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과 한국의 문화산업 지원정책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등전원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한 국가의 단계별 문화산업 정책은 그 당시의 문화산업 발전 상황을 토대로 입안되며, 문화산업의 발전은 그 사회 객관적인 발전 상황과 정부의 주관적인 정책 추진과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문화산업 정책을 비교 연구하여, 중국 문화산업 육성정책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분석방법은 비교연구법, 문헌분석법, 다른 이론과 교차연구방법 등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비교연구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첫째 중국의 문화산업 정책은 지역별로 각각 그 특성에 맞는 정책을 수립한 반면, 한국의 경우와 국가 전체적 측면에서 중앙 정부 중심의 정책을 수립하였다. 두 번째는 한국은 시장 중심적으로 정책을 추진한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공공성을 바탕으로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한 부분이 큰 차이점이다. 세 번째는 한국의 경우 콘텐츠 자체를 중심으로 해외진출을 추진한 반면 중국은 미디어의 현대화와 인수합병을 통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는 결국 시장중심 정책과 국가 주도 정책의 차이점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지원정책의 측면에서 비교하였을 때도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즉 시장중심의 한국 지원정책과 국가주도의 중국 지원정책이 차이점이다. 먼저 해외진출 지원정책 부분에서는 한국의 경우 콘텐츠 그 자체를 해외진출 시키기 위한 지원정책인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문화의 교류라는 측면에서 지원정책을 접근하였다. 두 번째 인력양성의 부분에서 시장 중심인가 국가 주도인가 구분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한국의 경우 창의력을 키우기 위한 인력양성정책을 진행한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관료를 대상으로 정책을 추진하였다. 즉 중국은 정부 주도하에 문화산업의 정책의 추진을 목표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금융정책의 부분에서도 민간주도의 금융정책을 한국은 추진하였는데 중국은 이 부분도 정부에서 주도하여 추진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과 한국은 모두 중앙에 관련 문화조직을 두고 있지만 한국의 조직구조는 보다 구체적이고 합리적이며, 각 부처별로 업무가 명확하고 정책체계가 잘 갖춰져 있고, 한국은 변화하는 외부 환경과 발전 상황에 따라 기관과 정책을 적절한 시점에 조정할 수 있는 반면 중국은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직이 경직되어 있고, 지금까지 전국적으로 통합된 문화산업 정책을 수립하지 않았으며 지역 중심으로 추진한 결과 중국의 각 지역 경제 발전이 불균형을 이루면서 지역마다 고유한 문화산업을 형성하게 되었고, 전반적으로 한 지역의 경제 수준에 따라 문화 경제적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중국은 정책적으로 상호보완적·협력적 개발을 유도하고, 발달 구역의 앞선 문화 이념, 과학기술, 예술적 형식을 저개발 지역에 접목하여 조정·촉진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한국 문화산업 정책의 최대 실적은 '한류' 전파다. 한국의 조류가 아시아 시장에 밀려들면서 한국의 문화가 세계 속에 스며들기 시작하고 세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할 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세계문화가 함께 조성되면서 문화발전정책은 전국의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경제적 이익을 발생시켜 문화는 진정한 산업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해외에 진출할 때 문화 수출을 상품과 연계한 결과,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아시아는 물론 유럽까지 진출하여 한국의 문화를 전파하였다. 이와 같이 문화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적 의사결정이 합리적인 산업구조를 만들어 가는 점을 생각할 때 중국에 제시하는 정책적인 시사점으로서는 중국의 풍부하고 독특한 전통문화 자원을 통합 분석하여 강점을 발견하고, 최첨단 정보기술(IT)로 시대의 활력을 불어넣고, 앞선 작동기술을 활용해 중국의 전통문화 제품을 새롭고 독특하게 만들어 브랜드의 강점을 만들어 내야 한다. 또한 인력 양성에 있어서도 한국은 창의적 인재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이 시사하는 점은 중국이 문화산업의 고속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높은 자질을 갖춘 전문 인력을 보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문화전문인력의 부족은 중국 문화산업 발전의 내재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중국은 계속해서 자질이 높고, 한국과 같이 창의력이 있는 새로운 인재를 양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하지만 정책적 측면이나 지원정책 부분에서 한국의 경우에는 문화산업백서가 있어 이에 대한 내용을 분석할 수 있었음에 비해 중국의 경우에는 문화산업백서가 아직 발간되지 않아 중국과 한국의 세부 지원내용을 비교 분석하지 못한 한계로 존재하며, 보완의 필요성이 있는 개인적 주장들이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이 필요하다 생각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중국과 한국 양국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들이 추진되기를 기대한다. A country's step-by-step cultural industry policy is drawn up based on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at the tim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s the product of the social objective development situation and the subjective policy drive and interaction of the government. In this study, it was proposed to improve China's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policy by comparing and studying the cultural industry policies of Korea and China. There are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literature analysis methods, and other theories and cross-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cused on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in terms of policy, China's first cultural industry policy established policies suitable for each region's characteristics, while central government-centered policies were established in terms of Korea's case and the country as a whole. The second is that South Korea has pursued its policies market-oriented, while in China, it has been driven by the state based on its public nature. The third was for Korea to pursue overseas expansion based on the content itself, while China pursued policies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media and mergers and acquisitions. This can be represented as a difference between market-oriented and state-led policies. And the same thing happens when compared in terms of support policy. In other word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arket-oriented South Korean aid policy and the national government's support policy for China. First of all, the support policy was approached in terms of cultural exchange in China while the support policy was designed to help Korea advance its contents abroad.