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2주간 복합운동 처치가 비만 여대생의 염증지표 및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목대홍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12-weeks combined exercise training which goes side by side with aerobics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fitness level, blood lipid profile, inflammation markers CRP and Antioxidant System changes (MDA, GPX) in the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The subjects who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ten Y university female college students has chosen(10 women over 25% of body fat ratio) without a special disease. The combined exercise training was performed for 12 weeks and anthropometric variables, fitness levels and blood biochemical variable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combined exercise training.Subjects were examined with tests height, weight, %body fat, FFM, WHR and the before-after examinations were including maximum air ingestion VO2max, exercise performance time, and 1-RM(1-Repetition Maximum). For every examination, their blood was extracted and the levels of blood lipid profile and inflammation marker CRP, antioxidant system(MDA, GPX) were examined. During the 12 weeks training program, aerobic exercised 40 minutes per day with the 0~2week 50%HRR(Heart Rate Reserve), 3~10week 65~70HRR, 11~12week 70%HRR exercise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operated 8 kinds of 80% exercise intensity of 1-RM.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each group was calculated through a statistical package for windows, SPSS/PC+Ver. 12.0K. Then, Paired-test was used to test research hypothesis.From the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body weight, BMI, %fat, FFM, WHR, significantly changed(p<.01) and fitness levels (VO2max, exercise performance time, 1-RM) significantly increased(p<.05). Also, blood lipid profile variables(TC, HDL-C, LDL-C, TG) significantly changed(p<.05), CRP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p<.001) and Antioxidant System significantly changed(p<.01).In conclusion, 12-weeks combined exercise which operated in body composition had positive effect on obesity female college students and seems that it decreased blood lipid profile, plasma CRP and decreased danger of metabolic syndrome included obesity after all. Also, it seems that change in density of MDA and GPX increased antioxidant defense mechanism so to operate effectively.Later survey need to research on stress of exercise after investigation on study participants' age, sex, ratio of combined exercise and operating one time before-after exercise training. 본 연구는 체지방률 25%이상인 Y대학교 여대생 1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이 신체구성, 체력수준, 혈중 지질 변인들, 혈중 염증지표(CRP)와 항산화 체계(MDA, GPX)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상자는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특별한 위험 질환이 없으며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Y대학교 여대생 10명으로 최종 선정하였고,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전·후 간 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기본검사로는 신장, 체중, 체지방(%body fat), 제지방, WHR을 측정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는 최대산소섭취량(VO2max)과 운동수행시간, 1-RM을 측정하였다. 또한 혈중 지질 변인들과 염증지표(CRP), 항산화체계(MDA, GPX)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사후 총 2회 채혈을 하였으며, 12주간의 복합운동 처치 중 유산소성 운동은 12주간(3일/주) 0~2주는 50%HRR, 3~10주는 65~70%HRR, 11~12주는 70%HRR의 강도로 트레드밀에서 런닝트레이닝을 실시하였고, 저항성 운동은 12주간(3일/주) 1-RM의 80% 강도(8회/3세트)로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실험에서 얻은 자료는 윈도우용 SPSS/PC+Ver. 12.0K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각 그룹별로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구하였다. 그리고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신체구성 중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제지방량, WHR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p<.01)를 보였으며, 체력 수준 중 심폐지구력, 근력은 모두 유의한 증가(p<.05)를 보였다. 또한 혈중 지질 변인들 중 TC, HDL-C, LDL-C, TG은 모두 유의하게 변화(p<.05)하였고, 염증지표 중 혈중 CRP은 유의한 감소(p<.001)를 보였으며, 항산화 지표 중 MDA, GPX도 유의하게 변화(p<.01)하였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실시한 12주간의 복합운동은 비만 여대생의 신체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혈중 지질성분과 CRP 농도를 감소시켜 비만을 포함한 대사성질환의 위험률까지도 감소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MDA 및 GPX의 농도 변화는 항산화 방어 기전을 증가시켜 항산화 체계에도 효율적으로 작용한 것이라 생각된다.추후 연구에서는 실험 대상자의 연령, 성별, 복합운동의 비율 등을 구분한 연구와 트레이닝 전·후 1회성 운동을 실시하여, 운동이라는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연구할 필요도 있다고 사료된다.

