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빠사나명상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마음챙김과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윤희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ati (mindfulness), which is the core of Vipassana meditation, on the improvement of mindfulness and self-regul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it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period in establishing a self identity that plays an independent role in self-regulated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necessity and application of nursing, education, training and intervention by exploring the related variables as one of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of self - regulation ability in adolescence and the ability of the individual to adapt for the healthy and harmonious life. Sati is a practicing method rooted in the practice of early Buddhism. It is a method of 'deliberately giving attention to the phenomena of the body and mind (body sensation, feelings, feelings, thoughts) at every moment, Ability to concentrate, intentionally to observe body and mind '. In addition, Sati recognizes the phenomena that occur in the body and mind at every moment and improves the ability to control herself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a happy and socially healthy life. Therefore, Sati is a mindfulness that affects its own inner,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approach, which affects immediate attention and control of immediate desires and impulses. The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ill the Vipassana meditation program be effective in improving mindfulness? Research problem 2. Will the improvement of mindfulness level be effective in improving self-control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3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3 students in the peer group who were interested in the counseling or the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meditation among the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at Cheju National University. 10 male students, 6 male students and 17 female students. The Vipassana meditation program, which was used for research purposes, was based on Han Mi-young (2012),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four objects of Sati's beliefs. However,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revised to some extent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period and the meditation program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or 5 hours in the afternoon self-study time and 2 hours in the afternoon self-study activity for 10 hours in the special activity class of the Jeju National University's senior high school for 6 weeks from April 5 to May 17, . In order to verify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onducted a pre - and post - test of the Mindfulness Scale and the Self - Control Ability Scale and conducted the independent sample t - test using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Vipassana meditation program showed that the result of post test of mindfulness (attention, acceptance, intensive behavior) and post - test of self - control ability (self - control style, There was a significantly improved chang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Vipassana meditation program has effects on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mindfulness, that is, the ability to accommodate and recognize the phenomena that occur in the body and mind of the high school student every moment. Being aware of the phenomena that occur in your body and mind at every moment allows you to adjust your words and actions in a harmonious way and to lead you in the right direction for your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Vipassana meditation i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mindfulness and self-regulation ability every mo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위빠사나명상의 핵심인 사띠(sati, 마음챙김)가 고등학생의 마음챙김과 자기조절능력 정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는데 있다. 청소년기에는 자기조절과 정에서 주체적인 역할을 하는 자아(self)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발달 시기이다. 따라서 청소년기 자기조절능력 발달의 중요성과 건강하고 조화로운 삶을 위한 개인의 중요 적응능 력의 하나로서 관련변인들을 탐색하여 양육, 교육, 훈련 및 개입의 필요성과 적용점을 밝히 고자 한다. 사띠는 초기불교의 수행론에 뿌리를 두고 있는 수행방법으로 ‘의도적으로 매 순간 자신의 몸과 마음의 현상(신체감각, 느낌, 감정, 생각)에 비판단적으로 주의를 주는 것, 현재의 순간에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 의도적으로 몸과 마음을 관찰하는 것’ 으로 정의된다. 또한, 사띠는 매 순간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알아차려, 본인이 행복해 지고 사회적으로 건강한 삶을 위한 대인관계에서 자기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준다. 그러므로 사띠는 스스로 자신의 내면에 대해 포괄적이고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즉각적인 욕구와 충동을 알아차리고 조절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마음챙김이다.연구문제 2. 위빠사나명상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 정도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대상은 제주대학교 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1, 2학년 남녀 학생 중, 진로 또는 상담에 관심 있거나, 명상에 관심이 있는 학생으로 구성된 또래상담 동아리반 학생 중 실험집단 13명 대조집단 10명으로 배정(남학생 6명, 여학생 17명)하였다. 위빠사나명상 프로그램은 사띠의 네 가지 대상인 사념처를 바탕으로 개발한 것을 근거하여 실험대상인 고등학생에 맞게 프로그램 내용을 일부 수정하여 재구성하 였다. 실험기간 및 명상프로그램 활동은 2018년 4월 5일 ~ 5월 17일까지 6주 동안 제주 대학교 사대부설 고등학교의 특별활동 교실에서 오후 자율학습시간에 5회기, 회기당 2시 간씩 총 10시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마음챙김 척도지와 자기조절능력 척도지를 사전․사후 검사하여 그 결과를 사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위빠사나명상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은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은 대조집 단에 비해, 마음챙김(주의집중, 수용, 집중행동) 사후 검사와 자기조절능력(자기조절양식, 의지적 억제양식) 사후 검사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변화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위빠사나명상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이 매순간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알아차릴 수 있는 힘 즉, 마음챙김의 향상 정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 다. 