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 수출기업의 경영환경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하세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중소 수출기업의 경영환경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중소기업의 수출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수출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중소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를 확충하는 것이 필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 수출기업의 경영환경 변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기본 목적이다. 특히 중소 수출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들을 발견하고, 이를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들은 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한 선행요인으로 기업의 내부 환경요인들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수출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으로는 부족해 보인다. 수출기업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내·외부 환경요인에 모두 영향을 받고 있음에 따라 기업성과에 관련한 연구에서 시장지향성과 고객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봐야 한다. 특히 기업의 내·외부 환경요인들이 기업의 역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 최적화 환경을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그 동안 기존 논문에 논의되어 온 기업의 내부 환경요인과 시장지향성 중심의 접근방법에서 벗어나 시장지향성과 고객지향성을 동일한 위치에서 조명하며, 이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들을 기업의 내·외부 환경요인으로 폭넓게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우리 중소 수출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추고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중소기업의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소기업의 환경을 내·외부 환경요인으로 구분하여 중소기업 역량강화를 위한 기업의 제반환경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내부 환경요인으로는 경영자 관점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기업가 정신으로 나누어 보고, 조직문화 관점으로 부서 간 상호협력과 업무권한 분산화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외부 환경요인은 가격경쟁력과 기업인지도로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중소기업의 내·외부 환경요인의 최적화를 통하여 강화할 수 있는 기업 역량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도출된 중소기업의 역량향상에 따른 기업성과의 관계성을 검증하고,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기업의 내부 환경요인을 경영자의 관점, 조직문화 측면으로 파악하고, 외부 환경요인을 가격경쟁력과 기업 인지도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업이 이를 통하여 강화할 수 있는 기업의 역량으로 정보 활용역량, 제품 개발역량, 고객관계 구축역량, 고객 피드백역량으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기업의 성과를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분류하였다. 내, 외부 환경요소가 기업역량 강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강화된 기업역량이 기업성과를 향상시킨다는 본 연구모델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 둘째, 중소기업의 수출은 기업가의 성향에 따라 많은 것들이 좌우될 수 있다. 특히 해외시장진출에 적극적인 기업일수록 경영자의 독특한 기업가적 역량과 예측이 필요하여 이것이 우리 기업을 해외시장으로 진출하게 만든다. 기업의 정보 활용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영자가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변혁적 리더십이 요구된다. 셋째, 기업의 제품 개발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십, 부서 간 상호협력과 같은 기업의 내부 환경요인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변혁적 리더십, 부서 간 상호협력과 같은 내부 환경요인과 가격적정성, 비용절감, 기업명성과 같은 외부환경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서 간 상호협력은 제품개발역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부서가 시장의 욕구를 반영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마케팅부서로부터 시장정보를 획득해야 하고, 마케팅부서는 정확한 목표시장 선택을 위하여 개발부서로부터 기술 및 개발에 관한 현황을 얻는 등 통합된 부서 간 상호협력이 이루어져야만 할 것이다. 또한 제품 개발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중심의 기업경영이 중요하며, 창의적 조직분위기와 문화형성을 위한 관심과 전략을 기업경영에 반영해야 한다. 넷째, 기업의 고객관계 구축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내·외부 환경요인들이 조화롭게 조율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업의 내·외부 환경요인들은 모두 고객관계 구축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최근 고객 중심적 경영이 대두됨에 따라 고객과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게 받아들여지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기업의 고객 피드백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비용절감을 위한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 변혁적 리더십과 같은 내부 환경요인과 비용절감, 기업명성과 같은 외부 환경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비용절감은 고객피드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이러한 환경요인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여섯째, 기업의 역량이 강화되면 재무 및 비재무적 성과가 높아질 것으로 여겨진다. 정보 활용역량, 제품 개발역량, 고객관계 구축역량, 고객 피드백역량은 모두 재무적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 활용역량은 비재무적 성과까지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 활용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국내 수출기업이 나아갈 방향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How the business environment impacts the performance of SME(small and medium sized exporting enterprises) Competitiveness of trade-intensive countries is closely related to the import and export expans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 Therefore, efforts to improve SMEs’ export performance are required and factors in export performance of SMEs are necessary to discover. Though understanding the parameters that drive SME expansion in export markets, the challenge for future competitiveness of export nations is to identify, explain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SMEs in the export market. In this study,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xporting companies are analyzed to the impact of indentifying factors that have causation to the purpose of SME export growth.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xporting companies, especially in the discovery of critical factors affecting SME export are necessary thorough scholarly research and building meaningful SME databases at the national level. In previous studies of SME, strengthening of the capacity of company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s antecedents were emphasized. However, identifying significant factors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ME exporting companies and therefore factors that drive competitiveness of exporting nations seem to lack. This paper and our research will address and advance the topic of factor relationships that drive SME export performance. Export companies are confronted with chang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d business performance. Studies related to market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f a company were shown to impact company performance. Thus, our research seeks to find factors that drive performance in a SM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o export expansion. In particular, the company'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ability