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사인의 교체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사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감사인 교체가 이루어진 경우 기업가치와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감사법인 Big4와 Non-Big4를 선택한 기업을 대상으로 Big4 감사법인은 Non-Big4 감사법인에 비해 감사인 교체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감사인 관련된 자료와 재무자료는 한국신용평가(주)의 Kis Value 데이터베이스에서 코스피만 고려하여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2009년 감사인 강제교체제도가 면제되기로 의결됨에 따라 분석 기간은 K-IFRS가 전면 의무도입된 2011년부터 2019년까지 9년간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중 비금융업에 속한 12월 결산 법인을 검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감사인 교체 및 교체방향(상향교체, 하향교체)을 고려하여 더미변수인 Tobin's Q로 측정된 기업가치와 실증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법인의 교체방향을 고려하지 않으면 감사법인의 교체는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사법인이 교체방향을 고려하는 경우 감사인 상향교체 (Non-Big4 감사인에서 Big4 감사인으로)하는 경우에는 기업가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사인 하향교체(Big4 감사인에서 Non-Big4 감사인으로)하는 경우 기업가치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2011년 모든 상장기업은 K-IFRS가 전면 진행되었음으로 본 연구 대상은 2011년부터 2019년을 분석기간으로 하며 독립변수인 감사인 교체가 종속변수로 기업가치의 관계를 검토하는 것은 최근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감사인 선택과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많지 않아 더욱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기업가치가 낮은 경우 회계감사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감사인 선정과 교체에 사회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 기업의 지배구조가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설유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Audit Fees and Audit Hours Yoo-Young Seol Department of Accounting, Th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cademic Director: Professor, Kil-Seok Han,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audit fees and audit hours. When Korean firms overcome the currency crisis in 1997, the reform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throughout accounting transparency was the initial step because information asymmetries among stakeholders are the one of the reasons of the crisis. In particular, accounting transparency can be improved with high quality of auditing, so tha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rporate governance on audit qualities measured with audit fees and audit hours.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 fees and audit hours, I use corporate governance score that is published by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for corporate governance variable. For audit fees and audit hours, I elicit the data from Data Analysis, and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DART) that is operated by Korea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hroughout the regression analysis, I firstly find that corporate governanc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udit fees as well as audit hours. I interpret the result as follow: Under Korean economy, the firms with high corporate governance are also likely to improve accounting transparency by employing high quality auditors and securing more audit times. Alternatively, I interpret that under the disclosure systems to report audit fees and audit times, the firms with high corporate governance tend to use the information about audit fees and audit quality to deliver their level of transparency, or giving signals of transparency to investors. Secondly, I further conduct the analysis by dividing my sample into two samples in terms of the size of assets. I find that while the big assets size sample show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 quality (measured with audit fees and audit hours), the small size sample shows no such relationship. The result suggests that whe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 quality, researchers need to consider the size of assets. Thirdly, with a time series data, I test the effect of the increase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e increase of audit fees and audit hours. I find that the more corporate governance increases, the more audit fees and audit hours increase. The result implies that the firms with high increase of corporate governance are also likely to improve audit quality. In conclusion, I empirically find that corporate govern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audit fees and audit hours. The result suggests that when firms are trying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they are able to accomplish the goal by improving audit quality throughout audit fees and audit hours. In addition, this study helps investors utilize the disclosure information of audit fees and audit hours for their decision making. Keywords : Corporate Governance, Audit Fees, Audit Hours

