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창가곡 노래 선율과 거문고 주법의 비교연구

        이수진 한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63

        국문초록 본 논문은 남창가곡 26곡을 대상으로 노래 선율과 거문고 주법에 나타나는 관련성을 고찰한 논문이다. 이 글에서는 남창가곡에 출현하는 거문고 주법을 살펴보고, 악곡 계열별로 거문고 주법의 출현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노래 선율과 거문고 주법과의 비교 · 분석을 통하여 노래 선율에 따른 거문고 주법의 활용 양상과 유형을 고찰하였다. 우선 남창가곡에 출현하는 거문고 주법은 아래와 같이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문현 주법 : ① 슬기둥 · 살갱 주법( ?, ?, ?) ② 싸랭 주법(?) ③ 흥 주법(文) 청현 주법 : ① 단청 주법(上, 中, v上, ?) ② 연청 주법(上-中, 中-v下, 上-中-下, 上-中-?-下) ③ 文 복합 주법(文-中-下, 文-中-?-下) ④ 小 복합 주법(上-小-中-下, 上-小-中-v下) 단일 주법 : ① 자출 주법 (?, ·?·, ··?, ···?) ② 전성 주법(?, ?··) ③ 퇴성 · 추성 주법(?, ?, ․?․, ??, ???) ④ 기타 주법(?, ?, ?) 복합 주법 : ① 자출 결합 주법(?, ?, ?, ?) ② 전성 결합 주법(?, ?, ?, ?) ③ 자출 역안 주법(?, ?, ?, ?, ?, ?, ?) ④ 퇴성 괘 이동 주법(?, ?) 다음으로 거문고 주법을 악곡의 계열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노래 선율과 비교하여 그 활용 양상과 유형별 특성을 각 주법별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음으로 거문고 주법을 악곡의 계열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노래 선율과 비교하여 그 활용 양상과 유형별 특성을 각 주법별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현 주법 중 ? · ? 주법은 초수대엽과 이수대엽 계열, ? 주법은 삼수대엽 · 농 · 낙 계열, ? 주법은 편 계열 악곡에 자주 사용하며, 흥 주법은 모든 악곡의 동일한 박에서 고정적으로 출현한다. 문현 주법은 ㉮-1 동일음 진행, ㉮-2 주법의 앞 · 뒤 동일음 진행, ㉯-1 노래를 받아서 거문고가 연주함, ㉯-2 거문고를 받아서 노래가 연주함, ㉱-1 다른 진행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 중 ㉮ · ㉯유형이 문현 주법의 79%를 차지한다. 이 경우 노래와 거문고 선율은 같은 음이거나 한 박 이내에 같은 음이 출현하여 유사한 선율선을 이루므로, 이는 헤테로포니의 전형적인 양상이라 하겠다. 둘째, 청현 주법은 각 악곡의 같은 위치에 규칙적으로 출현하여 악곡의 형식을 뚜렷하게 부각시키고 있다. 청현 주법은 ㉰ 연결음, ㉱-1 다른 진행, ㉲-1 종지, ㉲-2 중간 종지 ㉳ 괘 이동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 중 단청 주법인 ‘中 · v上 · ?’을 제외한 모든 주법이 ㉲-1과 ㉲-2유형으로, 전체 청현 주법의 73%에 해당한다. 가곡은 악곡 계열별로 각 악장의 시작 선율이 서로 다른 경우가 많지만 종지에서는 청현 주법을 활용한 동일 선율을 사용하며, 노래 선율에 구애받지 않고 종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셋째, 단일 주법 중 모든 악곡에 나타나는 유일한 주법은 ··?이며, 우조 악곡에서는 …?, ? 주법, 계면조 악곡에서는 ?··, ․?․, ???, ?, ? 주법이 출현한다. ·?·, …?, ??, 기타 주법은 각 악곡의 같은 위치에 비교적 규칙적으로 출현한다. 단일 주법은 ㉮-1 동일음 진행, ㉮-3 동일음에서 장식적 선율의 다른 음으로 진행, ㉯-1 노래를 받아서 거문고가 연주함, ㉯-3 노래와 거문고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연주함, ㉰ 연결음, ㉱-1 다른 진행, ㉱-2 노래 지속음 · 거문고 분할로 진행 등 일곱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1유형이 단일 주법의 23%이며, ㉮ · ㉯유형을 합하면 57%에 해당한다. 단일 주법은 악조별로 다른 출현 양상을 보이지만, 선율선은 노래와 동일하거나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유사한 형태를 이룬다. 넷째, 복합 주법은 우조 악곡에서는 ?, ?, ?, ?, ?, ? 주법, 계면조 악곡에서는 ?, ?, ?, ?, ?, ?, ? 주법이 나타난다. ?, ?, ?, ? 주법은 우조와 계면조 악곡에서 모두 나타나며, ?, ?은 각 악곡의 같은 위치에 출현한다. 복합 주법은 ㉮-1 동일음 진행, ㉯-1 노래를 받아서 거문고가 연주함, ㉯-2 거문고를 받아서 노래가 연주함, ㉯-3 노래와 거문고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연주함, ㉱-1 다른 진행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 중 ㉮와 ㉯유형이 복합 주법의 73.7%를 차지한다. 복합 주법은 악조별로 사용하는 주법이 뚜렷하게 구분되지만, 노래와 거문고가 대부분 동일하거나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유사한 선율형을 이룬다. 이와 같이 문현과 청현 주법은 악곡별로 일정한 위치에 규칙적으로 출현하여 가곡의 형식 구조를 공고히 함으로써 악곡에 안정감을 준다. 반면에 왼손 주법인 단일 주법과 복합 주법은 악조별로 출현 양상을 달리하면서 악조의 특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악조의 구분 없이 관행적으로 사용하여 악곡에 통일감을 부여하기도 한다. 