of companies are considered. This study seeks to expand and improve the research on company business performance optimization environment. This paper will discuss existing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market orientation of a corporate-driven approach to customer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It week seek to understand exports from a single location (country) of SME and attempt to identify leading factors affecting the company’s company'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ability to expand exports. For this study, companies are assumed to all compete in the global marketplace. Domicile and size of company do not relieve them from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commerc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sized exporting companies and ways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will be 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we will address affects on the ability of SMEs environment; separated b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company's SME capacity building to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To do this, the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 terms of executiv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ntrepreneurship divided into reporting, corporate culture perspective,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and business rights to the decentralization will be discussed. In additio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competitive prices and corporate awareness will be investigated. Secon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hrough the optimization of enterprise capabilities that can enhance what they would like to know. Third, improving the capacity of SMEs drawn according to the company and th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and ways to improve it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the executive officer of a company's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perspective, capturing asp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o understand in terms of price competitiveness and businesses were recognized. Through this organization, as well as to enhanc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kills of the company, and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ies and ability to build customer relationships, customer feedback, were classified as COMPETENCE (C). In addition, corporate performance and financial results were classified as non-financial PERFORMANCE (P).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company significantly enhanced capacity building organization capabilities of improving the business performance model, the validity of this study was tested empirically to show this. Second, the expor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entrepreneurship may depend upon varying factors. Overseas expansion, particularly in the management of the more aggressive companies with a unique entrepreneurial skill necessary to predict success into overseas markets was addressed. The ability to use advantage of corporate information, in order to strengthen its executiv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motivate staff, is required. Third, the company's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such as a company's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re worth not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such as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pricing adequacy, cost savings, company nam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showed no significance. In particular, of these,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apabilities of the product showed the greatest impact on exports. It reflects the desire of the market development department to develop the product from competitive market information of the marketing research department.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development and capability and collaborative environment necessary between marketing research, marketing department (Sales & Distribution) and development department (Strategy and Strategic Marketing) in order to select the correct target market for a technology and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status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inter-departmental, and cross-cooper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strengthen its product development center with characteristics of creativeness, innovation and entrepreneurialism, it is important for business management to foster the cultural of the organizations and implement strategies for the formation of these at the corporate management level. Fourth, the company's customer relationship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any’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re necessary to harmonize.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company'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both in capacity building customer relationships and showed them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The challenge of customer-centric business and building long-term relationships are very important to export SME. In this study, this outcome is presented. Fifth, the company's customer feedback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any’s efforts to reduce costs is address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ost savings, such as company name and influence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reviewed. Especially, customer feedback is a major contributor to intensive management for these environmental factors. Sixth,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enterprises,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s considered to be high.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ies, and customer relationship building skills, financial performance, increase customer feedback showed that all competencies. Information literacy a skill, particularly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appears to accelerate and lead to realization of export growth of SMEs. Through this research, the future direction of the domestic export expansion through SME companies was addressed with empirical findings and conclusions.

