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경 문화콘텐츠산업 발전 및 정책에 대한 연구

        바이루더전 호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초론 북경 문화콘텐츠발전 및 정책에 대한 연구 호서대학교일반대학원 한중문화콘텐츠학과 백록덕진 지도교수:이상윤 본 연구는 중국 북경시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 상황과 정책 상황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콘텐츠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은 북경시 경제를 촉진하는 중요한 통로이자, 북경시가 세계 도시라는 거창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본고는 외국 문화콘텐츠산업이 발달한 영국과 한국 등 다른 국가들의 사례를 참고하였다. 문화콘텐츠산업이 발전하려면 그를 지원하는 국가 정책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북경시 문화 콘텐츠 산업의 성장도 정책의 지원을 떠날 수 없으며, 발전 변화와 함께 정책 또한 살펴본 후 문제를 분석해야만 도시의 산업 최적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고는 우선 산업 개념, 산업 특성, 산업 정책의 특징과 산업 정책의 분류 등의 방면에서 문화콘텐츠산업의 특수성을 서술하였고,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 상황을 결합하여 각각 다른 측면에서 산업의 발전 데이터를 분석하고 북경시 전체 산업의 발전에 대해 연구하였다. 북경시 정부가 마련한 5개년 계획을 주요 도선으로 바꾸어 정책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또한 발전 상황 전체를 결합하여 SWOT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콘텐츠산업은 그 특수성을 파악하는 데 미흡하고, 관리 체제가 지나치게 분산되어 있는 문제점을 발견하였으며, 인재의 도입과 창의력 강화에 대한 필요가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혁신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혁신 관리 체제 등 일련의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연구를 통해 문화콘텐츠산업의 향후 발전에 도움이 되고, 미래 문화 산업의 성장이 갈수록 왕성해지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문화콘텐츠산업 발전, 문화콘텐츠산업 정책, 북경시 문화콘텐츠산업.

      • 건축용 막재의 특성과 활용 연구

        오승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건축물의 마감 재료는 공간과 형태와 더불어 건축 디자인의 표현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건축 재료가 건축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증대되어 가고 있고, 사용 방법과 범위 또한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산업혁명과 새로운 공법 및 재료의 발달로 현대건축의 시스템에서 구조와 외피가 분리된 이후 건축에서 외피와 재료에 대한 관심은 증가되었다. 그 중 막재는 경량성, 투광성 등 다양한 이점으로 그 활용성이 매우 크며, 그러한 막재를 활용한 막구조물은 기존 재료에 비해 상징성, 신규성, 화제성 등의 건축적 가치를 가진 구조물로 인정받으면서 전 세계적으로 건설이 급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 설계에 있어 재료의 물성 표현을 통한 막재의 등장 배경을 찾아보고 막재가 외피로써 건축 설계에서 차지하는 의미 및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건축물에 적용되는 막재 및 막구조를 대상으로 하여 그 활용과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건축용 막재는 주로 높은 개방성, 강한 인장력 등을 확보하기 위해 활용된다. 그 외에 빛의 투과 및 반사와 흡수, 자외선 차단, 방수, 단열, 인쇄적성, 난연성, 내화학성, 긴 수명, 흡음, 다양한 색상, 자정 효과, 가벼운 무게, 인장력, 인열, 경제성, 지속가능성, 넓은 온도 범위 등도 건축용 막재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다. 이는 오늘날 소재 및 생산 기술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을 바탕으로 소재 분야에 엄청난 잠재력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표준 제품의 개발로 이어지는 요구는 건축가, 엔지니어 및 건설 회사가 동등한 파트너로 참여하는 프로젝트 작업 중에 직접 발생한다. 이러한 시너지 효과는 멤브레인 재료의 새로운 기술 응용 분야의 역동적인 성장에 기여한다. 오랫동안 대규모 공간에 사용되었던 유리의 구조적인 해결책으로서 그리고 아름다운 미래의 건축자재로서 막재는 계속적으로 새로움을 찾는 건축가들에게 사용될 것이다.

