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장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 요약 본고는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와 중국어 '목술관계' 연어의 문법적 대응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연어의 개념과 범위, 유형을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연어의 정의에 대해 초점을 두었는데, 그 정의는 학자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본고는 성구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연어를 분석한 임근석 (2010)의 정의에 따라 논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어와 자유결합, 관용표현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연어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해서 다루었다. 3.1에서는 '세종연어사전'에서 추출한 '목술관계' 연어 500개와 역시 '세종명사사전'에서 추출한 'X를 하-' 연어 100개를 대상으로 그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을 제시하였다. 3.2.에서는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대응 표현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3.2.1.에서는 'X를 하-'이외의 '목술관계' 연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은 연어, 자유결합, 단어, 관용표현(사자성어) 등 예를 하나씩 들어서 살펴보았다. 3.2.2.에서는 한국어 연어 'X를 하-'는 대응하는 중국어 대응 표현은 서로 대응 표현이랑 서로 대응 하지 않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중국어 대응 표현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4.1.에서는 'X를 하-'이외의 '목술관계' 연어에 대한 중국어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4.1.1.에서는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 500개중에 중국어 대응 표현이 연어인 경우는 총 466개다. 연어핵과 연어변을 대상으로 할 때 완전 대응인 경우와 부분 대응인 경우를 살펴보았다. 4.1.2.에서는 중국어 대응 표현이 연어가 아닌 경우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단어인 경우가 16개, 자유결합인 경우는 5개, 관용표현인 경우는 11개, 단순한 구가 아닌 그보다 큰 통사 단위인 경우는 1개, 중국어 대응 표현 부재인 경우는 1개'등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4.2.에서는 '세종연어사전'에서 추출한 한국어 연어 'X를 하-' 100개를 대상으로 해서 중국어로는 어떻게 대응되는지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1장부터 4장까지 살펴본 내용과 같이 정리하면서 마무리를 하였다.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는 연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유형이다. 이러한 점을 중시하여 본고에서는 한국어 '목술관계' 연어를 중심에 두고 중국어 대응 표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목술관계' 이외의 연어에 대해서는 검토하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에 대한 연구는 차후를 기약해 본다.

      • 한국어와 이탈리아어 지시어에 대한 언어유형론적 연구

        피키오니 클라우디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지시어와 이탈리아어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 및 화용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두 언어의 지시어 체계를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대다수 의미론적 관점과 화용론적 관점에서 다루었는데 본고에서는 조금 더 넓은 시각으로 형태론적, 통사론적 관점도 포함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두 언어의 지시어를 대응하는 연구가 아직까지 없으며 본 연구를 통해서 두 언어의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와 이탈리아어의 지시어 체계를 유형론적으로 어떤 위치를 갖고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지시어의 대립적 관계는 이탈리아어 지시어의 대립적 관계와 다르다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본문의 새로운 점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는지를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Diessel(1999) 연구 바탕으로 세계 언어의 지시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형태론적 관점에서 ‘이, 그, 저'와 ‘questo, quello’의 지시어 어간, 지시어의 굴절적인 성격, 지시 접어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지시어 어간에 관하여 지시 대명사, 지시 한정사, 지시 부사를 살펴보았고 각 언어의 변이형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통사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이, 그, 저’와 이탈리아어 ‘questo, quello’를 비교하였다. 이 장에서 지시어의 범주적 지위, 장소 화시어 그리고 정체 확인 지시어를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 의미론적 관점에서 두 언어의 지시어의 화시적 속성과 질적 속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언어의 구어 말뭉치를 분석하여 각 언어의 지시 한정사의 우측 첫 요소와 어떤 공기 결합을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제6장에서 화용론적 관점에서 외부 참조와 문맥 참고를 지시어를 통해서 어떻게 표상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현장 지시어, 문맥 지시어와 인지적 지시어를 다루었다. 제7장에서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This Study aim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Italian demonstratives from a typological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monstatrives of the two languages from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perspectiv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ealt with semantic and pragmatic perspectives, meanwhile this paper, in a slightly sense, includes also morphological and synctactic perspectives. Moreover there is yet no study that compare the korean and italian demonstrative systems, so this one would be helpful for learners of both languages. In chapter 1 have been presented the two languages systems from a broader typological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trast system presents in Korean demonstratives is different from that of Italian. Also, new point of view has been introduc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and was introduce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emonstratives ​​based on the study of Diessel(1999). Chapter 3 compares and analyzes the stem, the inflectional nature and clitics of Korean demonstratives “이, 그, 저” and italian “questo, quello” from a morphological point of view. In relation to the stem, pronouns, determiners and adverbs were examined, and were also examinated the variants of the demonstratives of each language. Chapter 4 compares Korean '이, 그, 저' and Italian 'questo, quello'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In this chapter were analized the categorical status of demonstratives, place deictics and and identifiers. Chapter 5, has been analized the deictic and qualitative features of demonstratives from the semantic perspective. Also, through the spoken corpus has been analized the words “co-occurence” with the determiner of each language. Chapter 6,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has been analized the exophoric, anaphoric, discourse deictic and recognitional use of demonstratives of each language. Chapter 7 summarizes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Questa ricerca è volta ad analizzare le differenze e similitudini tra i dimostrativi coreani e italiani da un punto di vista linguistico tipologico. Lo scopo di questo studio è di comparare i dimostrativi delle due lingue dal punto di vista morfologico, sintattico, semantico e pragmatico. La maggior parte degli studi passati si sono focalizzati sull’aspetto semantico e pragmatico, questa ricerca vuole ampliare il campo coprendo anche gli aspetti morfologici e sintattici. Inoltre non essendoci ancora studi che comparino i dimostrativi coreani con quelli italiani, questo vuole presentarsi come un aiuto per coloro che apprendono le due lingue. Nel capitolo 1 sono stati presentati i sistemi dei dimostrativi delle due lingue da un vasto punto di vista tipologico. Inoltre è stato accennato al