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태장어양식에서 첨가유가 성장 및 어체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서지훈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무태장어(Anguilla marmorata) 양식에서 첨가유가 성장 및 어체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서 지 훈 전남대학교대학원 수산과학과 (지도교수 : 한경호) (국문초록) 무태장어 양식에 적합한 배합사료개발 과정 중 명태유와 오징어 간유 및 식물유 4가지를 이용하여 치어기 증체율, 사료효율 등을 평가하여 필수지방산에 대한 정보 및 첨가유의 단독 혹은 조합첨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연구하였다. 증체율(GR)의 비교는 아마인유 (115.1 ± 5.2%) > 오징어간유 (96.1 ± 6.3%) > 들깨유 (84.1 ± 3.3%) > 올리브유 (66.1 ± 5.1%) > 명태유 (55.9 ± 3.7%) ≧ 대두유 (54.5 ± 5.0%)로 나타났다. 사효효율(FE)은 아마인유 (95 ± 2.8%) > 오징어간유 (96.1 ± 6.3%) ≧ 들깨유 (84.1 ± 3.3%) > 올리브유 (65.3 ± 3.9%) ≧ 대두유 (55.2 ± 5.0%) ≧ 명태유 (51.8 ± 2.3%)로 증체율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순서를 나타내었다. 조단백 함량은 대두유 (19.9 ± 0.2%) ≧ 오징어간유 (19.5 ± 0.3%) = 올리브유 (19.5 ± 0.3%) ≧ 명태유 (19.3 ± 0.5% ≧ 들깨유 (18.9 ± 0.4%) ≧ 아마인유 (18.3 ± 0.2%) 순서로 급이사료간 차이가 없는 함량 차를 나타내었다. 조지방 함량은 명태유 (10.0 ± 0.3%) = 오징어간유 (9.7 ± 0.2%) = 대두유 (9.7 ± 0.2%) > 아마인유 (8.8 ± 0.1%) = 올리브유 (8.8 ± 0.3%)로 명태유, 오징어간유 및 대두유 첨가사료 급이구가 아마유와 올리브유 첨가사료 급이구 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VA(mg/100 g, dry wt)는 올리브유 (4.5 ± 0.3) > 오징어간유 (1.9 ± 0.1) > 아마인유 (0.4 ± 0.0) > 오징어간유 (0.3 ± 0.0) = 명태유 (0.3 ± 0.0) = 들깨유 (0.3 ± 0.0)로 나타났으며, VE(g/100g,drywt)의 경우는 명태유 (0.26 ± 0.0) > 아마인유 (0.24 ± 0.0) = 오징어간유 (0.24 ± 0.0) > 들깨유 (0.16 ± 0.0) > 대두유 (0.03 ± 0.0) > 올리브유 (0.01 ± 0.0)로 서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포화지방산 함량은 PLOM > SLOM > SOM > OOM > POM > LOM 순으로 나타났으며, ω3 지방산은 LOM (26.9%) > POM (25.2%) > SLOM (19.6%) > PLOM (13.1%) > SOM (1.2%) > OOM (0.9%) 순으로 나타났다. docosahexaenoic acid (DHA)는 SLOM (15.8 ± 0.3%) > PLOM (9.7 ± 0.3%) > SOM (7.9 ± 0.1%) ≧ POM (7.7 ± 0.2%) = OOM (7.3± 0.2%) = LOM (7.3 ± 0.3%)으로 나타났으며, eicosapentaenoic acid (EPA) 역시 식물성유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은 성분으로 명태유(EPA, 11.58 ± 0.2%)와 오징어간유(EPA, 11.5 ± 0.2%) 첨가사료 급이 장어에서 역시 EPA 함량이 다소 높아(SLOD, 3.4 ± 0.1%; PLOD, 3.0 ± 0.1%), 기타 식물성유 첨가 사료 급이구의 함량과 차이를 보였다.

