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ereospecific analysis of evodiamine enantiomers and its metabolites in mouse liver microsome by LC-MS/MS

        홍영기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4

        광학활성 의약품은 국제적으로 약물개발단계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토해야 하며 이는 천연물 기반 약물이라도 예외가 아니다. 각각의 광학이성질체는 인체 내에서 다른 약리활성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에보디아민은 전통약재인 오수유의 지표물질로 광학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암 효과, 항염증 효과, 항비만 효과, 심혈 관계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 분석연구 측면에서는 오수유에서 에보디아민 카이랄 분리를 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지만 기존의 에보디아민 약물대사 분석연구는 광학활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보디아민을 흰 쥐 마이크로솜에 대사시켜 광학이성질체 별 대사연구를 수행하고, 광학이성질체 분리 컬럼을 이용한 LC-MS/MS로 에보디아민 광학이성질체와 대사체를 각각 분석하고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생체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에보디아민의 물성을 고려해야 했고, 석출방지 방법을 만들어 본 실험에 사용하여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생체 실험 후 광학이성질체 확인은 정상 카이랄 분리분석 (HPLC), 역상 분리분석 및 역상 카이랄 분리분석 (LC-MS/MS)을 통해 하였으며, 이 중 역상 카이랄 분리분석은 기존의 정상 분리분석이 ESI-MS로 분석이 불가능하여 분석법을 새로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method validation은 적합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흰 쥐 마이크로솜에서 R-에보디아민보다 S-에보디아민이 더 빠른 대사속도를 가지고, 각각의 광학이성질체가 대사되면 분자 구조 내 다른 위치에 수산화기를 가진 대사체가 생산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생체 시료 내에서 에보디아민 이성질체 간의 다른 대사반응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에보디아민 이성질체 각각에 대한 독성 연구와 약리 작용 연구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또, 에보디아민 뿐만 아니라 다른 천연물 기반 광학활성 약물들도 이러한 연구가 이뤄져야 하며 본 연구가 광학활성 약물의 분리, 분석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Determination of Zolpidem in blood samples from emergency room patients using GC-MS

        문한태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4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매년 약독물에 의한 중독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약독물 관련 급성 중독사고는 응급의학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의 하나이다. 약독물 중독으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많은 환자들의 효과적인 처치를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독성물질의 확인이 필요하지만, 현재 응급실에서 약독물 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및 스크리닝 분석법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독물의 빠르고 정확한 분석법을 확립하고, 불면증 치료를 목적으로 다빈도로 처방되는 zolpidem의 혈중농도를 측정하여 임상학적 증상과 비교함으로써 적절한 치료를 위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법을 확립하기 위해, 2015년 2월에서 7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80명의 환자의 혈액샘플을 수집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zolpidem이 15건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어 이에 대한 method validation을 실시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측정한 환자들의 zolpidem 혈중농도는 19.63 ~ 3605.85 ng/mL이었다. 15명의 zolpidem 중독환자 중 5명 (33 %)이 자살의 목적으로 zolpidem을 복용하였으며, 환자 전체 나이는 20 ~ 88세 범위였으며, zolpidem을 단독 투여한 경우가 5건, 다른 약물과 병용 투여한 경우가 10건이었고, alcohol이 검출된 경우는 3건이었다. 함께 복용한 약물은 tramadol이 4건, acetaminophen이 3건, trazodone과 chlorpheniramine이 각각 2건, alprazolam, clozapine, diphenhydramine, quetiapine이 각각 1건이었다. Zolpidem 농도는 80대 환자에게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나 약물농도와 GCS score, mental change와는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고, 복용량과 복용 후 시료채취 경과시간과도 일치하지 않아 혈중농도와 임상증상이 연계가 되지 않았다. 이는 추정 복용량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고, 다른 약물과의 병용 투여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15명의 환자는 높은 혈중농도를 보인 경우에도 수일 내 경과가 호전되어 퇴원한 것으로 보아, zolpidem 과량 복용으로 인한 중독은 경과가 양호하여 중독으로 인한 커다란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차후 응급실 환자의 시료에서 더 신속하게 약물을 검출하는 시스템, 정확한 복용량 정보, toxicokinetics 연구를 보강하여 응급실 환자들의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것이며, 법독성학 분야에서 zolpidem과 관련된 약물 중독사 판단을 위한 post-mortem 평가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Determination of glyphosate and its metabolite in emergency room in korea

