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統一新羅時代 三陟郡 領縣의 位置에 대한 考古學的 硏究

        오병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uses archaeological materials on Unified Silla Samcheok-gun Yeong-hyeon(領縣). The boundary of Unified Silla Samcheok-gun greatly differ from the present one, and the details can be judged through the locations of surrounding Yeong-hyeon(領縣) in geographical descriptions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and in ancient map in Joseon era, it is concretely specified as north Gal-lyeong. Within this spatial range, for Yeong-hyeon(領縣) to be located, traffic routes should be secured through stream, strategic point, land route and waterway in more than a certain size, and most large stream areas satisfied this requirement, and it is estimated Yeong-hyeon(領縣) was formed centering around this area. Yeong-hyeon(領縣) played an intermediate base role formed in the north route of Silla before unification,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gradually settled down as Samcheok-gun Yeong-hyeon(領縣) after unification. The geographical descriptions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shows four locations of Yeong-hyeon(領縣): Wugye-hyeon, Haeli-hyeon, Mangyeong-hyeon and Jugeulyeong-hyeon. The location of each -hyeon is not known except for Wugye-hyeon, and other literatures also record the locations of the Yeong-hyeon(領縣); however, the details are not consistent, so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m clearly.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se records and opinions studied in this paper, it is assumed that Wugye-hyeon was in Jusu stream (Gangneung Okgye) area; Haeli-hyeon, in Maeup stream (Samcheok-si Geundeok) area; Mangyeong-hyeon, in Gagok stream (Samcheok Wondeok-eup) area; and Jugeulyeong-hyeon, in Golji stream (Samcheok Hajang-myeon) area.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archaeological site centering around each Yeong-hyeon(領縣) Bijeongji(比定地), in Wugye-hyeon, Wugye mountain castle, Geumjin-ni tomb site, Jusu-ri tomb site and Silla pottery sites are identified, and by accessories found in the Jusu-ri tomb site, the existence of the then powers could be assumed, and as the location of Wugye-hyeon is consistent in several literatures, it is not wrong to judge that the current Gangneung Okgye area was Wugye-hyeon’s Chisoji(治所地). Haeli-hyeon area is known to have Silla castles such as Maengbang castle and Gwangtae-ri castle. Among them, record in Heomok’s Cheokjuji on Maengbang castle shows that the area is the Hyeon’s Chisoji(治所地) and that Maengbang castle may be its Chisocastle(治所城). In addition, from the second tomb of Gungchon-ni tomb site, relics of powers such as gilt bronze earrings were excavated, which is considered a strong man’s tomb. Besides, Silla pottery and numerous relic sites found in the process of excavation, too, makes one to assume that this area is a major residential area of the people of Silla. In Mangyeong-hyeon area, Okwon castle and Hosan-ni sacred place are identified. In Okwon castle, there is no relic related to Yeong-hyeon found while in Hosan-ni sacred place, tiles with the inscription, ‘Samcheok-gun’ was found, so the remains are assumed to have been government offices, and wrinkle pattern jar, Gaewontongbo and dense wave pattern line earthenware and unified Silla roof tiles allows us to backdate the use of this castle site to Unified Silla era. In addition, Okwon-ni tomb site tomb site, Hosan-ni tomb site and Silla relic sites show that the people of Silla were formed a residential group in this area. Thus, it is judged that Gagok stream area is very likely to be Mangyeong-hyeon’s Chisoji(治所地), and Hosan-ni sacred place, to be its Chisocastle(治所城). For Jugeulyeong-hyeon, as Sukam-ni mountain fortress and barrier properties, which are judged to be Silla castle were found in Bijeongji(比定地), Golji stream area, it is assumed to be a Silla castle built at the traffic point from Yeongseo to Yeongdong. Even though it is spatially narrow compared to Yeong-hyeon(領縣) Bijeongji(比定地) located at the eastern coast of Korea Bijeongji(比定地), possibility of being a Chisoji(治所地) with a gateway character cannot be excluded. In addition, in that there is a sign of connections to Jugeulyeong in this area, it was corrected as Samcheok-gun Jugeulyeong-hyeon’s Chisoji(治所地). However, no excavation of the remains has been done,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make a definite conclusion. Thus, each Yeong-hyeon(領縣)’s Chisoji(治所地) is organized as follows: Wugye-hyeon’s is Gangneung Okgye area where Jusu stream flows; Haeli-hyeon’s, Samcheok Geundeok-myeon Gyoka-ri where Maeup stream flows; Mangyeong-hyeon’s is Samcheok Wondeok-eup Okwon-ni tomb site and Hosan-ni area where Gagok stream flows; and Jugeulyeong-hyeon’s is Samcheok Hajang-myeon area where Golji stream flows. Among them, the locations of Wugye-hyeon and Mangyeong-hyeon are judged to be confirmed while that of Haeli-hyeon is very likely to be in Geundeok-myeon Gyoga-ri area and that of Jugeulyeong-hyeon is assumed to be in Samcheok Hajang-myeon area, bu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at since still there is no clear ground. 본 연구는 통일신라시대 삼척군 영현의 위치에 대해서 고고학적 자료를 활용한 연구이다. 통일신라시대 삼척군의 영역범위는 지금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에 관한 내용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나타나는 주변 영현의 위치를 통해 판단할 수 있으며, 조선시대 고지도에는 갈령 이북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적 범위 안에서 영현이 입지하기 위해서는 일정규모 이상의 하천, 군사적 요충지, 육로 및 수로를 통한 교통로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주로 큰 하천 일대는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고 있었으며, 이 지역을 중심으로 영현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현은 통일 이전 신라의 북방진출로에 형성된 중간거점 역할을 하였으며, 통일 이 후 점차 삼척군 영현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생각된다. 영현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4개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각각 우계현(羽溪縣), 해리현(海利縣), 만경현(滿卿縣), 죽령현(竹嶺縣)이다. 각 현의 위치는 우계현을 제외하고 미상으로 전하며, 이 외의 문헌에도 영현의 위치를 기록하고 있으나 내용이 일관되지 않아 명확히 확정하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록과 연구된 견해를 살펴본 결과, 우계현은 주수천(강릉시 옥계) 일대, 해리현은 마읍천(삼척시 근덕) 일대, 만경현은 가곡천(삼척시 원덕읍) 일대, 죽령현은 골지천(삼척시 하장면) 일대인 것으로 추정된다. 각 영현 비정지를 중심으로 고고유적을 살펴본 결과, 우계현은 일대에 우계산성과 금진리고분군, 주수리고분군 및 신라토기산포지가 확인되고, 주수리고분군에서 확인된 장신구는 당시 유력자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으며, 여러 문헌상에 우계현의 위치가 일관되게 전하고 있으므로 현재의 강릉 옥계 지역을 우계현의 치소지로 판단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여겨진다. 해리현은 일대에 맹방고성과 광태리고성이 신라시대 성곽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맹방고성과 관련한 ?척주지?(허목)의 기록은 이 일대가 현의 치소지이며, 맹방고성이 그 치소성일 가능성이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궁촌리고분군이 있는데,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 중 2호 고분에서는 금동이식과 같은 위세품이 출토되어 유력자의 무덤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밖에 발굴조사 과정에서 확인되는 신라토기와 다수의 유물산포지 또한 이지역이 신라인들의 주요 거주처임을 추정하게 한다. 만경현은 일대에 옥원성과 호산리성지가 확인된다. 옥원성에서는 영현과 관련한 유물을 확인할 수 없으나 호산리성지에서는 ‘삼척군’이라 쓰여진 명문와가 확인되어 유적의 성격이 관아의 성격으로 추정되며, 주름무늬 병, 개원통보, 밀집파상문 계열의 토기와 통일신라 기와 등은 이 성지가 활용된 시기를 통일신라시대까지 소급할 여지를 준다. 이 밖에 옥원리고분군과 호산리고분 및 신라유물산포지는 이 일대에 신라인 거주집단이 형성되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가곡천 일대는 만경현의 치소지이며, 호산리성지는 그 치소성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죽령현은 비정지인 골지천 일대에서 신라성곽으로 판단되는 숙암리산성 및 차단성이 확인되어, 영서에서 영동으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에 축성된 신라성인 것으로 추정된다. 비록 동해안에 위치한 영현 비정지에 비해 공간적으로 협소하나 관문적 성격의 치소지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이 일대에 죽령과 연관된 지명이 있다는 점에서 삼척군 죽령현의 치소지로 비정하였다. 그러나 유적의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로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 따라서 각 영현의 치소지는 우계현의 경우 주수천이 흐르는 강릉시 옥계지역, 해리현은 마읍천이 흐르는 삼척시 근덕면 교가리, 만경현은 가곡천이 흐르는 삼척시 원덕읍 옥원리 및 호산리지역, 죽령현은 골지천이 흐르는 삼척시 하장면 지역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 중, 우계현과 만경현의 위치는 확실한 것으로 판단되며, 해리현의 위치는 근덕면 교가리 일대일 가능성이 크고, 죽령현의 위치는 삼척시 하장면 일대로 추정되나 아직까지 명확히 할 근거가 부족하여 확정하기 어렵다.

