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수/보강 효과를 고려한 철근콘크리트교량의 내진응답해석

        조규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15

        Basic idea with regard to repair/retrofitting is related to over-strengthening. However, capacity design concept adopted in modern seismic design specifications enables a seismic response of a structure to be properly controlled in terms of an assumed failure mode for a particular member of the structure. Subsequently, overall seismic response of the structure depends mainly on the strength, stiffness and displacement capacity of the particular member. However, local over-strengthening due to repair/retrofitting may yield a stiffness irregularity and thus may prejudice the stability assessment of a whole structure. This implies that the effects of repair/retrofitting on both members and a whole structure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Accordingly, an analytical scheme directly reflecting such effects needs to be developed for the reliable evaluation of load-carrying capacities of members. In turn, the analytical scheme has to include the analysis performing with increased characteristics due to repair/retrofitting while degraded strength and stiffness of members or structures are kept as they are. In line of the above, comparative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a reinforced concrete bridge being repaired has been carried out using the time-dependent element developed by the Lee and Jeon. This time-dependent element having both birth and death time can freely be activated(or deactivated) within the user-defined time intervals of interests during static and dynamic time-history analysis. This allows increased characteristics due to repair/retrofi tting to be directly reflected in the response of a structure and thus realistic physical behavior of the structure can be obtained. Comparative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r reinforced concrete piers being repaired with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For this purpose, simplified CFRP stress-strain model is developed. The comparative study shows that the analytical predictions incorporating the new developments give a reasonably good correlation with experimental results, although the analytical predictions slightly overestimate energy dissipation in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However, much better agreement is expected when detailed properties of materials used for repairing be come available. Inelastic time-history analyses are also carried out for a reinforced concrete bridge structure being virtually repaired with steel jacketing and CFRP, subjected to multiple earthquakes. Response evaluation has been achieved in terms of hysteresis loops, strains and comparison between shear capacity and demand. The evaluation reveals that the effect of repair on a particular member may affect on the response of a whole structure. In all, the present development allows the increased characteristics due to repair and retrofitting to be realistically reflected on the response of members, particularly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and thus is expected to give feasible information with regard to the seismic upgrading and overall earthquake response assessment. 최근의 내진설계기준에서 사용되는 성능설계개념의 도입으로 특정부재에 대한 손상모드를 가정하여 구조물의 전반적인 내진응답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성능설계개념을 적용한 구조물의 내진응답은, 특정 부재의 강도, 강성 및 변형 능력에 크게 좌우된다. 그러므로 특정부재의 보수/보강에 의한 국부적인 초과강도는 전체 구조계의 강성 불규칙을 유발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전체 구조시스템의 안정성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보강에 따른 국부적인 특성변화에 관한 효과와 함께, 전체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또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시간종속요소(이도형과 전정문,2006)를 사용하여 철근콘크리트교량의 보수/보강 전 및 후의 내진응답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작시간과 끝시간을 갖는 비탄성 시간종속요소는, 정적 및 동적시간이력해석의 경우, 원하는 시간간격 내에서 자유롭게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시킴으로써, 이전하중에 의해 저하된 강도 및 강성의 상태에 보수 및 보강에 의한 강도와 강성의 증가분이 더해짐으로써 부재의 하중수행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다.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재료의 응력-변형률 관계식을 단순화된 해석적 모델로 개발하여 CFRP로 보수된 교각의 해석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비교해석결과, 개발된 CFRP 재료모델과 시간종속요소를 이용한 보수 전 및 후의 해석결과는 실험결과와 비교적 만족할만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만 에너지 소산능력에 있어서 해석결과가 실험결과보다 과대평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보수에 사용된 재료의 다양한 물성치가 주어질 경우에, 해석결과는 실험결과와 더욱 좋은 상관관계를 보여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강판피복과 CFRP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보수한 철근콘크리트 교량에 연속지진하중을 작용시킨 동적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비교해석에 대한 검토결과, 특정부재에 대한 보수의 효과는, 특정부재에 대한 효과와 함께 구조물 전체의 응답거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해석모델 및 기법의 이용은 보수/보강 후의 구조물, 특히 철근콘크리트교량 교각의 지진하중에 대한 수행능력 산정 및 성능개선에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구조물의 전반적인 지진 안정성 검토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유체-구조 연성을 고려한 방추형 동맥류 혈관 구조 분석