        한요셉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4

        The number of glyphosate intoxication cases have been increased after the regulation of paraquat. Unfortunately, there are no reports on the potential concentration of glyphosate for those acute intoxicated patients admitted to emergency room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glyphosate and clinical symptoms in Korea up to our knowledge. As a nonselective herbicide, analysis of glyphosate requires derivatization because of its amphoteric and strongly polar nature. In order to develop a metho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glyphosate and its metabolite, aminomethylphosphonic acid (AMPA), in blood samples without derivatization,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was utilized with a hydrophil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HILIC) column. The validation of this method showed that the limits of detection (LODs) and limits of quantitation (LOQs) for glyphosate and AMPA were 50 and 100 ng/mL, respectively. In addition, matrix effect, recovery rate, and accuracy and precision in intra and inter-day were evaluated during the validation study of this method. Blood samples acquired from 5 glyphosate intoxicated patient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glyphosate and clinical symptoms. These patients were previously admitted to the emergency room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after glyphosate was self-administered in suicide attempts or by accident. As results of blood sample study, the concentration of glyphosate and AMPA were found in the range of 1.0 ~ 171.1 and 0.2 ~ 2.6 µg/mL,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ratio of glyphosate to AMPA was 55 ~ 71. According to the clinical reports for those patients, they were in the age between 47 to 82 years old and administered about 50 ~ 400 mL. Th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within 2 ~ 5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glyphosate. Among the intoxicated patients, the most common clinical symptom was metabolic acidosis, identified in 4 patients.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glyphosate and administered dosage did not show the correlation, which suggests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surfactants in glyphosate from different vendors.

