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나혜석과 빙심(?心)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의식 비교 연구

        Qiu, YiLu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East Asia's international status has gradually jumped in economic and political circles, East Asia's culture, which has been under the spotlight, is also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Korean and Chinese scholars have begun to think of the East Asian region as a unit, and discussions and essay writing about East Asia are also becoming more active.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are located in East Asia and have much in common in history and culture, and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China's oil price ideas on the feudal society of the Han Dynasty was so profound that feudal women had no status and their dignity as human beings was destroyed by the patriarchal system. Women of a certain period are always closely related to the culture of that period. Women were one of the creators of culture at any time. In addition, certain cultures, their internal structure, constrain women's lives from various angles. Women of one era are living under a certain cultural incubation, living in a certain cultural atmosphere, accepting the social views, values, morals, and cosmology that these cultures have determined, creating themselves according to the behavioral patterns and social expectations that these cultures provide, and living according to the cultural traditions that fit them. New ideas and ideas are increasingly accepted by people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in line with the replacement of social systems and the promotion of civilization, and social ideologies are beginning to show new faces, and among these changes, the most notable is the change in the status of women. South Korea and China both received modern education, pursued the liberation of Kaesong and bravely fought against traditional feudal morals, resulting in new women. They pursue identity authentication, pioneer women's own language space and political space, and encourage more women to awaken and mature. The awakening of female gender consciousness is caused by the birth of female literature. Feminism literary women's consciousness, as a creative subject, seeks the path of freedom and liberation of women through historical, political and literary thinking about women who are creative partners, and the way of salvation with men. Of course, women's special living conditions determine their unique ways of observing the world and analyzing things, and also the genres and genres they are interested in and adopt in their creations. At the same time, women's peculiar senses created their own special way of expression and thus created their own characteristic women's literature.

