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립중앙극장 대안콘텐츠로서의 NT(National theatre) live 도입방안 연구

        이서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NT Live introduction and its methods, as NT Live can play a role of alternative content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Current government let koreans to enjoy 'life in culture' and set the nations's role and status by leading the creative economic era through culture and bringing cultural prosper forward. Cultural institutions also engage in governmental policy and pursue cultural diversity. It is a green light for performance arts market which predicts huge change. Researcher could read the change in performance arts market paradigm, by observing korean audiences encounter NT Live of English national Theatre. The study had theoretical consideration looking at National Theatre of Korea itself and its repertoires and analysed cases of English National Theatre, Seoul Arts Center. Based on these theoretical inspection, the study designed model for empirical analysis and performed a survey. The study tried to empirically verify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NT Live as an alternative content by looking at general condition and tendency of audiences who show active demand for NT Live programs. The survey took place in 24th February, 2016 at National theater of Korea, theatre Hae and asked with questionnaire sheets to 350 audiences of NT Live 'Hamlet'. First, correlation analysis for NT Live as alternative contents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and satisfaction, royalty showed significance in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T Live subfactor performance,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royalty. Second, determination factor of NT Live watch appears to be a character of over 20 years old and holds undergraduate degree. Subfactor reveals that audiences interested the most in program, director, producing company and curiosity, in the order named. Cognitive route for NT Liv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factor curiosity and recommendation, respectively. Third, credibility and comments concerning NT Live had over 70% of responses that were positive for introduction of NT Live. It revealed correlation with validity and credibility in introducing NT Live and had positive interrelationship. Thus,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and case studies, it seems reasonable to introduce NT Live as an alternative contents for National Theatre of Korea. It is time to request active monitoring for proper introduction. However, studies are not found which deals with the impact or the factors of NT Live to its audience. In conclusion, National Theatre of Korea should not only stay introducing NT Lives of English National Theatre, but have to reach further to produce own NT Live and provide a platform for showing off and distribute korean traditional contents globally. It would be nice for the study to be a help in decision making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And hope to affect positively in energizing korean performance arts market. It is necessary for researchers and markets to keep on investigate the methods of NT Live introduction. The study to be a touchstone for developing new benefit models or reading new trends in performance arts market. 본 연구는 한국의 공연예술을 대표하고 극장운영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국립중앙극장 대안콘텐츠서의 NT(National Theatre) Live 도입방안 연구로 국내에 NT Live의 적용가능성과 방법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현 정부는 문화를 통한 창조경제 시대를 선도하며 문화융성을 앞당김으로서 국민 모두가 ‘문화가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 대한민국의 위상과 역할을 확립하고 있다. 또한 문화예술기관들도 정부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공연예술시장에 있어 희망의 청신호로 큰 변화가 예측된다. 본 연구자는 국내 국립중앙극장에서 영국 국립극장이 제작한 NT Live 실황중계 공연을 접하게 된 국내 관객들의 반응을 보면서 NT Live 제공방식에 대한 공연예술시장 패러다임의 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문헌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로서 국립중앙극장의 개관 및 국립중앙극장의 레퍼토리를 살펴보고, 영국 국립극장의 개관 및 영국 국립극장의 NT Live의 사례를 분석, 국내 예술의전당의 개관 및 예술의전당 SAC ON SCREEN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설계에서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설문조사 대상의 선정과 측정항목을 41개 문항으로 구성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의 주된 목적은 NT Live에 대한 적극적 수요자인 관객을 대상으로 관람자의 전반적인 관람 실태 및 관람 동향을 파악하여 대안콘텐츠로서의 NT Live 의 도입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국내 국립중앙극장 해오름극장에서 2016년 2월 24일 오후 3시에 상영된 영국 국립극장이 제작한 ‘햄릿’공연의 NT Live 프로그램 공연관람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극장 대안콘텐츠 NT Live와 공연만족도 및 충성도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안콘텐츠 NT Live의 하위요인별 공연요소, 환경요소가 만족도 및 충성도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안콘텐츠 NT Live 공연관람 결정요인은 연령은 20대 이상, 학력은 대재(졸)이상, 하위요인별로 작품과 연출자 및 제작사, 호기심 순으로 나타나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NT Live 인지경로는 관람결정요인의 하위요인별로 호기심과 추천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셋째, 국립중앙극장 NT Live 도입관련 신뢰도 및 의견에서는‘도입이 필요하다’, ‘도입 시 관람의향에서 관람하겠다’,‘도입 시 친밀감’ 등에서 전체 평균 70%이상의 의견이 나타났다. 또한 국립극장 NT Live 도입관련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에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위의 사례분석과 실증분석을 토대로 보았을 때 국립중앙극장은 대안콘텐츠 NT Live의 도입에 무리가 없어 보이며, 도입을 위한 적극적인 모니터링이 오히려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그러나 NT Live 실황공연이 국내 관객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국립중앙극장은 영국 국립극장의 NT Live를 선보이는데서 끝나서는 안되며, 직접적인 제작방식을 도입해서 국내 관객들에게 다가가고, 이를 통해 세계 여러 나라에 한국의 전통공연 콘텐츠를 소개하고 보급하는 창구로서의 플랫폼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 연구가 향후 국립중앙극장 정책수립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본 연구가 국내 공연시장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한다. 따라서 대안콘텐츠 NT Live 실황중계의 제공방식에 대하여 학계와 공연계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가 국내외 공연예술시장 트렌드 파악이나 새로운 수익모델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국회도서관의 문화공간화 및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임지원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살아있는 도서관, 이야기가 있는 도서관, 감성문화공간으로서 일반 대중과 함께 호흡하는 도서관으로 이제 국회도서관이 발돋움해야 할 때이다. 현대 사회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은 과거의 전통적 도서관 기능뿐 아니라 문화적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회와 국민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일류의 의회도서관’이라는 비전을 추구하는 국회도서관이 어떠한 의미와 방향성을 갖고 국회도서관의 문화공간과 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야 할 것인지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진행하였다. 국회도서관을 대상으로 물리적 공간인 하드웨어적 측면과 공간을 채우는 내용을 의미하는 소프트웨어적 측면, 양 측면을 함께 조사·분석하여 종합적인 개발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론에서는 국회도서관, 문화공간, 문화콘텐츠에 관한 선행연구 동향과 국회도서관의 문화공간 및 문화콘텐츠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론적 고찰에서 정리된 내용을 토대로 국회도서관 문화공간 조성과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을 실증하기 위하여 국회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국회도서관 이용자의 일반현황 및 국회도서관의 문화공간 구성 현황과 향후 방향, 국회도서관 문화콘텐츠의 경험 사항과 요구사항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국회도서관의 문화공간화 및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하여 세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일상 가운데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는, 문화적 즐거움을 갖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국회도서관 공간 구성에 주력하여야 한다. 특히 설문조사 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았던 ‘휴게 공간’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보완·강화해야 한다. 둘째, 국회와 협력한 연계 콘텐츠, 국회도서관만의 특성화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국회와 국민의 소통을 위한 문화적 가교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공공도서관이나 문화센터가 이미 잘 운영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을 모방하는 차원이 아니라 의회도서관으로서 의미 있는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회도서관의 OSMU(One Source Multi Use) 콘텐츠를 개발하여야 한다. 일회성으로 그치는 행사보다는 내실 있는 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회도서관의 문화공간화와 문화콘텐츠 개발이라는 두 가지 내용을 함께 다루다 보니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기에는 미흡하였지만, 본 연구를 통해 국회도서관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나름의 의미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 이 연구를 기초하여 국회도서관의 문화공간화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It is time for National Assembly Library to take a step further to become a library which is alive, has stories and breathes with the public as a sensible cultural space. As the modern society evolves, libraries are required to carry out cultural functions in addition to its' traditional functions.