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저학년 인성교육을 위한 동요 지도방안 연구

        김소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인성이 강조되어왔다. 인성이 강조되는 사회에서 어린이들은 자신보다 남을 먼저 생각할 줄 알고, 타인에게 예의를 갖출 줄 아는 사람으로 자라게 되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자라나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인성 상태가 심각한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특히 학교폭력과 관련된 법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다방면으로 급속한 발달을 이루는 시기인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인성교육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의 한 방법으로 올바른 사고와 가치관을 길러줄 수 있는 동요를 선택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계획하고 수업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동요 지도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바른 인성을 길러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동요는 2000년도부터 2010년까지 MBC 창작동요제의 입상곡 중 가족, 친구, 본인이라는 항목에 따라서 선택하였고, 선택된 곡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인성요소를 추출하여 그에 맞게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동요 지도는 서울시에 위치한 OO초등학교의 돌봄교실에서 10주간 진행되었으며. 10주간의 과정 전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동요 지도가 인성교육에 어떠한 효과를 보였는지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는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가족, 친구, 본인이라는 각 항목에 따라서 나누어진 인성요소에 맞춘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생들이 6개의 답변 중 하나를 고르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답변은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전과 사후의 비교를 위하여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실행한 동요 지도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위한 인성교육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Character has been emphasized traditionally in Korea. In a society where character is stressed, children have been cultivated as the persons who are able to think others first before themselves and be courteous to other people. However, the personality of children and teenagers growing up in modern society is exceeding a serious level. In particular, laws related to school violence are becoming stricter. Therefore,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mandatory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ho are in a period of rapid development in many ways. In this study, children’s song is chosen as a way of character education that can foster upright thinking and values and the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is prepared and applied to the cla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ster the upright character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children’s song teaching. The songs were selected from the prize-winning songs of the MBC Creative Children Song in Korea from 2000 to 2010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family, friend and oneself, from which the personality factors that can be found were extracted, and the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was developed accordingly. The children’s song teaching was implemented for 10 weeks in the Care Class of OO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Before and after the 10-week course, surveys were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children’s song teaching had an effect on character education. The surveys were implemented by being divided into ex-ante survey and ex-post survey. The contents of the surveys consist of questions tailored to personality factors which were divided according to each category of family, friend and oneself, and students were asked to choose one of the six answers. The students' answe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 program,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for comparison between the ex-ante survey and ex-post surve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limitation and improvement of this study are presented. The author hopes that the children’s song teaching implemented through this study will help in character education for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1인 1악기 피아노 활동이 음악교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한빛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음악교과는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며, 음악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안목을 키우고 음악을 삶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이다. 음악교과에서 악기연주학습은 필수적인 요소이며 음악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음악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다. 여러 악기연주학습 중 피아노는 다른 악기에 배해 음역이 넓고, 리듬감이 있으며, 선율과 화성적 조화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가창, 창작활동에 필수적이고 악기반주, 음악이론에도 피아노 연주학습은 효과적이다. 이러한 피아노 연주학습의 효과를 활동하여 음악교과학습과 연계한다면 효과적인 음악교과학습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1인 1악기 피아노 활동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사례를 통해 1인 1악기 피아노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학교현장에서 피아노 연주학습의 환경조성과 인식개선을 위한 음악교과학습과의 연계방안 마련에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에서는 1인 1악기 교육 사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1인 1악기 피아노 활동을 운영하는 서울시 소재의 OO중학교의 사례를 수집,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는 OO중학교의 학생과 음악교사, 강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학생의 설문결과와 음악교사, 강사의 설문결과를 비교하여 1인 1악기 피아노활동과 음악교과 학습간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1인 1악기 피아노활동이 음악교과 학습에 미친 영향을 제시하고, 연계방안과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제시한 방안을 바탕으로 많은 학교에서 1인 1악기 피아노 활동이 활성화되길 바라며 음악교과 학습에 효과적인 활동이 되었으면 한다. Music is the subject designed to let a person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develop musicality and creativity,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and value of music, and encourage a person to enjoy music in everyday life. For the subject of music, learning to play instruments is an essential factor that promotes creative musical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music. Of various instruments that students learn how to play, piano has a wider musical range than the other instruments, has rhythmicality, and lets a person experience a mix between melody and harmonics. Furthermore, it is indispensable for singing and creative music composition, and learning to play piano is effective for providing accompaniment to another instrument and for understanding music theory. Tapping into such effects of learning to play piano and linking them with learning the subject of music can lead to effective learning in the subject of music.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inquiring into the piano activities for one instrument for everyone, presenting the method for activating one instrument for everyone activities through related cases, and coming up with a plan to connect to learning in the subject of music with a view to creating an environment for learning to play piano in schools and improving its public perception.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Literature review involves research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one instrument for everyone project and collecting and presenting the case of ○○ Middle School in Seoul, which runs One Instrument for Everyone Piano Activ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udents and the music teachers and instructors of ○○ Middle School. By comparing the responses from the students and those from the music teachers and instructors, I have examined the connections between One Instrument for Everyone Piano Activities and the subject of music. On this basis, I have described the influences that One Instrument for Everyone Piano Activities exerted on learning in the subject of music and presented a plan to connect them and a plan to activate it. It is my hope that the described plans will activate One Instrument for Everyone Piano Activities at a lot of schools and help learning in the subject of music.

