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ereospecific analysis of evodiamine enantiomers and its metabolites in mouse liver microsome by LC-MS/MS

        홍영기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4

        광학활성 의약품은 국제적으로 약물개발단계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토해야 하며 이는 천연물 기반 약물이라도 예외가 아니다. 각각의 광학이성질체는 인체 내에서 다른 약리활성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에보디아민은 전통약재인 오수유의 지표물질로 광학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암 효과, 항염증 효과, 항비만 효과, 심혈 관계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 분석연구 측면에서는 오수유에서 에보디아민 카이랄 분리를 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지만 기존의 에보디아민 약물대사 분석연구는 광학활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보디아민을 흰 쥐 마이크로솜에 대사시켜 광학이성질체 별 대사연구를 수행하고, 광학이성질체 분리 컬럼을 이용한 LC-MS/MS로 에보디아민 광학이성질체와 대사체를 각각 분석하고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생체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에보디아민의 물성을 고려해야 했고, 석출방지 방법을 만들어 본 실험에 사용하여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생체 실험 후 광학이성질체 확인은 정상 카이랄 분리분석 (HPLC), 역상 분리분석 및 역상 카이랄 분리분석 (LC-MS/MS)을 통해 하였으며, 이 중 역상 카이랄 분리분석은 기존의 정상 분리분석이 ESI-MS로 분석이 불가능하여 분석법을 새로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method validation은 적합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흰 쥐 마이크로솜에서 R-에보디아민보다 S-에보디아민이 더 빠른 대사속도를 가지고, 각각의 광학이성질체가 대사되면 분자 구조 내 다른 위치에 수산화기를 가진 대사체가 생산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생체 시료 내에서 에보디아민 이성질체 간의 다른 대사반응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에보디아민 이성질체 각각에 대한 독성 연구와 약리 작용 연구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또, 에보디아민 뿐만 아니라 다른 천연물 기반 광학활성 약물들도 이러한 연구가 이뤄져야 하며 본 연구가 광학활성 약물의 분리, 분석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Determination of glyphosate and its metabolite in emergency room in korea

        한요셉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4

        The number of glyphosate intoxication cases have been increased after the regulation of paraquat. Unfortunately, there are no reports on the potential concentration of glyphosate for those acute intoxicated patients admitted to emergency room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glyphosate and clinical symptoms in Korea up to our knowledge. As a nonselective herbicide, analysis of glyphosate requires derivatization because of its amphoteric and strongly polar nature. In order to develop a metho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glyphosate and its metabolite, aminomethylphosphonic acid (AMPA), in blood samples without derivatization,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was utilized with a hydrophil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HILIC) column. The validation of this method showed that the limits of detection (LODs) and limits of quantitation (LOQs) for glyphosate and AMPA were 50 and 100 ng/mL, respectively. In addition, matrix effect, recovery rate, and accuracy and precision in intra and inter-day were evaluated during the validation study of this method. Blood samples acquired from 5 glyphosate intoxicated patient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glyphosate and clinical symptoms. These patients were previously admitted to the emergency room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after glyphosate was self-administered in suicide attempts or by accident. As results of blood sample study, the concentration of glyphosate and AMPA were found in the range of 1.0 ~ 171.1 and 0.2 ~ 2.6 µg/mL,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ratio of glyphosate to AMPA was 55 ~ 71. According to the clinical reports for those patients, they were in the age between 47 to 82 years old and administered about 50 ~ 400 mL. Th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within 2 ~ 5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glyphosate. Among the intoxicated patients, the most common clinical symptom was metabolic acidosis, identified in 4 patients.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glyphosate and administered dosage did not show the correlation, which suggests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surfactants in glyphosate from different vendors.

