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자만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명노윤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여자만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명 노 윤 전남대학교대학원 수산과학과 (지도교수 : 최상덕) (국문초록) 본 연구는 2013년 8월부터 2014년 5월까지 15개 정점을 4차례에 걸쳐 van-Veen grab을 이용하여 여자만의 주변해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저서생물군집의 공간적인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24종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평균밀도는 45.8 inds./㎡ 로 나타났다. 출현 종수는 연체동물(Mollusca) 17종, 극피동물(Echinodermate) 4종, 절지동물(Arthropoda) 2종, 환형동물(Annelida)이 1종의 출현 종수를 보였다. 평균 개체수는 연체동물(Mollusca) 35.2 inds./㎡ 으로 가장 많은 출현 종수를 보였으며, 극피동물(Echinodermate) 5.2 inds./㎡, 환형동물(Annelida) 3.4 inds./㎡ 절지동물(Arthropoda) 2.0 inds./㎡으로 출현 개체수를 보였다. 출현양상에 따른 우점종은 계절별로 하계에는 비로드복털조개(Didimarca tenebricum),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추계에는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동계에는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춘계에는 큰구슬우렁이(Glossaulax didyma didyma),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의 연체동물(Mollusca)이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를 기초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형저서동물의 군집은 하계, 추계, 동계에 3개의 그룹, 춘계에 4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하계에서는 비로드복털조개(Didimarca tenebricum)와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us),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추계에서는 살조개(Protothaca jedoensis), 족사부착쇄조개(Hiatella orientalis), 비로드복털조개(Didimarca tenebricum) 동계에서는 살조개(Protothaca jedoensis), 뚱뚱이짚신고둥(Crepidula onyx)과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춘계에서는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뿔조개(Antalis weinkauffi), 농조개(Paphia undulata), 큰구슬우렁이(Glossaulax didyma didyma)의 우점이 유사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munity Structure of Macrozoobenthos in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Myeong, No Yun Department of Fisheries Science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ang Duk Choi)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zoobenthos around Yeoja Bay, south coast of Korea. Sampling was conducted seasonally using a quadrate at 15 stations from August 2013 to on May 2014. A total of 24 species of macrobenthos occurred with a mean density of 45.8 ind./㎡. The number of species showed Mollusca 17 species, Echinodermate 4 species, Arthropoda 2 species, Annelida 1 species. The number of abundance showed Mollusca 35.2 ind./㎡, Echinodermate 5.2 ind./㎡, Annelida 3.4 ind./㎡, Arthropoda 2.0 ind./㎡.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idimarca tenebricum , Ruditapes philippinarum in summer, Ruditapes philippinarum in Autumn and Winter, Glossaulax didyma didyma, Ruditapes philippinarum in Spring by season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based on individual numbers that macrozoobenthos community was consisted of three groups in Summer, Autumn and Winter, and four groups in Spring. Didimarca tenebricum, Theora fragilus and Ruditapes philippinarum in Summer, Protothaca jedoensis, Hiatella orientalis and Didimarca Tenebricum in Autumn, Protothaca jedoensis, Crepidula onyx and Ruditapes philippinarum in Winter, Ruditapes philippinarum, Antalis weinkauffi, Paphia undulate and Glossaulax didyma didyma in Spring contributed to similarity.

      • 완도군 연안바다목장 해역의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자원량 증대 방안

        김문성 전남대학교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바지락 자원량의 회복을 위한 서식적지와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바지락의 자원 증대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8년 6월에서 12월까지, 2019년 7월에서 12월까지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에 위치한 바지락 갯벌 어장 중 3개의 어장(A : 원동리, B : 불목리, C : 대창리)에서 수행하였다. 완도군 연안바다목장 해역에 서식하는 바지락 어장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온, 염분, 용존산소(DO), 퇴적물 입도, 강열감량(IL),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및 산휘발성황화물(AVS)을 조사하였다. 조사 해역의 수온은 23.3~23.7 ℃, 염분은 30.2~30.6 psu, COD는 9.0 mg~15.3 mg O2/g.dry였다. DO는 C어장에서 6월과 9월에 각각 10.0 mg/L, 8.36 mg/L였으며, AVS는 C어장에서 평균 0.23 mg S/g.dry로 조사되어 타 어장보다 높게 나타났다. 평균 각장은 A, B, C어장에서 각각 31.85 ± 5.20 mm, 31.70 ± 5.48 mm, 31.46 ± 4.62 mm로 조사되었고, 바지락 각장과 각고의 상대성장은 다음과 같다. A어장에서 SH=0.6857SL +1.7103(R2=0.8662), B어장에서 SH=0.6925SL +1.9652(R2=0.8554), C어장에서 SH=0.7112SL +1.0488(R2 = 0.9232)로 나타났다. 바지락 서식밀도는 A, B, C어장에서 각각 33.41 ind./m2, 32.25 ind./m2, 10.12 ind./m2로 조사되어 C어장에서 3배 이상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퇴적물 조성은 어장 A, B, C에서 각각 역니질사(gmS), 약역사질((g)S), 실트(Z)로 나타났다. 또한, 바지락의 서식밀도와 생체량에서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1). 