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슬관절전치환술 후 근구조의 생리학적 특성

        김가영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슬관절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양측 대퇴사두근의 근두께, 외측광근의 우모각, 대퇴직근의 근두께와 근단면적, 내측 비복근의 근두께 및 우모각의 정량화를 위한 재활초음파 영상의 적합성을 평가하여, 수술측과 비수술측의 하지근의 구조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수술측의 일반적 특성이 하지근의 근구조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서울소재의 H병원, S병원, W병원에서 슬관절전치환술을 시행한지 2주 이내의 입원 환자 50명(남성 14명과 여성 36명, 평균연령 71.24 ± 6.86세)을 선정하였다. 변수는 연령, 성별, 신장, 체중, 다리길이, 시각적 통증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및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와 슬관절 신전근 근력을 평가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7.5 ㎒의 선형 트랜스 도자와 실시간 B-모드 재활초음파를 사용하여 대퇴사두근의 근두께, 외측광근의 우모각, 대퇴직근의 근두께 및 근단면적, 내측 비복근의 근두께 및 우모각의 측정을 하는 데 사용되었다. 성별에 따른 비교와 수술측과 비수술측 사이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수술측의 하지 근구조학적 특성과 일반적인 특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근구조학적 특성은 대퇴직근의 근단면적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수술측과 비수술측의 대퇴사두근 근두께와 외측광근의 우모각, 대퇴직근의 근두께와 근단면적, 내측 비복근의 우모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수술측 근구조학적 특성과 일반적인 특성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재활초음파 영상에서 얻은 수술측과 비수술측의 대퇴사두근, 대퇴직근, 내측 비복근의 근단면적, 근두께, 우모각의 비교 결과는 슬관절전치환술 후 환자의 임상 평가 및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계획 할 때 목표설정에 유용 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 A STUDY ON THE EFFECTS OF FITNESS AND WALKING EXERCISE USING AN WEARABLE HIP ROBOT ON THE PHYSICAL FUNCTION OF OLDER ADULTS

        신장훈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Study 2. EFFECTS OF 6-WEEKS WALKING EXERCISE PROGRAM USING AN WEARBLE HIP ROBOT ON THE PHYSICAL FUNCTION OF OLDER ADULTS Interval walking exercise (IWE) consists of repeated walking for 3 min with high intensity, followed by 3 min of walking with low intensity. A wearable robot is an exoskeleton robot system that assists human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performing interval walking using the EX1 (Samsung Electronics, Suwon, Republic of Korea) of older adults. The study design w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Robot assist group (RG; n=10) performed the IWE program with the EX1, and the Non robot assist group (NRG; n=12) performed the IWE program without the EX1,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Both groups were evaluated for spatio-temporal parameters and kinematic parameters by G-Walk and GAITRite, function, muscle power by electromyography (EMG) and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RUSI), and waist-to-hip ratio (WHR) by Inbody at before, after three weeks and after six weeks of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elvic tilt range (p < 0.05) after six weeks of exercise. The pelvic rotation ran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six weeks of exercise in the RG (p < 0.01). Also, rectus abdominis contraction ratio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ix weeks of exercise in the RG (p < 0.05). In addition, the WHR was significantly lower after six weeks of exercise in the RG than in the NRG (p < 0.05). Based on the results, the EX1 maximizes the normal walking effect, promotes correct posture and physical activity to prevent falls, and improves quality of life. Keywords: Aged;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Robotics; Wearable Electronic Devices Study 1. EFFECTS OF 4-WEEKS EXERCISE PROGRAM USING AN WERABLE HIP ROBOT ON THE PHYSICAL FUNCTION OF OLDER ADULTS Recently, research in the healthcare field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nd Samsung Electronics has developed the EX1, a hip joint robot for exerci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a 4-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applying the EX1 on older adults. This study design was an evaluator-blinded, one-group pre- and post-test. A total of 21 older adults performed an exercise program wearing the EX1 for 50 min per session, 3 days a week during the 4-week exercise period. For comparis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exercise program,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kinematic parameters, functional evaluation, muscle power, and waist-hip ratio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ll data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exercise using paired t-tes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The stride length and propul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exercise with the EX1 (p < 0.01). Regarding changes of the gait postur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lvic movement range (p < 0.05). In the functional evaluation, the time requir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imed up and go test (TUG) (p < 0.05). In addition, the waist-hip ratio was significantly reduced (p < 0.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 4-week exercise program with the EX1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functional gait of the older adults, increasing the pelvic movement and muscle strength in the lower extremities, followed by increased walking speed and stability of gait due to increased core muscle power. Keywords: Aged, Circuit-Based Exercise, Robotics, Wearable Electronic Devices

