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화점 색조화장품 매장에서의 체험마케팅이 소비자와 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상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Experience in a department store that sells cosmetics and emotional commitment on marketing the brand to influence the formation and increase the loyalty factor is. At this point this study, first, whether the consumer experiential marketing department store cosmetics and factor analysis of the properties and, second, whether the consumer department store cosmetics brand in the emotional and immersive experiential marketing types recognize the impact on the third, Experience and purchase the cosmetics department experienced two kinds of emotional commitment and loyalty to reveal the impact on consumers' satisfaction with cosmetics and the re-rod to increase word of mouth marketing plan is intended to provid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to determine the law, collecting data was questionnaire survey last one year Lotte, Shinsegae, Hyundai Department Store in the top six brands (Mac, Benefit, Shu Uemura, Bobbi Brown, Anna Sui, Makeup Forever), the color cosmetics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have purchased the 20, 30 Consumers in 2011 August 1 to August 31 was conducted. Department for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except to call a dual response unfaithful 50 450 negative analysis was used as the final question- naire. Data analysis using the SPSS 15.0 program,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t-test, ANOVA, and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partment of Consumer Experiential Marketing Expe- riential Marketing types are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relationship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ive levels. Second, the department store cosmetics brand consumer emotional experience of the positive emotions appeared to be significant on the type of marketing and brand commitment and an emotional commitment was divided into rational commitment. Cosmetics department of consumer loyalty, word of mouth to help the re-purchase intentions were classified as Third, the cosmetics department of consumer sentiment and brand immersion experience marketing types have seen the impact on the results of the type of brand experience marketing the emotional feelings of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positive emotions and geudaeumeuro behavior, relationships, and the order is appeared in the experiential marketing type of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actions were having the biggest impact on the emotions and relationships in the following order was affecting. The commitment is rational, the next was the biggest influence behavior, and relationships were the order of sensitivity. Brand feelings also affects brand commitment and r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commitment both emotionally impacting positive emotions could see that. This positive emotional lasting relationships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to affect the commitment can be seen. Fourth, brand loyalty, emotion and commitment to the two appeared to influence. Brand from feelings of positive emotions in the mouth and re-appeared to influence purchase intentions and negative emotions have on the oral and does not affect the re-purchase intentions show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commitment and loyalty of mouth from there and re-purchase intentions for emotional commitment had a greater impact.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a department store cosmetics brand marketing activities, the perception of emotion, commitment and loyalty by identifying the impact on the cosmetics department in the store of purchase and repurchase guided by experienced and loyal customers and positive word of mouth can be done to ensure the propagation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will provide useful data. However, consumer sentiment about the behavior, two loyalty, commitment to research focused on the impact of addition, since there may be other factors in future work satisfaction, trust, loyalty, and improve various aspects of research that is required. 백화점에서 판매하는 색조화장품의 체험마케팅이 브랜드에 관한 몰입과 감정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충성도를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첫째, 소비자가 인지하는 백화점 색조화장품 체험마케팅의 속성과 요인을 분석하고, 둘째, 소비자가 인지하는 백화점 색조화장품의 체험마케팅 유형이 브랜드 감정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셋째, 백화점 색조화장품 체험 및 구매 경험자가 가지는 감정과 몰입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색조화장품 소비자의 구매 만족을 통한 구전과 재구 매를 증가시킬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지 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최근 1년 간 롯데, 신세계, 현대 백화점에서 상위 6개 브랜드(맥, 베네피트, 슈에무라, 바비브라운, 안나수이, 메이크업 포에버)의 색조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수도권의 20대, 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1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5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응답이 불성실한 50부를 제외한 45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화점 체험마케팅 소비자의 체험 마케팅 유형은 감성, 인지, 행동, 관계로 5개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백화점 색조화장품 소비자의 브랜드 감정은 긍정적 감정의 체험마케팅 유형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몰입은 감정적 몰입과 이성적 몰입으로 구분되었다. 