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여성 복수 서사’ 비교 연구 : ‘시집가지 않은 여성 이야기’를 중심으로

        안순남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revenge stories of unmarried women" in Korea and China where the Confucian culture took deep root. The study specifically discussed works from a series of groups comprised of the same objects repeatedly written by several authors among the stories of unmarried women taking avenge for their fathers and practicing their filial duties in Korea and China. In Korean and Chinese revenge narratives based on ethical motives such as filial duty, loyalty, and chastity, women usually take avenge for their parents, husbands or themselves. The scope of their revenge is limited to family and personal emotions in both the countries. In other words, the scope of women's revenge includes only revenge for parents, husbands, and themselves. There are notabl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area of filial duty in stories. The differences are especially prominent in stories of unmarried daughters taking avenge for their fathers that are killed under a false accusation and practicing their filial duties. The present study thus targeted the group of works telling a story of an unmarried woman taking avenge for her father in Korea and China for comparative researches. In Korea, the group of Park Hyo-rang works and that of Devoted Daughter of Gangsang works present a story of an unmarried daughter taking avenge for her father. The two groups of works expand from women's narratives to women's solidarity narratives and female servant narratives, in which process the group of Park Hyo-rang works based on a real event gradually became a narrative with the addition of fictional characters and episodes in later days. This pattern was repeated the same in the group of Devoted Daughter of Gangsang works. In other words, the flow of narratives in these two groups of works was in line with the pattern of prose in Chinese becoming a narrative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In China, stories of an unmarried daughter taking avenge for her father are found in the group of Uigyeok works. The same stories were repeatedly written across different periods, forming a group. In the group of Uigyeok works, the central axis of narratives consistently moved from women to men in later days. As a result, the main characters of these works were established as "women of filial duty and chastity" in a patriarchal society from "typical freewheeling Hyeopnyeos." There are two major differences in the groups of works about unmarried women taking avenge between Korea and China: one concerns the creative time of works and the causes behind the groups of works; and the other is about the premise of heroines' marriage in the revenge proces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creative time of such works and found that stories of unmarried women taking avenge were mainly concentrated on the 18th century in Korea and that such stories were created in various periods in Tang~Qing much earlier than the 18th century. In Korea, a group of works was formed as stories about certain events were written during certain periods. In China, a group of works was form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a certain period with few stories forming a group. In Korea, the number of works telling such types of stories is small, but there are relatively many groups of works. In China, there are many fragmentary works, but relatively fewer works form a group. Thes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are attributed to the followings: in Korea, stories of unmarried daughters practicing their filial duties by taking avenge were consumed for interest and fun or derived from an intention to reinforce the medieval ideas on the contrary. All of such stories became novels whether they were created for interest or to reinforce an idea. In China, stories of unmarried daughters taking avenge appeared in various forms in early periods. In Tang, such stories made enormous development, being engaged with the prevalent "Haenggwon" and "Ongwon" due to the state exam in those days. In Tang, there were already novels based on diverse and peculiar stories, which did not lack buzz socially or cause inconvenience no matter what they talked about. As a consequence, a story was not written intensively during a certain period and did not lead to a group in China, where such groups of works are rare. It is the group of Uigyeok works that are prominent among the few groups of works. Another difference in stories of unmarried women taking avenge between Korea and China concerns the marital status of women as the subjects of revenge. In Korea, there is no premise of marriage in such stories. In China, women use marriage as a means of taking avenge, which makes the issue of children emerge naturally. In Korean stories of unmarried women taking avenge for their fathers, women start from their filial duties, get reborn as free Hyeopnyeos, and eventually walk into marriage to men. A similar pattern is found in China where Hyeopnyeos that are free enough to use even marriage as a vehicle were gradually replaced by women getting married under patriarchy toward later periods.

      • 조선 후기 여성 ‘효(孝)·열(烈) 서사’ 연구 : 18·19세기 작품의 탈이념적 양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임이랑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late Chosun Dynasty, when women’s filial piety and chastity narratives were most actively recorded in our literature history, and examined the significant points captured in other stories of that period of time. Primarily studied over 200 literature, and most of them had a strong character which is “conservative moral storie with lessons”. Hence, this study selected the 18th and 19th centuries literature tha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nd read them analytically. As a result, 18th and 19th century women’s filial piety and chastity narratives could be summed up as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as a result of study on stories related to Park Hyo-rang, a real life figu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who did not get married and did a fierce revenge for her father, these literature gradually shed the weight of the ideology of filial piety and tended to be fictional. In other words, this aspect was chosen to dispel the filial piety of an unmarried daughter, which was hard to be accepted in medieval societ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literature depicting a women who became a widow shortly after a marriage, still