      • 지속가능보고서 공시가 기업의 특성 및 ESG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경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2021년 1월 금융위원회는 「기업공시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하며 ‘지속가능보고서의 단계적 공시 의무화’ 제도를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배경으로 2021년 8월 한국거래소가 제시한 「ESG 정보공개 가이던스」‘권고지표’ 기준 하에 지속가능보고서의 공시가 기업의 재무적 특성과 ESG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지속가능보고서를 자율 공시한 국내 기업 352 기업과 지속가능보고서를 공시하지 않은 기업 5,560 기업을 표본으로 한다. 본 연구의 내용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SG 정보공시가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업의 유용한 재무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실증 분석하기 위해 자율 공시사항인 지속가능보고서의 공시와 기업의 재무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지속가능보고서 공시 기업은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단기적 수익성을 나타내는 총자산이익률과 영업이익률은 부정적인 영향의 결과가 나왔으나, 기업지배구조보고서의 정책과 같이 향후 자산규모에 따른 단계적 공시 의무화 정책을 고려하여 수행한 자산규모별 분석에서 총 자산규모 5천억 원 이상 또는 1조 원 이상의 중견 기업이 공시를 한 경우 총자산이익률이 긍정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ESG 전략의 효율적 자원 배분은 기업의 장기적 성과를 제고하고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기업 비용의 일시적 증가로 단기적 수익성이 악화될 수도 있으나, 기업의 자산규모에 따라 투자자들에게 ESG 정보제공을 통한 정보비대칭성 해소와 시장에의 신호 효과(Signal Effect)로 기업의 수익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의 안정성 측면에서는 공시 여부에 따라 부채비율이 부(-)의 영향으로 유의하여, ESG 공시를 통한 책임투자 활성화로 기업의 타인자본에의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공시가 재무 안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만, 소비자와 관련 있는 영업이익과 매출액증가에는 부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내거나 유의성이 없는 결과를 보이므로, 이해관계자 중 소비자에 대한 ESG 공시 기업의 이해와 인식도 제고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자산규모와 관계없이 외국인 투자지분율은 긍정적 관련성을 나타내어 지속가능보고서 공시가 기업의 ESG 공식 채널로 해외투자자들에게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므로 중견 기업의 경우에 글로벌 확장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ESG 정보공시를 하는 기업의 ESG 성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지속가능보고서를 통하여 정보공시를 한 기업은 하지 않은 기업보다 총 ESG 성과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공시를 한 기업은 공시지표 설정과 체계부터 ESG 경영전략을 반영하고 분야별 성과를 점검하므로, 공시가 ESG 경영의 체계적 이행의 기반이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세 번째는 ESG 정보공개 가이던스의 권고지표를 기준으로 측정한 지속가능보고서의 공시 수준과 ESG 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권고지표 기준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에너지 사용, 물 사용, 폐기물 배출 등 환경(E) 분야 공시 수준은 총 ESG 성과, ESG 통합항목에 유의하고 분야별 ESG_E(환경)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ESG 대응과 ESG 위기관리 등의 지표가 포함된 조직(OR) 분야 공시 수준과 인적 구성(HR), 안전보건, 정보보안 등 사회(SO) 분야 공시 수준은 총 ESG 성과 및 분야별 성과에 대하여 약하게 가설을 지지하거나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 등에 따라 기후 환경공시는 분야별 ESG 정보가 성과와 연계하여 작동하나, 사회적 불평등에 관한 부정적 외부효과에 대한 공시 수준과 지표개선은 더욱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국내외 공시체계 및 공시기준의 표준화 정책은 ESG 정보의 재무적 유용성 확대와 책임투자 기반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앞으로 추진될 지속가능보고서의 단계적 공시 의무화가 자산규모에 따라 기업의 재무적 성과 개선에 도움을 주고 투자자들의 투자의사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이 될 것으로 정책 방향을 지지하는 의의가 있다. 다만, 앞으로 공시체계 개선 시 사회적 불평등의 부정적 외부효과에 관한 공시 수준의 향상이 필요하다. 또한, 중견 기업의 공시가 수익성 제고의 가능성이 있고, 공시가 해외투자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알리는 순기능적 역할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시 의무화의 단계적 추진이 공시제도로 인한 기업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이라면, 중소기업에 공시의 효율성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각종 혜택 등 장려책을 마련하여 자율 공시 기간에도 중소기업의 ESG 자율 공시율을 제고시킬 것을 제안한다.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introduced a new disclosure system in January 2021 where corporations are required to disclose their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s by stages as part of the Commission’s the improvement plan for corporate disclosure rul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disclosure of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finance and ESG performance under the criteria of the recommended indicators in the Guidance on ESG Information Disclosure adopted by the Korea Exchange in August 2021. This study examines 352 domestic companies that voluntarily disclosed their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s and 5,560 companies that did not from 2012 to 2019. The contents and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ESG information disclosure provides useful financial information for investors and stakehol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ntary disclosure of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finance was studied. While disclosure of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s i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but negative on both return on total assets and ratio of operating gain to revenue which indicate short-term profitability, in the asset size-based analysis of the target companies in consideration of the gradual mandatory disclosure expansion policy as in the