백화점 색조화장품 소비자의 충성도는 구전의도와 재 구매 의도로 분류 되었다 셋째, 백화점 색조화장품 소비자의 체험마케팅 유형이 감정과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브랜드 감정에는 체험마케팅의 유형 중 감성은 긍정적 감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 행동, 관계, 인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몰입에는 체험마케팅 유형 중 행동이 감정적 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감성과 관계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성적 몰입에는 인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행동, 관계 감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감정이 브랜드 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감정적 몰입 및 이성적 몰입 모두는 긍정적 감정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긍정적 감정이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지속적인 관계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브랜드 감정과 몰입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감정에서 긍정적 감정은 구전의도 및 재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감정은 구전의도 및 재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몰입과 충성도와의 관계에서는 구전의도 및 재 구매 의도에서에 대해서는 감성적 몰입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백화점 색조화장품의 체험마케팅 활동에 대한 지각이 브랜드 감정, 몰입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백화점 색조화장품 매장에서 제품구입 경험자를 충성고객으로 유도하고 재구매 및 긍정적 구전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해 감정, 몰입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위주로 연구하여 이 외에도 다른 요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만족, 신뢰 등 다양한 측면에서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 남성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감성적 소비가치가 패션 잡화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안진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남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독특성 욕구, 감성적 소비가치 및 패션 잡화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남성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 감성적 소비가치 및 패션 잡화 브랜드 충성도의 구성요인을 알아보고, 남성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감성적 소비가치가 패션 잡화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독특성 욕구, 감성적 소비가치 및 패션 잡화 브랜드 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패션 잡화 브랜드 제품의 구매특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1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서울 수도권에 거주하는 20, 30대의 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패션 잡화 브랜드 구매 경험이 있다고 한 35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방법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다중회귀분석, ANOVA, t-test,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가 패션 잡화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비대중적 선택과 유사성 회피를 제외하고 창의적 선택만이 패션 잡화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창의적 선택은 태도적 충성도에 대하여 유의하였고, 구매적 충성도에 대해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 소비자의 감성적 소비가치가 패션 잡화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태도적 충성도에 대해서는 감성적 소비가치의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쾌락적 소비가치, 상징적 소비가치, 심미적 소비가치의 순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구매적 충성도에 대해서는 감성적 소비가치의 요인 중에서 심미적 소비가치를 제외하고 상징적 소비가치, 쾌락적 소비가치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독특성 욕구, 감성적 소비가치 및 패션 잡화 브랜드 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여부, 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패션 잡화 브랜드 제품의 구입횟수는 연령과 결혼여부, 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패션 잡화 브랜드 제품의 1회 평균 구입비용은 학력과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패션 잡화 브랜드 제품의 구매장소는 연령과 결혼여부, 학력 및 월평균 가구소득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남성 소비자의 독특성욕구와 감성적 소비가치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이 결과는 남성 소비자가 타깃인 패션 잡화 브랜드에서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감성적 소비가치를 고려하여 브랜드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제품 개발과 패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need for uniqueness, emotional consumption value and fashion accessories brand loyalty aimed at male consumers. The specific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male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emotional consumption value and the components of fashion accessories brand loyalty and also to analyze the effects of male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emotional consumption value on fashion accessories brand loyalty. In addition to this, it examines the difference of need for uniqueness, emotional consumption value and fashion accessories brand loyal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characteristic of purchase in fashion accessories brand product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men who are domiciled in Seoul and in their 20’s and 30’s from September 20th to October 20th, 2011. Then, 352 questionnaires, from those surveyed said that they have purchased fashion accessories brand’s product, were finally used as the data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t-test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using SPSS 17.0 program were carried out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male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on fashion accessories brand loyalty showed that only creative choice except unpopular choice and avoidance of similarity has an effect on fashion accessories brand loyalty.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ttitudinal loyalty and purchase loyalty are influenced by creative choice. Secondly,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male consumers’ emotional consumption value on fashion accessories brand loyalty indicated that every factor of emotional consumption value exert an influence on attitudinal loyalty and the influence is stronger in the order of hedonic consumption value, symbolic consumption value and aesthetic consumption value. Also, it was shown that purchase loyalty is influenced by symbolic consumption value and hedonic consumption value among the factors of emotional consumption value. Thirdly, the result of analysis of need for uniqueness, emotional consumption value and fashion accessories brand loyal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showed a difference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level of education a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urchase of fashion accessories brand product by age, marital status, level of education a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average cost of one-time purchasing fashion accessories brand product was shown to be varied by level of education a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the place of purchase of fashion accessories brand products by age, marital status, level of education a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was found.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 of male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emotional consumption value on brand loyalt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as useful materials for men’s’ fashion accessories brands to establish a fashion marketing strategy and develop products which help increase brand loyalty, considering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emotional consumption value.