stayed her parents-in-laws having conflicts and reconciliations between her parents and parents-in-law, it slightly revealed a critical mind on medieval ideology but in the end maintained the Feudal view. This can be read as a strategic negotiation to show the winning of “the filial piety of a daughter-in-law” over “the filial piety of a daughter”. Third, studying on literature about a married woman who chose the fidelity to her husband who passed away, it showed that the narrative itself can trigger an “ideological debate”. In particular, Lee Ok and Park Ji-won, who were even medieval writers, expressed a sharp criticism at the boundary between “story” and “ideology” and left their skepticism behind to “chastity” itself which was forced to medieval women. Furthermore,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two writers' extraordinary empathy and involvement in the subject, given that their work was recorded coincidently at the new emergence of “a short piece(小品文)”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conclusion, women’s filial piety and chastity narrative in the late Chosun Dynasty gradually deviated from the existing moral aspect. It dealt with ideological figures, but shedded light on their lives with a new perspective than before. Therefore, the variation of the 18th and 19th century women’s filial piety and chastity narrative is an example of literature history reflected by “post-ideological aspect” which the society was aim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 소비가치에 따른 중국 소비자 세분화 및 구매행동

        ZOU, YUE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 소비자를 세분화시키고 각 군집간의 인구통계학적 차이 및 구매행동에 대한 차이를 연구하여 발전력이 뛰어난 중국시장을 더 알아보고자 한다. 이런 목적을 제대로 실행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18세 이상의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소비가치, 브랜드 의식, 충동구매, 점포유형 선택이라는 5가지의 측면을 조사했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총 8가지의 소비가치가 나왔는데 각각 윤리지향적, 안전지향적, 혁신 지향적, 심미지향적, 타인지향적, 자기표현지향적, 자율지향적, 가격지향적 가 치이다. 이중에 안전지향적 가치의 지수가 가장 높은 반면에 타인지향적 가 치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또한, 도출된 소비가치에 따라 소비자 군집은 총 4 개가 분류되었다. 모든 가치의 지수가 평균보다 낮은 군집은 “임의적 소비 추구형”, 정반대로 나온 “신중적 소비추구형”, 안전지향적 및 가격지향적 가 치가 높은 “실용적 소비추구형”과 상품의 속성 및 자신과 상품간의 내적 관계 를 중요시하는 “속성중심적, 내성적 소비추구형”이다. 둘째, 거주지는 소비자 유형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거 주지의 경우, 대도시는 엄청난 삶의 스트레스로 인해 “신중적 소비추구형”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왔다. 1~2선 도시는 대도시보다 좀 낫지만 빠른 속도 의 경제성장 때문에 상당한 스트레스도 품고 있다. 따라서 “실용적 소비추구 형”과 “신중적 소비추구형”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3~4선도시는 집값 과 물가가 모두 낮아서 여유있게 생활을 즐기는 소비자가 많다. 하지만 집값 과 물가가 저렴한 반면 수익도 낮은 편이다. 또한, 소득 차이가 상당히 존재 하고 있고 경제발전 속도가 그리 빠르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미래에 대한 자신이 별로 없다. 이로 인해 3~4 선 도시에 “신중적 소비추구형”과 “임의적 소비 추구형”이 모두 많이 나왔다. 소읍/마을은 또한 소비지출이 적어서 마음 대로 소비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셋째, 소셜커머스를 제외하고 브랜드 의식, 충동구매, 나머지의 점포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브랜드 의식과 충동구매에 있어서 “신중적 소비추구형”의 지수가 가장 높고 “실용적 소비추구형”은 가장 낮다. 점포유형 선택을 전면적으로 살펴보면, 소셜커머스의 이용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에는 편의점, TV홈쇼핑, 대형 할인점이다. 백화점의 이용도가 가장 낮은 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bdivide the Chinese consumers and study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urchasing behavior among different clusters to find out more about the highly developed Chinese market. In order to carry out this purpose properly,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of Chinese consumers over the age of 18 to examine five asp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sumption value, brand consciousness, impulse buying and choice of store ty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study. Firstly, there are eight consumption values, each of which is ethics-oriented value, safety-oriented value, innovation-oriented value, aesthetic-oriented value, other-oriented value, self-oriented value, autonomy-oriented value and price-oriented value. In addition, a total of four consumer clust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rived consumption values. Second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dence among different clusters of consumers. Thirdly, the brand consciousness, impulse buying and the choice of store type expect the social commerce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clusters of Chinese consumers.

      • 한·몽 신화의 여성 형상 비교 : 이름과 외모, 역할의 관련양상의 중심으로

        아시마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female characteristics between Mongolian and Korean myths with a focus on the names of characters. The findings shed light on the foll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First, the names of women in Korean myths were closely related to their personalities and roles in some cases and had no relations to them in other cases. In Mongolian myths, on the other hand, names of women were closely connected to their personalities and roles. It is interpreted that when the names of character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personalities and roles in myths, the society contains its ancient identity. "Jumong," for instance, was a common noun for perfect marksmanship in Goguryeo. It is an ancient or primitive tendency to use a common noun as a proper noun to name a person. The close relations between women's names and their personalities and roles in various aspects in Mongolian myths, therefore, reflect the still strong material attributes of the ancient society. The connections between women's names and their personalities and roles only in some aspects in Korean myths reflect the social attributes during or after a transition to a patriarchal society. Secondly, Mongolian myths depicted ugly women positively and beautiful women negatively. In Korean myth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few expressions for women's appearance connected to their names. A couple of exceptions put an emphasis on their beauty. This difference derives from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myths that are matriarchal and ancient and Korean myths that are patriarchal and medieval. That is, women's roles concentrate on giving birth to a son in Korean myths, which means that women's appearance will not matter as long as they are beautiful enough to make men want to have a baby with them. In Mongolian myths, on the contrary, women's essential abilities and talents are more important than their beautiful or ugly appearance. Finally, father and mother belong to the Heaven and Earth(Water), respectively, in Korean myths, whereas