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market-oriented and state-led in the second part of fostering human resources. In the case of Korea,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to foster creativity, while in the case of China, policies were implemented for government officials who established and promoted policies. In other words, China aimed to implement policies of the cultural industry under the initiative of the government. Finally, in the part of its financial policy, Korea pushed ahead with its private-led financial policy, which China led by the government. According to the study, China and Korea both have related cultural organizations in the center, but Korea's organizational structure is more specific and rational, each ministry has clear work and a well-established policy system, and Korea can adjust institutions and policies according to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situation at the right time, while China has relatively rigid organization and has not established a unified cultural industry policy across the country so far, resulting in an imbalance i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China needs to induce complementary and cooperative development policy, and adjust and promote the advanced cultural ideology, science and technology and artistic form of the development zone by grafting them into underdeveloped areas. And the biggest performance of Korea's cultural industry policy is the spread of "hallyu." Not only does Korean culture begin to permeate the world and affect the world as Korea's currents flood the Asian market, but with the creation of colorful world cultures, cultural development policies have promoted economic growth across the country and generated economic benefits, resulting in genuine industrialization. And as a result of linking cultural exports to products when entering foreign countries, Korean cultural contents have spread Korean culture not only in Asia but also in Europe. Considering the fact that strategic decision-making to develop the cultural industry is creating a rational industrial structure,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we present to China are to discover the strengths of China's rich and uniqu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through integrated analysis, invigorate the times with state-of-the-art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ke Chinese traditional cultural products new and unique using advanced operating technologies to create the strengths of the brand. In addition, Korea`s emphasis on fostering creative talent suggests that China must have a highly qualified professional workforce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its cultural industry. It is clear that the lack of cultural professionals does not meet the inherent needs of the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industry, so China should continue to focus on nurturing new talent with high quality and creativity like Korea. However, in terms of policy and support policy, Korea has a white paper on the cultural industry, so it can be analyzed, whereas in China, detailed support details of China and Korea are not yet published, and there are personal arguments that need to be supplemented. These parts are thought to need to be supplemented through further research, and we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push forward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between China and Korea.

      • 성공 한류 드라마에 나타난 영웅서사의 현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 KBS 드라마 <태양의 후예>를 중심으로

        박경민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K-드라마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영웅서사의 현대적변용으로부터 스토리텔링 전략 수립의 가능성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신화와 뿌리가 맞닿아 있는 영웅서사는 보편적 감성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유효한 스토리텔링 전략일 수 있으나 지고한 세월을 건너뛰어 현대 시청자들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현대적 변용이 필수불가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성공 한류 드라마인 <태양의 후예>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영웅서사의 현대적 변용에 기반 한 스토리텔링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K-드라마 제작에의 유의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태양의 후예> 텍스트적 특성으로 본 영웅서사는 어떠한가? 둘째, <태양의 후예> 시청자 수용양상으로 본 영웅서사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고자 크게 텍스트 분석과 인터넷 게시판 내용 분석 두 가지의 연구방법을 취하였다. 먼저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는 <태양의 후예>에 내재하는 영웅서사의 원형을 조명하고자 하였는데 보글러가 제시한 영웅의 여행 모델에 대입시켜본 결과 특히 작품 후반부로 갈수록 충실하게 원형의 뼈대를 품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는 이야기의 기본 요소인 인물, 사건, 배경 그리고 소재 및 주제의식 4가지 항목에 있어 본 작품에 나타난 영웅서사의 현대적 변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태양의 후예>는 영웅서사의 기본 뼈대를 충실히 따르면서도 현대적 변용이 적절히 이루어져 현대라는 시공에 걸맞은 모습으로 다듬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국내외 시청자들의 실질적인 수용양상을 살펴보고자 인터넷 게시판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KBS 공식홈페이지의 게시물 514건과 미국 내 한국드라마 시청을 위한 주요 플랫폼인 드라마피버(DramaFever)의 게시물 552건을 각각 선정하여 국내와 해외 시청자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텍스트 분석을 통해 조명한 영웅서사의 현대적 변용이 실제 시청자들의 긍정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한 스토리텔링 전략이었는가를 검토하기 위함이었다. 분석 결과 인물, 사건, 배경, 소재 및 주제의식 각각에 있어서 유의한 시청자 반응이 나타났다. 