      • 한국의 설날과 캄보디아의 쫄츠남 문화 비교 연구

        LYSREYNOCH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10개의 국제 산업 사회에서 한국의 비율은 때때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 시민과 결혼함으로써 한국 국적을 얻는 외국인들의 엄청난 수가 지금까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인과의 결혼은 2009년 33,426명에서 2019년 37,259명으로 늘었고, 베트남인과의 결혼은 30,173명에서 43,044명으로, 캄보디아인과의 결혼은 3,230명에서 4,997명으로 늘었다. 게다가 2019년의 통계에 따르면, 오늘날 4만 명 이상의 캄보디아인들이 한국에 살고 있다. 대부분이 결혼 이민자, 노동자, 유학생들이다. 매년 많은 수의 노동자와 학생들이 한국에 들어온다. 2019년 기준으로 국제결혼이 16,2000명 이상 증가하였다. 그래서 요즘 한국 사회에서 서로 다른 문화를 만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한국 사회로의 다양한 문화 흐름은 한국을 다문화를 가진 글로벌 국가로 만들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캄보디아인, 학생, 노동자, 국제결혼 등 4만 명이 넘는다. 그 수가 증가함에 따라 캄보디아 문화는 한국 사회문화에 의해 더욱 깊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에 캄보디아 문화를 소개할 매체는 많지 않다. 양국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연구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안타깝게도 캄보디아와 한국의 문화 교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다. 캄보디아와 한국이 비활동적인 역사와 문화적 관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3년 이후 KOICA 등 한국 기업의 단체들이 캄보디아에 진출하면서 캄보디아에는 한국인들이 많이 진출한다. 캄보디아와 한국 사이의 정치, 경제, 외교 관계는 지금까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캄보디아 대학교 중에 캄보디아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대학교도 있어 양국의 발전과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한국에 오는 캄보디아 학생 수도 지금까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캄보디아의 젊은 세대가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과 캄보디아 문화를 비교하는 연구는 양국 문화 교류에 큰 역할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캄보디아 문화의 관계를 강화하기를 바란다. 본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명절인 '설날'과 캄보디아의 '쫄츠남'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 일본 등을 비교하는 연구는 쉽게 찾을 수 있지만 한국과 캄보디아를 비교하는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그리고 한국과 캄보디아의 비교 연구 중에서도 설날에 대한 연구가 아직 실시되지 않다. 이 연구가 캄보디아와 한국의 교육 시스템에 장점을 더하기 위해 양국의 민족 문화의 차이와 유사한 면을 보여주기를 바란다. Today, the proportion of South Korea in 10 international industrial societies is increasing at times. The huge amount of foreigners who get Korean citizenship by marrying South Korean citizens over the past decade has been on the rise so far. For example, marriages to Chinese rose from 33,426 in 2009 to 37,259 in 2019, while marriages to Vietnamese rose from 30,173 to 43,044 and marriages to Cambodian consisted of 3,230 to 4,497. Moreover,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2019, over 40,000 Cambodian live in South Korea today. Most of them are marriage immigrants, workers and students studying abroad. A large number of workers and students come to Korea each year. Also, based on the 2019 figure,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increased over 162,000 people. So, it would not be difficult to meet representatives of different cultures in Korean society these days. In addition, the diverse flow of culture into Korean society is making Korea a global country with different cultures. As mentioned above, there are more than 40,000 Cambodian, students, worker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etc. As the number increases, Cambodian culture is getting deeper by Korean social culture. Nevertheless, there is not much data to introduce Cambodian culture to Korea.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develop ways to explain them to their representatives. Unfortunately, cultural exchanges between Cambodia and Korea have not improved well. That because Cambodia and Korea had an inactive history and cultural relationship. However, since 2003 organizations of South Korean companies, including KOICA, have made inroads into Cambodia, with many Korean residents flocking to Cambodia. Political, economic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ambodia and Korea have been increasing so far. In addition, several foreign language universities across Cambodia can also be seen as a high interest. Currently, three Cambodian universities teach Korean in Cambodia, affecting the development and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The number of Cambodian students coming to Korea for the purpose of learning Korean has also been increasing every year so far. That because the young generation of Cambodia is developing their interest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refore, research comparing Korean and Cambodian culture will play a big role in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opefully, the study will serve as a new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ambodian cultu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holiday "Seollal" and Cambodia's "Chol Chhnam.". While it is easy to find research that compares Korea with China, Japan etc, there is a lack of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Korea and Cambodia. And it can be said that none of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 and Cambodia have yet to be done on New Year's Day. Let's hope the study will show a similar side to the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ethnic cultures to add advantages to the education system in Cambodia and South Korea.

      • 다크투어리즘(Dark Tourism) 관광객의 선택속성과 방문동기가 관광지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 UN평화공원 및 기념관을 중심으로

        박상현 경성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 the tourism industry goes beyond the existing mass tourism to be diversified as alternative tourism, and a growing number of people very strongly want to fulfill objectives transcending personal desire and tourism instead of being preoccupied with enjoying sights and sounds during a tour. Of special purpose tourisms, dark tourism has recently emerged as a hot issue to be proactively studied. As terrorist acts and disasters frequently occur all over the world, dark tourism is focused on visiting related places in order to look back upon the memory with respect and affection. The study was initiated from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attributes of selection and motivation for visits by tourists to dark tourist destination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ourist destinations, and of various dark tourist destinations, UN Peace Park and United Nations Peace Memorial Hall that were selected as destinations of the study were used to honor the soul of war veterans who fought in the Korean War and display diverse exhibits in addition to graves and tombstones that can help further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e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attributes of selection and motivation for visits by tourists to UN Peace Park and UN Peace Memorial Hall have effect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and the intention of re-visitation to tourist destinations, it turned out that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signated hypothesis. Based on the study, it is hoped that more research on dark tourism will be facilitated and generalized in the future so that dark tourism can be proactively conducted.