mother and father belong to the Heaven and Earth, respectively, in Mongolian myths. Dangun's father was Hwanwoong from the Heaven, and his mother was Woongnyeo from the Earth. Jumong's father was Haemosu who called himself the son of the Heaven, and his mother was Yuhwa who was a daughter of Habaek from Water(Earth). In "Abai Geser," however, a Heavenly goddess called Naran Goohon comes down to Earth and marries an earth man, giving birth to Geser, whose daughter renounces her mother belonging to the Sea(Earth) and declares she will belong to her father, going up to the Heaven. Geser's daughter goes up to the Heaven after declaring her belonging to her father, which means Geser belongs to the Heaven. It is a contradiction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the Heaven accommodating the mother's side until the Geser generation and then accommodating the father's side after the Geser generation. Despite this contradiction, however, it is clear that mother and father belong to the Heaven and Earth, respectively, in the Geser myth and that mother and father belong to the Earth and Heaven, respectively, in Korean myths. This difference too means that Mongolian myths have the ancient attributes of a matriarchal society, whereas Korean myths have more medieval elements of a patriarchal society than ancient ones. 本篇論文以登場人物的名字爲中心,蒙古神話和韓國神話中女性登場人物的特性進行了比較。其異同點如下。 第一,韓國神話中登場女性的姓名與其性格及作用有緊密聯系,也有無緊密聯系的情況。反面蒙古神話中女性的姓名和性格及作用聯系緊密。可以解釋爲神話中人物的姓名和性格及作用聯系越緊密越能夠體現其社會具有古代原型性。例如,高句麗的“朱蒙”便是“百發百中”不同叫法的普通名詞。像這樣把普通名詞命名爲個人姓名的固有名詞帶有古代或原始傾向。因此蒙古神話的姓名和性格及作用多方面有著緊密聯系,反映了依舊帶有母系特征較強的古代面貌。韓國神話的女性的姓名和性格及作用只有著片面的聯系,反映了轉變爲父系社會或轉換後的社會性屬性。 第二,在蒙古神話中,越是醜陋的女性越具有肯定性,越是美麗的女性越具有負面性。與此相反,在韓國的神話中,幾乎沒有與女性的名字相連接的外貌描寫,即使有也只強調了美麗。這種差異也可以理解爲,以母系爲中心,古代的蒙古神話的特性和以父系爲中心、中世紀的韓國神話的特性。也就是說,在韓國的神話中,女性的作用集中在生育子嗣上,因此她們擁有可以生育子嗣的美麗的外貌便可。相反,在蒙古神話中,重要的不是外貌的美醜,而是本質的能力和資質。 第三,在韓國的神話中,父親具有天,母親具有地(水)的屬性,而在蒙古神話中,母親具有天,父親具有地的屬性。檀君的父親是從天而降的桓雄,母親是地上存在的熊女,朱蒙的父親是自居天子的解慕漱,母親是河伯的女兒,水(地上)界的存在柳花。但在《阿拜 格斯爾》中,天神Naran Gohon下凡來到地面,與地上男性相結合,生下了格斯爾。但是,格斯爾的女兒宣言與自己母親絕緣,今後將歸屬於父親後飛上天界。像這樣,女兒宣言歸屬於父親,意味著最終屬於天界屬性。這被理解爲,在格斯爾世代之前,母系屬於天界,從格斯爾開始父系屬於天界的轉變過程中產生的矛盾。但是,盡管在這種矛盾下,可是明確的一點是格斯爾神話中,“母爲天、父爲地”,韓國神話中,“母爲地、父爲天”的現象。而這一差異同樣意味著,蒙古神話具有母系社會中心的古代社會屬性的特點,而韓國神話則更多地具有中世紀社會因素的特征。

      • 누르하치 신화와 주몽신화의 비교 연구 :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중심으로

        서단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legend is the legacy that our ancestors left to us. It includes customs and cultures of each country with national and regional features. At different period, what the legend of each country reflects is also different. The paper selects two literature as research materials: The legend of the first emperor of Qing dynasty of China and The legend of Jumong of Korea.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nations will be studi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se two roles. This paper includes four part: The first part is the introduction, which gives the research purpose and the methodology. The second part is the introduction of the two literature mentioned above. The events of the first emperor of Qing dynasty are organized in order and this heroic legend is interpreted and analyzed by the author. The second part makes a contrast between The legend of the first emperor of Qing dynasty and The legend of Jumong based on two sides. One is the comparison between “the tough hero” and “ the talented hero”. The other is the analysis on similarties of roles and materials bewteen The legend of the first emperor of Qing dynasty of China and The legend of Jumong of Korea. The four part is the conclusion. It summarizes the whole paper and discloses connections and interprets meanings of these two legends under two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The attachment is the first chapter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egend of the first emperor of Qing dynasty. It is the family background of this emperor and it is expected to let Korean readers have a basic understanding towards this literature. 神話是祖先留給後人的文化遺產,神話裏包含了各個國家的風土人情、民族性、地域性,而每個國家在不同的時間段裏的神話所體現的內容也有所不同。 本文選取了中國滿族關於努爾哈赤的書籍《清太祖傳說》和韓國的朱蒙神話,通過對英雄壹生的比較和分析,來深層的研究兩個民族之間文化差異。 本文由四個部分組成。 第壹部分為緒論,介紹了論文的研究目的和研究方法。 第二部分為努爾哈赤神話和朱蒙神話的結構和內容的分析。在對努爾哈赤神話按照英雄的壹生時間順序進行重新著整理之後,針對其英雄神話的特征進行了分析和解讀。 第三部分為努爾哈赤神話和朱蒙神話的對比分析部分。這壹部分裏通過兩大方面進行了分析。第壹大方面是通過克服難關型的英雄和天賦型英雄來進行分析。第二方面是通過努爾哈赤神話與韓國神話關於登場人物和素材裏體現的類似性進行分析. 第四部分為本文的結論。綜合介紹了整篇文章的內容並且對兩篇神話之間的聯系和意義進行了闡述。 附錄部分是《清太祖傳說》內容的韓文譯文,選取了第壹章關於努爾哈赤身世篇的故事進行了翻譯,方便韓國讀者對《清太祖傳說》的內容進行大致的了解和整體把握。

      • 대학생소비자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사용실태와 재무관리 행태

        윤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college students' credit cards and check cards usage and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age of credit cards and check cards. Also, this paper identified how were financial management attitudes and behavior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the type of card used; by using check cards only or by using both credit cards and check cards. The financial management attitudes and behaviors were categorized by four group each. The financial management attitudes' sub- categories were managing income and spending, credit and debt management, financial decision-making, saving and future planing and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s sub-categories were same with above three of financial management attitudes and additionally saving and investment.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a survey was done on 337 college students mostly living in seoul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windows 18 program. The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cards used, distinctly different usage patterns were observed. In other words, quantities of cards, quantities of mainly used cards, students' monthly expenses, average use of credit card, items purchased, and by who the credit card statement were influenced by types of cards used. second,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personal/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type of cards used demonstrated that as getting older and not living in a dormitory, as the student's monthly expenses get higher and if the student’s father has a professional job, the student is more likely to use both credit cards and check cards than using only check cards. Third, respondents admitted using check cards lead to planned spending and prevent unconscious spending. Fourth, this study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financial management attitude level was higher than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s level. To be detailed, saving and future planing attitude was lowest among 4 sub-categories of attitude and financial decision-making behavior was lowest score among 4 sub-categories of behavior. Fifth, regarding the influence on the degree of financial decision-making attitude, age, mother's professional job, and type of card used were found to exert significant effects.