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 성폭력 피해 경험자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

        전희원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지각된 통제감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82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질문지 및 외상 사건 리스트,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 성폭력 귀인척도(RAQ)를 사용하였다. 성폭력 피해 경험을 가장 고통스러운 경험으로 지각한 52명의 설문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 중 과거 통제감(행동적 자기비난)이 조절 효과를 보였다. 외상사건으로 인한 당시 고통과 최근 고통 모두 지각된 과거 통제감의 상호작용으로 외상 후 성장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통제감이 낮은 경우는 외상 당시의 고통을 더 크게 지각 할수록 더 많은 외상 후 성장을 하지만, 과거 통제감이 높은 경우는 외상 후 성장에 방해가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성폭력 피해 경험자의 회복과 성장을 의미하는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양적 연구이다. 둘째, 성폭력 피해경험자의 심리치료에서 중요한 주제인 지각된 통제감에 대한 연구이며, 지각된 통제감을 과거 통제감, 현재 통제감, 미래 통제감, 대리자 통제감, 미래 발생가능성으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셋째, 성폭력 피해 경험자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외상경험과 지각된 통제감이 상호작용하여 외상 후 성장의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여 통제감과 자기비난에 대한 치료적 개입 방향을 찾을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다.

      •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양영미 서울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Moderator Effect of Self-Compassion Yang Yeong Mi Department of Psycho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Professional Therapeutic Technology Seoul Wome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adult attachment styles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avoidance and anxiety traits of adult attachment styles are related to low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This study targeted 424 married people (122 male, 302 female) in 6 regions of Korea. Research tools;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Revised (ECR-R), Korea-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 and Korean-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K-SCS) were us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compassion had meaningful correlation.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while self-compass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Second, anxiety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Anxiety attachmen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When anxiety attachment was higher, marital satisfaction decreased. Self-compassion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marital satisfaction. This result indicates when self-compassion level are high, marital satisfaction increases. Thir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anxiety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This result implies self-compassion is able to decrease the negative influence on anxiety attachment to the marital satisfaction. Besides the moderating effect of subscale of self-compass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only self-judgment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ollow up research. Keyword: Adult Attachment, Marital Satisfaction, Self-Compassion 본 연구는 회피와 불안 특성의 성인애착을 가진 이들이 결혼만족도가 낮다는 기존의 연구와 관련하여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둘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 6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기혼자 총 424명(남자122명, 여자 302명)이었고, 연구도구는 친밀관계 경험검사(ECR-R),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K-MSI),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과 조절효과를 보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 자기자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감소하고, 자기자비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증가하게 된다. 둘째, 불안애착과 자기자비가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애착은 결혼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애착불안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자비는 결혼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자기자비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도 높아진다. 셋째,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애착불안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애착불안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자기자비가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하위요인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판단만 조절효과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 하였다. 주요어 : 성인애착, 결혼만족도, 자기자비

      • 수용 전념 집단 프로그램이 화병 증상이 있는 중년 여성의 분노표현, 분노경험 및 수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주영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문화적 영향에 따라 중년 여성에서 주로 발생 하는 화병의 ACT 개입의 시사점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화병 증상이 있는 중년 여성 가운데 치료 집단 13명에 대해 ACT 집단 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6명과 비교하여 화병 증상과 분 노, 수용행동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추후 검사를 통 해 효과가 지속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사전 동질성 검증과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여성의 화병 증상에 대해 ACT 집단 치료는 통제집단과 비 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분노의 표현 양식 중 하나인 분노억제는 치료집단에서 치료 전후 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 났다. 반면 통제집단은 치료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치료 변인으로 고려한 수용행동에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 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치료집단에서 치료 후 유의한 상승이 나타났다. 치료 집단에 대해서는 1개월 후의 추후 조사를 실시하 였는데, 그 결과 수용행동은 치료 직후보다 더 상승해 있었다. 반면 상태 분노 및 특성 분노와 같은 분노경험 수준과 분노표출, 분노통 제와 같은 분노표현 방식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ACT집단 치료를 통해 화병 환자의 증상이 완화되고, 수용행 동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더불어 분노억제 수준에도 긍정적 변화가 일어 났음을 밝혔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중년 여성의 화병에 대한 치료 및 상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 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범람지역 영향평가 및 적응전략 연구

