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 분석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수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puts its major purpose in finding the alternatives of policy for the serious poverty problems of the elderly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s and causes of poverty empirically through the multinational approaches. To achieve the goal, it used the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from the first year to the fifth year. Based on the model of multidimensional poverty analysis, composed in this study, it measured multidimensional poverty by applying the counting approach on multidimensional poverty. In addition, to measur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overty, it conducted a t-test and ANOVA. For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it use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iz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rate of the elderly was measured to be 48.8%. The dimensional poverty rate appeared to be the sequence of labor, health, income, assets, housing,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erms of the change level in the dimensional poverty according to years, gradual decrease was shown in health, income, and social participation, while the continual increase was found in labor. Second, the present condition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according to the sub-groups of the elderly were identified. This reveals that the female elderly and older age people, the elderly without spouse, the elderly with low education level, the elderly with a single household, the household living together with grandchildren and the elderly living in Gwangju, Jeollanam-do, Jeollabuk-do, and Jeju province experienced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multidimensional poverty. Third, the analysis results of factors, influencing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of the elderly demonstrates that the possibility of poverty was higher, as age was higher, education level was lower, economic activity was not done, the members of household were less, the household was composed of a single household member or grandparent and grandchild, and the old man resided in Seoul compared to other metropolitan cities or distric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implications of policy in regard to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of the elderly are as follows: Above all, since the problems of the elderly involving the poverty are seen in a wide range of living areas complicatedly as well as income, the perspective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are required in measuring the poverty and setting up the direction of policy. In addition, the alternatives of policy about the most serious labor poverty and support measures for the extremely poor people who experience the poverty, which is overlapped should be provided by reestablishing the priorities of policy tasks according to the dimensional poverty levels. Next, the tasks to solve preferentially should be set up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s of the elderly and ages. In terms of residential areas, the focus needs to be on income, assets,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he case of the rural areas, while the measures to put the focus on labor and housing are required in the case of urban areas. In terms of age, for over the age of 80, the support should focus on the income security and housing, while for aged 75~79, alternatives on the reduced assets, health, and medical support are needed. Likewise, differentiated strategies to alleviate poverty should be provided. 본 연구는 심각한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차원적 접근을 통하여 빈곤의 실태와 원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에서 5차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구성한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 분석모델을 바탕으로 차원계수방식을 적용하여 다차원적 빈곤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빈곤의 실태 측정을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고, 영향요인 분석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율은 48.8%로 측정되었으며, 차원 빈곤율은 노동, 건강, 소득, 자산, 주거, 사회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원 빈곤의 연도별 변화 수준에서 건강, 소득, 사회적 참여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노동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었다. 둘째, 노인의 하위집단별로 다차원적 빈곤 실태 파악을 통해 여성, 고연령, 무배우자, 낮은 교육수준, 단독가구와 조손가구, 광주․전남․전북․제주도 지역에 노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다차원적 빈곤을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기타가구에 비해 단독가구나 조손가구일 경우, 광역시나 군 지역 거주에 비해 서울에 거주할 경우 빈곤에 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다차원적 빈곤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노인 빈곤의 문제는 소득 뿐 아니라 다양한 생활영역에서 복합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빈곤의 측정 및 정책방향 설정에 있어 다차원적 빈곤 관점의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차원별 빈곤 수준에 따라 정책 과제의 우선순위를 재정립하여 가장 심각한 노동 빈곤에 대한 정책 대안과 중첩적으로 빈곤을 경험하는 극빈곤층에 대한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노인의 거주지역과 연령에 따라 우선적 해결 과제를 다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거주지역에서 농촌의 경우 소득, 자산, 건강, 사회적 참여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도시의 경우 노동과 주거에 초점을 맞춘 대책이 필요하며, 연령에서 80세이상은 소득보장과 주거 지원에 중점을 두고, 75∼79세는 축소되는 자산에 대한 대안과 건강 및 의료 지원에 중점을 두어 차별화된 빈곤 완화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 몽골과 한국의 국민연금제도 비교