      • D광역시 도심지역 배전전력설비 님비현상 해소 사례 분석 연구

        김주복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e modern society we may have difficulty in living satisfactorily and face the severe aspect as well, if the electricity doesn't supply any parts in a harmonious manner. Nowadays, many people recognize the electric supply facilities as disgusting ones because they think it could do harm to the beauty of city and cause discomfort in walking on the street in the central district and dense housing area. In such a reason, people require continuously that the facilities of electric supply are enabled to be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 Especially, settled in the center of the D road in the D metropolis, the electric-distributing boxes (the underground outfits as means of electric supply) are required to be moved from seller close to here for a long period. Therefore, the up-to-dat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was brought so as to dissolve their dissatisfactions. Now, we are to cross-correlate expenditure, mainly organized factors, the merits and demerits about mechanical method of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In addition we are to scrutinize expenditure of the individual facilities according to overhead facilities, underground facilities and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before the explanation of the mechanical method of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brought in D road zone initially. No matter how it might give tiny help, we are going to help others from the preparation for a construction work to the completion of it when they try to construct the facilities in this way in other metropolis. When it comes to the selection of the measure how to set up the facilities on the ground or not, after buying the surrounding building,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s the outbreak of people's dissatisfaction. So, it's very significant core that the agencies concerned and the shopping center cooperation comprise the committee and then keep intense relationships mutu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hat it is more favorable to set up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on the ground after purchasing the building. Moreover, it appeared that 95% of the sellers who suggested requests were tenants as the result of an opinion poll carried out after construction being completed. the biggest their complaints were the profit loss and passing over the road inconveniently owing to the long span of the construction. In such a respect, a small amount of complaint was included respectively in all items of the poll despite construction which is aspired for as well as is invested in lots of money and labor. In the near future, we'll be struck in the state of having no choice but to search for the epoch-making alternatives on account of the high environmental concerns of people and the limitation of the present electric power supply method to keep pace with individualistic thought. As the expectations of service and the electric power qualities are growing gradually, we need to get the smart grid accompanied with IT technology and divers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tation in the central district and dense housing area. We have to keep track of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ic outfits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in the electric power distribution field and the study of the method of electric supply strenuously. End. 현대사회에서 전기가 없이는 잠시도 불편하여 생활하기 힘들며 산업분야 등 전력을 사용하는 어떤 분야도 전력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심각한 국면에 직면하게 된다. 대도시 도심지나 주택밀집지역은 통행불편과 도시미관 저해 등을 이유로 전력공급설비에 대해 혐오설비로 인식하여 설치 거부 및 이설 요청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D광역시 D도로의 도로 중앙에 설치된 배전박스(전력공급용 지상기기) 이설요청을 주변 상인들이 수년간에 걸쳐 제기해 옴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진화된 지중배전스테이션 공법을 도입하게 되었다. 그래서 배전전력공급설비에서 가공설비와 지중설비 그리고 배전스테이션 공법에 대한 개요, 주요 구성요소, 장단점 그리고 소요예산을 상호 비교분석한다. 또한, D도로에 최초로 도입한 지중배전스테이션 공법에 앞서 가공설비로 공급시, 지중설비로 공급시 그리고 지중배전스테이션으로 공급시에 따른 각 설비별 소요예산을 상호 비교 분석한다. 그러므로 타 대도시 도심지역 배전스테이션 공법으로 공사할 경우 업무추진에 참고할 수 있도록 준비에서 완공까지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배전스테이션 공법 적용 중 인근 건물을 구입하여 지상에 전력기기를 설치하는 방안과 지하에 전력기기를 매입하는 방안을 선택하는데 있어 가장 큰 문제가 민원발생이므로 사전에 관련기관들과 상인연합회 등이 협의체를 구성하여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원활한 공사추진의 핵심이다. 본 연구결과는 건물 구입후 지상배전스테이션 설치가 유리한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배전스테이션공사 구간 내 인근 상인들을 대상으로 공사완료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95(%)가 세입자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큰 불만은 공사기간이 길어 통행불편 및 영업 손실로 인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어 그토록 원하던 공사였지만 모든 설문조사 항목에 조금씩 불만이 내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높은 관심과 개인주의적 사고 편향으로 기존의 전력공급방안으로는 전력사업이 한계에 도달하여 획기적인 대안을 찾지 않을 수 없는 여건이다. 또한 전력품질과 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 대도시 번화가나 주택 밀집지역의 전력공급설비에 대한 다양한 배전스테이션이나 IT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등을 필요로 한다. 또한 지속적인 전력공급방안 연구와 배전분야에 소요되는 환경조화형 전력공급설비 기자재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끝.

      • LED를 이용한 수중 조명등 개발에 관한 연구

        김종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최근 친수공간 확대로 수중보의 경관조명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나 현재 사용하는 수중보 조명등의 안전성과 연출효과가 떨어지는 등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수중보 조명등을 개선하기 위해 안전성, 에너지 절감, 연출에 대한 유연성에 주관점을 두고 실태조사를 통한 문제점을 도출 분석하여 수중보 조명등을 LED몰드 수중등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을 실용화함으로써 수중보 조명은 댐, 분수, 수영장 등 수변공간에 다양하게 확대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the demand of landscape lighting for underwater dam is rapidly increased by expansion of hydrophilic space. But it occurred the problems such as weakness of safety and display effect of underwater dam lighting lamp currently in use. Therefore, for solving these problems and improving underwater dam lighting lamp, this paper is focused on safety, energy saving, display flexibility of underwater dam lighting lamp and analyzed the related deriving problems b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s a result, it presents a developed LED mold type underwater light instead of underwater dam lighting lamp. B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considered that practical use of underwater dam lighting is very useful in waterside space for dams, water fountain, swimming pool, and etc. Moreover, it can be extended/applied in various ways.