      •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고등학교 음악창작 지도방안 연구

        오혜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및 주제어(키워드, 핵심어)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고등학교 음악창작 지도 방안 연구 Application of SCAMPER Techniques on Creative Music Activities of the high school 오혜경 음악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급변하는 미래 사회의 요구되는 새로운 능력은 구체적 능력의 총체인 창의성 이다. 창의성은 주요한 경쟁력이자 필수적인 능력으로 우리나라 교육에서도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조연순 외(2009), 창의성 교육-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과 교육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성 계발을 강조하며 음악교과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음악성과 창의성을 키우는 학습 경험을 확장 시키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교육현장에서 창의성은 이론적 수준에만 머물러 있을 뿐 교육이 제대로 실현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창의성 육성 기법인 스캠퍼 기법을 음악수업에 적용하여 학교 음악 수업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음악과 교수법을 설계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먼저, 본 연구의 핵심개념인 창의성과 창작활동의 중요성, 음악교육과 창의성의 관계를 문헌과 교육과정을 통해 살펴보고, 음악과 수업 지도에 적용할 스캠퍼 기법의 개념 및 특징, 사용목적, 기대하는 효과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물로 스캠퍼 기법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음악과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설계하였다. 수업 지도방안은 2009개정 교육과정을 근거로 한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교과에서 제시빈도수가 가장 높은 ‘음악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곡 만들기’, ‘기존의 곡 다르게 바꾸기’, ‘모둠별 다양한 활동하기’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음악과 수업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법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보다 다양한 측면의 창의성 사고기법을 적용한 음악과 지도 방안이 연구되어 창의적 인재 양성에 앞장서는 음악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주제어 스캠퍼, 창의성, 음악교육과 창의성

      • 음악극을 활용한 통합적 예술가곡 지도방안 연구

        최유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5개정 교육과정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한다.”를 목표로 창의적인 통합교육·융합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음악 분야의 전문 지식과 소양을 토대로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해내고, 자신이 학습하거나 경험한 음악 정보들을 다양한 현상에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융합 사고역량을 말하였으며, 중학교 목표에서는 음악을 창의적으로 표현함을 강조하며, ‘음악’을 중심으로 한 다른 예술 영역과의 연계과정에서는 음악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다 하였다. 본 연구는 예술가곡을 활용한 통합예술 음악극 창작 수업을 연구 개발하여 통합교육과 통합적 음악교육, 예술가곡, 음악극을 고찰하여, 지도 모형을 고안해내고 적용하여 음악, 문학, 미술, 무용, 연극의 예술 교과의 통합으로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할 수 있는 예술가곡을 활용한 통합예술 음악극을 창작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연구에 필요한 통합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통합교육과 통합예술교육에 대해 알아본 후 음악과 문학의 결합인 예술가곡에 대해 고찰하며, 예술가곡의 대가 슈베르트의 예술가곡 중 ‘2015개정 음악교과서’ 14종 중 많이 실린「들장미」,「보리수」,「마왕」,「송어」4곡을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이후 여러 통합예술을 할 수 있는 활동으로 음악극을 고찰하였으며, 고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예술가곡을 활용한 통합예술 음악극 창작 통합교육과정 모형과 프로그램 모형을 새로이 도출해냈다. 도출해낸 모형을 기반으로 통합구성요소 중심으로 수업 활동 단계를 계획하였으며, 이 계획을 중심으로 6차시의 지도계획을 구성하여 6차시의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제시한 방안을 바탕으로 많은 학교에서 예술가곡을 활용한 통합예술 음악극 창작 수업이 활성화되길 바라며 음악교과의 통합예술의 한 방안으로서 다양한 예술요소 활동을 통한 음악극 창작으로서 예술가곡의 이해에 효과적인 활동이 되길 바란다. 또한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육성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15 emphasizes creative and integrated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e aim to “raise creative and well-balanced individuals with desirable moral characters by fostering essential abilities that the future society desires.” The aim of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is to instill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abilities that can produce new and unique ideas based on musical knowledge and refinement. In addition, incorporate a wide range of mus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to various circumstances. In addition, the aim of the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highlights the creative expression of music. Furthermore, the aim of the curriculum associated with other art classes centering on music i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music.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artistic, musical drama using art songs.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s general integrated education as well as integrated music education, art songs, and musical dramas to design and implement teaching plans for students to gain a diverse artistic experience through integration of art songs in other art classes, such as music, literary art, fine art, and drama. First,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integrated education Then, this study examined integrated education, such as integrated art education. In addition, it examined art songs as an integrated form of music and literature. Next, four most popular art songs by Schubert (Heidenröslein, Der Lindenbaum, Der Erlkönig, and Die Forelle) were chosen and analyzed from 14 music textbooks that were revised according to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plan.