      • 朝鮮時代 鬱陵島 搜討 硏究

        辛泰勳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朝鮮時代 鬱陵島 搜討 硏究 신 태 훈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울릉도 수토에 관한 종합적 연구이다. 조선정부는 1403년 이후 왜구의 피해를 우려하여 울릉도에 사람을 살지 못하게 하는 정책을 펼지지만 계속해서 사람들이 울릉도로 가자, 울릉도에 관리를 파견해서 이들을 쇄출했다. 1416년에 처음 ‘무릉등처안무사’를 파견하면서 조선 정부는 울릉도를 관리해 왔고 이것을 울릉도 수토의 기원으로 볼 수 있다. 세종대에서 성종대에 이르기까지 울릉도에 파견되는 관리의 명칭은 시대에 따라 달라졌고, 그에 대한 성격도 조금씩 바뀌었다. 1438년 무릉순심경차관으로 바뀌며 울릉도에 들어간 사람들에 대한 실질적인 처벌을 했다. 또 사람들은 울릉도의 명칭을 요도 혹은 삼봉도라고 부르기도 했다. 성종대에 이르면 ‘삼봉도초무사’라는 직함과 절목을 만들어 울릉도를 적극적으로 관리했다. 이러한 울릉도 수토는 안용복 사건 이후 1694년 장한상 때부터 제도화되어 1894년까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행되었다. 시기별로 1694년부터 1765년까지는 3년에 1번 시행했고, 5년 공백 후에 1770년부터 1887년까지는 2년에 1번, 1888년부터 1893년까지는 매년 수토를 시행했다. 수토관 일행의 규모는 처음에는 150명에 6척이었으나 이후 1725년에 100명으로 줄고, 1786년에 이르면 80명에 배 4척으로 줄어들었다. 이후 1887년 박태원 수토에는 40명에 2척으로 줄어들기도 했다. 수토의 물자에 대해서는 영남과 강원도가 반씩 부담하기로 정하여 영남에서는 영해부에서 물자를 모아 평해군 구산포로 이동하였다. 수토관들은 울릉도에 가서 울릉도 지세와 거주민들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울릉도 도형을 그리고 그 결과를 성책을 만들어 보고했다. 수토관의 수토절차 및 과정에 대해서는 일부 남아있는 ‘수토기’를 통해서 알 수가 있다. 수토관이 수토하는 것과 별개로 수토 비용을 마련하는 것에는 관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많은 부담이 있었는데 관에서는 환곡미를 내어 주어 이를 보충하고자 했다. 민간에서는 삼척주민의 경우 별도의 수토미를 내어 수토 비용에 보탰고, 구산포 주민은 구산포를 드나드는 상선에게 세금을 거둬 이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울릉도 수토는 1416년 ‘무릉등처안무사’ 파견을 기원으로 시작했고, 안용복 사건을 계기로 확립되어 1694년 장한상의 파견 때부터 1894년까지 주기성 있는 제도로서 운영되어 왔다. 그리고 1883년부터는 울릉도 개척이 시작되면서 개척지 및 신규유입 인구 파악이라는 역할이 추가되었다. 이상으로 볼 때 울릉도 수토는 조선시대 전 기간을 통해 운영된 영토관리정책으로 볼 수 있다. □ 핵심주제어 울릉도 수토, 수토제, 수토관, 수토과정 및 절차, 임무, 수토 비용, 수토유적 Study of the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ae-Hoon Shin Department of histo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Joseon government adopted a policy that would forbid human habitation on Ulleung-do Island, concerned about damage from Japanese raiders since 1403; however, people kept going to Ulleung-do Island, so it searched them out by dispatching an official there. The Joseon government had supervised Ulleung-do Island, dispatching ‘Mureungdeungcheoanmusa’ for the first time in 1416, which can be considered the origin of the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The name of the official dispatched to Ulleung-do Island had been changed with the times from the reign of King Sejong through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nd its character had been changed little by little, accordingly. As it was changed into Mureungsunsimgyeongchagwan in 1438, substantive punishment was imposed on the people who entered Ulleung-do Island. In addition, people called Ulleung-do Island Yo-do Island or Sambong-do Island.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the government set up the title and section of ‘Sambong-do Chomusa’ to actively supervise Ulleung-do Island. Such an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had been institutionalized since 1694 at the time of Jang Han-Sang after the incident of Ahn Yong-Bok and implemented at a certain interval till 1894. By period, from 1694 through 1765, it was implemented once every three years. After a break of five years, the inspection was conducted once every two years from 1770 through 1887, and it was carried out every year from 1888 through 1893. The scale of the official inspector was at first 150 persons and six boats. It decreased to 100 persons in 1725, and it decreased to 80 persons and four boats in 1786. Later in 1887, it further decreased to 40 persons and two boats in the inspection by Park Tae-Won. Yeongnam Province and Gangwon-do Province decided to go half and half for supplies for the inspection, and Yeongnam Province gathered supplies in Yeonghae-bu and moved them to Gusan-po Port in Pyeonghae-gun County. The government dispatched official inspectors went to Ulleung-do Island and assessed its topography and residents to draw a map of Ulleung-do Island, and reported the findings in book form. The inspection processes and procedures by the official inspector can be known through the ‘Records of Inspection (Suto-gi)’ that remain. Separately from the inspection by the official inspector, there was much pressure on the private sector as well as the government to prepare inspection costs, the government would make up for this by giving out rice for lending. In the private sector, residents in Samcheok added to the inspection cost by contributing separate rice for inspection while those in Gusan-po Port collected taxes from the merchant ships frequenting Gusan-po Port to use for this. Like this, the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originated from the dispatch of ‘Mureungdeungcheoanmusa’ in 1416, was established with the incident of Ahn Yong-Bok as a momentum and had been operated as a periodic system since the dispatch of Jang Han-Sang in 1694. In addition, as the pioneering of Ulleung-do Island began, the roles of understanding the reclaimed land and newly incoming populations had been added since 1883. Judging from the above, the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can be considered a territorial management policy operated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 Key words Inspection of Ulleung-do Island, Inspection system, Official inspector, Inspection processes and procedures, Duties, Inspection cost, Inspection remains

      • 고려시대 春州 연구

        김동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고려시대 春州연구 고려시대 지방제도 운영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각 군현(郡縣)의 연혁을 검토해보면, 해당 지역의 변화발전상과 지역적 위상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고려시대 춘천의 옛 지명인 춘주(春州)의 지방제도 정비·발전과정에 따른 변화상과 특징을 검토한 연구이다. 춘주(春州)는 고려 태조(太祖) 23년(940)에 주(州)·부(府)·군(郡)·현(縣)의 명호를 개정할 때 생긴 읍호였다. 춘주는 수도인 개경의 동쪽 방면에 위치한 고을로 동쪽은 오행설(五行說)의 ‘봄’에 해당되므로, 고을명칭에 ‘춘(春)’자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유력한 호족세력인 박유가 태조에게 협조하면서 지역중심지로서의 주(州)로 인정받은 것이기 도 했다. 이러한 춘주는 고려초기에는 대체로 삭방도(朔方道)에 소속되어 동북면지역의 일부로 존재하였고 중·후기 이후에는 점차 민사적인 남도화(南道化) 되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 춘주를 중심으로 한 춘주도(春州道)는 본래 동계의 일부인 감창사(監倉使) 파견단위의 도(道)였으나 이후안찰사가 파견되는 도(道)로 개편되어 5도의 하나를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도(道)의 명칭에는 도내 중심지의 읍호를 중심으로 하는 경우가많으므로 춘주도의 명칭을 통해 춘주의 위상을 엿볼 수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춘주가 11개의 속현(屬縣)을 거느리는 주현(主縣)이되어 지역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지니고 있었다는 점이다. 즉, 춘주에는단련사(團練使), 지주사(知州事), 도호부(都護府), 다시 지주사(知州事)로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도 읍격에 맞는 외관이 상주하는 거점지역이 되어 가평군(嘉平郡) 이하 11개의 속현을 관할하였다. 춘주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지역지배와 군사적 측면을 고려한 소속관계가 형성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거란유종(契丹遺種)과 몽골의 침입으로 인한 피해를 거듭해왔고, 상대적으로 철령(鐵嶺) 바로 남쪽 아래에 있는 고을인 교주(交州)가 군사적인 중요성이 부각됨으로 인해서 강원지역 내에 중심지로서의 위상이 약화되었다. 아울러 춘주가 몽골의 침입으로 인해 입었던 피해는춘주 역사 이래 가장 심각하였기에 조선 초기 군현명호 개정 때 까지 도 그 위상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고려 말 강원도 지역의 도제(道制) 개편 및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 파견과 관련하여 교주도(交州道)와 강릉삭방도(江陵朔方道)가 교주 강릉도(交州江陵道)로 일원화되는 과정에서 춘주(春州)의 위상이 교주 (交州)와 명주(溟州)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한편, 춘주(春州)의 독특한 특징으로는 속현(屬縣)에서 비롯된 월경지 (越境地)인 기린현(麒麟縣)을 들 수 있다. 춘주의 속현(屬縣)인 기린현이 1906년 인제군에 편입되기 전까지 월경지로 계속 남아있게 된 사유는 춘주지역 토착세력의 노력과 월경지 본읍의 집착 등이 지속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비록 강원지역 내에서의 위상은 고려후기 지방제도 발전과정에서 약화되어 갔던 것이 사실이지만, 주현(主縣)으로써 지역중심지의 위상을 유지해왔던 역사로 말미암아 강원도 유일의 월경지인 기린현이 조선시대까지도 내내 유지되어 왔던 것이다. □ 핵심주제어 : 춘주(春州), 주현(主縣), 속현(屬縣), 춘주도(春州道), 교주도(交州道), 안찰사(按察使), 지주사(知州事), 월경지(越境地), 기린현(麒麟縣), 지역중심지 A Study on Chunju in the Goryeo Dynasty in Korea The chronology of the counties (Gun [郡] and Hyeon [縣]) in the Goryeo Dynasty in Korea reveals the development and status of the region in question, provided that this analysis is informed by an understanding of Goryeo’s regional administrative structure.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 Chunju (春州,known as Chuncheon, South Korea today) as the county underwent reforms and development in its administrative structure The name Chunju was newly introduced when the dynasty renamed its municipalities (Ju [州], Bu [府], Gun, and Hyeon) in 940, the 23rd year under the reign of King Taejo. The word chun (春, which means “spring”) has its roots in the Chinese “Five Elements Philosophy” (五行說)—Chunju was located in the east of the then central capital Gaegyeong (known as Kaesong, North Korea today), and the east represents spring in the “Five Elements Philosophy.” The county also earned the title of Ju as the regional center, in recognition of the allegiance declared by Park Yu, an influential local figure, to King Taejo. In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Chunju was largely under the jurisdiction of Sakbang Province (朔方道) and constituted part of the Northeastern Frontier District (東北面; also called Donggye [東界]); it gradually became a part of the less militarized southern provinces in the middle and late Goryeo era. The Chunju Province (春州道), with Chunju as its capital, originally belonged to the Northeastern Frontier District, to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dispatched a special category of magistrates, intended for the Frontier Districts, called Gamchangsa (監倉使). However, the province was later restructured into one of the five provinces governed by Anchalsa (按察使), a type of magistrate in charge of the provincessouth of Gaegyeong. These southern provinces were usually named after their respective capital; the name Chunjudo is thus a telling sign of Chunju’s significance in the region. More importantly, Chunju enjoyed further prominence as a regional hub when it became a primary county (主縣) with jurisdiction over 11 subordinate counties (屬縣). Chunju was governed by a series of different categories of magistrates over time, starting from Dallnyeonsa (團練使) and followed by Jijusa (知州事), Dohobu (都護府), and then Jijusa again. Despite these changes, Chunju controlled 11 subordinate counties, including Gapyeong County (嘉平郡), and had a permanent presence of magistrates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befitting its status as a regional centerpiece. In other words, Chunju was at the core of efficient central control over theregion and administrative hierarchy based on considerations for military needs.

