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과흥미와 지능의 복수성에 대한 다지능 발달 평가 척도의 타당화

        안영선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지능 이론을 근거로 지능의 복수성을 활용한 교육방법에 대한 기초적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교수 방법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ardner의 다지능 이론과 관련된 두 가지 연구 문제가 수행되었다. 우선 다지능 이론을 근거로 개발된 다지능 검사의 내적 및 외적 타당화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다음으로 지능의 복수성을 이용한 교육방법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능의 소유에 대한 분포를 알아보았다. 청주에 위치한 W중학교 남, 여 22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다지능의 내적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하대현(2003)에 의해 제작된 다지능 발달척도(MIDAS) 검사를 실시하였고, 외적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황해익, 하대현, 신종호(2005)가 공동 제작한 학습흥미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각 지능들 간의 독립성을 확인하는 데는 무리가 있었으나 교과흥미와 관련하여 수행된 외적 타당화 에서는 해석 가능한 상관을 보였으며, 지능의 소유분포에 대한 결과에서도 전체의 87.9%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에 강점을 소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는 여러 가지 제한점이 따르지만, 이러한 결과는 다지능 이론이 제안하는 지능의 복수성을 활용하는 교육방법 즉, 학습자의 강점을 강조함으로써 약점을 보상하고자 하는 시도는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에 적절한 아이디어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다지능 이론을 근거로 개발되는 다양한 시도들에 대하여 경험적 정당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diverse possibilities for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by proving the basic validity of teaching method using plurality of intelligence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I examined 2 study subjects related to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f Gardner. First of all, I examined internal and external validation of multiple intelligence test developed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then examined the distribution for possession of intelligence to check the possibility of teaching method using plurality of intelligence. Targeting 222 male and female students of W middle school at Cheongju, I carried out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al assessment scale(MIDAS) test developed by Ha Daehyun(2003) in order to examine internal validity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carried out study interest test jointly developed by Hwang Haeik, Ha Daehyun and Shin Jongho(2005) in order to examine external validity of multiple intelligence.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check the independence of each intelligence, but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t external validity carried out in relation to lesson interest. It was also found out that over 87.9% has strength in over 2 from the results on possession distribution of intelligence. Even if there are several restric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result shows the attempt to make up for the weakness by emphasizing teaching method that utilize plurality of intelligence proposed by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at is, the strength of learner. This attempt is expected to be a suitable idea for validating such effects. Also,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obtained empirical validity for various attempts to be developed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n the future.

      • 유동지능, 결정지능 및 개방성 간의 관계

        권은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15

        현대 사회에서 성취의 개념이 중요해지면서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서 지능과 성격 구인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는 지능과 성격 구인을 별개로 연구해오고 있으나 최근 들어 지능과 성격 구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능 이론은 출현당시부터 하나 대 다수 논쟁이 이어져 왔고, 이러한 논쟁은 Cattell의 준 위계모형으로 수렴되기 시작했다. Cattell의 준 위계 모형이란 지능 모형의 맨 위에 결정지능과 유동지능의 2 요인을 두는 것이다. 성격이론은 현재 Big 5 혹은 5요인 모형으로 수렴되고 있다. 5요인은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 개방성이다. 이중에서 지능과 가장 상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 요인은 개방성이다. 개방성은 6개의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것은 상상, 심미, 감수성, 신기, 지성, 가치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유동지능과 결정지능, 그리고 개방성간의 관계를 탐구해보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Gf와 Gc, 개방성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Gf, Gc를 설명하는 개방성의 하위요인들의 설명량은 어떠한가? 그리고 Gf, Gc를 설명하는 개방성의 하위요인들의 상관유형이 남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셋째, Gf, Gc의 상하 집단에 따라 개방성 및 하위요인간의 차이가 나타 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대학교 3곳에서 229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능검사 및 성격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지능검사는 2007년 코리아테스팅센터에서 발행한 대학생용 최신 지능집단 검사이며, 성격검사는 하대현· 남상인 · 황해익 2006년에 발행한 직업인성 검사 중에서 개방성 문항만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c는 상상, 심미, 지성과 관련이 있으며, Gf는 감수성 및 지성과 관련이 있다. 둘째, Gf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개방성 하위요인으로는 지성이 있으며, Gc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개방성 하위요인으로는 감수성과 신기이다. 