      •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jor Royal Jelly Protein 2 in the Honeybee (Apis cerana) Royal Jelly

        박민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로열 젤리(Royal Jelly, RJ)는 인간의 건강 증진을 위한 잘 알려진 기능성 및 의약 식품이다. RJ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주요 로열젤리 단백질(MRJPs)은 항균 작용을 나타내지만, 아직 항산화 효과를 담당하는 RJ의 MRJP의 정체는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토종꿀벌(Apis cerana) MRJP 2 (AcMRJP2)가 RJ에서 항균 및 항산화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배큘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곤충 세포에서 생산된 재조합 AcMRJP2를 사용하여 MRJP 2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했다. AcMRJP2는 박테리아, 곰팡이 및 효모의 표면에 결합하여 미생물 세포벽에 구조적 손상을 유발하는 광범위한 항균 작용을 일으켰다. AcMRJP2는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의 직접적인 차폐를 통해 포유 동물과 곤충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caspase-3 활성과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세포 사멸을 감소시키고 세포 생존력을 증가시켰다. 또한, AcMRJP2는 활성 산소 종(ROS)에 대한 DNA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AcMRJP2가 RJ의 항균제 및 항산화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 주며, MRJP 2가 RJ의 항균 및 항산화 활동을 담당하는 구성 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Royal jelly (RJ) is a well-known functional and medicinal food for human health promotion. Major royal jelly proteins (MRJPs), which are the major protein components in RJ, exhibit antimicrobial activities. However, the identities of the MRJPs of RJ responsible for its antioxidant effects have remained unclear. Here, we report that honeybee (Apis cerana) MRJP 2 (AcMRJP2) acts as an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gent in RJ. Using recombinant AcMRJP2, which was produced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we established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roles of MRJP 2. AcMRJP2 bound to the surfaces of bacteria, fungi, and yeast, which then induced structural damage in the microbial cell walls and led to a bro1ad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ies. AcMRJP2 protected mammalian and insect cells via the direct shielding of the cell against oxidative stress, which led to reduced levels of caspase-3 activity and oxidative stress-induced cell apoptosis, followed by increased cell viability. Moreover, AcMRJP2 exhibited DNA protection activity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Our data indicate that AcMRJP2 could play a crucial role as an antimicrobial agent and antioxidant in RJ, suggesting that MRJP 2 is a component responsible for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J.

      • 이종고체 절연물의 연면 절연성 평가

        김봉권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신뢰성 높은 양질의 전기에너지의 운전 및 유지보수의 간편화, 계통 운용의 신뢰성, 안전성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절연특성이 매우 우수한 SF6 Gas를 절연재료로 사용하는 전력기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또, 현대사회가 첨단과학의 이기를 갈망하고 있으므로 현재보다 더 많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동시에 도시의 공간을 활용하는 효율적인 면에서 전력기기들의 소형화 및 고 신뢰화가 시도되고 있다. SF6 Gas를 적용하는 전력설비는 공급범위가 확대되면서, SF6 Gas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물질로 지정되어 점차 그 사용을 줄이거나 금지해야 하는 실정이다. 그래서 SF6 Gas를 대체할 친환경적인 절연매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모의 GIS 내에서 혼합가스의 압력 및 갭 변화에 따른 전원별 연면절연특성을 究明하였다. 그리고 배전급과 송전급 전력설비에 적용하기 위하여 건조공기와 SF6 Gas의 연면절연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절연가스 내의 불평등 전계하에서 연구한 고체절연물의 기본적인 연면방전특성에 대하여서도 기술한다. 실험을 통하여 연면파괴전압에 대해서도 연구한 결과 가스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매질효과에 의해서 연면절연파괴전압과 전계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체의 두께에 대한 연면절연파괴전압의 증가율에 대해서도 연구한 결과 연면절연파괴전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With the improvement of industrial society, the high quality electrical energy, simplification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ensuring reliability and safety are being required. As a result, a power facility using high pressure SF6 gas excellent in insulation characteristics, is increasing and being established and opera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lso, we request urgently change a SF6 for an environment friendly gas insulation material. In this paper the experiments of surface flashover characteristics by pressure and gap change of Dry-Air in model GIS(Gas Insulated Switchgear) were described. And assess of surface flashover characteristics about Dry-Air and SF6. Also, this paper describes the fundamental surface flashover characteristics of solid dielectric under non-uniform field in insulation dielectric gases. Surface flashover voltage is found out and sorted. These results are getting higher as increasing the gas pressure according to the medium effect. By researching the increasing rates of surface flashover voltage as following the solid dielectric thickness, it reveals that the thickness also affects the surface flashover voltage.

