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순도의 창작 합창 음악극 <봉오동·청산리, 최후의 결전> 분석 연구

        이지원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thesis is an analytical study on <Final Battle>, a creative choral music play composed by composer Sundo Chung in 2022. This work, premiered in 2022 at the Daejeon Arts Center by the Daejeon Youth Municipal Choir, is a battle in Bongo-dong, Manchuria in 1920 in which the Independence Army unit defeated the Japanese regular army, and in October of the same year Jwajin Kim and jungSo Na A battle in which the Japanese army was defeated in the area of Cheongsan-ri by the independence army units, which mainly consisted of the Bukrogunjeongseogun led by Beomseok Lee and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led by Beomdo Hong. The script was composed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that Here, director Sangho Yoon and playwright Nanyoung Lee focus on the sacrifice of the common people in the aftermath of war, dramatize it, and express it in a dramatic way. In response, Sundo Chung composed 5 solo pieces, 3 ensemble pieces, 11 choral pieces, and 2 orchestral pieces, and unlike the so-called existing creative music plays made of classical music that were criticized for being heavy and difficult to appreciate, a simple yet repetitive form, participate in directing using various melodies without sticking to or sticking to a few melodies. His various attempts found in this work, such as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audience through the use of light motif expression and music painting technique, and using the actual sound as electronic sound where a device that is acoustically more than the sound of an orchestra instrument is needed, are It transcends the limits of its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ly draws out sympathy with the audience. In addition, based on his direct experience in the military, Sundo Chung used brush point rhythm as the main expression in war scenes, frequently used modes, and used German 6th chord as a characteristic chord, so that music where the main emotional line was uplift and rise ended with more splendid tension. lead to Based on this, we can see how popular-friendly he is through the delicate style of composer Sundo Chung, who focused on the content of the script and took care of the audience so that the music and the script flow together. As a result of Sundo Chung's work as above, it can be confirmed that he effectively inspired ethnicity in the youth through music in a survey conducted on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is work. He has already been working on works based on tradition in the hope of instilling national pride in Korea to many people. Accordingly, this researcher organized a list of works in which Jeong Soon-do participated in composing based on modern Korean history and his beliefs and beliefs about history. By examining his progress from a musical aesthetic point of view, the process of the composer's traditional form and sensibility reaching modern youth was summarized. This thesis begins with an analysis that combines the temporal, spatial, and literary arrangements felt in <Final Battle> and the interpretation of various musical languages that composer Sundo Chung is attempting, and organizes his musical diction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and examine how the results of the creative works that have been carried out centering on tradition have come ou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Korean composers will know about their roots and feel proud of it, and that it will be a resource that can help them in attempting various creative activities in a wider place. 본 논문은 작곡가 정순도가 2022년에 작곡한 창작 합창 음악극 <봉오동·청산리, 최후의 결전>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대전 청소년 시립합창단에 의해 대전예술의전당에서 2022년 초연된 이 작품은 1920년 만주 봉오동에서 독립군부대와 일본군과 벌인 전투와 같은 해 10월 김좌진(金佐鎭)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과 홍범도(洪範圖)가 이끄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등을 주력으로 한 독립군부대가 일본군을 청산리 일대에서 대파한 전투라는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대본이 구성되었다. 여기에 연출가 윤상호와 극작가 이난영은 전쟁 이면 민초들의 희생에 대해 집중하여 각색하고 극적(dramatic)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에 정순도는 5곡의 독창곡과 3곡의 중창 및 11곡의 합창 그리고 2곡의 오케스트라 연주곡을 작곡하고 소위 기존의 무겁고 감상이 어렵다는 평의 클래식한 음악으로 만들어진 창작 음악극들과 달리 단순하면서도 반복적인 형식, 몇 개의 선율에만 집착하거나 경도되지 않고 다양한 선율을 사용하여 연출에 참여한다. 라이트 모티브적 표현과 뮤직페인팅 기법 사용을 통해 관객들의 집중도를 높이고 음향적으로 오케스트라악기의 소리 이상의 장치가 필요한 곳에 실제 소리를 전자음향으로 사용하는 등 이 작품에서 발견한 그의 다양한 시도는 역사극의 특성적 한계를 넘어 관객들과의 교감을 효과적으로 끌어 내고 있다. 또한 정순도는 군대에서의 직접경험을 바탕으로 전쟁장면에서 붓점 리듬을 주된 표현으로 사용하고 선법의 잦은 사용, 독일6화음을 특징화음으로 사용함으로써 고조와 상승이 주된 감정선인 음악들을 더욱 화려한 긴장의 종식으로 끌어낸다. 이를 토대로 대본의 내용에 집중하여 음악과 대본이 함께 흘러가도록 관객을 배려한 작곡가 정순도의 섬세한 작풍을 통해 그가 얼마나 대중 친화적인 작풍을 구사하는지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정순도의 작업의 또 다른 결과로 이 작품에 참여했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을 통해 청소년들이 합창을 통해 더욱 친근하고 효과적으로 한국 근대사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공감하였으며 민족성에 대해 깨달음을 얻었다는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 정순도는 이 작품 이외에도 한국의 민족적 자긍심을 많은 이들에게 불어넣어 주고 싶다는 염원으로 전통성을 기반으로 한 작품들을 작업해 왔고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 근대사를 소재로 정순도가 작곡에 참여한 작품목록들을 정리하고 그의 역사에 대한 신념과 행보를 음악 미학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작곡가의 전통적인 형태와 감성의 결과가 현대의 청소년들에게까지 미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본 논문은 <봉오동·청산리, 최후의 결전>에서 느껴지는 시간적, 공간적, 문학적 정리와 작곡가 정순도의 음악적 어법과 특징들을 분석, 정리하여 전통성을 중심에 두고 진행해온 창작 작품 행보의 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작곡가들이 자신의 근간에 대해 알고 자긍심을 느끼며 보다 넓은 곳에서 다양한 창작활동의 시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해 본다.