매순간 자신의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알아차린다는 것은, 자신의 말과 행동을 조화로운 방향으로 조절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향으로 자신을 이끌어 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빠사나명상이 매순간 자신의 마음챙김과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방법임을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김수정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몰입을 향상시키는 개인 외적 요인인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개인의 내적 요인인 자기조절력을 분석하여 중학생 시기에 느끼는 학업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학습몰입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도내에 위치한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536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무응답 또는 불성실하게 응답한 38부를 제외한 49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 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과, 학습몰입 그리고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각 하위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교사의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과 학습몰입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과 학습몰입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전체 변인 분석에 있어서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습몰 입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자기조절력을 통해 부분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습몰입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 하위변인 인지 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자기조절력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들은 원만한 의사소통을 통해 사회적 지지 향상을 위한 관계형성에 노력을 하고, 학습몰입 향상을 위해 자기조절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도 힘쓸 필요성이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of subvariables of self-regulation i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teachers a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n extrinsic factor such as the social support of teachers on internal factors of students, such as learning immersion and self-regulation abilities. The study aimed to alleviate the academic stress felt during the middle school period and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developing a program to promote learning immersion. For this, we surveyed 560 middle school students in 3 middle schools in Jeju Island, collecting a total of 536 surveys. Of these, 38 had been completed irresponsibly or unfairly, leaving 498 total for analysis. W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18.0 statistics software, performing the following tests: a statistic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data; a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on learning immersion; and the Sobel test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s’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ubfactors of learning commitment and self-regulation; in other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learning commitme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and learning immersion.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whole variables, the self-regulation power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learning immers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the teachers’ social support directly influenced the learning immersion, and it indirectly influenced it partly through self-regula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he learning immersion, the self-regulation subvariables of cognitive control, emotion control, behavior control, and motive control were partially medi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conclusion that the social support of teacher influences learning immersion by mediating students’ self-regulation. Accordingly, teachers and students at school sites should be required to develop strong relationships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to improve social support. Teachers should also develop diverse programs to enhance self-regulation skills to improve learning immersion

      • 중학생의 우울과 공격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조금자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우울과 공격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정신건강 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생의 우울과 공격성이 스 마트폰 중독과 밀접한 상관이 있으므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교육과 중독예방교 육이 학교폭력예방교육처럼 의무화 교육으로 정착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스 마트폰 중독 상담 시 학생의 심리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중학생의 우울과 공격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제주특별자치도 소재 3개 중학교 총 552명을 임의 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3월 4일부터 4월 1일까지 이루어졌으며,552명 중 538명의 자료가 회수되어 97%의 회수율을 보였으나 무응답 및 불성실 응답 26 명을 제외한 512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어 자료 유효율은 93%를 보였다. 조사도구로는 우울,공격성,스마트폰 중독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조사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에 의해서 처리되었다.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 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자료의 이상치,정규성을 검토하여 각 변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변인별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a값을 검토하고,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 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우울과 공격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첫 번째 중학생의 인구학적 특성 (성별,학년),스마트폰사용(사용기간,사용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두 번째 중학생의 우울과 공격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세 번째 중학생의 우울과 공격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이 있다는 결과 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학생의 우울과 공격성이 스마트폰 중독과 상관관계 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중학생의 심리적 측면을 고 려한 다양한 스마트폰 중독예방 프로그램 및 콘텐츠개발이 필요하며 그 기초자 료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예방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을 의무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미술교육에서 광주교육대학교 판화수업사례를 통한 손쉬운 색채표현학습방안 : 프로타주, 데칼코마니, 스펀지스탬핑, 실물찍기, 스텐실 등을 중심으로

        문여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이 연구는 초등미술교육현장에서 아이들에게 보다 풍부한 색채 감수성과 함께 폭넓은 색채 경험의 기회가 제공될 수 있도록 광주교대의 판화수업사례를 바탕으로 표현활동 중심의 색채학습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우선 여러 문헌을 통해 색채 교육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현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총 26권의 초등미술교과서를 출판사별로 비교·분석하면서 색채표현학습에 대한 구체적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2019년부터 2020년까지 광주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박정환 교수의 ‘미술과 교육3’의 판화수업사례에서 실효성이 있는 색채학습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초등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색채표현학습의 방향과 실제적 방안을 손쉬운 판화활동 중심으로 새롭게 제시할 수 있었다. 즉 용어 중심적이고 지식 위주로 진행된 학습과정을 미술활동을 통한 탐색적 학습과정으로 개선하고자 ‘색채표현학습을 위한 학습과정’을 4단계의 큰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활동 과정이나 그 결과물을 통하여 색채를 탐색할 수 있도록 판화 활동별로 다양한 주제와 활동을 모색하고, 수준이나 상황에 맞게 변형 적용할 수 있는 16가지 주제별 색채표현학습방안을 개발하였다.

