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허생전」의 활동중심 교육 방법 고찰: 고등학교의 경우

        육지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요즘 학생들은 고전소설에 대해서 거부감을 갖고 있다. 거부감을 갖는 첫 번째 이유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단어들이 지금은 쓰이지 않는 것들이 많고, 한자어가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고전 소설 속 현실 상황이 현대와 맞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즉, 자신과는 먼 이야기라고 생각하기에 고전소설에 대한 흥미조차 생기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고전소설의 내용은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며 현대까지 교훈을 줄 수 있을 만큼의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그 당시 사회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 작품인 「허생전」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허생전」의 교육적 가치를 구성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에서 알아보고 「허생전」에 반영된 사회배경, 분위기를 살펴본 후 학생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사회적 배경을 분석할 수 있도록 양반, 부녀자, 조정의 관료 등 모둠 별로 하나의 입장을 정하여 그 입장에서 당시 사회적 배경 및 문제를 분석하도록 활동을 구성했다. 활동지는 이미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에서 활용되는 '뉴스만들기'를 참고하여 구성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당시 사회적 문제를 자신의 모둠이 선택한 입장에서 깊이 있게 생각하는 경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고전작품이 현대에도 충분히 가치가 있음을 깨달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토론을 활용한 논술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중학교 2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은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purposes to prepare a method using discussion activities and its concrete strategy for the exten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essay-writing ability and to apply it to actual classes. For this purpose, I have tried to clarify discussion activity being effective for essay-writing education by examining preceding studies, and provide a creative essay guideline, preparing theoretical ground for essay-writing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y. Essay-writing has an educational value in which it helps extend learners' logical thinking power, creative power and rational problem-solving power. However, the guidance for essay-writing in actual school setting, usually is a form in which a teacher brings up a theme and asks students to write immediately, and then he or she corrects and grades their writings. This is a product-centered guidance for writing that omits process, and in this process, students feel difficulty in generating content and further keep away from essay-writing. In addition, current essay-writing education is considered as a guiding area of Korean subject, being stressed on some students in a high rank. Thus, I tried to find out a method for essay-writing education that can be actualiz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Korean curriculum for all learners. As the schemes for that, I did, first, allow students to approach essay-writing more easily by developing and presenting a variety of related reading materials, finding topics in Korean textbook. Second, through discussion activity, I induced students'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improved their thinking power so that they can write a piece of essay. ChapterⅠ, first, explained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and examined precedent studies on the essay-writing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is study. Chapter Ⅱ confirmed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discussion in the pre-stage of essay-writing, investigated various types of discussion and presented a linking model between discussion and essay-writing, by examining recent trend of research on writing and merits of discussion in the aspect of thinking power. Chapter Ⅲ hypothesized that discussion activity influences positively essay-writing ability, and did a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 to inquire reality of current guidance of essay-writing and consequent students' response to essay-writing. Chapter Ⅳ established a guiding plan by extracting topics related to Korean textbook and made a plan for appropriate discussion and teaching-learning connected to essay-writing by selecting types fitting topic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ifferent types of discussions in Chapter Ⅱ, and proceeded teaching-learning, producing a drilling paper. Moreover, it also described the influence discussion activity has on essay-writing ability, focusing on cases through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result. Chapter Ⅴ presented limits of this thesis and mad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from those limits.