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VIG-1 is required for germline development and genome stability in Caenorhabditis elegans

        Bala Murali Krishna Vasamsetti 충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Genome integrity is essential to the organisms for their survival and reproductive success. Genomic DNA is constantly damaged by a wide range of chemical and physical agents, both from the environment and intracellular metabolites. To maintain the genome integrity, the organisms are evolved with several DNA damage responses (DDRs). MicroRNA (miRNA) pathways are known to play a role in multiple biological pathways, including genome stability and DNA repair. Caenorhabditis elegans (C. elegans) VIG-1 is considered to be a putative component of RNA-inducing silencing complex (RISC) and to play a role in the miRNA pathway. However, the phenotype outcome of the animals in the absence of the VIG-1 protein is poorly understood. To explore the function of VIG-1 in C. elegans, the phenotypes of two vig-1 deletion mutants: vig-1(tm3383) and vig-1(ok2536) were analyzed. Both vig-1 mutants exhibited phenotypes associated with genome instability, such as a high incidence of males (him) and increased embryonic lethality. These phenotypes became more evident in succeeding generations, implying that the germline of vig-1 mutants accumulate DNA damage over generations. In C. elegans, the increased male ratio is an indicator of chromosomal nondisjunction. Defects in the chromosomal segregation often result in the change in the chromosome number and content. To investigate whether the vig-1 mutants have defects in chromosomal segregation, the DNA was stained with Hoechst dye. Some diakinesis oocytes of both vig-1 mutants showed an altered number of chromosomes, suggesting that VIG-1 is required for proper chromosomal segregation. Mutants with genome instability often show temperature sensitivity. To examine whether vig-1 mutants are sensitive to temperature, the temperature-upshift experiment was performed. Temperature-upshift from 20°C to 25°C further enhanced the embryonic lethality and the male ratio phenotypes in the vig-1 mutants, indicating that the vig-1 mutants are sensitive to high temperature. Moreover, the mutant worms that were up-shifted to 25°C at any larval stage earlier than L4 stage exhibited severe embryonic lethality, suggesting that the biological activities at early larval stages are defective. As the germline development mainly takes place in early larval stages, it is possible that the vig-1 mutants have defects in the germline development. To examine this possibility, the adult hermaphrodites that were hatched at 25°C were stained with Hoechst dye. Whereas the wild type showed two properly developed gonadal arms, the mutant worms displayed several gonadal abnormalities, suggesting that the VIG-1 has a role in germline development. Defective DDR is one of the major mechanisms that contribute to genome instability. To investigate whether the vig-1 deletion causes a defect in the DDR, the worms were treated with DNA damaging agents. When the worms were treated with UV, the embryonic survival of the vig-1 mutants was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the wild-type worms. Similarly, treatment with camptothecin, a specific topoisomerase I inhibitor, also caused a reduction in the embryonic survival.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G-1 is required for maintaining genome stability in response to endogenous and exogenous genotoxic stresses.