첫째, 인물 구현 방식에 있어서는 ‘정신적 스승’의 부재를 조력자가 대치하면서 그 비중이 증가한 점, 성숙한 인간관계를 맺는 현대적이고도 개성적인 인물 설정에 대해 공통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반면 해외 시청자의 경우는 여성주인공의 감정 표현이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이는 대체적으로 현대적 변용이 국내외 시청자 모두에게 매력 요인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사건 전개 방식에 있어 지지요인으로는 시험, 협력자, 적대자 단계에 집중하여 빠른 전개가 나타난 점, 막장과 같은 전형적인 한국 드라마의 요소가 부재한 점, 주변 인물들의 다양한 소영웅담이 있었다. 비난요소로는 13화 이후 이어지는 반복적 전개와 비현실적인 주인공의 부활이 있었는데 전자의 경우는 일상세계와 특별한 세계 간 모호한 공간 구분에 기인하는 비판으로서 외려 명료한 공간의 구분과 모험의 종결을 특징으로 하는 영웅서사의 원형에 대한 선호도를 엿볼 수 있었고 후자의 경우는 변용의 정도가 다소 미약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셋째, 배경 설정 방식에 있어서는 우르크라는 재난 지역이 배경이 된 것에 대해 전략적이었다는 국내 시청자들의 인식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의견은 게재되지 않았는데 배경은 그 자체로 유효하다기보다는 이야기의 다른 요소들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전략적 장치가 된다는 점에서 직접적으로 시청자의 반응을 촉발시키지는 않았던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소재 및 주제의식에 있어 공통적으로 나타난 긍정적 반응은 명예, 삶, 생명 등을 아우르는 휴머니즘적인 메시지 전달에 있었다. 이러한 휴머니즘은 영웅서사가 지니는 보편적 감성에의 호소력을 한 층 더 강화한 변용 전략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해외 시청자들은 추가로 군인과 의사라는 소재의 결합에 대한 흥미를 표현했으며 로맨스, 액션, 유머, 드라마 등의 장르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점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반면 국내 시청자 중에는 여러 메시지가 혼재하는 것에 대해 비난의 입장이 나타났다. 요컨대 신화의 원형을 품고 있는 영웅서사는 분명 유효한 스토리텔링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할 작업은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끔 작품 고유의 매력과 개성을 현대적인 색채로 그려내는 현대적 변용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태양의 후예>라는 가장 최근의 성공 한류드라마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영웅서사의 현대적 변용은 전반적으로 국내외 시청자들로부터 긍정적 반응을 유도하며 유효한 스토리텔링 전략임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공통적으로 제기된 지지요소는 향후 강화점에 대한 시사점을, 비난요소는 보완점에 대한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했다. 이로써 본 연구는 영웅서사의 현대적 변용에 기반 한 스토리텔링 전략의 유효성을 조명함으로써 향후 K-드라마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storytelling strategy from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heroic narrative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K-Drama. Heroic narrative has been considered to be a valid storytelling strategy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Hollywood, since it arouses the universal sentiment. However, modern transformation is needed to embrace modern viewers, which makes heroic narrative tailored to suit contemporary taste with its own attractiveness. In this sense,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heroic narrative by analyzing the recent successful Korean Wave Drama, “Descendants of the Sun.” It had been originally planned for overseas export based on delicate storytelling and actually gained tremendous popularity not only in Korea but around the globe when aired in 2016. By analyzing this drama in terms of heroic narrative, this research tried to draw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producing successful K-dram in the futur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would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roic narrative in terms of the text of “Descendants of the Sun”? Second, what would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roic narrative in terms of the views response of “Descendants of the Sun”?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wo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analyzing the text and the Internet bulletin board. First of all, the text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at the heroic narrative was embedded in the “Descendants of the Sun” and how it was transformed. To be specific, this drama was confirmed to match a hero’s journey model, the one Vogler suggested. Further, it was found that modern transformation was made as to the characters, events, background, and material and theme, which are the basic components of the story. As a result, it appears that “Descendants of the Sun” adhered to the basic framework to the heroic narrative, but at the same time proper modern transformation was made to capture contemporary viewers. Next,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Internet bulletin board was conducted to look into the actual reactions of the viewers. The detailed analysis targeted 514 posts on KBS official homepage, and 552 posts on ‘DramaFever’, which is the American online streaming site for watching Asian Drama. It was to examine whether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heroic narrative did actually prompt the audience to be attracted to the drama. Through continuous classification work, only the posts related to the story were selected and the common opinions were collected.