거문고의 고유한 주법은 노래 선율과 다른 진행을 보이는 경우보다 동일한 선율을 연주하거나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노래 선율을 지지하며, 리듬을 분할하여 선율선에 다양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 논문은 남창가곡 전체 26곡을 대상으로 노래와 거문고 선율의 상호 관계를 거문고 주법을 중심으로 비교 ·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새롭게 알게 된 노래 선율과 거문고 주법의 상관관계는 가곡의 선율 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래 선율과 거문고 선율이 지니는 이 같은 상호 관련성을 찾아 본 것은 고악보에 거문고 선율만 기록된 채 전하고 있는 옛 가곡의 노래 선율을 유추해 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중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급의 집단응집력이 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현종훈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중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급의 집단응집력이 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현종훈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 (지도교수 이수진) 학교는 인간이 태어나 가족 다음으로 접하게 되는 또 하나의 사회이다. 특히 중학생들은 학급에서 학교생활의 대부분은 보내고 특히 담임교사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이는 중학교에서의 담임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한 학급당 학생 수가 많고, 업무 과중으로 학생들과 활발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현실에서 높은 학급의 집단응집력과 학교적응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을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관심을 가졌고, 그것이 학급의 집단응집성과 학생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학생 400명으로 하였다. 설문은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지각, 학급의 집단응집성, 학교적응 3가지를 검사하였으며, 검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이 지각하는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은 수용촉구형일 때 학급의 집단응집력이 높게 나타났고, 학생이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학급의 집단응집력, 학생의 학교적응은 서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담임교사는 학생이 학급의 집단응집성을 갖고 학교적응을 잘하도록 돕기 위해서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을 보다 수용적으로 받아들이고, 타당한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주제어 : 의사소통, 학급집단응집력, 학교적응 ABSTRACT The effect of how middle school homeroom teacher communicates to his students and how much teamwork they have on the student’s adjustment at school Hyun, Jonghu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teacher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group cohesivenes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To achieve this objectiv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First, how do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teachers’ communication? Second,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eachers’ communica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classroom group cohesiveness? Third,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teachers perceived bt middle school students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For settling these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00 middle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Middle school classroom teacher communication is perceived hyeongil urged the acceptance of group cohesion is high class appeared, students showed good adaptation to the school. And her teacher communication, group cohesion class, the student's school adjustment correlated with each other,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the final conclusions were extracted as below. First, it shows middle school students’ own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classroom group cohesiveness in middle school, as they spend more time with teachers in school than seniors. Second, it describes that teachers need to consider students during communication so they adjust to school well. Key Word: Teachers’ Communication, Classroom Group Cohesiveness, Adjustment to School Life