      • 청소년의 SNS 자기개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정은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 of youth' SNS self-disclosur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social self-efficacy.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major variables by dividing them into gender and school level.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NS self-disclosure, soci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gender and school level?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NS self-disclosure, soci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were conducted.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n second-year male, fema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 city, and a total of 333 responses were collected. Among them, a total of 318 responses were analyzed, except for 12 respondents who did not use SNS and 3 insincere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 Kenny (1986),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The main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NS self-disclosure and social self-efficacy, SNS self-disclosu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SNS self-disclosure according to gender. This result means that female students express more on SNS than male students regarding gender/friendship problems, leisure/hobby problems, appearance/health problems, and concerns/conflict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NS self-disclosur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It means that high school students open up more gender/friendship problems, leisure/hobby problems, appearance/health problems, concerns/conflicts, and personality/family problems on SN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social self-efficacy is completely mediated between SNS self-disclosu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result means that social self-efficacy has an absolute effect when SNS self-disclosure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view that youths only view SNS use negatively because SNS self-disclosure positively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levels through social self-efficac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tudy ways to develop social skills and promo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 teenagers can beneficially use SNS. In addition, since SNS self-disclosure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level, I think this study will help design and operate customiz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자기개방이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과 학교급으로 나누어 주요 변인들 간의 나타나는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별과 학교급마다 SNS 자기개방과 사회적 자기효능감, 대인관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SNS 자기개방, 사회적 자기효능감, 대인관계의 상관은 어떠한가? 셋째, SNS 자기개방이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실시했다. 먼저 C시의 남·여 중·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33부를 회수하고, 이 중 SNS를 사용하지 않는 12명의 응답과 3명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318개의 응답을 가지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 Baron와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했다.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자기개방과 사회적 자기효능감, SNS 자기개방과 대인관계,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SNS 자기개방의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이성/교우문제, 여가/취미문제, 용모/건강문제, 고민/갈등문제에서 SNS에 많이 표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교급에 따른 SNS 자기개방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이성/교우문제, 여가/취미문제, 용모/건강문제, 고민/갈등문제, 성격/가족문제를 SNS에 더 많이 개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포함한 모든 청소년층에서 SNS 자기개방과 대인관계 사이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완전 매개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NS 자기개방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SNS 자기개방이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에 따라서 청소년이 SNS를 사용하는 것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보는 관점을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소년이 SNS를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사회성을 기르고 대인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SNS 자기개방이 차이를 보였으므로 각각의 집단의 특징을 활용해 맞춤형 대인관계증진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 불일치,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이시은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자기 불일치가 SNS 중독경향 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 불일치, SNS 중독경향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완벽주의 적 자기제시와 자기 불일치, SNS 중독경향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 셋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자기 불일치는 SNS 중 독경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전국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휴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3일부터 7월 8일까지 1차, 2022년 10 월 5일부터 10월 11일까지 2차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자기보고 응답방식 설문을 실시하여 총 27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 불일치, SNS 중독경향 성 척도로 총 3가지 영역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 료는 SPSS/PC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측정, 기술 통계분석, 빈도분석, 상관 분석, 독립표본 t-검정(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 불 일치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 였으며, 추가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Sobel이 제안한 검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자기 불일치, SNS 중독경향성의 상 관관계를 살폈을 때, 세 변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독립변인 t-test의 결과를 살폈을 때, 자신의 온라인과 오프 라인의 인맥을 모두 통틀어 SNS에서 소통하는 인맥 수가 100명 이 상인 집단보다 100명 이하인 집단에서 자기 불일치의 수준이 높게 나왔으나, 오프라인으로 만남과 소통을 이어가는 인맥보다 SNS로만 유지되는 인맥 수의 비중이 클수록 높은 자기 불일치를 드러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SNS 중독경향성 관계 속 자기 불일 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SNS 중독경 향성의 관계에서 자기 불일치가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높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을 보이는 경우 실제 자신이 지각한 자기 모습과 이상적으로 추구하는 자기의 모습의 불일치 수준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SNS 중독경향성의 문제 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의 제언 및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Higgins의 자기 불일치 이론에서 자기-지위 표상이 6개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 제 자기와 이상적 자기에 대한 관점에서만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 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타인 관점에서의 자기 불일치가 SNS 중독경 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연구하여 자기 불일치에 대한 폭 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 이거나 휴학중인 대학생 272명의 자료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 나, 전 지역의 모든 대학생에게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SNS 중독경향성의 문제는 전 연령대에서 발생하고 있어,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연령대와 지역을 선정해 SNS 중 독경향성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elf-discrimination affect SNS addiction tendenci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specific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nd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self-discrepancy, and the SNS addiction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Third, how do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elf-discrepancy affect SNS addiction tendencie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272 people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elf-report response survey online from April 3 to July 8, 2022, and from October 5 to October 11, 2022. As a survey tool,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 total of three areas as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measures.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subjected to a reliability measuremen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the SPSS/PC 25.0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a step-by-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discri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and Sobel's proposed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further. The summary of the analyzed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ll three variabl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e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self-inconsiste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test, it was confirmed that a higher proportion of people maintained only on SNS than those who communicated on SNS with more than 100 peopl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veri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self-discrepancy showed a significant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refore,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as confirming that when a high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tendency is shown, the level of inconsistency between the perceived self and the ideal self-seeking self increases, which may lead to a problem of SNS addiction tendency.