applic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it is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return on total assets for a mid-sized company with the total asset of KRW 500 million or more or KRW 1 trillion or mor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s through an ESG strategy may enhance the long-term performance of an enterprise and deteriorate its short-term profitability due to a temporary increase in corporate costs for sustainable management, but it is analyzed that resolution of information asymmetry by providing ESG information to investors and informative signals to the market can improve corporate profitability depending on the asset size of a company. In light of corporate stability, as corporate disclosure is negatively significant with debt ratio, ESG disclosure can be assumed to contribute to financial stability as responsible investment reduces dependence on debt capital. However, the findings relate to negative or insignificant consequences upon the increase in operating profit and sales relevant to consumers,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raise awareness of the companies that disclose ESG information among the particular stakeholder group of consumers. Considering that disclosure of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s shows a positive significance with the foreign investment equity ratio irrespective of asset size, the disclosure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global expansion in the case of mid-sized companies by resolving information asymmetry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foreign investors as an official ESG communication channel. Secondly, this study analyzes the ESG performance of companies disclosing ESG information. As the companies that disclose information through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s show more positive and significant results on total ESG performance than those that do not, the disclosure is interpreted as the basis for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ESG management in that companies disclosing information reflect ESG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setting and management of disclosure indicators and evaluate their performance by sector. Thirdl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sclosure of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s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recommended indicators in the Guidance on ESG Information Disclosure and ESG performance. The level of disclosure within environmental (E) pillar of ESG such as greenhouse gas emissions, energy used, water withdrawal, and waste produc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recommended indicators in the Guidance is significant for overall ESG performance and ESG integration, and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E performance by sector. Both in the organization (OR) sector including the indicators such as ESG response and ESG crisis management and in the social (SO) sector with the indicators such as human resources, safety and health, and information security, disclosure levels are either weakly supportive or not significant for ESG performance as a whole and by sector. As the climate changes and global warming increases, ESG information in each field works in conjunction with performance in climate and environmental disclosure, but it is interpreted that, regarding negative externalities of social inequality, the level of disclosure and relevant indicators need to be further improved. The standardization, at home and abroad, of disclosure systems and standards aims to expand the financial usefulness of ESG information and lay the foundation for responsible inves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pporting the policy direction that the mandatory disclosure in phase of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s is an effective policy as it helps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of companies depending on the size of assets an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in making investment decisions. However, in improving the disclosure system,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standard of disclosure on the negative externalities of social inequality. In addition, the study shows that the disclosure can improve a mid-sized firm’s profitability, and that it has the positive function of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to foreign investors. The gradual implementation of the mandatory disclosure is to ease the burden on companies resulting from full-scale implementation of it, but it is proposed to enhance the voluntary disclosure rat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ven during the grace period for the mandatory disclosure by actively publicizing the efficiency of the disclosure and providing incentives such as various benefits.