실트, 온도, 생체량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서식밀도와 자갈, 모래, 평균 입경, IL, COD, AVS, DO와 염분에서 음의 상관관계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연안바다목장 해역에서 저질의 높은 니질함량은 바지락 서식환경과 자원량 분포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모래살포와 경운과 같은 인위적인 저질환경 개선은 바지락 서식지 개선과 더불어 자원량의 증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habitat sites and basic data for the recovery of the manila clam(Ruditapes philippinarum), and based on this, we proposed the measures to increase the manila clam stock. Three research area (A: Wondong-ri, B: Bulmok-ri, C: Daechang-ri) were chosen in the manila clam habitats in Gunoe-myeon, Wando-gun, Jeollanam-do.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rom June 2018 to December 2018, and from July 2019 to December 2019, respectively. In the investigated coastal sea ranch area, the water temperature was 23.3~23.7 ℃, the salinity was 30.2~30.6 psu, and the COD was 9.0~15.3 mg O2/g.dry, respectively. At sampling station C, DO was 10.0 mg/L in June and 8.36 mg/L in September, respectively, and AVS was 0.23 mg S/g. The average length of manila clam were 31.85 ± 5.20 mm, 31.70 ± 5.48 mm, and 31.46 ± 4.62 mm at the sampling station A, B and C, respectively. At the sampling station A, SH=0.6857SL +1.7103 (R2=0.8662), at the sampling station B, SH=0.6925SL+1.9652(R2=0.8554) B sampling station, and at the sampling station C, SH=0.7112SL+1.0488 (R2 = 0.9232). The densities of clams were found to be 33.41 ind./m2, 32.25 ind./m2, and 10.12 ind./m2 in the sampling stations A, B, and C, respectively, showing a more than three-fold difference in the sampling station C. In addition, sediment composition was found to be gravelly muddy sand(gmS), slightly gravelly sand((g)S), and silt(Z) in sampling stations A, B, and C, respectively. There was a clea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abitat density and biomass of manila clam (P<0.01).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abitat density and Silt, temperature, and biomass, respectively. But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habitat density and gravel, sand, average particle size, IL, COD, AVS, DO and salinit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high silt content of the sediments in the coastal sea ranch had an effect on the manila clam habitat and resource distributi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artificial improvements in the sediment environment such as sand spreading and tillage will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amount of resources as well as improving the clam habitat.

      • 전남 연안해역의 수산자원 및 어항 관리에 관한 연구

        주승용 전남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Jeollanam-do (hereinafter, Jeonnam) Province, as the country's de facto first province leading the development of fisheries, is equipped with optimized location, humane and natural environments for fisheries. However, it is increasingly faced with difficult situations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fisheries are getting aggravated, and thus the policy measures for securing the survival and sustainability of fisheries are urgent.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marine fisheries in Jeonnam Province and, based on this analysis, to select the priority area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uture growth of the marine fisheries in Jeonnam Province. Until now, the development strategies relating to marine fisheries have been limited to the analysis with focusing on some competitive varieties and items, based on the data on overall Korean fisheries. In addition, data or informations relating to marine fisheries issued by local research institutions are out of date and thus not adequate to utilize. In case of researches on Jeonnam marine fisheries, the focus was on the specific sectors of the fisheries, therefore, the policy data for establishing the overall development indicator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utilizing the most recent data and information available, purports to analyze the statu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to select the policy measures, an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that should be urgently carried out reflecting the realitie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For the effective conduct of the research and the timely policy recommend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position of marine fisheries sector by conducting the SWOT analysis for each sector of the marine fisheries of Jeonnam Province. The SWOT analysis shows that Jeonnam marine fisheries have more advantages than other local marine fisheries and can be managed more efficiently than the others, if it overcomes the weakness and threats and utilizes the strength and opportunities. Thus, the Jeonnam Province can help to strengthen the food security an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f it develops the marine fisheries as a new engine for the development. Beside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fishing