      •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Chinese College Students : From ecological theory perspective

        하뢰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연구들에 따르면 18-30세의 사람들이 자살 생각의 발생률이 가장 높고 자살 생각이 높은 사람들은 자살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높다. 본 연구는 생태계 이론의 관점에서 중국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대학생을 둘러싼 다양한 생태계적 요인이 자살생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개인체계변인, 가족체계변인, 학교체계변인, 친구체계변인, 사회문화체계변인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개인체계변인, 가족체계변인, 학교체계변인, 친구체계변인, 사회문화체계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개인체계변인, 가족체계변인, 학교체계변인, 친구체계변인, 사회문화체계변인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허베이성, 산둥성 4개 대학의 대학생 1,478명을 대상으로 자존감, 우울, 소외,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교생활, 또래지지, 인터넷 중독, 자살생각을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특성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관점에서 대학생의 자살생각에는 가족배경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출생순위별, 출신별, 성별은 큰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자살생각은 사회문화체계변인 인터넷 중독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개인체계변인인 자존감, 가족체계변인인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교체계변인인 학교생활, 친구체계변인인 또래지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개인체계, 가족체계, 학교체계, 친구체계, 사회문화체계 변인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보면 개인체계변인인 우울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장 영향력 높은 변인이다. 소외감과 자존감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가족체계변인인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소외감과 자존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교체계변인인 학교생활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소외감, 자존감 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친구체계변인인 또래지지는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소외감, 자존감 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회문화체계변인인 인터넷중독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대학생의 자살생각에는 소외감, 자존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자살생각은 개인의 내적 요인과 외적 환경과 관련이 있다. 대학생의 자살사고관련 된 문제를 돕기 위해 개인, 가족, 학교, 친구, 사회문화관련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Studies have shown that people between 18-30 have the highest incidence of suicidal thoughts, and people with high suicidal thought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suicidal behavior.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ecosystem theory. This paper analyzes how various ecological factors surrounding college students affect suicidal ideation and examines the effects of personal system variables, family system variables, school system variables, friends system variables, and sociocultural system variables on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It was verified through a structural model.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d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significantly affect the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Second, do personal system variables, family system variables, school system variables, friend system variables, and sociocultural system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Third, how do personal system variables, family system variables, school system variables, friends system variables, and sociocultural system variables affect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1,478 college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in Hebei and Shandong, China, were surveyed on self-esteem, depression, alienat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school life, peer support, Internet addict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23.0 and AMOS 21.0 statistical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ffe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mily background in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birth order, origin, or gender. Second, suicidal ide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net addiction, a social and cultural system variable, and self-esteem, a personal system variable. Parent-child communication, a family system variable; school life, a school system variable; and peer support, a friend system variab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Showed correlation of Third, looking at how the personal system, family system, school system, friends system, and sociocultural system variables affect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a personal system variable directly affects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and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m. A sense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do not directly affect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but indirectly through depress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a family system variable, directly affects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and indirectly through alienation and self-esteem. School life, a school system variable, does not directly affect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but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feelings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Peer support, a friend system variable, does not directly affect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but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feelings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Internet addiction, a social and cultural variable, does not directly affect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but indirectly affects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through feelings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In conclusion, suicidal ideation is related to the individual's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gives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individuals, family, school, peer support, and Internet addiction to intervene in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비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각각의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내 소재한 3개 중학교에 다니는 중학생 209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Pearson 상관분석 및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의사소통, 자기통제력,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중학생이 지각한 부-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의사소통 모두 학교생활적응과 자기통제력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은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부-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의사소통이 각각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통제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함을 의미한다. 셋째, 부-자녀 의사소통, 모-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이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기에,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공부, 학교친구, 학교교사, 학교생활 중 어떤 요인과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부-자녀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친구와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자녀 의사소통이 학교친구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그 경로에서 자기통제력이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전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해서는 부모-자녀 의사소통 개선뿐만 아니라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life adapta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chool-life adaptation. To this e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1986)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using data from 209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three middle schools in Jeollabuk-do.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child communication, mother -child communication, self-control, and school-life adaptation, all of the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hool-life adaptation and self-control. Second, self-control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child communicatio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school-life adaptation. This result means that father-child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directly affects school life adaptation and indirectly through self-control. Third, since self-control all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child communicatio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three-step mediating effect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verified to find out which of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As a result, self-control was found partially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school friends, which ar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This result means that father-child communication directly affects school friends, but self-control mediates and transmits indirect effects in the path.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that can improve self-control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adapt to school life.

