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시대 중상류주택의 지붕형태 유형과 특성 연구 : ㄱ자 꺾음부를 중심으로

        박새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rner-connections roof that appears in Middle-High classes’ houses during the Chosun Dynasty. After analyzing the types of existing Corner-connections roof types, it was found that the classification criteria needed to be supplemented to encompass various Corner-connections roof types. Thus, the shape of the inner corner of the Corner-connections was classified based on the difference in eaves height, and the outer corner was classifi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roof ridge, and the roof shape of the inner corner and the outer corner was combined. Accordingly, 9 types of Corner-connections roof types were newly class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individual cases by type of roof, it was found that various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Body-building and Wing-building, the height relationship of the ridge of the Body-building and Wing-building, the eaves and roof, construction, and the width of the building are interrelated and various roof shapes are created. Nationwide, the use rate of Corner-connections hipped-and-gabled roof Whole-hoechumgol was absolutely high. However, in Gyeongsangbuk-do, the use rate of Corner-connections gable roof Non-hoechumgol was the highest, and in Gangwon-do, the use of Corner-connections hipped-and-gabled roof Hanf-hoechumgol was remarkable, show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shape of the Corner-connections roof. From the early to mid-Chosun Dynasty, the rate of use of Corner-connections gabled roof Non-hoechumgol was steadily high, but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mid-Chosun Dynasty to the late Chosun Dynasty. In contrast, from the early to mid-Chosun Dynasty, the rate of use of Corner-connections hipped-and-gabled roof Whole-hoechumgol was low, but it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mid-Chosun Dynasty to the late Chosun Dynasty. The use rate of the Corner-connections gabled roof Non-hoechumgol and the Corner-connections hipped-and-gabled roof Whole-hoechumgol was high due to the following advantages. The Corner-connections gabled roof Non-hoechumgol can effectively secure the size of the gable and leave out the valley by increasing the eave height between Body-building and Wing-building, regardless of the width of the Body-building and Wing-building when the Wing-building has three crossbeams. Whole-hoechumgol, a Corner-connections hipped-and-gabled roof, saves construction costs compared to Hanf-hoechumgol and Non-hoechumgol, has excellent appearance on the side, and has strong structure frame. Whole-hoechumgol, a Corner-connections hipped-and-gabled roof, was mainly adopted regardless of the construction of the Body-building and Wing-building.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ratio of adopting a Corner-connections hipped-and-gabled roof rather than a Corner-connections hipped roof confirmed the tendency to prefer a roof with a gable even when the Body-building and Wing-building width match. The Corner-connections roof has changed for the purpose of rainwater treatment, solar ray control, and increased appearance. The Corner-connections gable roof Non-hoechumgol had the best waterproof performance because it did not have a valley.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roof of the outer corner, there were many Non-hoechumgols with much higher eaves than the Wing-building for the inflow of sunlight from closed ㅁ shaped houses. The Corner-connections hipped-and-gabled roof often extends the ridge of the Body-building to enhance the sense of design, and as a result of this, length the gable ridge of the Body-building adjacent to the Hapgakgol was shortened or the ridge of the Wing-building was installed obliquely. 본 연구는 조선시대 중상류주택에서 나타나는 꺾음부 지붕형태를 유형분류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꺾음부 지붕형태의 유형을 분석한 후, 다양한 꺾음부 지붕형태를 포괄하기 위해 분류기준의 보완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꺾음부 안귀는 처마높이차를 기준으로, 바깥귀는 지붕마루 구성을 기준으로 형태를 구분한 후, 안귀와 바깥귀의 지붕형태를 조합하였다. 그에 따라 9가지 꺾음부 지붕형태 유형이 새롭게 분류되었다. 꺾음부 지붕 유형별 개별사례의 분석을 통해, 안귀에서 몸채와 날개채와의 처마높이차, 바깥귀의 지붕마루 구성뿐만 아니라 몸채와 날개채의 용마루높이 관계, 처마 및 지붕 물매, 가구구성 및 보방향 폭 등 여러 건축요소가 상호연관성을 가지며 다양한 지붕형태를 만들어내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국적으로 꺾음형 팔작지붕 온회첨골의 사용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경북지역에서는 꺾음형 맞배지붕 무회첨골의 사용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강원지역에서는 꺾음형 팔작지붕 반회첨골의 사용이 두드러져 꺾음부 지붕형태에 지역적 특색이 나타났다. 조선시대 전기부터 중기까지 꺾음형 맞배지붕 무회첨골의 사용 비율이 꾸준히 높았지만, 조선시대 중기부터 후기로 가면서 점차 낮아졌다. 이와 대조적으로 조선시대 전기부터 중기까지 꺾음형 팔작지붕 온회첨골의 사용 비율이 낮았지만, 조선시대 중기부터 후기로 가면서 상당히 높아졌다. 꺾음형 맞배지붕 무회첨골과 꺾음형 팔작지붕 온회첨골은 다음과 같은 이점으로 인해 사용비율이 높았다. 꺾음형 맞배지붕 무회첨골은 날개채가 3량가일 때 몸채와 날개채의 보방향 폭과 관계없이 몸채와 날개채와의 처마높이의 차이를 크게 함으로써 합각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회첨골을 생략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꺾음형 팔작지붕 온회첨골은 반회첨골과 무회첨골에 비해 시공비가 절약되고, 측면의 외관미가 우수하며, 가구프레임의 강성도 크다. 꺾음형 팔작지붕 온회첨골은 몸채와 날개채의 가구구성과 관계없이 주로 채택되었다. 또한 몸채와 날개채의 보방향 폭이 일치할 때도 꺾음형 우진각지붕이 아닌 꺾음형 팔작지붕을 채택하는 비율이 높은 사실을 통해 합각이 있는 지붕을 선호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꺾음형 지붕은 빗물처리, 태양광선 조절, 외관미 증대 등의 목적을 가지고 변화하게 되었다. 꺾음형 맞배지붕 무회첨골은 회첨골이 없어 방수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바깥귀 지붕형태와 관계없이 폐쇄적인 ㅁ자형 집에서 태양광선 유입을 위해 몸채 처마를 날개채보다 훨씬 높인 무회첨골이 많이 나타났다. 꺾음형 팔작지붕은 의장성을 높여주는 합각을 키우기 위해 몸채 용마루를 연장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때 생기는 합각골의 누수우려에 대한 조치로 합각골과 인접한 몸채 내림마루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날개채의 용마루를 비스듬히 설치하기도 하였다.