      • 과학 영재 및 수학 영재의 영역 특수적 학문 적성에 대한 연구 : PISA 2006을 중심으로

        김성원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omain-specific academic aptitudes and science(mathematics)-related attitudes of scientifically and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e subject were the 7~8th grade scientifically and mathematically gifted who participated in gifted education program(science, mathematics) and the 7~8th grade general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test of reliability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domain-specific academic aptitudes and science(mathematics)-related attitudes using SPSS 17.0 for window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main-specific science aptitudes in terms of PISA 2006 of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main-specific mathematics aptitudes in terms of PISA 2006 of mathemat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main-specific science and mathematics aptitudes in terms of PISA 2006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metaleptically gifted student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ce(mathematics)-related attitude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hich were measured by Test of Science(Mathematics)-Related Attitudes(TOSRA/TOMRA, Fraser, 1981).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alloca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to their present gifted programs by using the conception of domain-specific academic aptitudes. As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one or two scientifically(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could be allocated the gifted program wrongly. In term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educational(administrational) implications for alternative allocation systems of gifted programs.

      • 초등영재 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과 리더십기술과의 관계

        최태진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skills in elementar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The 5th and 6th gifted students(n=80) enrolled in the Human & Social Gifted Education Center and general students located in the same area elementary school paticipated in this students(n=80).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leadership skill questionnair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Descriptive statistics, two-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ncrete purpose of study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were there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by giftedness and gender? Second, were there differences in leadership skills by giftedness and gender? Third, wa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skills by giftedness and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y giftedness, but not by gender and by interaction their gender.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eadership skills between giftedness and gender. Gifted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students on the leadership skills. Third,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skills. 급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점차로 복잡해지는 인간관계에 적응하지 못하는 현대인들이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사회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인간은 초등학교 입학으로 가정과 다른 ‘인간관계의 새로운 장’인 작은 사회에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인간관계를 통해서 영향을 주기도 받기도 하며 정신적으로 평안과 기쁨을 얻을 수도 불안과 상처를 받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인간은 누구나 복잡해지는 인간관계에 잘 적응하고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복잡해진 인간관계에서 적응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 Gardner(1983)는 지적 능력과 함께 정서지능을 지적하고 있다. Hatch(1990) 또한 정서지능은 지적 능력과 달리 자아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적용되기 때문에 정서지능이 높은 사람이 관계에 적응하고 관계를 유지·발전시키는 기술도 뛰어나 삶에 있어 성공의 토대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영재의 정서적 특성에 대하여 다른 학생에 비하여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정신건강이 양호하다는 연구결과(Terman, 1925)가 있다. 