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교사의 영어수업과 원어민 교사와의 협력수업에서의 학습자 만족도 비교

        류수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와 같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에서 영어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함을 목표로 영어교육을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방편으로 영어로 하는 영어수업이 점차 확산되어 많은 교사들이 영어로 하는 영어수업을 지향하고 있으며, 정부차원에서는 원어민 영어 교사 초빙 프로그램인 EPIK(English Program in Korea)를 실시하여 원어민을 학교의 영어수업에 지원하여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협력수업을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취지의 협력수업이 점차 확대되어감에 따라 어느 정도의 성과와 만족을 가져왔는지 이 시점에서 점검해볼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고, 한국인 교사의 영어수업을 받는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협력수업을 받는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비교해 봄으로써 앞으로 영어수업의 나아갈 길을 찾고자 한다. 이에, 한국인 교사의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받는 학습자들의 집단(서울 성동구 D초등학교 4학년)과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협력수업을 받는 학습자들의 집단(서울 송파구 N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여 각각의 학습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각 집단의 학습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영어수업에 대한 흥미나 수업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태도, 영어 수업을 통한 실력 향상의 기대 등은 한국인 교사의 단독 수업을 받는 집단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영어 수업 방법의 선호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한국인 교사의 단독수업보다 원어민 교사와의 협력수업을 선호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협력수업이 기대만큼의 실효를 거두고 있지 않다는 것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협력수업의 형태를 선호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는 협력수업의 내용과 질을 개선하고 보완해야 함을 시사한다. 학습자가 원하는 협력수업이 실제로 교육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협력수업을 하는 교사의 역할은 어떠해야 하는지 재고해야할 시점인 것이다. 협력수업에서 원어민 교사의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표현이 영어 수업에 큰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만으로 좋은 수업의 충분조건이라고 할 수는 없다.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료의 제작과 활용을 위한 노력 등 다른 요소도 중요하다. 이것은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수업에 대한 긴밀한 협의와 협조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이다. 다양한 학습 유형과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두 교사가 서로의 장점을 살려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한다면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협력학습이 될 것이다. English education for fluent communication in English under the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in Korea faces lots of difficulties in reality. As teaching English in English has expanded as a way to improve the problems, teachers aim to hav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and the government encourages co-teaching classes with Korean teachers and native teachers, providing native teachers in schools and conducting EPIK (English Program in Korea). This study aims to seek the best way of teaching English by examining the achievements and satisfactions at this time as co-teaching classes gradually expanded for the purpose and comparing the learner satisfaction between teaching English by a Korean teacher and co-teaching with a native teacher. Hereupon, the study compared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after conducting a questionnaire-based survey for a group of learners who have English classes by Korean teachers (4th grades at D elementary school in Sungdong-gu, Seoul) and a group of learners who have co-teaching classes conducted by Korean teachers and native teachers (4th grades at N elementary school in Songpa-gu, Seoul). After comparing the level of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despite the fact that higher scores in interests in English classe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lasses, expectation for increasing English skills through English classes with only Korean teachers, two groups preferred co-teaching classes with native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learners prefer co-teaching class although it's far less effective than expected in school.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contents and quality of co-teaching classes improve and develop in school. It is time for reconsidering the direction to make co-teaching classes learners want have an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roles of teachers in the co-teaching classes. Although it is true that linguistic or nonverbal expressions of native teachers play an active role in the co-teaching classes, it cannot be a sufficient condition for good English classe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ssons, other factors such as the efforts to make and apply appropriate materials are also important. It can be achieved through close discussion and cooperation between Korean teachers and native teachers for classes. If Korean teachers and native teachers set a plan for classes and prepare the classes based on their strong points, it can be desirable co-teaching classes.