      • 야마자 엔지로[山座円次郞]를 통해 본 日本의 ‘大陸政策’과 獨島侵奪

        황용섭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고는 메이지 정부 수립 후 조선과의 국교 수립과 관련한 국서 사건이 征韓論爭으로 발전하여 채택된 대륙침략정책 속에서 독도가 침탈되어 가는 과정을 분석, 동시에 독도침탈의 주도자를 밝히는데 초점을 둔 연구이다. 지금까지 연구된 독도침탈 연구들이 주로 그 ‘편입’의 불법성, 부당성, 허구성 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동시에 연구의 범위가 침탈 시기에 근접한 연구들로 시대적 배경이나 정책적 배경이 간과된 미시적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독도침탈의 주도자(WHO)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일본으로의 편입 과정에 등장한 관료들에 관한 개괄적 고찰이 전부인 상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도침탈을 시대적 배경 및 정책적 배경으로서 大陸膨脹政策을 먼저 검토하고, 동시에 그 정책의 집행과정에서 발생한 러일전쟁 중 독도를 침탈한 주도자가 누구였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륙정책 태동의 배경으로서 征韓論과 그 정한논쟁을 바탕으로 한 대륙팽창을 일본의 대외정책으로 수용한 정책지표로서 「主權線」(일본의 영역)과 「利益線」(한반도)이 일본의 대륙정책 지표로 천명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巨視的 背景을 전제로 하여 청일전쟁과 특히 러일전쟁기 대륙정책의 핵심 실무자인 외무성 정무국장 야마자 엔지로[山座円次郞, 1866-1914]에 대해 추적한다. 야마자가 태어난 후쿠오카 지교[地行]는 일본 우익의 효시라 할 수 있는 겐요샤[玄洋社]설립자의 고향이자 그의 가족이 겐요샤 사원이며, 그 역시 겐요샤 사원으로 집안과 지역이 우익의 환경임을 고찰하였다. 즉 야마자는 우익 집안과 우익 고장에서 태어난 전형적인 우익 인물이었다. 그는 1883년 여름(17세) 겐요샤 선배들의 도움으로 도쿄로 유학, 도쿄제국대학 법과대학을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했다. 야마자의 평생 사상을 이끌었던 겐요샤는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의 征韓論을 계승하여 「天皇第一主義」「國權主義」「民權主義」를 憲則으로 삼고 있는 국권주의 단체다. 그가 평생 추구한 대륙팽창정책의 뿌리는 바로 征韓主義였던 것이다. 그는 1892년 대학 졸업 후 그 해에 선배들의 도움으로 외무성에 입성했다. 그는 약 9년간의 유학시절을 통해 메이지 및 타이쇼 시대를 이끌어갔던 많은 인물들과의 인연을 맺었다. 외교관으로서 그의 최초 부임지인 부산 총영사관을 시작으로 약 4년 정도를 한국에서 근무한 한국통이다. 그가 부산에서 행한 첫 대륙침략 임무는 당시 軍部에서 추진하던 京釜鐵道路線 秘密測量이었다. 그는 조선 정부를 ‘사냥여행’이라는 구실로 기망한 후 그 일을 성공리에 마쳤다. 당시 고향 선배이자 겐요샤 초대회장인 히라오카가 향후 조선과 만주를 침략하기 위해 미리 낭인들을 부산으로 보내두고 있었는데, 야마자는 자신처럼 대륙팽창에 뜻을 둔 이들과 평생 교류하며 물심양면으로 도왔다. 1893년 11월 상해 총영사관으로 부임하여 김옥균 사건과 조우, 이 사건을 일본이 준비하고 있는 청일전쟁에 유리하게 이용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상해에서 돌아와 부산과 인천을 거치며 한국 근무를 마치고 영국행을 명받았다. 한국을 떠나기 전 마지막 임무는 명성왕후 시해 사건을 일으킨 미우라 공사를 대신해 그 사건의 뒤처리를 위해서 부임한 小村寿太郎 駐韓辨理公使를 인천에서 경성까지 열차로 수행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맺은 인연이 후일 코무라=야마자 외교를 탄생시킨다. 두 사람 모두 대륙팽창을 지향하는 제국주의 외교관으로서 상통했던 것이다. 야마자는 당시 세계 최강국이자 세계외교의 중심인 영국에서 약 3년간 세계 속에서의 동아아시아 정세를 파악하고 장차 일본의 대륙팽창을 위해서는 러시아와의 무력 충돌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여 영국과의 동맹을 추진해야 한다는 ‘英日同盟意見書’를 제출하기도 했다. 일본은 청일전쟁 승리 후 삼국간섭으로 러시아에 대한 적개심으로 러시아 응징을 결심하고 있던 터였다. 야마자는 1901년 12월 약관 35세로 외상 코무라에 의해 政務局長으로 발탁되었다. 마침내 대륙정책의 결정 라인에 동참하게 된 것이다. 코무라 역시 을미사변을 마무리한 후 중국에서 발생한 의화단 사건을 처리하면서 일본의 대륙팽창을 위해서는 러시아와의 一戰이 불가피함을 잘 알고 있었다. 당시 러시아는 의화단 사건을 구실로 만주 전역을 점령했던 것이다. 이것이 일본의 北進政策과 러시아의 南下政策이 정면충돌하는 상황을 초래한 것이다. 이후 코무라=야마자 외교팀은 대러 개전을 위한 영일동맹 체결 및 악화되는 대러 정세 속에서 開戰外交에 박차를 가했다. 한편 러시아가 만주에 이어 용암포에 군대를 주둔시키자 일본 열도는 개전을 외치는 열기가 민간과 군부 등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야마자는 육해군 엘리트 소장급 장교들과 외무성 관료들이 개전을 위해 결성한 코게츠카이[湖月會]를 통해 민간과 군부 및 정계를 잇는 교량 역할을 하며 開戰活動에 박차를 가했다. 법제국 장관을 지낸 정치가인 그의 장인 역시 對露同志會의 간부로 개전활동에 앞장서며 사위를 도왔다. 이렇듯 외무성 입성 후 야마자의 인적 네트워크는 정부와 군부 및 민간 우익인사들과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마침내 1904년 2월 8일 일본은 先制奇襲攻擊으로 러일전쟁을 도발하였다. 선전포고문은 야마자에 의해 작성되었다. 이로써 야마자는 이제부터 전쟁 승리를 위해 모든 노력을 경주해야 했다. 당시 일본과 러시아와의 국력 차이를 보면 면적은 60배, 재정수입은 8배, 육군 총병력은 11배, 해군의 총톤수는 1.7배로 절대 열세에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기습공격을 감행하였고, 전쟁 개시 직전부터 대첩보전을 전개, 러시아 내부를 교란시키는 소위 ‘아카시 공작’에 돌입했다. 한편 해군은 전쟁 개시 3개월 만에 일본 해군 전력 3분의 1을 상실하게 되었다(5.15사건). 이는 그렇지 않아도 열세인 일본을 긴장시키기에 충분하였다. 이에 따라 울릉도와 독도의 전략적 가치가 급부상하게 된 것이다. 당시 전비가 부족한 일본으로서는 이 섬들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최선의 전력보강책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강치잡이 어부 나카이가 ‘량코도[독도] 편입’을 신청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일본 해군은 그가 편입 신청을 하기 전에 이미 발틱함대의 來到에 대비해 독도를 조사했던 것이다(1904.9.25.). 이런 상황에서 독도를 한국령으로 알고 있던 나카이는 일본 정부를 통해 자신에게 한국 정부가 독도를 임대해줄 수 있도록 알선을 부탁하였다. 그러나 자신이 만난 농상무성, 해군성 관리들은 나카이를 사주하여 일본 영토로 편입하게 한 뒤 임대 받을 것을 종용하였다. 이에 나카이는 처음 생각을 덮어두고 영토 편입원을 내무성에 제출(1904.9.29.)했던 것이다. 그러나 내무성에서 지금과 같은 시기에 득보다 실이 많다는 ‘外交上의 理由’로 거절하였다. 나카이는 외교상의 문제로 거절당한 점에 착안하여 마지막으로 외무성 정무국장인 야마자를 찾아갔다. 야마자는 당시의 전황과 독도의 전략적 가치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사람이었다. 동해에서의 一戰이 국가의 흥망을 좌우하는 중차대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그는 내무성의 외교상 문제 운운은 신경 쓰지 말라며 자신에게 편입신청을 하라고 하여 결국 독도는 대륙팽창정책의 핵심 실무자인 야마자에 의해 일본에 편입되었고, 최후의 전투인 동해해전에서 울릉도와 독도 근해에서 일본 해군은 대승을 거두게 되었던 것이다. 이상의 고찰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독도침탈은 일본 정부가 개입했다고 하여 왔지만 어떻게 개입하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배경과 역할을 명확히 밝히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동해해전이 일본의 흥망을 좌우하는 상황에서 일본 정부가 독도편입에 적극 개입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독도‘편입’은 일본의 탐욕과 폭력에 의한 침략행위로 편입이 아닌 ‘침탈’이며, 침탈의 주체는 바로 일본 정부였다. 둘째, 종래 독도침탈의 연구에 있어 지금까지 침탈의 주도자(WHO)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그러나 살펴본 바에 따르면, 독도침탈의 주도자는 외무성 정무국장 야마자 엔지로였다. 셋째, 독도침탈은 강치잡이 어부의 신청에 의한 편입이 아님은 물론, 러일전쟁 수행만을 목적으로 한 편입도 아니다. 독도침탈은 한 마디로 일본의 영토 확장을 위한 제국주의 대륙침략정책 수행 과정의 필연적 산물이었다. 本稿では, 明治政府樹立後, 朝鮮との国交樹立に関する国書事件が征韓論争に発展し, 採択された大陸侵略政策の中で, 独島が侵奪されて行く過程を分析すると同時に, 独島侵奪の主導者を明確にすることに焦点を置いた研究だ。 これまで研究された独島侵奪の研究が,主にその‘編入’の不法性, 不当性, 虚構性などに関する研究がほとんどだった。同時に, 研究の範囲が侵奪の時期に近い研究で, 時代的背景や政策的背景が見過ごされた微視的な分析が主流をなした。また, 独島侵奪の主導者(WHO])に関する研究はほとんどなかった。日本への編入過程に登場した官僚に関する概括的な考察がすべてである状態だ。したがって, 本研究は独島侵奪を時代的背景及び政策的背景として大陸膨張政策をまず検討し, その政策の執行過程で発生した日露戦争中に独島を侵奪した主導者が誰だったかを明らかにする研究である。 このため, 大陸政策胎動の背景として, 征韓論とその征韓論争に基づく大陸膨張を日本の対外政策として受け入れた政策指標として,「主権線」(日本の領域)と「利益線」(韓半島)が日本の大陸政策指標に宣言される過程をうかがった。このような巨視的背景を前提に, 日清戦争と特に日露戦争期大陸政策の核心実務者である外務省政務局長山座円次郎(1866-1914)について追跡する。 山座が生まれた福岡の地行とは, 日本の右翼の嚆矢ともいえる玄洋社初代社長の平岡浩太郎の故郷である。そして山座の兄や甥がまさに玄洋社社員であり, 当人も玄洋社社員であり, 家と地域が右翼の環境であることを考察した。つまり, 山座は右翼の家と右翼の町で生まれた典型的な右翼の人物だった。 彼は1883年夏(17歳), 玄洋社の先輩たちの助けで東京に留学し, 1892年 7月東, 京帝国大学法科大学を最優秀成績で卒業した。山座の一生思想を導いた玄洋社は西郷隆盛の征韓論を継承し,「天皇第一主義」「国権主義」「民権主義」を憲則としている国権主義団体だ。彼が生涯追求した大陸膨張政策の根は, まさに征韓主義だったのだ。 彼は1892年, 大学卒業後, その年に先輩たちの助けで外務省に入城した。彼は約9年間の留学時代を通じて, 明治と大正時代を導いた多くの人物との縁を結んだ。外交官として彼の最初の赴任地は釜山総領事館だった。彼は釜山(プサン)を始めとして約4年間, 韓国で勤務した韓国通だ。彼が釜山で行った初の大陸侵略任務は軍部で推進した京釜(キョンブ)鉄道路線の秘密測量だった。彼は朝鮮政府には「狩猟旅行」を口実に欺罔した後に,それを成功させた。彼は当時, 故郷の先輩の平岡が今後朝鮮と満州を侵略するため, 前もって浪人たちを釜山に行かせていたが, 山座は自分のように大陸膨張を抱いている人たちと生涯交流し, 物心両面で助けた。 そして彼は1893年 11月, 上海総領事館に行き, 金玉均事件と遭遇し, 同事件を日本が準備している日清戦争に有利に利用させたのだ。上海から釜山と仁川を経て韓国勤務を終えてイギリスに行くことになった。 韓国を離れる前, 最後の任務は, 明聖(ミョンソン)王后殺害事件を起こした三浦公使に代わって, その事件の後始末のために赴任した小村寿太郎駐韓弁理公使を仁川から京城までの列車で随行することだった。この過程で結んだ縁が後日,「小村=山座外交」を誕生させる。2人とも大陸膨張を目指す帝国主義外交官として通じたのだ。山座は当時, 世界最強国であり, 世界外交の中心であったイギリスで約三年間, 世界の中での東亜アジア情勢を把握し, 将来日本の大陸膨張のためにはロシアとの武力衝突は避けられないと判断し, 英国との同盟を推進すべきという「英日同盟意見書」を提出した。日本は日清戦争勝利後, 三国干渉でロシアに対する敵愾心で当時の親ロ派の核心である明聖王后を殺害する蛮行を犯してまで, 対ロ報復を決心していた。 山座は1901年12月, 約款35歳で外相の小村により政務局長に抜擢された。ついに大陸政策の決定ラインに共に参加することになったのだ。小村も乙未事変の後, 中国で発生した義和団事件を処理しながら, 日本の大陸膨張のためにはロシアとの一戦が不可避であることをよく知っていた。当時, ロシアは義和団事件を口実に満州全域を占領したのだ。これが日本の北進政興とロシアの南下政治が正面衝突する状況をもたらしたことだ。以後, 小村=山家外交チームは, 対ロ開戦に向けた日英同盟締結及び悪化する対ロ情勢の中で, 開戦外交に拍車をかけた。 一方, ロシアが満州に続いて龍岩浦に軍隊を駐留させると, 日本列島は開戦を叫ぶ熱気が民間と軍部など全国的に拡大した。山座は陸海軍のエリート将校や外務省官僚が開戦のため結成した湖月会を通じて民間と軍部および政界を結ぶ橋梁の役割を担い, 開戦活動に拍車をかけた。法制局長官を務めた政治家である彼の岳父も, 対露同志会の幹部として開戦活動の先頭に立って, 婿を手伝った。外務省入城後, 山座の人的ネットワークは政府と軍部および民間の右翼関係者たちと広範囲に形成されていた。 ついに1904年2月8日, 日本は先制奇襲攻撃で日露戦争を挑発した。宣戦布告文は山座によって作成された。これで山座は, これから戦争勝利のためにあらゆる努力を傾け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当時, 日本とロシアとの国力の差を見ると, 面積は60倍, 財政収入は8倍, 陸軍総兵力は11倍、海軍の総トン数は1.7倍で絶対劣勢にあった。このため日本は奇襲攻撃を敢行し, 戦争開始直前から大諜報戦を展開, ロシア内部を分裂させるいわゆる「明石工作」に突入した。 一方, 海軍は戦争開始三ヵ月ぶりに日本海軍戦力三分の一を失うことになった(5.15事件)。これはただでさえ劣勢の日本を緊張させるのに十分だった。これによって, 鬱陵島と独島の戦略的価値が急浮上することになったのだ。当時, 戦費が不足していた日本としては, これらの島を最大限活用するのが最善の戦力補強策だったのだ。 こうした状況の中で, 海驢漁の漁師の中井養三郎が『リアンコ島[獨島]領土編入竝貸下願』を申請することになったのだ。しかし, 日本海軍は中井が編入申請をする前に, すでにバルチック艦隊の到着に備えて独島(竹島)を調査した(1904.9.25.)。このような状況で, 中井は初めて獨島を韓国領と考え, 日本政府を通じて自分に韓国政府が独島を賃貸できるように斡旋を依頼したが, 農商務省, 海軍省官僚たちは中井を使嗾して日本領土に編入させた後, 賃貸してもらうことを慫慂した。これによって最初の考えを伏せておいて, 中井は領土編入願を内務省に提出(1904.9.29.)した。しかし内務省で今のような時期に得るものよりも失うものの方が多いという「外交上の理由」を掲げて断った。中井は外交上の問題で断られたことに着目し, 最後に外務省政務局長の山座を訪れた。山座は戦況と独島の戦略的価値を誰よりもよく知っている人だった。東海での一戦が国家の興亡を左右する重大な状況だった。このため, 彼は「内務省の外交上の問題云々は気にしないで」と自分に編入申請をしろと言って, 結局 独島は山座によって日本に編入され, 最後の戦闘である東海海戦(日本海海戰)で鬱陵島と独島近海で, 日本海軍は大勝を収めたのだ。 以上の考察による結論は以下の通りである。第一に, 一般的に独島侵奪は日本政府が介入したとしてきたが, どのように介入したかに対する具体的な背景と役割を明確に示せなかった。本稿では東海海戦が日本の興亡を左右する状況で, 日本政府が独島編入に積極的に介入したことを確認した。つまり,独島の「編入」は日本の「貪欲と暴力による侵略行為」に編入ではなく,「侵奪」であり, 侵奪の主体は日本政府だった。第二に, 従来の独島侵奪の研究において, これまで侵奪の主導者(WHO]])に対する研究がきちんと行われていなかった。しかし, 考察して見た所によると, 独島侵奪の主導者は外務省政務局長の山座円次郎だった。 第三に, 独島侵奪は漁師の申請による編入ではないことはもとより, 日露戦争遂行だけを目的とした編入でもない。独島侵奪は一言で, 日本の領土拡張のための帝国主義大陸侵略政策の遂行過程の必然的な産物だった。 This paper is the study about pillaging Dokdo by violence and greed carried out by Japan's Meiji-era continental policy of expansion. As soon as the new meiji government was established, Japan delivered a national document for the new diplomatic relation to Joseon, apparently looking down on Joseon, claiming that it was an emperor country that was superior to Joseon. In response, the Joseon government rejected it. Therefore, Japan's new government set up an aggressive policy against the Joseon government because it was arrogant. It was an excuse for Japan to invade Joseon. In the course of such an invasion policy, Dokdo that was the traditional territory of the Joseon was robbed by Japan. The majority of studies about pillaging Dokdo which were so far researched were mainly about the illegality, injustice, falsehood of looting Dokdo. At the same time, the scope of researches was close to the period of pillage, so they led to a micro-analysis in which the generational or political background was overlooked. The studies on the leading figure of pillaging Dokdo (WHO) as well were the few.