        이우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동맥류(Aneurysm) 연구로는 여러 환자들의 표본 연구가 주류이며,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자기공명혈관조영술(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통해 전단응력(wall shear stress, WSS)과 같은 유동 정보를 추출하거나, 전산 유체 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 CFD)을 활용하여 상세 내부 혈관 유동장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본 유체-구조 연성해석 연구에서는 방추형 동맥류 형상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팽창도(bulk ratio, , 비대칭도(asymmetry ratio, ), 가변 두께 함수(variable thickness function, )를 사용하여 임의의 혈관 형상에 대해 내부 유동을 해석하였다. 팽창도가 증가할수록 변형의 경우 가 2일 때를 기준으로 2.5일 때 2.41배, 3일 때 4.13배 등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그에 비해 본-미제스 응력과 최대 주응력은 가 2일 때를 기준으로 2.5일 때 약 1.4배, 3일 때 1.78배 등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비대칭도의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가변 두께 함수의 경우 두께가 mm에서 mm로 감소하는 것에 반비례하여 변형의 경우 약 2.5배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고, 본-미제스 응력과 최대 주응력이 약 3.5배 등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들은 위험성 있는 동맥류들을 분류하는데 중요한 기초 지표가 될 수 있고, 이는 동맥류 파열 예방과 치료에 있어 큰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백내장 환자의 시력의 질과 시기능 평가를 위한 설문지 연구

        고은진 인제대학교 석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백내장 관련 시각기능 평가 설문지(Cataract related Visual Function Questionnaire, CVF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방법: 한국판 백내장 설문지를 개발하여 2022년 3월부터 6월까지 백내장 환자 141안에 시행하고 구성타당도, 기준타당도, 내적일관성,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3요인 누적 분산 비율 77.8%, 술전 설문지 총점과 최대교정시력, 수술전후 설문지 총점과 최대교정시력의 차이의 Spearman 상관분석 p 값 각각 0.006, 0.004, 내적일치도 Cronbach’s alpha 0.9 이상, 항목별 검사-재검도 신뢰도 p 값 0.05 미만으로 유의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이 도구가 대한민국 백내장 환자의 시력의 질과 시기능을 측정하는데 유용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ataract related Visual Function Questionnaire (CVFQ). Methods: A p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022 to June 2022 with 141 cataract patients. The questionnaire was created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advice of expert panel. This study determined the construct validity, criterion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The CVFQ consisted of 15 items in 5 categories including overall visual quality, overall visual function, distance vision, near vision, and glare. I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the first three principal factors explained 77.8% of the variation. The p-values by the Spearman correlation tes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total score of CVFQ and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ere 0.006 and 0.004, respectively. In the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 α was over 0.9 for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all the p-values of each subcategory were significant in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is instrument is useful for measuring the visual quality and visual function of cataract patients in Korea.

      • 천연갱신과 인공조림된 금강소나무 임분의 초기 생장특성

        나성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above- and below-ground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height, diameter at root collar (DRC), and the dry weights of stem, branches, needles, and roots(number, length, weights, and volumes), between naturally regenerated and planted stand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in Dae-gi and Bo-gwang areas, Gangwon province, Republic of Korea. 1. Average height of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s was significantly greater (P < 0.01) than that of planted stands, 146.2cm and 83.9cm in Dae-gi area, 199.0cm and 93.1cm in Bo-gwang area, respectively. 2. Average DRC growth was similar between the naturally regenerated and the planted stands in Dae-gi area, 2.55cm and 2.52cm, respectively. Howev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P < 0.01) between the naturally regenerated and the planted stands in Bo-gwang area, 4.66cm and 2.61cm, respectively. 3.