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선도로변 공공공간의 보행 활성화 방안 연구 : 테헤란로변 공공공간 개선을 중심으로

        주기채 서울시립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Pedestrian at the Public Space of Boulevard - focused on Public Space Improvement on Teheran Road Gi-chae, Joo Advised by Prof. Seung-il, Lee Dept. of Urban Planning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This study began with a problem awareness of the monolithicstreet environment along the main road in the city. And, in order for urban pedestrian spaces to contain and to activate diverse activities of citizens, it seems to need that to expand the shortage of rest place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pace in the urban area. A city street is a place to contain the activities of people. However, the streets of our city are not able to provide the diverse activities or citizens’ other than passage. Through the study, pedestrian revitalization measures of public space at the street are suggested for improving the existing public space with pleasant pedestrian atmosphere and providing exterior rest place for citizens. Since the public open space standard was issued in 1991 under the Building Act to secure public space in the city, public open space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in terms of volume. However, public open space created for the public are unable to perform their own functions properly and many of the existing public open spaces have been privatized and even become smoking spaces. It makes them not available for citizens’ rest and leisure. In the study, based on investigations and analysi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usage pattern for individual open and street spaces placed on the Teheran Roadside, it is concluded that integrated inter-connected measures with consideration of street characteristic and improved way for public space in order to revitalize and reform individual open spaces. Furthermor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cooperation between the private sector and the public institute should be made in order to realize as belows; First of all, with a change in awareness of the urban street environment, public open spaces should be improved to rest and leisure spaces containing citizens’ needs and pedestrian spaces should be promoted with emphasis on creating a street environment that wants to walk and stay. Secondly, while the public institute’s role is important for making inter-connection public space respectively, the public institute should induce the improvement of ‘Public Space’and ‘Set-Back Area’on the private lots actively through carrying out pilot projects contained implementation plans for public space improvement. Lastly,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public open space, the private sector is required to reflect the needs of the citizens and the public institute actively encourages participation by the private sector through expanded operations such as the project to revive the public open space held by Seoul Metropolitan City. The study has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for each type of street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open public space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urban streets through the expansion of public spaces in the street as well as the inter-connection individual open spaces. In addition, an expectationshould be looked forward to improving and supplementing the system for establishing a street network when creating new types of public open space and constructing new buildings. Keyword: Public Space, Public Open Space, Improvement Measures for Public Space, Revitalization of Pedestrian Keyword: Public Space, Public Open Space, Improvement Measures for Public Space, Revitalization of Pedestrian 간선도로변 공공공간의 보행 활성화 방안 연구 -테헤란로변 공공공간 개선을 중심으로 주기채 지도교수 : 이승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도시계획학과 본 연구는 도심 간선도로변의 획일화된 가로 환경에 대한 문제 인식에서부터 시작하게 되었다. 또한 도심 보행공간이 시민들의 다양한 활동을 담아내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도심지에 부족한 휴게공간을 확충하고 공공공간의 질적 향상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도시 가로는 사람들의 활동을 담는 곳이다. 하지만 우리 도시의 가로는 통행 외에 시민들의 다양한 활동과 행위들을 담아내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기 조성된 각각의 공개공지를 개선하고 시민을 위한 쾌적한 보행 환경과 옥외 휴게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간선도로변 공공공간의 보행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심 내 부족한 공공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1991년 건축법에서 공개공지 제도가 도입된 이래 공개공지는 양적인 면에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공공을 위해 조성된 공개공지가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기 조성된 다수의 공개공지가 사유화되고 흡연 공간화 되어 시민들의 휴게와 여가공간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테헤란로변에 조성된 개별 공개공지와 가로 공간에 대한 물리적 환경과 이용 행태를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 개별 공개공지를 개선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가로 별 특성을 고려한 통합적인 연계 방안과 공공공간 개선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또한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민간과 공공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하였다. 첫째, 도심 가로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로 공개공지는 시민의 요구를 담은 휴게, 여가 공간으로 개선하고 보행 공간은 걷고 싶고, 머물고 싶은 가로 환경을 조성하는데 역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야한다. 둘째, 개별 공개공지의 연계를 위해선 공공의 역할이 중요한데 공공에서는 전면공지 개선 방안을 구체화하고 시범사업을 추진함으로써 민간의 전면공지와 대지 안의 공지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을 유도한다. 셋째, 기 조성된 공개공지의 시설 개선을 위해 민간에서는 사용자 요구를 반영한 공개공지 개선이 요구되고 공공에서는 서울시 공개공지 되살리기 사업 등의 확대 운영을 통해 민간의 참여를 적극 유도한다. 본 연구는 도심 간선도로변에 조성된 공개공지의 활용도를 높이고 가로내 공공공간을 확대 조성하는 방안을 통해 개별 공개공지를 상호 연계하고 도시 가로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가로 유형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형태의 공개공지 조성과 건물 신축 시 가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제도 개선 및 보완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핵심어 : 공공공간, 공개공지, 공공공간 개선방안, 보행활성화

      • 도시특성요소와 대기질의 관계에 대한 효율성 분석 : 2008-2010년간 서울시 이산화질소(NO2)를 대상으로