fatto che il sistema contrastivo presente nei dimostrativi coreani è diverso da quello italiano. E’ stato inoltre presentato il metodo di ricerca. Nel capitolo 2 sono state esaminate le caratteristiche dei dimostrativi in varie lingue, seguendo lo studio condotto da Diessel(1999). Nel capitolo 3, da un punto di vista morfologico, sono state comparate radici(stem), il carattere inflessivo e i clitici nelle due lingue. Per quanto riguarda le radici sono stati esaminati i pronomi, gli aggettivi dimostrativi e gli avverbi di luogo. Inoltre sono state prese in esame anche le varianti. Nel capitolo 4 sono stati comparati i dimostrativi coreani ‘이, 그, 저' e italiani 'questo, quello' da un punto di vista sintattico. In questo capitolo sono stati trattati gli status categoriali dei dimostrativi la deissi spaziale e gli identificativi. Nel capitolo 5 è sono state analizzate le caratteristiche deittiche e qualitative dei dimostrativi da un punto di vista semantico. Inoltre, tramite il corpus orale di ogni lingua è stata analizzata la ‘co-occorrenza’ semantica di parole con i dimostrativi. Nel capitolo 6 sono stati anallizati gli usi exoforici, anaforici, la deissi testuale e l’uso “recognitivo” dei dimostrativi. Nel capitolo 7 è stato riassunto il contenuto della ricerca.

      • 한국어 형용사의 유형별 분포 양상 연구

        이민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article aims to categorize the semantic types of adjectives in the Korean language, reveal grammatical properties according to each type, and describe and analyz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by each semantic type according to property similarities. This study categorized adjective types according to meaning with the single meanings (sense) of Korean adjectives as subjects. Semantic types were set,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ies of Dixon, which established universal semantic types of adjectives, and categorizations were made into the 12 types of ‘Dimension, Age, Value, Color, Physical property, Human propensity, Speed, Difficulty, Similarity, Qualification, Quantification, and Position’ according to semantic properties. The five grammatical properties of ‘shape information, syntactic function, modification, argument, and comparative construction possibilities’ were selected, examined, and aspects of grammat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mantic typ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ome grammatical properties display particular tendencies according to semantic type. This appears especially clearly in syntactic functions and argument properties. First, the syntactic functions of adjectives generally have a high ratio of modifying nouns and differences are shown in preferred functions among descriptions, noun modification, and verb modif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semantic types.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certain amount of relevance among adjective meanings and the semantic properties of the arguments of adjectives. Dimension, Color, and Physical property types mostly co-occur with ‘physical object arguments’, adjectives of Speed and Difficulty types show high ratios of ‘state arguments’, and adjectives that are Position types mostly appear along with ‘place arguments’. Next, it verified adjective distribution patterns using a cluster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semantic properties and grammatical properties of adjectives. Cluster analysis categorizes adjectives according to similarities of properties that individual adjectives have and position them upon dimensions so such relations can be schematized and looked into. Based on the distribution data of adjectives made this way, the distribution aspects of each semantic type and distribution aspects among semantic types were verified and adjective typ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property similarities. As adjective property similarities grow, they gather close together upon dimensions and the more properties differ, the farther apart they are distributed. The cohesion of semantic types can be verified through such facts. Types in which most members are placed close together due to similar adjective properties are Color, Position, Dimension, and Similarity. Of the remaining eight types, there are closely placed adjectives and widely distributed adjectives, displaying diverse forms of distribution within types. On one hand, if adjective types are newly categorized according to property similarities, a total of 11 types are made. Analysis was conducted on semantic type ratios and grammatical properties within these 11 types to verify how semantic types appear similar and in what property aspects. With word forms, Dimension, Color, and Physical property types are similar and with word types, Value, Difficulty, and Qualification types and Dimension and Color types display mutually similar values. With syntactic function properties, Color, Position, and Dimension types prefer noun modifying functions and Human propensity and Speed types can be tied together as types that prefer verb modifying functions. According to semantic properties of argument 1, categorizations can be made into Dimension, Color, and Physical property types in which physical object arguments have specific gravity, Age, Similarity, and Quantification types in which abstract subject arguments have specific gravity, and Human propensity and Speed types in which state arguments have specific gravity according to the semantic properties of arguments. Lastly, categorizations of adjective types are made according to property similarities and after observations were made of type properties and the various aspects of members, comparisons were made with existing adjective types to verify what differences there are in categorization and discussions were concluded. 본고는 한국어 형용사의 의미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문법적 속성을 밝히고, 속성의 유사성에 따른 의미 유형의 분포 양상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형용사의 단일한 어의를 대상으로 하여 의미에 따라 형용사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의미 유형은 형용사의 보편적 의미 유형을 정립한 Dixon의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설정하였으며, 의미 속성에 따라 ‘크기, 시간 관련 속성, 가치, 색, 물리적 속성, 인간 성향, 속도, 난이, 유사성, 자질, 수량, 위치’ 등의 12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문법적 속성으로는 ‘형태 정보, 통사적 기능, 수식, 표면 논항, 비교 구문 가능성’의 다섯 속성을 검토한 후, 의미 유형별로 문법적 속성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미 유형에 따라 몇몇 문법적 속성에서 특정한 경향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통사적 기능과 표면 논항 속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먼저 형용사의 통사적 기능은 전체적으로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의 비율이 가장 높으나, 의미 유형에 따라 서술, 명사 수식, 동사 수식 기능 중 선호하는 기능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형용사의 의미와 형용사가 취하는 논항의 의미 속성 간에 어느 정도 일정한 연관성이 있음을 밝혔다. 