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indicated that social science major, engineering major, living in dormitory, type of cards used, financial management attitude total score were significant variable. 국내 가계부채가 2002년 이후 연평균 약 8% 증가하여 소비자 경제를 압박하고 있다. 정부는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치인 60%에 이른 전체 결제액대비 신용카드 결제비율을 그 원인 중 하나로 보고 ‘직불형 카드 활성화 정책’을 발표해 체크카드와 직불카드 사용을 권장하는 정책을 내놓았다. 체크카드는 PIN번호를 입력해야하는 직불카드에 비해 사용절차가 간단하며 신용카드가 제공하는 것과 유사한 부가서비스 제공하고 있어 급격한 성장세에 있다. 체크카드는 특별히 20대에게서 높은 호응을 받고 있다. 체크카드를 현금을 대신하는 간편한 수단으로써, 발급 장벽이 높은 신용카드를 대체하는 수단으로써 생활화하고 있으며 신용카드도 일부 대학생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카드사용 종류와 재무관리 행태에 대한 연구는 가계부채 해결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용카드별 사용실태를 알아보고, 인구통계학적, 재무적 특성에 따라 응답자가 체크카드를 단독 사용하는지,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를 병행 사용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대학생의 재무관리 태도와 행동을 측정하여 카드 사용생활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4년제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Ducan 사후검정,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카드별 보유 카드 수, 주로 사용하는 카드 수, 월평균 결제금액, 카드대금 결제원, 평균사용 카드 횟수, 결제품목, 카드사용패턴에서 모두 다른 양상을 보였다. 체크카드만 단일 이용하는 응답자는 신용/체크카드를 모두 이용하는 사람의 각각의 카드 보다 보유카드 수, 주로 사용하는 카드 수에서 더 많았으며 월평균 카드 결제금액도 높았다. 사용카드별 결제원은 카드종류에 따라 부모 의존도가 달려졌다. 월평균 카드 사용횟수는 신용카드 경우 월1∼5회나 거의 매일사용 사용되는 비율이 높아 사용횟수가 양분되는 현상을 보이고 체크카드 사용은 절반이상의 응답자가 거의 매일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결제 품목은 신용카드에 비해 체크카드는 의류 및 잡화, 교육비 등 금액이 큰 소비에 우선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대다수 간식·식사비 결제에 사용되었다. 둘째, 사용카드별 인구통계학적, 재무적 특성은 학년, 거주형태, 아버지직업, 대학생 월평균 지출금액에서 차이가 있었다. 학년이 높을수록, 기숙사에 살기보다 부모님과 동거하거나 자취 및 하숙할수록, 아버지의 직업이 전문직/관리직이거나 자영업일 경우, 대학생 월평균 지출금액이 높을 경우 체크카드만 단독 사용하기보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병행하여 사용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체크카드는 신용카드 보다 계획적 지출에 도움을 주며 덜 무의식적으로 사용을 하고 있었다. 이로써 신용카드는 대학생소비자의 현재 상품 구매력을 높이지만 과소비와 채무증가의 우려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성격을 이해시키고 합리적으로 구매가 가능하도록 카드사용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대학생의 재무관리 행동은 재무관리 태도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재무관리 태도 중 가장 취약한 부분은 재무관리 저축과 미래계획이며 재무관리 행동 중 가장 취약한 부분은 재무관리 의사결정이다. 저축과 미래계획 태도는 재무교육을 받은 경우 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으므로 재무교육을 통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재무관리 태도와 행동의 하위영역과 그의 총점 대해 회귀분석 결과 모든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재무관리 의사결정 태도는 학년, 어머니의 직업의 전문직/관리직 여부, 사용카드 종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저축과 미래계획 태도는 공학계열 전공, 재무교육 경험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수입 및 지출관리 행동의 유의한 변수는 학년, 공학계열 전공, 수입 및 지출관리 태도이며 재무관리 의사결정 행동의 유의한 변수는 사회계열 전공, 기숙사 거주, 재무관리 의사결정 태도이다. 재무관리 행동 총점수의 회귀분석 결과는 사회계열 전공, 공학계열 전공, 기숙사 거주, 사용카드 종류, 재무관리 태도 총점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 TV그린광고의 분석 및 소비자 태도에 관한 연구

        이루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According to the tendency in which the perception about the environmental concern and importance are increasing all over the world, the environmental policies and activities are actively conducting in Korea. As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consumers' environmental concern and importance are growing, green marketing has also grown. Among the green marketing methods, TV green ad strongly affects consumers. Due to this influence, Numerous attempts have been made by scholars to demonstrate studies on TV green ads. But fewer studies have attempted to construct studies on the analysis of TV green ads along with consumer’s attitudes of TV green a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ndency of recent televised green ads and to examine how to affect consum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bout the product and service through TV green ad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TV green ads were analysed from constituted method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into 318 consumers of all ages except for teenagers. The questionnaire survey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18.0. Basic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mean(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V green ads comprised 6.04% of all TV ads. The ratio of TV green ads is insignificant. But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e number of TV green ads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Second, Most of the consumers frequently doesn't encountered TV green ads. And 41.5% consumers perceived the expression level of TV green ads as the superficial expression level. Third, Comparing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with the consumer evaluation is as follows. 78.6% consumers evaluated a ‘public service ad' type as a proper type of TV green ads. But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showed that the most often used ad type was a ‘product ad'(53.8%)type. Showing that the most often used ad type was a ‘product ad' type,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consumer evaluation. 32.7% consumers evaluated a ‘public office/organization/public service/corporation PR ad'(36.9%)type as a proper type of TV green ads.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also showed that the most often used ad type was a ‘public office/organization/public service/corporation PR ad' type. Therefore the results about analysis of TV green ads and the consumer evaluation coincided. 31.1% consumers evaluated a ‘the whole environment matter' type as a proper type of TV green ads. But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showed that the most often used ad type was a ‘human health/happy life'(52.3%)type. Showing that the most often used ad type was a ‘human health/happy life' type,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consumer evaluation. 56.3% consumers evaluated a ‘corporate image' type as a frequent type of TV green ads. But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showed that the most often used ad type was a ‘product image promotion'(36.2%)type. Showing that the most often used ad type was a ‘product image promotion' type,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consumer evaluation. 