        제현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대기 환경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의 증가에 따라 우리나라는 연료 중심의 대기관리 정책을 통해 대기환경을 개선해왔으나, 대기오염물질인 이산화질소 및 오존 등 2차 오염물질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산화질소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원인 물질로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오염물질의 배출 규제에만 치우칠 것이 아니라, 대기오염의 근본적인 원인인 도시특성요소와 대기질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동시에, 대기오염을 근본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지자체별 실천계획의 수립 등과 같은 (지자체의) 정책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지역별 차별화된 대기관리방안을 모색하고, 그 결과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지역별(서울시의 경우 25개 자치구별)로 차별화된 대기질 관리 방안을 통하여 대기개선 정책의 수립이 가능하도록 주택, 교통수요, 토지이용패턴, 공간구조 등 도시특성요소의 효율성분석을 수행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서론과 네 장으로 구성된다. Ⅱ장에서는 도시특성요소를 정의하였고, 도시특성요소와 대기오염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효율성 분석에 대하여 관련이론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대기오염(이산화질소)의 환경적 효율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정립하였다. Ⅳ장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대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도시특성요소들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유의미한 요소와 이산화질소 농도 값을 대상으로 효율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연도별 분석을 수행하였고 시계열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결과를 해석하였다. 끝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을 밝혔다. 본 연구를 위하여 효율성 분석인 3단계 DEA를 수행하였고,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회귀분석의 분석결과, 이산화질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2008년에는 공원면적이, 2009년에는 수송용 도시가스 버스업체수, 공원면적, 그리고 2010년에는 공동주택수, 시가화지역의 개발밀도, 천인당 자동차등록대수, 수송용 도시가스 버스업체수, 공원면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변수의 부호는 모두 예상되는 결과를 나타냈고, 연도별로 종속변수인 이산화질소에 대해 동일한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회귀분석의 결과를 2단계인 효율성 분석의 가정에 맞도록 투입 및 산출변수를 변형하여 3단계인 효율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효율적인 DMU(비교대상)는 규모효율성이 1인 결과 값을 나타내는 구로, 2008년과 2009년의 경우는 효율적인 DMU가 동대문구 1곳으로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2010년의 경우는 서울시 25개 구 중 15곳이 효율적인 DMU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효율적인 DMU는 모든 분석에서 규모의 증가에 따른 수익감소가 비효율의 원인이 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결과해석에 적용하였다. 비효율적인 구는 분석의 잔여값을 통해 비효율성의 원인과 규모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도시특성요소들의 개별 요소가 대기오염(이산화질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효율성 분석을 통해 비교대상별(행정구별)로 제시함으로써 정책입안자로 하여금 해당 지역의 한 도시특성요소를 강화 또는 약화시킬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urban characteristics factors affecting the air quality of Seoul to provide an effective way of environmental policy application. In most studies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characteristics factors and air quality has been being analyz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n measure the power of influence on the factors, but to measure the scales of the influence due to changes of the factors is not possible by the method. In this study an efficiency analysis was introduced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model. So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as used as an efficiency analysis for the task of this study by years. According to the analysis from 2008 to 2010, urban characteristics factors affecting the air quality were different by year and some cause of the inefficient DMU were proved by the corresponding sla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ble to contribute effective decision making for the districts in changing their urban characteristics factors in consideration of their given conditions.

      • 도시철도 네트워크 특성과 역세권 토지이용이 서울 도시철도 차내 혼잡에 미치는 영향

        강영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도시철도는 낮은 수송 에너지, 대량수송, 정시성 등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건설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충분한 수요 예측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인 이용이 필요하다. 그동안 역세권 개발은 역 주변을 고밀도로 개발함으로써 도시철도의 이용을 도모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그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대규모의 인원을 수송할 수 있다는 것은 도시철도의 중요한 장점이지만 다른 운송수단과 마찬가지로 수송용량의 한계가 존재한다. 탑승 정원 을 초과한 인원이 탑승하면 차내가 혼잡해지고 불가피한 신체접촉, 범죄위험 증가, 승하차 지연 등의 여러 부작용이 발생하며 수단분담률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도시철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차내 혼잡도를 고려하여 이용 수요를 고르게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차내 혼잡도를 높이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차내 혼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연구에서 도시철도차내 혼잡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토지이용 특성을 중심으로 매개중심성, 인접 환승역 수와 같은 도시철도 네트워크 특성으로 인한 영향을 추가로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간별로 ‘이전 범위의 비주거용도 토지이용 비율’, ‘이후 범위의 전체 토지이용 밀도’와 ‘이후 범위의 비주거용도 토지이용 비율’이 혼잡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이후 범위의 비주거용도 토지이용 비율’이다. 이를 바탕으로 역세권에 출근 시간대 통행자들의 목적지로 이용되는 용도의 건축물이 추가될 경우 해당 역으로 향하는 도시철도의 혼잡도가 높아질 것임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혼잡한 구간이 집중된 지역의 역세권에 대해서 출근시간대에 목적지로 이용될 수 있는 용도의 개발 대신 비첨두시간대에 목적지로 이용될 수 있는 토지이용의 입지를 증가시키는 것이 해당 역세권의 토지이용 밀도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높은 혼잡도로 인한 부정적 효과를 완화하는 방법이다. 둘째, 네트워크 요인보다 토지이용 요인이 혼잡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토지이용 요인을 이용하여 혼잡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계획 수립에서 실행까지 긴 시간과 큰 비용이 든다. 대신 네트워크 요인은 노선의 추가적인 연계를 통하여 토지이용 요인보다 즉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매개중심성은 혼잡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도시철도 노선의 변경은 매개중심성에 영향을 주고 이는 전체 도시철도 혼잡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혼잡도가 높고 매개중심성이 높은 구간은 높은 매개중심성을 분산시키는 교통 정책이 필요하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혼잡도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노선확충, 시설 설계 측면의 대안을 제시하였으나 본 연구는 도시철도 네트워크의 특성과 더불어 도시공간구조 측면의 요인이 영향을 미침을 제시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 차내 혼잡도를 고려한 교통 계획, 도시계획의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ubway has many merits such as low transportation energy, mass transportation capacity, and punctuality. Local governments of many metropolitan cities try to encourage people to use subway using high-density development of subway station areas and mass-trasit planning. However, transportation capacity of subway is limited. If more passengers than transportation capacity get on the subway, the subway is crowded. Crowded subway causes inevitable physical contact, stress and increasing boarding and alighting times. On the other hand, in spite of the same time, there are few passengers in some regions, In light of enormous subway construction cost, this imbalance is inefficient. Therefore, distributing passengers evenly should be considered. To do so, it is needed to identify what factors cause crowed subway trai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using regression analysis. A dependent variable of the model is the average crowding degree in subway train in Seoul during the morning rush hour. Independent variables are land-use of subway station areas, betweenness centrality, the number of nearby transfer station and dummy variable about the effect of metro loop line. The analysis showed difference of land-use factors’ influence by direction of subway and importance of betweenness centrality. This implies that the change of subway line or development of station area of station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may worsen crowding degree of subway train.

