설 5) 투석 직후 피로를 명할 수 있는 변수로는 투석치료에 대해 느끼는 지루함(R^(2)=.085)과 스트레스(R^(2)=.123)로 이 두 가지 변수들이 투석 직후 피로의 12.3%를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dialysis fatigue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survey.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96 patients who were receiving chronic hemodialysis in four outpatient dialysis clinic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October from 1 to 18, 1999. The related factors included psychological, environmental, physiological and hemodialysis process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were stress and adaptation. Environmental factors were social support and life events. Physiological factors were DM,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known to have fatigue as a side effect, sleep dissatisfaction, nPCR, Albumin, Bun, Cr, Na, K, P, Hgb, Hct and erythropoietin dosage. Hemodialysis process factors were interdialytic weight gain, ultrafiltration amount, Kt/V, biocompatible membrane, blood pressure changes, symptoms before and after hemodialysis, intradialytic activity and position, food ingestion and boredom during dialysis. The study tools were the fatigue 100mm Visual Analogue Scale, the stress scale by Chun(1986), the adaptation scale by Kim(1990), the social support scale by Kim(1993), sleep dissatisfaction scale by Kim(1997), laboratory results, medical records and questionnaire by researcher.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7.5 for Windows statistical software.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range), t-test, ANOVA, chi-squar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C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atigue score changes ; The mean of predialysis fatigue score was 37.29 and postdialysis fatigue score 50.7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t=-4.7, p<.01). 2. Psychological factors ;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dialysis fatigue and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224, p=.029). Postdialysis fatigue and adapt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r=-.231, p=.023). 3. Environmental factors ;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dialysis fatigue and social suppor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r=-.211, p=.039). 4. Hemodialysis process factors ; The participants who used biocompatible membrane experienced statistically higher postdialysis fatigue than others(t=-2.221, p<.05).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dialysis fatigue and intradialytic boredom sco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292, p=004). The participants who stated they prayed during hemodialysis experienced statistically lower postdialysis fatigue than others(t=2.341, p<.05). 5.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12.3% of postdialysis fatigue were explained by intradialytic boredom(R^(2)=.085) and stress(R^(2)=.123).

      • 이문구 소설의 토포필리아 연구

        김정아 忠南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1839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describe, and analyse 'topophilia' demonstrated in Lee Moon-Goo's Novels. Topophiia toward 'hometown' is especially focused on during developing this thesis. These days, we often hear the word that the age of space is coming, but in effect, as we have noticed, spatiality is not yet weighed as temporality in study and criticism of literature, as it does in philosophy and sociology. Space and place can be considered as important and familiar but neglected themes. Within western modern paradigm of thought, temporality is regarded as more essential in experiencing, perceiving and conceiving the world than spatiality. Time conception of westerrn modern thought is based on historical linear time, and historical, temporal imaginary has dominated over and marginated spatial imaginary. In this respect, I agree with Gaston Bachelard or Edward Soja who warned that under the excessively great influence of historicism, spatial imaginary had been extinguished and also asserted the necessity of restoring and expanding the scope and insight of our spatial imaginary. In the most of researches on the works of Lee Moon-Goo so far, spatiality has less considered than temporality. So I think it is required to return to aspects of space or place in Lee's works and I want to examine the procedure topophilia is being generated through and varied dimensions of topophilia represented in them. The word 'topophilia' is a coinage of geographer Yi-Fu Tuan, which is meant "the affective bond between people and place or setting" Topophilia happens most natrally in places small enough to be learned well. In that is of course included familiarity and emotional attachment to the specific places. Amongst the most typical and the strongest topophilia is one toward hometown. Affection or love for one's hometown is one of human instincts, but in the case of Lee Moon-Goo, it has exceptionally great power, and in his works his hometown appears to exist as the center of meaning. His works have been reputed as "the greatest eulogy for the place where he has been brought up" His hometown revives again and again in his works with all vividness depended upon the intensity of his memory The invoked memories in his works is so vivid and intensive, not mind or brain seems to be a recaller.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s of topophilia represented in Lee's works. Firstly, it is connected in general with places rather than spaces. A distinction between space and place also has been made by Tuan, According to him, space is associated with the senses such as openness, opportunity, uncertainty, freedom, whereas, place is associated with the sense of insideness, security, safety, rootedness. The contrast of open spaces with enclosed, comforting areas enhances both. In Lee Moon-Goo's work, places appear as humanized and concretely realized space, as a kind of dwelling world, while abstract and ideologic space is scarcely shown. Such case is rather rare and special in main streams of Korean modern novels. Secondly, it can be said that topophilia of hometown gives courage for leaving his own hometown and prepares him for going out into outer world. Thus the way returning home with vigorous longing for times and places when and where everything was perfect and elemental jouissance was the way to experience the world, is the same way re-returning to outer world. Even if home and world stand opposit to each other, without the topophila of home, human beings can not step into the world. Topophilia of home can be extended to scope of whole earth, and in certain situations, of whole universe. Through the topophilia of this scale, ecological and ethical response to the whole world can be made in daily life. I think this is very well demonstrated in Lee Moon-Goo's stories about hometown.

