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생명과학 영역의 생명윤리 교수-학습 주제 탐색

        남궁수경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사회는 과학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간의 생활에 이로움과 편리함을 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과학의 발전과 상충하여 많은 윤리적인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과학교육에서도 과학의 윤리적 측면이 부각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생명윤리와 관련하여 가치 있는 판단을 하려는 기본 토대인 생명윤리 교수-학습 주제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2011년에 고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명과학 영역에 속하는 교수-학습 주제를 추출하고, 추출한 주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주제 추출을 위한 근거로 ‘현상·상황·사건·개념’을 사용하고,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동일 주제 연구 자료들을 참고하여, 주제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한 주제를 ‘생명윤리 교육의 7가지 내용 범주’에 따라 교수-학습 주제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생명윤리 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주제는 총 97개이며, 중학교 과학은 31개, 고등학교의 융합형 과학은 10개, 생명과학Ⅰ은 39개, 생명과학Ⅱ는 17개였다.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명윤리 교수-학습 주제의 빈도를 비교한 결과 각 교육과정에서 비교한 주제의 빈도가 비슷하였다. 추출한 주제를 ‘생명윤리 교육 내용의 구분’ 표를 이용하여 일곱 가지 내용 범주로 생명윤리 교수-학습 주제의 성격을 분석한 결과 자신(인간)의 생명존중과 환경과 관련된 생명존중의 빈도가 높았고, 생명공학 연구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인식에 대한 범주의 빈도가 가장 낮았다. 이 연구는 생명윤리 교수-학습의 기본 토대인 생명윤리의 주제를 탐색함으로써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 판단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수업 자료 및 수업 모형 개발과 같은 후속 연구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보았다.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과학 교과서의 과학적 탐구 요소 분석

        조형준 강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탐구는 과학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로, 학생들은 탐구 기능의 발달을 통해 과학적 개념과 탐구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7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적 탐구 요소가 그 특성에 부합되게 제시되었는지 적절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과학적 탐구 요소를 정의하고, 임의로 9종의 과학 교과서를 선정하여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적 탐구 요소는 그 특성과 부합되지 않는 것이 45.3%였으며, 단지 15.3%만이 일치하였다. 실험은 어느 교과서에나 가장 많이 제시되어있으나 그 특성과 일치하는 것이 거의 없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수보다 훨씬 더 많은 과학적 탐구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관찰,추리,자료해석의 과학적 탐구 요소를 비교적 많이 다루고 있었다. 과학적 탐구 요소의 빈도는 교과서별로는 12개-92개, 영역별로는 129-397개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탐구의 의미를 저자나 과학교사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과학 교과서에 적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제7차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내용 비교