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dry weights for each part of measured trees was the highest in the stem in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s, but in the planted stands, the needle was the highest. The ratios of the below- to above-ground biomass in the Dae-gi and Bo-gwang areas in the planted stands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s, 0.25-0.30 and 0.17-0.18, respectively. 4. The central roots in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s showed a straight and well developed shape with a central root more than 50cm in soil core. However, the central roots in the planted stand showed poor growth, and the spiraling roots were irregularly developed. 5. All root characteristics (numbers, length, weights, and volumes) were much better in the planted stand than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 at the soil depth of 0~10cm. But, those characteristics were superior in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 than the planted stand beyond the soil depth of 10cm. The root development of the planted stands at the soil depth of over 30 cm was much worse. 6. The root development at a horizontal level was much better in the planted stand than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 at 0~20cm, but at a horizontal level of over 20cm, the naturally regenerated stand showed better growth. 7. In both areas, it showed high correlations among the above-ground characteristics (stem, branches, needles and total above-ground dry weights) except height, and also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among the below-ground characteristics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roots, and total root weight and volume) except the number and length of the roots. 8. The diameter at root collar (DRC) was highly correlated with most of the above-ground characteristics in both regions and stands and also it was highly correlated with all below-ground characteristics except the number of roots and total lengt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resent that the natural and artificial regeneration methods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above-ground growth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and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the roots by soil depth in the below-ground of P. densiflora for. erecta. This results not only provide a correct planting method, but also will be useful in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the trees through the long-term monitoring for each growth stage. 본 연구는 천연갱신과 인공조림에 의해 성립된 금강소나무 임분의 초기생장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대기와 보광지역에서 천연갱신된 임분과 인공조림된 임분을 대상으로 지상부에 대하여 수고와 직경생장량 및 각 부위 별 (줄기, 가지, 침엽, 뿌리) 건중량과 구성비를 비교하고, 지하부에 대하여 각 토양 층위에 분포하는 뿌리수, 길이, 무게, 재적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목의 평균 수고는 두 지역 모두 천연갱신 임분(대기지역:146.2cm, 보광지역:199.0cm)이 인공조림 임분(대기지역:83.9cm, 보광지역:93.1cm)보다 그 값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test 결과 두 임분 간에 1%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2. 조사목의 평균 근원경은 대기지역에서는 두 임분이 유사한 값(천연갱신 임분:2.55cm, 인공조림 임분:2.52)을 나타내었지만, 보광지역에서는 천연갱신 임분(4.66cm)이 인공조림 임분(2.61cm)에 비하여 그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T-test 결과 두 임분 간에 1%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3. 각 부위별(줄기, 가지, 침엽, 뿌리) 지상부와 지하부의 구성비에서 대기와 보광지역 모두 천연갱신 임분에서는 줄기의 구성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인공조림 임분에서는 침엽의 구성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뿌리대 지상부 건중량비는 대기와 보광지역 모두 인공조림 임분(0.25~0.30)이 천연갱신 임분(0.17~0.18)보다 그 값이 매우 높게 나타내었다. 4. 전체 뿌리의 발달 형태는 두 지역 모두 천연갱신 임분에서는 모든 조사목에서 수직 중심뿌리가 토양 50cm 깊이까지 곧게 잘 발달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인공조림 임분에서는 수직 중심뿌리의 발달이 상당히 저해되고 나선형 뿌리가 불규칙하게 굽어서 자라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5. 토양의 수직별 뿌리의 분포에서 뿌리의 수와 길이, 무게, 재적은 두 지역 모두 토양 깊이 0~10cm 층위에서 인공조림 임분이 천연갱신 임분보다 매우 높은 뿌리분포를 나타내었지만, 토양 깊이 10cm 이후에서는 천연갱신 임분이 더 높은 뿌리분포를 나타내었다. 두 지역 모두 토양 깊이 30cm 이후에서는 인공조림 임분의 뿌리발달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6. 토양의 수평별 뿌리분포에서 뿌리의 수와 길이, 무게, 재적은 두 지역 모두 토양 층위 0~20cm까지는 인공조림 임분이 천연갱신 임분보다 높은 뿌리분포를 나타내었지만, 그 이후의 토양 층위에서는 천연갱신 임분이 더 높은 뿌리분포를 나타내었다. 7. 지상부와 지하부의 상관관계에서 두 지역 모두 수고를 제외한 지상부의 인자(줄기, 가지, 잎, 지상부 전체 건중량)에 대하여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지하부 상관에서도 뿌리의 수와 길이를 제외한 모든 인자(수직과 수평, 전체 뿌리무게와 재적)들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8. 