      •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의 과제유형에 따른 이야기 담화능력 비교

        김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은 자연스러운 발달에 의한 성숙 및 치료에 의한 적절한 중재에도 불구하고 언어문제, 학습문제 및 사회적 기술능력의 결함 등을 계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나타내는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언어 평가 및 중재를 하기 위해서는 낱말이나 문장수준에서보다 좀 더 긴 언어학적 단위인 담화(discourse) 수준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Merritt & Liles, 1987). 그런데 이야기에 의해 담화평가를 할 경우 이야기를 산출하기 위한 자극이나 과제의 적절성 여부에 따라 화자의 언어수행능력이 좌우되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를 산출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또한 특정 과제유형으로 수집된 이야기 자료를 어떠한 분석틀에 의해 평가할 것인지도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의 과제유형에 따른 이야기 담화특성을 이야기 구성능력과 구문능력의 측면에서 파악함으로써 이들을 위한 효율적인 언어평가 및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언어발달장애 청소년 26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26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자료 수집과제의 유형을 이야기 만들기 과제와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이야기 담화능력을 알아보았다. 수집된 이야기 자료를 바탕으로 이야기 담화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이야기 구성능력은 시작과 끝맺음(appendages),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복잡화 행동(complicating actions), 평가(evaluation), 결과(resolutions)로 구분하여 각 구성요인의 사용률을 알아보았다. 구문능력은 이야기길이(총 T-unit의 수), 구문복잡성(T-unit 당 평균 절의 수, 종속절의 사용률) 및 구문오류(구문오류율)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두 집단의 과제유형에 따른 이야기 담화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분할구획요인으로 설계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유형에 따른 각 구성요인의 사용률은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단 내에서는 과제유형에 따라 각 구성요인의 사용률은 ‘시작과 끝맺음’, ‘결과’의 경우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서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되고, ‘오리엔테이션’과 ‘복잡화 행동’은 과제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며, ‘평가’는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이야기 길이를 살펴보기 위해 총 T-unit의 수를 측정한 결과, 과제유형에 따른 총 T-unit의 수는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내에서는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 비해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총 T-unit의 수가 유의미하게 길게 나타났다. 셋째, 구문복잡성을 살펴보기 위해 T-unit 당 평균 절의 수와 종속절의 사용률을 측정한 결과, 두 변수 모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이 언어연령일치 아동보다 평균 절의 수를 적게 산출하였으며, 종속절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 내에서는 과제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제유형에 따른 구문오류율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이 언어연령일치 아동보다 더 높은 구문오류율을 나타냈다. 집단 내에서도 과제유형에 따라 구문오류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보다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서 구문오류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은 이야기 구성능력에서 언어연령일치 아동과 유사한 능력을 보여주었으나 구문능력은 평균 절의 수, 종속절의 사용, 구문오류 등에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은 과제유형에 따라 이야기 구성능력에 대해 차이를 나타냈으며, 구문능력의 경우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서 구문오류가 많았고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이야기를 더 길게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의 이야기 담화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고 중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과제유형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언어발달장애 청소년의 생활연령을 감안하여 이야기 구성능력이나 구문능력을 나타내는 변수들을 측정할 때 발달적 유형을 고려한 질적 분석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discourse abilities of language disordered adolescents by evaluating two tasks (story generation and story retelling).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is study: Twenty-six language disordered adolescents and their language ability matched norma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LD adolescents were enrolled in middle schools and LA children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based on the two tasks, split-plot factorial ANOVA was used. Story composition ability was measured by the percentage of story components (appendages, complicating actions, orientation, resolutions, evaluation) and syntactic ability was measured by the total number of T-units, mean number of clauses in a T-unit, the percentage of subordinate clauses, and the percentage of syntax error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D adolescents show different story composition ability depending on two tasks. The percentage of story components (appendages, resolutions) is significantly higher in story generation than in story retelling. However, the percentage of evalu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in story retelling than in story generation. Second, the total number of T-units in story retelling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story generation. Third, syntactic complexity measured by mean number of clauses in a T-unit (MNC) and the percentage of subordinate clauses is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LD group uses significantly less MNC and subordinate clauses than LA does. Fourth, the percentage of syntax errors in a T-unit is significantly higher in story generation than that in story retelling. Thes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the language disordered adolescents have inferior ability in syntactic complexity and in syntax errors, not in story composition a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rrative abilities depending on the two task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LPs need to evaluate and treat language abilities of language disordered adolescents by using various elicitation tasks and that they ne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LD adolescents when evaluating their abilities in story components and in syntax by using a qualitative analysis.