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musical dramas as integrated art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the researcher designed a new model for integrated artistic musical drama education and a program model that uses art songs. Based on the models, classroom activity levels centering on the integrated elements were proposed. Moreover, based on this proposal, six teaching plans were designed. It is hoped that many schools will refer to the proposed plans and utilize the integrated model of artistic musical drama creation using art songs. In addition, it is anticipated that educators will appreciate the model as a means of integrating a variety of art elements for students to understand art songs better.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assisting the development of talented individuals who fit the creative and convergent type desired by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15.

      • 하브루타 학습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 감상 지도방안 연구

        정서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음악과는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융합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음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법이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한 명의 교사가 다수의 학습자를 교육해야 하는 실정에서 새로운 교수 방법을 시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흥미를 느끼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업 방법의 개선이 절실하다.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수업이 학습의 능률을 높여준다는 점은 이미 많은 연구에서 증명되었다. 또한 자기 주도적 수업은 이름이나 방법의 차이는 있지만, 시대와 국경을 초월하여 여러 방향으로 시도되어왔다. 본 논문에서 다룬 하브루타 학습법도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수업방법 중 하나이다. ‘하브루타’는 히브리어로, ‘짝을 지어 질문하고 대화하고 토론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대인들을 중심으로 활용된 이 교수법은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수업을 이끌어가는 데 유용하다. 하브루타 학습법을 적용한 학습자들은 반성적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또래와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수업현장에서도 하브루타 교수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실적인 제약들로 음악과에서는 하브루타에 대한 적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하브루타 학습법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 음악과 감상 수업에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으로 총 5장으로 구성하였다.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과 내용 및 방법, 연구의 제한점을 모색하고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부터 4장까지의 본론에서는 감상교육과 비평교육의 이론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하브루타 학습법의 원리와 특징을 분석했다. 그것을 바탕으로 감상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하브루타 모형을 재구성하였다. 특히 음악과 교육과정의 ‘음악 감상과 비평’ 진로선택과목은 비평이라는 영역이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내용 및 효과성이 하브루타 교육과 연관성을 갖는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음악과 교육과정과 관련한 하브루타 모형으로 ‘제1모형- Subject 질문 중심’과 ‘제2모형- Subject 토론 중심’을 도출하였다. 이어 이러한 모형들이 실제 음악과 수업에서 어떻게 구체화하여 하브루타의 이론적 적용과 효과를 끌어낼 수 있는지 수업모형과 적용사례를 2개의 지도안으로 총 2차시씩 제시하였다. 5장의 결론에서는 효과적인 주제선정에 따른 학습법을 적용해 감상 수업 학습지도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하브루타 학습의 이론적, 역사적, 철학적 토대를 밝히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실험적 적용 단계에 있는 하브루타 음악과 학습의 적용 가능성 및 수업 양상을 탐구해 봄으로써 하나의 시도를 모색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추후 학교현장에서 감상수업을 진행할 때 효과적이고 다채로운 수업을 통하여 능동적인 학습 태도와 자기만족감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music department aims to foster creative and all-round convergence talents through various activities. For this purpose, various learning methods are recommended for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music activities. However, with one teacher having to educate a large number of students, there is a limit to trying new teaching method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improve the way students are taught in order to interest and actively involve them in learning. Many studies have already demonstrated that active student-oriented classes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n addition, self-active class has been tried in many directions across time and borders, despite coming in different names and methods. The Havruta learning method, which is cover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Havruta" is Hebrew, which means "asking questions, talking and discussing in pairs". This method of teaching, mainly used by Jews, is useful for learners to lead classes. Students who apply the Havruta learning method can develop reflective thinking skills, and develop desirable characters by interacting with peers. Recently, interest in Havruta has been increasing in south korea's classroom field, but due to realistic constraints, the application of Havruta to music class is limi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and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to music and appreciation classes.