        이스발당엥흐체첵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A Study on the Public Pension Mongolian and Korean Ishbaldan Enkhtsetse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priately analyze the current Mongolian National Pension System and its problems. Also, it is crucial to note the significant influence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that may take place on improving the Mongolian System in order to avoid problems such as financial instability, income insufficiency for the elderly and further difficulties within the dead zone. However, it is visible that the current Mongolian System itself would not only highlight the problems listed above, but also cause difficulties in censoring the income of the self-employed; monitoring the highest limit of contribution; inconsistency in managing funds; unaffordable insurance rates; and consequently, these problems may exacerbate the economic instability existing in the developing country, Mongolia. Accordingly, a dead zone exists as palpably 25% of the registered people are ineligible in receiving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Even though the Mongolian Government is aware of this situation and is implementing changes to solve this issue, it is foreseeable that the government is mainly focusing on stabilizing the funds rather than considering issues such as assuring the elderly with sufficient income and supplying resolutions in regards to diminishing the dead zones. In response to the analysi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it seems appropriate to employ multiple taxing systems in order to cut down unnecessary government expenses. This indicates the way in which the people must be paid benefits proportionally.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NDC System which will be introduced in 2021, to the self-employed publicly and individually to succeed in managing taxing systems. Secondly, in order to provide stability in funding, contribution rates must be gradually increased; upwardly readjusted; expend government subsidy; promote insurance premium rates; and vary the ways of managing funds. Also, to assure the elderly with sufficient incomes, the provision of supplementary pension must be maintained. In response to this, multiple systems such as promotion funds and personal savings must be implemented. Hence to further assure this matter, opportunities of employment for the elderly must also be provided. Key word : Income assurance and financial stability of the Mongolian National Pension System-its applicants, and the income and burdens of Dead Zone civilians. 국문초록 몽골과 한국의 국민연금제도 비교 社會福祉學科 이스발당엥흐체첵 指 導 敎 授 이상은 본 연구 목적은 몽골 국민연금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및 기존 개선방안을 분석하고, 한국의 국민연금제도가 몽골에 주는 시사점 분석을 통하여, 현재 진행 중 국민연금방식의 논의와 과정을 개선하여, 소득보장과 재정안정의 두 정책목표가 조화를 이를 수 있는 몽골 국민연금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제도의 재정안정화, 자영자 가입 확대를 통한 연금 사각지대 축소 지속 가능성 확보를 동시에 검토하고자 한다. 몽골 국민연금의 문제점은 고급여의 구조를 유지하여 연금재정이 불안정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자영자에 대한 소득파악의 곤란, 기여의 상한제, 연금기금 운용의 불합리성, 보험료 징수율의 저조 등으로 재정의 불안정을 더욱 초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납부예외자가 전체 가입자의 25% 정도로서 연금수급권으로부터 배제되거나 적절한 급여를 보장받지 못하는 연금의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가 개혁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연금재정을 안정화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을 뿐 노후소득 보장과 연금 사각지대의 해소와 같은 중요한 문제의 해결에는 관심이 적은 것 같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금 사각지대의 해소를 위해 다층 조세방식의 연금제도를 도입하고 부과방식으로 운영하며 소득비례연금을 더 강제적용하고 완전적립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2021년부터 실행될 명목확정기여(NDC) 방식을 자영자에게 공적뿐만 아니라 민영화시키고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둘째, 연금재정의 안정화를 위해 기여율의 점차적 인상, 기여의 상한선 상향조정, 국고지원의 확대, 보험료 징수율의 제고, 연금기금 운용의 다양성 등이 필요하다. 노후소득 보장을 위해 소득대체율 유지, 기업연금․개인저축 등과 같은 노후소득 보장의 다층체계, 노인취업의 활성화 등이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몽골 국민연금의 소득보장과 재정안정, 적용대상과 사각지대, 급여와 부담수준

      • 침선장 정정완의 갖은 수의와 보급형 수의 제작에 관한 연구

        박영애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전통을 고루하고 불편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지만, 전통적으로 효사상과 더불어 중요하게 인식됐던 장례문화는 일부 변형을 거치기는 했지만, 여전히 전통을 수용한 형태로 남아 있다. 조선시대 말기 사대부 문화의 적통을 계승한 초대 침선장 정정완은 수의를 '먼 나들이 옷'이라고 하였다. 내세가 현세의 계속이며 장례는 새로운 세계로의 출발을 의미 한다는 우리 민족 전통의 가치관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침선장 정정완은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생전에 전통양식의 '갖은 수의'를 만들었다. 양식 뿐 만 아니라 기법도 철저하게 전통 침선을 고수한 그의 '갖은 수의'는 한국 전통수의의 원형이라고 할 만하다. 그의 양식과 기법을 온전히 전승하는 것은 이런 점에서 원형의 재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갖은 수의'를 복원해 원형보전의 기술적 가능성을 확인해 두고자 하였다. 그러나 정정완의 '갖은 수의'가 갖는 전통 문화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그대로 현재적 삶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우선 정정완의 '갖은 수의'는 조선시대 말기, 그것도 사회적 상류층이던 사대부 가문이 지극히 공을 들여 장례의식에 쓰였던 것으로서 이미 당대 서민층의 장례문화와는 거리가 있었다. 또한 의례와 그에 소용되는 복식이 당대의 일상생활을 반영하는 것이라면, 정정완의 '갖은 수의'는 현재에 이르기 까지 급속한 사회변화를 제대로 반영하기는 어려웠다. 