      • 여수 해역 대구(Gadus macrocephalus) 어획량과 수온의 상관관계 및 추정

        박종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여수 해역 과거 대구(Gadus macrocephalus) 어획량을 파악하고 통계적 기법인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수온변화에 의한 미래 어획량을 추정하여 수산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냉수성 어종 자원의 보존 및 보호를 위해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구의 월별 어획량자료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의 데이터를 여수 수산협동조합으로부터 제공받았고, 강수량, 태풍, 강수량의 자료는 기상청에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제공받았으며, 수온과 염분자료는 국립수산과학원에서 2006년부터 2100년까지의 IPCC 4차 보고에서 발표된 SRES(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시나리오에서 예측된 것에 기초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통계소프트웨어인 R-program과 SPSS program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대구 어획량은 서식 환경과 어구의 차이를 반영하여 2006년부터 2100년까지의 10m수온과 40m수온으로 나눠 통계적 기법인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였다. 10m수온의 경우, 회귀계수 값이 -0.656로 수온이 1℃ 높아질 때마다 대구 어획량은 0.65kg 감소하며, 40m수온의 경우, 회귀계수 값이 -1.764로 수온이 1℃ 높아질 때마다 대구 어획량은 176kg 감소한다. 회귀식의 결정계수 값은 각각 0.431, 0.456으로 43%, 45% 설명력을 가진다. 10m와 40m의 회귀분석식에 대한 귀무가설을 통해 모형의 적합성을 검정한 결과 유의확률이 0.000으로 유의수준인 0.05보다 작아 귀무가설을 기각하여 추정된 통계모형은 유의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었다. 10m수온의 검정통계량 t=-7.280(df=70), F값이 52.997, 40m수온의 검정통계량 t=-7.663(df=70), F값이 58.725으로 유의확률이 0.000으로 귀무가설을 기각하여 추정회귀식이 적합하다고 볼 수 있었다. Identify past codfishes(Gadus macrocephalus) catch in Yeosu and estimate future codfishes catch by water temperature using regression 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s. Thereby fishery resources can be managed more efficiently. Therefore, for the preservation and protection of cold-water fishes, the study is in progres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of codfishes catch from 2006 to 2011 by Yeosu Fisheries Cooperatives, data of natural environment(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precipitation etc) by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and predicted water temperature from 2012 to 2100 by SRES(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that was announced to IPCC fourth report). Codfishes catch from 2006 to 2100 were estimated using regression analysis. When regression analysis, habitats and habits were reflected and 10m temperayure and 40m temperature layer were divided. As a result in case of surface layer’s water temperature, the regression coefficient was ?0.656. It means that codfishes catch decrease 0.65㎏ every 1 degree(1℃) rise in water temperature. And R-squared was 0.431. It means that 10m water temperature explains 43% of codfishes catch. In case of 40m water temperature, the regression coefficient was -1.764. It means that codfishes catch decrease 176㎏ every 1 degree(1℃) rise in water temperature. And R-squared was 0.456. It explains 45% of the regression equation. The suitability of the regression equation model, about 10m and 40m layer’s water temperature, was verified by a null hypothesis(? ? ? ?? ? ?). As a result significant probability was 0.000 and less than significance level of 0.05. It means that estimated statistical model are significant model because a null hypothesis was overruled. The test statistic and F value were each t=-7.914(df=70), 62.634 about 10m layer. And the test statistic and F value were each t=-6.446(df=70), 43.557 about 40m layer. Therefore estimated regression equation are suitable because a null hypothesis was overruled.