      •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과학 교육에 대한 태도 및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김정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이는 배경 변인(경력, 학력, 과학 관련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는 배경 변인(경력, 학력, 과학 관련 경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 중 무선표집한 교사 210명이며,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과학 관련 경험 검사도구,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도구는 양정임(2006)이 사용한 도구를 유아교육 전문가와 협의를 통해 어린이집 교사의 실정에 맞게 수정한 뒤 타당도와 신뢰도를 거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문제 1의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를 구한 후, 배경 변인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F 검증과 Scheffé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의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을 구한 후, 배경 변인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X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 처리는 SPSS 17.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정도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과학의 사회적 가치,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경력 및 과학 관련 경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교사 중에서도 경력이 6년 이상의 집단이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에 대한 경험이 높은 집단일수록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과학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과학교육에 대한 태도 집단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응답을 보였으며 경력, 학력, 과학 관련 경험에 따라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과학교육의 목표로 ‘지속적으로 탐구하는 태도 기르기’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유아과학 교육의 내용에서 ‘탐구하는 태도’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는 경력, 학력, 과학 관련 경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과학교육의 방법은 ‘활동발견 접근법’을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인식하였으며, 유아과학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자료 제공자’의 역할을 가장 바람직한 역할로 인식하였다. 이는 경력, 학력, 과학 관련 경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과학교육의 평가내용은 ‘유아의 발달’을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유아과학교육의 유아평가방법으로는 ‘유아 관찰’을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유아과학교육의 유아평가주기를 ‘학기 마다’에 가장 적절한 평가 주기로 인식하였으며 이는 경력, 학력, 과학 관련 경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과학교육을 실시하기 어려운 이유를 ‘학급당 많은 원아 수’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이는 경력, 학력, 과학 관련 경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child care center teacher's attitude to science and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t also investigates the differentiated teacher's variable factor of background.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set. 1) What is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attitude to science? Is this differentiated by their variable factor of background(career, education level, career on science)? 2) What is the perception on science education of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 Is this differentiated by their variable factor of background(experience, education, experience on science)? This study conducted with 210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Choong-Nam province. The measuring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cale of Attitude Toward Science’, ‘Science-related Experience Scale’, and the ‘Scale of perception on Science Education’. The ‘Scale of Attitude Toward Science’ was composed of questions about attitude toward Science used by Yang Jung-Im(2006) modified as per child care center teacher's actual situation after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based on the discussion with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As for data proces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estimated to determine Research Question #1, daycare center teacher's science-related experienc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along with F-Test and Scheffe post test to determine differences by background variables. To investigate Research Question #2, the perception on Science education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produced frequency by Munching and percentage, and executed re-verification to search difference among the groups of background variables. Data processing of singularity handled by SPSS 17.0 for windows. Program Result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attitude to science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As for sub-factors, the social value of science, interest in science, regard science and scienti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ce-related experie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but no differences by academic career. Among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the group who taught more than 6 years had a positive attitude on science, but the group who have more science-related experience had a more positive attitude on science. Second, a look at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 child care teacher'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 higher attitude on science education from the group of attitude on science relatively response as ‘very important’,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 of experience, academic career, and science-related career.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consider ‘the attitude of continuous research’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goal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 of experience, academic career, and science-related career.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understood that ‘the approach to activity discovery’ is the most suitable way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 material supplier’ is the most desirable factor of teacher's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 of experience, academic career, and science-related career.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of childhood’ is the most suitable for evaluation context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 childhood observation’ is the most suitable evaluation method. Also they recognized that the ‘semester’ is most suitable evaluation period.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 of experience, academic career, and science-related career.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response to the biggest reason on difficulty to implemen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s ‘too many members in each clas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 of experience, academic career, and science-related career.