      • 기업 혁신역량과 수출성과간의 관계 분석 : 기술보호와 기술사업화를 매개로

        정용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By the global competitive environment the companies are pushing aggressive innovation activities. But all of the innovation activities don’t associate with firm’s increased sales, exports and management performance. Study for the mediating variables in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enterprises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is regard is very important.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But the studies on the parameter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are not enough. The model of the study is that through the success of innovation capability like technology protection or commercializing technology will grow up the performance of export. In other words, the innovation capability of companies’ assumption that mediate of technology protection (patent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gives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an important parameter between technology and market. Current companies own technical competence, as well as respond to the market demand; the external network utilization is an effort to derive short-term performance. In addition, in this study there are a lot of meaningful findings in the analysis of the company's business performance as measured by sales instead of ex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and export performance. The independent variable is innovation capability which was set-up by knowledge absorptive capacity, aftermarket demand respond capacity, and utilization capacity of government aid policy. Registration and application of patent, standardization, respond of market demand was used for a parameter. For the analysis ‘research of technology innovation’ research data was used. There are 3,081 companies in export earnings and from among these 778 companies participated at the survey. For the analysis 445 companies’ data were used excluding the inappropriate material missing of logical responses among 778 companies survey data.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knowledge absorptive capacity gave more influence to the export performance through technology protection. On the other hand, aftermarket demand responds capacity, and utilization capacity of government aid policy don’t have a direct influence to export performance, which means the case of innovation capability type gives influence in different ways to export performance. Technology protection is still more important to export performance than commercializing technology. Seco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research and development capability and patent are still more important than open innovation. On the other hand, immediate export performance does not reflect the market deman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to identify and take advantage of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ctivities and actively deployed. And also does not have an confirm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y protec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ill showed gradual patent acquisition and improvements rather than more explicit and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radical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rough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firms. But the importance of commercializing technology is growing up so the government has to give the information about commercializing technology and need to support the companies by policy that can open the innovation which could be the cause of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ology protection (patents), commercialization, innovation capability of enterprises and export performance as a mediating variable we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at the present study. Above all,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market demand and the external network from the perspective of open innovation that is being actively discussed recently investigated the role of the parameter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re is a time lag between innovation and export performance through the analysis of panel data did not clarify the point.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mpany, industry sector, the role and importance of technology protection (patent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research on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could be made.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and export performance of SMEs in research on the role of technology protection (patent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urther research to be pursued.