일반적으로 측정이 용이한 근원경(DRC)에 대한 지상부와 지하부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두 지역과 임분 모두 지상부에 대하여 대부분 인자들이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지하부 상관에서도 뿌리의 수와 전체 길이를 제외한 모든 인자들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천연갱신과 인공조림의 성립방법에 따라 금강소나무의 생장은 지상부의 생장량과 지하부의 형태적 발달 및 토심별 분포 차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인공조림 시 요구되는 올바른 조림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생장단계별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수목의 환경적응성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맹종죽, 왕대, 솜대 죽순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김혜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Edible bamboos grow naturally in South-east Asia, and China is the country of origin. To verify the bioactivity of bamboo shoot, which is a natural ingredient, we’ve selected Phyllostachys pubescens, Phyllostachys bambusoides and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Also, we’ve studied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citotoxic, and antibacterial vitality by acetone extract dividing the bamboo sheath, which is discarded, and the bamboo shoot part, which is eaten. Bioactivity was estimated by electron donating activity,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in various antacid experiments, and Nitrite erasure vitality was used for an anti-inflammatory experiment. The survival rate of mouse macrophage cells(Raw 264.7) was estimated for citotoxicity, and antibacterial vitality was verified by the homogeneity of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Sto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and Candida albicans KTCT 7965. The result of electron donating of three kinds of extract of bamboo sheath and shoot, performed on 500μg/mL of Phyllostachys pubescens, the extract of bamboo sheath shows 50% and shoot shows 26% of electron donating, Phyllostachys bambusoides shows 42% and 24%, respectively. In the case of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the results show respectively 44% and 35% of electron donating from 500μg/mL of extract. Bioactive results of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Phyllostachys pubescens sheath extract showed 82% of bioactive from 500μg/mL, whereas the shoot had 54%. Extract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showed 89% and 70% of bioactiv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the results showed 82% and 91% bioactive, respectively, from 500μg/mL. Thus, we see three types of bamboo sheaths and shoots have lower bioactivity than BHA, which has a high antioxidant effect, but this antioxidant effect is a natural ingredient. In an experiment of Nitrite erasure to estimate anti- inflammatory vitality, Phyllostachys pubescens’ bamboo sheath and shoot showed 46% and 30% of vitality from 500μg/mL of extract. Phyllostachys bambusoides had 42%and 42% of vitality respectively, and black bamboo had 43% and 34% respectively, while all three kinds of shoots had inadequate anti-inflammatory vitality. When estimated, the electron donating by graduation from ethyl acetate, bamboo sheath and shoot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showed each 67% and 32% of graduation. In case of ABTS+, Phyllostachys bambusoides showed 59% and 29%, respectively, of graduation vitality. Bamboo sheath vitality was higher than the shoot, but it was lower than BHA, a strong antioxidant. MTT assay showed 10% of cells die after 24 hours in case of ethyl acetate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bamboo sheath and shoot. Ethyl acetate extract from bamboo shoot showed 10% cell extinction after 12 hours, and 15% cell extinction after 24 hours. Setting a greater than 80% of survival rate as standard, it seems both Phyllostachys bambusoides acetone extract and ethyl acetate graduate has no cytotoxicity. Bamboo sheath and shoot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had no antimicrobial activity in 0.5%, 1%, and 2% of concentration from antimicrobial activity experiments to estimate antibacterial vitality. This result requires additional research. We have identified that three types of bamboo sheath and shoots do not have high vitality in antioxidant effect, but have an effec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Since the vitality of the sheath is better than the bamboo shoot, we can reuse the discarded bamboo sheath effectively as industrialized material. Also, since the ingredients are natural, we hav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bamboo shoots as non-toxic components in food and cosmetics.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대나무는 중국이 원산지로 동남아시아에 주로 자생한다. 