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야생종담배(Nicotiana glutinosa L.)의 병발생관련단백질유전자의 클로닝과 병저항성반응과정에서의 발현

        윤해근 충남대학교 1996 국내박사

        RANK : 1839

        식물의 병저항성 발휘에는 체내의 많은 생리학적, 생화학적 변화가 수반된다. 본 시험에서는 식물병저항성 기작의 일종인 과민감반응과 전신획득저항성 발현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따 라서 야생종담배(N. glutinosa)로 부터 병발생관련 단백질 유전자인 PR-1과 ??-1,3-glucanase cDNA를 cloning하고 이들 유전자를 식물의 병저항정 관련반응을 구명하는데 이용함과 동시에 병저항성발현을 유도하는 인자를 유전자 전사 단계에서 확인하여 새로운 식물병방제법 탐색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1. N. tabacum cv. Samsun NN의 PR-1 유전자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증폭된 PCR 산물을 probe로 이용하여 TMV에 대한 전신저항성을 발현하는 야생종 담배의 cDNA library로 부터 PR 단백질을 coding하는 클론 (PR1 10)을 선발하였다.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PR1-10 클론은 PR-1 단백질의 168 개 전체 아미노산을 coding하는 PR 단백질유전자임을 확인하였고 N. tabacum cv. Samsun NN의 PR 단백질 유전자와는 95%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아미노산서열을 비교한 결과, 재배종담배와는 90%, 토마토와는 68%, 보리와는 59%의 상동성을 보였다. PR1-10클론을 probe로 사용하여 유전자의 mRNA발현을 확인한 결과, TMV 감염과 살리실산처리에 의해 야생종 담배에서 발현이 강하게 유도되었다. 병저항성유도물질로 알려진 ??-aminobutyric acid, 황산구리 및 인산나트륨을 식물체에 처리하였을 때에도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었다. 한편, 황산구리에 의한 PR 유전자의 발현은 살리실산처리에서 보다 조기에 일어났다. 2. 식물병원진균의 세포벽구성성분인 ??-1,3-glucan을 가수분해하는 ??-1,3-glucanase cDNA(GN-3)를 야생종담배에서 cloning하였다. GN-3 클론은 800bp 크기와 171개의 아미노산을 coding하는 3' 말단부위의 부분염기서열로 구성되는 ??-1,3-glucanase유전자임이 확인되었다. GN-3 클론은 N. tabacum cv. BY4 의 ??-1,3-glucanase 유전자와는 90%의 상동성을 지니고 있으며 아미노산분석결과 N. tabacum cv. BY4의 ??-1,3-glucanase와는 91%, 토마토와는 58%, 콩과는 51%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TMV 감염이나 살리실산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1,3-glucanase유전자의 발현은 ??-aminobutyric acid, 황산구리 및 인산나트륨을 식물체에 처리하였을 때에도 강하게 유도되었다. 3. 식물이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발현하는 동안에 발휘되는 방어관련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방어관련유전자를 probe로 사용하였으며, TMV와 TMV에 대한 저항성유전자이면서 온도감수성을 나타내는 N gone을 보유하는 담배(N. tabacum cv. Samsun NN)식물체를 모델로 이용하였다. TMV감염시 유도되는 PR-1과 ??-1,3-glucanase유전자의 발현은 32℃에서 강하게 억제되었으며 살리실산처리에 의한 발현유도 역시 32℃에서는 크게 억제되었다. Phytoalexin 생합성에 관여하는 PAL과 HMGR 유전자도 TMV 감염과 살리실산처리시 유도되었으나 32'℃의 고온에서는 그 발현이 강하게 저해되었다. 살리실산이 작용하여 활성이 저해됨으로써 병저항성발현에 관여하는것으로 알려진 catalase유전자는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단지 살리실산 처리식물체에서는 무처리 식물체에 비해 유전자의 발현유도가 크게 억제되었다. 고온에서 억제되는 PR-1과 ??-1,3-glucanase유전자의 발현은 식물체가 정상온도24(℃)로 옮겨지면 그 발현이 다시 회복되는데 TMV 감염이나 살리실산 처리 식물체에서 모두 온도변화후 2시간내에 발현이 다시 유도되었다. 4. 식물체가 전신획득저항성을 발휘할 때 체내에 병발생관련단백질의 축적을 수반하는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병발생관련단백질 유전자와 전사단계에서 발현을 분자생물학수준에서 조사함으로써 식물병저항성의 유도여부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식물생장촉진활성을 보이는 세균배양체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식물체에 처리하고 RNA를 분리하여 slot blot과 northern blot분석을 수행하여 31개 균주중에서 PR 유전자발현을 유도하는 6개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6개 균주의 추출물을 식물체에 처리한 후 병방제효과를 확인한 결과 토마토 역병에 대하여는 5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의 인공배지상에서의 균생장저해효과시험을 수행한 결과 공시한 균주 모두가 생장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의 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처리한 추출물이 직접적인 병원균의 생장억제에 기인한 것이 아니고 식물체로 하여금 방어반응의 유도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야생종담배에서 클로닝한 병발생관련단백질유전자를 probe로 사용한 유전자의 발현은 TMV감염, 살리실산처리, CuSO_(4) 및 ??-aminobutyric acid와 같은 물질처리에 의해서 강하게 유도되었다. 식물생장촉진활성을 나타내는 세균 배양체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처리에 의해서도 PR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PR 유전자를 유도하는 균주는 직접적인 균의 생장저해효과 없이 식물의 병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분자생물학수준에서 병저항성관련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함으로써 병저항상발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체계를 이용하여 식물체와 병저항성을 유도하는 미생물이나 물질을 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 Alternaria 病原菌이 生成하는 奇[실제는 寄]主選擇的 毒素를 利用한 作物의 病害 感受性 診斷에 關한 硏究