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ways for National Assembly Library who's vision is to be "the world's top library of congress which provides best service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eople"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and turn itself into a cultural space while keeping in mind of the significance and which direction it has to go. Hardware aspect which refers to the physical space and software aspect which refers to the contents which fills the space were both studied and analyzed with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s the subject to study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measures. In the main part this study, trends of preceding researches o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cultural space and cultural contents were looked at and current states of cultural space and content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re also looked at. Based on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patrons to prove the measures of the cultural space and content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development. Survey questions were consisted to ask general demographics of the patrons, the current states of cultural space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future plans,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Library experience and the request of the patrons. Based on such studies,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making the library a cultural space and developing the cultural contents. First, the library has to concentrate on forming a space in which can be easily approached and communicated with cultural pleasures. Especially, 'resting area' which scored high on the importance but low on the satisfactory level has to be enhanced and reinforced with priority. Second, the library has to perform the role of cultural bridge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eople by developing specialized cultural contents and linked contents with the National Assembly. It is necessary for the library to create the contents which has meaning as the library of congress rather than copying other well running cultural programs of other institutions. Third, OSMU(One Source Multi Use) contents has to be developed. Ways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and variously utilize instead of holding one time events has to be reviewed. This study deals with bot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space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Hence, the study lacks the in-depth research and is short when it comes to suggesting the specific measures. However, it was meaningful as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develop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s the cultural space. With this study as the basis, I hope that studies with various angles regarding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s the cultural space can be conducted in the future.

      • 음악인을 위한 예술인 복지법 개선방안

        강욱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Republic of Korea has enhanced the quality and level of consciousness of the people through the past 30 years of economic growth and made possible the management of vast social culture lifestyl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nd the cultural arts field of Republic of Korea has been the important industry field that upgrade the brand value of the Republic of Korea. Park Geun-Hyu government launched in February 2013 has the value of culture that is expanded throughout the society and acts as the basic principle of all the fields such as politics·economy etc and puts up ‘culture flourishment’ that is the 4 state affairs keynotes and the cultural arts is turning itself as the important policy of the nationa and the importance of the artist has also increased. By the case when scenario writer Choi Go Eun died of hardships of life in year 2011,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concerning the artist welfare and rights protection has aroused the dispute of the society, and the welfare law was enacted in November 2011, and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Law was established for the artist welfare business. Despite this, artists have a socially weak structural form and problems concerning protection of rights and interests and welfare of the artist has brought endlessly. After this, the artist welfare law, studies on improvement measures of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studies for each field such as plays, ballet, movies etc is at a lacking state of interest and study on the music field that takes important axis of the cultural art field. Therefore, this study understood the problem of artist welfare law thought by the musicians targeted on the classic music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business of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was studied. Survey targeted on 250 classic musicians for 10 years from April 19 to 29th of year 2016 was implemented. When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 the satisfaction of the artist welfare reality turned out to be ‘very dissatisfied’ 93people(37.2%), ‘little dissatisfied’ 76people(30.4%), which means 67.6% of the whole is dissatisfied. On the cognition degree on artist welfare law was ‘have heard of but do not know well about the detail’ 103 people(41.2%), ‘first known through survey’ 100 people(40.0%) which means that 81.2% have been found out to be heard of but is not aware of the content or have known for the first time. This means that the interest on artist welfare law of the musicians is low.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the chapter 4 of the artist welfare law, the cognition degree of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 have been mostly heard of but does not know about the content. It was studied that cognition degree of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s that is the affiliated organization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or the artist welfare business was low and the importance of the business of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s turned that the importance on the ‘investigation·study on welfare status and working status of artist’ was the highest. This shows the unstable working status of the musicians at this present. It was comprehensively known that the cognition of musicians concerning the artist welfare law was very low. Prior to the judging the artist welfare law, interest on the artist welfare law enacted for enhancement of protection of rights and interests of artists in the nation by the musicians should be given priority. There is a limit to improve the artist welfare system for musicians through this study. However, there is a meaning of the study where there were musicians who first contacted that there is a welfare business for artists by the nation and delivered such information during the process of survey. Based on this, by participating the welfare support business implemented by the Korean Artists Welfare Foundations by the musician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ltural art industry when musicians receive protection of rights and interests and various welfare benefit and the when the nation makes the environment where they could focus on the musical culture. 대한민국은 지난 30여년간의 경제성장으로 국민의 삶의 질과 의식수준이 향상되었고 대중매체의 발전을 통해 폭넓은 사회문화생활의 영위가 가능해졌으며, 우리나라의 문화예술 분야는 대한민국의 브랜드 가치를 업그레이드해 주는 중요한 산업분야가 되었다. 2013년 2월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문화의 가치가 사회 전반에 확산되어 정치·경제 등 모든 분야의 기본 원리로 작동하고 의 4대 국정기조인 ‘문화융성’을 내세워 문화예술은 국가의 중요한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예술인에 대한 중요성도 높아졌다. 2011년 시나리오 작가 최고은 씨의 생활고로 인한 사망한 사건 이후 예술인 복지와 권익 보호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이 사회의 논쟁을 일으켰고, 2011년 11월 예술인 복지법이 제정되었으며, 예술인 복지사업을 위한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 설립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인들은 사회적으로 취약한 구조 형태를 가지고 있고 예술인 복지와 권익 보호에 대한 문제점은 끊임없이 야기돼 왔다. 