전통양식을 멋스럽게 따르는 극히 일부 부유층이라면 몰라도 한국 사회 중상층 이하의 가정에서 '갖은 수의' 양식을 따르기에는 어려움이 크다. 따라서 최근의 수의제작 양식에서 현저히 드러나고 있는 간소화 추세를 반영하지 않고서는 수의와 장례의식을 통해 이어 가려는 전통문화 자체의 단절과 소멸을 막기 어렵다. 따라서 정정완의 '갖은 수의'가 갖는 전통 문화적 의의 가운데 일부 핵심 의의는 살리면서 현재까지의 사회문화적 변화를 반영한 간소하고, 제작비용도 덜 드는 '보급형 수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 초대 침선장인 정정완의 '갖은 수의'를직접 제작해 원형을 복원하는 한편으로 현대인들이 좀 더 쉽게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가격부담도 적은, '보급형 수의'를 제작해 현재적 변용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쳤다. 첫째, 조선시대 말기부터 현재까지 상․장례 문화와 수의, 침선장 정정완의 '갖은 수의'의 구성과 특성, '보급형 수의'의 현황과 특성 등에 관해 문헌과 선행연구, 출토복식 자료를 통해 고찰하였다. 둘째, 정정완의 '갖은 수의'를 문헌과 남아 있는 실물자료를 토대로 제작해 보고 착용순서를 제시하였다. 셋째, '보급형 수의'를 문헌과 선행연구 정정완 '갖은 수의'를 활용해 제작하였다. 제작 시 천연섬유이며 광택이 있고 가벼우며 면 소재 보다 값이 저렴한 인조견 2필을 준비하여 '보급형 수의'를 제작함으로써 형태 및 치수를 규격화․제도화 하였다. 연구결과 정정완 '갖은 수의'를 원형대로 복원할 수 있었고 기법과 양식 면에서 그와 크게 동떨어지지 않는 '보급형 수의'도 만들 수 있었다. 그 결과 새로 제작해 본 '보급형 수의'의 형태와 치수가 복식 전공자들에게 참고가 되는 것은 물론이고 현재의 상업적 수의 제작 과정에도 반영돼 일반인들에게 널리 퍼졌으면 한다. 복식 전공자로서 전통 상․장례와 수의 문화의 현대적 계승에 미력이라도 보탤 수 있었으면 한다. People in the 21st Century tend to think tradition is outdated and not comfortable. However, the funeral culture which was traditionally recognized to be important along with the filial piety keeps its tradition although it was slightly changed. The first CHIMSONJANG( a holder of the Important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89) Jeong Jeong-Wan, the main descendant of nobility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said that the shroud was 'clothing for long excursion'. This saying is on the same line with the Korean traditional value about the next life having the continuance of this world and funeral means the beginning of the new world. The CHIMSONJANG Jeong Jeong-Wan made a traditional 'complete shroud' based on his reflection during his life. His 'complete shroud' was strictly adhered to the traditional needlework in techniques as well as the forms that became the archetype of Korean traditional shroud. Thorough inheritance of his forms and techniques will be the rediscovery of archetype in this aspect. Accordingly,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technical possibility in keeping the archetype by restoring his 'complete shroud'. In spite of the traditional and cultural meaning of his 'complete shroud',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modern life without changes. The 'complete shroud' of the master Jeong Jeong-Wan was used in the funeral with utmost endeavor of noble families, the upper class in a society during late Joseon Period. Furthermore, the 'complete shroud' of the master Jeong Jeong-Wan couldn't properly reflect the rapid change of society up to now with regards to the ceremonies and clothing that reflects the daily life in the relevant time. Except of course on the part of rich elegantly observing tradition, it is difficult for families in the middle or lower class in Korean society to follow the 'complete shroud' form. Accordingly, it is not easy to stop severance and extinction of traditional culture to continue the shroud and funeral ceremony without reflecting the simplified trend significantly observed in shroud forms at present. Thus,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simple 'general shroud' with less cost that reflects social and cultural change up to now as well as keeps some of important meanings of master Jeong Jeong-Wan’s 'complete shroud'. This paper tried to restore the archetype of 'complete shroud' of Sir Jeong Jeong-Wan, the first CHIMSONJANG, and to change the 'complete shroud' by making the 'general shroud' which is eco-friendly at lower cost and can easily be accepted by people at present. The following process was applied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paper. First, with literature‘s existing researches and data on clothing from tombs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funeral rites, funeral cultures and shroud from the late Joseon Dyansty Period to present days, structure and features of 'complete shroud' of master Jeong Jeong-Wan and the features and status of 'general shroud.' Second, the 'complete shroud' of the CHIMSONJANG Jeong Jeong-Wan was reproduc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and the remaining shroud made by the master Jeong and the order to wear it was proposed. Third, 'general shroud' was produced using the 'complete shroud' of the master Jeong Jeong-Wan based on literature and existing researches. The 'general shroud' was made with 2 rolls of rayon which was cheaper than cotton, light, glossy and natural fabric. This paper tried to standardize and systematize the forms and sizes of the 'general shroud' and it was proposed.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results, the 'complete shroud' of the master Jeong Jeong-Wan was reproduced as it was and the 'general shroud' was not far behind from his shroud could be produced. It is hoped that the 'general shroud' made through this research be the reference on forms and sizes for those majoring in fashion design and be distributed to the public to reflect the commercial process of making the shroud at present. Furthermore, it is also desired that this research contributes on inheriting the traditional funeral rite and funeral and shroud culture.