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the Japan’s continental invasion policy as the generational, political background for the first time and chases the principal subject as well as the key figure who pillaged Dokdo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which was provoked by Japan in the course of the policy enforcement. Accordingly, The New Meiji Government's Theory of conquering Korea was reviewed as the background of the continental policy movement. And was looked at how the theory of invasion was proclaimed with “the sovereignty line”(Japan's territory) and “the interest line”(Korean Peninsula.) as an indicator of Japan's continental expansion policy. These were the guide to Japan's future invasion of the continent. Based on this macroscopic background, traces Yamaja Enjiro(1866-1914), the director of the Political Affairs Bureau at the Foreign Ministry, particularly the key practitioner of ‘the Continental Policy’ before and after the Russo-Japanese War. Yamaja was born in 1866 as the second son in Fukuoka Jikyo. It was the hometown of Hiraoka Kotaro, the founder of Genyosha[玄洋社], the Japanese first right-wing organization. Hiraoka's nephew, Uchida Ryōhei, was also born in the same town. He founded Fukuryokai[黑龍會], the international action party of Genyosha. Yamaja, as well as his brother and nephew, were Genyosha’s members. In other words, Yamaja was a typical right-wing figure born in right-wing familiy and right-wing district. From the summer of 1883, he studied in Tokyo with the help of his Genyosha's seniors, and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Law at Tokyo Imperial University with the high degree. Genyosha, which led Yamaja's lifelong thought, was a nationalist organization that inherited Saigo Takamori's theory of conquering Korea with three doctrines of Imperialism, Nationalism, Civil Rightsism. The root of his lifelong continental policy was the idea of conquering Korea. He entered the Foreign Ministry just that year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in 1892, with his seniors' help. He made connections with many figures who led the Meiji and the Thaisho era through about nine years in Tokyo. He was a so-called expert on korea who started his first job as a diplomat at the Busan Consulate General and worked in Korea for about four years in total. His first mission to invade the continent in Busan was a secret survey for the Seoul-Busan railway line that the military was promoting at that time.. He successfully finished the job after cheating the Joseon government under the pretext of a hunting trip. At that time, Hiraoka, who was a Genyosha’s leader, was sending young ryōnins to Busan in advance to invade Joseon and Manchuria, and Yamaja had a friendly relationship and sponsored them. Their pursuit of continental expansion was not essentially different from Yamaja's Continental Policy. He maintain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m all his life. This is also a feature of his continental policy. And In November 1893, he went to the consulate general in Shanghai. There, he met with the Kim Ok-kyun assassination. He made the best use of the incident for the Sino-Japanese War, which Japan was preparing for. After returning from Shanghai and passing through Busan and Incheon, he finished his Korean service and was ordered to go to England. Before Yamaja leaved korea, the mission he had to do was to accompany Komura Jutaro, who was taking office on behalf of minister Miura, to deal with the murder case of Queen Myeongseong by train from Incheon to Seoul.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men on this train was made later on as Komura=Yamaja diplomacy. They were in common contact with each other as imperial diplomats seeking territorial expansion. Yamaja worked for about three years in Britain, the world's most powerful country and the center of world diplomacy at that time. Meanwhile, he had a thorough grasp of the East Asian situation seen in the world and decided that a military clash with Russia was inevitable for Japan to expand its territory in the future. So he also submitted a letter of opinion about the Anglo-Japanese Alliance. After winning the Sino-Japanese War, Japan was determined to punish Russia for its hostility toward Russia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December 1901, Yamaja was selected as the Director of Political Affairs by Foreign Minister Komura at the age of only 35. Finally, he joined the decision line of the continental policy. Komura knew also that a war with Russia was inevitable for Japan to expand its territory, while handling the Boxer Rebellion that occurred in China. At that time, Russia occupied all of Manchuria under the pretext of the Boxer Rebellion. This led to a head-on collision between Japan's policy for going north and Russia's policy for going south. Since then, the Komura=Yashiza diplomatic team stepped up to prepare for the war by signing an alliance with the U.K. to prepare for a war with Russia. Meanwhile, as Russia stationed its troops in Yongampo following Manchuria, the heat wave calling for the opening war in the Japanese archipelago was spread widely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the private and military sectors. Yamaja accelerated his efforts for declaring war by serving as a bridge linking the civilian, military and political circles through Kogetskai[湖月會], which was formed by elite officers from the Army, Navy, and the Foreign Ministry to open the war. His father-in-law, a politician who had served as a minister of law and empire, was also a senior member of Tyrotosikai[對露同志會] and actively helped his son-in-law for opening the war. After the entrance of the Foreign Ministry, Yamaja's human network was very widely formed with government, military and civilian right-wingers. Finally, on February 8, 1904, Japan provoked the Russo-Japanese War. The declaration of war was written by Yamaja. This forced Yamaja to make every effort to win the war from that on.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national power between Japan and Russia at that time, the area was 60 times bigger, the financial income was eight times higher, the total number of troops in the Army 11 times, and the total number of tons by the navy 1.7 times, which was the absolute inferior. Therefore, they launched a surprise attack and went on a so-called "Akashi maneuver" that split the interior of Russia by launching a big spy operation right before the start of the war. Meanwhile, the Japanese navy lost one third of it’s fighting power in just three months after the war began(5.15 case). This was enough to tension up the otherwise inferior Japan. Accordingly, Ulleungdo and Dokdo's strategic values were to suddenly be greatly increased. The best way was to make the most of the islands, for Japan which was short of war expenses at that time. During these times of war, the fisherman Nakai yojaburo wanted to rent the Dokdo(Japanese name Takeshima) after transferring it to Japan. He was well aware that Dokdo was Korean territory. At that time, Dokdo was desperate for victory. Therefore the Japanese navy already was looking into Dokdo to prepare for the advent of the Baltic Fleet before the application for incorporation(1904.9.25.). At first, Nakai who had known Dokdo as Korean territory, wanted to try to borrow from the Korean government through the Japanese government. However, officials from the Agriculture Ministry and the Navy, who Nakai met, urged him to transfer it to Japanese territory first and then rent it. In response, Nakai gave up his first thought and submitted the application to the Home Office for the transfer of territory (1904.9.29.). However, the Home Office rejected the request as a ‘diplomatic reason’ that might lose more than could gain at this time. Nakai finally visited Yamaja, on the grounds that he was rejected for diplomatic reasons. Yamaja was a shrewd official who knew better than anyone the war situation and strategic value of Dokdo. It was more urgent situation that a battle with Baltic Fleet in the East Sea could control Japan’s rise and fall. So Yamaja told Nakai not to worry about diplomatic issues and ordered him to send the application. In this way Dokdo was incorporated into Japan by yamaja, Japanese navy did a big victory in the Battle of the East Sea. The conclusions of the above review are as follows: First, Dokdo was not transferred peacefully but pillaged by greed and violence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the main subject of the robbery was just the Japanese government. Second, the leading figure of pillaging Dokdo was Yamaja Enjiro, the director of the Political Affairs Bureau. Third, pillaging Dokdo was the inevitable products of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for Japan's territorial expansion.