셋째, Gc의 경우 남학생은 지성 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여학생은 상상과 심미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f와 Gc 모두 성별에 따라 개방성 하위요인의 상관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넷째, Gf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개방성 하위요인과 크게 상관되지 않지만, Gc가 낮은 집단과 상관이 있는 개방성 하위요인은 심미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 지능과 성격이라는 커다란 형태로 연구되던 두 구인을 성격의 요인 중 지능과 가장 상관이 높게 나타나는 개방성의 하위요인들과의 관계를 여러 관점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 modern society as the concept of achievement becomes important, the two constructs-intelligence and personality-which influence achievement become more important. But the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two constructs separately. Recently the concern of interac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rise. From when intelligence theory came, there has been an argument g vs multiple abilities, this arguments converge into Cattell‘s hierarchial model. In Cattell's model, there are fluid intelligence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on the top. Personality theory is nowdays converging into Big 5 factors. Big 5 factors is composed of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and openness. Among them, openness is highly correlated to intelligence. Openness is composed of 6 sub-factors, fantasy, aesthetic, feeling, action, idea and value. This study is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uid intelligence, crystallized intelligence and opennes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test to 229 students who are in school in Seoul and Kyungki provence. Intelligence test we use is published in Korea Testing Center in 2007. This test is for measuring university students intelligence. Personality test we use in this study is published by Ha Dae Hyun, Nam Sang In and Hwang Hae Ik in 2006. This personality test is for measuring Big 5 factors. Among them we use only openness questinaire. The problems are like below. First,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Gf, Gc and openness. Second, we study the pattern of sub-factors of opennes for explaining Gf and Gc. And we study whether there's difference in correlation Gf, Gc and sub-factors of openness in sex. Third, we study whether there's difference in correlation of high and low Gf, high and low Gc and openness, sub-factors of openness. The results are like below. First, Gc is related with fantasy, aesthetic and idea. Gf is related with feeling and idea. Second, the strongest sub-factor of openness which influences to Gf is idea, and the strongest sub-factors of openness which influences to Gc are aesthetic and fantasy. Third, in male students, Gc is related with idea, in woman students, Gc is related with fantasy and aesthetic. In male students Gf is related with idea. In women's case, Gf is related with feeling and openness. Thus both Gf and Gc is differently related with sub-factor of openness. Forth, the group which has high Gf and the group which has low Gf isn't related with sub-factor of openness. But the group which has low Gc, there i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oup and aesthetic. This study has a meaning to investigate two constructs -intelligence and personality-together which have studied separately.

      • 성격 5요인의 구조모형 검증 및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권은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15

        대학생 시기는 후기청소년에서 초기 성인기로의 이행하는 과정으로, 성공적으로 대학생활에 적응한다는 것은 대학이라는 공간에서의 안정적인 생활뿐 아니라 성인기 적응을 준비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Capsi와 Moffitt(1993)의 강조이론(accentuation theory)에 의하면 한 개인은 새롭고 예측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 성격과 같은 개인의 가장 특징적인 행동패턴에 의지한다. 따라서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있어 성격의 개인차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이다. 성격과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어 먼저 확인되어야 하는 것은 개인차를 발생하는 성격의 원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성격을 가장 잘 대표하는 구조를 검증하고자 한다. 그리고 성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검증된 성격구조를 이용하여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인 학문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및 대학애착으로 나누어 알아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성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충청 및 전라도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57명을 대상으로 성격과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였다. 성격 측정은 하대현, 황해익, 남상인(2005)가 개발한 직업인성검사의 단축형을 사용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Baker와 Syrik(1984)이 개발한 School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를 이윤정(1999)이 수정 및 보완한 대학생활적응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의 구조를 가장 잘 대표하는 모형을 확인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성격 5요인 모형, 성격 2요인 모형 및 성격의 일반요인의 경쟁모형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경쟁모형을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격 5요인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한 개인의 성격은 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및 성실성의 서로 독립적인 5가지 요인으로 설명되고 대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격은 성격 5요인 관점에서 이해, 설명 및 연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성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성격을 외생잠재변수로 대학생활적응의 4가지 하위영역(학문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및 대학애착)을 내생잠재변수로 구조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경증은 학문적응(β=-.63, p<.001), 사회적응(β=-.27, p<.001), 개인-정서적응((β=-1.00, p<.001) 및 대학애착((β=-.63, p<.001)의 대학생활적응의 모든 영역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성은 대학생활적응 중 사회적응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이었으며(β=.69, p<.001), 개인-정서적응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β=-.23, p<.01). 개방성은 대학생의 사회적응에 부적인 영향(β=-.30, p<.01)을 미쳤다. 친화성은 사회적응(β=.16, p<.05)과 대학애착(β=.17, p<.05)에 정적인 영향을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실성은 학업적응(β=.30, p<.001)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개인-정서적응에는 부적인 영향(β=.-31, p<.001)을 보고하였다. 