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장단위 한우 개량을 위한 보증씨수소의 개량효과 추정 연구

        김세윤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우 거세우 도축성적을 이용하여 농장단위 한우의 유전능력 평가를 위하여 한우의 도체형질인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에 대한 유전모수를 추정하고, 농장단위 한우의 유전능력 평가를 위한 최적의 개체모형(Animal Model)을 설정하기 위하여 분석모형별로 정확도를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한 한우 거세우에 대한 도체형질 자료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전국 7개 지역에서 출하한 한우의 도체 등급판정 성적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에 활용한 개체수는 한우 비육우 농장에서 출하된 거세우 6,300두의 도체성적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체형질의 유전력을 추정하기 위하여 4가지의 분석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모형의 고정요인으로 출하지역과 출생년도-계절을 고려하였으며, 공변이로 출하 개월령과 출하체중을 고려하였다. 출하지역×보증씨수소×출생년도-계절 상호작용을 비상관 임의효과로 고려하여 유전능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도체형질의 유전모수 추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우 거세우의 도체중에 대한 평균은 482.54±26.89㎏이었고, 배최장근단면적의 평균은 114.30±12.51㎠로 조사되었다. 근내지방도의 평균은 8.23±0.86으로 분석되었다. 2. 도체형질의 유전모수 추정을 위한 4가지 분석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고정요인으로 출하지역과 출생년도-계절, 공변이로 출하개월, 비상관 임의효과로 출하지역×보증씨수소×출생년도-계절 상호작용을 고려한 분석모형 4가 최적의 분석모형으로 추정되었다. 3. 분석모형 4의 유전력 추정치를 보면, 도체중의 유전력이 0.37, 배최장근단면적의 유전력이 0.28, 근내지방도의 유전력이 0.06으로 추정되었다 4. 총 14,553두의 혈통정보 분석에서 50회 이상의 사용 빈도를 나타낸 KPN은 KPN950(182회), KPN828(102회), KPN1009(86회), KPN999(65회), KPN872(61회), KPN758(58회), KPN961(51회), KPN1012(51회)이었으며, 분석모형의 정확도가 낮으면 도체형질별 추정육종가는 과대 평가 되어 분석모형의 정확도가 높은 분석모형보다 추정육종가가 높게 추정되었다. 5. 농장단위 한우 비육우 개량을 위하여 출하 개월령 중심의 비육 프로그램보다 농장별 출하체중이 개량목표치에 도달하면 출하하는 것이 개량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유리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of Korean Native Cattle was to estimate parameters associated with genetic effects for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and marbling score with slaughter age or slaughter weight as covariates in the model. These estimates are needed for genetic evaluations of these carcass traits for Hanwoo steer. Data were collected from 2015 through 2020 for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and marbling score with slaughter age (month) or slaughter weight (kg) as possible covariates. The data set used included only animals that had all three traits and all tow covariates measured so that the effects of the three different covariates on estimates of parameters could be compared. Total number of animals in pedigrees including animals with records was 14,553 for the data set with all traits and covariates measured. 1. The means of carcass traits were 482.54±26.89㎏ with carcass weight, 114.30±12.51㎠ with eye muscle area, and 8.23±0.86 with marbling score, respectively. 2. Four single-trait animal models, each with one of the two different covariates, were initially used to establish. Region and year-season were fixed effects for all models. Region×KPN×year-season was fitted as an uncorrelated random effect in the model 4. 3. Estimates of direct heritability were .37 (Model 4) for carcass weight, .28 (Model 4) for eye muscle area, and 0.06 (Model 4) for marbling score with slaughter weight as covariate. 4. Total number of animals in pedigrees including animals with records was 14,553 for the data set with all traits and covariates measured. The KPN used More than 50 times in the pedigree analysis were as follows; KPN950(182 times), KPN828(102 times), KPN1009(86 times), KPN999(65 times), KPN872(61 times), KPN758(58 times), KPN961(51 times), and KPN1012(51 times). The lower accuracy of animal model would be resulted in more over estimation of breeding values than those of higher accuracy of animal model. 5. The breeding scheme for beef cattle farm would be considered with slaughter weight rather than slaughter age to improve the genetic gain of Hanwoo.

