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Verification of Ship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by Antifouling Coating Performance

        김효찬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해운업에 있어서 선박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선박 운영시 지출되는 비용은 해운업의 경영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통상적으로 선박운영비용의 50%이상을 차지하는 연료비는 선박의 에너지효율에 따라 차별되며 이는 해운사의 경쟁력과 직결된다. 본 논문은 선박이 운항함에 따라 발생되는 Biofouling(선체 오손)으로 인한 선체성능저하 최소화의 방안인 Antifouling coating의 성능을 ISO19030의 방법으로 시계열 분석하고 Antifouling coating선택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해운업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경영성과 및 Global Regulation에 동시에 부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성 있는 방법은 Antifouling coating의 선택임을 제시한다. 전 세계적으로 더욱 더 중요시되고 있는 지구온난화 및 이상기후 등을 지연 또는 막기위해 선박에서 배출되는 탄소배출을 저감하기 위해 IMO에서는 저황선박연료유(Low Sulphur cap) 사용 및 선박의 에너지효율에 대한 EEDI, EEOI, EEXI, CII등의 규제를 발효 또는 발효 예정이며, 이는 선박의 에너지효율을 규제이상의 효율로 유지해야 하거나 혹은 LNG, LPG, 암모니아, Biofuel등의 대체 연료를 사용하여 탄소배출을 줄임으로서 규제에 부합할 수 있다. 선박에너지 효율관련해서 연료의 품질, 선박의 디자인 (선박의 엔진효율성, 프로펠러디자인, 선체 디자인 등)에 대한 선행연구는 있었으나 선박이 운항 함에 따라 주어진 선체의 선형 디자인에서 최상의 성능을 기대하기 위해 Biofouling으로 인해 발생하는 선체 성능저하를 최소화 하기 위한 Antifouling coating의 성능분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함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또한, IMO에서는 선박의 선체에 부착되는 해양생물로 인해 해양생물의 서식지에 따른 교차오염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 Biofouling management guideline을 발표 예정이다. 이는 Biofouling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Antifouling coating이 Biofouling management guideline에 부합 할 수 있는 가장 매력적인 대안으로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 ISO19030 (Measurement of changes in hull and propeller performance) 분석방법을 통해 벌크선 1척의 9.5년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거 수리 기준으로 서로 다른 Antifouling coating의 In-service performance를 분석하였고 컨테이너선 5척의 입거 수리 후 25~35개월 동안의 In-service performance를 전체 시장평균성능 대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Antifouling coating의 성능에 따라 벌크선의 경우 17.7%(60개월기준), 컨테이너선의 경우 6.97~10.32%(25~35개월기준)의 효율차이를 입증 하였다. 이는 주어진 선체의 최상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Antifouling coating의 성능이 중요한 지표라는 것을 입증하였고 본 연구가 해운종사자들에게 Antifouling coating선택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실무에 적용 가능한 중요한 연구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후행 연구에서는 더 많은 선박의 분석을 통해 시장의 어떠한 Antifouling coating이 가장 좋은 성능을 제공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한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 되어 진다. Ships are most important assets in shipping business and reducing operational expenditure is crucial for running a profitable business. Fuel cost which takes normally 50% of operational expenditure depends on ship energy efficiency and it is directly related with ship operator’s competitiveness. This study proves that the choice of antifouling coating, a solution to prevent biofoulings during in-service sailing period, is critical by analyzing reliable method ISO19030. This study proposes that high-performance antifouling coating is one of the most attractive solutions to running profitable business while complying with global regulations. The IMO has enforced regulations to controlling Co2 emissions such as low Sulphur fuel cap and EEDI, EEOI, EEXI and CII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global warming and abnormal climate. Therefore, ship operators are required to manage ship energy efficiency to comply with regulations or reduce Co2 emission by burning alternative fuel sources like LNG, LPG, Ammonia, biofuel, and so on. A ship’s overall energy efficiency is determined by its design (i.e., engine, propeller, and hull design) and the way how it is operated. While there are studies for ship’s design, only few studies have addressed underwater hull and propeller surfaces, which are prone to mechanical surface damages and biofouling. To this end, this study proves that managing sustainable clean hull condition by antifouling coating increases ship energy efficiency compared to average hull efficiency during ships in-service period caused by deterioration of hull and biofouling. Additionally, while the IMO plans to release biofouling management guidelines, less biofouling would mean a lower risk of spread of non-native invasive aquatic species that may be transported on ship hulls. According to the biofouling management guidelines, antifouling coating performance becomes an issue in the shipping industry. In this study, the dataset is collected for 1 Bulk carrier analyzed by ISO19030 in-service performance and compared to dry docking intervals for 9.5 years. In addition, five (5) Container carriers are analyzed by ISO19030 in-service performance and compared to market average performance during 25Month to 35Month after dry dock. The analysis results show the efficiency differences of 17.7% and 6.97~10.32% for a bulk carrier (60Month) and container carriers (25~35Month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alysis prove that antifouling coating performance contributes hull efficiency based on given hull design. Therefore, choice of antifouling coating is one of the solutions to maximize hull efficiency in given hull design while complying with new regulations and guidelines. Therefore, it is of utmost importance for ship operators to take proper actions for the competitive edge and decarbonization. This study can show the importance of choice of antifouling to practitioners when they exercise daily business.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evaluate which is best performance antifouling coating by more case studies and to find out the limitations of antifouling coating.