      • 테마형 자전거길의 휴게시설 연구 : 아라자전거길을 중심으로

        민윤경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에코(ECO)를 실행하는 세계적인 동향에 발맞춰 최근 수년 동안 우리나라도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모색을 이어 오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화제를 모은 것은 레저형 자전거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자전거 여행 개발에 해당하는'국토종주’이다. 2009년 사업 계획을 시작으로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국토종주’계획은 전국을 잇는 자전거 도로 건설 사업으로 자전거 도로와 관련된 인프라 구축 혹은, 테마형 자전거 길이 없던 국내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국토종주 개통 당시 이는 자전거 이용객들의 호평을 끌어냈으며, 나아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지역 개발 방안으로 부상하였다. 남한강자전거길을 시작으로 최근 제주도까지 노선을 확충하는 등 현재까지도 국토종주 관련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개통 이후부터 꾸준히 증가하던 이용률이 2015년을 기점으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획 당시 기대와 달리 해를 거듭할수록 낮은 이용률을 기록하는 것은 레저형 자전거 분야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닌, 국내 자전거 이용률 하락세와 관련이 있다. 이는 기존 자전거 이용 활성화 관련 정책을 재검토하고 새로운 대안을 수립해야 할 상황에 직면하였다고 진단할 수 있다. 앞서 진행되었던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접근 방향은 도로 노선 확충, 대중교통 연계, 도심 속 자전거 주차장 설치, 자전거 대여소 운영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존의 자전거 활성화 방향은 최근 몇 년간 별다른 변화 없이 유사한 양상으로 반복되고 있다는 점을 주지하며, 본 연구자는 몇 가지 새로운 대안을 재고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기존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방향에서 벗어나 라이더의 주행보다는 휴식 행위에 집중하여 '자전거도로 내 휴게시설’ 관련 방안을 연구하였다. 우선 아라자전거길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고, 라이더 관찰 및 현황 분석을 통해 기존의 자전거 휴게시설이 보행자 중심의 기초적인 시설물로 구성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아라자전거길 내 기초 시설물이 라이더에게 유의미한 휴식처로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을 진단함과 동시에 자전거 휴게시설 주체 변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자는 아라자전거길 내 라이더의 휴식 행위 행태분석을 통하여 휴게시설의 구성 프로세스 및 구성매트릭스를 도출하였다. 나아가 아라자전거길 내 휴게시설별 구성요소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관찰 분석 결과, 기초적인 시설물로 구성된 휴게시설과 보행자 중심 휴게시설 구성이 라이더의 휴식 행위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이 같은 상황에서 라이더들의 휴식 양상은 크게 9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다. 라이더들의 휴식 행위는 한 가지 단독 행위만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한 가지를 중심으로 그 외의 다른 휴식 행위가 부수적으로 동반되고 있다. 이에 라이더 휴식 행위의 표면적, 이면적 의미를 분석하면 이들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휴식 시설 및 효율적 환경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에너지원 비축’과 '감상’ 이 라이더에게 대표적으로 요구되는 환경이었으며 '정비’, '소통’ 유형이 뒤를 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라이더에 요구되는 효율적인 환경에 적합한 4가지 종류의 휴게시설과 하드웨어적 구성요소, 소프트웨어적 구성요소를 제안할 뿐만 아니라, 이를 휴게시설 구성 프로세스에 활용하였다. 앞선 연구 결과 및 제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휴게시설 조성 시, 먼저, 자전거길의 전체 구간 특성을 파악해, 조성 구간을 선정하는 등 조성 계획을 수립한다. 이어 4가지 휴게시설 종류 중 해당 구간의 환경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구성요소들을 추출하여 적합한 휴게시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자는 관찰 과정에서 추출한 46가지 하드웨어적 구성요소와 비물리적인 소프트웨어적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4가지로 세분화하여 휴게시설에 부합한 구성요소를 전제하였고, 최종적으로 아라자전거길 내 응급실 2곳, 간이 휴게실 6곳, 일반 휴게실 4곳, 복합 휴게실 3곳을 제안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기존의 자전거도로 내 휴게시설이 편의보다는 법을 기준으로 한 기초적인 시설물로 구성된 획일적인 휴게시설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해당 시설의 개선 필요성을 인지하고 휴게시설의 우선 주체 변환을 통한 라이더 중심의 새로운 휴게시설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기존의 일차원적이고 한정된 휴식만을 취하고 있던 라이더에게 질 높은 다양한 휴식 경험을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 전반적인 라이딩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전거 이용 활성화의 새로운 접근 방향의 지침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 이용 활성화 연구의 전환점으로 작용할 것이다. In keeping with the global trend of eco-friendly practices, South Korea has recently searched for various policies to activate the use of bicycles. The "Cross-Country Cycling Route" has been a special topic of conversation as it is a new paradigm of bicycle trip development for leisure-type bicycle riders. It is a project designed to build bicycle roads that connect around the nation. Its planning began in 2009, and its full-blown implementation started in 2011. The project proposed a new paradigm to the nation that had no infrastructure related to bicycle roads or themed bicycle paths. Upon its launch, the project received favorable reviews from bicycle riders and further emerged as a local development plan to facilitate the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The project began with a bicycle path along the southern Han River and recently expanded to Jeju Island, continuing its business. Its utilization rate kept increasing until 2015, but since then it has continued to drop. Unlike the expectations at the planning stage, its utilization rate has decreased year after year,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lower utilization rate of bicycles in the nation as well as leisure-type bicycles. It is time to review the old policies related to the use of bicycles and make new plans. Previous directions to approach the activation of bicycle use can be categorized into expanding the routes, connecting them to mass transportation, building a parking lot for bicycles downtown, and running a bicycle rental shop. Recognizing that these old directions had been repeated in similar patterns in recent years with no particular changes, the investigator set out to propose a couple of new alternatives. Moving away from the old directions for the activation of bicycle use in this process, the investigator focused on resting rather than riding and investigated plans related to "resting facilities along the bicycle routes." The investigator selected the Ara Bicycle Path as the subject, observed riders along the path, analyzed its current state, and found out that the old bicycle resting facilities were comprised of basic pedestrian-centric facilities. The study diagnosed that the basic facilities along the Ara Bicycle Path did not perform their functions as significant resting places for riders and emphasized a need to change the subject of these facilities. The resting behavior of riders was analyzed along the Ara Bicycle Path to find out the process and matrix that comprised the resting facilities in order to propose components for resting facilities along the Ara Bicycle Path. The analysis results of observations show that the resting facilities comprised of basic ones and the pedestrian-centric organization of resting facilities made riders withdraw from resting, in which situation their resting patters were categorized into nine. The riders did not engage in only a single act of resting. One act of resting was accompanied by other acts of resting. The superficial and hidden meanings of their resting acts were analyzed to figure out resting facilities and efficient environments that should be provided. The results reveal that "reserve of energy sources" and "appreciation" were the environments most required by riders, followed by "maintenance" and "communication." The investigator proposed four types of resting facilities fit with efficient environments required by riders as well as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and used them in the organization process of resting facilities. The findings and proposal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a bicycle path across all of its sections should be examined to build a resting facility and make a section plan. The study extracted proper components from the four types of resting facilities by taking into accoun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given sections and proposed appropriate resting facilities. The observation process resulted in 46 hardware and non-physical software components, which were then classified into four to present components fit for resting facilities. The final proposals include two emergency rooms, six simple resting places, four general resting places, and three complex resting places. This process helped ensure that the old resting facilities along a bicycle road were uniform and consisting of basic facilities based on law rather than convenience. The present study recognized a need to improve these facilities and proposed new rider-centric resting facilities by changing the subject of resting facilities, thus claiming its significance. These facilities will provide riders, who used to take limited one-dimensional rests, with various resting experiences of high quality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overall riding satisfaction. They will also serve as guidelines to propose a new approach direction for the vitalization of bicycle use and work as a turning point for research on the vitalization of bicycle use.

