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 패션스타일 비교연구

        양샤오치엔 부산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한국과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을 연구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을 알아보고,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다. 셋째, 한국,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차이를 알아본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 사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은 인스타그램(www.instagram.com)을 선택하였고, 중국은 2013년에 설립된 샤오홍슈(www.xiaohongshu.com)를 대상으로하였다. SNS에서 검색어 'Fashion' '남성패션' '남성캐주얼' 로 2018년 4월부터 2020년4월까지 2년간에 나타난 남성패션사진을 802장을 수집하였다. 그 중 디자인이나 무늬가 불명확하거나 반복되는 사진을 제외하고, 디자인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최종 727장(한국 374장, 중국 353장)의 사진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기준은 관련문헌(이경희 & 이은령, 2017 ; 이경희의 2인, 2012)과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하여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패션디자인과 패션연출로 구분하였다. 패션디자인은 색채, 형태, 장식, 재질 등으로 구성하였고, 패션연출은 아이템, 코디네이션, 패션이미지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한국은 무채색 위주로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하의에서 검은색, 흰색이 많이 나타났다. 톤은 수수한 톤이 많이 나타났고, 배색은 콘트라스트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패션이미지는 클래식과 내추럴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다. 코디네이션은 토털 코디네이션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따라서 한국의 남성패션 스타일 기획은 무채색과 내추럴 이미지를 고려한 패션스타일을 한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둘째,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중국은 보라색과 초록색 등의 중성색이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유채색이 무채색보다 큰 비중을 차지했다. 패션이미지는 캐주얼과 액티브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다. 코디네이션은 토털 코디네이션이 많이 나타났다. 중국은 유채색을 많이 사용하고,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을 위한 남성패션 스타일기획은 유채색과 캐주얼 이미지를 고려한 패션스타일을 한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셋째, 한국, 중국의 SNS에 나타난 남성패션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하의 톤, 하의디테일, 상의 트리밍, 재질 등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색채, 실루엣, 무늬, 아이템, 코디네이션, 패션이미지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한국과 중국의 남성패션스타일은 색채, 이미지, 코디네이션에서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차이를 잘 활용한다면 한국과 중국의 남성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패션디자인 및 스타일기획의 차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 남성패션스타일, 조형적 특성, 패션이미지, 패션연출

      •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현지 부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서론 오늘날 1인 가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싱글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은 라이프 스타일에 맞게 진화하는 디자인을 필요로 한다. 1인 라이프 스타일 의 확산과 더불어 패션잡지는 여가시간을 즐기는 중요한 도구로써 광범위한 영향을 주고 있다. 패 션 잡지는 현 시대의 사회문화적 현상 및 패션트렌드를 반영하며 대중과 패션 사이의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실용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 할 수 있다(김선영, 2013).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패 션잡지표지는 감성적 가치뿐 아니라 독자와의 소통의 시너지를 가미하는 새로운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패션잡지의 얼굴인 패션잡지표지는 고급 감성의 패러다임 속에 다양한 새로운 감성적 가치를 담아내고 있다. 또한 패션잡지표지에는 감성적인 내면을 패션으로 승화하는 모델뿐만 아니라 표지 일러스트를 통해 패션잡지의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고 있다. 패션잡지표지와 관련된 선행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잡지이미지(전가경, 2017 ; 조유경, 2016 ; 송민정, 변상경, 2015), 시각적 표현요소 (문경나, 2016 ; 박지현, 김인성, 2015 ; 최재균, 2013), 패션잡지표지색채(이나현, 신혜영, 2016 ; 김 선영, 2007), 패션잡지표지이미지(권지안, 임은혁, 2015 ; 김은정, 곽태기, 2012) 등에 관한 연구가 이 루어져 왔다. 그런데,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패션잡지표지디자인에 표현된 감성적 가치를 조형적 인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패션잡 지표지디자인에 담긴 시대적 감성적 가치를 조형적 특성과 연도와 시즌에 따른 변화를 알아봄으로 써 새로운 패션잡지표지 디자인 기획 및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 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패션잡 지표지에 나타난 시각디자인의 특성을 알아본다. 셋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연도와 시즌에 따른 변화를 알아본다. 넷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일러스트 어휘를 통해 감성적 가치를 알아본다. 2.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여성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의 조형적 특성, 시각디자인 특성, 연도와 시즌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6년간의 국내 라이선스 매거진인 엘르코 리아, 보그코리아, 더블유코리아에 나타난 패션잡지표지의 사진 216장을 모아진, CEO international, 구글이미지 등에서 수집하여 SPSS 23 통계기법의 빈도분석, 백분율, 차이검정(χ 2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문헌(이경희, 이은령, 2017 ; 이경희, 김윤경, 김애경, 2012)을 참고로 패션의 조형적 특성, 시각디자인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패션의 조형적 특성은 패션디자인과 패션연출로 구분하였 다. 패션디자인은 색상, 형태, 재질, 패션이미지로, 패션연출은 악세서리 수, 메이크업 색채, 메이크 업 이미지, 헤어색채, 헤어스타일, 모델이미지로 나누었다. 표지특성은 색채와 레이아웃으로 구분하였다. 색채는 로고 타이포그래피 색채, 일러스트 색채, 배경 색채, 배경 색채 배색 수, 배경 색채 배 색 기법으로, 레이아웃에서는 일러스트 어휘 레이아웃, 모델 사진 유형으로 나누었다. 3. 