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경 주택 단지의 경관조명디자인 연구 : 80 년대 건설된 단결호 주택 단지 중심으로

        워야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경제가 발전되고 도시화 진행 과정이 빨라지면서 조각조각 주택 단지가 높이 솟아 났다. 게다가 생활 수준이 끊임없이 향상되면서 사람들이 자신의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도 날로 높아지고 있다. 주거지역은 도시의 세포이자 축소판으로 주거지 환경 건설 수준은 도시의 발전 수준을 나타내며 주거지 환경의 개선은 주거지 환경 건설의 중요한 부분이기에 도시 건설의 영원한 테마인 동시에 하나의 복잡하고 체계적인 공정이다. 북경과 같이 수백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잠재된 재지와 높은 식견을 가진 도시를 놓고 볼 때 특히 그러하다. 초기 중국의 공익사업은 발전되지 않았으며 경관 조명도 충분하게 보급되거나 발전되지 않았으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오핸 시간동안 환경 경관에 대한 건설을 홀시하였다. 20세기 80년대부터 실험 주택 단지를 건설하기 시작하였고 환경 분위기에 대해 고려하고 중요시하여 사람은 우아한 환경에서 살아야함을 제기하였다. 90년대 이르러 시험 범위를 확대한 후 환경 경관 정의는 진일보 심화되었다. 최근 몇년 사이 경제가 발전하면서 도시화 템포의 가속화 및 도시인구의 증가와 함께 도시 주민 주거 현상은 놀라운 속도로 빠르게 발전하였고 주거 조건도 유례없이 개선되었다. 사람들은 편안함을 요구하는 동시에 장식형 조명이 가져다주는 정신적 향유도 요구하고 있었다. 현재 주거 단지는 이미 과거의 단순한 조명으로부터 하나의 체계적인 경관 공정으로 발전하였고 안전과 치안 외 분위기 연출을 위해 거대한 공헌을 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북경시에도 지난 세기 80년대에 건설한 주택 단지가 많으며 또한 상당수 시민이 여전히 그 곳에서 생활하고 있다. 하지만 이 부분의 주택 단지는 조명 시설이 낡고 조명 시스템이 불완벽하여 합리적인 위치에 대한 분석을 하지 않은 등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은 이미 북경시 이미지와 시민의 생활수준 과 안전을 영향시키는 시급한 문제로 되었다. 본 논문은 북경의 80년대 단결호 주택 단지의 조명 환경 현황을 예로 분석하였고 최대한 낙후하고 부족한 80년대 주택 단지 조명에 대해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야간 이미지를 개선하여 주거지 품질을 행상시키고 시민의 야간 활동 시간 및 공간을 연장하고 확대하여 낮과 남다른 경관을 만들어 참여 활동의 적극성을 높이고 야간 생활을 풍부하게 해야 한다. 결국 우리의 주택을 인간적인 주택으로 만들어 보다 원만한 생황을 드러내야 한다. As the economy develops and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speeds up, many housing estates have been springing up. With the increasing living standard, people’s requirements of living environment are also increasing. Housing estates are not only the cells of the city, but also the miniature of the city. The environment construction level of the housing estates reflects the development level of the city. The renov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housing estate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environment construction of the housing estates. It is an eternal theme of city construction, while it is also a complicated and systematical project, especially for Beijing which has hundreds of years of history and profound cultural deposits. China’s public welfare in the early period was not very well developed. Landscape lighting was not fully popularized and developed. Owing to various reasons, the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landscape has been neglected for a considerably long time. Experimental housing estates started to be constructed from 1980s. With the consideration the environment construction, the view that people should live in beautiful environment was proposed. After entering 1990s, as the experimental spots were expanded,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was deepened further. Recently, as the economy develops and the urbanization speeds up and the city population increases, the development speed of housing estates in the city is astonishing. The living conditions also have unprecedented improvement. People not only demand to live comfortably but also require mental enjoyment from decorative lighting. Current housing estates have changed from simple lighting to a systematical landscape project. It is not only for safety and public security but also contributes greatly to the creation of harmonious atmosphere. However, meanwhile Beijing still has many housing estates constructed in 1980s and a number of citizens are living in these housing estates. In some of the housing estates, there are some problems as follows. The lighting equipments are old. The lighting system is not fully developed. Location analysis was not properly conducted. Therefore, to improve all these has become an essential problem which influences the city image of Beijing, the living standard and safety. This paper studied and analyzed these problems by tak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ighting environment in Tuanjiehu Housing Estate constructed in 1980s in Beijing. Appropriate plans were proposed for the lagging and insufficient lighting in the 1980s housing estates. It is aimed to change the night image, promote the living quality of the housing estates, extend and expand citizens’ time and space for night activities, construct distinct landscape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day time, increase citizens’ motivation to take part in activities and enrich citizens’ night life. Finally, the housing estates can become humanized living areas and the harmonious life can be presented better. Key words: 1980s housing estates, lighting of the housing estates, landscape lighting, the lighting of buildings

      • 독거노인을 위한 실내생활공간 디자인 계획연구