      • 누에 선천적 면역 및 유충-번데기 변태에 대한 렉틴의 기능 분석

        박민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99

        누에는 전 세계 섬유 및 의류 산업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곤충이며 다양한 생명 과학 연구에서 모델 유기체로 널리 사용된다. 누에를 모델로 하는 곤충 면역 기작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왔고, C형 렉틴(C-Type Lectins, CTL)은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패턴 인식 수용체(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PRR)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누에에서 전사체 분석을 통해 13개의 C형 렉틴이 알려져 있지만 그 기능은 6개만 알려져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누에(Bombyx mori) 선천적 면역 및 유충-번데기 변태에 대한 BmCTL21, BmCTL4 및 BmCTL5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BmCTL21, BmCTL4 및 BmCTL5가 미생물 세포벽 성분인 탄수화물을 인식하여 결합하고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 세균과 곰팡이의 포자에 결합하였다. BmCTL21, BmCTL4 및 BmCTL5는 유충 시기의 미생물 감염 중에 지방체에서 발현되었으며 BmCTL21은 감염 중에 지방체에서 발현이 된 후 혈림프를 통해 혈구세포로 운반되어 면역반응에 관여하였다. BmCTL4 및 BmCTL5는 전용 시기의 표피에서 발현이 감소하다가 번데기 1일차에 특이적으로 표피에서 발현이 많이 되었다. BmCTL4 RNAi 처리 시 번데기 큐티클 멜라닌화가 지연되고 용화율이 30% 감소하였다. BmCTL5 RNAi 처리 시 전용시기가 지연되어 전용시기가 하루 늘어났다. 또한 용화지연, 용화부전 및 불용화가 발생하여 BmCTL5가 유충-번데기 변태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BmCTL21, BmCTL4 및 BmCTL5가 유충의 선천적 면역 반응에 기능을 하며, BmCTL4가 번데기 큐티클 멜라닌화에 관여하고 BmCTL5는 유충-번데기 변태과정에 관여한다는 것을 밝혔다. Silkworms play a crucial role in the global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serving as economically significant insects. Research on the insect immune mechanism using silkworm (Bombyx mori) as a model has been extensively conducted, and C-type lectins (CTLs) are known as crucial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PRRs) that regulate immune responses. So far, 13 C-type lectins have been identified in silkworm through transcriptome analysis, but the functions of only 6 of them are know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unctions of BmCTL21, BmCTL4, and BmCTL5 in the innate immunity of the silkworm Bombyx mori, as well as their roles in larval-pupal metamorphosis. BmCTL21, BmCTL4, and BmCTL5 demonstrate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bind carbohydrates, exhibiting binding ability to both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as well as spores of fungi. BmCTL21, BmCTL4, and BmCTL5 were expressed in the fat body during the larval stage of microbial infection. Specifically, BmCTL21 was expressed in the fat body and subsequently transported to hemocytes through hemolymph,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immune response during infection. On the other hand, BmCTL4 and BmCTL5 exhibited decreased expression in the epidermis during the prepupa stage bu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epidermal expression on the first day of pupa. RNAi treatment targeting BmCTL4 resulted in delayed pupal cuticle melanization and a 30% reduction in the pupation rate. BmCTL5 RNAi treatment resulted in an one day in the pupation. Moreover, abnormal pupation and non-pupation were observed, indicating that BmCTL5 plays a crucial role in the larval-pupal metamorphosis proces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mCTL21, BmCTL4, and BmCTL5 function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 of larvae, with BmCTL4 involved in pupal cuticle melanization and BmCTL5 playing a role in the larval-pupal metamorphosis process.