      • 회화에서「마음(心, mind)」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정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1839

        This study, with focus on my artworks, aims to examine the 'pictorial expression of mind.' I came to choose such subject for I have become interested in practicing asceticism for my mind such as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mind and controlling it or mind study, which is, of course, important in human lives, as I worked on art pieces. It can be said that asking me questions about mind is the most fundamental question. What is mind and how should I control it are the core content of my works. This study looked into mind which is expressed throughout my works. And it argued that the painting realized by senses - senses as the moving and flow of mind, - come from mind. It is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painting and mind by examining the senses for expressing the invisible inner side I, in the art pieces, used jewel to express mind metaphorically and expressed it with senses. And I presented the birth and polishing process of jewel to express the flow and asceticism of my mind in the works. Such mind, in other words, is 'one mind,' 'mind considered as the only true being,' 'unconsciousness,' and 'innate pure mind' which all are based on my Buddhist belief. Realizing being unconscious and becoming one's true self is attaining a happy medium that avoids extremes; it means being completely empty. In this way, one can 'become his or her true self' can be possible through mind control. Regaining one's own innate pure mind and coming to have a peace of mind is enlightenment and nirvana- the process is the Zen meditation. I consider the process of artworks as the process of such enlightenment and regard it in the same light as Zen meditation. In addition, the cause of all phenomena is unconsciousness and painting is the manifestation of such unconsciousness. Thus, painting is like 'all things are made from the mind.' Such sense is the very first physical experience through which one can understand the world as it is - I intend to realize this in paintings. This painting, completed by such sense, can be the existence 'just being as it is.' This is the same as the true state in Buddhism meaning the true nature of all existence. Therefore, the painting expressed through senses is just as it is and the true being of an existence. For this reason, I intend to realize the actuality through senses in my artworks. The characteristic of my works is the combination of the photographic realism and expressionism. Some of the former's attributes include photographical image use and close-up; the latter includes some characteristics in expression. Having these attributes, my works can be defined as simulacre, a new existence. I also intended to extract rare images by enlarging the details of objects through close-up filming. The effect of such close-up brings an emphasis on the theme and presents new images - such features are expressed through already experienced fact. This is led to the concept of 'chair' of Merleau Ponty. The utilization of pictures is to capture the images of my views. A view, as a flow of sense, is 'chair' itself. And the close-up of objects on large screen leads to immersion, going together with the enlarged image of the object, and the materiality of paints, and makes a new existence. And the expressivity of my works has two characteristics: the brush-touch that expresses the shining of jewel and drawn lines of the background portion. Such expressivity is connected to Deleuze's definition regarding senses. He considers senses as absolute factuality and the action of recognizing the world for the first time before thinking or learning. Hence, understanding things in a sensible manner is seeing 'as they are,' thus painting that realizes this is realistic. Since senses cannot be always the same, paintings completed by senses are always new. For this reason, my work can be defined as simulacre - a new existence. My pieces, from the initial work until the present, have changed and expanded through the change and realization of my mind. Thus, such process of working did not happen in a day; it has naturally continued as an extension. Based on this, this study, by examining the concept of my works, is to give a progressive support for my works to be don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마음의 회화적 표현’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본인이 마음을 주제로 삼게 된 이유는 인간의 삶 속에서는 물론 작품을 제작하는 데에 있어서 마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마음을 다스리는 것 또는 마음 공부와 같은 마음의 수행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본인에게 마음에 대한 물음은 가장 본질적인 물음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음은 무엇이며,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지에 관한 것은 본인 작품의 궁극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본인이 작품에서 표현하고 있는 마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음의 작용 및 흐름을 통해 감각이 마음의 작용으로써, 감각으로 구현된 회화는 곧 마음에서 비롯된 것임을 논하고자 하였다. 