결과 및 고찰 1)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의 조형적 특성 엘르는 X자형 실루엣, 엘레강스 이미지 등이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여성스러움을 적극적으로 어필하고 있었다. 보그는 120여년 전통의 권위있는 패션매거진인 만큼, 시크하고 매니시하며 모던 한 감성을 많이 표현하였다. 더블유는 창의적인 비주얼로 차별화되는 하이패션을 지향하기에 아방 가르드한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2)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시각디자인의 특성 엘르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광고를 지향하는 것에 비해 잡지 배경 배색 수와 배경 배색 기법은 다 양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보그는 팽창색인 난색계열의 타이포그래피, 배경 배색 기법은 톤온톤 사용을 통해 창의성과 유니크함을 표현하였다. 더블유는 배경 색과 배경 배색기법은 그라데이션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색감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내 최대 판형과 고품질의 용지에 담아낸 혁신적인 비주얼을 통해 가장 고급스럽고 독창적인 패션 매거진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연도와 시즌에 따른 변화 연도에 따라 세 잡지 모두 매년 사각형 실루엣, 왼쪽과 중앙 순으로 배치된 일러스트 어휘가 많이 나타났다. 시즌에 따라 아방가르드 패션이미지가 모든 시즌에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났고, 로고 타이포그래피 색채는 주로 난색계열, 모델사진유형은 주로 전신사진이 많이 나타났다. 4)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일러스트 어휘 분석 엘르는 사랑, 행복, 도전 등의 어휘를 통해 핵심키워드 사랑, 혁신이 도출되었다. 보그는 표효, 키 (key), 강렬 등의 어휘를 통해 핵심키워드 키룩, 품평이 도출되었다. 더블유는 현재, 격전지 등의 어 휘를 통해 핵심키워드 도전, 재구성, 전문성이 도출되었다. 4. 결 론 첫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엘르는 여성스럽고 엘레강스한 특성이, 보그는 모던, 시크, 매니시한 특성이, 더블유는 아방가르드한 특성이 두드러졌다. 둘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표지디자인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더블유는 가장 다양한 색감을 사용하여 독창적인 이미지 특성이 나타났다. 엘르와 보그는 비교적 단조로운 배경 색과 배경 배색 수를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모던하고 심플한 현대적 감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연도와 시즌에 따른 변화를 알아본 결과, 매년 사각형 실루엣, 왼쪽 에 위치한 일러스트 어휘, 아방가르드 패션이미지, 난색계열 로고 타이포그래피 색채, 전신사진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일러스트 어휘를 알아본 결과, 엘르는 사랑스러운 어휘들이 여성스 러운 이미지로, 보그는 강렬한 어휘들이 시크, 매니시 이미지로, 더블유는 도전적인 어휘들이 아방 가르드 이미지로 승화되어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세 잡지 브랜드 모두 독자들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한 강력한 첫인상과 유혹적인 정체성 표현들과 창의적인 노력들이 패션잡지표지의 특성으로 잘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Introduction New lifestyles of singles are attracting attention these days with the sharp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se new lifestyles require designs that evolve to suit those lifestyles. With the stream of times, new changes are observed in fashion magazine coverswhere the synergy of communication with readers as well as sensitivity and value are added to the existing functions of fashion magazin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and research of new fashion magazine cover design by investigating the formative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sensibilities and values of the timesreflected in fashion magazine cover design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examin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reflected in fashion magazine covers; second, to examine the features of cover design in fashion magazine covers; third, to determine the fashion trends reflected in the fashion magazine covers. 2.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cover design characteristics and fashion trends reflected in women’s fashion magazine covers, a total of 216 cover photographs that appeared in domestic licensed fashion magazines including Elle Korea, Vogue Korea and W Korea fashion magazine for the last 6 years from 2011 to 2016 were collected from Moazine, CEO International, Google Images, etc. The cover photographs collected wereanalyzed using the statistics techniques of SPSS Statistics 23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d Chi-square test. The analysis criteria applied in this study were magazine, year, season, fashion characteristic, and cover characteristics with reference to previous literature (Lee and Lee, 2017; Lee, Kim and Kim 2012). The fashion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clothing characteristics and presentation characteristics.For the clothing characteristics, color, form, material, fashion image, and coordination were considered, while, for the presentation features, the number of accessories, make-up color, make-up image, hair color, hair style and model images were analyzed. The cove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terms oftypography color, illustration color, background color, and the number and techniques of color scheme used in the background color, while elements other than color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layout of illustrated letters and type of model pictures. 