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현지 부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서론 오늘날 1인 가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싱글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은 라이프 스타일에 맞게 진화하는 디자인을 필요로 한다. 1인 라이프 스타일 의 확산과 더불어 패션잡지는 여가시간을 즐기는 중요한 도구로써 광범위한 영향을 주고 있다. 패 션 잡지는 현 시대의 사회문화적 현상 및 패션트렌드를 반영하며 대중과 패션 사이의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실용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 할 수 있다(김선영, 2013).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패 션잡지표지는 감성적 가치뿐 아니라 독자와의 소통의 시너지를 가미하는 새로운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패션잡지의 얼굴인 패션잡지표지는 고급 감성의 패러다임 속에 다양한 새로운 감성적 가치를 담아내고 있다. 또한 패션잡지표지에는 감성적인 내면을 패션으로 승화하는 모델뿐만 아니라 표지 일러스트를 통해 패션잡지의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고 있다. 패션잡지표지와 관련된 선행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잡지이미지(전가경, 2017 ; 조유경, 2016 ; 송민정, 변상경, 2015), 시각적 표현요소 (문경나, 2016 ; 박지현, 김인성, 2015 ; 최재균, 2013), 패션잡지표지색채(이나현, 신혜영, 2016 ; 김 선영, 2007), 패션잡지표지이미지(권지안, 임은혁, 2015 ; 김은정, 곽태기, 2012) 등에 관한 연구가 이 루어져 왔다. 그런데,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패션잡지표지디자인에 표현된 감성적 가치를 조형적 인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패션잡 지표지디자인에 담긴 시대적 감성적 가치를 조형적 특성과 연도와 시즌에 따른 변화를 알아봄으로 써 새로운 패션잡지표지 디자인 기획 및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 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패션잡 지표지에 나타난 시각디자인의 특성을 알아본다. 셋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연도와 시즌에 따른 변화를 알아본다. 넷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일러스트 어휘를 통해 감성적 가치를 알아본다. 2.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여성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의 조형적 특성, 시각디자인 특성, 연도와 시즌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6년간의 국내 라이선스 매거진인 엘르코 리아, 보그코리아, 더블유코리아에 나타난 패션잡지표지의 사진 216장을 모아진, CEO international, 구글이미지 등에서 수집하여 SPSS 23 통계기법의 빈도분석, 백분율, 차이검정(χ 2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문헌(이경희, 이은령, 2017 ; 이경희, 김윤경, 김애경, 2012)을 참고로 패션의 조형적 특성, 시각디자인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패션의 조형적 특성은 패션디자인과 패션연출로 구분하였 다. 패션디자인은 색상, 형태, 재질, 패션이미지로, 패션연출은 악세서리 수, 메이크업 색채, 메이크 업 이미지, 헤어색채, 헤어스타일, 모델이미지로 나누었다. 표지특성은 색채와 레이아웃으로 구분하였다. 색채는 로고 타이포그래피 색채, 일러스트 색채, 배경 색채, 배경 색채 배색 수, 배경 색채 배 색 기법으로, 레이아웃에서는 일러스트 어휘 레이아웃, 모델 사진 유형으로 나누었다. 3. 결과 및 고찰 1)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의 조형적 특성 엘르는 X자형 실루엣, 엘레강스 이미지 등이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여성스러움을 적극적으로 어필하고 있었다. 보그는 120여년 전통의 권위있는 패션매거진인 만큼, 시크하고 매니시하며 모던 한 감성을 많이 표현하였다. 더블유는 창의적인 비주얼로 차별화되는 하이패션을 지향하기에 아방 가르드한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2)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시각디자인의 특성 엘르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광고를 지향하는 것에 비해 잡지 배경 배색 수와 배경 배색 기법은 다 양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보그는 팽창색인 난색계열의 타이포그래피, 배경 배색 기법은 톤온톤 사용을 통해 창의성과 유니크함을 표현하였다. 더블유는 배경 색과 배경 배색기법은 그라데이션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색감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내 최대 판형과 고품질의 용지에 담아낸 혁신적인 비주얼을 통해 가장 고급스럽고 독창적인 패션 매거진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연도와 시즌에 따른 변화 연도에 따라 세 잡지 모두 매년 사각형 실루엣, 왼쪽과 중앙 순으로 배치된 일러스트 어휘가 많이 나타났다. 시즌에 따라 아방가르드 패션이미지가 모든 시즌에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났고, 로고 타이포그래피 색채는 주로 난색계열, 모델사진유형은 주로 전신사진이 많이 나타났다. 4)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일러스트 어휘 분석 엘르는 사랑, 행복, 도전 등의 어휘를 통해 핵심키워드 사랑, 혁신이 도출되었다. 보그는 표효, 키 (key), 강렬 등의 어휘를 통해 핵심키워드 키룩, 품평이 도출되었다. 더블유는 현재, 격전지 등의 어 휘를 통해 핵심키워드 도전, 재구성, 전문성이 도출되었다. 4. 결 론 첫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엘르는 여성스럽고 엘레강스한 특성이, 보그는 모던, 시크, 매니시한 특성이, 더블유는 아방가르드한 특성이 두드러졌다. 둘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표지디자인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더블유는 가장 다양한 색감을 사용하여 독창적인 이미지 특성이 나타났다. 