크기, 색, 물리적 속성 유형은 구체물 논항과 공기하는 비율이 높으며, 속도, 난이 유형의 형용사는 사태 논항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위치 유형에 속한 형용사들은 대부분 장소 논항과 함께 나타난다. 다음으로 형용사의 의미와 문법적 속성을 바탕으로 하여 군집 분석 방법으로 형용사의 분포 양상을 확인하였다. 군집 분석은 개별 형용사들이 지니고 있는 속성의 유사성에 따라 형용사들을 분류하여 차원 상에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형용사들 간 관계를 도식화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형용사들의 분포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각 의미 유형의 분포 양상과 의미 유형 간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속성의 유사성에 따라 만들어진 형용사 유형을 분류하였다. 형용사의 속성이 유사할수록 차원 상에서 서로 가까운 곳으로 모이게 되고, 속성이 다를수록 멀리 떨어져 분포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의미 유형들의 응집성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형용사들의 속성이 유사하여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밀집해 있는 유형에는 색, 위치, 크기, 유사성의 네 유형이 해당된다. 나머지 여덟 유형은 밀집해 있는 형용사들도 있고 따로 떨어져 분포하는 형용사들도 있는 등 유형 내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한편 속성의 유사성에 따라 형용사들의 유형을 새롭게 분류하면 총 11개의 유형이 만들어진다. 11개 유형 내 의미 유형의 비율과 문법적 속성을 분석하여 의미 유형들이 어떠한 속성 면에서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단어형에 있어서는 크기, 색, 물리적 속성 유형이 서로 유사하고, 어종에 있어서는 가치, 난이, 자질 유형과 크기, 색 유형이 서로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 통사적 기능 속성의 경우에는 색, 물리적 속성, 위치 유형은 명사 수식 기능을 선호하는 유형으로, 속도, 인간 성향 유형은 동사 수식 기능을 선호하는 유형으로 각각 묶을 수 있다. 1논항의 의미 속성에 따라서는 구체물 논항의 비중이 큰 크기, 색, 물리적 속성 유형, 추상적 대상 논항의 비중이 큰 시간 관련 속성, 유사성, 수량 유형, 그리고 사태 논항의 비중이 큰 인간 성향, 속도 유형으로 각각 분류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속성의 유사성에 따라 만들어진 각 유형의 특징적인 속성과 구성원의 면면을 살펴본 후, 기존의 형용사 유형과 비교하여 분류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전체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 한국어 '치-'와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대조 연구

        이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국어 동사 ‘치-’의 어휘적인 측면에서 출발하여 대조 연구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치-’와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치-’ 사용 양상과 한국어 중국인 학습자의 ‘치-’ 사용 양상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한국어 ‘치-’는 복잡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동사이지만 지금까지는 ‘치-’와 관련된 대조 연구가 많지 않았다. 선행 연구의 대부분은 한국어 ‘-치’가 다양한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응하는 더 많은 중국어 동사를 볼 수 없었다는 아쉬움이 있다. 특히 한국어 ‘치-’와 중국어 표현에 대한 대조를 진행할 때 하나의 중국어 표현을 상정하고 있는데 이것이 문제가 된다. 제1장에서는 먼저 한국어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치-’를 공부하면서 겪는 문제점과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기존 선행 연구와 비교하여 본 논문의 새로운 점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가 어떤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는지를 소개한다. 2장에서는 자유결합, 연어, 관용표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자유결합, 연어, 관용표현의 개념과 변별기준을 검토하고 본 논문의 자유결합, 연어, 관용표현의 개념과 변별기준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자유결합, 연어, 관용표현의 엄연한 차이를 검토한다. 3장에서는 주로 사전을 이용하여 한국어 ‘치-’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였다. 우선 한국어의 대표적인 사전인 <표준국어대사전>의 48개 어의에 따라서 중국어 대응 표현을 검토한다. 또한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를 통해서 예문에 포함될 문장들을 추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어 대응표현을 검토한다. <표준국어대사전>을 검토한 결과를 보면 한국어 ‘치-’가 사전에서 같은 의미를 가져도 중국어는 다른 동사로 대응하고 있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그리고 자유결합 유형의 ‘치-’ 예문은 대응하는 중국어도 자유결합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특정적인 사전 <세종전자사전 연어사전> 그리고 <세종전자사전 관용표현사전>을 사용하여 각각 유형에 따른 ‘치-’와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을 검토하였다. 검토된 대응표현을 보면 한국어 ‘치-’가 사용된 유형에 따라서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도 영향을 받고 있었다. 4장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치-’ 말뭉치와 한국어 중국인 학습자의 ‘치-’ 말뭉치를 이용하여 한국어 중국인 학습자들의 ‘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자 오류 말뭉치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한국어 중국인 학습자의 ‘치-’ 오류 말뭉치를 활용하여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치-’의 사용 양상 비교 결과에서 출발하여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중국인 학습자의 ‘치-’에 대한 사용 양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검토한다. 5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고 본 연구를 전체적으로 정리하여 결론을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of the Korean verb ‘chi-’ by using contrasting research methods from the aspect of lexical. Then, this article als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nd commons between the Korean native speaker and Korean Chinese learners for how they using the verb ‘chi-’.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chi-’ is a complex and frequently used verb, b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t many contrast studies related to ‘chi-’. Also it is regrettable that most contrasting studies do not see the various meanings of ‘chi-’ when it contrast with Chinese. The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presented as follows. Chapter one pointed out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that Chinese learners have while studying Korean "chi-." Besides, Chapter one presented new points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 about ‘chi-’ and also introduced the way of researching in this study. Chapter two reviewed the basic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ollocation and idiomatic expression in previous studies. Next, this chapter also give the standard of collocation and idiomatic expression in this paper.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researched the different relations between the free combination, the collocation and the idiomatic expression. In Chapter three,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chi-' and its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by using dictionaries. First of all, Chinese correspondence expressions are explored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representative dictionary <Standard Korean Dictionar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of ‘chi-’ sometime can be more than one. Then, this study used specific dictionaries <Sejong Collocation Dictionary> and <Sejong Idiomatic Dictionary > to research the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of ‘chi-’. In Chapter four, this paper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commons between native speaker and Korean-Chinese learner when they use the verb ‘chi-’ by the data of the corpus. On the other hand, languages learners' error corpus ha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chi-' error corpus of Korean Chinese learners. Chapter five summarizes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and concludes the study as a whole.

