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ynthesis, structure,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layered Pb-Kemp’s triacid compound, Pb3[C6(CH3)3(CO2)3H6]2[DMF]3

        김샛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용매열 반응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층상의 납-켐프트라이산 화합물 [ Pb3[C6(CH3)3(CO2)3H6]2[DMF]3 (CAUMOF-17)]을 합성하였다. 용매열 반응을 이용한 합성시 80 C에서 Pb(NO3)2, 켐프트라이산(cis,cis-1,3,5-Trimethylcyclohexane-1,3,5-tricarboxylic acid), DMF(N,N-dimethylformamide)을 출발 물질로 이용하였다. 단결정 X-선 회절분석법을 이용하여 합성된 결정의 구조를 상세하게 해석하였다. CAUMOF-17은 삼방정계 공간군인 R-3(no. 148)로 결정화되어 있다. 구조 내에 배위되어 있는 DMF 분자들이 가역적으로 배위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DMF를 제거한 뒤에 구조 안의 빈 공간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밝혀 내었다. CAUMOF-17구조 내에 존재하는 빈 공간을 이용하여, 선택적인 이산화 탄소 기체의 흡착과 Hexanal 분자의 첨가 반응을 진행하였고, 이를 분말 X-선 회절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켐프 트라이산과 중금속 이온인 Pb2+, Cd2+ 간의 경쟁적인 결정화 반응에서 켐프 트라이산이 Cd2+에 더 높은 선택성을 가진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A new layered Pb-Kemp’s triacid compound, Pb3[C6(CH3)3(CO2)3H6]2 [DMF]3 (CAUMOF-17), was synthesized by a solvothermal reaction using Pb(NO3)2, Kemp’s triacid (cis,cis-1,3,5-Trimethylcyclohexane-1,3,5-tricarboxylic acid), and DMF (N,N-dimethylformamide) at 80 C. The crystal structure was determined by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CAUMOF-17 is crystallizing in a trigonal space group, R-3 (No. 148). The loss of coordinated DMF molecules turn out to be fully reversible, and after excluding DMF, a void space is increased in the structure. Using the void space, a selective CO2 adsorption and an intercalative hexanal addition reaction are monitored by powder X-ray diffraction. A competing crystallization reaction using two toxic cations, Pb2+ and Cd2+, with Kemp’s triacid reveals higher selectivity of Cd2+ over Pb2+.

      • 새로운 바륨-유기물 구조체, [Ba(SBA)(DMF)]4 와 Ba2(BTEC)(H2O)의 용매열 합성, 구조 결정 및 특성 연구

        할라케 쇼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2개의 새로운 바륨-유기물 구조체 물질인 [Ba(SBA)(DMF)]4 와 Ba2(BTEC)(H2O)을 용매열 반응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Ba(SBA)(DMF)]4 는 1차원 사슬의 무기물 구조와 SBA 연결체로 구성된 3 차원의 열린-골격구조를 나타낸다. Ba2(BTEC)(H2O) 는 모서리를 공유하는 다면체와 BTEC 기둥의 층을 구성하는 또 다른 3차원 구조를 보인다. 이 두 3 차원 구조체는 비교적 높은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각각의 용매 분자인 DMF와 H2O 가 가역적으로 배위될 수 있다. 질소, 수소, 이산화탄소 기체에 대한 흡착 특성도 확인하였다. Two barium-organic framework materials, [Ba(SBA)(DMF)]4 or CAUMOF-15 and Ba2(BTEC)(H2O) or CAUMOF-16, have been grown through solvothermal reactions. [Ba(SBA)(DMF)]4 exhibits a three-dimensional open-framework that comprises of an inorganic motif with one-dimensional chains and the SBA linkers. Ba2(BTEC)(H2O) shows another three-dimensional backbone consisting of layers of edge-shared polyhedra and BTEC pillars. Both of the 3D frameworks exhibit relatively high thermal stabilities and reversible coordination’s of the respective solvent molecules, i.e., DMF and H2O. Gas adsorption properties towards nitrogen, hydrogen, and carbon dioxide have been also investigated.