        이해미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전지구적으로 진행되는 기후변화는 해수면 상승과 극한 기상현상 증가로 인해 연안의 자연시스템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시스템 모두 자연재해에 대한 높은 취약성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산지가 많고 평지가 적은 관계로 농경지 및 산업기반 시설 건설 등 해안 저지대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였다. 연안지역에 다양한 사회경제적 인프라가 집중되어 있는 한국은 현재도 태풍 발생 시 연안 저지대와 농경지의 침수, 해안도로 및 사빈 침식 등 곳곳에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피해는 미래 해수면 상승과 태풍의 빈도 및 강도가 변화되면서 더 심각한 문제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 연안을 대상으로 미래 해수면 상승에 대한 영향평가를 통해 취약성을 모니터링하고 지역 현황을 고려한 해수면 상승 적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한국 전 해안을 대상으로 범람 예상지역을 지도로 산출하고, 둘째, 산출된 예상 범람도를 주택, 주요 시설물(공공시설, 의료시설, 위험물저장처리시설, 발전시설), 교통시설, 산업단지, 토지피복 현황, 환경영향평가 개발사업 등의 GIS 데이터와 중첩하여 범람 예상지역에 포함된 주요 사회?경제적 인프라 현황과 예상 피해 인구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연안 취약성을 판단하였으며, 셋째, 범람 예상지역 토지피복 현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지역 현황을 고려한 해수면 상승 적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 연안지역의 해수면 상승에 대한 범람 영향평가 결과, 우리나라 연안의 사회경제적 인프라는 미래 해수면 상승에 대해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조차가 크고 연안 저지대의 분포가 넓은 서해안 지역에서의 피해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면 상승에 대한 적응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범람 예상지역의 특성에 따라 자연습지 지역, 농경지 지역, 도시화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예상 범람 피해를 살펴보았으며, 지역 특성에 맞는 적응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국가 및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연안 및 해수면 상승 관련 적응대책을 검토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미래 해수면 상승에 대한 영향평가와 적응대책 수립은 국가의 안보 및 자연과 인간의 공존, 인간시스템에 대한 보호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이에 본 연구를 통한 피해 예측 영향평가 및 토지이용 특성을 고려한 적응방안에 대한 고민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및 다양한 문제들이 가시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향후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에 대비한 적응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청소년의 애착과 완벽주의성향이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조진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애착관계특성 및 완벽주의와 특성불안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애착관계특성과 완벽주의 성향이 특성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먼저 청소년의 애착관계특성과 완벽주의성향 및 특성불안은 성별에 따라 각각 어떠한 차이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청소년의 애착관계특성 및 특성불안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세 번째로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특성불안에 관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애착관계특성과 완벽주의가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 중학교 2, 3학년 514명으로 하였고, 연구도구는 Collins와 Read(1987)가 제작한 애착관계 질에 대한 평가척도, Hewitt과 Flett(1991)가 제작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Spielberger(1970)가 개발한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정한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먼저 연구대상의 인구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를 산출하였다. 청소년의 애착관계특성 및 완벽주의 성향과 특성불안이 성별에 따라 각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청소년의 애착관계특성 및 완벽주의성향과 특성불안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특성불안을 설명해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특성불안을 종속변인으로 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의존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에서 남녀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청소년의 애착관계에 있어서 여자가 남자보다 더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관계특성은 특성불안과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애착관계특성이 의존적이거나 친밀함이 높을수록 특성불안은 낮으며, 애착관계특성이 불안하면 특성불안은 높게 나타났다. 남녀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남자, 여자 모두 애착-불안이 특성불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완벽주의성향은 특성불안과 유의하였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특성불안을 높아지며, 자기지향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특성불안은 낮게 나타났다. 남녀 모두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특성불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애착-친밀, 애착-의존, 애착-불안, 사회부과완벽주의, 자기지향완벽주의가 특성불안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애착-불안이 특성불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애착관계의 특성 및 완벽주의와 특성불안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청소년 상담 시 적절한 상담 및 심리치료 전략을 세워 정서적, 인지적 측면으로 개입함으로써 청소년기 불안을 완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eature of adolescent's attachment relation, relations between the perfectionism tendency and strait anxiety, and effects of adolescent attachment and perfectionism tendency on trait anxie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eatures of adolescent'sattachment relation, perfectionism tendency and trait anxiety differ depending on sex. This study examined relation between trait anxiety and feature of adolescent's attachment relation secondly,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trait thirdly, and effects of relation feature and perfectionism on trait anxiety lastly. I selected 514 2nd and 3rd graders of middle school at Gyeonggi-do as subjects and used evaluation index of adolescent's attachment relation quality produced by Collins and Read (1987);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produced by Hewitt and Flett(1991); and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ndex developed by Spielberger, Goruch, & Lushene(1970) as measurement tools, This study used SPSS 14.0 program for analysis of study question established. First of all,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examine demographic feature of study subjects, and Cronbach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verification of reliability of each measurement tool. I carried out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adolescent attachment, perfectionism tendency and trait anxiety depending on sex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attachment, perfectionism tendency and trait anxiety. In addition, I carried ou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rait anxiety as a dependent variable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 that can explain the trait anxiety.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boys and girls in attachment-depen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Girls were found to be more dependent on attachment relation than boys while boys were found to have hig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an girl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attachment relation feature and trait anxiety. The more dependent the attachment relation feature and the higher the familiarity is, the lower trait anxiety is. trait anxiety gets higher if the attachment relation feature is unstab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boys and girls and attachment anxiety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effects on trait anxiety in both girl and boy groups. Third,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between perfectionism tendency and state-trait feature. The higher the perfectionism tendency is, the higher the trait anxiety. The higher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tendency is, the lower the trait anxiet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trait anxiety in both boy and girl groups. Fourth, attachment-close, attachment-depend, attachment-anxiet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were found to affect the trait anxiety, in particular attachment-anxiety was found to affect the trait anxiety most. By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tendency and trait anxiety as well as feature of attachment relation through this result, this study plans to present proper consulting and psychology strategy for juvenile and to intervene in cognitive aspects, contributing to alleviation of adolescents.