      • 한국어 '부끄러움'류 심리형용사와 그에 대응하는 베트남어 심리서술어 대조 연구 : '부끄럽다/창피하다/쑥스럽다/수치스럽다'를 중심으로

        르응옥미띠엔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부끄러움을 나타내는 심리형용사 ‘부끄럽다’, ‘창피하다’, ‘쑥스럽다’, ‘수치스럽다’ 등의 의미를 분석하여 구분하고, 이에 대응하는 베트남어 심리서술어 ‘xấu hổ’, ‘hổ thẹn’, ‘ngại ngùng’, ‘bẽn lẽn’과의 대응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한국어 심리형용사에 대한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습에서 심리형용사를 사용할 때 오류와 원인을 밝힘과 동시에 본고의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제 2 장에서는 한국어 심리형용사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본다. 또한 베트남어에서 왜 심리서술어라고 하는지 설명하고 심리서술어의 개념과 특징도 살펴본다. 제 3 장에서는 ‘부끄러움’을 나타내는 심리형용사 유의어들의 사전 뜻풀이를 관찰하여 사전에서 제시된 예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부끄러움’류 심리형용사와 그에 대응하는 베트남어 심리서술어의 사전 의미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제 4 장에서는 말뭉치를 활용하여 ‘부끄러움’류 심리형용사가 나타나는 용례를 추출하고 실제적 의미 차이를 변별하도록 한다. 또한 이를 베트남어로 번역하여 대응관계를 살펴본다. 제 5 장에서는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며 남은 과제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어렵게 구분하는 단어들 중 하나인 ‘부끄러움’류 심리형용사를 연구대상으로 대응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부끄러움’류 심리형용사와 베트남어 심리서술어는 어떤 의미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class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anings of Korean psychological adjectives such as ‘부끄럽다’, ‘창피하다’, ‘쑥스럽다’, ‘수치스럽다’ and the corresponding Vietnamese psychological predicates ‘xấu hổ’, ‘hổ thẹn’, ‘ngại ngùng’, ‘bẽn lẽn’. Chapter 1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psychological adjectives in Korean, reveals errors and causes when Vietnamese Korean learners use psychological adjectives in their learning, and present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Chapter 2 examin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adjectives in Korean. It also explains why they are called psychological predicates in Vietnamese and examin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predicates. Chapter 3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dictionary meanings of the psychological adjectives of the Korean type ‘shame/shy’ and the corresponding Vietnamese psychological predicates by analyzing the example sentences presented in the dictionary by going through the dictionary definitions of the synonyms of the psychological adjectives representing ‘shame/shy’. Chapter 4 uses the corpus to extract examples of psychological adjectives like ‘shame/shy’ and discriminate the difference in actual meaning. Also, we translate it into Vietnamese and examine the correspondence. Chapter 5 summarizes the discussion and suggests the remaining task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psychological adjectives of ‘shame/shy’, one of the words that Vietnamese learners find difficult to distinguish while learning Korean. Moreover, this hopes to help Vietnamese learners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Korean psychological adjectives like ‘shame/shy’ and Vietnamese psychological predicates and use them correctly.

