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전자제품에 대한 중국소비자의 만족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정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삼성 휴대폰 중심으로 중국시장에서 한국전자제품 구매 시 소비자의 만족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소비자 만족 및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적 틀을 제시하고자하는 목적 하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중국소비자들의 한국전자제품에 대한 만족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지도, 품질, 기능, 가격, 디자인을 선정하고 이들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이에 따른 연구의 구성변수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여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의 수집은 중국 현지거주자와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을 분석하고, 설정된 연구가설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소비자들의 한국전자제품 구매 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품질, 기능, 디자인은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가격은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확인되지 못했다. 그리고 중국소비자들의 한국전자제품에 대한 만족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다양한 영역에서의 관련 선행연구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소비자의 특정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는 만족이 중요한 선행변인이라는 점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제품속성을 구성하는 브랜드 인지도, 품질, 기능, 디자인 요인들이 중국소비자들의 한국전자제품에 대한 구매 만족과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한다. 따라서 한국기업이 중국시장에 진출할 때 브랜드, 품질, 기능, 디자인 등의 제품속성의 차별화를 중심으로 중국소비자들의 욕구를 적극 반영하고, 한류열풍으로 고조된 한국에 대한 관심과 한국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특성을 활용한 적극적인 촉진활동을 펼친다면 중국소비자들의 한국제품에 대한 평가를 긍정적으로 전환하고 충성도를 제고하여 마케팅성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China market is rapidly growing up after Korea-China official diplomatic ties since 1992. The representative Korean companies like Sampling and LG were entered the Chinese market at that time. Especially the Korean cell phone makers like Sampling are achieving the huge outcom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for the effecting factors to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n Electronics in Chinese market based on Samsung cell phone. This study draw the effecting factors to purchasing intention of Korean Electronics in Chinese market through preceding research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brand awareness, perceived quality, function, price, design and as the extraneous variables; trust, satisfaction. Also this study is analyse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how can influenced to extraneous variables at overall flow for understand and suggest the efficient and effective strategic frame for enhanced customer purchase intention. At first the researcher was constructed the research model which i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fter that proposed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Total 344 questionnaires are using this analysis and SPSS statics package appli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brand awareness, perceived quality, function, price, design are showed influencing relationship of the cell phone purchase intention.

      • 외국인의 한국 전통음식 적응도와 메뉴 선택요인이 선호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정로로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외국인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적응도, 메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이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와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이에 따른 구성변수의 개념적 이해와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의수집은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을 분석하고, 설정된 연구 가설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유학생들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적응도는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유학생들은 김치 냄새가 좋아졌다, 된장이 맛있고 생식도 익숙해 졌다는 반응을 보이며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높은 적응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로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한국 전통음식 메뉴 선택요인은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기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국유학생들이 한국 전통음식의 메뉴 선택 시 본인이 먹어 본 경험의 유무와 친구의 권유, 방송매체, 식당홍보가 중요한 고려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 전통음식을 접하기 전 적응하는 정도와 한국음식을 접한 후 적응된 후의 행동양상이 달라짐을 짐작해 볼 수 있으며, 또한 외국인들이 처음 느끼는 한국 전통음식의 맛에 대한 선호 도가 나이, 식사 습관에 따라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셋째,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만족도에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국유학생들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할 때 자연스럽게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만족감도 증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음식의 국제화를 위해서는 관련 산업의 기업은 물론 국가차원에서 우선 외국인에게 한국음식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보다 많은 기회를 갖게 만드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외국인들에게 대중매체를 통한, 특히 최근 한류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흐름을 적극 활용하여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직․간접적인 정보 제공을 통한 설득적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렇게 한국음식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접하게 되며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자연스럽게 한국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며 한식의 세계화라는 중요한 목표가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the factors that are influenced by foreigners’ adapta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and menu choice and these influences o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With this purpos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accordingly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the correlations were verified through the conceptual comprehension of composition variables and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material collection for verification analysis, taking the Chinese students living in Korea as subjec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established research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living in Korea to Korean traditional food, i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on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and hypothesis 1 was adopted. The results showed that Chinese students got to like the kimchi smell better and that the Doenjang was delicious to them and that they have got used to eat raw food. It could be identified that the high adapta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appeared and there was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Secondly, Korean traditional food menu choices factors didn’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and hypothesis was dismissed.