      •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체중 부하 운동과 몸통 안정화 운동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의 균형, 기능 및 자세 조절에 미치는 영향

        김수미 삼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체중 부하 운동과 몸통 안정화 운동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의 균형, 기능 및 자세 조절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체중 부하 운동과 몸통 안정화 운동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들에게 균형, 기능 및 자세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32명을 대상으로 체중 부하 운동군 16명, 몸통 안정화 운동군 16명으로 제비뽑기를 통하여 무작위 배정을 하였다. 두 군으로 분류 후 한 다리 서기 검사를 통해 정적 균형을 측정하였으며, Y-균형 검사를 실시하여 동적 균형을 측정하였다. 또한, 발목의 기능을 알기 위해 6-m 가로질러 뛰기 검사를 실시하고, 동작 분석 장치를 통해 자세 조절에 대해 사전검사를 하였다. 주관적 운동 자각도를 활용한 체중 부하 운동군과 몸통 안정화 운동군은 하루 30분 주 3회 6주 동안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중 탈락자가 발생하지 않아 32명의 대상자 모두 운동을 마치고, 사후 검사를 하였다. 정적, 동적 균형에 대해 운동 전과 후 비교에서 체중 부하 운동군과 몸통 안정화 운동군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발목의 기능에 대해 운동 전과 후 비교에서 체중 부하 운동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몸통 안정화 운동군은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체중 부하 운동군이 몸통 안정화 운동군보다 균형, 발목의 기능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으나, 체중 부하가 불가능한 구조적 손상 환자, 발목 관절 통증으로 인한 체중 지지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몸통 안정화 운동을 통하여 발목의 안정성 증진과 균형을 향상시키며 조기 재활 시기를 당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 발목 부상, 체중 부하, 코어 안정화, 자세 균형

      • 가슴우리 관절가동술과 호흡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가로막 두께, 가슴우리 확장, 호흡기능 및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문현민 삼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슴우리 관절가동술과 호흡운동이 가로막 두께, 가슴우리 확장, 호흡기능 및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9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가슴우리 관절가동술과 호흡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14명과 보존적 물리치료와 호흡운동을 적용한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가슴우리 관절가동술 15분, 호흡운동 15분 간 진행하여 총 1회 30분, 주 3회, 6주간 훈련하였으며, 대조군은 보존적 물리치료 15분, 호흡운동 15분 간 진행하여 총 1회 30분, 주 3회, 6주간 시행하였다. 훈련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가로막 두께 변화, 가슴우리 확장, 호흡기능, 지구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에서 가로막 두께, 가슴우리 확장, 호흡기능. 지구력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05), 대조군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비손상측 가로막 두께와 가슴우리 확장에 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로막 두께, 가슴우리 확장, 호흡기능 및 지구력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비손상측 가로막 두께와 가슴우리 확장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슴우리 관절가동술을 병행한 호흡운동은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써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주요어 : 가로막, 가슴우리, 관절가동술, 지구력, 호흡기능, 호흡운동

      • 고빈도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과 병합된 과제지향훈련이 급성 뇌졸중 환자의 팔운동기능, 악력 및 운동겉질의 흥분성에 미치는 영향