엘르와 보그는 비교적 단조로운 배경 색과 배경 배색 수를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모던하고 심플한 현대적 감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연도와 시즌에 따른 변화를 알아본 결과, 매년 사각형 실루엣, 왼쪽 에 위치한 일러스트 어휘, 아방가르드 패션이미지, 난색계열 로고 타이포그래피 색채, 전신사진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일러스트 어휘를 알아본 결과, 엘르는 사랑스러운 어휘들이 여성스 러운 이미지로, 보그는 강렬한 어휘들이 시크, 매니시 이미지로, 더블유는 도전적인 어휘들이 아방 가르드 이미지로 승화되어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세 잡지 브랜드 모두 독자들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한 강력한 첫인상과 유혹적인 정체성 표현들과 창의적인 노력들이 패션잡지표지의 특성으로 잘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Introduction New lifestyles of singles are attracting attention these days with the sharp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se new lifestyles require designs that evolve to suit those lifestyles. With the stream of times, new changes are observed in fashion magazine coverswhere the synergy of communication with readers as well as sensitivity and value are added to the existing functions of fashion magazin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and research of new fashion magazine cover design by investigating the formative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sensibilities and values of the timesreflected in fashion magazine cover design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examin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reflected in fashion magazine covers; second, to examine the features of cover design in fashion magazine covers; third, to determine the fashion trends reflected in the fashion magazine covers. 2.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cover design characteristics and fashion trends reflected in women’s fashion magazine covers, a total of 216 cover photographs that appeared in domestic licensed fashion magazines including Elle Korea, Vogue Korea and W Korea fashion magazine for the last 6 years from 2011 to 2016 were collected from Moazine, CEO International, Google Images, etc. The cover photographs collected wereanalyzed using the statistics techniques of SPSS Statistics 23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d Chi-square test. The analysis criteria applied in this study were magazine, year, season, fashion characteristic, and cover characteristics with reference to previous literature (Lee and Lee, 2017; Lee, Kim and Kim 2012). The fashion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clothing characteristics and presentation characteristics.For the clothing characteristics, color, form, material, fashion image, and coordination were considered, while, for the presentation features, the number of accessories, make-up color, make-up image, hair color, hair style and model images were analyzed. The cove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terms oftypography color, illustration color, background color, and the number and techniques of color scheme used in the background color, while elements other than color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layout of illustrated letters and type of model pictures. 3. Results and Discussion 1)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Reflected in Fashion Magazine Covers In the case of Elle magazine, frequent use of X - shaped silhouette and elegant imagesin the covers suggested that themagazine makes a stronger appeal of femininity compared with other brand magazines. In the case of Vogue magazine, it was found that the covers frequently express chic, manish and modern sensibilities as the magazine has the highest authority in fashion magazines with more than 120 years of tradition. As for W Magazine, it was found that the covers are effectively expressing avant-garde images with clothing and models to aim for a high fashion magazine differentiated from other magazines through creative visuals. 2) Characteristics of Cover Design Reflected in Fashion Magazine Cover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lle pursuesdiverse display advertisements butlacks variety in terms of the number and techniques of color scheme used in the cover background. As for Vogue, which aims for creative visuals and uniqueness, it was found that these goals are expressed through frequent use of typographies in expansive colors such as warm-tone colors and tone-on-tone coloring technique for the background coloring. In the case of Wmagazine, a variety of colors were being used by applying gradation for background coloring and technique. Thus, it was found that W is establishing itself as the top high-class and unique fashion magazine through innovative visuals reflected in the biggest format and high-quality paper in the country. 