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몽골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벌드 체렝나드미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구통계학적 특성, 개인 활동특성, 정부의 노인복지정책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기존 연구 및 관련 보고서 등을 바탕으로 한 영향요인과 삶의 만족도 등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몽골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몽골 울란바토르, 아르한가이, 에르데네트 3개 지역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수집은 1:1 대면으로 설문지를 받았으며,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시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적도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연구의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집단별로 차이가 유의미 하는지를 보기 위해서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 간의 어떤 차이가 있는지, 어니 집단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후검정을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검증 및 인과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몽골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수준은 평균 3.43으로 만족도가 보통이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대상자 노인들은 삶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 정도로 판단한다. 노인의 삶의 만족도 요인과 수준 간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노인 복지정책 인지도와 노인복지정책 만족도는 제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종교 생활과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 나타났다. 종교 생활과 건강상태 관련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종교 생활이 노인 삶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되었다. 건강상태와 정부의 노인복지정책 인지도와 노인 복지정책 만족도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기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몽골 노인들의 삶에 충분히 만족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몽골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몽골 노인의 삶의 만족 관련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기존 연구들을 실행할 필요성이 있으며, 몽골 정부에서 몽골 노인 정책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공공조직내 공무원의 유형별 규모 변화와 분화에 관한 연구

        이상신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조직을 구성하는 다양한 변수들 상호간의 적절한 조화와 균형은 조직 전체에 영향을 주어 조직 목표의 달성에 기여하게 된다. 본 연구는 조직구조에 있어 상황변수(규모)의 변화가 기본변수(분화)에도 일정수준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경찰 등 공공조직에서 공무원의 유형별(특정직:일반직) 규모변화와 분화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경찰조직 내에서 공무원의 유형별, 특히 일반직에 대한 규모의 증가에 따른 분화의 필요성과 분화의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본 논문은 조작적 정의를 통하여 공공조직의 규모는 공무원의 정원으로, 분화는 각 공공조직 내에서 보직(직위)의 수 및 직무 관련 규정으로 하였다. 또한 대상기관은 일반직보다는 특정직 중심의 조직으로, 조직구조적 특성(복잡성, 공식화, 집권화)이 유사한 경찰, 해양경찰, 검찰조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해양경찰조직은 특정직과 일반직, 그리고 검찰조직은 특정직에서 각각 규모의 증가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는 분화의 증가에도 어느 수준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경찰조직은 일반직에 대한 규모의 증가는 매우 높았으나 그 변화가 분화까지 이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조직 내에서 일반직에 대한 분화 자체가 부재한 것으로 나타나 규모의 변화가 기본변수인 분화까지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찰조직 내에서 일반직에 대한 규모의 증가에 따른 분화의 발생 및 일정수준까지 분화의 증가가 필요하며 분화의 방법으로는 해양경찰과 검찰조직에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이들 조직 내에서는 특정직과 일반직에 대한 직무를 규정하고 직위를 형성하는 직무전문화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공무원의 유형별(특정직: 일반직) 규모의 증가가 발생하면, 관련 직무에 대한 분화의 증가가 일정 수준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찰조직에 시사점 제공 및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oper harmony and balance between the various variables which configures organization have effects on the entire organization so it contributes to the achievement of goals.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in the size and differentiation by the public official types(special service: general service) in the public organization such as police positively through the theory about the positive effects of the situational variables(size) on the basic variables(differentiation) at certain level in organizational structure. This will allow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 about necessity and methods of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size of the public officials, especially of the general service public official.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stipulated the size of public organization as the fixed number and differentiation as the number of the post(position) within each public organization related duty through the operational definition. In addition, the police, maritime police, prosecutor organization which has similar degree of complexity, formalization, centralization as the indicator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the public organization. In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ritime police organization showed increase in the size in each special service, general service and prosecutor organization special service, and it is analyzed that this change had certain degrees of effect on the increase in differentiation. But the police organization showed very high increase in size in the general service, however that change can't be connected to differentiation, and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no differentiation about general service within the organization, so the change of size as the situational variables can't be connected to differentiation as the basic variables. Thus, the occurrence and increase in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size in the general service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is necessary to a certain level, and the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from the maritime police and prosecutor organization as the methods of differentiation. The method of job specialization which provides and forms duty about the special service and the general service was used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allows size of the public official increases by the type(special service: general service) and differentiation about related duties increase to a certain level.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above, this study discussed providing implications to the police organiz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the next research.