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t audience reaction in each of the characters, events, background, and material and theme. First, in terms of the characters, positive reaction was commonly made regarding the increased importance of the supporting characters as a helper, and setting up the leading character as mature and contemporary. On the other hand, foreign viewers raised criticism against the female character about her being passive in expressing her feelings. Secondly, Korean and foreign viewers were all positive about the fast and well-organized development of the events, the absence of the typical cliche of K-drama, and the surrounding characters’ small version of hero stories. However, they all criticized about the repetitive story following the 13rd episode and the revival of the hero, which seemed very unrealistic. Thirdly, there was no particular opinion about the background except the local viewers’ reaction that the disaster zone as a background was felt strategic. Lastly, when it comes to the material and theme, there appeared the positive response about the message of humanism covering the honor, life, dignity, sacrifice and so on. Additionally, foreign views expressed interest in combining the soldiers and doctors and responded very positively to the fact that the diverse genres, such as romance, action, humor, and drama, were blended very well. To sum up, modern transformation did work as a powerful incentive to attract local and foreign audience all together by stimulating the universal sentiments with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taste in “Descendants of the Sun.” However, further modification will be also needed as we see from the negative response of the viewers.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hopes that it will serve as a valid indicator for the establishment of a futuristic storytelling strategy for producing another successful K-drama.

      • 문화예술교육이 창의성과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적 시사점 : 청소년 합창단을 중심으로

        박나송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investigates in creativity and practical changes concerning culture enjoyment of youth experiencing education through arts activities via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nd furthermore suggests political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al experiences. Some researches have stated that cultural experience during adolescent period has overall impacts on cultural consumption. Culture enjoyment gained through cultural consumption offers emotional stability and enrichment, and in order to broaden its range, a variety of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al experiences are essential.ᅠ Therefore necessity of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is increasing.ᅠ Definition of the term,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and is still undergoing discussions, though Support for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ct defines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s an education that includes cultural industry and cultural assets in curriculums or applies them into curriculums. Furthermore, by stating its basic principle as 'We aim for education that will allow all to enjoy education through arts and develop creativity', it has emphasized concepts of creative learning and culture enjoyment through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ᅠ Hence, this research sets <Youth Choir>, an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program, as its subject of analysis and studies its effects on creativity and culture enjoyment.ᅠ A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participants(choir members), and on- and off-line 1:1 surveys have been made. ᅠ A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held with the choir members' parents and instructor as a group interview.ᅠ To retain objectivity for the survey and survey results of 103 participants(choir members), observers(instructor and parents) were interviewed, which led to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studying creative learning's 5 factors, which are inquiry skills, persistence, imagination, skills, and collaborative skills,ᅠ in the participants scored above 3 points.ᅠ The longer the exposure, the higher points they received, showing that their imagination has enhanced.ᅠ Also, in studying the observers, positive changes could be found as they had attitude of daily life concerning the 5 factors.ᅠ Thus, it can be stated that the study results of the participants and observers match. Second, the study result of the participants(choir members) on culture enjoyment, they received above 3 points for sections of positive mentality, durability, interest, and comprehension on the survey.ᅠ A sense of friendliness on education through arts showed improvement according to questions related to changes found in daily life.ᅠ Psychological factors of culture enjoyment were recognized as 'happiness' and 'joy'. The study of observers also showed a rise of interest in education through arts compared to what it was before undergoing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nd the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continue with it, demonstrating positive influence on culture enjoyment.