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의 전통미술 단원 내용 분석 :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찬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1990년대 이후 국내사회의 변화와 다문화교육의 유입은 전통미술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새로이 주목받은 전통미술교육은 우리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적 정체성의 함양과 다양한 문화의 이해라는 목적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꾸준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통미술교육은 동화주의적 접근과 피상적인 다문화교육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본 연구자의 학습 경험에서도 기존의 전통미술교육은 다문화교육으로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거나 문화적 정체성을 함양하는 수업으로 전개되지 못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미술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통미술교육의 내용과 접근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준거로는 오늘날 전통미술교육의 배경을 제공해 주었던 다문화 미술교육을 제시해 앞선 연구목적을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의 내용분석’으로 구체화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에 앞서, 이론적 배경으로 다문화교육으로서 전통미술교육이 가지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통미술교육은 다문화교육으로서의 가치와 가능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으나 접근 방향과 내용 전개에 혼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미술과에 한정해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접근유형을 살펴보았다. 문헌고찰을 통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핵심 방향이 미술을 사회·문화적 결과물로 바라보고 그 과정에서 여러 하위문화와 사회구조적 차별을 가시화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추가로 에플랜드, 프리드먼, 스터의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유형과 안혜리의 국내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 대안을 통해, 주류를 중심으로 하는 ‘모더니즘’과 ’동화주의’ 접근부터 다양한 타자와 민주주의사회 실현을 중시하는 ‘사회재건주의’ 접근까지 다양한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 유형과 방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 미술교육의 방향과 접근 유형을 토대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접근과 사회구조의 가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가?’와 ‘다문화 미술교육 접근유형을 기준으로 어떠한 접근 양상이 주를 이루고 있는가?’를 본 연구의 분석기준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한 전통미술 단원의 내용 분석 연구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미술 단원은 우리만의 고유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전통미술을 바라보고 해석할 것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미술 속 다양한 하위문화나 사회구조의 가시화는 부족했다. 교과서라는 형식이 지닌 분량의 제한과 국가단위 교육과정의 반영이라는 제도적 한계 속에서 전통미술은 ‘전통’과 ‘우리’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하위문화와 사회구조를 가시화하지 못 하고 있다.  둘째, 전통미술 단원의 활동은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모더니즘’ 접근과 ‘동화주의’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사회재건주의’ 또는 ‘다문화적·사회재건주의 접근’ 유형의 활동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현행 교과서 속 전통미술 단원은 다양한 타자와의 교류와 사회정의의 실천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미술교육으로서 앞으로의 전통미술교육이 전통미술 속에 숨은 다양한 하위문화와 사회적 구조를 가시화하고 비판적 사고와 사회정의를 실천하는 방향으로 후속 연구가 진행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 미술교육 관점에서 2015 개정 고등 미술 교과서에 반영된 전통미술교육의 현황과 방향을 고찰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밝히지 못했던 전통미술교육의 문제를 발견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Since the 1990s, changes in Korea domestic society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nflux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given a new way to the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which has received new attention as part of multiculural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with the purpose of cultivated cultural identity based on korean culture and understanding multicultural society. Despite steady development,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has the problem of its superficial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ssimilation approach. Also, in the experience of researcher, the existing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could not be developed as a class to understand own cultural identity or the diversity in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and approaches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and find a new way for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traditional korean art units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text book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s the basis of analysi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hich provided the background of today’s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was presentend. So the purpose of study was embodied as ‘Content Analysis of Traditional Korean Art Unit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ithe the Focus on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Prior to content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uion as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irst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korean art education has sufficient value and potential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ere is confusion in the approach direction and content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examined the direction an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limited to the art department. Through advanced research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co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s to view art as a social and cultural outcome, and to visualiz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al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rough Efland, Freedman, and Stuhr's approach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Ahn Hye-ri's alternative approach to the korea'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types and methods of approach from the mainstream-centered 'modernism' and 'assimilation' approaches to the realization of a democratic society 'social reconstruction' approach. Based on the direction and approach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esent the analysis criterion for this study that was 'how the textbook's content was represented in approaches to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visualization of social structures?', ' what is the popular approach as multicultural art eduacti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 applying these criteria are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s content places importance on viewing and interpreting based on our uniqu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However, the visualization of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in traditional art was insufficient. Within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the format in textbooks and the reflection of national curriculum, Traditional korea art could not visualize th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that exist and hide in 'tradition' and 'us' Second, the aspects of the traditional art unit are mainly 'modernism' and 'assimilation approaches’ and aspects of 'social reconstructionism' or 'multicultural·social reconstructionist approach' are not suggested. In the en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 traditional korea art units in the 2015 revised textbooks do not sufficiently present the practice of social justice and exchanges with oth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uture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as a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ill visualize the various subcultures and social structures hidden in traditional korea art, and follow-up studies on the direction of practicing critical thinking and social justic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has meaningful in that it discovered the problem of traditional korea art education that had not been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and suggested a direction.