      • 항만보안 서비스 품질이 고객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은유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에서 경제적, 산업적 가치를 제공하고, 국내 기업들의 활동을 뒷받침하는 국가중요시설 가급에 해당하는 항만에 대한 이용이 증가하면서 항만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항만보안 서비스는 공공기관인 경찰이 아닌 항만보안요원에 의해 보안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항만보안의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항만보안 서비스에 대한 고객반응을 주제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보안 서비스 품질이 고객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항만보안 서비스는 민간서비스와 공공서비스라고 성질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 개발된 공공서비스 품질평가 NDSI(Newly Developed Service Index)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항만보안 서비스 품질을 직원품질, 물리적품질, 결과품질로 구분하여 항만보안 서비스의 고객만족도, 고객신뢰도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은 인구통계적 특성에 의한 빈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항만보안 서비스를 제공받은 항만이용객이 항만보안용원과 접촉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제공을 받을 때 가장 큰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절성․신속성․전문성을 요소로 하는 직원품질과 정확성․공익성․접근성을 요소로 하는 결과적 품질도 항만보안 서비스가 고객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항만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품질과 항만이용객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결과품질이 항만보안 서비스에 대한 항만이용객의 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항만보안요원이 전문지식을 갖추고 친절하게 항만이용객을 대하는 것과 항만이용객의 목적을 달성하면 항만보안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는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 빅데이터를 이용한 부산항신항 ITT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백용주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금융물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global maritime crisis and the financial slowdown are accelerating a fierce competition to induce container cargo volumes against other global ports. In particular, this competition among them is more intensified by offering large-scale incentives or free port dues in order to attract global alliances of liners. First above all, shipping lines constantly request that Busan Port Authority introduce the ITT, so that the subsidy of extra operating costs caused by ITT can secure transshipment container cargoes. Despite that there are many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which have been splitted for a long time and disintegrated terminals have caused unnecessarily extra operating costs, however, an ITT operative problem in Busan Port can be solved by integrating all terminal operators into a unified single terminal. In fact, due to our current difficulty of the terminal integration, therefore, only establishing an ITT platform can be the key to solve ITT issues in the first place. This paper shows that an ITT platform can adopt an ITT platform design and configuration algorithm which should be first simulated utilizing Big Data tool. Big Data is one of the latest IT technolog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a way to re-create valuable data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hat the data are used for Big Data, I’d like to propose a scenario to optimize the ITT platform construction by confining the optimal design requiring actual data after data mining through analysis tool (R). Particularly, optimized in-and-out container cargoes can be calculated by analysis of loading and unloading rates of transshipment cargoes between nearby two terminals and the turnaround time. Besides, an ITT platform can be optimized to the establishment of an ITT platform via analysis of the best route of terminal-to-terminal TS on a basis of day and time and the transportation pattern of cargoes. 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ilure rate of the ITT platform by performing the simulation once using the big data before execution, and it could be reflected in the future ITT platform design.