그러나 영재에 있어서 영재는 우월하고 무엇이든지 잘한다는 편견과 높은 기대가 특정 영역에만 국한된 재능을 가진 영재에게까지 모든 면에서 언제든지 우수하도록 압박감을 주기 때문에 그 결과 집단의 관계 속에 영재가 정서적인 어려움을 겪는다고 하였다(Freeman, 1985). 영재는 다른 학생에 비하여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문정화, 이승희, 1993), 사회 정서적 측면에서 완벽주의 성향, 실패에 대한 두려움, 예민성, 또래와의 대인관계 기술의 부족, 비현실적 기대나 지나친 자기비판과 같은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송수지, 2000). 영재의 정서적 특징에 대해 선행 연구를 종합하면, 영재는 정서에 대한 많은 정보가 있어 이러한 정보를 잘못 해석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도 있으며, 다른 사람의 기대나 감정에 매우 민감하여 다른 사람의 비판에 취약하고 성공과 인정에 대한 욕구도 높다. 정의감이 높고 이상주의적 성향이 있으며, 이것이 어린 연령에 발달하여 비현실적인 목표를 지향하여 이것이 욕구불만이 될 수도 있다. 영재는 내적 통제소재와 만족감이 일찍 발달하여 동년배와 어울리기 어렵기도 하고, 개인적 가치에 따라 행동하며, 자신과 타인에 대한 기대수준이 지나치게 높아, 이로 인한 불만으로 인해 대인관계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Clark, 2002). 최근 들어 인간이 인간관계에 적응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또 하나의 능력으로 리더십이 부각되고 있다. 현대사회는 인터넷의 발달로 홈페이지, 카페, 블로그 등을 통한 시공간을 초월한 의사소통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현대인들은 인간관계를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광범위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인간관계를 통해 많은 사람들의 집단 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집단 활동으로 인해 인간은 풍부하고 다양한 경험으로 삶을 윤택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은 다양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며 또한 집단 활동에 있어서도 집단에 무작정 끌려가는 활동이 아닌 자기 주도적인 집단 활동을 통해서도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에게 있어 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아동의 리더십 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한윤미, 2006). 이러한 사회적 관계 속에 자신의 행동을 타인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예측하는 정확한 사회적 조망 능력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능력은 리더십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리더십이 사회적 관계의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에게 행하는 영향력이기 때문이다(Bass, 1985; Sargent, 1950; Szilagyi & Wallance, 1987). 따라서 리더십은 사회성과 관련된 현 교육의 문제점들을 위해 절실히 요구되는 변인이라 할 수 있다. 리더십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리더십을 특정한 리더의 특성으로만 보기보다 Miller(1976)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들이 속한 집단 안에서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의사결정, 집단 활동 등에 발휘해야 하는 생활기술로 보았고 그러한 생활기술을 ‘리더십 생활기술’이라는 용어로 정의하였다. Goleman(1995)은 리더십의 개념을 사람들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설득하는 기술이라고 보았다. 특히 이러한 리더십에 있어 자신의 정서와 타인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 정서지능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정서지능을 ‘자신의 정서를 잘 인식하고 적절하게 조절할 줄 아는 능력과 공감 그리고 감정이입을 통하여 타인의 정서를 잘 인식하고 적절하게 조절하여 원만한 대인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그 중 관계 관리능력은 다른 사람과의 만남을 형성하고 그들을 움직이게 하는 영향력을 발휘하는 힘이 바로 리더십의 요체라 하였다(이주일, 민경환, 1996). 특히 정서지능은 교육으로 발달하며, 아동기의 정서지능 발달은 성인이 되었을 때의 리더십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도 하였다. 인간이 인간관계에 적응하고 삶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 Gardner(1983)는 지적능력과 정서지능을 들고 있었다. Boyatizis, Goleman과 Rhee(2000)는 정서지능을 자신을 잘 관리하고 타인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하도록 정서를 사용하는 역량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처럼 정서지능이 높은 사람은 대인관계에도 잘 적용되는 특성이며(Hatch, 1990), 정서지능이 높은 사람은 대인관계에 잘 적응하고 이를 유지, 발전시키는 기술이 뛰어나 성공지능인 인생의 토대를 닦을 수 있다. 특히 Goleman(2001b)은 정서지능의 정서적 역량 요소의 하나로 리더십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관계나 친구들과의 정서적 유대관계가 무시된 환경에서 공부에만 몰두하고, 과다한 자기 비판력과 완벽주의 성향은 영재 학생들의 정서적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한 차원의 지도가 필요하다. Hollingworth(1942)도 영재에게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하는데 있어 정서적 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진석언, 2003, 재인용). 미래의 지도자로서의 우리나라의 발전을 이끌 영재에게 영재성과 성에 따른 정서지능과 리더십기술의 차이와 영재에게 있어 정서지능과 리더십기술은 어떤 관계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미래에 리더가 될 일반아동들과 차별화된 영재를 위한 정서교육의 필요성 및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시 정서적인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 하고자 하였다.