      • 제주시 중등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조금실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 교사 효능감이 회복탄력성,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때,교사 효 능감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제주시 중 •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중등교사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 행 및 회수하였다.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자 5명의 자료를 제외하여 총 308의 자료를 통계처리 하였다. 측정도구는 회복탄력성 척도 KRQ-53, 직무만족도 척도 TJSQ, 교사 효능감 척도 는 TESC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과 주요 변인 간에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 계분석을 실시하였고,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 다. 또한 중등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매개효과의 통계 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 로,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중등교사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 그리고 교사 효능감의 하위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각 하위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교사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고 교사 효능감의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전체 변인 분석에 있어서 중등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중등교사의 회복탄력 성이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또한 교사 효능감을 통해 부분적 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등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사 효능감의 매개변인 으로 하여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사 자신의 자기조 절능력,대인관계능력,긍정성은 교사가 일을 할 때 만족감을 느끼고 또한 교사 효능감을 증가시키는 노력을 함으로써 긍정적으로 학생들을 지도하는 방안을 개 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사의 개인 심리적 요인인 회복탄력성과 교사 효능감이 교사의 직 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교사 효능감의 하위 변인이 각각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 지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효능감이 교 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 히는데 의의가 있다.

      • 하이브리드 코칭 시스템 설계

        홍미선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스마트 기기의 출현과 확산은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변화시켰다. 사람들은 온라인과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수시로 왕래하면서 상호작용한다. 온라인 환경과 면대면 환경을 혼합시키고 이를 주도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커뮤니티 환경은 코칭의 성과를 높이는데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개인형 맞춤 서비스가 가능한 하이브리드 코칭 시스템을 설계하여 코칭의 성과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하이브리드 코칭의 목적 달성을 위한 하이브리드 코칭 모형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가? 연구문제 2. 하이브리드 코칭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코칭 요소와 세부 기능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연구문제 1, 2를 종합하여 하이브리드 코칭 시스템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연구문제 4. 하이브리드 코칭 시스템 설계를 어떻게 적용, 평가할 것인가?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로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첫째, 하이브리드 코칭의 목적과 하이브리드 커뮤니티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문헌들을 검토 분석하였다. 둘째, 하이브리드 코칭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 코칭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하이브리드 코칭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델파이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추출된 하이브리드 코칭 요소와 세부 기능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계층적 분석 기법을 실시하였다. 넷째, 하이브리드 코칭 모형의 모듈에 따른 대상 간 상호작용을 표현하기 위해 UML 모델링 기법 중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였다. 다섯째, 사용자의 조작 방법과 세부적인 코칭 활동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여섯째. 하이브리드 코칭 설계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코칭 시스템 활용 가상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일곱째, 설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델파이 전문가들은 시스템 활용 가상 시나리오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본 시스템의 유용성, 활용성, 제한점을 고찰하기 위해 코칭 관련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하이브리드 코칭 모형은 매칭 추천 모듈, GROW 모듈, 실천 지원 모듈로 구성된 H(Hybrid)-GROW 모형이다. 또한 델파이 1∼4차 설문 결과, 코칭 환경 조성, 성찰 활동, 동기부여 및 목표 행동 지원, 다양한 상호작용 방식에 대한 대처라는 하이브리드 코칭 요소가 도출되었고, 각 코칭 요소별 3개의 세부 코칭 요소와 6개의 세부 기능을 도출했다. 계층적 분석 기법(AHP) 결과로 나온 코치와 코치이의 하이브리드 코칭 요소별 세부 기능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인메뉴, 빠른 검색 버튼 선정 등의 순으로 설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UP 시스템 설계 방법론에 따른 단계별 산출물을 완성하였다. 첫째, 하이브리드 코칭의 내용 구성도를 통해 하이브리드 코칭 모형과 코칭 요소, 세부 기능의 관련성과 연결성을 밝혔다. 둘째, 하이브리드 개념 구성도를 통해 하이브리드 코칭의 3원 구조 체계인 코치와 코치이, 시스템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밝혔다. 셋째, 시퀀스 다이어그램 설계로 코치, 코치이, 시스템의 코칭 내용과 상호작용 흐름을 구조화하였다. 넷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로 화면 설계의 일관성과 체계성의 원리를 입증하였다. 다섯째, 시스템 활용 가상 시나리오를 제시하여 가상적 적용을 통한 설계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시스템의 논리적 모순을 점검하였다. 