      • 고구려 머리 모양을 통한 문화콘텐츠 자료연구

        이승미 건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우리나라 사람들은 경제적 여유와 개인주의 성향 등이 문화 활동에서 수많은 변화를 가져 왔으며, 현대의 머리 모양은 신분 직위 고하를 막론하고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머리모양을 하지만 시대를 거슬러 우리 선조들은 머리모양을 하나만 보더라도 신분과 사회적 직위, 혼인 유무를 알 수 있다. 고구려 주몽이 기원전 37년에 건국하여 668년 멸망 할 때까지 700여년간 존속 하면서 고조선의 생산력과 문화를 계승하여 그것을 더욱더 발전시킴으로써 고구려인들은 무덤벽화에 나타난 인물도, 사신도, 생활풍속도 등에서 그들의 생활상과 풍속 풍습 등을 고구려 벽화를 통하여 표현하였고, 고구려의 진취적이고 포옹력 있는 기본 정책을 바탕으로 고구려인의 역동적인 삶과 사상을 반영한 것은 상상 이상으로 종류가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무덤 벽화의 구조와 벽화를 살펴보면 전기에는 3세기 후반에서 5세기를 걸치는 시기로 생활풍속도가 주류를 이루었고 중기 5세기에서 6세기를 걸치는 시기에는 사신도, 생활풍속도와 함께 6세기 중엽부터는 사신도가 사실상 유일한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 무덤 벽화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발견은 등장 인물에서 귀와 신발이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고구려 무덤벽화는 고구려인들의 힘차고 용맹한 기상이 잘 나타나 있고 미술적으로 묵과 채색을 사용한 독특한 문화세계의 미술을 발전 시켰으며, 양식과 형식면에서도 삼국미술의 주도적 위치에 있었다. 고구려 무덤벽화에는 그 시대의 시대상을 표현하였으며, 머리모양은 근원적으로는 자연적 환경과 문화적 환경, 사상, 종교와 경제 등의 요소에 더 많이 좌우 되어 왔으며, 인종, 풍습, 관습, 정서, 그리고 머리양식을 통하여 민족, 성별, 성년과 미성년, 직업, 종교 등을 알 수 있다. 고구려 무덤벽화에서 확인되는 여자의 머리모양은 형태상 아홉 가지로 들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형태적 측면에서 머리 모양양식, 큰머리, 둘레 머리, 쪽진 머리, 푼기명 머리, 묶은 머리, 상투, 쌍상투, 삼 쌍 투 머리, 땋은 머리, 채 머리, 환 계 형으로 구분하였다. 큰 머리 형은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성행하였고, 불교와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고구려 문헌기록과 무덤벽화에 나타나는 여인들의 머리모양을 자료 분석화 하여 문화 콘텐츠 측면에서 바라보는 전통사회의 문화가 아니라, 현대 사회 문화와의 연속성을 가진 문화 예술로서 문화의 정체성을 찾고, 현대와 미래의 문화를 창조하는 바탕이 되었으면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에서 우리의 문화 중에서 고구려 무덤 벽화를 일차적으로 재현 하였으며, 이차적인 머리모양을 재현하여 현대화의 연속성을 바탕으로 분석한 머리모양을 재현하여, 그 자료들을 콘텐츠화 하는 방안으로 제안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론 부분에 연구의 목적과 문제 제기를 하였다. 둘째, 문화 콘텐츠 개발의 의미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셋째, 고구를 고분 벽화를 통해 고구려인들의 머리모양을 분석 하였다. 넷째, 무덤벽화의 일차재현과 콘텐츠화를 위한 마네킹 재현을 이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머리모양의 재현과정을 통하여 우리 선인들의 창작 예술적 기질이 뛰어 났음에 감동을 받았으며, 무조건 왜래 문명을 따라잡기보다 전통을 가미한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더 문화콘텐츠화 하여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문화 콘텐츠 측면에서 바라보는 고구려의 머리모양을 현대 사회의 적합성을 가지고 문화산업 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함은 물론 근․현대 문화자원의 독창적인 예술을 통하여 질적 성장과 함께 21세기 비즈니스 상품화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Nowadays, Korean people have made many changes in cultural activities due to economic abundance and individualistic disposition and the like. Contemporary people's hairdo is diverse to fit their taste independently of social status and position but our ancestors in the past had their own hairdo to fit their social status, position and marital status. Jumong founded the Goguryeo Kingdom BC 37 and lasted for 700 years or so until it collapsed in AD 668 and succeeded to the productivity and culture of Gojoseon and developed them further. Goguryeo people expressed their living conditions, folkways and custom in the painting of figures, the painting of envoys and the genre painting of life and the like drawn on the mural painting of the Goguryeo Kingdom. They reflected the dynamic life and thought based on the enterprising and generous basic policy of the Goguryeo people, which indicates that they are more diverse in kind than we imagine. An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mural painting in the tumulus