셋째, 성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성격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5개의 모든 경로 및 신경증이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남학생집단은 여학생집단보다 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및 성실성의 성격이 학업적응에 보다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신경증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한 남학생집단이 여학생집단 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논의된 성격의 구조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경쟁모형을 설정하여 가장 적합한 성격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그 동안 혼재되어 나타나는 성격의 구조 연구결과에 이론적 도움을 주었다. 둘째, 본 연구는 성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는 성별 및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영역에 따라 다르게 관계됨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성격과 대학생활적응의 연구에서 성별을 고려하고,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영역에 따라 다각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방법론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셋째, 본 연구결과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이 중요하며, 학업적응을 위해서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교에서 학생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실제적인 의의가 있다.

      •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박미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련된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세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을 것이다. 둘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줄 것이다. 넷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원주, 구미시에 소재한 고등학생 35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생의 Big 5 성격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McCrae와 Costa의 NEO-PI-R 이론에 근거한 하대현, 황해익, 남상인(2008)의 5요인 성격검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척도의 요인은 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의 5개의 대요인과 30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Arygle, Martin, Crossland(1989)가 제작한 옥스퍼드 행복검사를 권석만(2008)이 번안한 옥스퍼드 행복척도(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척도의 요인은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 3가지이다. 김아영•차정은(1996)의 것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인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하위 요인은 자신감, 과제난이도, 자기조절효능감이다. 본 연구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자료의 분석은 SPSS(18.0)Window용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한 변인들의 기술통계치와 신뢰도를 산출하고, 성차에 따른 각 변인의 평균검사점수의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Big 5 성격요인의 상대적영향력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자기조절효능감의 하위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에서 성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ig 5 성격요인과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Big 5 성격요인 중 신경증은 완전매개모형을,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은 부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Big 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previous study related to big five personality types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calmness, four hypotheses are set up on this research. First, there should be no gender difference. Second, five personality factors,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will have a relationship. Third,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elf-efficacy will affect subjective well-being. Fourth, self-efficacy will play a role as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sample of 353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Five Personality Factors,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SPSS(18.0 win)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results of the research. The study result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on five personality factors,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fficacy. Secondly,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was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fficacy. Thirdly, the subjective well-being was affected by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elf-efficacy. Fourthly, the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of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n the other hand, the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This result indicates that self-efficacy does have a mediator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 성공지능검사에서의 능력에 대한 성차연구

        정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2005년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에서 주관하고 성공지능이론에 근거하여 하대현 등(2005)이 제작한 신종합지능검사에 나타나는 능력의 성차를 연구하는 것이다. 전체 지능의 성차와 지능의 4가지 영역(분석지능, 창의지능, 실제지능, 자동화) 및 10개의 하위검사(언어이해력, 수열추리, 도형유추, 가설적 사고, 신기한 언어유추, 통찰, 글자범주비교, 수범주비교, 일상추리, 일상도형추리)와 정보자극 3가지 유형(언어 유형, 수 유형, 도형 유형)에 있어서의 성차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 교육환경의 지역차를 이해하고자 도시구분에서 있어서 나타나는 성차 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살펴보고자 학년구분에 있어서 나타나는 성차의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연구 대상은 전국 사립중학교를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여 전국 180개 중학교에서 27,696명의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남학생은 16,158 (58.34%), 여학생은 11,538 (41.66%)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지능, 창의지능, 실제지능, 자동화 등 4개의 지능 영역에 있어서도 모두 여학생이 높았으나 창의지능에 있어서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10개 하위검사에서는 다양한 성차가 나타났다. 언어이해력, 도형유추, 신기한언어유추, 글자범주비교, 수범주비교, 일상도형추리, 일상추리-언어에서는 여학생이 유의미하게 높게, 그리고 수열추리, 통찰에서 남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 자극 유형에는 언어 유형과 도형 유형에서는 여학생이 수유형에서는 남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도형 유형의 결과는 기존 선행 연구에서 남학생이 더 우월하다고 하는 것과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넷째, 도시구분에 있어서 성차는 결과는 대도시가 중소도시에 학생들에 비해 대부분의 영역에서 더 높은 능력을 보였다. 