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developing an essay-writing guidance program using discussion regarding essay-writing education and suggesting concrete data to apply this to actual guidance for essay-writing. I hope this will help methodological improvement of essay-writ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schooling.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논술능력 신장을 위해 토론활동을 활용하는 방법과 구체적인 전략을 구안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토론활동이 논술교육에 효과적임을 밝히고, 토론활동을 통한 논술교육의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여 창의적인 논술 지도 방안을 구안하고자 했다. 논술은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력, 합리적인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논술 지도는 대개 교사가 학생들에게 논제를 제시하고 바로 글을 쓰게 하며, 교사가 학생의 글을 첨삭?평가하는 형태이다. 이는 과정을 생략한 결과 중심의 쓰기 지도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내용 생성의 어려움을 겪고 더욱 논술을 멀리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현재 논술 교육은 국어 교과의 지도 분야로 인식되어 있으며, 일부 상위권 학생들에게 치중되고 있다. 따라서, 모든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어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논술 교육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으로 첫째, 논제를 국어 교과서 내에서 찾아 관련된 다양한 읽기자료를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쉽게 논술에 다가설 수 있도록 하며, 둘째, 토론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사고력을 향상시켜 한 편의 논술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Ⅰ장에서는 우선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을 밝히고 본 연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토론활동을 통한 논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최근 쓰기 연구의 동향과 토론 활동의 장점을 사고력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논술문 쓰기 전(前)단계에 토론 도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토론의 다양한 유형을 조사하였으며, 토론과 논술의 연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토론 활동이 논술 쓰기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우고, 현 논술 지도의 실태와 이에 따른 학생들의 논술 쓰기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해 실태 조사를 하였다. 실제로 연구자는 2007년 3월부터 7월까지 전주시 O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어교과서에서 논제를 추출하고 관련 자료를 배부한 뒤 강의식 설명을 한 후, 바로 논술을 쓰도록 하거나 과제로 부여한 후 첨삭지도를 하여 평가하는 식으로 논술 지도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이 논술 쓰기를 어려워하고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등 문제점이 발견되어,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수업자 반성의 일환으로 설문을 통해 학생들의 논술 수업에 대한 반응을 묻게 되었으며 그 해결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조헌(2006)은, ‘영화매체를 활용한 논술교육 방법론’(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37-p.38)에서 공교육 현장에서의 토론수업의 한계로, 학급 인원의 과다로 전체 학생에 대한 참여유도가 곤란하기 때문에 효율성을 고려하여 특정 학생 몇 명을 대표로 선발하여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그 대책으로 ①특정 학생 위주로 수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매 수업시 이전 수업에서 참여하지 못한 학생들의 발언 유도에 관심을 갖는다. ②수업시간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토론식 수업의 쟁점을 글로 정리하는 과제를 주고 이를 피드백 한다를 들었다. 이는 다음 장의 토론 수업의 실제에서 소집단 토론의 도입과 토론 논제로부터 쟁점 정하기 활동을 도입하는데 참고가 되었다. Ⅳ장에서는 국어 교과서와 관련된 논제를 추출하여 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Ⅱ장의 다양한 토론 유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논제와 어울리는 토론 유형을 선별하여 적합한 토론과 논술 연계 교수-학습 계획을 세우고 학습지를 제작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하였다. 본고에서는 중학국어 2학년 2학기 2단원 이야기의 구조 중 보충?심화에 수록된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데기야’를 통해, 신화에 등장하는 원초적인 여성영웅 형상에 주목하였으며, 토론 주제로 ‘바리공주는 과연 영웅인가?’를 설정하였다. 이 주제에 적합한 토론 방법으로 ‘반대심문식 토론’을 도입하였다. 반대심문식 토론은 토론 주제가 가치 논제라는 점과, 토론 팀원 간의 활발한 상호 작용을 통해 입론, 교차 조사, 반박 전략 등을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토론자가 논증 방법을 통해 의견을 제시하고 개진함으로써 자기와 다른 의견까지도 인정할 수 있는 태도를 갖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본고에서는 토론 준비 활동-토론 중 활동-토론 후 활동으로 교수-학습 과정을 제시하였다. 토론 준비 활동으로 토론팀 구성, 참가자 역할 부여, 교과서를 중심으로 시의성을 고려한 교사 제시 자료, 쟁점 설정, 근거 자료 수집, 토론 계획표 작성을 예로 제시하였다. 토론 중 활동에서는 토론 흐름표, 토론 평가표를 통한 활동의 예를 제시하였다. 토론 후 활동으로는 입장을 정리하는 활동의 예를 제시하였다. 토론 주제 ‘바리공주는 과연 영웅인가?’를 바로 논술의 주제로 활용하여도 무관할 것이다. 그러나 토론한 내용을 종합 정리하는 수준에 그칠 수 있기에 논술의 주제를 달리할 필요를 느꼈다. 앞서 행한 토론을 바탕으로 근거 제시가 가능한 논제를 정하고 교사 제시 자료도 소개하였다. 본 수업의 목적은 토론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라기 보다, 토론을 통한 논술 쓰기 능력 향상이므로 토론 활동을 통해 활성화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논술을 써 보고 토론 평가표를 통해 상호평가 하도록 했다.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한계점과 그로부터 차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밝혔다. 본 연구는 논술 교육과 관련하여 토론을 활용한 논술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논술 지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일선 교육 현장에서 논술 교육의 방법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교육연극을 통한 공감적 문학수용 연구 : 오영수의 <고무신>을 중심으로