3. Results and Discussion 1)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Reflected in Fashion Magazine Covers In the case of Elle magazine, frequent use of X - shaped silhouette and elegant imagesin the covers suggested that themagazine makes a stronger appeal of femininity compared with other brand magazines. In the case of Vogue magazine, it was found that the covers frequently express chic, manish and modern sensibilities as the magazine has the highest authority in fashion magazines with more than 120 years of tradition. As for W Magazine, it was found that the covers are effectively expressing avant-garde images with clothing and models to aim for a high fashion magazine differentiated from other magazines through creative visuals. 2) Characteristics of Cover Design Reflected in Fashion Magazine Cover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lle pursuesdiverse display advertisements butlacks variety in terms of the number and techniques of color scheme used in the cover background. As for Vogue, which aims for creative visuals and uniqueness, it was found that these goals are expressed through frequent use of typographies in expansive colors such as warm-tone colors and tone-on-tone coloring technique for the background coloring. In the case of Wmagazine, a variety of colors were being used by applying gradation for background coloring and technique. Thus, it was found that W is establishing itself as the top high-class and unique fashion magazine through innovative visuals reflected in the biggest format and high-quality paper in the country. 3) Changes in year and season in the cover of fashion magazines According to the year, each of the three magazines had a square silhouette every year, and an illustration vocabulary arranged in the order of left and center. According to the season, avant - garde fashion image was common in all seasons, logo typography color was mainly in the color of the whites, and model photograph type was mainly in the whole body. 4) Illustrative lexical analysis shown on the cover of fashion magazines Elle has derived core keyword love and innovation through vocabulary such as love, happiness, and challenge. Vogue was born out of the core keyword "KIRUK", "KURUKU", through vocabulary such as flute, key, and intensity. W. Now, core keyword challenge, reconstruction, and expertise are derived through vocabulary such as battlefield. 4. Conclusion First, findings from examin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 fashion magazine covers are as follows: Elle showed feminine and elegant characteristics. Vogue featured modern, chic, and manish characteristics while W featured avant-garde characteristics. Second, findings from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over design in fashion magazines are as follows: W showed a unique image using the most varied colors in the cover design. On the other hand, Elle and Vogue used relatively smaller number of color schemes in the cover background presenting monotonous background, through which simple and modern sensibilities are convey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according to the year and season shown on the cover of fashion magazine, it was found out that many silhouettes of squares, illustration vocabulary on the left side, avant - garde fashion image, color logo typography. Fourth, as a result of studying the illustration vocabulary shown on the cover of fashion magazine, it is found that Elle is a lovely vocabulary with a feminine image, Vogue is a vocabulary with intense vocabulary, Sick, Manish image, and Written Vocabulary is sublimated into Avantgarde image Could know.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fforts of the three magazine brands to show a strong first impression and seductive identity enough to attract the readers are well represen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magazine cover

      •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수행도

        김은지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노인간호수행도를 확인하고, 노인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자료는 S시에 소재한 S상급종합병원의 노인환자 비율이 높은 병동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수집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 115부를 배부하였고, 114부가 회수되어 그 중 응답이 1문항 이상 미비된 5부를 제외하고 총 109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9월 27일부터 10월 2일까지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에 대한 지식은 Dikken 등(2017)이 개발한 Knowledge about Older Patients Quiz(KOP-Q)의 영문판을 저자에게 도구 사용에 대한 허락을 받아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노인에 대한 태도는 Sanders 등(1984)이 개발하고 임영신(2002)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노인간호수행은 김혜은(2009)이 간호수행 관련 선행연구도구와 관련 문헌을 기초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은 총점 30점 만점에 평균 22.50점(±2.14)으로 정답률 75%였다. 2.