      • 한우의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및 유전상관 추정연구

        이수홍 전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일반 한우사육농가에서 사육중인 한우의 개량 정도를 파악하여 한우농가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육종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전국 357농가에서 출하한 한우 72,900두(암소 25,746두, 거세우 47,154두)의 도체성적으로 성별, 연도, 계절, 출하지역 등에 따른 환경효과를 분석하고, 혈통자료를 통해 총 184,234두를 분석에 포함하여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도체중 그리고 근내지방도에 대한 유전모수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력과 유전상관을 추정하기 위하여 2가지의 분석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모델 1은 출생연월, 어미의 나이, 출하지역을 고정효과의 vector로 하였으며, 분석모델 2는 분석모델 1에 출생연월, 종모우번호(KPN), 종모우 사용지역을 무관계 임의효과의 vector로 추가하였다. 그리고 2가지 분석모델 모두에서 출하월령, 등지방두께, 도체중을 공변이로 하여 유전력과 유전상관을 추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도체성적 분석 결과 암소는 평균 59.72±23.31개월에 출하되어 등지방두께는 12.73±5.26㎜, 배최장근단면적은 81.61±10.46㎠, 도체중은 341.13±42.72㎏ 그리고 근내지방도는 3.95±1.89였고, 거세우는 평균 31.35±2.68개월에 출하되어 등지방두께는 12.74±5.10㎜, 배최장근단면적은 90.53±10.55㎠, 도체중은 423.86±47.22㎏, 근내지방도는 5.58±1.92로 조사되었다. 2. 도축연도에 따른 거세우의 도체성적을 회귀분석하여 도출한 회귀계수가 등지방두께는 R2=0.7776에 y=-548.22+0.2788x, 배최장근단면적은 R2=0.9016에 y=-1584.2+0.8325x, 도체중은 R2=0.9141에 y=-6906.7+3.6438x 그리고 근내지방도는 R2=0.2270에 y=-49.814+0.0275x로 조사되어, 배최장근단면적과 도체중은 회귀계수로 도축연도에 따른 도체성적 변화를 높은 수준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도축월령에 따른 도체성적 분석 결과 암소에서 도축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도체중이 증가하였고, 배최장근단면적은 101개월 이후, 도체중은 81개월 이후에 감소하였으며, 근내지방도는 31∼40개월 사이의 그룹에서 최고를 기록한 뒤 하락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거세우는 도축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도체중, 근내지방도 모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내지방도만 32개월과 33개월에서 최고를 기록한 뒤 점차 하락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도체중에 따른 도체성적 분석 결과 암소와 거세우 모두 도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도체중, 근내지방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농가에서 개량과 출하의 지표로 도체중을 우선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출생계절에 따른 도체성적 분석 결과 암소와 거세우 모두에서 등지방두께는 가을에 출생한 그룹이 가장 얇았고, 배최장근단면적, 도체중, 근내지방도는 봄에 출생한 그룹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6. 번식우의 출생연도에 따른 도체성적 분석 결과 번식우의 출생연도가 경과함에 따라 암소의 등지방두께는 13.51±5.76㎜에서 12.07±5.02㎜로 점차 줄어들었으며, 배최장근단면적은 80.54±9.91㎠에서 84.96±11.25㎠로, 도체중은 336.33±42.45㎏에서 349.03±48.39㎏ 그리고 근내지방도는 3.75±1.90에서 4.24±1.92로 점차 증가하였고, 거세우의 등지방두께는 12.19±5.19㎜에서 13.11±4.82㎜로, 배최장근단면적은 88.38±10.02㎠에서 93.74±11.73㎠로, 도체중은 415.94±47.44㎏에서 434.49±47.99㎏으로 그리고 근내지방도는 5.32±1.92에서 6.02±1.85으로 상승하여 번식우에서 등지방두께의 증가를 제외한 다른 도체형질의 개량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7. 본 연구에서 추정한 암소의 유전력은 모델1에서 등지방두께가 0.35, 배최장근단면적이 0.25, 도체중이 0.51, 근내지방도가 0.53이었고, 모델2에서 등지방두께가 0.35, 배최장근단면적이 0.24, 도체중이 0.40, 근내지방도가 0.52로 조사되었고, 거세우의 유전력은 모델1에서 등지방두께가 0.45, 배최장근단면적이 0.25, 도체중이 0.62, 근내지방도가 0.43이었고, 모델2에서 등지방두께가 0.40, 배최장근단면적이 0.24, 도체중이 0.56, 근내지방도가 0.40으로 조사되어 무관계임의효과로 출생연월, 종모우번호(KPN), 종모우 사용지역을 추가할 때 보다 정확한 유전력 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8. 