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total. Chapter 1 explore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content and methods of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s well as looking at prior research. Chapters 2 to 4 of the main theory reviewed the theory of appreciation education and critical education, and analyzed the principles and features of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n particular, the "Music Listening and Criticism" subject in music curriculum has an area called critic, so its contents and effectiveness are related to the Havruta education.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es, the 'first model-subject question center' and 'second model-subject discussion center' were derived from the Havruta model related to music and curriculum. The class model and the application case were then presented in two maps, total of two times, how these models could be embodied in real music and class to derive the theoretical application and effect of Havruta. The conclusion in Chapter 5 suggested that an effective topic selection method could be applied to present an appreciation class learning guide. This paper reveals the theoretical,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Havruta learning.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and teaching aspects of Havruta music and learning that is in the experimental application phase. We hope that active learning attitude and self-satisfaction will be improved through effective and colorful classes when conducting appreciation classes at school sites in the future.

      •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음악감상 지도안 연구 : 고등학교 감상 제재곡 중심으로

        김정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은 전통적 수업 방식과 달리, 교실 수업 전에 학생들이 동영상 강의나 멀티미디어 매체 등을 활용하여 교실 수업에 필요한 선행 학습을 실시하고 본시 수업에서는 토론이나 과제 수행 등의 다양한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수업 방식을 말한다. 거꾸로 교실을 통해 과거 교사 중심의 강의식에서 학생 중심의 활동형으로 수업 형태가 바뀌었다. 이에 학생이 수동적 역할을 하는 문제 풀이식, 주입식, 암기식 수업이 아닌,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사고력과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감상 제재곡을 중심으로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음악감상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감상 영역과 관련된 교육과정 요소와 현행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10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감상곡을 분석하고, 가장 많이 수록된 중세 시대의 ‘그레고리오 성가’와 르네상스 시대의 ‘교황 마르첼루스 미사’를 감상 제재곡으로 선정하여 총 4차시의 음악감상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악감상 지도안은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음악과 음악가의 역할, 음악을 경험하는 방식, 음악적 특성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둘째,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음악감상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배워야 할 음악요소와 개념은 교실 밖에서 학습하도록 구성하고, 교실 안에서는 수업 시간의 대부분을 학생이 직접 참여하고 주도하는 다양한 수업 활동으로 계획하였다. 마지막으로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음악감상 지도안은 수업 전 활동 과정안과 본시 수업 지도안으로 구성되었다. 수업 전 활동은 본시 수업에 필요한 학습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본시 수업에서는 이를 토대로 학생들이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안을 고안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음악감상 지도안이 실제 학교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거꾸로 교실이 적용된 다양한 음악감상 지도안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e flipped classroom refers to a teaching approach whereby prerequisite learning necessary for classroom teaching is driven out of the classroom with the utilization of video lectures or other multimedia, and the actual classroom teaching is conducted based on various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s, task performance, etc., with students taking the lead. The flipped classroom approach has made it possible to convert classroom teaching from the traditional teacher-centered lecture to the student-centered activities, and brought changes to the classroom teaching.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ing plan for music appreciation based on the flipped classroom approach, focusing on high school music pieces for appreciation. To this end, the study has analyzed curricular elements related to the appreciation section in the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pieces for appreciation included in ten music textbooks of the current high school "Music and Life," and selected the "Gregorian chant" of the Middle Ages and the "Pope Marcellus Mass" of the Renaissance period, which are most frequently included in the textbooks, as the music pieces for appreciation, to compose the teaching plan for music appreciation based on four class times,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plan for music appreci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understanding a variety of functions of music and musicians, ways of experiencing music, and musical characteristics, as specified in the curriculum. Second,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based on the flipped classroom approach is constructed such that students learn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that need to be learned, outside the classroom, and inside the classroom, most of the classroom hours is used for students to