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총점 140점 만점에 평균 87.17점(±12.25)으로 중립적인 범위(70~90점)내에서 약간 부정적인 쪽으로 기울어져 있었다. 3. 간호사들의 노인간호수행도는 총 265점 만점에 평균 200.50점(±24.99)이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없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정도는 결혼 상태와 근무부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기혼인 간호사가 미혼인 간호사에 비해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며, 외과계 병동 간호사가 내과계 병동 간호사에 비해 노인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간호수행도는 근무부서와 부서 내 역할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 내과계 병동 간호사가 중환자실 간호사에 비해 높은 간호수행도를, 일반간호사에 비해 책임간호사와 교육간호사가 높은 간호수행도를 보였다. 7.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수행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 간호사들의 노인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서 내 역할(p=.003)과 근무부서(p=.00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노인간호수행의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노인간호수행의 상관관계와 노인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노인간호수행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대추야자 페이스트를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이지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Yanggaeng that can satisfy the health-oriented needs of consumers using date palms, which are rich in fiber and have high levels of anti-oxidative activity. Yanggaeng was manufactured by adding 50, 60, 70, 80, 90, and 100% of date palm paste to water according to weight. The moisture content of Yanggaeng containing date palm past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8.18~31.60% according to how much date palm paste was added. The pH (5.68~5.85) and sugar content (6.30~6.63) of the Yanggaeng appeared to decrease the more paste was added. L values (32.63~35.39) of Yanggaeng chromaticity measurements appeared higher in samples with low content and significantly lower as paste content increased. A values (-3.31~-2.19) appeared to decrease as date palm paste content increased and when 90% or more date palm paste was added, they increased again, so there were no uniform tendencies according to date palm paste content. B values (7.80~10.23) did not show uniform tendencies according to date palm paste content. In mechanical texture measurements of Yanggaeng, hardness, gumminess, and springness appeared high in samples with the highest date palm paste content and they increased significantly as paste content increased and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hesiveness among samples, no uniform tendencies appear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with regard to adhesiveness, chewiness, and cohesiveness. In sensory tests of Yanggaeng containing date palms, preference tests showed that taste preferences towards Yanggaeng with an 80% date palm paste content and general preferences were high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with regard to appearance, smell, and texture preferences. In tests of characteristic differences, color intensity, date palm flavor, date palm taste, and after taste appeared strongest in the 100% date palm paste content group and these characteristics decreased significantly as date palm paste content decreased. Gloss, moistness, and graininess appeared strongest in the 50% paste content group and decreased as paste content in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with regard to sweetness, hardness, springness, chewiness, and stickiness. These results overall show that when Yanggaeng containing date palm paste is manufactured, Yanggaeng with 80% paste generally shows the best sensory preference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조채윤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0부터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 이하 KCYPS) 2016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패널 7차년도(2016)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남학생 851명과 여학생 78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경로분석에는 AMOS 21 for windows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또래의사소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자아 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 자아존중감, 또래의사소통에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로분석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대하여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즉,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는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 또래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자아존중감과 또래의사소통을 매개로하여 학교생활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 및 청소년의 발달과 상담에 있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의미한다.