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Chinese students choose the menu of Korean traditional food, their having experience of eating the food or not, the recommendation of friends, broadcast media and the promotion of restaurants were not important factors considered. It can be assumed that the adaptation before getting at Korean traditional food and the behavior patterns after getting at it would be different. In addition, it can be supposed that this resulted from the differences in foreigner’s’ preference to the taste of Korean traditional food at the first time according to age and eating habits. Thirdly, the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Korean traditional food and hypothesis was adopted. The result showed that as the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increases, the satisfaction with it will increase natural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enterprises’ efforts to provide chances for foreigners to taste Korean food directly and indirectly in the national dimension should be made firs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oreigners persuasive communication activities through direct and indirect informa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by the mass media, especially by applying positively the global expansion of Korean wave trend. As they get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food gets better, their preference to Korean food will get better naturally. Therefore, the goal to globalize the Korean food will be realized

      • 한류가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 및 한국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짱징한 동명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2000년부터 한류가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한류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해지고 한류와 연관한 학위논문과 학술논문도 적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보완하여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가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류는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어서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중국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하기로 한다. 첫째, 중국인들이 한류에 대한 다섯까지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 또한 구매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중국 소비자들의 인식하는 한류가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할 것이다. 이어서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을 통해 중국일반소비자 16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통계적 방법으로 가설을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와 국가이미지 간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한류가 한국국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와 제품이미지 간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한류가 한국제품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국가이미지와 한국제품이미지간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국가이미지가 제품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국가이미지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제품이미지와 국가이미지 간에 관계를 검증한 결과, 제품이미지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the South Korea waves appeared in 2000, the study about it has become more active and many degree papers and academic papers have appeared. The study is added with a prior study, and verifies the influences of South Korea fad on the national image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taking Chinese consumers as the object. Taking the ordinary people in China as the object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the study is aimed at making clear what influences the South Korea waves has on the national image and products, and how it influences the purchase intent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goals are set up. Firstly, let Chinese people understand 5 elements of South Korea waves and conduct a prior study on the national image, product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theoretically. Secondly, verify what influences the South Korea waves understood by Chinese consumers has on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and then observe the influences of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on purchase intention. Thirdly, after making verification analysis by taking 168 ordinary consumers in China as the object to collect information, the study appraised with the statistic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are as follows. I. Results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waves and national image show that, South Korea wave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outh Korea’s national image. II. Results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waves and product image show that, South Korea wave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outh Korea’s product image. III. Results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s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show that, national imag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roduct image. IV. Results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show that, national imag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Lastly, results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s product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show that, product imag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 변혁적 미용서비스품질이 고객행복과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황연우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기업의 지속적 성장 요건으로 사회적 책임에 관한 이슈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서비스 분야 에서도 일시적 관계성 보다는 고객의 삶의 질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변혁적 서비스(transformative service)에 관한 이슈가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개인, 공동체, 글로벌 차원에서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학계에서 가장 주목하는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Service Industries Journal, Journal of Service Research 등의 해외 학술지 에서는 이에 대한 특집호를 발간하며 해당 이슈를 중요하게 다룬 바 있다. 