      • 토지이용과 도시철도 네트워크 특성이 환승역 이용자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혜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서울과 같은 대도시는 인접한 도시로부터 시내로 유입하는 대규모 통근 통행으로 인하여, 여객수송에 있어서 대중교통의 역할이 중요하다. 대중교통수단 중 도시철도는 도심과 외곽을 연계하는 이동수단뿐만 아니라 특정기능의 토지이용을 유도하거나, 교통 결절점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위와 같은 사유로 최근 대중교통 결절점 주변을 고밀 복합·보행 친화적인 도시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을 법률로 제정(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법률 등)되었으며 철도역세권 개발에 대한 관심을 높아지고 있다. 일반역에 비해 2개 이상의 도시철도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은 연계교통수단의 서비스가 양호하여 접근성이 우수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통행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어 역세권 개발 시 개발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환승역의 이용유형은 환승역을 중심으로 주변을 개발하여 승하차 이용자수를 증대시키는 것과 도시철도 네트워크상에서 이동의 중심거점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환승역은 일반역에서 고려한 승하차 이용자뿐만 아니라 이용자 형태(승하차, 환승)에 따른 분석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필요에 따라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철도 환승역세권에 대한 합리적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서울시 환승역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역세권의 토지이용과 도시철도네트워크 특성을 고려하여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환승역 이용자특성과 토지이용특성, 도시철도네트워크특성, 버스노선수의 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승역의 승하차이용자수는 토지이용 변수 중 총 연상면적과 관계가 있으며, 네트워크 중심성을 나타내는 매개중심성지수가 낮을수록 승하차이용자수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승역의 환승이용자수는 최단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많은 매개중심성지수와 관계가 있어 중심성지수가 높은 환승역일수록 환승이용자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이용자수는 총 연상면적과 관계가 있으며, 2호선을 기준으로 4호선, 7호선의 환승역들의 영향력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환승역의 이용자는 승하차이용자와 환승이용자로 나눌 수 있으며, 네트워크 중심성이 높을수록 환승이용자수와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호선별로 이용자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환승역의 이용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로 환승 역세권 개발은 승하차 이용자뿐만 아니라 환승이용자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고려한 개발 방향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근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한 역세권 개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 환승역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역세권 주변의 합리적 공간계획과 각 역세권 특성에 맞는 계획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 통행패턴과 개발밀도에 따른 도시 유형별 교통에너지 소비의 영향요인 차이 연구

        김보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re were lots of studies to reduce the Transport Energy Consumption(TEC).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apply to Korea because these studies had been performed in the selected and limited area, and didn't consid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ities and treated all cities as sa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influencing factors of urban characteristics on TEC by city types classified as travel pattern and development density.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Regional central cities', 'Regional subcities' and 'Outer regions' had been identified. Each derived model by regression analysis has sufficient explanatory power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and those clusters have different influencing factors on TEC by city types. First, TEC in all clusters are increased as automobile dependence and ICㆍJC per 100,000 are increased. Second, Population density is no longer meaningful in 'Regional central cities', but the other variables are related with TEC such as the rate of urban areas, business and residential density, and so on. Third, population density as well as the rate of employment affect TEC in 'Regional subcities'. Lastly, TEC in 'Outer regions' is related with the rate of employment, the rate of farmland and housing density. As conclusion, we suggested to consider the urb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establishing the policies for reducing TEC. 우리나라에서는 압축도시 이론의 적합성을 실증분석하기 위해 교통에너지 소비와 도시특성요소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남창우ㆍ권오서, 2005; 송기욱ㆍ남진, 2009; 김승남 외, 2009 등).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연구 대상범위가 중소도시나 수도권 지역 등으로 한정하였고, 전국 도시를 분석한 경우도 대상 도시를 모두 동일하게 간주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개별의 도시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교통에너지의 소비 저감을 위한 토지이용 정책수단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대상지의 특성에 대한 판별이 중요하다(Gronau and Kagermeier, 2007).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시ㆍ군ㆍ구를 대상으로 지역과의 관계성과 도시 자체의 특성을 파악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교통에너지의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도시특성요소들의 영향을 각 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유형별 교통에너지 소비량에 미치는 도시특성요소의 영향력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내부통행비율, 평균통행거리 및 개발밀도의 분석지표를 기준으로 한 군집분석 결과, 광역권 중심도시, 광역권 주변도시, 지방 소도시로 구분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전국을 대상으로 도출된 회귀모형1, 각각의 유형별로 모형2, 3, 4의 회귀분석 식이 도출되었다. 전국을 대상으로 도출된 회귀모형의 설명력과 유의확률(0.597, 0.000)은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의 것(0.630, 0.000)과 차이가 작았다. 그러나 통행패턴과 개발밀도를 기준으로 도시를 구분한 모형2의 경우에는 기존 연구와 모형1 보다 설명력과 유의확률(0.794, 0.000)의 차이가 명확하고, 모형3, 4의 경우(0.565. 0.000; 0.559, 0.000)에도 충분한 설명력과 유의확률을 나타냈다. 분석 결과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기능이 강해 주변으로부터 유출ㆍ입 통행이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광역권 중심도시의 경우, 과도한 고밀개발보다는 업무기능 중심의 개발과 함께 다른 지역과의 상호간 대중교통시설을 확충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야 교통에너지의 소비 저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광역권 중심도시로부터 외연적 확산이 이루어지거나 광역권 중심도시의 주택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광역권 주변도시의 경우에는 압축개발과 비싼 통행료 부과와 같은 토지이용-교통정책을 통해 교차통행을 감소시키고, 고용 중심의 고밀 개발로 자족성을 제고하여 교통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방 소도시는 무리한 대중교통의 확충보다는 친환경 녹색교통을 통한 이동성 확대를 유도하고, 도시개발 시에 에너지의 소비 저감을 위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통행패턴과 개발밀도에 따라 분류된 유형별로 교통에너지의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교통에너지의 소비 저감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결절점-장소 모형을 활용한 서울대도시권 TOD의 잠재력 분석

