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웹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콘 시각화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김경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터넷환경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접목으로부터 발생된 웹은 불과 몇 년 사이에 우리의 일상에 급속도로 스며들었다. 초기의 웹은 기업의 홍보나 정보공유 매체 정도로만 여겨졌으나 현재에는 웹의 특징인 동시성, 탈공간성, 쌍방향성으로 인해 그 활용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웹 2.0시대를 맞아 오늘날 가장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하나로, 현대생활에서 웹사이트를 활용하지 않고는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분야에서 생산 활동의 주체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보의 생산과 거래에서 정보를 주고받는데 필요한 웹 인터페이스디자인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받기 위해서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디자인이 요구되는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컴퓨팅환경에서 그래픽 심볼인 아이콘은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는 물론, 제품이나 콘텐츠의 가치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로써 사용자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아이콘 시각화는 언어를 초월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디자인 활동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정보, 인터페이스 3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사용성의 확보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알기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디자인의 핵심요소인 아이콘의 바람직한 시각화방법을 모색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연구자는 웹 인터페이스디자인에 있어서 기호적 아이콘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1. ‘ 지표로서 웹에 활용하는 아이콘 디자인 분석 ’에서는 웹사이트에서 공통의 콘텐츠를 지칭하고 있는 아이콘의 표현방식을 조사하여 무형의 콘텐츠와 유형의 콘텐츠로 나누고 그 사례를 기호적 입장에서 분석하였는데 분석대상으로는 많은 사용자가 서핑 하는 곳으로 객관화된 100hot사이트에서 각 카테고리별 1-20순위의 사이트를 조사대상으로 하였고 아이콘 표현에 있어서 지칭하는 콘텐츠의 내용이 실제로 존재하는 유형의 기호의 경우 그 대상과 닮아있는 도상 적 표현이 많았다. 형태가 이루어지지 않은 무형의 콘텐츠의 경우 임의의 상징적 표현을 하고 있거나 그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지표 적 표현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표 적 표현보다는 상징적 표현이 많았음이 조사 분석되었다. 연구2. ‘ 아이콘의 기호학적 시각화에 대한 선호도 분석 ’에서는 기호적 분석과 선호도조사를 통해 아이콘의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논문의 두 번째 단계로 웹사이트에서 공통의 콘텐츠를 지칭하고 있는 아이콘의 표현방식에 있어서 사용자가 어떤 기호적 표현을 선호하는지를 조사 분석하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인터넷사용자들의 접속빈도가 상당히 높은 포털사이트 중 아이콘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야후사이트에 게제 된 아이콘을 가지고 10대에서 50대까지 각 연령대별로 약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이콘의 기호적 표현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조사 결과, 무형의 콘텐츠는 상징적 표현으로, 유형의 콘텐츠는 지표 적 표현으로의 기호표현이 가장 선호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편의 연구결과인 무형의 콘텐츠는 상징적 표현을, 유형의 콘텐츠는 도상 적 표현을 압도적인 수로 표기하고 있는 연구결과와 비교해 보면 유형의 콘텐츠의 경우 5종 전체가 지표 적 표현을 선호하고 있어 상이한 결과를 보인 것이어서 선호도와는 다르게 아이콘이 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아이콘의 기호학적 시각화에 있어서 무형, 유형의 콘텐츠 표현방식에 사용자가 갖고 있는 환경적 경험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도 본 논문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연구3. ‘선호도에 따른 기호적 아이콘의 이해도, 인지도, 효율성 평가 ’에서는 전편에서 실시한 웹사이트에서 활용하고 있는 기호적 아이콘의 선호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에 대해 사용자 실험을 통한 이해도, 인지도, 효율성 테스트 결과, 사용자들이 선호한 아이콘의 기호적 표현이 이해도, 인지도가 높다’는 것을 검증하여 콘텐츠별 무형의 아이콘 시각화는 기호의 상징적 표현방식으로, 콘텐츠별 유형의 아이콘 시각화는 기호의 지표 적 표현방식으로 시각화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임을 밝혀내었다. 이 연구내용은 향후 아이콘디자인개발 연구의 좋은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Web has very rapidly permeated in our daily life by combining multi-media technologies with internet environment advanced through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early form of web was simply considered as a tool for a company's public relations or to share information within the company. However, web has expanded its application with simultaneity, free-space and two-way capabilities. As we move into the web 2.0, web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In modern life , it is nearly impossible to manage our daily life without the usage of web site and indeed, it has become a central part of almost all of productive activities. In this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web interface design- needed in exchanging information for production of information and for business- has become even more amplified. It is necessary to have an efficient interface design for the user to affectively receive various information. In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not only is graphic icon a key element in communication with the user, it also is an important element in determining the value of product or contents. Hence, it is critical to have efficient flow of communication within the information, the interface and the user. Therefore, we must come up with an effective method of visualization of Icon which is a key element within the interface for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and usage.