        김은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83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사회적인 변화 요구를 반영하면서 그간 여덟 차례에 걸쳐 부분 혹은 전면 개정을 해왔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틀을 수용하면서 학교 현장에서 나타난 적용상의 문제점을 수정 · 보완하여 2007년 2월에 고시되었다. 이번 교육과정은 교육내용의 개선이 주된 개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 · 분석하여 내용 변화와 교육내용 수의 변화 정보를 도출하였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은 내용의 중복을 피하고 관련 내용을 유기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7개의 단원을 통합하고, 5개의 단원을 분리하였다. 또한 열에너지, 우리주위의 화합물, 전해질과 이온의 3개 단원이 신설되었으며 물질 변화에서의 규칙성, 유전과 진화, 태양계의 운동 단원이 중학교에서 삭제되었다.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지나치게 어려운 내용이나 쉬운 세부 내용은 학년을 조정하였다. 단원을 크게 구성하여 단원 수는 28개에서 25개로 3개 감소하였지만 세부 내용의 수는 86개에서 119개로 33개 증가하였다. 영역별 단원 수는 물질 영역, 학년별 단원 수는 7학년의 빈도가 높았다. 또한 세부 내용의 수는 7학년은 20.69%, 8학년과 9학년은 각각 53.57%, 41.38% 증가하였다. 영역별 세부 내용의 수는 지구와 우주, 생명, 운동과 에너지, 물질 순서로 분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서술방식이 다르고, 세부 내용의 비교가 애매한 상황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었기 때문에 객관성이 부족한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단원 세분화, 내용 중복, 과학 4영역의 1/N 균등 분배와 난이도 등의 문제에 대하여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Korea's curriculum has been so far under the revisions eight times partially or wholly, reflecting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nd needs. 2007-revised curriculum embraced the basic frame of the 7th curriculum under the principle of occasional revision, and modified the problems of applications to the school field. It was announced in February 2007. Especially, this curriculum is revised to reform education contents.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between 7th curriculum and 2007-revised curriculum, escaped the number of contents with contents change. 2007-revised curriculum separated 5 units, integrated 7 units in order to guide a relation contents and avoided the duplication of contents. Also units are supplemented heat energy, the chemical compound, electrolyte and ion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units are eliminated regulation from material change, heredity and evolution, motion of planetary. Considering learners level, extremes difficult contents or easy detailed contents moved a grade. Composed large scale unit, number of unit decreased by 3 from 28 to 25 however number of detailed contents increased by 33 from 86 to 119. The number of areal contents was high chemical area, 7 grades was high. Also the number of detailed contents increased by 20.69%, 53.57% and 41.38% 7, 8, 9 grades each other. The number of detailed areal contents ranged in space and earth, life, motion and energy , material. In this study result which description method of 7th curriculum and 2007-revised curriculum is different, there is the critical point where the objectivity is insufficient because the subjectivity of researcher intervening from the situation where the comparison of detailed contents is innocent. However, 2007-revised curriculum improved about problems pointed out in the 7th curriculum which grade and contents level, 1/N equal distribution to the four area, contents duplication, subdivision of unit.

      • 중학생의 약물 접촉 정도

        조미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83

        이 연구는 중학생의 약물접촉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8학년 과학 5단원 <약물과 건강>에 제시된 약물을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충남 예산군의 면소재의 중학교 두 곳에서 2007년 5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학생의 90% 이상이 감기약과 카페인 음료를 사용한 경험이 있었다. 중학생의 37.2%가 중학생이 되기 이전에 진통제를 복용한 경험이 있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고학년일수록 진통제를 접촉한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의 31.8%가 1회 이상 술을 마셔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전체 조사대상의 18.8%가 중학생이 되기 이전에 술을 마신 경험이 있었다. 또한 중학생의 13.9%가 최근 6개월 이내에 술을 마셔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담배의 경우 조사대상 중학생의 11.2%가 1회 이상 펴 본 경험이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조사지역의 선정 및 조사대상자의 부정확한 응답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전체 중학생에 대해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나 학생들에게 약물의 효과와 건강에 미치는 중요성을 인식시켜 학생들이 약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drug attachment degre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s had been made out that those based on the drug including in "Drug and Health" of the 5th unit of the science subject in the 8th year. In May 2007, it was surveyed two middle schools at Myeon area of Yesan-gun, Chungcheongnamdo. More than ninety perc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to take cold medicines and caffeine drink. 37.2 perc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to take anodyne before entering middle school, and girl students at their higher grades often took anodyne. 31.8 perc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d to drink one time or more, and 18.8 percent of the subject experienced to drink before entering middle school. And, 13.9 perc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aid that they drank latest six months. 11.2 percent of the subject experienced to smoke one time or more. The findings might have limitation on general applications to all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ecause of selection of survey areas as well as incorrect answers of the subjects: But, the students cognized effects of the drug as well as influence upon health, so that they learned continuously to protect them from drug.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생명윤리 교수-학습 주제