      • 키스 쟈렛(Keith Jarrett)의 임프로비제이션(Improvisation) 분석을 통해 본 현대 재즈 위상에 대한 고찰

        전윤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키스 쟈렛이라는 재즈 아티스트의 음악세계 및 임프로비제이션이라 알려져 있는 즉흥연주 곡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대 재즈가 지니는 위상과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작업이다. 100여 년 전 미국에서 태동한 재즈는 그동안 상업적, 대중적 측면에서 의미를 가지는 음악장르의 하나로 성장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정의나 위상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가장 큰 이유는 상대적으로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음악 장르와 교류해 오면서 형식적 측면에서 너무나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져온 것에 기인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여전히 음악활동을 하고 있는 키스 쟈렛이라는 음악인이 겪어온 재즈계의 흐름과 그의 작품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현재까지도 대중적으로나 예술적으로 여전히 일정한 위상을 지니고 있는 현대 재즈의 특성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의 음악적 변천사를 검토하였으며, 가장 큰 특징으로서 그의 즉흥연주 스타일과 공간적 확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키스 쟈렛으로 대표되는 지난 반세기간의 재즈는 현실을 표현해 내고자 하는 뮤지션으로서의 예술적 욕망을 보다 자유롭고 다양한 형식으로 분출하고자 하는 재즈 뮤지션들의 노력이 집적되어 온 것이며, 이러한 다양한 실험적 정신과 실천들은 여전히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단순히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를 뛰어 넘어, 시장과 재즈 뮤지션들의 세계화가 가속화되면서 현대 재즈는 더욱 다양성과 예술적 가치를 심화시키고 있다. Jazz which was originated in the United States almost 100 years ago, has grown and expanded in terms of commercial and popular aspects. There is, however, a great diversity of opinion how you define its status. The main reason could be that it has developed and experienced too much wide spectrum as far as its musical forms are concerned, while it has interacted with other genre of music despite relatively short history.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features of modern, so called contemporary jazz by investigating the musical perspectives of Keith Jarrett, an eminent figure of jazz who still leads this genre with great popularity. Changes and transition of his musical world are reviewed and, his improvisation style and spatial expandability of his musical practice are particularly examined. This study argues that contemporary jazz has been formed by accumulating every efforts of jazz musicians such as Keith Jarrett, who have endeavored to express their artistic impulse in a more free and honest way as musicians. Which experimental spirits and practices are still progressing. In addition, besides its formal transition, contemporary jazz has been evolving toward a new stage through geographical globalization of musical performers as well as its market.