        엄정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ing-learning plan of the sympathetic literature education using educational drama. In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literature education in middle school is aimed at encouraging learners to have interest and fun in literature, to feel the beauty of literary work, and to internalize the emotions inherent in the work. In reality, literature education focuses on coercive knowledge delivery and national examination so that literary work is used as the means to memorize theories related to texts. To solve the problem, this researcher studied sympathetic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educational drama. If learners accept literary work through educational drama, they are able to deeply understand the characters, events, backgrounds, and other factors of literary work, and to deeply sympathize the emotions and situations of characters in literary work. To achieve the purpose, the definition, types, and methods of education drama were discussed in the chapter 2 of this thesis. And then, the concept of sympathy and the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sympathetic acceptance were analyzed. The sympathy difference between a novel and its educational drama was examined. Based o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o which has been applied to middle school since 2018,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drama to ‘Korean Language 1-1’ and ‘National Language 1-2’ middle school textbooks and suggested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2015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were reviewed in terms of the literature achievement criteria, teaching-learning method, assessment method, and attentions. In the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athetic literature education and educational drama was analyzed, and the validity of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drama to literature education was verified. In addition, this study established the educational drama method for effectively performing sympathetic literature education and briefly discussed it. In chapter 3, the story of <Rubber Shoes> by Oh Yeong-soo, which was selected for designing the teaching-learning plan for the sympathetic literature education using educational drama, was summarized, and the ‘rubber shoes’, the main subject of the novel, was reviewed. The novel <Rubber Shoes> was adapted as the script for educational drama so as to look into the sympathy which learners can obtain. For the dramatization of the novel <Rubber Shoes>, the literary factors of <Rubber Shoes> were divided into intrinsic factors (which are commonly found in the novel and the adapted script) and extrinsic factors (necessary for educational drama). The factors were analyzed in order for learners’ easy understanding. In chapter 4, the plan for sympathetic literature education of <Rubber Shoes> with the use of educational drama was suggested. The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method of <Rubber Shoes> based on educational drama was designed with three-class group activity. In the first class, learners have enough time to understand the novel <Rubber Shoes>. In this case, the main subject ‘rubber shoes’ is used to trigger learners’ interest, and the whole story of <Rubber Shoes> is analyzed in order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 literary work clearly. For leaners to take active participation, study materials are provided in class. In the second class, based on what is learned in the 1st class, <Rubber Shoes> is adapted and recreated as the script for play. In group activity, learners select very impressive scenes in communication, and newly reproduce them, and thereby write an educational drama script for 10 minutes. In the last third class, learners actually perform their play with the written educational drama script and complete learners-oriented class. In this way, this study also looked into the expectancy effect of the sympathetic literature education using educational drama. In conclusion, this study is educationally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allowed learners to accept the sympathetic literary work using educational drama, to deeply understand such factors of literary work as characters, events, and backgrounds, and thereby to deeply sympathize the emotions found in literary work. 