이후 예술인 복지법,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개선방안을 위한 연구와 연극, 무용, 영화 등 각 분야의 실정에 맞는 연구가 지속되었지만, 문화예술분야의 중요한 축을 맡는 음악 분야의 연구 및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로 음악인, 즉 클래식 음악인을 대상으로 음악인들이 생각하는 예술인 복지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2016년 4월19일부터 4월29일까지 10일간 클래식 음악인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해보면 음악인들의 예술인 복지실태에 대한 만족도에서 ‘매우 불만족’ 93명(37.2%), ‘약간 불만족’ 76명(30.4%) 전체의 67.6%가 불만족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술인 복지법에 대한 인지정도는 ‘들어본 적은 있으나 내용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103명(41.2%), ‘설문조사를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100명(40.0%)로 81.2%가 들어본 적이 있으나 내용에 대해 잘 모르거나 처음 알게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악인들의 예술인 복지법에 대한 관심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예술인 복지법 제4장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 대한 인지정도는 대체적으로 들어본 적은 있으나 내용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인 복지 사업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의 산하기관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인지정도가 낮게 조사 되었고,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사업의 중요도는 ‘예술인의 복지실태 및 근로실태의 조사·연구’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 음악인들의 불안정한 근로실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예술인 복지법에 대한 음악인들의 인식이 매우 낮은 것을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예술인 복지법을 평가하기에 앞서 음악인들이 국가에서 예술인의 권익 보호와 복지 증진를 위해 제정한 예술인 복지법에 대한 관심이 우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인을 위한 예술인 복지제도가 개선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설문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음악인들이 국가에서 예술인을 위한 복지사업이 있다는 것에 대해 처음 접하는 음악인들이 많았고, 정보 전달을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둘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지금보다는 더 많은 음악인들이 예술인 복지법에 대해 인지하고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서 시행하는 복지지원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음악인들의 권익 보호와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고, 음악 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국가가 만들어준다면, 국가문화예술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것을 기대한다.

      • 기업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감성역량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인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market 3.0 era, sensitivity, imagination, and creative capability of the members have been importantly emerged, as the internal energy sources to persuade customers' sensitivity. For this, culture management which applies culture·art to management environment has appeared, and recently art-based learning has been expanded as the attempt and approach to develop the sensitivity and creative capability of the members by utilizing various artistic material as arts, music, play, and movie, etc. However, research on the effect of such art-based learning and the eventual effect on company result is still insufficient. Here, this research conducted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education program on the emotional competency aiming at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art-based learning. This research conducted academic concept and composition of art-based learning, emotion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based on this, establish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hen composed operational definition and questionnaire on the variables. As the composition of company art education program, this research designed a research model by selecting education content, education method, and instructor factor, individual domain and organizational domain emotional competency in respect of emotional competency, and selecting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in resp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442 company employees who had opportunity of attending company art education program for 10 days from April 10 to 20, 2016 utilizing a questionnaire of 63 questions. The result and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through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in respect of the state of art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217 among the whole 442 (49,1%) had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art education program, number of participation mostly appeared 1~2 times, and participation time appeared below 2 hours. Such result implies so far art education program has not been activated in company education. Second, as the difference in emotion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ong with whether of art education participation, art education participants relatively showed the overall emotional competency, individual domain organizational domain emotional competency, organizational domain emotional competency, and on the whole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ive commitment per subordinate factor,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higher compared to non-participants. Such result implies that art education program influences emotion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ffectiveness thereof nevertheless low number and participation hours. Accordingly, the researcher expects more improvement of the members' emotion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art education program is extended.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ompany art education program components on the emotion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ducation content and education method among the components of art education program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affirmative effect on individual domain emotional competency, organizational domain emotional competency,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On the contrary, among the components of art education program, lecturer had a meaningful and affirmative effect on individual level emotional competency and affective commitment, however displaye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organizational domain emotional competency,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factor, lecturer, which has the highest score in satisfaction, displayed the lowest effectiveness of education, accordingly, more efforts should be invested in selection of education content design and method in respect of art education program design process rather than selection of lecturer. Four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emotional competenc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vidual domain emotion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domain emotional competency displayed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affirma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acquire and train the talented persons of emotional competency to rais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utilized as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dex of company performance improvement, turnover rate, absence decrease. This research has a limitation in respect that the research target was the employees of several companies and that it did not consider the measuring period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etc., however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research could be a good information to contribute to expansion of art-based learning and emotional education as well as henceforth art education program, by verify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that art education program positively influences emotional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riving a result that emotional competency could also positively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마켓 3.0시대를 맞이하여 고객의 감성을 설득하기 위한 기업의 내부 에너지원으로서 구성원의 감수성, 상상력, 창조역량이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 경영환경에 문화·예술을 적용하는 문화경영이 등장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미술, 음악,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예술적 소재를 활용하여 구성원의 감성 및 창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 및 접근법으로서 예술기반 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예술기반 교육이 어떠한 효과성을 가지며, 궁극적으로 기업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기반 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목적으로,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감성역량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문헌연구와 및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술기반교육, 감성역량 및 조직몰입에 관한 학술적 개념 및 구성요소 그리고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기업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로는 교육내용, 교육방법, 강사요인을 선정하였고 감성역량은 개인차원과 조직차원 감성역량으로, 조직몰입은 정서적, 유지적, 규범적 몰입으로 선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4월 10일부터 20일까지 10일 동안 기업 미술교육 프로그램 수강기회가 있는 직장인 442명을 대상으로 63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설문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미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실태로서, 전체 442명 중 217명(49,1%)이 미술교육 프로그램 참여경험이 있었고, 참여횟수는 대체적으로 1~2회, 참여시간은 2시간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직까지 기업교육에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지 않았다는 의미를 시사한다. 