      • 12주간 여성노인의 한국무용 참여가 기능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박하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무용은 전반적인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동형태이다. 그러나 한국무용을 주체로 한 신체적 기능과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12주간 한국무용 참여가 기능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나아가 노인의 건강 증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복지관을 방문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히고, 신체활동이 가능하면서, 현재 약물치료를 받지 않는 자로 총 33명으로 선정하였다. 총 33명의 대상자들은 일상생활 그룹(NL) 14명, 한국무용 참여 그룹(TKD) 19명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그러나 3개월간의 실험 기간 도중 한국무용 프로그램의 흥미를 잃거나, 사후검사의 거부로 인하여 중도탈락하여 일상생활 그룹(NL) 12명, 한국무용 그룹(TKD) 11명으로 총 23명이 최종 분석 대상이 되었다. 12주간 한국무용 참여 전·후 신체구성(체중, 신장, BMI)과 기능체력(전신지구력, 근력, 유연성, 민첩성과 평형성)수준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체력검사인 노인기능체력검사(SFT)로 6가지(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 덤벨들기, 2분 제자리 걷기, 등 뒤에서 손잡기, 244cm 왕복 걷기)검사를 실시하였고, 대사증후군 위험인자(fasting glucose, Triglyceride, TG, HDL-C, LDL-C, TC, WC, BP, insulin, HOMA-IR)검사는 N사에 의뢰하여 수준변화를 각각 분석하였다. 이 항목들은 한국무용 참여 사전·사후로 총 2회 동일한 항목으로 각 그룹 내(Independent t-test)와 그룹 간(Paired t-test)을 비교분석하였다. 한국무용 프로그램 운동 강도는 HRR의 40%-60%의 저·중강도로 설정하였고, 운동시간은 3회/주, 60분/회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여성 노인의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한국무용 참여 그룹(TKD)에서 기능체력수준의 변화는 상·하체 근력, 상·하체 유연성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12주간 여성 노인의 한국무용 참여 전·후에 따른 한국무용 참여 그룹(TKD)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수준의 변화는 Triglyceride(TG),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 Total cholesterol(TC), Waist circumference(WC)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반면, 일상생활 그룹(NL)에서 Systolic blood pressure(SBP)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노인의 한국무용 참여가 신체구성과 기능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시사하며, 차후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인정받을 수 있는 이론적 체계구축을 이루어 대사증후군의 이환율을 지연 및 예방할 수 있도록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진다. 여성노인, 한국무용, 기능체력,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SFT,

      • 자외선 노출 시간과 유산소 운동이 비타민 D 합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박병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BMI 25 미만에 속하는 정상적인 일반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비타민 D를 합성시킬 수 있는 자외선 노출의 시간에 따른 차이와 실내 유산소 운동, 실외 유산소 운동의 비교를 통해 비타민 D 합성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과거에 비타민 D 합성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간 또는 신장 질환을 앓은 적이 없고 연구에서 진행하는 운동 프로그램과 자외선 노출에 참여할 수 없는 정신적, 신체적, 생리적 장애가 없으며 비타민 D, 칼슘 보충제를 섭취하지 않고, 자외선 노출에 민감하지 않고, 과도하게 태닝을 하지 않은 BMI 25 미만의 20대 여성 11명을 선정하였다. 사전 검사는 체성분 검사를 실시해 신장, 체중, BMI,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동일 대상을 자외선 비노출(Non UV exposure, NUV), 실내 운동(Indoor exercise, IE), 자외선 노출(UV exposure, UV), 실외 운동(Outdoor exercise, OE)으로 구분하였고, UV 그룹과 OE 그룹은 각각 09:00와 12:00로 세분화하여 총 6번의 일회성 연구(NUV, IE, UV9, UV12, OE9, OE12)를 진행하였다. 유산소 운동은 달리기를 실시하였으며, 운동 시간은 준비운동 10분, 본 운동 30분, 정리운동 5분 총 45분으로 구성하였다. 운동 강도는 고강도(최대 심박수의 80%와 RPE scale 14-16)로 설정하였으며, 설정한 운동 강도에 도달했을 때를 기점으로 30분간 본 운동을 실시하였다. 자외선 노출 그룹(UV9, UV12)은 그늘이지지 않는 운동장에 가만히 앉은 상태로, 유산소 운동 그룹(IE, OE9, OE12)과 마찬가지로 45분 동안 자외선에 노출시켰다. 자외선 노출량을 동일시하기 위해 복장은 민소매, 반바지로 통일하였으며, 측정 장비는 심박수 측정기(FT1, T31coded™, Polar, Finland)와 자외선 측정기(Qsun, Comfable Inc. Canada)를 사용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자외선 측정기를 통해 대상자들의 자외선 노출량을 모니터링 및 통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윈도우 SPSS/PC+Ver. 25.0K 통계 패키지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6가지 그룹과 시기(사전, 사후) 사이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 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를 실시하였고, 각 그룹과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주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 분산분석(One-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기에 따른 25(OH)D와 혈청 칼슘 농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NUV, IE, UV9, UV12, OE9, OE12 그룹에서의 25(OH)D 변화를 살펴본 결과 혈청 25(OH)D 농도는 UV9 그룹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IE, OE12 그룹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NUV, IE, UV9, UV12, OE9, OE12 그룹에서의 혈청 칼슘 농도를 살펴본 결과 혈청 칼슘 농도는 IE, OE9, OE12 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1), NUV, UV12 그룹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UV9 그룹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UV9, UV12, OE9, OE12 그룹에서의 25(OH)D의 변화량은 기온, 운량(p<.001), PM10(p<.01)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UVB(IU), 습도, 일사량, PM2.5 와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25(OH)D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간에 따른 일사량보다 기온의 영향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혈중 칼슘 농도는 