      • 당뇨병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고찰 : 생활습관 및 동시이환 영향 중심 분석

        강예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Diabetes is known to impa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searches into HRQoL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s of independent determinants of HRQoL among patients with diabetes aged 65 years or older using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6. The analysis included 2,353 diabetes mellitus patients who are aware that they are suffering from diabetes. Each participant was categorized by age groups (65-69 years, 70-74 years, ≥75 years), sex, and duration of diabetes (<5 years, 5-9 years, ≥10 years). The EuroQol-5 Dimensions (EQ-5D) scale, the tools used to measure HRQoL, consisted of five questions on mobility, self-care,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Each dimension has 3 levels: no problems, some problems, and extreme problems.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independent correlates of EQ-5D by age, sex, and duration of illnesses. In addition, we conduct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HRQoL and comorbidities, including hypertension, dyslipidemia, stroke, myocardial infarction/angina, renal failure, and cancer. Result 1: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independent determinants that were correlated with patient`s scores on the EQ-5D by age group. We found that education level, monthly household income, employment, walking, alcohol consumption, duration of diabetes, and degenerative arthritis were significant independent determinants of EQ-5D among patients in the 65-69 age group; education level, obesity status, walking, and number of comorbidities were independent determinants in the 70-74 age group; and education level, employment, walking, alcohol consumption, and degenerative arthritis were independent determinants in the ≥75 age group. Result 2: The independent determinants of EQ-5D among the men were education level, employment, walking, vigorous physical activity, alcohol consumption, duration of diabetes, and the number of comorbidities. Among women, age, education level, monthly household income, employment, living status, obesity status, walking, vigorous physical activity, alcohol consumption, duration of diabetes, and degenerative arthriti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Q-5D scores. Result 3: In the analysis to identify independent determinants of EQ-5D by the duration of diabetes, age, education level, monthly household income, employment, degenerative arthritis, and number of comorbidities were significant correlates in the group with diabetes <5 years; education level, walking, alcohol consumption, and degenerative arthritis were significant correlates in the group with diabetes 5-9 years; and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obesity status, walking, smoking, diabetes care, degenerative arthritis, and number of comorbidities were significant correlates in the group with duration of diabetes ≥10 years. In the multivariate-adjusted model, the number of comorbiditi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HRQoL. Participants with three or more comorbid chronic conditions were more likely to have “a low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djusted odds ratios and confidence intervals were 1.73 (1.14-2.58) for mobility, 1.71 (1.02-2.88) for self-care, 2.55 (1.65-3.92) for usual activity, 1.89 (1.24-2.90) for pain/discomfort, and 2.01 (1.24-3.26) for anxiety/depression, comparted to their counterparts with diabetes only.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individualized treatment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diabetes patients who can have multiple chronic disease and dysfun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diabetes in elderly Koreans patients.

