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모델링 건축 다변화 및 사업 타당성 연구

        김일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제 목 : 리모델링 건축 다변화 및 사업 타당성 연구 건설시장의 중요한 변화중 하나는 신축시장은 이미 한계에 다다르고, 리모델링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고도 성장기를 거치면서 현재 신축 후 30년 이상 된 건물들은 노후화가 시작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외국에서는 오래전부터 노후화 된 건물들에 대한 해결안으로 리모델링으로 해결 하고 있으며 건설시장에 중심영역에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국내 리모델링 건설 산업은 아직까지 관행상 기존건물을 보수 및 보강으로 인식하는 기술적, 사회적 인식이 미흡한 상태이다. 국내 리모델링 시장의 규모는 전체 건설시장의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머지않아 30%이상으로 도약하여 거대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며, 우리나라도 외국의 경우처럼 리모델링 시장이 신축시장을 앞설 것으로 전망하고있다. 연구는 우리에게 다가올 리모델링 건축의 다변화가 한계에 다가선 신축 분야를 대체 할 수 있을지의 가능성을 점검하고, 미래 사회의 건축시장에서 요구 받게 될 다양한 융합적기술 적용의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분야의 기술을 소개하고, 현실적으로 사업의 타당성 여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장래 리모델링 시장의 건전한 정착을 통한 제안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신축과 리모델링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짓고 사업의 타당성과 시대적 요구에 관하여 선행연구와 주택 구매자들의 성향 및 국외 사례 조사를 자료 및 문헌 등을 조사, 정리하여 살펴본다. 또한 선행 연구자들의 관점과 연구 분야 등을 구분하여 연구의 중복성을 최소화하고, 현실적인 설득의 논리를 위한 국내 신축과 리모델링의 사업성 등을 비교 하여 리모델링 사업의 당위성을 입증한다. 연구의 결론은 리모델링 분야가 활성화 되기위한 여건조성도 중요한 부분으로써 다음과 같은 부분의 인식이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된다. 1) 첨단화된 융합기술의 적용이 요구된다. 2) 정부측면의 금융지원, 법규완화,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다각적 배려가 필요하다. 3) 설계 기준, 점검 항목의 정리, 공종별 공법, 건축물 성능개선기술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자원을 절약하고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며 제한된 토지자원의 활용 효율적 으로 극대화하기 위해 종사자들은 기술적 향상을 위한 노력을, 공공은제도, 금융적 배려를, 그리고 수용자들은 적극적 이해와 참여를 통하여 리모델링 건축을 정착 시켜야 하겠다. 리모델링 건축의 다변화와 사업성 제고가 노후화의 지연, 낡 은 건물의 대체 및 지속적 활용 그리고 건설비용의 합리적 최소화를 이루어 국내 건설 기술 수준의 선진화를 이룰 열쇠라고 판단된다. Abstract Title : The Study of Remodelling Construction Works Varieties and Feasibilities Kim, Il Sub (Supervisor Park, Byong Gyu) Dept. of Architectural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important change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has reached ceiling of new building development market and the remodelling in getting position as an alternative agreeable social understanding. The many buildings in the cities of Korea constructed more than 30 years ago during fast developing time. And those building continue their deterioration. Remodelling already took place at the center of construction market in the advanced foreign countries for refreshing the old buildings, but the long time consciousness of remodelling in Korean society guiding low and banal level as a business of repairs or simple correction of structure, the occupancy rate of remodelling market is still less than 10 percent point of total construction market in Korea, but allow expecting reach 30 percent point or more within short period of future and provide expectation to take the construction development market over as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Their research focused to check the availability of safe replacement of total development business, which has almost reached ceiling of limits. And also try to provide variable combined technologies for future construction field of market. The general objective of their research is to propose alternatives for healthy settle down of remodelling business. The approaching method of this research define the scope of field between construction of new building and remodelling.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rs' work output which has similarity and desimilarity by the time, purchasers trend, etc. The data collected from library or website searching for analysis and rearrange. To try to minimize duplication of field of study and point of view. Researcher present cost/ benefit analysis of present remodelling market case of Asan City in Chung-Nam Do. The conclusion of study recommend several important factors as follow for opening remodelling era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1) Requiring application advanced and combined to technology. 2) Need multi efforts to support by financing, preparing rules and regulations, and enhancing add value from government side. 3) Need effort to develop improving building function through establishing design standard, arranging check list, techniques for each work item. Researcher believes that planners, architects, and engineers poring their effort to improve technology, public side try to secure governance system, financial consideration, and buyers also actively participating and positive understands To save resources, stabilize real estate market and, maximize efficiency of limited land resource use for settling remodelling business. The remodelling construction business might have an important “Key” for fast upgrading level of construction technology in Korea through enhancing business attraction for delay deterioration, replacement, sustainable utilizations and resonable cost down of building construction business.