        권은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Korea, the social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rapidly with the economy development and the rate of the elderly population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average life by the medical technology. There are many changes in the form of configuration with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 is that the number of aged living alone who lives in one person family is increasing dramatically. These phenomenon is caused by the nuclear families, changes in social structure, participation of women and loss of elderly caregiving consciousness, and others and because that the independent living is possible due to the improvement of economic power and the living level of the elderly. The aged living alone families are expected continuously to increase in the future but currently the living solution for the elderly in Korea is the beginning stage compared with the developed country and insufficient much as the living space suitable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elderly. The aged living alone who live without takes care feel great the sense of alienation, lonely and anxious emotionally so the probability of depression is high. And because they should live independently, suffer the big difficulty in the daily living, and it is hardly impossible to deal with efficiently when the problem is occurred. It is need to design the interior living space where is possible to act safely and comfortably and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because, in the old age, the ability is degenerated in mentally and physically and depression, alienation, loneliness are increased emotionally, the activities in society are decrease and the living in the home is increas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of aged living alone by suggestion of the desirable interior living space where they can spend the happy life of senior. First of all a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is study, we refer to the information of academic papers, professional books, periodicals, and professional site related to the elderly housing, and we made a standard for the one to apply on the design plan by considering this to the all characteristics of aged living along and living space where is suitable to the elderly. We researched the cases of the elderly housing of Korea and Japan which enter to an aging society and have an interest in the elderly housing and as the empirical consideration of this study and examine the department which can apply to the design plan, and through the visit survey of 4 families and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50 aged living alone. We researched the life style, behavioral characteristic, status of current living space and requirements and others of aged living alone. Finally, we conducted the interior living space design plan for the aged living alone based on the researching information as above. We divided the design plan to social and sequestered type by the according to the life styl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aged living alone and suggested the interior living space plan which is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type. We hope the comfortable and safe living to the aged living alone who lives in one person family by suppyling the practical desirable interior living space based on the design suggestion of this study.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함께 사회 환경이 변화하였고,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인가구의 구성형태에도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1인가구로 생활하고 있는 독거노인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화와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참여율 증가, 노인부양의식의 저하 등이 그 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노인들의 가치관 변화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독립생활이 가능해 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향후에도 독거노인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을 위한 주거대안은 선진국에 비해 초보단계로 노인의 특성에 맞는 생활공간으로는 많이 미흡한 상황이다. 노년기에는 정신적, 육체적 기능이 퇴화되고,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상실로 가정에서의 생활이 늘어나기 때문에 편안하고 안전한 실내생활공간이 필요하다. 더욱이 돌봐주는 사람 없이 혼자서 생활하는 독거노인들은 일상생활에 여러 가지 큰 어려움을 겪게 되며, 문제가 발생했을 시 효과적으로 대처하기가 불가능하고 심리적으로 외로움, 불안감, 소외감 등으로 우울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독거노인의 제 특성에 맞는 생활공간 제공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거노인이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내생활공간을 제안하여 독거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본 논문의 이론적 고찰로는 학술논문, 전문서적, 정기 간행물, 전문사이트 등의 정보를 참고하여 독거노인의 제 특성과 생활공간계획의 유의사항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디자인 계획에 적용할 하나의 기준으로 삼았다. 본 논문의 실증적 고찰로는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하여 노인주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일본의 노인주택과 우리나라의 노인주택 사례를 조사하여 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살펴보고, 독거노인 5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4가구의 방문조사를 통해 독거노인의 라이프스타일과 행태적 특성, 현 생활공간의 현황과 요구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독거노인을 위한 실내생활공간 디자인계획을 진행하였다. 디자인계획은 독거노인의 제 특성에 따라 사교형과 은둔형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특성에 맞는 실내생활공간 계획을 제시하였다. 본연구의 디자인 제안을 토대로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내생활공간을 제공하여, 1인가구로 생활하는 독거노인들의 생활에 안정과 편안함을 주기를 기대해 본다.