54.4% consumers evaluated a ‘environmental fact emphasis' type as a proper type of TV green ads. But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showed that the most often used ad type was a ‘eco-friendly product emphasis'(26.9%)type. Showing that the most often used ad type was a ‘eco-friendly product emphasis' type,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consumer evaluation. 52.7% consumers evaluated a 'natural landscape/natural object' type as a proper type of TV green ads.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also showed that the most often used ad type was a 'natural landscape/natural object'(37.7%)type. Therefore the results about analysis of TV green ads and the consumer evaluation coincided. 51.3% consumers evaluated a ‘emotional appeal' type as a proper type of TV green ads.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also showed that the most often used ad type was a ‘emotional appeal'(49.2%)type. Therefore the results about analysis of TV green ads and the consumer evaluation coincided. 24.5% consumers evaluated a ‘headline/copy' type as a proper type of the green factor. But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showed that the most often used green factor’s type was a ‘visual+headline/copy'(59.2%)type. Showing that the most often used green factor’s type was a ‘visual+headline/copy' type, analysis results of TV green ad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consumer evaluation. Fourth, accor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there were 5 attitudinal factors about TV green ads. In general, over 50s consumers had positive attitudes about TV green ads rather than 20s consumers. Also female consumers had positive attitudes about TV green ads rather than male consumers. Married persons had positive attitudes about TV green ads rather than unmarried persons. Fifth, this examined how to affect consum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bout the product and service through TV green ads. The influence factors of consumer preference appeared an environmental concern variable and reliability, appropriateness, preference of 5 attitudinal factors about TV green ads. I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the influence factors appeared an age variable and a residential area variable. Also the influence factors of consumer purchase intention appeared an environmental concern variable and reliability, appropriateness, preference of 5 attitudinal factors about TV green ads. In this study, there were limitations that were an analysis of a single media, fragmentary analysis tool composition about TV green ads, lack of representativeness for residential area of survey respondents. But despite these limitations, it has significance that examined positive directions of TV green ads and consumer’s attitudes about TV green ads.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에서도 환경과 관련한 정책 및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녹색성장의 지속적인 확산의 중요성을 내걸고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활동을 하는 정부, 녹색경영을 필두로 친환경제품 개발, 에너지 절감 기술 확보 등과 같은 노력을 기울이는 기업, 그리고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을 위한 녹색소비 활동을 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정부와 기업 그리고 소비자의 환경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 인식의 확산에 따라 그린마케팅 활동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 소비자에게 소구될 수 있는 그린마케팅 수단 중 TV광고를 통한 홍보는 그 영향력 측면에서 강력하게 작용을 한다. 그린마케팅 활동의 수단으로써 TV그린광고는 그 효과로 인해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져 이미 다차원적인 접근 방법들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TV그린광고를 통한 소비자 태도에 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진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V그린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와 최근에 방영된 TV그린광고의 현황을 분석하고, TV그린광고를 통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조사 도구를 구성하여 TV그린광고를 분석하였으며, 소비자 태도에 대한 실증 연구를 위해 10대를 제외한 전 연령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Duncan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TV그린광고의 양적 특성을 살펴보면 전체 TV광고 중에서 그린광고가 차지하는 비율은 6.04%로 나타나 그 비율은 미비한 편이지만 기존 선행연구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TV그린광고의 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소비자들은 대체적으로 TV그린광고를 자주 접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V그린광고 표현방식의 수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41.5%가 피상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42.8%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여 대체적으로 TV그린광고의 표현방식이 심층적이기보다는 피상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최근에 방영된 TV그린광고에 대한 분석 결과와 소비자 평가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소비자의 78.6%는 TV그린광고의 유형으로 가장 적합한 광고 유형을 ‘공익광고’라고 하였다. 하지만 광고에 대한 분석 결과 ‘제품 광고’유형이 53.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소비자 평가와 차이를 보였다. TV그린광고의 제품유형카테고리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서는 32.7%가 ‘관공서/단체/공익/기업PR’유형을 1순위로 꼽았고 광고에 대한 분석 결과 역시 36.9%로 ‘관공서/단체/공익/기업PR’유형의 TV그린광고가 가장 많아 소비자 평가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TV그린광고의 핵심 주제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서는 31.1%가 ‘환경전체 문제’유형을 1순위로 꼽았지만 광고 분석 결과에서는 ‘인간의 건강/행복한 삶’을 주제로 한 광고가 52.3%로 가장 많아 소비자 평가와 차이를 보였다. TV그린광고를 실시하는 기업 목표에 대해 소비자의 56.3%가 ‘기업 이미지 고지’를 위해서라고 생각하였으나 광고 분석 결과 36.2%에 해당하는 광고들이 ‘제품 이미지 제고’를 광고 목표로 하여 소비자의 인식과 차이를 보였다. TV그린광고에 가장 적합한 주장 유형으로는 54.4%의 소비자가 ‘환경적 사실 강조’유형을 1순위로 꼽았지만 광고 분석 결과에서는 26.9%로 ‘친환경 제품 강조’를 하는 광고가 가장 많아 소비자 평가와 차이를 보였다. TV그린광고에 나타나는 비주얼의 주체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서는 57.2%의 ‘자연경관/자연물’유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꼽혔고 광고 분석 결과 역시 ‘자연경관/자연물’유형이 37.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 소비자 평가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TV그린광고의 가장 적합한 소구방법으로는 51.3%의 소비자가 ‘감성적’소구방법을 1순위로 꼽았고 광고 분석 결과 또한 ‘감성적’소구방법을 이용한 광고가 49.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소비자 평가와 일치하였다. TV그린광고의 그린적 요소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서 1순위는 ‘광고문구’로 24.5%를 차지하였고 광고 분석 결과에서는 ‘등장인물 및 배경+광고문구’유형이 59.