      • 영화에 쓰인 피아노음악에 관한 연구 : <피아니스트의 전설>, <피아니스트>, <비투스>를 중심으로

        짜오야오야오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21세기에 들어가면서 상업적 가치의 지배, 과학기술의 발전, 그리고 시청각적 문화의 등장으로 영화예술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영화음향기술의 발전은 영화제작자의 관심을 끌어냈지만, 같은 영화요소의 하나인 영화음악은 예전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이는 다른 영화요소에 비하여 영화음악은 필수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관련 자료를 통해 연구한 결과, 현재 영화음악은 원래의 불완전하고 영상에 의존하는 형식에서 벗어나 다른 형식으로 변화되었다. 피아노는 섬세한 음량조절이 가능하고 성부가 다양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많은 영화작품에서 사용되고 있다. 영화에 등장하는 영화음악의 유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작곡가가 영화를 위해 만든 새로운 음악형식이고, 다른 하나는 기존의 음악작품을 차용한 형식이다. 후자는 또한 두 가지 형태로 나뉠 수 있는데, 하나는 한 작곡가의 작품만 차용한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여러 작곡가의 음악작품을 차용한 형태이다. 이에 근거하여 본 논문에서는 영화 <피아니스트의 전설>, <피아니스트>, <비투스>등 세 작품을 연구범위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체 4장으로 나누어 연구를 하였다. 서론에 이어 본문에서는 영화음악의 발전단계, 즉 무성영화음악, 초기 발성영화음악, 고전 할리우드영화음악, 후기의 영화음악을 살펴보며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대상인 영화 <피아니스트의 전설>, <피아니스트>, <비투스>의 줄거리 및 창작배경, 그리고 피아노음악의 창작배경과 사회적인 배경에 대해 설명하여 음악과 장면의 결합, 화음 등의 측면에서 영화 속 피아노음악의 특징 및 역할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끝으로 앞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화에서 나타난 피아노음악의 세 가지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피아노음악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장면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 둘째, 피아노음악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가 영화 이야기의 배경을 보여준다. 셋째, 피아노음악이 영화의 일부가 되어 영화의 서사에 참여한다. 음악이 영화 속에서 다양하게 등장함에 따라 피아노음악을 택한 영화작품도 늘어나고 있다. 영화에서 사용한 선율은 나름대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피아노음악과 영화의 결합은 영화작품에 보다 풍부한 의미를 더하는 동시에 피아노음악에 보다 많은 발전의 가능성을 부여한다. 핵심어: 피아노음악, 영화, 화음분석, 장면 분위기, 영화 서사 With the human civilization enters the 21st century, because of the control of commercial value,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appearance of audio-visual culture and other reasons, the cinematics also developed constantly. In the recent years, although the development of film sound technology caught the attention of filmmakers, at the same time the film music as one of the film elements was desolate. Because they think, compared with other movie elements, this is not a necessary element of film music. Through collect and arrange the related materials we can know that, the current film music has left from the original incompleteness and depends on the form of films to become another form. Because the piano has the characteristics of can adjust a subtle volume and multiple voice part, therefore, it has been used in many films. This thesis takes the three films of piano music in different styles as the research object, analyse it divided into four parts. This thesis first ponder over the evolution process of film music and historical topics, besides, it also proposes the fundamental of theory. Then it explains the story plot and creation background of the movie named <The Legend of 1900>, <The Pianist>, <Vitus>, and the creation background of its music. From the combination of music and scene, harmony and other aspects to develop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iano music and the analysis of its function. Finally, arrange three functions of piano music in movies. First, the film to create a scene atmosphere by using piano music many times. Secondly, the connotation of piano music shows the background of the movie story. Thirdly, piano music has become a part of the film, participating in the film narrative. Keywords: Piano Music, Film, Harmony Analysis, Scene Atmosphere, Film Narrative 21世纪以来,受科学技术推进、视听文化发展以及商业价值驱使等因素的影响,电影艺术也在不断发展。近几年来,电影声音技术的发展受到了电影创作者的重视,而同为电影元素的电影音乐却时常受到冷遇。相比于其他电影元素,电影音乐似乎并不是电影的必需品。 经过对相关资料的查阅发现,电影音乐已经由原本的不完整、附属于电影的形式发生了很大的变化。而钢琴因自身音量的可调节性、以及多声部的特点被电影作品广泛应用。 因此,本论文分为四个章节,采用三部包含不同类型钢琴音乐的电影展开研究。首先,以电影音乐的发展历程以及历史问题作为理论依据。其次,对《海上钢琴师》、《钢琴家》、《想飞的钢琴少年》电影故事梗概、电影及音乐创作背景简明说明,以及从音画结合、和声等角度对电影中钢琴音乐的特点及作用分析总结。最后,从三个方面阐述了钢琴音乐在电影中的作用,一方面,钢琴音乐在电影中大量的运用,发挥着营造场面气氛的作用; 另一方面,钢琴音乐本身其特定的文化意蕴也在电影中表明了故事的背景;最后,钢琴音乐成为了电影的一部 分,承担起电影叙事的功能。 关键词: 钢琴音乐,电影,和声分析,场面气氛,电影叙事

      • 미니멀음악의 영화 속 활용 연구 : <디 아워스(2002)>와 <사랑에 대한 모든 것(2014)>을 중심으로