성차에 있어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 모두 지능 영역과 정보자극 유형에 있어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도시가 중소도시에 비하여 더 큰 성차를 보였다. 다섯째, 학년 구분에 따른 성차 연구 결과는 1, 2학년이 대부분의 지능 영역과 정보자극 유형에 있어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구분에 따른 유의미한 성차는 창의지능, 언어 유형 그리고 도형유형에서만 나타났다. 창의지능의 경우 1학년에서는 여학생이 그리고 2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더 높은 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학년구분에 따른 성차에 있어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언어유형과 도형유형에서는 1, 2학년 모두 여학생이 더 높은 능력을 보이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 차이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sex differences on the ability of the Successful Intelligence Test, which was provided by the organization of the private middle schools. This test consists of a total of 143 items in four abilities(Analytical Intelligence, Creative Intelligence, Practical Intelligence and Automatization), which comprise 10 sub test such as verbal understanding, numerical deduction, geometrical deduction, hypothetic thinking, verbal analogical inference, insight, practical deduction, practical geometrical deduction, category comparison of letter and category comparison of number. The data for this study included 16,158 male students and 11,538 female students in middle school, which was a part of the data collected by the organization of the private middle schools in 2005.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way: First, Are there the sex differences on each four differential abilities? Second, Are there the sex differences on each ten differential subtests? Third, Are there the sex differences on each three types of input? Fourth, Are there the sex differences on Successful Intelligence Test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city? Fifth, Are there the sex differences on Successful Intelligence Tes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s of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 the sex differences on each four differential abilities, but it was not significant on Creative Intelligenc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abilities significantly on IQ, PQ and AM. Second, there existed the sex differences on nine subtests(verbal understanding, geometrical deduction, verbal analogical inference, insight, practical deduction- verbal, practical geometrical deduction, category comparison of letter and category comparison of number.). 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abilities significantly on numerical deduction and insight, and Female students had higher abilities on the rest of nine subtests. Third, there existed the sex differences on each three type of input. The sex differences of the verbal type and geometrical type were significant results that female was superior and male was superior on the numerical type. Fourth, the students of a metropolis had higher abilities on the most of subtests than those of a small city. In sex difference, a metropolis had a bigger difference than a small city. Fifth, there were sex differences in the classifications of grade. In both of first and second grade, Female had higher abilities in most of subtests but the result of creative is the only one which was significant.

      • 측정방식에 따른 정서지능과 창의적 글쓰기의 관계

        이수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사고에 정서를 동화시키며, 정서를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인 정서지능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능력으로 꼽히고 있다. 그동안 사회적으로 크게 주목 받아온 IQ 못지않게 정서지능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고 정서지능을 바라보는 관점 및 측정하는 방식 역시 다양해졌다. 정서지능에 대한 정의와 측정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정서지능을 하나의 인지능력으로 보고 능력측정식 검사를 통해 정서지능을 측정하려는 입장이 있고, 이와 다르게 정서지능을 비인지적인 요소가 결합된 특성으로 보고 성격과 같은 구인을 측정하듯이 자기보고식 검사로 측정을 하는 입장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정서지능과 창의적 글쓰기라는 두 구인의 관계를 측정도구를 달리하여 살펴보았다. 정서지능, 창의적 글쓰기 각각을 능력측정과 자기보고식 측정 도구를 모두 사용하여 측정 도구에 따라 두 구인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살필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측정도구(능력측정 정서지능검사, 자기보고식 정서지능검사)에 따른 정서지능 각각의 하위요인은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둘째, 능력측정도구로 측정한 정서지능 하위요인과 창의적 글쓰기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자기보고식 검사로 측정한 정서지능 하위요인과 창의적 글쓰기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124명을 대상으로 3가지 정서지능검사(MEIS, 문용린이 제작한 성인용 정서지능검사, TEIQue-SF)와 창의적 글쓰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정서지능 능력측정 검사인 MEIS는 합의 채점을 한 결과를 반영하였으며, 창의적 글쓰기 검사는 하대현(2002)의 연구에서 사용한 준거(참신성, 표현력, 완성도, 흥미성)를 참고하였다. 또한, 검사에 참여한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창의적 글쓰기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에 답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의 상관 분석은 SPSS 18.0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정서지능 측정 도구에 따라 정서지능 하위요인의 관계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서지능과 창의적 글쓰기의 관계는 정서지능을 능력측정도구를 사용하는지,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를 사용하는 지에 따라 다른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정서지능과 창의적 글쓰기의 관계는 창의적 글쓰기를 전문가가 평가한 경우와 자기보고식으로 평가한 경우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정 구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측정방식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며, 따라서 정서지능과 특정 구인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에서 다양한 측정방식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n modern society emotional intelligence including abilities about emotions such as perceiving emotions, using emotions, understanding emotions, and managing emotions is an important ability. It has been considered as a critical issue as IQ, and there are many studies regarding various perspectives and scales about emotional intelligence. There are two main perspectives about emotional intelligence. One is considering emotional intelligence as a cognitive ability and it should be measured by objective test. The other is arguing emotional intelligence is a mixed traits like personality, so that it needs to be measured by self-report test.