      • 엄황의 『춘주지』에 대한 연구

        유정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리지는 관찬지리지와 사찬지리지가 있다. 관찬지리지는 국가가 전국에 상송령을 내려 편찬한 지리지이고, 사찬지리지는 개인이 만든 것인데 대개 그 지역에 부임한 수령들이 지역 유림들과 편찬한 사례가 많다. 󰡔春州誌󰡕는 17세기 현존하는 최초의 춘천 읍지로 嚴滉이 春川府史로 부임 후 편찬을 주도하였다. 󰡔春州誌󰡕가 편찬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엄황은 춘천군민들을 생활에 안정을 주고자 치민의 요체로 읍지를 활용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춘천의 「산천」·「형승」·「館舍院宇」·「各面村里」·「貢賦」의 차역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바른 군정을 펼치고자 한 것이다. 엄황은 자세한 조사와 근거를 기반으로 기록하여 후대에 전해 주고자 했다. 󰡔춘주지󰡕는 1648년(인조 26)에 편찬되었다. 󰡔춘주지󰡕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을 저본으로 하였으나 새로운 항목과 내용이 증가되었다. 새롭게 증가 된 항목은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춘주지󰡕를 비교하여 보면, 󰡔춘주지󰡕에만 있는 항목은 「泉石溪潭」·「관사원우」·「제언」·「각면리」·「郊野廣袤」·「호구」·「품관」·「本府都會」·「전결」·「군기」·「지형」·「善政去思碑」·「春川府先生案」 등으로 행정·경제·산천·형승과 관련된 사항을 기록하였다. 󰡔춘주지󰡕 각 항목의 특성을 행정·경제·사회·인물·풍속 관계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첫째, 「戶口」조에서는 남녀의 인구수가 기록되어 있다. 춘주지의 호는 2253, 남녀 인구수 중, 남자는 8,873, 여자는 2,611 으로 남녀의 비율이 큰 차이가 있었다. 호구 작성시 딸과 어린 자녀는 호적에 올리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호구의 파악은 국가 운영인 국역과 관련된 것으로 중요하게 행정처리 됐지만 개인은 사적인 이익으로 의도적으로 호구 수를 누락시키기도 하였다. 대부분 戶當 1인의 직역자가 등장하는데 직역의 종류별 금액을 고려하여 戶를 구성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호구 기재 누락을 수취의 관점에서만 바라볼 수는 없다. 출가한 직계 자손들의 分戶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었던 것은 조선 사회의 유교적 측면도 어는 정도 지향되고 있었음을 주목해야 한다. 󰡔세종실록지리지󰡕와 󰡔춘주지󰡕를 비교하면 약 5.9배 증가하였고, 󰡔세종실록지리지󰡕와 󰡔여지도서󰡕를 비교하면 약 7.2배 증가한다. 󰡔關東誌󰡕와 󰡔춘주지󰡕를 비교하면 약 1.4배, 󰡔세종실록지리지󰡕와 󰡔관동지󰡕를 비교하면 약 8배 증가하였다. 1860년 이후에는 호와 인구수가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인위적으로 합쳐졌던 호들이 자연가를 이루면서 分戶하는 과정이 있었고 호구 기재 방식이 변화되었음을 나타낸다. 둘째, 「선생안」조에서는 군수들의 부임 날짜, 교체 사유와 이임날짜에 관하여 기록되어 있다. 선생안조에 나타난 춘천 군수는 1504년(연산군 10)부터 1897년(고종 34)까지이며 예종부터∼효종까지 수령의 재임 기간이 평균 2년으로 길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춘천군수 가운데 임기 만료하여 교체된 수령은 98명중 22명에 불과하였다. 「토산」조에는 󰡔세종실록지리지󰡕의 경우 토의 항목 7종, 토공항목 26종으로 총 33종의 물산이 기재되어 있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품목은 14종에 불과하였다.󰡔춘주지󰡕는 34종으로 나타났다. 󰡔세종실록지리지󰡕·󰡔신증동국여지승람󰡕의 두 지리지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물산 항목의 원칙이 달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세종실록지리지󰡕는 지역에서 극히 적은 물산까지 배정하여 전국적으로 진상품으로 할당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인물」조에는 춘천은 사족의 지역적 기반과 사족가문의 활동이 약하게 드러나는 지역이다. 토성인 박·최·신씨의 후손들이 조선시대로 오면서 많은 관료를 배출하지 못하여 중앙에서 활약하지 못함으로 향촌에서의 지위도 두드러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조선후기는 성리학적 이념을 고수하면서 忠孝烈이 중요시되어 신분의 貴賤을 막론하고 賤人도 교화의 대상으로 칭송할 만한 효와 절개의 행적이 있으면 정려의 표지로 읍지에 실었다. 16∼17세기 이후의 전국 사찬읍지들의 전반적인 구성과 항목 설정들을 반영해 보면 조선전기에 나타난 두 종류의 관찬지리지인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맥락의 양대 지리지의 성격을 총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17세기에 편찬된 읍지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대부분이 읍을 단위로 하여 수령과 지방 유림들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사찬읍지라는 점으로, 이 시기에 읍지들은 문화·사회·경제·군사·행정적 측면이 한층 세분화된 점이 특징이며 세부적으로는 향촌 질서의 회복과 안정·재지사족의 현양·지방통치 자료·군사방어시설의 확충·군현의 역사지리서 등으로 나뉜다. 본고에서는 17세기 춘천의 사찬읍지 󰡔춘주지󰡕를 통해 조선 후기 춘천의 행정·경제·사회·문화상의 변화를 검토해봄으로써 󰡔춘주지󰡕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사료로써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Jiriji (a compilation of geographic books) is divided to governmental Jiriji and private Jiriji. Governmental Jiriji wa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through a nationwide submission order while private Jiriji is produced by individuals, mostly by chiefs appointed for a certain district along with local Confucianists. Chunchuji was the first Eup Jiriji (‘Eup’ is an administrative unit) in Chuncheon back in the 17th century. It was published by Eum Hwang who was appointed as a public chronicler for Chuncheon. Chunchuji was published against the following background: First, Eom Hwang intended to utilize the Eup Jiriji as a basis for governance through which lives of the people of Chuncheon could be stabilized. To this end, he aimed to grasp the range of Chuncheon including 「Sancheon」,·「Hyeongseung」,·「Gwansawonu」,·「Gakmyeonchonri」, and·「Gongbu」, and to govern the district accordingly. Eom Hwang intended to document and hand down detailed investigation results and grounds. Chunchuji was published in 1648 (the 26th year of King Injo). The source text of Chunchuji was 「Shinjeungdongguk-yeojiseungram」, but new items and contents were added to it. As to newly added items, 「Shinjeungdongguk-yeojiseungram」 may be compared with Chunchuji as follows: Items that were in Chunchuji only included 「Cheonseokgyeshim」·「Gwansawonu」·「Je-eon」·「Gangmyeonri」·「Gyoyagwangmu」·「Hogu」·「Pumgwan」·「Bonbudohwe」·「Jeongyeol」·「Gungi」·「Jihyeong」·「Seonjeonggeosabi」·「Chuncheonbuseonsaeng-an」, etc. These were records regarding the administration, economy, mountains and rivers, and scenery. Features of each item in Chunchuji may be categorized to the administration, economy, community, persons, and customs as below: First, the 「Hogu」 section presents information on the population of men and women. According to Chunchuji, there were 2,253 households in this district, among which, the number of male residents was 8,873 and that of female residents was 2,611. This indicat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ratios. This also implies that in a census, daughters and young children were not listed on the family register. A census was an important service closely related to the state administrative system, but individuals often omitted some of their dependents intentionally for their private interests. For most households, one individual with the representative occupation was specified since each household was registered in consideration of the corresponding amount of the occupation type. However, there are other aspects to be considered merely than collection when it comes to omissions in a household member registr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some married direct descents rejected to set up a separate family, which implies that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Confucian ideas pursued in the Joseon Dynasty to some extent. In comparison with Sejongsilrok Jiriji, the population increased as much as about 5.9 times in Chunchuji, and about 7.2 times in Yeojidoseo. In comparison with Gwandongji, the population increased as much as about 1.4 times in Chunchuji. In comparison with Sejongsilrok Jiriji, the population increased as much as about 8 times in Gwandongji. From 1860 onwards,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the general population maintained a certain level, which implies that households merged artificially set up a separate family and that the household registration scheme changed. Second, the 「Seonsaeng-an」 section states each county (the ‘gun’ administrative unit) governors’ date of appointment, reason of replacement, and date of transfer. According to the 「Seonsaeng-an」 section, the recorded service period of county governors of Chuncheon was between 1504 (the 10th year of King Yeonsan) and 1897 (the 34th year of King Gojong). The appointment term of each chief from King Yejong to King Hyojong was as short as 2 years on average. Among Chuncheon county governors, those who were replaced upon the completion of their term of office were only 22 out of 98. According to the 「Tosan」 section, 33 products in total were stated in Sejongsilrok Jiriji including 7 native products and 26 local tributes. 「Shinjeungdongguk-yeojiseungram」 states only 14 items while Chunchuji states 34 items. The difference in these two Juriji sections—Sejongsilrok Jiriji and 「Shinjeungdongguk-yeojiseungram」—seems to be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the principle of product item registration. In Sejongsilrok Jiriji, even local items that were produced only in a small quantity were registered as a present to the king all over the country. In the 「Inmul」 section, Chuncheon was known to be insignificant in terms of the local foundation and activity of distinguished families. Descendants of noble families such as Park, Choi, and Shin, produced not many offic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failing to perform actively. Their status in country districts was not outstanding eith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loyalty, filial piety, and virtue were emphasized in pursuit of the Confucian view. Accordingly, commendable acts of filial piety and fidelity were recorded in the Eup Jiriji to praise them regardless of the social status even for lowly men. In view of the general compilations and items of private Eup Jiriji sections around the country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t is though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major Jiriji section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in the early Joseon Dynasty—Sejongsilrok Jiriji and 「Shinjeungdongguk-yeojiseungram」—were reflected in general.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of Eup Jiriji sections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was that most of them were privately published mainly by chiefs and local Confucians in each Eup. At that time, Eup Jiriji sections presente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ulture, society, economy, military, and administration. Specifically, they were categorized to such themes as recovery and stabilization of the country order, exaltation of local noble families, data of local governance, expansion of military defense facilities, history and geography of the provincial administrative units, and so forth.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Chuncho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Chunchuji which was the privately published Eup Jiriji of Chuncheon in the 17th century with the aim to understand the value of Chunchuji as a socio-cultural historical material.

      • 마당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 공동주거 개방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정주애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공동주거의 개방공간은 공동체 사회가 공유하는 공적 장소로서, 사회적 교류가 일어나고, 다양한 경험과 활동이 생겨나는 중요한 공간이다. 그러나 이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관습적인 공간 계획, 사회·문화적 변화로 인한 이용자 행태의 다양성의 증가 등으로 인해 공간이 형성의도와 달리 잘 이용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접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적 공유공간인 ‘마당’이 가진 고유한 특징을 살피고 지금 우리시대에서 ‘마당’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공동공간을 찾아 비교하여 차이와 대안을 찾아봄으로, 과거로부터 우리가 가져온 정서와 현재의 모습을 모두 포용하고, 예전의 공동체적 공간으로 회복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과거 마당에서 일어났던 문화적 생활양식과 행태를 고찰하고, 현대의 마당과 같은 역할을 하는 공동주거의 개방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행위와 해당 공간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예전 마당에서의 기대행위 외의 예측하지 못했던 다양한 행위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그 특이행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행위적 요인, 공간적 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과거의 마당에서 나타난 특성을 유지시키면서, 현재 일어나는 다양한 행위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마당으로서의 공동주거 개방공간의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된 마당의 문화를 관찰과 분석을 통해 발견하였고, 현재 이용 중인 공간을 새롭게 재해석 하면서 과거 마당의 정서를 바탕에 두고 재해석한 연구결과를 융합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공동공간의 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방안을 디자인적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생성되어질 공동주거 개방공간의 계획 및 설계에 있어 예로부터 지금까지의 우리의 삶의 정서와 행위가 공동주거공간이 급속도로 확산됨에 따라 단절된 흐름을 재조명해보고 새로운 대안의 제시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이는 과거 마당의 고유성을 회복함과 동시에 현재의 다양성을 포용하여, 우리의 문화적 정서에 가까이 할 수 있는 도시환경에서의 공동공간에 대한 새로운 방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p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is an important public place shared by social community, where social interchange happens and various experience and activities occur; however, due to the increase of diversity in customer behavior caused by sociocultural changes and conventional space planning that have no consideration of users, open space has not been fully utilized according to the original plan. So, this study began with critical perspective on this problem. This study reviews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Madang', traditional public space, and attempts to find the open space that can function as 'Madang' in our generation and analyzing differences and alternatives, based on the objective of embracing both sentiments that come from the past and the present image and of restoring the function of open space as communal space in former times. Then, this study pursued an investigation through considering cultural lifestyle and behavior that happened in Madang in the past, and observed behavior that occurs in op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that functions as contemporary Madang and relevant space. As a result, a variety of unexpected behavior has been found in the modern Madang, a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unique behavior this study drew both behavioral and spatial factors. On the basis of those factors, this study suggests a design of op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featuring new Madang that can embrace various behaviors occurring today and preser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st Madang. In addition, cultures of Madang that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passing of time were found through observation and analysis; while this study reinterprets the space being currently utilized based on the sentiment of past Madang, it mixed reinterpreted research outcomes with based on emotion in past Madang. As a result, this study was able to suggest an alternative way through design that can embrace the new open space cultures.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shed new light on the Koreans’ original sentiment and behavior that has been forgotten by rapid spread of op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and thus suggest new alternatives in terms of planning and designing open space in apartment housing for the future. That is to say, with rest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st Madang and embracing the current diversity, this study will show a new direction for open space in urban environment that can be associated with our cultural sentiment.