      • 공유가치창출(CSV)을 통한 해운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강화 방안

        성지혜 한국해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공유가치창출(CSV)을 통한 해운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강화 방안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공유가치창출(CSV : Creating Shared Value)’ 이론에서 그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해운항만물류분야는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 활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관심도도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전 세계적인 경영 패러다임인 ‘공유가치창출’ 이론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유가치창출의 4가지 요소(가치전략, 수요조건, 요소조건, 클러스터구축)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기업의 CSV와 관련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CSV의 특성을 이해하고 해운산업분야 기업의 경쟁우위와 애로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해운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회수된 유효한 201개의 설문지는 SPSS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집단별 평균 비교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앞에서 언급한 공유가치창출의 4가지 요소에 따른 해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해운산업에서 공유가치창출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정부 및 지자체 또는 지역공동체가 추진해야할 정책 사안도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Sustainable Competitiveness of Shipping Industry through Using Creating Shared Value (CSV)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potential solutions to enhance sustainable competitiveness of the shipping industry in Korea from the ‘Shared Value Creation (CSV)’ theory.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in Korea, the shipping industry has paid relatively lown interest to CSV activities and research on the topic is surprisingly thi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Korean shipping companies with ways to survive global competition by drawing up measure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from the CSV theory, the contemporary business management paradigm. For this purpose,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four elements of CSV (value strategies, demand conditions, factor conditions and clusters) is established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CSV activities and the related benchmarking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This study also performs empirical analysis on the competitive edges and difficulties in enacting CSV activities based on the survey dataset collected from shipping practitioners. Finally, this paper proposes measur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hipping industry according to the four elements of CSV and provides policy suggestions for the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ies in pursuing CSV strategies in the shipping industry.