      • Determination of Zolpidem in blood samples from emergency room patients using GC-MS

        문한태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4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매년 약독물에 의한 중독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약독물 관련 급성 중독사고는 응급의학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의 하나이다. 약독물 중독으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많은 환자들의 효과적인 처치를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독성물질의 확인이 필요하지만, 현재 응급실에서 약독물 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및 스크리닝 분석법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독물의 빠르고 정확한 분석법을 확립하고, 불면증 치료를 목적으로 다빈도로 처방되는 zolpidem의 혈중농도를 측정하여 임상학적 증상과 비교함으로써 적절한 치료를 위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법을 확립하기 위해, 2015년 2월에서 7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80명의 환자의 혈액샘플을 수집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zolpidem이 15건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어 이에 대한 method validation을 실시하였다. 이 방법에 따라 측정한 환자들의 zolpidem 혈중농도는 19.63 ~ 3605.85 ng/mL이었다. 15명의 zolpidem 중독환자 중 5명 (33 %)이 자살의 목적으로 zolpidem을 복용하였으며, 환자 전체 나이는 20 ~ 88세 범위였으며, zolpidem을 단독 투여한 경우가 5건, 다른 약물과 병용 투여한 경우가 10건이었고, alcohol이 검출된 경우는 3건이었다. 함께 복용한 약물은 tramadol이 4건, acetaminophen이 3건, trazodone과 chlorpheniramine이 각각 2건, alprazolam, clozapine, diphenhydramine, quetiapine이 각각 1건이었다. Zolpidem 농도는 80대 환자에게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나 약물농도와 GCS score, mental change와는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고, 복용량과 복용 후 시료채취 경과시간과도 일치하지 않아 혈중농도와 임상증상이 연계가 되지 않았다. 이는 추정 복용량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고, 다른 약물과의 병용 투여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15명의 환자는 높은 혈중농도를 보인 경우에도 수일 내 경과가 호전되어 퇴원한 것으로 보아, zolpidem 과량 복용으로 인한 중독은 경과가 양호하여 중독으로 인한 커다란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차후 응급실 환자의 시료에서 더 신속하게 약물을 검출하는 시스템, 정확한 복용량 정보, toxicokinetics 연구를 보강하여 응급실 환자들의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것이며, 법독성학 분야에서 zolpidem과 관련된 약물 중독사 판단을 위한 post-mortem 평가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비상조명등설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상배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a problem that design and installation of the emergency light equipment is currently done with no specific experiment and data of illumination value required by the regulations of the Fire services Act and other related laws and to suggest analysis and improvement based on the test result. In this study, we simulated fire in an elementary school where we shut down the electricity and fired a smoke shell at night to simulate same conditions with actual fire. As a result, we have found the emergency light installed in the field did not work good enough to comply with a legal standard by the National Fire Safety Code (NFSC 304) if actual fire took place. Therefore we would like to suggest directives to install the emergency light equipment for evacuation and safety as follows; (1) For the emergency light attached to the ceiling, minimum 60W lamps, if incandescent lamps shall be deemed installed in every 4.5 meter to enhance illumination in each section. (2) For the emergency light attached to the wall, it may be quite critical for lamps to be installed below the neutral zone to facilitate evacuation of persons entrapped in the room before smoke starts to fall down. 본 논문은 현재 설치되고 있는 비상조명등 설비의 국내 소방법 및 다른 관계법령에서 정한 조도값이 특정한 실험과 데이터 없이 설계와 시공되고 있는 실정으로 그 문제점을 도출하고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분석과 개선방향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실을 화재모델링 하였으며 화재시와 같은 조건을 위하여 야간 시간에 단전 조치 및 연막탄을 이용하여 모의 화재 실험을 행하여 본 결과 현장에 설치되고 있는 비상조명등은 실제 화재시 국가화재안전기준 (NFSC 304)에 의한 법령기준에 미치지 못하여 비상조명등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피난 안전을 위한 비상조명등 설비의 설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하고자 한다. (1) 천정형 비상조명등은 백열등일 경우 최소 60W 이상의 전구로 수평거리 4.5m이내로 설치하여 각 부분에서 조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2) 벽부형 비상조명등은 화재시 연기의 강하(降下)시간 이전에 피난 하는것이 원할 하므로 그 설치 높이를 중성대 아래쪽에 설치하여 재실자들이 용이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할 것이다.

