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on the attribu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s in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민성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회 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를 스스로에게 귀인하기보다는 다른 사람이나 외부의 요인에 귀인함으로써 가치 절하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귀인 편향은 낮은 긍정 정서 및 부정적 자동화 사고와 관련이 있을 뿐 아니라 사회 불안과 우울을 매개하는 요인으로써 중요한 개입 요인으로 시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 불안이 높은 사람들의 긍정적 사회적 결과와 관련된 귀인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귀인 수정 훈련 (Cognitive Bias Modification; CBM)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총 159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이들은 CBM 집단과 Placebo 집단으로 무선 할당되었다. 연구 결과 CBM은 긍정적 사회적 결과에 대한 귀인 편향을 수정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사회 불안의 증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를 가치절하하는 귀인 오류를 줄이고 사회 불안 증상을 감소하기 위한 개입 방법으로 귀인 수정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로서 임상적인 함의를 논의하였다.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tend to disqualify positive social outcomes by attributing such outcomes to others rather than themselves.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this tendency is a potentially important target of intervention. Thu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icacy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CBM) on attribution bias related to positive social outcomes among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A total of 15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BM or placebo group. Based on their level of social anxiety, participants were subsequently classified into either the high (n = 75) or low social anxiety groups (n = 18). Results showed that CBM was effective in reducing attribution bias related to positive social outcomes in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Social anxiety symptoms also diminish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regarding the efficacy of CBM for reducing attribution bias related to positive social outcomes and social anxiety.

      • 랫드 사구체 상피 세포에서 고포도당에 의한 erythropoietin 발현 변화 조절에 관한 연구

        정호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levels of erythropoietin (EPO) are associated with diabetes mellitus, in which low levels of EPO are stimulus for the development of anemia. Glomerular epithelial cells (GECs), located in renal cortex,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the kidney function and hyperglycemia-induced dysfunction of GECs, especially in cell loss, is implicated in the onset of diabetic nephropathy. EPO production, which is generally induced by hypoxic condition, is linked to the hematopoietic effect in bone marrow. Non-hematopoietic effect of EPO also has been exhibited in diverse cells. Although EPO is mainly produced by peritubular cells of renal cortex, GECs may be a candidate for EPO regul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EPO production is implicated in the effect of high glucose in in vitro condition of GECs. However, the effect of high glucose on the expression of EPO mRNA and protein was not elucidated in GEC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igh glucose on erythropoietin expression and its related signal pathways in rat GECs. In the present study, 25 mM glucose, but not mannitol and L-glucose, stimulated erythropoietin mRNA and protein expression in a time dependent manner (> 2hr) in rat GECs. High glucose also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EPO receptor, suggesting the role of EPO synthesis. These stimulatory effects of high glucose on EPO mRNA and protein expression were prevented by hypoxida inducibla factor (HIF)-1α siRNA treatment but not by scrambled siRNA treatment. Indeed, high glucose also increased HIF-1α mRNA and protein. High glucose-induced stimulation of EPO mRNA and protein expression and HIF-1 mRNA and protein was blocked by the treatment of LY294002, Wortmannin (PI-3K inhibitors), Akt (an Akt inhibitor), compound C, ara-A (AMPK inhibitors), PD98059 (an extracellular regulated kinase [ERK] 1/2 inhibitor), SB203580 (a p38 mitogen activated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nhibitor) but not by the treatment of SP600125 (a JNK inhibitor). Indeed, high glucose increased Akt activation, p38 MAPK, ERK 1/2, AMPK activity in a time dependent manner in rat GECs. Moreover, high glucose-induced stimulation of ERK 1/2 and p38 MAPK activation was blocked by the treatment of LY294002, Wortmannin (PI-3K inhibitors), compound C, ara-A (AMPK inhibitors). In addition, high glucose-induced activation of AMPK was blocked by LY294002 or Wortmannin (PI-3K inhibitors), but not by PD98059 (an extracellular regulated kinase [ERK] 1/2 inhibitor), SB203580(a p38 mitogen activated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nhibitor), suggeting the role of PI-3K/Akt activation. In conclusion, high glucose stimulates EPO production through the stimulation of HIF-1α expression via Akt-AMPK-MAPKs(ERK 1/2 and p38 MAPK) signal cascade in rat GECs. 당뇨병성 신장증은 혈중 내 고포도당으로 인한 대사 장애가 그 주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신장의 피질에서 분비 되어 조혈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erythropoietin(EPO)은 세포의 성장, 분화, 생존 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신장의 피질에 존재하는 사구체 상피 세포(glomerular epithelial cells, GECs)는 신장에서 사구체 여과에 중요한 기능들을 담당하게 되는데 고포도당으로 인한 이 사구체 상피세포의 기능 장애, 특히 세포 사멸 작용은 여과 기능이 상실되어 미세 알부민 뇨 및 단백질 뇨를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성 신장증의 개시와 관련이 있다. in vitro 조건 하의 사구체 상피세포에서 EPO의 분비는 고포도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까지 EPO의 mRNA와 protein의 발현에 있어서 고포도당으로 인한 기작은 신장의 사구체 상피세포에서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사구체 상피세포의 EPO 발현에 있어서 고포도당의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랫드의 사구체 상피세포에서 EPO의 mRNA와 protein 발현은 25mM glucose 처리 시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기작은 HIF-1α siRNA transfection 시 차단이 되었고 또한 고포도당은 HIF-1α의 mRNA와 protein의 발현을 증가 시켰다. 고포도당으로 인해 발현 되어진 EPO와 HIF-1α의 mRNA와 protein 발현 증가 작용은 LY294002(PI-3 kinase 억제제), Wortmannin(PI-3 kinase 억제제), Akt 억제제, compound C, ara-A(AMPK 억제제들), PD98059(ERK 1/2 억제제), 및 SB203580(p38 MAPK 억제제)들의 처리에 의해서 차단되었으며, 실제로 고포도당 처리 시 Akt와 AMPK, p38, ERK 1/2의 인산화는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고포도당은 랫드의 사구체 상피세포에서 세포 내 Akt-AMPK-MAPKs(ERK 1/2 및 p38 MAPK)의 활성을 통한 HIF-1α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EPO mRNA 및 단백질의 분비를 자극하여 당뇨병성 신증의 초기에 보호 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형태 및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질간의 관계