      • Synthese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quaternary oxides containing second-order Jahn-Teller distortive cations, AMQ2O8 (A = Sc, Y and In; M = V and Nb; Q = Se and Te)

        김영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새로운 사성분계 금속산화물 시리즈, AMQ2O8 (A = Sc, Y, In; M = V, Nb; Q = Se, Te)는 표준 고체-상태반응과 수열반응을 이용하여 합성되었다. 모든 합성된 물질들은 유사한 화학식을 가지고 있지만, 각기 다른 구조들과 물리적 특성들을 보인다. α-ScVSe2O8, β-ScVSe2O8, ScVTe2O8, YVTe2O8, YNbSe2O8, YNbTe2O8의 결정구조는 단사정계 중심대칭(Centrosymmetry; CS)의 공간군인 반면, YVSe2O8와 InNbTe2O8는 사방정계 비중심대칭(Noncentrosymmetry; NCS) 공간군의 결정구조를 갖는다. NCS물질의 경우, 대표적인 물질의 특성인 Second-Harmonic Generation (SHG) 측정을 위하여 1064 nm의 파장을 이용하여 Kurtz-NLO system하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YVSe2O8 와InNbTe2O8는 각각 기준물질인 α-SiO2의 10배와 100배에 해당하는 효율을 보였다. 이러한 NCS물질의 SHG특성은 V5+, Nb5+, Se4+, Te4+ 같은 Second-Order Jahn-Teller (SOJT) 양이온의 왜곡된 배위 환경에 그 원인을 둘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본문에서는 자세한 구조 결정 및 해석, 열중량분석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적외선 분광분석 (infrared spectroscopy; IR), 자외선-가시광선 확산반사분광분석 (UV-Vis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SEM/EDS를 통한 원소 정량분석과 dipole moments포함한 각종 계산 또한 소개된다. A series of new quaternary metal oxide materials, AMQ2O8 (A = Sc, Y and In; M = V and Nb; Q = Se and Te) have been synthesized through standard solid-state and hydrothermal reactions. Although all the reported materials have similar chemical formula, they reveal different structures and properties. While α-ScVSe2O8, β-ScVSe2O8, ScVTe2O8, YVTe2O8, YNbSe2O8 and YNbTe2O8 crystallize in monoclinic centrosymmetric (CS) space groups, YVSe2O8 and InNbTe2O8 crystallize in orthorhombic noncentrosymmetric (NCS) space groups. With NCS materials, powder second-harmonic generation (SHG)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using 1064 nm radiation. NCS YVSe2O8 and InNbTe2O8 reveal SHG efficiencies of 10 and 100 times that of α-SiO2, respectively. The observed SHG efficiencies are attributed to the distorted coordination environments of second-order Jahn-Teller (SOJT) cations such as V5+, Nb5+, Se4+ and Te4+. Detailed structural descriptions,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infrared spectroscopy (IR), UV-Vis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SEM/EDS), and calculated dipole moments for reported materials are also presented.