본 연구에서 추정한 거세우의 유전력을 국가단위 한우유전능력평가에서 적용하는 유전력을 비교한 결과 등지방두께는 0.40으로 0.36과 비슷하였고, 배최장근단면적은 0.24로 0.38보다 낮았으며, 도체중은 0.56으로 0.36보다 높았고, 근내지방도는 0.40으로 0.50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거세우를 31.35±2.68개월령에 도축한 도체성적으로 유전력을 추정한 본 연구와 24개월령에 도축한 도체성적으로 유전력을 추정한 국가단위 한우유전능력평가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한우의 계획교배를 위한 근교계수가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가은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우 개체의 도체형질과 가계도 정보를 출생년도 및 계절, 출하 년도 및 출하 개월령, 지역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은 가계도 정보를 통해 산출된 근교계수를 이용하여 도체형질과 근교계수의 연관성을 파악한 후, 한우의 계획교배를 위한 근교계수의 능력 유지 허용치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데이터는 2013년도에서 2018년 사이에 태어난 전국 7개 지역의 한우 6,300두의 도체 성적 및 부모 정보를 활용하였고 도체형질로는 출하체중, 도체중, 도체율,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배최장근단면적을 이용하였다. 1. 도체형질들은 출생 년도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적인 개량이 진행되고 있었다. 2. 지역별 KPN 사용에 따른 자손들의 도체 성적 분석 결과, 동일한 KPN에 의해 생산된 자손이더라도 지역별로 도체 성적이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지역간 암소 집단의 능력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3. 동일한 KPN을 sire로 하는 자손들의 능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dam의 혈통 구조에 따라 자손의 육종가가 다르게 나타났다. 4. KPN과 유전능력이 파악되지 않은 암소가 교배되었을때 KPN의 육종가에 따라 자손들의 육종가의 폭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5. KPN의 가계도 분석 결과, 사용 빈도가 높은 KPN에서 근교계수값이 존재하였으며 KPN의 계대수가 증가하면 KPN의 근교계수도 함께 증가하였다. 6. 계획교배시 도체 형질에 있어 능력이 유지되는 근교계수의 최대 허용치는 3%인 것으로 나타났다. 4. KPN과 유전능력을 알지 못하는 암소 집단의 교배시, KPN의 능력에 따라 자손들의 육종가의 폭이 달라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KPN의 가계도 분석 결과, KPN에 근교계수값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KPN 검증 시 3~5세대 정도의 간단한 가계도 분석만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6. 계획교배시 도체 형질에 있어 능력이 유지되는 근교계수의 최대 허용점은 3%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lassified into birth year, birth season, slaugher year, slaughter age, and region of Hanwoo ste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correlation coefficient variation produced by pedigree with carcass traits and to find out the critical point for maintaining performance of carcass traits. The data used for the study were obtained carcass trait performances including Final Weight, Carcass Weight, Dressing Percentage, BackFat Thickness, Marbling Score, and Eye Muscle Area and pedigree of 6,300 heads of steer in 7 regions nationwide born between 2013 and 2018. 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arcass traits by year, the results indicated that genetic gain of carcass performance was gradually increased with passing of generation. 2. As a result of carcass performance analysis of offspring according to the use of KPN by region, even offspring using the same KPN had different carcass performance by region, which was cause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ability of cow groups between regions.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bility of offspring with the same KPN as sire, it was found that different breeding families according to KPN present in the lineage of dam were inherited by dam and offspring, indicating a difference in ability. 4. The range of breeding families of offspring varied depending on the ability of KPN and the breeding of dam groups without the genetic ability of KPN. 5. As a result of KPN's pedigree analysis, the KPN used frequently had higher inbreeding coefficients with passing of generation. 6. It was found that the critical point of the inbreeding coefficient for maintaining ability in the characteristics of carcass during mating scheme was 3%.