        위엔위슈엔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영화 속 미니멀음악 응용에 관한 연구로, 영화에 응용된 미니멀음악 요소를 분석하였다. 최근 몇 년 간 미니멀리즘이 점차 대중에게 알려지면서 현재 미니멀리즘은 점점 더 많은 사람에게 선호되고 있다. 이미 많은 이들이 미니멀리즘을 추구하고 있으며 미니멀리즘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에 따가 미니멀음악은 미니멀리즘에서 파생된 산물로, 오늘날 영화, 광고, 드라마, 연극, 무대 연출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니멀리즘에 대한 대중들의 수용도가 점점 더 높아지면서 미니멀음악은 전위예술의 영역에서 점차 대중화된 영역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미니멀리즘 요소와 영화의 결합은 최근 몇 년 사이에 이미 하나의 주류문화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와 관련한 학술적 문헌이나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의 경우 관련 연구를 찾아보기가 더욱 힘들다. 과거 학자들은 영화 배경음악과 관련하여 주로 할리우드의 전통적인 고전음악을 언급하였는바, 기존 관련 연구를 살펴본 결과, 영화 배경음악 작품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미니멀음악의 영화 배경음악에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었다. 본 논문은 미니멀음악이 어떠한 유형의 영화 배경음악으로서 적합한지, 일반적인 배경음악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과 흥미, 미니멀리즘에 대한 개인적인 추구에 기인하여 미니멀음악 양식과 영화가 접목된 사례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미니멀리즘이 영화 배경음악으로서 지니는 의의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으며 음악 분석을 토대로 미니멀리즘 기법을 결합하여 영화를 연구하였다. 연구 사례로 선정한 작품은 대표적인 미니멀음악 작곡가인 필립 글래스의 작품인 영화 <The hours>의 영화음악과 요한 요한손의 작품인 영화 <The theory of everything>의 배경음악이다. <The hours>는 미니멀음악 요소를 영화 작품과 결합하여 제75회 아카데미 음악상 후보에 오를 정도로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러한 음악적 성과는 미니멀음악의 영화에서의 응용 관련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e theory of everything>도 작곡가 요한 요한손이 배경음악 창작 시 미니멀음악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제72회 골든 글로브 음악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요한 요한손의 음악 작품은 필립 글래스의 미니멀리즘 음악 양식과 다소 차이가 있는데, 이는 단순히 기법상의 차이라기보다는 음악의 서사성의 차이로 볼 수 있다. 음악 분석 결과, 요한 요한손의 작품은 미니멀리즘 작곡가의 작곡 경향을 모방하고 미니멀음악의 특징과 고전 작곡기법을 결합하여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두 영화 작품의 시기는 다르지만, 두 작품 모두 미니멀음악 요소가 영화 배경음악에서 일정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명백히 하고 있다. 미니멀리즘 기법은 기존 할리우드의 전통적인 작곡 구조를 탈피하였으며 미니멀리즘 음악을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니멀음악은 과거 소수의 영역이자 양극화 논란의 대상에서 이제는 대중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영화의 배경음악으로서도 일정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는 미니멀음악의 우수성을 방증한다. 시대가 변하면서 미니멀음악의 방향성과 창작 방식 또한 다양화 및 국제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영화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니멀음악이 영화 배경음악에서 지니는 의의와 시사점을 모색하였으며 본 논문의 연구 결과가 향후 관련 분야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가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application of minimal music in movies and analyzes the elements of minimal music in movies.In recent years, with the gradual acceptance of minimalism, it has become more and more popular. Minimalist music, as a derivative of minimalism, ha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oday's movies, commercials, television dramas, plays and dance performances in response to rapid development. As people's acceptance of minimalism grew, minimalist music was integrated into the mass market from avantgarde.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minimalist musical elements and movies has become a mainstream culture in recent years.But so fa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this kind in the relevant academic literature, especially in Asian countries. In the past, when it came to film music scholars often associated with classical Hollywood soundtracks, researchers in the field focused more on film soundtracks and few noticed the use of minimal music in film soundtracks. Whether minimalist soundtrack is suitable for any type of movie its function and meaning are the same as ordinary soundtrack. As a minimalist, I became interested in this field and studied the case of combining minimalist musical style with film.It trie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minimalism in film by analyzing it. Through music analysis, combined with minimalist techniques to study film. In this paper, Philips Glass, a composer representing minimalist music, is used as a starting point to study his film score."The Hours" received high praise from the industry for its discovery that it combines minimalist musical elements with film productions."Theory of everything" is a film that also uses minimalist elements in its soundtrack, and it won the 72nd Golden Globe Award for Best Original Score. Unlike The Hours, his music is slightly different from Philips Gras's minimalist style, which is more narrative than his pure technical characteristics.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time of release between composers, it is indisputable that both films have taken their place in the film's soundtrack scene through minimalist musical elements. Minimalism breaks the traditional Hollywood-style academic composition framework and has a directional guide to the development of minimalist music. Minimalist music has its excellence when it moves from the controversy of minority polarization to the public's view and succeeds in mainstream audience movies.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he direction and creation of minimal music are becoming diversified and internationalized. I try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minimalist music in film and television works and get enlightenment from the analysis of these two film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can lay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in this field and provide valuable references for related research in this field.