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writing using different kinds of tests. In this study, ability tests and self-report tests were both used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writing ability, and to find out whether the relations between them can be changed.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sub factors composing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different scaling methods? Secon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writing when emotional intelligence is measured by ability test? Thir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writing when emotional intelligence is measured by self-report te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24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asurement instrument was consisted of one ability scale of EI, (Multifactor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wo self-report scales of EI (Korean emotional intelligence test developed by Moon Young-lin in 1999, and TIEQue-SF developed by Petrides), and creative writing test which made students write a story. After the tests, MEIS was scored by consensus scoring system. Two experts scored creative writing ability on scoring system Ha Dae-hyun used in 2002, for novelty, expression, completeness, interest. Participants also evaluated their creative writing ability themselv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lations between sub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caling methods. Second,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writ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different scal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writ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different scaling of creative writing. These results support that relations between some constructs differ depend on scaling methods. It shows investigations on 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me constructs should use various scaling methods.

      • 특성복합체와 성취목표지향성간의 관계

        오은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15

        Historivally, many researchers have considered the domains of cognitive(ablity), affective(personnality), and conative(interest and motivation) to be both distinct and distant from one another. Since the psychology of individual difference began to develop in early 20th century, researchers traditionally identify themselves as specialists in one or another. Recent meta-analytic reviews and new empirical research suggest that there are fundamental communalities among particular measures of cognition, affect, and conation. These communalities, in turn, yield a relatively small set of trait complexes-groups of traits that are related to one another and that appear to be differentially related to career choices and academic achivement. The initial impetus of trait complex was an inductive meta-analysis and review conducted by Ackerman and Heggestad(199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rivation of trait complex and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rait complex scores and motivational traits. Considering motivationl trait, along with trait complex can provide an integrated assesment of the students. Ablity tests, personnality, interest, achievement goal scale were administered to 380 high school students. Ablity tests considered of Gf and Gc intelligence. Personality scale considered of five factors of FFM(five factor model). And interest scale considered of six Holland vocational interest construct. Collected data went through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OVA,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First, five types of trait complex were identified( empirical data on trait complex conducted by Ackerman and Heggestad are reviewed). Second, trait complex scores for each 380 students were computed by a simple z-score composite(that is, each of the scales that mapped to the trait complexes was first converted to a z score, then added together to yield trait composite scores). 90students showed high Science/Mathematics complex scores, 61 students showed high Intellectual/Cultural complex scores, 61 students showed high Artistic complex scores, 61 students showed high Clerical/Conventional complex scores, 93 students showed high Social complex scores. Third, expressed comparative tall higher correlation between five types of trait complexe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ur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vels have meaningful relation with the trait complex scores. Fifth, trait complex scores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onclusion, trait complexes can reduced the number of different dimensions that need to be considered by the counselor and client. And, there is a synergy among elements within the trait complexes, so that concentrating on trait complexes is more informative than individual trait measures. 오랜 심리학 역사를 통해 인지적 능력(지능), 의지적 특성(흥미 및 동기), 정서적 특성(성격)의 영역은 따로 분리되어 그 각각의 영역별로 연구되어 왔다. 20세기에 들어와서 개인차 심리학이 발달하면서 인지, 의지, 정서의 개인차 구인들이 특수한 속성유형을 분화되어 독립적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이다. 