      • 초등학생 영어교육을 위한 컴퓨터 게임 사이트 평가

        김영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영어를 처음 접하게 되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영어에 흥미를 가지고 보다 자연스럽게 영어를 학습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위한 학습도구로 컴퓨터 영어 게임을 들고 있다. 컴퓨터 영어게임학습은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개별화된 학습, 실질적인 경험을 중시하는 구성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실제 많은 선행연구들은 컴퓨터 게임 학습을 통한 학습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존에 컴퓨터 영어게임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영어게임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컴퓨터 영어게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학습자들에게 보다 유용하고 도움이 되는 영어게임을 선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쉽게 접할 수 있는 인터넷 상에서 비교적 영어게임이 체계화되어있는 사이트를 선정하고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만든 컴퓨터게임 분석요소에 기초해 영어게임을 분석함으로서 학습자들에게 영어게임 선별의 지침이 되고, 나아가 영어게임 개발자들에게는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분석기준에 의한 결과는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의 통합된 게임과, 체계적인 커리큘럼과 다양한 게임 계발, 적절한 피드백의 고안, 이야기와 영어학습의 연계성 및 도전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이 적절히 보완된다면 영어게임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영어 학습이 이루어지리라 생각한다. Learning English by English computer game is a very useful method to encourage elementary school learners who just start to learn English to be interested in English naturally. There are of course many English computer games already but it is mostly not harmonized between learning English and interests of English. So,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help learners to find out better English computer games for their learning and also for computer game programmers to have valuable references when they make new English computer games. For the objectives, I have selected four English computer game websites on the internet and also analyzed English computer games by setting up evaluation conditions based on earlier researches and theories. The evaluation conditions divided to mainly learning English and playing computer game. The side of learning English includes setting up a goal, learning on levels and the final. The side of playing computer game contains interest, challenge and rule. Furthermore, I also analyze conditions by making subordinate items below on the main. Overall, it is considered to supplement each side even though I didn’t lay stress on only learning English or interests on playing game. The below are suggestions for better English computer game to offer desirable English learning. Firstly, It should be integrated with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English and also essentially a computer game. Secondly, it has to be designed to be suitable for all learners’ English level by developing systematic and various computer games. Thirdly, feedback learning system is mandatory which helps learners to know what questions they got wrong and let them deepen their English study. Fourthly, it is recommended that English computer game have a story assisting learners to learn English without difficulty but interests. Lastly, It needs to have various tools for challenges to let learners get motivated. It is supposed that learning English and interest on playing computer game be harmonized and then it will motivate learners to study and acquire English unconsciously with the above 5 conditions necessary.

      • 중·고등학교에서의 효과적인 영어 수행평가 실시 방안 연구

        김수진 건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중·고등학교의 영어과 수행평가의 실시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에 맞추어 중·고등학교에서의 효과적인 수행평가 방안을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가 임의로 선발한 전국의 중학교 31개교, 고등학교 31개교의 수행평가 현황을 영역별, 지역별, 학년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영어과 수행평가 영역은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 기타(포트폴리오, 수업태도 등)의 5가지로 분류했으며, 지역은 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로 구분하여 각 지역마다 임의로 학교를 선별하였다. 또한 학년별로 수행평가 반영 비율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수행평가 반영비율 및 지역별 비교를 통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수행평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한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읽기 영역의 수행평가는 거의 실시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년별 분석의 결과를 보면, 중학교 1학년의 경우는 자유학기제의 도입으로 인하여 수행평가 반영비율이 높게 나왔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수행평가 반영 비율이 상대적으로 읽기, 듣기영역의 수행평가 반영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행평가의 평가기준은 각 학교별로 평가내용은 다양했지만, 읽기, 듣기영역 보다 말하기, 쓰기 영역에 대한 평가가 다양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하게 교과서 위주의 암기식 수행평가가 아닌, 역할극을 통한 영어 말하기나 개인적 견해를 담은 독서록 쓰기같이 학생이 주체가 되어 수행 할 수 있는 활동위주의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향후 우리의 중학교, 고등학교 영어교육의 현장에서 효과적인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행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수행평가가 아무리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교육현장에 알맞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교육정책과 상응하고 우리의 교실 상황과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수행평가 방법과 절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nglish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and the plan and meaning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teachers and students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of 2015. For the purpose of research, researchers was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current part, regions, and grade levels of arbitrarily selected nationwide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 31 executions evaluated. The part of assessment in English performance i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reading, listening, writing, speaking, other (portfolio, lesson attitude etc.), the regions are Seoul, Gyeonggi, Gangwon, Chungcheong, Cheola, Gyeongsang, Jeju. Researchers sorted schools arbitrarily for each area, compare and show the execution evaluation reflection rate for each grade, and analyzed the meanings of the results of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execution evaluation reflecting rate is compared and shown for each grade, and the meanings of the results of the above contents are analyzed. As a result, we were able to find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evaluation done by middle school and senior high school through comparing reflection rate and area to evaluate execution. Common points were read both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evaluation was hardly done.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grasp for each execution evaluation part based on revision of education and current tren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the reflection rate was high in the execution evalua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free term system. Also,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peaking and writing part of execution evaluation reflection ratio was relatively higher than reading and listening part execution evaluation reflection rat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hievement standard part for both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Evaluation is carried out based on similar criteria. From now on, in accordance with educational policy, we must steadily study to evaluate appropriate execution.