port development policies and provides the found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fishing port development policies by examining comprehensively the value of fishing port that is considered as the sources of local fisheries development and the creation of value added. Based on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this study provides policy suggestions with proposing some core projects for the preparation of policies required to develop the marine fisheries in order to revive the Jeonnam Province as the country's de facto first province leading the development of marine fisheries in the future. The major policy recommendations derived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eonnam Province should secure and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marine fisheries resources in order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and profitability of marine fisheries. It should maintain the stable amount of fisheries resources by setting an adequate closed season and operating area, and expanding sea ranch and sea forests. In addition, it should prevent the over-fishing and devastation of fishing ground resulting from over -fishing by the continued implementation of the restructuring of the offshore fishing vessels and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order. Second, small-scale fisheries and their structure need to be scaled and commercialized to raise the fisheries that can produce high value added. The income of fishermen and the benefits of consumers need to be maximized by the improvements of underdeveloped marine fisheries distribution structure. In addition, Jeonnam Province should raise aquaculture industry as a strategic industry yielding high value added in the future. To fulfil this purpose, the restructuring of fisheries should be enforced and future strategic breeds should be raised intensively. 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safety and quality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overcome safety barriers of the increasing international food hygiene and safety requirements and to ensure export competitiveness of local fisheries products. Third, multi-functional complex fishing ports that meet local condition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of fishing ports in order to secur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fishing villages, the conditions of stable production, other income of fishermen and residents of fishing villages, and their creation of value added. Fourth, policy support to fishing villages such as the support to returnee fishermen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enliven the fishery economy that is suffering from the gradual loss of competitiveness due to the aging and population decrease in the residents. More efforts should be devoted to secure the professional fisheries experts such as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raise the promising human resources that will react flexibly to the value and the potential of the marine fisheries resources and lead the new era of local fisherie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ly suggests timely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scrutinized examination of conditions and realities of Jeonnam marine fisheries. Besides, this study covers statistical indicators and suggests policy project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reparations of policy measures that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Jeonnam marine fisher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widely used by the policy makers of the local marine fisheries and regional fishery managers. 전라남도(이하 전남)는 명실상부 우리나라의 수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제1의 해양수산도로서 수산업에 최적화된 입지조건과 인문·자연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수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 변화에 따라 갈수록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어, 수산업의 생존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전남 해양수산의 현황과 대내·외적 여건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남 해양수산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 성장동력화’를 위한 우선과제 선정 및 제언마련에 목적을 두어 연구를 추진하였다. 지금까지 해양수산 관련 발전전략 개발은 주로 우리나라 수산업 전반에 대한 분석자료를 토대로 일부 경쟁력을 갖춘 품종 및 품목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아울러 지역의 연구기관에서 발행하는 해양수산 관련 연구자료들은 이미 시일이 많이 경과되어 적시성이 떨어진다. 또 전남에 관한 연구의 경우에도 지역의 특화된 일부 수산업 부문에 대한 연구 성과가 주를 이루고 있어, 수산부문 전반을 아우른 발전지표 설정을 위한 정책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자료 및 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의 수산업 여건을 분석하고 수산업계의 현실을 최대한 반영, 시급히 추진해야할 정책과제 선정 및 제언에 본질적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효율적인 수행과 적시성을 갖춘 정책제언을 위해 전남의 각 수산부문에 대한 SWOT 분석을 수행하여 지역 해양수산부문의 현 위치를 파악해 보았다. 