단순히 자외선 노출을 하는 것보다 고강도 운동을 할 경우 칼슘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선에서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외선 노출로 인한 혈중 칼슘 농도의 간접적인 증가보다 운동을 통한 직접적인 증가가 단기간 혈중 칼슘 농도의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추후 연구에서는 단순히 햇빛이 강렬할 때 실험을 진행하기보단 기온까지 고려하여 모든 실험 간에 기온의 차이가 없도록 동일한 기온에서 실험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렇게 실험을 진행할 경우 좀 더 명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의 운동 강도에 따른 결과를 봤을 때 비타민 D 합성의 유의한 증가를 위해선 최대심박수의 80% 이상의 강도에서 45분 이상의 장시간 유산소 운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st efficient method for synthesis of vitamin D by comparing the time-dependent differences in UV exposure for synthesizing vitamin D, indoor aerobic exercise and outdoor aerobic exercise in women in their 20s who are under BMI 25. To conduct this study, 11 women in their 20s under BMI 25 who have never had liver or kidney disease that could interfere with vitamin D synthesis in the past, did not have mental, physical or physiological impairment that may not participate in the exercise program and UV exposure in the study, did not take vitamin D and calcium supplements, is not sensitive to UV exposure, is not overtanned were selected. Pretests were performed for body composition tests to measure height, weight, BMI, and body fat percentage. In this study, the sam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non-UV(NUV), indoor exercise(IE), UV exposure(UV), and outdoor exercise(OE). The UV and OE groups were subdivided into 09:00 and 12:00, respectively. A total of six one-time studies(NUV, IE, UV9, UV12, OE9, OE12) were conducted. Aerobic exercise was selected for running, and the exercise time consisted of 10 minutes of warm-up, 30 minutes of main exercise, and 5 minutes of cool-down. The exercise intensity was set to high intensity (80% of the maximum heart rate and RPE scale 14-16), and the exercise was performed for 30 minutes after reaching the set exercise intensity. The UV exposure group(UV9, UV12) was exposed to the UVB while sitting in the unshaded playground, and proceeded for 45 minutes as the aerobic exercise group(IE, OE9, OE12). In order to identify the amount of UV exposure, clothing was unified in sleeveless and shorts, and the measurement equipment used heart rate monitors and UV dosimeters. During the study, UV dosimeters were used to monitor and control the subject's UV exposure. The data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PC+Ver. 25.0K statistical package for Window. Two-way repeated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six groups and the pre-and post-tests. One-way repeated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ain effects of the interaction effects. In addition, paired t-test was also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25(OH)D and calcium concentrations for pre and post,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The 25(OH)D concentrations in the NUV, IE, UV9, UV12, OE9, and OE12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UV9 group only(p<.001), but the IE and OE12 groups showed a increasing tendency,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alcium concentrations in the NUV, IE, UV9, UV12, OE9, and OE12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IE, OE9, and OE12 groups(p<.01), an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NUV and UV12 groups(p<.05), but the UV9 group showed a increasing tendency,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f 25(OH)D in UV9, UV12, OE9, and OE12 groups showed significant results with temperature, cloud(p<.001) and PM10(p<.01), but UVB(IU), humidity, insolation and PM2.5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In conclusion,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25(OH)D synthesis is greater than insol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increases more with high-intensity exercise than with just UV exposure. In the case of calcium homeostasis can be seen to increase significantly. This suggests that the direct increase through exercise had a greater effect on the short-term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than the indirect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through UV exposure.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experiments at the same temperature 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all experiments considering the temperature rather than simply conducting experiments when sunlight is intense. It is expected that if the experiment is conducted in this way, more clear results can be obtain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ercise intensity, aerobic exercise for longer than 45 minutes is required at 80% of maximum heart rate for significant increase of vitamin D synthesis.