천연소재인 죽순의 생리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맹종죽, 왕대 그리고 솜대 세가지 수종을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버려지는 죽피부와 식용하는 죽순부로 나누어 아세톤 추출물로 항산화, 항염증, 세포독성, 항균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생리활성은 다양한 항산화실험 중에서 전자공여능,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활성을 측정하였고, 항염증실험은 아질산염(Nitrite)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은 mouse macrophage cell(Raw 264.7)의 생존율을 측정하였고,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Sto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그리고 Candida albicans KTCT 7965의 균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세 종류의 공시수종에 대하여 죽피부와 죽순부의 추출물로 항산화활성 측정을 위한 전자공여능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맹종죽 죽피부 추출물의 경우 500μg/mL 일 때 5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고 맹종죽 죽순부의 추출물은 26%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왕대 죽피부와 왕대 죽순부의 추출물은 500μg/mL일때 각각 42%, 24%를 나타내었다. 솜대 죽피부와 솜대 죽순부의 추출물의 경우 500μg/mL에서 각각 44%와 35%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 측정 결과 맹종죽의 죽피부 추출물은 500μg/mL에서 82%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맹종죽 죽순부 추출물의 경우 54%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왕대 죽피부와 왕대 죽순부의 추출물은 각각 500μg/mL에서 89%, 70%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솜대 죽피부와 솜대 죽순부의 경우 500μg/mL에서 각각 82%와 91%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세 종류 죽순의 죽피부와 죽순부는 항산화 효과가 높은 BHA에 비해 활성이 비교적 높지 않았으나 천연소재로써는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항염증 활성 측정을 위한 Nitrite 소거능 실험의 경우 맹종죽 죽피부 추출물은 500μg/mL일때 46%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맹종죽 죽순부는 30%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왕대 죽피부와 왕대 죽순부 추출물은 500μg/mL일때 각각 42%, 42%의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솜대 죽피부와 솜대 죽순부 추출물의 경우 500μg/mL일때 43%와 34%를 나타내어 세 종류 죽순 모두 항염증 활성이 미비하게 나타났다. 에틸아세테이트로 2차 추출한 추출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을 때 왕대 죽피부 2차 추출물의 경우 500μg/mL에서 67%, 왕대 죽순부 2차 추출물은 32%를 나타내었다. ABTS+의 경우 왕대 죽피부 2차 추출물은 500μg/mL에서 59%의 활력을 나타내었으며, 죽순부 2차 추출물은 29%의 활력을 나타내었다. 죽순부에 비해 죽피부의 활성이 더 높았으나, 강력한 항산화제인 BHA에 비해 활성이 낮은 편이었다. MTT 세포독성 실험결과, 왕대 죽피부와 죽순부 추출물과 죽피부의 에틸아세테이트 2차 추출물의 경우 24시간 이상이 경과하여야 10% 내외의 세포가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죽순부 에틸아세테이트 2차 추출물의 경우 12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10% 내외의 세포가 사멸하였고, 24시간 이상 경과하였을 경우에 15% 내외의 세포가 사멸하였다. 이는 80% 이상의 생존률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왕대 죽피부와 죽순부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죽피부와 죽순부 2차 추출물 모두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생육저해환(Clear zone)측정 실험 결과, 왕대 죽피부와 죽순부 추출물과 2차 추출물은 모두 0.5%, 1%, 2%의 농도에서 생육저해환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추가적으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세 종류 죽순의 죽피부와 죽순부는 항산화 효과에서 활성이 크게 높지는 않았지만,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죽순부에 비해 죽피부의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버려지고 있는 죽피부를 수거하여 재활용한다면 산업화의 원료로써 더욱 효율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천연물의 이용적인 측면에서 죽순이 갖는 세포 무독성적인 성분을 이용한 식품과 화장품 등 산업적인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 일자리 사업 활성화 방안 : 충청북도 괴산군을 중심으로

        서미숙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harp increase in aging population causes various problems such as poverty, disease, role less, leisure problem, psychosocial alienation, isolation and family support. Hence, this paper has focused on effective job creation projects that could solve the old-age poverty problem. In particular,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in Goesan-gun, an agricultural district, has been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factors that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the project has been promoted depending on a local government’s will, project plan, related laws, supporting system, labor and budget. According to an analysis on previous papers, furtherm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was successful when there was an inter-complementary governance system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enterprise. Therefore, this paper has predicted the jobs that could be created when a job network for the elderly is completed under the inter-complementary governance system in Goesan-gu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possible to reprocess and package the agricultural products of Goesan-gun and sell them to other areas. Furthermore, a proper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raining and education on the reprocessing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The