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竹取物語』における中国の 文化的要素について

        이철명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고대신화와 일본 신화를 중심으로 중국고대문학과 일본 문학 사이의 연관성과 독창성을 분석하려 하는 논문이다. 일본과 중국은 고대에 많은 교류가 있었다. 600년대에 들어와서 부터의 견수사(遣隋使), 견당사(遣唐使)의 파견은 일본 고대 문화를 확립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물론 한반도의 백제, 신라, 고구려의 문화도 많은 영향을 끼쳤지만 그 원류는 중국이다. 당나라 문화의 융성은 한반도를 거치거나, 직접 일본에 영향을 끼쳤고, 그 영향을 받은 많은 문화들이 일본의 고대 문화와 문학으로 정착했다. 그 뿐만이 아니라 건축물에서도 중국 영향을 받은 것을 확인 할 수가 있다. 이러한 문화적, 문학적인 영향아래 만들어진 소설이 최초의 소설 『竹取物語』이다. 일본의 가장 오래 된 소설로서의 가치 뿐 만이 아니라 내용면에 있어서도 전기적인 전개로 상상할 수 없는 공상의 세계를 그린 작품으로 중국과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竹取物語』와 중국 고대 신화인 『항아분월』, 그리고 현대 중국의 동화인 『반죽고낭』을 비교한 논문이다. 세 작품의 비교를 통하여 중국과 일본의 고대 교류, 작품을 통한 당시의 흐름, 서민의 생각 등을 살펴보려 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ancient Chinese mythology and Japanese mythology, and analyzes the referentiality and originality between ancient Chinese and Japanese literary works. In particular, Japan frequently sent Tang envoys to China to study the Tang culture at that time during the Tang Dynasty in China. Even today, you can see the buildings that were imitated from the Tang Dynasty in the buildings left in Japan. In the early Heian period, Japan was influenced by a lot of Tang culture, and local works also had many shadows of Tang Dynasty literatur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ldest Japanese story "The Story of Bamboo", the ancient Chinese myth "Chang'e Flying to the Moon" and the modern Chinese children's book "The Bamboo Girl". Therefore, there is a deep connection between China and Japan. Although there are great disput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one of the Asian countries, the cultu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closely related.

      • 한·일 타격기 무술을 통해 본 인식차이와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 태권도와 가라테를 중심으로

        이병학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태권도는 우리의 고유 무예라고 알려져 있으나, 기술용어를 살펴보면 공수도(空手道에)서 사용하는 일본어의 한자어 흔적이 남아있거나, 우리의 전통 관념을 대신해 일본의 관념이 들어있는 용어를 볼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면에서 공수도와의 정통성에 대한 논란도 야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관념이 깃든 무예 관련 용어의 정립과, 태권도의 독창성을 확립하기 위한 논문으로 앞으로의 한국고유의 무예에 대한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태권도와 공수도의 발전과정과 사용하는 용어, 관련 인물, 두 무예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검토함으로써 두 무예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무예의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공격과 방어라는 용어에서, 공격은 양국이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같은 용어를 쓰고 있는 반면, 방어의 경우는 일본에서는 “우케(受け)”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공수도의 “우케(受け)”는 태권도에서 “받기”라는 표현이 대응됨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경우 “막기”라는 표현을 쓴 것은 수많은 외침에 있어서 막아내야 하는 것만이 자신과 가족의 생명, 나아가 국가의 안위를 지킬 수 있다는 절박함이 반영된 것이라 생각한다. 이는 우리 역사에 연연히 내려오는 호국의식의 반영이라 할 것이다. 일본의 경우 자국민 간의 전투가 대부분이었던 터라 전쟁 후에도 화합이 가능한 문화로써 “和”를 중시하는 반면, 외국의 침입이 대부분이었던 우리의 경우에는 무슨 방법이든지 막아내어야만 한다는 관념이 “受け”와 “막기”라는 용어의 차이로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또한, 우리가 무술·무도·무예로 특별한 구분이 없이 사용하고 있는 용어는 “무예”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전통 관념이 잘 나타난 “무예” 등의 용어가 가장 적합하며, 일상생활에서의 용어로서의 정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태권도의 세계적인 위상에도 불구하고 공수도와의 관련성으로 인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가 미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등재를 위해 관련 자료의 수집과 도복이나 띠의 독창적 재창조가 요구되며, 품새 등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연구와 문화교류 활성화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최근, 한류의 붐과 더불어 태권도에 관한 관심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태권도의 규범 및 제도의 정비·보완을 통한 우리만의 독창성의 확립이 필요하다. 호국무예로서의 역할을 다해 온 태권도야 말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무예로서 다시 한 걸음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논문이 이러한 바람을 이루는데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Taekwondo is known as a martial art native to Korea. However, its technical terms still have the traces of the Japanese kanji used in Karate and some terms contain Japanese ideas instead of traditional Korean ideas. In the midst of controversy over its legitimacy,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originality of Taekwondo and clarify martial arts terms which are infused with our hearts.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make suggestions on how to develop Korea's unique martial arts in the fu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aekwondo and Karate is examined by reviewing development processes, terms used, persons involved,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se two different martial arts. When referring to ‘attack’ and ‘defense’, which are the most basic of martial arts, both Taekwondo and Karate use the same terms to mean ‘attack,’ but this is not true for ‘defense.’ While the term “Uke” is used in Japan for defense, we use the expression “Makki(block)” in Taekwondo instead of “Badgi(receive),” which corresponds to “Uke.” The term of “Makki” is thought to reflect Korean people’s desperation to protect themselves, their family, and the country only by blocking numerous foreign invasions.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reflection of the sense of patriotism that has been passed down in our history. Since most of the battles in Japan were fought between people from its own country, there can be reconciliation even after the war and ‘harmony’ was emphasized in its culture. On the other hand, Korea went through a great many foreign intrusions, and we had to stop them by any means. These different positions and concepts lead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rms, “Uke” and “Makki.” In addition, the terms that are used without any special distinction, Musul, Mudo and Muye, need to be unified into ‘Muye(martial arts).’ The term, ‘Muye’, which represents our traditional notion well, is most appropriate, and it should be widely used in everyday life. Despite its global status, Taekwondo’s registration as a World Heritage Site is being delayed due to the relevance to Karate. In order to be registered, it is necessary to collect related data, recreate originally the uniform or belt, research on new possibilities of poomsae(form), and pay more attention to promoting cultural exchange. Recently, with the boom of the Korean Wave, Taekwondo is attracting global attention. It is high time to establish its own originality by reorganizing and improving the norms and systems of Taekwondo. I expect that Taekwondo, which has played a role as a patriotic martial art, will have an opportunity to take a step forward as a representative martial art of Korea. It is an honor if this study lays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Taekwondo.