      •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SP) 지원 특성에 대한 분석 : 정책자문사업 재원배분의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유재욱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x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s support for its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especially the Policy Consultation.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correlation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llo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to the Policy Consultation and determines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the T-test. Unlike the conventional unilateral material assistance transferred by donors to recipients, the KSP is well-received by international aid communities as the contents fitting the knowledge sharing and valuing the bilateral exchange between donors and recipients. Notably, Korea has been advocated by international aid communities as the best practice of transforming itself into a donor from a recipient, being equipped with tangible comparative advantages in comparison to other advanced countries that have never been recipients of aids, and being willing to share its development-related experience and knowledge with recipients. Despite its substantiality, the KSP has not been well-documented due to the short history of its implementation, with relevant research limited to collective data analyses or policy suggestions. Hence,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fact that the support fund for the Policy Consultation for 43 countries from 2004 to 2013 has substantially increased since Korea joined the DAC in 2010, and particularly homed in on Asia, industrial policies and economic development plans. Also, it may be inferred that following the increase in support fund, the Policy Consultation has been characterized by the strategies for seeking new recipient countries rather than staying focused on existing recipients. In addition,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llo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to the Policy Consultation, this study sets up independent variables using the DI(Donor Interest)-RN(Recipient Needs) model, which was used to analyze the allo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to the ODA. In terms of DI, this study analyz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variables, i.e. the volume of trade with partners, amount of direct investment in partners, summit talks with partners and cumulative lengths of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partners. In view of RN, partner countries’ per capita GDP, LDCs and political stability of partner governments are analyzed as variables.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dicates a notable correlation between the support fund for the Policy Consultation and the summit talks. Also, the amount of direct investment and per capita GDP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support fund for the Policy Consultation. The T-test illuminat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crease in support for the Policy Consultation in proportion to the volume of trade with and the direct investment in partners from the perspective of DI. Also, the summit talk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perspective of RN, the smaller the per capita GDP of a partner country, the greater the allo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to the Policy Consultation,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imited data precludes any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among variables. Still, this study should be noted in that it takes the first feasible approach to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llo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to the KSP. This study will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discussions concerning the allo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to the KSP and serve as some reference data conducive to further studies on diverse options for economic cooperation linked to the ODA of Korea.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중 정책자문사업을 중심으로 지원 현황 및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정책자문사업 재원 배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인들간 상관관계 분석 및 T-test를 실시하여 집단간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KSP는 공여국으로부터 수원국으로 이전되는 기존의 일방적 물질적 원조와 달리 최근 국제원조사회에서 각광받는 공여국과 수원국간 쌍방향 교류를 중시하는 지식공유에 부합하는 컨텐츠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국제원조사회의 모범사례(best practice)로서 원조 수혜 경험이 없는 다른 원조선진국들과 비교할 때, 실질적인 비교우위를 가지고 수원국과 개발경험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KSP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짧은 시행역사 등으로 제한적이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들도 집합적 자료 분석 또는 정책적 제언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총 43개국에 지원된 정책자문사업이 2010년 DAC 가입 후 지원금액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아시아 지역과 산업정책 및 경제개발계획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정책자문사업 지원금액이 늘어났을 때, 정책자문사업의 특성상 기존 지원대상국에 대한 중점 지원보다는 신규 지원국가 발굴 전략을 취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었다. 한편, 정책자문사업 재원 배분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서 기존 ODA 재원배분 분석에 사용된 공여국의 이해(DI) - 수원국의 필요(RN) 모형을 활용하여 독립변수들을 설정하였다. DI 관점에서는 협력대상국과의 교역규모, 협력대상국에 대한 직접투자액, 협력대상국과의 정상회담 여부, 외교 수립 누적기간을 변수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지를 분석하였으며, RN 관점에서는 협력대상국의 1인당 GDP, LDCs 해당여부, 협력대상국 정부의 정치적 안정성 요인을 변수로 분석해보았다.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책자문사업 지원액에 대하여서는 정상회담 개최여부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외에도 직접투자액, 1인당 GDP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test를 통해서는 DI 관점에서 협력대상국과의 교역규모와 직접투자액이 클수록 정책자문사업의 지원이 많을 수 있다는 통계적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정상회담 개최 유무 여부도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N 관점에서는 협력대상국의 1인당 GDP 수준이 낮을수록 정책자문사업의 재원배분이 많을 가능성이 높다는 통계적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데이터의 제한으로 변수들간 영향 관계를 고려한 실증적 분석이 불가하였다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KSP 재원배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최초로 구체적 접근을 시도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KSP 재원배분 정책과 후속 논의를 위한 기초를 마련함과 동시에 나아가서는 우리나라 ODA와 연계 방안 등 다양한 경제협력의 관점에서 후속 연구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대외무상협력사업 평가에 대한 연구 : KOICA 시민사회협력 프로그램을 중점으로

