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투자기업과 내국기업의 유효세율 차이에 관한 연구

        고빛나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국내에 기반을 두고 있는 외국인투자기업의 조세부담수준에 대해 분석한 연구이다. 각종지원제도를 통해 외국인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외국인투자기업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만약 외국인투자기업이 수익창출에만 집중하고, 그에 따른 납세의무를 충실히 이행하지 않을 경우 상당한 국고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효세율을 이용하여 1)외국인투자기업의 조세부담률을 내국기업과 비교해보고, 2)대표투자국별로 조세부담률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대상 표본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공하는 ‘2012년 외국인투자기업정보’에 정보가 있는 기업 중에서, 재무자료의 수집이 가능한 기업의 2001년부터 2011년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연도별 총자산을 기준으로 비교내국기업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외국인투자기업의 유효세율이 내국기업에 비해 더 높았으며, 업종별·연도별로도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유효세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통제한 결과도 외국인투자기업의 유효세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투자국별로 표본을 구분하고 분석한 결과, 조세피난처 지역을 포함한 일부 국가 외국인투자기업의 유효세율이 유의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우리나라와 모국의 세율차이와 유효세율은 정의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투자국이 전세계과세시스템(worldwide taxation system) 혹은 지역과세시스템(territorial tax system)을 채택하고 있는지 여부는 유효세율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국인투자기업의 조세부담수준을 다각도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학문적으로 관련 연구를 진행하거나 향후 입법당국이나 과세당국이 외국인투자기업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를 자료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공헌점이 있다. This paper contains the research results on the tax burden level of Korea-based foreign-controlled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 to promote foreign-controlled by the use of various kinds of support systems, the number of the foreign-controlled companies is on the increase. However, if a foreign-controlled company is purely profit-driven and neglects its duty of tax payment, there may be considerable losses to the national treasury. Therefore, this research made use of effective tax rates to compare the tax burden rate applicable to foreign-controlled companies with that of domestic companies and to investig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presentative foreign-controlled companies. The samples for this research were extracted from the financial data of companies from 2001 through 2011 whose financial data were recorded in the ‘2012 Foreign-controlled Company Handbook’ published by MOTIE. The domestic company counterparts for comparison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yearly total asset. As a result, the effective tax rates of foreign-controlled companies was higher than that of domestic companies, which was consistent regardless of year or type of business. Even when we isolated the effective tax rates variables from our analysis, the result did not vary. In the meantime, when we sorted the samples from controlled companies and reanalyzed them, the effective tax rates of some foreign-controlled companies, including those from the tax haven region,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low while the tax rate difference and effective tax rates between Korea and those countr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Nevertheless, whether the foreign-controlled company was adopting the worldwide taxation system or the territorial tax system did not seem to affect the effective tax rates. This research’s value lies in its present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foreign-controlled companies’ level of tax burden from various angles. It will contribute to further relevant academic research and to legislation or tax authorities' policy on foreign-controlled companies, since they will be able to 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a source of data in the future.

      • 세법상 최대주주 소유주식 할증평가율에 대한 실증연구

        박성훈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현행 상속법및증여세법상 최대주주등이 소유하는 주식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할증평가율에 대하여 실증연구를 통한 합리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상속세및증여세법상 재산 가액 평가의 원칙은 평가기준일의 시가이나, 최대주주등이 소유하는 주식의 경우 해당 시가액(혹은 보충적 평가액)에 일정한 비율(지분율 50%이하 20%, 50%초과 30%)을 할증하고 있다. 해당 최대주주 소유주식에 대한 할증평가에 대한 입법취지는 최대주주 등이 보유하는 주식이 회사의 경영권 내지 지배권을 행사할 수 있는 특수한 가치(경영권 프리미엄)를 내포하고 있고 따라서 거래현실에서 일반적으로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음을 고려하여 이러한 주식이 상속재산일 경우 그 가액을 평가함에 있어 해당 경영권 프리미엄의 가치를 적절히 반영함으로써 적정과세(실질과세원칙의 관철)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영권 프리미엄을 일률적으로 평가증하는 현행 세법규정에 대해서 지배권 가치의 존부나 그 가액을 달리하는 많은 경우의 수를 동일하고 획일적으로 취급하고 있어 구체적 타당성이 심하게 결여되어 있다는 비판 및 상장법인의 경우 매매사례가액에 지배권 프리미엄이 포함되어 있어 중복적용이 될 수 있다는 비판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현행 세법 규정의 일률적 평가방법과 주요국의 평가 방법과의 비교연구 혹은 현행 세법 규정상 이미 시가 평가된 주식의 경우 지배권 프리미엄의 중복 계산 가능성에 대한 논리적 비판들로서, 현행 세법 규정을 실증 분석 연구를 통하여 검토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논문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측정하기 위하여 재무관리상 발전되어온 여러 이론들을 검토한 후, 경영권 프리미엄 측정 방법론을 사용하여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최대주주 소유 주식에 대한 할증률을 실증 연구함으로써 해당 규정의 합리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경영권 프리미엄 측정은 의결권 있는 보통주식과 무의결권 우선주식의 가격차이를 통하여 측정하였고, 대상이 된 기업은 2012년 12월 기준 상장사 774개중 107개 기업을 표본으로 채택하여 현행 규정의 합리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상장주식의 보통가격에는 이미 경영권 프리미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현행 규정은 상장주식의 경우 경영권 프리미엄을 중복 할증하게 됨을 입증하였다. 다만 비상장주식의 경우 현행 규정의 경영권 프리미엄 할증은 합리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영권 프리미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상호출자제한집단 소속여부, 기업규모, 외국인지분율 및 최대주주 지분율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의결권 있는 보통주와 의결권 없는 우선주간의 가격차이를 통하여 현행 세법상 최대주주 소유주식에 존재할 것으로 간주하고 있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결과를 토대로 현행 세법상 문제점을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rol premium of the largest shareholder’s stock and validate whether it is reasonable to impose premium charge on the largest shareholder’s stock as per the current Inheritance Tax. The rule of valuation on inherited properties is market value (or fair value) on the valuation date according to the Inheritance Tax. However it imposes premium charges on the top of market price (or fair value) in case of the largest shareholder’s stock. It is the legislative intent that the largest shareholder’s stock deems to have the control premium and it is more valued than minority’s shares in the M&A transactions. Supporters claim that levying premium charge on the largest shareholder’s stock is line with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It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 applies to the largest shareholder’s stock valu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company’s profitability, actual control premium value and other factors affecting control premiums. Most of previous studies focus o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tax system or defects in the logical flow in the current Inheritance Tax. However no one has studied on the premium charges on the largest shareholder’s stock with empirical measures and methodology developed through Finance studies. This Study assesses the control premium with the measure of price variance between voting stocks and non-voting stocks. This paper measures control premiums of 107 companies out of 774 total listed companies as of 31 December 2012.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t will be double taxation if the Inheritance Tax levies control premium charges on the listed common stocks since they already contain the control premiums in their market price. The Inheritance Tax could still levy the control premium charges since the unlisted stocks do not contain the control premium portion in its fair price. Other factors affecting the control premium are found as mutual investment restriction group, size of the companies, foreign shareholders’ portion and the largest shareholder’s share portion. This Study performs empirical analysis to examine whether it is reasonable the current Inheritance Tax’s levy on the largest shareholder’s stock with defined measure developed through Finance studies.