      • 동화 활용이 초등영어학습자의 듣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이미경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동화 활용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하여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학습법과 동화를 활용한 학습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교과서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흥미도와 영어 능력도를 감안하여 동화책 4권을 선정하고 3차시 씩 총 12차시의 수업 모형을 구안하여 본 연구자의 담임반 학생 30명에게 적용한 후 듣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 능력에 있어서는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영어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영어 동화를 활용한 학습은 실험 집단에서 듣기 능력 및 흥미도에 큰 효과를 나타냈으며 영어에 대한 참여도와 자신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3학년이 아닌 다른 학년에서도 그 학년에 맞는 동화를 선정하여 영어 시간 외에 특별활동시간이나 재량활동 시간, 아침 자습 시간에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언어 능력 향상 및 흥미도에 유의미한 결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좋아하고, 영어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는 동화 내용을 교과서 매 단원에 비중 있게 실어 따로 동화책을 구입하지 않고도 동화를 활용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국가 수준의 교재 개발을 제언하는 바이다. In this study, I conducted survey with 3rd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tri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using stories on their listen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For this, I searched papers and studies of study theory in terms of story application and studying method of improvement of listening ability. Also, I analyzed English text book for the 3rd grade level at elementary school and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English ability, chose 4 fairy tale books. I made 12 times of class model per 3 times and applied the model to 30 students in the same class to find out the change on listening ability and affective domain. And the result came as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listening ability, the experiment class has showed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the other class. Second, in the class with stories, the interest, participation rate and confidence of students showed that it was affected positively. Overall, studying with English stories affected experimental group positively in terms of listening ability and interest. And, it also showed positive change in the participation rate on class and confidence. Therefore, choosing appropriate stories for the class and using the book for English class, special activity class and morning free study time, it will bring significant effect on the language ability and interest of student Moreover, I'd like to suggest putting stories in the text book, at the end of the unit. Then, without buying books personally, class can have a various activities with the contents.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중학교 학생의 어휘력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박유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영어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우리나라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 있는 영어 학습자들에게는 부족한 영어의 입력 양을 확보하기 위해 영어 어휘 학습이 필요하지만 학교에서의 영어 어휘학습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위해 교수 방법들과 교수 매체들이 수업에 사용되어왔는데 특히 멀티미디어는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실제적인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새로운 학습방법으로서 영어 교육에 활용 되어왔다. 그러나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멀티미디어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해왔다. 이에 영어 교육을 하는데 있어 학습자를 위해 멀티미디어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용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영어 어휘학습을 하였을 때 학습자의 학습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전 소재의 중학교 2학년 학생 26을 대상으로 하였다. 26명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나누어, 실험반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어휘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반은 전통적인 수업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중학교 영어 성적 하위권 학생들의 어휘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까? 2.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을까?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반의 어휘 능력이 유의미한 차이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멀티미디어 어휘 학습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둘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 어휘 학습에 관한 정의적 특성인 영어 수업 참여도, 어휘학습 관심도, 자신감 세 범주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실험반의 참여도와 관심도의 평균점수가 향상되었다. 반면, 통제반의 자신감 범주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렇듯, 교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적절한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은 학습자의 어휘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한국의 영어 읽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혜성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는 외국어로서의 영어(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를 학습하고 사용하는 환경으로 일상생활에서 구두 언어로 영어를 사용하기보다는 글로 쓰여진 매체를 통하여, 즉, 읽기를 통하여 영어를 접하는 상황이 훨씬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초•중•고 영어 학습자들은 주로 학교 교실에서 교과서의 읽기를 통해 영어를 접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으며, 영어 읽기 능력은 다양한 수준에서의 어학 시험에서도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우리의 한국 영어 학습자들에게 영어 읽기 능력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습득해야 하는 필수적인 역량이 되었다.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최근 9년간 한국의 영어 읽기 교육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 논문 109편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별 연구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영어 읽기 관련 연구의 동향과 성과를 알아보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영어 읽기 교육에 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연구 대상에 따라 영어 읽기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류해보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대학생 및 성인, 고등학생, 중학생, 혼합, 유아, 기타 순으로 이어졌으며, 대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편이었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연구 주제에 따른 선행연구들의 분류에서는 읽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두 가지, 즉, 독자 변인과 텍스트 변인으로 나누어 분석을 한 결과, 텍스트 변인에 관한 연구는 6편으로 독자 변인에 관한 연구보다 훨씬 더 적었다. 또한 읽기 지도법보다는 교사가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과업 및 활동들을 제시하는 연구가 많았다. 또한 많은 선행연구들을 보면 연구의 주제와 상관없이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과 더불어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영역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 연구들이 많았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영어 읽기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도록 하여 더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방법별 분석 결과를 보면,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보다 훨씬 많았으며, 더 세분화하여 분석을 해보면, 실험연구를 사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이는 주제별 분류 결과로 제시한 것처럼 과업 유형과 활동들을 실제 수업에 적용시켜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 연구가 많았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최근 9년간 영어 읽기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앞으로 한국의 영어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 대상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초, 중, 고, 대학생 이외에도 사회에서 영어 읽기를 접하는 성인 학습자들 또한 고려하여 연구 대상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영어 읽기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알아내어 분석하기 위해 보다 더 많은 질적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일회성 연구에 머무르지 않고 장기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학습자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더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제언을 통해 영어 읽기 교육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블록타임제를 활용한 영어수업모형 연구