        이병준 삼육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고빈도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high frequence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HF-rTMS)과 병합된 과제지향훈련(task oriented training)이 급성뇌졸중 환자의 팔운동기능과 악력 및 운동겉질의 흥분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급성 뇌졸중 환자 중 선별기준에 적합한 29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무작위로 고빈도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과 병합된 과제지향훈련군(HF-rTMS적용군) 15명, sham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과 병합된 과제지향훈련군(대조군) 14명으로 할당하였다. HF-rTMS적용군은 손상측의 일차 운동 겉질 영역에 HF-rTMS(10 ㎐, 첫 번째 손등쪽 뼈사이근의 휴지운동역치의 80% 강도, 20분 치료)를 4주간 주 5회, 20회 받았으며, 30분간 과제지향훈련을 적용하였다. 대조군은 Sham rTMS(휴지운동역치의 2% 강도, 20분간 HF-rTMS와 같은 빈도의 소음을 듣게 함)를 적용하였고, 과제지향훈련은 30분간 HF-rTMS적용군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팔운동기능인 팔기능과 악력, 운동겉질의 흥분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퓨글메이어 팔운동기능평가, 맨손기능검사, 악력, 운동겉질의 흥분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실험 전․후 팔운동기능과 악력 및 운동겉질의 잠복기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5), 악력, 운동겉질의 잠복기에서 HF-rTMS적용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그러나 운동겉질의 진폭과 팔운동기능 평가에서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급성기 뇌졸중환자의 과제지향훈련 전 HF-rTMS를 적용하는 것이 급성기 뇌졸중환자의 악력과 운동겉질의 잠복기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필라테스가 거북목증후군 성인의 근구조, 경추정렬 및 신체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진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거북목증후군 성인을 대상으로 8주간의 필라테스 운동을 처치하여 근구조, 경추정렬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운동 중단 2주 후 운동 효과의 지속도를 살펴보았다. 30명의 참여자를 무작위로 필라테스훈련군(n=15), 경추안정화운동군(n=15)으로 분류하였다. 필라테스훈련군은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경추안정화훈련군은 경추안정화운동 프로그램을 두 군 모두 60분 동안 주 3회 8주간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에 따른 결과를 조사하기 위해 재활초음파 영상기법을 이용하여 근구조를 측정하고 바디스타일 자세측정기로 두개척추각(craniovertebral angle)과 뉴욕주 자세 판정검사 표를 기준으로 경추정렬검사를 하고 한국어판 목 장애지수(Korea version of neck disability index)를 사용하여 경부의 기능장애지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에 따른 결과 필라테스훈련이 경부안정화훈련보다 중간등세모근과 마름근의 근두께 변화와 두개척추각의 각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추적검사를 통한 지속효과에서는 위등세모근을 제외 한 모든 변수에서 필라테스훈련군에서 더 유의한 효과차이를 나타냈다(p<0.05).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필라테스훈련이 경부안정화훈련보다 중간등세모근과 마름모의 근두께 변화와 두개척추각의 각도의 변화에 유의한 향상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더욱이 필라테스훈련이 더 큰 효과성과 효과의 지속성을 나타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경부기능장애지수 점수, 뉴욕주자세판정 점수와 함께 다른 변수들에서도 필라테스훈련 프로그램 중단 후 2주(10주후)에 결과에 따르면 피험자들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기 때문에 더욱 긴 추적조사 기간에서 더욱 큰 폭의 변화가 관찰된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결과는 거북목증후군 성인에게 필라테스는 고려되어야할 중재방법이고 거북목증후근 성인의 근두께, 두개척추각 및 자세 그리고 경추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운동으로 더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8-week pilates on muscle architecture, cervical alignment, and physical functions in adults with turtleneck syndrome and analyzed the continuance of the exercise effect 2 weeks after suspension of exercise. For this study, 3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pilates group(n=15) and a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group(n=15). Then a pilates program was applied to the pilates group and a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for 6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ethods, muscle architecture was measured using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es(RUSIs) and the craniovertebral angle(CVA) was measured using a body style posturography. Also, cervical alignment test was conducted,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New York posture rating chart and functional disability index of the neck was measured using Korean neck disability index(KNDI). The measurement results are as follows. Pilates brought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rhomboid muscle and middle trapezius muscle thickness and CVA than the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p<0.05). When the continuance of the exercise effect was measured using a follow-up test, also, the pilates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effect in all the variables except upper trapezius(p<0.05).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ilates brings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rhomboid muscle and middle trapezius muscle thickness and CVA and has a bigger effect and a bigger continuance of the exercise effect than the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Moreover, it is anticipated that bigger changes can be observed in a longer follow-up study, since the subjects showed continued improvement in the score of cervical functional disability index and the index of New York Posture Rating Chart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2-week experiment (after 10 weeks) after suspension of the pilates program.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pilate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tervention for adults with turtleneck syndrome and can be more actively used as an effective exercise to improve muscle thickness, CVA and postures, and cervical functions of adults with turtleneck syndrome in future.