      • 한중 학습 관련 동사 유의어 대조 연구 : 《설명결합사전》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하완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本文是以韓語學習類動詞近義詞 '배우다', '공부하다', '학습하다', '익히다',和漢語學習類動詞近義詞 '學習', '學', '懂得', '學會'為研究對象,對韓中各動詞進行詞匯素分割,然後通過各詞匯素之間的對照關系,來區分韓中各學習類動詞近義詞的意思。 先行研究主要是從‘單詞’的觀點去區分近義詞,很少從單詞所含有的各個的詞匯素的角度去區分近義詞。所以,本文打算從‘詞匯素’的角度出發,區分韓中學習類動詞近義詞。通過此研究,中國學習者可以更加明確地區分韓中各學習類近義詞的意思。另外,本文為進行其他動詞研究的學習者提供了可參考的方法論。 第一章首先指出中國學習者在學習韓語近義詞時候遇到的問題,和現有研究中關於學習類動詞近義詞方面研究不足的問題。然後闡明在意思層面和通辭層面,對動詞近義詞的詞匯素進行區分的重要性。最後與現有研究進行比較,提出本文的新穎點。 第二章整理現有研究關於近義詞概念和近義詞分類基準的見解,在此基礎上,對近義詞的概念進行再定義和選定意思層面和通辭層面的區分基準。然後整理其他學者的關於多義區分的方法論,進行論議。通過上述的分析,本文選擇Mel’čuk的方法論來對學習類動詞詞匯素進行區分、排序和定義。 第三章是基於詞典的解釋和例句,對韓中各學習類動詞近義詞的詞匯素進行統合或者分類。在韓國語部分,參照《標準國語詞典》,《高麗大韓國語詞典》,《延世現代韓語詞典》,韓國語國立國語院的書面語形態分析語料庫,在漢語部分,參照《現代韓語詞典》和北京大學語料庫。然後根據Mel’čuk的方法論,對韓中各學習類動詞近義詞進行詞匯素區分。最後對區分的詞匯素進行對照分析。 第四章是在通辭方面分析詞匯素的特徵。首先,在韓國語國立國語院的書面語形態分析語料庫裏面,根據韓語 '배우다', '공부하다', '학습하다', '익히다'區分後的詞匯素,各抽取五十個例句。然後,在抽取的例句中,對與各個詞匯素相結合的賓語名詞,副詞,狀語等進行整理分析。特別是對與各個詞匯素相結合的名詞進行對象分類,以此來挖掘各詞匯素的不同點。通過以上的通辭方面的分析,整理各動詞詞匯素的特點。此外,在抽取的例句中,各韓語學習類動詞近義詞可以翻譯成哪一個中文,並且頻度是多少,進行整理分析,以此來揭示各詞匯素之間的對應關係。最後,整理韓中各學習類動詞的詞匯素在意思和通辭方面的對應關係。 第五章對本文內容進行總結,然後提出本文的局限性和以後的研究方向。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류 동사 유의어 '배우다', '공부하다', '학습하다', '익히다'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학습류 동사 유의어 '學習', '學', '懂得', '學会'를 연구 대상으로 각 동사가 가진 어휘소를 분할한 다음에 각 어휘소 간의 대응관계를 대조함으로써 한중 학습류 동사 유의어를 변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단어'의 관점에서 유의어를 변별했는데 단어가 가진 별개의 어휘소를 분할하여 대조하는 것은 많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어휘소'의 차원에서 학습 관련 동사 유의어를 구분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가 한중 학습류 동사 유의어를 더욱 명확하게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다른 동사를 구분하고 분석하는 데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우선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유의어를 공부하면서 겪는 문제점과 기존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본문의 새로운 점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는지를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유의어의 개념과 변별기준을 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유의어의 개념을 다시 정의하였고 유의어 변별기준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다의를 구분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학자들의 방법론을 소개하였다. 그 다음으로 Mel’čuk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사전과 말뭉치를 이용하여 한국어 학습류 동사 유의어 '배우다', '공부하다', '학습하다', '익히다'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학습류 동사 유의어 '學習', '學', '懂得', '學会'가 가진 별개의 어휘소를 통합하거나 분할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한국어에서는 《표준 국어 대사전》, 《고려대 한국어 대사전》, 《연세 현대 한국어사전》, 한국어 국립국어원 문어 형태분석 말뭉치를, 중국어에서는 《現代漢語詞典》, 북경대학교 코퍼스를 활용하였다. 4장에서는 통사적인 측면으로 각 어휘소의 특성을 밝혔다. 먼저 국립국어원 문어 형태분석 말뭉치를 활용하여 한국어의 '배우다', '공부하다', '학습하다', '익히다'의 각 어휘소에 의해 각각 50개의 예문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추출된 예문에서 각 어휘소와 결합하는 목적어 명사, 부사, 부사격조사 등을 정리하였다. 이 중에 대상부류 체계를 적용하여 각 어휘소와 결합하는 목적어 명사를 의미 부류함으로써 어휘소의 특성을 밝혔다. 그 다음으로 추출된 예문에서 한국어 학습 관련 어휘소가 중국어로 어떻게 번역될 수 있는지, 빈도가 얼마인자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한중 학습 관련 어휘소들 간의 대응관계를 대조하였다. 5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earning-related verbal synonyms by dividing and comparing the lexèmes of each verb, which in this research include Korean learning-related verbs '배우다', '공부하다', '학습하다', '익히다', and corresponding Chinese learning-related verbs '學習', '學', '懂得', '學会'. Previous researches have distinguished synonyms from the word’s meaning, but rarely from the lexèmes of the words.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s a methodology that learners can refer to in distinguishing and analyzing other verbs, the result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help Chinese learners to distinguish Korean and Chinese learning-related verbs more clearl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Chapter 1 analyzes the difficulties that Chinese learners have while studying Korean words and illustrates previous review of the related research objects. Then it explains the importance of dividing the lexèmes of the synonyms in terms of semantic and syntactic aspect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introduced how this study was conducted. Chapter 2 summarizes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presented in the current study and redesigs the concept of the synonyms. Then it introduces the researchers’ methodology, especially Mel’čuk's. In Chapter 3, a dictionary and a corpus were used to integrate and divide the separate lexèmes of the Korean learning-related verbs '배우다', '공부하다', '학습하다', '익히다', and the corresponding Chinese learning related verbs '學習', '學', '懂得', '學会'. Specifically, Korean dictionaries includ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Korean Language Korean Dictionary", "Yonsei Modern Korean Dictionary", and the Written Morphological Analysis Corpus of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ere used. Chinese dictionaries include "The Contemporary Chinese Dictionary" and Peking University Corpus were used. Chapter 4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xème in a syntactic aspect, 50 examples were extracted from each of the lexèmes of '배우다', '공부하다', '학습하다', '익히다' using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Corpus. These examples summarize the object nouns, adverbs and adverbial case particles combined with each lexeme. Among them, the Object Class System was appli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xèmes by classifying nouns that combine with each lexeme. Then it summarizes which Chinese the verb meaning of each Korean study can be translated into and how often it is. Based on this, it compared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learning-related lexèmes. Chapter 5 concludes the discussions and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한국어 약속 화행 연구