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is researcher has launched its research on the semiotics analysis of visualization of symbolic web icon within the interface. Study1. In 'Icon design analysis utilized in the web as an index' On the web site, the expression methods, which are referred to common content,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n analyzed in the case of symbolic situation. The analyzed targets are web sites that have large number of users; investigated targets are web sites ranked from 1-20 in each category. I confirmed that when the content meant the symbol which actually exists in expression of icon, the expression is iconic which resembles the target, and when it is an intangible content, it did not have any shape but rather, it was an arbitrarily symbolic and index. Furthermore, I surveyed and analyzed that there are more symbolic than index. Study2. In 'preference analysis on symbolic visualization of icon' During the symbolic analysis and preference survey, as the second step of this study, in the expression way of icon which means the common content in the web site, this study focused on the survey and analysis of which symbolic expression the users prefer. The analytic target is the icons on Yahoo Site which has been utilizing continuously among portal sites with high access frequency, and carried out the questionnaire to the 400 target people from teen to fiftieth. In the result of user preference survey on the symbolic expression of icon, I determined that the intangible contents expressed in a symbolic icon and the tangible ones in an index icon. In the previous study, I found out that intangible contents represent symbolic expression and tangible ones are overwhelmingly iconic.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 of my last study, in case of tangible contents, whole 5 contents prefer an index expression, therefore the result is much different. According to this result, I concluded that using icons are different from conference. Most of all, I have discovered that user's environmental experience have a major impact on intangible content expression method in symbolic visualization of icon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Study3. In 'evaluating understanding, awareness and efficiency of symbolic icon according to the conference' I found out that symbolic expression of icon has high conference by users by the experiment targeting users on the result of understanding, awareness and efficiency through survey and analysis of symbolic icon conference. In conclusion, I have identify the following: intangible icon visualization of each content is in symbolic expression of symbol and tangible icon is in index. I am confident that this study will be a sound guideline for assisting and developing icon design in the future.

      • 변증법적 분석을 통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방향 제시

        손주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발신자의 의도와 수신자의 해석이 항상 같지 않다는 전제로 시작하여 그 의의와 목적을 찾는데 있다. 지난 30여 년 동안 우리나라는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전환되면서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우리생활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왔고 다양한 사회 전반의 변화와 다양하고 복합적인 관계 속에서 그 변화를 끊임없이 시도하여 왔다. 초기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매뉴얼 중심의 합리적 시스템의 형태를 고수하였으나, 미디어 발전에 따라 가변적 아이덴티티 디자인으로 변화하고 있다. 가변적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기존의 대부분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인쇄매체에 제한되었던 반면, 미디어의 발달로 그 사용이 미디어 전반에 폭넓게 적용되어 그 형태의 스타일이 변화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수신자의 입장에 대한 충분한 배려가 되지 않아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사용자 중심인 수신자를 중심으로 새로운 형태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하여 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흐름 속에서 디자인과 미디어가 발달하면서 아이덴티티 디자인과 수신자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되어졌다. 기초학문의 한 분야인 변증법에 관한 연구를 통한 구조 분석으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고, 이러한 이론적 토대를 통해 개별적인 요소의 특징을 살펴보아 정-반-합의 관계 속 흐름을 고찰하였다. This study is started to find meaning and purpose based on differences between a sender’s underlying meaning and a receiver’s interpretation in the identity design. Over the last three decades, we were instituted in earnest identity design in our lives that have been changed from industrial society to information society, and changes in society has been the attempt as a whole variety of complex and diverse and constantly changing in the relationship. Initial identity design was hold to reasonable system form in the manual-center system, but it is changing variable identity design by on media development. Most of the identity of the existing design was limited to print media while variable identity design tried to change the forms of style for widely applied whole of media by development of media. These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does not care enough and focusing on user centered design for the new forms of identity are discussed in the humanitarian perspective. This paper is focused an identity desig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ipient by design and media design and development in the flow of the social and cultural. Therefore, a study on dialectics as a theoretical basis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was prepared, through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se individual elements to insp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sis-antithesis-synthesis paradigm in the relationship of the flow were investigated.