      • 고려불화에 표현된 지붕의장 연구

        천보경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고려불화에 표현된 건축도 중 지붕부는 가장 많은 의장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표현에서도 매우 사실적으로 당시의 건축의장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려불화를 연구하는 것은 고려 시대 또는 그 이전의 건축 연구에서 결코 경시되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료이지만 회화적 자료의 특성상 다른 직·간접적인 사료보다 건축학 분야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고려 이전의 건축물을 연구하기 위한 하나의 사료로서 고려불화의 연구적 가치를 건축적 측면에서 조명하였다. 고려불화에 표현된 지붕부는 서까래, 부연, 평고대, 기와 등 지붕을 구성하는 요소와 각종 장식요소들이 비교적 자세히 표현되어 있으며, 문헌자료 등을 통해 당시의 실제 건물을 묘사했다고 판단하였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해 본 고려불화의 지붕의 형태는 일부 건물에서 밀첨식의 지붕이나 합각부의 구조 등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건물과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으나 현존 건물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그 외의 표현은 건축물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요소로 형태적인 차이가 없어 시대를 구분하거나 특정 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국내의 금동탑 등 유물에서 확인할 수 있고 문헌 기록 등을 통해 비교적 사실적으로 묘사되었다고 생각되는 지붕 의장요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붕마루에 설치된 각종 장식기와를 비롯하여 기타 의장적인 요소로 합각부의 현어와 토수 및 풍탁 등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장식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고려불화에 표현된 용마루 장식기와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된 치미 외에도 어룡형, 연화보주형, 화염보주형 등 다양한 형태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어룡형의 장식은 중국의 치문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고려사』에 등장하는 형태와 명칭의 변화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림마루 장식기와는 귀면와의 형태와 유사하며 대부분의 건물에서 용의 머리를 형상화한 용두형 장식이 보이고 있다. 이로 볼 때 고려시대에 환조형의 용두 장식이 성행하였으며 조선시대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추녀마루 장식기와는 추상적인 형태의 장식물이 표현되어 있으며, 현존 유물을 통해 고려시대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서유기』의 등장인물을 형상화하여 추녀마루에 올려놓는 조선시대의 잡상과 비교해 볼 때 형태나 설치 장소 및 개수 등에는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합각부의 현어는 일본에서는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존하는 국내의 사료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요소로, 고려불화에 표현된 것을 통해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타 의장적 요소로 추녀 끝에는 새의 머리 또는 용의 머리를 형상화한 서수형의 토수가 보이며, 이와 함께 풍탁의 다양한 형태 및 설치 방식을 살펴볼 수 있다. 주제어 : 고려불화, 지붕마루 장식기와, 현어, 토수, 풍탁

      • 남북한 사찰단청의 머리초 문양 비교연구

        강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남북한 사찰단청의 머리초문양 비교 연구 강 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 전공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사람이 외부환경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옷을 입듯, 건축물도 비바람, 충해 등 외부환경으로부터 목재를 보호하기 위해, 목재에 옷을 입히는 칠 작업을 단청이라고 한다. 우리의 옛집은 나무로 뼈대를 세우고, 맞춤과 이음으로 결구하는 목조가구식구조로서, 주재료인 목재가 썩고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목재 표면에 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칠은 목재를 보호하는 기능적 측면을 넘어, 인간의 권위와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미적 욕구가 가미되어, 의장적 측면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남북한 통일시대를 대비하여 민족고유의 정서와 정체성 및 동질성 회복과, 변형된 단청 머리초 원형을 찾기 위한 사전조사와 연구과정에 그 의미가 있다. 남북한은 분단이후 70여 년 동안, 서로 다른 체제와 이념 속에서 살아오면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변형되고 발전되어진 것으로 보여 진다. 현재 남북의 문화재 건축물 단청은 기존의 단청을 문양 모사하여 복원단청을 하고 있다. 하지만 안료는 고가의 전통재료로서, 제조법과 사용법의 미숙으로 천연안료가 아닌 화학적 합성안료와 공업용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고, 이에 따른 변색과 박리탈락이 심각한 상태이지만, 단청문양 그 자체는 기존의 전통문양을 잘 계승하고 있다. 북한의 머리초 형식은 남한에 비해 자유롭고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고식의 머리초 형태를 쓰기도하고, 세부적으로 여러 시대의 문양이 조합된 형태를 보여주기도 한다. 어떤 부분에서는 머리초의 기본형식인 ‘직휘 + 주문양 + 실 + 휘’ 형식을 과감히 파괴한 ‘직휘 + 금문 + 단실 + 휘’ 형식의 독창적이고 창의적 형식을 보여준다. 이러한 북한의 창의적 형식의 단청은 전통건축물이 아닌 새로 짓는 건축물에 적용할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며, 남한단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이다. 남한의 머리초 형식은 기본적인 머리초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으나, 북한 머리초에 비해 다양성이 떨어지며, 최근 들어서는 삼단신앙에 따른 단청양식과 문양의 위계에 상관없이 전각을 획일적인 형태로 화려하게 단청을 하려는 경향이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남북한의 단청 머리초에 대한 연구는 ‘틀림이 아닌 다름’이라는 관점에서, ‘변형이 아닌 창의적 발전’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남북한이 분단 이후, 이념적 고립과 전통문화의 교류가 거의 전무한 상태에서, 북한단청 자료수집의 어려움과 충분한 고증 및 검증과정의 제약 등, 본 연구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변형된 남북한 전통단청의 원형을 찾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본 연구가 학술적 연구를 넘어, 전통문화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실용적 연구의 시작이 되었으면 한다.