        이진선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Development cooperation properly began in the 1960s, after the world war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whose main purpose i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is separated into multilateral and bilateral aids and grants and loans. During the beginning stages, an average of 0.51% of the ODA/GNI of DAC member countries was used for the aid. However, due to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the percentage continued to decrease and in 2017, the percentage was estimated to be 0.31%. In contrast, Korea is constantly increasing its ODA funds and expanding its development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recession, and is the quickest among the DAC member countries with regard to development cooperation. Internationally, the effectiveness of assistance has been strongly discussed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80s. In fact, assistance effectiveness was the sole agenda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at the High Level Forum in 2003. One solution to acquiring funds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due to the economic recession is cooperating with the private sector. The Korean government supported the collaboration, with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proclaiming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ODA and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nouncing to expand the budget for cooperating with the private sector. As private sector cooperation increased, the budget for the Civil Society Cooperation Program of KOICA increased by a factor of 24.6 when comparing the budgets for 1995 and 2015. From 2002 to 2006, the average number of projects was 26 and currently, the number increased to 120. Regardless of these progresses, of the 185 evaluation reports published by the KOICA evaluation office, only two are on private sector cooperation (in 2010 and 2014). In addition to the two reports, the cooperation department also published two evaluation reports on private cooperation programs (in 2013 and 2014). As a result, the evaluation of private sector cooperation is unsubstantial. Furthermore, because research on private sector cooperation fails to include anecdotal evidence from the NGOs that actually conducted the programs, this study analyzed the completed private sector cooperation project comprehensive reports published by the private sector cooperation department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NGO staff members and with the evaluation director of the Civil Society Cooperation Program from the KOICA private sector cooperation department to research and evaluate the cooperation projects. The in-depth interviews show that the evaluation of the private sector cooperation projects, especially of the Civil Society Cooperation Program, affects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their projects in four ways. The first is increasing the organization’s ability to systematically managing and conducting the projects; the second is conducting evaluations with accountability and responsibility; the third is evaluating short-term goals based on output analysis; and the fourth is evaluating projects based on the project planning stag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nalysis, the author has arrived at five proposals. The first is applying regulations that are made after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nd the circumstances; the second is introducing post-evaluations that focus on the true purpose of the projects; the third is attempting to increase the abilities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o better manage the results of the projects; the fourth is drafting a policy that will increase the terms of service (term for managing a project) of the project managers of KOICA and NGOs; and the fifth is strengthening the specialties and expertise of the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author states that the proposals must be supported by efforts to supplement the lack of funds and to hire professional workers. 1960년대 세계대전 이후 본격적으로 개발협력이 시작되었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개발을 주요 목적으로 사용되는 공적개발원조는 다자원조, 양자원조 및 무상원조와 유상원조의 형태로 구분되어 초기단계에는 DAC 회원국 평균 ODA/GNI 대비 0.51%의 자금이 사용되었지만,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는 경기침체로 꾸준히 감소하여 2017년(추정치)에는 0.31%가 ODA 자금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내적으로도 개발협력분야에서 활발한 활동과 경기침체의 상황에서도 ODA 자금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DAC 회원국 중 가장 빠른 속도로 개발협력에 참여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도 원조효과성에 대한 논제가 1980년대 말부터 본격화되었으며, 2003년 세계개발원조총회(HLF)에서 원조효과성이 국제회의의 단독 의제로 설정되는 등 활발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국제적 경기침체로 인하여 다양한 자금의 흐름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으로 민간과의 협력이 부상하였으며, 국내 정부차원의 노력이 동반되었다. 김영삼 정부의 ODA 증대 담화 발표, 이명박 정부의 민관협력 예산 확대 발표 등이 있다. 