      • 새로운 텔루륨/셀레늄 혼합 금속 산화물의 합성 방법, 구조 해석 및 특성 연구

        이동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는 텔레늄 산화물과 셀레늄 산화물을 기본으로 한 새로운 혼합금속화합물인 AIn(SeO3)2 (A = Na, K, Rb, Cs), AGa(SeO3)2 (A = Li, Na, K, Cs), Rb3HGa2(OH)2(SeO3)4, Rb3Ga5(SeO3)8(HSeO3)2•0.5H2O, RbGa(SeO3)2•H2O, Na1.4In-Te3.6O9.4, β‑Na2Te4O9, Na2Te2O6•1.5H2O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이 혼합금속 화합물들은 표준 고체상 반응과 수열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각각 화합물들의 결정 구조는 단결정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해석하였다. AIn(SeO3)2 (A = Na, K, Rb)은 3차원 구조이고, CsIn(SeO3)2 는 2차원 층상 구조이며, InO6 팔면체와 다면체인 SeO3 들로 구성되어있다. AGa(SeO3)2 (A = Li, Na, K, and Cs) 는 뒤틀린 GaO6 팔면체와 다면체인 SeO3 로 구성된 3차원 골격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Rb3HGa2(OH)2(SeO3)4 는 사슬 형태인 GaO4(OH)2 와 SeO3 가 결합된 1차원 구조이다. Rb3Ga5(SeO3)8(HSeO3)2•0.5H2O 와 RbGa(SeO3)2•H2O 는 팔면체인 GaO6 와 다면체인 SeO3가 결합된 3차원 골격 구조이다. Na1.4InTe3.6O9.4 는 InO6, TeO3, 그리고 TeO4 로 구성된 육각형의 텅스텐 산화물 형태를 보이는 층상 구조이다. β-Na2Te4O9 는 다면체인 TeO4 가 결합된 3차원 골격구조이며, Na2Te2O6•1.5H2O 는 팔면체인 Te6+O6 와 다면체인 Te4+O5 가 음이온성 골격으로 형성된 2차원 층상구조이다. 알칼리 금속 양이온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구조적 특성을 비롯하여, 분광 분석, 열 분석, 쌍극자 모멘트 계산, 광학 특성 및 이온 교환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This thesis presents a series of novel mixed-metal tellurties and selenites. AIn(SeO3)2 (A = Na, K, Rb, and Cs), AGa(SeO3)2 (A = Li, Na, K, and Cs), Rb3HGa2(OH)2(SeO3)4, Rb3Ga5(SeO3)8(HSeO3)2•0.5H2O, RbGa(SeO3)2•H2O, Na1.4InTe3.6O9.4, β‑Na2Te4O9, and Na2Te2O6•1.5H2O have been synthesized through standard solid-state reactions and hydrothermal reactions. The crystal structures of the reported materials have been determined by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While AIn(SeO3)2 (A = Na, K, and Rb) crystallize in 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CsIn(SeO3)2 crystallizes in a two-dimensional layered structure consisting of InO6 octahedra and SeO3 groups. AGa(SeO3)2 (A = Li, Na, K, and Cs) crystallize in 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consisting of distorted GaO6 octahedra and asymmetric SeO3 polyhedra. Rb3HGa2(OH)2(SeO3)4 reveals a unidimensional structure consisting of corner-linked chains of GaO4(OH)2 and SeO3 group. Rb3Ga5(SeO3)8(HSeO3)2•0.5H2O and RbGa(SeO3)2•H2O exhibit three-dimensional frameworks consisting of GaO6 octahedra and asymmetric SeO3 polyhedra. Na1.4InTe3.6O9.4 crystallizes in a novel hexagonal tungsten oxide (HTO)-like layered framework consisting of InO6, TeO3, and TeO4 polyhedra. β-Na2Te4O9 crystallizes in a 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 containing TeO4 polyhedra. Na2Te2O6•1.5H2O crystallizes in an anionic layered backbone consisting of Te6+O6 octahedra and Te4+O5 polyhedra. Detailed explanation of alkali-metal size effect, infrared and UV-vis reflectance spectra, elemental analyses, thermal analyses, dipolemoment calculations, second-harmonic generation property, and ion-exchange experiments are also reported.

      • 가변적 차원 구조를 지니는 혼합 금속 산화물 Cs3Ga7(SeO3)12, KGa3(SeO4)2(OH)6, BaZr(IO3)6, K2Zr(IO3)6, Sr3Bi2(SeO3)6?H2O 의 합성, 구조, 및 특성 분석