      • 공무원 성과평가 결과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국립대학 직원을 중심으로

        전준하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possible directions that can accomplish the ultimate purpose of performance evaluation that enhances task performance, ensures accountability and maximizes work efficiency of employees through determining factors which enhance the national university employees' recep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In doing so, the thesis review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isting literatures on recep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built a research framework based on the discussions made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made a survey among 197 employees of 5th rank or below working in 5 different national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Variables that have impacts on employees' recep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are determined as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valid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 validity of performance index components, appropriacy of performance index content and also appropriacy of incentive. Control variables are determined as culture model(Group-Grid Theory: hierarchism, egalitarianism, individualism, fatalism) according to the groupness and grid-group.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validity of evaluation index components, appropriacy of evaluation index content appeared as above the average value, while valid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 appropriacy of incentive and recep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appeared as below the average value. Second, demographic differences of the variables which is related to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are determined as follow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ppeared higher among men than women, among employees of educational universities than industrial universities, and among general officials 6th rank or above and technical officials than other rank group. Valid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 validity of evaluation index component and appropriacy of incentive are all appeared as more positive among administrative employees who also appeared more positive than compared to technical employees in terms of the recep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Third, recep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all 5 factors that have impact on it have positive correlation. Fourth, especially, the necessity to focus on management of positive recognition about appropriacy of incentive and appropriacy of performance index content is determined as greatly significant for enhancing recep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Fifth,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have impact on recep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model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recep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of the people who cover 77% and largely belong to hierarchy cultural model,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appropriacy of incentive, appropriacy of evaluation index content and validity of evaluation procedure as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Also, the appropriacy of incentive should also be of great importance in the egalitarianism cultural model. Valid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procedure should be considered as significant in the individualism cultural model while appropriacy of evaluation index content should be managed as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in the fatalism cultural model. Sixth, as a result, a proper management of positive recognition of employees in terms of the appropriacy of incentive, appropriacy of evaluation index content and validity of evaluation procedure can promise enhancement in recep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and can expect performance improvement from the employees and organization.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sis is recommending following methods for improving the national university employees' recep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First, a systemic education is needed for assessors. Second, the practical use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should be expanded and an exquisite incentiv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should be revealed publicly. Fourth, differential rating factors according to ranking and occupations are needed. Finally, an appropriate personnel management fo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cultural model should be carried ou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대학 직원의 성과평가결과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성과평가의 궁극적 목적인 직원의 업무성과 향상과 책임성 확보 및 업무에 대한 효율성 극대화를 이루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과평가의 수용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우리나라 중부지역의 5개 국립대학에 근무하는 5급 이하 직원 197명에 대한 설문을 분석하였다. 성과평가결과에 대한 직원의 수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성과평가제도에 대한 이해, 성과평가 절차의 타당성, 성과지표 구성의 타당성, 성과지표 내용의 적절성 그리고 인센티브의 적절성을 설정하였으며, 조절변수로는 집단성과 격자성에 따른 문화유형(Group-Grid Theory : 계층주의, 평등주의, 개인주의, 운명주의)을 설정했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평가제도에 대한 이해, 평가지표 구성의 타당성,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은 보통 이상의 수치를 나타냈고, 성과평가 절차의 타당성, 인센티브의 적절성, 성과평가결과의 수용성은 보통 이하의 수치를 나타냈다. 둘째, 성과평가결과의 수용성에 관계되는 변수의 인구통계학적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과평가제도에 대한 이해도는 성별로 남자가 여자보다, 대학유형별로 교육대학 직원이 산업대학 직원보다, 직급별로 6급 이상 일반직 그리고 기능직이 7급 이하 일반직과 기성회직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성과평가 절차의 타당성, 평가지표 구성의 타당성, 인센티브의 적절성에서 모두 직군별로 행정직원이 더 긍정적으로, 또한 성과평가결과의 수용성에서도 직군별로 행정직원이 기술직원보다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과평가결과의 수용성은 그에 영향을 주는 5개 모든 요인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성과평가결과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히 인센티브의 적절성,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에의 긍정적 인식에 대한 관리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나타난다. 다섯째,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성과평가 결과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하여 살펴보면, 전체의 77%로 절대 다수인 계층주의 문화유형에 속하는 사람들의 성과평가결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센티브의 적절성,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 평가절차 타당성이, 평등주의 문화유형에서는 인센티브의 적절성이, 개인주의 문화유형에서는 성과평가절차의 타당성이, 운명주의 문화유형에서는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결과적으로 인센티브의 적절성,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 성과평가 절차의 타당성에 대한 구성원의 긍정적 인식을 잘 관리함으로써 성과평가결과의 수용성을 높이고 이를 통하여 구성원과 조직의 성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과평가결과에 대한 국립대학 직원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하였다. 첫째, 평가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성과평가 결과의 활용부분을 확대하고 정교한 인센티브제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성과평가 결과를 공개해야 한다. 넷째, 직급과 직군에 따른 차별적인 평정요소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직원의 문화유형별 특성에 따라 적합한 인사관리를 해야 한다.