      • 하스돔과(Haemulidae) 어류 3종의 외부 및 내부 형태학적 연구

        김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order to study phylogeny of Hapalogenys mucronatus, Hapalogenys nitens, and Plectorhinchus cinctus, the samples were collected form fresh fish market in Yeosu, Mokpo and Jukrim from March 2019 to March 2020. And then, morphology and Osteology were analyzed. There were body color and body shape in the classification trait of external form. The number of the dorsal fin spinous ray from 10 to 14, dorsal fin soft ray from 13 to 17, pectoral fin soft ray from 16 to 20, anal fin spinous ray 3, anal fin soft ray from 7 to 10, ventral fin spinous ray 1, ventral fin soft ray 4 to 6 and caudal fin soft ray 16 to 19. The difference of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skeleton were Prefrontal, Parietal, Ethmoid, Supraoccipital, Nasal bone, Preorbital, Infraorbital, Premaxillary, Dentary, Mesopterygoid, Glosshyal, Urohyal and Branchiostegal.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using comparison characteristics such as morphology, osteology, counting, and measurement, it is coincided with the present classification of Hapalogenys mucronatus, Hapalogenys nitens and Plectorhinchus cinctus. 군평선이(Hapalogenys mucronatus), 동갈돗돔(Hapalogenys nitens), 어름돔(Plectorhinchus cinctus)의 외부 및 내부 형태학적 연구를 위하여 2019년 03월부터 2020년 03월까지 전라남도 여수시 선어시장, 목포시 수산시장, 경상남도 통영 수산시장에서 표본을 채집하여 형태형질과 골격을 분석하였다. 외부 형태 분류 형질로는 체색과 체형이 있었다. 계수형질에서는 등지느러미 가시 수 10∼14개, 줄기 수 13∼17개, 가슴지느러미 줄기 수 16∼20개, 뒷지느러미 가시 수 3개, 줄기 수 7∼10, 배지느러미 가시 수 1개, 줄기 수 4∼6개, 꼬리지느러미 줄기 수 16∼19개로 하스돔과(Haemulidae) 어류 3종의 각 지느러미별 계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골격의 분류형질로는 전액골(Prefrontal), 노정골(Parietal), 사골(Ethmoid), 상후두골(Supraoccipital), 비골(Nasal bone), 안전골(Preorbital), 안하골(Infraorbital), 전상악골(Premaxillary), 치골(Dentary), 중익상골(Mesopterygoid), 인설골(Glosshyal), 미설골(Urohyal) 및 새조골(Branchiostegal)이 있었다. 형태형질, 계수ᐧ계측 형질, 골격형질 등을 비교형질로 이용한 수리분류학적 유집분석(Character matrix)을 바탕으로 세 종의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군평선이와 동갈돗돔이 55.8%로 가장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 우리나라 서해 중부 산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최동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우리나라 서해는 남쪽에서 흐르는 난류성 해류인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과 중국연안 해류, 한국연안 해류과 같은 냉수성 해류도 상존하는 지역으로, 기초생산력이 높아 많은 어류들이 서식하며, 산란지와 성육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특히 서해 중부해역은 냉수성 어종의 출현율이 높으며, 황해냉수괴로 인한 생태적 장벽이 존재해 서해 남부나 동중국해와는 어류의 군집이 구분된다. 물가자미는 가자미목(Pleuronectiformes), 가자미과(Pleuronectidae)에 속하는 어류로 한국 연근해, 일본연안, 발해만, 동중국해, 대만 등지에 주로 분포한다. 주로 수온 10-20℃, 수심 200m 이하의 바닥이 모래나 뻘질인 곳 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먹이로는 소형 갑각류(새우나 게류)와 오징어류, 소형 어류 등이다. 물가자미는 유안측에 옆줄을 기준으로 위, 아래에 3개씩의 검은 둥근 반점이 있어 다른 가자미와 쉽게 동정할 수 있다. 우리나라 통계청의 어업생산동향조사에서 가자미는 종별로 세분화 되어있지 않고, 가자미류로 어획량을 집계하고 있어 물가자미의 정확한 자원상태에 대한 정보가 없다. 물가자미는 가자미 중에서도 상업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어 생태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주요 상업어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서해에 출현하는 물가자미에 대한 생물학적 특징, 식성, 산란과 성숙, 연령과 성장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물가자미 식성을 알기위해 358개체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가능한 종수준까지 동정하였으며, 먹이생물의 분류군을 상대중요성지수비로 나타내었고,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도해적 방법을 사용하여 먹이중요도, 섭식전략, 섭식폭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새우류의 먹이중요성지수비가 81.3%로 가장 높았다. 