      • 일제강점기의 사정토지에 대한 소유권 분쟁에 관한 연구

        구본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토지제도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중 가장 중심을 이루는 것이 토지조사사업 및 이를 기초로 작성된 토지조사부이다. 토지조사사업의 적법성 여부에 대하여 역사적 고찰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토지조사부의 법적 가치를 얼마만큼 인정하여야 하는 것인지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논의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고 해방과 6·25 전쟁을 거치면서 토지소유권 확인의 가장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는 부동산등기부가 멸실된 지역이 많았고, 등기부 작성의 토대가 되는 토지대장도 함께 멸실된 지역이 많았다. 이로서 토지소유권이 불분명해진 토지가 증가하였고, 국가는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무주부동산 공고 제도를 통하여 많은 토지를 국가의 소유로 귀속시켰다. 그런데 최근 조상땅 찾기 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국가를 상대로 소유권보존등기말소나 소유권이전을 구하는 소송이 급증하게 되었고, 그 대상도 개발로 인하여 지가가 상승되었거나 상승되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진정한 소유권을 인정할 수 있는 근거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논의가 있게 되었고, 법원은 판결을 통하여 일정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자료가 토지조사부이다. 법원은 이전에 토지조사부의 권리추정력에 대하여 상반된 판결을 하다 1986년 전원합의체판결을 통하여 토지조사부에 소유자로 기재된 경우 토지소유자로 사정받고 그 사정이 확정된 것으로 추정한다고 판결을 하여 국가 명의의 소유권보존등기가 있더라도 등기의 추정력은 번복되며 토지조사부 기재 소유자의 후손이 진정한 소유자라고 인정하고 있다. 사정에 의한 토지에 대한 소송에서 국가의 항변은 여러 가지가 있다. 장기간 점유로 인한 취득시효의 항변, 농지개혁에 따른 분배농지의 항변, 사정 토지가 제3자에게 처분되었음의 항변, 하천으로 편입되었음의 항변이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각 항변별로 관련판례를 검토하고 판례의 타당성과 문제점을 검토하여 국가를 상대로 한 사정 토지 관련 소송의 유형을 정리하고 유형별 소송 법적문제를 구체화 할 수 있다. 한편 국가가 적극적으로 사정 토지를 국가에 귀속시키는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이 2005. 12. 29. 제정되었다. 해방 직후 반민족행위처벌법이 제정되고 반민특위가 친일파에 대한 법적 처벌을 위한 작업을 하였으나, 해방 후에도 친일파가 득세를 하는 역사적 현실에서 법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여 과거청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러한 현실은 최근까지 계속되었다. 뒤늦게나마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의 제정으로 인하여 반민족 행위자가 축재한 재산을 국가에 귀속시켜 민족의 정기를 바로 잡고 잘못된 과거를 일부나마 청산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어 : 토지조사, 토지조사부, 귀속재산, 분배농지, 소유권확인, 소유권보존등기, 소유권이전등기, 친일파 The Korean land system experienced many change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mong them, the enterprise of land investigation and the book of land investigation based on that enterprise were the most critical ones. The legality of those two have been considered at a historical point of view, but the legal value of that book we should recognize has not been discussed sufficiently yet. After the emancipation and the Korean war, the book of real-estate registration which was most important for confirming land ownership was lost in many communities, and so were their land-books which is foundation to make out the registration. As a result, the unidentified lands increased, and the government reverted lots of them to the national treasury through the system of public notification about non-owned immovables. Recently, the legal proceedings which claim ownership transfer or obliteration of ownership maintenance registration to the government have increased, because of the active campaign to recover the lands of ancestors. And most of these legal proceedings have focused on the region that land price increased or has been increasing.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about reliable grounds which can be used to recognize the ownership, and the court of justice provided some standards through the judgement. The book of land investigation is most critical material in this process. In the past, the court gave different decision about the vermutung power of right of the book of land investigation. In 1986, in the case which the ancestors of a client have been recorded as a owner of the land in the book, the court gave a decision that the client who is descendant of the owner is assumed as the real owner, and that assumption is settled by common assent. Even though, the government has the ownership maintenance registration, this judgement approves that the descendant of the owner who is recorded in the book has the actual right. In these legal proceedings, the government has various pleas. For instance, there are the plea of ersitzung about long-term-occupation, the plea of farmland distribution by an agrarian reform, the plea that the land was sold by another person, the plea that the land has been incorporated into river, and so on. Through the investigation about judgements related with each pleas and the study about validity and controversial point of those judgements, we can arrange types of legal proceedings about the land to the government, and embody the legal problem of the process in each type. On the other hand, the law of anti-pro-japanese for pro-japanese's punighment and confiscation of wealth after release that the government reverted the unidentified land to the national treasury has been established at December 29th, 2005. After the emancipation, the Law of anti-pro-japanese for pro-japanese's publishment was announced, but that law didn't work properly, as the pro-japanese people became powerful, and the clearance of the past was not done efficiently. This situation didn't change much until nowadays However, though little too late, the government expropriated wealth of pro-japanese establishing the law of anti-pro-japanese for pro-japanese's punishment and confiscation of wealth after release. Through this work, the wrong past got liquidated partially, and our fair and equitable spirit got corrected properly. Key words : Land investigstion, Book of land investigation, wealth reversion, Farmland distribution, Confirmation of ownership, Registration of ownership transfer, Pro-Japanese.