      • 4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이 근력향상 및 혈중 근손상 지표 변화에 미치는 영향

        최기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4 weeks weight training affects muscle strength improvement and changes of muscle damage index in blood. The subjects were made up of 20 university students with regular physical activity for five hours per week who had no hypertension, heart trouble, and stomach disease.All Subjects had trained seven weight training programs(Bench Press, Leg Press, Shoulder Press, Leg Curl, Arm Curl, Lat Pull Down, Leg Extension) in three times three sets per week on intensity of 85%-1RM for 4-weeks.This subjects were measured body weight, body fat, Cybex test, CK, LDH, creatinine, IGF-I concentration change. Blood gathering was performed in rest, end of exercise, recovery-30min, recovery-4h, and recovery-24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ackage 12.0 and significance level was set p<.05. This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4-weeks weight train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change of muscle strength(cybex test)(p<.05). Second, there were not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body fat, concentration change of blood LDH, creatinine, and IGF-I. Third, serum creatine kinase levels seemed to decrease after the weight training program(p<.05).As discussed above, this results indicated that 4-weeks weight training affected muscle strength improvement and concentration reduction of index of creatine kinase. But these changes indicated that the reason of improvement of muscle strength is not increment in muscle but adaptive capacity in nervous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4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에 따라 근력향상 및 혈중 근손상 지표물질 농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관찰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고혈압, 심장기능 이상, 위장병 등과 같은 질병이 없고, 주당 5시간 이상 정기적인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남자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인체계측, Cybex Test, Creatine kinase, Lactate dehydrogenase, Creatinine, IGF-I 등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 data들은 근력향상의 정도를 직?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었다. 채혈은 혈중 성분에 따라 안정 시, 운동 종료, 회복 30분 후, 회복 4시간 후, 회복 24시간 후의 5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사전검사 후 모든 대상자들은 7가지 웨이트트레이닝 종목(Bench Press, Leg Press, Shoulder Press, Leg Curl, Arm Curl, Lat Pull Down, Leg Extension)을 4주간 85%-1RM의 강도로 주당 3회, 3set 씩 실시하였으며 set간 휴식은 2분으로 제한하였다. 4주 동안의 웨이트트레이닝이 끝난 후 사전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체중 및 체지방은 웨이트트레이닝 전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등속성 운동능력은 Knee와 Shoulder 모두 트레이닝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 중 Knee의 Flexion과 Extension에서의 증가는 통계적으로도 유의(p<.05)하였다. 또한 네 가지 혈중성분(Creatine kinase, Lactate dehydrogenase, Creatinine, IGF-I) 중 Creatine kinase는 4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 후 유의(p<.05)한 감소를 보였다.이상의 결과로부터 4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에 따른 근력의 향상은 근육량 증가가 아닌 ‘신경계의 적응’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근력향상의 간접 지표로 사용된 혈중 성분들의 변화 양상이 일치하지 않은 것은 본 연구에서의 트레이닝 기간이 길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이후에는 이러한 제한점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관찰하는 연구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키네시오 테이핑이 근력향상과 혈중 피로 및 근 손상 지표물질에 미치는 영향

        이민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키네시오 테이핑 요법이 운동 수행 시 근 발현능력(Cybex test), 혈중 피로 지표 물질(ammonia, phosphorous)과 근 손상 지표 물질(CK, LDH, Creatinine, IGF-1)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었다.본 연구의 대상자는 정상적인 신체활동을 하고 있으며, 근·골격계에 질환이 없는 남자 대학생 10명을 선정하였고, 신체 측정과 근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1RM Test를 실시하기 위하여 7가지 기구를 이용하여 1RM Test를 실시하고 2일 동안 휴식을 취한 후 등속성 운동 장치인 Cybex 기계를 이용하여 상지근(어깨관절)과 하지근(무릎관절)의 등속성 근력을 측정하였다. Cybex Test 후 피험자가 안정될 수 있도록 2일 휴식 후 1차 채혈을 실시하고 근 손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Fitness center에서 1RM Test를 기준으로 산정된 85%의 강도로 각 종목에 따른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이 끝나명 바로 2차 채혈을 실시하고 그 후 운동 종료를 기준으로 30분, 4시간, 24시간 후에 3, 4, 5차 채혈을 실시하였다.2차 테스트는 1차 테스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2차 때는 Kinesio Taping을 적용하였다. Kinesio Taping 부착 부위는 상 승모근, 삼각근, 극상근, 상완 이두근, 상완 삼두근, 대흉근, 복직근, 대퇴사두근, Hamstring muscle, 비복근, 전경근에 적용시켰다.본 연구에서 얻은 자료는 SPSS/+PC+ v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으며 Kinesio Taping의 부착 전, 후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1RM, Cybex Test, 피로 지표물질(ammonia, phosphorous) 근 손상 지표물질(creatinine, IGF-1) 농도에 대하여 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으며, 테이프 부착 전, 후 채혈시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wo-way repeated measurement of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후검증은 Tukey의 사후 검증법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 이하로 하였다.본 실험을 통해 얻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1RM의 경우 Bench Press와 Leg Press에서 모두 유의수준 <.001 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등속성 운동 능력에서는 통계 분석 결과 슬관절의 경우 extention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flexion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견관절에서는 extention의 경우 .05 이하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flexion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둘째, 피로 지표물질인 ammonia와 phosphorous 농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감소의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셋째, 근 손상 지표 물질인 creatinine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taping 전, 후에 따른 평균 농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IGF-1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낮은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Kinesio taping의 적용이 근력 향상의 지표인 1RM, 등속석 운동 능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피로 지표물질과 근 손상 지표물질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근 피로 및 근 손상 지표물질에 대해서 그 농도를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muscle