본 연구에서 하이브리드 코칭 시스템은 설계되었으며, 델파이 전문가 집단과 코치이 집단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또한 매체의 발전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반영한 코칭 분야에 연구적 시도에 대한 필요성과 코칭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코칭 환경의 자유로운 선택은 코칭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 궁극적으로 코칭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는 코칭 분야 연구 중 코칭 환경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하이브리드 코칭 모형을 개발하여,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향후 코칭 연구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emergence and spread of smart devices have changed the way that people communicate. People interact by shuttling frequently between online communication and face-to-face communication. Hybrid community environment that blends online environments and face-to-face environment and allows people to choose as leading players will help improve coaching resul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hybrid coaching system capable of personalized custom service and thereby provide support to increase efficiency in the achievement of coaching result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Research Question 1. How can the hybrid coaching model be built to achieve the goals of hybrid coaching?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hybrid coaching elements and specific functions for creating hybrid coaching environment? Research Question 3. How can the hybrid coaching system be designed by combining the research question 1 and 2? Research Question 4. How can the hybrid coaching system design be applied and evaluated? Aforesaid research questions were intended to be addressed through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various literature were review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hybrid coaching and attributes of hybrid community. Second, existing coaching mod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velop hybrid coaching model. Thir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build hybrid coaching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performed to prioritize the extracted hybrid coaching elements and specific functions. Fourth, sequence diagram, a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modeling technique, was used to express interaction among objects, depending on modules of hybrid coaching model. Fifth, user interface was designed to present users' operation method and detailed coaching activities. Sixth, a virtual scenario using the hybrid coaching system was presented in order to validate suitability of hybrid coaching design. Seventh, Delphi experts evaluated the virtual scenario using the system to verify validity of the design.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coaching-related systems to examine usefulness, usability/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this system. The hybrid coaching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H(Hybrid)-GROW model consisting of matching recommendation module, GROW module, and practice support module. Based on results of Delphi 1 to 4 surveys, we derived hybrid coaching elements, i.e., coaching environment creation, reflection activity, motivation, and target behavior support, and response to various modes of interaction. As a result, we identified 3 detailed coaching elements and 6 specific functions for each coaching element. Specific functions by hybrid coaching element of coach and coachee, derived as a result of AHP, were designed in the order of main menu of user interface, selection of quick search buttons, etc. Based on that, outputs from each stage were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UP(Unified Process) system design methodology. First, we validated relevance and connectivity of hybrid coaching model with coaching elements and specific functions through content structure diagram of hybrid coaching. Second, we validated how coach/coachee and system,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al system of hybrid coaching, interacted over time through hybrid schematic diagram. Third, we structured coaching contents and interaction flow of coach, coachee, and system through sequence diagram design. Fourth, we validated principles behind consistency and systematicity of screen design based on user interface design. Fifth, we verified suitability of the design through virtual application by presenting virtual scenario that used the system and examined logical contradiction of the system. In this study, the hybrid coaching system was designed and then evaluated positively by Delphi expert group and coachee group. Moreover, we found it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es in the field of coaching that incorporated media developments and new communication forms and also found that the hybrid coaching system was useful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oaching. Finally, a conclusion was drawn that unrestrained choice of coaching environment helped boost efficiency of coaching, and ultimately could maximize the effect of coach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need for research on coaching environment in respect of studies related to the field of coaching and also presented new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on coaching through development of hybrid coaching model and designing of the system.