      • 입체조형활동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희경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입체조형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효능 감과 대인관계향상에 효과가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입체조형활동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은 어떠한가? 2. 입체조형활동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J시 소재의 N중학교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 단 각각 8명씩 구성하였다, 이번 연구를 위한 입체조형활동 집단미술치 료 프로그램은 2018년 3월 13일부터 5월 1일까지 매주 한 시간 동안 총8 회기에 걸쳐 진행이 되었다. 연구도구는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척도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처리 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을 사용하였다. 실 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의 수행을 비교하기 위해서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였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체조형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 검사결과 하위요인 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입체조형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들의 내적에너지의 긍정성을 발견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이 높아 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체조형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대인관계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의 하위요인에서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입체조형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또래들과 함께 참여하면서 타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상호관계에 대한 태도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입체조형활동 집단미술치료 프 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의 효과성을 짧은 시간에 검증 하였다는 점과 일반적인 그리기 위주의 미술치료가 아닌 입체조형을 활 용하였다는 점에서 앞으로 입체조형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해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through three-dimensional formative activities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through three -dimensional formative activities on self-efficacy in middle school students? 2. What i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through three -dimensional formative activ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of N Middle School located in J city, who were classifi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8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composed of 8 students respectively. This study had conducted group art therapy programs using three-dimensional formative activities 8 times in total for one hour per week from March 13 to May 1, 2018. For its research instruments, this study used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indices. In addition, for its data processing, this study use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 Moreover, in order to test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performed independent t-test. Further, in order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both groups, this study set up the scores of its pretest as the covariate as well as the scores of its posttes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so executed the analysis of covariance. The analysis results test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through three-dimensional formative activities had effects on self-efficacy in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pretest and posttest of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s its sub-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found the positivity of their inner energy through group art therapy programs utilizing three-dimensional formative activities and so enhanced their self-efficacy. Second, group art therapy through three-dimensional formative activities had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communication, trust, intimacy, sensitivity, openness, and understanding as the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results meant that students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three-dimensional formative activities with their peers and so influenced the empathic understanding of others and the change of attitudes toward mutual relationship.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n that this study tested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utilizing three -dimensional formative activities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a short time and utilized three -dimensional formative activities rather than general drawing -oriented art therap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foothold to actively study group art therapy programs using three-dimensional formative activities in the future.