      •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River-Sea Interface : A Case Study of Geum and Seomjin River Systems

        황지환 忠南大學校 分析科學技術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geochemistry of surface water and surface sediment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geochemical behavior of sediments in river-sea interfaces. For this study, surface sediment samples and surface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wo river-sea interface systems nearby the Geum River-Yellow Sea and the Seomjin River-South Sea from August 2016 to May 2018. The water samples were analyzed for major elements, rare earth elements (REEs) and stable isotopes. The surface sediment samples were analyzed for mineral composition, major elements, REEs and Neodymium isotopic composition (Nd IC). The surface sediments were divided into three fractions: carbonate and Fe-Mn oxyhydroxide fraction, organic matter (OM) fraction and detrital fraction through sequential extracti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Geum and Seomjin rivers fluctuated seasonally depending on precipitation and discharge. The mixing range of freshwater and seawater was different in the two regions. Freshwater and seawater are quickly mixed in a narrow area bordered by the estuary dam of the Geum River. In the case of Seomjin River, without an estuary dam, the penetration of seawater was founded deep inland and the gradual mixing of freshwater and seawater occurred in a wide range. The minerals compositions and PASS-normalized REE patterns of study area sediments displayed similar to granite and granodiorite of the upper crust of Korea, which are the major bedrocks of the two river basins.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supply of study area sediments is mainly driven by the weathering of the bedrock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urface sediments on the A-CN-K diagram follows the weathering trends of the Korean river, and the chemical index of alteration (CIA) value gradually decreases after the mixing of freshwater and seawater. Considering the result that primary minerals are unsaturated under freshwater conditions, the saturation index of secondary minerals increases under mixed freshwater and seawater conditions. This is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reverse weathering caused by the water-sediment reaction from changes in the aquatic environment surrounding the sediment by mixing with freshwater and seawater. The PAAS-normalized REE pattern has a different shape for each fraction. The OM fraction showed remarkably similar REE patterns in the whole sample, characterized by medium-REE (MREE Sm-Tb) enrichments relative to light-REE (LREE, La-Nd) and heavy-REE (HREE, Tb–Yb). The average εNd value of the bulk sediment was -18.5, which showed the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component, and the bulk sediment and the detrital fraction showed a very similar composition. On the other hand, carbonate and Fe-Mn oxyhydroxide fraction and OM fraction are relatively enriched in 143Nd than detrital fraction which wa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scavenging of surrounding REE from seawater (i.e. seawater-derived radiogenic isotopic signatures). Furthermore, the rapid change in the Nd IC in the organic matter fraction bounded by the estuary dam indicates that OM reflects an aquatic change in a very short ti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derstanding the Nd IC of sedimentary OM can be used as a significant proxy for estimating short period changes of aquatic environments in the past. 본 연구는 강-해양 혼합에 따른 시공간적 하천수의 수리지화학적 변동특성과, 하상퇴적물의 지화학적 거동특성 규명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16년 8월부터 2018년 5월까지 총 10차례 금강과 섬진강의 하구역을 대상으로 표층수와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표층수에 대하여 주요용존이온, 희토류원소, 물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표층퇴적물을 대상으로 구성광물, 주요화학종, 희토류원소 및 네오디뮴 동위원소분석을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의 단계적 용출실험을 통해 퇴적물을 쇄설성물질, 탄산염 및 철-망간 수산화물, 유기물질로 분획화하여 희토류원소와 네오디뮴 동위원소 조성을 분석하였다. 하천수의 화학조성은 시계열적으로 강수 발생에 따른 유량변화에 민감한 변동성이 관측되었으며, 두 지역 담수와 해수의 혼합범위는 큰 차이를 보였다. 금강의 경우 하굿둑을 경계로 좁은 공간범위에서 담수와 해수의 급격한 혼합을 보였으며, 반면에 하굿둑이 없는 섬진강의 경우 내륙 깊숙이 해수의 침투가 발견되었고, 하구역에 이르러 넓은 범위의 공간에서 담수와 해수의 점진적인 혼합을 보였다. 표층퇴적물의 구성광물과 주요화학종 및 PAAS로 정규화 된 희토류 원소의 패턴은 화강암 및 화강섬록암과 유사성이 관찰되어, 하상의 표층퇴적물은 두 연구지역에 지배적인 화강암질 기반암의 풍화에 의하여 쇄설성 물질의 공급이 주로 이루지고 있음을 지시하였다. A-CN-K다이어그램 상에 도시되는 표층퇴적물의 화학조성은 한국 화강암의 풍화양상을 따라 도시되었으며, 담수와 해수 혼합지역에 이르기 전까지는 화학적 변질지수가 커지는 양상을 보였으나, 담수와 해수 혼합지역에 이르러 화학적 변질지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담수조건에서 일차광물은 불포화상태인데 반해, 담수와 해수의 혼합조건에서는 이차광물의 포화지수가 증가한다는 점에서, 담수와 해수 혼합에 따른 역풍화로 인해 표층퇴적물의 화학 조성이 변화하였음을 지시한다. 단계적 용출실험으로 분리된 각 분획의 PAAS로 정규화된 희토류원소 패턴은 퇴적물의 각 분획별로 매우 유사한 패턴으로 구분되어 나타났으며, 각 정점 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 퇴적물의 평균 εNd값은 -18.5로 모든 정점에서 143Nd가 결핍된 대륙지각성분의 조성을 나타났으며, 전체 퇴적물과 쇄설성 분획은 매우 유사한 조성을 보였다. 반면, 탄산염, 철-망간 수산화물과 유기물질 분획은 상대적으로 143Nd가 부화되어 있다, 이는 대륙지각에 비해 143Nd가 부화된 지역 해수의 희토류 원소 흡착에 따른 결과로 판단되었다. 특히, 유기물질 분획의 경우 하굿둑을 경계로 매우 급격한 143Nd의 부화를 보이는데, 이는 유기물질이 매우 단기간에 희토류원소를 흡착하였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퇴적물로부터 유기물질을 추출하여 네오디뮴 동위원소 조성을 파악하는 것이 짧은 시간단위의 과거 수중환경변화를 추정하기에 유의한 추적자로서 활용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 異種매질 중 압력변화에 따른 고체유전체의 沿面絶緣性 評價