      • 중학생의 영재성과 성에 따른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연구

        강정아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학생의 영재성과 성에 따른 행동특성 및 심리적 가정환경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영재성과 성에 따른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과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영재중학생은 일반중학생보다 자신의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조화’ 환경, 회복탄력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영재성에 따른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과 회복탄력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영재중학생은 행동특성의 ‘학습’·‘창의성’·‘동기’·‘리더십’ 특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조화’·‘관여’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일반중학생은 행동특성의 ‘학습’·‘동기’·‘리더십’ 특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조화’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영재성에 따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특성 및 심리적 가정환경을 분석한 결과, 영재중학생은 행동특성의 ‘동기’·‘창의성’·‘리더십’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조화’ 환경(통합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창의성’·‘동기’·‘학습’ 특성이 높을수록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회복탄력성을 보였다. ‘동기’·‘창의성’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조화’ 환경(통합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타인의 정서를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원인분석력’ 회복탄력성은 ‘동기’·‘학습’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일반중학생은 ‘창의성’·‘리더십’ 특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고, ‘학습’·‘창의성’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관여’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는 회복탄력성은 ‘리더십’ 특성이 높고 ‘창의성’ 특성이 낮을수록, 그리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일반중학생의 ‘원인분석력’ 회복탄력성은 ‘학습’·‘동기’ 특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창의성’ 특성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성에 따른 행동특성 및 심리적 가정환경이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창의성’·‘리더십’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관여’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창의성’·‘리더십’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관여’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회복탄력성을 보였다. ‘리더십’ 특성이 높고 ‘창의성’ 특성이 낮을수록, 그리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타인의 정서를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원인분석력’ 회복탄력성은 ‘동기’·‘학습’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은 ‘창의성’·‘동기’·‘학습’ 특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고, ‘리더십’·‘창의성’·‘동기’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지지’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는 회복탄력성은 ‘리더십’ 특성이 높고, 심리적 가정환경의 ‘관여’ 환경을 높게 지각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여학생의 ‘원인분석력’ 회복탄력성은 ‘학습’·‘동기’ 특성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영재성과 성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긍정적인 행동특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긍정적인 심리적 가정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핵심 용어 : 영재성, 행동특성, 심리적 가정환경, 회복탄력성

      • 예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이신영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예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인 대학교 어학당 중급 과정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 교육’의 수업 모형을 설계 및 실행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모두 74명으로, ‘실험 집단’은 현재 충남 N 대학교와 전북 G 대학교 어학당에서 학습하고 있는 38명이며, ‘통제 집단’은 모두 N 대학에서 학습하고 있는 36명이었다. ‘실험 집단’에게는 ZOOM을 활용한 6차시 수업을 2021년 9월 28일부터 2022년 1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반면 ‘통제 집단’에게는 별도의 처치를 시행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 교수·학습 모형 및 텍스트 평가를 위한 ‘평가 기준’과 그 근거를 마련하였다. 아울러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교육 요구도 분석’을 실행하여 산출된 우선순위 항목을 반영하였고, 한국어 학습자라는 특수성을 고려한 ‘특성화, 단계화, 세분화’라는 세 가지 전략을 반영하여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 수업 모형’을 최종적으로 마련하였다. 실제 수업은 기초과정과 심화 과정 등 2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기초 과정’에서는 ‘논증 구조’ ‘논증 도식’, ‘논증 표지’, ‘단락 전개’와 ‘글의 구성’으로 활동지를 활용한 연습 위주로 진행되었다. 다음으로 ‘심화 과정’에서는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비교하기, ‘고쳐쓰기’, ‘TOPIK 쓰기 54번’ 유형의 ‘실전 쓰기’로 마무리하였다. 수업 후 사전·사후 텍스트의 평가를 통한 결과로는 ‘실험 집단’의 한국어 학습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지만, ‘통제 집단’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실험 집단’의 사후 텍스트에 나타난 변화라면, 3급 한국어 학습자는 ‘주장의 선명성’과 ‘근거의 객관성’이 개선되고 ‘논증 도식’과 ‘논증 표지’의 사용 빈도수가 늘어났다. 4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사후 텍스트에서는 ‘주장의 일관성’과 ‘강도’가 분명해지고 ‘대안’의 제시가 가시적으로 늘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인식 차이를 알아본 사전·사후 설문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실험 집단’은 ‘초고쓰기’와 ‘수정하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계획하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반면 ‘통제 집단’에서는 모든 범주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 학습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3급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에는 기초적인 ‘논증 도식’과 ‘논증 표지’ 학습을 집중적으로 교수할 필요가 있다. 반면 4급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글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과 ‘결론’ 부분에서 자신의 주장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보완적인 학습이 더욱 필요하다. A ke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implement, and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 class model for the teaching of Korean argumentative writing to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for pre-study at university language institutes. This study involved 74 Vietnamese Korean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currently consisted of 38 students from the language institutes of Chungnam N University and Jeonbuk G University,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36 students from N Univers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ixth class was conducted using ZOOM between September 28, 2021 and January 10, 2022, whereas in the control group, no action was taken. This study evaluated models and text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argumentative writing using evaluation standards and the basis. This study also conducted a Educational Needs Analysis for Korean learners and reflected the priorities resulting from it. This study was aimed at establishing a class model for argumentative writing in Korean that reflects the three strategies of ‘characterization, phasing, and subdivision’ with respect to Korean learners. The actual class was divided into two stages: the basic course and the advanced course. Worksheets were used to practice Argument Structure, Argument Schematic, Argument Cover, Paragraph Development and Text Structure in the basic course. In the advanced course, practical writing included Comparison using colleague feedback, Correction writing, and 54 questions of TOPIK wri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xt evaluations, it was found that all Korean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whereas all Korean learner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A change in the text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 clarity of assertion and the objectivity of evidence, and increased the frequency of the use of the argumentation schema and argument marker among third-grade Korean students. In Korean learners level 4 texts, the concept of coherence of assertion and strength became apparent, and an increase in the use of alternatives was evident. Further, the findings of the pre- and post-survey surveys on thedifferences in writing perception of Korean learner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Writing a draft and Revising, but not in Planning.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across all categories. Taking into account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the teaching of basic arguments and argument markers to level 3 Korean learners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needs to be taught to level 4 Korean learners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writing and how to express their arguments well in the conclusion section.