        윤해근 忠南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1839

        Use of host-selective toxins isolated from Alternaria pathogens for determining disease susceptibility of crop plants 1. Out of 9 isolates of Alternaria colleted from apple leaves, 5 isolates showed pathogenicity to the healthy leaves of susceptible apple cultivar, but the other 4 isolates did not show pathogenicity to the leaves. 2. Apple cultivars, Hongweol, Hongok, Kugkwang and Tsugaru which were resistant to the Alternaria blotch pathogens, were also appeared to be resistant to the culture filtrates, spore germination fluids produced by the pathogen, but susceptible cultivars such as Jumbo, Nebuta, Indo, Michinoku and Starkrimson, were sensitive to the culture filtrates and spore germination fluids. 3. HST(AM-toxin I) was isolated from culture filtrates produced by the pathogen, and the toxin induced veinal necrosis on the susceptable leaves of apple at concentration as low as 10^-3, but did not show toxicity to resistant apple leaves. 4. The younger leaves of apple were more susceptible not only to the pathogen but also to the toxin solution than the older leaves. 5. Susceptible leaves of apple inoculated with the pathogen or treated with the toxin showed a conspicuous increase in the loss of electrolytes, but resistant leaves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 with both the pathogen and the toxin in loss of electrolytes. 6. Tomato cultivars, Ace and Kwangsu which were resistant to the tomato stem canker pathogen, were also resistant to the culture filtrates of the pathogen, but susceptible cultivars such as Mie-first and Daehyung-boksu were sensitive to the culture filtrates. 7. AL-toxin isolated from the culture filtrates of the pathogen induced necrosis on the susceptible leaves of the tomato, but did not show toxocity on the resistant leaves. 8. Susceptible leaves of tomato inoculated with the pathogen or treated with its culture filtrates showed a rapid increase in the loss of eletrolytes, but resistant leaves did not show the rapid increase of the loss of electrolytes.

      • 朝鮮時代 行宮의 風水立地 硏究 : 남한행궁과 북한행궁을 중심으로

        尹海根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행궁은 왕이 지방에 거둥할 때 임시 머물던 곳으로, 왕이 항상 머물면서 국사를 주관하는 정궁(正宮)과는 차이가 있다. 왕은 전란, 휴양, 능원 참배 등의 목적으로 지방에 머물기 위해 별도의 궁을 마련하여 임시 거처로 삼았다. 남한행궁과 북한행궁은 목적상 전쟁과 같은 비상시를 당하여 위급함을 피하고 왕정의 집무를 지속하기 위한 조치였다. 조선시대 행궁은 기본적으로 한양도성의 입지, 경복궁의 입지와 배치 등, 구성 등과 마찬가지로 유교의 예를 따랐다. 그러면서도 행궁의 입지선정과 영건과정에서는 풍수적 논리를 적용했다. 그 결과 행궁의 주변은 사신사 즉 청룡, 백호, 주작, 현무에 성곽을 두르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북한행궁과 남한행궁은 절차와 방법을 달리했다. 특히 북한행궁은 풍수지사가 행궁의 입지선정과 영건의 전 과정에 관여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남한행궁과 북한행궁은 공통적으로 풍수지리에 의한 전통적인 입지의 원리가 적용했다. 이것은 당시의 인물들이 풍수적 관념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그러한 풍수관, 자연친화적인 사고는 삼국시대부터 전승되어 온 것이었다. 이러한 풍수관념은 조선시대 유교에 매몰되지 않은 점을 보여주며, 그 기층적 사유로서의 기능을 여실없이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The Hanggung is the small regional palace Which is used by the King while he leaves the main palace for conducting regional activity such as recreation, the worship for ancestor's tombs or for the refuge during the warfare. During Lee Dynasty numbers of Hanggung was built for various purpose of King's needs. Namhan Hanggung and Bukhan Hanggung was built for the refuse of emergency situation such as warfare and to continue the affairs of State. The conditions of the location of Lee Dynasty Hanggung follows the same rules of the main palace Kyung Bok Goong in HanYang, the capital city of Lee Dynasty ChoSun, also follows the principles of Poong Soo. Not only the orders of disposition of buildings follows the principles of Poong Soo, but also wall of Hanggung castle is built on the 4 main surrounding mountains (4 Sinsa) - Blue Dragon, White Tiger, Red Phoenix and Black turtle. Namhan Hanggung and Bukhan Hanggung was built under the principles of Poong Soo, which could be ratiocinated by that the location of Bukhan Hanggung was selected by Poong Soo Master and to compare Namhan Hanggung to Bukhan Hanggung. The most important determining factor of the location of the main building is good luck location (吉地) and the other attachment buildings were built by the order of Poong Soo principle centered by main building. I looked into Namhan Hanggung and Bukhan Hanggung by those days' view of Yanggi Poong Soo and try to find the connecting relation between Hanggung and castle's wall. Since castle's wall built on natural mountain ridge there is no uniformed pattern. They have to consider the harmony of the nature and the principles of Yanggi Poong Soo to build the castle wall and Hanggung. The conditions of the location of Namhan Hanggung and Bukhan Hanggung which is considered the harmony of the nature and principles of Poong Soo could be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of Korean Yanggi Poong S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