전남의 연근해어선어업, 양식어업, 유통·가공업의 약점과 위협요소를 제거하고 강점과 기회요인을 지혜롭게 활용한다면 수산자원의 특성이 타 지역에 비하여 매우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전남발전의 우선순위로 수산업을 선정하고, 신성장동력화 한다면 향후 식량안보의 극복은 물론,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수산업 발전과 부가가치 창출의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어항의 가치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써 어항 개발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발전전략 마련을 위한 토대를 쌓고자 하였다. 끝으로 이와 같은 연구수행과정에서 도출된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전남이 경쟁력을 갖춘 해양수산도로 거듭나기 위한 수산업 육성방안 마련에 대해 몇 가지 핵심과제를 들어 정책제언을 해 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정책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 수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채산성 유지를 위해 해양수산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만 한다. 현실에 적합한 금어기, 조업구역 등의 설정과 함께 바다목장·바다 숲 조성을 확대하여 수산자원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연근해어선어업에 대한 구조조정의 지속적 시행과 어업질서 확립을 통해 수산자원의 남획 및 이로 인한 어장 황폐화를 방지해야만 한다. 둘째,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수산업 육성을 위해 영세한 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는 수산업 구조를 규모화·기업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낙후된 수산물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어업인들의 소득창출과 함께 수요자들의 편익을 극대화 해야만 한다. 아울러 양식어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한편, 미래 양식 전략품종에 대한 집중 육성을 통해, 양식산업을 향후 지역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여 고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으로 삼아야 한다. 또한 국제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식품위생·안전장벽을 극복하고 지역 수산물의 수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수산물의 안전 및 품질관리를 강화해야만 할 것이다. 셋째 어항에 대한 기반시설 확충을 통해 어촌의 정주여건과 어민들의 안정적인 생산 환경을 보장하고, 어업인·어촌주민의 어업 외 소득 확보와 부가가치 창출 차원에서 지역의 수산여건에 적합한 복합적 다기능 어항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점차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어촌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귀어가 지원방안마련 등 정책적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수산해양자원의 가치와 발전가능성에 유연하게 반응하고, 지역의 신 해양시대를 선도할 유망인재 육성 차원에서 인재양성기관 설립 등 수산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전남 해양수산의 여건과 현실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고, 시의성을 확보한 정책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전남 해양수산업의 발전 및 선진화를 위한 방안 마련 시 필히 고려해야 할 통계지표와 정책적 수행과제를 다루고 있다. 지역의 해양 및 수산관련 정책 입안자들과 수산경영인들에게 본 연구의 의의가 폭 넓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왕관해마, Hippocampus coronatus의 자연 산란유도와 초기사육

        홍석준 전남대학교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해마류(Hippocampus spp.) 중 관상 가치가 우수하며, 향후 서식지 파괴와 환경오염으로 인해 자원량이 감소할 것으로 판단되는 왕관해마(H. coronatus)의 종자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내 사육 시 수온 차이에 따른 자연 산란유도 가능성과 먹이 급이 조건에 따른 자치어의 생존율, 성장 과정을 조사하였다. 수온별 자연 산란유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구Ⅰ(16.2±0.12℃), 실험구Ⅱ(18.1±0.09℃), 실험구Ⅲ(20.1±0.2℃)으로 3개의 실험구를 설정하였고, 88일의 실험기간 동안 실험구Ⅰ에서는 평균 0.4회/30일, 실험구Ⅱ에서는 평균 1.1회/30일, 실험구Ⅲ에서는 평균 0.4회/30일 산란이 확인되었다. 자어의 초기먹이 급이 조건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출산 후 64일째 Artemia 유생 단독 급이 실험구 A와 Artemia 유생과 냉동 copepod(1~2 ㎜) 혼합 급이 실험구 B의 생존율은 각각 53.8%, 80.7%로 나타났다. 자치어의 성장 조사를 위하여 2021년 7월 26일과 9월 7일에 출산한 개체 81마리를 실내 사육하였다. 출산 직후 자어의 SL은 10.426~15.070 ㎜(mean 13.079±1.77 ㎜, n=8)로 체륜은 희미하게 형성되었고 주둥이 길이는 성어와 비교하였을 때 짧은 형태를 나타내었다. 출산 후 64일째 SL은 33.406~44.274 ㎜(mean 39.218±3.88 ㎜, n=10)로 외형은 성어와 유사한 상태로 발달하였다. In order to develop seed production technology for crown seahorse(H. coronatus), which has excellent ornamental value among hippocampus spp. living in Korea and is expected to decrease due to habitat destruc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future, the possibility of inducing natural spawning and growth of juvenile according to feeding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inducing natural spawning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three experimental zones were set up in Experiment I (16.2±0.12°C), Experiment II (18.1±0.09°C), and Experiment III (20.1±0.2°C). During the 88 days experimental period, spawning was confirmed on average 0.4 times/30 days in Experiment I, 1.1 times/30 days in Experiment II, and 0.4 times/30 days in Experiment III.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feeding conditions were as follows. On the 64 days after parturition, the survival rates of Experiment A(Artemia nauplii) and Experiment B(Artemia nauplii and frozen copepod (1~2 ㎜)) were 53.8% and 80.7%, respective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rowth of juvenile, 81 juveniles spawned on July 26 and September 7, 2021 were raised in tank. Immediately after parturition, seahorses were 10.426-15.070 mm (mean 13.079±1.77 mm, n=8) in SL, with a faint body ring and a shorter snout length compared to an adult. On the 64th day after parturition, seahorses were 33.406-44.274 mm (mean 39.218±3.88 mm, n=10) in SL and developed in similar to adult in appearance.