      • 『万葉集』の「防人歌」研究 : 『詩経』の「戦争詩」と『全唐詩』の「辺塞詩」との比較を中心に

        웅천계가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시언지(詩言志)”라는 것은 고대 중국 문인의 문학이며, 중국에서 가장 기본적인 문학이라고도 할 수 있다. 어느 나라도 마찬가지겠지만 중국에서의 전쟁은 정치와 관련이 깊고, 정치는 문학사상과 관계가 있다. 그래서 중국 전통 문학은 문학과 정치하고의 관계를 중요시하고, 문학의 “지(志)”의 내용을 강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한편, 일본 독자적인 특색이 있는 문학으로 발전해 갔다. 『고금화가집(古今和歌集)』 서문(眞名序)에는 『시경(詩經)』의 영향을 받은 정치용어를 배제한 가나죠(仮名序)라는 문장이 있어, “마음”의 본질을 강조한 이른바 “마음으로 읊은 노래”라는 설명이 있다. 이는 일본문학의 출발점으로 생각된다. 『만엽집』의 사키모리우타(병사들의 노래)는 순수하고 소박하지만, 중국 전쟁시(戰爭詩)와 변방시(辺塞詩)는 이와는 다르게 나라를 사랑하는 아주 깊은 내용과 생기가 넘친다. 지리적 여건 차이 때문인지, 일본에서는 그런 노래는 보이지 않는다. 전쟁시와 변방시는 마음에서 우러나는 정치와 관계가 있는 문학이라고 할 수 있지만, 『만엽집』 사키모리우타는 시가를 통해 정부에 방침에 동조하는 시를 노래했던 고대 중국전통의 문학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사키모리우타는 마음과 감정을 읊은 문학이지만, 『시경』 전쟁시와 전당시의 변방시는 모두 변방의 전쟁과 방어를 배경으로, 충군애국, 군인들의 고향과 가족 등에 대한 감정, 여행의 고달픔, 전쟁의 상황 등이 그려져 있다. 이와는 다르게 『만엽집』의 사키모리우타에는 충군애국에 관한 노래가 5 수밖에 없다. 사키모리우타에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을 노래한 가슴 아프고 이별을 아쉬워한 소박한 내용이 매우 많다. 중국의 충군애국 표현에 있어 『시경』에서는 영웅상을 담아, 또한 전장의 여러 장면들을 묘사하지만, 사키모리우타에는 그런 표현이 보여 지지 않는다. 사키모리우타는 마음과 감정을 다루는 문학인데 반해, 전쟁시와 변방시는 마음과 정치를 다루는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양국의 전쟁으로 인한 소재를 다룬 문학을 비교, 검토한 것이다. Considerations of “Prevention Person Songs” of the Man’yoshu-Focusing on “War Poetry” of the Shijing, and patriotic poetry of the Quan Tangshi-Shi—yangzhi, meaning “poetry is volition,” is the fundamental tenet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In China, war is closely related to politics, and politics is related to literature. Hence,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generally emphasized the connectio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as well as “spirit Although Japan was influenced by China, it has a unique literary view. The Chinese introduction to the Kokin Wakashu (Collection of Ancient and Modern Japanese Poetry), which is also called “Poetry shows the heart,” eliminates the political terminology us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Shijing and emphasizes the essence of “mind” of Japanese poetry by its pseudonym. It is perceived as the origin of Japanese views of literature The Man’yoshu’s “Prevention Person Songs” are pure and rustic, while war poems and erotic poetry are highly and enthusiastically rated. Although the differences in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the institution of expressing one’s opinions to the government through poetry cannot be seen in the Japanese poems, it is related to Chinese traditions from antiquity. While the “Prevention Person Songs” are literature dealing with the mind and emotions, war poetry and erotic poetry are literature dealing with the mind and politics. The “Prevention Person Songs” of the Man’yoshu, “War Poetry” of the Shijing, and the “erotic poetry“ of the Quan Tangshi, all based on the experience of frontier war and defense, described that patriotic, the thought of the hometown and family that the soldier carries, the isolation of the journey, and the situation of war. There are only five poems described as patriotic in the “Prevention Person Songs” of the Man yoshu. Others are filled with affection in describing parting from a loved one. In the representation of patriotism, the Shijing contains heroic imagery and there is a description of streaks, but there is no such expression in the “Prevention Person Songs.”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differences in literary views between Japan and China by comparing the “Prevention Person Songs” of the Man’yoshu, “War Poetry” of the Shijing, and erotic poetry of the Quan Tangshi.