        이주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도시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활동 분류 및 활동 참여시간형태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사회적 여가활동과 삶의 질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치매진단 경험이 없고 일상생활을 방해할 수 있는 심각한 신체질환이 없으며, 질문내용을 이해하고 일상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대도시 및 중소도시 지역의 해당 복지회관, 교회 및 노인대학 소속 노인 155명으로 하였다. 2009년 통계청에서 사용한 일상생활시간조사표 및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 형 척도(WHOQOL-BREF)가 포함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설문지가 배포된 후 48시간 동안의 일상생활 활동기록지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들이 완성한 일상생활 활동기록지는 통계청에서 제시한 9가지의 행동분류표에 나온 행동들로 분류하여 각각의 행동에 따른 이틀간의 총 시간사용량을 분으로 계산하였다. 생활시간조사에 근거한 이틀 동안의 총 평균 활동 참여시간을 검토한 결과 도시거주 노인들은 개인유지를 위한 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상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에 따라 사회적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적 여가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으며, 66세 이상의 대상자가 65세 이하의 대상자에 비해 사회적 여가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그리고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대상자가 대도시에 거주하는 대상자보다 사회적 여가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사회적 여가활동 참여시간과 삶의 질간의 관계에서는 교제 및 여가활동 영역의 미디어 이용, 스포츠 및 집밖의 레저활동, 취미 및 그 외 여가활동에 더 많이 참여할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아가 삶의 질 하위영역인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적 관계, 환경, 전반적 삶의 질, 일반적 건강인식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여가활동 특히 사회적 여가활동이 노인들의 남은 여생의 삶의 질을 높여주며, 앞으로 요양병원 및 복지관에서 작업치료사가 치료 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Underwater Air Bubble-based Infra-red Communication Channel Model

        발카시나 스베틀라나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rapidly growing need for reliable and robust communication, in underwater field optical communication has become a prominent competitor for acoustic communication due to advantages, such as low latency, high speed and lesser susceptibility to water attenuation. However, underwater optical communication has a number of disadvantag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Only a limited wavelength spectrum, mostly within visible light, allows data transmission in underwater. This is partially possible for infrared radiation, however, this type of radiation much more susceptible to absorption than visible light, so the implementation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channel for infrared is a serious challenge.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environment is of great importance. There are several types of water, that were identified, each of which has its own unique properties that affect the behavior of radiation during propagation. One of those unique properties are underwater air bubbles, which lead not only to the reflection and refraction of light from the path, but also to the scattering. Moreover, besides the natural process of light absorption in water, air bubbles are an additional complication when modeling a communication channel. This study focuses on modeling a communication channel capable of describing what happens to a light beam as it travels through an air bubble and simulating the signal attenuation caused by the bubble. The research is primarily focused on infra-red spectrum as due to personal observation it was noted, that in particular environment infra-red light can show greater performance than traditional visible blue light. In this research we propose underwater bubble model for infra-red channel, based on Beer-Lambert law and principle of geometrical optics. We improved the definition of the distance and well as considered difference in attenuation in water and inside air bubble for infra-red. Expanding this model to a greater depth and implementation in a form of simulation are subjects to our future work.