        한수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영어가 세계어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함에 따라,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실제적인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교수자 중심의 교수로부터 학습자 중심의 학습으로 변화가 이뤄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추구하고 있는 블록타임제 도입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블록타임제를 활용한 영어수업모형을 연구하였다. 블록타임제는 교사중심의 수업보다는 다양한 학생중심의 학습을 지향하고 있어 학생들이 실제적인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블록타임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이어서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블록타임제의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전통적인 수업시간의 한계와 블록타임제의 정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미국과 한국의 블록타임제 현황을 정리하였다.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전통적인 수업시간의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블록타임제를 폭넓게 도입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도 블록타임제를 도입하는 학교들이 차츰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블록타임제의 수업유형과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블록타임제에 대한 중·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교수학습의 개선의지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블록타임제 도입을 위해 대비하여야 할 사항을 파악해보았다. 이를 토대로 제4장에서는 블록타임제를 적용한 시간표를 구성해보고, 교사들이 블록타임제의 장점으로 선택한 토론수업, 역할놀이, 프로젝트수업의 일반모형을 제시한 후 블록타임제 영어수업에 토론 수업 모형을 실제 적용하는 교수학습지도안과 학습자료를 구성해보았다.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제언을 통해 향후 영어교육에서 블록타임제 연구가 필요한 부분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을 서술하였다. As English became the Lingua Franca,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s emphasized everywhere. To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adopt the change from teacher-centered teaching to student-centered learn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s for adopting the block scheduling and find teaching model of the block scheduling in English education. The block scheduling was designed for student-centered class, so it will be helpful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In chapter 1, the aim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re dealt with. The relevant term and the preceding studies are reviewed. In chapter 2, definition of the block scheduling and it's usage in school are introduced. The industrial society is moving fast to the information society. The school also needs to keep pace with the change of society. The traditional class time should be reconsidered. The block scheduling class time is widely used in U.S.A. Because the number of schools adopting block scheduling time is increasing in South Korea, we need to know merits and demerits of block scheduling. The block scheduling teaching model is also reviewed. In chapter 3, I tried to find out English teachers' perception of the block scheduling and needs for it by analysis of questionnaire. I checked some details for adopting the block scheduling. In chapter 4, I suggested block scheduling time-table and block scheduling teaching model in English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chapter's analysis. In teaching model, teachers preferred discussion, role-play and project teaching model. So I introduced the general teaching model and composed a lesson plan for efficient teaching model.