      • 항공사의 브랜드개성-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충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주아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on Brand Personality of airline, to grasp the relationships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airline and Self-Image Congruity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n Loyalty and Behavioral Intention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Airline and Self-Image Congruity. For the study, the case of Korean Air of Full Service Carrier and the case of Air Busan of Low Fare Carrier were appli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ctors on Brand Personality of Korean Air showed that four dimensions such as ‘Sophistication’, ‘Sincerity’, ‘Progressive’, ‘Confidence’ and factors on Brand Personality of Air Busan showed that three dimensions such as ‘Sincerity’, ‘Progressive’, ‘Confidence’. In addition, factors on Actual Self-Image showed that four dimensions such as ‘Sincerity’, ‘Progressive’, ‘Confidence’, ‘Famliarity’ and factors on the Ideal Self-Image showed that four dimensions such as Sincerity, Progressive, Confidence, Famliarity. Second, as factor analysis, Self-Image Congruity was measured by Absolute Difference Model(Sigry, 1982) to take the advantage which showed higher β-coefficient of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than other models because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showed different factors. Besides,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Actual Self-Image,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Ideal Self-Image was measured by two factors such as ‘Sincerity’ and ‘Progressive’ showed as same factors by factor analysis of this study. As the results, in the case of Korean Air, ‘Progressive’ factor showed relatively higher to both, and in the case of Air Busan, ‘Sincerity’ factor showed relatively higher to both. Third,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influence on Loyalty on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Airlines and Self-Image is as follow.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Korean Air and Actural Self-Image had no influence on Loyalty, Loyalty for Air Busan was increased as ‘Confidence’ factor was getting more consensus on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Air Busan and Actual Self-Image. And Loyalty for Korean Air was increased as ‘Confidence’ factor is getting more consensus on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Korean Air and Ideal Self-Image, also Loyalty for Air Busan was affected by ‘Confidence’ factor on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Korean Air and Ideal Self-Image. In summery, Loyalty of customer was different according to cognition of Brand Personality, Loyalty was affected by Ideal Self-Image in the case of customer of Korean Air, Loyalty was affected by both Actu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in the case of customer of Air Busan. Forth, Behavioral Intention on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Airlines and Self-Image is as follow.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Korean Air and Actual Self-Image had no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also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Air Busan and Actual Self-Image had no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was increased as ‘sincerity’ factor was getting more consensus with‘Confidence’factor, 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of Air Busan and Ideal Self-Image had no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In summery, customer of Korean Air and Air Busan didn't recognize well Actual Self-Image, customer of Korean Air had more positive influence than customer of Air Busan as there was getting higher Recognition of Brand Personality and Ideal Self-Image Congruity. By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re is to suggest strategic implications of Airline's marketing and efficient management method on Airline's customer through improving Brand Personality of Airline.