      • 문제해결능력 배양을 위한 아바타와 스토리텔링 기반 PBL 미술수업 지도방안

        신은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Adolescent learners experience var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urriculum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in school and society and encounter various problems. In order for learners to properly respond to problems they fac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roblem-solving skills to recognize problems and organize and organize solutions on their 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guidance plan for PBL (Problem-Based Learning) art classes that are effective in developing problem-solving skills. In other words, as the content of the PBL art class, a storytelling was used in which a learner produced his or her own avatar and solved the problem that the avatar faced instead of the learner in the form of a cartoon. For this study, avatar and storytelling-based PBL art classes were conducted from October 2021 to November 2021 for four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s a tool for instruction, Naver's ZEPETO's Metabus platform called ZEPETO and the "ZEPETO Toon" function, a function in the ZEPETO application, were use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after the end of class, and the results derived through interview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BL art classes that combine avatar and storytelling can cultivate learners' problem-solving skills.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tried to reflect their external appearance in the avatar or their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in the storytelling in a way similar to reality and storytelling. Learners substituted their real-life problems into avatar and storytelling that solved real-life problems, and felt the same as their real-life experiences indirectly through avatar and storytelling. This suggests that the actual problem-solving ability can be cultivated through the proxy experience of problem-solving. Second, as a result of observing learners' problem-solving orient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interviews after clas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itive changes in problem-solving orient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compared to before class.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did not give up on solving problems, tried to solve problems until the end, or looked positively at problem solving failures, and showed positive changes in problem-solving orientation, such as gaining confidence in problem-solving. Next,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collected information, calculated various solutions, and showed positive changes in problem-solving skills that predicted the results after problem-solving or evaluated the results after problem-solving. Third,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class, learners regarded avatar and storytelling-based PBL art classes as opportunities for problem exploration and self-reflection, and felt positive changes in the problem-solving metho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y felt interested in avatar activities, thought storytelling could be applied to actual problem solving, and felt interest and convenience in application activities. This study can b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at avatar and storytelling-based PBL art classes actually affect adolescents' problem-solving skill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PBL art education plans need to be develop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 the future, and continuous educational research on this needs to be conducted. 청소년기 학습자들은 학교와 사회 속에서 여러 대인관계와 교과 활동, 사회활동 등을 경험하며 다양한 문제를 접하게 된다. 학습자들이 자신이 직면한 문제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인지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스스로 조직하고 구성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데 효과적인 PBL(Problem-Based Learning) 미술수업의 지도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즉 PBL 미술수업의 내용으로는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아바타를 제작하고 그 아바타가 학습자 대신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이야기를 만화의 형식으로 풀어가는 스토리텔링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4인을 대상으로 하여 2021년 10월 부터 2021년 11월까지 아바타와 스토리텔링 기반 PBL 미술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의 도구로 네이버 ‘Z’ 사의 ZEPETO라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ZEPETO 어플리케이션 내 기능인 ‘제페토 툰’기능을 활용하였다. 수업 종료 이후에 개별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 내용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바타와 스토리텔링을 결합한 PBL 미술수업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현실과 유사한 아바타와 스토리텔링의 구성방식에서 아바타에 자신의 외적 모습을 반영하거나, 스토리텔링에 자신의 내적, 외적 특징을 반영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학습자들은 실생활 속 문제를 해결하는 아바타와 스토리텔링 내용에 자신의 실생활 속 문제들을 대입했으며 아바타와 스토리텔링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한 내용을 실제 자신의 경험과 동일하게 느꼈다. 