      •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디지털 복원 연구

        이정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4세기 후반부터이지만 적어도 현존유물에 관하여 전남지방에서 확인되는 최고의 불교미술품은 9세기로 추정하는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求禮 華嚴寺 四獅子 三層石塔)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석탑은 축조기법이 독창적이고 조형의 아름다움이 수려하여 외형적 예술성뿐만 아니라 탑의 조성에 있어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 사이에 계획적이고 정연한 구성비가 나타나고 있어 의장적인 부분에서도 가치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의 부재들을 3D 스캔을 실시하여 형상 기록화하고, 획득된 3D 데이터를 결합하여 석탑의 건립 당시 형태로 디지털 복원을 진행하였다. 석탑의 부재는 각각 평면, 남, 동, 북, 서, 남동, 남북, 북동, 북서, 바닥면을 스캔한 후 획득한 3D 데이터를 방위별로 결합, 정렬, 메시 작업을 거쳐 수직과 수평을 맞추어 작업하였다. 또한 각 부재를 조립시뮬레이션을 거치며 여러 방면에서 데이터를 확인하며 검토 및 보완하였다. Geomagic Design X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정렬한 후 수평을 맞춰 조립한 결과, 건립시기의 원형이라고 생각되는 형태로 복원할 수 있었다. 석탑의 경우 상륜부와 배례석 하부 조형물을 고증하여 형태를 보여주고, 석등은 파손된 부재의 형태를 복원하였으며, 후대에 수리하여 추가된 부재는 제거하여 건립시기의 형태로 복원하였다.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은 2021년 조립 예정이나, 체계적인 디지털 복원 연구를 통하여 해체된 부재들의 조립결과를 미리 예측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디지털 복원은 3D 디지털 자료를 통한 문화재 현 상태기록 및 향후 수리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고, 문화재 보수 및 복원의 문제점들을 사전에 검토하여 본래의 학술적·미술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시각적 분석과 제작기법 파악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근대기 서울지역의 선교사 주택 연구

        이재규 한국전통문화대학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is a study reflecting on the western architectural properties and how they adapted to Korea by focusing on the changes exhibited by the houses inhabited by the protestant missionaries. After the ports of Korea were opened to foreign vessels in 1876, most of the modern Korean architecture was influenced by altered western architecture through Japan. In contrast, housings for missionaries were direct applications of western architecture, providing significance in studying Korean modern architecture. The first missionaries made their homes in Seoul area, and their houses allow us to examine their lifestyles. It is also an example of how the alien culture was adapted into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adaptation are as follows. The missionaries purchased lands and Korean houses in Jeong-dong area where foreign legations were concentrated in. The missionaries soon found Korean houses as small and uncomfortable and made modifications by extending the basement or installing bay windows on exterior as a method to extend the space. They also planted grass and plants on dirt-covered front yard to use as occidental garden. Missionaries approached the Joseon people via indirect missionary work such as education and medical activities. Many people sought to benefit from their work and the mission expanded. Missionaries soon found new mission bases to better accommodate the crowd and not to overlap with othe churches. In the early 1900s there were several mission bases in Seoul where missionaries continued their work in building houses, schools, churches, and hospitals. The missionary housings were built with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ir residents. Missionaries used American planes and structures to build houses and imported heating equipment from their country of origin for their own use. This shows that the missionaries preferred to continue their western way of life, rather than live in a modified Korean house. However, there are slight traces of Korean houses among these western houses, compromises between two cultures. There were various examples, such as the drawing room facing southward, just as the Korean counterpart Daechung was built. The roof was built with traditional tiles to better blend in with the surroundings. This validates that the missionaries endeavored to blend in traditional Korean style into the western-style houses, as part of their efforts adapt to Korea. 본 논문은 개신교 선교사들이 한반도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선교사들이 거주했던 주택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여 이질적인 서양 건축이 한반도에 적응하며 변화된 건축적 특징을 고찰한 연구이다. 1876년 개항 이후 한국 근대건축의 대부분은 일본을 통해 변형된 서양식건축이 유입되었는데 이와 다르게 선교사 주거건축은 서양식 건축이 한반도에 직접 유입된 사례로 한국의 근대건축 연구에 큰 의미가 있다. 선교사들이 한반도에 들어와 처음 정착한 곳은 서울지역으로, 서울 내 선교사 주택을 통해 선교사들의 주거생활을 초기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한반도에 이질적인 문화의 적응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적응에 따른 특징 분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선교사들은 입국 초기 공사관이 밀집해 있는 정동 일대에 부지와 한식주택을 매입하여 거주하였다. 그러나 한식주택에 거주함에 선교사들은 주거 공간이 협소하여 불편함을 느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하를 증축하거나 베이창(돌출창)을 외부로 설치하여 공간을 확장하였다. 또, 마당을 잔디와 식물을 심어 서양식 정원으로 개조하여 사용하였다. 간접적 선교 활동인 교육과 의료를 통해 선교사들은 조선인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었고, 교육과 의료 혜택을 받기 위해 모여드는 사람들로 선교 활동이 점차 확대되어 갔다. 모여드는 사람들로 선교사들은 선교 거점지를 확장하기 원하였고, 다른 교파와 선교 활동 영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선에서 새로운 선교 거점지를 형성하며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1900년대 초부터 선교사들은 서울 내 여러 곳에 선교 거점지를 형성하고 주택, 학교, 교회, 병원을 건축하였다. 새로운 선교 거점지에서의 주택은 선교사들이 주도하여 설계하였다. 선교사들은 미국식 평면과 미국식 구조인 서양식주택을 건축하였고, 난방설비를 본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하였다. 이는 한식주택을 개조하여 살았던 것보다 서양식 주택을 선호했고, 기존의 서양식 생활방식을 유지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선교사들이 서양식으로 주택을 건축했음에도, 서양식 주택에서 한식주택의 요소와 절충한 흔적들을 볼 수 있다.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져 한식주택의 대청의 용도와 비슷한 응접실을 한국에서 선호하는 남향으로 배치하였고, 건물의 지붕 재료는 기와를 사용하여 최대한 이질적으로 보이지 않게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선교사들이 서양식 주택에 이질적인 한식요소을 녹아내려 하였고, 한반도의 환경에 맞추어 적응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 白土를 사용한 조선시대 전통미장기법 연구