shows that the genre painting of life formed the mainstream over the early period between the late third century and the fifth century, and the painting of envoys and the genre painting of life formed the mainstream over the period between the mid-5th century and the 6th century and the painting of envoys emerged as the sole subject indeed. The peculiar discovery found in the mural painting in a tumulum is that the ears and shoes are invisible in the character. The mural paintings in the tumulus of the Goguryeo Kingdom made a good expression of the energetic and brave spirit of Goguryeo people and developed the art of a peculiar cultural world using indian ink and colors from a perspective of art. They took a leading place of art in the three ancient kingdoms in terms of style and form. They expressed the phases of the times, and the hairdo of Goguryeo Kingdom was primarily much determined by such elements as the natural environment, the cultural environment, thought, religion and economy and so forth. It is possible to discern the nation, gender, adult and minority, occupation, religion and the like through the race, custom, folkways, emotion and hairdo. The women's hairdo found in the mural painting in the tumulus of the Gouryeo Kingdom can be divided into nine forms. This study attempted to divide the form of the Goguryeo women's hairdo into formal hairdo, bun, ponytail, topknot, double topknot, triple topknot, pigtail, and the like. Analysis shows that the women's formal hairdo was popular from the three ancient kingdoms to the Goryeo Dynasty and was related to Buddhism.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women's hairdo found in and the literature and records of the Goguryeo and the mural paintings in the tumulus. It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finding the identity of cultures as the cultures and arts associated with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s, not the cultures of the traditional society to take a look at it in terms of cultural contents, and for creating the present and future cultures. This study attempted to reenact the mural painting in the tumulus of the Goguryeo Kingdom in our cultures and reproduce their women's hairdo. And it sought to reenact the hairdo analyzed based on its continuity of mordernization and propose the scheme to transform the materials into contents. This thesis was composed as follows: Chapter 1, an introductory part, raised a purpose and question of study. Chapter 2 offered an investigation of the meaning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Chapter 3 offered an analysis of the hairdo of Goguryeo people found in the mural painting in the tumulus of the Goguryeo Kingdom.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our ancestors excelled in the temperament of creative arts through the process of reenacting the hairdo.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out of our traditions so that the Korean with traditions added may become global without following the foreign civilization unconditio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hairdo of the Goguryeo people seen in terms of cultural contents will create the synergistic effect of cultural industrial development to have relevance to contemporary society but also become the business commodity of the 21th century with the qualitative growth of pure arts and indust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resources.