ᅠ In addition,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for culture enjoyment could be observed. Thus, it can be stated that the study results of the participants and observers match. Meanwhile, poli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how Korea's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is regarded to have limits from observers' point of view have been drawn. First, provision for more opportunities of culture enjoyment and a policy to overcome regional differences are necessary. Even within a same region, opportunities of culture enjoyment showed great disparity depends on locations' characteristics. Second, enhancement of the public awareness on culture enjoyment is necessary. The fact that culture enjoyment is not something special that only those who do it 'well' can possess but is an element of daily life that will bring happiness into life needs to be known. Third, culture enjoyment should not be optional but essential. As the period of adolescence is the crucial time when one's course of life and life value are decided, it is crucial to provide diverse cultural experiences apart from academics.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활동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의 창의성과 문화향유에 대한 실제적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며 나아가 문화예술교육의 경험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기의 문화경험은 문화소비 전반에 영향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문화소비를 통한 문화향유는 정서적 안정과 풍요로움을 제공하지만 그 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청소년기부터 다양한 문화예술교육과 경험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용어는 보편적인 정의가 아직 정립되지 않고 여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서 정의한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산업,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기본 원칙을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와 창조력 함양을 위한 교육을 지향한다.’고 정하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창의학습과 문화향유에 대해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인 <청소년 합창단>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여 창의성과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다. 참가자(단원)를 대상으로 한 양적 연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1:1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관찰자인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는 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103인의 참가자(단원)의 설문조사와 설문결과에 객관성을 더하기 위한 관찰자(지도교사·학부모)와의 인터뷰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먼저 창의학습 요소에 대한 참가자 연구 결과 탐구력, 끈기, 상상력, 숙련, 협력성 5가지 요소 모두 3점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며 경력이 오래 될수록 높은 점수를 받아 창의력이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찰자 연구에서는 5가지 요소에 대한 일상생활 태도를 발견하여 긍정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참가자와 관찰자의 연구결과가 일치 한다고 볼 수 있다. 두 번 째로 문화향유에 대한 참가자(단원) 연구 결과 긍정적 심리, 지속성, 친밀도, 관심도, 이해도 항목의 설문결과 3점 이상의 점수를 받았으며 일상생활의 변화에 관련된 항목의 질문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친밀감이 상승 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향유에 대한 인식은 ‘행복함’과 ‘즐거움’ 의 심리적 요소로 나타났다. 관찰자 연구에서도 문화예술교육 수행하기 전보다 후에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인 활동의지를 나타냄으로서 문화향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문화향유를 위한 소비의지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에 참가자와 관찰자의 연구결과가 일치 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관찰자 입장에서 바라본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에 관한 인식개선과 정책적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문화향유에 대한 기회확대와 지역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같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위치적 특성에 따라 향유기회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문화향유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향유는 ‘잘’ 하는 사람만 가질 수 있는 특별한 것이 아닌 삶에 행복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일상의 요소임을 알려야 할 것이다. 셋째, 선택적 문화향유가 아닌 필수적 문화향유가 되어야 한다. 청소년은 다양한 진로와 삶의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학업에서 탈피 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제공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영상 처리 시스템을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설계 기법 연구

        김병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설계 기법은 하드웨어의 반복적인 연산 처리 능력과 소프트웨어 설계의 유연성, 저비용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효과적인 설계 기법이다. 특히,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설계 기법에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각각의 장점을 수용하고, 단점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로 설계되어야 할 부분과 하드웨어로 설계되어야 할 부분을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시스템에서 n배의 속도 향상이라는 제약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효율적으로 분할하는 Primitive Instruction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Primitive Instruction은 코덱 시스템에서 하드웨어로 수행될 부분을 수행할 전용 명령어이다. Primitive Instruction을 선정하는 과정은 곧 소프트웨어로 수행될 부분과 하드웨어로 수행될 부분을 분할하는 과정이다. 사례 연구로써 Primitive Instruction 디자인 기법을 H.264의 움직임 예측부에 적용하여 Primitive Instruction을 디자인 하였다.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시뮬레이터의 결과를 통해 3배, 5배, 10배, 15배, 25배의 목표 속도 향상을 얻기 위해 다양한 Primitive Instruction Set이 결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Many hardware and software co-design methodologie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overall system performance, reliability and cost-effectiveness of digital systems for decades. This paper presented an efficient co-design methodology using primitive instruction sets for a variety of video processing algorithms. As a case study, this paper applies the proposed co-design method to the motion estimation of H.264 video coding standard, which is one of the most time-consuming parts in H.264.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improves motion estimation speed by 3, 5, 10, 15 and 25 times compared to native motion estimation using proposed method of hardware-software partitioning.