      • 총수명주기체계관리(TLCSM)에 의한 우리나라 관공선 유지관리 개선 방안 연구

        정윤종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첨단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다양한 산업의 디지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군수․민수 구분하지 않고 영향을 받고 있다. 이 흐름의 공통적인 목표는 단연코 프로세스 개선 및 기술발전을 기반으로 한 업무 효율화이다. 최근 안전, 환경 그리고 보안 등의 산업 핵심 키워드가 급부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수리 조선을 포함한 신조 조선소 등 제조 기반의 민수사업 분야에서도 발 빠르게 변화를 맞이하고 있고, 이미 상당한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특히, 선박 건조 및 선박의 효율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 분야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해군의 경우, “SMART NAVY”라는 비전하에 특성에 맞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함정 건조 및 운영을 위해 많은 연구를 추진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하지만 관공서에서 운영되고 있는 관공선은 기관별 별도의 운용지침으로 인해 해군의 함정, 해경의 경비정 그리고 주요 선사들의 운용 및 유지 관리하는 선박에 비해, 관심이 저조하고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공선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국방부 무기체계의 효율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를 위해 적용하고 있는 총수명주기체계관리(TLCSM)의 개념, 적용 배경 및 현재 적용 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TLCSM 개념의 핵심 요소인 통합체계지원(IPS)과 그의 전신인 종합군수지원제도(ILS) 개념에 대해서도 이론적으로 접근하였다. 운용단계에서 적용되는 후속군수지원(ISS)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관공선 현황과 운영 및 유지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관공선의 효율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를 위해 관공선 유지관리 업무에 TLCSM 개념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명주기관리 목표(효과적 성능 발휘, 최적의 준비태세 유지, 운영유지비용 최적화)를 달성하기 위한 효율적인 전략을 운영 및 수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 화물자동차 운수사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종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황재영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기업들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지속가능경영은 전세계적 주제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분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고, 운수사업분야의 지속가능경영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여 화물자동차 운수사업의 지속가능경영에서 종사자의 인식이 가지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운수사업분야 종업원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의 하위 범주로 경제적 지속가능활동, 사회적 지속가능활동, 환경적 지속가능활동을 설정하고 이 요소들에 대한 지각이 조직구성원의 직무관련태도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는 경제적 지속가능활동과 사회적 지속가능활동은 채택되었으나 환경적 지속가능활동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는 경제적 지속가능 활동만 채택이 되었고 사회적 지속가능 활동과 환경적 지속가능활동 모두 기각되었다. 경제적 지송가능활동에 대한 노력이 높지 않을 경우에 조직구성원들의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지속가능경영은 기업의 발전과 생존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확립하는 것에도 매우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 지속가능경영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증가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조직구성원들의 바람직한 직무관련태도를 확립하기 위해 경제적 측면에서는 창조적인 성장을 추구하여야 하고, 사회적 측면에서는 사회적인 책임활동과 선도적인 윤리경영을 통해 사회적 가치창출에 노력하여야 하며, 환경적 측면에서는 환경윤리를 바탕으로 한 통합된 환경경영의 핵심전략화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 부산항 북항 재개발을 통한 원도심 재생사업이 지역주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철호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Busan is a city that has continuously developed around the sea. Among them, the North Port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Busan not only geographically, but also economically and culturally. However, with the relocation of the city hall, many functions and roles were transferred to other areas of Busan, and the voiding phenomenon was accelerated due to the aging of the area and the decline of the port function, and the need for regional development emerged. In particular, with the advent of Busan New Port in early 2000, the necessity of the traditional North Port function disappeared, and based on overseas success stories, the North Port was developed as a logistics and leisure complex port for urban regeneration linking socio-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The success of the regener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area, where the front and rear industries were connected, soon becam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North Port redevelopment industry. In this paper, the types,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of the port re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industries were investigated, and a prior study was conducted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In the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how the redevelopment of the North Port and the related original downtown regeneration industry were perceived by the local residents and the resident population, and which direction could increase the utility for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ample survey,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oblem of cavitation due to aging and aging of the region is serious, and accordingly, the result that local residents can be satisfied with will be the result that local residents can be satisfied with only when policy support is given to boost the commercial district around Busan Station and Nampo-dong, the center of the original downtown. Based on these empirical studies, measures and implications that should be pursued in order to induce high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in the redevelopment of the North Port and urban regener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were derived. Keywords: North Port redevelopment, original downtown regeneration, urban regeneration, port regeneration, effect recognition,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부산은 바다를 중심으로 발전을 거듭해온 도시다. 그 중 부산항은 지정학적 위치뿐만 아니라 경제, 문화적으로 부산의 중심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시청의 이전과 함께 많은 기능과 역할을 부산의 다른 지역으로 이전되었고, 지역의 노후화와 항만 기능의 쇠퇴로 공동화 현상이 가속화되어 지역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2000년 초, 부산 신항의 등장으로 전통적 북항의 기능의 필요성이 소멸하고, 해외의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북항을 사회.경제.문화적 면을 연계한 도시재생 차원의 물류.레저 복합 항만으로 개발 사업이 진행되며 전후방 산업이 연결된 배후 원도심 지역 재생의 성공이 곧 북항 재개발 산업 성패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항만 재개발과 도심재생산업에 대한 유형과 특징 및 현황에 대한 조사하고 그에 따른 주민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하였다. 실증 연구에서는 북항 재개발과 그에 연계된 원도심 재생산업이 지역 주민 및 상주 인구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어떤 방향이 만족도에 대한 효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조사 결과 지역의 노후화와 고령화로인한 공동화 현상의 문제가 심각하고, 그에 따라 원도심의 중심인 부산역과 남포동일대를 중심으로 상권 부양을 정책적인 지원이 되어야 지역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북항 재개발과 원도심 도시재생에 있어 지역주민의 높은 참여와 만족도를 이끌어 내기 위해 추진해야 하는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키워드: 가치공동창조, 고객관계품질, 관계지속의도, 해상운송서비스구매형태, 해운선사, 국제물류주선업