      • 기후변화와 김 생산량 간의 인과성 및 김 위판 가격예측모형

        김태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전 세계 평균 온도와 바다의 표층 수온이 상승하고 남극과 북극의 해빙으로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온과 표층 수온의 상승 폭은 전 지구적 추세보다 두 배 이상 빠르다. 우리나라 바다는 표층 수온의 상승으로 동해, 서해, 남해에서는 이미 해역별 어종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처럼 기후변화는 해양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협한다. 하지만 기후변화와 수산업 간의 인과성 선행연구는 주로 어류를 대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고, 해조류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해조류 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 수산물 대표 수출품이기도 한 김은 기후변화에 취약한 품종으로 알려졌지만, 기후변화와 김 생산량과의 인과성에 관한 선행연구의 축적은 아직 요원하다. 기후변화가 김 생산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리적으로 남해안과 서해안 중간지역인 진도-해남 해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고, 2005년 10월부터 2020년까지 4월까지 약 15년 동안의 김 생산량, 수온, pH, DO, 기온, 난방도일, 강수량, 풍속, 일조율, 김 시설량 자료를 변수로 선정하였다. 각 변수가 각각 김 생산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시계열분석, Granger 인과검정, VAR과 VECM을 이용한 충격반응분석을 통해 인과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김 생산성 변화는 김 산지 위판가격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김 산지 위판가격 예측을 수행하였다. 가격 예측은 수급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판단하에 물김 최대 산지인 전남의 위판가격을 시계열분석의 대표적인 기법인 지수평활법과 ARIMA 모형을 통해 예측해 보았고 역사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모형의 정확도와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수온 상승은 김 생산량에 음(-)의 영향을 미쳤고, pH의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DO의 감소는 단기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음(-)의 영향을 미쳤다. 기온은 단기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로 나왔으며, 강수량은 장·단기적으로 김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왔고, 특히 단기적으로 양(+)의 영향을 미쳤다. 풍속의 증가는 단기적으로 김 생산량에 양(+)의 영향을 미쳤지만, 적정 수준을 넘어서면 오히려 음(-)의 방향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조율의 증가는 김 생산량에 양(+)의 영향을 미쳤고, 김 시설량은 김 생산량과의 단기적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강한 양(+)의 영향을 주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김 시설량을 늘리면 김 생산량도 함께 지속적으로 늘어날 거라는 기대는, 시설량을 늘리고 신품종을 개발하더라도 어장 밀집과 기후변화에 따른 겨울철 고수온 등 여러 요소의 작용과 변화에 따라 큰 제한을 받고 있다. 전남 김 위판가격 예측 결과로는 역사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에 이용된 총 7가지 모형 중 Drift 예측을 이용한 지수평활법 예측모델이 시계열의 정상성과 예측모형 정확도 검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 기후변화와 김 생산량 간의 인과성 분석 및 김 위판 가격예측모형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끌어냈다. 첫째, 김 채묘시기 조절, 둘째, 안정적인 김 채묘 시스템 구축, 셋째, 김 수산종자 개발과 보급, 넷째, 어장 정비와 외해(外海)로의 확장, 다섯째, 블루카본(Blue carbon)을 통한 해양생태계 복원이다. 향후 기후변화에 대응한 여러 품종에 대한 인과성 및 취약성 분석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 구축과 종합적인 접근 방식으로 정책의 빈 곳을 찾고 새로운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 Due to climate change triggered by global warming,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world as well as Sea surface temperature(SST) have been increasing, and sea levels have been rising resulting from the melting of the Antarctic and Arctic ice sheet. The rise in air temperature and Sea surface temperature(SST) levels in Korea is occurring more than two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global trend. Due to the rising SST levels, Korea is already experiencing changes in fish species by sea areas including the East Sea, West Sea, and the South Sea of Korea. In such a manner, climate change has a direct impact on the marine ecosystem, which threatens the sustainability of the fishing industry. However, precedent researches on causality regard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fisheries as well as aquaculture have been conducted mainly on fish, while studies on seaweed are scarce. Among seaweeds, especially laver, a representative marine product being exported from Korea, is known as a vulnerable variety to climate change, but the establishment of advanced researches on the causality concern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laver production still has a long road ahead. In order to see how climate change affects the production of laver, research was conducted on Jindo-Haenam sea areas, which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south and west coasts geographically, and factors that were observed for around 15 years, from October 2005 to April 2020, such as Laver production, Water temperature, pH, Dissolved oxygen(DO), Air temperature, Heating degree days (HDD), Precipitation, Wind speed, Rate of sunshine, and Laver farming facilities were selected as variables. To identify how each mentioned variable exerts influence on laver production respectively, by taking advantage of Impulse response analysis through utilizing Time series analysis, Granger causality analysis, Vector auto regressive(VAR),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s(VEC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ausality between the variables. In addition,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modifications in laver productivity induce by climate change will potentially have an impact on laver producer price, this study conducted a price forecast of laver production areas. Based on the reasoning that price forecast of laver production regions could assist in controlling supply and demand, through the Exponential smoothing technique and Auto 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ARIMA), laver producer price of Jeonnam, the largest wet laver producing area, has been predicted. Moreover,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the relevant forecasting model have been reviewed through the Historical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had a negative (-) effect with regard to laver production, the decrease of p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eduction of the DO level had a negative (-) effect in the long term while having no effect short-term. The temperature was determined as a variable tha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short term while precipitation was shown to affect laver production both long as well as short terms, especially having a positive (+) influence short term. Even though the increase in wind speed had a positive effect (+) in the short-term when it came to laver produc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effects became rather negative (-) when it exceeded the appropriate level. The rise in the rate of sunshine had a positive effect (+) on laver production, and although laver farming faciliti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hort-term relation with laver production, they were confirmed as variables that affect the production quite positively (+) considering the long term. With regard to the expectation that laver production will continue to increase if the number of laver farming facilities are expanded, even if increasing the facilities and developing new varieties become possible, based on the effects as well as changes caused by various components such as highly concentrated fishing areas and high temperature in winter due to climate change are setting severe limitations. Concerning Jeonnam laver producer price forecast results, among the total of seven models adopted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Historical simulation method, the Simple exponential smoothing with DRIFT forecast model, which uses a DRIFT forecast, was ultimately selected after going through stationary Time series and forecast model accuracy tests. Put together from the research findings acquired from the causality analysis regard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laver production and observation of the forecast model for laver producer price, this paper has drawn the following policy proposals: first, the seasonal adjustment of laver seed collection;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stable laver seed collection system; thir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concerning aquatic plant seeds of laver; fourth, the maintenance of fishery and expansion to the open ocean aquaculture; fifth, the restoration of marine ecosystems through making use of blue carbon. In conclusion, causality and vulnerability analysis of different varieti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ould be systematically conducted in the future; as a result,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ystem that predicts the future as well as tackles the climate change issues and the implementation of new policies that can identify blind spots of the existing ones through taking a comprehensive approach should take place.