      • ADR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조정, 중재를 중심으로

        강유신 경희대학교 국제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inauguration of World Trade Organization(WTO), an international trade organizer, increasing volume of trade tells the globalization of world trade system. Introduction of a recent bilateral agreement, Free Trade Agreement(FTA), is on the rise that all the more prompts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hip. Ensuing dispute against each traders, therefore, is getting complicated and various manner that accentuate peculiarity of locality, require different settlements. These various dispute settlement measures promotes both parties' best interests with minimum settlement expense contemporary. The measure would be the critical one meeting the needs and understanding to both interested parties. Not only does this trend show in Korea soil but also the U.S, and the E.U show the same way in its commercial dispute. Thu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ADR) has great opportunities in the light of nature of modern society -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Against the background, this thesis expounds a couple of answers about these questions; "Does utility of ADR is required?, What does ADR make difference against lawsuit?, What alternative dispute settlement measures has been made across the world? And how Korea should forward its ADR?" contrary to existing lawsuit measure, the application of ADR is all the more rational, humanistic stepping with the current of modern era and social climate manifesting flexibility to ever-complicating and various dispute cases. The calls to fill up the limit of existing lawsuit came to light in particular, in commercial disputes. That is to say, as a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spute settlement system, ADR is thriving and prospering that reflects social climate for each nation. In order to motivate application of ADR, Korea still has much to be desired. The multi-faceted measures including encouragement of ADR in court, financial support and alteration of public recognition toward ADR-related policies and ADR itself should be conducted. Legitimacy to develop and activate ADR provides faster settlements and cutting expense and less workloads to court. The Korea judiciary, therefore, should make more efforts to encourage of the measure. Lawyers, medium of dispute settlements should specialize the measure on their turf, strain to take root to this measure as a settlement means. In-depth studies in this domain should be required. A collection of settlement cases has published in meager volume, though, many studies on the way. In particular, comparison and analyzing cases which base on current ADR application actuality across the world give greater help to encourage Korean companies to adopt ADR in more affirmative manner.