      • 중학생이 경험하는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박수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depression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suicidal ideation.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tial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uch a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Data was collected from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A city in Korea. The final sample consists of 408 middle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depression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uicidal ideation. It indicates that the suicidal ide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creases when they experience more depression. Second, depression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as positively related to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negatively related to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t indicates that the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creases, and th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decreases when they experience more depression. Thir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suicidal ide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More specificall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positive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negative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It indicates that suicidal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decreases when they utiliz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ut increases when they utiliz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Finally, it was found tha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 the effect of depression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ha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previous studies on adolescent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efforts are necessary to reduce the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suicidal ideation as well as suicidal attempts. Providing appropriate programs to make middle school students effectively utiliz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s also important. 본 연구는 중학생이 경험하는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같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대한민국 J시에 위치한 3개 중학교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표본은 중학생 408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경험한 우울은 자살생각과 정(+)의 관련이 있었다. 이는 중학생이 우울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중학생이 경험한 우울은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중학생의 우울감이 높을수록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이 증가하고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이 감소함을 나타낸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중학생의 자살생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학생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자살생각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자살생각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중학생의 자살생각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활용하면 감소하지만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활용하면 증가함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갖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우울, 자살생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대한 선행연구에 기여한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의 경험과 태도 간의 관계에 대해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선행연구의 결과도 뒷받침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자살시도는 물론이고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울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방안으로 청소년의 우울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중학생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 중등 전문상담교사 임용고시 준비생의 단계별 시험 준비과정 연구

        신한솔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Students are the future of the country. Therefore, growing students healthy and happy is one of the important purposes of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appearance of students in our country is far from healthy and happy. They suffer from various problems, such as entrance examination problems, school violence, and drug addiction. In this situation, the need for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to listen to students' concerns and develop coping skills is increasing.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counseling services and education to students,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with expertise should be selected through the correct appointment test. Therefore, looking at the step-by-step test preparation process of applicants for the appointment examination of professional counselors and the difficulties they face is meaningful. In addition, the number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currently ha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number of people selected is decreasing, and more and more students are preparing for the appointment exam. Therefore, in this social situation, this study is necessary.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eparation process for appointment as professional counselors of applicants for the appointment examination for professional counselors? Second, what is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first theoretical test of applicants for the appointment examination of professional counselors? Third, what is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second interview test of applicants for the appointment examination of professional counsel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0 students preparing for the appointment examination and preparing for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nationwid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the Internet's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appointment exam cafe from April to August 2022. As a result, 122 copies were recovered, and 120 people, excluding two unfaithful people,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program.