        이승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전통건축물의 벽체는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분짓고 실내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기능적인 요소이자, 외관을 형성하는 미적요소이다. 기둥 사이의 공간에 중깃과 욋가지로 바탕을 만들고 흙을 바르는 전통적인 흙벽구조에서, 흙벽의 정벌바름은 최종적으로 전통건축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정벌바름에 있어서 전통적인 사용재료와 기법을 연구하고 밝혀내는 것은 건축문화재의 진정성을 보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건축 관련 의궤의 기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미장공사에 사용된 백와, 사벽, 백토 등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또한, 백토의 용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백토의 재료적 성질과 미장재료로서의 기능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현재 국내의 백토 채굴 현황을 조사하고 지역별로 생산되는 백토의 성분분석을 통해 재료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석회와 백토가 사용된 대표적인 미장공사인 양상도회에 대하여 미장바름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실험체의 균열, 수축, 색상 등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석회와 백토를 사용한 미장면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회미장 공사에서 백토의 사용목적과 기능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양상도회와 현재 문화재수리공사에 사용되는 양상도회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전통기법의 복원을 위한 단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문헌에 대한 연구 결과, 백토는 조선시대 왕실의 도자기, 제례와 의례에 소용되는 제기와 악기 등의 제작 과정에서 폭넓게 사용되어온 재료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18세기 중반 이후에는 양상도회, 담장면회, 화방벽, 방전 및 박석 설치 시에 석회와 함께 사용되었으나 벽체 사벽에는 쓰이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국내 백토 산출지에 대한 현장조사와 성분분석 결과, 경남지역의 백토는 회장암을 모암으로 형성된 고령토질 점토에 해당하며 강원도 양구 지역의 백토는 화강암을 모암으로 형성되고 석영을 주성분으로 하는 모래질 도석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상도회 실험체를 제작하여 미장면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해초풀과 삼여물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현재의 양상도회 미장면에 비해 조선시대 의궤에 기록된 찹쌀풀과 종이여물을 사용한 양상도회 미장면의 미장성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현재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와 표준품셈에 규정된 양상도회의 사용재료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다. 양상도회 미장 실험체를 대상으로 수분 흡수량을 비교한 결과, 법유를 도포한 양상도회 미장면은 급격한 수분 흡수를 하지 않으며 법유를 도포하지 않은 미장면에 비해 수분 흡수량에 있어서 30%~35% 정도의 저감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법유 도포에 따른 양상도회 미장면의 흡수량 감소와 방수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조선시대 불전 판벽(板壁) 구성의 유형과 기법 연구