      • 주거재생사업에의 환경설계(CPTED)기법 적용사례연구

        김주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제 목 : 주거재생사업에의 환경설계(CPTED)기법 적용사례연구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 영향에 의해 대도시의 인구 집중은 가속화에 따른 도시화 현상으로 토지, 주택, 교통, 환경 등의 문제점 외에도 생활환경의 악화와 범죄라는 도시문제는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현대 도시민들에게 위협적인 요소가 되고 있고 도시화 과정에서 형성된 주거지역은 각종 기반시설 등의 부족과 도시계획의 미비로 환경의 질이 열악한 상태로 지속되었다. 본 연구는 국민들의 삶의 질을 위협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도시에서 일어나는 범죄의 현황 분석을 통하여 범죄 예방 차원에서의 인위적이고 물리적인 도시설계로 날로 증가하는 도시 범죄를 충분히 예방·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점차 지능화 돼가는 범죄에 대하여 전통적 범인검거 방식에서 예방에 의한 억제방식으로 전환되어야하는 시점에서 설계 단계에서부터 CPTED의 법제화 및 인증제도의 도입으로 주민들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도시를 구축하고 안정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범죄 현황조사 및 환경적 특성을 분석한다. 범죄발생 건수 합계를 시간별, 요일별, 지역별, 장소별, 유형별로 구분지어 외적 원인에 영향을 받는 주요범죄에 대하여 범죄 발생 현황 및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둘째, 국내의 CPTED를 적용한 주거환경개선 사례 및 안전마을 만들기 사례조사를 통해 적용 가능한 CPTED 전략을 도출한다. 셋째, 향후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CPTED 가이드라인을 적용한다. 결론적으로 연구목적에 따른 CPTED 적용은 자연적 감시를 강화하고, 접근 통제, 영역성을 강화하여 외부로부터 침입, 파손, 방화 등의 위험에 대해 효과적인 감시, 예방 및 통제에 있다. CPTED는 도시환경으로부터 범죄예방과 활용성 증대로 더욱 쾌적한 환경에서 안전함을 느끼며 질 높은 생활을 영위 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시환경의 범죄예방과 주요 요소를 적용시킨 설계기법, 활용성 증대 및 CPTED에 관한 법적·제도적 인증제도의 신설을 제안한다. since the 1970s, because of the rapid industrializatio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accelerated urbanization phenomenon. It gives land, housing,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crime such urban problems affect mutually. concentration of population has become a threat elements to the modern urban people and a residential area formed in urbanization process lasted poor condition of environmental quality because lack of urban planning and various infrastructure. This study focuses on suggesting the possibility to prevent the city crime, increasing day by da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rimes data. It is artificial and physical design of urban dimension in crime. Against crime increasingly becomes intelligent, at the point of diversion from traditional manner and control system by preventing introduction of legisl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s contribute to help the city ensuring the safety of residents and possible to lead a stable life from the design stage.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study of the following ways: First, it analyzes the criminal Surve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otal numbers of crime that is caused by time and day of the week, by region, specific place, being separated by type and the status, and influencing factors against crime and major crime affected by external causes. In conclusion, applying CPTED according to the proposal of this research is to strengthen the natural surveillance, access control, and intrusion from outside. The province is to strengthen the area, damaged, effective monitoring of the risks, such as fire prot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So this is an effective surveillance,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risks. CPTED is to lead a high quality life feel more comfortable in a safe environment from the urban environment and potential increase of crime. Therefore,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certification system on the institutional crime prevention and the main factors that apply design techniques of urban environment, increase utilization, about CPTED.