      • 한지 투과특성을 활용한 LED조명기구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신은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LED조명은 고효율성, 반영구적 수명, 안전성, 친환경 요소를 갖춘 차세대 광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고휘도와 낮은 연색성, 차가운 느낌이라는 빛의 질적인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어 실내조명으로의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LED조명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 해결 방안을 한지의 특성을 이용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한지를 활용한 LED조명기구 디자인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범위는 현재 LED조명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들에 대해 연구, 분석하고 한지를 활용한 LED조명기구 디자인 개발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 문헌자료와 간행물을 통한 문헌연구와 한지 투과특성에 관한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LED조명의 개념 및 특징,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 결과 현재 LED조명은 고휘도, 낮은 연색성과 같은 빛의 질적 문제, 조명기구의 비효율성, 소재 특성에 따른 디자인적 한계, 획일적인 디자인 등의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LED조명의 문제점들을 한지를 활용하여 해결하고자 한지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지를 선정하여 한지 투과특성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한지를 투과한 LED조명 빛의 질 적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이에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각각의 한지를 평가한 후 한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LED조명기구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먼저 2장, 3장의 연구 내용을 토대로 디자인 요구조건을 정의 한 결과 모듈 방식이라는 컨셉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모듈방식은 단일모듈 개체를 여러 개 조합하여 완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조명기구를 제작하기 때문에 실용적이며 다양한 디자인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기본모듈의 디자인은 정삼각뿔의 심플한 형태이나 입체감이 뛰어나 자유로운 빛 연출이 가능하며 종이 소재이기 때문에 누구나 용이하게 조명기구를 제작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LED조명기구의 유리, 아크릴과 같은 딱딱하고 고정적인 소재에서 벗어나 한지 소재의 유연함으로 보다 더 쉽게 다양한 디자인 적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지 LED조명기구는 LED조명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해결 할 수 있었으며, 모듈 방식의 디자인 컨셉과 소재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 적용으로 LED조명기구 디자인에 있어 긍정적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으며, 나아가 LED조명의 실내도입을 촉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자연적 조형 요소를 활용한 윈도우 디스플레이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 리빙 편집숍을 중심으로

        박다은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생활이 있어야 삶이 있고 인생관과 생활 태도까지 포함한 생활 양식인 라이프스타일은 갈수록 중요하다. 이에 따라 인테리어 소품에 대한 니즈도 높아지게 됐는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리빙 편집숍에 관심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리빙 편집숍에서도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 공간에 맞는 인테리어 특성을 사용자의 의도에 맞춘 기능적 효과와 예술적 감성에 맞는 공간 연출이 필요하다. 현재 리빙 편집숍에서 정보 전달과 시각적 표현을 위해 자연적 조형 요소를 활용한 윈도우 디스플레이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자연적 조형 요소를 통해 리빙 편집숍 공간을 이룰 수 있다. 공간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조형 요소를 활용한 윈도우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 하지만 오프라인 영역에서 공간의 한계로 인해 윈도우 디스플레이가 사라지고 있다. 공간과 공간의 연결체로서 창은 외부와 내부 혹은 공간을 서로 연결시켜준다. 창은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면서 각각의 공간을 분할해서 표현하는 공간의 매개체이다. 사람의 시선을 통과시키거나 유지시키기도 하면서 외부의 공기와 햇빛의 순환으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보다 안락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자연적 조형 요소의 이론적 배경을 통한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리빙 편집숍에서의 윈도우 디스플레이 연출 사례와 연출 특성을 분석한다. 리빙 편집숍 공간 디스플레이는 다른 상업 공간 디스플레이와는 다르게 라이프스타일을 기반으로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을 전개한다. 그래서 주거 공간과 같이 연출하는 경우가 많다. 해당 브랜드들의 집에 온 느낌처럼 의도적으로 소비를 부추기는 제품 진열이나 카운터가 없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제품이나 서비스, 콘텐츠 소비라는 목적에 경계 없이 주거 공간과 같이 편안한 느낌을 갖게 하는 리빙 편집숍 공간 디스플레이가 점차 각광받을 수 있을 것이다. 공간을 연출한다는 것은 우리 삶의 환경에 생명력을 더하는 작업으로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의 감수성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공간 연출에서 공간의 매개체로 작용하는 창의 역할에 대하여 연구해 본다. 자연적 조형 요소는 자연을 표현하기 위한 미적 방법으로서 다양한 자연적 조형 요소를 통해 윈도우 공간을 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리빙 편집숍 윈도우 공간을 표현하고 연출하는 데 있어서 라이프스타일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자연적 조형 요소의 특성과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연출 특성을 분석하여 리빙 편집숍 사례를 도출한다. 이를 통해 자연적 조형 요소를 활용한 리빙 편집숍 윈도우 디스플레이 연출 특성과 연출 효과를 연구해 본다. 그래서 자연적 조형 요소를 활용한 리빙 편집숍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필요성을 생각해 보고 다양한 리빙 편집숍 윈도우 디스플레이 사례와 연출 특성을 분석해 본다. 리빙 편집숍 사례를 중심으로 한 윈도우 디스플레이에서 볼 수 있듯이 생활 속 공간과 사람과의관계를 연결 지어 생각해 본다. 특히 공간과 조형 요소를 통해 연출한 윈도우라는 매개체로 공간과 사람을 보다 더 의미 있게 여길 수 있도록 자연적 조형 요소를 활용한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역할을 본 논문에서 기대하고자 한다.