      •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임지연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인들은 수명이 길어진 만큼 좋은 삶을 살기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다. 그러나 죽음은 일상에서 분리되어 회피의 대상이 되었다. 죽음의 형태가 질병사, 사고사, 자살, 타살 중 어떤 것이든, 평온한 죽음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한 사회가 죽음을 어떻게 정의하느냐 하는 문제는 그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좋은 죽음 개념에 대한 윤리학적 성찰을 통해 죽음과 삶은 동떨어진 별개의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새롭게 인식하게 해주는 계기로서 좋은 죽음의 의미에 대해 재구성을 시도하려고 한다. 나의 삶과 죽음의 가치를 회복하고 나아가 타인에 대한 고려까지 확장시킨다면 죽음회피 현상과 참혹하게 마주하게 되는 죽음의 장면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사회에 팽배한 죽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고 삶의 가치를 찾아가려는 지점을 니체(Friedrich Nietzsche)의 ‘운명애’ 개념에서, 타인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레비나스(Emmanuel L?vinas)의 ‘타자의 얼굴’ 개념에서 살펴본다. 니체에 따르면, 세계는 영원히 똑같이 반복되며 여기서 생기는 허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사랑할 수 있는 운명을 창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은 위버멘쉬(?bermensch)가 되어야 한다. 한편, 레비나스는 타인의 존재를 ‘얼굴’로 표현하였다. ‘타인의 얼굴’을 통해 인간이 윤리적으로 행동하도록 호소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처음으로 이 두 개념을 통합하여 생의 차원에서 좋은 죽음으로서의 ‘윤리적 죽음’의 의미를 도출하려고 시도한다. 결국 좋은 죽음이란 개인의 실존적 의미를 통해 자아실현하고 삶의 방식을 성찰하며, 타인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포함하는 ‘윤리적 죽음’이다. 좋은 죽음은 곧 좋은 삶을 살았다는 결실이다. 따라서 좋은 죽음의 개념을 생의 차원에서 정립하고 ‘윤리적 죽음’으로 의미부여하는 것은 나의 삶에서 가치를 창조하고, 타인의 삶까지 고려하도록 만들고 나아가 인간성을 회복할 수 있게 해준다.

      • 사회불안 경향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이소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회불안 경향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위한 사회불안 감소를 위한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은 긍정정서 확장 및 축적 이론을 토대로 11회기로 구성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추후 시계열의 유사실험 설계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2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G시 일개 대학 1, 2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20명, 대조군 19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와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및 Mann Whitney U-test를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은 repeated measured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정서경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 결과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 실시 후 긍정정서는 시간의 경과(F=6.82, p=.002)와 집단과 시간 경과의 교호작용(F=11.4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부정정서는 시간의 경과(F=3.19, p=.048)와 집단과 시간 경과의 교호작용(F=3.12, p=.049)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 2가설: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인관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 실시 후 대인관계는 시간의 경과(F=9.73, p<.001)와, 집단과 시간 경과의 교호작용(F=14.87,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3) 제 3가설 :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 실시 후 회복탄력성은 시간의 경과(F=12.85, p<.001)와, 집단과 시간 경과의 교호작용(F=11.98,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4) 제 4가설 :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회불안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 실시 후 사회불안은 집단 간 (F=11.62, p=.002), 시간의 경과(F=4.65, p=.016)와, 집단과 시간 경과의 교호작용(F=3.97, p=.02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긍정정서 강화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긍정정서 향상, 대인관계 향상, 회복탄력성 향상 및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저학년 사회불안 경향이 있는 간호대학생에게 비교과과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 검토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positive emotions reinforcement program to reduce social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prone to it and to verify potential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The consists of 11 sessions positive emotions einforcement program is based on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This study uses a quasi-experimental time-series design of before, after, and follow-up of the interventio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between February to May 2019, and subjects were freshmen and sophomores of a university in G city; twenty subjec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from the control group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the software SPSS/WIN 22.0 was used, and the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Mann Whitney U-test were conducted as a pre-homogeneity test. To validate the study’s hypothesis, repeated measures ANCOVA. The study results are outlined as follows: 1)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ositive emotion reinforcement program and the non-participating control group will have different emotional experiences with the progress of time.' As a result, after the positive emotion reinforcement program was implemented, the positive emo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passage of time (F=6.82, p=.002)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ime (F=11.43, p<.001), negative emo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ssage of time (F=3.19, p=.048)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ime (F=3.12, p=.049). Therefore, hypothesis 1 was accepted. 2)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ositive emotion reinforcement program and the non-participating control group will have differ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 progress of tim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ssage of time (F=9.73, p<.001)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ime (F=14.87, p<.001) after the positive emotion reinforcement program. Therefore, hypothesis 2 was accepted. 3)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ositive emotion reinforcement program and the non-participating control group will have different in the resilience with the progress of tim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ilience between the passage of time (F=12.85, p<.001)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ime (F=11.98, p<.001) after the positive emotion reinforcement program. Therefore, hypothesis 3 was accepted. 4) Hypothesis 4: ‘The social anxiet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ositive emotions reinforcement program will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ith the progress of tim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anxiety between the group (F=11.62, p=.002), passage of time (F=4.65, p=.016)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ime (F=3.97, p=.028) after the positive emotion reinforcement program. Therefore, hypothesis 4 was accep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sitive emotions reinforcement program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enhance positive emotions, reduce negative emotions,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crease resilience, and reduce social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e program can be considered as a measure that can be utilized as a non-curriculum course for social anxiety-prone nurs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