      • 상징유형별 의미작용과 수용자 해석간의 상관관계 연구 : 정부부처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대상으로

        박샘물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기업의 전략의 핵심이 되며, 기업이 추구하고자 하는 비전과 가치를 끊임없이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소통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국가브랜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국가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객체를 하나의 이미지로 표현하여 국민에게 전달하고 있다. 정부부처 아이덴티티Ministry Identity는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문화를 형성하고 이끄는 모든 사회적 활동들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되어 있으며, 한 국가의 정체성을 상징하며, 국민들에게 정부조직의 경영 이념을 알리는 것을 넘어, 국제적인 역할 또한 담고 있는 하나의 적극적인 국가 브랜드 이미지로 그 범위는 커져왔다. 이러한 점에서 정부부처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시각언어로써 그 역할은 크다. 하지만 현 정부부처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정보 전달의 효율성만을 강조한 나머지 지나치게 서술적으로 디자인 되었거나, 반대로 과도한 상징이나 은유가 포함되어 있는 디자인이 많다. 결과적으로 어떤 의미인지 이해되지 않는, 수용자에게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되었다. 메시지의 효율성만 강조해 차별화 되지 못하는 전자의 시각 표현과 후자의 과도한 상징의 시각 표현이 오히려 본질적인 메시지를 전달하지 못한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정부부처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정보전달의 효율성을 위한 간결함과 단순함을 갖지만 국가 브랜드 이미지와, 각 행정부처의 총제적인 이미지를 담은 체계적인 시각 표현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부처 아이덴티티 디자인에서 나타난 시각 표현을 이론적 접근을 통해 분류한 후, 상징유형별 수용자의 해석을 보고, 이를 기초로 체계적인 시각표현의 필요성과 시각표현에서 내포하고 있는 함축적인 의미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아이덴티티의 본질적인 목적에 좀 더 다가 설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현 정부부처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상징유형별, 서술적 표현과 은유적 표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차 설문은 상징유형별 시각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독창성, 주목성, 심미성, 상호작용성, 부가의미의 5가지 항목으로 각 정부부처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별 설문 했다. 2차 실험은 수용자의 이해도에 대한 수용자 해석 작용을 보았다. 실험의 결과 은유형 표현은 두 개 이상의 기표로 2단계 이상의 의미 작용을 일으켜 부가의미를 통한 유희를 발견하거나, 수용자의 능동적인 해석 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과도한 상징이나 은유의 시각 표현은 오히려, 서술적 표현보다 유희성을 낮추고, 수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낮추었다. 결과를 통해 수용자들의 이해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시각 표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각 표현의 방향성은 차별화 되는 표현이 중요한 시대에 효과적인 한 방법으로 새롭게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 대중교통 정보그래픽 체계화를 위한 디자인 : 서울시 버스와 지하철 노선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이아람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교통수단의 발전과 함께 인간 행동영역의 확대로 도시구조의 변화를 가져왔고 이로 인해 인간과 도시공간과의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대중교통 정보그래픽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일반인에게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게 만드는 정보 전달의 역할을 하고 있어 성이나 나이, 국적, 사회적 지위에 상관없이 모두 이용할 수 있어야 하고, 알기 쉽고, 정확하며 빠르게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목적을 가지고 정보를 얻기 위한 수단인 노선도는 일반인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해를 하기위해 정보를 더욱 정확하고 과학적이며 조직화하여야 하며, 여기에 미학적 질서가 집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보다 편리한 사용과 향후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서울시 버스와 지하철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대중교통 정보그래픽 체계를 위한 디자인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먼저 정보디자인과 정보그래픽의 관계를 살펴보고 지도학과 정보그래픽, 노선도간의 범위를 구분한다. 정보그래픽은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증대시키는데 그 목표가 있으므로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현재의 대중교통 정보그래픽 체계를 세계 주요도시의 상황과 비교 분석한다. 국내 대중교통의 분석기준으로는 색, 실제지리와 상관성, 선,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그래픽기호에 대한 것을 기준으로 삼아 분석해 본다. 이러한 기준들을 통해 각 교통수단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디자인 전략을 기획한다. 또한 대중교통 정보디자인의 노선도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통해서 현재 대중교통 정보그래픽의 기능성, 심미성에 대한 승객에 대한 반응을 살펴본다. 위의 절차를 통해 대중교통 정보그래픽 체계화 디자인를 위한 다음의 7가지 전략을 통해 대중교통 정보그래픽 체계화를 위한 디자인 제안을 해본다. 디자인 전략은 1) 대중교통 정보그래픽 전체의 기준안을 제시 2) 적절한 지리적 왜곡 3)기하학적 선으로 정리 4)기능적, 심미적 요소를 고려한 레이아웃 5)색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 6)전용서체의 개발이 필요 7)단순하며 주목성 있는 그래픽 기호 이며 이것에 따라 디자인을 제안해 본다. 결론으로 향후 대중교통 정보그래픽의 발전을 위한 매체와의 관계성의 확장에 대해 살펴보고 통일성 있고 일관된 이미지를 갖는 정보디자인의 개발로 도시 이미지 형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어포던스 이론에 근거한 스마트 폰 인터페이스 메타포 디자인 제안