      • 여수시 상암천 주변의 해양환경과 대형저서동물 변화양상

        문석환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상암천 주변 해역에서의 저서 퇴적물에 서식하는 저서생물군집의 공간적인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출현 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1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총 4회 실시하였으며, 10개의 정점에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64종으로 1,760개체/m2와 615.38g/m2이었다. 출현종수는 최소 31종(2011. 03)에서 최대 46종(2010. 04)의 범위를 보였다. 개체수는 606개체(2010. 01)에서 206개체(2011. 03)의 범위를 보였다. 생체량은 2011년 3월 조사에서 122.41g/m2으로 최소값을 보였고, 2010년 4월에 203.06g/m2로 최대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2010년 1월 조사의 경우 크게 2개의 군집을 이루었으며, 그룹 A는 정점 4, 7과 9이었으며, 그룹 B는 정점 2와 5였다. 그룹 A의 우점종은 다모류(Polychaeta),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이었으며, 그룹 B는 농조개(Paphia undulata),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로 나타났다. 2010년 4월 조사의 경우 크게 4개의 군집을 이루었으며, 그룹 A는 정점 2, 5와 8이었으며, 그룹 B는 정점 4, 9와 10이고, 그룹 C는 정점 1과 3, 그룹 D는 정점 6과 7이었다. 그룹 A의 우점종은 농조개(Paphia undulata), 다모류(Polychaeta)이며, 그룹 B는 비로드복털조개(Didimacar tenebrica), 동죽(Mactra veneriformis)이고, 그룹 C는 검은줄좁쌀무늬고둥(Hima fratercula fratercula), 세로줄 따개비(Balanus kondakovi)였으며, 그룹 D는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쇄팥알고둥(Neocollonia pilula pilula)으로 군집을 이루었다. 2010년 11월에도 크게 4개의 군집을 이루었으며, 그룹 A는 정점 5와 8이었으며 다모류(Polychaeta)와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가 나타났으며, 그룹 B는 검은줄좁쌀무늬고둥(Hima fratercula fratercula)과 농조개(Paphia undulata), 고운띠무륵(Columbellopsis bella)이 나타났으며, 그룹 C는 정점 4, 9와 10으로 나타났으며, 비로드복털조개(Didimacar tenebrica), 동죽(Mactra veneriformis), 갈색접시조개(Moerella iridescens)로 군집을 이루었고, 그룹 D는 정점 6과 7로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으로 나타났다. 2011년 3월에는 3개의 군집을 이루었으며, 그룹 A는 정점 1, 2, 3과 5로 농조개(Paphia undulata)와 다모류(Polychaeta)가 군집을 이루었고, 그룹 B는 정점 4, 9와 10으로 비로드 복털조개(Didimacar tenebrica), 여덟모뿔조개(Dentalium octangulatum)와 동죽(Mactra veneriformis)으로 군집을 이루었다. 그룹 C는 정점 6과 7로 살조개와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으로 군집을 이루었다. 여수시 상암천 주변 해역에서는 다모류와 복족류의 출현비율이 높았으며, 2004년 연구결과와 비교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여수대학교, 2004). 이전 연구에서는 광양만 주수로역에서 다모류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출현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모류보다는 연체동물이 상당수 출현하였다. 연체동물은 72%의 높은 서식밀도를 보이는데 이것은 이매패류인 비로드복털조개(Didimacar tenebrica)와 농조개(Paphia undulata)가 고밀도로 출현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조사에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시공간적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4회 실시한 결과 환경인자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spatial variation of benthic organism community and individual, species and biomass habitating in sediment of the area of the sea around Sangamcheon during study periods from January 2010 to April 2011, four times, 10 sites investigation. Emergenced macrozoobenthos of the invested sea were total 64 species, 1,760 ind. m-2 and 615.38g m-2. Emergenced species, individual and biomass range were from 31species in March 2011 to 46species April 2010, from 606ind. m-2 in January 2010 to 206ind. m-2 in March 2011 and from 122.41g m-2 in March 2011 to 203.06g m-2 in April 2010, respectively. As a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at the base of individual material of emergence macrozoobenthos from study, community of marcrozoobenthos was large 2community in January 2010. Group A was site 4, 7 and 9, Group B divided site 2 and 5. Dominant organisms of Group A emergenced Polychaeta, Ruditapes philippinarum and Group B emergenced Paphia undulata, Scapharca broughtonii. In case of Investegation in April 2010 divided large 4community. Group A divided site 2, 5 and 8, Group B divided 4, 9 and 10, Group C divided 1 and 3, Group D divided 6 and 7. Dominant organisms of Group A emergenced Paphia undulata, Polychaeta and Group B emergenced Didimacar tenebrica, Group C emergenced Hima fratercula, Mactra veneriformis, Group D emergenced Ruditapes philippinarum, Neocollonia pilula pilula. In case of Investigation in November 2010 divided large 4community. Group A divided site 5 and 8 and dominant organisms emergenced Polychaeta, Theora fragilis. Group B divided 1, 2 and 3 and dominant organisms emergenced Hima fratercula fratercula, Paphia undulata. Group C divided site 4, 9 and 10 and domunant organisms