      •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에 따른 연접지역 주민 주거만족도와 인지도 관계분석 연구 : 창동,상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연접 거주민을 중심으로

        안경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Title : A Study on Relationship of Residents'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by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Area An, Kyung-Hee (Supervisor : Dr. Park, Byong-Gyu) Dept. of Housing & Urban Development The Graduate School of Housing and Urban Plann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beginning of the urban regeneration in Korea was when the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ation of Korea established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urban regeneration model in 2007.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test-bed conducted by urban restoration divisions in Jeonju and Changwon, the amend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and Assistance Act was legislated in 4th June 2013 and was enforced on December 2013. As of 2017, there are 13 areas that has followed the urban regeneration model. In relation to this, there are additional 18 areas including Seoul, Changdong·Sanggye, Yeongdo in Busan and Seo-gu, Buk-gu in Daegu etc.,, that considers conducting the urban regeneration. Hence, the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ation of Korea finally confirmed the state support situation about the plan of the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7th special committee on urban regeneration. Many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urban regeneration with community involvement, which involves conducting the plan with the people rather than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approach that is mostly based on the experts' opinion. This has improved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which facilitates the identification of fundamental problems of the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pdate the plan of the urban regeneration in Seoul, targeting the whole area of Changdong·Sanggye as the research area, Through this, we surveyed the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on the plan that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need and present cognitive condition of the plan of the urban regeneration. Second, the 26 people (28.6%) who responded that they are not participating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hows a low participation rate. Meanwhile, there were 38 people (41.8%)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y knew the proces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ut they didn't understood the detailed contents (i.e. vision of urban regeneration etc). The detail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uch as building industrial ecosystem, expanding of leisure life infrastructure, building a wide local infrastructure, participants responded with 72.5%, 60.4%, 61.5%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that they don’t know much about the project. Therefore, the release of information about those details should be carried out more actively. Fourth,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cognition of project situ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idence satisfaction showed that when the satisfaction is low, they tend to recognize abou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when the satisfaction is high, they tend not to recogniz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Fif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 they recognize the general contents such as the project area which is Changdong, Sanggae, but they don’t recognize the details such as the detailed vision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research analyzed the existing situation in the selected areas of Changdong, Sanggae, specifically the satisfaction about current residenc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findings show that the local people has better awareness and understanding about urban regeneration. Also, the local people who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residences are more interested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refor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ich is currently ongoing should be supplied with the local people’s opinions. It needs to implement a project that communicates with the local people through effective information campaign and a continuous conduct of public hearing.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tate of urban regeneration, satisfaction of current residence and satisfaction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urrent ongoing urban regeneration could better reflect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The need to carry out public hearing and conduct information dissemination activities to communicate with local residents is necessary for this business to successfully unfold. 제목 :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에 따른 연접지역 주민 주거만족도와 인지도 관계분석 연구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의 시작은 2007년 당시 국토교통부가 도시재생 사업단을 설립하면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도시재생을 위한 한국형 도시재생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사업단의 전주와 창원 테스트 베드 경험을 기반으로 2013년 6월 4일「도시 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공포되었고, 같은 해 12월부터 시행함으로써 도시재생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었고, 2017년 현재는 도시재생사업 선도 지역 13곳이 지정됨에 따라 새로운 도시재생사업이 시작되었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2017년 현재 서울 창동·상계, 부산 영도, 대구 서·북구 등 전국 18곳의 도시재생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에 국토교통부는 전국 18곳의 도시재생활성화계획에 대하여 제7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원을 최종 확정시켰다. 반면, 도시재생 접근방법의 변화는 주민참여를 매개로 하는 주민주도의 도시재생사업이 지역의 근본적인 문제점 발굴, 주민의 관심 향상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사업의 중요도 역시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도시재생활성화사업의 성공수행을 위하여, 현재 사업을 추진 중인 창동·상계 일대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현재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식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사업 인지현황 및 필요성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업진행상황에 대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현황을 보면, 26명(28.6%)이 참여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따라서 지역주민의 참여율을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향후 참여 의사의 경우 38명(41.8%)이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도시재생사업에 관한 진행상황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었지만, 세부적인 내용(도시재생 비전 등)에 대해서는 인지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업생태계 구축, 생활여가 인프라 확충, 광역 지역 인프라 구축 등에 대해 각각 72.5%, 60.4%, 61.5%의 응답자가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러한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정보 공개가 보다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현재 거주지 만족도에 따른 지역주민의 사업인지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 현재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었으며, 현재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역으로 현재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주민일수록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관심이 많으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답하고 있다. 