      • 에듀테인먼트 분석을 통한 애니메이션 음악에 관한 연구 : <꼬마버스 타요>의 음악분석을 중심으로

        김한나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에듀테인먼트 분석을 통한 애니메이션 음악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은 교통안전과 대중교통이용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기 위해서 제작 된 애니메이션 [꼬마버스 타요]의 음악분석을 중심으로 에듀테인먼트 분석을 통한 애니메이션 음악에 관하여 분석 및 연구한 논문이다. 미디어산업이 발전하고 국내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이 성공함에 따라 새로운 장르의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에 입혀지는 음악의 역할도 중요하게 되었는데, 영상에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는 무엇인지, 음악을 통하여 시청자들에게 어떤 교육적인 효과를 주는지 본 논문에서 연구 할 것이다. [꼬마버스 타요]는 캐릭터들의 다양한 모습과 음악이 함께 쓰이면서 감정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있는데 주인공이 나올 때 마다 등장하는 메인테마와 테마의 반복과 변형, 미키마우징 기법등의 다양한 표현기법은 매회 다른 주제를 가지고 있는 에듀테인먼트 애니메이션의 효과를 다양한 음악적인 활용으로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This research explores and analyses animation music through edutainment analysis specifically the [Tayo the Little Bus]. [Tayo the Little Bus] was produced to help people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raffic safety and public transportation. As media industry developed and domestic animation succeeded, the role of music in edutainment of new genre has been highly appreciated. Musical factors in the film and the way how music provides educational influence to audience will be discussed in this article. [Tayo the Little Bus] maximizes emotional impact by utilizing different images of characters and music, and expressive techniques like repetition and modification of main character’s main theme. Moreover, the mickey mousing technique effectively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edutainment animations, in which every episode had different theme and utilized various kinds of music.

      • 뮤지컬에서 아이 엠 송의 역할과 효과에 관한 연구 : 뮤지컬 캣츠를 중심으로

        김지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뮤지컬에서 아이 엠 송이 어떠한 음악적 어법을 활용하여 표현되며 그 역할과 효과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뮤지컬에서의 아이 엠 송은 캐릭터를 표현하는 노래로 캐릭터의 이름, 성격, 특징 등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캐릭터는 스토리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때로는 새로운 상품으로 재탄생되기도 한다. 캐릭터 중심의 뮤지컬의 대표작인 뮤지컬<캣츠>는 총 11개의 캐릭터를 아이 엠 송을 통하여 표현하였다. 각각의 캐릭터는 아줌마, 반항아, 창녀, 부자, 사고뭉치, 해적, 악당, 마술사 등 다양한 특징을 갖고 있다. 뮤지컬<캣츠>의 아이 엠 송을 주요 테마별로 특징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관객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중요한 부분들은 오스티나토, 즉 반복함으로써 강조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아이 원트 송과 비교하였을 때 함축적인 가사보다는 설명적인 가사가 대부분이었다. 가장 주목할 점은 하나의 캐릭터를 표현하기 위하여 모드, 장르, 조성, 박자, 템포, 리듬 등 다양한 음악적 어법을 활용하였다는 것이었다. 가사와 함께 특징에 맞는 음악적인 표현은 보다 효과적으로 캐릭터를 파악할 수 있게 만들었다. 콘텐츠는 점점 스토리 중심에서 캐릭터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다. 하지만 뮤지컬의 캐릭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한국에서는 아이 엠 송에 대한 개념정리조차 부분적으로 되어있을 뿐이다. 본 논문에서는 뮤지컬에서 아이 엠 송이 어떻게 캐릭터를 표현하는가에 중심을 맞춰 분석하였지만 본 연구를 시작으로 스토리와 연관 지어 아이 엠 송의 위치와 구성에 대하여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which methods of musical expression are used by the "I am" song in the musical "Cats", how they work in the musical, and how effective they are. In the musical, the purpose of the "I am" song, as a song introducing characters, is to deliver effectively the characters' information such as names, personalities and other features. Each character plays a significant role that leads the story and often could be recreated as a new product. The musical "Cats" which is a representative work among the character-oriented musicals introduces 11 characters through the "I am" song. Each character is very different: the middle aged woman, the rebel, the prostitute, the rich man, the troublemaker, the pirate, the villain, the musician, and so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 am" song by main themes shows that the crucial parts that must be delivered to the audience are emphasized with 'Ostinato' which means repetitiveness. Compared to the "I want" song, there are more expository lyrics rather than connotative lyrics. It is most remarkable that various musical elements, such as mode, genre, key, rhythm and tempo, have been utilized in order to express each character. The distinctive musical expression with lyrics lets audience grasp the characters' features better. Contents have been gradually shifted from story-oriented to character-oriented. However, the research about the characters in the musical has rarely if ever been attempted. In Korea, even the concept of the "I am" song has not been studied well. Although the poin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I am" song introduces each character, I expect there will be continuous effort to analyze and study the "I am" song's position and structure as well.