이는 문제해결의 대리 경험을 통해서 실제 문제해결능력이 배양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수업 이후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들의 문제해결지향과 문제해결기술을 관찰한 결과 수업 전과 비교하여 문제해결지향과 문제해결기술의 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문제해결에 대한 인지, 정서, 행동의 지향에서 문제해결에 실패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문제해결을 시도하거나 문제해결의 실패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기도 하였으며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을 얻게 된 것과 같이 문제해결지향의 정적 변화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들은 정보를 수집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산출해내며, 문제해결 후의 결과를 예측하거나 문제해결 후의 결과를 평가하는 문제해결기술에 대해서도 정적 변화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수업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아바타와 스토리텔링 기반 PBL 미술수업을 문제 탐구와 자기성찰의 기회로 여기기도 하였으며 문제해결 방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느꼈다. 또한 아바타 활동을 흥미롭게 느끼고 스토리텔링을 실제 문제해결에 적용할 수 있다고 여기며 어플리케이션 활동에서도 흥미와 편리성을 느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아바타와 스토리텔링 기반 PBL 미술수업이 청소년의 문제해결능력에 실제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미술교육의 현장에서 다양한 PBL 미술교육의 방안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진로교육 내용과 방법 분석

        박세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문화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시대적 추이에 따라 다양한 시각 문화를 즐기고 누리는 생활 모습이 반영되어 미술과 관련된 직업군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진로탐색 시기에 놓인 중학생들이 미술과 관련된 직업을 공교육에서 어떻게 배우고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현행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14종을 직업 선택에 필요한 학습 내용이 학생들에게 어떤 방법으로 전달되는지 분석함으로써 진로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개선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방법에서는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14종을 직업 선택에 필요한 ‘자기이해 영역’과 ‘직업세계 이해 영역’으로 나누어 보고 자기이해 학습요소, 자기이해 학습 방법, 직업세계 이해 학습요소, 직업세계이해 학습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진로교육을 위한 자기이해는 정의적 영역의 ‘흥미’ 요소와 심동적 영역에 체험학습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둘째,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진로교육을 위한 직업세계이해는 인지적 영역의 다양한 미술 관련 직업의 종류를 학습요소로 사용하고, 간접 교수학습 방법을 대체로 사용하고 있다. 셋째,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진로교육을 위해 제시된 직업의 종류로는 ‘디자인·공예 분야’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분야에 비해 ‘디자인·공예 분야’의 작업 과정 속 도구가 오늘날 첨단기술시대에서 더욱 발전하게 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한 산업으로 발달하여 직업이 다양하게 분화된 것을 학습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는 미술 관련 직업의 종류를 분류하는 기준에 관한 연구 및 온라인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 적용방안 등이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들로 남아있어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행 미술 교육과정을 통한 미술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성격을 파악하고 진로교육 내용과 방법을 밝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의 체계성을 이해하고 공교육에서 직업 선택에 필요한 학습 내용의 개선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Art-related occupational groups are gaining attention as they reflect the lifestyle of enjoying a various visual culture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at values culture. This study noted how middle school students in career exploration are learning art-related jobs in public education. The aim is to reveal improvements to improve career capability by analyzing the current published 14 different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contents which is to be delivered to students in their career choices. To this end, this researcher has chosen the way that classified into "self-understanding area" and "occupational world understanding area" and analyzed self-understanding elements, self-understanding learning methods, occupational world learning methods in 2015 revised 14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lf-understanding for career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 mainly uses "interesting" elements in the affective domain and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in psychomotor domain. Second, occupational world understanding for career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uses various types of art-related occupations in the cognitive domain as a learning element and consists of indirect teaching methods. Third, "Design and craft fields"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jobs presented for career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ese results appear to be aimed at conveying to learners that the tools of the 'design and craft fields' compared to other areas has been developed in compliance with high technology so that it has been advanced into a mass-productionable industry and leading jobs in this fields differentiated.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 will require follow-up researches that are about criteria for classifying types of art-related jobs and ways to apply learner-oriented teaching methods utilizing online source and so on, which should be improved in the futu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nature of the integrated career education with Art education over the current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reveal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areer education. It is also valuable in that it understands systemicity of career education contents shown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 and presents improvements in learning contents required for career choices in public education.