      • 오에(大江)문학과 모옌(莫言)문학의 비교연구

        예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1901년 노벨문학상이 제정된 이후, 동아시아권에서는 총 3명의 작가가 수상을 하였다. 수상자는 일본의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1968년)와 오에겐자부로(大江健三郎 이하 '오에')(1994년), 그리고 중국의 모옌(莫言 이하 '모옌')(2012년) 이다. 현대문학의 기수(旗手)로 알려진 오에는 대학 재학 중인 23살(1958년)에 단편 『사육(飼育)』으로 아쿠타가와상(芥川賞)을 수상하였다. 사르트르의 실존주의(実存主義)의 영향을 받은 작가로서 전후(戦後) 젊은이들의 폐색감(閉塞感)을 잘 표현하여 신예작가로 주목받았다. 1967년에는 대표작 중 하나인 『만엔원년의 풋볼(万延元年のフットボール)』로 다니자키상(谷崎賞)을 수상하였으며, 노벨문학상 수상 당시에는 “시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현실과 신화가 뒤섞인 세계를 창조하고, 궁지에 몰린 현대인들의 모습을 잘 표현하였다.” 라는 평가를 받았다. 1994년 노벨상 수상식 기념 스피치에서, 오에는 한국의 시인 김지하(金芝河 1941~)와 중국의 소설가 정의(鄭義 1947~), 그리고 모옌을 동시대를 작가로서 언급하였다. “끝없는 빈곤과 혼돈의 풍요로움을 감춘 '아시아' 라고 하는, 오래되었지만 낡지 않은 강한 생명력의 메타포속에서” 라고 하며 3명의 문학자와 자신을 연계시켰던 것이다. 『애매한 일본의 나 (あいまいな日本の私)』특히, 노벨문학상 수상기념 강연에서는 모옌의 이름을 언급하며, “아시아에서 가장 노벨상에 걸 맞는 작가”라고 평하기도 하였다. 모옌은 1955년 중국 산동성(山東省)에서 태어나, 2012년 10월, 중국국적 작가로서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수상 당시, “환상적인 리얼리즘에 의해 민화, 역사, 현대를 융합 시켰다” 라는 평가를 받았다. 또, 중국역사에 번롱(翻弄)당하는 하층농민의 가혹한 인생과 윤회전생(輪廻転生)에 의한 시공간을 넘나드는 환상적인 리얼리즘 묘사로 알려져 있다. 오에와 모옌과 처음 만난 것은 2000년 가을, 오에가 중국 사회과학원의 초대로 북경(北京)을 방문했을 때였다. 그로부터 2년 후, 오에는 NHK의 취재에 응하기 위하여, 북경에서 모옌과 만나 모옌의 고향인 가오미(高密)로 가게 되었고, 함께 춘절(春節)을 보내게 되었다. 그 후, 두 사람의 친분은 한층 두터워졌고, 이러한 두 사람의 교류는 문학의 연구에도 영향을 주었다. 모옌문학의 연구는 오에문학과 비교하며, 토지의 신화(神話)를 둘러싼 표상(表象)이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기법에 초점을 맞춘 연구 등이 많이 있다. 하지만 두 작가의 작품을 해외에 널리 알린 번역이나, 문학의 영화화라는 시점에서의 연구는 아직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오에와 모옌의 비교문학적 연구에 있어서의 민화(民話)적기법, 매직리얼리즘, 모노가타리론(物語論)을 분석개념으로 하여, 문학·번역·영화라는 세 가지 분야에 초점을 맞춘 다각적인 고찰을 하고자 한다. 먼저 문학분야 에서는, 모옌 작품 속에 보이는 '장자(荘子)'의 「만물제동(万物斉同)」사상과, 발상법의 전환 ,「황당무계(荒唐無稽)」한 스토리의 근원 및 예로부터 계승되어온 윤리의식 반영을 분석 할 것이다. 또, 두 작가 모두 큰 영향을 받고 있는 20세기 아메리카문학의 거장 ‘윌리엄 포크너(William Faulkner)’ 와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Gabriel Garcia Marquez)”의 환상과 사실(写実)을 융합시키는 '매직리얼리즘' 기법을 모옌과 오에 작품의 문체 및 표현과 비교하고, 두 작가가 작품의 테마나 내용 전개방법으로 새로운 문학적 경지를 어떻게 개척 해 나갔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실과 허구가 하나가 되어, 세계를 창작해 가는 모옌문학의 작풍(作風)에 오에가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가를 고찰하고자한다. 또, 각각의 문학의 다양성(多様性)과 다면성(多面性)을 고찰함과 동시에, 문학 간의 인용관계와 문학이 가지는 재창조의 힘, 그리고 새로운 문체창출을 검토 하고자 한다. 번역 분야에서는, 먼저, 중국어권에서의 오에문학에 대한 평가와 그것이 번역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일본에서의 모옌문학 수용(受容)과 번역상황을 고찰한다. 그것을 토대로 하여, 모옌의『생사피로(生死疲労)』『흰개와 그네(白い犬とブランコ)』를중심으로「이화(異化)번역(foreignizingtranslation)」과「동화((同化)번역(domesticating translation)」을 분석개념으로 하는번역론,전개구조 또, 문체비평을 주축으로 한 모노가타리론(物語論)의 시점에서 번역자의 번역관, 번역실천, 원작(原作)과의 상관관계를 고찰 하고자 한다. 영화 분야에서는, ‘전쟁’ 과 ‘생명’을 테마로 하고 있는 장이머우(張芸謀)감독의「붉은 수수밭(紅高粱)」과 오시마 나기사(大島渚)감독의「사육(飼育)」을 비교 고찰하고, 작품의 전파나 수용에 관한 연구, 그리고 원작(原作)과 영화의 모노가타리(物語)구조 및 테마 또, 표현기법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 2012년 모옌의 노벨문학 수여식에서의 스피치「가타리베(語り部)로서(講故事的人)」와 1994년 오에의 노벨문학 수여식에서의 스피치 「애매한 일본의 나 (あいまいな日本の私)」를 통하여, 두 작가가 가진 인간관과 세계관을 고찰하며, 각각의 문학의 본질을 찾고, 세계문학의 보편성과 전통문화의 이면(二面)을 분석하여, 두 작가의 작품은 “어떻게 읽혀지고 있는가” 또 “어떤식으로 읽혀져 가는 것이 좋은 것인가”에 관해서도 논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두 작가의 다른 작품의 다양한 연구성과를 살펴보며 앞으로의 과제를 정리하고자 한다.