과거의 서비스 관련 연구들은 실무에 유용하였으나, 고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까지 염두에 두었던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반해, 변혁적 서비스 연구는 개인과 사회의 웰빙을 제고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창출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한다. 즉, 변혁적 서비스라는 화두는 기업으로 하여금 경제적 이윤 창출에서 더 나아가 고객의 삶의 질과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에 힘을 쏟도록 독려한다. 기업이나 국가가 개개인의 행복을 전적으로 책임질 수는 없으나 서비스품질의 향상을 통해 개인의 행복 증진에 일부 기여할수 있을 것이다(2016, 이유재). 변혁적 서비스라는 화두는 기업으로 하여금 경제적 이윤 창출에서 더 나아가 고객의 삶의 질과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 제공에 힘을 쏟도록 독려한다. 기업이나 국가가 개개인의 행복을 전적으로 책임질 수는 없으나 서비스품질의 향상을 통해 개인의 행복 증진에 일부 기여할 수 있을 것이기에, 헤어미용서비스의 특정고객들을 대상으로 서비스품질 평가가 고객의 삶의 질과의 연결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헤어미용 서비스산업은 인적 서비스와 물리적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산업에서 헤어스타일이라는 결과적인 완성도와 헤어미용서비스 전반적인 과정서비스 평가가 서비스 품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하지만 연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무적인 측면에서 경영 효율화와 성과측면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대부분의 연구에서 서비스에 대한 품질측정에 SERVQUAL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과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서비스 결과도 고객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헤어미용 서비스를 설명하기는 적절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무적 차원에서 보다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3차원 품질 모형을 활용하여 직접적인 헤어미용 서비스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찾아 효율적인 경영 성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긍정심리학의 행복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심리적 웰빙(psychological well-being)과 주관적 웰빙(subjective well-being)에 초점을 두고 미용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연구를 진행하여 변혁적 미용서비스품질이 고객행복과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입증하고 변혁적 서비스로서의 미용서비스 마케팅전략 수행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hair care service industry has proven that the resultant completeness of the hairstyle and the evaluation of the overall course service in the hair care industry ca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service in industries that are highly dependent on human services and physical services. However,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research, there are no studies on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management efficiency and performance in practical aspects. Especially, in most studies, SERVQUAL i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service, but it focuses on the process. Therefore, it is not appropriate to explain the hair care service that the service result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prioritie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 hair care service using logical and reasonable 3quality models at the practical level. In addition, based on the theory of positive psychological happiness, we focu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conduct research on customers who continue to use beauty services, We prove the factors affecting happiness and store loyalty and suggested marketing strategy implementation service as a transformational service.

      • 지각된 위험과 편익이 의료관광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잠재적 중국인 의료관광객을 중심으로

        추옥걸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선진 의료기술의 영향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세계화와 개방화 추세로 의료관광이라는 새로운 의료 서비스의 산업화가 전 세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한국의료관광의 경우 동아시아에서 후발주자 이지만 선진국 대비 높은 의료수준, 진료비용 저가라는 매력요인과 미용치료, 치과부분 등은 전문화 영역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며 외국인이 선호하는 분야로 경쟁력이 있다. 한국은 기준 해외환자유치를 넘어서 관광, 휴양, 레저, 보양, 건강관리, 헬스, 웰빙 등의 폭 넓은 컨셉을 바탕으로 지역의 교유한 관광자원과 문화체험, 음식, 축제, 공연, 스포츠, 한방 등과 연계함으로서 의료관광객의 폭넓은 창출을 통해 국가 신 성장 동력 산업으로 성장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현재 의료관광 잠재 수요자인 중국인들이 한국 의료관광에 대해 느끼는 위험요인과 편익요인을 살펴보며, 기준의 관련된 연구를 바탕으로 경제적, 기능적, 시간적, 사회·심리적 위험과 편익요인을 선정하고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한국 의료관광에 대한 중국 잠재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의료관광 잠재 관광객들은 지각된 위험요소에서 경제적 위험과 기능적 위험은 구매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의료기술에 대한 신뢰성 등을 강조해야한다. 지각된 편익요소에서 경제적 편익과 시간적 편익은 구매의도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의료관광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전략의 수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며 의사소통의 문제를 해결, 의료사고에 대한 보상 또는 한국에서 다양한 볼거리, 먹거리, 구매거리를 만족시키면 잠재 수요인 중국인들은 한국의료관광의 구매의도를 높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사 지역을 부산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지역적 한계를 가지며, 접근성이 좋은 중국인 또는 대부분은 중국 유학생, 그리고 한국의료관광에 대한 경험과 정보, 인식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한정함으로써 연구결과가 상이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각된 위험요인과 편익을 각 4개 특성을 중점적으로 파악하였다. 