보이지 않는 내면을 표현하기 위한 감각이 마음의 작용과 어떤 관련을 갖고 있는지 살피어 회화와 마음의 관계에 대해 고려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인은 작품에서 마음을 보석에 은유하고 감각으로서 표현하였다. 그리고 보석의 탄생과정과 연마과정을 마음의 흐름과 마음의 수행 과정에 빗대어 작품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마음은 본인의 불교적 믿음을 바탕으로 한 ‘일심(一心)’, ‘유심(唯心)’, ‘아뢰야식(阿賴耶識)’, ‘자성청정심(自性淸淨心)’이라고 할 수 있다. 아뢰야식을 깨달아 자기 자신이 된다는 것은 어떤 것에도 치우치지 않는 중도(中道)로써 공(空)한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자기 자신 그대로가 되는 것’은 마음 수행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렇게 본래의 청정한 마음을 되찾아 고요하고 평화로운 마음을 찾는 것이 깨달음 또는 해탈이고, 그 과정이 선(禪) 수행이다. 본인은 작업의 과정을 이러한 깨달음의 과정으로 보고 선 수행과 동일시한다. 또한 모든 현상의 근원은 아뢰야식이며 회화는 이러한 아뢰야식의 발현이다. 그러므로 회화는 마음으로부터 비롯된 ‘일체유심조’인 것이다. 이러한 감각은 세계를 있는 그대로 파악하는 최초의 신체 경험으로 본인은 이것을 회화 속에서 구현하고자 한다. 이렇게 감각으로 구현된 회화는 ‘사실 그대로’인 실재(實在)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불교에서 모든 존재의 참모습인 실상(實相)과 같다. 그러므로 감각을 통해 표현된 회화는 사실 그대로이자 존재의 참모습인 것이다. 이에 따라 본인은 작품에서 감각을 통한 사실성의 구현을 하고자 한다. 본인의 작품의 특징은 극사실주의의 특성과 표현주의적인 특성이 혼합된 것이다. 전자의 특징으로 사진 이미지의 차용과 클로즈 업이 있고, 후자의 특징으로 표현성의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본인의 작품은 새로운 실재인 시뮬라크르라 정의된다. 본인은 클로즈업 촬영을 통해서 사물의 세부를 확대함으로써 흔하지 않은 이미지를 추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클로즈업의 효과는 주제를 강조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보이고자 함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체험된 사실에 따라 표현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메를로퐁티의 ‘살’의 개념과 이어진다. 사진의 활용은 시선에 의한 장면을 포착하는 것이다. 시선은 감각의 흐름으로 ‘살’ 그 자체이다. 또한 대형 화면의 대상의 클로즈업은 대상 이미지의 확대와 물감의 물질성 등이 어우러져 몰입을 유도하고 새로운 실재를 만든다. 또한 본인 작품에서 표현성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보석의 빛남을 표현한 붓터치와 배경부분의 드로잉적 선들이다. 이러한 표현성은 들뢰즈의 감각에 대한 정의와 연결된다. 들뢰즈는 감각을 절대적 사실성으로 사유나 학습 이전의 최초로 세계를 인식하는 행위라고 본다. 그러므로 감각적으로 대상을 파악하는 것은 ‘그대로 사실적’인 것이며 이것을 구현한 회화는 사실적이다. 감각은 늘 같을 수 없기 때문에 감각으로 구성된 회화는 언제나 새롭다. 이러한 특징으로 본인의 작품은 새로운 실재인 시뮬라크르라고 정의내릴 수 있는 것이다. 본인의 작품들은 초기 작업에서 현재까지 이것은 마음의 변화와 깨달음 속에서 변화되고 확장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작품의 전개는 갑자기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연장선상 안에서 점차적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 것이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본인의 작품의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작품 방향에 발전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

      • 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玄附理經湯의 시험관내 항염효과 및 Piroxicam과 병용효과

        김정아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실험목적: 본 연구에서는 월경통에 사용되는 부인과 질환 처방인 玄附理經湯의 월경통 완화 효과를 LPS로 활성화된 murine macrophage 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piroxicam과 玄附理經湯 물 추출물의 병용효과 역시 시험관내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는 玄附理經湯 (수율: 16.17%) 물 추출물의 항염 및 염증관련 cytokine의 발현에 대한 효과를, LPS로 활성화된 murine macrophage 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 NO, PGE2, TNF-α, IL-1β 및 IL-6 분비의 ED50을 기준으로 대표적인 NSAIDs로 월경통의 완화 및 치료제로 사용되어 온 piroxicam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piroxicam과 玄附理經湯 물 추출물의 병용효과는 piroxicam (1/4 ED50, 1/8 ED50, 1/16 ED50, 1/32 ED50 및 1/64 ED50)에 玄附理經湯 물 추출물의 1/4 ED50를 첨가한 병용 처리군의 항염 및 염증성 cytokine의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여 판단하였다. 실험결과: 본 실험의 결과,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의 생존률 감소와 NO, PGE2, TNF-α, IL-1β 및 IL-6 생성량 증가에 대한 玄附理經湯 물 추출물의 ED50는 각각 1.05, 0.06, 0.18, 0.98, 0.58 및 0.39 ㎎/㎖로 관찰되었으며 piroxicam은 raw 264.7 세포의 생존율, NO, PGE2, TNF-α, IL-1β 및 IL-6 생성량 변화에 대한 ED50가 각각 27.30, 6.67, 1.59, 10.47, 9.68 및 7.02 ㎍/㎖로 관찰되었다. 특히, piroxicam 1/4, 1/8, 1/16 및 1/32 ED50 + 玄附理經湯 물 추출물 1/4 ED50 농도 병용 처리군에서 각각의 piroxicam 및 玄附理經湯 물 추출물 1/4 ED50 농도 단독 처리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대식세포의 생존률 증가, NO, PGE2, TNF-α, IL-1β 및 IL-6 생성량 감소가 있었다. 