      • 한국 성인의 발톱 및 혈중 수은 수준과 비만 간의 연관성 분석

        전지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Mercury is a heavy metal that may induce endocrine dysfunction and increase the risk of cardiometabolic diseases. While experiment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chronic mercury exposure may increase the risk of obesity,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hown inconsistent results. Recently, some studies have report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mercury level and obesity among Koreans. However, these studies did no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measurement error in energy intake, which is related to obesity. In addition, prior studies have assessed mercury levels using blood samples, which may only reflect short-term exposure to mercur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1)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mercury level and obesity, considering the shortcomings of current methods and adding the latest data; and (2)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mercury exposure and obesity using toenail samples, which represent long-term exposure to mercury. The study used data from two source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7 and the baseline data of the Trace Element Study of Korean Adults in Yeungnam area (SELEN) cohort. A total of 14,159 participants of KNHANES aged over 19 years and 495 participants aged 35 years or older of SELE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Blood and toenail mercury levels were measured using the gold amalgam method and instrumental neutron-activation analysis, respectively. The measurements of body 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WC), and body fat percentage (BF) in the KNHANES were taken during health examinations, and in the SELEN, BMI and WC were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medical checkups. Multivariable-adjusted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estimated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sult 1: After multivariate adjustment, participants in the highest quintile of blood mercury levels had a higher prevalence of obesity (OR: 1.91; 95% CI: 1.69-2.15) and abdominal obesity (OR: 2.06; 95% CI: 1.82-2.35) compared to the lowest quintile. The prevalence of excess BF was also 1.41 times higher in the highest quintile of blood mercury levels than in the lowest quintile (OR: 1.41; 95% CI: 1.14–1.75).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mercury level and both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varied according to diet and lifestyle.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blood mercury levels and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were stronger among drinkers than non-drinkers, whereas the association was attenuated among participants with higher levels of the phytochemical index and fruit intake. Result 2: In the fully-adjusted model,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higher in the highest tertile of toenail mercury levels than in the lowest tertile (OR: 3.26; 95% CI: 1.79–5.93). Higher toenail mercury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OR: 2.30; 95% CI: 1.15–4.59).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mercury accumulation in the body may affect the risk of obesity, regardless of the duration of exposure. Moreover, higher consumption of phytochemical foods and fruits atten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ercury level and obesity. In other words, higher intake of antioxidant-rich foods as well as avoiding alcohol might reduce the effect of mercury toxicity. Additional large-scale prospective cohort studies 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needed in the future to deter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rcury level and obesity, and the interactions among mercury level, obesity, and diet or lifestyle.