        이상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신뢰성 높은 양질의 전기에너지의 운전 및 유지보수의 간편화, 계통 운용의 신뢰성, 안전성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절연특성이 매우 우수한 SF6 Gas를 절연재료로 사용하는 전력기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또, 현대사회가 첨단과학의 이기를 갈망하고 있으므로 현재보다 더 많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동시에 도시의 공간을 활용하는 효율적인 면에서 전력기기들의 소형화 및 고 신뢰화가 시도되고 있다. SF6 Gas를 적용하는 전력설비는 공급범위가 확대되면서, SF6 Gas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물질로 지정되어 점차 그 사용을 줄이거나 금지해야 하는 실정이다. 그래서 SF6 Gas를 대체할 친환경적인 절연매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모의 GIS 내에서 혼합가스의 압력 및 갭 변화에 따른 전원별 연면절연특성을 究明하였다. 그리고 배전급과 송전급 전력설비에 적용하기 위하여 혼합가스와 SF6 Gas의 연면절연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절연가스 내의 불평등전계하에서 연구한 고체절연물의 기본적인 연면방전특성에 대하여서도 기술한다. 모의 GIS 내에서 SF6 Gas와 친환경 가스인 N2/O2 혼합가스를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연면파괴전압에 대해서도 연구한 결과 가스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매질효과에 의해서 연면절연파괴전압과 전계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체의 두께에 대한 연면절연파괴전압의 증가율에 대해서도 연구한 결과 연면절연파괴전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With the improvement of industrial society, the high quality electrical energy, simplification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ensuring reliability and safety are being required. As a result, a power facility using high pressure SF6 gas excellent in insulation characteristics, is increasing and being established and opera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lso, we request urgently change a SF6 for an environment friendly gas insulation material. In this paper the experiments of surface flashover characteristics by pressure and gap change of N2/O2 mixture gas in model GIS(Gas Insulated Switchgear) were described. And assess of surface flashover characteristics about N2/O2 mixture gas and SF6. Also, this paper describes the fundamental surface flashover characteristics of solid dielectric under non-uniform field in insulation dielectric gases. SF6 as conventional gas in Gas Insulated Switchgear(GI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gases; N2/O2 mixture gas are used in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Surface flashover voltage is found out and sorted. These results are getting higher as increasing the gas pressure according to the medium effect. By researching the increasing rates of surface flashover voltage as following the solid dielectric thickness, it reveals that the thickness also affects the surface flashover voltage.