      • 제조공기의 연면방전 및 플레시오버 특성에 관한 연구

        장승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신뢰성 높은 양질의 전기에너지의 운전 및 유지보수의 간편화, 계통 운용의 신뢰성, 안전성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절연특성이 매우 우수한 SF6 Gas를 절연재료로 사용하는 전력기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또, 현대사회가 첨단과학의 이기를 갈망하고 있으므로 현재보다 더 많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동시에 도시의 공간을 활용하는 효율적인 면에서 전력기기들의 소형화 및 고 신뢰화가 시도되고 있다. SF6 Gas를 적용하는 전력설비는 공급범위가 확대되어, 혹한 지역에도 설치되고 있는 바, 현재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는 SF6가 Gas 상태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온도가 저하되면 SF6 Gas의 액화현상으로 절연특성에 큰 변화를 일으켜 오동작하는 것이 큰 문제점일 뿐 아니라 온실 Gas를 배출하는 물질로 지정되어 점차 그 사용을 줄이거나 금지해야 하는 실정이다. 그래서 SF6 Gas를 대체할 친환경적인 절연매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모의 GIS 내에서 제조공기의 압력 및 갭 변화에 따른 전원별 절연특성을 究明하였다. 그리고 배전급과 송전급 전력설비에 적용하기 위하여 제조공기와 SF6 Gas의 절연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절연가스 내의 불평등전계하에서 연구한 고체절연물의 기본적인 연면방전특성에 대하여서도 기술한다. 모의 GIS 내에서 SF6 Gas와 친환경 가스인 제조공기(I-Air, N2/O2혼합가스)를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절연파괴전압과 전계강도에 대해서도 연구한 결과 가스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매질효과에 의해서 절연파괴전압과 전계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체의 두께에 대한 절연파괴전압의 증가율에 대해서도 연구한 결과 절연파괴전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With the improvement of industrial society, the high quality electrical energy, simplification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ensuring reliability and safety are being required. As a result, a power facility using high pressure SF6 gas excellent in insulation characteristics, is increasing and being established and opera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ut with the modern society longing for the convenience of up-to-date technology, there are attempts of miniaturization and high reliance of power equipments in the effectiveness aspect of urban area's usage of space while requiring more electrical energy than now. Also, we request urgently change a SF6 for an environment friendly gas insulation material. In this paper the experiments of breakdown characteristics by pressure and gap change of Imitation-Air in model GIS(Gas Insulated Switchgear) were described. And assess of breakdown characteristics about Imitation-Air and SF6. Also, this paper describes the fundamental surfac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solid dielectric under non-uniform field in insulation dielectric gases. SF6 as conventional gas in Gas Insulated Switchgear(GI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gases; Imitation Air(I-Air, N2/O2 mixture gas) are used in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Breakdown voltage and dielectric strength are found out and sorted. These results are getting higher as increasing the gas pressure according to the medium effect. By researching the increasing rates of breakdown voltage as following the solid dielectric thickness, it reveals that the thickness also affects the breakdown voltage.

      • 역세권 지하공간의 이용객 소방안전 개선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중심으로-