최근들어, 인지영역과 정서영역과 의지 영역의 일부 연구자들은 메타분석연구나 경험적 연구들을 통해 이들 특성들 간에 공통성이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인 연구가 Ackerman의 특성복합체(trait complex)개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복합체(trait complex)라는 인지적 특성(능력), 의지적 특성(흥미 및 동기), 정서적 특성(성격)간의 유의미한 공통성(상관)을 기초로 고안된 개념을 바탕으로 특성복합체의 유형에 따라 성취목표 지향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특성복합체와 함께 동기 특성(성취목표지향성)을 추가로 고려한다면 통합적 평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380명을 대상으로 하여, 능력검사와 5요인 성격검사, 흥미검사, 성취목표 지향성검사를 실시하였다. 능력검사에서는 언어력, 수열추리, 도형유추, 지각속도, 유창성 측정치를 구하고, 성격에서는 Costa와 McCrae의 5요인 성격 측정치를, 흥미에서는 Holland의 6유형 흥미 측정치를 구하였다. 측정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치,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 성격, 흥미의 세 개의 심리검사를 이용해 특성복합체를 구성하기위해Ackerman의 특성복합체모형을 비롯한 선행 연구 결과와 함께 우리나라 고등학생 432명을 대상으로 위의 세 검사를 실시하고 특성복합체를 구한(하대현, 신예덕 2004) 통계적 결과를 고려하였다. 그 결과 과학/수학 특성복합체, 이지/교양 특성복합체, 예술적 특성복합체, 사회적 특성복합체, 사무/관습 특성복합체를 발견 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복합체 유형의 표준점수를 계산해 본 결과, 수학/과학 특성복합체 96명, 이지/교양 특성복합체 61명, 예술적 특성복합체 61명, 사무/관습 특성복합체 69명, 사회적 특성복합체 93명으로 수학/과학 특성복합체와 사회적 특성복합체 유형에 속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사무/관습특성복합체, 이지/교양 특성복합체, 예술적 특성복합체 유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능력, 성격, 흥미 특성들의 영역별 표준점수를 통해 산출된 개인별 복합체점수유형에 따라 성취목표지향성을 변별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모든 복합체 유형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특히 사무/관습 특성복합체에 속하는 학생은 숙달접근과 .45 (p<.01)이상으로 상관되었다. 수행회피 성취목표지향성은 사무/관습(.17) 및 사회적 특성복합체(.23)와 상관되었다. 넷째, 특성복합체 유형에 따라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결과 수학과학 및 사무/관습복합체에서는 숙달 접근목표지향성이 가장 높았다. 나머지 복합체에서는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특성복합체는 지식습득에 대한 노력 및 동기의 수준을 알려주는 지표로 설명될 수 있었다는 선행연구에 따라 특성복합체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성취목표지향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각각의 복합체유형에 의해 설명되는 변량은 다음과 같다. 이지/교양 특성복합체는 숙달접근 성취목표 지향성 변량의 약 36%를 설명해주고 있다. 본 연구의 상관에서는 숙달회피 목표지향성과 현실형 흥미요인, 신경증의 성격요인만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사회성과 진취형이 사회적 특성복합체를 이루어 숙달회피 전체 변량의 16%를 설명해주었다. 이지/교양특성복합체는 수행접근 성취목표변량의 15%, 사회적 복합체는 수행접근 성취목표변량의 16%를 설명해주었다. 종합하면, 특성복합체는 학생들의 상이한 개인차 특성들의 수를 줄이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특성복합체들에 포함되는 여러 특성 간에 상승효과 즉, 특성복합체들이 개별적인 특성 측정치보다 학업성취나 진로 선택에 있어 더 정보를 많이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지능, 성격, 학습접근책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모화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학업성취 수준의 개인차를 야기하는 심리적 특성을 찾고 그들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교육심리학의 중요한 연구 주제였다. 그동안의 연구들은 학업성취에 대한 개인차 변인들의 영향력을 독립적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에 이를 통합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개인차 변인인 지능, 성격 및 학습접근책의 예측력을 확인하고, 이들 변인들이 어떠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학업성취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통합적인 모형을 제안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 아래 이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과 성격은 학업성취를 어느 정도 설명하고, 성격은 지능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둘째, 지능과 학습접근책은 학업성취를 어느 정도 설명하고, 학습접근책은 지능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셋째, 학업성취에 대한 지능, 성격 및 학습접근책의 통합적 구조모형은 타당한가?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의 2개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364명(남학생 172명, 여학생 192명)이었으며, 이들에게 지능(유동지능 및 결정지능), 성격(신경증, 개방성 및 성실성 요인), 학습접근책(심층접근책 및 표층접근책)을 측정하였다. 학업성취 자료는 국어, 영어, 수학의 교과성적을 사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에 대한 성격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학업성취의 변량에서 지능에 의해 설명되는 변량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각 성격의 하위요인 이 가지는 추가적인 설명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능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각 성격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업성취에 대한 학습접근책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학업성취의 변량에서 지능에 의해 설명되는 변량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학습접근책의 추가적인 설명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능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습접근책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학업성취에 대한 지능, 성격 및 학습접근책의 통합적 구조모형은 수용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지능, 성격 및 학습접근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과 지능과 성격이 학습접근책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였다. 그리고 지능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성격과 학습접근책이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지능, 성격 및 학습접근책 변인들 간의 관계를 고려한 통합적인 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포괄하는 모형의 결과에서 밝혀진 구체적인 경로와 매개효과는 학업성취 증진을 위한 수업설계나 프로그램 개발에서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o understand individual difference factors affecting on academic achievement is a major topic in Educational Psychology. So far, the former studies has dealt the influences of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independently, so the study to intergrate influences of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dictability of major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like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approaches to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o suggest and to verify the integrated model which is considering the relation of these individual variables. For these aims,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like below. First, how much do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explai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does