      • 일본의 복지제도와 한국복지제도의 비교연구 : 노인개호복지를 중심으로

        이나림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일본의 노인복지를 비롯하여 복지제도의 기본을 중심으로 살펴본 논문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복지제도의 일부도 살펴보았다. 일본과 한국의 두 나라 간에는 아직 경제적인 차이가 있다. 우리의 국민소득이 2만 5천불에 비해 일본은 4만 5천불이 넘는다. 일본의 경제가 침체라고는 하지만 우리가 아직 따라가지 못하는 부분도 많다. 일본이 선진국이라고 해서 복지제도가 모두 좋고, 성공한 것은 아니다. 일본이 시행해 나가고 있는 복지제도 중에도 실패한 것들이 많이 있다. 또한 시행착오도 많다. 우리는 이런 점을 간과하지 말고 잘 파악하여 우리의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복지제도 중에 특히 개호보험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1997년에 처음으로 만들어져 2000년부터 시행되어 온 일본의 개호제도는 노인사회를 맞는 우리에게도 매우 필요한 제도이다. 개호란 무엇인지? 또한 일본의 개호시설을 비롯한 이용자 등의 구체적인 것을 후생성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조사해 보고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도 일본과 같이 개호보험 제도를 도입해야한다. 그러나 개호의 대상을 65세 이상에서 70세로 높여야 할 것이다. 개호에는 많은 재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재원의 고갈은 우리 모두에게 부담이기 때문이다. 또한 나라의 공적자금을 가지고 계획적으로 이러한 제도를 시행하여야지 지자체에 맡겨놓으면 반드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았다. 아울러 일본의 “도, 도, 부, 현은, 개호보험 사업운영이 건전하고 원활하도록 필요한 조언 및 적절한 원조를 해야 한다”라는 개호보험법의 조항에서 알 수 있듯이 지방자치에서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 국가 및 지방 공공단체는 피보험자가 가능한 한, 정든 지역에서 그 능력에 따라 일상생활을 자립하고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보험 급부에 관련된 보건 의료서비스 및 복지서비스에 관한 시책, 요양 간호 상황 등이 될 예방, 또는 요양 간호 상황 등의 경감, 또는 악화 방지를 위한 시책 및 지역의 자립된 일상생활 지원을 위한 시책을 의료 및 주거에 관한 시책과의 유기적 제휴를 도모하면서 포괄적으로 추진하도록 힘써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며, 나머지 미흡한 부분은 다음의 과제로 삼는다. This paper discussed the paper around the base of the welfare system, including the elderly in Japan. In addition, some of the country's welfare system is also examined. Between the two countries, Japan and South Korea are still economic differences. Our Japan is more than $ 25,000 income 4 20,000 compared to $ 5,000. Japan's economy is stagnant, but there are many parts that we do not follow yet. Japan is well known to all welfare schemes developed countries, it is not successful. Japan has a lot of things out in the welfare system failed during implemented. In addition, there are many trials and errors. We are familiar with, do not overlook this point ought to be our lesson.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articularly focused on the welfare system in Japan. Is made for the first time since 2000 on long-term care system in Japan in 1997 performed very necessary for us to fit the older social institutions. What is the long-term care? Also reported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specific to the user, such as long-term care facilities, including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Japan, the center statistics. Korea should also be introduced, such as long-term care insurance in Japan. But will increase in length of 70 subjects over 65 years of nursing. Because it requires a lot of care has financial resources. The depletion of resources because the burden for all of us. Also supposed to enforce these institutions have intentionally release of public funds in the country must be left to the local government found that a number of problems. In addition, the Japanese ", Fig, wealth, prefecture, long-term care insurance operations are sound and have the necessary advice and appropriate assistance to facilitate" As can be seen in terms of long-term care insurance that should do the best in local government.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self-reliant and to live a life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in a potential insured, beloved region. Do policy on health care and social services related to insurance payment to, be a long-term care situations prevention, or long-term care situation of relief, or the measures for independence with daily living and community support initiative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while achieving organic initiatives and partnerships related to health care and housing, and suggestions that strive to promote a comprehensive, insufficient rest samneunda to the next part of the assignment.

      • 空海研究 : その文学·文化的な側面を中心に

        구운파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공해(空海·774-835)의 문학작품인 『삼교지귀(三教指帰)』 와 『성령집(性霊集)』 과의 대조분석을 통해서 공해 문학 본연의 모습을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해는 헤이안(平安)시대의 견당(遣唐) 유학승인 일본진언종(日本真言宗)의 개조(開祖)이다. 그는 소년시절부터 유학을 공부했으며, 입신출세를 위해 18세 때 도읍에 있는 대학료(大学寮)에 들어가 학문을 연찬(研鑽)했다. 율령제를 근본으로 해서 개설 된 대학료는 관리(官吏)를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당시 학문의 주류는 유학(유교 등) 이었지만, 도교 및 불교사상의 영향도 컸다. 그 때문에 삼교사상(三教思想)의 우열을 둘러싼 삼교논쟁(三教論争)이라는 현상이 생겼다. 이것도 중국육조(中国六朝) 및 수·당(隋唐)시대의 삼교논쟁(三教論争)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공해도 그 영향을 받아 삼교사상(三教思想)의 우열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 후, 어떤 과의 만남에 의해 『허공장구문지법(虚空蔵求聞持法)』이라는 불전을 받아 산림수행에 들어갔다. 그 결과, 속세의 무상을 깊게 느껴 종래 유학의 학문에서 출세한다는 생각이 사라져 출가를 결의했다. 공해의 언동에 대해서 친척들은 유교의 충효사상에 따라 그를 단념시키려 했다. 공해는 그것을 반론하기 위해 24세 때 『삼교지귀(三教指帰)』 라는 처녀작을 썼다. 그 저작은 삼교의 우열론을 중심으로 쓰여진 것이다. 유교 및 도교사상의 불충분함을 비판하는 것과 동시에 불교사상의 우월성을 칭찬하고 있다. 이 저작에서 볼 수 있는 삼교론은 그의 만년의 불교사상 체계인 「십주심론(十住心論)」의 기초가 되었다. 그 후 31세(804년) 때, 그는 유학승인 견당대사의 후지와라노카쓰노마로(藤原葛野麻呂)와 함께 입당(入唐)했다. 당에 머무를 때 그는 장안(長安)의 청룡사(青龍寺)의 혜과(恵果)에 사사(師事)하고, 인도에서 전래된 밀교(密教)를 습득했다. 2년 후에 은사의 권유로 일본에 돌아가 밀교의 포교에 힘썼다.『삼교지귀(三教指帰)』로 세상에 알려진 공해는 한시문의 교양을 가지고 입당구법(入唐求法) 및 귀국포교(帰国布教)의 목적을 달성하려 했다. 그의 제자인 신제이(真済)는, 그의 생애에 걸친 한시문을 모아 『편조발휘성령집(遍照発揮性霊集)』 (이하 『性霊集』 이라 줄임) 이라는 한시문집을 편찬했다. 『성령집(性霊集)』 은 10권으로 되어 있다. 1권은 공해의 대표적인 한시 10수가 수록되어 있고, 2권에서 10권까지는 비문(碑文), 상표의 문, 원문 등, 현실생활에 입각한 실용문이 많다. 『성령집(性霊集)』은 『삼교지귀(三教指帰)』와 같이 공해 연구의 제 1차 자료이다. 두 문학작품 외에 『문경비부론(文鏡秘府論)』 이라는 한시문의 작법에 관한 저작 및 주저인 『비밀만다라십주심론(秘密曼荼羅十住心論)』 (이하 『十住心論』 라 줄임) 등이 있다. 공해가 입적한 후에는 홍법대사(弘法大師)라는 시호가 주어졌다. 그에 의해 시작된 일본진언종(日本真言宗)은 오늘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공해는 헤이안(平安)시대의 대표인물인 동시에 東아시아 고대문화 교류사에 있어 주목해야하는 인물이다. 본 연구는 『삼교지귀(三教指帰)』 와 『성령집(性霊集)』 이라는 두 작품의 대조분석을 통해서 공해 문학의 본연의 모습을 고찰함과 동시에 그 문화적인 의의를 검토하려한다.