      • 한·중 명절 전통놀이 언어문화 비교 연구 -정월대보름과 원소절을 중심으로

        LI HONGZHOU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과 중국은 전통 명절놀이에 있어서 같은 뿌리를 두고 있다. 중국 유교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국과 비슷한 전통 놀이 문화를 갖고 있다. 시대의 편리함에 따라 과거 중국에서 전해졌던 전통놀이가 조금씩 바뀌었고, 잊히진 놀이도 있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명절이 대표되는 전통놀이가 연차휴일을 맞아 여전히 행해지고 있었다. 나는 몇 년 동안 한국에 살면서 전통 놀이를 보아 왔기 때문에 중국 전통 명절놀이를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전통 놀이 문화의 경험은 국가의 이해에 반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전통 풍습 문화에 대한 이해가 국가간의 문화 교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에 이 연구를 수행했다. 한국과 중국의 정월대보름에서 전해지는 놀이 언어문화에 대한 비교연구가 있다. 이러한 전형적인 연극은 농업 생산 개발 과정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한국이든 중국이든 정월대보름에서 열리는 전통놀이는 비교적 웅장하고 붐비며 축제다. 대표적인 전통놀이로 국가무형문화유산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두 나라의 전통놀이의 언어적, 문화적 특성을 비교한다면, 연극의 유사성과 차이점 때문에 상호의존적이기 때문에 어느 한쪽을 놓쳐서는 안 된다. 韩国和中国在传统节日游戏方面有着相同的根基。 受中国儒教文化的影响,中国有着与中国相似的传统游戏文化。 随着时代的便利,过去在中国流传的传统游戏也发生了一些变化,有些游戏被遗忘。 但是在韩国,以节日为代表的传统游戏在年休假日仍然在进行。 我在韩国生活了几年,一直看传统游戏,所以有了比较和分析中国传统节日游戏的机会。 传统游戏文化的经验是违背国家的利益的。 因此,我们对传统风俗文化的了解对了解国家之间的文化交流至关重要,因此我们进行了这项研究。 对韩国和中国元宵节流传的游戏语言文化的比较研究。 这些典型剧目在农业生产开发过程中影响深远,占有重要位置。 无论是韩国还是中国,元宵节期间举行的传统游戏都比较雄壮,比较热闹,也是一次盛会。 作为代表性的传统游戏,还被评为国家非物质文化遗产。 最后,比较两国传统游戏的语言和文化特点,因为戏剧的相似性和差异性,相互依存,不能错过任何一方。