      • 성인 대상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서울시 국·공립 박물관과 사립 박물관을 중심으로-

        전다빈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성인 대상 평생 교육 프로그램 중 박물관 교육을 통한 성인 교육의 운영 현황 조사를 통해 성인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자 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경제성장과 의학발달은 우리 삶의 풍족함과 편리함을 가져다주었다. 이는 현대인들의 삶의 가치에 대한 고민과 직결된다. 투자비용이나 소요시간에 비례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여가시간의 활용이 중요해진 시점에서 배움을 택한 이들을 위한 성인 교육의 중요성은 점차 증가 되고 있다. 이에 성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들은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성인 학습자들은 자신만의 다양한 목표를 세워 참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박물관 교육 현황과 유형 및 교육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박물관 교육이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고민하며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서울시 박물관 성인 대상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분석해보니 국·공립 박물관은 이론 중심의 사회연계 교육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전문가 대상의 교육과 다양한 분야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있다. 사립 박물관은 체험 중심의 사회연계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박물관의 특성과 유물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있다. 그 결과 전체 박물관은 공통으로 성인 대상 교육 프로그램 진행률이 다른 대상에 비해 낮은 운영률을 보여주고 있어 성인 교육의 중요성은 크게 대두되지 못하였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한쪽으로 치우쳐진 교육 형식에 대한 변화도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박물관의 기능은 수집·보전과 같은 고전적 기능을 넘어 대중들이 체험하고 소통할 수 있는 공공성을 띄운 교육공간의 기능으로 변화되었다. 이제 박물관은 교육의 공간임을 인지하고 소장품 및 전시와 연계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양한 유형에 맞춘 적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박물관 관람객 확보와 교육의 효과를 동시에 높여야 한다. 박물관에서 성인 교육에 관한 관심을 높여 성인 학습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 한부모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연구

        이재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social exclusion and changes of single parent families through setting social exclusion indicators of single parent family members in the multidimensional areas and measuring the entire social exclusion scores based on Fuzzy Set Theory. Since one parent should perform the role of parents alone in single parent families, single parent families are in a particularly vulnerable situation to the poverty in comparison with other households. Therefore,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parent families with one householder and the nature of poverty as a result of the complicated social phenomenon, multidimensional analysis that considers the situation, social environment, and resources of single parent family is required instead of only analyzing income levels. Since studies on the existing single parent household have focused on economic poverty targeting low-income female-headed households, they have not accurately measured the poverty of entire single parent families which include male-headed households and female-headed households in the multidimensional realms that include income.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which is a new perspective about the poverty that considers multidimensional areas and aims to present basic data of the current condition, required for multidimensional support and policy design for the future single parent families through the overall situation of Korea’s single parent families and the analysis of trends. In this study, the pooling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5-2009) were utilized and the poverty level was measured quantitatively as a social phenomenon by using Fuzzy Set Theory. Social exclusion measurement indicators were eight dimensions; income, employment, health, housing, education, social support networks, social safety networks, and living conditions, and 23 sub-indicators were composed. The analysis results on the entire level of social exclusion and the trend of social exclusion in single parent families are as follows: First, the entire social level scores of single parent family members in eight areas tended to decrease from 2005 to 2007 for three years, but they increased again from 2008. Second, in terms of social exclusion in areas, the low level of social exclusion in employment, health, and education were experienced. Third, the scores of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were high in income and living conditions, showing a higher level of social exclusion than other areas. Fourth, the social exclusion of female-headed households was more severe than that of male-headed households, while in the case of three household members,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in a single parent family was high. Therefore, the exclusion in social safety networks and social support networks that include the relationships in and out of family like the absorption in the social insurance system as well as economic aspects like income, experienced by single parent families should be recognized, and support for high areas in social exclusion as well as economic support is required in the discussion of providing the policy, system and support plans of single parent famili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구에 속한 가구원들의 사회적 배제 정도를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수치로 측정하기 위한 사회적 배제 지표를 설정하여, 퍼지 집합이론에 입각하여 수치화한 전체 사회적 배제 점수를 통해 한부모가구의 사회적 배제 정도와 변화 추이를 드러내어 분석하는 것에 있다. 한부모가구는 혼자서 자녀를 키우며 부모 역할을 담당해야하기 때문에, 다른 가구집단에 비해 특히 빈곤에 취약한 상황에 처해있다. 가구주가 1명이라는 한부모가구의 특성과 복잡한 사회현상의 결과로서의 빈곤의 성격에 따라, 소득만을 기준으로 빈곤을 분석하던 것에서 벗어나 한부모가구가 처한 상황, 사회적 환경, 자원 등을 포함하여 다차원적으로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 한부모가구에 대한 연구는 저소득 여성가구주만을 대상으로 경제적인 빈곤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소득을 포함한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를 아우르는 한국의 전체 한부모가구의 빈곤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구의 빈곤을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바라보는 빈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인 사회적 배제 개념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한부모가구의 전체적 실태 및 추이 분석을 통해 향후 한부모가구를 위한 다차원적인 지원과 정책 설계에 필요한 기초 현황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의 1~5차년도(2005~2009) 자료를 활용하였고, 퍼지 집합이론을 활용하여 사회현상으로서의 빈곤 수준을 수량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배제 측정 지표는 소득, 고용, 건강, 주거, 교육, 사회적지지망, 사회적안전망, 생활여건의 8개 차원으로 영역을 설정하여, 23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하였다. 