      • 한우의 최적 출하개월령 추정을 위한 도체형질 유전모수 및 회귀분석

        조희정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전국 7개 지역(강원, 경기, 경북, 전남, 전북, 충남, 충북)에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도축한 한우 거세우 705,117두의 도축성적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형질로는 출하체중(Final Weight, FWT, ㎏), 도체중(Carcass Weight, CWT, ㎏), 도체율(Dressing Percentage, DPT, %), 배최장근단면적(Eye Muscle Area, EMA, ㎠), 등지방두께(Backfat Thickness, BFT, ㎜), 근내지방도(Marbling Score, MSC, point) 등 6가지 도체형질의 일반능력을 분석하고 형질별 유전모수를 추정하였으며, 육종을 통한 한우의 생산비를 절감하고 농장단위 또는 지역단위 최적 출하개월령 추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한우 거세우의 도체형질에 대한 지역별 최적 출하개월령 및 일반능력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출하체중의 지역별 최적 출하개월령은 31~34개월령에서 752.16~764.24㎏으로 나타났다. 도체중은 출하개월령이 31~34개월령에서 444.29~453.68㎏으로 조사되었다. 도체율은 최적 출하개월령이 30~34개월령으로 59.02~59.75%를 나타냈다. 배최장근단면적의 최적 출하개월령은 30~33개월령으로 92.52~96.04㎠으로 조사되었다. 등지방두께는 최적 출하개월령이 31~33개월령에서 13.81~15.42㎜로 나타났다. 근내지방도는 최적 출하개월령이 31~33개월령으로 5.62~6.08점으로 나타났다. 2. 한우의 육량개량을 위한 척도로 도체중을 세분화하여 3그룹으로 구분하였으며, 도체중이 420㎏ 미만인 그룹1에서 출하체중은 경북, 도체중은 경북과 전남, 도체율은 전남, 배최장근단면적은 전남과 전북, 등지방두께는 전남, 근내지방도는 경기지역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도체중이 420㎏ 이상 450㎏ 미만인 그룹2에서는 출하체중은 충북, 도체중은 경북, 도체율은 전남, 배최장근단면적은 전북, 등지방두께는 전남, 근내지방도는 전북지역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도체중인 450㎏이상으로 육량이 가장 우수한 그룹3에서 출하체중은 경북, 도체중은 경북과 전남, 도체율은 전남, 배최장근단면적은 전남과 전북, 등지방두께는 전남, 근내지방도는 전북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지역으로 조사되었다(p<0.05). 3. 도체형질의 표현형 및 유전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보면, 표현형 상관에서 FWT와 CWT가 0.96, CWT와 BFT가 0.54, CWT와 DPT가 0.50, FWT와 BFT가 0.49, BFT와 MSC가 0.45로 나타났다. 유전상관은 CWT와 DPT가 0.91 EMA와 BFT가 –0.41, CWT와 EMA, DPT와 EMA가 동일하게 0.37, DPT와 MSC가 0.30, FWT와 BFT가 –0.30, EMA와 MSC가 0.27의 값으로 조사되었다. 4. 도체율을 제외한 5가지 도체형질 대한 단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가장 높은 R2값을 나타낸 최적의 회귀식은 아래와 같다. FWT=114.9302+(1.4961×CWT)+(-0.1026×EMA)+(-0.7639×BFT)+(-1.8075×MSC), CWT=-46.6148+(0.5946×FWT)+(0.3051×EMA)+(0.7951×BFT)+(0.9596×MSC), EMA=34.5696+(-0.0201×FWT)+(0.1507×CWT)+(-0.3565×BFT)+(2.2410*MSC), BFT=5.4776+(-0.0389×FWT)+(0.1018×CWT)+(-0.0924×EMA)+(0.2122×MSC), and MSC=0.5709+(-0.0110×FWT)+(0.0148×CWT)+(0.0697×EMA)+(0.0255×BFT). 5.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을 위해 고정효과로 출생년도 및 계절, 출생지역을 고려하였고, 공변이로 출하개월령, 출하체중, 등지방두께를 각각 고려하였다. 또한 uncorrelated random effect로 출생년도 및 계절과 보증씨수소를 결합하여 고려하였다. 도체형질들의 유전력은 FWT가 0.14, CWT는 0.23, DPT는 0.22, EMA는 0.14, BFT가 0.10, MSC가 0.06으로 추정되었다. This study was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on carcass traits and to analyze regression equation to find optimal final age in Hanwoo steer. Data were collected from 2015 through 2020 by Korea Institute for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Total number of animals in pedigrees was 705,117. Eighteen animal models were used to obtain REML estimates of genetic parameters. 1. The optimal slaughter age and its performance was 752.16~764.24㎏ of final weight(FWT) at 31~34 months of slaughter, was 444.29~453.68㎏ of carcass weight(CWT) at 31~34 months of slaughter, was 59.02~59.75% of dressing percentage(DRP) at 30~34 months of slaughter, was 92.52~96.04㎠ of eye muscle area(EMA) at 30~33 months of slaughter, was 13.81~15.42㎜ of backfat thickness(BFT) at 31~33 month of slaughter, and was 5.62~6.08 of marbling score(MSC) at 31~33 month of slaughter, respectively. 2. For improving the meat quality of Hanwoo steer, carcass weight was divided by 3 groups; Groups 1 less than 420㎏ of CWT, Group 2 more than 420㎏ and less than 450㎏ of CWT, and Group 3 more than 450㎏ of CWT. The best rearing location in Group 1 was Gyeongbuk on FWT, was Gyeongbuk and Jeonnam on CWT, was Jeonnam on DRP, was Jeonnam and Jeonbuk on EMA, was Jeonnam on BFT, and was Gyeonggi on MSC. The best rearing location in Group 2 was Chungbuk on FWT, was Gyeongbuk on CWT, was Jeonnam on DRP, was Jeonbuk on EMA, was Jeonnam on BFT, and was Jeonbuk on MSC. Finally the best rearing location in Group 3 was Gyeongbuk on FWT, was Gyeongbuk and Jeonnam on CWT, was Jeonnam on DRP, was Jeonnam and Jeonbuk on EMA, was Jeonnam on BFT, and was Jeonbuk on MSC, respectively (p<0.05). 