      • 글로벌 SPA 브랜드의 퍼스낼리티가 패션 소비자의 일체감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글로벌 SPA 브랜드 구매 경험이 있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SPA 브랜드의 퍼스낼리티와 패션 소비자의 브랜드 일체감 및 브랜드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글로벌 SPA 브랜드의 퍼스낼리티, 소비자의 일체감 및 브랜드 충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글로벌 SPA 브랜드 소비자의 구매특성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2011년 9월 24일부터 10월 7일까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6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방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ANOVA, t-test,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SPA 브랜드의 퍼스낼리티가 소비자의 일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흥미성, 성실성, 세련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상징적 일체감과 문화적 일체감에는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제외한 흥미성, 성실성, 독특성, 세련성이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고, 실용적 일체감에는 독특성을 제외한 흥미성, 성실성, 세련성,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글로벌 SPA 브랜드 소비자의 일체감과 브랜드 충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소비자 일체감의 모든 요인이 구전의도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글로벌 SPA 브랜드의 퍼스낼리티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구전의도에는 세련성, 성실성,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이, 재구매의도에는 흥미성, 성실성, 독특성, 제품 및 품질경쟁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연령과 결혼여부, 구매 브랜드에 따라 SPA 브랜드 퍼스낼리티, 소비자의 일체감 및 브랜드 충성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20∼30대 의 미혼에 비해 30대 기혼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 브랜드별로는 브랜드 퍼스낼리티의 세련성, 가격 및 품질 경쟁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SPA 브랜드 소비자의 구매특성 차이 분석에서는 연령과 학력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령에 따른 SPA 브랜드 구매 품목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블라우스, 셔츠 등 상의류를 가장 많이 구매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SPA 브랜드의 퍼스낼리티와 패션 소비자의 일체감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국내 소비자의 가치변화에 부응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차별화된 퍼스낼리티의 구축을 통한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with consumers who had purchase experience of global SPA brands and defined its relationship among SPA brand personality, brand identification of fashion consumer and brand loyalty. Furthermore, the differences among these variable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mographics factors, and the differences of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on purchasing global SPA brand were also examined. For empirical study, an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with women in twentieth and thirtieth who resid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september 24th to October 7th of 2011. In the survey, the responses from 368 women were used and analyzed using SPSS 18.0 softwa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PA brand personality on consumer's identification, three dimensions from brand personality had influenced on identification of consumer: excitement, sincerity, sophistication. Specially, Excitement, sincerity, uniqueness, sophistication meaningfully affected on symbolic identification and cultural identification except for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Also excitement, sincerity, sophistication and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influenced on utilitarian identification except for uniqueness. Second, all of the dimensions from consumer's identification affected word of mouth intentions and repurchase inten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fication of SPA brand consumer and brand loyalty. Moreo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brand personality on brand loyalty, ̒sophistication, sincerity and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 affected on word of mouth intentions and ̒excitement, sincerity, uniqueness, sophistication except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 on repurchase intention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PA brand personality, identification of consumer and brand loyalty based on age, marital status, and purchase brand. In general, the identification of consumer and loyalty were found to be higher for married in their 30s than unmarried in their 20s and 30s. Furthermore, there were the difference between sophistication and quality and price competitiveness from brand personality according to purchasing brand. Fourth, In the analysis of the SPA brand consumer's purchasing differences based on demographics, there were some partially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and education status. As a result of the purchasing item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t was found that top wear such as blouse or shirt was purchased most for all age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affirmed that the personality of global SPA brand and the identification of fashion consumer affects on the brand loyalty. The results will help to set up the differentiated personality and to plan the marketing strategy of fashion brand which to meet the value change in consumer needs and to increase brand loyalty.

      •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 특성, 제품 특성 및 패션 소비자 특성이 가격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안보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rice sensitivity of consumers of fashion on Internet shopping mall from the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bsites, the products and the consumers. Specifically, an attempt was made to discover the effects that the attributes of Internet shopping mall websites, products and consumers place on price sensitivity. An attempt was made to discover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hopping mall websites, products and consumers and the differences in price sensitivity based the typ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so, an attempt was made to find out the purchasing traits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based the typ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scertain the goals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0, 2011 to October 20, 2011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ith previous experience of having made a purchase from an Internet shopping mall. A total of 327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effects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hopping mall websites have on the price sensitivities of consumers of fashion, it was found that reliability, reputation, sales promotion and customer servi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ice inquires when excluding reciprocal interaction. Also, mutual interaction and reliability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criticality of prices. Second, a result of studying the effec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of Internet shopping malls have on the price sensitivities of fashion consumers showed that product price and product varie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ice inquiries.