trainees should be able to get the necessary training and education free of charge, attain economic independence and ultimately get a job. Second, a local government should play a leading role in boosting local economy by attracting enterprises, which implicitly means the facilitation of a job creation project network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governance mentioned above. Recently, Goesan-gun has achieved local development and effectively created jobs for the elderly through the success of a pickled cabbage processing project. Third, it is necessary to recruit more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have them keep visiting companies to correct their distorted view on the aged people. Then, the seriousness of elderly unemployment as well as youth unemployment should be informed to the public. Fourth, government organizations such as eup/myeon/gun-offices, elderly labor management centers, social welfare centers and enterprise-centered employment brokers should advertise the jobs for the elderly while government organizations should focus on job consultation. Fifth, senior citizens should make their best efforts to get a job. They can visit Goesan-gun office and acquire useful information or organize a close job search network with the district office and related organizations. If roles are systematically allocated as mentioned above, Goesan-gun could develop further with a more activ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고령화에 따른 노인인구의 급증은 빈곤문제, 질병문제, 역할상실과 여가문제, 심리사회적 소외와 고립문제, 부양문제 등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효과적인 일자리 사업은 노인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그 가운데 농지가 대부분인 괴산군의 노인 일자리 사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했다. 그에 앞서 노인 일자리 사업의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자치단체의 사업발굴의지와 사업콘텐츠 기획, 근거법규 마련과 지원체계상의 조직, 인력, 예산 등에 따라 적극적인 일자리 사업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 논문을 검토 분석한 결과 정부와 민간기업의 상호 보완이 가능한 거버넌스 체계가 이루어졌을 때 성공적인 노인 일자리 사업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괴산군 내에 거버넌스 체계로 노인 일자리 네트워크가 완성되었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토대로, 관련 일자리가 무엇인지 까지 예측해 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농지가 대다수인 괴산군의 지역 환경에 따라 농산물을 재가공하고 포장하여 다른 지역에 판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는 농산물 재가공에 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직업학교를 마련, 원조 사업을 실시한다. 훈련참여자에게 수업료와 교제비 등의 면제는 물론 고용보험비급으로 경제적 자립을 보장하고 나아가 관련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자치단체가 기업 유치에 앞장서 지역 경제를 발전시켜야 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거버넌스에 입각한 노인 일자리 사업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뜻한다. 현재 괴산군에 유치된 절임배추가공사업의 성공을 통해 괴산군의 지역발전은 물론 효과적인 노인 일자리 사업이 이루어졌음을 엿볼 수 있다. 셋째, 행정 직원 수를 충원하고 그들이 지속적으로 기업을 방문, 노인인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 그로 인해 청년실업 못지않게 노인실업의 심각성을 지역전반에 인식시켜야 한다. 넷째 노인일자리에 대한 홍보는 읍·면사무소나 군청 등 정부기관, 노인인력관리 센터, 사회복지기관, 기업중심 민간취업 알선기관 등에서 앞장서야 하고 취업상담은 정부기관에서 담당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 째, 노인 역시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아나서야 한다. 괴산군청을 지속적으로 방문하여 정보를 취합한다거나 노인 스스로 민간단체를 만들고 군청 및 관련 기관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조성할 수 있다. 이처럼 각자의 자리에서 역할분담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괴산군의 발전과 함께 노인 일자리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 시비처리에 따른 편백나무와 소나무의 내건성 반응특성 연구

        박진화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편백나무와 소나무 2-0 용기묘를 대상으로 시비처리에 따른 생장변화와 시비처리 후 단수처리에 따른 내건성 측정을 통해 내건성 증진을 위한 적정시비 방안을 수립하여 건강한 묘목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비처리는 MultiFeed 20(N:P:K=20:20:20)을 사용하여 2015년 3월부터 8월까지 주 1회, 총 24회 실시하였고 시비처리에 따른 생장특성과 묘목품질지수, 엽록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단수처리는 시비가 끝난 9월부터 11월 둘째 주까지, 10주 동안 실시하여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형태적 변화와 아브시스산 함량의 변화, 엽록소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시비처리에 따른 편백나무 묘목은 약도(1.0g·)의 시비구에서 가장 높은 묘고 생장량(26.96±0.87㎝)을 나타냈으며 근원경 생장은 중도(2.0g·)의 시비구에서 가장 높은 생장량(4.76±0.18㎜)을 나타냈다. 묘목의 품질을 평가하는 종합적 지수인 묘목품질지수(SQI)는 중도(2.0g·)의 시비구에서 0.83±0.0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 엽록소 함량은 약도(1.0g·)의 시비구에서 16.19±0.31㎎·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수처리에 따른 시비구별 편백나무 묘목의 아브시스산 함량은 과시비로 인해 엽 피해가 발생하여 생육이 건전하지 못한 강도(3.0g·)의 시비구를 제외하면 중도(2.0g·)의 시비구에서 가장 낮은 아브시스산 함량 값(3671.70ng·g-1)을 나타냈고, 전체 엽록소 함량은 중도(2.0g·)의 시비구에서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엽록소의 파괴가 적어 가장 높은 엽록소 함량 값(15.12±0.46㎎·g-1)을 나타냈다. 