      • 쥐를 이용한 출혈성쇼크-소생술 후 폐손상 모형에서 흡입 수소가스의 보호 효과

        강두영 고려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1. 연구 목적 외상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출혈성 쇼크에 따른 소생술은 여러 장기를 포함한 폐실질의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급성 폐손상은 외상 환자의 합병증을 높이고 사망에까지 이르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출혈성 쇼크와 소생술 후 발생하는 폐손상 모형에서 2% 흡입 수소가스의 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로 염증 매개 인자들을 통해 수소가스의 흡입이 염증 반응 감소 효과를 보이는 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2. 연구 방법 연구에 사용된 쥐를 3개의 군(Sham 군, HSR 군, H2/HSR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Sham 군은 출혈성 쇼크를 유발하지 않고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대조군 기체를 투여하였고, HSR 군과 H2/HSR 군은 출혈성 쇼크 및 소생술을 시행하였으며, 정해진 시간 동안 각각 대조군 기체와 2% 수소 기체를 투여하였다. 염증 반응 감소 효과 확인을 위해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 조직학적 검사, myeloperoxidase 활동성 및 염증 매개 인자로 알려진 IL-1β, IL-6, tumor necrosis factor(TNF)-α,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 chemokine (C-C motif) ligand 2(CCL2)를 측정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3. 결과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 결과 PO2수치는 Sham 군 > HSR 군 = H2/HSR 군, PCO2 수치는 Sham 군 = HSR 군 = H2/HSR 군, lactate 수치는 HSR 군 > Sham 군 = H2/HSR 군 소견을 보였다. 조직 검사 상에서는 HSR 군에서 염증 세포의 침윤 소견이 많이 관찰되었고, myeloperoxidase 활동성은 HSR 군 > H2/HSR 군 > Sham 군 순서로 높게 측정되었다. 폐내의 염증 매개 인자는 IL-6를 제외하고는 HSR 군 > H2/HSR 군 > Sham 군 순서로 높아져 있었고, IL-6의 경우 HSR 군 > Sham 군 = H2/HSR 군의 소견을 보였다. 4. 결론 출혈성 쇼크와 소생술 후 폐손상 모형에서 2% 수소 기체의 흡입은 염증 세포 침윤을 줄이고, 호중구 침윤에 관여하는 myeloperoxidase 활동성을 줄이며, IL-1β, TNF-α, iNOS, ICAM-1, CCL2 등의 염증 매개 인자를 줄임으로써 폐내로의 염증 세포 이동을 억제하여 폐손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태권도 공연의 관객개발 방안 연구

        배정은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관객의 입장에서 바라 본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관객개발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태권도’는 대한민국의 전통무예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상품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이 분명하다. 태권도 시범을 통해서 해외 수많은 사람들이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현재 태권도 시범은 단순히 태권도를 보여주고 국위선양에만 힘쓰는 것이 아닌 공연예술로서 발전하여 대한민국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하지만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보다는 태권도 관련 직에 있는 사람들, 전공자, 수련자들 위주로 태권도 공연이 알려져 있으며 공연예술로서 인정받기에는 미흡한 점들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태권도 공연에 대한 대중들의 의견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Alan R. Andreasen이 제시한 공연예술 수용과정 단계(무관심, 관심, 시도, 긍정적 평가, 수용, 확신)를 태권도 공연에 적용시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0명의 설문 응답자를 대상으로 ‘태권도 공연예술 수용과정 단계’에 적용시킨 결과 태권도 공연에 대하여 무관심 14%, 관심 15%, 시도 16%, 긍정적 평가 18.5%, 수용 12.5%, 확신 24%로 나타났다. 이들의 설문 결과를 통해 태권도 공연예술 수용과정 단계별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는 바이다. 첫째, 무관심 단계에서 관심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태권도 공연에 대한 홍보와 비(非) 수련생들도 함께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스토리 소재가 필요하다. 태권도에 대한 이해가 어려우며 딱딱하고 낯설 것 같다는 인식이 강한 무관심 단계의 사람들에겐 이러한 인식들을 바꿔줄 수 있는 태권도 공연 홍보와 스토리 연출이 필요하다. 둘째, 관심 단계에서 시도 단계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태권도 공연에 대한 활발한 홍보가 필요하다. 관심 단계의 응답자들은 관심이 있는데 태권도 공연에 대한 특별한 정보가 없어서 관람을 하지 못했다고 하였다. 셋째, 시도 단계에서 긍정적 평가 단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스토리 소재와 태권도 공연이 가능한 공연장, 다른 요소들과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들로 인해 향후 재 관람 의사가 없다고 말한 시도 단계의 응답자들은 이러한 부분이 잘 보완되고 해결된다면 시도 단계의 응답자 모두가 향후 재 관람 의사가 있다고 하였다. 넷째, 긍정적 평가 단계의 모든 응답자들은 태권도 공연에 관심이 있었고 향후 태권도 공연 관람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긍정적 반응으로 이들은 수용 단계로 바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하지만 이들이 말한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으로는 시도 단계 사람들과 비슷한 견해를 보였는데 새로운 스토리 소재 부족, 태권도 공연이 가능한 공연장 제한, 다른 요소와의 적절한 조화 필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긍정적 단계의 관객들이 향후 더 높은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다섯째, 수용 단계에서 확신 단계로 가기 위한 방안으로는 새로운 스토리 소재와 배우들의 연기력 필요이다. 수용단계의 응답자들은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으로 새로운 스토리 소재 부족과 배우들의 연기력이 미흡하다고 응답 하였다. 