      • 중소기업 가업상속 조세제도에 대한 연구

        이구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종사인원의 90%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주체이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가업승계 시 안정적인 승계를 통한 기업유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가업승계 이 후 기업유지는 창업자의 경영노하우와 기술 및 고용이 안정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안정적인 가업승계를 위해 우리나라는 가업승계 지원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지나치게 엄격한 요건과 사후 관리 제도로 인해 가업승계 지원제도 이용건수 60여건으로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 가업승계 지원제도 활성화를 통한 고용 창출•유지 및 매출 증대를 통한 국가 경제에 대한 기여를 추진해야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년의 국정농단 사태로 인한 촛불집회 이후 가업승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 하면서 기존의 가업승계 지원제도의 혜택이 축소되고 지원 요건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이에 실질적으로 기업의 안정적인 유지와 성장을 위한 합리적인 방향으로 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가업승계 지원제도의 사회적인 공감대 형성 및 정당성이 실현될 것이다. 현행 가업승계 지원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업승계 지원제도의 엄격한 기업요건과 인적요건(피상속인, 상속인 요건) 이 원활한 가업승계를 어렵게 하고 있다. 가업승계 지원 가능 기업의 요건을 만들지 말고 적용할 수 있는 기업의 범위를 최대한 넓히자. 또한, 제도의 낮은 실효성 제고를 위해 인적요건을 대폭 완화하거나 폐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상속 공제 한도는 가업영위 기간별로 공제액 제한을 두고 있다. 가업승계 시 상속세 부담으로 인한 기업매각 또는 경영 악화 보다는 상속세 공제수준의 확대, 폐지가 필요하며 가업영위 기간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증여세 과세특례제도의 엄격한 피상속인 요건과 낮은 공제금액은 사전증여 이용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또한, 상속과 다른 공제금액은 실효성이 없다. 피상속인 요건 폐지 및 가업상속 공제제도와 동일하게 한도 확대를 하여 사전증여를 통한 안정적인 가업승계를 지원하여야 한다. 넷째, 우리나라의 가업상속 공제제도 혜택을 받는 경우 10년 동안 자산, 가업, 지분, 고용 등의 사후 요건을 준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엄격한 사후관리 요건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도입된 가업상속공제 제도의 도입취지에 부합한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먼저 가업승계지원제도의 요건을 완화하여 동제도의 이용률을 높여 제도 도입의 근본 목적인 고용 유지 및 창출과 국가경쟁력 강화 등을 달성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만, 고용 안정 및 고용창출 이라는 가업승계 지원제도의 목적에 맞게 고용의 유지 또는 급여총액 유지 등의 사후요건은 강화하여 경제 활성화와 국가 경쟁력 향상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가업(家業)’승계지원제도가 아닌 ‘기업(企業)’승계지원제도로의 전환할 필요가 있다. 최초 입법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기업이면 가업(家業)상속이 아닌 기업상속에 대해서도 그 적용대상에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 상속인이 아니더라도 해당 기업을 인수하거나, 경영하려는 자에게는 세액공제나 추가적인 조세 감면 혜택을 등을 통해 기업승계 하도록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속•증여세의 전체 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은 반면, 중소기업이 폐업을 하게 되면 기술발전 중단, 일자리 감소 등 국가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매우 크다. 가업승계 지원제도의 요건 완화와 혜택 증가는 단기적으로 보면 상속세 및 증여세의 감소로 이어지지만 장기적으로는 가업승계기업의 안정적인 경영활동을 통해 증가된 법인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익의 증가와 고용의 유지•창출효과가 더욱 클 것이다. 그러므로, 국가경제의 핵심인 중소기업의 가업승계 지원제도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인 고민과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기부금 과세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이원철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Contribution Tax Won-Chul Lee Department of Accounting,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cademic Director: Prof, Kil-Seok Han, PhD Today in our society, donation, an important culture which can solve many social problems, has had the characteristics of simple public assistance to help people in need within society, but now it becomes a significant activity contributing all areas in society including academic, education, culture and religious groups. Such donation culture has originally been developed in Western society like the U.S., and in case of Korea, it's no exaggerating to say that the culture of donation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s as the country achieved fast economic growth. In Korea,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donation culture is not that developed; there may be a variety of reasons, but I think the part related with tax system on contributions is one great reason. Looking at donation system in Korea, although the donation is given to the same organization, the extent of deduction is often calcul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rojects the donation is given to. Thus, it sometimes causes confusions among donators, and the benefits of deduction are different each other from legal, exceptional to designated donations depending on the degree of public interests; people consider that the tax system on donations is quite complicated. As we believe that the donation culture is the task which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in the future, it's necessary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related regulations which can propagate such culture, thereby needing to examine the tax system on donations.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some problems of donation systems in Korea and improvement methods on them. Also, it looked at donating system in major advanced countries overseas and some aspects of income deduction, comparing with our own system to consider improvement of the tax system on donations and introduction of efficient policies on them.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s of donations given by domestic companies, and along with that, some rules and systems about donations including the overview, types, and calculation of exclusions. After that, the study investigated taxations on donations in major overseas countries and provided places to compare one another. In order to improve the taxation on donations, the study suggests as follows: the types of donations should be unified; exclusions of calculation of donations should be expanded; exclusion-calculated organizations of a certain donation organizations which are in direct or indirect relationship must be limited; when donations exceed limits, the processing methods on them should be improved; and by expanding the subjects of contributing donations, the system that people should be able to donate service should be introduced. Also, the study mentioned some methods to proliferate designated donation system and reinforce follow-up management, as well as discussed some ways to complement weaknesses which could not have been dealt by the current laws, such as the implementing donation trust system. In conclusion, as the problems of our taxation on donations which the study draws out must be clearly understood, and some ways to activate accurate donation culture as well as some improvements should be continuously investigated, we must be fully ready for our accounting sector to blow beautiful donation cultures, which can be often reported overseas.