      • 『곤자쿠모노가타리슈』의 여성상 연구 : 중국진단부를 중심으로

        한미자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일본 영화 『라쇼몬』이 베네치아 국제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고,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연작 단편소설로 인해『곤자쿠모노가타리슈』가 다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 일본 최대 설화집은 헤이안시대 각 계급의 여러 가지 생활형태가 기록되어 있어 헤이안 시대의 인간상을 정리한 백과사전과 같은 존재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당시 문학작품에서는 잘 그려지지 않았던 여성의 묘사가 『곤자쿠모노가타리슈』에는 포함되어 있어 전 세계 독자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곤자쿠모노가타리슈』의 여성연구에서는 주로 일본의 본조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중국부분의 여성에 관한 연구는 중국 측에서 주목받아 왔다. 또한, 중국에서는 진단부인 중국에 대한 연구가 일부 설화에 국한된 중일 비교 연구에 머물러 있어 진단부 전체의 여성상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헤이안시대 『곤자쿠모노가타리슈』의 중국 진단부에 포함된 모든 여성설화를 중심으로 중국의 여러 설화의 관련 이야기와 비교하면서 당시 중국 여성상을 분석했다. 또한 동아시아 “한문문화권”의 관점에서 『곤자쿠모노가타리슈』가 불교설화로 자리매김하는 문학체계 속에서 시대배경과 여성상과의 연관성을 검토한 논문이다. 중국 진단부 여성 설화를 구성하는 요소와 주제, 등장인물의 성격과 행동 등을 비교 대상으로 삼기 위해 일본과 중국문헌을 수집하고 여성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또한 중국 진단부 설화에 나타나는 여성상이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중국의 여성관과 사회적 역할, 성별에 관한 가치관 등을 고찰했다. 아울러 진단부 여성설화와 중국 문학작품의 해당 이야기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문학적 특징과 문화적 배경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중국 진단부 여성상에서 중국문화의 영향과 변용, 일본에서의 개편의도를 밝히기 위해 진단부 전체적인 여성설화의 구성과 주제 및 다른 설화와의 관련성에도 주목하여 논문을 집필했다. 『곤자쿠모노가타리슈』진단부의 여성상연구는 일본 중고시대의 이상적인 여성상과 일본문화와 문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중일 비교문학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여성설화의 비교를 통해 여성 멸시관이 수용된 여성에게 후세의 희망을 안겨준 작품이었던 것이 확인 되었다. 이들 여성설화에는 불교에 기초한 교훈과 사상이 포함되어 있어 중고시대 일본 서민사회로의 포교수단의 하나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곤자쿠모노가타리슈』에 나타난 여성상과 이야기의 요소에는 중국문학과 사상으로부터의 영향이 매우 여러 면에서 나타나지만, 동시에 일본의 독자적인 요소와 가치관이 포함되어 독자적인 문화형성에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일본이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이를 초월하는 독자성을 지닌 문화를 구축하려 했음을 확인했다. The Japanese film "Rashomon" directed by Akira Kurosawa, was awarded the Grand Prix at the Venic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1951. and Ryunosuke Akutagawa'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brought renewed global attention to the "Japanese Tales from Times Past". This extensive collection of tales from Japan is known as an encyclopedia that summarizes the various lifestyles of different social classes during the Heian period. Particularly, the inclusion of depictions of women, a topic that was less explored in literary works of that time, resonated with readers worldwide. However, existing studies on female image in the "Japanese Tales from Times Past" have mainly focused on the Japan section, leading to significant attention on Japanese research, while research on female image in the Chinese part received attention from the Chinese side. Moreover, in China, research on the Chinese parts has been limited to specific tales within the overall Japanese-Chinese comparative studies, resulting in a lack of comprehensive research on female characters throughout the entire Chinese se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rtrayal of women in the Chinese section of the Heian period's "Japanese Tales from Times Past" comparing it with relevant tales from Chinese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depiction of women within the literary system of the "Japanese Tales from Times Past" as Buddhist tal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ast Asian "Sinitic Cultural Sphere." To establish a basis for comparison, Japanese and Chinese literature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elements, themes, and behaviors of female characters comprising the Chinese section. Furthermore,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whether the portrayal of women in the Chinese section was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delving into Chinese perspectives on women, their societal roles, and gender values. Additionally,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female tales in the Chinese section and corresponding tales in Chinese literature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ir literary features and cultural backgrounds. Finally,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on the portrayal of women in the Chinese section, the transformation of the female image, and the underlying intentions,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overall composition, themes, and interconnections with other tales within the Chinese section. The paper of female image in the Chinese section of the "Japanese Tales from Times Past"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idealized female characters in the Heian period Japan. and contribute to the field of Japanese-Chinese comparative literature. Moreover, through the comparison of female tales, it becomes evident that these works offered hope to women who were subjected to contemptuous views. These tales also contain teachings and philosophies rooted in Buddhism, serving as a means of spreading religious teachings to the common people of medieval Japan. Additionally, it becomes apparent that the portrayal of women and narrative elements in the "Japanese Tales from Times Past" demonstrate influences from Chinese literature and thought, while also incorporating unique Japanese elements and values, thu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distinctive culture.