        김지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스마트 폰의 보급이 확산되고 미디어와 콘텐츠의 사용이 활발해지면서 스마트 폰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로 떠올랐다. 사용자 간의 자유로운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스마트폰의 장점을 통하여 사용자들은 손쉽게 정보를 얻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다양한 매체를 경험한다. 이렇듯, 스마트 폰은 인간의 삶과 정보를 밀접하게 만드는 역할을 해 왔으며, 오늘날과 같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새로운 정보를 얼마나 빠르게 얻는가에 따라 경쟁력이 결정된다. 여기에서 핵심적인 문제는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기 위하여 사용자들은 스마트 폰 안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메타포를 얼마만큼 이해하고 사용하고 있는가이다. 현재 인터페이스 메타포는 운영 체제마다 서로 다른 메타포를 제시하고 있어, 사용자들에게 정보의 판단에 어려움을 주고, 정보의 이해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의도하는 정보 획득 행위의 효율을 저해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통한 행동 유도에 대한 인터페이스 메타포의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디자인 연구자인 도널드 노만이 제시한 어포던스 이론을 바탕으로 개선된 인터페이스 메타포의 프로토타입을 디자인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생태 심리학에서 출발한 어포던스의 개념은 많은 학자들이 디자인에 적용하면서 혼란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어포던스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다양한 학자들의 어포던스 이론에 대하여 정리하였으며, 인터페이스 메타포 디자인에 있어서 어포던스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인터페이스 메타포의 디자인 제안을 위하여 현황 분석을 위한 사전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어포던스 이론에 근거한 인터뷰와 설문을 통하여 인터페이스 메타포의 멘탈 모델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멘탈 모델을 통하여 프로토타입을 디자인하는 방안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인터페이스 메타포를 제작하고 실제로 인터페이스 메타포가 효용성이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어포던스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이 경험한 익숙한 형태와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인터페이스 메타포에 대해 더 효율적이고 적합한 모습의 행동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용자에게 익숙한 경험을 기반으로 제작한 새로운 인터페이스 메타포는 이전의 사용 경험이 없더라도 그 의미를 유추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분석에 의하면 자연스러운 사용자의 사용을 돕는 인터페이스 메타포는 메타포가 지니고 있는 의미 자체에 사용자의 경험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단순히 이미지를 통한 정보 전달이 아닌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인지 과정을 고려하여 제작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인 사용을 돕는 인터페이스 메타포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어포던스 이론에 근거한 인터페이스 메타포 디자인은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사용성을 증진시킬 것이라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As per the expansion of smart phone supply and active utilization of media and contents, smart phone has become a new communication medium, and from smart phone interface, where dynamic interactive is possible, users could get information easily, meet many people, and experience various media. Thus modern people, living 21'st century, are more or less drown in the sea of information, and their competitiveness has been determined by the speed of collecting new information from smart phone. The most important point in here is that, to achieve much information effectively, how far the users understand and utilize Interface Metaphor, a visual language supplied inside smart phone interface. At this very moment, the consider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and usability, those induce user's behavior in perceiving and utilizing Metaphor, is necessary. To settle these problem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and usability enhancement of Interface Metaphor, based on the affordance studied by Donald Norman, has been secured. In this study a hypothesis "The usability of users with different affordance will show differences." has been set, and to prove it through th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face Metaphor and serviceability was apprehended based on existing studies of affordance, and the category of affordance and usability, to apply usability analysis, has been drawn. By the drawn analysis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for perception level and usability was made through user groups, based on the OS(operating system) and whether use or not.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difference appeared in usability by users through the study. Interviews and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the similarity of the form of interface metaphors and images to the progress of the study. Affordances assessment authoring interface metaphor based on experimental studies, and interface metaphors utility to verify that i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the user interface metaphor for his experience, familiar shapes and images, which is based on the appearance of a more efficient and appropriate behavior that cause. Made based on a user-friendly experience new interface metaphor that means, without previous experience in the use of analogy could be used b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sense of metaphor itself, shall be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the use of natural user interface metaphor to help the user's experience is not simply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via the image-based cognitive process by considering was able to indicate that it should be produced. Through this study, affordances based on the theory of interface metaphors improve usability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ystem design that demonstrates effective use of interface metaphors to help users to design plans presented.