다섯째, 연구의 분석결과 창동·상계 도시재생사업에 대하여 사업 지역 등 전반적인 내용은 인지하고 있지만, 도시재생사업의 세부내용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는 도시재생선도사업으로 지정된 창동·상계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인지현황, 현재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도시재생사업의 만족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론적으로 현재 진행 중인 도시재생사업은 지속적으로 지역주민의 의견을 반영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정보 공개 및 지속적인 공청회 개최로 지역주민과 소통하는 도시재생사업을 실시하여야 도시재생 사업의 성공적 전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비정형 건축물의 효율적 시공관리를 위한 3D View Field 기법 연구 : AR 기술을 적용한 시공방법에 대하여

        이재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3D 모델 기반 설계-시공 정보교환 프로세스에서 현장 작업자에게 3D 정보를 운용 할 수 있는 실질적 도구가 부재하여 기존의 2D 도면 기반 정보교환 방법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2D 도면 기반 정보교환 프로세스는 3D 모델의 정보를 완전히 재현할 수 없으며, 3D 모델의 추상과 과정에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비정형 건축물 프로젝트에서 3D 정보를 2D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시간의 소모가 따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2D 도면 기반 정보로의 변환이 요구되는 이유는 시공을 위한 측량 도구, 즉 토탈 스테이션의 측량 방식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 연구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3D 모델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비정형 건축물 시공에서 발생하는 부재의 위치확인 문제를 해결 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AR 기술을 사용한 3DVF에서 3D 모델을 현장에서 정확히 결합할 수 있었다. 실제 프로젝트 환경에 적용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체험, 도출하기 위해 카타르 국립 박물관 프로젝트의 보조철골 구조 시공 단계에 실험, 적용하였다. 실제 프로젝트의 3D 모델 기반 시공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3DVF를 사용한 프로세스에 적용하였다. 실제 현장에서 마커를 설치하고 현장 작업자의 작업에 적용 가능한지 확인하였다. 마커 인식을 통한 좌표계 결합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1mm 이내로 측정되었으며, 향후 성능을 개선하여 건설 현장의 시공 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스마트기기의 작은 화면과 화질로 인해 작업의 불편함이 다소 있었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메모리의 한계로 인해 작은 단위의 모델만 결합할 수 있는 단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2D 도면기반 의사소통에서 3D 모델 기반 의사소통으로 전환되는 과도기 상태에서 시공단계의 3D 정보 활용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실질적 시공 도구로의 적용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In the 3D model-based construction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there is no practical tool to operate 3D information directly for the field worker, and the existing 2D drawing-based information method is still used. The information exchange process based on 2D drawings can not be completely converted the information of the 3D model. The problems arise due to the abstract meaning of the 3D model. Particularly in the freeform architecture project, the processing of 3D information into 2D work is required a lot of manpower and much longer time schedule.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e reason why the conversion to the 2D drawing is required due to the surveying instrument for present construction which is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total st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olve above mentioned problem of the location for installation of structural members of the freeform buildings by optical confirming of the 3D model in the field. To solve this issue, this research tried 3D models can be accurately combined on-site by 3D View Field (3DVF) using AR technology. The experimental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phase of the secondary steel structure of the Qatar National Museum project in order to experience the problems encountered when applied to the actual project environment. The 3D model based construction process of real project was analyzed and applied to the process using 3DVF. The markers were installed in the actual fiel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applicable to the work of the field worker. The error caused by the marker recognition is less than 1mm and it can be used as a construction tool in the construction realm. However, due to the small screen and image quality of the smart device, there were some inconveniences. Also,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memory of the smart device, we confirmed the disadvantage that only a small amount of 3D model can be combined. This study deals with the application of a practical construction tool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using 3D information directly in the changing situation of construction realm from the 2D drawing based communication to the 3D model based communication.

      • 단독세대주 가구를 위한 소형 임대주택 공급 방안 연구

        김용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per household is 2.5 in Korea. The decreasing of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is due to the increase the housing price up and the burden of the child care expenses increasing number of youth who are avoiding marriag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single due to aging, can be regarded as a major factor of increase of the single home owners. In addition to steady increasing number of single 37% of the youth are from the youth group, and it requires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by the public sector for active economic activities of those youth. 2030 youth housing policy it can be viewed as an active consideration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young people in terms of transportation access and economic aspects by renting and leasing to young people within the station zone. The study try to suggests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ntal housing supply for young people. First, the single person life style is pursues emotional pleasure type, the housing design should focus to fit these demand.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ly rental housing through linkage of available land resources and urban regeneration. Third, the youth rental housing expansion basically considered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eligible households. Fourth, financial support through special accounting and fund raising is needed. Fif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national level of policy support such as housing loan for users, housing subsidy, differentiation of rent subsidy system. The housing poverty rate of young people is become higher due to the surge in housing prices and the high unemployment ratio.