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of Internet shopping malls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criticality of prices. Third, based on investigating the effects which the attributes of Internet shopping mall consumers have on the price sensitivities of fashion consumers, only the tendencies to seek diversity from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hopping mall consumers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price inquires.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hopping mall consumers did place any influence on the criticality of prices. Fourth, a result of exploring the differences in the attribut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the products and consumers and the differences in price sensitivity based on the typ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typ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including shopping malls offering a comprehensive line of products, online marketplaces and shopping malls specializing in fashion products. Also,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only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ge and income. Fifth, having looked into the differences in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based on the typ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average time spent, the average purchase amount spent, the products mainly purchased and the styles mainly purchased based on the type of Internet shopping mall.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chase activity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ex, marital status and income.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e influenc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hopping mall websites, products and consumers have on the price sensitivity of fashion products. As a result, the study will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y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price sensitivity of Internet shopping mall fashion consumers.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 소비자의 가격 민감도의 영향요인을 사이트 특성과 제품 특성, 소비자 특성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 특성, 제품 특성 및 소비자 특성이 패션 소비자의 가격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인터넷 쇼핑몰 유형 및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 특성과 제품 특성, 소비자 특성 및 가격민감도의 차이를 알아보며, 인터넷 쇼핑몰 유형 및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패션 소비자의 구매특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1년 10월 1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27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다중회귀분석, ANOVA분석, t-test검증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 특성이 패션 소비자의 가격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가격탐색에 대해서는 상호작용성을 제외한 신뢰성, 명성, 판촉 및 고객서비스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가격중요도에 대해서는 상호작용성과 신뢰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쇼핑몰의 제품 특성이 패션 소비자의 가격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가격탐색에 대해서는 제품 가격과 제품 구색이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낸 반면에 가격중요도에 대해서는 아무런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인터넷 쇼핑몰의 소비자 특성이 패션 소비자의 가격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터넷 쇼핑몰의 소비자 특성 중 다양성 추구성향 만이 가격탐색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낸 반면에 가격중요도에는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쇼핑몰 유형 및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 특성과 제품 특성, 소비자 특성 및 가격민감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종합쇼핑몰, 오픈마켓, 패션전문형 쇼핑몰 등의 인터넷 쇼핑몰 유형에 따라서는 제품특성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과 연령, 소득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인터넷 쇼핑몰 유형 및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패션 소비자의 구매특성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인터넷 쇼핑몰 유형에 따라 평균소요시간, 평균구매금액, 주 구입상품, 주 구매스타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구매특성에 대한 차이는 성별, 결혼여부, 소득에 따라서 구매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의 사이트 특성, 제품 특성 및 소비자 특성이 패션상품의 가격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고, 이 결과는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패션 소비자의 가격 민감도를 고려한 맞춤 판매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3D온라인 게임의 패션아이템 특성이 이용자의 캐릭터 만족도 및 게임 몰입도와 패션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재욱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users’ character satisfaction of fashion item that 3D online game users recognize, concentration on game, effect on fashion item purchase purpose and character satisfaction effect of concentration on game. In detail, first, 3D online game’s fashion item features will be explained. Second, effect of fashion items on users’ satisfaction, concentration and purchase purpose will be explained. Third, effect of users’ character satisfaction and concentration on fashion item purchase intention will be explained. Fourth, users’ character satisfaction effect on concentration will be studied. Fifth, difference according to fashion item purchasing features will be analyzed. Sixth, element different according to demographic features will be analyzed. Seventh, demographic feature difference according to fashion item purchasing features will be studied. Eighth, users for each using hour were grouped and purchasing amount difference for each group was analyzed. To perform this purpose, pre-research examination and online-produced survey were practiced. From 3pm on October 14th, 2011 to 12pm on October, 14th, 2011, on AION of NC SOFT, the survey was conducted only for users who had experiences to purchase fashion item. Total 1285 surveys were used for analyzing and materi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18.0. To abstract element, Varimax Rotation, factorial analysis through main element was conducte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ova,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features of fashion items recognized by 3D online game users were introduced into gaming, availability of using and creating, design, community. Among them, gaming was the highest. Second, fashion item features recognized by 3Donline game users affects meaningfully to users’ character satisfaction, game concentra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Gaming has the largest effect of gaming. The largest effects were in order to usage and creating availability, design, communit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rough fashion item, users feel