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and cross-analysis (test)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responses by group according to the teaching entry for each question an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step-by-step test preparation processes and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 preparatory course for the appointment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The biggest reason for choosing the profession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was 'your talent and aptitude.' Prepared students responded the most to the 'Internet' as a source of test information. The most difficult part of preparing for the appointment test was ‘test anxiety and stress,’ and many answered ‘mentors and counseling’ as a way to overcome stress on the appointment test.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the preparation period for the appointment exam was less than one year. Second, it is a preparatory course for the first theoretical test. The most common answer was that the number of applicants had beot yet been taken. The response rate was high that he had taken an academy in pedagogy. It was found that the cost of taking educational courses was more than 1.2 million won. Many answered that they had taken a major course at an academy. It was found that more than 1.2 million won was used as the cost of taking major courses. It was found that the most difficult point in preparing for the first test was the wide range of tests. Third, it is a preparatory process for the second interview.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the number of applications had yet to be taken. It was found that group studies were used a lot as an interview preparation method. The most difficult thing when preparing for an interview was that many respondents said it was difficult to predict the expected problem. The above research result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private education among applicants for the appointment examination was quite hig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dependence rate on private education by increasing the link between public education and the examination for an appointment. In addition, support measures should be actively prepared to identify and overcome the difficulties faced by applicants for the appointment examination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examination. 학생은 나라의 미래이다. 학생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성장시키는 것은 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학생들의 모 습은 건강함, 행복감과는 거리가 멀다. 입시문제, 학교폭력, 약물중독 등 다양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학생의 고민을 들어주고 대처능력을 키워주는 전문상담교사의 필요성은 더더욱 증가하 고 있다. 학생들에게 질 높은 상담 서비스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임용시험을 통해 전문성 있는 전문상담교사를 선발해야 한다. 그러므로 전문상담교사 임용고시 지원자들의 단계별 시험 준비과정을 살펴보고 그 들이 겪는 어려움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전문상담교사의 선발 인원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아직 배치율이 절반도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전년도 대비 500명 이상 감 소하였다. 선발 인원은 점점 줄어들고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늘 어나는 사회적 상황 속에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 임용고시 지원자들 의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임용준비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전문상담교사 임용고시 지원자들의 1차 이론시험 준비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전문상 담교사 임용고시 지원자들의 2차 면접시험 준비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전국의 전문상담교사를 준비하는 임용고시 준비생 120 명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2022년 4월부터 8월 까지 인터넷의 전문상담교사 임용고시 카페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122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한 2명을 제외한 120명을 최종 분석 자료 로 선택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문항별로 교직이수 유형과 임용고시 응시 유무여부에 따른 집단별 반응 빈도와 백 분율을 산출하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 교차분석(χ2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단계별 시험준비 과정으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 임용준비 과정이다. 전문상담교사라는 직업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로는 ‘자신의 소질과 적성’으로 나타났다. 준비생들 이 시험 정보를 얻는 출처로 ‘인터넷’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임용시험 준비 중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시험 불안 및 스트레스’라고 응답하였고 임용시험 스트레스 극복방법으로는 ‘멘토와 상담’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임용시험 준비기간은 ‘1년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1차 이론시험 준비 과정이다. 응시횟수는 아직 응시하지 않았다 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교육학 과목 학원 수강을 한 적 있다는 응답률 이 높았다. 교육학 과목 학원 수강 비용은 120만원 이상을 들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 전공 과목 학원 수강을 한 적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전공 과목 학원 수강 비용으로는 120만원 이상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시험 준비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광범위한 시험범위인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2차 면접시험 준비 과정이다. 응시횟수는 아직 응시하지 않았다 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면접 준비 방식으로는 그룹 스터디를 많이 이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접 준비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예상문제를 예측 하기가 어렵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임용고시 지원자들의 사 교육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공교육과 임용고시 시험의 연계성을 높여 사교 육 의존 비율을 낮춰야 한다. 또한 임용고시 지원자들의 시험 준비 과정 에서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적극적 으로 마련해야한다.