        정하송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83

        오늘날 급격한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인해 윤리적 문제와 상충됨으로써 발생하는 사회적 쟁점들에 대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과학윤리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학생들에게 과학윤리 교수-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2010년부터 시행되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생명과학 영역의 각급 학교별 단원 내용을 토대로 생명윤리 교수-학습 주제를 추출하고, 추출한 교수-학습 주제들의 성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교수-학습 주제 추출을 위한 근거로 ‘현상 · 상황 · 사건 · 개념’을 사용하고,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동일 주제의 연구 자료와 여러 문헌들의 조사를 통하여 실시되었다. 그리고 추후의 연구를 위해, 또는 선정된 주제들을 사용한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 개발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호범의 “가치교육의 가치 영역 분류표”를 이용하여 추출한 주제들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생명윤리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주제를 추출한 결과, 총 77개의 주제를 추출하였다. 학년별로는 고등학교 과정이 54개로 중학교 과정의 23개 보다 많은 주제들이 추출되었다. 이것은 생명윤리와 관련된 주제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생물에 대한 개념학습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단원별로 살펴보면 중학교에서는 ‘호흡과 배설’, ‘생식과 발생’단원에서 빈도가 가장 높았고, 고등학교에서는 ‘생명의 탄생’, ‘생태계의 보전’, ‘생명 공학’단원에서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것은 자연환경과 인간의 건강에 관련된 문제들이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학년의 ‘생명과학과 인간의 미래’단원은 매우 다양한 분야의 생명윤리 교수-학습 주제를 다룰 수 있어 학생들에게 가치판단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신장에 많은 도움을 주고 학년 진급 시, 과학과목 선택에 있어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보았다. “가치교육의 가치 영역 분류표”를 이용하여 교수-학습 주제들의 성격을 분석한 결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출한 과학윤리 교수-학습 주제들은 도덕적이고 사회적인 가치의 문제들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것은 문제해결방안이 보편적이고 사회적 합의가 요구되는 성격의 주제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사회적이고 도덕적인 가치의 차원 문제들을 잘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Toda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ability to make a reasonable decision-making to social issues that leads to ethical conflict is required. Therefore, due to the time now that when the science ethic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there needs a scientific ethical professor - the studying needs to be effective. The study for this aim is based on the contents of each school, for extract of bioethical teaching/learning subjects and analyzing the subjects of characters in the『2007-revised curriculum』that take effect in the year 2010 of the life sciences area. And it is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subjects for extract, that used 'symptom, situation, case, and conception' and this study had investigated from same study of the 7th curriculum and other literature from the subject of the research. And extracted subjects were to analyze the characters "Value of area classified table in the value of education" written by Ho-bum Jeong used for future study or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development. The result had brought a total of 77 different subjects from the teaching/learning subjects extracted for suitable bioethical education. There were 54 high school curriculum which had 23 more compared to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o have the concept of the basic biology studies, it is needed to deal with subjects related to life ethics. In each section, 'breathing and excretion', 'reproduction and generation' section had the highest in the frequency at middle school and 'birth of life',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and 'life sciences' section had the highest in the frequency at high school. It is clearly seen that these problems are related to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our real life. The 10th grade unit 'Life science and the future of human beings' is a very different field of bioethical teaching/learning subject so, it will help students to value judgements and make reasonable decision-making; give help when they promote a grade and choose a science course. Using the "Value of area classified table in the value of education" written by Ho Bum Chung, and analyzing it, the teaching/learning subjects of characters of bioethical teaching/learning subjects extracted in the 『2007-revised curriculum』 are the matter of the moral and social values of the highest in the frequency. This is a plan to resolve the general issue and a lot of subject that require social agreement. So, it need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development of mateials that optimize social and moral values.