        강현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urbanization and the revolution of transportation from the spread of private cars have resulted in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causing urban sprawl and dependence on private cars.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 integration between transportation and land use through urban policies such as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has been discussed. Although Seoul Metropolitan Area has developed compact urban structure during urban expansion, the modal split of private cars is still increasing with a high level, and the transit services are deteriorat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make an efficient urban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for the realization of TOD for Seoul Metropolitan Area. TOD should be realized at the metropolitan level, not just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station areas. Since numerous station areas have different potential for TOD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transportation,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OD potential derived from the imbalance between land use and transportation. This process makes it possible to prioritize investment of transit infrastructure and urban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assessed the potential for TOD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rough the typology on the basi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nodes and places. We used node-place model to reveal the imbalance between land use and transportation, and considered both railway and rapid-bus network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ransport system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 conducted three stages of analysis using subvariable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node-, place-, and design-index. Fir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node- and place-index was conducted. Second, five types were derived, such as 'Center TOD', 'Dense Old-town TOD', 'Dense New-town TOD', 'Rapid-bus TOD', and 'TAD(Transit-adjacent Development)', and w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node-place model and the Central Place System in 2040 Seoul Plan. Lastly, verification of the typology results was conducted through analyzing differences in transit modal split between type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node- and place-index was reveal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imbalances were mainly identified in city centers and old-town. This suggests that policies to alleviate the imbalance, such as supplying more transit services or promoting development within station areas, could contribute to the facilitation of transit in metropolitan level. It means that monitoring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ortation and land use is necessary. Second, the node-place imbalances in Seoul City accorded with Central Place System on the whole, however, this result implie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metropolitan transit network condition in urban structure policies. While supply of transit is not sufficiently keeping up with the polycentralization of urban activities, some areas are assessed as the potential TOD due to a high rapid-bus accessibility despite differences from the Central Place System. This suggests that networks of multiple transit modes should be considered to achieve TOD in urban structure policies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ird, TOD types possessing a high level of rapid-bus characteristics showed a higher transit modal split compared to the TAD type. Two types are identified: some areas where railways and rapid-buse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other areas where rapid-buses play a crucial role away from the railway network. It is revealed that rail- and bus-based urban structures coexist in Seoul Metropolitan area, suggesting the necessity for consideration of multiple transit modes. Lastly, the TAD type, which is contrast to TOD, was identified to be dependent on private cars and distributed in various areas. The prospective urban sprawl could be occurred in TAD areas,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OD potential differs depending on the proximity to city centers or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railway network. TOD policies can be feasible through mutual supplementation between rail- and bus-based networks.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achieve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at the metropolitan level, in order to comprehensively solve metropolitan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concerns, traffic problems, and housing shortag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that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urban structure policy in Seoul Metropolitan Area. Departing from the previous urban structure system centered around road networks, transit networks and polycentralization are being considered in the「2040 Seoul Metropolitan Regional Plan」. In this tr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urban structure policy of the metropolitan regional plan and as essential data for the ongoing ‘GTX’(Great Train eXpress, new railway pla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urban development such as the ‘3rd New Town’ plan. 도시화와 승용차 보급에 의한 교통수단 혁명은 도시확산과 승용차 의존에 의한 환경·사회적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를 극복하고자 도시교통 및 공간구조 분야에서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고, 대중교통지향형 개발(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을 통해 교통과 토지이용의 통합적인 정책을 실현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서울대도시권은 도시팽창을 겪는 과정에서 압축적인 공간구조가 발달하였지만, 승용차 수단분담률은 여전히 증가 추세에 있으며 대중교통 서비스 저하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 효율적인 공간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서울대도시권의 TOD 실현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TOD는 개별 역세권의 성능을 높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도시권 차원에서 실현되어야 한다. 토지이용과 교통의 상호관계 속에서 도시권의 개별 역세권은 TOD 실현 잠재력이 상이하기 때문에, TOD 정책을 위한 대중교통 투자와 도시개발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과 교통 간의 불균형 양상과 잠재력의 차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결절점(nodes) 특성과 장소(places) 특성 간 상호관계를 고려한 유형분석을 통해 서울대도시권 내 개별 지역의 TOD 실현 잠재력을 분석하였다. 교통과 토지이용의 상호관계를 토대로 균형 및 불균형 양상을 파악하는 결절점-장소 모형(node-place model)을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교통수단이 발전되어 온 서울대도시권의 맥락에 따라 철도와 광역버스 네트워크를 반영하였다. 