3) Changes in year and season in the cover of fashion magazines According to the year, each of the three magazines had a square silhouette every year, and an illustration vocabulary arranged in the order of left and center. According to the season, avant - garde fashion image was common in all seasons, logo typography color was mainly in the color of the whites, and model photograph type was mainly in the whole body. 4) Illustrative lexical analysis shown on the cover of fashion magazines Elle has derived core keyword love and innovation through vocabulary such as love, happiness, and challenge. Vogue was born out of the core keyword "KIRUK", "KURUKU", through vocabulary such as flute, key, and intensity. W. Now, core keyword challenge, reconstruction, and expertise are derived through vocabulary such as battlefield. 4. Conclusion First, findings from examin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 fashion magazine covers are as follows: Elle showed feminine and elegant characteristics. Vogue featured modern, chic, and manish characteristics while W featured avant-garde characteristics. Second, findings from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over design in fashion magazines are as follows: W showed a unique image using the most varied colors in the cover design. On the other hand, Elle and Vogue used relatively smaller number of color schemes in the cover background presenting monotonous background, through which simple and modern sensibilities are convey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according to the year and season shown on the cover of fashion magazine, it was found out that many silhouettes of squares, illustration vocabulary on the left side, avant - garde fashion image, color logo typography. Fourth, as a result of studying the illustration vocabulary shown on the cover of fashion magazine, it is found that Elle is a lovely vocabulary with a feminine image, Vogue is a vocabulary with intense vocabulary, Sick, Manish image, and Written Vocabulary is sublimated into Avantgarde image Could know.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fforts of the three magazine brands to show a strong first impression and seductive identity enough to attract the readers are well represen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magazine cover

      • 한국과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 패션스타일 비교연구

        양샤오치엔 부산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한국과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을 연구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을 알아보고,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다. 셋째, 한국,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차이를 알아본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 사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은 인스타그램(www.instagram.com)을 선택하였고, 중국은 2013년에 설립된 샤오홍슈(www.xiaohongshu.com)를 대상으로하였다. SNS에서 검색어 'Fashion' '남성패션' '남성캐주얼' 로 2018년 4월부터 2020년4월까지 2년간에 나타난 남성패션사진을 802장을 수집하였다. 그 중 디자인이나 무늬가 불명확하거나 반복되는 사진을 제외하고, 디자인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최종 727장(한국 374장, 중국 353장)의 사진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기준은 관련문헌(이경희 & 이은령, 2017 ; 이경희의 2인, 2012)과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하여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패션디자인과 패션연출로 구분하였다. 패션디자인은 색채, 형태, 장식, 재질 등으로 구성하였고, 패션연출은 아이템, 코디네이션, 패션이미지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한국은 무채색 위주로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하의에서 검은색, 흰색이 많이 나타났다. 톤은 수수한 톤이 많이 나타났고, 배색은 콘트라스트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패션이미지는 클래식과 내추럴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다. 코디네이션은 토털 코디네이션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따라서 한국의 남성패션 스타일 기획은 무채색과 내추럴 이미지를 고려한 패션스타일을 한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둘째,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중국은 보라색과 초록색 등의 중성색이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유채색이 무채색보다 큰 비중을 차지했다. 패션이미지는 캐주얼과 액티브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다. 코디네이션은 토털 코디네이션이 많이 나타났다. 중국은 유채색을 많이 사용하고,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을 위한 남성패션 스타일기획은 유채색과 캐주얼 이미지를 고려한 패션스타일을 한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한국,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하의 톤, 하의디테일, 상의 트리밍, 재질 등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색채, 실루엣, 무늬, 아이템, 코디네이션, 패션이미지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한국과 중국의 남성패션스타일은 색채, 이미지, 코디네이션에서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차이를 잘 활용한다면 한국과 중국의 남성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패션디자인 및 스타일기획의 차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 남성패션스타일, 조형적 특성, 패션이미지, 패션연출