      • Illumina Miseq을 이용한 Discodermia 속 해면의 Microbiome 분석

        김재연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9년 10월 제주도 문섬에서 채집한 D. calyx (1910JJ2-26), D. japonica (1910JJ2-29), Microscleoderma sp. (1910JJ2-16)와 2020년 5월 제주도 가파도에서 채집된 D. emarginata (205GP3), D. calyx (205GP8) 해면의 공생 미생물 군집구조를 Illumina Miseq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각 해면 4종 5개체의 gDNA를 추출하여, Bacterial 16S rRNA gene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V3-V4 영역을 증폭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Alpha-diversity (observed OTUs, Chao1, Shannon, Simpson) 분석결과, D. calyx (205GP8) 해면이 다른 해면에서 보다 공생하는 미생물 종이 가장 풍부하였다. Beta-diversity (PCoA plot, UPGMA tree) 분석결과, 해면 종에 따라 존재하는 공생 미생물 군집의 차이와 해면 microbiome 비교 분석을 통해 해면의 종에 따른 특이성과 서식환경에 따른 특이성을 나타냈다. 다른 속 해면인 Microscleoderma sp.의 microbiome 분석 결과, Verrucomicrobia, Plantomycetes 등 Discodermia 속 해면과 차이를 보였다. 채집 지역에 따라, 가파도에서 채집한 해면 D. emarginata (205GP3), D. calyx (205GP8)와 문섬에서 채집한 해면 D. calyx (1910JJ2-26), D. japonica (1910JJ2-29)의 Microbiome 분석결과, Chloroflexi,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등 채집 지역 (서식 환경)에 따라 microbiome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Discodermia 속 해면의 종간차이는 풍부한 분류군의 microbiome 차이는 크게 나지 않았지만, 희박한 분류군에서 microbiome 차이를 나타냈다. 해면 Discodermia 속 해면은 다른 속 해면인 Microscleoderma sp.와 해면 종에 따른 microbiome 차이를 보였으며, Discodermia 속 해면은 종에 따른 microbiome 차이가 나타났지만, 채집 지역에 따른 microbiome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 논문은 Discodermia 해면의 microbiome 분석을 통해 Discodermia 해면 내 총 미생물군집 유전체의 연구와 환경 변화에 따른 microbiome 변화와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ymbiotic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of D. calyx, D. japonica, D. emarginata, and Microscleoderma sp. sponges collected from Munseom Island (October 2019) and Gapa Island (May 2020) in Jeju Island were compared using Illumina Miseq. The gDNA of each of five specimens from four species of sponges were extracted, and the V3-V4 region was amplified using a pair of Bacterial 16S rRNA gene primers and used for analysis. In alpha-diversity (observed OTUs, Chao1, Shanon, Simpson) analysis, D. calyx (205GP8) sponge was the most abundant in symbiotic microbial species than the other sponges. The result of beta-diversity (PCoA plot, UPGMA tree) analysi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symbiotic microbial communities of different species of sponge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ponges showed the specificity according to the species of the sponge and the specificity according to the habitat environment. Microbiome analysis of Microscleoderma sp., another genus sponge, showed differences from those of Discodermia such as Verrucomicrobia and Plantomycetes. Microbiome analysis results of D. emarginata (205GP3), D. calyx (205GP8) and D. calyx (1910JJ2-26), D. japonica (1910JJ2-29) collected from Gapad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crobiome such as Chloroflexi, Proteobacteria, and Actinobacteria. The difference between species of sponges in Discodermia was not significant in the rich taxa, but was shown in the sparse taxa. Micorbiome analysis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onge genera, Discodermia and Microscleoderma. In Discodermia genus sponges, the microbiome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species, but the microbiome difference was larger according to the collection a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investigating microbiome changes and interaction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sponges of Discodermia.