      • 대학캠퍼스 조명디자인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조명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장링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는 고속 발전하고 있는 데 사람들은 생활 속에서 각양각색의 야간조명방식을 사용한다. 조명은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이미지를 직접 보여줄 수 있는 동시에 주변 야간환경도 미화시킬 수 있다. 옛날의 조명이 단지 안전을 위해서 만들었다면 지금은 아니다. 아름다운 조명이 사람의 생활에서 무척 중요한 일부분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대학 캠퍼스조명도 마찬가지다. 비록 조명디자인의 기술이 예전보다 많이 변화하고 진보했지만 이런 변화들을 눈여겨봄으로써 어떤 부족한 점도 있는 것이다. 본문의 주제는 대학캠퍼스 조명디자인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할 뿐만 아니라 건국대학교 조명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위에서 말했듯이 도시의 빛의 설계는 왕성히 발전하고 있다. 다른 편으로 많은 조명디자이너들이 도시의 야간조명의 진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몇 십 년에 제 3의 기술 혁명을 의지하여 우리 주면의 환경이 예전보다 천지가 뒤집힐 정도로 대변하였다. 사림들이 단일한 생활 방식에서 뛰쳐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주변의 거주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도시야간조명도 어떤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사람들이 다시 자신의 주변의 조명 환경을 살펴봤을 때 도시조명의 구멍과 부족점도 조금씩 사람에게 발견되었다. 때문에 사람들이 주변 환경 조명에 대한 요구에 많아지고 있었다. 여기부터 각양각색의 조명 설계가 계속해서 도시의 방방곡곡에 부여하고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완성하고 있다. 비록 대학캠퍼스의 조명디자인과 도시 조명다자인을 비교하면 자신의 다른 점이 있지만 도시 조명디자인에 속하기 때문에 대학캠퍼스의 조명디자인도 도시의 발전함에 따라 진보해야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학 캠퍼스 조명디자인의 전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상당히 부족하다. 많은 대학교는 단지 안전을 목적으로 설계하는 사고방식에 머물렀다. 야간 캠퍼스 문화와 경관의 표현 및 전교의 사람의 감각을 소홀히 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캠퍼스의 야간조명의 개선을 위하여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출하는 것은 조금도 지체 없이 디자인해야 한다. 본문은 더 아름다운 대학캠퍼스의 조명 방식을 만들기 위해서 대학캠퍼스 조명예술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다. 또한 원래의 방식을 바탕으로 대학 문화, 친환경디자인, 새로운 조명방식 등 환경디자인 수단을 결합하고 다시 분석하여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를 중심으로 한 더 풍부한 대학 캠퍼스 조명의 개발을 위해 제안한다. With the high-speed development of the current society, people are choosing various night lighting styles. Lighting can not only give good image directly to other people but also glamor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t night. Different from that in the old time, the current lighting is produced not limited by the safety. The gorgeous lighting is becom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portion in people's life as well as university campus. There are still some insufficient aspects in spite of the great changes happened to the techniques of lighting design. The paper studied on the lighting design guidelines of university campus and focused on it in Konkuk university. The lighting design in cities is in full blast, so many lighting designers are making an effort to the development of urban night lighting. During the recent decades of year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s changed like overturning the earth and the sky comparing since the third technical revolution. People are running out from the singular lifestyle. As a result, the status of the urban night lighting changed according to people's consideration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eople found some defects and inadequate aspects of the light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when they looked into it. Therefore, people showed more requirements to the lighting environment around them. So, various lighting styles should be granted and got done all over the countries continuously. As the The lighting design in university campus is affiliated to the urban lighting design, it should also be advanc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at in cities despite of their different points. However, the overall lighting design guidelines of university campus are still quite insufficient. People still pay no attention to the night campus culture and the expressions of landscape and senses of the entire students. Therefore, the new guidelines should be presented without any delay for the improvement of the nighting lighting of the university campu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make more glorious lighting styles for the university campus and the lighting art of university campus was selected as the object. Based on the original styles, w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more abundant university campus lighting and focused on the Seoul campus of Konkuk University by combining the environment design means, such as the university culture, eco-friendly design, and new lighting styles.

      • 체험마케팅 관점에서 본 복합상업시설의 공간디자인전략(SDS)에 관한 연구

        오환우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Domestic commercial facilities are developing into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from a traditional way of consumption purposes to a place which allows shopping, leisure activ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market environments. That is, a complex commercial facility which provides various physical activities in one place satisfying the demand of users is needed. Recently, however,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have the problem of weakening customer attraction due to the development in online shopping and retracted consumption by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To solve the problem of this weakening customer attraction, a space design strategy (SDS) of experiential marketing that delivers positive images to consumers and reinforces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not by price competition but via comprehensive consumption