본 연구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공감적인 문학교육의 교수ㆍ학습 방안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15 교육과정 중등 문학교육의 목적은 학습자들이 문학을 접하는 데 있어 흥미와 재미를 느끼게 하고, 문학작품이 지닌 아름다움을 깨닫고 그 안에 내재된 정서를 내면화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데 있다. 그러나 현재 문학 교육의 현실은 강제적인 지식 전달 및 입시중시 교육 아래 문학작품을 텍스트와 연관된 이론의 암기수단으로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연극을 통한 공감적인 문학교육을 연구하였다. 학습자들이 교육연극을 통해 문학작품을 수용한다면, 문학작품의 인물, 사건, 배경과 같은 요소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가능해지고, 문학작품에서 등장인물의 감정과 상황에 대한 공감의 심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2장에서는 교육연극의 정의와 유형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후 공감의 개념, 공감적 수용을 통한 문학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소설과 교육연극에서 보이는 공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후 2018년도부터 중등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진 2015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2015 교육과정의 문학 성취 기준과 교수ㆍ학습 방법, 평가 방법, 유의사항 등의 내용을 토대로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1-1’, ‘국어1-2’의 교과서에 교육연극이 반영, 적용된 학습활동 제시 양상을 통하여 공감적 문학교육과 교육연극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연극의 방법을 문학교육에 적용하는 것의 정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공감적 문학교육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교육연극 방법을 설정하고 간략하게 고찰해보았다. 3장에서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공감적 문학교육의 교수ㆍ학습방안의 설계를 위해 선정한 오영수의 <고무신>의 줄거리를 요약하여 제시하고, 중심소재인 ‘고무신’의 의미에 대해 살펴봤다. 이후 소설 <고무신>을 교육 연극적 활용을 위한 대본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얻을 수 있는 공감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소설 <고무신>을 대본으로 재구성하기 위하여 <고무신>이 지니고 있는 문학적 요소를 내재적 요소(소설과 재구성된 대본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요소)와 외재적 요소(교육연극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 나누어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교육연극을 활용하여 <고무신>의 공감적 문학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연극을 활용한 <고무신>의 교수ㆍ학습 지도방안을 그룹 활동을 통한 3차시로 구성하여, 1차시에는 학습자들이 소설 <고무신>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할 것이다. 이때 중심소재인 ‘고무신’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고무신>의 전문을 살펴보며 작품을 분석하여 문학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확실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학습지를 준비하여 수업을 진행할 것이다. 이후 2차시에서는 1차시 때 학습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고무신>을 실제 연극이 가능한 대본으로 각색하여 재창작해보고자 한다. 그룹 활동을 전제로 학습자들 간의 대화를 통해 인상 깊은 장면을 선택하게 하고, 새롭게 재생산해보는 방법으로 10분 정도의 교육연극 대본을 작문하도록 할 것이다. 마지막 3차시에서는 학습자들이 직접 쓴 대본을 교육연극을 통해 실제로 연기해보는 시간을 갖게 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완성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교육연극을 활용한 공감적 문학교육의 기대효과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교육연극을 활용하여 공감적인 문학작품을 수용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문학작품의 인물, 사건, 배경과 같은 요소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문학작품에서 드러나는 감정에 대한 공감의 심화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문학 교육 방안의 실제 적용 : 2015 개정 국어 교과서를 활용하여

        한보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문학 교육 방안 네 가지를 추출하여 실제 중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2015 개정 국어 교과서를 교재를 삼은 수업 방안을 구성하였다. 실제 적용하기로 한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문학 교육 방안은 네 가지로, 이는 동화를 활용한 수업 방안, 놀이를 활용한 수업 방안, 교육 연극을 활용한 수업 방안, 스마트폰을 활용한 수업 방안이다. 앞의 세 가지는 내용에 관한 접근이라면 마지막 방안인 스마트폰 활용 방안은 매체에 관한 접근이다. 상세하게 범주를 구분하자면 나머지 것들과 상이한 면이 있으나 스마트폰 활용 방안 역시 현대 사회에서 문학을 접근하는 좋은 방안이며, 특히 다문화가정의 다양성을 반영하는 수업 표현에 탁월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여 포함하였다. 방안의 실제 적용은 먼저 전체 단원의 학습 계획안을 간략하게 제시하였고, 그 다음으로 위에 언급된 방안들을 표현하기 가장 적합한 내용의 1차시 수업을 세부 지도안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수많은 다문화가정 자녀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정규 수업을 받을 것을 고려하여 2018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습자들에게 반영되는 2015 개정 국어 교과서를 교재로 삼아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평가를 하자면 1차시에 따른 수업이 전체적인 수업 진행의 흐름을 표현하는데 너무 짧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실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지도안만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실효성이 입증되지 않은 것도 아쉬움이 든다. 그러나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였을 때,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문학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실제적인 방법을 고민하고 현장에 적용해봤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국어교육의 다양한 방법들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이들을 대상으로 한 문학 교육 연구가 활발하게 논의되기를 기대해 본다.