      • 平安時代の女性の運命 : 『源氏物語』の女性を中心にして

        장몽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겐지모노가타리』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일본의 장편소설이며 작품은 현실주의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일본 고전 현실주의 문학의 최고봉이라 간주되며, 일본의 후세문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겐지모노가타리』는 헤이안시대의 일본생활을 매우 리얼하게 재현하였고 당시의 관습, 에티켓과 귀족의 모습등을 충실하고 객관적이며 지극히 디테일하게 묘사하고 있다. 일본의 고전문학의 정상으로 일컬어지게된 이 소설에는 많은 인물들이 등장한다. 소설은 여러 천황대를 거쳐 80년에 달하는 긴 역사를 묘사하고 있으며, 4세대 왕조, 4 백 여 명의 등장인물이 등장한다. 일본 헤이안 시대의 귀족들의 궁정생활을 세밀하고 정취있게 그려낸 백과전서적인 장편소설이다. 사랑이야기로 엮어진 이 장편소설에서 가장 뛰어난 부분은 무라사키시키부가 그려낸 봉건제도하에서의 헤이안귀족 중 여성의 운명이다. 헤이안시대의 일본에서 여성의 가치는 귀족 남성이 권력을 다투는 도구일 뿐이었으며 귀족은 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계급이 낮은 귀족들은 위의 귀족과 권력에 아부하기 위해 모두 적극적으로 자신의 딸을 이용해 결혼시키며 권력을 탐했다. 천 백년이 지난 지금도 『겐지모노가타리』는 더더욱 계속해서 드러나는 다채로운 일련의 여성인물, 이를테면 기리쓰보, 후지쓰보, 아오이노우에, 우쓰세미, 유가오, 무라시키우에노, 오보로즈키요, 아카시노키미, 우키후네 등의 인물들이 수많은 독자와 학자들의 이목을 끌고있다. 이런 여성들은 출신이 다르고 성격도 다르고 처지도 다르지만, 신분이 높거나 비천하거나를 떠나 모두 속세의 덧없음을 깨닫고 삭발하여 출가하였거나, 낙담하여 스스로 고통속에서 목숨을 끊는 결말을 맞이했다. 본 논문은 소설중의 여성의 운명을 성격과 상황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 헤이안시대의 여성이 남권사회에서 무자비하게 강압당하는 비극적운명과 헤이안시대의 귀족사회의 부패와 타락이 결국 멸망으로 가는 필연성임을 밝혀주었다 라는 결과를 정리 분석한 논문이다. The Tale of Genji is the earliest long realistic novel in the world, which shows an obvious tendency of realism and is considered to represent the peak of Japanese classical realistic literature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Japanese literature in later generations. The Tale of Genji incomparably reproduces the life of Japan in the Heian era, faithfully and objectively and in detail depicts the customs, etiquette and aristocratic customs at that time, pushing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to its peak. The novel describes 80 years of history, including four dynasties, more than 400 characters. The most exciting part of this long masterpiece, which is connected with the history of sex hunting, is the fate of peaceful aristocratic women under the feudal system described by the Purple Ministry. In Japan in the Heian era, the value of women was only used as a tool for aristocratic men to strive for power. In order to consolidate their position, the big aristocracy actively made use of their daughters' marriage. For thousands of years, the Tale of Genji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countless readers and scholars with its colorful series of female characters, such as tung pot, barnacle, sunflower, empty cicada, Xiyan, Ziji, obscure Moon Night, Ming Shiji, floating boat and so on. These women come from different backgrounds, different personalities and different circumstances, but regardless of their noble or humble status, they all end up seeing through the end of becoming a monk in the world of mortals or being discouraged and killed in pai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ate of women in the novel, this paper reveals the tragic fate of women in the Heian era who were mercilessly oppressed by the patriarchal society and the inevitability of the demise of this class due to the decay of the aristocratic society in the Heian era.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call for women's status and dig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