      • 경기꿈의학교의 자기주도적 통합교육 사례연구 : 그리고꿈의학교와 어반아트꿈의학교를 중심으로

        김재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경기꿈의학교가 지향하는 자기주도적 활동 속에 통합교육의 목표에 도달 하는지와 경기마을교육공동체의 미술 통합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꿈의학교 운영활성화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입시교육에 치우친 공교육의 부작용을 해소하고 우리나라 미래발전의 원동력인 4차 산업발달의 물결에 편승하고자 창의적 인재육성 교육에 따른 다양한 정보화의 환경 속에서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짙은 개성과 의식구조가 학교교육의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한 요구에 따라 생겨난 학교 밖 미술교육 활동이 자신의 주관적 사고에 따라 제도권 교육 환경을 떠나 마을교육공동체 안에서 자의적 교육 환경을 만들고 스스로 활동할 수 있도록 돕는 경기꿈의학교 활동의 운영취지와 그 역할에 주목하였다(경기도교육청마을교육공동체기획단, 2015b). 이에 따라 경기마을교육공동체의 꿈의학교 통합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실제 적용되었을 때 자기 주도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통합교육의 실효적인 결과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마을교육공동체인 주민커뮤니티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 교육공동체를 이루고 자기 주도적 활동을 이어 갈 수 있는 꿈의학교 공간을 만들어 제공해 주어 그 안에서 학생들 스스로 창의적인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학교 밖 미술교육 활동이 참여 학생들의 통합교육활동에 유효한 환경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경기꿈의학교는 자기주도형 미술교육과 함께 인문학과 미술의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정서적 인지발달에 목표를 두어 진행 하였다. 그에 따른 인문학과 미술의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60시간 진행한 후 학교 밖의 자기주도형 환경 속에 통합미술교육이 학생들 스스로 기획하고 실현하는데 현실 가능한지를 알아본다. 그를 위해 2019년도 운영된 경기꿈의학교 중 미술교과 주도성 통합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한 두 곳의 경기꿈의학교 주 강사 두 명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주강사의 심층 인터뷰 후 본 연구의 분석과정을 통해 경기꿈의학교를 통한 자기주도형 미술통합교육이 현장에 적용되어 운영될 때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점에 대한 해결력을 가질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그에 따르는 수업의 성과와 교육프로그램 진행상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경기꿈의학교를 통한 자기주도형 미술통합교육은 스스로 환경을 만들고 기획하는 창의적인 사고를 키울 수 있으나,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로 개인별 성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기획단계와 학생들의 토론 과정에서 교사의 개입이 배제 될 수 없으며 자기주도적 교육활동에 있어서 교사의 조력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근거의 제시가 필요함이 지적 되었다. 자기주도적활동 중 교사의 조력자로서의 개입이 불가피 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학생들의 사고가 위축될 수 있다. 경기꿈의학교를 통한 인문학-미술의 통합교육에 대한 참여 교사의 공통적 견해는 자기주도형 꿈의학교 취지에 현장성이 고려되어야 하는 점과 아직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인문학적 소양이 높지 않은 점에 대해 이견의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에서 나타나는 점은 자기주도적인 통합교육의 실효성은 교사 간 이해 정도의 차이가 미미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경기꿈의학교의 설립취지에 얼마나 접근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학교 밖 미술교육환경에 대하여 긍정적 유의미함을 가지고 안정된 운영을 이루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제시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 밖 미술교육 환경인 경기마을교육공동체 꿈의학교의 현 실태에 따른 개선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reach the goal of integrated education in the self‐directed activities aimed by Gyeonggi School of Dreams and to derive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promotion of the School of Dreams which performs the art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Gyeonggi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o solve the side effects of public education biased for entrance examination, and to ride on the wave of the 4th industrial development, the driving forc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 the deep personality and consciousness of adolescents who grow up in the environment of various informatization according to creative human resource education require various changes in school education. In the outside school created by such demands, this study focused on art education activities, beyond the institutional edu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thinking, operational purport of activities of Gyeonggi School of Dreams and the role of the Gyeonggi School of Dreams activities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lanning Group,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2016b), and when the School of Dreams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of Gyeonggi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as actually applied, this study came to find doubts about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outcomes of integrated education in the course of self‐directed progress. Therefore, by increasing applicability of the resident community space, and creating and providing a school of dreams space that can form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carry out self‐directed activ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the outside school art education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conduct creative art education programs themselves, can affect the integrated education activities of participating students as an effectiv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tting Gyeonggi School of Dreams aiming at emotional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humanities and art with self‐directed type art education, and after 60 hour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for the humanities and art, to see if integrated art education is feasible for students to plan and realize themselves in the self‐directed type environment of outside schools, the qualitativ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wo Gyeonggi School of Dreams instructors who conducted art‐led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among Gyeonggi School of Dreams operated in 2019. When the self‐directed type art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Gyeonggi School of Dreams is applied and operated in the field, whether students can solve their own problems, and the results of the lessons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progress of the education program were derived as follows. The self‐directed type art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Gyeonggi School of Dreams can develop creative thinking to create and plan environment, but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can lead to differences in individual performance. Teacher intervention cannot be ruled out in the planning phase and in the student discussions, and it was pointed out that clear evidence for the role of teachers' assistants in self‐directed educational activities is needed. Intervention of teacher as a helper may be inevitable during self‐directed activities, which can accordingly reduce students' thinking. Common opinions of participating teachers in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humanities and arts through Gyeonggi School of Dreams had no disagreement about the fact that the field needs to be considered for the purpose of self‐directed type School of Dreams, and that the humanities of Korean adolescents are not high yet, and the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integrated education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the level of understanding between teachers. Through this, this study presented how close it accesses to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Gyeonggi School of Dreams,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finding ways to achieve stable operation with positive significance for this outside school art education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suggest the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Gyeonggi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chool of Dreams, an outside school art education environment.