experiences. Modern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are developing by actively introducing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This space design tries strategies with various programs different from other large consumption spaces and needs trials different from previous times. Important changes include the recognition on the value, along with the need of new environment. Now, the pleasure that a consumer feels in the process of purchasing is functioning as the criteria of value judgment and choice, rather than the simple purchasing behavior. This concept has stro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includes artistic meaning, which comprise the important differentiation factors of a complex commercial facility that reflects the various values to the space design. As such, the space design strategies are determined to be the core expression factor of experiential marketing.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marketing via theoretical reviews of experiential marketing that provides emotions and experiences to users and overall understanding on a complex commercial facility. This study also made case analyses on the effects of and applications of space design strategic factors; how they apply to a complex commercial facility and how they make effects.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the ca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needed to make a strategic utilization of the process of space application of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and more positively try to have the customers to recognize the value of the spaces. In effectively expressing these space design strategies, setting up a theme is needed. Establishing a theme that comprises overall spaces will make people feel and experience the space solely by visiting itself and provide the affirmative reason for a re-visit. Secondly, active provision of spaces that apply artistic factors such as green areas, water and light which are natural design factors to stimulate synaesthesia will lead to customer attractions. Thirdly, symbolic space distribution in a complex commercial facility helps users to have recognition and experience via natural movements and a variety of direct and indirect processes, which secures the potential of purchases. Fourthly, establishing a differentiated space design strategy that is linked with various programs in the complex commercial facility will enable efficient deliver of the value and identity of the complex commercial facility. I believ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xperiential marketing space utilization in a complex commercial facility in the consumer market where a creative space design strategy is being rapidly expanded to the online market. 국내 상업시설은 소비 목적의 전통적인 방식에서 최근 시장 환경의 변화로 쇼핑과 여가활동,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복합상업시설로 발전하고 있다. 이것은 이용자들의 요구에 맞추어 한 공간에서 물리적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복합상업시설이 대두하는 것이다. 그러나 복합상업시설은 최근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 인터넷 쇼핑의 발달로 인해 집객력이 둔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집객력 둔화 해결방안으로 소비자에게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아닌 전반적인 소비 과정에서 나타나는 체험을 통해 소비자에게 인상적인 이미지를 심어주면서 소비자 만족 지수와 충성도를 상승시키는 체험마케팅의 공간디자인 전략(Space Design Strategy/ SDS)이 필요하다. 현대 복합상업시설은 체험마케팅 전략을 적극적으로 도입, 발전 하고 있다.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으로 기존의 전형적인 대형 소비 공간들과는 다른 전략을 시도한 공간 디자인으로, 이 전 시대와는 다른 시도를 필요로 한다. 이렇게 새로운 환경의 필요성과 함께, 중요한 변화는 가치에 대한 인식이다. 단순 구매하는 행위 제체에서 구매하는 과정에서 소비자가 느끼는 즐거움이 가치판단과 선택의 기준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개념은 감성적, 심리적 측면이 강하며 예술적 의미를 포함하는데, 이런 다양한 가치가 반영된 공간디자인이 복합상업시설에서 중요한 차별화 요인이라 할 수 있기에, 공간디자인 전략을 체험마케팅의 핵심적 표현 요소로 판단, 선택한 이유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상업시설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이용자에게 감성과 경험을 제공하는 체험마케팅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체험마케팅의 공간 특성을 파악하고 공간 디자인 전략적 요인이 복합상업시설에서 어떻게 적용되어 효과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사례 분석을 종합한 결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마케팅 요소가 공간에 적용되는 과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공간의 가치를 인식시켜야 한다. 이러한 공간디자인 전략을 효과적으로 표현함에 있어 테마 설정이 필요한데 이는 공간 전체를 아우르는 주제설정을 통해서 사람들이 방문 자체로도 공간을 느끼고 체험함으로 다시 방문해야 할 긍정적인 이유를 만드는 것이다. 둘째, 공감각 자극을 위한 디자인 요소인 자연적 요소인 녹지, 물, 빛 등 예술적 요소가 적용된 공간을 적극적으로 제공하면 이용객의 집객화를 이룰 것이다. 셋째, 복합상업시설의 상징적 공간 배치는 이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직․간접적인 다양한 과정을 통해 인식하며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구매의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복합상업시설에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동된 차별화된 공간디자인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복합상업시설의 가치와 아이덴티티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창의적인 공간디자인 전략이 급격하게 온라인 시장으로 확장되는 소비시장에서 복합상업시설 내에 체험마케팅 공간 활용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 중국 도시 공원 조명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허빙 건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국 도시의 야간경관 조명이 발전하기 시작한 기간은 약 30년 정도이며, 문화성, 지역성, 역사성 등의 특징들을 반영하고 있다. 현재 야간 경관 조명에 다양한 신기술을 적용한 우수한 사례들이 계속하여 나타나고 있다. 관광업의 발전과 함께 많은 관광 명소에서 야간 관광 프로젝트를 개시하였다. 도시 야간 경관은 점차적으로 도시 계획 및 디자인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도시 야간 경관 발전에 있어서 이미 주목 받는 사항이 되었다. 도시 공원은 도시 공간의 중요한 구성으로서 도시의 문화, 민속, 풍모를 전시하는 창구이며, 사람들의 야간 실외활동에 있어서 주요한 공간이다. 