      • 라이브 어쿠스틱 뮤직의 디지털로의 에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 글렌 굴드의 바흐 골드베르그 변주곡 디지털 데이터를 바탕으로

        장민호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요한 세바스챤 바흐는 단 한 곡의 피아노곡도 쓰지 않았다. 그의 모든 건반을 위한 곡은 하프시코드와 오르간을 위한 곡이었다. 특별히 바흐의 건반 음악 중에 최고의 걸작 중 하나로 꼽히는 골드베르그 변주곡의 경우 하프시코드로 연주되어질 때 가장 잘 표현된다. 또한 최근의 학계의 연구 중에서 밝혀지고 있는 바흐의 조율법은 옥타브를 12등분 하는 균등 조율법이 아니라 불균등 조율법이다. 실제 현악기 연주자이기도 했던 바흐는 F#음과 Gb음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고 자신만의 방법으로 조율 했다. 현대 조성음악의 조옮김의 자유로움을 위해 옥타브 이외의 완전한 울림을 포기하고 심지어 각조의 개성을 포기한 균등 방식의 조율법은 바흐의 음악에 어울리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혁신적인 멜로다인 알고리듬을 기반으로 바흐의 골드베르그 변주곡을 가장 잘 해석하고 연주한 글렌 굴드의 음반에서 고해상도의 미디 값을 추출하고 이것을 데이터화하여 바흐 시대의 하프시코드의 샘플링과 피지컬 모델링 악기를 통해 재현했고 미디파일을 읽을 수 있는 솔리노이드 기반의 자동피아노나 자동하프시코드로의 에뮬레이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또한 공간감의 재현을 위해 컨볼루션 리버브의 사용을 제시하였다. 끝으로는 멜로다인 DNA와 ARA에 알고리듬 기반으로 폴리포닉 데이터 추출이 자유로워 질 경우 이에 대한 긍적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에 대해 언급하였다.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had never written piano music. His keyboard music is all about harpsichord and organ. and Goldberg variation, one of his best keyboard music is displayed best through ha-rpsichord. And recent research proves that Johann Sebastian Bach never used equal temprament. Because Johann Sebastian Bach was also string playe-r, he knew that F# and Gb is not same note. So he tuned his own instrument with unequal temperament in his unique way. Today we use equal temprament for the benefit of modulation in t-onal music sacraficing tone color and harmony between intervals. but every tone color and character of every key is expressed well in unequal temprament. In this paper I extracted the high resolution midi file from the Glenn Gould’s 1981 recording of goldberg variations using revolutionary melodyne algorithm and emulated it with the harpsichord sampling instrument and physical modelling instrument. And I proposed another possible emulation method, such as solinoid based player piano and player harpsichord. And I used the convolution reverb to emulate the spacial ambiance. At the end I mentioned about the positive effects and side effects of polyphonic pitch recognition method.