      • 코스닥기업의 연구개발비가 기업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진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n the light of increasing importance of an intangible asset such as service, marketing, technology innovation on today's evaluation unlike past-day one that focused on a value of tangible asset, examined how intangible asset affects corporate value. Especially, assuming R&D cost aims at future profitability, a study examined how R&D spending on financial statements affects corporate value focusing on R&D expense among many intangible assets. Furthermore, another significant purpose of the study lies in figuring out how different outcome can be seen when accounting of R&D budget is handled under categorizing a disposable group and a capitalizing group. In addition, presuming an important reason of difference on corporate value between general firms and venture ones depends on their R&D expenditure, the study proved the difference of these two groups' corporate value through the Ohlson's model. The first proof of the study showed that each item of R&D cost affects corporate value though not evenly. Second, the proof resulted from a different method of accounting also showed R&D cost influences corporate value. Last, the study informed us that venture businesses are far more influenced by R&D expense than general firms

      • CSR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about the influe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to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This research analyzed data selected from 2011 to 2014, the argument in this research is from KEJI-index (economic justice index) during 2001 to 2014 which was published by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of Justice. As the dependent variable, financial performance is measured by the ROA, total asset growth, Tobin’s Q three indicators which are selected from the Korea credit evaluation (KIS-VALUE). This research analyzed these data by using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In this research, the Microsoft Excel and SPSS22 are used to process these data.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Firstly, using the variance analysis (T-test), the sustainability enterprises of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non-sustainability enterprises of CSR (corporation social responsibility) have relation with corporate profitability. However, there are no relation with growth and firm value. Secondl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research verifi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CSR on corporate profit ability. For all enterprises, soundness index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index of CSR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rofitability. Thirdly, only part of the hypothesis 2 are adopted. Only CSR’s fairness index and staff satisfaction index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terprises’ growth. Fourthly,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nvironment management and soundness, which are the two indicators among CSR, have significant effect on enterprise value. In this research, among the six indicators of CSR, only soundness, fairness, environment management and staff satisfaction have statistical significant effect on the enterprise financial performance. The future research, these indicators should be considered in enterprise management strategies.

      • 중국 소기업회계준칙에 관한 분석적 연구

        왕립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여러 산업 혁명, 특히 현재의 정보 및 과학 기술의 광범위한 개혁으로 인해 세계 경제는 더 빠르고 더 빠른 속도로 발전해 왔으며 이는 중국 경제가 다시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중소기업은 전국 곳곳에서 급격히 번성하고 있다. 그들은 중국의 국가 경제 및 사회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의 번영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과거 중국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으로 인해 《기업 회계 기준》은 기업 회계의 행동을 규제하는 유일한 기술 규정이므로 중소기업도 이 명세서에 따라 회계 처리 및 명세서 작성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상장 기업이나 다국적 기업과 같은 대기업과는 다르다.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의 규모는 비교적으로 작고 경제 사업은 상대적으로 단순하며 조직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며 재정적 이익이 위임된 공공의 책임을 지지 않기 때문에 재무 정보가 필요한 이해 관계자는 제한적이다. 또한 《기업회계기준》에 따른 회계 처리 및 재무제표를 작성 전 과정은 실제로 사람、재정 및 자재의 기여를 수반하다. 위에서 언급한 현상을 바탕으로 비용효과 원칙을 고려하여 중소기업의 이행에 적합한 《기업회계기준》을 수립하는 것이 학계가 고려하기 시작한 문제가 되었다. 위의 문제는 중국에서 처음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국제 사회에서 영국 국가 기관 및 국제기구가 이끄는 회계 산업단체는 20세기 중후기 중소 규모 대상의 신청 기준에 대한 장기 탐사를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그들은 수십 년간의 탐사 과정에서 계속해서 자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중국은 2011년에도 《중소기업회계기준》을 발표했다. 중소 규모의 회계주체에 대한 인식、측정、기록 및 보고의 관행이 재규정되었으며 중소기업을 고려하면서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본문은 바로 중국이 새로 발표한 기준을 이용 실행의 배경이다. 국제 비교의 시각에서 중국과 세계 주요 국가의 중소기업회계기준이 제정과 발표시행 이 과정에 관한 이론과 실천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준칙의 제정과정、준칙의 제정 유도방향、제정모식、준칙의 적용범위와 재무목표 및 정보 질량 요구(개년구조의 구성부분)、재무보고서의 표시와 공시 등 측면에 두 가지 준칙에 대해 가로와 세로로 비교 분석하고 비교 분석을 통해 이를 기반으로 중국의 《중소기업회계기준》 개선에 대한 제안을 얻을 수 있다.