한부모가구의 전체 사회적 배제 수준과 추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8개 영역에서 한부모가구의 구성원들이 겪고 있는 전체 사회적 배제 점수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간 감소하는 추세에 있었으나 2008년부터는 다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영역별 사회적 배제는 고용과 건강, 교육 차원에서 낮은 수준의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쨰, 사회적 배제 점수가 높게 나타난 소득과 생활여건차원에서는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 수준이 다른 영역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성가구주보다 여성가구주가 사회적 배제의 정도가 심했으며, 가구원의 구성이 3명일 경우에 한부모가구가 경험하는 사회적인 배제의 정도가 높았다. 따라서 한부모가구가 경험하고 있는 사회적 배제의 측면은 소득과 같은 경제적인 측면뿐 아니라 사회보험제도에의 흡수와 같은 사회적안전망이나 가족 내·외의 관계가 포함된 사회적지지망과 같은 차원에서의 배제도 크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향후 한부모가구에 대한 정책, 제도 및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논의에 경제적인 지원과 함께 배제의 정도가 큰 영역으로의 지원이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경기도 폐기물에너지 정책수립에 관한 연구

        남기영 아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경기도의 시․군별 폐자원 에너지 잠재량 분석 결과 총 잠재량은 수원시, 성남시, 용인시, 부천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연성폐기물 및 하수오니는 수원시, 성남시 등 인구가 많은 대도시가 잠재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축분뇨는 파주시, 연천시, 용인시, 양평군 등 주로 도․농 복합시를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으며 목질계 폐기물은 수원시, 화성시 등 대도시와 포천시, 양평군, 가평군 등 산림분포가 높은 곳이 잠재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원시의 경우 가연성폐기물, 목질계, 하수오니, 음식물의 각분야에서 높은 잠재량을 나타냈고 성남시, 용인시의 경우 세종류의 폐자원 항목에서 부천시는 두 종류의 폐자원 항목에서 잠재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용인시의 경우 하수오니 폐기물과 가축분뇨의 발생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어 폐자원 바이오매스 이용 활성화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폐자원 잠재량이 높은 수원시, 성남시 등 1순위 그룹의 시․군을 중심으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마을의 시범사업의 추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도 발생 폐목재의 에너지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양평군, 가평군, 포천시 등 산림 폐목재 발생량이 많은 경기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산림바이오매스 클러스터를 구측하고 목재렐릿사업 등 인프라 구축 및 활용 시책의 추진이 필요하다. 음식물류폐기물, 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이 풍부한 경기남부 용인시의 경우 음식물류폐기물, 음폐수의 바이오에너지 활용을 통하여 저탄소 녹색마을과 연계한 에너지 자립마을을 구상할 수 있으며, 평택시의 경우 자원순환특화단지 조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경기도의 운영 중인 공공소각시설 및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의 시설보수를 통한 폐열 이용 활성화와 현재 74%의 소각시설 가동률 향상을 추진하여하고 수도권매립지, 부천시, 가평군 신규 RDF 시설의 지속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소각시설의 내구연한을 고려할 때 향후 10년 후 소각시설의 신설 및 보수가 필요하므로 폐기물 에너지화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발전시설의 도입 및 기존시설의 보수 활용에 대한 장기적 활용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 중국 문화유산 동영상에 관한 연구 : 중국 다큐멘터리 <국보가 말할 수 있다면(如果國寶會說話)>을 중심으로

        윤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현대인들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면서 영상 관람의 즐거움을 느끼고 있다. 뉴미디어 기술의 출현으로 인해 인간의 시청 방식, 정보 습득, 전송 방식 등은 막대한 영향을 받고 있다. 민족의 문화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시대적 배경 아래 문화유산 프로그램 영상은 뉴미디어 기술에 힘입어 새로운 형태로 보급되고 있다. 시청자의 문화적 자존감을 높이고 문화유산 보호 및 계승의 의미를 깨닫기 위해 문화유산 관련 콘텐츠 개발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국보가 말할 수 있다면>은 중국 중앙방송국이 기획하고 다큐멘터리 채널에서 방영을 시작한 100부작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1~4 시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동시에 방송되었다. 젊은 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은 이 프로그램은 큰 인기를 누리며 화제가 되었고 방송계에서도 독자적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중국 문화유산 프로그램 <국보가 말할 수 있다면>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영상 구성의 세 가지 요소를 정량적으로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의 장점을 정리하고 주제 선정, 전송 전략, 시청각 표현 및 시청자 선호 등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국보가 말할 수 있다면>에 대한 구성 요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마이크로 형식의 영상으로 그 의미와 다양한 표현 형식을 표현한다. 다음으로, 전문성과 권위성을 겸비한 커뮤니케이션 주체에 의해 온·오프라인으로 영상 전송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수많은 클로즈업, 낮은 명도와 채도 등 시각적 특징과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 음향 효과, 의인화한 내레이션 등 청각적 요소를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기술로 문화재의 디테일을 복원하고 애니메이션 효과를 추가해 문화재의 알려지지 않은 에피소드를 소개한다. 본 연구의 설문지를 통해 영상에 대한 시청자의 수요가 연령별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령대에 따라 보급 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다르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대표적인 인기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중국 시청자의 수요에 맞는 영상을 제작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뿐만 아니라 문화 프로그램 연구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Modern people acquir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mobile devices, and enjoy the pleasure of watching images. New media technology has a profound impact on the way we watch, acquire and disseminate information in its unique way. Born in the context of vigorously promoting national culture, cultural heritage TV program images are spread in a new form with the help of the Internet and digital technology brought by the new media era. In order to stimulate the cultural self-confidence and cultural awareness of the audience, and further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and inheriting cultural heritag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related content has been accelerated. Every Treasure Tells a Story is produced by CCTV, first broadcast on CCTV Recording Channel, and a 100-episode series of video broadcasts on other online platforms at the same time. It is broadcast in 4 seasons. It has received unanimous praise, especially the attention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has sparked related topics. The main research subject of this study is set as the representative innovative cultural heritage TV program in China Every Treasure Tells a Story, attempting to quantify the three dimensions of image components and fi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content analysis at different levels. The advantages of integrated programs are classified