새우류의 %IRI값은 모든 체장에서 7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새우류 중에서도 마루자주새우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주 먹이생물은 16.3%를 차지하며 어류로 나타났는데, 어류는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섭취하는 생체량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는 성장에 따라 섭식하는 먹이생물의 생체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먹이중요도는 새우류가 가장 높았으며, 섭식전략은 섭식폭이 좁은 specialist predator의 형태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물가자미의 생식소 발달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생식소의 크기와 색, 난립 크기 등을 기준으로 생식소 성숙단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육안으로 판별이 불분명한 경우,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암컷의 경우 미숙(immature), 중숙(maturing), 완숙(mature), 방란중 및 방란후(spawning and spent), 회복(recovery)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생식소숙도지수(GSI)와 성숙단계의 월 변화를 통해 산란기가 3월부터 5월까지로 나타났고, 난경 조성 변화를 통해 1년에 1회 산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포란수는 123,755-1,164,416개로 나타났고, 체장과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포란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logistic 식에 의한 물가자미 암컷의 50% 성숙체장은 32.2 cmTL로 추정하였고, 75%와 97.5% 성숙체장은 각각 33.7 cmTL, 37.2 cmTL로 나타났다. 연령과 성장에 관한 연구는 자원개체군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필요할 뿐만 생물 개체군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필수적이다. 물가자미의 연령과 성장을 연구하기 위해 이석을 이용하였고, 불투명대에서 투명대로 이행되는 경계를 기준으로 하였다. 윤문이 연륜으로 적합한지 확인하고 윤문판독의 정확성을 검토하기 위해 윤문별 윤경간의 거리를 비교하고 윤문의 대응성을 검토하였으며, 연령별 평균체장을 사용하여 von Bertalanffy 성장식을 구하였다. 선행연구와 비교하기위해 성장률지수()를 이용하였다. 물가자미 암·수의 체장체중관계식은 암컷:BW= 0.0027TL3.4012 수컷: BW= 0.0031TL3.3319으로 나타났다. 암컷의 성장률이 수컷보다 빠르게 나타났고, 출현비율은 암컷이 수컷보다 4.1:1로 높았다. 연역지수(MI)를 통해 윤문형성시기는 1월로 추정하였고, 이를 통해 성장식을 추정하였다. 암컷의 성장식은 Lt = 59.81(1-e-0.10(t+2.02))으로 최대체장 59.81 cm, 성장계수는 0.1/년, 체장 0일 때 이론적 연령 –2.02세로 나타났고 수컷의 성장식은 Lt = 49.76(1-e-0.11(t+1.22))으로 최대 체장 49.76 cm, 성장계수 0.11/년, 체장 0일 때 이론적 연령은 –1.22세로 추정되었다. 집단의 유전자 분석은 한 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는데 좋은 방법이며, 특히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분석이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외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상업적 가치가 높은 어업자원일수록 이러한 기초적인 연구는 필요하며, 물가자미는 우 리나라 전 해역에 서식하기 때문에 해역별 유전적 특성을 이용한 자원관리 계획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 서해(충청남도 보령), 남해(제주도), 동해(경상북도 포항)에서 총 67개체 시료를 채집하였다. 그리고 분자분석에 필요한 과정을 거친 뒤 Mega6로 분석할 부위를 정리하고 DNA cytb 영역의 염기서열450bp를 비교분석하였다. 염기변이의 차이점을 확인하여 유전자형(haplotype) 27개를 결정하였다. 27개 중에 4개의 유전자형은 보령, 제주, 포항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었고, 이외에 유전자형은 해역별로 각각 나타났다. 지역 집단간 유전적 분화 정도를 나타내는 고정지수(FST)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않아 해역별로 계군이 나뉘어지지 않았다(P>0.05). In order to study the ecology of shotted halibut, Eopsetta grigorjewi, catches caught by offshore gillnetters were us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19.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by conducting research on the feeding habits, spawning and maturity, age and growth, and gene diversity between region of Eopsetta grigorjewi.Feeding habits of shotted halibut, Eopsetta grigorjewi, were analyzed. Samples were collected by using offshore gillnetters in the middle West Sea of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19. The size of E.grigorjewi ranged from 22.5 to 50.3 cm in Total length. The species with the highest percent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the most important prey taxa) in the diets of E. grigorjewi were macrura, including Crangon hakodatei and pisces including Engraulis japonicus,Ammodytes personatus were the second. E. rigorjewi also ate small amounts of brachyura and ophiuroid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E. grigorjewi is a speciallist predator, feeding mainly macrura. As body size of E. grigorjewi increased the mean number of prey per stmach (mN/ST) remained unchanged, but mean weight of prey per stomach (mW/ST) tended to increase. This seems that the amount of diet biomass increased from the number of shrimp to small fis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turity and spawning dynamics of E.grigorjewi in West Sea, Korea. We analyzed monthly maturity stage, gonadosomatic index(GSI) and Total length at 50%, 75%, 97.5% group maturity. Spawning period was estimated to be between March and Ma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ize-frequency distribution of eggs, E.grigorjewi was found to spwaning once a year. Fecundity varied between 4,542 and 26,758 eggs. And as the body size increased, fecundity is increased. Using a logistic function, the percentage of sexually mature females was estimated to be over 50% for fish with a TL of 33.7cm. The age and growth of Eopsetta grigorjewi in the West Sea of Korea. 