emergenced Didimacar tenebrica, Mactra veneriformis. Group D divided 6 and 7 and Dominant organisms emergenced Ruditapes philippinarum. In case of Investegation in March 2011 divided large 3community. Group A divided site 1, 2, 3 and 5 and domunant organisms emergenced undulata , Polychaeta. Group B divided site 4, 9 and 10 and domunant organisms emergenced Didmacar tenebrica, Dentalium octangulatum, Mactra veneriformis. Group C divided site 6 and 7 and dominant organisms emergenced Ruditapes philippinarum. Emergency ratio of Polychchaeta and Gastropoda was high of the area of the sea around Sangamcheon and investigation result in 2004 express relatively similar result. This study has emerged a number of Mollusca that Pollychaeta, contrary to the former study having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emergence of Pollychaeta on Gwangyang watercourse. The 72% of high habitat density of Mollusca is considered because of the high desity emergence of Didimacar tenebrica, Paphia undulata which are bivalves. As a result of the four times of investigation, it showed distinguishe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s established a correlate analysis to view community analysis and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macrozoobenthos.

      • 커뮤니티 디자인 관점에서의 어촌개발사업 평가지표 개발연구

        송영택 전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어촌개발사업은 1970년대 이후로 꾸준히 추진해온 대표적인 어촌정책사업이다. 지속적인 사업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어촌은 최근 고령화와 공동화로 공동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반면 국민들의 여가시간 확대 등으로 어촌관광 등 융·복합 산업이 어촌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촌개발사업의 목표와 그 접근 방식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이와 함께 2017년부터 농산어촌개발사업 어촌부문의 관리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해양수산부로 이관됨에 따라 농촌과 차별화되는 어촌의 특성과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는 어촌개발사업의 전개가 요구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수용하는 어촌종합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사업추진 단계별로 지역주민의 소통과 협력적 참여를 유도하는 커뮤니티 디자인 개념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평가지표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디자인 관점을 반영한 어촌개발사업에 대한 평가지표개발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촌개발정책 변화에 따라 평가지표 수행단계를 사업 준비단계, 사업수행 단계, 사업 완료 단계 등으로 구분하여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통합적 사업관리가 용이하도록 제시하였다. 둘째, 어촌개발사업 평가지표 개발에서 어촌의 특성 및 어업인의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커뮤니티 디자인 요소에 대한 학술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나아가 전문가 브레인스토밍과 설문조사, 현장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유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셋째, 어촌개발사업 지표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사업 준비 단계→ 사업 수행 단계 → 사업 완료 단계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의 진행단계는 3단계로 연구 절차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구 1단계는 농촌개발사업, 어촌개발사업, 커뮤니티 디자인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사업 준비 단계 22개 항목, 사업 수행 단계 11개 항목, 사업 완료 단계 11개 항목 등 총 44개의 측정항목을 추출하였다. 연구 2단계는 1단계 통해 추출된 초기항목에 대해 항목의 수정․보완 그리고 추가, 삭제를 진행한 과정으로 초기 추출 항목의 내용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2차 전문가 총 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정되거나 추가, 삭제된 내용을 설문문항으로 구조화하여, 전문가 집단에 재확인 및 수정을 요청하고, 구조화된 설문지 형식으로 항목의 적합도를 측정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51개의 정제된 문항을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정량조사를 위한 설문지로 재구조화하였다. 연구 3단계는 2단계에 도출된 51개의 문항으로 어촌에서 근무하는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응답자료 119부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자 기술분석과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크론바흐 a 계수를 통해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반분법을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절차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어촌개발사업 평가지표 평가문항은 각각 3개의 요인으로 총 9개의 분류차원 41개 문항이 최종 평가지표로 개발되었다. 커뮤니티 디자인 관점에서 어촌개발사업 평가지표를 개발한 이번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항목을 기초로 하여 최종 9개 요인의 41개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어촌개발사업을 통합적 단계적 관리를 할 수 있는 평가지표 개발이라는 것이다. 둘째,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디자인 개념을 도입하여 어촌개발사업의 평가지표 개발한 초기연구라는 점과 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흐름에 있어서 전문가 어촌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그 결과를 단계별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신뢰도와 타당성을 최대한 높였다. 