결절점-특성, 장소-특성, 설계-특성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하여 하위변수를 구축하였으며 행정동 단위에서 세 단계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결절점-특성과 장소-특성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중심지 TOD’,‘구시가지 고밀 TOD’,‘신시가지 고밀 TOD’,‘광역버스 TOD’,‘TAD’와 같이 5가지 유형을 도출하고 상관분석 결과와의 중첩분석과 중심지 체계와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형분석의 검증을 위해 유형 간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대도시권은 대중교통 네트워크상 결절점-특성과 결절점 주변의 장소-특성, 즉 교통과 토지이용 간의 상호관계가 확인되었으며 불균형은 주로 중심지와 구시가지에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대중교통 공급이나 역세권 개발촉진 등 불균형을 해소하는 정책을 실시함으로써 도시권 전반의 대중교통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통과 토지이용의 상호관계에 근거한 모니터링을 지속하여 지자체마다 차별화된 도시 및 교통계획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둘째, 서울시에서 결절점-장소 불균형의 양상은 중심지 체계에 부합하는 한편, 향후 공간구조 정책에 있어 도시권의 대중교통 네트워크를 심도있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대중교통 공급이 도시활동의 다핵화에 충분히 따라가고 있지 못함을 밝힌 한편, 기존 중심지 체계와 상이하지만 광역버스 접근성을 토대로 향후 TOD 실현 잠재력이 있는 지역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서울대도시권의 공간구조 정책에서 TOD의 실현을 위해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의 네트워크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광역버스 인프라의 특성이 반영된 TOD 유형들은 TAD 유형에 비해 높은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을 나타냈다. 광역철도와 광역버스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는 유형, 철도의 음영지역을 광역버스가 보완하는 유형 등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서울대도시권에서 철도와 버스를 중심으로 한 공간구조가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을 고려한 도시 및 교통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TOD와 정반대의 공간구조 특성을 갖는 TAD 유형의 경우 승용차에 의존적이며 다양한 지역에 분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도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도시확산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때 중심지 근접성이나 대중교통망의 연장 가능성에 따라 TOD 실현 잠재력이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기존 대중교통 네트워크 현황을 고려하여 철도와 버스 간 상호보완과 긴밀한 연계를 통해 효과적인 TOD 정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울대도시권의 환경·교통난·주거부족 등 광역적인 도시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시권 차원의 대중교통지향형 개발(TOD) 실현, 즉 대중교통 중심의 공간구조를 형성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미래의 서울대도시권 공간구조 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기존에 도로망을 중심으로 한 공간구조 체계에서 나아가, 광역철도·광역버스 등 대중교통망을 고려하고 다핵화 양상을 반영한 중심지 체계가 「2040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광역도시계획의 공간구조 정책에 근거로 활용되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광역급행철도(GTX) 중심의 광역교통대책과 3기 신도시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업무기능분석을 통한 공공기관 기록분류체계 구축방안 : A기관 기록관리기준표 수립사례를 중심으로

        윤상우 江陵原州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begins with discussions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Korean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the Record Classification System, and revises the Records Management Act, introduces and plays the role of the Business Reference Model and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and furthermore I paid attention to the construction plan.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based on business function analysis aims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in advance and to establish a high-quality record management standard table. As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as enforced in 2006, public institutions have established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and each public institution has established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accordingly.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provides ease of access to records, and is a record classification system that enables systematic records management to secure work efficiency.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e operation of the record classification system, such as the recognition of the overlapping production, classification, and preservation period of unit tasks, which is the lowest level of the record management standard table, and the setting standards. To prevent this situation early and to establish a more systematic record classification system, a thorough analysis of business functions is necessary. In this regard, this paper identifies the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records classification standards, records management status of public institution A, describes the problems that have been drawn, and records management criteria tables based on functional classification models and business function analysis to solve them. It present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results, and suggests a method for establishing a record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business function analysis. Therefore, the following should be considered. First, public institutions should prepare and operate a record management standard table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Second, it is necessary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rds classification criteria table and the records management criteria table. Third, it is necessary to derive a unit task that can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the institution. Fourth, the prepared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should be disclosed to guarantee citizens' right to know and to show transparency in their work. Fifth, public officials should recognize the need for records management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Based on this, this paper proposes three ways to establish a record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business function analysis. First, it is a work analysis centered on the standard of collaboration and work analysis with the work manager. It is possible to derive a reasonable unit task by grasping the flow, liquidity, and importance of the work. Second, it proposes the operation plan of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established through a thorough analysis of business functions. Third, it is training for the managers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the continuous class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cessity and change of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table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and to effectively operate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s tabl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case in public institutions seeking to establish a new classification system. 본 논문은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 및 기록분류체계의 변천과정에 관한 논의에서부터 시작하여 기록관리법 개정과 정부기능분류체계(Business Reference Model) 및 기록관리기준표의 도입과 역할, 더 나아가 업무기능분석을 기반으로 한 기록관리기준표의 구축방안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업무기능분석을 기반으로 한 기록관리기준표는 현존하고 있는 기록관리기준표의 단점을 사전에 미리 보완하기 위한 것과 완성도 높은 기록관리기준표의 수립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6년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을 시행으로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체계를 구축이 의무화됨에 따라 각각 공공기관은 이에 맞춰서 기록관리기준표를 수립하고 있다. 