      • 갯벌 체험환경교육의 지리적 접근

        박상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o the extent that these days can be seen as the century of environment, each country regards environment as a big issue and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prevent and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They refer to environment-related educational activities a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re striving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the education. The concept or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changing just as recognition about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with time. As a result, the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 gave a weight to delivering scientific knowledge about environment and its problems, whereas today's environmental education has turned into attaching importance to developing values and attitudes to environment. Thus, they began to emphasize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appreciates affective domain for development of moral and aesthetic sense, and so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has emerged as a method to accomplish objectives of affective domain such as attitudes and values. Since the 1990s, our country has also stressed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eadily views it as an important part of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es natur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around as scenes of education. Among them, tidal flat has great practicability and value because participants can easily watch organic relations of many living things making up tidal flat through experience with the use of five senses of theirs and it also enables both experience and observation activities. But in fact, most of tidal flat experience programs being currently executed do not overcome the level of mere tourism and some of them are limited to collecting shellfish. Needless to say, wrong tidal flat experience may destroy its ecology and bring about bad practices of neglecting life on the part of participants in tidal flat experience. Th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correct tidal flat experience programs are urgent in that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stimulate curiosity and help them understand nature and realize their relations with nature.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itim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functions and values of tidal flat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bout tidal flat. Accordingly, based upon the present conditions of local tidal flat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facts of tidal flat experience-study currently carried on across the nation and suggests three phases of programs for effective tidal flat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first phase is indirect study programs which provide knowledge about overall areas including roles, environment, ecology of tidal flat, etc. The second phase is direct study programs which allow participants feel natural resources of tidal flat with five senses of theirs. The last phase is local society study programs which are composed to help participants understand and experienc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local society. This study intends to reconsider roles of tidal flat as a new scene of experience environmental so that programs like these can encourage various and continued activities of tidal flat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erve to establish an organized system of environmental education. 오늘날은 과히 ‘환경의 세기’라 할 정도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각 지역에서 환경을 화두로 하여, 환경 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한 노력들을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으며, 특히 환경과 관련된 교육활동을 환경교육이라 지칭하고 이를 통해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환경교육의 개념이나 목적은 환경을 인식하는 방법과 관련되어 시대마다 달라져왔다. 이에 따라 초기의 환경교육이 환경 및 환경문제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획득에 중점을 두었다면 오늘날의 환경교육은 가치, 태도의 함양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도덕적, 심미적 차원의 발달을 위해 보다 정의적 영역에 중점을 두는 환경교육이 강조되기 시작하였고, 태도나 가치와 같은 정의적 영역의 목표를 가장 잘 달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체험환경교육이 대두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 체험환경교육이 강조되기 시작하여 이후 지속적으로 환경교육에서 중요한 영역으로 간주되고 있다. 체험환경교육은 주변의 자연환경 및 시설물들을 학습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 중 갯벌은 오감체험을 통해 갯벌을 구성하고 있는 많은 생명들의 유기적 관계를 현장에서 손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또한 갯벌주변에 대한 체험과 탐조활동의 적절한 병행이 가능하므로 체험환경교육의 장으로서 그 활용성과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갯벌체험 프로그램이 대개의 경우 관광의 의미를 벗어나지 못하거나, 어패류의 채집체험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잘못된 갯벌체험으로 인해 오히려 갯벌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은 물론, 체험대상자들로 하여금 생명을 경시하게 만드는 극악한 폐단을 가져올 수도 있다. 체험환경교육이 호기심을 자극하여 나아가 자연을 이해하면서 자신과 환경과의 관계를 발견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을 생각할 때 갯벌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올바른 개발과 정착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교육 및 체험환경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환경교육의 정의 및 목적, 체험환경교육의 의미 및 필요성, 국내ㆍ외 해양환경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갯벌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갯벌의 기능 및 가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에 국내 갯벌 체험환경교육의 현황을 토대로 하여,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갯벌 체험학습의 실태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갯벌 체험환경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이 3단계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1단계는 간접학습 프로그램으로 직접체험학습을 하기 전 갯벌의 역할, 환경, 생태계 등 전반적인 분야에 대해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2단계는 직접체험 프로그램으로 갯벌의 자연자원을 직접 몸으로 느껴 볼 수 있도록 하고, 마지막 3단계는 지역사회학습으로 지역사회의 사회ㆍ문화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경험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양한 갯벌 체험환경교육의 시도와 지속적인 활동 및 체계적 시스템 구축을 이루고, 체험학습의 새로운 장으로서의 갯벌의 역할을 재고해 보고자 한다.