3. For phenotypic and genetic correlation analysis of carcass traits,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0.96 and between FWT and CWT, was 0.54 between CWT and BFT, was 0.50 between CWT and DPT, was 0.49 between FWT and BFT, and was 0.45 between BFT and MSC. Genetic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0.91 between CWT and DPT, was –0.41 between EMA and BFT, was 0.37 between CWT and EMA, was 0.37 between DPT and EMA, was 0.30 between DPT and MSC, was –0.30 between FWT and BFT, and 0.27 between EMA and MSC, respectively. 4. The optimal regression equations with the highest R2 value for each carcass trait were as follows; FWT=114.9302+(1.4961×CWT)+(-0.1026×EMA)+(-0.7639×BFT)+(-1.8075×MSC), CWT=-46.6148+(0.5946×FWT)+(0.3051×EMA)+(0.7951×BFT)+(0.9596×MSC), EMA=34.5696+(-0.0201×FWT)+(0.1507×CWT)+(-0.3565×BFT)+(2.2410*MSC), BFT=5.4776+(-0.0389×FWT)+(0.1018×CWT)+(-0.0924×EMA)+(0.2122×MSC), and MSC=0.5709+(-0.0110×FWT)+(0.0148×CWT)+(0.0697×EMA)+(0.0255×BFT). 5. For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carcass traits, fixed effect was birth year-season and rearing location were fit as fixed effects in all models. The data set used included only animals that had all three covariates measured do that the effects of the three different covariates on estimates of parameters could be compared. The estimates of heritabilities for these carcass traits with a model including location×birth year-season×KPN interaction seems to be important for genetic evaluation of carcass traits of Hanwoo steer. Estimates of heritabilities were 0.14 for FWT, 0.23 for CWT, 0.22 for DPT, 0.14 for EMA, 0.10 for BFT, and 0.06 for MSC, respectively.

      • 마방에서 음악장르에 따른 한라마의 스트레스 변화 연구

        장윤정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에서 승용마로 육성되고 있는 한라마를 대상으로 다양한 장르(Classic, Newage, Rock)의 음악 활용을 통해 스트레스 저감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최적의 음악 장르를 선정하고, 음악 장르에 따른 행동 및 생리학적 특성을 구명하여 한라마의 사육 여건 개선 및 동물 복지 증진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2017년생 한라마 암말 8두의 행동(섭취, 경계, 악벽, 휴식, 탐색, 배변활동)과 심박동수(HR, RR), 신경전달물질(Cortisol, β-endorphin, Dopamine, Serotonin, Oxytocin), CPK, Aldolase 분석을 통해 스트레스의 저감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행동학적 분석 결과를 보면, Classic과 Newage 장르에서 음악 제공 3일 경과 후에 경계 행동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휴식 행동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Rock은 3일 경과 후에 경계와 악벽 행동이 증가하였다. Classic은 섭취, 몸손질, 배변활동이 감소하였고, Newage는 섭취, 몸손질이 증가하였으며, Rock은 섭취가 감소하고 몸손질은 증가하였다. Newage와 Rock에서 배변활동은 유의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고, 모든 장르에서 탐색행동은 증가하였다. 2. 심박동 측정을 통해 Classic에서만 유의적으로 HR이 감소하였고, RR은 증가하였다. Newage와 Rock은 심박동 측정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3. Cortisol은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발생하는 물질로 타액과 혈중 Cortisol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타액 Cortisol은 Classic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Newage와 Rock은 음악 제공 기간에 Cortisol 농도가 증가하였고 음악 종료 후에 감소하였다. 그러나 Rock에서 Cortisol 농도의 증가 폭이 Newage에 비해 매우 크게 나타났다. 혈중 Cortisol은 Classic과 Newage에서 음악 제공 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Rock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4. 혈장을 이용한 신경전달물질(β-endorphin, Dopamine, Serotonin, Oxytocin)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β-endorphin은 모든 음악 장르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지만, Classic과 Newage는 음악 재생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고, Rock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Dopamine은 Newage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Classic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Rock은 차이가 없었다. Serotonin은 모든 장르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Oxytocin은 Classic과 Rock에서 감소하였다. 