둘째, 미술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감성역량 및 조직몰입의 차이로서, 미술교육 참여자의 경우 비참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감성역량과 하위요인별 개인차원 감성역량, 조직차원 감성역량 그리고 전반적인 조직몰입과 하위요인별 정서적 몰입, 유지적 몰입, 규범적 몰입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감성역량과 조직몰입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를 시사하는 것으로서 참여횟수와 참여시간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한다면 구성원의 감성역량과 조직몰입의 향상이 더욱 기대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기업 미술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소가 감성역량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로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중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은 개인차원 감성역량과 조직차원 감성역량 그리고 정서적 몰입, 유지적 몰입, 규범적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중 강사는 개인차원 감성역량과 정서적 몰입에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차원 감성역량과 유지적 몰입, 규범적 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만족도에서 가장 점수가 높은 강사요인이 교육의 효과성은 가장 낮다는 의미로서, 미술교육 프로그램 설계 과정에서는 강사 선정보다 교육내용 설계 및 방법 선정에 더욱 많은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발견 할 수 있다. 넷째, 감성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로서, 개인차원 감성역량과 조직차원 감성역량은 정서적 몰입, 유지적 몰입, 규범적 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 성과향상과 이직률 및 결근감소의 조직효과성 지표로 활용되는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감성역량을 갖춘 인재를 확보 및 육성해야 한다는 의미를 시사한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이 여러 기업의 직장인이었다는 점과 교육의 효과성 측정시기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 등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으나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감성역량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교육효과성을 증명하고 감성역량이 조직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물론 예술기반 교육 및 감성교육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정보가 되기를 기대한다.

      • 국립합창단 관객개발을 위한 마케팅믹스 요인 분석

        조화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Cultural art today has been promoted as the core industry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mong them, importance of culture appreciation and publicness of culture for every social member has been emerged beyond generation of various cultural industry. While the importance of active efforts for the right of culture of each social member is required, national·public art organizations are the institutions which efficiently promote the goal of the government overcoming market failure of the government, given with a role to perform culture appreciation and publicness of culture. As the interest in culture has been raised i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the boundary between culture and art has been indefinite, proper provision to react to this became necessary since demand of people on culture consumption has been increased. Effort for audience development by the national·public art organizations is significance in respect of investigating performance art development. Audience development of national·public art organizations contributes to social members' emotional cultivation, also, can expect profit creation effect of arts groups. However, currently research on marketing approach of national·public arts organizations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plan for activation of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audience, which is in the center of chorus performance market among the national·public arts organizations. This research aimed at suggesting audience development plan by comprehe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audience and marketing mix factors that influence the audience's performance watch. For thi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performance audience by conducting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analysi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audience, the majority of them were women in the age 30s, or the highly-educated such as university students or graduates thereof or undergraduate school students or graduates. In respect of occupation, the majority of them were artists, regarding monthly income, the majority appeared below 1-2 million won and below 3-4 million won, mostly residents in Seoul. Second, they appeared to attend 1-2 times of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performance annually, getting the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ir friends, family, or the internet, also, 35.5% of them appeared to plan performance watch previously. Mostly they purchase tickets through the internet reservation, friends or the acquaintances, perceiving proper ticket price between 10-30 thousand won. When watching performance, they appeared to accompany friend or lover, motive for performance watch appeared highest in cultural life purpose. In respect of pay membership system of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36.8% of them appeared to cognize it.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7P factors of marketing mix of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performance, on the whole 'Place' appeared the highest, and appeared in order of ‘Process’, ‘Promotion’, ‘Product’, ‘Physical Evidence’, ‘People’, and ‘Price’. Particularly, in case of the age group below 50s, over the junior college students or graduates thereof, or the case who prefer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performance,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marketing mix factors appeared high when the number of performance watch ros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following points. First, it is necessary to search audience collecting method of the age group over 60s by targeting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audi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promotion plan for the internal audience by acknowledging their importance. Third, it is necessary to acquire fixed audience by reinforcing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pay membership system. Fourth, it is necessary to focus on development of 'Place', 'Process', and 'Promotion' among the 7P factors of marketing mix. Fifth, it is necessary to exert active support and effort such as employing professional staffs and securing budget for marketing activation.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hat it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aspect of marketing to coincide with the practical goal of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and its social role. Henceforth, the researcher wishes diversified researches to be conducted on audience development and expansion through marketing strategy of the national·public arts organizations for culture appreciation. 오늘날 문화예술은 국가 경제력의 핵심 산업으로 육성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다양한 문화산업의 발화를 넘어 사회 구성원 모두가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문화향유와 문화공공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사회 구성원의 문화권 보장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가운데, 국·공립예술단체는 정부의 시장실패를 극복하고 정부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기관들로써 문화향유와 문화공공성을 수행해야 할 역할이 주어졌다. 