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enetration ratio of rental housing to young people with a positive attitude from supply, and to reduce rent security deposit to 30 ~ 40% instead of 60 ~ 70% . 우리나라 가족구성 방식은 대도시에 공동주택 형태가 공급되면서 점차 축소 지향적으로 변화하여 현재는 1가구당 평균 가족구성원수가 2.5인 내⦁외로 나타난다. 이러한 가족구성원수의 감소는 주택가격 상승으로 인해 주택마련 및 자녀양육비에 대한 부담 등의 영향으로, 결혼을 기피하는 청년층 1인가구 증가, 급격한 이혼 증가에 따른 단독세대 발생, 고령화로 인한 독거노인 증가 등이 단독세대 증가의 주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1인가구의 지속적 증가와 더불어 청년층이 37%를 차지하고 있고, 이들이 활발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공공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2030 청년주택정책의 경우 역세권내에 청년층에게 임대분양함으로써 교통의 접근성, 경제적인 측면에서 청년층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배려로 볼 수 있다. 연구에서는 청년층 임대주택공급에 관한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은 감성적인 즐거움을 추구하는 유형이 가장 많으므로 이에 맞춘 주택 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활용 가능한 토지자원 및 도시재생과 연계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이 필요하다. 셋째, 적정 대상 가구수를 산정하여 청년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 넷째, 특별회계 및 기금조성을 통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이용자를 위한 주택자금대출, 주거비 보조, 임대료 보조제도 차등화 등의 국가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폭등한 주택가격과 높은 실업율로 인해 청년층의 주거빈곤율은 매우 높아지고 있다. 공급에서 적극적인 자세로 청년층에 대한 임대주택의 보급률을 확대해야 함과 더불어 임대보증금도 주변의 시세에 60~70%가 아닌 30~40%로 낮춰 보급해야만 진정으로 청년층의 주거빈곤 문제가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한국 유학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2019년 이후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리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After the pandemic, it seems that majority of colleges in South Korea are faced serious challenges, including more intense competition and declining incomes, which has accelerated the transition of higher education to be more consumer-oriented. Mor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cus more on the perceived values of potential consumers-college students. Nevertheless, although many scholars have instilled new situations to follow this trend, very few choose the intermational education background but base their studies on national image and university competitiveness. As a result, this essay chooses a new angle-students are consumers. It cuts into the points of national image and university competitiveness and exemplify the overseas students for tertiary education. This essay surveys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music major, and combines research situation by taking different aspects of national image(political image, economic image, social image and K-pop cultural image), In addition, it constructs a conceptual model on the basis of S-O-R theory, structuring-national image, university competitiveness and perceived value and choice wills to study abroad. From June 10 to August 20, 2022, 453 valid data were collected from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music, both in Korea and those who graduated from music, through online and offline.Through the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test, intermediate test and path analysis test of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software, the hypothesis and model are verified by quantitative analysis.Subsequently, six Chinese music majors who had studied in Korea were interviewed online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the opinions of the interviewers were analyzed qualitatively.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firmed, and valuable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valu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all dimensional variables of national image, and the perception of valu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perceived value.Through questionnaire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and tested the data of Chinese students' willingness to study abroad in Korea. It explores how those students choose to study overseas through different factors, such as their perceived value which would affect the national image and university competitiveness. Also it may have some implications for the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to gather data and research material, so as to enhance the national image and competitiveness of colleges in South Korea to deal with challenges with the economic globalization background.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절대 다수의 한국 대학교는 입학생 모집에서 도전과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나날이 치열해지는 고등교육 경쟁 환경과 재정 수입 감소 등 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서 가장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은 소비주도형 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소비자-학생이 대학을 선택할 시의 지각된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고등교육의 초국가적 교육경쟁 속에서 소비자-학생의 선택폭이 넓어지고, 제품-대학을 선택할 때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의 차이를 정확히 파악한다면 고등교육기관의 경쟁 우위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다. 현재 적지 않은 학자들이 지각된 가치가 소비자 선택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고 있지만, 교육의 국제화 속에서 국가 이미지와 대학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각된 가치와 유학 선택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 즉 소비자 개념을 토대로 국가 이미지와 대학 경쟁력 측면에서 접근하여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가치가 유학 선택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국가 이미지를 여러 가지 차원(정치 이미지, 경제 이미지, 사회 이미지, K-pop 문화 이미지)으로 세분화하고 S-O-R 이론을 바탕으로 국가 이미지, 대학 경쟁력, 지각된 가치와 유학 선택 의향의 개념화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2022년 6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2개월 동안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재학생 및 졸업자 모두 포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53부의 유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SPSS 24.0과 AMOS 24.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상관관계 분석, 매개효과 검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정량적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검증함으로써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반구조적 인터뷰 방식을 통해 한국 유학 경험이 있는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인터뷰 대상자의 관점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를 증명함으로써 가치있는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가 이미지의 각 측면과 대학 경쟁력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동시에 지각된 가치를 통해 유학 행동의도에도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반구조적 인터뷰 방식을 통해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유학 선택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데이터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검증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국가 이미지와 대학 경쟁력이 어떻게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통해 음악전공 중국 유학생들의 유학 선택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 교육 분야의 국가 이미지 제고, 음악전공을 비롯한 한국의 대학 경쟁력 향상, 고등교육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한다.