      • 4세기 후반~6세기 삼국의 군사적 경계변화 연구

        신대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the 4th and 6th centuries, all three kingdoms of Goguryeo, Silla, and Baekje actively promoted foreign policies to expand their territories. Goguryeo, which tried to go south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aekje and Silla, which tried to advance north, fought sharply. As the political and military power of the three countries showed certain differences from period to period, wars were actively conducted to occupy major base areas, and the boundaries of the three countries freque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war. Goguryeo was the first of the three kingdoms to achieve centraliz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aehak in the reign of King Sosurim, the promulgate on Yulryeong, and the recognition of Buddhism. And as King Gwanggaeto ascended to the throne and actively engaged in a war of conquest, it advanced to Liaodong to the north, captured Baekje's Hanseong to the south, and grew into a powerful country. Baekje gained its status as a country through a series of system reforms, including the promulgation of laws and reorganization of control to King Goi. After that, a war of conquest was actively carried out while promoting foreign policies to expand its power to the old Daebang and Mahan areas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Silla established a centralized system by unifying King Jijeung's national title as 'Silla', using a Chinese-style royal title, and promulgating the Yulryeong to King Beopheung's generation. The Han River basin was occupied by King Jinheung's generatio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countries in later generations. In July 391, when King Gwanggaeto of Goguryeo was enthroned, 10 Baekje castles were captured, and then in October, Baekje's Gwanmiseong was captured. It is believed that the battle area at this time was developed around the Masikryong Mountains. According to 「Gwanggaeto Wangneungbi」, King Gwanggaeto attacked Baekje's Hanseong in 396 and obtained a 58 castle 700 village, and returned to Pyongyangseong with his younger brother and 10 people instead. It is believed that during this period, Goguryeo and Baekje formed a military boundary between the Imjin River and the Masikryong Mountains. During King Jangsu's reign, archaeological remains that captured Baekje's Hanseong and lowered its military boundaries to Cheonan and Daejeon in Chungcheongnam-do were discovered, and Jeungpyeong-gun in Chungcheongbuk-do was also found. At this time, Silla expanded to the east coast area and confronted Goguryeo, and it is believed that the two countries faced off over the Namhan River by eradicating Goguryeo forces in Niha. In 551, Silla took 10郡 of Goguryeo and secured areas from Hoeryeong to the Namhan River, and in 553, it took Baekje's northeastern border and established a 新州. As a result, Silla was able to advance to the Hantan River and the Imjin River. In 523, King Muryeong of Baekje visited Hanseong and had people over 15 years old living north of the Han River contract Ssanghyeonseong Fortress. As such, the military boundary between Goguryeo and Baekje on the north side is likely to be up to the Imjin River, and the military boundary between Goguryeo and Silla is understood to have been the boundary between the Namhangang River and the Charyeong Mountains. Biyeolseong is a transportation hub because it is connected to the north and south around the Anbyan Basin and because Chugaryeong Pass intersects along Namdaecheon. It can be predicted that through these geographical conditions, Goguryeo moving south and Silla moving north will inevitably collide. In addition, the Anbyan area is a transportation hub that can move inland from the east coast, and if you cross Cheolryeong, which connects Gosan-gun and Hoeyang-gun through Anbyan-gun, it will go down to Gimhwa and Cheorwon, becoming an important transportation route linking the Imjin River. When Silla seized Goguryeo's 10 villages, Silla would have pushed Goguryeo's retreat to the north beyond Cheolryeong and Chugaryeong, which are between Anbyan and what is now Hoiyang-gun, and Goguryeo would have retreated across the middle reaches of the Imjin River. In 557, King Jinheung turned Gukwon (Chungju) into a small Seoul and moved the children and powerful people of the aristocracy to reside in 558, showing an attachment to the land obtained by advancing north. In 557, the Gukwon was expanded to a small Seoul, and King Jinheung abolished the Shinju and established Bukhansanju. It is believed that this was possible because Silla completely took control of the Han River basin, including Hanseong. In addition, in 562, Silla subjugated Gaya by ordering Geochilbu and Sadaham, leaving only the three kingdoms on the Korean Peninsula. Silla conquered Baekje's northeastern border, including the 10 castles of Goguryeo, and then installed new Shinju, and when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stabilized, King Jinheung established Bukhansanju to solidify it. In this way, it was judged that Silla and Goguryeo confronted each other until the 6th century, and the military boundary line, the Imjin River, wa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Silla and Baekje had a boundary between Anseong to Jincheon and Daejeon. 4~6세기에 고구려⋅신라⋅백제 삼국은 모두 영역을 확장하려는 대외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한반도의 중부지역에서 남하하려는 고구려와 북진하려는 백제⋅신라가 첨예하게 대립하며 각축전을 하였다. 삼국의 정치력과 군사력이 시기마다 일정한 차이를 보이면서 주요 거점 지역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이로써 삼국의 경계도 전쟁의 결과에 따라 자주 변동되었다. 고구려는 소수림왕 대에 태학의 설치, 율령의 반포, 불교의 공인 등을 통해서 삼국 중에서 가장 먼저 중앙집권화를 이루었다. 그리고 광개토왕이 즉위하여 정복 전쟁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면서 북으로는 요동까지 진출하고, 남으로는 백제의 한성을 함락시키며 강력한 국가로 성장하였다. 백제는 고이왕 대에 법령을 반포하고 관제를 개편하는 등 일련의 체제 정비를 거치면서 국가로서의 면모를 갖췄다. 그 후 근초고왕 대에 옛 대방과 마한지역까지 세력을 넓히려는 대외정책을 추진하면서 정복 전쟁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신라는 지증왕 대에 국호를 ‘신라’로 통일하고 중국식 왕호를 사용하였으며 법흥왕 대에 율령을 반포하면서 중앙집권화를 이루었다. 그리고 진흥왕 대에 한강 유역을 차지하면서 후대에 삼국 통일을 이루기 위한 기반이 되었다. 고구려 광개토왕이 즉위했던 391년 7월에 백제의 성 10개를 함락시키고 이어서 10월에 백제의 관미성을 함락시켰다. 이때의 전투지역은 마식령산맥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광개토왕릉비」에 따르면 광개토왕은 396년에 백제 한성을 공략하여 58성 700촌을 얻고, 왕의 동생과 대신 10명을 데리고 평양성으로 귀환하였다. 이 시기 고구려와 백제는 임진강과 마식령산맥 사이에 군사적 경계가 형성되었다고 생각된다. 장수왕 시대에는 백제의 한성을 함락시키고 군사적 경계를 충청남도 천안과 대전지역까지 남하했던 고고학적 유적이 발견되고 충청북도 증평군까지도 확장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시기에 동해안 지역으로 신라가 지금의 안변 지역까지 확장하여 고구려와 대치하고 있었고, 니하에서 고구려군을 퇴치시켜 남한강을 사이에 두고 양국은 대치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551년에 신라는 고구려의 10郡을 공취하면서 회령부터 남한강 지역까지 영역을 확보하였고, 553년에는 백제의 동북 변경을 빼앗아 新州를 설치하였다. 이로써 신라는 한탄강 지역과 임진강 지역까지 진출할 수 있었다. 523년 백제의 무령왕은 한성을 방문하고 한강 이북에 사는 15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쌍현성을 수축하도록 했다. 이렇게 고구려와 백제의 북변 군사 경계는 임진강까지일 것으로 보이며, 고구려와 신라의 군사 경계는 삭주 지역으로 남한강과 차령산맥이 경계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비열성은 안변 분지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길게 연결되었고 남대천을 따라 추가령이 교차하기 때문에 교통의 중심지이다. 이러한 지리적 여건을 통하여 남진하는 고구려와 북진하는 신라가 충돌할 수밖에 없는 지역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안변 지역은 동해안에서 내륙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교통 요지로서 안변군을 통해 고산군과 회양군을 잇는 철령을 넘으면 김화와 철원으로 내려가 임진강을 잇는 교통로로서도 중요한 위치가 되는 곳이다. 신라가 고구려의 10군을 공취할 때 신라는 안변과 지금의 회양군 사이에 있는 철령과 추가령을 넘어 북으로 퇴진할 고구려의 퇴로를 압박하여, 고구려는 임진강 중류 지역을 건너 후퇴하게 되었을 것이다. 557년에 진흥왕은 국원[충주]을 작은 서울로 만들고 558년에는 귀족의 자제들과 세력이 있는 사람들을 옮겨서 거주하게 하여 북진하여 얻은 땅에 애착을 보였다. 557년에 국원을 작은 서울로 규모를 키우고 진흥왕은 신주를 폐지하고 북한산주를 설치하였다. 이는 신라가 한성을 포함한 한강 유역을 완전히 장악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또한 신라는 562년에 거칠부와 사다함을 시켜 가야를 복속함으로써 한반도에는 삼국만 남게 되었다. 신라는 고구려의 10성을 포함해서 백제의 동북 변경을 정복한 다음 신주를 설치했고 중북부 지역이 안정되자 진흥왕은 북한산주를 설치하여 이를 공고히 하였다. 이렇게 중부지역은 6세기까지 신라와 고구려가 대치하게 되었고 군사경계선 임진강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신라와 백제는 안성에서 진천 그리고 대전을 연결하는 정도의 경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 임진왜란시기 수성전과 축성기술변천연구

        엄민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산성은 고대부터 우리민족의 방어시설로서 존재해왔던 것으로서 조선후기 까지도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산성은 청야입보라는 전술을 사용하여 산성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였고,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몯 산성 전략의 기본은 청야입보전술을 기본으로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산성은 조선 초기 이후, 버려지면서 퇴락하게 되었고, 산성을 대신하여 읍성이 조선전기의 중심 성곽으로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등장은 조선 초기의 불안했던 정세들이 해소가 되면서, 더 이상 산성중심의 불편한 방어체계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편의성을 지니게 된 읍성이 수축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읍성체계는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일본군의 공격에 함락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읍성을 대신하여 조선 초기 이후 버려졌던 산성이 다시 주목받게 되었고, 고대산 성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이 재수축 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산성 수축은 청야입보 전술의 사용을 위한 것 이라는 초기연구 이후, 축성기술의 발전적인 측면에서 다시 재조명 되게 되면서 방어 시설의 문제점으로 인한 것이 새로운 근거로서 주목받게 되었다. 하지만 산성수축의 근거를 확대하여 본다면 전쟁의 초기 전황 뿐만 아니라 전쟁 자체가 장기화가 되면서 전쟁을 이끌어갈 여력이 안 되었던 조선은 산성이라는 방어시설을 통해 전쟁의 장기전을 이겨 나가려고 했던 것이었다. 이러한 축성기술 도입은 중국과 일본의 축성술이 도입되었고 중국의 축성술은 기효신서를 통해 도입 시행 되었다. 또한 일본의 축성술은 전쟁기간중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쟁이 종결된 후, 북방지역에서 시행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산성수축이 이루어 지게 되면서 새로운 축성술 도입이 급속도록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이것은 전쟁이라는 상황을 빠르게 끝내기 위한 방편이었던 것이다. 그렇기에 중국과 일본의 축성술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이었으며, 이러한 실전과 축성술 도입은 전쟁이후, 이시발의 수성조약으로 나타날 수 있었고, 이후 수원화성 축성이라는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게 되었다. 결국 모순적이게도 전쟁이 지속됨으로써 산성이 다시 선택 되었고 축성술의 발달이 이루어져 조선 후기까지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Mountain fortresses were used by Koreans as a means of defense for a long period of time, from ancient times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Defense at mountain fortresses was particularly characterized by a tactic called cheong ya ip bo, in which clearings were emptied and people were brought into the fortress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efficient mountain structure. This particular tactic was the fundamental component of mountain fortress defense employed in the Three Kingdoms, Goryeo, and Joseon periods. I n the early Joseon period, mountain fortresses were neglected and fell into decline. In the place of these mountain fortresses came town fortresses (eubseong), which became the main form of fortress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emergence of the new forms of fortresses was encouraged when instability in the early Joseon period dissipated. The taxing defense system that depended on mountain fortresses was no longer necessary, leading naturally to building walled towns that were more convenient. The town fortress system, however, fell in the attack of the Japanese troops during the Imjin War, o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Attention then turned not to town fortresses but to the mountain fortresses abandoned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Mountain fortresses, including ancient mountain fortresses, were rebuilt. While early studies suggest that the renewed efforts in the construction of mountain fortresses intended to employ the cheong ya ip bo tactic, later studies have begun to view the change in light of fortification technology, shedding light on the possibility of problems in defense facilities. However, a further look into the background of building the mountain fortresses indicates that Joseon was not capable of fighting the war—not just in the early phase but also as the war prolonged—and sought to take advantage of its mountain fortresses to survive and win the long, drawn-out war. Chinese and Japanese fortification technologies were introduced, the former of which was adopted via the New Treatise on Practical Tactics (Gi Hyo Sin Seo). The latter was incorporated after the war ended based on experiences during the war and was employed in the northern regions of Korea. With the construction of mountain fortress, new fortification technologies were rapidly introduced, probably as a means to bring the war to its end as soon as possible. This explains the little resistance shown to the introduction of Chinese and Japanese fortification technologies, which were described in Su Seong Jo Yak by Yi Si-bal and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Hwaseong Fortress in Suwon, Korea. It was the war that forced Joseon to choose mountain fortresses again and ironically led to the advancements in fortification technology, exerting enormous influence on the late Joseon period.