기록관리기준표는 기록물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을 제공해주며, 체계적인 기록관리가 가능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록분류체계이다. 그러나 기록관리기준표의 최하위 레벨인 단위과제의 중복 생산과 분류 및 보존기간 책정에 관한 인식, 책정 기준 등 기록분류체계 운영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상황을 조기에 방지하고, 보다 체계적인 기록분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업무기능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기관인 A기관의 기록분류체계 및 기록물분류기준표, 기록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도출한 문제점을 서술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분류모델 및 업무기능분석을 기반으로 한 기록관리기준표를 수립하는 과정과 결과물을 제시하며, 업무기능분석을 통한 기록분류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다음의 사항을 고려해야한다. 첫 번째, 공공기관은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의 의거 하여 기록관리기준표를 작성 · 운영해야 한다. 두 번째, 기록물분류기준표와 기록관리기준표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세 번째, 기관의 특성과 업무를 나타낼 수 있는 단위과제를 도출해야 한다. 네 번째, 작성된 기록관리기준표를 공개하여 시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업무의 투명성을 나타내야 한다. 다섯 번째, 공공기관의 업무담당자들은 기록물 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기록관리기준표 운영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업무기능분석을 통한 기록분류체계의 구축방안 크게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업무담당자와 협업과 업무분석의 표준을 중심으로 하는 업무분석이다. 이는 업무의 흐름과 유동성, 업무의 중요도를 파악을 통해 합리적인 단위과제를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철저한 업무기능분석을 통해 수립된 기록관리기준표의 운영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업무담당자들의 지속적인 기록분류체계의 운영 교육이다. 기록관리기준표의 필요성과 변화를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인지시켜 기록관리기준표 효과적으로 운영해 나아가야 한다. 본연구로 새롭게 분류체계를 구축하려는 공공기관에서 참고사례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공동주택 개발에 따른 주변 주택가격의 시계열적 변화요인 분석

        박지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real estate marke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country's economy, with the housing market serving as a key substructure for the national economy. Housing accounts for a significant proportion of citizens' household assets, and changes in the real estate marke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economic stability of citizens. In this context, the volatility of house prices is an important indicator tha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dividual household wealth and the national economy. House price volatility in the housing market affects various economic components, such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real estate market, and household spending, which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High house price volatility can increase uncertainty and risk for citizens and make decision-making difficult. As the wealth of individuals and families is closely related to their quality of life, governments are actively utilizing policies to stabilize the housing market through the supply of housing developments. In South Korea, the demand for multifamily housing continues to grow due to urbanization and increased population density, and the development and sale of multifamily hous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ocal housing market. In addition to affecting neighboring housing prices, new developments can also have various effects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impact of new housing developments on the time-series price volatility of neighboring houses and to analyze the sources of this volatility. In doing so, we aim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housing market stabilization and housing supply policies at a micro level, which can be used as a basis for governments and stakeholders to make informed decisions to stabilize the market. Furthermore, the study will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ousing market through a micro analysis of housing market volatility, which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country's economy. To this end, DTW time series clustering analysis was used to characterize the time series price volatility of neighboring house prices in a multifamily development. The DTW time series clustering analysis identified three main cluster types. Cluster 1 shows that house price volatility increases in the early years of a new housing development, indicating rapid price increases and externalities that raise the average price. Cluster 2 shows an initial sharp price decline followed by a rise, reflecting the externality of lower average prices. Cluster 3, on the other hand, shows a temporary drop followed by a steady rise, indicating non-volatile and stable price form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act of new housing developments on the real estate market is diverse, and the different effects of housing developments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se impacts. Based on the type of clustering analysis, price volatility was categorized into price increase externalities, price decrease externalities, and stable externalities. Based on the stable externalities, this study conducte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variation in the impact of multifamily development on the change of surrounding house pri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ice increase externalities were identified as the main variation factors of site characteristics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The neighborhood characteristic (administrative district) was only significant for the housing penetration variable.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re are fewer significant variables for price decline externalities than for price increase externalities, site characteristics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re the main variables. In particular, the neighborhood characteristic (administrative district) was more important than the price increase external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impact of multifamily development on surrounding house prices is determined by a variety of factors, and that the factors vary depending on the volatilit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 that it is possible to study the volatility of neighboring house prices in response to multifamily developments from a micro perspective. This study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by utilizing micro-spatial big data.