      • 정신장애인 직업생활만족도 관련요인 :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김미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직업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정신장애인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경남 지역에 소재한 6개 정신보건센터와 6개 사회복귀시설에 등록되어 있고 3개월 이상 직업을 유지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155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9년 3월 23일부터 4월 12일까지 3주간에 걸쳐 이루어 졌으며 설문지는 정신장애인이 직접 자기응답식으로 설문에 응답하는 방법으로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포(사례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직업 및 질병관련 특성은 고등학교 졸업이상의 고등교육을 받고 직업생활을 하다가 20대에 정신분열병이 발병, 월 평균 10만원 미만의 급료를 받고 보호작업장에서 일하고 있으며, 증상조절을 위해 꾸준한 약물복용을 하고 있다. 2. 대상자들의 직업생활만족도 점수는 ±56.66, 자아존중감 점수는 ±37.70, 일상생활기술 점수는 ±55.32, 대인관계기술 점수는 ±46.71, 문제해결능력 점수는 ±38.66, 스트레스 대처정도 점수는 ±29.01, 직업재활프로그램 참여도 점수는 ±35.98, 직업재활프로그램 만족도 점수는 ±29.70, 고용주 · 직장동료지지 점수는 ±30.90, 지각된 사회적 낙인 점수는 ±23.86이었다. 이와 같은 평균점수는 지각된 사회적 낙인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서 척도의 중간점수 보다 더 높았다. 3. 직업생활만족도는 5가지 개인적 특성 요인들, 즉 자아존중감(r=0.48, p<0.001), 일상생활기술(r=0.32, p<0.001), 대인관계기술(r=0.51, p<0.001), 문제해결능력(r=0.21, p<0.001),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정도(r=0.28, p<0.001)와 정적으로 상관되어 있었고, 직업재활프로그램 요인들 즉, 직업재활프로그램 참여도(r=0.36, p<0.001), 직업재활프로그램 참여 만족도(r=0.42, p<0.001)와 정적으로 상관되어 있었다. 또한 2가지 사회·환경적 변인들, 즉 고용주 · 동료지지와 정적으로 상관되어 있었으며(r=0.48, p<0.001), 반면에 지각된 사회적 낙인과 부적으로 상관되어 있었다(r=-0.40, p<0.001). 4. 직업재활프로그램 참여도는 5가지 개인적 특성 요인들 중 4가지, 즉 자아존중감(r=0.38, p0<.001), 일상생활기술(r=0.41, p<0.001), 대인관계기술(r=0.44, p<0.001),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정도(r=0.25, p<0.001)와 정적으로 상관되어 있었다. 직업재활프로그램 참여 만족도는 5가지 개인적 특성 요인들 중 4가지, 즉 자아존중감(r=0.34, p<0.001), 일상생활기술(r=0.35, p<0.001), 대인관계기술(r=0.39, p<0.001),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정도(r=0.18, p<0.005)와 정적으로 상관되어 있었다. 5. 직업생활만족도에 관련요인에서 개인적 특성에서 고용주 · 동료지지, 지각된 사회적 낙인을 추가하였을 때, 설명변량은 9%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직업생활만족도는 개인적 특성 요인들 즉, 자아존중감, 일상생활기술, 대인관계기술, 문제해결능력, 스트레스 대처정도 등이 높을 때, 사회·환경적 변인들, 즉 고용주 · 동료지지가 높고, 지각된 사회적 낙인이 낮을 때 직장생활을 잘 영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프로그램에서 다양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고용주 · 직장동료들이 정신장애인에게 정신질환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지속적인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e about factors which affect mental disorders working life satisfaction an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hat is required to develop a program for mental disorders sustainable and stable working life. A predic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155 mental disorders who are registered in 6 mental health centers and 6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located in Pusan and Gyeongnam province, and maintaining occupation for more than 3 months. Data were collected for 3 weeks, from March 23 2009 to Aril 12, and the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by mental disorders themselves with a self-answering method. In addition, the data was analyzed for Frequency Distributio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15.0 program.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and job-related attributes, they were educated and have academic background more than high-school graduation, and taken Schizophrenia in their twenties while they were working. They are working in Shelter Workshop for Disabled with monthly salary less than 100 thousand KRW and constantly taking medicine to control symptoms. 2. The analyzed data showed that research targets have ±56.66 working life satisfaction score; ±37.70 self-esteem score: ±55.32 daily life skill score; ±46.71 interpersonal relations score; ±38.66 problem-solving ability score; ±29.01 stress responding skill score; ±35.98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participating score; ±29.70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satisfaction score: ±30.90 score of favorable relationship with employer and colleagues; and ±23.86 perceived social stigma score. Those average scores were higher than middle score of measurement for every variable, except perceived social stigma score. 