민관협력이 활발해지면서 KOICA의 시민사회협력사업 예산이 1995년 대비 2015년 24.6배 성장을 보였으며, 2002-2006년 평균 26개 사업에서 현재 매년 120개 이상의 사업을 진행하였다. 그럼에도 KOICA 평가실에서는 지금까지 발행한 185개의 평가보고서 중 민관협력에 대한 보고서는 두 개만 발행하였으며(2010년과 2014년), 이와 무관하게 민관협력 담당 부서에서 진행된 민관협력사업 평가보고서도 두개(2013년과 2014년)에 머무는 등 민관협력사업에 대한 평가는 미진하게 수행되어오고 있다. 더불어, 민관협력 관련 연구 자료에서도 실제적으로 사업을 수행하는 NGO의 이야기를 듣는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음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민관협력 담당 부서에서 발행한 ‘민관협력사업 종료사업 종합보고서’를 분석하였으며, NGO 실무자 7명 및 KOICA 민관협력실 시민사회협력사업 평가담당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민관협력사업 및 평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를 기반으로 민관협력사업 평가–특히 시민사회협력 프로그램의 평가–가 시민사회단체 및 그들의 사업에 미친 영향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기관 차원에서 사업의 체계적 관리 및 운영 역량 강화, 둘째, 책임성 확보 위주의 평가, 셋째, 산출 분석 중심의 단기 결과 평가, 넷째, 사업계획단계 중심의 평가이다. 위의 분석을 중심으로 다섯 가지의 제안을 한다. 첫째, 현지 환경 및 사정을 고려한 규칙 적용, 둘째, 사업의 진정한 의미에서의 평가를 위한 사후평가 도입의 논의, 셋째, 시민사회단체적으로도 성과관리의 역량 증대를 위한 노력, 넷째, KOICA와NGO 모두 동일하게 사업담당자의 근속연수(사업담당기간) 증대를 위한 방안 마련, 마지막으로 시민사회단체 전문성 강화이며, 이를 위한 재정 부족 문제 해결 및 전문 인력 고용 등을 위한 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 핵심되는말: 민관협력, 시민사회협력, 원조효과성평가, KOICA, 대외무상협력

      •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거래위험이 해외직접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채민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 of growing overseas direct purchase market,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business risk and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on trust, dis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about a website of overseas direct purchase. That is, the study submits the importance of marketing about administration and invigoration of online shopping mall to enterprises related to online overseas direct purchase, by analyzing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s of consumers such as shopping ease, product diversity, and price fairness, and perceived business risks such as financial risk, product performance risk, privacy risk, and delivery risk on an attitude about online overseas direct purchase, and how this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 affects re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an analysis targeting Korean and Chinese in their 20s and 30s experiencing an overseas direct purchase, w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trust of an overseas direct purchase website is price fairness, and what has an impact on the trust of an overseas direct purchase website is in the order of product diversity and shopping ease. What has the great impact on the distrust of an overseas direct purchase website is financial risk, and what has an impact on the distrust of an overseas direct purchase website is in the order of privacy risk and product performance risk. In addition, the trust of an overseas direct purchase website has a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nd the distrust of an overseas direct purchase website has a nega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research findings, a proper coping method to satisfy consumers using an overseas direct purchase website should be established to make consumers repurchase, and this method will have the marketing effect in shopping mall.

      • 해외건설 프로젝트 제휴에서 기회주의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계약적 지배구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택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건설업은 수주산업으로서 먼저 계약을 하고 공사를 수행하여 결과물을 계약된 요구조건에 맞게 발주자에게 넘긴다. 발주처는 공사결과가 나올 때까지의 모든 역무를 시공사에 맡기고 그 책임 또한 시공사에게 지운다. 시공사 즉 건설기업은 향후 불확실한 수주 가능성 때문에 기업운영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내부에 보유하지는 않는다. 특히 해외에서 대형프로젝트가 발생하면 발주자가 요구하는 많은 조건에 비하여 한국건설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한계로 인해 다른 건설기업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타 산업의 기업과 협업이 불가피하다. 그동안 한국건설기업의 해외 프로젝트를 수행과 관련된 논문은 대부분 경쟁력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로서 경쟁우위에 필요한 기술능력, 관리능력, 금융조달능력, 마케팅능력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많은 해외연구에서는 건설 분야에서도 경쟁력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정신적 요인이나 심리적 요인까지 주제를 확대하고 있다. 즉, 문화차이, 소통문제, 힘의 불균형, 신뢰, 관계만족, 결속, 기회주의, 불확실성, 복잡성, 위험인지, 계약적 지배구조 등의 요인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연구가 건설 산업분야에서도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건설 이외의 산업과 관련된 연구에서 문화차이, 소통문제, 힘의 불균형 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건설 산업에서는 극히 드물다. 협업이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토록 하려면 긍정적인 요인을 파악하고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요인을 규명하여 회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정적인 요소인 기회주의적 행동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기회주의를 발생시키는 외생변수들을 다양한 외부·내부 환경 및 상황의 불확실성과 과제의 복잡성으로 분류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성 및 복잡성이 기회주의적 행동을 직접 야기하는 것이 아니고, 불확실성 및 복잡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상황에 대한 위험인지가 기회주의 행동을 야기 시키는 요인으로 정리했다. 한국건설기업은 대형프로젝트 수행 시 시공사로서 발주자, 제휴 협력사, 설계사, 기자재 납품사, 하청사 등과 많은 계약을 체결한다. 그러한 계약들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이 눈에 보이는 실책을 하는 경우에는 통제역할을 하지만, 위험을 느끼고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에는 통제역할을 발휘하기 힘들다. 한국건설기업이 해외 대형프로젝트의 수행 시 참여 기업들의 위험인지가 기회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계약적 지배구조가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한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했으며,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AMOS로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했다. 