        엄은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rough the corpus what strategies are chosen the most for promissive speech act in modern Korean spoken language, and to identify the prototype of promissive using the felicity conditions of promissive. In the precedent study on the promissory sentence and the promissive method, the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on the statement with the ending ‘-마(ma)’, and mainly on proving the independent position of the promissory sentence. However, the ending '-ma' is rarely used in modern Korean spoken language, especially when it is used to express the promise. As the sentence and speech act did not match, and the ending of declarative sentence was brought as the main ploy of the promissive, the interest in the promissives itself was also lowered. In this study, we believe that the ending of declarative sentence, which replaces "-마(ma)," maintain the base structure and prototypicality of the promissive sentence, and confirmed that the utterances expressing the promissive using the endings of declarative sentence and maintain the prototypicality of the promissive. For extracting target utterances from the corpus, this paper set a own standar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missive utterance with the felicity conditions of the promissive speech act as tool. At the center of the prototypicality of the promissive, it is confirmed that all the felicity conditions of the promissive were met, and that the purpose of the purpose was not elsewhere, but that it was the promise itself. At this time, '-eulge(을게)' and '-get-(겠)' were used as the main strategies, and the underlying features of the promissory sentence were maintained. In addition, the use of adverbs to supplement the promise was also confirmed, and the direction of the illocutionary force of the promissive was directed from the speaker to the listener, which led to the use of verbs and auxiliary verbs such as ‘juda(give)’. In order to faithfully convey the information of the speech act, the subject, object, and contents of the promise were processed as necessary and revealed in the citat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unlike the declarative,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illocutionary force of the promissive are informally important factors in the promise statement. The promissive could be structured into six types, depending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felicity conditions of the promissive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ther speech acts. Between them, they continue with unclear boundaries, showing a set construction in which the regions overlap with each other. Type 1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high prototypicality that meets all the felicity conditions of the promissive and maintains the underly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missory sentence. Right away from the type 1, type 2 is located in violation of sincerity conditions among the felicity conditions. The speaker's intention is not willingly enough, but it is still a promise that must be made for various reasons, such as social hierarchy. Next, type 3 is a violation of the preparatory condition, or essential condition of the felicity conditions. A promise that violates the preperatory condition is a promise that the listener is not capable of fulfilling, but assumes it, or the promise of unwanted behavior. Promissive that violates essential condition is the promise that obligations do not fully arise from the utterances so the illocutionary force of the utterance is weakened. Type 4 is a case in which promissives are conventionally used to achieve purposes besides promise. These include the sequence or progress of the program, promissive used to serve guests at the service site, or greetings made by promising to meet again when say au revoir. Finally, two types of promissive sharing regions with different speech acts could be found. Type 5 shares the regions with response speech act, replacing the promise with the response(such as yes or no) and confirming that the details are omitted. Type 6 is the part where declarative and promissive share areas, and the more unclear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speech acts, the more diverse the use of the endings of the will and plan other than ‘-eul(을)’. This study was conducted on promissive that have not been studied properly in speech acts in Korean, and the prototypical characteristics of promissive were identified, analyzed away from existing studies centered on non-realistic patterns. 본고는 현대 한국어 구어에서 약속 화행을 위해 가장 많은 선택을 받는 책략이 무엇인지를 말뭉치를 통해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을 이용하여 약속 화행이 갖는 원형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약속문, 약속법에 관한 연구에서는 ‘-마’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를 중심으로 약속문의 독자적인 위치를 증명하는 데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현대 한국어 구어에서 ‘-마’문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특히나 이를 이용하여 약속 화행을 표현하는 경우 역시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문형과 화행이 일치하지 못하고 평서문의 어미를 주요 책략으로 가져와서 사용하게 되면서 약속 화행에 대한 관심 역시 낮아지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마’를 대체하는 평서문의 어미들이 약속문의 기저 구조와 원형성까지 유지하고 있다고 보고 평서형 어미가 사용되어 약속 화행을 표현한 발화들이 약속 화행의 원형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적정 조건과 함께 확인해보았다. 