3. Working life satisfact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5 personal characteristics factors of self-esteem(r=0.48, p<0.001), daily life skill(r=0.32, p<0.001), interpersonal relations(r=0.51, p<0.001), problem-solving ability(r=0.21, p<0.001), and stress responding skill(r=0.28, p<0.001), and also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ac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participation(r=0.36, p<0.001),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satisfaction(r=.42, p<0.001). In addition, working life satisfact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environmental variables of favorable relationship with employer and colleagues(r=0.48, p<0.001), however it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social stigma(r=-0.40, p<0.001). 4.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participat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4 personal characteristics factors among 5 and that is self-esteem(r=0.38, p0<0.001), daily life skill(r=0.41, p<0.001), interpersonal relations(r=0.44, p<0.001), stress responding skill(r=0.25, p<0.001).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satisfact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4 personal characteristics factors among 5 and that is self-esteem(r=0.34, p<0.001), daily life skill(r=0.35, p<0.001), interpersonal relations(r=0.39, p<0.001), stress responding skill(r=0.18, p<0.005). 5.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increased by 9% when personal characteristics factors of favorable relationship with employer and colleagues, and perceived social stigma were added to relevant factors of working life satisfaction.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presented that mental disorders can manage working life well when working life satisfaction has high personal characteristics factors of self-esteem, daily life skill,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olving ability, and stress responding skill, and when it has high social environmental variable of favorable relationship with employer and colleagues and low perceived social stigma.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mployee various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to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mental disorders and some sustainable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provide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mental disease by employer and colleagues to mental disordered.

      • 흡연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주승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흡연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지역에 소재한 일 정신병원에 DSM-Ⅳ-TR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입원한 흡연자 60명을 대상으로 한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설계이다. 자료수집은 2009년 2월 2일부터 2월 14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검사는 자율신경균형검사기(SA-2000E, Medi-core Co., Ltd., Seoul, Korea, 2001)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paired t-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SDNN은 흡연 전보다 흡연 후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흡연 전 24.22±9.98, 흡연 후 22.85±12.66 t=1.32, p=.189) 2) 대상자의 RMSSD가 흡연 전보다 흡연 후 감소하였다. (흡연 전 19.57±10.00, 흡연 후 17.56±10.53 t=2.68, p=.009) 3) 대상자의 Ln TP가 흡연 전보다 흡연 후 감소하였다. (흡연전 5.70±1.10, 흡연 후 5.51±1.07, t=2.05, p=.045) 4) 대상자의 Ln LF가 흡연 전보다 흡연 후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흡연 전 5.70±1.10, 흡연 후 5.51±1.07, t=1.32, p=.192) 5) 대상자의 Ln HF가 흡연 전보다 흡연 후 감소하였다. (흡연 전 3.91±1.31, 흡연 후 3.60±1.36 t=4.07, p=.000) 6) 대상자의 LF/HF ratio가 흡연 전보다 흡연 후 증가하였다. (흡연 전 2.04±2.28, 흡연 후 3.06±4.45, t=-2.13, p=.037)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의 흡연은 항정신병 약물복용 효와 더불어 적절한 자율신경계의 항상성 유지 메커니즘의 상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금연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심박변이도의 변화를 확인하는 지속적인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moking on heart variability in schizophrenic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The subjects were 52 males & 8 females in mental hospital in K province were appropriate to the standard of this study. study design used was one 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2 to 14 in 2009 by HRV (SA-2000E, Medi-core Co., Ltd., Seoul, Korea, 2001). Using the SPSS/WIN 15.