      • 여성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유통기업의 서비스 성과에 관한 연구 : 백화점 종사자를 중심으로

        서명희 명지대학교 부동산.유통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백화점 여성중간관리자 리더십이 백화점 종사자의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어떠한 유형의 리더십이 직무 성과에 더욱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혔고, 나아가 조직 특성과 개인 특성 중 어떤 것이 조절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백화점 직원을 대상으로 첫째, 여성중간관리자의 어떠한 유형의 리더십이 직원의 서비스 성과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조직특성과 개인특성에 따라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분석에 있어서 독립 변수로는 여성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 종속 변수로는 백화점 종사자의 직무 성과를, 그리고 조절 변수로는 조직 특성과 개인 특성을 취하였다. 리더십 유형은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에는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 등의 내용을 포함시켰으며, 거래적 리더십에는 상황적 보상과 예외에 의한 관리를 포함시켰다. 직무 성과는 매출/비용의 목표 달성 여부와 백화점의 인적 서비스 질로 한정하였다. 특히 백화점의 인적 서비스 질의 평가를 위하여 업무 처리의 정확성, 신속성 (전문성), 예절성, 대응성, 정보전달력 등의 요소 들을 고려하였다. 조절 변수 중 조직특성으로는 기업의 역사(업력)과 규모 (종사원의 수)를 택하였고 개인 특성으로는 사회적 경험 (연령)과 직무 경력 (근속 년수)를 취하였다. 독립변수인 여성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을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으로 나누고 변혁적 리더십 내용으로는 비전을 포함한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을 포함하고, 거래적 리더십 내용으로는 상황적 보상과 예외에 의한 관리를 포함한다. 종속변수는 직무성과로서 업무처리의 정확성과 신속성(전문성), 예절성, 대응성, 정보전달력 등 백화점의 인적 서비스 질과 매출과 비용의 목표달성으로 한정하였다. 조절변수로는 조직특성으로 기업의 역사(업력)와 규모(종사원의 수)를 선정하고, 개인특성으로 사회적 경험(연령)과 직무경력(근속년수)를 포함하여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9년 10월 12일 부터 11월 1일까지 3주 동안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12개 백화점에 근무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해당 백화점의 경영자 혹은 인사담당자를 통하여 설문 내용을 설명하고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지 배포 전 해당 백화점의 여성중간관리자 실태를 파악한 후, 여성중간관리자를 직속 상급자로 둔 백화점 종사자만을 설문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해당 백화점을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물을 이용하여 경영자 또는 인사담당자를 통해 설문지를 설명 및 회수하는 방법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되어있으며 1장은 서론, 2장은 리더십의 이론적 배경, 3장은 연구방법, 4장은 연구결과, 그리고 5장은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화점 종사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여성중간관리자 리더십 유형으로는 변혁적 리더십으로 나타났다. 둘째, 백화점 여성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은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중간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백화점 조직특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중간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성과간의 관계에 있어서 종사원의 개인 특성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 관리자는 백화점 조직 구성원들을 통제, 관리함에 있어서 백화점의 조직특성인 기업의 역사와 규모 등 조직특성을 중요시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leadership of female middle managers at department stores on performance of employees. Firstly the study investigated what type of leadership would impact more on the performance, and examined which attributes, organizational or personal, would have more control over the impact. For the analysis, types of leadership of female middle managers were taken as an independent variable, while performance of employees of department stores as a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organizational and personal attributes were selected as controlling variables. The types of leadership were divided into reformatory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The reformatory leadership included charisma with vision, care for individuals, stimulus on intelligence, and so on.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included situational compensation and management by exceptions. Performance of employees was limited to achievement of sales/cost goals and service quality of employees at department stores. Especially, service quality was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factors related to daily operation such as accuracy, promptness, specialty, politeness, responsiveness, capability to deliver information, etc. As controlling variables, organizational attributes were constructed by history and size (the number of employees) of the company, and personal attributes by social experience (age) and business experience (tenure at the company).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employees of 12 department stores located Seoul and Kyunggi area for 3 weeks from October 12th, 2009 to November 1st, 2009.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explained to executives or HR managers of the department stores, and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them. The survey was subject only to employees of the department stores who had female middle manage as a direct supervisor by understanding how many female middle managers were working at the department store before the distribution of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reformatory leadership was the leadership type of female middle managers that had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at the department store. Second, leadership of female middle managers had positiv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employees. Third, the organizational attributes of a department store had controll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ormatory leadership of female middle managers and the performance of employees. Fourth, the personal attributes of employees of a department store had no controll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ormatory leadership of female middle managers and the performance of employees. This means that female middle manager should consider the organizational attributes - history and size of the company - more importantly in supervising and managing employees.