fun and interesting and when they were compensated by challenge and efforts to have what they want, they feel satisfied in fashion item and their purchasing intention and game concentration become higher. Third, users’ character satisfaction and concentration affected meaningfully to fashion item purchasing intention and character satisfaction was affected and fashion item purchasing intention was affected high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using fashion item, it showed that users purchase more if characters are shown. Fourth, users’ character satisfaction affected to meaningfully gam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is result, it means the higher satisfaction, the more concentration. Fifth, according to result of difference element on fashion item purchasing behavior, each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on average purchasing times for each period, spent cash amount for 1 year, total fashion item amount, cash-paid fashion item amount, game cash-paid fashion item amount, motivation of purchasing fashion item, character and feature satisfaction of fashion item in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game concentration and fashion item purchasing intention. Sixth, according to result of demographic feature difference,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gender, marriage, occupation and total game using hours for each group. Seventh, according to difference analysis on fashion item purchasing behavior on demographic feature, average purchasing times for each period affected to marriage, cash-paid fashion item amount affected to academic ability and income and purchasing motivation and collecting information affected to gender. Eighth, grouping light, normal and hard users with 3D online game using a day and according to performing survey for total fashion item amount, in light user group, pairs of 5,6 and 7 were dominant , in normal user group, pairs of 5,6 and 8 were dominant. In hard user group, pairs of 10, 11 and 13 were dominant. According to result, fashion item features recognized by 3D online game users are related to character satisfaction, game concentration and fashion item purchasing intension. Also, users’ character satisfaction and game concentration affected to fashion item purchasing intention and character satisfaction affected to game concentration meaningfully. Thus, for corporations that provide 3D online games, they are expected to consider that fashion item features recognized by 3D online game users affect to user’s character satisfaction, game concentration, fashion item purchasing intention so that they can develop a variety of fashion items that users can focus on games. 본 연구는 3D온라인 게임 이용자가 지각하는 패션아이템의 특성이 용자의 캐릭터 만족도와 게임 몰입도, 패션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캐릭터 만족도가 게임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3D온라인게임이 패션 아이템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둘째, 패션아이템 특성이 이용자의 캐릭터 만족도와 게임 몰입도 그리고 패션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셋째, 이용자의 캐릭터 만족도와 게임 몰입도가 패션 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넷째, 이용자의 캐릭터 만족도가 게임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섯째, 패션아이템 구매특성에 따른 요인 별 차이 분석과 여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요인 별 차이 분석과, 일곱째, 패션아이템 구매특성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덟째, 하루 게임 이용시간 별로 이용자들을 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 별 패션 아이템 총 누적 구매 수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시행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와 온라인으로제작 된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2011년 10월 14일 오후 3시부터 10월 14일 오후 12시까지 연구의 대상이 되는 NC SOFT의 아이온 게임에서 패션아이템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에게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285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요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Varimax Rotation, 주성분 분석을 통한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신뢰성 분석, 빈도 분석, 교차 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D온라인 게임 이용자가 지각하는 패션아이템의 특성은 게임성, 사용 및 창작용이성, 디자인, 커뮤니티의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요인 중 게임성의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3D온라인 게임 이용자가 지각하는 패션아이템 특성이 이용자의 캐릭터 만족도와 게임몰입도 그리고 패션아이템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게임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사용 및 창작용이성, 디자인, 커뮤니티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면 패션 아이템을 통하여 재미와 즐거움을 느끼고, 원하는 패션아이템을 가지기 위한 도전과 노력에 따른 보상을 받았을 때 이용자들은 패션아이템으로 인한 캐릭터 만족도와 게임 몰입도 그리고 패션 아이템 구매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이용자의 캐릭터 만족도와 게임 몰입도는 패션아이템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캐릭터 만족도가 패션아이템 구매의도에 더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면 패션아이템을 이용하여 자신이 만족하는 캐릭터의 모습이 나타나게 되면 패션아이템 구매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이용자의 캐릭터 만족도가 게임 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면 이용자들의 캐릭터 만족이 높아질수록 게임에 더 몰입하게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섯째, 패션아이템 구매행동에 따른 요인 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간 별 평균 구매 횟수, 1년에 지출한 현금 금액, 총 보유한 패션 아이템 수량, 현금으로 구매한 패션 아이템 수량, 게임화폐로 구매한 패션아이템 수량, 패션아이템 구매 동기, 패션아이템에 대한 정보 습득 방법에서 패션아이템 특성과 캐릭터 만족도, 게임 몰입도 그리고 패션아이템 구매의도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요인 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결혼여부, 직업, 총 게임 이용기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곱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패션아이템 구매 행동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간 별 평균 구매 횟수에서는 결혼여부에서, 현금 구매한 패션아이템 보유 수량에서는 학력과 소득에서, 그리고 구매동기와 정보습득에서는 성별에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여덟째, 하루에 3D온라인 게임을 이용시간 시간 별로 이용자들을 라이트 유저, 노멀 유저, 하드 유저로 구분하여 총 패션아이템 구매수량을 조사한 결과 라이트 유저집단에서는 5벌과 6벌 그리고 7벌이, 노멀 유저집단에서는 5벌과, 6벌 그리고 8벌이, 그리고 하드 유저집단에서는 10벌, 11벌, 그리고 13벌이 각각의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3D온라인 게임 이용자가 지각하는 패션아이템 특성은 이용자의 캐릭터 만족도와 게임 몰입도, 패션아이템 구매의도와 관련이 있다. 