      •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을 통한 정책갈등연구 : 삼척시 원전 유치를 중심으로

        최지은 강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역경제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국책사업은 지역의 환경보존이라는 신념과 충돌하여 주민들의 갈등 빈도를 높이고 결속력을 저해하여 사회적 분쟁상태로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는 비선호시설 입지갈등에 대하여 Sabatier의 정책옹호연합모형(Advocacy Coalition Framework)을 분석틀로 하여 어떠한 요인들이 정책하위체제 변화에 영향이 있는가를 삼척시 원자력발전소 유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갈등연구이다. 본 연구는 장기간 정부-지자체, 지자체-주민, 주민-주민 간에 빚어진 삼척시 원전유치에 대한 정책갈등과정에서 나타난 정책행위자간의 정책갈등구조 변화에 대하여 정책옹호연합모형(ACF)과 갈등분석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반구조적설문(Semi-Structured Question)을 이용하여 초점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질적 분석(Qualitative Analysis)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정책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며, 특히 정책을 둘러싼 각 행위주체들 간의 갈등으로 인한 손해나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하여 효율적인 갈등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주체들 간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바람직한 갈등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공간적 범위는 삼척시를 중심으로 원전입지선정과정을 둘러싼 추진기관과 지역주민, 시민단체, 지자체 간의 갈등을 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원전 유치과정에서 나타난 옹호연합 간의 갈등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연구 대상 시점이 수면위로 떠올라 본격적으로 추진된 1982년부터 현재 연구 수행시점까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첫째, 시간적 범위를 갈등 1기와 갈등 2기, 갈등 3기로 나눈 후 각 시기별 하위체제들을 분석하였다. 둘째, 시간적 흐름에 따른 정책변동과정에서 옹호연합 구성의 변화와 각 옹호연합 간 신념체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셋째, 시기별로 구분한 하위체제의 각 요소들을 시기별로 재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삼척 사례를 통하여 정책갈등의 바람직한 관리를 위해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 비선호시설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외부효과를 중화시키는 과정이 갈등초기과정에서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주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수준에서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주민들의 정책수용성을 높여 갈등을 줄이거나 해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호신뢰관계가 형성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지역균형발전을 지향하여 지역 간 갈등을 해소해야한다. 삼척사례는 지역 간 불균형발전에 기인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지역불균형발전은 국민의 삶에 직결된다는 점에서 정부는 지역 간의 소득 격차를 줄이는 경제정책의 입안과 집행에 신중해야 한다. 셋째, 정부와 주민 간의 합리적인 협상과정의 제도적 보완이 요구된다. 합리적인 협상과정이 타결된 후에도 합의안을 상세화하고 실질적인 이행 여부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갈등이 진행 중인 사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모든 단계의 갈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으며, 비선호시설의 대표시설인 원자력발전소 유치과정에서 나타난 특정 갈등사례를 선택하여 갈등의 영향요인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일반화의 문제가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사례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여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제기된 연구의 한계점을 종합적으로 보완하는 보다 발전적인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The national project for the purpose of activating the local economy increases the frequency of conflicting with residents, inhibits the cohesion and appears as a social dispute while conflicting with the belief of local environment conservation. This study is the conflict study which analyzed focusing on the promotion case of Samcheok nuclear power plant on what factors have an influence in the change of sub-system policies by taking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s an analysis tool regarding the locational conflict of the non-preferred fac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conflict’s structural change among policy parties in the policy conflict process of promoting Samcheok nuclear plant which had occurred for a long time betwee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and residents and residents by using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and conflict analysis model. Regarding the analysis method, the relevant data is collected through a literature search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hich is done by the focus group interview using the semi-structure questions is chosen.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of effectively managing policy conflicts and re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es and explore preferred conflict measures for the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especially by minimizing the damages and waste of resources due to the conflict between parties around policies. In this study, regarding the spatial range, the conflict between promotion agency, local residents, NGOs and municipalities around the selection process of nuclear power plant site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target and regarding the temporal range, it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research since 1982 when the research target emerged and it was promoted at full scale in order to entirely look at the conflict between advocacy coalitions which appeared in the nuclear promotion proces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firstly, the sub-systems of each period were analyzed after dividing the temporal range into 1stconflictperiod,2ndconflictperiodand3rdconflictperiod. Second, changes in the advocacy coalition’s constitution in the policy process change over time and changes in the belief system among advocacy coalitions were analyzed. Third, each element of the sub-systems divided by each period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reclassifying by the period. When it comes to deriving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sirable management of policy conflicts through Samcheok case, firstly, the process neutralizing the negative externalities which the non-preferred facilities have, has to be reasonably made at the initial phase of the conflict and it should be enough at the level that local residents are satisfied. Such a process can reduce or eliminate the conflict by increasing the policy acceptance of residents and it’s because the mutual trust can be made from this. Second, conflicts between regions must be resolved aiming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t can be seen that Samcheok case was caused by the imbalance in development between regions and the government must be careful in drafting and implementing economic policy reducing the income gap between regions in that the regional development imbalan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ives of people. Third, the institutional supplement for reasonable negotiation process between government and residents is required. After a reasonable negotiation process has been concluded, detailing the agreement and managing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are require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which did not systematically analyze the previous stage of the conflict in the fact that it analyzed the conflict case in progress. Also the problems of generalization and reliability can be pointed to limitations in the fact that influencing factors of conflict were derived by selecting the specific case of the locational conflict in nuclear power pl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t by analyzing a number of examples from various angles.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a more developed follow-up study which comprehensively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hich were raised above.