        안현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네 가지 원소로 이루어진 다섯 개의 혼합 금속 산화물, K2Zr(IO3)6, BaZr(IO3)6, Cs3Ga7(SeO3)12, KGa3(SeO4)2(OH)6, Sr3Bi2(SeO3)6∙H2O을 표준 고체 화학반응과 수열 반응을 통해 합성하였다. 각각의 물질은 서로 다른 차원을 가진다. K2Zr(IO3)6 는 0차원의 분자 구조이며, BaZr(IO3)6는 1차원의 띠 구조를 가진다. Sr3Bi2(SeO3)6∙H2O 는 층 구조이며, Cs3Ga7(SeO3)12는 3차원의 열린-골격구조를 가진다. 열 분석, 적외선 분광 분석, 원소 분석 및 변환 반응 또한 시행하였다. Five quaternary mixed metal oxides, K2Zr(IO3)6, BaZr(IO3)6, Cs3Ga7(SeO3)12, KGa3(SeO4)2(OH)6, and Sr3Bi2(SeO3)6∙H2O have been synthesized through standard solid-state and hydrothermal reactions. Each compound has different dimensionalities. K2Zr(IO3)6 is a zero-dimensional molecular compound, BaZr(IO3)6 exhibits one-dimensional band structure. Finally, Sr3Bi2(SeO3)6∙H2O exhibits layered structures and Cs3Ga7(SeO3)12 has a three-dimensional open-framework structure. Thermal analyses, infrared spectroscopy, elemental analyses, and transformation reactions are also presented.

      • Syntheses, structures, and characterization of noncentrosymmetric Li2VPO6 and Bi(SeO3)(HSeO3)

        이은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wo noncentrosymmetric oxide materials, Li2VPO6 and Bi(SeO3)(HSeO3), have been synthesized through standard solid-state reactions. The structures of Li2VPO6 and Bi(SeO3)(HSeO3) were determined by powder X-ray, single-crystal X-ray, and neutron diffractions. Li2VPO6 crystallizes in the orthorhombic space group, Pna21 (No. 33) with a = 10.32581(7) Å, b = 4.63728(3) Å, c = 8.56606(5) Å, and Z = 4. Bi(SeO3)(HSeO3) crystallizes in the monoclinic space group, Cc (No. 9) with a = 5.5407(4) Å, b = 6.6746(4) Å, c = 15.4756(12) Å, and Z = 4. V5+ cations in Li2VPO6 distort either along the approximate [101] or [-101] directions attributable to the alignment of distorted VO6 octahedra, resulting in a polar structure. Bi(SeO3)(HSeO3) exhibits corrugated layers that are composed of BiO5, Se4+O3, and Se4+O2(OH) polyhedra. Bi(SeO3)(HSeO3) contains local asymmetric coordination environments attributable to the lone pairs on the Bi3+ and Se4+ cations. Local dipole moments for the VO6 and BiO5, BiO6, SeO3 polyhedra in Li2VPO6 and Bi(SeO3)(HSeO3) are approximately 11.19, 10.34, 5.50−6.31, and 7.32−11.76 D (D = Debyes), respectively. Powder second-harmonic generation (SHG) measurements, using 1064nm radiation, reveal that the SHG efficiencies for Li2VPO6 and Bi(SeO3)(HSeO3) are approximately 10 × and 20 × α-SiO2, respectively. Converse piezoelectric measurements for Li2VPO6 reveal a piezoelectric coefficient, d33, of 12 pm V−1. 두 개의 비중심대칭 산화물, Li2VPO6 및 Bi(SeO3)(HSeO3)는 standard solid-state 반응을 통해 합성되었다. Li2VPO6 및 Bi(SeO3)(HSeO3)의 구조는 powder X-ray, single-crystal X-ray 그리고 neutron diffractions을 통해 확인하였다. Li2VPO6의 결정구조는 orthorhombic이며 space group은 Pna21 (No. 33), a = 10.32581(7) Å, b = 4.63728(3) Å, c = 8.56606(5) Å, Z = 4 이다. Bi(SeO3)(HSeO3)의 결정구조는 monoclinic 이며 space group은 Cc (No. 9), a = 5.5407(4) Å, b = 6.6746(4) Å, c = 15.4756(12) Å, Z = 4 이다. Li2VPO6의 V5+ 양이온에 대한 극성은, 뒤틀린 VO6 정팔면체의 정렬에 의해 대략 [101] 또는 [-101] 방향으로 형성된다. Bi(SeO3)(HSeO3)는 BiO5, Se4+O3, Se4+O2(OH)의 다면체로 구성되어 물결모양의 층으로 이루어진 모습을 보인다. Bi(SeO3)(HSeO3) 화합물은 Bi3+와 Se4+ 양이온의 고립전자쌍으로 인하여 공간 비대칭 배위 환경을 포함하고 있다. Li2VPO6의 VO6 그리고 Bi(SeO3)(HSeO3) 화합물은 BiO5, BiO6, SeO3 다면체에 대한 각각의 Local dipole moments는 약 11.19, 10.34, 5.50−6.31, 그리고 7.32−11.76 D (D = Debyes) 이다. 1064 nm의 광원을 사용하여 Li2VPO6 및 Bi(SeO3)(HSeO3)의 분말 Second-harmonic generation (SHG) 측정은 각각 α-SiO2의 10배와 20배의 효율을 보여주었다. Li2VPO6에 대한 압전 측정결과 압전 계수 (d33) = 12 pm V-1를 구할 수 있었다.