      • 인천항 TOC 통합에 따른 벌크화물 항만집중도 분석에 관한 연구

        남궁호성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천항은 개항 이래로 수도권 화주들에게 화물을 적기에 공급해 줌으로 수도권 거점 항만의 역할을 해왔으며, 국내 항만에서 부산항, 광양항, 울산항을 이어 4번째 물동량 실적을 가진 항만으로 서해권 물동량 처리에 기여한 바가 크다. 특히 인천항은 국내 무역항 중에 벌크화물의 처리실적이 상대적으로 높은 항만이다. 하지만 평택·당진항의 개장 이후로 기존 인천항의 벌크 물동량이 타항만으로 이전되고 있으며, 벌크 물동량의 증가율은 2015년 6.8%에서 2016년 0.5%로 정체되었다. 이러한 벌크 물동량의 정체는 인천항 부두운영사의 경영악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인천 내항 TOC통합이 제시되었다. TOC통합은 재개발 대상인 1,8부두를 제외한 2,3,4,5부두를 중심으로 통합법인을 설립하기 위한 단계를 밟아가고 있으며, 설립 이후에는 선석 운영의 효율성 제고, 야적장 시설의 활용도 증대, 인력 운용의 효율화 등 여러 가지 운영상의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 이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통합법인 이외의 북항 운영사들의 상황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기존 내항과 북항에서 경쟁이 이루어지는 품목을 중심으로 항만집중도를 분석하였고, 분석지표는 k개사의 기업집중률(CRk)와 허쉬만-허핀달지수(HHI)를 이용하였다. 또한, 통합하기 이전의 상황과 통합 후의 상황을 부여하여 항만집중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TOC통합 이후에 통합법인은 높은 수준의 기업집중률과 시장지배력을 갖게 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TOC통합은 인천항의 경영개선과 경쟁우위를 가져오지만, 독점형태의 시장이 지속될 경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TOC통합은 진행하는 과정에서 통합법인을 제외한 운영사에도 도움이 되는 규제 및 운영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한·중 MCN(Multi Channel Network) 산업 비교연구 : 아프리카 TV와 루한 홀딩스(如涵控股)를 중심으로

        범정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e mobile Internet era, both content and form of media transmission are undergoing unprecedented changes. In particular, with the spread of mobile Internet and smartphones, users' demands for content and socialization methods have changed significantly. Recently, platforms such as YouTube, Afreeca TV, and TikTok have emerged, making users easily access various entertainment and cultural content through smartphones anywhere. In response to this, related MCN industries such as platforms have also been rapidly growing in recent years. Multi Channel Network (MCN), which started through YouTube, is a third-party service provider that has formed a partnership with YouTube and conducts business between YouTube and other platforms and content creators. In recent years, the MCN industry is proliferating in Korea and China. In order for the MCN industry of both countries to develop better,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ir MCN industries. The study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the theoretical aspects related to the MCN industry are considered with a focus on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Also, the developm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CN industry in both Korea and China are examined,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the paper compared and analyzed four aspects of management strategies, advertising strategies, service strategies, and strategies differentiated from management companies of two MCN companies, Afreeca TV and Ruhnn Holding Ltd, which are representative of Korea and China.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differences and current problems of holdings and suggest ways to solve the problems.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CN industry in both Korea and China.

      • 오피스빌딩 업무지원시설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공기업을 중심으로

        윤석민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피스빌딩은 현대 직장인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공간의 하나이다. 경제활동을 위한 공간이기는 하나 지적 생산이라는 일차적인 목적이외에도 사용자가 휴식 및 충전 활동을 하는 공간이기도하다. 최근 정부기관의 지방이전 정책 및 지방자치단체 호화신청사 건립이 논란과 에너지사용 과다로 인하여 감사나 언론의 질타를 받기도 하였다. 과거의 오피스빌딩의 공간 행해지는 재실자의 업무처리 방식도 정보 통신의 기술의 발달에 따라 많은 업무환경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리고 과거 오피스빌딩은 기능성, 효율성, 경제성 등이 우선시되었으나, 지금 현재는 다원성, 친환경, 커뮤니티적인 것들과 같이 인간중심적인 요소들도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반면 건축계획 기준은 이러한 사회적인 패러다임의 변화와는 동떨어진 기준제시로 인하여 실제 재실자의 요구(needs)에는 충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오피스빌딩의 업무지원시설은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완충적이고 중간적인 공간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더불어 모든 건물은 지속가능하며 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계획 되어야 한다. 오피스빌딩의 업무지원시설 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먼저 오피스빌딩의 정의, 변화와 흐름 기능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공기업에 대한 정의와 분류에 대한 고찰과 사기업과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공기업 조성에 관련 법규·지침을 바탕으로 15개 공기업의 오피스빌딩 업무지원시설의 배분현황과 유형 및 공간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는 업무지원시설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그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공기업의 사옥 분석 결과 업무지원시설은 내부기능에 따라 3개로 구분 할 수 있다. 업무지원시설 배분현황 및 유형에 대한 연구는 업무지원시설을 회의시설, 저장시설, 휴게시설로 3개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15개 공기업의 업무지원시설 배분현황 및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회의시설 : 집중형(4개사), 분산형(6개사), 혼합형(5개사) 2. 저장시설 : 집중형(5개사), 분산형(7개사), 혼합형(3개사) 3. 휴게시설 : 균등분산형(11개사), 혼합형(4개사) 각 시설간 분리 또는 독립된 공간보다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된 공간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오피스빌딩 업무지원시설의 건축계획시 반영될 수 있는 업무지원시설의 계획방향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다.