      • 중국 의료보험 정책의 특징분석

        왕몽달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발전과정과 특징을 분석하여 중국의 성공적인 의료보험제도를 위해서 한국의 국민건강보험과 비교분석하여 의료보험제도의 문제점을 찾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중국의 주요 의료보험제도인 도시근로자기본의료보험제도, 신형농촌합작의료보험제도, 도시주민기본의료보험제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모형은 논문 33쪽에 있는 것과 같이 적용대상, 급여, 전달체계, 관리운영기구 4가지 분석기준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6개장으로 이루어졌다.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서 및 의료보험정책의 배경을 살펴보고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설명한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의료보험정책의 의의 및 중국의료보험정책의 특징 및 중국 의료보험정책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제3장은 중국 의료보험정책의 발전 과정 및 중국 의료보험제도 분석을 설명한다. 본장에서는 의료보험정책의 발전 과정을 개혁 전 중국의료보험제도기,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변혁기,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기의 3가지를 구분하였다. 중국 의료보험정책을 3단계로 살펴보면, 개혁전 중국의 의료보험제도기는 1949년부터 1984년까지이다. 이 시기에 중국의 의료보험은 전적으로 단위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공비의료제도와 노동보장제도가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1984년부터 2003년까지는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변혁기로 중국은 지난 20년 동안 경제체제가 개혁되고 마켓 메커니즘으로 국유업체가 개입하면서 중국에 큰 변화가 나타났다. 2003년부터 현재까지는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기로 이시기부터 전면 의료보험제도체계 설립이 시작되었다. 2003년부터 중국은 "화목한 사회"를 사상으로 제시하였고 개혁개방의 심화에 따라 중국의 사회보장체계는 새로운 단계로 들어갔다. 제4장은 한국의 국민건강보험과 중국의 기본의료보험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 의료보험제도의 개관을 소개하고 다음으로 한국과 중국의 의료보험제도를 비교분석하면서 이 제도들이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을 가지는지 분석한다. 제5장은 주로 중국 의료보험정책의 분석하고 중국 정부가 의료보험정책의 제정 및 집행 과정에 나타나는 문제점 및 한계점을 찾고 이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의료보험제도의 문제점 분석과 아울러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우선은 신 의료보험 개혁 방안에 따라 생계유지가 힘든 계층의 사람들에게 기본생활에서 수요한 물질적인 보장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도시와 농촌, 그리고 업소와 부문을 구분하지 않고, 그리고 적용 보편성원리에 따라 전국민이 동일한 기본생활보장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향후 모든 국민이 향유할 수 있는 통일된 전국민건강보험제도를 설계하고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an improvement for this by analyzing th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health care system by comparison with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Korea for successful medical insurance system in China looking for the problems of health care system. The subjects of China's major urban workers basic medical insurance system, medical insurance, new rural cooperative medical insurance, urban residents basic medical insurance system were studied. As a research model that applies across the paper 33, salaries, transfer systems, management and operation mechanism were analyzed using four criteria.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study was done in 6 chapters. Chapter one is an introductory section and look at the background of the medical insurance policy explains the manner and scope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alyzed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Features and Chinese medical insurance policy significance and the Chinese health insurance policy health insurance policies,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the Chinese health care system Analysis of China Medical Insurance Policy . Chapter in the evolution of health care reform before the Chinese health insurance policy drafting, byeonhyeokgi Chinese medical insurance system, medical insurance system in China were divided in three groups sought a new paradigm. Looking at the Chinese medical insurance policy in three stages, drafting of health care reform is the former China from 1949 to 1984. Medical insurance in China at this time is entirely centered around a unit jyeotneunde azeotropic medical care and labor security system can be viewed as the most important feature. From 1984 until 2003, China's medical insurance system is byeonhyeokgi Chinese economic system reform, and for the past 20 years, while state-owned companies involved in the market mechanism was a major change in China. From 2003 until now from this period of Chinese New Paradigm group medical insurance medical insurance system established this front began. Since 2003, China has ever presented as a "harmonious society," China's social security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deepening of reform and opening up has entered a new phase. Chapter 4 analyzed Korea's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basic medical insurance in China compared. In this study, first introduced the institution of South Korea South Korea and the health care system, and then analyzed by comparing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nalyze what kinds of institutions are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inese. The fifth chapter mainly analyzes China's medical insurance policy derives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Chinese government on this issue, looking for problems and limitation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health care policies. Problem Analysis of the Chinese health care system as well as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a systematic improvement. Priority should provide a material guarantee of subsistence to those who demand a hard layer in accordance with the new health care reform in the main living room. Also,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businesses and sectors, and all citizens must be able to receive the same basic livelihood securit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universality applicable. Therefore, the future is before all citizens need to design a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nd which can pursue unified enjoyment.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도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메타 거버넌스의 전략적 요소를 중심으로

        이기호 강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보장정책과 사회서비스제도 추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도의 성과분석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메타 거버넌스의 전략적 요소들이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구방법은 관련 이해관계자 설문을 바탕으로 한 양적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변수구성은 메타 거버넌스의 전략적 요소인 자율적 구조화, 소통적 네트워크, 전문적 설계, 협력적 참여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도의 성과 요인으로 수요자 만족도, 서비스 체감도, 정책 호응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시군의 지역규모 크기를 조절변수로 하였다. 조사 대상은 경기도와 강원도의 지역 각각 5개 시군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양적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질적 조사방법으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직무담당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집단이터뷰(FGI)를 실시하여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제도의 성과에 대한 인식수준은 수요자 만족도, 정책 호응도, 서비스 체감도 순이나 대체로 인식 평균이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메타 거버넌스 전략적 요소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성과에 대해서는 복지 분야와 지역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주로 나타나고 있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도의 운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메타 거버넌스 전략적 요소로 수요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적 요소는 전문적 설계, 소통적 네트워크, 협력적 참여 순이며, 서비스 체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전문적 설계, 협력적 참여, 자율적 구조화 순이고 그리고, 정책 호응도에 미치는 영향은 전문적 설계, 협력적 참여, 소통적 네트워크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제도의 성과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제안이 이루어졌다. 우선은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도의 운영은 단순히 사회자본의 요소만을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는 민관협치 조정기제에 적합한 메타 거버넌스(Meta Governance)의 전략적 요소(strategic constituent)를 접목시켜야 할 것이다. 특히, 중앙정부는 현행 사회보장위원회로 존치하더라도 각 시도에서 관리하고 있는 사회보장위원회는 운영체제를 현행 시군구 및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같이 자율성, 네트워크와 참여, 전문성 등 메타 거버넌스의 전략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민관협치 조정기제(Public-Private Governance Coordination Mechanism)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체제로 과감하게 전환할 필요가 있다. 