이로 인해 향후 태권도 공연의 재 관람 의사가 없다고 말하였지만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태권도 공연을 기획한다면 수용단계의 96%가 관람할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여섯째, 마지막 확신 단계의 관객들은 태권도를 수련해 본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고 전공자들이 반 이상을 차지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태권도에 대한 관심이 아주 높았고, 태권도 공연을 좋아했다. 하지만 이들이 말한 태권도 공연의 문제점으로 새로운 스토리 소재 부족, 다른 요소와의 적절한 조화 필요, 배우들의 연기력 미흡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확신단계의 관객들을 유지시키고 열성적인 공연 참여자로 발전시키기 위해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태권도 공연을 기획하여야 한다. 각 단계별 분석을 통해 공통적인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태권도 공연의 관객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공연의 홍보 활성화, 둘째, 태권도 공연의 새로운 스토리 소재이다. 권선징악, 선과 악, 대립 등의 틀에 박힌 스토리 연출에서 벗어나 새롭고 다양한 스토리 연출을 해야 한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태권도 공연의 관객개발 방안을 통해 태권도인들 뿐만 아니라 비(非) 태권도 인들도 함께 공감할 수 있는 태권도 공연을 기획한다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태권도 공연예술 수용과정’의 각 단계별 발전이 가능할 뿐더러 태권도 공연의 높은 문화 상품적 가치에 비례하는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plans of audience’s development for Taekwondo performance and investigates a problem that is not popularized compared to its high culture value.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considered audiences’s stances on Taekwondo and made ‘The Taekwondo Performing Arts Adoption Process’, applying ‘The Performing Arts Adoption Process’ by Alan R. Andreasen. It is six stages about Taekwondo performance(Disinterest, Interest, Trial, Attempt, Positive evaluation, Adoption,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each stage, It is drew audiences’ common answers. Ultimately, planning of audience’s development for Taekwondo performance is followed. First, promote publicity of Taekwondo performance. Second, the necessity for new subject matters of story. As a result of this study, by complementing problems of Taekwondo performance and making the quality of performance higher, It is possible for the audiences to improve for each stage of The Taekwondo Performing Arts Adoption Process. Also, It is possible to have popularity, being directly proportional to its high culture value.

      • 나비들은 좁은 길을 걷는다

        최창은 서울장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성경에는 많은 예언자들이 등장한다. 예언자라 하면 많은 사람들은 미래에 다가올 일을 미리 짐작하여 말하는 사람으로 대부분 이해를 하고 있다. 그러나 성경에 등장하는 예언자들은 미래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주는 이들과는 다르다. 성경에 등장하는 예언자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시대에 선포하는 하나님의 대언자들이자, 각 시대마다 하나님이 그들에게 준 실제적인 말씀을 선포하는 자들이었다. 이러한 예언자들은 예수님 이전에도 구약성경 시대에도 존재를 했고, 예수님이 탄생한 이후의 신약성경 시대에도 존재했다. 특히, 규범적 야웨 신앙의 전승자로서 구약시대의 예언자들은 규범적 야웨 신앙의 기준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의 통속적 종교를 무섭게 질책하고 그들이 통속적 신앙양태로부터 돌이키지 않을 때 하나님께서 진노하시고, 징계를 내리실 것을 각 시대에 경고했다. 또한 신약시대에 예수의 제자들은 예수의 메시지를 수용하는 역할을 했으며, 하나님 나라의 비밀을 전수 받고 세상에 증거 하는 자들이었다. 특히 마가복음에 등장하는 제자들은 많은 실패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그들이 예수와 함께하는 자로서 사도의 위치를 되찾을 것을 예언하고 있다. 이러한 근거로 미루어 보아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는 예언자들은 각 시대마다 존재했고, 그 시대에 대한 하나님의 마음을 선포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부활하시고 승천하신 이후, 제자들과 사도에게 이어진 예언자적인 위치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던 자들이 지금 시대에는 어떠한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을까? 또한 그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있을까?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대표적인 직분으로는 목회자가 있다. 그러나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으로 말미암아 목회자뿐만 아니라 하나님을 예배하는 예배자라면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위치에 설 수 있게 되었다. 예배를 통하여 ‘계시와 반응’이라는 하나님과 우리의 실제적, 교제적, 양방향적 만남이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많은 예배자들이 예언자적인 위치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있다. 이 논문과 앨범은 예배자들 중에서 찬양(음악)을 사용하는 찬양사역자의 관점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는 예언자적인 모습으로, 성경의 말씀을 사용하여 오늘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고자 하는 것들은 선포하고자 기획하게 되었다. 이 작품을 통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이 시대에 강력하게 선포되어지고, 하나님의 마음과 사랑이 온전히 증거 되기를 기대한다.