        김경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 전통 목조건축에서 수장부는 각각의 개별적인 부재들과 균형을 이루며 건축물의 공간(空間)을 이루는 기본 단위를 구성한다. 이러한 수장부의 개별 부재들 중에서도 실(室)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벽체라고 할 수 있다. 불전 전각에서 판벽을 활용한 사례는 조선 중·후기에 전국에서 산발적인 형태로 보이다가 19세기에 이르러 서울, 경기 지역에서 중점적으로 조성되는 형태를 띠게 된다. 불전에서 이러한 판벽이 조성되면서 시기별로 다양한 기법이 적용되고 있어 주목할 만 하다. 본 연구는 사찰 건축에서 판벽이라는 건축 요소가 부속 건물이 아닌 주요 공간에서 조성되는 것에 주목하여 조선시대에 건립된 불전 판벽의 기법과 형태 변화를 분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조선시대에 조성된 사찰 불전에 형성된 판벽을 대상으로 판벽의 구성 기법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불전 건축에서 판벽의 구성 기법이 변화하게 된 원인 및 영향을 미친 요소들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선 불전 판벽에서 나타나는 기법은 판벽을 조성하기 위해 새롭게 고안된 기법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기존의 치목 기법을 적용시킨 것이다. 기존의 기법을 바탕으로 유형을 분류하였을 때 인방재와 판재와의 맞춤을 기준으로 통장부맞춤 띠장형, 통장부맞춤 단독형, 반턱장부맞춤형, 제혀장부맞춤형, 못 고정형으로 다섯 가지 유형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함께 판재 간의 이음은 맞댄쪽매, 반턱쪽매, 딴혀쪽매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판재의 맞춤과 이음의 유형은 복합적으로 조합되는 형태로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구성과 기법의 변화는 조선시대의 건축 경제사적 상황, 치목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건물 내부 단열 성능에 대한 고민이 어우러져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조성 당시의 판벽 치목 기법에 대한 인식과 목수 개인의 건축적 성향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벽체 수장부의 경우 수리 기록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기존의 벽체 결구 형태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현재의 모습이 형성되었는지에 대해서는 근거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사찰에서 주요 예배 대상인 불전에 판벽이 조성된 사례는 전통 목조 건축의 결구 기법 변화와 더불어 연구의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추후 연구대상을 사찰 경내에 조성된 부속 전각의 판벽까지 확대하여 주요 불전뿐만이 아닌 종교 건축에서의 판벽의 특성과 유형별 특징을 정리해 나갈 것을 제안하여 본다. In Korean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sujangbu is the basic unit that makes up the space of the building in balance with each member of framework. Among each member of framework of this sujangbu, a wall plays a key role in constructing a house. A wood-panelled wall use case for buddhist pavilions appeared throughout the country in the middle and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and then appeared mainly in Seoul and Gyeonggi-do in the 19th century. It is remarkable that in buddhist pavilions,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a wood-panelled wall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eriod. We note that a wood-panelled wall was used in the main space for temple construction, not an affiliated building, and then began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technique and shape of a wood-panelled wall of buddhist pavilions built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 studied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a wood-panelled wall of buddhist pavilions of temples built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by types and, then identified the cause and effect of its change. It seems that a wood-panelled wall of buddhist pavilions is not a newly devised technique for the creation of a wood-panelled wall. It seems that a wood-panelled wall of buddhist pavilions is an application of conventional trim techniques for the construction of a wood-panelled wall rather than a newly designed technique. Based on the joint of inbangjae and timber,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technique type, there are five types including tenon joint-strip type(통장부맞춤 띠장형), tenon joint-single type(통장부맞춤 단독형), halved tenon joint type(반턱장부맞춤형), tongue and groove tenon joint(제혀장부맞춤형), and nailed-joint type(못고정형). With this, there are splice(맞댄쪽매), half lap splice(반턱쪽매), and spline joint(딴혀쪽매) in joint types between timbers. Timber's joint and splice types show different complex and combined forms at different times. We analyzed that this change in construction and technique seems to reflect concerns about the insulation performance inside the build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rchitectural economic history and trim technology, and also about a recognition of wood-panelled wall trim technique and individual carpenter's architectural orientatio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as to whether the current shape is formed based on existing joint-techniques due to the relative lack of repair records for sujangbu of a wood-panelled wall. Nevertheless, We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ase of a wood-panelled wall built on the buddhist pavilion, which is the object of worship, and the joint-techniques of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We also suggest to study the type-specific features of a wood-panelled wall of religious architecture as well as main Buddhist temples by expanding the subject of future research to a wood-panelled wall of attached buddhist pavilions built in the temple.