      • 중학생의 과학적성과 과학학업성취도의 관계

        김봉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83

        적성검사는 진로지도에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적성검사에 나타난 계열별 척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밝히는 데는 미흡한 부분이 있다. 이 연구는 중학생들의 과학적성과 과학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 학년별로 3개 학급 전체 302명을 표집하였다. 위 두 요소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적성은 KMDAT-M(Korea Multi Dimensional Aptitude T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적성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연과학 T점수를 이용하였으며, 과학학업성취도는 강원도교육청에서 실시한 학력고사 중 과학 백분위점수를 이용하였다. 요소간 관계는 SPSS로 상관분석을 하였다. 분석 방법은 전체 302명을 대상으로 요소간 관계를 파악하였고, 각 학년별로 관계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체, 학년별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요소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2학년은 pearson 상관계수(r) 0.220와 유의확률(p) 0.026로 나타나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 p<0.05 수준에서 어느 정도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2학년을 제외하고 요소간 상관관계의 유의확률(p)은 p<0.05 보다 훨씬 커 의미없음을 보였다. 그러므로 학년별 상관관계의 변화를 찾는다는 점에서는 무의미하다는 결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는 과학적성과 학업성취도에는 상관성이 있어 과학적성이 과학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이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중학생들에게 실시되는 적성검사의 과학적성은 과학학업성취도와 상관성이 없었다. 즉 중학생들의 과학학업성취도는 과학적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aptitude test is frequently used in guidance counseling but is partly insufficient in revealing relationship between measures for each curriculum found by the aptitude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o se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p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made a sample of 302 students in 3 classrooms, one from each grade. To see 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T-score for natural science obtained through the Korea Multi Dimensional Aptitude T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KMDAT-M) was used for science aptitude and percentile for science among the results of the achievement test conducted by th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was used for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ith SPSS.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as determined in a total of 302 students and changes in relationship were examined for each grade. It was also analyzed, with those students divided into the higher and lower groups by grade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analysis, eighth-graders showed low correlation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 of 0.220 and significance probability (p) of 0.026, which was somewhat significant in the p<0.05 level. However, other graders showed much greater than p<0.05 significance probability (p) of correlation between factors. It was therefore found to be meaningless in finding changes in correlation by grades. Prior researches indicated that science aptitude would affect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ince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science ap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to this contrary, science aptitude found by an aptitude test in this study had no correlation with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at is, it was found that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affected by science aptitud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개념도를 활용한 중학교 물질 단원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이정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8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n example teaching-learning material using concept map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that concluded concept map help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 was developed for Middle School 1st-Year <Three States of Matters>, <Movements of Molecules>, and <State Change and Energy>; Middle School 2nd-Year <Characteristics of Matters> and <Separation of Compounds>; and Middle School 3rd-Year <Composition of Matters> and <Rules in Changes of Matters>.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 was applied to 144 7th grade students in four classes at a boys' middle school in Gangwon-do and 84 8th grade students in two classes at the same middle school in Gangwon-do. Then, three teachers' feedback was collected to revise and improve the material. Students' concept map demonstrated their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 of this study would be used to assess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s before classes or evaluate their understanding after classes. It would also be used to evaluate students after each chapter. As each student has different abilities and background knowledge, this teaching-learning material requires constant revision and improvement to fit their needs. It should also be developed to apply to various grades and levels of students. 이 연구는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개념 형성 이해정도에 효과적이었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개념도를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예시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의 단원은 중학교 과학 1의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의 운동>, <상태변화와 에너지>와 중학교 과학 2의 <물질의 특성>, <혼합물의 분리>, 중학교 과학 3의 <물질의 구성>, <물질변화에서의 규칙성>이다. 이와 같이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은 강원도 중소도시의 남자중학교 1학년 4개 학급 144명과 2학년 2개 학급 84명에게 시범적으로 적용하고, 그 결과에 따라 교사 3명의 자문을 얻어 교수-학습 과정안을 수정?보완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개념도를 통해 과학개념의 이해정도를 알 수 있었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은 수업 전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의 확인이나 수업 후의 개념형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단원 평가도구로도 사용하게 될 것이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현장에서 적용할 때 학생들의 능력과 개인차가 있으므로 활용한 후의 계속적인 수정, 보완 연구가 필요하며, 학습자의 수준과 학년을 고려한 개념도 적용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