시군구 지역 특성을 살린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중심의 사회보장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 민관 협치 기능을 확산하여 도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성과 관리를 위하여 PDCA관점에서 접근한 종합성과관리(IPRM: Integration Performance Review Model) 제도 도입 등 새로운 성과 운영과 평가에 대한 전략설계와 시행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사회보장정책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도의 효율적인 시너지효과를 거두면 조직체 발전의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 보다 정교한 전략목표 수립과 성과지표관리를 위한 캐스케이딩이 도입면서 확대해 나가야 한다. 향후 지역중심체제의 커뮤니티 케어 중심체제로 전환해 나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복지정책기관과 복지재단 등 민간시설 등과 조정 통합의 적절한 메타 거버넌스 전략의 구조화로 복지허브(Welfare Hub)화 정책을 구현해 나가면서 지역사회보장계획과 주민자치 지원체계가 연계될 수 있도록 협의체 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하여야만 한다. 또한, 성과 평가의 질 관리를 위해서 민관 협력의 연계망을 다각화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서비스 플랫폼체제로 강화하여 주민 참여 확대를 통한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동시에 민간 협력체계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 자율성에 기반한 다양하고 다층화한 지역사회보장협의체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혁신적인 운영으로 민관 간 협치 조정기제가 제대로 작동되어 지역복지공동체 형성과 새로운 사회서비스 플랫폼(Social Service Platform)의 기반 확산을 토대로 체계적인 관리와 고도화된 질 관리 역시 필요하다. 미래 지역복지공동체 중추적 기능으로서 변화와 혁신을 촉진시켜 나가면서 역량을 확충하여야 하며 동시에 전국의 모든 시군구와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시 메타 거버넌스 체제에 의한 전략적 요소를 접목한 PDCA 관점에서 보는 종합 성과관리(IPRM: Integration Performance Review Model) 체제로 개편하면서 성과협영(performance-governance) 형태를 접목하므로써, 운영체제와 성과 평가체계로 혁신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략적 운영 요소를 매년 4년차 사회보장계획 수립과 연차별 평가 시행계획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사회복지정책, 메타 거버넌스, 전략적 요소, 제도성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 system,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promoting social security policies and social service system.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strategic elements of meta-governance affect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ethod applied in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survey method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related stake-holders. The research variables are composed of autonomous structuring, communicative network, professional design, and cooperative participation, which are strategical elements of meta-governance,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of performance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system are customer satisfaction, service experience, And the size of the regional size of the community security council city was the controlling variable.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five cities each selected from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This was further complemented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FGI) as an integrative and systematic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evel of perception on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security council’s operation system is similar to that of customer satisfaction, policy response, and service percep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eld and the region. The strategic factor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were strategic design, communicative network, and collaborative participation. Strategic factors influencing service performance were the professional design , Collaborative participation, autonomous structuring. Moreover, the significance of influencing factors on policy response were in the order of professional design, coopera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Policy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security council system that this study provid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operation of the system should not only activate social capital, but it should incorporate the strategic constituent of Meta Governance in the future. Such constituent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emphasizes include autonomy, network, participation, and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 existing social security councils and the local social security councils. The Public-Private Governance Coordination Mechanism requires a bold transition to a system of community security councils. In order to construct a social security infrastructure centered on the community security community that takes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nicipality area, it should introduce the function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order to achieve this,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ic design and implementation system for new performance management and evaluation such as the IPRM. Based on this, if an effective synergy effect of social security policy and community security council system is established, cascade for more sophisticated strategic goal setting and performance index management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solidify foundation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In the future, in order to transform into a community-centered system of community-based system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Welfare Hub policy through the structuring of an appropriate meta-governance strategies of coordination and integration with civil welfare policy institutions and welfare foundations.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cil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that the guarantee plan and the citizen self-help support system could be linked. Also, in order to manage the qual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there is a need to diversify the network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strengthen them as a new social service platform system to expand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ivil cooper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local social welfare community and the social service platform. Based management and advanced quality management are also nee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competency by promoting change and innovation as a pivotal function of the future regional community of welfare. At the same time, with respect to the local social security council of the whole country, it is necessary to innovate into operating system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by incorporating performance-governance form while reorganizing into IPRM(Integration Performance Review Model) system. Accordingly, these should be reflected in the implementation plan. Keyword: Social security council, social welfare policy, meta-governance, strategic factor, institutional achievement

      • 우리나라 자원봉사조직의 사회자본과 성과간 관계분석 : 상록자원봉사단을 중심으로