      • Role of neuronal growth regulator 1 in accumulation and secretion of cellular lipids

        고은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Human NEGR1 은 다양한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이 저해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유전자이다. NEGR1 은 cancer suppression 의 특징 이외에 콜레스테롤과 결합하여 수송의 기능을 가지는 NPC2 와 결합한다. 우리는 NEGR1 의 과 발현이 세포 내의 콜레스테롤과 triacylglycerol 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한 바가 있다. 지질 대사과정에서의 NEGR1 의 명확한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high-fat diet 를 섭취한 wild-type mice 와 NEGR1 knock-out mice 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NEGR1 knock-out mice 의 생식선 조직에서 triacylglycerol 의 축적을 관찰하였다. 또한, NEGR1 이 세포 내의 중성지방을 저장하는 세포 소기관인 cytosolic lipid droplets 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더 나아가 NEGR1 이 cytosolic lipid droplets 의 생성과 유지의 기능을 가진 ADRP (Adipose differentiation-related protein) 의 단백질 stability 를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우리는 localization assay 와 co-immunoprecipitation assay 를 통하여 NEGR1 이 cytosolic lipid droplets 에 위치하지 않으며 ADRP 와 결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선 결과들을 토대로 우리는 소포체에 위치하고 있는 NEGR1 이 ADRP 의 stability 를 조절 함으로써 cytosolic lipid droplets 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종합적으로 NEGR1 은 소포체의 막에서 cytosolic lipid droplets 의 형성을 통제 함으로써 지방조직의 growth 를 조절 할 수 있다.

      • 초등학생의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과 학업적 도움요청행동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임성경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과 학업적 도움요청행동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 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도움요청행동의 증진을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약 430명을 대상으로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도움요청행동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무성의하거나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106명의 자료를 제외한 나머지 총 324명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인 간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자료의 정규성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인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과 학업적 도움요청행동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Baron과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도움요청행동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지적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도움요청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적 도움요청행동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적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도움요청행동,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적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은 모든 변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선호는 학업적 도움요청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지적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과 학업적 도움요청행동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지적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과 학업적 도움요청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업상황에서 학업적 도움요청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적능력에 대한 향상가능성 신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학습곤란이나 학업상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적절한 도움요청행동을 하지 못하는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도움요청행동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학습전략을 수립하거나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liefs about intelligence ability and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The procedure for carrying out the above study is as follows. Self-report Questionnaire sheet including the beliefs about intelligence scal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scale were conducted to 3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examine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so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from Baron and Kenny(1986). Last of all, Sobel-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ntity belief about intelligence ability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Whereas incremental belief about intelligence abili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Also, academic self-efficac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Second, entity belief about intelligence ability has prove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and all sub variable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incremental belief about intelligence ability has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variables. Also, academic self-efficacy and its all sub variables except self-confidence showed positive effect on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Third, academic self-efficacy has proven to have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entity belief about intelligence and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Also, academic self-efficacy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incremental belief about intelligence and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cremental belief about intelligence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order to increase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in the learning situation. Also,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establishing a learning strategy or program plan to increase the academic help-seeking behavio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learning or do not have adequate help-seeking behavior in learning situations where they have difficulty.

      • 대학생의 위험회피 기질과 자살사고의 관계 : 강박성향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은정 경성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위험회피 기질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강박성향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부산에 거주하는 대학생 352명(남자 147, 여자 205)이 기질 및 성격검사(TCI-RS), Padua 강박척도-워싱턴 주립대학 개정판(PI-WSUR), 인지적 정서조절전략(CERQ), 자살사고 척도(SIQ)를 포함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회피 기질, 강박성향, 자살사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위험회피 기질이 강박성향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뿐만 아니라 자살사고와도 유의하게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변화하기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는 위험회피 기질로 인해 심리적 부적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위험회피 기질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강박성향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험회피 기질과 강박성향과 같은 취약성을 가진 대학생들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한다면 자살사고의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으며,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한다면 자살사고의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적인 취약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면 자살사고의 감소를 예방 할 수 있는 개입을 계획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지적 요인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올바른 사용과 개입이 기질적 취약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심리적 부적응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 반추의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따른 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과 인성의 연관성