      • 조기 영어 교육이 초등 영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조승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is to study through the student surve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how the early English education influences the definitive area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lementary English learners. For this research, we selected 21 students from the third-year class and 26 students from the sixth year class, who received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nd as the students who did not have the early English education we chose 21, and 26 persons respectivel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year 2008, and the results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e surve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existence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d English ability of an individual and understanding of English study, and it appeared that the higher academic year rises, the greater the influence i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confidence in English language, it was found there was the positive influence. Second, in terms of the interest in English language, they showed their interestregardless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nd they said that the learning area in which they felt the most confident was 'Listening'. Thus, it appeared that the interest level of English learning and the confident learning area were not positively affected by the existence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Third, in terms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the group which did not have the early English education showed the higher achievement level than the one that did have the early English education. Thus, it appeared that the existence of the early English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elementary English learne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Firs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various factors of learners' definitive area, th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using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urvey. Second, in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to be chosen, and extending the subjects to the whole classes, th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ird, in the early English education which is going to be held in the future, the direction should be set to elevate learners' confidence. 본 연구는 조기 영어 교육이 초등 영어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학생 설문 조사와 성취도 평가를 통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3학년과 6학년에서 조기 영어 교육을 받은 학생 21명, 26명을 각각 표집 하였으며, 조기 영어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 21명, 26명을 각각 표집 하였다. 이 연구는 2008년 1학기에 이루어졌으며, 설문 조사 및 학업 성취도 평가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 영어 교육의 유무에 따라서 자신의 영어 실력 정도와 학교에서의 영어 학습 이해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기 영어 교육이 영어에 대한 자신감의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에서는 조기 영어 교육 유무와 관계없이 흥미도가 동일하였으며, 가장 자신 있는 학습 영역에서는 집단과 관계없이 ‘듣기’에 응답하여,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 있는 학습 영역에서는 조기 영어 교육의 유무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는 조기 영어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이 조기 영어 교육을 받은 집단보다 더 높은 성취도를 나타내어, 조기 영어 교육 유무가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의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며,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평가지를 활용하여 추가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표집 학생 수를 늘리고, 표집 대상을 전 학년으로 확대하여 추가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이후 실시되는 조기 영어 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자신감을 향상시켜주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EER ASSESSMENT IN SECOND LANGUAGE WRITING CONTEXT : VALIDITY, RELIABILITY AND UTILITY

        김대익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study compares instructor- and peer-assessment of writing in the context of an EFL university introductory English composition course, involving a longitudinal design of two studies: 1) Preliminary Study, and 2) Main Study. In the Preliminary Study instructor- and peer-assessments were performed on essays written by fellow students, after the completion of a full academic semester of English writing instruction. A total of 71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eer-assessment process. The assessments involved six writing assessment criteria: 1) Formatting conventions; 2) Thesis sentence, and citation and referencing conventions; 3) Topic sentences; 4) Topic supports and details; 5) Coherence and continuity; and 6) Creativity. The students-as-assessors were provided instruction and training on the assessment criteria in two ways: 1) Student assessors were given written descriptions of each of the assessment criteria, which were reinforced with descriptions and examples during one single class session; 2) In addition, students were instructed and trained in-class throughout the semester (lectures, exercises, and individual student-teacher conferencing feedback sessions) as part of fulfilling the Introductory English Composition course requirements. The instructor-assessments were performed by the instructor to course.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showed divergence between the instructor-assessment and peer-assessment in four of the six assessment criteria, suggesting changes to the content and delivery of the course was required for these four areas. For the Main Study, changes to the course content and delivery were implemented the following semester, with a separate but comparable group of students (N=111), after which the peer-assessment method was again utiliz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areas that showed divergence between the instructor- and peer-assessment during the Preliminary Study, lead to convergence in all areas.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the changes to the course content and delivery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instruc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utility of peer-assessment as a viable method in directing course design, as well as providing a means of independently evaluating curriculum.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을 실시하는 대학의 영작문 입문 수업에서 강사평가와 동료평가를 비교하는데, 장기간에 걸쳐 예비연구와 본 연구, 두 개의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예비연구에서는 한 학기에 걸친 영작문 수업이 끝난 후에 학생들의 작문에 대하여 강사평가와 동료평가가 실시되었다. 모두 71명의 학생들이 이 동료평가의 과정에 참여하였고, 평가의 기준은 (1) 형식적인 규칙들, (2) 논제와 인용 및 참고 문헌 관련 규칙, (3) 주제문, (4) 주제 보강 및 세부 사항, (5) 응집 및 일관성, 그리고 (6) 창의성으로 구성되었다. 동료평가 참가자들은 평가 기준에 대하여 설명을 듣고 연습을 하였는데, 우선 교실 수업을 한 사간 하는 동안 평가 기준에 대한 기술과 함께 예들을 제공받았고, 추가로 한 학기 내내 강의 필수 요소로서 강의와 연습 문제, 그리고 교사와 학생 간의 회의 시간을 통하여 연습을 하였다. 이 외에 강사에 의한 강사평가도 이루어졌다. 예비연구의 결과를 보면, 6개의 평가 기준 가운데 4개에 있어서 167 강사평가와 동료평가가 차이를 보이는데, 이것은 이 4개의 영역에 있어서 수업 내용과 수업 방법에 있어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비연구의 다음 학기에 이루어진 본 연구에서는 수업 내용과 수업 방법이 달라졌으며, 111명의 별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기말에 동료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예비연구에서 강사평가와 동료평가가 차이가 있었던 부분을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일치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연구의 결과 이루어진 수업 내용과 수업 방법의 변화가 수업의 효용성에 의미 있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평가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수업 디자인에 있어서도 동료평가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