      •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정착을 위한 연구

        박민영 성신여자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논 문 개 요 최근 제주도가 지오파크(Geopark)로 선정되면서 국내 지형·지질 자원을 관광화하려는 노력이 각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오투어리즘은 지오파크 활동의 핵심 영역 중 한 부분으로, 지역경제 발전과 교육적 측면의 조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계절적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새로운 관광 패러다임이다. 그러므로 지오투어리즘은 지오파크의 성장과 함께 많은 관광객에게 환경보전 의식과 사회·경제적 활동까지 촉진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오투어리즘은 국내에 2000경년에 소개되어 현재 일반 대중들에게도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오투어리즘에 관한 학문적 접근과 국내 정착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오투어리즘에 관한 개념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정립 및 국내 정착 방안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지오투어리즘 관련 논문을 통해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 지오파크 및 지오투어리즘 운영 사례가 부족하여 해외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모델에 반영하였다. 국내 지오투어리즘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국립공원 홈페이지와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관광 안내와 해설 서비스를 살펴보았다. 또한 관광 관련 해설가 양성 교육과정을 통해 국내 지형·지질 교육 여건을 파악하였다. 국내 지형·지질 전문 가이드 해설이 제공되고 있는 지오투어리즘을 조사한 결과, 제주도의 성산일출봉, 거문오름과 강원도의 호야 지리 박물관, DMZ 지오파크가 있다. 운영 주체에 따라 각각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대학, 개인 전문가, 지역 주민 참여로 지오투어리즘을 분류하였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주도형 성산일출봉은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자연유산해설가를 양성, 관리하고 있다. 대학 주도형 DMZ 지오파크는 해당 대학이 지오사이트를 개발하고 해설가를 양성하고 있다. 개인 전문가형 호야 지리 박물관은 퇴직 교사가 직접 박물관 관리와 지리트레킹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 참여형 거문오름은 가장 이상적인 국내 사례로 자연유산해설가 교육을 받은 지역 주민이 유산을 관리하며 가이드로 활동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운영 주체별로 다르게 진행되는 지오투어리즘에 관한 SWOT 분석과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등을 반영하여 지오투어리즘 운영 조직 구성과 각 운영주체별 역할과 협력을 바탕으로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모델을 제안하였다. 국내 지오투어리즘 정착을 위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오투어리즘 운영 조직을 구성하여 담당 부서 및 공무원의 직제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 지오투어리즘 담당 부서는 효율성 제고를 위해 하위분과로 학술분과, 지역협력분과, 투어리즘분과를 두는 것이 합리적이다. 학술분과에서는 대학 및 연구소와 지오투어리즘 전문가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지오투어리즘 전문 가이드를 양성하고, 스토리텔링 및 교육 자료 개발을 담당한다. 지역협력분과는 지역 주민이 지형·지질 관리 및 가이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조력하며, 투어리즘분과는 관광객이 안전하고 만족스러운 관광이 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다. 이러한 지오투어리즘 운영 조직 모델을 신안군 홍도와 거제도 해금강에 적용하였다. 두 지역 모두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하는 유람선 관광이 각광을 받고 있는 곳이다. 그러나 지형·지질 관련 전문 지식을 관광객들에게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어 지오투어리즘이라 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신안군 홍도와 거제도 해금강의 유람선 관광이 바람직한 한국형 지오투어리즘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오투어리즘 운영 조직을 마련하고, 각 분과의 파트너십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형 지오투어리즘 정착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국내 지오투어리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