      • 해운기업의 해상공급사슬보안과 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권유성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선진국과 국제무역기구의 동향에 따르면 911테러 이후 국제 사회의 주요 이슈로 공항과 항만 등을 비롯하여 국제물류 전 단계에서의 보안과 효율성 강화, WCO, 미국, EU가 주도하는 무역안전망 확보를 위한 국제물류보안체제 구축이 적 극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보안사고의 현황과 원인을 파악하여 선박보안관리의 특성을 조사하고 선박보안관리시스템의 취약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상공급사슬보안의 개념과 특징, 보안위험과 공급사슬의 취약성을 조사하였다. 국제기구의 해상공급사슬보안제도 및 주요국의 해상공급사슬보안 인증제도 현황을 분석하여 해상공급사슬보안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모든 물류 구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테러 공격과 같은 보안 사고를 예방함으로써 해상공급사슬이 실시간으로 원활히 운영되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해운회사의 해상공급사슬보안 요소 및 범위를 확립하고, 보안위험을 예방하고 위험성을 감소하기 위하여 수립된 대책 등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유형별 해상보안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보안체계 구축 방법과 해운회사의 해상공급사슬 보안사고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advanced countries and international trade organizations, the strengthening of security and efficiency of international logistics such as airports and seaports has emerged as a major issu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fter 9.11 terrorist attack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logistics security system has been actively promoted to secure trade safety net led by WCO, U.S. and EU. In this study, the status and cause of ship security accidents were identif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hip security management and to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the ship security management system.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security risk and vulnerabilities in the supply chain were researched. Further, the current status of the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system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of major countries were analyzed and derived implications to ensure that the logistics security system is operated in real time by improving problems in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and preventing security accidents such as possible terror attacks in all logistics sections. In addition, related data were collected to establish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elements and scope of the shipping companies, and establish measures to prevent security risks and reduce risks of the shipping companies. Through this, effective risk management strategies for security accidents of shipping companies are proposed by establishing a personal and physical security system to effectively cope with each type of maritime security risk.

      • 국제여객터미널 서비스 품질에 관한 실증연구

        임광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ervice industry is currently an area that can not be cut off from the center of the global economy. When we look at countries with advanced industries around the world, we can see that the share of service industries in the economy is very large. Service Industry accounts for nearly 80% of the GDP of the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and Korea, a member of the OECD, has also made a huge impact on the public service economy since the 1990s. The recent trend of public service economics is also Passenger terminals, formerly merely a ferry boarding facility, now have value as transportation services products that reflect the diverse needs of users. It should not only mean the basic role of the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as an axis in the transport of ocean passengers in the future, but should also constantly value the priority of implementing service marketing efforts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effects of each componen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 to act on the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empirical study has shown how the perceived quality of service relationship has been related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intent of the act after using the service by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users. Second, the component of the quality of service at the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was used in three dimensions, corresponding to the views of Brady and Cronin (2001) : interactive quality, resulting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al quality. Third,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21.0 were used to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f quality of 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variety of papers have been obtained through literature. However, the main results were drawn from the structured survey results collected directly from experienced users and field users using the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model of the quality of service configu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is more satisfactory, and that it can be seen a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analysis of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and the service quality of the service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 behaviors of the passenger terminal. Second, although th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with overall service quality of the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slight. Third, it was found that customer satisfaction coul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lient's intention of acting, such as oral proceedings. This study presents several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the quality of service was performed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external customers. Therefore, future studies will need to see an assessment and analysis of the quality of the service from internal customers, including the service provider, and see if the results of an analysis on the quality of the service are true for all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use, other than Busan International Airport International Terminal.