      • 국내 미술대학 입학사정관제의 개선을 위한 프로세스 폴리오 도입의 필요성

        박지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내 미술대학의 입학사정관제는 서류평가와 아울러 실기소양을 확인하기 위한 미술활동보고서, 심층면접, 포트폴리오 등을 포함한다. 외국의 경우, 포트폴리오는 학생들의 미술소양과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미대 입시 평가도구로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지만, 최근 국내 입학사정관제 운영에 있어서 포트폴리오가 점차 입시전형요소에서 제외되거나 축소되어 실기 능력 평가라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서류 중심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자는 국내 미술대학 입학사정관제에서 포트폴리오를 강화 혹은 개선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서 전 과정이 포함된 프로세스 폴리오 모델을 평가도구로 제안하고자 한다. 프로세스 폴리오는 학생 입장에서는 본인이 작품을 제작한 것을 입증할 수 있으며, 대학 입장에서는 작품의 변화과정을 통해 발전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입학사정관제에서 활용되는 포트폴리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찾아본 후에 프로세스 폴리오 모델을 새롭게 개발하고 구체화시켜 입학사정관제에 활용하도록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2018년 5월 13일에서 19일까지 포트폴리오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입시 미술학원 강사 4인을 대상으로 일대일 인터뷰와 전화 인터뷰를 각각 40분간 진행하였으며, 거기서 수집된 자료를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해 의미단위, 주제, 주제묶음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포트폴리오의 문제점은 제작할 때 외부 도움에 의지하는 점과 평가의 어려움, 그림 반영 비중이 낮아 학과 공부 중심이 되는 점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그 개선 방안으로는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캠프나 면접에서 실기 테스트를 추가로 볼 것, 작품 준비과정과 제작과정을 포함 시킬 것, 작품 수를 늘릴 것, 전형요소와 반영비율을 수정할 것, 평가기준과 점수화 수치를 제시할 것, 제작과정에서 생기는 모든 자료와 이미지, 생각 등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따라서 입학사정관제에서 포트폴리오는 필요하지만 수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개선방안으로 작품제작의 전 과정이 포함 된 포트폴리오 즉 프로세스 폴리오의 필요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입시전형에 적용 가능한 프로세스 폴리오 모델은 학생 스스로 모델에서 제시한 7단계 과정을 따라 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나온 자료를 첨부하며 반성 또는 성찰해나가는 순서를 가지고 있다. 이 프로세스 폴리오 모델은 자신의 삶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스스로 지각하도록 이끌고, 제작과정에서 생기는 모든 자료와 이미지, 사고 과정을 포함하며, 완성된 작품이 반성과 성찰의 과정을 거쳐 다음 작품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되는 구조를 지닌다. 본 연구는 국내 미술대학의 입학사정관이나 입시 담당자가 요구하는 프로세스 폴리오 모델을 구체화하여 제안한 기초 연구로서 그 의의를 지니며, 향후 미술대학의 입시에 실제 활용될 수 있는 실천적 연구로서 가치가 있다.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of the college of art in Korea evaluates the art activity report, in-depth interview, and portfolio as well as academic performance. Foreign colleges of art use portfolio as an important evaluation tool for the artistic ability and history of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recent Korean admission officer system has reduced or excluded the portfolio from the admission criteria, so the evaluation of artistic ability has not been properly performed.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 proposes a process-folio model that includes the entire process of production as an evaluation tool to strengthen or improve the portfolio i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of the college of Arts. Process-folio allows students to prove their work. while the university will use it to estimate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the applicants confirming the process of changing work of the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fi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portfolio used in the existing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suggests the process-folio model be implemented for admission officer system. From May 13 to 19, 2018, the researcher conducted one-on-one interview and telephone interview for 40 minutes each for four art teachers who had taught students on how to make portfolio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by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Colaizzi (1978) to derive results by analyzing them in meaning unit, theme, and themecluster. As a result, the problems with the portfolio are as follows: - When creating a portfolio, students are resorting to outside help. - The proportion of the art work reflect to the criteria is low. Suggested ideas to improve the portfolio as an assessment tool: - Implementing one-day camp for creating a portfolio. - Do an additional test for practical artistic ability. - Include the process of art work preparation and production in the portfolio - Increase the number of art works in the portfolio. - Modify the reflective ratio of portfolio in the evaluation. - Provide transparent evaluation criteria and score figures. - Record the data, images, and thoughts used in the portfolio production process. The fact that the portfolio was necessary but should be revised was found through the interviews. Also,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portfolio as an evaluation tool, process-folio, a new portfolio that included the entire process of production was developed. The process-folio model proposed by this study allows students to show their try and error by attaching the data used in the production process along the seven steps presented by the process-folio model. This process-folio model leads student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he process-folio also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think on the works produced because it includes all the materials, images, and thinking processes that has occurr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This can become an important resource for students to prepare for the next work. This study has its importance by proposing a concrete plan for the process-folio model which is required by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of the Korean college of art that can be actually used in the entrance examination of the art college in the future.