한편 소나무 묘목은 중도(2.0g·)의 시비구에서 가장 높은 묘고 생장량(12.34±0.73㎝)을 나타냈으며 근원경 생장은 약도(1.0g·)의 시비구에서 가장 높은 생장량(5.77±0.20㎜)을 나타냈다. 묘목품질지수는 약도(1.0g·)의 시비구에서 2.05±0.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 엽록소 함량은 시비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강도(3.0g·)의 시비구에서 22.50±0.28㎎·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수처리에 따른 시비구별 소나무 묘목의 아브시스산 함량은 엽 피해가 발생한 강도(3.0g·)의 시비구를 제외하면 중도(2.0g·)의 시비구에서 2190.85ng·g-1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전체 엽록소 함량은 중도(2.0g·)의 시비구에서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엽록소의 파괴가 거의 없이, 단수처리 기간 동안 꾸준히 가장 높은 엽록소 함량 값(21.20±0.20㎎·g-1)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두 공시수종 모두 중도(2.0g·)의 시비구에서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아브시스산의 함량이 가장 적고, 엽록소의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나 편백나무와 소나무의 내건성 증진을 위한 적정 시비수준은 중도(2.0g·)라고 판단된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timum fertilization treatment measures for improving drought resistance in seedling growth. The purpose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producing high quality seedlings of Chamaecyparis obtusa and Pinus densiflora. To accomplish the study aim, measurement of changes in the growth of 2-year-old C. obtusa and P. densiflora containerized seedlings as influenced by fertilizer treatments and later water supply cut-off proxy of drought resistance were undertaken. The fertilizer treatment was undertaken using MultiFeed 20 (N:P:K=20:20:20) and was applied one time a week, 24 times in total from March to August 2015. During that period, the growth characteristics, seedling quality index,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measured according to fertilizer treatments. The water supply cut-off were undertaken for 10 weeks from September to the second week of November after the fertilizer treatments period had elapsed. During this second phase of water supply cuts, the morphological changes, abscisic acid contents change, and chlorophyll contents change driven by the drought stress were measured. For the fertilization treatments, C. obtusa seedlings height growth was highest (26.96±0.87㎝) at a weak (1.0g·) fertilizer treatment while the root collar diameter growth was highest (4.76±0.18㎜) at an intermediate (2.0g·) fertilizer treatment. Furthermore, seedling quality index was highest (0.83±0.08) at an intermediate (2.0g·) fertilizer treatment while total chlorophyll content was highest (16.19±0.31㎎·g-1)at a weak (1.0g·) fertilizer treatment. For the abscisic acid content of C. obtusa seedlings for each fertilizer treatment during water supply cut-off, the lowest abscisic acid content of 3671.70ng·g-1 was found at an intermediate (2.0g·) fertilizer treatment. Exceptionally, seedlings with strong (3.0g·) fertilizer treatment showed poor growth evident by damaged leaves due to the excessive fertilizer treatment. Furthermore, the highest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15.12±0.46㎎·g-1 was observed at an intermediate (2.0g·) fertilizer treatment due to less destruction of chlorophyll by the drought stress. Meanwhile, P. densiflora seedlings showed the highest growth of seedlings (12.34±0.73㎝) at an intermediate (2.0g·) fertilizer treatment and the highest growth of root collar diameter (5.77±0.20㎜) at a weak (1.0g·) fertilizer treatment. The highest seedling quality index of 2.05±0.07 was shown at a weak (1.0g·) fertilizer treatment.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as the fertilizer concentration increased, and the highest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22.50±0.28 ㎎·g-1 was observed at a strong (3.0g·) fertilizer treatment. For the abscisic acid content of P. densiflora seedlings for water supply treatments for each fertilizer treatment, the lowest abscisic acid content of 2190.85ng·g-1 was observed at an intermediate (2.0g·) fertilizer treatment. Exceptionally, seedlings with strong (3.0g·) fertilizer treatment showed poor growth evident by damaged leaves. Besides, the highest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21.20±0.20㎎·g-1) was found at an intermediate (2.0g·) fertilizer treatment constantly during the period of water supply cut-off without destruction of chlorophyll by the drought stress. In conclusion, both tree species showed the lowest abscisic acid content and the highest chlorophyll content during water cutoff or drought stress at the intermediate (2.0g·) fertilizer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fertilizer treatment for improving the drought resistance of C. obtusa and P. densiflora seedlings is the intermediate (2.0g·) level.