      • 가로경관 보존을 위한 파사드 보존 방안 연구 : 소공로 근·현대건축물을 대상으로

        김덕선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역사 도시 서울은 조선 건국 이래 약 600년간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중심지로써 역사의 흐름 속에 수많은 건축물들이 건립되어 건축 문화유산이 다양한 층위로 축적되어 있다. 그중 소위 전통건축물이라 지칭되는 조선시대 혹은 그 이전에 건립된 궁궐, 사찰 등의 건축 유산들은 지정문화재로 분류되어 문화재보호법이라는 제도 하에 보호받고 있는 반면 근대기 이후 건립된 근․현대건축물은 비교적 유연한 등록문화재 제도 아래 보호되고 있다. 등록문화재는 소유자의 재산권 행사에 대한 강한 규제가 뒤따르는 지정문화재와 달리 제한을 완화시키고 비교적 자유롭게 사유재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재는 재산권 침해라는 사회적인 인식이 여전히 만연하여 문화재 지정을 기피하고 있어 여전히 많은 건축 문화유산이 훼손 및 멸실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도심지에 위치한 근․현대건축물은 도시 개발과 건축문화유산 보존 사이의 갈등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도시환경정비사업과 같은 대규모 공공사업을 진행하면서 등록문화재로 미처 지정하지 못하거나 등록문화재 지정 절차 이행 이전의 건축문화유산이 훼손되거나 멸실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인 장치 마련도 필요하지만 근대건축문화유산을 활용함으로써 해당 건축물의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 가치의 보존뿐만 아니라 건축물과 도시의 활력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사회적으로 인식시키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지에서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도시 개발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보존 방법으로 파사드 보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파사드 보존 사례 분석을 통해 파사드 보존이 행해진 배경과 목적, 효과, 보존 유형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중구 소공로에 위치한 근․현대건축물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파사드 보존을 기초로 한 보존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건축 문화유산의 파사드 보존은 건축물 기능의 상실, 기능의 전환, 재해로 인한 훼손, 내부 공간의 확장, 도시의 개발 등의 배경 아래 가로경관의 보존, 파사드의 의장적 요소의 활용, 건축물의 사회적, 역사적 의미의 보존, 건축물의 재사용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파사드 보존의 유형은 보존 범위, 증개축의 범위, 보존 방법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존 범위를 기준으로 한 유형은 건축 요소의 보존, 정면부 보존, 2면 이상의 입면부 보존, 전체 입면부 보존, 1동 이상의 건축물의 정면부 연속적 보존, 구조체를 포함한 입면부 보존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증개축 범위를 기준으로 한 유형은 동일 규모의 개축, 수평 증축, 수직 증축, 수직수평 증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존 방법을 기준으로 한 유형은 입면부 단일 보존, 입면부 보존 및 기존 건축물 복원, 입면부 보존 및 신축 건축물 직접 접합, 입면부 보존 및 신축 건축물 분리 접합, 일부 구조체 포함 입면부 보존 및 신축 건축물 접합, 신축 건축물 내부에 기존건축물의 입면부 보존하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파사드 보존 사례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소공로 근․현대건축물의 파사드 보존안으로 제시하였다. 파사드 보존을 통하여 건축사적․문화사적 역사성, 기능성,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존안을 계획하였다. 건축물의 전면부 외벽을 보존하고 파사드 후면의 1스팬(span)의 1, 2층 보이드(void)한 공간으로 공공보행통로로 조성하여 기능성과 공공성을 확보한다. 공공보행통로에는 소공로의 역사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소공로의 역사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디자인적 측면으로는 공공보행통로를 신축건축물과 보존건축물을 시간적,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매개체이자 전이공간으로 계획하고 보존건축물의 디자인이 신축건축물과 조화롭게 연결될 수 있는 재료로 계획하여 이질감을 줄이는 완충공간으로 조성한다. 또한 공공보행통로를 기준으로 전면의 파사드와 마주하는 신축건축물의 공간에는 60, 70년대 양복점 1번지였던 소공로의 가로경관을 재현할 수 있도록 의류상점거리를 조성한다. 부원빌딩과 칠성빌딩의 위치에는 공공보행통로에서 3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자 휴식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단형 광장을 조성한다. 계단형 광장을 통해 공공보행통로에서 한일빌딩 3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선을 계획하고 근현대건축물 전시관을 조성하여 소공동 근・현대건축물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공간을 계획한다. 4층에는 파사드 외벽 디자인을 활용한 카페테라스를 마련하고 5층에는 오픈된 공간에서의 파사드를 볼 수 있는 야외 옥상 정원을 조성하여 일반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Seoul is a city rich in history and has been the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for 60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Countless buildings were constructed, forming multiple layers of cultural heritages that reflect the flow of time. The buildings built during the Joseon dynasty or before, such as palaces or temples, are called traditional buildings and classified as 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to be protected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Whereas modern and present-day buildings constructed during and after the modern era are protected 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under more flexible laws. However, many modern and present-day buildings remain exposed in a grey area, especially those located in the downtown area. A conflict of interest exists between those who seek urban development and those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in historical architecture. So it is not uncommon to see cases where the heritage is damaged or demolished due to massive public projects such as city urban renewal projects before it is registered as cultural property or the proceedings are carried out. In order to prevent reoccurrences of such cases, there needs to be not only structured policy in place, but also ways of utilizing modern cultural heritages to preserve the historical, artistic, and architectural values and raise public awareness on how these buildings can be revitalized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will elaborate on how cultural heritage in historical architecture can be preserved while not hindering urban development, using architectural facadism.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the study aims to propose a preservation method for modern and preset day architectures located at Sogong-no, Jung-gu, Seoul, based on the method for facade preservation. Preserving the facade for cultural heritages is practiced against the backdrop such as the loss of building functions, role transformation, damages caused by mishaps, expansion of interior space, growth of the city, etc., and seeks to meet certain criteria, including conserving streetscape, make use of external aesthetics, sav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rchitecture, and repurposing the building. Methods for architectural facadism can be classified by the area of preservation, range of remodeling and extension, or the ways for preservation. The area of preservation includes preservation of building elements, preservation of frontal part, preservation of more than two sides of facade, preservation of the entire facade, continuous preservation of frontal part of more than one building, and the preservation of the facade including the structure. The range of remodeling and extension includes remodeling to the same scale, horizontal extension, vertical extension, and vertical and horizontal extension. The ways for preservation include single facade preservation, facade preservation and existing building restoration, facade preservation and new building direct junction, facade preservation and separate junction, facade and partial structure preservation and new building junction, and lastly, existing facade preservation within the new building. Through facade preservation projects on modern and present-day buildings of Sogong-no, the architectural history, cultural history, potential, and public interest can be protected. Improving the current narrow path by building a public walkway can add to the public interest. It can also be utilized as a temporal and structural medium between new and existing buildings to provide buffer space and increase naturalness. Outdoors exhibitions can serve as reminders for Sogong-no’s history. By having new buildings beside public walkways be clothing stores, people can recall memories of the 60s and 70s when Sogong-no was a tailor shop street. Additionally, creating a staircase plaza in the place of Buwon Building and Chilsung Building, people are able to not only move from public walkway to third floor of Hanil Building, but also have a place where they can rest and meet with others. History museum for modern present days architecture history museum will be placed on the third floor to provide information on Sogong-dong’s architectural history to the public. The facade’s outer walls and roof can be redesigned to a cafe terrace on the fourth floor and a garden on the fifth floor for the general public to enjoy.Seoul is a city rich in history and has been the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for 60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Countless buildings were constructed, forming multiple layers of cultural heritages that reflect the flow of time. The buildings built during the Joseon dynasty or before, such as palaces or temples, are called traditional buildings and classified as 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to be protected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Whereas modern and present-day buildings constructed during and after the modern era are protected 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under more flexible laws. However, many modern and present-day buildings remain exposed in a grey area, especially those located in the downtown area, as there is a conflict of interest in urban development and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in historical architecture. It is not uncommon to see cases where the heritage is damaged or demolished due to massive public projects such as city urban renewal projects before it is registered as cultural property or the proceedings are carried out. To prevent reoccurrences of such examples, there needs to be not only structured policy in place, but also ways of utilizing modern cultural heritages to preserve the historical, artistic, and architectural values and raise public awareness on how these buildings can be revitalized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will elaborate on how cultural heritage in historical architecture can be preserved while not hindering urban development, using architectural facadism.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the study aims to propose a preservation method for modern and preset day architectures located at Sogong-no, Jung-gu, Seoul, based on the facade preservation method. Preserving the facade for cultural heritages is practic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loss of building functions, role transformation, damages caused by mishaps, expansion of interior space, growth of the city, etc., and seeks to meet certain criteria, including conserving streetscape, make use of external aesthetics, sav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rchitecture, and repurposing the building. Methods for architectural facadism can be classified by the area of preservation, range of remodeling and extension, or the ways for preservation. The area of preservation includes preservation of building elements, preservation of frontal part, preservation of more than two sides of facade, preservation of the entire facade, continuous preservation of frontal part of more than one building, and the preservation of the facade including the structure. The range of alteration and extension includes remodeling to the same scale, horizontal extension, vertical extension, and vertical and horizontal extension. The ways for preservation include single facade preservation, facade preservation, and existing building restoration, facade preservation and new building direct junction, facade preservation, and separate junction, facade and partial structure preservation and new building junction, and existing facade preservation within the new building. Through facade preservation projects, modern and present-day buildings of Sogong-no, the architectural history, cultural history, potential, and public interest can be protected. Improving the current narrow path by building a public walkway can help procure the public interest. It can also be utilized as a temporal and structural medium between new and existing buildings to provide buffer space and increase naturalness. Outdoors exhibitions can serve as reminders for Sogong-no’s history. By having new buildings beside public walkways be clothing stores, people can recall memories of the 60s and 70s when Sogong-no was a tailor shop street. Additionally, by creating a staircase plaza in the place of the Buwon Building and Chilsung Building, people can not only move from the public walkway to the third floor of the Hanil Building but also have a place where they can rest and meet with others. History museum for modern present days architecture history museum will be placed on the third floor to provide information on Sogong-dong’s architectural history to the public. The facade’s outer walls and roof can be redesigned to a cafe terrace on the fourth floor and a garden on the fifth floor for the general public to enjoy.