      •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교육 내용 분석 및 개발 방향 연구 :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수진 국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회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나는 정보지식사회 속에서 우리는 무형재산을 손쉽게 얻고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무형재산에 대한 손쉬운 접근과 사용이 가능함은 잘못된 사용으로 인한 저작권 침해의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미술 활동의 기반이자 창작물로 이어지는 아이디어 또한 무형재산에 속하며, 올바른 미술 활동과 미술품 향유를 위해 학교 미술 교육에서도 저작권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2010년대부터 미술교육에서의 저작권교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었으나,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만을 중점적으로 진행한 연구는 없었으며 구체적인 콘텐츠에 대한 제시가 적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연구를 통해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교육 내용 개발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했다. 현재 교육 현장에서 저작권과 관련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현황을 알아보고자 학교 교육의 주 자료인 교과서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했다. 김형진(2011)이 정리한 공정이용 여부의 기준을 바탕으로 ‘원작에 새로운 표현과 의미가 더하여졌는가?’, ‘원작이 단순한 사실을 묘사한 것이 아니라 표현적이거나 창의적인가?’, ‘원작으로부터 사용된 부분이 전체 작품에서 상당한 양과 질이 사용되었는가?’, ‘원작과 원작을 이용한 후속작품들의 잠재적 시장이나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4가지 분석 질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준거를 통해 현행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저작권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고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자면 다음의 내용과 같다. 첫째, 교과서 분석 결과를 보면, 공정이용의 기준에 맞는 저작권 침해의 예외 기준 내용들과 도판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둘째, 모든 교과서에서 저작권이란 용어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고 오마주나 패러디 등 관련 내용만이 활용되고 있다. 셋째,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같은 작가의 작품들 혹은 같은 작품들이 여러 교과서에 반복해서 제시되고 있다. 넷째, 제시된 도판 모두 서양작가들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한국작가의 작품으로 저작권 관련 내용을 제시한 부분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교육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술 교과서 내 교육 방향에서 출발하여 도판 선정 및 교육 내용, 그리고 저작권 교육을 위한 미술 교과서 체제까지 모색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한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교육 내용 개발의 예시로 총 교과서 예 4장을 제안하였다. 크게 대단원 한 개와 소단원 세 개, 활동하기 두 개, 생각해보기 두 개로 구성하였으며 미술에서 저작권 필요성과 저작권 관련 용어의 개념을 명화, CF, 드라마, 영화의 예시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도판과 내용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정이용의 관점에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관련 내용 현황을 알아보았고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저작권 교육을 위한 미술 교과서 방향 및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구체적인 콘텐츠와 그를 활용하기 위한 교과서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진행되지 않았던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중점으로 저작권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미술 교과서 내 저작권 교육 방향과 내용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In an information-knowledge society in which major changes occur in society as a whole, we can easily obtain, give, and take intangible property. The ease of access and use of intangible property leads to a problem of copyright infringement due to incorrect use. This is no exception for teenagers. Ideas that are the basis of art activities and lead to creations also belong to intangible property, and the need for copyright education in school art education is emerging for proper art activities and art enjoyment.In this situation, research on copyright education in art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2010s, but there were no studies focusing only on high school art textbooks, and there were few specifically presented contents. Therefore,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tudy on high school art textbooks and attempted to specifically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opyright education contents in art textbooks through research. In order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related education in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 it was intended to focus on textbooks, the main data of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criteria for fair use compiled by Kim Hyung-jin (2011), four analytical questions were drawn: 'Were the new expressions and meanings added to the original work?', 'Did the part used from the original work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entire work?', and 'Did it negatively affect the potential market or value of the follow-up work?' Through the derived criteria, the contents related to copyright in the current high school art textbook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results of textbook analysis, the contents and drawings of exceptional standards for copyright infringement that meet the criteria for fair use are mainly composed. Second, the term copyright is not directly mentioned in all textbooks, and only related contents such as homage and parody are used. Third, in the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the works of the same artist or the same works are repeatedly presented in various textbooks. Fourth,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part that presented copyright-related contents as works of Korean artists because all of the drawings presented were composed of works of Western artist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opyright education in art textbooks. Starting from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art textbook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selection and educational content of drawings, and the art textbook system for copyright education. Based on this, a total of four textbook examples were proposed as examples of the development of copyright education contents in art textbooks. It consists of one large unit, three small units, two activities, and two thoughts. The necessity copyright and the term of copyright in art were constructed as drawings and contents to induce students’ interest using famous paintings, commercials, dramas and movie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related contents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 from the perspective of fair use, reviewed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art textbooks for copyright education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and presented specific contents and textbook examples to utilize them. Based on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sed the contents of copyright of education focusing on high school art textbooks that were not convered in previous studi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copyright education in specific art textbook.