strength improvement, and the blood markers of muscle fatigue and damage changes.Ten healthy 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no musculoskeletal and cardiovascular problem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basic physical tests with 1RM and isometirc Cybex muscle strength tests. The with and without taping application on muscle strength changes were measured at 85% of 1 RM with seven different weight training machines. In taping application trial, Kinesio tape was applied on Upper Trapezius, Deltoids, Suprasupinatus, Biceps, Triceps, Pectoral Major, Rectus Abdominal, Quadriceps Femorus, Hamstring muscles, Gastrocnimius and Anterior Tibilalis. Blood samples were taken 5 times, which were at rest, the end of exercise, after 30 minutes of recovery, after 4 hours of recovery and after 24 hours of recovery,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and phophorous(muscle fatigue index substance), the concentration of CK, LDH, creatinine, IGF-1(muscle damage index substance).The SPSS/PC+Ver.12.0K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were used to calculate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Also,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wo-way repeated measurement of ANOVA were used, and the 5% level of significance was utilized as the critical level for acceptance of hypothesis for the study.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bench press and leg press muscle strength chang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s after taping(p<.001). Isometric exercise test results of knee joint extension increases significantly after taping but knee joint flextion strength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shoulder joint extension strength increases(p<.05) after taping, but no significant shoulder joint flextion strength changes were found.Second, the concentrations of ammonia and phosphorous were reduced after taping application. but, statistic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blood ammonia and phosphorus level differences between with and without taping results.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blood level creatinine and IGF-1 concentration differences between with and without taping.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application of the kinesio taping significantly improved muscle strength and reduction of muscle fatigue and muscle damage index substances concentrations, but, in muscle fatigue and muscle damage index substance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 웨이트 트레이닝 및 홍삼투여가 근력향상과 근손상 지표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준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4-weeks weight training and red jinseng supplement on muscle strength improvement and index of muscle damage in bloodThe subjects were made up of 21 university students with regular physical activity for five hours per week who had no hypertension, heart trouble, and stomach disease. This subjects were randomly alloted to control, red ginseng supplement, weight training and measured body weight, body fat, body instrumentation, Cybex test, 1RM, ammonia, phosphorus, CK, LDH, creatinine, IGF-I concentration change.Red ginseng supplement group was orally supplemented in 150mg4% per day for 4-weeks. Weight training group has trained seven weight training programs(Bench Press, Leg Press, Shoulder Press, Leg Curl, Arm Curl, Lat Pull Down, Leg Extension) in three times three sets per week on intensity of 85%-1RM for 4-weeks.Also, this study used exercise identical training method of weight training group to examine effects of treatment on concentration change of blood component. Blood gathering was performed in rest, end of exercise, recovery-30min, recovery-4h, and recovery-24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ackage 11.0 and significance level was set α .05. This results were as follows.Firstly, there were not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in body weight, body fat, body instrumentation, Cybex test, concentration change of blood LDH, creatinine, and IGF-I. Secondly, weight training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concentration change of blood ammonia, phosphorus, and CK(p<.05) but red ginseng supplement group was not significant. Thirdly, weight training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RM(p<.05).Conclusively, this results indicated that 4-weeks weight training affected muscle strength improvement and concentration reduction of index of muscle damage but red ginseng supplement group was not affected this variables. However, change tendency such as strength improvement and concentration reduction of index of muscle damage in red jinseng supplement group suggested red jinseng effects as Ergogenic Aids with much and long supplement.Consequently, this study with short and a little supplement difficultly judged red jinseng effects. Therefore, future study had to examine red jinseng effects by considering side effect with much and long supplement. Also, future study had to focus on exercise and red ginseng supplement like preceeding literature on Ergogenic Aids. 본 연구의 목적은 4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과 홍삼투여가 근력향상과 혈중 근손상 지표물질(CK, LDH)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었다.본 연구의 대상자는 고혈압, 심장기능 이상, 위장병 등과 같은 질병이 없고, 주당 5시간 이상 정기적인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남자 대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세 가지 처치 조건(Control, Red Ginseng Supplement, Weight Training)에 따라 체중, 체지방, 상완 및 대퇴둘레, 등속성 운동능력(Cybex test), 최대 근력(1RM), 그리고 혈중성분(ammonia, phosphorus, CK, LDH, creatinine, IGF-I) 농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홍삼투여 그룹은 4주간 150mg4% per day의 양을 구강 투여하였고, 웨이트트레이닝 그룹은 7가지 웨이트트레이닝 종목(Bench Press, Leg Press, Shoulder Press, Leg Curl, Arm Curl, Lat Pull Down, Leg Extension)을 4주간 85%-1RM의 강도로 주당 3회, 3set 씩 실시하였으며 set간 휴식은 2분으로 제한하였다. 