        최복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Since 1960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economics, the role and function of volunteer organizations have increased and diversified in Korea. Recently, Korea's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and change in perception led to amplification in the process of activities such as '07 Taean oil spill accident, '86 Asian Games and '88 Olympic Games, and recently Pyeongchang Winter Olympics. Especially in 1995, activities such as university social service, women's volunteering, corporate volunteering, and religious volunteering have begun for the full-fledged activation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volunteering activities. The aim was to build ties and trust with local people, such as developing character education, fostering community awareness, utilizing human resources, and forming a positive self, contributing to self-esteem, social welfare, and contribution to local communities. In particular, the activities of volunteers at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event resulted in a change in the cultivation of cooperative spirit to practice country love and neighbor love as part of social return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There are various types of volunteer organizations in the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social capital of volunteer organizations affects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how each element of social capital, network, reciprocity and credibility,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of volunteer organiz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how reg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regional control variable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we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focused on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and the results of volunteer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social capital and volunteering. Second, we surveyed the perception of the volunteer activities of Sangnok Volunteer Club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organization as volunteer organizations in Korea. Third, we analyzed how social capital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and how regional influence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s moderating variables. Finally, policy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were deriv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members of Sangnok Volunteer Club, which consists of retired civil servants in Korea, and the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The results were supplemented through actual status data and interviews on the performance of volunteer organizations and social capital. In this study, we surveyed 414 of 6,608 members of 282 Sangnok Volunteer Clubs. The social capital status of the volunteer organization was relatively high in the level of network among volunteer groups. The reciprocity is most positive about the democratic nature of decision making within the organization. Overall, the degree of trust was high. Volunteers looked at the project performance relatively positively and highly appreciated the effect and impact of volunteer work. The operating performance was perceived as higher than normal,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organizations requiring volunteer activities was relatively high. Business performance was perceived higher tha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performance, w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ocial capital and the performance of the volunteer organization, the stronges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network and the reciprocity. Operational performance was weakly correlated with social capital factors.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performa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ree independent variables on each dependent variable of business performanc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all the three factors of social capital affect business performance. Regional factors as moderating variables have no moderating effect on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means that efforts to build social capital within the corps themselves are more important than regional factor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angnok Volunteer Club, a volunteer organization with a different personality from the general social groups, donates abundant public experience and professional talent to the society. Social capital of volunteer organization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Pride as an evergreen volunteer group was generally high, but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and practical problems in carrying out volunteer activiti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ervice governance system,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of volunteer organizations, the resolution of the bias and aging of volunteer workers, and the activation of volunteer organizations. 196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기술의 발달과 경제 발달에 따라 우리나라에도 자원봉사조직의 역할과 기능이 증가하고 다양해지면서 봉사조직의 성과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자원봉사활동 참여와 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게 한 계기는 ‘07 태안 원유 유출 사건,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게임, 그리고 최근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등의 활동 과정에서 증폭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1995년부터 자원봉사활동의 본격적인 활성화와 체계적 관리를 위해 학생(청소년)봉사활동과 대학 사회봉사활동, 여성 자원봉사활동, 기업 자원봉사활동, 종교 자원봉사활동 등의 활동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는 인성교육 계발과 공동체의식 함양, 인적자원 활용, 긍정적 자아형성으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부심과 사회복지에 공헌, 지역사회에 제공 공헌 등 지역민과의 유대 및 신뢰감 형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2018평창동계올림픽’ 행사에서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은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사회 환원의 일환으로 나라사랑, 이웃사랑을 몸으로 실천하려는 협동정신 함양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민·관뿐만 아니라 다양한 계층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원봉사조직이 활동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원봉사조직의 사회자본이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사회자본의 각각의 요소인 네트워크, 호혜성, 신뢰성이 자원봉사조직의 성과로서 사업성과, 운영성과 각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아울러 지역을 조절변수로 지역적 특성이 사회자본과 조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사회자본과 자원봉사의 개념과 관계에 관한 이론적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와 자원봉사의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둘째는 실증분석과정으로 우리나라 자원봉사조직으로서 상록봉사단의 봉사활동과 조직의 현황에 관한 실증데이터와 설문을 통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셋째는 사회자본이 사업성과와 운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지역을 조절변수로 하여 지역이 어떤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한 정책적 함의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과 자료수집방법은 우리나라 전국 퇴직공무원들로 구성된 상록자원봉사단 단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역사회 자원봉사조직의 사회자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고, 실제 현황자료와 인터뷰를 통해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대상으로 자원봉사조직의 분석은 상록자원봉사단 282개에 속한 상록자원봉사단원 6,608명중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봉사조직의 사회자본 현황은 자원봉사단 구성원간 네트워크 정도를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호혜성은 조직 내 의사결정의 민주성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신뢰정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자원봉사단 사업성과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봉사활동의 효과 및 영향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운영성과에 대해서는 보통이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자원봉사활동 수요기관 수 증가는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운영성과 보다는 사업성과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자본과 성과간의 관계분석을 위하여 우리는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원봉사조직의 사회자본과 성과간의 상관분석에서 네트워크와 호혜성간 가장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성과는 신뢰성과 네트워크와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운영성과는 사회자본 요인과 약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사회자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위해 네트워크, 호혜성, 신뢰성 3개의 독립변수가 사업성과와 운영성과라는 각각의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사회자본 3가지 요인이 모두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로서 지역적인 요소는 사회자본과 조직의 성과에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인 요소보다는 봉사단 자체내 사회자본 구축 노력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는 일반사회단체와 성격이 다른 자원봉사조직인 상록자원봉사단원들은 풍부한 공직경험과 전문적인 재능을 사회에 기부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자원봉사조직의 사회자본이 조직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록자원봉사단원으로서의 자부심은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나 봉사활동을 전개하는데 있어서는 많은 어려움과 현실적인 문제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정책적 시사점은 사회봉사조직 거버넌스 체계구축, 자원봉사조직의 사회자본 육성, 자원봉사조직 인력의 편중과 고령화문제해결, 그리고 자원봉사조직의 활성화 방안 등 이다.