      • SMART시각집중력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박서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SMART시각집중력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대인관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SMART시각집중력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주의집중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SMART시각집중력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대인관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대인관계와 주의집중력에 정적인 관계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선정, 사전검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구성, SMART시각집중력프로그램의 적용, 사후검사, 통계처리 및 자료분석 순으로 진행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시내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두 곳을 선정하여 초등학생 3-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집단(10명), 비교집단(10명)에 배정되었고, 총 20명이 참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주의집중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집중력센터(2009)에서 개발된 주의집중능력검사(Concentration Ability Test)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의 하위요인 에서 시각집중력, 정보처리속도, 지속적주의집중력을 보았다. 대인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리더십생활기술설문지를 초등학생 수준에 맞는 용어와 문장으로 권영웅(2004)이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문항은 12문항이며, 5점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서 사용한 SMART 시각집중력프로그램은 이명경(2005)이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실험집단 10명에게는 SMART시각집중력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이 끝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통제분석 의 타당도를 보완하기 위해 관찰내용을 분석하였고, 소감문과 사진, 활동지를 첨부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SMART시각집중력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의 하위요소인 시각집중력, 정보처리속도, 지속적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SMART시각집중력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대인관계는 향상되었다. 셋째. 주의집중력의 하위요소와 대인관계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MART시각집중력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대인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적인 프로그램 제공에 앞서, 일반아동의 주의집중력 학습에 올바른 이해를 돕고, 주의집중력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B형 간염 백신의 면역학적 효능 향상을 위한 두가지 방출 패턴을 갖는 마이크로니들 개발

        김지석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논문에서는 이중 방출 패턴을 가진 용융성 마이크로니들을 제작하여 한번의 투여로 약물의 속방형 방출과 서방형 방출이 동시에 가능하게 하였다. 효과적인 면역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회 투여가 필요한 B형 간염 백신 (HBsAg)을 적용하여 제작된 이중 방출 패턴 마이크로니들 (HBsAg-PLA/CMC-DMNs) 1회 접종을 기존 주사제 (HBsAg-IM) 2회 접종, 코팅 마이크로니들 (HBsAg-CMN) 2회 접종과 비교하였다. 이중 방출 패턴을 가진 용융성 마이크로니들(HBsAg-PLA/CMC-DMNs)은 PVA/PVP로 이루어진 Base가 피부 투여 후 빠르게 녹아 두가지 제형을 피내로 전달시킨다. 전달된 CMC 코팅 제형에서는 HBsAg가 속방형 방출되고 PLA Tip에서 HBsAg가 서방형 방출된다. 먼저 In vitro 약물 방출 실험을 통해 PLA tip과 CMC 코팅 제형에서 HBsAg의 방출 패턴을 관찰하였다. 또한 In vivo test를 통해 HBsAg-PLA/CMC-DMNs의 백신 전달률을 확인하였고, 기존 근육 내 투여 (HBsAg-IM) 2회, 코팅 마이크로니들 (HBsAg-CMN) 투여 2회를 HBsAg-PLA/CMC-DMNs 1회 투여와 비교하여 면역학적 효능을 비교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HBsAg-PLA/CMC-DMNs는 성공적으로 피부를 투과하였다. PVA/PVP base는 피부 투과 후 10분 이내에 완전히 녹아 모든 마이크로니들의 팁이 피내로 전달되었다. In vitro 방출 실험에서 CMC 코팅 제형에 함유된 HBsAg가 20분 내에 녹아 빠르게 전달되었고, PLA tip에 함유된 HBsAg는 55일에 걸쳐 천천히 서방형 방출 되었다. HBsAg-PLA/CMC-DMNs의 항체가는 기존 IM 2회 투여보다 높고, CMN 2회 투여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중 방출 패턴을 가진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여 1회 투여로 기존의 2회 투여보다 효과적인 면역 반응이 나타났다. 백신뿐만 아니라 다회 투여가 필요한 다양한 약물을 이중 방출 패턴을 가진 마이크로니들에 적용하면 효과적인 약물전달이 가능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