        신희은 경성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사건 관련 반추 유형에 따른 외상 후 성장 및 성격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성격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부산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23명(남성=86, 여성=237; 연령 M=20.66, SD=2.08)의 자료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외상 경험 질문지, 외상 후 성장척도(K-PTGI), 사건-관련 반추 척도(K-ERRI), 기질 및 성격검사(TCI-RS)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LPA)와 ANOVA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반추 유형은 6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1)반추를 하지 않는 집단, (2)침습적 반추를 주로 하는 집단, (3)중간수준보다 낮은 반추를 하는 집단, (4)중간수준보다 높은 반추를 하는 집단, (5)의도적 반추를 주로 하는 집단, (6)반추를 많이 하는 집단. 여섯 잠재집단은 기질 및 성격 검사의 위험회피, 인내력, 자율성, 자기 초월, 외상 후 성장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두 번째, ‘낮은 반추를 하는 집단’과 ‘침습적 반추를 주로 하는 집단’간에 외상 후 성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 외상 후 성장의 모든 하위차원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반추를 많이 하는 집단’은 ‘의도적 반추를 주로 하는 집단’과 유사한 수준으로 외상 후 성장이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 ‘침습적 반추를 주로 하는 집단’은 위험회피가 높고, 자율성이 낮았으며, '의도적 반추를 주로 하는 집단‘은 위험회피가 높고 자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외상 사건 경험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외상 경험 3년 이상과 3년 미만의 집단으로 나누어 LPA와 ANOVA를 다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상 사건 경험 3년 이상 집단에서만 5개 하위집단이 분류되었다: (1)침습적 반추를 주로 하는 집단, (2) 반추를 하지 않는 집단, (3)의도적 반추를 주로 하는 집단, (4)중간수준의 반추를 하는 집단, (5)반추를 많이 하는 집단. 5개의 잠재집단은 기질 및 성격 검사의 위험회피, 인내력, 자율성, 자기초월, 외상 후 성장의 자기지각의 변화, 대인관계의 깊이 증가,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과 성격의 성숙을 유도하는 선행조건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외상 경험 후 3년 이상 시간을 보내는 것은 성격성숙도의 발달에 필수적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후속 연구에서 검증해야할 필요가 있다.

      • 위험회피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의 이중매개효과

        구민지 경성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and depression. A total 403 university students (220 male, 183 female) in the metropolitan area of Busan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Revised Short (TCI-R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QE-K) and Distress Tolerance. The data analyses include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dual mediation effects by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v3.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harm avoidanc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epression. Distress toleranc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harm avoidanc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epression. Second, the relationship of harm avoidance and depression was successively mediated b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istress tolerance. Third,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 subfactor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but another subfctor, relationship-involv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n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ulnerable temperament and psychosocial factors together have influence on depression. That is, the motiv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conflict may have an effect on the expression of depression and the distress tolerance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rapeutic intervention of depres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recommended. 위험회피 기질과 우울과의 정적 관련성은 선행 연구를 통해 수 차례 검증되었다. 그런데 유전적 특성인 위험회피 특성을 변화시켜 우울한 정서를 경감시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지 않은 방법이다. 따라서 심리사회적 특성인 정서조절과 관련된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이 우울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위험회피 기질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우울에 대한 잠재적 개입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지역 대학생 403명(남 220명, 여 183명)을 대상으로 기질 및 성격 검사(TCI),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 고통 감내력 척도(DTS),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CES-D)를 실시하였고, SPSS와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변인간의 상관관계 및 이중매개효과를 분석,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회피 기질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고통 감내력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위험회피 기질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위험회피 기질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고통 감내력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은 위험회피 기질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표현 양가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은 우울에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질적 취약성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정서표현의 갈등의 동기에 따라 우울 발현이 달라질 수 있고, 고통 감내 방식을 통해 치료적 개입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에 대한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위험회피기질과 사회불안의 관계 : 거부민감성을 통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된 조절효과