      • 성실신고확인제도에 대한 실태 분석 : 세무대리인을 대상으로

        이윤경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Korea tax authority enacted the law for the honest tax reporting system (below” the system”) from July 22, 2011. The detail of the system is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tax payer has to receive the tax audit before individual tax filing from tax professionals. Second, a tax professional performs the tax audit in accordance with the checklist issued by the law and receive the confirmation letter from the tax payer. Third, the system regulates the rewards for the honest tax reporting and the penalty for the negligent tax reporting both tax payer and tax professional. Fourth, the law was retroactively applied from tax filing of individual tax filing for 2011.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nd the details according to career and the structures of tax professional. The analysi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contains to value the effectiveness for the reward and penalty. For the analysis, this research conducted internet based surveys on tax agency officers, tax firms and small accounting firms located in Seoul. The summary and the conclusion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ax professional evaluated that the system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honest tax fil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depended on the career of a tax professional and the structure of tax professional. Second, the penaltie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rewards to increase the honest tax reporting. Third, there is a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tax professional and tax payer for the honest tax reporting service fee. Tax professional calculates the fee based on the additional time and tax risk of honest tax reporting. But, the individual tax payer limits the fee under 1,660,000 based on the personal tax credit limitation. The gap of service fee has a possibility to reduc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Fourth, focus of tax audit is the control of expense. But, the checklist did not explain the tax audit procedure to divide the expense – expenses incurred for living, non- business expense. As a result, the research makes two recommendations – increase the personal tax credit limitation for the honest tax reporting service fee and regulate the guideline of expense division for the tax payer or the detail tax audit standards for tax professional. But, the research has the limitation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was performed before expiration of reporting period. Second, the sample group only focused on tax professionals located in Seoul. Further research that overcomes limitations mentioned above will contributes to formulating tax policies that increase the honest tax reporting. * Key words: the effects of honest tax reporting system, the fee of honest tax reporting service, the responsibility of tax professional. 본 연구는 2011년 귀속소득에 대한 종합소득세 신고 시부터 최초로 적용되는 성실신고확인제도의 효과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무대리인의 평가를 다음과 같은 사항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제도의 운용실태와 이에 따른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성실신고확인제도의 유효성에 대한 평가이다. 여기에는 제도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시된 납세자와 세무대리인에 대한 혜택과 제재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였다. 둘째, 세무대리인의 경력 및 조직구조가 제도의 유효성 및 관련 혜택과 제재를 평가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 제도의 도입으로 인하여 종합소득세 신고 시 세무대리인이 추가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사항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세무대리인의 경력, 조직형태, 성실신고확인제도에 포함되어 있는 제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납세자와 세무대리인에 대한 혜택 및 제재의 내용, 제도의 도입으로 인하여 세무대리인 및 납세자에게 추가되는 의사결정과정에 포함되는 항목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서울지역의 세무대리인에게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세무대리인은 성실신고확인제도가 납세자의 성실신고를 유도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세무대리인의 경력이 증가할수록, 세무대리인 개인의 책임이 증가되는 회계법인, 세무법인, 개인세무사무실의 순으로 제도의 효과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의 유효성을 확보하고자 부여한 납세자와 세무대리인에 대한 혜택 부분에 있어서는 혜택보다 제재가 제도의 유효성을 높이는데 기여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도의 도입으로 인하여, 세무대리인은 기존의 세무대리업무에서 부담하는 것 보다 높은 수준의 책임을 과세당국이 요구하고 있으며, 평균 6.8일의 추가적인 시간을 소요하여야 하므로 이에 대한 최소한의 보상을 기대하고 있으나, 납세자는 성실신고확인비용의 세액공제의 한도액에 해당하는 166만원이 세무대리인에 지급할 수 있는 최대한의 금액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성실신고확인보수에 대한 납세자와 세무대리인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성실신고확인비용에 대한 세액공제 한도를 증가시키는 방안을 검토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성실신고확인서의 작성에 있어서 세무대리인이 가장 부담을 많이 느끼는 항목은 증빙과 비용의 대조 및 납세자가 제시한 증빙에서 가사용 경비, 업무무관 경비를 분리하는 것이었으며, 이에 따라 납세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으로 경비의 업무관련성 여부를 확인하는 상세한 지침 또는 성실신고확인업무의 범위와 직결된 세무대리인을 위한 별도의 지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성실신고확인제도에 대한 종합소득세 신고가 종료되는 2012년 6월 30일 이전 기간에 서울지역 세무대리인만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조사의 시기 및 범위, 표본 수에서 조사의 효과가 제한을 받았다. 그러므로, 제도의 실질적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2011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분과 종전 종합소득세 신고에서 나타나는 개인납세자의 신고소득변동에 대한 분석, 설문 지역의 확장, 설문조사대상자에 납세자를 포함시킴으로써 좀 더 의미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통하여 개인소득자에 대한 성실신고를 유도하기 위한 개선안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주요어: 성실신고확인제도의 효과, 세무대리인의 책임, 성실신고확인보수  