take part and take the lead in various classroom activities. Lastly, the teaching plan for music appreciation based on the flipped classroom approach is composed of pre-classroom activities and actual classroom teaching, wherein the pre-classroom activities are based on learning topics necessary for the actual classroom teaching and the actual classroom teaching facilitates diverse classroom activities of students based on the learning topics learned through the pre-classroom activities. To conclude,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ing plan for music appreci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ly used in actual school classes, and various teaching plans for music appreciation based on the flipped-classroom are further developed.

      •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뮤지컬 수업 지도안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이여운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사회에서는 첨단 IT 기술과 무선 네트워크가 빠르게 발달하고 있으며 이는 교육 내용 및 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 스마트기기의 등장으로 학교 현장에서는 맞춤 학습, 개별화 교육, 학습자 스스로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는 등의 다채로운 교수·학습 활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스마트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음악수업에서 악기 대체, 개별 학습, 학습 결과물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여 교사와 학생들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한다. 스마트기기의 이러한 제반 기능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는 시간이나 장소의 제약 없이 교수·학습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뮤지컬은 2009 개정 음악교육과정의 표현 영역에서 ‘창의적으로 음악 만들어 표현하기’ 중 ‘주제에 맞는 노랫말과 극본을 만들어 음악극으로 표현할 수 있다.’에 명시되어 있다. 음악에 연기가 접목된 뮤지컬은 여러 교과와의 통합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한편의 뮤지컬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가창, 작사 및 개사, 악기 연주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체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으로 인해 뮤지컬은 최근 음악교육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활용과 뮤지컬, 두 가지의 학습 방법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수업 방법이며, 효과적이고 유용한 학습 도구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뮤지컬 수업 지도안을 구상하여 적용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을 뮤지컬 수업에 활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동영상 제작과 같은 난도 높은 기능을 비교적 쉽게 습득하고 뮤지컬 동영상을 수월히 제작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뮤지컬 수업을 통해 다양한 자료의 활용, 학습 내용에 대한 흥미도 향상, 창의적인 수업 활동이 가능하였다. 셋째,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뮤지컬 수업은 교사가 아닌 학생이 주체가 되어,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해 함께 결과물을 만드는 협업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학생들의 성취감과 협동심이 향상되었다. 넷째,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뮤지컬 활동 후 학생들의 음악수업 만족도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상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뮤지컬 활동 수업은 음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 향상, 어려운 기술을 보다 쉽게 습득 가능,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가능, 모둠 간의 원활한 소통, 모둠원에 대한 배려심 향상, 책임감 상승 등 협동 학습의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뮤지컬 수업 지도안은 실제 음악수업의 교수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기초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채롭게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의 고안, 음악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력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의 발견 등 음악 교육과 관련하여 다방면의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요소 이해도 조사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황홍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2015개정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에 제시된 7가지 음악 요소의 이해도를 측정하여, 음악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습 수준을 파악하고 평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중 ‘음악 요소 및 개념 체계표’와 초등학교 교과서 6종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평가 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내용을 선택형과 서술형, 필기문제와 듣기문제, 그리고 일반 음악과 국악 3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지를 구성하였다. 연구 평가는 크게 예비연구와 본 연구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예비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급 2개 반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예비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지를 수정•보완하여, 6개 반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먼저 각 문제에 따른 정답률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음악 요소별로 통합하여 영역별 이해도를 산출하였다. 이어서 문제 각각에 대한 이해도를 파악하기 위해, 선택형 문제는 각 문제별 문항 선택률 통계를 산출하여 다수 선택된 오답 문항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서술형 문제는 작성된 정답을 수집하여 다수 작성된 오답을 유형화하고, 유형화된 주요 오개념을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7가지 음악 요소에 대한 이해도는 음색-셈여림-가락-형식-빠르기-리듬-화음의 순으로, 음색 영역의 이해도가 가장 높고 화음 영역의 이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각 요소와 그에 따른 개념에 따라서 이해도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7가지 음악 요소에 대한 전체 이해도는 절반정도로 상당히 미흡한 상태에 머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먼저 교사는 음악 요소 및 개념에 대해 깊이 이해할 뿐만 아니라, 음악 요소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해야한다. 