또한, 그룹별 처치가 혈중성분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웨이트트레이닝 그룹의 트레이닝 방법과 동일한 운동을 이용하였으며, 채혈은 안정 시, 운동 종료, 회복 30분 후, 회복 4시간 후, 회복 24시간 후의 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세 그룹 모두에서, 체중, 체지방, 상완 및 대퇴둘레, 등속성 운동능력, 혈중 LDH, creatinine 및 IGF-I 농도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중 ammonia, phosphorus, CK 농도는 웨이트트레이닝 그룹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5), 홍삼투여 그룹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최대근력 역시 웨이트트레이닝 그룹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결론적으로, 본 실험을 통해 4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은 근력 향상 및 근손상 지표물질 농도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홍삼투여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홍삼투여 그룹의 근력향상, 혈중 피로물질 및 근손상 지표물질 농도 등의 감소 경향은 홍삼의 다량투여 및 장기간 투여시 Ergogenic Aids로서의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을 말해주고 있다.따라서, 단기간 소량투여를 통한 본 연구결과만을 가지고 홍삼의 효과를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홍삼의 장기간 다량투여 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역시 고려하여 단계적인 투여 방법 적용을 통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다른 Ergogenic Aids 관련 선행 연구에서처럼 운동과 홍삼투여를 병행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남·여의 NADPH oxidase p22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유산소성 트레이닝이 운동수행력과 산화적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조수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NADPH oxidase p22phox 유전자의 다형성에 따른 8주간 유산소성 트레이닝이 지구력 운동 수행력 증진, 산화적 스트레스 및 항산화 효과 그리고 임파구 세포 DNA damage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의학적으로 특별한 질환이 없는 Y대학교 남자 대학생 118명 여자 대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NADPH oxidase p22phox C242T의 유전자형을 분석한 후, 각 유전자형에 맞추어 남성 CC genotype(22.67±3.08, n=12), 남성 T allele(21.42±2.81, n=12), 그리고 여성 CC genotype(22.50±2.97, n=12), 여성 T allele(21.17±2.12, n=12), 그룹으로 총 48명을 선정하여 배정하였다. 기본검사로는 최대산소섭취량(VO2max), 신장, 체중, 체지방(%body fat)을 측정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는 85%VO2max로 설정하여 all-out 시점까지 측정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시 총 5회(안정시, 운동종료시, 회복 30분, 회복 4시간, 회복 24시간)의 채혈을 실시하였으며, 채취된 혈액을 통해 젖산(혈장 lactate) 농도, 지질 과산화물(혈장 MDA) 농도, 항산화효소(혈장 SOD) 활성도, lymphocyte DNA 손상 정도(Comet assay)를 측정하였다. 사전 검사 후 실시된 트레이닝은 8주간(3일/주) 70%HRR(여유심박수)의 강도로 트레드밀에서 런닝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트레이닝과 트레이닝 전·후 실험은 연세대학교에서 실시하였으며, 혈액 샘플은 연세대학교 운동생리실험실 및 노화과학연구소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에서 얻은 자료는 윈도우용 SPSS/PC+ Ver. 12.0K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각 그룹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리고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삼원변량분석(three-way repeated measures ANOVA)[남?여 유전자 다형성(4) × 사전·사후(2) × 채혈시기(5)]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을 위하여 남자 대학생 118명, 여자대학생 112명의 NADPH oxidase p22phox C242T의 유전자 다형성(polymorphism)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의 경우 CC genotype 97명(82.2%), TC genotype 18명(15.25%), TT genotype 3명(2.54%), 여자의 경우 CC genotype 96명(85.71%), TC genotype 14명(12.5%), TT genotype 2명(1.79%)의 분포를 보였다. 둘째, 최대산소섭취량 테스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네 그룹 모두 트레이닝 전에 비해 트레이닝 후 최대산소 섭취량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85%VO2max all-out 운동수행시간은 네 그룹 모두 트레이닝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1). 셋째, 혈장 lactate 농도는 네 그룹 모두 트레이닝 전에 비교하여 트레이닝 후 동일 시점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남, 여의 유전자 다형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트레이닝 후 여성 CC genotype과 여성 T allele이 남성 CC genotype과 남성 T allele에 비해 낮은 lactate 농도를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 모두 CC genotype이 T allele에 비해 더 낮은 lactate 농도를 나타냈다. 넷째, 혈장 MDA 농도는 네 그룹 모두 트레이닝 전과 비교하여 트레이닝 후 동일 시점에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MDA 농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남성의 경우 T allele이 여성의 경우 CC genotype이 더 높은 혈장 MDA 농도를 보여 유전자 다형성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따른 지질과산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혈장 SOD 농도는 네 그룹 모두 트레이닝 전과 비교하여 트레이닝 후 동일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SOD농도가 안정시에는 증가하고 운동 종료시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남, 여 유전자 다형성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트레이닝 후 운동종료시를 기준으로 여자 CC genotype, 남자 CC genotype, 여자 T allele, 남자 T allele의 순서로 낮은 혈장 SOD 활성도를 나타내어 남성보다 여성이 그리고 T allele 보다 CC genotype이 트레이닝에 의한 항산화 효소의 증가로 산화-환원 능력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임파구세포 DNA 손상은 네 그룹 모두 트레이닝 전과 비교하여 트레이닝 후 동일 시점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8주간의 트레이닝 효과에 대한 남, 여 유전자 다형성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트레이닝 후 대부분의 시점에서 여자 CC genotype, 남자 CC genotype, 여자 T allele, 남자 T allele의 순서로 낮은 tail moment가 나타나 남성보다 여성이 그리고 T allele 보다 CC genotype이 트레이닝을 통한 DNA 손상 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NADPH oxidase p22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8주간의 유 트레이닝은 최대산소섭취량 및 운동수행시간을 증가시키고 혈장 lactate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 그룹 모두 트레이닝 후 혈장 MDA와 SOD가 감소하였으며, 이와 함께 임파구세포 DNA 손상 역시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남성보다 여성이, T allele보다 CC genotype이 트레이닝에 대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극히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상반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어 추후연구에서는 인종, 성별, 트레이닝 방법 등 각각의 요인들이 NADPH oxidase p22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트레이닝 효과에 대한 더 많은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유산소 트레이닝의 강도 및 지속 시간 그리고 기간 등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NADPH oxidase p22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항산화 체계를 활성화시켜 DNA 손상을 감소할 수 있는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유산소 트레이닝 방법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8 week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endurance capacities increase,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mechanism, and the DNA damage of lymphocyte targeting men and women who were analyzed with the NADPH oxidase p22phox polymorphism. Medically