정치·경제·사회적으로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문화예술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국민들의 문화 수요가 증가하여 이에 대응한 올바른 공급이 필요하게 되었다. 국·공립예술단체의 관객개발 노력은 공연예술 발전을 모색해 볼 수 있는데 그 의미가 있다. 국·공립예술단체의 관객개발은 예술성 추구와 함께 사회 구성원들의 정서 함양에 이바지함은 물론, 단체의 수익창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국·공립예술단체들의 마케팅적 접근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예술단체 중에서도 합창공연 시장의 중심에 있는 국립합창단의 관객개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본다. 본 연구는 국립합창단의 관객 특성과 관객의 공연관람에 영향을 끼치는 마케팅믹스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관객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국립합창단 공연 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합창단 관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는 30대의 여성이 많으며 4년제 재학 및 졸업이나 대학원 재학 및 졸업인 고학력자들이 많았다. 직업은 예술직, 월 평균 소득은 100-200만원 미만에서 300-400만원 미만의 분포가 가장 많았으며, 거주지는 서울특별시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립합창단 공연을 연 1-2회 정도 관람하며 공연정보는 친구 및 가족이나 인터넷을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고, 35.5%가 공연관람을 위해 사전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켓은 대체로 인터넷 예매나 친구 및 지인을 통해 구입하며, 1-3만원이 적정 티켓가격이라고 인지하였다. 관람 시 친구나 애인과 동반하며 관람동기는 문화생활 차원으로 관람하는 것이 가장 큰 비율로 나타났다. 국립합창단의 유료회원제에 대해서는 36.8%가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국립합창단 공연의 마케팅믹스 7P 요인의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공연장/유통(Place)’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진행과정(Process)’과 ‘프로모션(Promotion)’, ‘공연작품(Product)’, ‘물리적 환경(Physical Evidence)’, ‘공연관계자(People)’, ‘관람요금(Price)’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 이하의 연령층이나 2년제 재학 및 졸업 이상의 경우, 국립합창단 공연을 선호하는 경우, 공연 관람횟수가 많을수록 전반적인 마케팅믹스 요인에 대한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국립합창단의 관객들을 타깃화하여 접근하며, 60대 이상의 연령층의 모객방법을 모색한다. 둘째, 내부관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그들을 위한 프로모션 방안을 적극 활용하도록 한다. 셋째, 국립합창단 유효회원제를 강화하여 고정관객을 확보한다. 넷째, 마케팅믹스 7P요인 중 ‘공연장/유통’, ‘진행과정’, ‘프로모션’의 개발에 중점을 둔다. 다섯째,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전문 직원을 채용하고 예산을 확보하는 등의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립합창단의 실질적 목표와 사회적 역할에 부합하기 위해 마케팅적 측면에서 실증연구를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문화향유를 위한 국·공립예술단체들의 마케팅 전략을 통한 관객개발 및 확대의 다각적인 연구가 실현되기를 바란다.

      • 커뮤니티아트의 기능이 프로그램 만족도와 공공공연장(公共公演場)의 이미지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박혜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ommunity art and analyze the function of programs, thus examining its effect on program satisfaction, public art hall image and loyalty.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community art programs of which main body was the public, and work out the plan of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and regional contribution of community art programs, from the aspect of operation of public art halls. Community art can be translated into 'the art of a community' or 'the painting of a community' and preceding studies focused on the community art in the area of public painting based on community painting or the stream of painting history. However, this study did not restrict the scope of community art only in painting, rather dealt with the general sphere of art, especially examining its effect when it was connected to public art halls. In the part of main subject, the concept of community art was defined and its process of development was looked into through the stream of times. In addition, this study described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art education and community art programs in public art halls. The function of community art was sub-divided into psychological factor, physical factor, social factor and educational factor based on preceding studies. The image of public art halls was sub-divided into cognitive image and social image and the concept of public art hall loyalty was also examined. Since the theme of this study was community art in public art halls, Chungmu Art Hall, Gangdong Art Center and Mapo Art Center, in which the program of community art was currently carried out,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in community art programs. The responses of 235 questionnaires were used in study analysis and SPSS v. 18.0 was used as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used analytical techniques wer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unction of community art program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 on program satisfaction, and the extent of effect on program satisfaction was psychological function (.300) > educational function (.287) > social function (.154) > physical function (.147) in order. Second, as for the effect of community art program function on the image of public art halls, the cognitive image of public art halls was influenced by physical function (.454) > educational function (.166) = psychological function (.166) > social function (.052) in order, and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social function will have effects on the cognitive image of public art halls was discarded. Among the functions of community art programs, the emotional image of public art halls was influenced by educational function (.563) > physical function (.191) > psychological function (.013) > social function (-.043) in order. Therefore, educational function and physical function seem to play an important role. Third, the function of community art program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 on art hall loyalty. By independent variables, art hall loyalty was influenced by educational function (.371) > psychological function (.237) > physical function (.160) > social function (.133) in order. Fourth, when th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art programs increased, the cognitive image of art halls increased by .701 and the emotional image of art halls increased by .565. In this vein, th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art programs is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cognitive and emotional images of art halls. Fifth, th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art program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 of increasing art hall loyalty by .756. Sixth, the image of art halls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rt hall loyalty. And the emotional image increased by .509 and the cognitive image increased by .422. Therefore, these two hypotheses were accepted. This study seems to be meaningful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n that it confirmed the connectivity of public art halls with community art programs, thus drawing its effects, and hopefully provides help to the cultural enjoyment of participants in community art programs. Since this study worked out basic data on the community art program-used operation of public art halls, the author hopes a variety of programs that satisfy a variety of demands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rough studies that examining the diverse and detailed functions of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아트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프로그램의 기능을 분석하여 프로그램 만족도와 공공공연장의 이미지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중이 주체가 되는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공공공연장 운영측면에서 자체 경쟁력 향상과 지역공헌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진행하였다. 