      • 한·중 단오 풍속문화 연구 비교

        YU WENPING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Korea and China have a close relationship in history, and there are many cultural exchanges, more and more people begin to pay attention to the cultural comparison and research between Korea and China. Festival culture, as a dominant national culture, affects everyone all the time. It contains a nation's spiritual integrity, historical legends, eating customs and humanistic customs, and is a rich national wealth. Korea and China are closely related both in history and geography, and both Korea and China attach great importance to festival culture. Although there are many similarities in festival culture and customs between the two countries, festival cultures of different nationalities also have different personalities and charms. Similar cultural customs map, infect and influence each other with neighboring national cultures. Korean festival culture mostly comes from ancient China, and Korean festival culture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circle embodies ancient Chinese cultural customs everywhere. They blend and develop with each other, and finally form their own characteristics. As a Chinese student,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Dano between Korea and China, including the main customs, the characteristics of festivals, and comprehensively combs and analyzes the eating customs and telecontrol customs of the Dano,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festival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and explores the reasons for their formation. The Dano in South Korea and China was formed in ancient society and passed down for a long time. The Dano in the two countries not only has many similarities, but also has their own unique customs. Therefore, this paper compares the two countries in various aspects of the Dano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Dano. First of all, this paper mainly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Dano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Dano in South Korea is mainly based on the sacrificial of Kangnung Dano, with the sacrificial activities as the core. The sacrificial activities are people-centered and attach importance to the agricultural harvest, bearing beautiful blessings and expectations. The Dano in China is also one of the oldest traditional festivals, which mainly commemorates Qu Yuan, and different national cultures have different artificial color elements. The Dano in China also focuses on sacrifice, which is mainly centered on the idea of exorcising evil spirits, blessing peace and praying for health, peace and harmony. Then, through reading a large number of previous papers, specific cultural customs are described. After that, I mainly wrote about the customs and culture of Dano, and described it concretely through games, food and sacrifice. Traditional folk games were inherited by Korean people after years of accumulation and were deeply loved by the public. Korean ancestors reduced and eliminated the fatigue caused by farm work by playing games, which mainly described wrestling customs, swing customs and so on. The interesting custom of Korean men on Dano is wrestling. The main game custom of women is to swing. Through the game customs and culture, we can understand the seasonal customs of Korean people and feel their spirit of cooperation and local conditions and customs. Chinese traditional game customs are mainly dragon boat racing, archery, etc. Dragon boat racing is a traditional custom in China for more than 2,000 years, and the origin of dragon boat racing is widely celebrated in memory of Qu Yuan, a patriotic poet of Chu State. It mainly reflects the spirit of patriotism and collectivism in people's hearts. The traditional Korean festivals have rich cultural contents and inherit the protection of traditional festivals. The main food customs and cultures are Surichwi rice cake, Jeho-tang and so on. They are all representative foods. The most representative Dano delicacies in China are zongzi and realgar wine. Traditional cultures such as eating zongzi and drinking realgar wine are mainly inherited, carried forward and commemorated as a traditional festival of the Chinese n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study the custom and culture of Dano sacrifice, because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many areas used to keep the custom of Dano, but now few people remember and inherit it. By reading various articles, we can see that Kangung area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Dano. Sacrifice ceremony is tedious and complete, and it is also one of the traditional festivals and customs in Korea. In 1967, it was designated as the activity of Korea No.13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sides holding various sacrificial ceremonies, there are also many interesting activities organized. Korean Dano has the custom of picking calamus, which can be used by men, women and children. China is also a country that combines custom culture with mass culture, and it has also got a continuation of inherited culture. Like Korea, calamus is used in China, which can prevent viruses and kill bacteria in addition to ward off evil spirits. Finally, I mainly write ab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stoms and cultures, and understand the commonness of customs and cultu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time figures and common customs and cultures. On the contrary, I analyze the differences of customs and cultur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the differences in diet, games and sacrifices. Through understanding and analysis, we can see that the time of the two countries is the same, both of them are mainly sacrificing peopl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ain sacrifice is the same. There are elements of wormwood and calamus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have the same function and have the meaning of exorcising evil spirits and praying. Generally speaking, the commemoration of Dano in Korea and China has the same meaning, which is to ward off evil spirits and pray for peace. However, from the study of diet and other aspects, the customs and cultures of diet, games and sacrifice are differ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the above research contents, this thesis is completed, hoping to promote the cultural exchange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improve the cultural resources of great value to traditional festivals and jointly protect the festiv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