      • 사찰목조건축물 귀솟음·안쏠림기법에 관한 연구

        전성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a wooden building, the pillar is the most important vertical structural material of the frame, and the size, height, and shape of the member are determined first among the members in planning the building. Afterward, the size and shape of the remaining members, such as beams and purlin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pillars. It is a member that decides the overall shape and proportion of the building, such as the height of the roof and eaves. However, the current research on the pillar is mainly a design study on the shape of it, a survey on proportion through correlation with other members, and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members, while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on its actual history of technology. Based on these, this study examines the origin of the technique based on the Chinese literature 『Yeongjobeosig (營造法式)』 about the method of gwisoseum and anssollim used for pillars. Also, this paper examines the recognition of the methods, techniques after liberation, and practical use of it by artisans through records on the architecture of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mong all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No. 47 and No. 4 wooden temple buildings in which the dimensions of the members are clearly measured in the report, and detailed drawings of the sizes exist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research on the gwisoseum and anssollim techniques, respectively. A historical study on its technology was carried out on the practical use and application of the gwisoseum/anssollim technique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illars and other members of the wooden temple building.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gwisoseum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subjects by adjusting and utilizing the height of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total length of the column in combination. Also, when the gwisoseum was used, the following supplementation adjustment was complemented in the windows and doors formation. The coordination was done through lintel to form the windows and doors. The remaining wooden structure of subject building 4 did not used the anssollim technique at all. However, when examining the anssollim techniqu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other members, its trace remains in the upper part of the intercolumniation while the directions of column inclination are not constant: some are toward the straight path and some oblique. In this study, the existence and application technique of the gwisoseum anssollim technique used for pillars in wooden buildings were investigate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select the research subjects because only a few clear data could be used, which resulted in an unclear conclusion. Therefore, starting wit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dditional research on gwisoseum and anssollim techniques will proceed in various fields. 목조건축물에 있어 기둥은 축부의 가장 중요한 수직구조재로써, 건축물을 계획함에 있어서 부재 중 가장 먼저 그 크기와 높이, 형태를 결정한다. 이후 결정된 기둥을 기준으로 보·도리 등 나머지 부재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게 되며, 또한 지붕의 높이와 처마내밀기 등의 건축물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형태와 비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부재이다. 하지만 현재 기둥에 관한 연구는 기둥의 형태에 대한 의장적인 연구이거나 다른 부재와의 크기에 대한 상관관계를 통한 비례에 관한 연구, 부재들 간의 결구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기둥 그 자체에 대한 실질적인 기술사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가지고 기둥에 사용된 귀솟음·안쏠림 기법에 대하여 중국의 문헌인 『영조법식』을 바탕으로 기법의 원류에 관하여 살펴보고, 일제강점기 당시의 조선건축에 대한 연구기록을 통해 기법에 관한 인식과 해방이후 기법에 관한 연구 및 장인들의 실질적인 기법의 활용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전체 국가지정문화재 중 보고서 상에 부재의 치수가 명확히 실측되어 있고, 그 치수에 관한 상세도면이 존재하고 있는 사찰목조건축물 47동과 4동을 각각 귀솟음과 안쏠림 기법에 관한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찰목조건축물의 기둥과 다른 부재들과의 상관관계들을 통하여 귀솟음·안쏠림 기법의 실질적인 사용여부와 활용방식에 관한 기술사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구대상에서 초석 높이와 기둥 전장을 복합적으로 조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건축물에 있어서 귀솟음 기법을 적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귀솟음 기법이 활용될 경우 그에 대한 부재 치수의 조정을 통한 보완은 대부분 창호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확인되었으며, 방식에 있어 대부분 인방을 통하여 그 치수를 조정하여 창호를 형성한 것을 확인하였다. 안쏠림 기법에 있어서 연구대상 4동의 경우 모두 현황 목조건축물에서는 안쏠림 기법이 존재하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다른 부재와의 연관성을 통하여 안쏠림 기법을 살펴볼 때, 기둥의 쏠림 방향에 있어서는 각각 직선과 사선방향으로 일정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주칸거리의 경우 기둥 상부를 기준으로 기법이 적용된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목조건축물에 있어 기둥에 사용된 귀솟음과 안쏠림 기법에 관한 그 존재여부와 활용기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다만 명확하게 활용 될 수 있는 자료가 미미하기 때문에 연구대상을 선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었고, 명확한 결론이 도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를 시작으로 추가적인 귀솟음과 안쏠림 기법에 관한 다양한 방면의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 율장을 통해 본 사비기 사찰 승원(僧院)의 배치공간 연구