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ercentage,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RV were recorded time domain parameter and freqeuncy domain parameter. 1) SDNN were not significantly lower post smoking than pre smoking. (24.22±9.98 vs 22.85±12.66, t=1.32, p=.189) 2) RMSSD were significantly lower post smoking than pre smoking. (19.57±10.00 vs 17.56±10.53, t=2.68, p=.009) 3) Ln TP were significantly lower post smoking than pre smoking. (5.70±1.10 vs 5.51±1.07, t=2.05, p=.045) 4) Ln LF were significantly lower post smoking than pre smoking. (4.12±1.40 vs 3.99±1.37 t=1.32, p=.192) 5) Ln HF were significantly lower post smoking than pre smoking. (3.91±1.31 vs 3.60±1.36, t=4.07, p=.000) 6) LF/HF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er post smoking than pre smoking. (2.04±2.28 vs 3.06±4.45, t=-2.13, p=.037)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causes decreased HRV in smokers who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ere is a need of quit smoking by use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smokers who are psychiatric patients. There should be further study on continuous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 자가간호 결핍 입원 노인을 위한 구강 간호 프로토콜 개발

        김태자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자가 간호 결핍 입원 노인환자의 효율적인 구강간호를 수행하는데 지침이 되는 표준화된 구강 간호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 절차는 병동 입원 노인 환자의 구강 간호 관련 국내외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와 프로토콜 및 가이드라인, 임상실무지침 등의 분석을 토대로 프로토콜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토콜 초안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노인 간호학 전문가 2인, 치의학전문의 1인, 노년내과 전문의 1인, 수간호사 1인, 병동 5년 이상 경력간호사 3인 등 총 8인의 내용 타당도 검증 및 실제 프로토콜을 사용할 병동 경력 1~10년의 간호사 4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타당도 검증 과정을 통해 프로토콜 초안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최종 프로토콜은 구강 사정과 분류, 환자 분류별 구강간호, 준비물품, 구강간호 준비, 구강간호 중재, 물품 정리 및 기록을 주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구강 간호 프로토콜은 표준화된 구강 간호를 위한 간호 교육의 방법으로, 근거 기반 간호 실무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방법론적인 의의가 있다. 또한 자가 간호 결핍 노인 환자의 구강 건강 상태를 조기 파악하여 흡인성 폐렴과 같은 합병증 예방 감소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내재화된 스티그마 관련 요인

        류경열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ternalized stigma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nd examine the factors relating to their internalized stigma. The participants were 174 males with alcohol dependence in the alcoholism ward of a mental hospital at Yeongcheon in Gyeongbuk.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4 2012, to October 30 2012,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nalized Stigma of Mental Illness Scale(KISMI), Rosenberg's Self- Esteem Scale (RES), Beck Depression Inventory Ⅱ(BDI-Ⅱ) and Hanil Alcohol Insight Scale (HA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are as follows: 1. Alcohol dependent patients' internalized stigma scores ranged from a minimum of 44 points to a maximum of 99 points, and the average internalized stigma score was 68.62 ± 8.87 points. 2. Internalized stigma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alcohol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 depending on age, previous three months’ working experience, and numbers of admissions to hospital. 3.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nalized stigma of the subjects and insight. However, depression and self-estee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4. The factors related to the subjects’ internalized stigma proved to be depression, age, number of admissions to hospital, and self-esteem. These factors explained 33% of the internalized stigma. Based on these results, coping plans and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self-esteem and reduce depression should be prepared to reduce alcohol dependent patients’ internalized stigma. Also, early intervention measures for people with alcohol problems should be sought. 