그러나 난잡한 조명설치와 빛 공해라는 문제들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많은 조명 디자이너들은 경관 디자인 내용을 알지 못하고, 경관 조명 디자이너와의 소통이 부족하며, 공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에 도시조명이나 관광지역 조명에서 천편일률적인 조명디자인을 하여 야간 경관의 특수한 매력을 더욱 이상적으로 전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람들의 야간 공공 휴식생활의 품질을 더욱 제고하기 위하여 도시의 조명디자인 특성을 연구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현실적이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은 10개의 도시공원 조명디자인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에는 황실정원을 대표로 하는 북부 원림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정원을 대표로 하는 남부 원림들도 있으며 또 최근에 신흥 발전된 산수극장과 엑스포를 대표로 하는 대도시들이 있다. 위 사례에 대한 분석과 정리를 통하여 현지 중국 도시공원의 조명디자인 특성을 총결하였다. 제2장 내용은 중국 도시공원의 개념이해, 분류특성 및 도시공원 조명요소의 표현 등을 귀납하고 정리하였으며, 그 다음의 사례분석을 위하여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제3장 내용은 조명디자인 사례에 대해 상세한 분석과 정리를 하였다. 사례의 선정은 2002년부터 2012년 10년 동안 중국 국내 학술논문 간행물에서 상세한 조명 디자인 자료가 수집 가능한 사례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명이념과 디자인요점을 소개하였고, 중국 도시공원 조명디자인특성 정리분석을 위하여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제4장 내용은 조명디자인 사례에 대한 분석으로 중국 도시공원 조명 디자인의 4대 특성을 총결하였다. 첫 번째는 사의(写意)는 중국원림이 타국에 비해 원림수법과 구별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고 항상 의경(意境)을 강조한다. 조명은 중국원림의 독특한 본질을 전시하는 중요한 수단이고, 야간 환경에서 어떻게 예술적 경지의 창조를 지속하는가 하는 것이 조명 디자이너들의 연구 과제이다. 조명은 기본적인 안전성과 편의성 심리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반드시 대중들의 더 높은 수준의 심미적 추구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의경(意境)의 각종 표현수법은 야간 경관 조명의 미학적 기능을 실현하는데 도움이 된다. 두 번째는 무대조명 개념의 도입이다. 무대의 희극조명은 오늘날까지 발전해 오면서, 연극의 내용, 인물의 감정들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작품의 내적 함의와 디자이너의 주관적 의식이 더 많이 표현된다. 이의 표현형식은 기타 전통적인 경관조명의 시각충격과 영향력보다 더 강하다. 무대 조명의 디자인 이념과 조명방식을 통하여 도시공원 조명에 독특한 표현형식을 제공한다. 세 번째는 조명의 주제 표현이다. 공원 야경공간의 주제를 형성하는 것은 조명디자인의 예술수법으로 표현한다. 이로서 낮의 경관 공간 주제를 이어서 계속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야간 의경(意境)의 경관 공간을 이차 창조할 수 있어 다양한 주제의 분위기를 만들어 사람들에게 풍부한 야간 경관의 공간적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명디자인 예술성과 기술성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면에서 제현된다: 광원의 색온도, 색 렌더링 조합의 야경 공간 분위기, 조명 기구 위치의 합리적 설치, 조명분선제어로 조명분위기의 전환을 실현한다. 사례분석을 통하여 총결하게 된 특성들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중국의 상황으로 말하자면 도시공원의 조명 디자인은 기본적인 조명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술과 기술적인 층면에서 더 많이 개선되어야 한다. 해외 선진적인 이념을 도입하여 중국 전통적인 문화와 결합시켜 지방 특성이 있는 조명 디자인을 발전한다. 중국 전통문화가 조명 디자인에서의 사용, 지방 특색화 조명 디자인의 연구, 예술조명과 에너지절약의 상호관계 등 연구방향을 제출하였다.

      • 사용자 행태분석을 통한 소파디자인 고려요소에 관한 연구

        한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조선시대 유교사상의 등장으로 우리는 남녀의 공간이 분리되며 침식이 구분되어있지 않은 주거형태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한국과 서양, 일본의 주택양식이 혼재된 새로운 주택양식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우리나라는 온돌을 사용한 독특한 주거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온돌 난방방식은 한국인이 특유의 ‘양반 앉음새’를 갖게 된 원인이 되었다. 이로 인해 우리는 입식의 공간구조와 입식생활을 전제한 가구를 사용하면서 이를 사용하는 방식은 입식과 좌식이 혼재되어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 모습이 가장 도드라지게 나타나는 것이 소파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한국에서는 서양이나 다른 동양과는 다른 독특한 소파 이용방식이 있는데, 본 연구는 실제 사용자들의 행태분석을 통해 소파 이용방식을 알아보고, 보다 효율적으로 소파를 디자인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디자인방안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다양한 공간 중에서도 가장 자연스러운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주거공간내의 소파를 이용하는 행태에 대한 분석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문헌연구, 실증연구 및 분석, 디자인방안 제시 등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단계에서는 우리나라의 거실과 온돌, 좌식문화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소파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연구 및 분석단계에서는 비디오관찰법을 통해 사용자들의 소파이용 방식을 관찰, 그 행태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행태의 단계는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초기단계에서는 원하는 자리를 물색하여 대부분 입식자세로 앉았다. 중간단계에서는 본격적으로 편한 휴식자세를 취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다리의 위치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높이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휴식단계에서는 중간단계에 만들어진 최적의 자세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단계가 지날수록 소파와 신체의 접촉면이 넓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소파의 이용행태는 총 6가지로 식사 후, 잠들기 전에 소파를 주로 이용하며 TV를 시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때 팔걸이에 몸을 기댄 자세를 많이 보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다리의 위치가 높아지며 이 과정에서 소파테이블에 다리를 올려놓는 모습도 나타났다. 바닥에 좌식으로 앉는 경우에는 소파에 기대어 상체를 젖힌 자세를 취하였다. 행태분석을 바탕으로 한 인터뷰에서 모든 사용자들의 행태에는 휴식과 편안함이 가장 큰 목적임을 알 수 있었다. 위의 행태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소파를 디자인함에 있어 형태적, 기능적으로 효율성을 높이는 팔걸이, 자세를 보정해줄 수 있는 등받이, 다리를 편하게 기대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소파 보조용품 등을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팔걸이는 이동성을 고려하여 앉거나 눕는 위치에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디자인으로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등받이의 경우 허리와 어깨의 각도와 자세를 고려하며 좌식자세로 이용 시 좌방석 측면의 등받이 역할이 고려된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좌방석은 좌식자세에 맞는 적절한 폭의 조절과 온돌생활방식에 맞는 열선시트의 적용, 다리의 휴식을 위한 보조용품 등을 고려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입식과 좌식이 혼재된 주거문화가 나타나게 된 배경을 이해하였고, 입식생활의 대표적 가구인 소파의 이용에 대해 한국 특유의 독특한 행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소파를 디자인함에 있어 이러한 한국인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를 보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디자인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rom the Chosun Dynasty, Korean had a new housing style without separate foods from sleep. It created a new housing style, a mixture of dwelling patterns of Korea, Western countries and Japan, through the Flowering Time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we have own unique housing form, an Ondol. That caused an