        윤민경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고대사찰 승원은 출가수행자의 수도생활이 영위되는 공간으로써 부처님의 공간인 탑원과 구별되는 사찰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인도에 뿌리를 둔 불교계율서 율장이 백제 사비기 사찰 승원 건축에 영향을 주었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그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백제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율장과 사비기 사찰 승원 건물지를 비교하여 율장의 승원 건축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비교 결과, 율장과 사비기 승원은 배치·기능·평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동시에 확인되었다. 첫째‘승원의 배치’는 율장과 사비기 승원이 각각 형성위치, 방위에서 차이점을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밝히고자 중국의 고대 사지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동아시아 불교 전래 과정에서 생겼던 변화라고 파악하였다. 둘째‘승원의 기능’은 율장과 사비기 승원이 공동체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율장에 비해 사비기 승원은 추가적으로 국가적인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되어 차이점을 나타냈다. 셋째,‘승방의 평면’은 율장과 사비기 승원 건물지가 형태면에서 공통점을 보여주었다. 특히 미륵사지 동승방지로 대표되는 사비기 승방지의 평면 형태를 설명하는 용어로써 율장에 등장하는“양방일호(兩房一戶)”가 적합한 용어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승방지 규모를 검토하면서 율장에 등장하는 길이 단위인 “불책수(佛搩手)”를 미륵사지 승방지 용척에 대입하여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치수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백제는 사찰에서 승원을 구성하고 승방을 건립함에 있어 중국의 문화를 도입함과 동시에 인도에서 유래한 율장을 자체적으로 해석하여 나름의 승원 배치공간을 정립해 나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율장의 사비기 사찰 적용가능성은 긍정적으로 판단된다. The monastry area of ancient temples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emples that distinguish them from the Buddha's space, which is the capital life of monks. This study began with the view that the Vinaya Pitaka, which is rooted in India,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in Sabgi of Baekje. In order to verify its connection, the applicability of the Vinaya Pitaka's temple architecture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Vinaya Pitaka and the buliding remains of temple in Sabigi, which were presumed to have been introduced to Baekj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Vinaya Pitaka and Sabigi monastry area were identified simultaneously in common and different in layout, function, and plane. The "layout of monastry area" showed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position and defense of Vinaya Pitaka and Sabigi,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cause of this difference, the case of ancient Chinese temples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layout was found to have occurred during the introduction of East Asian Buddhism. "Function of monastry area” indicated that Vinaya Pitaka and Sabigi monastry area perform community functions. However, compared to Vinaya Pitaka, Sabigi monastry area showed differences in performing additional national functions. "Plane of vihara" showed that Vinaya Pitaka and Sabigi monastry area's architecture were in comm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Yang bang Il ho(兩房一戶)" appeared in Vinaya Pitaka was a suitable term to describe the plane form of Sabigi vihara, represented by Mireuksaji east vihara. also, in reviewing the scale of vihara, the new dimensional analysis that has not been attempted so far was attempted by substituting the length unit "Bul Chaek Su(佛搩手)“ in the Vinaya Pitaka to the Mireuksa temple site. In conclusion, Baekje is believed to have established its own space for the layout of Buddhist temples by introducing Chinese culture and interpreting Vinaya Pitaka, which originated from India, in order to construct Buddhist temples.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Vinaya Pitaka's Sabigi monastry area is posi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