        박슬기 경성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rejection sensitivit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 were a total of 283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Revised Short (TCI-R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and Social Phobia Scale (SPS). Pearson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analysis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3.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arm avoidance,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social anxie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was found. Third, the moderation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 avoidance and rejection sensitivity was discovered. Fourth,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harm avoidance and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ere completely mediated by rejection sensitivity, indicating that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was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초등 1학년 학생을 위한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민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초등학교 1학년은 한글을 처음 배우는 시기로 모든 학습의 출발점이고 기초적인 학습 훈련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다. 그 중 한글교육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학습으로 도구교과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 시기 한글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체 학습에 영향을 미쳐 학습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중요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글교육이 강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공교육에 대한 불신으로 입학 전 한글 사교육이 만연하고 현장에서는 여전히 학생들의 수준차와 지도 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한글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1학년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살펴 최근 현장에 대두되고 있는 놀이교육과 접목한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 1학년 한글 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원리와 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지도가 학생들의 한글 해득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는가? 이를 위해 학생들의 한글 해득 능력을 향상 시키고 한명의 소외된 학생 없이 다 같이 즐겁게 한글을 배우고 익히기 위한 목적으로 기초 문식성 관련 및 한글 해득 교재구성 연구와 놀이 중심 언어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언어와 놀이 발달 단계를 문헌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한글 교육에 놀이를 접목한 놀이 중심 한글교육의 필요성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다진다. 또 이를 토대로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한글교육의 실태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참고하였다.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1학년 국어 교과서의 한글교육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개정된 내용을 살펴보고 교육양상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글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1학년 교사 24명을 대상으로 교과서 속 한글교육 및 놀이를 통한 한글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교과서와 현장에서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영역과 내용을 알아보고 2015 개정 교과서에 접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놀이 활동을 정리하여 20차시의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해득 능력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는 지 알아보기 위해 J초등학교 1학년 1개 학급(21명)에 약 4주간 적용해보고 학생들의 해득 수준을 ‘웰리미 한글 진단 검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로 얻게 된 프로그램의 장점과 보완할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장점으로는 첫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한글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느끼고 수업 참여도와 집중도가 높아졌다. 둘째, 놀이 중심 한글 교육 프로그램은 수준 조절과 시간 조절이 쉽게 가능하다. 셋째, 놀이를 통해 친구들과 상호작용하고 더 친밀해질 수 있다. 넷째, 즐거운 쓰기 활동을 할 수 있다. 보완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활동을 하는 동안 분위기가 산만해지는 면이 있다. 둘째, 너무 많은 놀이 활동보다 한두 가지의 활동을 여러 번 응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 연구를 통해 얻게 된 현장에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은 한글 해득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를 접목하여 즐겁게 반복 학습함으로써 이룰 수 있었던 결과라 볼 수 있다. 둘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가 다 같이 한 교실에서 즐겁게 공부할 수 있다. 소외되는 학생 없이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를 아우를 수 있어 한글 해득으로 인한 수준차로 학생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한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왔다. 한글을 이미 배운 학생도, 배우지 못해 어려워하는 학생도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즐거운 한글 학습 경험으로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주요어 :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 한글 해득, 놀이 중심 언어교육, 놀이 중심 한글 교수․학습 모형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s the first time to learn Hangul, and it is a very important time because it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learning and basic training. Hangul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learning, and it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can lead to poor learning because it affects the whole learning if the Hangul education is not done well in this period. Despite the strengthening of Hangul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parents are still distrustful of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tutoring is carried out before admission. Teachers still struggle with Hangul education because of the level of students and lack of time for guidance. Therefore, with this problem consciousness, this researcher devised and applied a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play education, which is emerging in the recent educational world with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first grade students.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urrent state of first grade Hangul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Second, what is the development principle and method of play 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Third, does the guidance through the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Hangul literac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tudents' ability to learn Hangul and to enjoy study together without a single alienated student, this researcher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basic literacy and Hangul education learning materials and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In addition,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language and play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school 1st grade students is reviewed. Through thi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need of play - centered Hangul education combining the play with the Hangul education would be laid down. In order to develop a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actual situation of Hangul education to it as follows and refer. First, revised contents of Hangul education contents of 2015 revision curriculum and 1st grade Korean textbook were analyzed and the educational aspect was analyzed. Second, To see the actual situation of Hangul education in school,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Hangul education through Hangul education in textbooks and play for 24 first grade teachers. Based on these contents, I examined textbooks and areas and contents that I think are lacking in school. The play activities that can be used in the revised textbooks of 2015 were made up and the play 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of 20 time was developed. For find out whether the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has a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ability to learn, and applied it to one class (21 students) of J elementary school for about 4 weeks. The students' level of literacy ability was assessed through 'Welleemi Hangul standard assesment'. As a result, we can summarize the advantage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is program. First, through the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students are interested in Hangul and have fun, and the participation and concentration of the class has increased. Second, the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can easily adjust the level and time. Third, through play, students can interact with your friends and become more intimate. Fourth, students can enjoy writing activities. The points to be supplemented are as follows. First, the atmosphere is distracting during play activities. Second, it is better to organize the program by applying one or two activities more than to applying many activit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literacy ability. It can be seen as a result that can be achieved by enjoying repeated learning by combining play. Second, the play - 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allows learners of various levels to study happily together in a classroom. Because this program can cover various levels of learners without being alienated students, It can be helpful for teachers who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students because of the level difference due to the Hangul education. Third, play - 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helped learner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Hangul. Both of students who have already learned Hangul and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with Hangul can participate in the class with interest and enjoyment through play-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Key words : play-centered hangul education program, Hangul learning, play-centered language education, play-centered Hangu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