한편, piroxicam 1/64 ED50 + 玄附理經湯 물 추출물 1/4 ED50 농도 병용 처리군에서도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항염효과가 있었으나, 각각의 piroxicam 및 玄附理經湯 물 추출물 1/4 ED50 농도 단독 처리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항염효과는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玄附理經湯 물 추출물은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 대해 세포보호 및 항염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어 과도한 염증반응에 수반되는 월경통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piroxicam과 玄附理經湯의 병용시 piroxicam의 사용량을 대략 1/8 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in vitro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yunbulikyung-tang aqueous extracts (HBLKT), traditionally used for treating dysmenorrhea in Korea, on LPS activated raw 264.7 cells, and the possible synergic combination effects with 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piroxicam. METHOD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BLKT (yield = 16.17%) were observed on LPS activated raw 264.7 cells based on ED50 to cell viability, NO, PGE2, TNF-α, IL-1β and IL-6 productions as compared with piroxicam, in the present study. In addition, the combination effects of HBLKT with piroxicam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 of HBLKT 1/4 ED50 + piroxicam 1/4 ED50, 1/8 ED50, 1/16 ED50, 1/32 ED50 and 1/64 ED50 concentrations, respectively. RESULTS: The ED50 against LPS activated raw 264.7 cells viabilities and NO, PGE2, TNF-α, IL-1β and IL-6 cytokine releases of HBLKT were detected as 1.05, 0.06, 0.18, 0.98, 0.58 and 0.39 ㎎/㎖, and 27.30, 6.67, 1.59, 10.47, 9.68 and 7.02 ㎍/㎖ in piroxicam, respectively. Especially, significant (p<0.01 or p<0.05) increases of cell viabilities and decreases of NO, PGE2, TNF-α, IL-1β and IL-6 cytokine releases were detected in HBLKT 1/4 ED50 + piroxicam 1/4 ED50, 1/8 ED50, 1/16 ED50 and 1/32 ED50 concentration co-treatment as compared with each of single 1/4 ED50 concentration of piroxicam and HBLKT treatments, respectively. Although significant (p<0.01 or p<0.05) increases of cell viabilities and decreases of NO, PGE2, TNF-α, IL-1β and IL-6 cytokine releases were also demonstrated in piroxicam 1/64 ED50 + HBLKT 1/4 ED50 co-treatment as compared with LPS control, no significant changes were detected as compared with each of single 1/4 ED50 concentration of piroxicam and HBLKT treatments, in this experiment.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Hyunbulikyung-tang showed cell 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gainst LPS activated raw 264.7 cells. It, therefore, expected that HBLKT will be showed favorable effects to relieve dysmenorrhea related to over expressed inflammatory cytokines, and it also expected that the clinical dosages of piroxicam can be reduced as 1/8 levels as combination with HBLKT.

      • 중등도 우울 대학생을 위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김정아 대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중등도 우울 대학생을 위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이 우울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960명에게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중등도(moderate) 우울 수준 이상에 해당하는 30명을 대상으로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에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치료 프로그램 종결 직후에는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추후검사는 종결 2주 뒤 시점에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은 우울 수준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활적응의 향상에 대한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제한된 대학교 환경 내에서 우울 대학생이 심리적 부적응 문제를 보일 때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실행 가능한 치료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행동활성화, 우울증, 대학생활적응, 대학생, 치료 프로그램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for depressed college students in depress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For this purpose, 960 college students were screened and 30 participants who were above the moderate depression were treated. Before the start of the program, pre-test was conducted and post-test was conducted immediately after termination of the treatment program. Follow-up test was conducted two weeks after the program was o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reduction. Also, a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college life adjustment. Thus, this study showed that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can be an efficient and feasible treatment method when depressed college students show psychological maladjustment problem in a restricted college environme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Keywords: behavioral activation, depressi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college student, treatment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