      • 포털사이트 스토리텔링 로고디자인에 대한 평가분석 및 방향성 제시

        한송희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 미디어가 대중화되면서, 웹 포털사이트는 단순 포털의 개념을 넘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종합 토털사이트로서 거듭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한 포털사이트 디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스토리텔링 로고변형이란 다양한 표현방법과 미디어기술을 기반으로 특정 기념일의 스토리텔링을 로고변형에 적용시켜서 표현하는 것으로, 로고변형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정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재미, 흥미유발과 인지적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정보에 몰입하도록 하기 때문에 구글(Google)과 네이버(NAVER)등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스토리텔링은 맥락적 구성에 의한 사용자 정보 인지와 자기반영을 통한 몰입효과에 의해 정보의 가치를 지적 활동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던 전통적 미디어와는 달리 표현수단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디지털미디어에서 그 효과는 날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영향력과 사용자가 느끼는 재미, 흥미를 통한 몰입, 심리적 요인들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한 후, 포털사이트 로고변형에서 보이는 스토리텔링 정보디자인을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정보전달의 유용성 및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구글과 네이버 등 스토리텔링 로고변형 디자인 사례를 통해 실제 사용자들의 참여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사용성평가를 하였다. 사용성평가는 만족도, 재미/흥미 유발, 몰입, 정보전달성, 사용의 편의성 등 5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일반인 사용자 집단과 전문가 집단을 나누어 실시하였다. 앞선 사용성 평가의 결과와 제이콥 닐슨(Jacob Nielsen)의 유저빌리티 평가기준 항목을 참고하여 스토리텔링 로고변형의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스토리텔링 로고변형 디자인은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정보가 가지고 있는 흐름의 명확한 전달 뿐 아니라 사이트의 다른 콘텐츠 이용의 편의성 또한 고려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 지속적으로 사이트를 방문하게끔 이끌어야 할 것이다. 이는 스토리텔링정보전달의 경험이 있는 사용자와 비경험 사용자를 모두 포괄하여야 할 문제이며, 이렇게 디자인된 스토리텔링 로고변형은 보다 효과적인 정보전달 매개체로 다가갈 것이다.

      • 액티브 시니어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디자인 분석 : 20대와의 시각적 선호도 차이를 중심으로

        이현정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액티브시니어 세대의 커뮤니케이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증진시키기 위함에 있다. 수명연장과 저 출산으로 인해 우리 사회는 인구의 20% 이상이 65 세 이상의 고령화 인구로 구성된 초고령화 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전의 중장년층 세대에 비해 더욱 적극적인 소비와 다양한 문화생활을 누리고자하는 특징을 지니는 액티브시니어는 안정적인 경제력을 기반으로 소비시장에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2013년 현재 714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4.3%를 차지하며 이 인구는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특징은 국내 모바일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5-60 대의 스마트폰 사용률의 증가로 이어졌다. 하지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다원화된 액티브 시니어의 니즈를 반영하지 못하고 신체적 특징만을 고려하는 등 그 영역이 한정되어 있는데, 이는 20 대와 비교했을 때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 86.5%에 달하는 20 대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이용자에 비해 장년층의 이용률은 57.7%로 평균에 한참 못 미치는 가장 낮은 이용률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액티브시니어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액티브 시니어의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사용률이 높은 20 대와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액티브 시니어가 선호하는 아이콘의 특징 또는 차이점을 발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먼저, 건강, 뉴스, 사진, 금융, 음악의 카테고리에서 가장 사용도가 높은 각 10 개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총 50 개의 아이콘을 선정하였다. 아이콘의 10 가지 시각요소를 바탕으로 이해의 용이함, 식별성, 가시성, 유목성, 친밀성, 기억성의 6 가지 평가 기준을 설정하여 선호하는 아이콘을 설문조사하여 각 기준에 의거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30 개의 아이콘이 도출되었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도상적, 지표적, 상징적, 융합형 아이콘으로 기호학적 관점에 따라 재 분류해 분석하였다. 45 명의 액티브시니어 표본과 45 명의 20 대 표본의 선호도를 각각의 기준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액티브 시니어는 지표적 아이콘과 텍스트 이미지, 그래픽 형태의 아이콘 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 구성요소에 있어서도 배경이 없고, 단순한 색을 선호하는 등 20 대와의 아이콘 선호도에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현재 20 대를 중심으로 형성된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그 디자인이, 가까운 미래에 강력한 소비자층으로 자리잡을 액티브 시니어로 그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길 바란다. 또한, 음악, 뉴스, 사진 등 다양한 콘텐츠를 지닌 어플리케이션에 액티브시니어의 특성을 활용한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액티브시니어의 다원화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더욱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 질것이라 기대한다.