689 otoliths were used for this study. New annuli were formed in E. grigorjewi otoliths annually, and the boundary was set between the opaque and translucent zones from January.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 (TL) and body weight (BW) were BW= 0.0027TL3.4012 for females and BW= 0.0031TL3.3319 for males. Total length (TL) and otolith radius (OR) were measured as follows: TL= 14.657R+9.1601(r2=0.7081) for females and TL= 15.037R+5.0265(r2=0.6992) for males. The TLs at the time of annulus formation, back-calculated from the otolith-length relationship by reference to the von Bertalanffy growth curves, were Lt= 59.81(1-e-0.10(t+2.02)) for females and Lt = 49.76(1-e-0.11(t+1.22)) for males. To clarify the population structure of E. gregorjewi, we analyzed the morphological and genetic variation among individuals sampled from three localiti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Boryeong in the West Sea, Jeju in the North Sea and Pohang in the East Sea. Pairwise differentiation index (FST) comparisons based in 450-base pairs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s showed that three region were genetically indistinguishable. All individuals fell within a single clade in the neighbor-joining tree but appeared scattered in the haplotype network. several haplotype are shared among the sampling sites(EGcytb 1, EGcytb 3, EGcytb 5, EGcytb 9). Another haplotype was divided into regions. Three regions were appeared high halplotype diversity (h) and low nucleotide diversity (π). this condition is attributed to expansion after a period of low effective population growth engances the retention of new mutation(Grant and Bowen, 1998)

      • CF4 분해성능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확산용 아크 플라즈마 전원장치 개발연구

        김동한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require several Freon gases (CF4, C2F6, NF3, SF6, CHF3, etc) in the CVD chamber cleaning and Etching application etc. These gases are very difficult or unable to treatment by usual method(technology). Generally it's necessary more than thousand degree temperature as well-known pyrolysis system(method). SF6 pyrolysis(treatment) available more than 99% by around 10[KW] power but CF4 pyrolysis available just 95% even by 20[KW] cause by it has more strong combine structure chemically. It means that the 'Burner method of Scrubber' does not possible to do pyrolysis(treatment) of all PFCs gases in complete. Thus, we have research & developed the high-power plasma supply system(20~24 KW) of core technology with Arc Plasma Scrubbing method. The core technology is Arc plasma dispersion in high-temperature plasma process and accordingly how to develop a durable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for Arc generation in stable. Therefore, to do distribution and more use an 'Arc plasma system', we have developed longer life-time system and improved the performance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new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which is bigger than 20[KW] high-power output availabe in order to apply a sudden load variation while Arc generating, it's designed and tested the main transformer as well as rectification reactor for 'High-power supply system' too. This is modified and improved an unstable output problem which is comes from while Arc plasma dispersion increasing via 'components time constant' changes at IGBT actuation circuit and feedback circuit. The system longer life-time possible with reasons are 1st, a big and high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availabe in order to apply a sudden load variation while Arc plasma dispersing. 