      • 家業承繼支援稅制에관한硏究

        김정한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2000년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기업경영자의 고령화는 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가업승계의 준비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피상속인의 사망에 따른 상속인의 가업승계 시에는 상속세 부담으로 인해 가업을 폐업 또는 청산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원활한 가업승계를 세제상 지원할 목적으로 1987년에 가업상속공제를 최초 도입하였다.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사업승계 또는 가업승계를 지원하기 위해 2000년대에 세제개혁을 통해 상속공제제도를 확대하여 시행하고 있다. 선진국의 사례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가업승계지원제도도 2008년 이후 확대하는 추세에 있다. 초기에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제한도를 확대하다가 그 대상을 매출액 기준 일정규모이내의 비중소기업으로까지 확대하고 있다. 공제대상 가업범위의 확대와 공제금액의 증액은 공제받지 못하는 가업의 역차별을 심화시키고, 가업범위의 확대에 관한 과세당국과 납세자와의 마찰은 가까운 장래에 삼성, 현대자동차와 같은 재벌기업까지 포함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다. 따라서 가업승계지원제도의 확대에 따라 재벌기업까지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현행 가업승계지원세제를 고찰하고, 비교 방법적 측면에서 미국, 독일, 일본의 가업승계세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 가업승계세제와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된 내용은 각 국가별로 경제활동의 특성에 따른 상속세 및 증여세의 세제강화 여부, 가업승계 지원의 개념인지 사업승계 지원의 개념인지에 대해서 구분을 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1950년대 상속세와 증여세 도입이후 2003년 포괄주의 과세개념이 도입되기 전까지 세금을 회피하려는 재벌가 등과 이를 막으려는 국회 및 행정부, 중간에서 이를 저울질하는 대법원과 헌법재판소 사이에 수 십 년간 증여세 부과개념에 대해서 갈등을 거듭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급성장은 부의 편중 등 부작용을 초래하여 어느 나라 국민보다도 부의 대물림에 대해서 부정적인 국민정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 근거하여 가업상속공제의 무분별한 확대는 부의 무상이전을 합법화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수단이라는 우려를 낳게 된다. 또한,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서 낮은 조세부담률, 회계투명도, 높은 지하경제규모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공익성을 띤 가업승계지원이라 하더라도 형편에 맞게 세금을 부담한다는 인식에 대해서 포괄주의 과세이념의 무력화에 따른 우려를 보일 수밖에 없게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회계투명도 개선 및 지하경제규모의 감소, 가업승계지원 확대로 인한 국가 경제적 입장에서의 순 효과에 대한 사전 검증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가업승계 관점으로, 전제 조건이 해소된 경우에는 사업승계의 관점으로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 전제조건이 해소되기 전에는 가업승계의 관점에서 다음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업의 범위를 비상장 중소기업으로 제한, 둘째, 특수관계인의 범위를 친족 및 직계비속 배우자의 2촌 이내 부계혈족과 그 배우자로 제한함으로써 가족기업 승계에 대한 지원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업의 사후관리요건 중 사업유지 요건인 사업용 자산 처분금지 요건은 기술 진화에 따른 기업경쟁력 유지 및 구조조정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일정기간 내에 재투자가 이루어지는 경우 예외를 인정하여야 한다. 넷째, 가업상속과 영농상속공제는 통합되어야 한다. 농업과 비농업간의 공제제도 차별화에 대한 합리적 근거 없이 가업상속공제 한도만 대폭 늘리는 것은 종국적으로 차별심화에 따른 불평등의 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다. 다섯째, 상속인이 공동상속의 경우에도 가업상속공제를 허용해야 한다. 현행 상속세법상의 상속의 개념은 민법상의 상속에 근간을 두고 있는바, 민법상 상속의 특징 중 하나인 균분 공동상속의 현실을 반영하여 가업승계를 지원해야 한다. 가업상속에 따른 세금부담으로 인해 가업승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기업인들의 현실을 고려하면, 지원에 대한 필요성은 충분히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충분한 사전검증과 세원 투명성 확보를 위한 인프라 정착없이 가업승계지원을 확대하는 것은 최근 유럽재정위기와 같은 재앙을 우리나라에 불러올 지도 모른다는 우려감을 지울 수 없다. The aging of corporate executives as a result of the entry into an aging society in 2000 caused the necessity of preparation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a corporation, and there even occurs a case of closing or liquidating a family business due to the burden of inheritance tax when succeeding a family business of an inheritor as a result of the death of decedent. In South Korea, the deduction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in 1987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for smooth family business succession in terms of tax. Also,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Germany, Japan, etc. have expanded and implemented the inheritance tax exemption system through the tax reform in 2000s in order to support for business succession 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Based on the cases of the developed countries, the support system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has had the tendency of expansion since 2008. At the initial phase, the exemption limit has been expanded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Now, the scope is expanded to non-SMEs within a certain size in terms of sales revenue. The expansion of family business scope for exemption and the increase in the exemption amount deepens the reverse discrimination for family businesses that are not qualified for exemption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tax authority and the tax payers as to the expansion of family business scope would not preclude a possibility that could include such large conglomerates as Samsung and Hyundai Motors in the near future. Thus, an issue would be raised as to whether it would be reasonable to include the large conglomerates in the scope of expansion for the support system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thesis reviewed the current tax support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in South Korea and examined the tax system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in the US, Germany and Japan from the comparative methodological aspect. And it derived the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m with the tax system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of South Korea. The main point was that it was possible to classify as to whether to intensify the degree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business activity for each country and whether it was the concept of support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or business succession. In South Korea, the conflict had been repeated as to the concept of levying gift tax between the large conglomerates who tried to avoid tax,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administration and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who was weighing it in the middle for decades from the introduction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in 1950s to the introduct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regime in 2003. In addition, the rapid development of South Korea caused such side-effects as concentration of wealth, etc.; therefore, South Korea has a more negative public sentiment than any other nation as to inheritance of wealth. Based on such historical background, a reckless expansion of the deduction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would cause a concern that it was another means to legalize the gratuitous conveyance of wealth. Moreover, the low tax burden rate and fiscal transparency and the high level of underground economy size of South Korea as compared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Germany and Japan make it impossible to get over the concern due to the incapacitat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ideology as to the perception that tax should be still borne in accordance with circumstances in South Korea even though it is a support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promoting public interest. In consideration with such points, this thesis proposes that it should be expanded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before the prior verification as to the net effect in terms of the national economy due to improvement of fiscal transparency, reduction of underground economy size and expansion of support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was not completed. After this prerequisite is resolved, it should be expanded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 succession. Before the prerequisite was resolved, the following improvements were proposed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First, the scope of family business was limited to non-publicly trading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econd, it would be required to clarify that it would be a support for the succession of family company by limiting the scope of affiliate person to relatives and parental kin of brothers and sisters of a spouse of a linear descendent and their spouses. Third, as for the requirement for prohibition on disposal of business assets that is the requirement for business preservation among the post-management requirements for family business, an exception should be recognized in the case where re-investment is implemented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the preservation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as a result of technological evolu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Fourth, family business succession and deduction for agricultural inheritance should be integrated. Increasing substantially the limit of deduction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without any rational basis as to the discrimination of deduction system between agriculture and non-agriculture would ultimately an issue of unequality as a result of deepened discrimination. Fifth, deduction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should be permitted even in the case of joint inheritance as an inheritor. The concept of inheritance from the current inheritance tax law is based on the inheritance of the civil law; thus, it would be imperative to support family business succession as reflecting the reality of equal joint inheritance, which is one of the attributes of inheritance from the civil law. Considering the reality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leaders who are facing difficulties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due to tax burden as a result of family business inheritance, the need for support is fully recognized. However, expanding the support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without a sufficient degree of prior verification and an infrastructure for ensuring the transparency of taxation source would make it impossible to get over the concern that it would cause a disaster such as the recent European debt crisis to South Korea.