      • 어깨 안정화 운동이 목통증환자의 통증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유나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어깨 안정화 운동이 목통증 환자의 기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목통증 환자에게 전반적으로 실시하는 보존적 물리치료와 어깨 안정화 훈련을 실시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보존적 물리치료와 목 안정화 훈련을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전 D 종합병원의 목통증으로 내원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중도탈락자 4명으로 어깨 안정화 운동군 14명 대조군 12명 이었다. 주5회 4주간 실시하였고, 대조군 40분 어깨 안정화 운동군 60분으로 진행 하였다. 목의 통증을 보기위해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와 압력 통각계(pressure pain threshold, PPT)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고, 목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경부 장애 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 경추 관절 가동 범위(cervical range of motion, CROM)을 사용 하였다. 상지의 안정성을 보기위해 닫힌 사슬 운동 검사(closed kinetic chain test, CKCT)를 사용 하였다. VAS는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PPT는 어깨 안정화 운동군의 오른쪽 상승모근, 견갑거근, 두판상근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조군은 오른쪽 상승모근, 견갑거근, 두판상근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어깨 안정화 운동군은 왼쪽 상승모근, 견갑거근, 두판상근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조군의 왼쪽 상승모근, 견갑거근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왼쪽 두판상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목의 기능의 변화로 NDI는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ROM 굴곡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경추의 신전은 어깨 안정화 운동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추의 오른쪽 기울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왼쪽 기울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오른쪽 회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왼쪽 회전 시 어깨 안정화 운동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KCT의 측정결과는 대조군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어깨 안정화 운동군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 결과는 어깨 안정화 운동이 목통증 환자의 통증 및 기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어깨 안정화 운동은 목통증 환자에게 통증 및 기능 그리고 상지 안정성의 증진에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실제로 임상에서 일반적 물리치료와 함께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심부경부굴곡운동이 전방머리자세 노인의 지구력, 통증, 경추정렬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진수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 노인을 대상으로 심부경부굴곡운동이 지구력, 통증, 경추정렬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조건을 충족하는 전방머리자세 노인 30명이며, 대상자는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심부경부굴곡운동군(n=15)과 대조군(n=15)으로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치료적 마사지 프로그램과 심부경부굴곡운동 프로그램을 각 15분씩 주 3일, 6주간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치료적 마사지 프로그램을 15분씩 주 3일, 6주간 시행하였다. 중재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심부경부굴곡근 지구력 평가로 압력 바이오피드백 장치를 이용하여 최대수의수축력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50%와 80% 최대하수축력을 기준으로 수축 유지시간을 측정하였고, 통증을 평가하기 위해 압력통각역치를 측정하였으며, 경추정렬을 평가하기 위해 두개척추각을 측정하였고, 폐기능 평가를 위한 1초간 노력성 호기량과 최대 호기 유량을 측정하였다. 중재 방법의 적용에 따라서 전ㆍ후 변화를 평가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모두 심부경부굴곡근 최대 근력, 50%와 80% 최대하수축력 수축 지속시간, 양측 후두하근, 상부승모근, 견갑거근 통각역치, 두개척추각, 1초간 노력성 호기량, 최대 호기 유량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p<0.01). 그리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심부경부굴곡근 최대 근력, 50%와 80% 최대하수축력 수축 지속시간, 우측 후두하근, 양측 상부승모근, 견갑거근 통각역치, 두개척추각, 1초간 노력성 호기량, 최대 호기유량(p<0.01)과 좌측 후두하근(p<0.05)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압력 바이오피드백 장치를 활용한 심부경부굴곡운동이 전방머리자세 노인의 지구력, 통증, 경추정렬 및 폐기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심부경부굴곡운동은 청·장년층뿐만아니라 노인의 전방머리자세 중재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