      • 모바일 웹 배너광고의 시각 표현요소에 따른 선호도 분석 : 생활업종 배너광고 중심으로

        정지나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Usage of internet via mobile equipments has been increased and simultaneously, advertising industry on mobile web banners has been popularized by following the launch of iPhone last 2009.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are featured by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approaching to those advertisements is not restrained upon time and place. Furthermore, this method is more convenient and faster than other media in terms of transfer elicit messages to customers as well as relatively cheaper because these advertisements can expect immediate response, confirmation and answer. The advantages stated make the usage of banner advertisements on web site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since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are limited to the expression and exposure because of the limited size of the screens, it may be intuitively focused on research about expression and impact of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 Therefore this study may give chance to review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 which are exponentially grown its industry according to personalization of smart phones. In addition, by directing the effective design for invigorating of mobile web banner advertising industry, the importance of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and roles of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can be recognized. At l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advertisement, analysis of use preference and case analysis of visual expression factors from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In this study, the range of studying field is restrained into the web banner advertisements in smart phones and mobile environments, and because each industry can have its own limits, this study also put the limits on the life industry. The methods are parted into three different sectors: case study according to the visual expression factors from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preference analysis of ordinary users and verification of impact from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in terms of preference by professional groups. Followings are from the results: First of all, in the case study, the most common type of image for banner advertisements is the photo-using method while users prefer the banner advertisement using illustration. Secondly, user preference elects script rather than the most frequent used typography, gothic. Like this, people prefer the banner advertisements hiring two different typographies rather than using one type, which is the most common case from the case study. Thirdl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about symbols and logo expression show that people prefer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As a result from that, the accordance of the type preferred by the users and the types of symbols/logos most frequently used by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is observed. Fourthly, although people prefer darker toned banner advertisements, lighter toned banners are the most frequent type used. In terms of the case analysis about the color arrangement, users preference clines to the banner advertisements with three color or less color arrangements while four color arranged banners are the most common type. Finally, users prefer black and blue including other blue families like blue green and purple blue in correspondence but users rarely prefer white. Based on these researches, the survey was held on the expert groups for verifying impact from the advertisements in relation to participation rate, attention rate and favor, according to the design from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banner advertisements that reflect all preferential factors of users have more impacts because of higher estimation. By clinging to this study, the banner advertisements that consider the user preference will be suggested as the better way to optimize the impact of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because this can induce the change of user behaviors by evoking the desire, interesting and attention from the users. These followings are suggestion based on the results: Firstly, under the mobile web environment, illustration is the most effective design for banner advertisements since its detailed and symbolized expression are features preferred by users. Secondly, people prefer comfortable and familiar typography like script and also prefer two different typography-used banners with visual change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advertising effects are higher when these rules for typography are adopted on the expression designs for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This is because users like