healthy 118 men and 112 women were analyzed with the genotype of p22phox C242T. And then 48 men and women were finally selected and divided into four different polymorphism groups[male CC genotype(22.67±3.08, n=12), male T allele(21.42±2.81, n=12), female CC genotype(22.50±2.97), female T allele(21.17±2.12)]. Subjects were examined with tests including maximum air ingestion VO2max, height, weight, and %body fat and the before-after examinations were measured at 85%VO2max until all-out. The before-after examination respectively, blood samples were taken 5 times, which were at rest, the end of exercise, after 30 minutes of recovery, after 4 hours of recovery and after 24 hours of recovery,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plasma lactate, the concentration of plasma MDA(lipid peroxide), the activity of erythrocyte SOD(antioxidant enzyme) and lymphocyte DNA damage(using Comet assay). 8 weeks of exercise training were performed 3 times a week at 70%HRR(Heart Rate Reserve) on the treadmill. The main training along with the before and after training were conducted in Yonsei University and blood samples were analyzed at Laboratory of Exercise Physi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Aging Science.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search was calculated through a statistics package of Windows SPSS/PC+ Ver. 12.0K to standardize the means and deviations for each group. Then, three-way repeated measures ANOVA[men and women's polymorphism(4) × before?after(2) × blood samples(5)]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ducted a genotype analysis on NADPH oxidase p22phox C242T of 118 male and 112 female undergraduates in order to select subjects for this research. The distribution showed that the male students included 97 CC genotype (82.2%), 18 TC genotype (15.25%), and 3 TT genotype ones (2.54%) while the female students indicated 96 CC genotype (85.71%), 14 TC genotype (12.5%), and 2 TT genotype ones (1.79%).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VO2max(maximal oxygen uptake) test, it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all four groups indicated an increase in VO2max after the training when it was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training. In addition, the 85%VO2max all-out exercise performed time of all four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fter the training (p<.001). Third, plasma lactate levels tended to decrease in all four groups after the training at the same point of time compared with the ones before the training. Although the genotype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female CC and T genotypes indicated lower lactate levels than the male CC and T genotypes after the training. Besides, both the female and male CC genotypes showed lower lactate levels than the T genotype. Fourth, the result showed that all four groups indicated reduction in plasma MDA levels after the training at the same point of time when they were compared with the ones before the training. Moreover, females tended to show higher MDA levels than males, and the T genotype for men and the CC genotype for women indicated higher plasma MDA levels; thus, it was proved that genotype did not affect lipid peroxidation caused by oxidative stress. Fifth, all four group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sma SOD levels after the training at the same point of time when they were compared with the ones before the training; however, SOD levels did increase at rest but decreased at the end of the exercise. Moreover, although genotype did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after the training, at the end of the exercise, the female CC genotype, male CC genotype, female T genotype, and male T genotype showed a low plasma SOD activity in order; therefore, it was observed that females than males and CC genotypes than T genotypes indicated a more effective oxidation-reduction ability due to the increase of antioxidant enzymes by training. Sixth, DNA damage in the lymphocytes of all four groups tended to show a decrease after the training at the same point of time when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training. Genotype to the effect of the eight-week training did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However, after the training, the female CC group, male CC group, female T group, and male T group showed a low tail moment in order most of the times; thus, it was verified that females than males and CC groups than T groups showed more reduction in DNA damage through training.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eight-week aerobic training related to NADPH oxidase p22phox C242T genotype executed in this study not only increased maximal oxygen uptake and exercise performed time but also decreased the plasma lactate level. In addition, all four groups showed decreases in plasma MDA and SOD after the training and reductions in lymphocyte DNA damage as well. Furthermore, although it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t was proved that females than males and CC genotypes than T genotypes showed a greater effect from the training. However, advanced researches related to this one have been rarely performed, and results contrary to the ones gained from this research have been reported as well. It is thought that follow-up researches will necessarily be conducted on the effect of the training related to NADPH oxidase p22phox C242T genotype with regard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race, gender, or training method. Above all, this author deems that studies to grope for the safest and the most effective aerobic training method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afterwards which can help reduce oxidative stress related to NADPH oxidase p22phox C242T genotype and activate an antioxidant system and decrease DNA damage through applying to it such factors as the intensity, the duration, or the period of the aerobic training in various ways.