      • 상담 법제화 연구 동향 분석 : 심리상담법과 학교상담법을 중심으로

        이시온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상담 법제화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여 상담 법제화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들은 첫째, 연도에 따른 심리상담법과 학교상담법의 연구분포는 어떠한가? 둘째, 출판형태에 따른 심리상담법과 학교상담법의 연구분포는 어떠한가? 셋째, 연구방법에 따른 심리상담법과 학교상담법의 연구분포는 어떠한가? 넷째, 연구내용에 따른 심리상담법과 학교상담법의 연구분포는 어떠한가? 다섯째, 연구주제에 따른 심리상담법과 학교상담법의 연구분포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학위논문 3편, 학술지 23편으로 구성된 총 26편의 상담 법제화 관련 선행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포함한 각종 문헌 조사를 통해 분석 틀을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선정된 연구대상은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기준에 따라 연도별, 출판형태별, 연구방법별, 연구내용별, 연구주제별로 심리상담법과 학교상담법의 연구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상담 법제화에 대한 관심은 2005년 이후 꾸준히 유지되고 있었다. 특히, 심리상담법 관련 연구는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 둘째, 출판형태별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학위논문에서의 상담 법제화 관련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반면, 학술논문은 총 23편으로 전체 논문의 88.5%를 차지할 만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상담 법제화 관련 선행 논문들의 연구방법은 총 26편 중 21편이 기술연구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 논문 중 80.8%를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내용별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상담 법제화 관련 선행 논문들의 연구내용은 정책 제안이 가장 많았고, 현황 분석이 그 다음 순이었다. 다섯째, 연구주제별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심리상담법 관련 논문의 연구주제는 자격 관련 주제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용어 관련, 직무 관련, 처우와 신분보장 관련 주제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상담법 관련 논문의 연구주제는 학교상담 직무 관련 주제가 가장 많이 다뤄졌으며, 학교상담 지원체제 구축 관련, 면허와 자격기준 관련 주제 순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에 기초하여 각 주제에서 논의되고 있는 시사점과 상담 법제화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legalization of counseling by analyzing the trends in research on the legalization of counseling. To this end,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o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chool counseling by year? Second, what is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o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chool counseling by publication type? Third, what is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o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chool counseling by research method? Fourth, what is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o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chool counseling by research content? Fifth, what is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o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chool counseling by research topic? A total of 26 previous studies on the legalization of counseling, consisting of 3 dissertations and 23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a framework for analysis was prepared via various literature reviews including previous studies. Next, SPSS 23.0 was used to analyze the selected studies, and frequency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o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chool counseling based on criteria of analysis such as year, publication type, research method, research content, and research topic. The main findings from the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trend in research by year, steady interest in the legalization of counseling has been shown since 2005. In particular, research on psychological counseling has been on the rise over recent years. Second, in the case of the trend in research by publication type, research on the legalization of counseling for dissertations has not been active, while activ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with a total of 23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ccounting for 88.5% of the total number of the papers. Third, regarding the trend in research by research method on the legalization of counseling employed in previous papers, 21 out of 26 papers were found to be descriptive, which accounted for 80.8% of all the papers. Fourth, for the trend in research by research content on the legalization of counseling covered in previous studies, the most popular research content was policy proposal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legalization of counseling. Fifth, when it comes to the trend in research by research topic, most of the research topics of the papers on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Act were related to qualifications, followed by topics related to terminology, duties, treatment, and security of status. The most frequently discussed topic in the studies on the School Counseling Act was related to the duties of school counseling, followed by topic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support system for school counseling and criteria for licenses and qualif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each topic covered in the preceding research were discussed and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legalization of counseling was proposed in this study.

      • 연극치료 양성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 영국, 미국, 한국, 중국 중심으로