커뮤니티아트는 ‘공동체예술’또는‘공동체 미술로’번역되며 이전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을 때 공동체 미술이나 미술사적 흐름을 토대로 한 공공 미술 분야 커뮤니티아트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아트를 미술의 범위로 한정짓지 않고 폭넓은 의미의 전반적 예술 활동영역을 주제로 하였으며 특히 공공공연장과 결합하였을 때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본론에서는 커뮤니티아트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였고 시대적 흐름을 통해 어떠한 생성과정을 거쳤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공공공연장에서 이루어지는 예술교육과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커뮤니티아트 기능은 선행연구를 통해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교육적 네 가지 요인으로 하위분류하였으며 공공공연장 이미지는 인지적, 사회적 이미지 두 가지로 하위분류하였고 공공공연장 충성도의 개념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공공공연장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티아트를 주제로 하였기 때문에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충무아트홀, 강동아트센터, 마포아트센터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에 참가한 참여자들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35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SPSS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의 기능은 프로그램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심리적 기능(.300)>교육적 기능(.287)>사회적 기능(.154)>신체적 기능(.147)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의 기능이 공연장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 중 공연장의 인지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신체적 기능(.454)>교육적 기능(.166)=심리적 기능(.166)>사회적 기능(.052) 순으로 사회적 기능이 공연장 인지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 중 공연장의 정서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교육적 기능(.563)>신체적 기능(.191)>심리적 기능(.013)>사회적 기능(-.043)으로 교육적, 신체적 기능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의 기능은 공연장 충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는 교육적 기능(.371)>심리적 기능(.237)>신체적 기능(.160)>사회적 기능(.133)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아지면 공연장 인지적 이미지에 .701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연장 정서적 이미지에는 .565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연장의 인지적, 정서적 향상을 위해서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공연장 충성도에 있어 .756의 상승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공연장 이미지는 공연장 충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이미지는 .509의 상승이 있었고 인지적 이미지는 .422의 상승으로 두 가지 이미지 모두 채택되었다. 이번 연구는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을 공공공연장과의 적합성을 확인하여 그 효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으로 의의가 있으며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 참가자의 문화 향유의 측면에서 또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을 활용한 공공공연장 운영의 기초를 제공한 자료로서 향후 프로그램에 따라 더 다양하고 세분화된 기능을 밝히는 연구를 통해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웅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Establishing the 'Culture & Art Education Support Law' in 2005, Korea has fully started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culture & art education. After that, the 'art instructor support project' to establish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and the condition of qualitative growth of culture & art education support, could be the first case of establishing the professional manpower management system of culture & art education. However, owing to the insufficient institutional conditions and social awareness, it has not been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occupation. In the results of the institutional discussion of this, the social basis of professional manpower of culture & art education was established by calling them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2012, giving them licenses certified by the state, and also legally specifying their assignment in the culture & art education fields. After executing the license system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however, it was raised to necessarily improve the curriculum in diverse aspects of operating the training institutes and process of issuing licens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such as education program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sufficient relation between actual site and job, rate of practical course, unestablishment of course, matter of course suitability & connectivity between courses, and awareness/trust of professor(instructor). As a research on improvement measures of curriculum for the correct settlement of the relevant system, this study aimed to mainly seek for improvement measures of the curriculum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dance area. After cognizing/verifying problems of curriculum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based on all sorts of literature researche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of curriculum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dance area by conducting a survey through field survey and online method, targeting total 288 people including 68 art instructors currently working in dance area after acquiring the license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also 220 majors in colleges equipped with the curriculum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capital area. The conclusion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is like below. First, professors' reinforcement(connection between courses, integrated art, convergence) of education program was highly shown. Second, after acquiring the license, their supply-demand management and stable working condition system were highly shown. Third, the securement of independent space for dance lesson was highly shown. Fourth, the importance of rate of theory, practice, and practical course was highly shown. Based on the results and the revised curriculum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enforced from March 1st 2016, suggestions could be made like below. First, the field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required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re the continuous research task. The issues related to supply/demand and training of instructors in dance area should be resolved as field experience and practice are very important to them. Second,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system should provide a place for opportunities to provide jobs to art majors. Also,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that arts & culture can be experienced and participated by all the members of society, instead of specific people. Third, in case of the curriculum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dance area, it is a special art genre education,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ecure independent space for dance lesson. Fourth,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should continuously develop and practice creative, new, and diverse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ir artistic experience and professionalism. The contents of education should be more clearly suggested in detail while the rate of theory and practical course should be accurately don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fo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in dance area, and also suggested its correct direction by presenting improvement measur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abl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system in dance area. 우리나라는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을 제정하면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본격화하였다. 이후 문화예술교육 지원의 효율성 제고와 질적 성장의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시행 된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관리 체계를 구축한 첫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제도적 여건과 사회적 인식 미흡으로 인해 전문 직종으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이에 대한 정책적 논의의 결과로서 2012년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을 ‘문화예술교육사’로 칭하며, 국가에서 공인한 자격증 부여 및 문화예술교육 현장 배치를 법적으로 명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에 대한 사회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제도의 시행 이후 교육기관의 운영 및 자격증 발급 과정의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교육프로그램, 실제현장 및 직무 연관성 부족, 실습과정의 비율, 교과목의 미 개설, 교과목 적합여부 및 과목간의 연계성,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을 맡는 교수(강사)의 인식도 및 신임도 등의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당 제도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중점적으로 모색하고자 하였다. 각종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문제점 인식검증 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취득 후 활동 중인 무용분야 현직 예술강사 68명과 교과목 내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을 갖추고 있는 수도권 내 대학 무용전공 재학생 220명 총 288명을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온라인방법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개선방안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의 교육프로그램 강화(교과연계, 통합예술, 융합)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격 취득 후 자격증보유자들의 수급관리와 안정된 근무여건 체제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무용 수업을 위한 독립적인 공간 확보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이론, 실기, 실습과정의 비율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와 2016년 3월 1일부터 시행된 개정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개선책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사에게 요구되는 현장의 지식, 기능, 태도는 지속적인 연구과제이다. 현장의 경험 및 실천이 매우 중요한 무용분야 교수자의 수급과 육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제도는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예술 전공자들에게 일자리를 마련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해야한다. 또한 문화예술이 특정한 사람들만이 아닌 사회구성원 누구든지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다는 인식제고가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경우 공간 활용에 있어서 특별한 예술장르 교육이기 때문에 무용 수업을 위한 독립적이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사는 자신의 예술적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이며 새롭고 다양한 교육활동을 꾸준히 개발하고 실천하여야한다. 교육내용을 보다 상세화하고 명확하게 제시해야하며 이론과 실기 실습과정의 비율을 정확히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에 대하여 한 번 더 살펴볼 수 있었으며,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올바른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본 연구가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며 문화예술교육사제도의 발전과 안정된 정착에 기여하는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 창작뮤지컬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 연구