      • 학습자의 일상생활과 연결된 미술수업 : 중고등학교 미술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수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and Keywords Art Education Practice Connected with the Learner’s Daily Life: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Art Teachers and Students from Middle School & High School Lee, Su Gyoung Major in Ar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Daily life has become an important life form in modern times, and the meaning of daily life has changed little by littl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art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 high school about ‘perception of art education practice connected with students' daily life’. Prior to the study, five art teachers were interviewed in advance to derive the viewpoint of “art education practice linked to daily life”. First, I examined the meaning of daily life, the curriculum and phenomenological viewpoint, the meaning of daily life changed in modern life, and in - depth interviews about the ‘art education practice linked to daily life’ and ‘practice’ And analysis based on opinions. The ar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nnection between daily life and art education practic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idea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s same or different. In this study, in - depth interviews including pre -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uly 26, 2018 to November 9, A questionnaire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from November 5, 2018 to November 9, 2010 in five municipal schools in Seoul. A total of 104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64 students, and 40 female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5th to November 16th, 2018 in 36 high school students and second grade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Jeju isl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interviews of art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art teachers ‘art education practice connected with students daily life’ categorized into five categories. (1) art education practice that take learners'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2) art education practice that motivat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3) art education practice to connect learners' life and art, (4) art education practice that reflect the learner's culture, (5) art education practice that are necessary and helpful to the learner's life. Second, in the questionnair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art education practice linked to students' daily life’ appeared to be ‘normal’ and ‘very agree’ in multiple choice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nections with my daily life in art classes was categorized into 11 categories such as around, design, beauty, formative, career, appreciation, SNS, discernment, Aesthetic expression, emotion, expansion of thinking, and academic were categoriz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erceived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terview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ith regard to the practice of art education linked to daily life of learners. For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in thinking about art and are not interested and interested, it is necessary to make art education easy to see in daily life and to feel close to learners. In order to enhance the interest of the learners and to provide the art education tailored to the level and level of the learner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school environment that enables various experiences and the art teacher's capacity including the enthusiasm supported by the art teacher's efforts. do. 일상생활은 현대에 와서 중요한 삶의 모습으로 자리 잡았고, 일상생활의 의미는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일상생활과 연결된 미술수업’의 인식에 대하여 중고등학교 미술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에 앞서 5명의 미술교사와 사전면담을 통해 ‘일상생활과 연결된 미술수업’이란 관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일상생활의 의미와 교육과정과 현상학적 관점, 현대생활에서 변화된 일상생활의 의미를 고찰하였고 현직 미술교사의 ‘일상생활과 연결된 미술수업’에 관한 심층 면담을 하여 교사들의 생각과 의견에 기초한 분석을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미술교사들은 일상생활과 미술수업의 연결을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는데, 중고등 학생의 생각은 이와 같거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전면담을 포함한 심층 면담은 2018년 7월 26일부터 11월 9일까지 수업 관찰과 함께 5명의 현직 중고등학교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중학교의 설문 조사는 2018년 11월 5일부터 11월 9일까지 서울 소재 M중학교 5반에서 이루어졌으며 1, 2학년 남학생 64명, 여학생 40명 총 104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고등학교의 설문 조사는 제주 소재 A고등학교에서 2018년 11월 15일부터 11월 16일까지 36명의 미술과 2학년을 대상으로 여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미술교사의 면담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사의 ‘학습자의 일상생활과 연결된 미술수업’에 대한 인식을 다섯 가지로 범주화하였다. (1)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는 수업, (2)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수업, (3) 학습자의 생활과 미술의 연결을 꾀하는 수업, (4) 학습자의 문화를 반영하는 수업, (5) 학습자의 삶에 필요하고 도움이 되는 수업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설문 조사에서 ‘학습자의 일상생활과 연결된 미술수업’에 대한 인식은 객관식 문항에서 ‘보통이다’, ‘매우 그렇다’로 나타났으나 주관식 문항에서는 각각 약 2-3배씩 높은 비율의 답변으로 객관식 문항의 답변과 차이를 보였다. 중학생의 ‘미술수업에서 나의 일상생활과 연결’에 대한 인식은 ‘주변’, ‘디자인’, ‘미’, ‘조형’, ‘진로’, ‘감상’ 등의 11개로 범주화되었고 고등학생의 인식은 ‘일상생활’, ‘SNS’, ‘진로’, ‘안목’, ‘디자인’, ‘미적 표현’, ‘친숙함’, ‘감정’, ‘사고의 확장’, ‘학문’ 등의 11개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일상생활과 연결된 미술수업’에 대하여 중고등학교 미술교사의 인식과 중학생의 인식을 면접, 면담과 설문 조사를 통해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미술을 어렵게 생각하고 흥미와 관심이 없는 학습자에게 미술교육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고 학습자와 밀접하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학습자의 관심을 높이고 학습자의 눈높이와 수준에 맞춘 미술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려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학교환경의 지원과 미술교사의 노력이 뒷받침된 열의를 비롯한 미술교사의 역량이 기대된다.