      • 공동주택 하자담보책임제도상 분쟁 최소화 방안 연구 : 소송에서 나타난 시사점을 중심으로

        고인봉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tudy of Minimizing Effort of Debating on Building Defect Liability System for Mass Housing Estate -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Cases - Ko, in-bong (Supervisor Park, Byong Gyu) Dept. of Housing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Hou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According to the data issu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 2005, the housing supply ratio of Korea accounted for 105.9%, of which mass housing formed 66.2%, of which 80% was represented by apartments. Likewise, as mass housing becomes a universal residential mode, disputes on mass housing defects are increasing day by day. Thus, this study makes efforts to solve following problems by analyzing the problems and actual condition of defects grievance system. First, it intends to identify the order of priority in applying law according to the Defects Liability System and give a reference in reducing defect cases by analyzing the reality of defect repair expenditures. Second, it aims to find out the measure to minimize conflicts among customers, project participants, contractors, and guarantors by pointing out the problems expected from disputes and inefficiency through case analysis and analyzing the problems raised from defects judgement. As a result of study, the order of priority in applying law relating to the Defects Liability System for mass housing is investigated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law regarding possession and management of complex building and housing law is in a position of special law over the civil law, in the regulation relating to defects repair and compensation for damages of mass housing, the law regarding possession and management of complex building and housing law are applied in preference to the civil law. Second, in case that defects liability period is at issu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law regarding possession and management of complex building and housing law, both laws are compatibly applied until now. As a result of study, the problems raised in judging defects are as follows: First, defects should be revealed in reality to be valid, and contractors liable for the defect prove it, together with time of occurrence. Second, because the present defect judgment organization judges and estimates, with being generally hired by client, most defendants do not admit this and proceed to lawsuit. Third, there are problems such as expended period of appraisal, outsourcing appraisal, and planning lawsuit owing to poor qualification of appraiser and lack of professionalism. Fourth, with regard to major issues between all parties in the disputes, Resident Committee, project participants, and guarantor have definitely different point of view. Fifth, it was confirmed that problems of Defects Liability System include lack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lations, shortage of prior defect prevention function, absence of professionalism and responsibility in quality management, and inefficiency of Defects Repair Guarantee System and Grievance System. The result of study to minimize conflic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unify Supervision System from the aspect of system, for example, joint operation system such as joint contract between supervisors or choice of unified supervisor by general supervisor company. Appraisal business needs efforts for segmentation according to the appraiser's professional business, post-evaluation of appraisal statement, establishment of appraiser management system, and presentation of exact calculation of appraisal fee. As for the crack which takes the most part in defect appraisal price, appraisal board should be composed by specialties in the plural, and the appraisal criteria should be standardized. Second, much efforts should be made as a way to prevent defects by production agent from the perspective of project participants, while constructors should try to prevent conflicts. Third, customers have to make efforts to settle down disputes through defect evaluation and grievance mediation committee, with a concern in documentation and management of defects. Thu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for the contents which this study can not draw conclusions, that is, supplementation and legislation of guide specifications to prevent defects, and establishment of housing quality standard and defects judgment standard by each work type. 제 목 : 공동주택 하자담보책임제도상 분쟁 최소화 방안 연구 - 하자판정 기준을 중심으로 - 2005년 국토해양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주택보급률은 105.9%이며, 이 중 공동주택이 66.2%나 되고, 공동주택의 80%가 아파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공동주택이 보편적 주거수단이 되면서 공동주택 하자에 관한 분쟁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하자분쟁제도의 문제점과 실태 분석을 통하여 다음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노력하고자 한다. 첫째, 하자담보책임제도상 법률적용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하자보수 투입비 현황 분석을 통하여 하자발생을 줄이는데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둘째, 분쟁에서 예상되는 문제와 비효율성을 사례분석을 통하여 지적하고, 하자판정 상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여 소비자, 사업주체, 시공자, 보증사간의 분쟁 최소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서 공동주택 하자담보책임제도를 다루고 있는 법률간 적용의 우선순위에 대한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집건법)과 주택법은 민법에 대한 특별법의 지위에 있기 때문에 공동주택의 하자보수 및 손해배상에 관한 규정은 집건법과 주택법이 민법에 우선하여 적용된다. 둘째, 집건법과 주택법의 관계에서 하자담보책임 기간이 쟁점이 되는 경우, 현재까지는 두 법률의 적용이 양립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로서 하자판정 상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자의 성립에는 실제로 나타나야하고, 책임을 묻는 도급인이 이를 입증하여야 하고, 발생 시기를 입증하여야 한다. 둘째, 현재의 하자판정 기구는 의뢰인에 고용되어 판정하고 견적하므로 대부분의 피고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소송으로 진행된다. 셋째, 감정인의 자질과 전문성 미비로 감정기간 장기화, 하청 감정, 기획소송의 문제가 있다. 넷째, 당사자 간 주요 쟁점사항을 보면 사안별로 입주자대표회의와 사업주체, 보증사 간 인식에 차이가 확연하고, 이 부분이 분쟁의 핵심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하자담보책임제도의 문제점으로 종합적 · 체계적 연관성이 부족, 사전 하자방지 기능이 결여, 품질관리의 전문성 및 책임성이 부재, 하자보수보증제도와 분쟁처리제도의 비효율성 등이 문제점으로 확인 되었다. 분쟁최소화를 위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감리제도를 단일화하고, 감리 업체 간 공동도급 또는 종합감리회사에 의한 통합 감리자 선정 등 공동운영 체계가 필요하며, 감정 업무는 감정인의 전문 업무영역 별 세분화, 감정보고서의 사후 평가, 감정인 관리체계를 수립, 감정수수료의 정확한 산출 근거 제시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하자감정가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균열에 대하여도 전문분야별 감정단을 복수로 구성하고, 감정기준의 표준화를 정립하여야 한다. 둘째, 사업주체자 측면에서 생산주체별 방지대책의 노력과 시공자의 분쟁방지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소비자 측면에서는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분쟁해결에 노력하여야 하고, 하자의 기록 및 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결과물로 도출하지 못한 내용, 즉 하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전문시방서의 보완 제정, 주택품질기준의 정립, 각 공종 별 하자판단 기준의 정립 등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