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examine the price volatility of neighboring houses at the micro spatial level. Second, we found that the price volatility of neighboring houses in response to apartment developments is more likely to be of the type that indicates a rise in neighboring house prices and rapid price volatility. We conclude that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multifamily housing is more likely to cause sharp price volatility and increase average prices at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Therefore, it suggests that housing supply policies should take this into account, as the supply of new housing developments can lead to sharp price volatility and average price increases instead of price stabilization. Third, micro-level spatial variables were more important in explaining the price volatility of neighboring houses in response to apartment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study found that only the number of unit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rice increase externality, while the housing penetration rate had a negative effect on all types of hou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establish customized housing policies that consider the balance of supply and demand in the housing market by considering both the number of units and the housing penetration rate by region. 부동산 시장은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 중에서도 주택시장은 국가 경제의 핵심적인 하부구조의 역할을 한다. 주택은 시민의 가계 자산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부동산 시장의 변화는 국가 경제와 시민의 경제적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택가격의 변동성은 개인의 가계 자산과 국가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주택시장에서 발생하는 주택가격 변동성은 건설 산업, 부동산 시장, 그리고 가계 지출과 같은 다양한 경제적 세부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높은 주택가격 변동성은 시민들에게 불확실성과 위험을 증가시키고 의사결정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개인과 가족의 자산은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정부는 주택시장의 안정 을 위해 공동주택 개발 공급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도시화와 인구 밀도의 증가 등으로 공동주택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동주택의 개발과 분양은 지역 주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공동주택의 개발은 주변 주택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도 다양한 효과를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개발에 따른 주변 주택가격의 시계열적 가격 변동성을 유형화하고, 이러한 변동성의 변화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주택시장의 안정화와 주택 공급 정책의 효과를 미시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며, 이러한 이해는 정부와 이해관계자 들이 시장 안정을 위한 정보에 근거한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연구는 주택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통해 주택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 이는 국가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 DTW 시계열 군집 분석을 통해 공동주택 개발에 따른 주변 주택가격의 시계열적 가격 변동성을 유형화를 수행하였다. DTW 시계열 군집 분석 결과, 세 가지 주요 군집 유형을 확인하였다. CLUSTER 1은 공동주택 개발 초기에 주택가격의 변동성이 높아지는 현상을 보여주며, 이는 급격한 가격 상승과 평균 가격을 상승시키는 외부효과를 나타낸다. CLUSTER 2는 초기에 급격한 가격 하락 후 상승을 나타내는데, 이는 평균 가격 하락의 외부효과를 반영한다. 반면에 CLUSTER 3은 일시적인 하락 후 지속적인 상승을 보여주며, 이는 변동성이 없고 안정적인 가격 형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들은 공동주택 개발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하며, 이러한 영향을 이해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동주택 개발이 가지는 다양한 효과들을 면밀히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시계열 군집 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형에 따라, 가격 변동성은 가격 상승 외부효과, 가격 하락 외부효과, 그리고 안정적 외부효과로 분류 되었다. 이 연구는 안정적 외부효과를 기준으로 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공동주택 개발이 주변 주택가격의 변화에 미치는 변화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가격 상승 외부효과는 필지 특성과 주변 환경 특성이 주요 변화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지역 특성(행정동)은 주택 보급률 변수만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가격 하락 외부효과는 가격 상승 외부효과에 비해 유의미한 변수가 다소 적지만, 필지 특성과 주변 환경 특성이 주요 변화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 특성(행정동)은 가격 상승 외부효과보다 더 중요하 게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공동주택 개발이 주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되며, 변동성에 따라 변화요인이 다르게 작용함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시적인 관점에서 공동주택 개발에 따른 주변 주택가격 변동성 연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미시적 공간 단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공동주택 개발에 따른 주변 주택 가격 변동성을 미시적인 공간 단위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공동주택 개발에 따른 주변 주택의 가격 변동성은 주변 주택 가격 상승과 급격한 가격 변동성을 나타내는 유형이 더 많이 발생함 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공동주택 개발과 공급은 개발 초기 시점 에 급격한 가격 변동성을 유발하고, 평균 가격을 상승시키는 영향이 더욱 강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공동주택 개발에 따른 공급이 가격 안정화가 아닌 급격한 가격 변동성과 평균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기에, 이를 고려하여 주택 공급정책을 수립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공동주택 개발에 따른 주변 주택의 가격 변동성은 미시적 공간 단위의 변화요인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변화요인 분석 결과, 지역적 특성에 비해 필지 특성과 주변 환경 특성의 변수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연구 결과, 가격 상승 외부효과의 변화요인만 세대수는 음(-)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주택 보급률은 모든 유형에 음(-)의 영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공동주택 공급의 세대수와 지역별 주택 보급률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주택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고려한 맞춤형 주택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

      • 현채의 『중등교과동국사략』에 나타난 역사인식

        김유민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근대 역사교과서의 모델이 된 현채의 『중등교과동국사략』의 분석을 통해 이 책에 드러난 현채의 역사인식을 고찰해 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책은 하야시 다이스케의 『조선사』를 역술한 것으로 양서의 체제 및 내용 비교를 통해 연구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갑오개혁을 기점으로 많은 부문에서의 개혁이 이루어진다. 특히나 교육 부문에서의 변화가 두드러졌는데, 종래의 교재에 대한 반성과 함께 신문물을 습득해야 한다는 생각이 교과서 편찬으로 이어졌다. 기존의 편년체로 쓰여진 사서가 아닌 근대적인 서술 모델을 구축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1895년부터 많은 역사교과서가 편찬되는데 본고에서는 내용에 따라 1895~1905년까지를 개화전기, 1906~1910년까지를 개화후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개화기(1895년~1910년)의 국사 교과서는 구사체와 신사체 교과서로 나눌 수 있다. 구사체 교과서의 경우, 유교적 사관을 중시하였고 왕도주의를 중시하는 경향을 띤다. 반면 신사체 교과서는 고대에서 조선말까지를 통사로 다루며 역사의 주체를 민족에 두었다. 대표적인 신사체 교과서로 꼽을 수 있는 것이 현채의 『동국사략』이다. 이 책은 전통적인 역사인식에서 탈피해 한국사를 자주적으로 서술하였다. 따라서 조선 최초로 근대적 서술을 한 통사로 일컬어진다. 교과서의 편찬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애국계몽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며 국권회복의 분위기가 짙어지자 1906년 통감부는 교과서 편찬에 개입·간섭하여 교과서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진다. 교과서 사용 규정을 강화하여 학부의 검정이나 인가를 받지 않은 교과서는 사용이 제한되었다. 근대 사학이 성립되는 한편, 일제의 식민사관이 교과서에 침투하여 침략에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한다. 하야시의 『조선사』도 일본 국수주의의 성격을 지닌 사서로 임나일본부와 타율성론 등의 식민사관이 나타난다. 이 책을 역술한 현채에 대한 평가는 하야시의 식민사관을 수용했다는 비판이 있어왔다. 그러나 양서를 세부적으로 비교 해 보면 식민사관을 전부 부정한 것은 아니지만 현채 개인의 판단에 따라 수정·삭제·증보가 이루어졌다.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을 목적으로 편찬하여 자주성을 강조하고자 한 점, 단군조선을 민족의 기원으로 확고히 한 점, 『조선사』에는 없는 최근세사 부분을 추가해 일본의 만행을 고발하고자 한 점 등에서 그의 역사인식을 파악할 수 있다. 현채는 역사편찬 및 출판 활동으로 국권회복에 기여하고자 한 지식인이다. 그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역사서를 편술 및 편찬하였다. 