      • 공공행정정보 전달을 위한 SNS(Social Network Service) 활용방안 : 강원도 트위터계정의 네트워크 지표를 중심으로

        김용희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사용자 증가는 주로 민간부분에서 고객과 소통의 도구로 사용해 왔으나 최근 공공부분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가지고 있는 공공행정정보 전달의 수단으로 SNS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 또한 증가 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 증가하고 있는 SNS 사용에 대하여 지방자치단체가 활용할 수 있는 범위인 공공행정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SNS를 도구의 수단으로 수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와 공공행정정보를 전달하는데 적합한지에 대한 문제, SNS의 활용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공공행정정보에 대한 영향력이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에서 탈피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강원도의 트위터 계정을 중심으로 소셜네트워크의 구조적 분석의 관점에서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은 연결망의 활동 형태인 관계망, 언급망, 답글망 이라는 트위터 활동에 대한 표본을 통해 네트워크 분석 지표를 활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트위터 활용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트위터 활용이 활발한 지자체 10곳의 표본도 함께 수집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지표는 거시 네트워크 지표와 미시 네트워크 지표를 적용하여 각 표본들의 전체 네트워크 활동과 개별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도구적 수용성과 적합성 그리고 영향력 등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트위터가 공공행정정보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강원도의 도구적 수단이 될 수 있는 구조와 규모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그룹 간 연결 선규모와 지점간 연결선 규모가 공공행정정보제공에 적합한 정보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조적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홍보와 커뮤니케이션 방식에서 탈피해서 독점적인 정보제공으로 인한 강원도의 트위터 영향력이 개선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원도 트위터의 정보공유에 대한 지표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강원도의 트위터 활용은 SNS의 활동 형태인 언급망을 활용하여 행정 및 정책정보에 대한 논의하고 동의하는 구조화 규모를 늘려 연결 관계를 활성화 시키는 전략과 함께 현실적으로 모든 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없는 한계를 답글망의 활동 형태를 통해 정책 아이디어와 민원 등과 같은 개별 의견 수렴의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이 같은 SNS 활동 형태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공공행정정보를 통해 주민들의 의견수렴이 빠르고 유연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하며, 지방자치단체 입장에서 정보공개가 부담스러울 수 있어 투명성 확보가 무엇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통합조직의 경쟁력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오창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and Influence Factors of Integrated Organization Oh Chang-S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competition among organizations is also accelerating. The public sector has already merged government ministries and public agencies to provide high-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s by advocating competition principles and customerism and applying competition for services and customer choice to the fullest extent possible. The private sector is also working on various achievements such as strengthening its market dominance for corporate growth, finding new growth engines and reorganizing its business portfolio through mergers and acquisitions. However, the main reason for consolidation of organizations, regardless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Efforts for survival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economic environment have continued constantly, with the public sector's lax management and inefficient administrative demands reduced, and private companies addressing their business and overlapping func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vision, personnel, leadership, culture, communic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competitiveness), and control variables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gencies, private companies)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to evaluate their impact on the coordination effects and competitiveness, thus to improve the synergy of the organization's growing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both ground and mobile survey methods for government ministries with experience in integration (7), public agencies (8), and private companies (8). The survey distributed a total of 450 copies, 150 copies each for each type of organization, and mobile surveys were conducted in places limited by geographical conditions and small organizations. ’ 397 (88%) were retrieved from 18 days from 1.14 to 1.31 in 1919, but all 375 (83.3%)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excluding 22 insincere or erroneous samples.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utilized the Social Survey Statistics Package (SPSS24.00) program and performed the one-way ANOVA and the post-test of the Scheffe for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tegrator. To verify the study theor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three-step adjustment effectiveness verification procedure proposed by Baron &Kenny (1986). For detailed analysis, the research was reinforced by interviews with experts engaged in integrated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gencies and private businesse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found in this study, first,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lues of the variables of the integrated organization showed that the values of leadership, vision, culture, communication, and competitive variables, excluding personnel, differ in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integrated organization. Personne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hree organizational types. This measured promotion, remuneration, employment, personnel change, welfare, and fairness, which are close to personal status, and it is judged that any organization is in a different position due to sensitive issues. Second, the multi-reciprocution analysis results for the analysis of the competitive impact of the integrated organization showed that both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gencies and private companies were appropriate for their explanatory power and