또한 이용자의 캐릭터 만족과 게임 몰입은 패션아이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캐릭터 만족은 게임 몰입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 3D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업체에서는 3D온라인 게임 이용자들이 인식하는 패션아이템 특성이 이용자들의 캐릭터 만족과 게임 몰입, 패션 아이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고려하여 이용자들이 게임에 몰입할 수 있는 다양한 패션 아이템을 기획할 수 있도록 패션아이템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 패션모델학과의 교육 서비스 품질이 학생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태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Model. In study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study helps elucidate the perception regarding the educational service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is study examines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Model and its relationship to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loyalty. Furthermore, the differences among service quality in education, satisfaction, and loyalty of the stu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spondent's demographics and work experienc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th to April 20th of 2011. In the survey, responses from 272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Model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at were used in the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Model was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empathy, certainty, physical environment,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The student's satisfac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the satisfaction on the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aspects, the satisfaction on the class and professors, and satisfaction of the school activities and accessibility. Moreover, the loyalty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recommendation intentions and positive behavior intentions. Second, the effects of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Model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was explor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regarding the administrative facility's aspect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the strongest. Certaint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satisfaction of the class and professor, also empathy for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s activities, accessibility. Third, the effects of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Model and the loyalty of the students was examin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all factors of the service quality affected the recommendation's intentions and that the empathy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positive behavior intentions. Fourth, the effects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loyalty was explor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with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loyalty was found to be greater. Fifth, the differences among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loyalty based on the demographics and work experiences were analyz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loyalty based on gender,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experiences as a fashion model.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loyalty were found to be higher for female students than males. Also, the group who made less than 3,000,000 won for their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students with experiences rather than those without experiences were found to be greater. The study has affirme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model is a crucial element which affects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loyalty of the students. As the level of satisfaction is increased, so was the loyalty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lationship amongst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Department of Fashion Model in the University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loyalty was affirmed. The Department of Fashion Model should increase the quality of its educational service which will help result in an increase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loyalty of its students. 본 연구는 패션모델학과의 교육 서비스 품질과 학생 만족도, 충성도에 관해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의 교육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및 충성도를 파악하고, 이들 개념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패션모델학과의 교육 서비스 품질이 학생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패션모델학과의 학생 만족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개인의 특성에 따라 패션모델학과의 교육 서비스 품질과 학생 만족도 및 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1년 3월 20부터 4월 20일까지 대학 패션모델학과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된 282부 중에서 결측값이 없는 272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 ANOVA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모델학과의 교육 서비스 품질은 공감성, 확신성, 물리적 환경, 신뢰성, 반응성의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학생 만족도는 시설 및 행정 만족도, 수업 및 교수 만족도, 학내활동 및 접근성 만족도의 3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충성도에 있어서는 추천의도와 긍정적 행동의도의 2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패션모델학과의 교육 서비스 품질이 학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시설 및 행정 만족도에 대해서는 물리적 환경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고, 수업 및 교수 만족도에 관해서는 확신성이, 학내활동 및 접근성 만족도에 대해서는 공감성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패션모델학과의 교육 서비스 품질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추천의도에 대해서는 서비스 품질의 모든 요인이 영향을 주고 있었고, 긍정적 행동의도에는 공감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패션모델학과의 학생 만족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충성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패션모델학과의 교육 서비스 품질과 학생 만족도 및 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월평균 가계 소득, 패션모델 경력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다. 그 결과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서는 월평균 가계 소득이 300만원 미만인 집단이, 경력이 있는 학생들에 비해 경력이 없는 학생들이 만족도와 충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패션모델학과의 교육 서비스 품질이 학생들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고,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충성도가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패션모델학과의 교육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및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를 입증했으므로 패션모델학과에서는 교육 서비스 품질을 높임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트레킹 워킹 의류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도 및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장은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트레킹 워킹 의류 소비자의 디자인 선호도 및 구매특성을 알아보고, 구매 선택기준과 구매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트레킹 워킹 의류 디자인 선호도 및 구매 행동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트레킹 워킹 의류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2011년 3월 1일부터 15일까지 인터넷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하여 서울과 경기도, 지방대도시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회사원, 전문직, 주부 등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트레킹 워킹 의류의 구매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30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방법은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다중회귀분석,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트레킹 워킹 의류의 디자인 선호도와 구매특성을 살펴본 결과 아우터류(재킷, 조끼)는 후드 탈부착형을, 소매 디자인은 벨크로 조임형을 선호하였고, 티셔츠 칼라에서는 지퍼형태를, 바지 밑단의 경우 일자형을 선호하였다. 구매품목으로는 재킷류가 가장 많았고, 구매 장소로 스포츠, 아웃도어 할인매장을 많이 이용하면서 매장의 디스플레이를 보고 정보를 파악하고 있었으며, 트레킹 워킹 의류의 기능성 중에서는 내구성을 가장 중요시하였다. 