      • 대용량 PV 시스템 관리를 위한 고성능 네트워크 라우터 구조 연구

        유영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는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우리에게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교토 의정서에 의해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에 영향을 받게 되었고, 이것은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발전 방식에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그러나 요즘 기술의 발전으로 점차 늘어나고 있는 대용량 태양광 발전은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전혀 없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대용량 태양광 발전에서 모니터링 모듈은 네트워크의 형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있다. 네트워크는 이렇게 모듈들이 복잡하게 연결되어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교착상태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생길 수 있는 라우팅에 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 모니터링 데이터가 목적지에 빠르게 도달 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네트워크에서 일반적인 라우터의 구조는 크로스바와 버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이것을 좀 더 효율적인 구조로 바꿈으로서 기존의 일체형 크로스바와 원형버퍼를 쓰는 방식의 라우터보다 최대 2배의 성능이 좋아졌다. The energy we use is supplied to us in may ways. Because of Kyoto Protocol, South Korea has been affected in the gas emissions. And this is affected method of power generation making carbon dioxide. But Large-size PV system did not make a carbon dioxide. PV system needs to be monitored in order to operate efficiently. Monitoring module in Large-size PV system is connected to the network in the form of the complex. When serveral modules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in the form of the complex, When serveral modules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in the form of the complex, it has a routing issues about deadlock and transmission of data. To prevent these problems, at the same time, data is necessary to arrive at destination quickly. The general structure of a router consists of the crossbar and into the buffer. We changed it to a more efficient structure. So, the performance of the router to 2 times performance improvement over existing methods.

      • Pre-filtering 기반의 고속 패턴매칭 시스템 구조 연구

        서성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패킷들을 모니터링 하고 분석하여 불순한 목적으로 유해한 내용을 담고 있는 패킷을 탐지 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네트워크의 안에서 돌아다니는 패킷을 놓치지 않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예측 불허의 공격 방법들에 대해서는 새로운 법칙을 적용하여 방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NIDS에 snort와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패턴매칭을 FPGA를 이용하여 하드웨어적 패턴매칭으로 구현하였으며, 더욱 복잡해지고 있는 악성 패턴에 대해서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패턴매칭을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으로 나타내어 FPGA에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패턴이 수가 급격하게 증가되면서 한정된 FPGA의 자원에서 많은 패턴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인 Pre-filtering 패턴 매칭과 패킷 단위의 스케줄링을 통한 하드웨어의 병렬성을 극대화한 10Gbps이상의 처리량을 가지는 구조를 개발하였다. Pre-filtering 패턴 매칭 구조는 패턴의 전체를 비교하는것이 아닌 2단계로 분류하여 1단계에서 패턴의 6~10개 정도의 패턴만을 비교하여 패턴이라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2단계에서 정밀하게 모든 패턴을 분석하여 패턴 매칭하는 구조이다. 1단계는 FPGA를 통하여 패턴 매칭을 구현을 하고, 2단계는 1단계에서 필터링 되어 소수의 패턴만을 검색하기 때문에 프로세서로 처리하여도 전체 처리량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처리가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여 FPGA의 적은 자원을 가지고도 10Gbp이상의 처리량을 가지는 구조를 개발 하였다.이를 실제 Xilinx사의 Virtex5에 구현을 하여 기존 연구의 FPGA 20~40%의 자원을 가지고 10Gbps이상의 처리량을 보이는 구조를 개발하였다. Network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incoming packets over a network to monitor and analyze the unseasonable a packet that contains potentially offensive content, is a system to detect. This study deals with essential issues pertaining to high performance processing for network security and deep packet inspection. The proposed solutions keep pace with the increasing number and complexity of known attack descriptions providing over 10Gbps processing rates. We advocate the use of reconfigurable hardware to provide flexibility, hardware speed, and parallelism in challenging packet and content inspection functions. This thesis is divided in two parts, firstly packet scheduling for 10Gbps throughput and secondly packet pre-filtering for reducing FPGA resource. The first part considers high speed scanning and analyzing packet payloads to detect hazardous contents by using packet scheduling. Such contents are described in either static patterns or regular expression format and need to be matched against incoming data. The second part of the Packet pre-filtering is introduced as a means to resolve or at least alleviate the processing requirements of matching incoming traffic against large datasets of known attacks. Partially matching descriptions of malicious traffic avoids further processing of over 98% of the attack descriptions per packet. Packet pre-filtering is implemented in reconfigurable technology and sustains 10 Gbps processing rates in a Xilinx Virtex5 de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