unique sitting posture ‘Sitting Posture of Yangban’. This allowed we have mixed way–sitting and stand-up posture–through living in the Western housing with Western style furnitures. The way of using Sofa shows it clearly. Korean has a characteristic way in using Sofa different from Western countries and other Eastern countries. Based on research of user behavior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features in designing sofa and to suggest effective ways of designing sofa. The scope of the study was focused on a housing space where users being comfortable and relaxed. A Study through three phases. Literature Survey, An Empirical Research and analysis, and presenting the considering elements of Sofa Design. On Literature Survey stage,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living room, Ondol and The Sedentary lifestyle and also analyze sofa types and features of Sofa. An Empirical Research and analysis stage, observed users behaviors in using sofa with ‘video ethnography’ and has interviewed based on the analyzed behaviors. Behaviors through three phases. In Early stage, users searched for spots they want to sit and sat in a Western style. In intermediate stage, they started to pose in resting position. In addition, the observation shows the foot position of users is getting higher as time passed. In rest stage, they keep an optimum position which made in intermediate stage. As the stage passed, it got wider contact surfaces of the user body and the sofa. Sofa using behaviors can be classified into six parts. Mostly sit on the sofa and turn on the television before going to bed. At that time, many of them posed to lean on the armrest. As time passed the location of legs is getting higher, and on some occasions put the legs on the table. Users posed to bent over backwards to the sofa when they sit on the floor. The interview through the analyzed behaviors, It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all users behaviors aim to rest and coziness. Throughout the analyzed behaviors, we confirm that ought to considering designing sofa; the efficient armrest with shaping and functional way, the back of sofa as improve the sitting posture, take a rest with relaxing legs.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lements of armrest of sofa design, mobility and height adjustable under unrestricted position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Designing the back of sofa, judged to considering the angles and poses of back and neck. And the side part of seat should be considered the sedentary lifestyle. Suggest the proper width for sedentary sitting poses, simple goods for relaxing legs and hot wire seat applied Ondol lifestyle. Through the above research, it was able to understand Korean’s characteristic dwelling culture which mixed sedentary and Western sitting positions. And Korean has a unique behaviors particularly to using sofa was confirmed. It should be considered understanding peculiarity of Korean to complement and improve follow up designing sofa.

      • 생애주기를 고려한 공동주택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정미경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코로나 시대가 지속되면서 사람들은 환경오염 및 새로운 전염병에 대해 공포가 늘어났다. 어떻게 하면 지구를 환경오염으로부터 지켜나가야 하는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또한 의류와 생활공간에서도 지속가능(sustainable)한 제품들, 공간 활용 방법들에 관한 연구가 여전히 계속 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주거공간도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이어진다면 좀 더 환경적인 부분에서 지구에 더 나아지지 않을까 하는 고민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코로나 시대 많은 것들을 포기 하면서 사람들은 자신만의 공간으로 관심을 돌리게 되었고 이로 인해 실내 인테리어가 때 아닌 호황을 맞게 되었다. 남들과 다르게 차별화된 공간으로, 최신 스타일의 색상 & 트랜드로, 내부 전체 공간을 다시 구성 하며 새로운 마감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예전 방식의 실내 인테리어보다는 처음 공동주택을 구성할 때 변경 가능할 수 있게 공간구획을 나누게 된다면 현시점에서 공사하는 방법 보다는 좀 더 지구(ZERO WASTE- 제로 웨이스트)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이것은 개개인이 일상생활에서 쓰레기 발생을 줄인 사례와 자신만의 쓰레기 줄이는 방법 등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제로웨이스트> ) 실내인테리어공사는 ZERO WASTE와는 아직은 거리가 멀다 하겠다. 보통 전체 내부공사를 할 때 발생하는 폐자재가 기본으로 1톤 트럭으로 몇 대 분량이 나오니 ZERO WASTE가 가능하지 않고 오히려 지구환경파괴에 가깝게 많은 폐기물이 발생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공동주택을 구성할 때 변경 가능한(지속가능한) 공간구성이 될 수 있게 진행을 한다면 제일 처음 어떤 부분이 고려 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가족 구성원의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공간에 적용하여 공동주택 공간구성에 관한 주제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기본 문헌, 선행 논문, 설문조사를 통해 이해 분석하며, 변화에 맞는 공동주택 공간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애주기별 단계를 4단계로 정의하여 하였고, 새로운 평면도를 제안하고 공동주택의 공간구성에서 생애주기별 사용자들의 요구를 해결할 방안으로 하는 4단계의 평면도로 공간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oncern that if theresidential space we live in leads to a sustainable space, it would be betterfor the Earth in a more environmental aspect. As people gave up many things in the Corona era, they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ir own space, which led to an untimely boom in interior design. What first part can be considered? In the thoughtof doing so,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the composition ofapartment spaces by applying it to the necessary spaces for each life cycle offamily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needs of eco-friendly and sustainable users through basic literature, previouspapers, and surveys, and to present a space design for apartment housessuitable for change. The stages for each life cycle were defined in four stages,and a new floor plan was proposed, and a space composition of four stages.