둘째, 트레킹 워킹 의류 구매 선택기준이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제품 및 유행 만족도에는 실용적 기준과 유행적 기준 모두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품질 및 서비스 만족도에서는 실용적 기준만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트레킹 워킹 의류 구매 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제품 및 유행 만족도와 품질 및 서비스 만족도 모두 재구매의도의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트레킹 워킹 의류 디자인 선호도 및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에 따라 디자인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레킹 워킹 의류 구매 빈도는 연령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보였으며, 브랜드 선호도에서는 결혼여부와 연령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트레킹 워킹 의류 정보원은 남녀 모두 백화점, 전문점 등의 매장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있었으나, 남성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트레킹 워킹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트레킹 워킹 의류 구매 선택기준과 구매 만족도, 재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 및 구매 행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최근 세분화 되어가는 아웃도어 의류 시장에 기초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를 둘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트레킹 워킹 의류 제품개발 시 기능성뿐 아니라 디자인 요소를 고려한다면 소비자의 니즈를 더욱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ts out to examine the design preferences and purchase behavior of trekking consumers in order to uncover the relationship amongst purchase selection criteria, purchase satisfaction and intent to repurchas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sis for product develop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trekking consumers as indicated by differences in design preferences and purchase behaviors observed through various demographic indicators. For empirical study, an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of office workers, professionals and homemakers over twenty years of age who resided in Seoul, Gyeonggi-do and provincial cities and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between March 1st and March 15th of 2011. The responses of three-hundred subjects who have purchased trekking garments before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7.0 software, employ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multiple regression and crosstab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sign preferences and purchase behaviors with regard to trekking garment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for outer garments (jackets or vests) the consumers preferred a removable hood, velcro fastening for sleeves, zippers on t-shirt collars, and a straight hem for pants. As for the purchase categories, the consumers most frequently purchased jackets and as for the purchase locations, the consumers frequented the sports, outdoor wear outlets, gathering information from displays in the shop. Durability was the most valued quality of trekking garments. Second, the effects of selection criteria on the purchase of trekking garments were explored as they related to purchase satisfaction. The findings showed that for purchase satisfaction, utilitarian concerns and trend-based criteria were both found to be relevant factors; however, only practical concerns had an impact on the satisfaction as related to quality and service.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urchase satisfaction for the trekking garments affected the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 satisfaction & trends, quality and service were all factors which influenced repurchase intention. Third, the difference in the design preferences and the purchase behaviors of trekking garment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sign preferences by gender and age. As for the frequency of purchasing trekking garments, a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groups based on age and their preferences for specific clothing brands. Differences were also found between the groups based on marital status and age. As for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clothing, men and women both found information from store displays; however, men demonstrated a high tendency to collect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proposal of basic strategies for the outdoor garment market which has recently become increasingly specialized. Interest in trekking garments is on the rise so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amongst purchase criteria,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s critical.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hen design factors are considered along with the functionality when developing garments for trekking,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 product.

      • 중국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정보탐색유형과 구매 성향이 재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위수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구는 중국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정보탐색유형과 구매성향, 재구매의도및 구전의도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중국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정보탐색유형과 구매성향 요인을 알아보았다, 둘째, 중국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정보탐색유형이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셋째, 중국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구매성향이 재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넷째, 중국 인터넷 소비자의 재구매의도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2010년 7월 10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중국 북경에 거주하는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 중에서 20~3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90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t-test,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정보탐색유형은 적극성, 경제성, 유희성으로 구분되었고, 구매성향은 합리적 구매성향, 쾌락적 구매성향, 충동적 구매성향, 편의적 구매성향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중국인터넷쇼핑몰 패션소비자의 정보탐색유형은 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구매성향요인 중 쾌락적 구매성향과 편의적 구매성향은 재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쾌락적 구매성향과 충동적 구매성향은 구전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재구매의도는 구전의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정보탐색유형, 구매성향, 재구매의도와 구전의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정보탐색유형은 소비자의 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고, 구매성향은 재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인터넷 쇼핑몰 업체들은 패션소비자의 정보탐색 특성과 구매성향을 활용하여 재구매의도, 구전의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nese internet fashion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and buying tendency on the repurchase and word-of-mouth intention. Frist, information search and buying tendency of Chinese internet consumer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effect of Chinese internet fashion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on buying tendency was analyzed. Third, the effect of Chinese internet fashion consumer's buying tendency on repurchase and word-of-mouth intention was analyzed. Fourth, the effect of Chinese internet fashion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 on word-of-mouth intention was analyzed. For this study, a survey with questionnaires was carried out from July 10th to August 30th , 2010 and the respondents were on their 20's~30's in Beijing, China. 