      •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자동 레이블링 학습용 데이터 구축 시스템 : Data Construction System for Automatic Labeling Learning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정수은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intelligence that uses computers to implement some or all of human intellectual abilities, such as cognition and learning. As it is evaluated as the main keyword AI will lead the order of the next-generation markets regardless of industry, in this case, data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is an AI model that evolves by self-learning based on data. That is why having a high-quality dataset is also a determining factor in learning efficiency. With the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technology, the importance of learning data is also receiving great attention. In general, sufficient training data must be prepared to train a deep learning model. However, unlike designing and building a deep learning model, it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to build training data. Most of the labeling works are carried out using human resources, and when a lot of human resources are used, because of this reason the labeling results can be different from person to person, which can cause deterioration of data quality and of course this affects AI learning results. In order to systematically create learning data and at the same time to create high-quality learning data which can be continuously managed and shared, we propose a data building system for automatic labeling learning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data production time. In the proposed model, workers are only involved in checking and correcting the results derived from automatic labeling through a deep learning algorithm to enable fast and effective learning data creation. 인공지능(AI)은 인지, 학습 등 인간의 지적 능력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컴퓨터를 이용해 구현하는 지능이다. 산업 분야를 막론하고 차세대 시장 질서를 주도할 핵심 키워드로 평가받게 되면서 인공지능 개발에 필수적인 데이터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되고 있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스로 학습을 거듭해 진화하는 인공지능 모델에 있어 양질의 데이터셋 확보는 학습 효율을 결정짓는 요소이기도 하다. 딥러닝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학습데이터의 중요성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딥러닝 기술의 모델을 훈련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학습데이터가 준비되어야 한다. 하지만, 딥러닝 모델 설계 및 구축 작업과 달리 학습데이터를 구축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라벨링 작업은 대부분 인적 자원을 활용해 진행하게 되는데, 많은 인적 자원을 활용할 때 라벨링 결과가 사람마다 편차가 발생하여 데이터의 품질을 하락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여 인공지능 학습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학습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공유가 가능한 고품질의 학습데이터 구축을 위해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 라벨링으로 도출되는 결과에 관해 확인과 수정에만 작업자가 관여하여 빠르고 효과적인 학습데이터 생성이 가능하게 하여 데이터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자동 레이블링 학습용 데이터 구축 시스템을 제안한다.

      • 경계선 성격 성향과 부정 긴급성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주의편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성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경계선 성격 성향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를 부정 긴급성이 매개하여,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부정 긴급성의 영향을 위협적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이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126명을 대상으로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 반응적-주도적 공격성 질문지, 한국판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얼굴표정 자극을 이용한 탐침 탐사과제를 통해 위협적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을 측정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경계선 성격성향과 부정 긴급성 및 반응적 공격성, 부정 긴급성과 반응적 공격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매개효과의 검증 결과, 경계선 성격 성향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정 긴급성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절효과 검증 결과, 부정 긴급성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위협적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 경계선 성격 성향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를 부정 긴급성이 매개하여, 부정 긴급성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위협적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ttentional bias via negative urg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and reactive aggression. A total of 126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and a dot probe task to measure attentional bias towards threatening faces: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 Scale (PAI-BOR), Reactive-Proactive Aggression Questionnaire (RPQ), and Korean UPPS-P Impulsive Behavior Scal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bootstrapping indicated that negative urgen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and reactive aggression. Second, the moderation effect of attentional bi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urgency and reactive aggression was discovered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lope analyses. Finally, attentional bias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on reactive aggression through negative urgenc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죽음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족의 지지의 매개효과

        전상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well-dying’ and ‘good death’ and the need to examine factors that may affect an individual’s preparation for death has been highligh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that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re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behavio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behavioral indices associated with the preparation for death in older adul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significant others on this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6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70 living in the Korean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family suppor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eath preparation behavior. Such results suggest that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in late adulthood may help older adul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preparing for their end of life. Especially in Korea where the role of family support is emphasized in death preparation behavior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ugmenting psychosocial factors including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in order to foster the preparation necessary for well-dying. 최근 웰다잉(well-dying) 또는 좋은 죽음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요인 간 관련성을 검증하는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건강관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변인이라는 점에 기초해 본 연구는 만 7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가족, 친구, 타인의 지지가 죽음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106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죽음준비 행동 수준을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각 하위 요인인 가족, 친구, 타인의 지지, 그리고 죽음준비 행동 간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죽음준비 행동의 관계를 가족의 지지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웰다잉을 위한 죽음준비 행동을 장려하기 위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한국의 경우에는 죽음준비 행동에 있어 가족의 지지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이는 노년기의 사회적 지지, 특히 가족으로부터의 지지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넘어 주체적으로 삶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죽음에 대한 준비를 장려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