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소비자 평가의 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넷째, 소비자특성에 따라 TV그린광고에 대한 5가지 차원의 태도요인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분석을 통해 대체적으로 50대 이상의 연령층이 TV그린광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20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태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이, 미혼보다는 기혼이 TV그린광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TV그린광고를 통한 제품 및 서비스의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환경에 대한 관심, 그리고 TV그린광고에 대한 5가지 차원의 태도요인들을 통해 알아보았다. TV그린광고를 통한 제품 및 서비스의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구매의도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수인 연령과 거주지 변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선호도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환경에 대한 관심 변수와 TV그린광고에 대한 태도요인들인 신뢰성, 당위성, 선호성에서는 소비자의 구매의도 뿐만 아니라 선호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정부와 기업의 효율적인 TV그린광고 기획을 위해서는 각각의 유형에 따른 소비자 평가를 참고하여 기존 광고와의 차이를 줄이고 소비자에게 긍정적으로 소구될 수 있는 TV그린광고의 방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비자에게는 TV그린광고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올바른 TV그린광고 수용을 통해 합리적인 녹색소비 활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매체에 대한 분석, TV그린광고에 대한 단편적인 조사도구 구성, 조사응답자의 거주지에 대한 대표성 결여와 같은 한계점이 나타났으나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소구될 수 있는 TV그린광고의 방향점 제시와 TV그린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 인식에 따른 소비자의 품질지각 연구 : 구매 후 부조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찬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내외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및 ESG(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가 심화하는 가운데, CSR 활동이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CSR 활동과 지각된 품질의 경로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며, 본 연구는 이를 구매 후 부조화 감소의 매개효과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극대자와 만족자 간의 경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극대화 성향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온라인 리서치 업체 ‘마크로밀엠브레인’에서 20-50대의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2021년 12월 6일부터 2021년 12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477부 중 44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CSR 활동 인식이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유의하였으나, 환경적 CSR 인식은 지각된 품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사회적 CSR 활동 인식은 구매 후 부조화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환경적 CSR 활동 인식은 구매 후 부조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구매 후 부조화는 지각된 품질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즉, 사회적 CSR을 인식한 소비자는 구매 후 부조화가 감소되고 품질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적 CSR을 인식한 소비자는 구매 후 부조화 감소를 경험하지 않으며 오히려 품질을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들이 기업의 환경적 노력을 당연시하고(심현숙, 2016), 기업이 환경적 책임 활동 수행에 있어 소비자의 기대수준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전지원, 2022)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인과경로효과 분해를 실시한 결과 사회적 CSR 활동 인식과 지각된 품질 사이에서 구매 후 부조화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극대화 성향에 따른 경로효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경적 CSR 활동 인식이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극대자 집단에서만 유의하였으며 만족자 집단에서는 이와 같은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극대자들이 구매 후 극대화 패러독스를 경험하여(Dar-nimrod et al., 2009; Ma & Roese, 2014) 선택한 제품의 품질을 더 낮게 지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SR 활동과 지각된 품질의 관계를 매개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구매 후 부조화 감소를 발견하고 그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CSR 연구 분야에서 생소한 극대화 성향이라는 개인차 변수를 활용하여 CSR 연구의 이론적 확장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한 실무적 제언으로, 소비자에게 CSR 활동이 통합적으로 인식되는 것을 고려하여 경제적·법적·윤리적·자선적 CSR 활동을 고르게 강화할 것이 요구된다. 사회적 CSR 활동을 강화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인식시킨다면 구매 후 부조화를 감소하고 지각된 품질을 높여 구매 결정 및 브랜드 충성도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Aaker, 1991; Zeithaml, 1988). 또한 환경적 CSR 활동 수행 시 기업이미지를 개선하고(서정태 외, 2022) 적합성, 진정성, 지속성 등의 조건을 만족한다면(Becker-Olsen et al., 2005; 이미영, 최현철, 2012; 구윤희, 심재철, 2017)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부정 영향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CSR 활동 내용 홍보 시 극대화 성향과 같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CSR 활동의 효과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참고해야 할 것이다. With the substantial increase in consumers’ expecta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ESG(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activities, recent studies have consistently reported the positive impact of CSR activities on perceived quality. In this study, the reduction of postpurchase dissonance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is suggest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which has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between consumers’ perception of CSR activities and perceived quality. Hence, this study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conducted multigroup analysis to confirm such influence and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routes for maximizers and satisficers. Findings showed that, first, social CSR activities significantly affected postpurchase dissonance and perceived quality as expected. However, environmental CSR activities did not influence postpurchase dissonance and negatively affected perceived quality. Meanwhile, postpurchase dissonance was observed to negatively influence perceived qualit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higher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social CSR activities, the lower their postpurchase dissonance and the higher their perceived quality. However, the higher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CSR, the lower their perceived quality, with no reduction in postpurchase dissonance. This is because consumers take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or granted and believe it is insufficient to satisfy their expectations.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onal effect of postpurchase dissonance between social CSR activities and perceived quality through the causal decomposition of the final structure model.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which introduced the maximizing tendency variable; this study detected the negative impact of environmental CSR activities on perceived quality only from the path of the maximizer group as opposed to the path of the satisficer group. This could mean that maximizers experienced ‘the maximization paradox’ after purchase, which led to their low perception of product/service quality.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and demonstrate the mediational effects of reducing postpurchase dissonance between consumers’ perception of CSR activities and perceived quality. In addition, this research was an attempt at a theoretical expansion of CSR research through the use of the maximizing tendency variable. Through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some implications for marketing managers and further research.