      • 영화음악이 관객의 감정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 로빈슨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혜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영화음악이 영화 관람에 있어 관객이 영화를 보고 감정적으로 몰입하는 것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에 앞서 J. 로빈슨의 이론을 소개하고, 로빈슨의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음악이 관객의 감정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J. 로빈슨의 이론은 감정은 반드시 어떠한 종류의 판단을 포함한다는 기존 인지론자들의 판단 이론과는 다르게 의식적으로 판단하지 않는 감정적 상태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J. 로빈슨은 감정 반응은 평가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지만, 감정 반응에 관여되는 평가가 판단 이론에서 주장하듯 반드시 의미론적 내용을 갖는, 지향적이고 의식적인 판단들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고 주장한다. 정혜윤, 「음악의 정서적 경험 : 라빈슨의 이론에 관한 고찰」: 한국미학회지, 2007, p.280. 또한, 음악의 감정 표현의 주체를 음악적 페르소나(Persona)로 설명하고, 페르소나를 통해 인지적 평가가 없어도 복잡 미묘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고 주장한다. J. 로빈슨의 주장대로 음악과 감정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음악은 추상적인 소리의 특수한 결합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행위이며,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언어의 기능을 한다. 한상준 저, 『영화음악의 이해』 : 한나래, 2000, p. 113. 이는 영상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의 흐름을 음악을 통해 표현할 수 있고, 관객이 음악을 통해 영화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기존의 발표된 논문을 보면 영화음악의 감상 지도의 분석이나, 영화음악기법, 그리고 영화음악을 비교 분석하는 논문들은 많았으나 영화음악이 감정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논문이 영상음악에 관심이 있거나 또는 영상음악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많은 음악인들의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하며 영상음악의 활용을 발전시킬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effects of film music on the emotional immersion of film audiences. Prior to the study, J. Robinson’s theory is introduced. The study of the effects of film music on the emotional immersion of audiences was conducted based on Robinson’s theory. Unlike the ‘Judgement theory’ of the cognitive theorists, which claims that every emotion must include some form of decision, J. Robinson’s theory asserts that there exists an emotional state where a decision on the conscious level does not take place. J Robinson states that although appraisal is compulsory for emotional reaction, the appraisal involved in the emotional reactio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sisted of oriented and conscious decisions that include semantic contents as argued in the judgement theory. In addition, the main agents of emotional expressions are explained as musical Persona, and he further claims that one may feel indefinable sensations even with the absence of cognitive appraisal through this musical Persona. As J. Robinson has asserted, there exists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emotion. In addition, music is a communication behavior that is formed by a special combination between abstract sounds, and functions as a language in a structuralism viewpoint. This indicates that the flow of the emotions that are meant to be expressed in an image may be expressed through music, and moreover, music may assist the audience to understand the messages the film hopes to convey. Many existing researches have shown the analysis of appreciation teaching of film music, film music technique, or comparison analysis of film music. However, a research focusing on the effects of film music on emotional immersion is yet to be published. Therefore, I hope that this research could be of help to many musicians who take interest in film music or who are engaged in the film music industry. Furthermore, I look forward to this research becoming a reference that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pplications of film music.