        왕동연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연극치료는 20세기 초기에 유럽에 나타난 새로운 학문이다. 연극치 료의 효과 및 유럽과 미국 선진국에서의 광범위한 응용은 전 세계 범 위의 교육, 심리, 사회사업 등 각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한편으로 중 국의 경제가 급속하게 발전됨에 따라 심리상담이나 심리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고, 연극치료에 대한 연구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중국 내에 연극치료에 대한 연구는 오래되지 않았으며, 중국 내의 대 학교에서 연극치료와 관련된 전공은 아직 개설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미국, 한국의 연극치료과정에 대한 비교연 구를 통하여 중국의 국정과 국민 심리 수용 수준에 맞는 연극치료양 성과정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질문1: 영국, 미국, 한국 세 나라에서 연극치료 양성과정은 어떻 게 진행되고 있는가? 연구질문2: 영국, 미국, 한국 세 나라의 연극치료양성과정에 대한 비 교연구를 통하여 중국의 연극치료양성과정에 시사점은 무엇인가? 연구질문3: 영국, 미국, 한국의 연극치료 양성과정의 경험을 바탕으 로 중국의 연극치료양성과정을 어떻게 설치할 것인가? 이런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연극치료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 아시아와 서양의 연극치료 관련 연구를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영국, 미국, 한국의 연극치료 양성과정이 개설되고 운영되 는 대학교를 대상으로 연극치료의 양성과정에 대해 정리하여 비교 분 석하였다. 영국은 영국 연극치료학회에 인정을 받은 중앙연설및드라 마학교, 더비대학교, Roehampton대학교를, 미국은 북미연극치료학회 에 인정을 받은 뉴욕대학교, 캘리포니아 통합연구소(CIIS), 안티옥대학 교를 한국은 동덕여자대학교, 용인대학교, 동국대학교를 연구 대상으 로 하였다. 본 연구는 입학조건, 양성목표, 전공핵심과정, 교학과 실 천, 심사와 졸업의 5개 영역을 중심으로 9개 대학의 연극치료양성과 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미와 미국은 체계적인 연극치료 양성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이론과 실천력을 갖춘 연극치료 인재를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영국연극치료협회와 북미연극치료 협회에서 제공한 자격 기준은 연극치료 인재양성의 양과 질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실천적 보장과 제도적 보장도 제공한다. 한국의 연극치 료는 서구에 비해 40~50년 늦게 시작됐지만 활용 폭이 미국이나 유럽 못지않게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아시아의 이웃나라인 중한 양국은 모두 5천년의 문명을 갖고 있으며 자연과 문화적으로도 깊은 연원이 있다. 한국대학의 연극치료과정에 대한 분석은 영국, 미국에 대한 강 력한 보충일 뿐만 아니라 중국연극치료전공의 발전에도 귀중한 경험 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영국, 미국, 한국의 연극치료양성과정을 비교 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5개 영역에서 중국연극치료양성과정을 제시하였다. 1. 입학조건은 학생의 연구흥미, 성장경력, 경험과 능력에 대한 평가 를 중시한다. 2. 양성목표는 학생의 연극치료 이론과 기술을 양성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학생 자신의 완벽성과 발전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 3. 전공핵심 과목는 서양연극치료체계중의 기초류과목이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 특색의 연극치료 과목도 있다. 4. 교학과 실천은 학 생들의 실천능력을 배양하는데 중시를 돌리고 실습을 전반 교학과정 에 관통시킨다. 5. 심사와 졸업은 형식이 유연하고 다양하며 전면적이 고 객관적이여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연극치료양성과정의 설치를 통하여 중국의 국정과 국민심리 수용 수준에 맞는 연극치료인재를 효과적으 로 양성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동시에 중국연극치료양성 과정을 실시하는 세 가지 경로를 제시하였다. 논의에서는 실천과 정 책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effect of drama therapy and its wide application in developed countries in Europe and America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education, psychology and social enterprises all over the world. On the other han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a's economy, people's attention to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s also increasing, and the research on drama therapy is gradually increasing. The research on drama therapy in China has not been long, and there is no major on drama therapy in Chinese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rama therapy training process in accordance with China's national conditions and national psychological acceptance level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drama therapy process in Britain, America and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are drama therapy training courses conducted in Britain, America and Korea? Research question 2: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drama therapy training courses in Britain, America and Korea, what are the inspirations for drama therapy training in China? Research question 3: Based on the experiences of drama therapy training courses in Britain, America and Korea, how should drama therapy training courses be established in China?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first collects and analyzes drama therapy related studies in Asia and the West through drama therapy literature review. Britain is accredited by the British Drama Therapy Association at the Central School of Speech And Drama, University of Derby and Roehampton University, and America is accredited by the North American Drama Therapy Association at New York University, California Institute of Integral Studies (CIIS), Antioch University, in Korea with Dongduk Women's University, Yong In University and Dongguk University. This study analyzed the drama therapy training programs at 9 universities, focusing on 5 areas: admission requirements, training goals, professional core courses, teaching and practice, evaluation, and graduation. This study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drama therapy training courses in Britain, America and Korea, and proposes Chinese drama therapy training courses from the following five areas. 1. Admission requirements attach importance to the evaluation of the student's research interest, growth experience, experience and ability. 2. The training goal is not only to cultivate the theory and technique of drama therapy, but also to care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students themselves. 3. The core subjects of the specialization include basic subjects in the Western drama therapy system and drama therapy subjects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4. Teaching and practice focus on cultivating students' practical ability, and practice runs through the whole teaching process. 5. The forms of evaluation and graduation should be flexibl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drama therapy training courses, we can effectively train drama therapy talents in accordance with China's national conditions and the national psychological acceptance level. At the same time, three ways of implementing the Chinese drama therapy training course are propose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