      •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 선호 연구 : 주거 인식과 은퇴준비 충분성을 중심으로

        김가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ousing preferences of the 2nd generation baby boomers, 2nd baby boomers (aged between 38 and 45) hereafter, in Korea after retirement. First, analysis methods suggest that 2nd baby boomers are highly relevant discussion topics, showing why this study is of importanc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housing preferences of the 2nd baby boomers in their post-retirement years and other variables are presented, with the clarifications made based on survey results. Lastly, the study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preferences on where 2nd baby boomers will live depending on how well-prepared they are for retirement. The following factors are also taken into account, including residential perception, retirement readiness, and variables that affect housing preferences. This particular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focuses on text mining and network analysis while the other uses real data analysis. That is, keywords and trends in the Korean society were looked at in detail, utilizing press releases of the 2nd baby boomers through the text network analysis. As for the real data analysis, this method was applied to explore housing preferences of the 2nd baby boomers who stop working. The fin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d foremost, housing preferences of 2nd baby boomers were a relevant social issue within Korea after the text network analysis, as exhibited in 639 articles released by 14 media outlets from 2017 and 2018. More specifically, keywords such as housing, retirement, or real estate have been frequently mentioned in the articles. In fact, retirement is a topic of interest to many in Korea, as highlighted from the attention given in residential areas as well as real estates. Other additional keywords (old age, housing preferences, etc.) imply how several issues revolve around where one lives after retirement. Meanwhile, data analysis found that 71.4% of 2nd baby boomers currently live in apartments. For the type of occupancy, 68.9% had their own homes. At least 60% lived in 25~32 floor space(approx. 82.6~105.8m2) and 33~40 floor space (109~132.2m2) residential areas. In their post-retirement life, 51.2% resided in single-family homes, up from 10.1% before the 2nd baby boomers retired. They preferred to stay in 19~24 floor space(62.8~79.3m2) or 25~33 floor space(82.6~105.8m2) residential areas. 90% of them wanted their own homes, possibly because one can feel a sense of ownership and have a peace of mind. Second, home size and capital amount varied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housing preferences according to current residence of the 2nd baby boomers. Home size seemed to be determined by one’s investment tendencies and whether one has a boastful personality. Most preferred to live in residential areas less than 33~40 pyeong. Depending on the amount of capital, differences were shown in location convenience, home safety, investment tendency, and boastful personality. Many had at least 110 million won saved up. Third, when considering housing preferences after retirement of the 2nd baby boomers in light of current residence,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results. If one prioritized location convenience, living in apartments was at the top of the list whereas 2nd baby boomers who had boastful tendencies preferred to live in single-family homes. Given a choice, they wanted to live in mixed-use buildings or officetels (small apartment units in multi-purpose buildings). In other words, 2nd baby boomers caring for cultural space and location convenience favored apartments, while others who would rather show off their wealth wanted to stay in single-family homes. In regards to home size, practical and frugal 2nd baby boomers prefer to live in residential areas less than 19~24 floor space. On the other hand, those who focus more on investment potential, showing off their wealth, or have a certain type of residence they want to stay, less than 41 floor space residential areas was their choice. The former group tends to favor 19~24 floor space apartments due to lower maintenance expenses. Fourth, differences have been found in the type of residence, size of homes, and capital amount when looking at retirement readiness depending on where 2nd baby boomers now live. It was clear that more assets allow one to better prepare for retirement. In post-retirement years, those who prefer 33~40 floor space residential area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retirement readiness scores. Fifth, the Bayesian network analysis demonstrated the connection between various variables based on residential perception. Excluding retirement readiness, both internal and external residential perceptions established a categorical connection with all other variable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se two residential perceptions may be still linked with retirement readiness. Internal and external residential perception were in a cause-effect relationship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seven elements related to housing preferences. Last but not least, with the Bayesian network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residential perception of the 2nd baby boomers influence their retirement readiness and housing preferences. More specifically,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ediation effect explain that a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exists between external residential perception and location convenience, investment potential, boastful personality, along with type of residence. When 2nd baby boomers with an external residential mindset enter retirement, they usually preferred to live in convenient, lucrative areas. Showing off their social status was another reason for such preference. In contrast,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an internal residential mindset and home security, economical aspects, and environmentally-friendly living spaces. Those with an internal mindset want to live in areas that they can handle financially and prefer living spaces that do not pose a threat to the environment. Therefore, depending on what residential perception that 2nd baby boomers have, this affected where they lived in their post-retirement years. A nega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retirement readiness and frugality, whereas a positive one is shown in location convenience and boastful personality. 2nd baby boomers highly opt for residential areas that are convenient, familiar to many people in Korea, and equipped with the latest technologies (smart homes). Conversely, practical and frugal baby boomers preferred places that fit into their budgets. Yet if they felt ready for retirement, they started to focus less on financial aspects. Additionally, the extent of influence on how internal residential perception (independent variable) was made on housing preferences (dependent variable) was examined, taking into account retirement readiness. Thus, a mediation effect was partially observed in factors regarding the frugality and boastful personality of the 2nd baby boomers. Traditional research on the retirement of the 2nd baby boomers mainly concentrated on residential mobility, type of occupancy or residenc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puts more attention on internal and external residential perceptions, and how such mindset affects housing preferences after retirement. An overall trend about the 2nd baby boomers is outlined through such analysis, which highlighted varied outcomes. Meanwhile, from a policymaker perspective, more research is conducted on the 1st generation baby boomers who have already started to retire. Preparing for retirement is no easy feat, requiring time and effort. This particular study selected 2nd baby boomers as a topic to analyze their retirement readiness and housing preferences. Since there is still some time remaining for the 2nd baby boomers until their retire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ovide building blocks for policymakers, who play a role in helping 2nd baby boomers for their retirement. 