      • 식물을 모티브로 활용한 페이퍼 아트워크 윈도우 디스플레이 연출에 관한 연구 : 딥디크를 중심으로

        양소원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환경적 이유로 인하여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식물을 이용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자연히 공간에 식물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전에는 식물 요소를 공간에 직접 사용하여 연출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지만, 현재에는 식물을 표현할 방법들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표현 방식으로 실내 정원, 벽면 연출, 조명. 주얼리, 소품, 페인팅 등으로 식물을 활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식물로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방법으로 많은 디자인 분야에 응용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보인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식물을 활용한 독창적이고 예술적인 페이퍼 아트 표현 기법을 적용해 식물의 표현 한계점을 보완하고 활용 기능의 폭을 넓혀주고자 한다. 페이퍼 아트워크는 공예 재료 중에서 사용이 쉽고,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단순한 제작 과정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이렇듯 표현의 폭이 넓어지고 다양한 기법 적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오늘날 페이퍼 아트는 무대 디자인, 실내 공간연출, VMD, 북아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넓어지고 있다. 페이퍼 아트도 표현 기법에 따라 접기, 자르기, 말기, 조각, 겹치기, 엮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선행 사례 분석을 통하여 식물을 활용한 페이퍼 아트워크 연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고, 식물을 모티브로 페이퍼 아트워크에 적용하여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적용하여 디자인하였다. 딥디크 브랜드를 중심으로 페이퍼 아트워크 기법 중 자르기와 겹치기를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페이퍼 아트워크를 활용한 표현방식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표현하고자 하는 방식에 따라 평면적, 입체적 표현이 가능하며 페이퍼가 줄 수 있는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다. 둘째, 페이퍼를 활용한 디자인은 시각적 효과가 뛰어나며 다른 오브제와도 조화롭게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확실하게 표현할 수 있고, 디자인 의도와 다양한 컬러 사용과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결과로 식물을 모티브로 활용한 페이퍼 아트워크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 연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식물이 공간에 한정되지 않고, 독창성을 보여줄 수 있는 페이퍼 아트워크와 같은 표현 기법과 매치하여 다른 분야에서도 식물을 활용한 디자인이 다양하게 활용하여 연출되기를 바란다. The increased hours of staying indoor due to environmental reason have brought the increased interest in creating the pleasant indoor environment using plants, and the increased need of plants in the space naturally. In the past, the type of directing that directly uses the plants in the space used to be mainstream, but the diverse methods that express plants are being developed currently. For the diverse expressions, various designs are displayed using plants with indoor garden, wall display, lighting, jewelry, props and painting. The functional features that can be applied in many design fields variously not using plants only stands ou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the limit of plant expression and to broaden the range of utilization by applying the artistic paper art expression method. The materials of paper art work are easy to use, find and available with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Likewise, as the width of expression gets broader and the various techniques can be applied, the paper art these days is broadening the use possibility in various fields such as stage design, indoor space directing, VMD and book art. It can be seen that paper art can also be expres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olding, cutting, rolling, sculpting, overlapping, and weaving depending on the expression techniqu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ceding cases as above, a study on directing paper artwork using plants was conducted, and the plant as motif was applied to the paper artwork and applied to the window display to design. Focusing on Diptyque brand, cutting and overlapping among paper art work techniques are used to product the works. The features of expressions using paper art work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a flat or three-dimensional way expression is available depending on the desired way, and the beauty that paper can give can be expressed. Second, the design using paper has the excellent visual effects and can be harminzed with other objects. Third, the image that you want to express can be clearly expressed, and the design intention, various colors use and thickness can be adjusted. This study conducted the study on paper artwork show window display directing that uses the plants as motive based on this result, and I hope the design utilizing plants can be utilized and directed in other fields by matching the expression technique such as paper artwork which can show the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