      • 류이치 사카모토의 <Sonatine> 분석 : 라벨의 <Sonatine>와 비교분석

        이보경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about <Sonatine> that it is effect on Impression Music from among 'BTTB' album's pieces of Ryuichi Sakamoto. Also, This thesis is about comparative analysis it and Ravel's <Sonatine> 1 movement. First, This paper tries to examine Impression, biography and works of Ravel and Sakamoto. And then this try to search 'BTTB' album including <Sonatine>. I try to analyze form, harmony, melody, rhythm. Finally I come to a conclusion that Ravel's <Sonatine> and Sakamoto's <Sonatine> are sonata form and use parallel fifth, parallel octave, chords by triads, dissonance chords by seconds. Also It appear bitonality, chromatic scale, whole tone scale, and syncopation. And it is not appear leading-tone and tonality. Sakamoto's development uses imitation. And Ravel's development uses rhythm's metamorphosis. Sakamoto's <Sonatine> have similar form, theme's progression, rhythm and so on with Ravel's <Sonatine>. And it has Impression Music's mood by Impression Music's methods partially. But he mostly uses major triad and minor triad. It shows his simple and clear individuality like his another pieces. He creates original <Sonatine> by style of one's own. I expect that more research about Ryuichi Sakamoto's pieces does need to be redone in come way and composer think about actual application and construction of music grammar concerning different period and different genre through this paper. 본 논문은 류이치 사카모토의 ‘BTTB' 앨범에 수록된 곡 중 인상주의 음악에 영향을 받은 <Sonatine> 분석에 대한 내용으로 인상주의 음악가 모리스 라벨의 <Sonatine> 1악장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먼저 인상주의 음악에 대해 알아보고 라벨의 생애와 작품, 그리고 류이치 사카모토의 생애와 작품에 대해 알아본 후 <Sonatine>가 수록된 ‘BTTB' 앨범을 살펴본다. 류이치 사카모토의 <Sonatine>와 라벨의 <Sonatine>의 형식, 화성, 선율, 리듬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소나타 형식이며 병행5도와 병행8도의 사용, 7화음, 9화음, 11화음, 13화음의 사용, 2도 불협화음을 사용하고 있고 복조성을 띄거나 이끎음(Leading-Tone)이 나타나지 않는 등 기능화성적인 진행을 하지 않아 조성의 느낌이 모호하다. 반음계와 온음음계도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리듬은 주제선율에 당김음이 사용되었다. 곡을 발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류이치 사카모토는 대화하듯 주고받는 방법을 사용하고 라벨은 리듬을 변형 발전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류이치 사카모토의 <Sonatine>는 라벨의 <Sonatine>와 형식과 주제선율의 진행, 리듬사용 등 공통점을 가지고 있고 인상주의 수법을 부분적으로 사용해 인상주의 음악의 분위기가 느껴지도록 했다. 하지만 주로 장3화음과 단3화음을 사용해서 그의 다른 작품에서 나타나는 단순하고 명료한 개성이 이 곡에서도 나타난다. 그는 이러한 자기만의 스타일로 새로운 <Sonatine>를 만들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류이치 사카모토의 작품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현시대를 살아가는 작곡가들에게는 다른 시대와 다른 장르의 음악에 대한 실질적인 적용과 자기만의 음악어법 구축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레트로의 개념적 고찰을 통한 레트로 음악의 특징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우상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Retro Music through Conceptual Consideration of Retro First, the researcher found dictionary meaning of retro, proceeding this study. The meaning is a trend or fashion style that aims for revivalism, and is mostly used in fashion or design. However, it cannot be limited as ‘retro is revival’. Revival means returning to the past, but the meaning ‘new one is made by mixing present culture, keeping the past’ is added to retro. This study examined various meanings of retro, and whether the word ‘retro’ is properly used today or not, and there are supplement points or not, and considered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retro used in music by inquiring the concept of retro. In music, retro has been already used for decades. A song after decades is broadcasted to the public without arrangement once again, or is delivered through media by remaking. This is under intention of musicians and people who handle mass media. This phenomenon is sociocultural phenomenon. The study interpreted the fac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data such as music, movie, and musical proving this phenomenon objectively, so established identity of retro by distinguishing between similarity and difference with wider view. As a result, the scope of retro music is wide, and the kinds of retro music are various. First, the study found original retro music, that is, music that is delivered to posterity with the original sound as it is to know the starting point of retro music. Music that does not go through any revision is delivered to the public, showing the presence in the present when about 40 years went. First part examined the beginning of retro music, and second part examined the development of retro music. Remaking song is published by reinterpreting the song. Not as the original song, the song published by arranging alike or differently with the original song flourishes much, so present musicians use it usefully. Lastly, the study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 of retro music. In other words, there are songs the stimulates public nostalgia by making the public feel the air of the time through new songs with retro feeling by a method that is not the original song and also not the remaking song. In recent years, popular singers use new composed retro music reminding of pop music in 1970s and 1980s as a tool of marketing, and express retro music with props, music video, and stage costume that are external factors of music. Considering this, the researcher studied the development an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retro music. 국 문 요 약 레트로의 개념적 고찰을 통한 레트로 음악의 특징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을 진행하면서 우선 레트로의 사전적 뜻을 찾았다. 그 뜻은 복고주의를 지향하는 하나의 유행, 패션스타일이고 주로 패션, 디자인에서 빈번하게 쓰이는 말이다. 하지만 ‘레트로는 복고다’ 라고 한정지을 수 없다. 복고는 과거의 모습으로 돌아간 것을 뜻하고, 레트로는 ‘과거의 모습을 지키면서 현재의 문화도 섞어서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 이라는 의미가 추가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레트로의 여러 가지 의미를 살펴보고 오늘날 레트로라는 말이 제대로 쓰여지고 있는 것인지, 부족한 부분은 없는지를 알아보고 레트로의 개념을 고찰하여 음악안에서 쓰인 레트로의 특징 및 발전방향을 고찰하였다. 음악에서의 레트로의 사용은 이미 수십년 전부터 이루어 지고 있었다. 수십년이 지난 곡이 편곡 없이 오리지날 원음으로 다시 한번 대중에게 방송되거나 혹은 리메이크가 되어 미디어를 통해 전달 되고 있었다. 이는 음악가들과 대중매체를 다루는 사람들의 의도하에 일어나고 있는데 이런 현상을 사회 문화 현상이라고 한다. 이를 증명하는 음악, 영화, 뮤지컬등의 자료를 모아 비교 분석해서 나오는 팩트를 객관적으로 해석해 좀 더 폭넓은 시각으로 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별하여 레트로의 정체성을 규명해보았다. 연구결과, 레트로 음악의 범위는 넓고 종류도 많았다. 일단 레트로 음악의 시작점을 알기 위해 오리지널 레트로 음악, 즉 원음 그대로 후세에 전달되고 있는 음악들을 찾아보았다. 보정을 거치지 않은 음악이 40여년의 세월을 건넌 현재에도 그 존재감을 과시하면서 대중에게 전달되고 있었다. 첫 번째에서 레트로 음악의 시작을 다뤘다면, 두 번째 연구에서는 레트로 음악의 발전을 다뤘다. 바로 곡을 재해석해 리메이크곡으로 발매하는 것이다. 원곡과 같게도, 조금 다르게도 편곡해서 발매한 곡은 원곡만큼은 아니지만 큰 흥행을 이뤄내어 현재의 음악인들에게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레트로 음악의 현재상황을 다뤘다. 다시말해, 원곡도 아니고 리메이크도 아닌 방법으로 새롭게 작곡한 곡에 레트로의 느낌을 심어주어 그 시절의 분위기를 느끼게 해서 대중의 향수를 자극하는 곡들이 있었다. 최근 몇 년간 대중가수들이 1970, 1980년대 팝을 연상시키는 새로운 작곡의 레트로 음악을 마케팅의 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었고, 음악 외적인 소품들, 뮤직비디오나 무대 의상등으로도 레트로 음악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을 짚어보면서 레트로 음악의 발전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 트로피칼 하우스(Tropical House)에서 나타나는 켈틱 음악(Celtic Music)의 특징 연구