and summarized, starting from four aspects of program theme setting, communication strategy, audio-visual expression and audience preference. In addi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image composition and audience psychology, and discusses the composi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of respondents' evaluation of program imag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s are: the grand theme and rich expressions contained in the tiny video images; the professional authoritative and diverse communication subjects use all media to carry out the online and offline communication process; the visual composition of multiple close-ups, low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matches the style; various background music, sound effects and audio-visual effects of refined anthropomorphic narration; use digital technology to restore the details and materials of cultural relics, and use animation effects to tell the story of cultural relics in post-produ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s that audiences have different preferences for various elements of images, and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in terms of the selection preferences of communication elements at different ages. Through systematic analysis of representative excellent program images, this study further seeks to provide new research perspectives and directions for cultural heritage images, and to provide references for creating more images that meet the needs of Chinese audiences, so as to provide future research on cultural programs of the same type and development.

      • 라이프스타일, PC(Personal Color)와 색상선호도의 관계 연구

        유현경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se the correlations among life style, personal color, and color prefer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 total of 300 female adults were recruited and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ed. The results from thos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six factors were drawn from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lifestyle, and the five factors except for one factor were determined finally; traditionalism, leisure activity, achievement-orientation, management of appearance, and utilization of modern media. Second, the result of clustering analysis of lifestyle showed that the modern media was most(26.0%) and followed by achievement-orientation, management of appearance, leisure activity, and traditionalism. Third, the result of difference in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lifestyle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lor used, preferred color, reason of preference, hateful color, and reason of hatred. Fourth, the result of difference in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personal color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lor used, preferred color, reason of preference, hateful color, and reason of hatred. Fifth, the result of difference in personal color according to life style, it was showed that the summer type was most in leisure activity, traditionalism, and management of appearance whereas the spring type was most in achievement-orientation and modern media. In summa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festyle can be classified into five divisions and that the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lifestyle were varied. It also showed that the color preference may be varied according to personal color as well and that the personal color may be varied according to life styl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personal color used in this study, only the first evaluation was performed. it is needed for future study to expand the scope of evaluation of personal color to the second evaluation. Second,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Seoul city and Gyeong-gi-do. It is needed, therefore, for future study to expand the scope of sampling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 of study nationally. Third,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 only among personal color, lifestyle, and color preference. It is needed, therefore, for future study to add other variables such as characteristic type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relations among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 퍼스널컬러, 색상선호도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20대 이상 성인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타당성 검증 결과, 6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1개의 요인을 제거하여 전통보수 여가활동, 성취지향, 외모관리, 첨단매체활용이라 변수를 추출하였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에 대해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첨단매체가 26.0%로 가장 많았으며, 성취지향, 외모관리, 여가활동, 전통보수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색상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용 색상, 선호 색상, 선호 이유, 싫어하는 색상, 싫어하는 이유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퍼스널 컬러에 따른 색상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용 색상, 선호 색상, 선호 이유, 싫어하는 색상, 싫어하는 이유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다섯째,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퍼스널 컬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가활동, 전통보수, 외모관리는 여름형이 가장 많았고, 성취지향과 첨단매체는 봄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라이프스타일은 5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질 수가 있다. 그리고,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색상선호도는 매우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퍼스널 컬러에 따라서도 색상선호도가 매우 차이가 있으며, 라이프스타일에 따라서 퍼스널 컬러도 매우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나타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서 사용된 퍼스널 컬러의 경우 1차 진단만을 실시하였다. 이 후의 분석에서는 퍼스널컬러의 진단을 2차 진단까지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적 한계로서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으로 제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표본수집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퍼스널컬러, 라이프스타일, 색상선호도간의 관계만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 후의 연구에서는 성격유형 등의 척도 등을 추가하여 각 변수간의 관계를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