      • Zr[(2,6-NC5H3(CO2)2)2(OH2)2]?2H2O : 새로운 지르코늄 - 유기 골격 구조 화합물 ? 합성, 구조, 선택적 이산화탄소 흡착 및 반응성 연구

        이남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새로운 지르코늄-유기 골격 물질인 Zr{[NC5H3(CO2)2]2(OH2)2}∙2H2O 를 수열반응을 통해 합성하였다. Zr{[NC5H3(CO2)2]2(OH2)2}∙2H2O 는 2,6-pyridinedicarboxylate 에 의한 분자간의 수소결합에 의해 빈 공간을 가진 3차원 열린 골격 구조를 가지고 있다. 채널형 구조인 Zr{[NC5H3(CO2)2]2(OH2)2}∙2H2O 의 선택적인 이산화탄소 흡착 특성, 가역적인 수화반응, 리간드 교환 반응, 그리고 phenylacetylene 의 이합체화 반응을 확인하였다. A new zirconium-organic framework material, Zr{[NC5H3(CO2)2]2(OH2)2}∙2H2O has been synthesized by a hydrothermal reaction. Zr{[NC5H3(CO2)2]2(OH2)2}∙2H2O exhibits a pseudo-three-dimensional open-framework structure with void space obtained by intermolecular hydrogen bonds between 2,6-pyridinedicarboxylate groups. The channel structure of Zr{[NC5H3(CO2)2]2(OH2)2}∙2H2O reveals highly selective CO2 gas adsorption. Reversible hydrations, facile ligand exchange reactions, and an exclusive dimerization of phenylacetylene for Zr{[NC5H3(CO2)2]2(OH2)2}∙2H2O are presented.

      • Influence of cation size and variable coordination moieties of Te4+ on the frameworks of novel indium tellurites

        배수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표준 고체상 반응과 수화열 반응을 통하여 네 개의 새로운 알칼리 금속 인듐 텔루륨 산화물, 즉, AIn(TeO3)2 (A = Na 혹은 K) 그리고 AInTe3O8 (A= Rb 혹은 Cs)를 합성하였다. 해당 화합물의 결정구조는 단결정 X선 회절 분석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기술된 화합물들의 서로 다른 채널을 갖는 풍부한 구조화학 속에서, 알칼리 금속 양이온의 크기와 Te4+ 양이온의 변화무쌍한 배위환경의 협동효과를 확인하였다 NaIn(TeO3)2는 8부분으로 이루어진 고리를 형성하는 반면, 화학양론적으로 유사한 화합물인 KIn(TeO3)2는 8개와 1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고리를 가진다. 알칼리 금속 양이온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등 구조의 RbInTe3O8과 CsInTe3O8은 InO6, TeO3, 그리고 TeO4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5와 1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고리들의 채널을 갖는 삼차원의 골격구조를 보인다. 또한, 모든 기술된 물질들에 대해 UV-vis와 IR 분광분석, 열분석, out-of-center 변형, 그리고 국부 다이폴 모멘트 계산을 통한 추가적인 특성분석을 완료하였다. Four novel alkali metal indium tellurites, namely, AIn(TeO3)2 (A = Na or K) and AInTe3O8 (A = Rb or Cs) have been synthesized through standard solid-state reactions and/or hydrothermal reactions. The crystalline structures of the reported materials have been determined by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technique. The rich structural chemistry with different channels reveals cooperative effects between alkali metal cation sizes and flexible coordination moieties of Te4+ cation in the frameworks of the materials. NaIn(TeO3)2 contains 8-membered rings, meanwhile stoichiometrically similar compound, KIn(TeO3)2 shows both 8- and 12-membered rings in their frameworks. As alkali metal cation size increases, isostructural RbInTe3O8 and CsInTe3O8 exhibit 3-D frameworks with both 5- and 12-membered ring channels consisting of InO6, TeO3, and TeO4 groups. Also, all reported materials have been further characterized by UV-vis and IR spectroscopic analyses, thermal analyses, out-of-center distortion, and local dipole moments calculations.