        이신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기존의 트로피칼 하우스(Tropical House) 정의와 다른 부분 에 대한 접근을 하고 있다. 기존의 정의는 일렉트로닉 음악 장르인 딥하우스에서 파생되었다는 것이다. 트로피칼 하우스는 기존의 댄스 뮤직과는 다른 음악적 성향을 보인다. 드럼 비트의 펀치감이 약하고, BPM이 느리며, 흘러가는 듯한 음악적 성향을 가지고 있다. 이는 댄스홀과 발레 아레스 장르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댄스홀은 레게 음악의 하위 장르이며, 발레 아레스는 칠 아웃 장르의 계열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논문에서는 트로피칼 하우스의 기존의 정의에서 더 확장한다. 민속 음악적인 요소가 트로피칼 하우스에 들어가 있음을 8곡의 파퓰러 음악을 통하여 이야기 한다. 민속 음악 중에 아일랜드 음악인 켈틱 음악(Celtic Music)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의 요지는 켈틱 음악적인 요소가 트로피칼 하우스라는 장르에서 발견되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켈틱 음악적인 요소가 사회와 문화적인 부분 그리고 대중음악적인 측면에서 트로피칼 하우스 장르에 어떻게 반영이 되었을까를 유추하였다. 주제어: 트로피칼 하우스, 일렉트로닉, 켈틱 음악, 민속 음악 This research approaches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definition of tropical house: it was derived from deep house, an electronic music genre. Tropical house has different musical properties from existing dance music; it has weak drumbeats, slow BPM and fluent musical properties. This is because it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dancehall and Balearic genre. It is general perspective that dancehall is a sub-genre of reggae music, while Balearic is chillout genre. In this research, the existing definition of tropical house is expanded; it shows that folk musical elements are included in tropical house through 8 popular songs. It has elements of Celtic music, which is Ireland music among folk music types. The key point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at Celtic musical elements were found in the genre of tropical house. Furthermore, it inferred how Celtic musical elements were reflected in tropical house genre in terms of social, cultural and popular music parts. keyword:Tropical House, Electronic Music, Celtic Music, Folk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