또한 학생들의 음악 요소 이해도를 파악하여 부족한 부분을 재학습시키되, 각 음악 요소에 따른 악곡 및 학습 활동을 적절하게 계획하고 적용해야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음악 요소 이해 학습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easure the understanding of the seven musical elements in the Table of Musical Elements and Concept Systems under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of 2015 among seventh graders in middle school.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identified a set of evaluation elements based on the "Table of Musical Elements and Concept Systems" under the music curriculum and the analysis of six music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The identified eleme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ree criteria, which include multiple-choice and subjective questions, writing and listening questions, and general music and Gukak, to develop an evaluation form. Research assessment took place in preliminary and main study. The preliminary study involved two seventh grade classes in middle school. Its results were use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evaluation form. The main study covered six classes. As for research and analysis methods, the study first calculate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each question and then the understanding level of each area by combining the results by the musical elements. To figure out the understanding level of each question, the investigator calculated the statistics of item selection rates for each multiple-choice question and conducted analysis around the items to which many students chose a wrong answer. For subjective questions, the study classified wrong answers that many students gave by collecting the right answers and analyzed them based on the major misconceptions that were classified. These processe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A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seven musical elements, the students recorded the highest level of understand in tones, which were followed by dynamics, melodies, forms, tempo, rhythms, and chords in the order. The level of their understanding was the highest in tones and the lowest in chords. There were huge deviations in their understanding according to each element and its concept. Their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seven musical elements was about a half level, which means that their understanding was considerably po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nvestigator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Teachers should firs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musical elements as well as the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profoundly. They also need to figure out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elements among their students and have them study the ones of insufficient understanding again while planning and applying musical piece and learning activities properly according to each of the musical elements. These processes will help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us bring positive changes to the study and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elements.

      •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생산과 소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제홍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83

        Korea and Japan have many similarities as members who need to realize the global goal of carbon neutrality. Both Korea and Japan are highly dependent on imported energy and their policy-making process tend to be top down. Despite these similarities, Korea and Japan show clear differences in how to their realize energy policies and accordingly the policy results are also different. Both Korea and Japan have goals to make energy transition to new and renewable energy in the field of electricity generation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and there are many similar long-term plans to realize them. However, there are interesting differences in their energy production, consumption, and sales systems. In particular, Korea is focusing on hydrogen consumption and utilization. Korea tends to prioritize consuming by-product hydrogen, a by-product of fossil fuels, rather than producing green hydrogen that is more effective for carbon neutrality.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is government in tend to be much more active in production,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long-term policies are being prepared to establish a supply chain of hydrogen (new energy) as a medium for energy However, due to the high production cost of new energy (hydrogen), it is being neglected in the economic sector, and renewable energy is also suffering from difficulties in utilization and consumption due to the peculiarity of the Japanese retail power market.