이것 보다 더 확대된 요인 변수들을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조사의 대상을 한국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있거나 입원환자 등 이용할 계획 및 가능성이 있는 소비자, 한국을 방문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with the influence of advanced medical technologie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is increasing. As the population aging is rapidly progressing, the demand for healthy life has increased also. In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liberalization, medical tourism, as an industry of a new medical service, becomes popular around the world. In the case of Korea’s medical tourism, although it is a second mover in the East Asia, compared to the advanced countries, the attraction factors like advanced medical level and low medical expense, cosmetic treatment and dental clinic in Korea are being activated as professional fields and becoming competitive fields which are preferred by the foreigners. It is possible for Korea to develop a new national growth engines industry beyond the attraction of foreign patients through the broad invitation of medical tourists by connecting the medical tourism with local tourist resources, cultural experience, music, festivals, performance, sports and Chinese medicine, with a wide concept of tourism, recuperation, leisure, recreation, health care, gymnasium and well-being as found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isk factors and benefit factors of Korea’s medical tourism which are felt by the potential Chinese medical tourists. Based on the related studies, economic, functional, time-based and social psychological risk and benefit factors were selected. Analysis on th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was conducted. With the potential Chinese medical tourists visiting Korea as subjec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It is showed that among the perceived risk factors, economic risk and functional risk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potential consumers of Korea’s medical tourism. Accordingly, by reducing these risks, the service quality should be improv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medical technologies should be emphasized. It is showed that among the perceived benefit factors, economic benefit and time-based benefit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Finally, it can be known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that can satisfy the medical tourists. For example, if solutions for communication problems, the compensation for medical accidents or various attractions, food and shopping products can be settled down, the purchase intention of potential Chinese medical tourists for Korea’s medical tourism can be increased. This study limited the research areas to Busan city,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regional limitation. The research results can be different because the research subjects were limited to easily accessible Chinese,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people that have no experience, information or awareness of Korea’s medical tourism.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perceived risks and benefits were figured out by focusing on four types of characteristics. It is considered that expanded variables can be also used in the study. It i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do further studies which take the consumers who have plan and possibility to purchase medical tourism like the people who have experience of Korea’s medical tourism or inpatients and the consumers who have visited Korea as research subjects.

      • 명품 구매동기와 소비가치가 명품 및 위조품에 대한 태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서민영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4년 미국 명품시장 규모가 733억 달러(약 80조3002억 원)에 달했으며 세계 명품시장 규모에 따라 중국(169억 달러), 한국(103억 달러)이 각각 5, 8위를 차지했다. 또한 2012년 기준 전 세계 위조품 시장 규모는 6,300억 달러로 추산된다. 매년 20∼30%씩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 국내 위조품 시장은 260억 달러 정도로 세계 10위이다. 2013년 말 기준으로는 미국과 일본, 중국 등에 이어 세계 9번째이다. 명품과 위조품시장 규모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으며 중국시장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 대상으로 명품과 위조품에 대한 태도 및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명품 구매동기와 소비가치의 관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분석을 통하여 중국 소비자의 위조품 소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374명의 중국 광저우 지역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명품 구매동기와 소비가치가 명품 및 위조품을 대하는 소비자의 태도와 충성도에 관련한 요인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명품 구매동기 중심으로 보면 품질중시성 및 과시성은 명품과 위조품에 대한 태도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확장성은 위조품에 대한 태도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또한, 소비가치 중심으로 보면 감정적 소비가치와 사회적 인정 소비가치는 명품과 위조품에 대한 태도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차별적 개성추구 소비가치와 기능적 소비가치는 명품에 대한 태도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명품에 대한 태도는 위조품에 대한 태도 및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 위조품에 대한 태도가 위조품에 대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빈부격차가 심하기 때문에 중국은 명품 소비대국이기도 하고 위조품 소비대국이기도 한다. 또한 중국의 중산층 인구가 약 3.3억 명이며 사회 계층의 가운데에 위치하기 때문에 계급을 구분하는 상품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느낀다. 이처럼 중간집단의 선택은 명품매출액에 대한 중요한 요인이 될 수도 있음으로 중산층은 바로 명품과 위조품소비의 분수령이다. 이에 따라 명품은 중산층을 위한 마케팅 전략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명품 구매가 많아짐으로 대중명품의 시대가 펼쳐졌고 그러므로 더 이상의 희소성과 차별성적 가치를 가지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 므로 본 논문에서는 명품의 차별화 전략으로 기존의 독특함과 희소성만의 전략은 더 이상 유일한 전략적 방법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여 명품브랜드의 적극적인 차후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luxury’s market size in United States had reached 73.3 billion dollars in 2014(80 trillions and 300.2 billions won). According to the ranking of luxury’s market size, China was ranked as the fifth largest market for having a market of 16.9 billion market and Korea was ranked as the eighth for its 10.3 billion dollars.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data in 2012, it is believed the counterfeit luxury market size had reached 630 billion currently. Rising by 20%∼30% annually, Korean counterfeit luxury market became the world’s tenth-largest as owning a 26 billion dollars market size. In the end of 2013, the ranking of Korean market size is ninth, after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The market size of luxury and counterfeit luxury is increasing rapidly, the market of China i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it. This research paper concentrate on improving the common understanding of Chinese consumers by analyzing their luxury buying motivation, consumption value and attitude and loyalty towards counterfeit and luxuries. This sample includes 374 ordinary person lived in Guangzhou, China. The analysis will be constructe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comprehends the relationship among luxury buying motivation, consumption value and attitude and loyalty towards counterfeit and luxuries.