2nd, a torch longer life-time available through stable output voltage that the reduction of output voltage amplitude increasing which is by sputtering status while Arc plasma discharge at torch when high-power supply. 반도체 제조용 공정 중 CVD chamber cleaning용과 식각(etching)공정에는 여러 종류의 프레온 가스(CF4, C2F6, NF3, SF6, CHF3, etc)들을 사용하는데, 이들 대부분은 난 분해성으로 현재 사용 중인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처리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프레온들의 분해 온도는 열적 분해 처리 시 수천도 이상이 요구된다. SF6는 인가전력이 10[KW] 부근에서 99[%]이상 분해처리 되고 있지만, CF4 가스는 결합력이 우수하여 인가전력이 20[KW] 부근에서 95[%]이상 분해 처리되어 버너방식의 Scrubber로는 PFCs 가스전체를 분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Arc Plasma 방식의 핵심기술인 Plsama Power Supply의 출력을 20 ~ 24[KW]고용량 Power Supply 장치를 연구하였다. 고온 플라즈마의 핵심은 Arc 플라즈마의 확산이며, 이에 Arc의 발생에 대응 가능한 내구성을 지닌 전원공급 장치의 적용이다. 상기 사항에 따라서 Arc 플라즈마 확산을 위해서 20[KW] 이상의 대전력 출력이 가능하며, Arc 발생시 급격한 부하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전원공급 장치 개발을 위해서 대용량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메인 트렌스포머, 정류 리엑터를 용량에 맞게 설계 및 테스트 하였으며, Arc 플라즈마 방전시 확산이 증가하면서 발생되는 출력의 불안정화 현상을 IGBT 구동회로 및 궤환 회로부의 부품들의 시정수를 변경하여 연구 개선을 하였고, 또한 Arc 플라즈마 확산시 발생하는 급격한 부하변동에 대응하도록 전원공급 장치 용량이 커져야 하는 것과 토치에 대전력 공급시 Arc 플라즈마 방전 토치에 Sputtering 현상이 발생하여 출력전압의 진폭이 커지는 현상을 감소시켜 출력전압이 안정화 되어 토치 수명연장이 가능하게 하였다.

      • GPS와 센서를 이용한 자동채점 운전면허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김철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동차운전 면허시험은 주로 면허시험장에 준비된 자동차를 이용하여 피시험자인 수검자 위주로 전환시켜 운전면허시험이 공정하고 정확하게 하여 국민의 안전권리를 향상시키고 도로주행시험을 GPS와 센서를 이용한 자동채점 운전면허 시스템 개선으로 자동화 채점시스템을 일원화하여 긍정적인 공정성 평가와 교통안전 의식을 확보하여 교통사고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할 국가가 운전면허취득을 위한 자동화채점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전면허시험을 정확성과 공정성으로 최근 개선된 운전면허시험제도에 대하여 개선된 제도가 교통안전에 기여했는지 여부를 분석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운전면허시험을 응시하는 사람들은 면허취소 등으로 재시험을 보는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 자동차를 운전하기 위해 최초로 운전을 배워 시험을 응시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자동차 운전은 생명과 직결되는 것으로 초기의 정확한 운전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사회에 첫 진출을 하면서 운전면허를 취득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처음 운전을 배울 때 객관적이고 공정한 기준에 의해 올바른 운전능력을 평가받아 면허를 취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을 통해 구현하고자하는 시스템은 효율적이면서도 공정하고 정확한 자동화채점을 통해 양질의 운전자를 배출할 수 있는 GPS와 센서를 이용한 자동채점 운전면허 시스템 개선을 제안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올바른 운전을 통해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 뱀장어속(Anguilla) 어류 4종의 형태 및 유전학적 분석

        정동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국내에 유통되는 뱀장어속 4종에 대한 동정의 혼란을 피하고 종특이적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각 부위의 계측·계수를 통한 형태학적 특징과 mitochondrial 16S ribosomal DNA 염기서열 결정과 분석, 그리고 RAPD를 이용한 분자적 특징을 밝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뱀장어속 4종 (극동산, 유럽산, 북미산, 동남아산)은 형태적 및 유전적으로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In order to establish species specific systematics to avoid confusing identification of four main commercial species of genera Anguillain in Korea, those were classified by means of morphology and molecular phylogeny using body measurement, RAPD, and 16S rDNA sequence determination. The data showed that four species of genera Anguilla from Far-East (Anguilla japonica), Europe (Anguilla anguilla), America (Anguilla rostrata), and Southeast Asia (Anguilla bicolor bicolor) are distinct each other morphologically as well as gene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