      • 일본의 외국자회사 배당 익금불산입 제도와 관련한 국제조세전략에 대한 연구

        지일진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해외 자회사가 모회사에 지급하는 배당과 관련한 국제 간 이중과세를 배제하기 위하여 간접외국납부세액공제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던 일본은 2009년에 이를 폐지하고, 해외 자회사로부터의 배당을 과세대상에서 제외하는 외국자회사 배당 익금불산입 제도를 도입하였다. 간접외국납부세액공제 방식에서는 일본의 높은 법인세율을 고려할 때 해외 자회사의 소득을 배당의 방식으로 일본으로 송금하기보다는 현지에 유보하는 전략이 유리하였다. 그러나 외국자회사 배당 익금불산입 제도가 도입되면서 해외 자회사로부터의 배당에 대한 세금부담은 상당히 감소하게 되었고, 해외에 자회사를 보유한 많은 일본기업들이 해외 자회사의 유보소득을 배당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일본으로 송금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자회사 배당 익금불산입 제도는 일본에 비하여 법인세율이 크게 낮은 국가에 소재한 일본 자회사들의 조세전략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우리나라의 법인세율도 일본의 법인세율에 비해 상당히 낮으므로, 외국자회사 배당 익금불산입 제도가 실제로 일본의 해외 자회사들의 조세전략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진출한 일본기업들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Scholes 등(2008)이 제시하고 있는 조세전략의 유형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에 진출해 있는 일본계 자회사들의 사례를 3가지로 분류하고 이들 사례들을 효과적인 조세전략의 측면에서 평가해 보았다. 첫 번째는 외국자회사 배당 익금불산입 제도를 활용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서 배당의 지급시기를 외국자회사 배당 익금불산입 제도가 시행된 이후로 연기한 사례이다. 다음은 해외 자회사 이익의 송금방식을 사용료에서 배당으로 변경한 사례이다. 외국자회사 배당 익금불산입 제도는 해외 자회사 이익을 모회사에 송금하는 방법들 중 배당에 대한 선호도를 크게 증가시킬 것이며, 이는 조세전략의 유형 중 소득유형의 전환에 해당한다. 마지막은 이전가격을 활용하고 해외 자회사로부터 수취하는 사용료를 감소시키는 전략을 통하여 소득을 해외 자회사로 이전시킨 사례이다. 이는 조세전략 유형 중 소득귀속처의 전환에 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자회사 배당 익금불산입 제도로 인하여 실제 일본의 해외 자회사들의 배당과 관련한 조세전략이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사례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일본을 포함한 선진국의 다국적기업들의 해외 자회사 유보이익을 자국으로 회수하기 위한 조세유인 제도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을 촉구한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도 법인세율이 낮은 해외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들의 국내송금을 유인하기 위하여 일본의 외국자회사 배당 익금불산입 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제도를 도입할 때 해외 자회사를 통한 조세회피에 대한 대책도 함께 마련하여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Japan abolished in 2009 the indirect foreign tax credit for eliminating international double taxation related to dividends from foreign subsidiaries to the parent company and adopted the foreign dividend exemption method in which the dividend from foreign subsidiaries are excluded from a taxable income. Given the higher corporate income tax rate in Japan, it is more profitable to retain the profits of foreign subsidiary locally than to send to Japan as dividends under the indirect foreign tax credit. However, as the foreign dividend exemption method was adopted, the tax burden of dividends from foreign subsidiaries has been sufficiently reduced, and many Japanese firms having foreign subsidiaries began to actively send their retained income of the foreign subsidiaries to Japan via dividends. The foreign dividend exemption method may affect tax planning of Japanese subsidiaries located in countries where the corporate income tax rate is sufficiently lower when compared to that of Japan. Because corporate income tax rate in Korea is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of Japan, it may be greatly useful to investigate cases of Japanese firms entered in Korea in order to observe effects of the foreign dividend exemption method on the tax planning of Japanese foreign subsidiaries. Based on the types of tax planning presented by Scholes et al. (2008), this study divided the cases of Japanese subsidiaries in Korea into three types to evaluate those cases from the aspects of effective tax planning. The first type is the simplest method to use the foreign dividend exemption method, cases that date of dividend payment was delayed to be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method. The second type included cases in which the method of sending foreign subsidiary's profits was changed from royalties to dividends. The foreign dividend exemption method may sufficiently increase preference to dividends among the methods of sending foreign subsidiary's profits to the parent company, and the method can be a switch of profit type among the types of tax planning. The last third type is cases in which profits were transferred to foreign subsidiaries