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explain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Firstly, speaking of the luxury buying motivation, quality attention and conspicuous will affect people’s attitude towards luxury and counterfeit positively, and the characteristic of extended self have a positive effect on people’s attitude towards counterfeit only. Secondly, from the aspect of consumption value, emotional-driven motivation and social acknowledgement have an positive impact on people’s attitude towards luxury and counterfeit. On the other hand, the pursuing of personal characteristic and function only affect the attitude towards luxury. Lastly, the attitude of luxury itself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people’s attitude and loyalty towards counterfeit, and the attitude of counterfeit can also affect people’s loyalty to itself. Because of the hug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China, it is a large market for both luxury and counterfeit. Besides, China has 0.33 billion middle class, holding a middle social status make them sensitive about recognizing the goods that can distinguish different classes in the society. As a result, the choice of middle class is important for luxury’s sale in China. It means that the middle class is the core target customer in the consumption of luxury and counterfeit. Thus, luxury’s marketing strategy should aim at middle class. In addition,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ho is rich enough to buy luxury, luxury is no longer a symbol of wealth or unique. In other words, luxury can no longer use its distinction and rareness as its selling point.

      • 모바일 쇼핑몰의 특성과 쇼핑동기가 소비자태도 및 고객 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장훼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전자상거래가 발전하면서 중국모바일 쇼핑은 급속적인 증가 추세가 되어 2014년 중국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 총 인구가 8.75억 명에 달하기 때문에 2015년 중국 모바일 쇼핑시장 규모는 2조 300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 중국 모바일 시장에서 거래규모는 9297.1억 위안이 되었고 연장성장률은 239.3%가 되었다. 이 기간 PC 온라인 거래는 2조 800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49.8% 증가했다.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쇼핑몰에 대한 소비자 태도 및 고객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모바일 쇼핑몰 특성과 쇼핑동기의 관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실증분석을 통하여 중국소비자의 모바일 쇼핑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402명의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모바일 쇼핑몰의 특성과 쇼핑동기가 소비자 태도 및 고객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관련한 요인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쇼핑몰 특성 중에서 유비쿼터스 가능성, 편의성, 유연성, 상호작용성은 소비자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쇼핑동기 중에서 편재성, 경제성, 편리성, 충동성은 소비자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쇼핑몰을 통해 쇼핑하는 소비자의 태도는 고객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도는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환경의 도래는 고객과 언제 어디서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기업과 고객간 관계를 장기적으로 강화시켜 나갈 수 있으며, 고객에게 지속적인 가치 창출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바일쇼핑몰 특성과 모바일쇼핑동기 및 소비자 태도를 제시하고, 고객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향후 모바일쇼핑을 기획하는 기업이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China,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trading, there is a rapid growth in mobile shopping. In 2014 the total number of Chinese mobile network users reached 875 million, the size of China mobile shopping market will exceed 2 trillion 300 billion yuan in 2015.The trading amount of China mobile shopping market is 929.71 billion yuan in 2014, an annual growth rate of 239.3 percent. Meantime the amount of PC terminal is 2 trillion 800 billion yuan, with an increase of 49.8 percent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Based on the target group Chinese consumers,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shopping mall and consumer motivation to mobile shopping consumer attitude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s' intention to purchase again, we can offer advice to Chinese consumers through the analysis of mobile shopping. For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I collect the data from 402 Chinese mobile shopping consumers through questionnaires. Also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e equation modeling, I studied the relationship of how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shopping and consumer motivation induce consumer attitude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s' intention to purchase agai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ubiquity,convenience,flexibility and interaction of mobile shopping present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 attitudes. Second, the ubiquity,economy,convenience,impulsivity of mobile shopping present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 attitudes in the composition of inducement motivation of mobile shopping. Third, mobile shopping consumer attitudes and customer satisfaction present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s' intention to purchase again. With the coming of the mobile network environment, we can see that maintain constant communica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Long-term potenti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terprises and customers might give customers a sustained value creation. This study elaborates the inducement motiv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shopping and consumer motivation to consumer attitude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s' intention to purchase again which has an impact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mobile shopping consumers. Based on this study, we can collect and provide successful marketing strategy for those enterprises who want to develop mobile shopping business in the future.