      • Synthesis, structure, and optical properties of chiral amino acid-templated tin fluorides

        정아형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wo types of new chiral amino acid-templated tin fluoride crystals, (R)-[(C8H10NO3)2]Sn(IV)F6, (S)-[(C8H10NO3)2]Sn(IV)F6, (R)-[C8H10NO3]Sn(II)F3, and (S)-[C8H10NO3]Sn(II)F3, have been successfully synthesized using a slow evaporation method. The crystal structures of the Sn(IV)- compounds crystallize in the noncentrosymmetric nonpolar space group, P21212. Conversely, the structures of the Sn(II)-compounds, crystallizing in the noncentrosymmetric polar space group, were determined through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analysis. Remarkably, the Sn(IV)-compounds exhibited a larger birefringence (0.328@546.1nm), attributed to the well- stacked arrangement of planar π-conjugated benzene rings along the b-axis. They can grow centimeter-sized crystals because of the increased probability of π-π interactions between benzene rings, a result of the ability of tin(IV) fluorides to form more hydrogen bonds with ligands. In contrast, Sn(II)-compounds possessed a stronger second-harmonic generation (SHG) response (0.85 × KDP) than Sn(IV)-compounds (0.46 × KDP). This enhanced SHG response in Sn(II)-compounds was attributed to the increased dipole moments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lone pairs. In addition, Sn(II)-compounds exhibited photoluminescent properties owing to the transition from the metal-to-ligand charge transfer state, a phenomenon contributed by the presence of the lone pairs. Characterization includ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ultraviolet-visible and infrared spectroscopy analysis, and electronic structure calculations will be discussed. Keywords Chiral, Non-centrosymmetric structure, Second-Harmonic Generation, Birefringence, Photoluminescence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새로운 카이랄 아미노산 템플릿 플루오르화 주석 결정, (R)-[(C8H10NO3)2]Sn(IV)F6, (S)-[(C8H10NO3)2]Sn(IV)F6, (R)- [C8H10NO3]Sn(II)F3, 및 (S)-[C8H10NO3]Sn(II)F3은 느린 증발 방법으로 성공적으로 합성되었다. Sn(IV)-화합물의 결정 구조는 비중심대칭 비극성 공간군 P21212에서 결정화 되었다. 비대칭 극성 공간군 P21에서 결정화되는 Sn(II)- 화합물의 구조는 단결정 X-선 회절 분석기(SC-XRD)를 통해 결정되었다. 특히, Sn(IV)-화합물은 b축을 따라 평면 π 결합 벤젠 고리가 잘 쌓인 배열로 인해 큰 복굴절 (0.328@546.1nm)을 나타냈다. 그들은 벤젠 고리 사이의 π-π 상호 작용 가능성을 증가시켜 센티미터 크기의 결정을 성장시킬 수 있다. 이는 주석(IV) 플루오르화물이 리간드와 더 많은 수소 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반면, Sn(II)- 화합물 (0.85 × KDP)은 Sn(IV)-화합물 (0.46 × KDP)보다 더 강력한 제2고조파 반응을 보였다. 이는 구조 내 비공유 전자쌍의 존재로 인해 증가한 쌍극자 모멘트에 기인한다. 또한, Sn(II)-화합물은 금속에서 리간드로의 전하 이동으로 인해 광발광 특성이 나타났다. 이 외에 열중량 분석,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적외선 분광법, 전자구조 계산 등에 대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주제어 카이랄, 비중심대칭구조, 제2고조파, 복굴절, 광발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