emotionally and freely designed typography but if several different typographies are used, consistency will be lost and the banners will look more complex and distracted so that the number of typographies should be limited to the same or less than two types. Thirdly, since symbols or logos are applied to the wide range to all visual transferring media from most enterprises, the banner designs with symbols or logos that is unique to the company will help to increase public awareness of that brand name and also comprise the credulity that directly links to the impact of advertisements. Fourthly, darker tones such as blue and black families can bring distinctive contrasts on the white colored web pages with providing the effective visual signature to increase the attention. In addition to this, because the smaller size of the screen in the mobile environments give limitations to the expression, the color arrangements are tried not to over three colors. Too many different colors can induce complexity and make the procedure unnatural. Mobile web banner advertisements have started recently and just fledged out so that there are not many research investigated. Therefore, this study can be the post stone of the theoretical side of the expression strategy of effective banner advertisements by understanding the gap between the user preference and case study as well as verification of adver 지난 2009년 말 아이폰의 출시로 모바일을 이용한 인터넷 이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동시에 모바일 웹 배너광고도 함께 주목을 받고 있다. 모바일 웹 배너광고는 이동성과 휴대성의 특징을 가지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광고의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즉각적인 반응과 확인 또는 응답을 기대 할 수 있어, 기존의 다른 매체들의 광고방식에 비해서 소비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조건이나 방법이 편리하고 상대적으로 비용 또한 매우 적게 든다. 이러한 이점으로 웹사이트에서 배너광고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제한된 스크린 크기로 광고표현과 노출에 한계를 가지기 때문에 모바일 웹 배너광의 표현적 측면과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라 그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모바일 광고를 다시 되짚어보는 계기가 되며 뉴 미디어 시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모바일 광고의 역할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웹 배너광고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효과적인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함으로써 모바일 웹 배너광고의 시각 표현요소에 따른 사례분석과 사용자 선호도 분석 및 이에 따른 광고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스마트폰과 모바일 환경에서의 웹 배너광고로 한정하였으며 광고업종별로 그 성향에 따라 시각 표현요소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거나 제한될 수 있으므로 생활업종 배너광고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모바일 웹 배너광고의 시각 표현요소에 따른 사례분석과 일반인 사용자 집단 선호도분석, 선호도에 따른 전문가 집단의 광고효과 검증의 3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분석에서 이미지의 유형으로는 사진을 사용한 배너광고가 가장 많았으나 사용자는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현된 배너광고를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사례분석에서 타이포그래피는 고딕체의 사용이 많은 반면 사용자는 필기체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또한 문자종류 수에 따른 사례분석결과로는 1가지 문자종류만 사용하여 디자인된 배너광고가 가장 많았지만 사용자는 2가지 문자종류를 사용한 배너광고를 선호하였다. 셋째, 심볼 및 로고 표현여부의 분석 결과는 사례 분석 결과 마찬가지로 표현하고 있는 배너광고를 선호하였으며 이로써 모바일 웹 배너광고에서 가장 많이 표현된 심볼 및 로고 유형과 사용자가 선호하는 유형이 일치함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사례분석에서 컬러는 밝은 톤의 사용이 많았으나 사용자는 어두운 톤의 배너광고를 더 선호하였다. 색상배색 수에 대한 사례분석으로는 4가지 색으로 배색된 배너광고가 가장 많았지만 사용자는 3가지 이하로 배색된 배너광고를 선호하였다. 마지막으로 색상은 Blue를 포함한 BG, PB의 Blue계열과 Black을 가장 선호하여 색상유형이 일치함을 볼 수 있었으나 White는 거의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모바일 웹 배너광고 디자인의 사용자 선호도에 따른 주목도, 호의도, 참여도에 의한 광고효과 검증을 전문가 집단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주목도, 호의도, 참여도 모두 사용자가 선호하는 유형의 표현요소로 디자인된 배너광고가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유형의 표현요소로 디자인된 배너광고보다 높게 평가되어 광고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주의를 끌고 흥미를 불러일으켜 욕구를 창출하여 확신을 갖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태도변화를 이끌어냄과 동시에 이러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자 선호도를 고려한 배너광고 디자인이 실행되어야 하며 다음과 같이 모바일 웹 배너광고의 디자인 몇 가지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용자는 모바일 웹 배너광고 디자인에 있어 구체적이고 상징적 표현이 가능한 일러스트레이션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로 광고효과가 높음을 검증하였으므로 모바일 웹 환경에서는 일러스트레이션을 이용한 배너광고 디자인이 효과적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사용자는 편안한 느낌과 친근감 있는 필기체와 2가지 종류로 문자에 시각적 변화를 주어 강조하는 배너광고 디자인을 가장 선호하였고 본 연구결과로 이러한 표현유형이 광고효과가 더 높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배너라는 제한되고 규격화된 틀 안에서 사용자는 감성적이고 자유분방한 문자체를 선호하며 여러 문자를 혼용하게 되면 통일성을 잃게 되며 복잡하고 산만해 보이므로 2가지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볼 수 있다. 셋째, 심볼과 로고는 기업의 모든 시각 전달매체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심볼 및 로고가 표현되어진 배너광고 디자인은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고 배너광고에 대하여 신뢰감을 형성하며 이에 따른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어두운 톤의 컬러인 Blue계열과 Black의 배너광고는 흰색 바탕의 웹페이지에 명확한 대비로 강렬한 시각적 인상을 줌으로써 주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모바일 환경에서는 작은 스크린의 크기 제한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