      • 현대소설 ?코끼리?에 나타난 청소년 정체성 해체와 교수·학습 활동 고찰

        김양수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김재영의 「코끼리」는 한국 사회 안에서 다문화 사회의 비극적인 모습을 매우 사실적으로 드러내는 소설이다. 아카스를 둘러싸고 있는 인물은 대부분 외국인 노동자들이다. 아카스는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이주노동자와 ‘한국어’로 소통할 뿐이다. 한국인은 외국인 인식 틀을 두 가지 가지고 있어서 머리가 노랗고 하얀 백인에게는 비굴할 정도로 친절하지만, 한국에 일하러 들어온 이주노동자에게는 거부감을 갖는다. 온갖 한국 기업들의 차별과 멸시를 받는 이주노동자들의 삶은 고단하고 팍팍하기만 하다. 막다른 길로 몰린 이주노동자들의 일부는 살기 위해 몸부림친다. 몸부림치는 과정에서 그들은 범죄에 손을 대기도 하는데, 그 대상은 한국인이 아닌 다른 이주노동자들을 향해있다. 서로를 향하는 범죄의 러시안룰렛에서 그들은 모두 소용돌이 ‘외’에 빠질 수밖에 없다. 아카스는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한국인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아카스는 스스로는 한국인이 되고 싶지만 그렇지 못하고 결국에는 자신을 보호해 줄 보호색을 찾는 아이이다. 삶에 가치관을 형성해줄 토양조차 없는 그는 한국 다문화 사회의 가장 비극적인 존재일 수도 있다. 부정적인 공간 속에서 아카스의 주변 인물들은 모두 자신의 정체성을 추억으로 간직한 채 정체성과 동떨어진 삶을 살고 있다. 그러한 공간은 아카스를 병들게 하고 아카스의 정체성을 점점 훼손시킨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아카스의 삶을 바라보면서 본인의 정체성에 대해 성찰해볼 수 있다. 본인의 정체성에 대해서 탐구하고 더 나아가 청소년 시기의 정체성 훼손의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소설 속 타인의 훼손된 정체성은 본인의 정체성을 반추하게 만들고 자기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 로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준다.

      • 「덴동어미화전가」에 나타난 여성놀이문화의 성격과 교육적 함의

        신정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aims to closely examine aspects of Hwajeon Nori revealed in 「Dendongeomi Hwajeonga」, resolution of the conflict between people and the World through recreation culture, and the cultivation of solidarity in women’s community. In addition, this paper finds the educational meaning by grasp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education of 「Dendongeomi Hwajeonga」 and suggests educational measures that will lead to the success of literary achievement. Furthermore, it reveals the educational value that 「Dendongeomi Hwajeonga」 possesses as the education for empathy education, women’s play culture education, and the cultivation of community spirit. For wom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Hwajeon Nori was an opportunity to escape from mundane life and a cultural system to recover their exhausted body and soul. By creating and enjoying Hwajeonga, which holds the experience of Hwajeon Nori, women could foster their literary attainments and promote solidarity within their community. Therefore, inspecting the characteristic of Hwajeon Nori reflected on Hwajeonga is essential in understanding the women’s consciousness of that time. 「Dendongeomi Hwajeonga」 takes the aspect of a Hwajeonga and is a work that shows how Hwajeon Nori is affecting the 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s and their relationship. The “Young widow” who could not enjoy Hwajeon Nori and lived in tears found a new path in life by taking advice from ‘Dendongeomi.’ Not only that but there was a noticeable change in her attitude as she started to wipe away tears and enjoy Hwajeon Nori. The effect of the affectionate advice of ‘Dendongeomi’ for ‘Young widow’ could be further amplified by the sense of the presence of Hwajeon Nori, furthermore forming solidarity among women. Next, the educational value was revealed through the present conditions of 「Dendongeomi Hwajeonga」. This paper intended to discover educational meaning by analyzing the aspects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s of the 2009 curriculum since 「Dendongeomi Hwajeonga」 was not recorded as literary material in the literature textbooks of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Furthermore, it analyzes the literary material aspects of the mock test and suggests educational measures for deriving educational meaning and scholarly achievement. Lastly, this paper suggests the value of 「Dendongeomi Hwajeonga」 for empathy education, women’s recreation culture education, and the cultivation of community spirit. In modern society, where the need for empathy and community spirit is soaring, 「Dendongeomi Hwajeonga」 possesses a moral lesson that allows the learners to reflect on their lives and go on the right path in life. In addition, 「Dendongeomi Hwajeonga」, as a literary material for the education of women’s recreation culture, has an educational value that allows us to learn about the tradition of literature by studying classical recreation culture while enlightening us that literature and life are not separated. 본고는 「덴동어미화전가」에서 드러나는 화전놀이 양상과 놀이문화를 통한 인물과 세계의 갈등 해소 및 여성 공동체의 연대의식 함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덴동어미화전가」의 교육적 실태를 파악하여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 문학적 성취를 이룰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감 교육, 여성놀이문화 교육,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으로서 「덴동어미화전가」가 지니는 교육적 가치를 밝혔다. 조선 후기 여성들에게 화전놀이란 반복되는 일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이자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할 수 있는 문화적 제도였다. 그리고 화전놀이의 경험을 담은 화전가를 창작·향유하며 여성들의 문학적 소양이 높아지고, 서로를 향한 연대의식이 고취되었다. 그렇기에 화전가에 반영된 화전놀이의 성격을 살펴보는 것은 당대 여성들의 의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 된다.「덴동어미화전가」는 화전가의 양상을 띠고 있으며, 화전놀이가 인물의 의식과 그들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상부의 고통으로 눈물을 흘리며 화전놀이를 즐기지 못하던 ‘청춘과부’는 ‘덴동어미’의 조언을 듣고 새로운 삶의 방향을 찾게 되었다. 그 뿐 아니라 눈물을 닦고 화전놀이를 즐기는 태도의 변화도 함께 보인다. ‘청춘과부’를 향한 ‘덴동어미’의 애정 어린 조언은 화전놀이의 현장성으로 인해 그 효과가 더욱 증폭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여성들의 연대의식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덴동어미화전가」의 교육적 실태를 통해 교육적 가치를 밝히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덴동어미화전가」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에 제재로 수록되어 있지 않기에 2009 교육과정의 문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또한 모의고사에 평가 제재로 수록되어 있는 양상도 함께 분석하여 교육적 의미 도출과 문학적 성취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감 교육, 여성놀이문화 교육,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덴동어미화전가」의 가치를 제시하였다. 공감과 공동체 의식의 필요가 급증하는 현대 사회에서 「덴동어미화전가」는 학습자가 자신의 삶을 성찰하게끔 하고, 올바른 삶의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교훈적 의미를 지닌다. 여성놀이문화 교육 제재로서도 고전 놀이문화를 학습하여 문학의 전통을 알게 하고, 나아가 문학과 삶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님을 알게 하는 교육적 가치가 있다.

      •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효과적인 서사 경험 이해 교육방안 고찰

        서월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독자 반응 비평은 서사 경험에서 독자의 역할에 대한 지평을 넓히는데 많은 의견을 제시하면서 이와 더불어 텍스트 자체의 의미와 해석 또한 집중하며 중요성의 강조한다. 독자 비평과 관련된 연구물을 살펴보고 관련 이론을 정리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기 위해독자 중심 비평의 의의를 찾아 정리하고 텍스트'장마'를 적용하여 사회 문화적, 작가 중심적, 독자 중심으로 접근하여 단일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독자 중심의 다양한 해석 방향을 고찰해본다.