5. 혈청을 이용하여 분석된 CPK와 Aldolase의 농도는 다음과 같다. CPK는 Newage에서 감소하였고, 음악 종료 후에 증가하였다. Classic과 Rock에서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Aldolase는 Classic과 Newage에서 감소하다가 음악 종료 후에 증가하였다. Rock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music genres(classic, newage, and rock) on stress levels of Jeju crossbred horses a horse stable located at the Subtropic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a bench of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Jeju, Korea. Eight female horses born in 2017 were used in this study. Horses were exposed to various genres of music mentioned above for 7 days and measured by ethogram: ingestion, alert, resting, grooming, instigation, elimination, and stereotype and by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HH, RR, neurotransmitters(cortisol, β-endorphin, dopamine, serotonin, and oxytocin, CPK, and aldol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r the results of ethogram, classic and newag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er frequency of alert behaviors and with a higher frequency of resting behaviors at after 3 days of music provision. But, rock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frequency of alert and stereotype behaviors at after 3 days of music provision. When horses were exposed to the classic, frequencies of ingestion, grooming, and elimination behaviors were decreased. When horses were exposed to the newage, frequencies of ingestion and grooming behaviors were increased. When horses were exposed to the rock, a frequency of ingestion behaviors was decreased and of grooming behaviors was increased. 2. Classic environmen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drop in HR and an increase in RR compared with exposure to other musical genres such as newage and rock. 3. Cortisol working as an indicator to relieve stress was analyzed in saliva and blo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tisol in saliva with classic, but cortisol concentration with newage and rock was increased during the exposure to music and decreased after turning off the music.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tisol in blood with classic and newage. 4. The results of neurotransmitters (β-endorphin, dopamine, serotonin, and oxytocin) analysis using plasma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β-endorphin in all music genres, but β-endorphin with classic and newage was gradually decreased as the exposure to music playing period increased, while the rock was increased. Dopamine decreased significantly only in new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otonin across all musical genres. The concentration of Oxytocin was decreased in classic and rock. 5. The concentrations of CPK and Aldolase analyzed using serum were as follows. CPK decreased in newage and increased after the end of music.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lassic and rock. Aldolase decreased in classic and newage and then increased after the end of the musi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PK and Aldolase with Rock.

      • 디젤엔진 크랭크 각속도 변동의 기계학습을 통한 실린더 상태 예측에 관한 연구

        김영민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to check the power and combustion conditions and to diagnose the performance and state of the engine. As a method of checking the state of the closed combustion chamber, a way of measuring the the pressure of a working gas in a cylinder is mainly used. th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crankshaft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and converted into rotational kinetic energy. Therefore, since fluctuations i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crankshaft are due to the explosive force in the combustion