via using transfer pricing and via reducing royalties received from foreign subsidiaries, and the method can be a switch of a place of profit attribution among the types of tax planning. This study identifies how to change in the tax planning related to dividends of Japanese foreign subsidiaries due to the foreign dividend exemption method. This study identifies effectiveness of tax incentives in order for the advanced countries to collect retained income of the foreign subsidiaries of their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demanded actions of the Korean government to respond. In the long term, Korea is possible to adopt a system similar to Japan's foreign dividend exemption method in order to induce domestic remittance of Korean firms that enter foreign countries with lower corporate income tax rate. This study suggests that adopting such system should require measures to cope with tax avoidance via foreign subsidiaries.

      • 제3자 콜옵션을 부여하는 전환사채의 발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대주주의 기업승계 유인을 중심으로

        김혜성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발행회사가 이해관계인에게 사채매수 옵션을 부여할 수 있는 제3자 콜옵션 전환사채 발행이 증가하고 있다. 전환사채는 부채와 자본의 성격이 혼재되어 주식의 이연발행형태라고 평가되는데, 전환가액 하향조정을 이용할 경우 신주의 할인발행이 가능하므로 지분율을 초과한 제 3자 배정은 기존주주의 부가 전환권을 행사한 자에게 이전하는 결과로 귀결된다.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의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기업 전환사채 발행공시를 대상으로 제 3자가 매수청구를 할 수 있는 권리(call option)을 부가하여 발행하는 기업의 최대주주 영향력과 기업승계 유인이 전환사채 발행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3자 콜옵션 전환사채 발행은 지배주주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해 지배주주가 본인의 영향력을 이용해 편법적인 지분의 확대에 유리한 재무조달방법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소유경영자와 전문경영자집단을 구분하여 대표이사(최대주주)의 지분율에 따른 전환사채 발행빈도를 분석한 결과, 소유경영자의 지분율이 증가할 때 제3자 콜옵션 전환사채 발행이 상대적으로 유의한 증가세를 보였다. 셋째, 제3자 콜옵션 전환사채는 최대주주의 연령이 평균(55세)보다 높을 때 최대주주의 영향력이 클수록 그 발행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해당 전환사채가 경영권승계를 위한 세무계획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제3자 콜옵션 전환사채라는 신종증권 발행 동기를 최대주주의 기업승계 유인과 연계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최대주주의 세무계획 동기가 기업의 재무구조조달방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지배주주의 영향력에 기인한 사익추구 거래가 소수 주주의 이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Convertible Bonds with Third Parties’ Call Option(“CBCO”)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decision to issue this new type of callable convertible bonds and motivation for company succession was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 majority shareholder of companies issuing CBCO using 2,038 privately placed Convertible Bonds issued between 2014 and 20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ssuance of CBCO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ownership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was higher, suggesting that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are highly likely to use their influence to choose a capital structure decision for expanding shares most expeditiously.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issuance of the convertible bonds according to the ownership of the chief executive officer (majority shareholder) for the owner-management group and the professional management group, the issuance of CBCO showed a relative increase when the ownership stake of owner-manager increased. Third, the issuance of CBCO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influence increased when the age of the majority shareholder was higher than average (55 years old), indicating that convertible bonds were used as a tax plan for succession of the company.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by linking issuance motives of a new type of securities, CBCO, with corporate succession incentives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found that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tax plan motives may affect the company’s choice of capital structure decision.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indicate that transactions based on the pursuit of private interes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can affect the interests of minority shareholders.