      • 생태미술교육에서의 공감적 태도 함양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홍현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Nowadays, Korea has achieved rapid growth through development of outstanding human resources as well as scientific technology and industry. However, knowledge-centered education was a secret factor behind the success achieved in a short amount of time. Furthermore, it is currently in a situation that people regard education as what deserves the highest value since it has rapidly developed industry. In the field of education that tangible result of education is emphasized the most beyond the character-building education, social issues such as inhumane school violence, suicide from pessimistic view on grades, and outlier are being raised. 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ingly loud call for self-examination from the older generations on the economic growth-centered education. As an alternative of these issues, creativity and character-building education is being suggested. This study started from a concern as to how fine art subjects could contribute to creativity and character-building education as a core value of education in the future and hence is intended to solve character-building education problems raised as a social issue beyond school problems through ecological art education. Students tend to realize how there is an existence to live with them over a self-centered thought through ecological art education. At last, ecological art education emphasizing the coexistence of the nature and humans and mutual recognition is anticipated to convey a value as to how people need to treat peers in an equal personality and also contribute to build characters in caring and considering others and surroundings. I, as a researcher, aimed to identify how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was helpful in creativity and character-building education by realizing that the nature was valuable to coexist with through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and by deriving empathetic attitude on the surrounding and targets. Selecting subjects that learners were interested in and concentrated on, particular teaching guide to be utilized in the field of education was created proceeding lecture on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As a result, students ended up realizing how precious other people were and actively exploring and considering how to share thoughts with them through empathetic attitude. Hereupon, students naturally suggested creative thoughts and problem-solving capability only with a change in attitude in considering how people could live in peaceful coexistence. Deriving a meaningful conclusion was important. However, a conclusion was made that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was appropriate in creativity and character-building education in a sense that a course of considering changes in attitude of students and their ideas could be of a particular type of education. 오늘날 대한민국은 과학기술 및 산업의 발전과 우수한 인적자원의 개발을 통해 신속한 경제 성장을 이룩하였다. 하지만 짧은 시간에 이룩한 성공 뒤에는 지식 중심의 교육이 자리 잡게 되었고, 빠르게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이면 괜찮다는 가치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던 것이 사실이다. 인성 교육이 차선으로 밀려나고, 교육의 결과가 당장 성과로 나타나야 하는 교육 현장에서는 비인간적인 학교폭력, 성적을 비관한 자살, 왕따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경제 성장 중심의 교육에 대한 기성세대 자성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창의․인성교육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앞으로 교육의 중심 가치가 될 창의․인성교육에 미술 교과목은 어떻게 공헌할 수 있겠냐는 고민에서 시작되었으며, 학교문제에서 나아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학생들의 인성교육 문제를 생태미술교육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생태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나’를 중심으로 하는 사고방식이 아니라 나와 함께 살아가야 하는 존재가 있음을 깨닫게 된다. 결국, 자연과 인간의 공존과 상호 인정을 강조하는 생태미술교육은 내 옆의 친구를 나와 동등한 인격으로 대해야 한다는 가치관을 학생들에게 심어 줄 것이고, 주변의 환경과 대상에게 관심을 두고 배려할 수 있는 인격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자는 위와 같은 관점에서 생태미술교육을 통해 자연을 공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존재로 깨닫게 하고, 주변 환경과 대상에 대한 공감적 태도를 이끌어냄으로써 생태미술교육이 창의·인성교육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이 흥미를 느끼고 몰입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지도안을 고안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공감적 태도를 통해 타자에 대해 소중함을 느끼고 그들과 공감하는 방법 등을 적극적으로 탐구하고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우리가 모두 같이 공존하며 살아가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지 생각하는 태도의 변화만으로도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창의적인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제시하였다.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의 태도 변화와 아이디어를 고민하는 과정 그 자체가 또 다른 교육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생태미술교육이 창의․인성교육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