      • 중국 재생지원산업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특성이 네트워크 활동의지, 네트워크 참여도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네트워크 상호작용 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두환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전 세계적으로 공산품의 생산, 수출, 소비 대국인 중국은 급격한 경제 성장과 함께 에너지의 수요와 소비도 급증하면서 자원 부족 현상이 심각 해짐에 따라 자원의 효율적이고 종합적인 이용 그리고 순환 사용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중국의 재생 자원산업이 크게 발전하면서 총 산업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가치도 급증하고 있으나, 이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재생자원업체의 기술 력과 자본력 부족과 영세성의 극복, 그리고 성과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체계적인 마케팅 또는 경영활동과 이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부재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제기를 토대로 중국 재생자원산업 이해관계자들 의 네트워크 특성(상호신뢰, 상호정보교환, 상호파트너십)이 네트워크 활 동의지, 네트워크 참여도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 그리고 네트워 크구조모형 요인들 간의 매개효과와 네트워크 상호작용수준의 조절효과 를 검증하여 중국 재생자원산업의 조직성과 향상을 위한 다차원적이고 보다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 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재생자원산업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특성의 하위 요인인 상 호신뢰, 상호정보교환, 상호파트너십 모두 네트워크 활동의지 및 참여도 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원순환형 사회 구축을 위해 중국 재생자원산업 이해관계자들의 네트워크 특성(상호신뢰, 상호정보교환, 상호 파트너십)을 활성화시키면 재생자원산업 이해관계자들의 네트워크 활동의지와 참여도 증진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국 재생자원산업 이해관계자의 네트워크 활동의지는 네트워크 참여도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 구 결과 통해 네트워크 활동의지는 네트워크 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해관계자의 네트워크 참여도는 조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는 네트워크 참여도는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 한다. 셋째, 중국 재생자원산업 이해관계자의 네트워크 특성이 네트워크 참 여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네트워크 활동의지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 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 재생자원산업 이해관계자의 네트워크 특성은 네트워크 활동의지 요인을 매개로 하여 네트워크 참여도에 영향 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성과 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네트워크 참여도의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따 라서 중국 재생자원산업 이해관계자의 네트워크 특성은 네트워크 참여도 를 매개로 하여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중국 재생자원산업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특성이 네트워크 활동 의지 및 네트워크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네트워크 상호작용수 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특성이 네트워크 활동의지 및 네트워크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은 네트워크 상호작용수준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활동의지가 네트워크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에서 네트워크 상호작용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상호작용수준을 조절변수로 투입해서 네트워크 활동의지가 네트워크 참여도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네트워크 활동의지가 네트워크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은 네트워크 상호작용수준에 의해 조절되며, 따라서 중국 재생자원산업 이해관계자의 네트워크 상호작용수준이 높을수록 네트워크 활동의지가 네트워크 참여 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 재생자원산업에 관한 기존연구는 주로 경제적 가치에 한정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제공하는 연구결과와 활용도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탐색을 목적으로 중국 재생자 원산업 이해관계자들의 네트워크 특성(상호신뢰, 상호정보교환, 상호파트 너십)이 네트워크 활동의지, 네트워크 참여도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 향관계, 그리고 네트워크구조모형 요인들 간의 매개효과와 네트워크 상 호작용수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최근 중국의 재생자원산업이 크게 발전하면서 총 산업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가치도 급증하고 중요한 산업영역으로 등장하고 있는 자원재생산업 차원에서 자원순환형 사회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이해 관계자 네트워크 특성인 상호신뢰, 상호정보교환, 상호협력파트너십을 강 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네트워크 활 동의지와 네트워크 참여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확인했 다. 사실 재생자원은 분산성, 단일성이나 혼합성을 갖고, 발생량과 종류 가 불안정하다는 특징으로 인해 하나의 재생자원업체가 모든 재생자원을 처리하지 않고 특정한 재생자원을 전문적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재생자 원산업 내부에 있는 개별 업체의 성과를 향상시키려면 그와 관련한 동종 업체 효율을 반드시 제고하고 재생자원업체 간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야 한다. 이러한 관점이 본 연구의 핵심 논거인 재생자원산업 이해관계 자 네트워크라 할 수 있으며, 재생자원산업 경영자는 조직성과 제고를 위해 조직 구성원의 네트워크 활동의지와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는 시사 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상호작용수 준은 네트워크 활동의지가 네트워크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작용한다는 점을 증명함으로써 재생자원산업의 조직성과 향상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 해 재생자원업체의 네트워크 상호 활동의지를 높여야 함을 시사한다. 따 라서 본 연구의 전체적 결과는 중국 재생자원산업의 조직성과 향상을 위 한 마케팅 및 경영전략의 다차원적이고 보다 의미 있는 방향성 및 시사 점을 제공하고 있다. China, as the largest producer, exporter, and consumer of industrial products in the world, is steadily increasing in energy demand and consumption along with economic growth. The shortage of resources is getting worse, and the voice for efficient and comprehensive utilization and recycling of resources is rising by da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reflect that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its share and output value in the total industrial output value are also growing rapidly, and put forward theoretical research as well as systematic marketing or business activities that help to improve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in view of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such as lack of technical skills and capital, small enterprise scale etc. This study is based on network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bove problems, investigates network characteristics among stakeholders in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mutual trust, mutual information exchange, mutual partnership) and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and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by