      • 대화주의적 관점의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이주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asures of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in the dialogic perspective. It starts from a discussion that the culture area should be the goal of education, instead of a tool for the increase of language ability,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culture education through language. Especially, under the premise that culture education should aim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this study was originated from a critical mi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target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dialogue. The interactive process with target culture in the dialogic perspective on dialogic relationship is to practic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u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the dialogic relationship between target culture and learners through language, dialogic perspective used in this dialogic relationship, and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racticed through the dialogic perspective. Referring to discussion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background and objective of this study,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ad principles of cognition to understand target culture, acceptance to acknowledge differences between native culture and target culture, and practice to find the direction point for common development. In order to smoothly practice thi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t is required to have dialogic relationship to exchange bidirectional messages. When two people in different cultural areas have smooth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each other's speech and dynamically responding, it means that they have active communication bidirectionally by forming a mutual dialogic relationship. The discourses of dialogic relationship focusing on Bakhtin's dialogism, Levinas' philosophy of the other, Buber's philosophy of dialogue were about agoni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under the condition when individuals' identity was not respected. These discourses are talking about how to establish a gap with others, which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and how to activate the dialogic relationship. Drawing the dialogic perspective on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from these discourses, the 'principle of interpretation in the extrinsic position', 'principle of dialogue with sociocultural context', and 'principle of independent response' could be selected. Based on this dialogic perspective, story materials were used as linguistic data for suggesting measures of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because explanatory notes were mainly used for texts connected to culture educati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and the use of story materials was significant as a complementary alternative. The educational value of story materials is that many educational contents that could be exchanged through dialogic relationship with others were cognized, and myself and others could dynamically conduct activities of response and negotiation with the use of story development process. The story materials used by this paper include TV drama <Reply 1994>, TV advertisement <Filial Daughter Simcheong of Cheongwon Organic Life>·<Filial Daughter Simcheong of McDonald's>·<Simcheong of KEBI Mail>, and novel 󰡔The People of Wonmidong󰡕. After examining the contents that could be used for culture education in the dialogic perspective in each story material, the teaching/learning procedure in accordance with the appreciation order of story materials was designed first. And then, based on this teaching/learning procedu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each culture category were designed. The culture category was set up as behavior culture, accomplishment culture, and information culture in the synchronic/diachronic/complex aspect. For the behavior culture education in the synchronic aspect, the complementary methods to relieve differences were suggested. For the accomplishment culture education in the diachronic aspect, the methods to induce learners' critical interpretation were suggested. For the information culture education in the complex aspect, the methods to use the clue pointing out the interactive point between synchronic culture and diachronic culture were suggested. These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all based on the dialogic perspective as principles of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which is eventually a method to practic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in the dialogic perspective discussed by this study aims to practic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the dialogic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others. The reason why the purpose of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has been set up like this is that the unidirectional education could create errors and mis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face-to-face educatio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ould be activated, which is led to the mutual development.

      • 시조에 나타난 까마귀의 表象과 문화 교육적 의미

        한혜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enre of the Chosun period, Shijo is one of the great expressive methods to reflect the Korean people's emotions. Many authors from the diverse classes created many works of Shijo,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deny that there are the unique ideas or traditions of the Korean people reflected in Shijo. Although there are occasions the traditions are revealed on the surface via many materials in the literary works, it's most of the cases that they project the images in the author's mind just like most modern literary works. When an object is depicted based on the image in one's mind, it's called a representation.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traditional emotions of the Korean people with Shijo,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enre in Chosun Dynasty. The focus was placed on the Shijo that had the crows, which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each period and presented opposite images in the same work. Chapter 1 reviewed the traditional images of the crows reflected in tales, folklore, legends, and folk tale. In the Orient, the crows were regarded as positive birds signaling a new beginning and predicting the future and as ominous birds attracting death at the same time. In the West, there are many images of the crows in the Bible. Chapter 2 examined the Shijo with the crows in it and inferred their symbolic images in Shijo. The crows were examined specifically in addition to the simple positive and negative implications. For the positive implications, they represented filial piety and were used to argue that black should be accepted as part of the human nature. And for the negative implications, they were used to tell the theme by contrasting black and white and represented the weak and shabby appearance compared to the phoenix. Chapter 3 put the symbolic images of the crows in Shijo in a large category. The major meanings accepted by the consciousness of people include the color black, which represented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rows, and the image of filial piety, which was accumulated in the culture. The images of the crows were used to represent black and filial piety. Chapter 4 reviewed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ose representations of the crows. The black meaning of the crows was much affected by the five different colors from the Yin and Yen and Five Elements ideas. There were a negative image of the color black and a positive image that one could have a new start since there existed nothing in the dark. Secondly, Confucianism that dominated the Chosun Dynasty helped form a community and emphasize filial piety in the agricultural society along with patriarchy. Thus there were many literary works created talking about filial piety, which was inferred from the habits of the crows. Chapter 5 searched for the culture educational meanings, which were the ultimate goal of analyzing the Shijo with the crows as the materials by examining many Shijo works. First, the students need to have basic knowledge of literature and increase the ability to use it in diverse uses of Korean in order to enhance the creative ability to use Korean, which is the goal of the Seventh Korean Curriculum. Thus they can critically understand the ideas and emotions of the times through literary works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the national culture. This study helped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times naturally and form an identity by analyzing the Shijo literature with the crows in it. We can create the Korean culture and make our own culture only when discovering homogeneity in the culture from the past and present and developing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