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Korean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through comparative study with the Japanese. This 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Korea needs to use eco-friendly green hydrogen, which is advantageous for carbon neutrality, Korea is securing a sufficient amount of hydrogen in its oil industry and uses gray hydrogen. However, Japan has secured liquefied hydrogen transportation technology to expand its hydrogen supply chain from overseas (Australia, etc.) in the field of hydrogen storage, transportation, and consumption (utilization). Second, in the renewable energy sector, Japan can support distributed power sales systems along with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o that consumers can selectively use the generated power. For Korea as well,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microgrid sytem to reform the electricity market. Third, Japan fully liberalized its electricity market in 2016 and established its retail power sales system. Post-retail power businesses are contributing to carbon neutrality as they are creating a foundation for distributed energy production, but this can be pointed out as a challenge to overcome due to the increased consumer burden. In Korea, its electricity market has been much more centralized, which contributed to stable power supply. However, as the investment, transmission, distribution, and sales system for renewable energy facilities necessary for carbon neutrality remain in the early stages, the electricity market needs to be reorganized. Currently, Korea's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has a high proportion of thermal power generation tailored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proportion of fossil fuel power generation is not expected to decrease substantially in the future. However, to achieve the target of 2050 carbon neutrality, future energy supply and demand must be based on de-carbonization of electric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chievement of carbon neutrality should be regarded a key task and policy goal for a country who is willing lead energy transition. 탄소중립이라는 글로벌 목표를 실현해야 하는 일원으로 한국과 일본은 여러 유사점을 갖고 있다.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고, 정책 결정에 있어서 국가 주도적 성향이 강하다는 점도 비슷하다. 이렇게 다양한 유사점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은 에너지정책을 실현하는 방법과 그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점을 보인다. 한국과 일본은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전력산업에서 탈탄소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며 실현하기 위한 장기적 계획안도 유사한 측면이 많다. 그러나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생산·소비·판매 체계에서는 흥미로운 차이점들을 보인다. 특히 한국은 재생에너지 생산이 부진한 가운데 신에너지인 수소 소비와 활용에 집중하는 측면을 보이고 있고, 탄소중립에 효과적인 그린수소 생산 보다는 화석연료의 부산물인 부생수소를 소비하는데 집중하는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저장, 운송 부문에서 정부 주도로 활성화되고 있다. 그럴 뿐만 아니라 신에너지인 수소를 사용하면 탄소중립의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는 특징을 활용하고자 에너지 전환의 매개체로서 수소(신에너지)의 공급망 구축에도 장기적인 정책을 마련해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신에너지(수소)가 높은 생산단가 때문에 경제성 부분에서는 외면받고 있고, 재생에너지도 일본 소매전력시장 특이성으로 인해 활용과 소비영역에서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처럼 한국과 일본은 탄소중립이라는 같은 목표를 설정하고 비슷한 에너지 상황에 놓여있으면서도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는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생산과 소비의 특성’을 ‘일본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전력산업의 시장구조’와의 비교를 통해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한·일 모두 에너지를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이다 보니 제조업의 소비는 규모에 따라 에너지 소비도 증감한다는 유사점을 발견하였다. 현재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대안으로 신에너지 수소 사용과 재생에너지 발전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도 두 나라가 공통적인 상황이었다. 한·일 간 차이점은 첫째, 한국은 자국의 석유산업에서 충분한 물량의 수소를 확보 중이나 그레이수소를 사용하고 것이기 때문에 탄소중립에 유리한 친환경 그린수소 사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본은 수소의 저장·운송·소비(활용) 부문에서는 해외(호주 등)로부터 수소 공급망을 확충하고자 액화수소운반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둘째, 재생에너지 부문에서는 일본은 생산된 전력을 소비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송배전과 함께 분산된 전력 판매체계까지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은 재생에너지 사업자가 전력을 판매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력시장 개편을 위한 마이크로그리드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일본은 2016년 전력시장 전면자유화를 통해 민영화하면서 소매 전력 판매체계까지 마련하였다. 향후 소매 전력 사업자는 분산에너지 생산의 기반을 조성해 가고 있으므로 탄소중립에 기여하고 있지만, 소비자 부담이 증가하여 극복해야 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은 단일화된 공기업의 전력 수급 체계를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저렴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탄소중립에 필요한 재생에너지 시설투자 및 송배전, 판매체계가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어서 스마트시티나 제로에너지 빌딩을 위해 전력시장 개편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한국의 전력 수급은 제조업에 맞춰진 화력발전 비중이 높은 편이며 미래에도 화석연료의 발전 비중은 쉽게 줄어들지 않을 전망이다.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면, 향후 에너지 수급은 탈탄소화(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 전원을 소비하는 사회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다가올 미래사회의 에너지 전환은 신·재생에너지가 매개체로서 활성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탄소중립의 달성이 에너지 패권을 선도하는 국가의 핵심 과제이자 정책 목표임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