personality mediate the relation of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how much do intelligence and approaches to learning explai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does approaches to learning mediate the relation of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is the structural model of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approaches to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valid? The subjects are the 364 freshmen of 2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male 172, female 192). They are requested to answer intelligence test(fluid intelligence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personality(neuroticism,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and approaches to learning(deep approach to learning and surface approach to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was measured as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grad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major results are like below. First, the influences of personality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confirmed. Controlling for effectiveness of intelligence, the additional explanation power of sub-factors of each personality were significant.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personality in the relation of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not significant. Second, the influences of approaches to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confirmed. Controlling for effectiveness of intelligence, the additional explanation power of approaches to learn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mediation effects of approaches to learning in the relation of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Third, the integrated structural model of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approaches to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was identified to be vali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every path, the effectiveness of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approaches to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on approaches to learning were significant.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personalty and approaches to learning in the relation of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implication that it suggested and verified the integrating model considering the relation of these variables. And the results of specific paths and mediation effects of integrated structural model can be used as basic references for guidelines in designing the class and programs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 교실수업환경, 자기효능감 및 수학학업성취의 종단적 구조모형 검증

        정윤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Since mathematics achievement is regarded as a key indicator of personal cognitive ability, it plays a crucial role in education transition and career choice. Moreover, it is important in term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of industry. Recently,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level of mathematics achievement in Korea adolescents is polarized, and the number of students giving up learning mathematics is increasing. 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mathematics learning and its individual differ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I explored the growth trajectory of mathematics achievement during the three years of middle school and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mathematics achievement,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In addition, I investigated how these longitudinal relations differ depending on the initial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 and gender. The study used the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KELS: 2005), which provides 6,404 middle school students(3,352 males and 3,052 females)’ survey responses collected three times over the course of three years. A multi-group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athematics achievement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growth trajectory of the middle school was linearly changed. Students showed improvements in mathematics achievement over time, but self-efficacy was decreased during three year. Second, the higher the initial status of self-efficacy, the higher the initial status of mathematical achievement. The effects of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on the change rate of mathematics achievement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the initial status and the change rate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of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Third, the longitudinal structure relationship of th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showed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initial achievement level. Specifically, the effect of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on the initial status of mathematics achievement was significant only for low-achieving students whereas the effect of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on the change rate of mathematics achievement was significant only for high-achieving students. The initial status of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status of mathematics achievement, which was stronger for high-achieving students. Fourth, th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self-efficacy had differential effects on mathematics achievement