위험인지는 기회주의에 영향을 주며 그 경우 계약적 지배구조가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가설을 채택되었다. 그러나 불확실성 및 과제복잡성이 위험인지에 영향을 주는 가설은 부분채택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시사점으로는 수직적 보다는 수평적 협업이 보다 효율적이며 과거 문제해결을 인간적 관계에 의존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현재는 조직적이고 시스템적인 운영에 따라 계약 내용을 근거로 해결하는 성향이 강해졌다. 또한 기회주의 발생요인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프로젝트 운영에 활용하여 기회주의를 미연에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가치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손위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터넷이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갈수록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만들고 있어 더 많은 소비자들이 “네티즌”(netizen) 행렬에 동참하게 되었다. 중국 인터넷정보센터(CNNIC)가 발표한 중국의 인터넷 발전 현황과 관련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12월까지, 중국 네티즌 집단 수는 이미 6.88억 명이고, 인터넷 보급율은 56.3%에 이르러 전년 동기 대비 2.4% 상승하였고, 그중 스마티폰을 사용하는 네티즌은 2014년에 비해 6,303만 명이 증가하여 6.20억 명에 도달했다고 한다. 인터넷의 신속한 발전과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사회생활의 각 측면을 변화시켰고 또한 마케팅 방식에도 커다란 변혁을 추진하였으며, 오늘날 인터넷 마케팅이 갈수록 중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전통적인 획일적 마케팅 패턴을 변화시키기 위해 새로운 인터넷 마케팅 채널을 개척해 새로운 이익 성장점을 모색하고 있다. 정보 기술의 편의성에 따라 전통적인 실체 브랜드 커뮤니티 역시 점차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로 넘어가고 있다. 특정브랜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인터넷 공간에서 모이게 될 경우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online brand community)가 그에 따라 형성된다.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현상의 출현은 기업계와 학술계모두에게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였으나 현재 존재하는 관련 문헌들을 종합적으로살펴보면 대부분 현실 세계의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개념, 특징, 역할 등의 문제를 탐구하고 토론한 것이다. 비록, 일부 학자들이 인터넷 커뮤니티와 관계된 연구를 진행했지만 주로 일반 인터넷 커뮤니티에 집중되고 있고 브랜드와 같은 주제에 대해서는 대체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는 스마트폰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진행하며,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가치가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는 동시에 기업이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관리를 통해 어떻게 효과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고객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건의를 제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18.0과 AMOS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한 데이터에 대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상관분석 및 모형적합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는 감정적가치에서 오락적가치는 감정적 인게이지먼트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이 없으나 남은 가설이 다 유의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가점, 한계점 및 연구 전망을 제시한다. The role of the Interne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people’s daily lives since its utilization was popularized. As a result, a large number of customers are participating in actions of “netizen”. CNNIC announced through their statistical report on Internet development in China that the number of Chinese netizen was 6.88 hundred million and a utilization ratio of the Internet reached 56.3%, increase of 2.4% compared to the last year, as of December 2015. Among the statistical data, the number of netizen in use of smartphones reached 6.2 hundred million which was increased by 63.03 million from 2014. The dramatic development and broad utilization of the Internet has created new paradigms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especially in marketing. Today, the portion of Internet marketing is rapidly increasing in entire marketing business and accordingly many companies are actively exploring new marketing channels in the Internet to raise their profits instead of traditional one-way marketing. Also, conventional offline brand communities are being substituted gradually by online brand communities due to the modern trend in pursuing more conveniences by means of IT technologies. Such online brand communities are naturally established when people in fond of a specific brand are gathered in an Internet space. Althoug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the emergence of online brand communities brought new paradigm shifts into various areas of economics and academia, a comprehensiv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literature on brand communities is limited in addressing offline communities in the aspect of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social roles. A few performed research on Internet communities but still brand communities were away from their focus. This paper analyzed how value of an online brand community affect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ased on an empirical survey regarding online brand communities for smartphones. Furthermore, this paper proposes ways to effectively promote brand values and intensify customer relationship by managing online brand communities. In this research,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and model-fit analyses were performed over data collected by SPSS18.0 and AMOS18.0.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values categorized by customer’s psychological aspects have significance with emotional engagement except entertaining values. This paper concludes with presenting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is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