      • 朝鮮時代 胎室에 관한 考古學的 硏究

        심현용 강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한국에는 아기가 태어나면 그 태는 향후 태주의 삶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여 태를 귀중하게 여겨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하는 장태문화가 있었다. 이러한 장태문화는 세계적인 보편적 문화인데, 그 중 한국에서만 행해진 독특한 장태법인 태실풍속이 있다. 이는 민간에서 행해진 것이 아니라 왕실에서만 이루어진 장태방법이다. 이 태실은 풍수지리적으로 명당이라 부르는 길지를 선택하여 그곳에 태를 묻고 보호하는 시설을 하고 비를 세워 태실임을 표시하였다. 이 태실이 조성된 산을 태봉(산)이라 부른다. 이렇게 태실을 조성하는 것은 태를 잘 보호함으로 인해 태주의 무병장수는 물론이고 향후 왕실의 자손 번창과 국가의 안위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믿음 때문으로, 특히 왕실에서는 이러한 믿음이 더욱 강하였던 것 같다. 이러한 태실은 구조와 성격에 의해 아기태실〔阿只胎室〕과 가봉태실(加封胎室)로 구분된다. 아기태실은 임금의 자녀나 왕손인 아기가 태어났을 때 길지를 택정하여 태를 땅에 묻고 조성한 시설이며, 가봉태실은 임금으로 즉위하면 아기태실에 화려한 석물을 장식하여 가봉한 것을 말한다. 이 논문은 태실의 기원과 성립, 그리고 확립과 전개에 대한 문헌사적 검토를 실시하고 풍수사상에 입각해 선정된 태실의 입지에 대해 풍수지리적 검토를 하였으며, 또한 전국에 산재한 태실을 조사하여 시기를 파악하는데 가장 유익한 아기비와 태함 및 중앙태석의 유물에 대한 고고학적 양식과 편년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몇몇 태실의 조성시기와 태실의 구조 등을 분석하고 왕실의 가계도 일부 복원해 보았다. 태실의 기원은 신라시대 김유신 태실에서 그 근거를 찾았는데, 595년 이전으로 보았다. 그리고 장태풍속은 세계 보편적 문화이나, 태실조성은 한국 왕실에서 발전시킨 독창적 문화로 보았다. 이러한 태실문화는 고려시대에 국가적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성립되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활성화되지 못하고 왕과 세자에 한해서만 태실을 조성하였다. 고려 왕실의 태실 제도는 조선시대에 들어와 완전히 확립되어 정착한다. 세종은 왕과 세자만 조성하던 태실을 모든 아들까지 확대하고 관련 절차나 의례 등을 체계적으로 정립시킨다. 성종은 태실조성의 범위를 모든 딸에게 까지 허용하는데, 태실 제도는 이렇게 세종과 성종에 의해 확립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태실조성의 폐단이 발생하자 이를 줄이기 위해 개선책이 제시되는데, 그중 가장 획기적인 것이 한 산등성이에 여러 태실을 같이 조성하는 동태동강론이다. 이는 1493년 성종에 의해 처음 제시되고 1645년 인조와 1678년 숙종에서 재등장하고, 1758년 영조의 태봉윤음이 반포됨으로써 동태동강론은 확고하게 자리 잡게 된다. 또 영조는 1765년 궁궐 어원에 장태하라는 파격적인 수교를 내리기도 하였다. 정조도 영조의 1765년 을유년 수교를 따르고자 노력하였으나, 1783년 왕위계승자인 원자는 1등에 해당되어 길지를 찾아 태실을 조성해야 하고 그 이하 대상자는 궁궐 어원에 장태해도 된다는 신하들과의 결론에 의해 영조의 개선책을 따르지 못했다. 그리고 태실은 풍수지리적 영향에 의해 그 입지가 선정된다. 문헌사료에서는 내맥이 연결되지 않은 들판 가운데에 홀로 우뚝 솟은 산봉우리 정상에 태실을 조성한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맥이 연결된 돌혈에 조성됨을 밝혔다. 그리고 이렇게 돌혈에 조성되는 시기는 통일신라 말 9세기 도선이 풍수설을 확립하는 때로 추정하였다. 또 태실은 조선 초에는 하삼도에 집중되어 조성되었으나, 세조에 의해 1458년부터 경기도에도 조성되기 시작하며, 그 분포는 충청도?전라도?경상도?경기도?강원도?황해도에서만 확인된다. 그리고 태실 구조의 기원과 유물의 상징성도 살펴보았다. 아기태실은 원형의 봉토를 하고 그 앞에 비가 세워져 있는데, 이는 신라 김유신 태실에서 기원되어 고려 인종 태실을 거쳐 지속된 것으로 보았다. 가봉태실은 팔각난간석과 중앙태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중앙태석은 팔각원당형 부도에서 그 기원을 찾았으며, 팔각난간석은 고려 왕릉의 12각 난간석을 모방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12각을 그대로 차용하지 않고 팔각형으로 축소하였는데, 그 이유는 밀교의 태장계 중대팔엽원의 이론에 따른 것으로 보았다. 또 출토유물에서도 태호에 동전?은판?금판 등을 부장하는 것은 태주에게 재물 복이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태호나 아기비?중앙태석?주석?동자주에 연잎 문양이 장식되는 것은 연꽃에 내포된 탄생과 영원한 생명, 풍요, 다산과 자손번창 등의 의미를 기원하기 위해 장식한 것으로 보았다. 또 태실의 유물 중 시기를 파악하는데 가장 민감한 아기비?태함?중앙태석의 양식과 편년을 설정해 보았다. 이는 태실유적에 가장 많이 잔존하여 있는 유물로 이러한 유물만을 갖고도 그 조성시기를 파악하는데 큰 단초가 되기 때문이다. 아기비는 그 명문구성에 의해 5단계로 나누었으며, 양식도 5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태함은 4단계로, 중앙태석도 4단계로 편년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물의 고고학적 편년설정을 바탕으로 몇몇 태실의 구조나 왕실 가계를 복원해 보았다. 먼저 영주 소헌왕후 태실의 조성과정과 구조를 복원해 보았는데, 소헌왕후의 태는 민간풍습에 따라 경기도 양주에 매태되었는데, 왕비가 되자 왕실의 태실 제도에 따라 길지를 찾아 가봉태실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잔존 석물로 태실의 구조도 복원해 보았는데, 지하에는 방형의 태함을 안치하고 지상에는 팔각난간대를 구성한 것으로 보았다. 또 성주 선석산 태실에 조성된 19기의 태실을 분석해 보았다. 이 태실의 지하구조는 방형의 태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태함 안에 태호와 태지석을 봉안하였음을 밝혔다. 또 태함 내에 안치되는 태호는 일반적으로 작은 내호와 큰 외호로 구성되는 이중 태호가 아니라 맨 밑에 대접을 바치고 그 위에 작은 호를 올린 후 다시 그 위에 큰 대접을 엎어 전체를 덮은 형태의 특이한 구성을 하였음을 밝혔다. 또 왕자 당 태실과 왕자 장 태실의 두 개 태실은 동일 인물의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왕자의 태실임도 밝혀내어 왕실 족보에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울진 견석왕자 태실의 태호와 태지석을 찾아내어 그 태주와 장태시기 및 성종의 가계를 복원해 보았다. 즉 영남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태지석과 태호가 울진 삼달리 신래태실에서 출토된 것임을 밝혔다. 태주는 1486년 태어나 1487년 장태된 견석왕자로 성종과 숙용 권씨의 소생임을 추정하였으며, 어떠한 사유로 왕실 족보에 삭제되거나 누락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Korea had the culture of burying the placenta in various ways when a baby was born as it was believed that the placenta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ife of its owner and should be handled with care. This culture is globally universal, but Korea has the unique way of burying the placenta in Taesil (placenta chamber). This custom was not performed by the commoners, but only by the royal family. A propitious site was selected based on the laws of Fengsui to bury the placenta and build a protective facility and a monument to mark that it was Taesil. A mountain where Taesil was built was called Taebong(san). Taesil was built to take a good care of the placenta because of the belief that it affects not only the health and longevity of the owner, but also the fertility of the royal family and the strength of the kingdom. The royal family seems to have had a stronger belief of this. Also, Taesil is classified into Agitaesil and Gabongtaesil by structure and nature. Agitaesil was built to bury the placenta and create a mound with a monument when a queen gave birth to a baby. It is identical to a tomb in structure. Gabongtaesil refers to the beautiful stone ornaments composed of Palgaknanganseok (octagonal rail stones) that were built to replace the on-ground structure of Agitaesil when an owner of Agitaesil was enthroned.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origin, formatio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aesil, discussed the location of Taesil based on the principles of Fengsui, surveyed Taesil across Korea to organize the archaeological styles and chronology of Agibi (monument), Taeham (placenta stone box), and Jungangtaeseok (central stonework), which are most useful for identifying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analyzed each Taesil’s time of formation and structure. It also used the identified owners of Taesil to compare to the genealogy of Joseon Dynasty to partially restore the family tree of the royal family. The origin of Taesil was found in the Placenta Chamber of Kim Yu-sin, which was built before 595. and the formation of Taesil was a unique culture developed by the royal family of Korea. It seems that the culture of Taesil became a national system in the Goryeo Dynasty. However, It was not popularized, but Taesil was only built for the kings and the crown princes. The Taesil system was fully established and settled in the Joseon Dynasty. King Sejong expanded Taesil to all sons and established the related procedures or rituals. King Seongjong even allowed building Taesil for all daughters. The Taesil system was established by King Sejong and King Seongjong. As Taesil became popular, however, it has negative effects. The kings suggested various measures to resolve the problems, and the most innovative one was Dongtaedonggang where several Taesil was built along the ridge of a mountain at the same location. This was first suggested by King Seongjong in 1493, re-adopted by King Injo in 1645 and King Sukjong in 1678, and reached its height with Taebongyuneum by King Youngjo in 1758. Also, King Youngjo made a radical order to bury the placenta in the courtyard of the palace in 1765. King Jungjo also tried to follow this order of King Youngjo from 1765, but he could not follow Youngjo’s order because he concluded with the servants in 1783 that Taesil for the crown prince should be built at a propitious site and Taesil for all other royal babies can be buried in the courtyard in the palace. Also, the location of Taesil was selected by the influence of Fengsui. Historical records state that Taesil was built on the peak of a hill that stands all by itself in the middle of a field with no veins connected, but it was actually built on rocky hills were veins were connected. Taesil was mostly built in the three southernmost province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it was also built in Gyeonggi Province from 1458 by King Sejo. It is currently found in Chungcheong Province, Jeolla Province, Gyeongsang Province,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Hwanghae Province.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origin of structure of Taesil and the symbolism of its relics. Agitaesil had a round mound with a monument in front of it. This originated from the Placenta Chamber of Kim Yu-sin and was succeeded through the Placenta Chamber of King Injong of Goryeo. Gabongtaesil was examined with emphasis on Palgaknanganseok and Jungangtaeseok. The origin of Jungangtaeseok was found in the octagonal Buddha, which is thought to be an imitation of the 12-angle rail stone from the royal tombs of Goryeo. However, the 12 angles were reduced to 8 angles to follow the theory of Jungdaeparyeopwon of Esoteric Buddhism’s Garbhadhatu Mandala. In terms of the relics excavated, coins, silver and gold plates were buried in Taeho (placenta jars) to pray for the owner’s wealth and Taeho or Agibi, Jungangtaeseok, Juseok (post), and Dongjaju (queen post) were ornamented with lotus patterns to pray for birth, eternal life, abundance, fertility, and prosperity.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styles and chronology of Agibi, Taeham, and Jungangtaeseok, which are most sensitive for identifying the age of Taesil’s relics. These are the relics most frequently found in Taesil, and they alone can give critical clues for identifying the time of construction. Agibi was classified into five steps based on the system of composition and the style was also classified into five steps. The chronology of Taeham was divided into four steps and that of Jungangtaeseok was also divided into four steps. The structure of Taesil and the genealogy of the royal family were examined based on the archaeological chronology. First, the construction and structure of Taesil for Queen Soheon in Yeongju were reenacted. Queen Soheon’s placenta was buried in Yangju, Gyeonggi Province according to the civil customs and when she became the queen, a propitious site was found to build Gabongtaesil according to the Taesil system of the royal family. The structure of Taesil was also restored using the remaining stonework. The rectangular Taeham was laid underground and the octagonal rails were built on the ground. This study also analyzed 19 sites of Taesil found on Mt. Seonseok in Seongju.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aesil consisted of a rectangular Taeham with Taeho and Taejiseok sealed inside. Taeho contained inside Taeham was generally a unique type with a vessel on the bottom, a small jar on top and another large vessel on top, rather than the double-structured Taeho with smaller Naeho (inner jar) and larger Oiho (outer jar). Also, Dang Taesil and Jang Taesil of princes were thought to have been built for the same person, but it has been found that they were for two different princes. Also, Taeho and Taejiseok of Prince Gyeonseok’s Taesil was found in Uljin to identify the owner, time of burial, and genealogy of King Seongjong. It was clasified that Taejiseok (epitaph stone) and Taeho in the museum of Yeungnam University had been excavated in Taesil in Samdal-ri, Uljin. The owner is Prince Gyeonseok who was born in 1486 to King Seongjong and Sugyong Kwon, and his placenta was buried in 148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