      • 강인한 음성인식을 위한 계산적 청각 장면 분석 기반 음성분리 개선방법에 관한 연구

        최태웅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음성인식은 일상생활에서 특별한 도구 없이 음성만으로 기계 장치와 정보 교 환을 할 수 있는 도구로 오랜 연구 성과들이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을 정도로 성장을 거두어 왔다 최근에는 . 스마트폰, 스마트 TV, 이동로봇과 같이 많은 응 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업적으로 고부가가치의 기술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 만 음성인식의 가장 어려운 문제인 환경적인 여러 원인은 자유로운 음성인식 사용의 제약을 가져오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한 인식성능 저하는 사용자로 하 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하고, 사용의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원인이 된다. 환경적 원인을 해결 하는 것은 강인한 음성인식을 위한 매우 중요한 기반 기술이다. 특 히 배경소리와 여러 사람들의 음성들이 포함된 신호가 혼합된 환경을 칵테일파 티 문제(cocktail party problem)라 알려져 있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 성인식 시스템에서는 음성신호와 간섭신호를 분리하는 신호 분리 방법이 필요 하다. 입력 장치의 관점에서 두 개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분리방법들은 효과적으로 신호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공간적인 제약을 가져오는 소형 의 작은 단말기 시스템에서는 분리가 어려운 단점을 지닌다. 단일 마이크로폰상 의 신호 분리의 접근 방법들 중 인간의 청각인지 시스템을 모방한 계산적 청각 장면 분석(Computational Auditory Scene Analysis: CASA)은 매우 효과적으로 신호 분리를 수행한다. CASA는 청각신경 분석에서 얻은 시간과 주파수(T-F) 특징으로부터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와 피치 검출(Pitch Detection)을 통하여 음성 분리에 기반을 두고 음성만을 분리 한다. CASA를 기반으로 하 는 음성분리 시스템은 음성의 주기성 즉, 유성음을 근거로 분리마스크를 생성한 후 음성과 간섭신호를 분리함에 따라 시간과 주파수의 주기성 성분의 특성 분 리는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하지만 주기성을 보이지 않는 신호에 대해서는 분리 성능의 어려운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무성음의 손실을 가져오며, 음성인식에서 인식의 오류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CASA 음성 분리 시스템에서 유성음을 분리한 후 잔여 신호로부터 무성음을 추출하여 보상하는 방법과 분리성능 개선을 위하여 이진 영상 처리에 근거한 모폴로지 기반 분리 마스크 침식 스무딩(Smoothing) 방법 을 제안한다. 실험에 사용한 잡음 데이터베이스는 Noizus의 8종류의 잡음환경 음성을 사용 하여 제안한 무성음 보상 방법과 모폴로지(Morphology) 이진마스크(Binary Mask) 침식(Erosion)을 통한 스무딩을 통해 얻은 분리 음성의 SNR(Signal to Noise Ratio)과 객관적인 음질 평가인 PESQ(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로 기존 방법들과 비교 평가를 수행 하였다. 인식률 비교를 위한 음성인식 시스템은 증권 상장 회사명 100단어를 인식할 수 있는 HMM 화자 독립 인식 시스템으로 남녀 각각 50명의 화자 총 100명의 음성을 사용하여 잡음이 없는 클린 음성 데이터를 모델 학습에 사용하였고, 간 섭신호가 잡음일 때 인식률과 간섭신호가 음성일 때 인식률을 평가하였다. 간섭 신호가 음성일 때 음성 혼합 환경은 모델 학습에 참여하지 않은 임의의 남녀 화자 각각 5명의 혼합 음성을 기존 음성 분리방법과 제안한 음성 분리방법의 인식 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험 결과 잡음에 오염된 신호로부터 무성음 보상 방법과 모폴로지 이진마스 크 침식 스무딩 방법을 통하여 음성 분리를 수행한 결과 기존 방법에 비해 신 호 대 잡음비가 평균 7.09dB 향상을 보였고, 평균 PESQ 점수는 기존 방법에 비해 평균 0.54점의 음질 개선을 보였다. 인식률 평가에 있어서 깨끗한 음성의 인식률은 평균 97.36% 였고, 간섭신호가 잡음 이었을 때 분리음성의 인식률은 SNR이 0dB, 5dB, 10dB, 15dB에 대하여 기존 CASA방법 은 평균 56.2%를 보 였고, 제안한 방법은 71.9%를 보여 제안한 방법의 음성 인식률이 평균 15.7% 향상을 보였다. 또한 간섭신호가 음성이었을 때의 목표 대 마스커비(TMR)인 -9dB, -6dB ,-3dB, 0dB, 3dB, 6dB 에 대하여 기존 CASA방법을 통해 얻은 분 리음성의 음성 인식률 평균은 38.1%를 보였고, 제안한 방법을 통해 얻은 분리 음성의 인식률 평균은 47.0%를 보여 전체 TMR에서 평균 8.9%의 인식률의 향 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계산적 청각 장면 분석 기반 음성 분리 개선 방법을 통하여 강인한 음성인식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Speech recognition means a method to communicate with machineries without any special equipment only with speech in our lives, and it has been grown as results of study for a long time have been used in real life. Recently, this has been used for many applications like Smart phone, Smart TV and Mobile Robot and this has been grown as a higher value added business. However, many various environmental causes, the most difficult problem of speech recognition, restrict the usage of speech recognition freely. Therefore, low performance from this makes users feel difficulties to use it and avoid using it. Ways to solve this problem are very important based technique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Especially, cocktail party problem known as an environment to which a signal including other voices to speech recognition system is inputted needs segregation methods to speech signal and interference signal. segregation methods using two or more micro phones for input device can perform segregation effectively. But, this may cause spatial constraints and it is difficult to separate it at a small terminal systems. Computational Auditory Scene Analysis(CASA), which follows human auditory system of approaches of micro phone separates the signal very effectively. CASA is based on segregated by AM(Amplitude Modulation) and Pitch Detection through Time and Frequency(T-F) characteristic getting from Auditory Peripheral. This separates interference and speech by generating binary mask, based on periodic of speech, voiced speech. This separates characteristics of periodic of Time and Frequency effectively but this has difficultly in segregation performance for the signal which does not have periodic. This problem can cause loss of unvoiced immediately and recognition error of speech recognition. So, this study suggests to separate voiced speech with CASA, unvoiced compensation methode from residual signal and improved segregated methode through morphology based binary mask erosion smoothing based on binary image processing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of speech. Noise database in this study uses 8 types of Noizus environment noise, Auditory Scene Analysis and Smoothing by morphology erosion binary mask, residual speech compensation methode suggested by speech performs compared evaluation with existing methods through SNR of segregated speech and PESQ, objective speech quality. To evaluate rate of suggested methods, speech recognition system uses speech of 100 people of 50 males and 50 females respectively with HMM independent of speaker recognizer which can recognize 100 words of securities listed company in order to use noiseless clean speech data to model training and uses 5 mixed speech of male and females not joining to model training for before and after recognition experiment. As a result, by CASA unvoiced compensation methods and morphology based binary mask erosion smoothing from speech segregation for noised speech, we can see that SNR has been improved as average 7.09dB for Signal to SNR than existing one and average PESQ score improved speech quality as 0.54 than existing one. For rate, rate of clean speech is average 97.36%, that by speech when interference is noise, CASA methode is 56.2% and Proposed Methode is 71.9%,we has been improved as average 15.7% for 0dB, 5dB, 10dB, 15dB SNR against existing CASA segregated methode, and average of rate before segregated speech for -9dB, -6dB ,-3dB, 0dB, 3dB, 6dB, Target to Masker Ratio(TMR) when interference is speech is 38.1% and that of segregated speech getting from suggested improved method is average 47.0%. So, from overall TMR, we can see that recognition rate has been improved as average 8.9%. Therefore, in this paper, we suggest robust speech recognition by CASA performance of segregation methods.