본 연구는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내재화된 스티그마와 관련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내재화된 스티그마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북 영천지역의 일개 정신병원 알코올 전문 치료 병동에 입원한 남자 알코올 의존증 환자 174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2년 8월 4일부터 10월 30일까지 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정신질환의 내재화된 스티그마 척도, 한일 알코올 병식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Beck 우울 척도Ⅱ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알코올 의존증환자들의 내재화된 스티그마 점수는 최소감 44점에서 최대값 99점이었으며, 내재화된 스티그마 평균점수는 68.62 ± 8.87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음주 관련 특성에 따른 내재화된 차이는 나이, 최근 3개월 동안의 직업 경험, 입원 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내재화된 스티그마와 병식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우울, 자아 존중감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내재화된 스티그마 관련요인은 우울, 나이, 입원 횟수,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 모두가 내재화된 스티그마를 3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내재화된 스티그마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처방안 및 중재적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알코올 문제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조기 개입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호냉성 박테리아 ClpB protein의 과발현과 특성연구 : 저온에서의 ClpB의 기능 연구

        최애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호냉성 박테리아는 몇 가지의 분자 샤페론을 이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살아가는 게 가능하다. 이러한 샤페론들 중에서 ClpB protein은 AAA+ superfamily에 속해 있고, aggregated state에 있는 protein을 disaggregated state가 되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이 논문에서는 저온 적응을 위한 메카니즘을 조사하기 위해서 샤페론들 중에서 ClpB protein이 연구되었다. LA PCR과 Inverse PCR를 사용하여 호냉성 박테리아(KOPRI 22215)의 clpB genes의 알려지지 않은 genome 서열을 알아냈으며, clpB genes의 Cloning을 한 후에 ClpB protein을 E.coli에서 과발현시켜 저온 적응에서 ClpB protein의 역할을 연구하였다. 저온 적응에서의 ClpB protein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한 Spotting test를 통해 ClpB protein이 세포에 저온 처리를 했을 시에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sychrophilic bacteria are believed to survive against cold environment using several molecular chaperones. Among them, ClpB protein which belongs to the AAA+ superfamily and rescues protein from an aggregated stat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for cold adaptation. Using LA PCR and Inverse PCR, we have identified the clpB genes from unknown genome of psychrophilic bacteria (KOPRI22215). Cloning of clpB genes, overexpression of ClpB proteins in E. coli and cold adaptation by ClpB proteins are discussed.

      • 20대의 자기애성향, 대인관계지향성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20대를 대상으로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SNS 이용률이 가장 높은 20 대 2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기애 성격장애 척도 (NPDS), 내현적 자기애 척도 (CNS), 대인관계 지향성 척도 (FIRO-B), SNS 중독 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SNS 중독 경향성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의 각 변인들의 하위 요인과 함께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 SNS 중독 경향성은 각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외현적 자기애의 하위 요인 별 상관관계에서는 과장된 자기지각, 자기중심성이,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 요인 별 상관관계에서는 과민이, 대인관계지향성의 하위요인 별 상관관계에서는 통제 욕구가 SNS 중독 경향성과 가장 큰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 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SNS 중독 경향성의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하위 요인 별 로는 착취 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지향성은 SNS 중독 경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외현적 자기애의 하위 요인인 웅대성과 대인관계 지향성의 하위 요인인 소속 욕구, 통제 욕구, 정서 욕구가 SNS 중독 경향성의 하위 요인 중 가상세계지향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나타난 한계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이 광주광역시 지역의 20 대 남녀로 한정 되어 있어 지역적 특성이나 문화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후속 연구는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표집을 실시 하여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SNS 이용률이 가장 많은 20 대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지만 다른 연령층에서도 SNS 이용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SNS 중독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바탕으로 실시하여서 변인을 측정함에 있어 제한점이 있다. 설문 응답자들의 주관적인 상태, 반응 묵인과 일탈,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보다 타당도 높은 방법들을 사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살펴본 변인들 외에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을 SNS 중독 경향성과 연관 지어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SNS 중독 경향성과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