셋째, 선행연구에서 추출할 수 없었던 문항들에 대한 수정, 삭제, 추가 문항들을 고려하기 위해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추가적인 항목에 대해 7개에 대한 문항들을 추가하고, 어휘와 문장에 대한 변경 등을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추출되지 못한 문항들을 고려하였다. 이는 선행연구로만 어촌개발사업에 대한 평가지표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와 실무자의 의견을 수렴으로 현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커뮤니티 디자인 개념을 고려한 새로운 어촌개발사업 평가항목을 추출하여 학술적인 가치를 높였다. 넷째, 현재 정부나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어촌개발사업에 대한 평가 측정항목에 대한 개선이나 수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어촌개발사업 평가지표 측정문항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현장전문가들은 주민들의 의견수렴, 참여, 갈등관리, 인력 운영, 비용 확보, 자립가능성, 잉여금의 재투자 등의 요인인 커뮤니티 디자인 요소를 다른 항목보다 훨씬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에따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담당자들이 어촌개발사업을 추진할 때 지역주민들의 갈등 관리나 참여 확대, 공동체 활성화, 인력관리, 주민의견 수렴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사업 평가지표 항목으로 적용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섬진강에 서식하는 기수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자원량 변동

        고승현 전남대학교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uctuations in amount of resources of Corbicula japonica according to the changes in environments in Sumjin River, Hadong-gun.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from three different sites per station at 8 stations using a small van-Veen Grab(0.025㎡) from September 2019 to August 2021.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torrential rains in summer of 2020 and amount of Corbicula japonica resources. Throughout the study period, surface and under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1.03~29.49℃ and 1.15~29.32℃, respectively. Surface and under salinity ranged from 0~21.33 and 0.03~22.97 psu, respectively. Salinity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moving from station 8 to station 1. The resource amount for all stations ranged from 0 to 287.8 inds./㎡. The ST. 4 showed of highest density(55 inds./㎡), and the ST. 1 was showed the lowest(10.8 inds./㎡) on average.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C. japonica were shown below. SH`=`0.8979`SL`-`0.5419`(R ^{2} `=``0.98) SW`=`0.599`SL`+`0.3225`(R ^{2} `=``0.95) TW`=`0.1137`SL` ^{2} `-`0.161SL`+`0.5384`(R ^{2} `=``0.97)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resource amount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amount of resourc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water temperature(r=0.658)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alinity(r=-0.417).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survey during the torrential rains in summer of 2020 were as follows. The water level at the Hadong rainfall gauge station of the Sumjin river was EL. 14.3 m in August 8, 2020 and water flow rate increased to 13,727.01 ㎥/s at the highest. The resource amount of C. japonica was 603.4 inds./㎡ in July 2020 and 17 inds./㎡, 22.8 inds./㎡ in August and September 2020, respectively. 본 연구는 섬진강 유역에 서식하는 기수재첩의 환경에 따른 자원량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9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 8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매월 조사하였다. 또한 2020년 하계 집중호우로 인한 환경변화와 기수재첩 자원량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 수역 내의 수온의 분포 범위는 표층에서 1.03~29.49℃, 저층에서 1.15~29.32℃ 였으며, 염분은 표층에서 0~21.33 psu, 저층에서 0.03~22.97 psu 였다. 염분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 기간에 정점별 재첩의 자원량은 0~287.8 inds./㎡였으며, 정점 4에서 재첩의 평균 자원량은 55 inds./㎡으로 가장 높았고 정점 1에서 평균 10.8 inds./㎡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각장에 대한 각고, 각폭 및 전중량에 대한 상관관계 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SH`=`0.8979`SL`-`0.5419`(R ^{2} `=``0.98) SW`=`0.599`SL`+`0.3225`(R ^{2} `=``0.95) TW`=`0.1137`SL` ^{2} `-`0.161SL`+`0.5384`(R ^{2} `=``0.97) 기수재첩 자원량과 환경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원량은 수온(r=0.658)과 양의 상관관계를 염분(r=-0.417)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섬진강 하동군(읍내리) 관측소의 수위는 집중호우가 발생한 2020년 8월 8일 EL. 14.3 m까지 상승하였으며, 유량은 13,727.01 ㎥/s까지 증가하였다. 집중호우가 발생하기 전후 재첩의 자원량은 7월에 603.4 inds./㎡였으며, 8월과 9월 각각 17 inds./㎡, 22.8 inds./㎡로 많이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