본고는 말뭉치에서 대상 발화를 추출하기 위한 기준을 세우고, 추출한 발화들을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을 도구로 원형성을 판단해가며 약속 화행의 화행적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약속 화행의 원형성의 중심에는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을 모두 충족하며 발화의 목적이 다른 데 있지 않고, 약속 그 자체에 있는 발화임을 확인하였다. 이때 주요 책략으로는 ‘-ㄹ게’와 ‘-겠-’이 사용되었으며 약속문의 기저 특징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약속 내용을 보충하는 부사의 쓰임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약속 화행의 언표 내적 힘의 방향이 화자에서 청자로 향하고 있어서 ‘주다’와 같은 방향성을 지닌 동사, 보조동사의 쓰임이 많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피인용문으로 표현된 약속 화행은 화행의 정보를 충실히 전달하기 위해 약속 화행의 주체, 대상, 내용 등이 필요에 따라 가공되어 인용문에서 드러나기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약속 화행에서는 진술 화행과 달리 언표 내적 힘의 방향과 내용이 정보적으로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의 충족 수준과 다른 화행과의 구별 정도에 따라 약속 화행을 여섯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구조화할 수 있었다. 이들 사이는 명확하지 않은 경계를 두고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으며, 서로 영역이 겹치기도 하는 집합 구성을 보인다. 유형 1은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을 모두 충족하며 기존 약속문의 기저 특성도 유지하고 있는 높은 원형성의 중심에 해당하는 유형이다. 여기에서 벗어나면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 중 성실 조건을 위반하는 유형 2가 위치하고 있다. 화자의 의사가 충분하지 않으나 사회적인 위계 등 여러 이유로 해야 하는 약속이 해당한다. 다음으로 유형 3은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 중 준비 조건, 혹은 본질 조건을 위반하는 경우이다. 준비 조건을 위반한 약속은 청자가 원하지 않는 행동에 대한 약속, 혹은 약속을 이행할 능력이 없지만 이를 가정하여 하는 약속이다. 본질 조건을 위반하는 약속은 발화로 인한 의무가 생기지 않는 유형이며 언표 내적 힘이 약화된 형태이다. 유형 4는 약속 화행이 관습적으로 쓰임이 굳어져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쓰이는 경우이다. 프로그램의 순서나 진행, 서비스 현장에서의 손님 응대를 위해 사용되는 약속 화행, 혹은 헤어질 때 다시 만남을 약속하며 이루어지는 인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다른 화행과 영역을 공유하는 유형은 두 가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유형 5는 응답 화행과 영역을 공유하며, 약속의 발화를 응답으로 대신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형 6은 진술 화행과 약속 화행이 영역을 공유하는 부분이며, 두 화행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발화일수록 ‘-ㄹ게’ 외의 여러 의지, 계획의 어미들이 다양하게 쓰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화행적으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약속 화행을 대상으로 하여, 실재성이 없는 문형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약속 화행의 원형적 특징을 실재적인 자료에서 확인하고, 분석했으며 이를 구조화해서 정리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한국어 보조동사 ‘-어 주-’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이원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는 한국어 보조동사 ‘-어 주-’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의미적 특성을 대조 언어학의 관점에서 정리하고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한국어를 외국어나 제2 언어로 학습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은 문법을 모국어와 대응하여 학습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렇지만 보조동사 ‘-어 주-’는 한국어 문어 분야나 구어 분야에서 모두 흔히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중국어 문법 체계에 ‘보조동사’라는 개념이 없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보조동사 ‘-어 주-’를 중국어 동사 ‘给’와 대응하는 동사 ‘주다’를 중심으로 이해하고 보조동사 ‘-어 주-’를 잘못하게 사용한다. 동시에 한국어 보조동사 ‘-어 주-’의 의미적 기능이 다양하고 주로 ‘행위자가 어떤 행위를 하여 대상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친다’라는 의미를 바탕으로 출발하여 ‘행위’가 ‘행위자’부터 ‘대상자’까지 전달하는 ‘방향성’ 의미가 있고 ,‘대상자’는 ‘행위자’가 한 ‘행위’에서 받은 영향의 ‘유익성’에 따라서 [+유익성]의 경우에는 ‘수혜’의 의미 [-유익성]의 경우에는 ‘강조’의 의미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중국어에서 한국어 보조동사 ‘-어 주-’와 대응할 수 있는 ‘给’는 의미적으로 방향성과 수혜성 그리고 강조의 의미를 가지더라도 중국어 ‘给’의 수혜성 의미와 강조의 의미 자체가 한국어와 많이 다르다. 따라서 보조동사 ‘-어 주-’를 형태적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여 분류한 다음에 각 유형별로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을 탐구하는 것은 필요성이 있다. 본고의 연구가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앞으로 한국어 보조동사에 대한 한중 대조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and reveal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uxiliary verb “-어 주-” and its Chinese counterpart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linguistics. Korean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or second language often learn grammar by analogy with their native language. However, while the auxiliary verb “-어 주-” is commonly used in both written and spoken Korean, there is no such concept in the Chinese grammar system. Therefore, Chinese learners naturally focus on the auxiliary verb “-어 주-” as the equivalent of the Chinese verb “给" and use the auxiliary verb “-어 주-” incorrectly. At the same time,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Korean auxiliary verb “-어 주-” is diverse, and it is mainly based on the meaning of “an actor does something and has some effect on the target”, and it has a “directional” meaning that the “act” transmits from the “actor” to the “target”, and the “target” can be divided into the meaning of “benefaction” in the case of [+ beneficial] and the meaning of “emphasis” in the case of [-beneficial] depending on the “beneficialness” of the impact received from the “act” done by the “actor”. However, even though the Chinese auxiliary verb “给”, which can correspond to the Korean auxiliary verb “-어 주-”, has semantic meanings of direction, benefaction, and emphasis, the benefaction and emphasis meanings of “给” in Chinese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in Kore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auxiliary verb “-어 주-” by analyzing its morpholog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then explore the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for each type. As a Korean learner myself, I hope that this study can be of some help to Chinese learners. Also, hoping that in the future, Korean-Chinese comparative research on Korean auxiliary verbs will be actively conducted.