39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e analysis by using SPSS 15.0 progra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OVA test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search of Chinese young internet fashion consumer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Active, Economic, Entertainment. Buying tendency of Chinese young internet fashion consumer were classified into reasonable purchase, pleasure purchase, impulsive purchase and convenience purchase. Second, information search of Chinese young internet fashion consumer affect buying tendency. Third, pleasure purchase and convenience purchase tendencies affect repurchase intention, while Pleasure and impulsive purchase affect word-of-mouth intention. Repurchase intention effect to word-of-mouth intention.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information search, buying tendency, repurchase and word-of-mouth intention by demographic: occupation, sex, martial status, age,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of Chinese young internet fashion consumers. In conclusion, Chinese internet fashion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affect buying tendency. Because purchasing preferences can effect on purchase intentions and repurchase intentions of fashion consumers,internet shopping mall enterprises should analysis the characters of information searching and repurchasing preferences to raise repurchase intentions and word-to-mouth intentions。

      • TV홈쇼핑 화장품 소비자의 관계효익, 몰입 및 성과에 관한 연구

        김채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TV홈쇼핑의 화장품 구매자의 관계효익이 관계몰입과 관계몰입이 관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TV홈쇼핑에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관계효익, 관계몰입, 관계성과에 대해서 알아보며, 둘째, TV홈쇼핑 화장품 구매자의 관계효익이 관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셋째, 관계몰입이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넷째, TV홈쇼핑 화장품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요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구매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검토와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설문지를 통한 실증 연구는 최근 1년 동안 TV홈쇼핑을 통해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300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성, 회귀분석, ANOVA, 교차분석, t-test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효익은 심리적 효익, 사회적 효익, 고객화 효익, 경제적 효익 등의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관계몰입은 정서적 몰입과 경제적 몰입의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TV홈쇼핑 화장품 구매자의 관계효익 요인은 모두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몰입에는 심리적 효익과 사회적 효익, 경제적 효익은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지만 고객화 효익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몰입이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관계몰입이 높을수록 재구매의도와 구전의도도 높아지고 있었다. 넷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요인별 차이분석에서 TV홈쇼핑 화장품 구매자의 연령, 결혼여부, 학력, 소득, 직업에 따라 이들이 인지하는 관계효익과 관계몰입에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분석 결과, 직업과 연령, 학력빈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TV홈쇼핑 화장품 구매자의 관계효익이 관계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관계몰입은 관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무조건 소비자들의 구매유도를 유발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보다는 TV홈쇼핑과 소비자 간의 긍정적인 관계유지를 기반으로 한 세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TV홈쇼핑 화장품 구매자의 개인적 특성과 구매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서비스와 고객 데이터베이스 체계화를 통한 구매유도 전략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된다. This paper is to study relational benefits of cosmetic purchasers in TV home shopping and it's effect on relational commitments and achievements. First, I examined cosmetic purchaser's relational benefits, commitments, and achievements in TV home shopping. Second, I analyzed the effect on TV home shopping cosmetic purchaser's relationship benefits on relationship commitments. Third, I examined the effect of relationship commitments on achievement such as purchase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Fourth, I examined its differences by cosmetic purchaser in TV home shopping. Finally, I examined the differences of purchase features by demographics. To confirm these goals, the study was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mpirical study by questionaries. The existing literatures were administered to from 20s to 40s women who have purchased cosmetics from the TV Home shopping for the last one year. SPSS 17.0 was used to analyze 300 responses in total, using frequency, factor, accountability, regression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4-dimensions of the relational benefits in TV Home shopping were revealed: psychologistic benefits, societary benefits, customized benefits, economical benefits. Relational commitment were classified into emotional commitment and economical commitment. Second, TV Home shopping cosmetic purchaser's components of relational benefits had an effect on emotional commitment. Furthermore, psychologistic benefits, societary benefits, economical benefi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al commitment. However, the customized benefits had no effect on economical commitment. Third, the effect of relational commitment on relational achievement was significant relevance with repurchase and word-of-mouth intention about cosmetic in TV Home shopping.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of TV Home shopping cosmetic purchasers perceived relational benefits, relational commitment and purchase satisfaction by their statistical population classe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e-behavior by job, age and education. In conclusion, the TV Home shopping cosmetic purchasers' relational benefit has relevance with relational commitment and relational commitment is an important driver to affect on relational achievement. This indicates that TV Home shopping companies have to make an effort to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V Home shopping customers and develope a detailed marketing strategy to lead customers to reasonable purchase.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to lead customers to purchase through customized service and systemized customers' database specialized in TV Home shopping cosmetic purchasers' personal features and purchase fe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