      • 도시/마을 재생사업에서 적용된 리노베이션의 유형 분석

        장홍만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Hot issue of these days is urban regeneration. In architectural aspect, the policy is being realized with the social consensus that the theme of urban regeneration is much better tha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However, this study was started because there was doubt about why urban regeneration would not discuss the regeneration of architecture. Regenerating architecture could not be expressed by just remodeled buildings. Because architectural regeneration can not be interpreted only as an act. The word, regeneration is much better understood to the meaning of renovations which comprehensively implied in behavior and emotion. This study is to see how urban regeneration and architectural regeneration works through urban generation case study using renovated buildings. In architectural aspect, the model area which is politically to be conducted in legal are devided economic-based urban regeneration type, general neighborhood regeneration type, and central commercial district regeneration type, and also Regeneration projects are progressing naturally through private or public needs. Seongsu-dong Urban Regeneration Model Area which is under policy system, Donghwamun Museum Village (economy-based urban regeneration type) which is under 100% public-initiated, and Ikseon-dong regeneration area such as old hanok residential complex which such as island surrounded by high - rise buildings, and 1913 Songjeongyeok regeneration area which try to regenerate without gentrification. Renovation application cases of above are analyzed by type of urban generation. For instance, one of the overseas cities for urban regeneration, the Bilbao Guggenheim Museum in Spain, which succeeded in regenerating the city through architectural reconstruction with aesthetic value. However, in the case of domestic, urban regeneration is understood as a business because renovation is acted for economic value and functional value in domestic. However, in some cases of renovation, the aesthetic value has gained economic value which is considered to be sufficient for development. For the sustainable city through urban regeneration, the interest and effort for the renovation as the architectural regeneration is needed. And the establishment of governance system, and the continuous interest and research in various fields should also be considered. 요즈음 핫 이슈는 단연 도시재생이다. 건축적 측면에서, 재개발 재건축 보다는 도시재생이라는 테마가 훨씬 어울린다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갖고 정책을 실현하고 있다. 그런데 왜 도시재생에서는 건축의 재생을 논하지 않을까하는 의구심이 들어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건축을 재생한다는 것은 단순히 리모델링이라고 표현될 수 없다. 왜냐하면 건축재생은 행위로만 해석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재생이란 행위와 감정이 포괄적으로 함축된 리노베이션이라는 말이 훨씬 어울리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도시재생과 건축재생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한 리노베이션이 활용된 도시재생 사례 연구이다. 도시재생 측면에서 봤을때, 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정책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시범지역은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일반형근린재생형. 중심상가형 근린재생형 등으로 구분 되어 지며, 또한 민간 또는 공공에서 필요에 의해 자생적으로 진행하는 재생사업도 진행되고 있다. 이중에서 제도의 테두리에 있는 성수동 도시재생 시범지역과 100% 공공주도하에 진행된 돈화문박물관마을(경제기반형도시재생형)과 민간주도하에 자생적으로 진행하며 젠틀리피케이션 없는 재생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1913송정역시장 재생지역과 오래된 한옥주거단지로서 도심지에 고층건물군에 둘러쌓여 섬처럼 된 익선동 재생지역의 도시재생유형별로 리노베이션이 적용사례를 분석하였다. 도시재생 사례를 보면 해외의 경우에는 이미지가치를 둔 건축재생을 통해 도시재생을 성공적으로 이끈 스페인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 등의 사례를 볼 수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경제적인 가치와 기능적인 가치를 위한 리노베이션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어서 도시재생사업에 끌려가는 경향이 많다. 하지만, 몇 개의 리노베이션 사례에서는 이미지가치가 경제적 가치를 이긴 사례도 있어서 발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 도시재생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서 건축의 재생으로서의 리노베이션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관심과 여러분야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