model. Government ministries and public institutions have shown a significant impact on competitiveness in vision, communication variables, and private companies in leadership, personnel and communication variables. What is unusual is that the communication variables affect all three organizations by type,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today's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ird, it was analyzed that only leadership, personnel, and cultural variables control their influence on competitiveness by type of integrated organization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institutions, private companies) after evaluating the effect of controlling by type of integrated organization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1 The policy implications should be identified and the objectives of the integrated public/private sector should be presented in order to identify and maintai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s significant variables (vision, leadership, personnel, culture,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fact that they are carefully compared and studied under the same conditions, objective indicators, 2 studies of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or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and 3 variables (vision, leadership, culture, and communication) that are still examined through prior research). In making advanc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e size of the relatively small sample may cause statistical error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as the survey in this study had difficulties obtaining samples for organizations with prior experience of integration. Subsequent studies will be able to gather survey data for respondents with more sufficient sample sizes, and to utilize quota sampling of the values of the respondents’ demographic variables will enable them to obtain data that conforms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draw useful conclusions. □ Topic words: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integrated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vision, leadership, personnel, culture, communication 통합조직의 경쟁력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오 창 세 강원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조직 간의 경쟁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 공공부문은 이미 경쟁원리와 고객주의를 주창하며 서비스 경쟁과 고객 선택권을 최대한 적용하여 수준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을 통·폐합하여 왔다. 민간부문에서도 기업 인수·합병(M&A) 방식으로 기업 성장을 위한 시장지배력 강화, 신성장동력 발굴, 사업포트폴리오 재편 등 다양한 성과를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민간부문을 막론하고 조직을 통·폐합 하는 주된 이유는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공공부문의 방만한 경영과 비효율적인 행정소요를 줄이고 유사업무와 중복 기능을 해소하며, 민간 기업들은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생존을 위한 노력들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연구을 통하여 조사된 독립변수(비전, 인사, 리더십, 문화, 소통)와 종속변수(경쟁력), 그리고 조절변수(정부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간의 차이분석과 조절효과 및 경쟁력에 대한 영향여부를 평가하고 통합된 조직들이 경쟁력을 갖춘 조직으로 성과를 내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점차 증가하는 조직통합 기관들의 성과 향상에 기여는 물론, 통합조직의 경쟁력 향상 및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통합 경험이 있는 정부부처(7개), 공공기관(8개), 민간기업(8개)을 대상으로 지면 및 모바일 설문 방식을 병행하였다. 설문은 조직유형별 각각 150부씩, 총 450부를 배포하였으며 지리적인 여건상 제한되는 곳과 소규모 조직에는 모바일 설문을 하였다. 2019년 1.14일부터 1.31일까지 18일간 실시하여 397부(88%)를 회수하였으나, 불성실하거나 오류가 있는 표본 22부를 제외한 375부(83.3%)를 모두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은 사회조사통계 패키지(SPSS24.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통합기관에 따른 차이분석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의 사후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regression analysis)과 통합조직 유형별 조절효과 분석을 위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의 조절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세밀한 분석을 위하여 통합 정부부처와 공공기관, 민간 기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연구 내용을 보강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통합조직 유형별 변인값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사를 제외한 리더십, 비전, 문화, 소통, 경쟁력 변인 값이 통합조직에 따라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사는 3개 조직유형에서 공히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개인의 신상과 밀접한 승진, 보직, 인사이동, 보수, 복지, 상하 공정성을 측정하였으며, 어느 조직이든 민감한 사안으로 각 기관의 처한 상황이 다르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통합조직의 경쟁력 영향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결과에서는 정부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모두 설명력과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이 비전, 소통 변수에서, 민간 기업은 리더십, 인사, 소통 변수에서 경쟁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소통 변수가 3개 조직유형별 기관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오늘날 조직 환경에 있어 소통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있다. 셋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에서 통합조직 유형(정부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별 조절효과를 평가한 결과, 리더십, 인사, 문화변수만이 통합조직의 유형별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책적 시사점은 ① 통합 공공·민간부문에 있어 동일 조건하, 객관적 지표로 비교·연구한 점, ② 조직의 성과 또는 조직의 효율성을 ‘경쟁력’이라는 평가 지표로 연구 한 점, ③ 선행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조직통합에 대한 변수(비전, 리더십, 인사, 문화, 소통)들이 현재까지도 여전히 유의한 변수로써 조직의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 확인, ④ 조직통합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기획 단계부터 통합 전·중·후 구간별로 구분하여 관리해야 될 이슈들을 착안하고 해당조직에 특화된 조직융합관리(PMI)를 해야 된다는 점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향후 연구를 위한 발전적인 제언을 한다면,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기 통합 경험이 있는 조직에 대하여 표본을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표본의 크기는 분석결과의 해석에 통계적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추후 연구는 보다 충분한 표본의 크기를 가지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응답자의 인구 통계학적 변수의 값에 대한 할당샘플링(quota sampling)을 활용하게 되면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데이터 확보와 유익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주제어: 정부부처, 공·사기업, 통합조직, 경쟁력, 비전, 리더십, 인사, 문화, 소통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