        정세환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underground spaces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ce than ever. Subway stations and Underground shopping malls are one of the most useful spaces in modern society. But in contrast to this importance and value, system and equipments that are used for preventing fire and other disaster in these spaces are deficient. This study consists of present state of underground space, fire fighting facilities, danger from fire in underground space in Daegu. Also, we can understand examples of underground fire and analyse the problems.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better ways and through this, we expect that people who shop in underground shopping mall and take subway can do it safe. Actual conditions of fire fighting equipments, danger of fire, problems and improving scheme are as follows. Extinguishing and escaping in underground spaces are very difficult. Because of the number of exits limited and closed structure, it is very hard to escape and fight fire when fire and other disasters occur. Through the result of questions, we can figure out that although many people aware the danger and problem, they lack fire education and drill. Also, they don't know emergency path and fire fighting equipments well. These are the improving schemes. First, we should post the signs that tell people the location at regular intervals. When people cannot figure out where they are, with the help of the signs, they can report the exact location of fire to the fire station so that they can be rescued and firefighter to extinguish faster. Secondly, We could introduce integrated-disaster-prevention system that connects disaster prevention system of underground space and that of neighborhood large buildings. Many underground spaces and large buildings adjoin. Through the system, they can cope with the fire together and minimize the loss of life and property. Third, establishing "Safe Zone" is one of the improving schemes. Because it takes too much time to escape when fire or other disasters occur,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Safe Zone" on every floor. And through these zone, people can escape directly to the ground. Fourth, it is a good way to install LED lifelines on the floor. LED can release powerful light in the dark, and with this, even if the space is full of smoke, people can escape with the help of LED lifelines. Fifth, we can reflect the ways other countries do for improving safety. In japan, experts are studying the way using RFID Tag. When the fire or other disasters occur, people get the information of their location and closest exit through the tag and cellular phone. This way deserves careful consideration. Sixth, we should boost awareness of people about fire and danger of underground spaces. Through the questions, we figure out that people agree that the fire fighting equipment , system, education and drill about fire fighting and escaping in underground spaces are essential. Considering the growing number of visitors in the underground spaces, we need to train and educate people to escape safely when fire or other disasters occur. With these improving schemes, we can try hard not to make loss of life and property again. If fire or other disasters may occur, we can prevent in advance so that minimize the loss of life and property and through this, we make visitors of underground spaces be relieved. 본 연구는 대구시의 지하공간의 현황, 소방 시설, 화재로 인한 위험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지하공간 화재의 사례를 이해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한 후, 그를 통해 이용객이 지하상가와 지하철을 좀 더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소방시설의 현황과 화재위험성, 문제점과 개선책은 아래와 같다. 지하공간에서의 화재진압과 대피는 매우 어렵다. 출구의 수가 제한되어있고, 폐쇄적인 구조이기 때문이다.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위험성과 문제점에 대해 인지하고는 있지만 화재교육과 훈련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긴급대피로와 소방설비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 중 첫 번째는 일정거리마다 사람들에게 위치를 알려주는 표지판을 설치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자신의 위치를 알지 못할 때, 표지판을 통해 자신의 정확한 위치나 화재 발생지점을 소방서에 신고할 수 있어 좀 더 신속한 구조와 소방활동이 이루어질 수 잇다. 두 번째로, 지하공간의 방재시스템과 지하공간과 연계된 주변 건물의 시스템을 연계한 통합 방재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다. 많은 지하공간과 대형 건물은 인접해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서 화재에 함께 대처하고 생명과 재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안전구획실”의 설치이다. 화재나 다른 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피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매 층에 “안전구획실”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곳을 통해 사람들은 지상으로 곧바로 대피할 수 있다. 네 번째, LED 라이프라인을 바닥에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LED는 어둠속에서도 강력한 빛을 발산하고, 이를 통해 공간이 연기로 가득차더라도 사람들은 LED 라이프라인을 통해서 탈출할 수 있다. 다섯 번째, 다른 나라의 개선책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전문가들이 RFID Tag를 이용하는 법을 연구중이다. 화재나 다른 재난 발생시, 사람들은 그들의 정확한 위치와 가장 가까운 출구에 대한 정보를 Tag와 휴대폰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여섯 번째로, 지하공간에서의 화재와 위험성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 설문을 통해, 사람들은 소방장비, 시스템, 화재진압과 대피에 대한 교육과 훈련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늘어나는 지하공간 이용객의 수를 감안하여, 사람들이 화재나 여타 재난 발생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훈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선책을 통해, 다시금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얻지 않도록 노력할 수 있다. 화재나 다른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미리 예방하여 인명과 재난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지하공간의 이용객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