      • 조세감면 폐지가 외국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재원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7년 12월 EU에서는 유해 조세제도 제거를 근거로 삼아 한국을 조세 비협조국으로 지정하였다. 여기에 포함된 나라는 바베이도스, 사모아, UAE 등을 포함한 총 17국으로, 한국 정부에서는 이러한 통보를 받자마자 EU의 조세 비협조국 명단에서 벗어나기 위해 2018년 말을 기점으로 각종 외국인 투자감면을 폐지하였다. 일반적인 통념상 조세감면과 외국인직접투자는 비례관계에 있으므로 2017년 EU의 유해 조세제도 개선 권고에 따라 2019년부터 폐지되는 외국인 투자에 대한 조세감면은 조세감면 혜택을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는 제조업체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입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아래 3가지 근거에 따라 조세감면과 외국인직접투자의 상관관계는 미미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조세 혜택 폐지, 법정세율의 조세 변수와 국가의 규모, 국가 간 거리, 국가의 안정성, 무역 개방도의 비 조세 변수를 이용하여 외국인직접투자의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중차분 분석 결과 조세 혜택의 폐지와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의 상관관계는 미미하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외국인직접투자는 조세 혜택과는 크게 상관없이 국가의 경제 규모, 국가 간 거리, 무역 개방도, 투자대상국의 안정성 등 비조세적요인에 의해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조세 혜택을 폐지하더라도 외국인 자본유입이 유의미하게 줄어들지는 않을 것 분석되었다. 둘째, 2018년과 2019년에 외국인 투자기업의 자본금이 증가한 건수와 감소한 건수를 제조업과 비제조업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없었으므로 외국인 투자감면과 외국인 투자는 연관성이 있다고 말할 수 없었다. 셋째, 지난 10년간 외국인 투자감면액과 외국인 투자금액을 비교한 결과 연도별 외국인 투자에 대한 조세감면 총액은 줄어드는 데 반해 외국인 투자 유입 규모는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외국인 투자감면과 외국인 투자는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선행연구들에서 조세가 외국인직접투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은 과대평가 되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조세 혜택이 외국인직접투자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다고 볼 수 없으므로 한국 정부의 외국인 투자에 대한 조세 인센티브제도는 그 중요성을 낮추어 유연하게 운영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In December 2018, The Korean Ministry of Finance announced abolishing tax abatement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background of this announcement was that EU listed Korea as non-cooperative jurisdictions for its harmful tax regimes and Korean government have to get out of the EU blacklist. In general, tax abatement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closely related. it was estimated that abolishing tax abatement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lead to decreas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was not in line with tax abatement with following analysis. First, this study found mere sensitivity between tax abatement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rather, it was more sensitive with other factors. for example, import and export trade scale between countires.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number of capital increase and decrease among manufacturing companies and other companies between 2018 and 2019,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for the decades, the tax abatement amount have been decreased however the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creased. This is another evidence for its mere connection between tax abatement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relation between tax abatement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was overestimated. For this reason and its mere effect, Korean government could be flexible on tax incentive on attrac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 성별 기본주파수 분포에 의한 음성 인식률 향상에 관한 연구