depending on gender. Specifically, the effects of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on both of the initial status and the change rate of mathematics achievement were only significant for boys. Also, the effects of both of the initial status and the change rate of self-efficacy were stronger for boys. The effect of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on the initial status of self-efficacy was stronger for boys. These findings show that in order to sustain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it is very helpful to perceive th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positively and to form and maintain the self-efficacy in mathematics clas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in facilitating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ment of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enhance students' self-efficacy in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수학 성취는 개인의 인지 능력의 주요 지표로서 상급학교 진학 및 진로 선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국가의 산업발전의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수학성취 수준이 양극화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수학성취의 개인차가 발생하는 원인과 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요인과 환경요인을 동시에 고려하여 이들이 수학학업성취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자기효능감과 교실수업환경이 수학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중학교 3년간의 수학학업성취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정한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학업성취와 자기효능감은 중학교 3년간에 걸쳐 어떠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는가? 둘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교실수업환경, 자기효능감 및 수학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구조 모형은 타당한가? 이 모형에서 자기효능감은 두 변인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셋째, 중학교 1학년의 초기수학성취 수준에 따라 교실수업환경, 자기효능감, 수학성취도의 종단적 구조 관계는 차이를 나타내는가? 넷째, 성별에 따라 교실수업환경, 자기효능감, 수학성취도의 종단적 구조 관계는 차이를 나타내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KELS:2005) 1차년도-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총 6,404명의 중학생(남학생 3,352명, 여학생 3,052명)의 자료들에 대해 다집단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해 구한 주요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3년간의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화 양상은 선형적으로 향상된 반면에, 자기효능감의 변화 양상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의 종단적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에서 교실수업환경과 자기효능감이 수학성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기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초기 수학성취도도 높았으나, 수학성취도 향상률은 작아졌다. 또한 교실수업환경을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 감소율이 작을수록 수학성취도 향상률이 커졌다. 그리고 교실수업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학생일수록 자기효능감의 초기값이 높았으며, 중학교 3년 동안 자기효능감의 감소율이 작아졌다. 교실수업환경과 수학성취도 변화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교실수업환경, 자기효능감, 수학성취도의 종단적 구조관계는 초기성취수준에 따라 상이한 관계 양상을 나타냈다. 초기성취수준 상·하 집단은 수학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서 동일한 형태의 변화궤적을 나타냈으나, 초기값과 변화율의 평균에서 차이를 보였다. 수학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의 초기값은 상집단이 더 높았다. 그러나 하집단은 수학성취도의 향상률은 상집단보다 더 컸고, 자기효능감의 감소율도 더 작게 나타났다. 또한 상·하 집단은 교실수업환경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를 나타냈다. 하집단의 경우 교실수업환경이 동 시점의 수학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이와는 반대로 상집단에서는 수학성취 향상률에 유의한 영향을 주어 종단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실수업환경과 수학성취도 변화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감소율의 매개효과도 상·하 집단에 따라 다른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라서도 교실수업환경, 자기효능감, 수학성취도의 종단적인 구조관계가 상이한 양상을 나타냈다. 남녀집단은 수학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이 동일한 형태로 변화했으며, 수학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의 평균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자기효능감의 초기값과 변화율의 평균에서만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초기값은 남학생이 더 높았으며 자기효능감의 감소율도 남학생이 더 적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경로의 차이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여학생들은 남학생보다 수학성취도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교실수업환경의 영향력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실수업환경과 수학성취도 변화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감소율의 매개효과도 남·녀 집단에 따라 다른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학생의 수학성취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있어 개인요인인 자기효능감과 환경요인인 교실수업환경이 가지는 종단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 시점(초기) 내에서 수학성취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예측력은 횡단적으로 설계된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이 종단적 연구에서도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장 주목할 점은 초기 자기효능감 수준이 수학성취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오히려 초기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수학성취 향상률은 작아졌다. 즉 수학성취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설명력은 시간 관계(횡단적 또는 종단적)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수학성취 향상을 위해서 도전적이고 지지적인 교실학습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노력과 아울러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려는 의도적인 시도가 요구된다. 특히 자기효능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고려했을 때,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을 형성하고 이를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수학의 교수-학습설계에 있어 초기성취수준과 성별에 따른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교실수업환경, 자기효능감, 수학성취도의 구조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수학성취도의 개인차와 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수학성취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수업 설계에 근거가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