본 연구는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 선호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차 베이비부머 세대는 1968년부터 1974년까지 총 7년간 태어난 세대를 뜻한다. 먼저,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주거와 관련된 내용이 실제로 우리 사회 내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가를 텍스트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소비자 조사를 바탕으로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와 관련된 영향변수와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즉, 주거 인식, 은퇴준비 충분성, 주거 선호 변수를 토대로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와 관련된 변수들의 영향 관계 및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및 네트워크텍스트 분석과 소비자 실증분석의 두 부분으로 분류된다. 먼저,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 관련 기사 및 언론 보도자료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및 네트워크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논의되는 키워드와 이슈를 살펴보았다. 이후 소비자 조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2017년부터 2년간 14개 언론사에서 보도하였던 639개의 언론자료들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및 네트워크텍스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가 우리 사회에서 주요하게 논의되는 이슈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주거, 은퇴, 부동산이 빈번하게 언급되는 키워드이며, 은퇴와 관련하여 주거 및 부동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주거의 물리적인 측면 및 부동산에 대한 이슈와 더불어 노후, 주거 선호 등의 키워드를 통해서 은퇴 후 주거와 관련하여 다양한 이슈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소비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현재 주거 특성은 아파트(71.4%)가 가장 많았으며, 점유형태의 경우 자가(68.9%)가 가장 많았다. 주거 규모의 경우 25~32평 이하, 33~40평 이하가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은퇴 후 주거특성을 살펴보면, 현재 주거 유형에서는 단독주택이 10.1% 차지한 것에 비해 은퇴 후에는 단독주택 거주가 51.2%로 과반수가 넘었다. 주거 규모의 경우에는 19~24평과 25~33평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점유형태의 경우 90%가 넘게 자가의 형태를 원했다. 둘째, 현재 주거특성에 따른 주거선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주택규모와 자산규모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주택규모의 경우 투자성과 과시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두 33~40평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산규모의 경우 접근성, 안전성, 투자성, 과시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두 11억이 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은퇴 후 주거특성에 따른 주거선호의 차이 검증 결과, 지역, 주택유형, 주택규모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접근성, 과시성, 시설 모두 현재 거주지 주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2차 베이비부머 세대들은 은퇴 후에도 자신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 근처에서 살고 싶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주택 유형에서 접근성의 경우 아파트를 제일 선호하였으며, 과시성의 성향을 가진 2차 베이비부머들은 단독주택, 시설의 경우 주상복합 및 오피스텔을 가장 선호하였다. 주택 규모와 관련해서는 경제적 실용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19~24평 이하 평수를 가장 선호하였고, 투자성, 과시성, 시설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41평 이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실용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은 은퇴 후에 33~40평 이하, 41평 이하 규모의 주거보다는 소형 평수인 19~24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재 주거특성에 대한 은퇴준비 충분성 변수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주택유형, 주택규모, 자산규모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주택유형은 다가구 및 연립 집단에 비하여 아파트의 평균값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자의 71%가 아파트에 현재 거주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주택규모의 경우 18평 이하 집단, 19~24평 이하 집단, 그리고 25~32평 이하 집단에 비해 33~40평 이하 집단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자산규모의 경우, 1억 이하 집단보다 4~5억 이하 및 2~3억 이하 집단의 평균이 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컸으며, 이보다 11억 이상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은퇴 후 주거특성에 따른 은퇴준비 충분성의 차이 검증 결과, 주택 규모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3~40평 이하의 주택규모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은퇴준비 충분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거인식을 기준으로 변수들 사이의 연결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베이지안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적 주거인식과 외적 주거인식은 은퇴준비 충분성을 제외하고 모든 변수와 분류적 연결을 가지고 있다. 은퇴준비 충분성과는 연계적 연결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 연결을 살펴본 결과, 내적/외적 주거인식과 종속변수인 주거선호의 7개 모든 차원이 원인과 결과의 형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로, 베이지안 네트워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인식을 기준으로 은퇴준비 충분성, 주거선호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회귀분석과 매개효과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외적 주거인식의 경우 접근성, 투자성, 과시성, 시설에 정적(+)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미치고 있었다. 주거에 대한 사회 경제적인 외부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인식하는 2차 베이비부머들은 은퇴 후 주거와 관련하여 접근성이 높고 투자 가치가 있으며 자신의 사회적 지위가 나타나는 곳을 선호하였다. 반면, 주거에 대해서 삶의 본질적인 의미인 내부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인식하는 2차 베이비부머들의 경우 안정성, 경제적 실용성, 환경친화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내적 주거인식이 강하게 나타나는 2차 베이비부머는 주거가 안전한 곳에 있는지, 경제적으로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곳인지, 환경 친화적인지에 대해서 선호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주거에 대해서 어떤 방식으로 인식하는 지에 따라서 은퇴 후 주거선호의 양상이 상이하게 다름을 알 수 있다. 일곱째로, 은퇴준비 충분성은 경제적 실용성에 부적(-)영향 미치고 있으며 접근성, 과시성, 시설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은퇴준비에 대해서 충분히 준비하고 있는 2차 베이비부머들은 은퇴 후 주거를 선택할 때, 접근성이 좋으며 주거 자체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으며 첨단 시설(스마트 홈)를 선호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경제적 실용성의 경우 주거 규모 단지가 크고 자신의 경제적 규모에 알맞은 주거를 선호하였다. 이로써 은퇴준비가 충분히 이루어졌을 경우에, 경제적 실용성에 대한 선호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독립변수인 내적 주거인식이 종속변수인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은퇴 준비성 변수가 어떻게 매개역할을 할 것인가를 검증한 결과, 경제적 실용성과 과시성 변수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존재한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선호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비한 가운데, 은퇴 기간이 최대 10년이 남은 2차 베이비부머의 세대를 위한 주거 정책 및 사회적 준비 작업의 기초가 되는 은퇴 후 주거 선호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하였음은 물론, 은퇴 후의 주거인식과 은퇴준비 충분성이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관련분야의 학문적 지평을 넓혔다는데 것에 가장 큰 의의가 있다. 실제로, 은퇴 후 주거선호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주요 변수들은 주거 이동 여부, 점유 형태, 주택 유형과 같은 주거 특성을 중심적으로 연구가 진행된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인식을 내적과 외적으로 구분하고 은퇴준비 충분성을 중심으로 은퇴 후 주거선호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내적 주거인식과 외적 주거인식이 은퇴 후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이한 결과를 통해서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후 주거에 대한 패러다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데이터마이닝 텍스트 언어 분석과정을 거쳐 이슈를 도출하고 해당 내용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연구의 당위성을 입증하고자 하였지만, 비교적 제한된 샘플로 통계분석을 실시한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라는 점에서 일반화의 한계점과 함께 후속연구로 2차 베이비부머세대의 주거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