        이은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Over the last five years, the domestic musical market has increased 20% annually, leading the performance industry. In the trend, the 18th government designated musicals as one of five killer contents in terms of high-growth and high value-added contents industry, supporting the area fully. However, on the other side of the fast growth of the domestic musical market led by the success of large license musicals, the disproportionate market structure brings about excess competition, increased production cost, saturated domestic market, and other structural issues. This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ctivating original Korean musicals as the key project to improve the domestic musical market positively and expand the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the policy priorit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governmental support from the viewpoint of those concerned with musicals, and thereby to make useful suggestions for policy improvement. To achieve that,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and designed a questionnaire about the factors that impede the development of original Korean musicals and about the suggested solutions in the categories of policy subject and environment. Convenient sampling was conducted with musical related artists and staff to choose a population, with whom self-evaluation & administered onlin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overall public support for policy subjects, the highest was found to be production aspect, followed by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Regarding production aspect, facility support for performance production, the expansion of financial support, and the enhancement of standard contract application to protect the rights of relevant people were highly demanded. Regarding the policy priority in the consumption aspect, the first one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PR marketing strategy to develop new viewers, followed by exemption of value-added tax fro original Korean musicals, and the support for festivals to expand viewers in order. In the aspect of distribution, lowering theatre rental fee for original Korean musicals, the expansion of joint planning and production participation in theatre, the support for international exchange to advance into the overseas market were highly demanded. Secondly,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overall public support for the policy environment, the highest was found to be legal aspect, followed by finance, organization, and manpower in order. In the legal aspect, copyright protection, and legal system improvement for tax were highly demanded. In the finance aspect, the expansion of budget for activating original Korean musicals, the establishment of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and the efficient operation of public resources were highly demanded. In the aspect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manpower, the security of excellent administrative human resources, improvement in arts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structural improvement were deman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drawn policy improvement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by offering the key spaces including conference room and practice room as the priority support for policy subject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cooperation synergy between relevant institutions and performance groups. In addition, the government-led discussion will bring about the support for as much lowering theatre rental fee for original Korean musicals as for plays, and thereby will reduce the burden of production cost. Aside from that, through the education and consulting support for establishing PR marketing strategy, it will expected to enhance professionalism of performance groups and develop new viewers. Secondly, through the priority support for the policy environment, it will be possible to use the middle mediator to connect the field and administra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specialized and long-term policy and thereby to improve the affinity and satisfaction of art field for the support policy. In addition, as the ground material to expand budget support, regular fact-finding survey was suggested, and the normalization of performance sales integrated network operation was emphasized. To maximize added-value of musicals, it will necessary to improve relevant laws and conduct prior study and survey.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s in the points that it lacked accurate fundamental data to find the market size and that it failed to conduct total survey. Nevertheless, it is academically meaningful in the aspects that it drew the analysis framework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rt market structure and the culture & arts promotion policy structure and conducted systematic and empirical analysis. In the future, the study results will be applicable as the practical and meaningful fundamental material.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conduct more objective and in-depth research to activate original Korean musicals. 최근 5년간 국내 뮤지컬 시장 규모는 매년 연평균 20%에 달하는 증가세를 거듭하며 공연산업을 견인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제 18대 정부는 뮤지컬을 고성장, 고부가가치 콘텐츠 산업으로써 5대 킬러 콘텐츠 중 하나로 지정하여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면과는 대조적으로 대형 라이선스 뮤지컬의 성공이 주도한 국내 뮤지컬 시장의 빠른 성장 이면에는 편중된 시장 구조로 인한 과당경쟁, 제작비 상승, 내수시장 포화 등의 구조적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뮤지컬 시장을 선순환 구조로 개선하고 시장 확대를 위한 핵심 과제로 창작뮤지컬 활성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정부 지원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뮤지컬 분야 종사자의 관점에서 정책 필요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정책 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창작뮤지컬 발전 저해 요인과 해결방안으로 제시된 항목을 정책 대상과 환경으로 나누어 설문을 구성하였다. 뮤지컬 관련 예술가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편의추출법을 이용하여 모집단을 선정, 온라인 설문을 통한 자기평가기입식 방식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 대상에 대한 전반적인 공공지원의 필요성은 생산 측면이 가장 높았고 이후로 소비와 유통이 뒤를 이었다. 생산 측면에는 공연 제작을 위한 시설지원, 재정지원 확대, 종사자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표준계약서 활용 강화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소비 측면에서 필요한 정책 우선순위로는 새로운 관객 개발을 위한 홍보마케팅 전략 수립, 창작뮤지컬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제, 관객 저변 확대를 위한 페스티벌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유통 측면에서는 창작뮤지컬 대관료 인하, 공연장의 공동 기획·제작 참여 확대,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국제 교류 지원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둘째, 정책 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공공지원의 필요성은 법제 측면이 가장 높았고, 재정, 조직 및 인력 순으로 나타났다. 법제 측면에서는 저작권 보호, 세제개선을 위한 법제 정비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재정 측면에는 창작뮤지컬 활성화를 위한 예산 확대,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 공공재원의 효율적인 운영에 대한 수요가 우선순위를 차지했다. 행정 조직 및 인력 측면에서는 우수한 행정 인력의 확보, 예술행정 조직 편제와 구조 개선 순으로 나타났다. 