      • 웨이트 트레이닝이 한국무용수의 여성호르몬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나인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weight training that makes changes of Korean dancers' estrogen and bone mineral density for 12 weeks.The research selected seven Korean dancers in their twenties as subjects who have had no chronic diseases as hypertension, cardiac insufficiency, gastroenteric trouble and the subjects took part in the physical activity over 5 hours a week. The study observed the weight training group in proportion to the measure - weight, body fat, fat free mass, the maximum muscular strength(1RM), blood concentration of Estrogen, bone mineral density, and change of balance. Weight training was conducted seven weight training(Bench press, Leg press, Leg curl, Shoulder press, Arm curl, Leg extension, Lat pull down) in three times and three sets per week on intensity of 70%-1RM for 12 weeks. Also, the subjects were taken a blood sample in total two times to find out the change of Korean dancers' concentration of estrogen before and after weight training, and a photograph using DEXA to discover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before and after weight training in total two times to find out the effect of change with 12-week weight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obtained by using SPSS statistics package(v. 12.0), a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hen paired t-test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12-week weight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1-RM,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change of blood concentration of Estrogen with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below p<.05. The subsequent results were as follows.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12-week weight training, though body fat decreased, weight and fat free mass increased. After 12-week weight training resulted in increase in the maximum muscular strength. There was an increase in 3 weight training, Shoulder press(p<.01), Leg press(p<.05), Leg curl(p<.01). Also, i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change of blood concentration of Estrogen and bone mineral density. But it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nd, 12-week weight training brought an increase in an balance. So, both the left and the right sid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As a conclusion, 12-week weight training caused an increase in fat free mass, induced an improvement in muscular strength, and produced the promotion of bone mineral density. As a result, it had an affirmative effect upon an increase in blood concentration of Estrogen.The result indicated that weight training is an effective ways for Korean dancers' promotion of bone mineral density. Besides, 12-week weight training which brought an increase in an balance, which acts on the most main factor to accomplish dancing, exerted positive influence on an balance. But, there are various elements to affect bone mineral dens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into interaction among other elements, likewise there are various condition of weight training that are the exercise intensity, the number of sets, the frequency of repetition, time of recess, order of exercise, and the frequency of training a week of weight training. Therefore, it needs to verify into the effect on accordance with various exercise method through a long-term and planned training. 본 연구는 12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이 한국무용수의 여성호르몬(estrogen)과 골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본 연구의 실험대상자는 고혈압, 심장기능, 위장병과 같은 지병이 없고 주당 5시간이상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20대 한국무용수 7명을 선정하였으며,웨이트트레이닝그룹 처치에 따라 체중, 체지방, 제지방, 최대근력(1RM), 에스트로겐 농도, 골밀도, 그리고 평형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웨이트트레이닝 훈련은 12주간 7가지 종목(Bench press, Leg press, Leg curl, Shoulder press, Arm curl, Leg extension, Lat pull down)을 70%-1RM의 강도로 주당 3회씩, 3set를 실시하였고, set간 휴식시간은 2분으로 제한하였다. 또한 12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이 한국무용수들의 에스트로겐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웨이트트레이닝 전·후 총 2회에 걸쳐 채혈을 실시하였고, 골밀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DEXA를 이용하여 웨이트트레이닝 전·후 총 2회를 촬영하였다.본 실험의 결과는 SPSS통계 package(v.12.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량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웨이트트레이닝 전·후의 체성분, 1-RM, 골밀도 및 Estrogen 농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 이하로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2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 후 유의한 차는 없었지만 체지방량은 감소하였고, 체중과 제지방량은 증가하였다. 12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은 최대근력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Shoulder press(p<.01), Leg press(p<.05), Leg curl(p<.01) 세 가지 종목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에스트로겐의 농도변화와 골밀도의 변화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12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은 또한 평형성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왼쪽, 오른쪽 모두 유의한 차를 보였다.결과를 종합하면, 12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은 제지방의 증가를 가져와 근력 향상을 유발하였으며, 또한 골밀도 증진을 가져왔다. 그 결과, 에스트로겐 혈중 농도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한국무용수들의 골밀도 증진에 웨이트트레이닝이 효과적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2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이 평형성을 증가시킴으로 무용을 수행함에 있어 가장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평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매우 다양하므로 다른 요소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웨이트트레이닝의 운동 강도, 세트 수, 반복횟수, 휴식시간, 운동순서, 그리고 주당 트레이닝 횟수 등에 의한 결과는 매우 다양하므로 다양한 운동방법에 따른 장기적이고 계획적인 트레이닝을 통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