      • 한·중 신어 대조 연구 : 2015년 신어를 중심으로

        류해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는 2015년 기준 한국어와 중국어 신어를 대상으로 신어 형성의 양상과 조어론적 특성을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2장에서는 우선 신어의 개념부터 살펴보았다. 먼저 사전에서 정의한 신어의 개념과 학자들이 정의한 신어의 개념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어서 한국어와 중국어 신어를 대상으로 그 어종별, 품사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신어는 국립국어원 「2015년 신어」,「2016년 신어 조사 및 사용 주기 조사」의 2015년 신어를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2015년 신어」에서 2015년 신어 75개(구 제외), 「2016년 신어 조사 및 사용 주기 조사」에서 2015년 신어 119개(구 제외), 총 194개를 추출하였다. 중국어 신어는 國家語言資源監測語料庫(국가언어자원검측언어자료구)에서 편찬한 사전 「2015년 漢語新詞語(2015 중국어신어)」의 2015년 신어 258개(구 제외)를 추출하였다. 3장에서는 우선 추출한 한국어 신어 194개, 중국어 신어 258개를 조어론적으로 분류하여 단일어, 파생어, 합성어, 혼성어, 축약어 등으로 나누어 분포를 살펴보았다. 이 부분에서는 양국 신어를 분류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표로 제시하였다. 단일어는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수량이 많지 않다. 한국어에서는 차용신어만 나타나고, 중국어에서는 생성신어와 차용신어가 모두 나타났다. 파생어 부분에서는 한국어 신어 중 파생어가 53개로 전체의 27.3%를 차지하였고, 중국어 신어에서는 파생어가 50개로 20.0%에 달했다. 양국 모두 접미파생어가 접두파생어보다 조어력이 높게 나타났다. 접두파생어의 경우 한국어에는 고유어 접두사와 한자어 접두사 두 종류가 있는데 중국어에는 중국어 한자 접두사만 존재한다. 접미파생어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접미사의 종류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중국어 접미사는 중국어 한자접미사와 외래어 접미사 두 종류가 있는데 외래어 접미사는 하나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합성어의 경우 한국어 합성어는 네 종류가 있는데 형성된 단어의 품사가 모두 명사라는 특징이 있다. 중국어 합성어는 한국어 합성어보다 조어력이 높고 형성 방식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혼성어의 경우는 'AD형', 'BD형', 'ABD형', 'ACD형' 네 유형이 가능하지만 한국어에는 'AD형', 'BD형', 'ABD형'만 존재하고 중국어에는 'AD형', 'ACD형'만 나타난다. 중국어는 띄어쓰기가 없으므로 혼성어가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축약어의 경우 한국어 신어와 중국어 신어를 '어두음절어', '비어두음절어', '두문자어', '절단어', '음절축약어'로 나눌 수 있다. 한국어 축약어의 유형을 보면 어두음절어, 비어두음절어, 두문자어, 절단어, 음절축약어 다섯 유형이 나타나며 중국어 축약어는 비어두음절어, 두문자어, 절단어 세 유형만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한국어 신어의 분포 양상 중 합성어, 축약어의 조어력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중국어에서는 합성어가 절반을 차지하여 조어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때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파생어, 축약어는 비슷한 빈도로 나타났다. 4장에서는 본고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formation and onoma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ologisms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s of 2015 from the contrastive linguistics viewpoint. Prior to main discussion, Chapter 2 explained the concept of neologisms according the definition provided in dictionary and, then, that provided by scholars. And then,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neologisms were examined by word type and word class. In this study, Korean new words were based on the [2015 Neologisms] and 2015 new words from [2016 Neologisms and Use Frequency Survey] published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a total of 194 Neologisms - 75 words (excluding phrases) from 2015 Neologisms and 119 words (excluding phrases) from 2016 neologisms and Use Frequency Survey –were extracted. As for Chinese new words, 258 words (excluding phrases) were selected from 2015 Chinese neologisms published by National Language Resource Monitoring Agency. In Chapter 3, the 194 Korean neologisms and 258 Chinese Neologisms were onomasiologically categorized into simple words, derivatives, compound words, and abbreviations and analyzed the distribution, with the new words of both languages classified and presented in a table. New words of both languages did not have many simple words. Only new loanword was found in Korean while both original Neologisms and new loanword were found in Chinese. Regarding derivatives, 53 words, 27.3% of the Korean Neologisms were derivatives and 50 words, 20.0%, in Chinese. In both languages, suffixal derivatives had more coinage ability than prefixal derivatives . In Korean, there were two types of prefixal derivatives – native prefix and Chinese character prefix –while there was only one type – Chinese character prefix – in Chinese. There were different types of suffixal derivatives in Korean, and two types –Chinese character suffixal derivatives and foreign suffixal derivative- in Chinese. However, there was only one foreign suffixal derivative in Chinese. As for compound words, there were four types in Korean and all of them were nouns. Chinese compound words had more coinage ability than Korean compound words and the formation styles were more diverse as well. There are four types of blends: AD, BD, ABD, and ACD. However, only AD, BD, and ABD types were found in Korean language, and only AD and ACD types in Chinese. Blends are rarely used in Chinese due to lack of spacing. Abbreviations of Korean and Chinese neologisms can be divided into acronym, Overall, regarding distribution of Korean neologisms, compound words and abbreviations had the highest coinage ability and, among Chinese neologisms, compound words, which accounted for the half of neologisms, had the highest coinage ability. The frequencies of derivatives and abbreviations were similar between Korean and Chinese. Chapter 4 provided summary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