실증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정책 개선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 대상에 대한 우선 지원으로 회의실, 연습실 등의 거점 공간 제공을 통해 유관 기관과 공연 단체들 간의 협력 시너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부 주도로 협의를 이끌어 내 창작뮤지컬에 대해 연극에 준하는 공연장 대관료 인하 지원을 통해 제작비 부담 완화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홍보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교육 및 컨설팅 지원을 통해 공연 단체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신규 관객을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정책 환경에 대한 우선 지원으로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정책 수립 및 실행을 위해 현장과 행정을 연결하는 중간 매개자를 활용함에 따라 지원 정책에 대한 예술 현장의 친밀도와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예산 지원의 확대를 위한 근거 자료로 실태조사의 정례화를 제안하였고, 공연매출통합전산망 운영의 정상화를 강조하였다. 또한 뮤지컬이 가진 부가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관련 법제 정비가 수행되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사전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리라 본다. 본 연구는 시장 규모 파악을 위한 정확한 기초자료가 부족하였다는 점과 관련 종사자 전체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진행하지 못 했다는 한계를 가지지만, 공연예술 시장구조와 문화예술 진흥정책 구조에 따른 분석틀을 도출하여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향후 관련 분야에 실무적으로 유의미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창작뮤지컬 활성화를 위해 좀 더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소극장 서비스스케이프가 관객만족과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김영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the words indicate, small theaters are the most audience-friendly theaters. Generally, theaters with three hundred seats or less are called small theaters. Despite their small size, they probably have had the most audiences. Recently, though, the industrial capital of conglomerates, rapid commercialization of theaters, and poor financial situation have caused small theaters to lose busin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ain the value of small theaters, and find the effects that the servicescape of small theaters have on audience satisfaction and the regional image. The research has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servicescape of small theaters and analyzed the study models established through variables such as the emotional and cognitive elements of audience satisfaction and regional images. First, the research defined small theaters and studied their functions. Since research materials for the servicescapes of small theaters were scarce, the elements were produced by studying the materials from festivals, expositions, fairs, etc. Three main hypotheses and eight sub-hypotheses were formulat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variable of audience satisfaction and regional images. Survey questions for each variable were crea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conducted on 450 people that visited small theaters; 420 results, excluding 30 unreliable on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t was shown in the results that the servicescape of small theaters had positive effects on audience satisfaction and regional images, and that audience satisfaction also positively influenced regional imag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subsets of each variable, cognitive elements received a lower evaluation than emotional elements, but this was enough to be accepted as a hypothesis. In the analysis of audience characteristics, the preferred genres of performances in small theaters were centered on plays and musicals, and most people were accompanied by lovers, spouses or friend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the following purposes were accomplished by studying reference books and cases. First, the high reliability (0.943) and validity (0.944)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established by producing the elements (emotional and cognitive) of the servicescape of small theaters that were not studied enough so far. Second, it was proven that the variables in the subsets of the servicescape of small theaters affect audience satisfaction. The emotional elements, in particular, appear to have more effects in the evaluation of audience satisfaction. This seems to be a reflection of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leasure that the performing arts gives, satisfaction of desires, and induction of interests. Third, it was shown that the servicescape of small theaters also affects regional images, and emotional elements received a higher evaluation again. The cultural values of the performing arts seem to hav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mages of a reg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ence satisfaction and regional images, they had mutually positive effects on each other. The higher the audience satisfaction was, the better the regional images were. As seen from the above,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elements of small theater servicescape for the first time, and proved the effects they have on the satisfaction of audiences through empirical study and analysis. In addition, it was meaningful that small theaters and regional images were used as variables to draw a conclusion about their interrelationship, but a more elaborate study is necessary in the future since research results from festivals and fairs were used as reference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small theater servicescape in studies of small theater-related fields. Futu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from a variety of angles. The results would be a useful resource in the operation of small theaters and the field of cultural arts. 소극장은 그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공연문화에 있어서 가장 대중적이고 가장 작은 규모의 극장이다. 일반적인 기준으로 300석이하의 객석을 소극장이라고 하지만 아마도 가장 많은 관객들이 공연을 관람한 극장일 것이다. 최근 이러한 소극장이 대기업의 자본과 급격한 상업화, 그리고 열악한 재정환경으로 인해 점차 그 자리를 잃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극장의 가치를 설명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소극장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관객만족과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소극장의 서비스스케이프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정서적, 인지적 요소들, 관객만족, 지역이미지의 정서적, 인지적 요소들을 변수로 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소극장의 정의와 기능을 알아보았고, 연구 자료가 부족한 소극장에 대한 서비스스케이프를 축제와 박람회 등의 연구 자료를 통해 구성요소를 도출 하고 관객만족과 지역이미지에 대한 각 변수별 관계에 대해 검토하여 3개의 대가설과 8개의 소가설을 수립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 변수별 설문문항을 도출해 내어 소극장을 방문한 관객을 대상으로 450명에게 설문하였으나 30명의 불성실 답변자를 제외하고 나머지 420명에 대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최종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소극장의 서비스스케이프는 관객만족과 지역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객만족 또한 지역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별 하위변수간의 관계에서는 정서적 요소들이 높은 평가를 얻었으며 인지적 요소는 정서적 요소에 비해 비교적 낮은 평가를 받았지만 가설채택에는 충분한 수치를 보였다. 또한 공연관람특성 분석에서는 소극장 공연 선호장르가 연극과 뮤지컬에 집중되었고, 연인이나 배우자, 친구와 같이 관람하는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한 것에 의의가 있다. 첫째, 연구가 부족한 소극장 서비스스케이프의 구성요소(인지적, 정서적)를 도출해 내어 측정도구의 높은 신뢰성(0.943)과 타당성(0.944)을 확보하였다. 둘째, 소극장 서비스스케이프의 하위요소들이 관객만족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검증이 되었다. 특히 정서적 요소가 관객의 만족 평가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연이 주는 기쁨, 취미, 욕구의 충족, 흥미유발 등의 특성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소극장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지역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역시 정서적 요인들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공연의 문화적가치성이 지역의 긍정적인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넷째, 관객만족과 지역이미지의 상관관계에서도 상호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는데, 관객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역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연구가 부족한 소극장 서비스스케이프 분야에 처음으로 구성요인을 분석하고 관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 분석을 통해 증명하였다. 또한 소극장과 지역이미지를 변수로 사용하여 상호 상관관계를 결과로 도출한 것은 가치가 있다고 하겠으나 축제나 박람회 분야에서의 연구를 참조하였기에 추후 정교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소극장 관련 분야의 연구에서 소극장의 서비스스케이프를 이해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추후 의 연구에서는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소극장과 문화예술 전반에 있어 실무적 자료에도 유용한 연구가 되었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