        이정숙 광운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음성인식 시스템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서 입력음성 데이터의 기본 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F0)에 따라 여성인지 남성인지를 구분하여 성별로 각각의 DMS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부분의 인식기 모델은 성별에 의존적인 모델(gender-dependent model)을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남성이 발성한 음성 데이터만으로 모델을 만들어 남성만을 인식하거나, 여성이 발성한 음성 데이터만으로 모델을 만들어 여성만을 인식한다. 그러나 요즘 들어 음성 인식기를 사용한 상품화가 대두되면서부터 하나의 시스템으로 남·여성 구별 없이 인식하기 위해 혼합모델(남·여성의 음성 데이터 모두를 가지고 만든 모델)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시스템의 인식률은 모델에 참여한 남·여성의 특징파라미터 분포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한다. 즉, 특징파라미터가 남성의 분포에 많이 치우쳐져 있으면 남성의 인식률은 높고 여성의 인식률이 낮게 나온다. 그 반대로 여성의 경우도 같다. 둘째, 동일한 화자가 같은 단어를 발성하여도 인식률의 차이를 보이는데 혼합모델 하나만을 사용하게 되면 인식률의 변동이 심하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3가지 모델(남성모델, 여성모델 그리고 남·여성의 음성 데이터 모두를 가지고 만든 혼합모델)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모델은 하나의 혼합모델을 사용한 경우보다 더 높은 인식률 향상을 보였다. (화자종속-남성: 0.61%, 여성: 1.12%, 화자독립-남성: 3.13%, 여성:0.4%)

      • 분할 세제에서 포괄승계 요건에 관한 검토

        박성균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taxation related to restructuring was originally established to smoothly support the corporate restructuring, but over time it has been changed to strictly interpret special tax cases based on the principle of tax equality. Taxpayers face uncertainty when making the restructuring decisions due to the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tax authorities. One of the problems caused by the overly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tax authorities is the purpose of business among the deferred tax requirements for split-offs, a method of restructuring. In particular, a phrase "the assets and liabilities of a divided business unit shall be comprehensively succeeded" prescribed under the Article 46 (2) 1. (b) of Corporate Tax Act (the "Act") is discussed. The word 'comprehensive' connote the meaning of 'all' and 'at the same time or at once' and this may lead considerably different application of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ed problems and propose amendments to the connected tax legislation. The summary of the amendment is as follow. First, amend the phrase of the Act to 'the assets and liabilities related to the independent business activities shall be comprehensively succeeded' from 'the assets and liabilities of a dividend business unit shall be comprehensively succeeded'. Second, amend the Article 82-2 (4) of Enforcement Decree of the Corporate Tax Act (the "Enforcement Decree") to clearly indicate the Article is enumerated in compliance with the intent of the Act, as it is currently unclear and potentially confusing if the phrase 'the assets jointly used and the liabilities, the debtor of which cannot be changed' is enumerated or exemplary. Third, prevent the ambiguit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above mentioned, 'the assets and liabilities related to the independent business activities' by further defining to be used for the for-profit activities that ar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carried out under one's own risks and calculation in the Enforcement Decree. This amendment will spare companies of the resource input to distinguish all assets and liabilities and contribute for restructuring of qualified split-offs to smoothly achieve the intended economical effect by eliminating the issues arise from the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tax authorities. 구조조정 관련 세제는 당초 기업 구조조정의 원활한 지원을 위하여 제정되었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조세평등원칙에 입각한 조세특례의 해석을 엄격하게 하는 것으로 변화하여 왔다. 과세당국의 엄격한 해석으로 인하여 납세자들은 구조조정 의사결정에서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된다. 과세당국의 지나친 엄격한 해석이 가져오는 문제점 중 하나로서 구조조정의 방법인 분할의 과세이연 요건 중 사업목적성, 그 중에서도 법인세법 제46조 제2항 제1호 나목의 “분할하는 사업부문의 자산 및 부채가 포괄하여 승계될 것”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포괄’이라는 문구는 ‘모든’이라는 의미와 함께 ‘한꺼번에 혹은 일시에’라는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여 법의 적용이 크게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으로서 관련 세법조문 개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개정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법에서 분할하는 사업부문의 자산 및 부채와 포괄적으로 승계될 것이라는 문구를 독립적인 영업활동에 관계가 있는 자산 및 부채가 승계될 것이라는 문구로 개정한다. 둘째, 법인세법 시행령 제82조의2 제4항의 공동으로 사용하던 자산, 채무자의 변경이 불가능한 부채는 열거 규정인지 예시 규정인지 불명확하여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법의 취지와 맞게 열거 규정임이 명확히 나타나도록 개정한다. 셋째, 상기 독립적인 영업활동에 관계가 있는 자산 및 부채에 대한 의미를 자기의 위험과 계산 아래 계속, 반복적으로 행할 영리추구 활동에 사용하는 것으로 시행령에 풀어서 규정함으로써 해석의 모호함을 방지한다. 이 개정안은 기업이 모든 자산과 부채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역량 투입을 아끼고, 과세관청의 엄격 해석에서 나타나는 쟁점을 배제하여 적격분할 구조조정이 원활하게 목적한 경제적 효과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