      • 국내 참나무류 채종원의 유전형질 개량 및 우량종묘 생산 연구

        나성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개량종자 생산을 통해 우수한 유전형질을 후대로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참나무류 채종원에 대해 유전형질 개량 및 우량 종묘 생산을 위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5년에 조성된 클론채종원을 대상으로 클론 간 엽의 형태적 특성, 종자크기 및 종자생산량을 비교·분석하였으며, 1996년에 조성된 실생채종원의 적정 간벌 방법 및 강도 설정을 위해 간벌모형에 따른 개량효과와 유전다양성 변화를 추정하였다. 아울러 조림에 사용될 우량묘목을 생산하기 위해 묘목크기별 적정 단근강도를 구명하였다. 1. 채종원에서 생육중인 상수리나무 30클론, 굴참나무 34클론 및 졸참나무 18클론의 클론 간 엽 특성을 비교한 결과, 엽 및 엽병 길이, 엽면적 등 채종목 간 다양한 엽형 변이가 나타났다. 한편, 다양한 엽의 형태적 특성에서 클론 간 변이계수는 3수종 모두 10~30% 수준으로 이는 천연집단의 변이범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채종원들이 향후 지속적인 육종 개량사업을 도모할 수 있는 충분한 유전적 다양성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채종원에서 생산된 종자의 크기를 비교·분석해 본 결과, 채종목의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종자의 크기도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자무게 및 길이 등 다양한 형태적 특성에서 클론 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크기가 큰 종자는 발아율, 묘목 생존율 및 생장량에 다양한 이점이 있는 만큼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채종원 관리방안 수립한다면 보다 우량한 묘목을 생산할 수 있는 채종원 조성이 가능할 것이다. 3. 채종원을 구성하는 우수한 유전형질들을 그대로 조림지로 옮기기 위해서는 각 채종목의 종자생산량이 균일해야 한다. 따라서 채종목의 종자생산량 변이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연구결과 채종목 간의 종자생산 불균형이 나타났다. 즉, 소수의 클론이 대부분의 종자생산량을 차지하였으며, 일부 클론들은 극히 일부의 종자만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참나무류 채종원에는 종자생산량을 균일하게 조절하기 위한 선택적 구과채취, 채종목 본수 조절, 종자결실이 불량한 개체의 집중적 관리 등 채종원 종자결실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연도 간 변이가 적으면서 다량의 종자를 생산하는 클론을 선발하여 다수확 개체로 품종 육성하면 웰빙식품으로 각광받는 도토리의 수입 대체 효과 및 농가 소득증대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4. 참나무류의 우량묘목 생산을 위한 단근처리는 묘목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두 수종 모두 단근강도가 강할수록 수고 및 근원경 증가량 등 지상부 생장량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새로운 측근의 분화 등 뿌리 발달에서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묘목크기별 최적의 단근강도는 상수리나무의 경우 모든 묘목크기에서 10cm로 단근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묘목생장을 나타내었고, 졸참나무의 경우 이식 당시 묘고가 26cm 이상의 묘목은 15cm, 초기 묘고가 24cm 이하의 묘목은 10cm로 단근하는 것이 우량묘목을 생산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5. 간벌시기가 도래된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 실생채종원의 최적의 간벌방법 및 강도를 설정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에서는 가계의 평균 재적과 개체의 재적을 두루 고려하여 간벌 대상목을 선정하는 가계 내 개체간벌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간벌강도는 우수한 개량효과가 추정되고 유전다양성이 유지되는 60%의 간벌강도가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 평판형 수소생산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허수빈 부경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a method of power generation, fuel cells have the potential to provide higher efficiency with less emission compared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reformer which is the important part of fuel cell system will be required. Th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is highly sensitive to carbon monoxide. CO has detrimental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the fuel cell. Thus, reformed gas supplied to Fuel cell system, which maintained CO concentration below 10ppm. This study has been experimentally performed to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1kw class plate type hydrogen generation system, which is composed of Burner, STR, HTS, LTS, PrOx1‧2. STR produces most of H2 with chemical reaction of CH4 and water vapor. HTS, LTS, and PrOx1‧2 reduce CO concentration below 10ppm. In the experiment, we changed A/F ratio(α=1.1, 1.3, 1.5)and supply heat(1.193, 1.790, 2.388kW) in burner in order to optimize the drive condition. In reforming experiment, reformed gas contained CO that is harmful to the catalyst used in PEMFC. For this reason, CO must be removed. After applying optimum drive condition, reformed gas was measured with gas chromatography and could find out about each experimental condition of H2‧CO concentration. As a results, The 1kw class Plate type hydrogen generation system's optimum condition is A/F ratio α=1.3, STR Temperature 1023K, S/C ratio 3, and PrOx1‧2 30cc/min. It turns out that installation of PrOx 2 stage is more efficient for reducing CO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