      • 농협 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수익확대 방안 연구

        조원석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농산물산지유통센터(Agricultural Processing Center : APC)는 농산물 주산지별로 품목 특성에 맞는 규모화 현대화된 산지유통시설을 설치하여 산지 농산물유통의 거점시설로 육성하고 생산과 유통의 계열화로 시장교섭력을 강화하여 우리나라 소규모 영농의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급변하는 유통환경에 대한 산지 대응능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농산물산지유통센터는 농산물의 집하, 선별, 예냉, 저온저장, 냉장수송 등 저온유통기반을 구축하고 농산물을 공동선별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농산물을 규격포장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등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경영전략 확산과 대형 유통업체와의 직거래 추진, 소포장 상품개발, 기능성 농산물의 개발 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농산물산지유통센터는 전반적으로 경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단일품목 중심의 운영, 시설의 유휴기간의 발생 그리고 낮은 수준의 가동율 등으로 인하여 경영의 효율화를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운영주체에 따라 경영능력, 전문지식의 부족 그리고 관리소홀, 규모의 영세성 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농협의 농산물산지유통센터들은 하나의 경영체로서 손익을 우선하기 보다는 조합원에 대한 편익 제공 차원에서 대부분 운영되고 있으며 손실발생을 당연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농산물산지유통센터가 장기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감가상각비를 포함한 제 비용이 충당되어야 할 것이며, 운영주체들은 손익의식을 명확히 해야 하고 운영 활성화를 통해 조합원에 실익을 주면서 농산물산지유통센터가 영속적인 경영체로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농협의 농산물산지유통센터 수익확대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농산물산지유통센터를 하나의 시설물로 인식하지 말고 문자 그대로 농협 판매사업의 핵심거점으로 그 역할과 기능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농산물산지유통센터가 환원사업 차원이 아니라 하나의 사업체로서 운영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독립사업체로서의 성격이 명확하게 부여되어야 한다. 셋째, 관내의 생산여건과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전략적인 품목을 선정하여 이를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할 것이며, 선정된 전략 품목은 수확 후 관리기술 등을 적용하여 규격화되고 고품질인 제품이 되도록 하고 철저한 품질관리와 촉진활동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부가가치를 높여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주산지별, 품목별 연합판매사업 기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연합판매사업은 마케팅 교섭기구로서 개별 농협이나 농업인이 수행하기 힘든 판로개척, 판촉, 광고, 홍보 등 다양한 마케팅 기능을 수행하며, 물량의 규모화에 의한 시장지배력 확대, 수급조정과 같은 고도의 기능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가동율 제고와 산지유통시설간 계열화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연중 가동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취급품목의 다양화를 통한 주년화를 달성하여야 하며, 주작목과 부작목을 시기별로 적절히 배치하여 시설의 가동율을 높여야 한다.

      • 은행의 대출금리 원가요소 및 결정 방식

        공지현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과거 우리나라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매우 보수적으로 운영을 하였으며, 1997년 이후 대출금리를 은행이 자유롭게 정할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금리 자유화 이후에서 적정수준으로 인상하지 못하였고 그 결과 시중은행은 급변하는 금융시장에 대처하지 못했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 금융시장의 효율성 제고와 규율 확립을 위해 수많은 제도개선과 국채시장의 발달로 국고채 유통수익률이 기준금리로서의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으며 은행은 고객의 신용등급에 따라 다양한 기준금리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