또한 조선의 체재불립을 극복하고 우리나라 역사서의 새로운 체제를 정립하고자 했다. 그 결과 근대 역사서술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루었다. 이후 편찬되는 사서들의 체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그 선구가 되었다. 현채의 『동국사략』 저술이 지닌 의의를 발견하고 이를 재평가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yunchae's perception of history by analyzing the middle school textbook 『Dongguksaryak』, a model of a modern history textbook. This book, which describes Hayashi Daisuke's 『Joseon History』, trie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study by comparing rhetorical system and content of each book. With the advent of the Gabo Reform, many sectors in the society underwent changes. Especially, changes in the education sector were noticeable. The idea of learning new culture along with reflection on the existing textbooks led to the compilation of the textbook. Joseon wanted to build a modern narrative model, rather than a history book written in a chronological order. As a result, many historical textbooks were made since 1895. Base on the contents of these books, I examined these books according to the previous time of enlightenment from 1895 to 1905 and the post-time of enlightenment from 1906 to 1910.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s of the time of enlightenment (1895-1910)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old way of writing and new way of writing. In the case of the textbooks written in old way, the emphasis is on Confucianism and the books show the tendency to emphasize royalism. On the other hand, the textbooks written in new way deal with the passage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put the subject of history in the peopl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extbooks written in new way of writing is the 『Dongguksaryak』 of Hyunchae. This book has deviated from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history and has independently described Korean history. Therefore, it is referred to the first modern description of Joseon from ancient period to Joseon. The compilation of the textbook was not easy. As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became active , in 1906, the Residency-General controlled the textbooks by intervening and interrupting in the compilation of the textbooks. The Residency-General has strengthened regulations on the use of textbooks. The use of textbooks was restricted to those not authorized or approved by the government. While modern history was established,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penetrated into textbooks and tried to justify aggression. Hayashi's 『Joseon History』 is also a historical book with the character of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such as Imanailbonbu and the theory of heteronomy.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Hyunchae, who described the book, has accepted Hayashi's colonial view of history. However, when comparing the two history books in detail,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was not entirely denied, but it was corrected, deleted, and enlarged based on Hyunchae’s personal judgement. I can grasp his historical awareness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 He tried to emphasize our own independence by making the history book for the purpose of independence of our people, confirmed Dangun Chosun as the origin of the nation, and added a recent part of the history that was not found in the 『Joseon History』 and sought to accuse the brutality of Japan. Hyunchae is an intellectual who wanted to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by making and publishing history books. Various history books were wrote and made to achieve the mission by him. He also wanted to overcome Joseon's lack of presence of writing system and establish a new writing system of Korean history books. As a result, the book has made a fundamental change in modern history books. Since then, this book has directly influenced and set an example for the system of history books published. We need to find out and re-evaluate the significance of Hyunchae’s 『Dongguksaryak』.

      • 악성종양을 동반한 환자에서 혈색전증의 발병률

        김경남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폐색전증은 수술, 기동장애,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 급성 내과적 질환뿐만 아니라 암환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최근 고령에서 암환자들의 유병율증가로 암환자에서 폐색전증의 발생이 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폐색전증은 무증상에서부터 대량 색전으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국내 암환자에서 폐색전증의 발생율과 임상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2007년 9월1일부터 2009년 8월31일까지 폐색전증으로 진단되어 입원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폐색전증으로 확진되었던 환자는 34명이였다. 남자는 17명, 여자는 17이였으며 연령별 분포는 70세 이상이 10명, 60세 이상이 15명, 50세 이상이 6명, 40대가 2명, 30대가 1명이였다. 암환자가 10명, 수술이나 외상에 의한 경우가 10명, 뇌심혈관질환이 7명, 폐렴과 폐혈증이 5명, 류마티스관절염과 기저질환이 없는 경우가 각각 1명씩 이였다. 1,988명중 10명(0.53%)에서 폐색전증이 발생되었으며 위암이 2명이였으며 그 외는 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장암, 두경부암, 폐암, 췌장암, 간암, 다발성골수종이 각각 1명씩으로 다양했다. 암에 의한 폐색전증의 경우 암진단후 평균 11개월(0~33개월)에 발생하였으며, 암에 의한 폐색전증도 다른 폐색전증과 마찬가지로 D-dimer가 모두에서 증가되어 있었으며, 저분자량헤파린과 경구용 와파린으로 치료하였으며 폐색전증에 의한 사망은 없었다. 결론 암은 폐색전증의 가장 흔한 원인 이였으며, 모든 암종에서 발생 가능하였다. 암환자에서 폐색전증의 발생률은 0.53%로 외국보고에 비해서 낮은 편이였다. 암진단 후 평균 11개월째 폐색전증이 발생되었으며 50%에서 심부정맥혈전증이 동반되었다. Incidence of venous thromboembolism in patients with malignancies Kim Kyoung Nam Advisor : Prof.Lee Seung Il M.D. Ph.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Backgroun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patients with cancer. Method From September 2007 to August 2009, 34 patients diagnosed as pulmonary thromboembolism in Chosun University Hospital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 Pulmonary thromboembolism occurred in 0.53%(10/1,988) of all cancer patients and comprised 29.4%(10/34) of the total number of all pulmonary thromboembolism. Ages ranged from 33 to 80 (median 65.4). Pulmonary thromboembolism was identified in various cancer type(stomach, breast, cervix, colon, lung, pancreas, liver and bone marrow). The risk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was highest in the first few months(median 11, range 0~33) after the diagnosis of cancer. Conclusion Cancer was most common cause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Incidence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was 0.53% in patients with cancer. Median duration between diagnosis of cancer and pulmonary thromboembolism was 11 months(range, 0-33). Key word : Cancer, Pulmonary thromboembo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