chamber, the press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can be predicted from angular velocity. In this study, th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of each cylinder was predicted by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crankshaft angular velocity, angular acceleration, and scavenging pressure data measured from the main engine of the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training ship. A deep neural network, one of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was used, and a deep neural network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data pre-processing and hyperparameter explorations to construct an optimal prediction mode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bustion state in the cylinder of the main engine can be simul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the crankshaft angular velocity. Considering the price and maintenance cost of the electronic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t is expected that the technology to predict the press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angular velocity of the crankshaft measured from the encoder can be a major technology for diagnosing the performance of smart ships and autonomous ships. 내연기관의 연소실 압력을 측정하는 목적은 출력 및 연소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엔진의 성능과 상태를 진단하기 위함이다. 밀폐된 연소실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린더 내 작동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연소실 압력은 피스톤의 상하운동을 통해 크랭크샤프트로 전달되어 회전 운동에너지로 전환된다. 따라서 크랭크샤프트의 각속도 변동은 연소실 내 폭발력에 기인하기 때문에 연소실 압력은 각속도로부터 예측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의 주기관으로부터 측정한 크랭크샤프트 각속도 및 각 가속도, 소기 압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학습하여 각 실린더의 연소실 압력을 예측하였다. 기계학습 방법 중 하나인 심층 신경망을 활용하였으며, 최적의 예측 모델 구성을 위해 데이터 전처리 및 하이퍼 파라미터 탐색 과정을 거쳐 심층 신경망 모델을 구성하였다. 결과적으로 크랭크샤프트 각속도를 활용한 기계학습을 통해 주기관의 실린더 내 연소상태를 모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연기관의 연소실 압력 측정을 위한 전자 압력 센서의 가격과 유지보수 비용을 감안한다면, 엔코더로부터 측정한 크랭크샤프트의 각속도를 통한 연소실 압력 예측기술은 스마트 선박 및 자율운항 선박의 성능 진단을 위한 주요기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등급계란의 관리조건이 신선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수홍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등급계란의 판매환경과 계란의 외관품질 및 보관온도에 따른 보관날짜에 따른 신선도 변화를 측정하여, 등급계란의 판매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전남지역 대형유통업체 21개 판매점에서 판매형태를 4단 판매대와 롤-적재 판매대로 구분하여 표시온도, 실제 판매온도, 판매기간을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1+등급 수준의 외관품질을 가진 계란을 상, 중, 하 3개 그룹으로 나누어 6.2℃, 12.5℃, 17.1℃의 3가지 조건에서 20일 동안 보관하면서 신선도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급계란의 실제 판매온도는 7℃ 미만에서 10.0%, 10℃ 미만에서 47.7%, 15℃ 미만에서 91.8%, 15℃ 이상에서 8.3%가 판매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판매대 실제온도는 10.28±2.94℃로 표시온도인 6.70±1.77℃보다 3.58±2.7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판매형태에 따른 실제온도는 4단 판매대가 9.64±2.45℃, 롤-적재 판매대가14.38±2.49℃로 롤-적재 판매대의 실제온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4. 판매형태에 따른 실제온도와 표시온도의 차이는 4단 판매대가 3.08±2.79℃, 롤-적재 판매대가 6.74±2.42℃로 롤-적재 판매대의 온도차이가 유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5. 등급계란의 판매 일수는 평균 7.41±4.35일로 7일 이내에 57.7%, 14일 이내에 92.1%가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보관온도별 20일 동안의 HU 변화량은 6.2℃에서 -5.88±6.77, 12.5℃에서 -11.91±7.93, 17.1℃에서 -15.68±9.98로 보관온도가 낮을수록 HU 하락이 유의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7. 계란품질별 20일 동안의 HU 변화량은 [상] -8.48±5.59, [중] -11.41±8.73, [하] -13.61±9.70으로 외관품질이 좋을수록 HU 하락이 유의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8. 보관 초기 일평균 HU 변화량이 이후 보관일에 비해 큰 경향이 있었고, 외관품질 [중]과 [하]에서 1일~3일 사이의 HU 변화량이 이후 보관일보다 유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9. 계란의 HU가 A급인 72이상을 유지하는 기간은 보관온도 6.2℃에서는 계란의 외관품질과 관계없이 20일 이상이었으나, 12.5℃에서는 [상]은 20일 이상 [중]은 16일, [하]는 9일이었으며, 17.2℃에서는 [상]은 20일 이상, [중]은 12일, [하]는 5일로 등급계란의 품질유지 판매가 될 수 있도록 유통기한 조절과 함께 미국과 같은 7.2℃ 이하의 계란 판매조건이 필요하다.