      • IMO 선박 온실가스 감축 규제로 인한 컨테이너선 영향에 대한 연구

        서대식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제해사기구(IMO)는 2018년 4월 MEPC 72차 회의에서 선박의 온실가스(GHG) 배출 감소에 관한 초기 전략을 채택하였다. 국제 해운 탄소 집약도 감축을 위해 운송업무량(Transport wort) 당 CO2 배출량을 2008년 대비 2030년까지 최소 40% 감축하고 2050년까지 70%를 감축 목표로 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8년 대비 2050년까지 최소 50% 감축하는 국제 해운 온실가스 배출 총량 감축 목표를 발표하였다. 또한,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단기·중기·장기 조치 후보군을 식별하고 2023년 도입을 목표로 기술적 조치인 EEXI와 운항적 조치인 CII를 단기 조치로써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EEXI와 CII가 컨테이너 선박 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선박의 크기에 따라 8개의 샘플 선박을 선정하였고 2021년 운항 데이터를 토대로 2023년부터 2030년까지 CII 등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정한 연간 운항 데이터를 토대로 운항적 수단인 선속 감속을 통해 CII 'C' 등급을 유지할 수 있는 연도별 선속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 평균 선속 16노트 및 17 노트와 연간 운항일수를 비교하여 선속 감속 운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연도별 운항 손실을 산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동일한 조건으로 운항을 지속할 경우 CII 등급은 낮아질 수밖에 없으며, 선속 감속이라는 운항적 수단을 통해 CII 등급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선속 감속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항 손실을 감수해야 하며 무한정 선속을 감속하기에 어려움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중장기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추가 선박을 투입하지 않는다면 선속 감속에 의한 운항 손실로 인해 전체적인 수송능력이 저하되는 영향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CII 규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연료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너지 효율 개선 설비를 탑재하거나 탄소 변환계수(Conversion Factor, CF)가 작은 대체연료를 도입하는 것과 같은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와 같이 IMO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단기 조치인 EEXI와 CII 규정이 컨테이너 선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운항적 관점에서 실증 분석하였다. 2023년부터 도입되는 규정임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 결과는 컨테이너 선사의 IMO 온실가스 감축 단기 조치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adopted an initial strategy for reducing greenhouse gas(GHG) emissions from ships at the MEPC 72 in April 2018. Also, IMO announced a target to decrease CO2 emissions per transport work by at least 40% by 2030 and 70% by 2050 compared to 2008. Furthermore, it addressed the goal to reduce annual greenhouse gas emissions by 50% by 2050 compared to 2008 to diminish the total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international shipping. In addition, IMO identified short-term, mid-term, and long-term action candidates to achieve the above goals. Moreover, EEXI, a technical measure, and CII, an operational measure were adopted as short-term measures to start in 2023. 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s of EEXI and CII on container ship operat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First of all, 8 sample ships selected the size of the ship and CII grades analysis from 2023 to 2030 based on the 2021 operation data. Based on the assumed annual operation data, the ship speed for each year could maintain the CII 'C' grade derived through speed reduction as an operational method. Finally, the annual operating loss caused by the speed reduction operation calculate by comparing the annual average ship speed of 16 knots and 17 knots with the number of days in operation. As confirm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it verified that the CII grade is inevitably lower if the operation is continue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CII grade raises through operational ways such as speed reduction. However, it judges that there would be limitations in using it in the mid or long-term period because it considers that it would be challenging to decelerate the ship speed indefinitely. In addition, if additional ships will not add, it was anticipated that the overall transport capacity would lower under operational loss from speed deceleration.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the CII regulation from a mid or long-term point of view, it was determined that additional measures. Installing systems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that could reduce fuel consumption or applying alternative fuels with lower carbon conversion factors(CF) is necessar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IMO short-term 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EEXI and CII, on container shipping companies from an operational point of view and derived quantitative results that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Considering this regulation is starting in 2023, it evaluates that the timing is very appropriate.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helpful document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container shipping companies regarding short-term measures reducing greenhouse gas from IM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