      • 브로멜라인 효소를 포함하는 천연 리포좀 개발 및 대사활동

        이재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Bromelain은 파인애플 나무의 줄기와 열매에서 추출한 천연 추출물로서 엔도 펩티데이즈, 포스파테이즈, 글루코시데이즈, 과산화효소, 셀룰레이즈 및 비효소성 물질을 포함한 단백질 분해 효소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항생작용, 항혈전제 등의 기능을 나타내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bromelain enzyme을 내부에 포집한 천연 리포좀(BEPS)의 소장피부 흡수력을 높이는 공정을 개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장 피부 흡수력 비교 결과 리포좀화를 통하여 피부 흡수력이 증가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물리적 특성 결과로는 입도분석을 이용, 사람의 피부 흡수에 최적으로 알려진 100~300nm의 크기를 형성하여 피부 흡수력을 매우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타전위 측정을 통하여 zeta potential의 절대 값 수치가 높게 측정되어 분산된 정도가 고르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이 매끈하고 매우 작은 크기의 구형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기능적 특성 결과로는 피부 흡수력 측정결과로 나온 피부 하층액과 피부층액의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리포좀화 전에 비하여 높은 효소활성 결과 값을 나타내어 효소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항산화력 측정결과를 통해 비교적 높은 항산화율을 나타내어 항산화력이 증가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항염증력 실험에서는 기대와 달리 비교적 낮은 결과 값을 나타내어 개선된 실험방법 및 반복적인 추가실험이 요구되어진다. Cell viability 측정에서는 3가지 종류의 세포에서 모두 1%까지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주어 최대 1%의 함량까지는 세포에 독성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본 실험결과를 통하여 BEPS를 이용한다면 단백질 분해 효소의 기능과 항산화력을 지닌 화장품 및 체내 대사 활동에 도움을 주는 식품의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An) IRMS technique for the determination of isotopic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CO2

        유은지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Isotopic composition of CO2 is an important tracer to identify sources and sinks of anthropogenic CO2, and to monitor various emission reduction techniques such as geological CO2 storages. In previous studies, the Continuous Flow-Isotope Ratio Mass Spectrometry (CF-IRMS) provided convenience in isotopic analysis of air CO2 although its applicability has not been thoroughly examined. In this study, a customized system was proposed to simultaneously measure carbon isotopic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CO2 from air samples using an CF-IRMS interfaced with Gasbench II. The proposed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reported ones in several aspects. (1) A set of secondary standards (NaHCO3) was used to correct the linearity offset associated with variable pCO2 in air samples. This was done by using standards with different molar concentration (0.1 ~ 0.6 μmol C) of CO2 which were prepared by dissolving pre-determined amount of NaHCO3 in de-ionized water. (2) The measured isotopic composition was calibrated for the linearity offset associated with the difference in isotope ratios between samples and the reference gas, which was done by analyzing standards with varying carbon isotopic composition (+3.96 ~ -21.75‰ δ13C) representative of that in air CO2. (3)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was improved by eliminating error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ransfer rates, internal volume of exetainers and base gases between standards and gas samples. (4) Convenience in sampling and isotopic analysis was achieved by using 12 mL exetainer vials with open top screw cap and rubber septum for both air sampling and isotopic analysis. The analytical procedure consists of alternating analysis of standards for the peak area and isotopic composition correction, and samples. In each analysis, CO2 gas in exetainers was extracted by He carrier flow and condensed in a cryo-trap (-180°C) with a transfer time of 240 sec in Gasbench II. After passing a GC column in Gasbench II, pure CO2 was introduced online into the IRMS and analyzed for the masses of 44, 45 and 46 (m/z). The CO2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ak intensity (Area all, Vs) and molar concentration of CO2 (r2 > 0.99) obtained from the standard analysis. The standard deviation in the determination of CO2 concentration was estimated as < ±0.021 μmol (1σ S.D.) based on repeated analyses of CO2 gas standards with known concentration. The reproducibility of δ13C analysis was ~ < ±0.046 (1σ S.D.). This method provides convenience in sampling and analysis, and ensures high accuracy and precision in spite of small sample consumption. Combining with the Keeling plot method, this method can provide accurate isotope composition of air CO2. The proposed technique can be applied for various studies based on the isotopic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CO2 such as tracing of anthropogenic CO2 and leakage monitoring of subsurface CO2 stor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