      • 한우 거세우의 도체형질 및 생산비를 고려한 최적 출하월령 추정 연구

        이승웅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effects of rearing region, slaughter year, birth year, and slaughter age on carcass traits and to estimate optimal slaughter age with considerations of carcass traits and production cost in Hanwoo steer.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5 local rearing regions in Jeonnam province, Korea. 229,640 heads of steers were measured carcass traits such as backfat thickness, eye muscle area, carcass weight, and marbling score from 2011 to 2019. 1.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nces by rearing regions on all carcass traits due to own unique management program, individual management based on pedigree, and breeding scheme.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arcass traits by slaughter year, carcass weight, eye muscle area, and marbling score were gradually increased with slaughter year due to breeding effects. 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arcass traits by birth season, individuals born in the spring had the best performance on carcass traits. 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carcass trai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4 between carcass weight and eye muscle area and was 0.46 between eye muscle area and marbling score, respectively. 5. The optimal slaughter age was 29 month with considerations of carcass traits and production cost in Hanwoo steer. 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KPN frequency based on two different group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rend of using KPN between upper and lower groups with considerations of carcass traits and production cost. EPD value of uppe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group with considerations of the optimal slaughter age at 29 month. 본 연구는 한우 거세우의 지역별, 도축년도별, 출생계절별, 출하월령별 등급판정 정보를 활용하여 한우 도체형질의 특성을 파악하고, 한우의 도체 가격정보와 생산비를 분석하여 최적의 출하월령을 추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전남 5개 지역에서 출하된 한우 거세우 229,640두의 등급판정 기록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에 이용된 도체형질은 도체중,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이다. 1. 출하지역별 도체형질의 분석 결과를 보면, 모든 도체형질의 분석 결과가 출하지역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출하지역별로 차별화된 사양관리, 혈통의 능력을 고려한 계획교배 등에 의한 지역별 특화 개량사업의 효과인 것으로 사료된다. 2. 도축년도별 도체형질의 분석 결과를 보면, 도체형질 중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는 도축년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도체형질의 능력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년도별 개량의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3. 도체형질에 대한 출생계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봄에 출생한 개체들의 성적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도체형질간 상관계수 분석 결과를 보면, 도체중,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 간의 상관계수는 모두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특히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의 상관계수가 0.54, 배최장근단면적과 근내지방도의 상관계수는 0.46으로 조사되었다. 5. 출하개월령과 생산기간에 따른 투입비용을 고려한 최적 출하월령 추정치는 29개월령에 출하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 KPN 활용빈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도체성적과 도체 경락가격을 기준으로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으로 구분할 경우, 두 그룹간 KPN의 활용경향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29개월령을 최적 출하월령으로 고려한 상 ․ 하위 그룹에 사용된 KPN의 EPD를 비교하였을 때, 상위그룹의 EPD가 하위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돼지의 삼겹살 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정승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구제역 발생으로 인하여 돼지 부분육 값이 급등하였고, FTA 발효 등으로 인하여 국내 부분육 시장은 경쟁력을 잃어가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부분육 선호도 1위인 삼겹살 증산 방안을 연구하여, 소비자들은 고품질의 국내산 부분육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고, 국내 돼지 사육 농가는 수요가 많은 부분육을 균일하고 지속적으로 생산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2010년 전남 화순군에 위치한 M도축장에서 도축된 7개 농장의 3원교잡(Landrace×Yorkshire×Duroc) 비육출하돈 1,355두에 대한 기록을 이용하여 도체형질의 일반성적을 분석하였다. 비육출하돈 전체 1,355두에서 평균 출하체중은 암퇘지 113.87±8.37㎏, 거세돈 113.71±8.65㎏이었고, 출하체중과 90%이상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도체중에서 암퇘지는 86.03±7.03㎏, 거세돈 86.15±6.51㎏으로 출하체중 및 도체중은 성별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평균 도체장의 길이는 암퇘지 70.28±2.62㎝, 거세돈 69.69±2.53㎝으로 암퇘지가 거세돈의 비하여 체장의 길이가 길게 조사되었고, 체장과 척추수의 상관관계는 암퇘지 0.52, 거세돈 0.45로 고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척추수가 20개에서 21개, 22개로 증가함으로 인하여 체장의 길이도 길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삼겹살 중량과의 상관관계는 출하체중 암퇘지 0.77, 거세돈 0.63, 도체중 암퇘지 0.73, 거세돈 0.63으로 고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척추수와의 상관관계는 암·수 모두 0.01로 유의적인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삼겹살 증산을 위해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적정사육기간내에 출하체중을 늘리고 도체율을 높이는 방안이 우선시 되나, 장기적으로 균일화된 돈군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척추수와 체장의 관계를 이용하여 출하체중과 도체중 생산능력이 뛰어난 종돈을 선발하고, 교배조합 체계에 계획 및 도입함으로써 삼겹살 중량 증산을 공식화해야 할 것이다.

      • 한우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및 종모우 개량효과 추정 연구

        임소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우 사육농가의 실질적 소득에 관여하는 도체형질들에 대한 유전능력을 평가하고 각각의 종모우의 육종가를 산출하여 계획교배에 기여한 한우 보증씨수소의 육량 또는 육질 기여도를 추정함으로 향후 한우 번식우 농가의 농장단위 유전능력 기준을 제시하고 선발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라남도 나주에 위치한 일반 한우 농가 2곳의 도축 성적을 수집하여 도체형질(도체중,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 분석과,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상관과 표현형 상관을 추정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on carcass traits such final weight, carcass weight, dressing percentage, eye muscle area and marbling score in Hanwoo. Most of genetic evaluation based on national evaluation did not reflect real farm’s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used data from 2 animal far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