verifying the intermediary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of network structure model and the regulatory effect of network interaction level. It provides inspiration, in mulit-dimensions, for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of Chinese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The main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sub variables of network characteristics of stakeholders in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 mutual trust, mutual information exchange and mutual partnership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and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 that if network characteristics of stakeholders in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mutual trust, mutual information exchange and mutual partnership) are activated to build a resource-recycling society, it is conducive to enhance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and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which means that it can affect network activities of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Second, network activity intention of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 that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and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twork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in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it can be confirmed that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plays an intermediary role. The results show that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stakeholders in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change with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because intermediaries have an impact on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intermediary effect of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is also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characteristics of stakeholder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can be seen that network characteristics of stakeholders in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mediated by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will also have an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network characteristics of stakeholders in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and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or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no regulation effect was found relates to network interaction level.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act of network characteristics on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and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is not affected by network interaction level.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network interaction level is pro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and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Taking network interaction level as a moderating variable to analyze the impact of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on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the resul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impact of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on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is regulated and restricted by the network interaction level. Therefore, the higher network interaction level of stakeholders in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the higher the impact of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on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The existing studies on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mainly focus on economic value, and the results and application value provided by these studies are very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alternatives to these problems, understand network characteristics of stakeholders in China's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mutual trust, mutual information exchange and mutual partnership), network activities intention, degree of network particip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analyzing the intermediary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of network structure model and the regulation effect of network interaction level, this study provides inspiration, in multi-dimensions, for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of Chinese renewable resources industry.

      • 유창성 요인과 소비비전이 유통채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두원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라이프스타일, 구매 성향, 기호 등에 따라 싱글채널(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멀티채널, 옴니채널 등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유통업체 입장에서 소비자들이 어떤 이유로 이러한 쇼핑채널들을 선택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의 유통환경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 중에서 소비자의 유통쇼핑채널 선택에 있어서 어떤 이유와 원인이 있는지를 밝혀서 유통업체 판매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신유통업태의 유형이 다변화하면서 소비자들이 정의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고 이용하는 것이 아닌 무의식적인 노출로 인한 유통채널의 이미지를 구매자관점에서 실증분석 하여 유통채널선호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측정하는데 소비자들이 적절한 대안을 선택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소비비전이 형성된다고 보고 소비비전을 매개로 하여 유통채널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유통채널 선택에 관련된 과거 연구들은 유통채널을 이미지화하여 소비자들의 의사 결정 과정 보다는 점포상황에 집중되어 의사 결정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특정한 유통채널을 떠올리게 하여 지정된 유통채널 상황 속에서 소비자들이 활용하게 되는 의사 결정 기준이나 접근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통채널을 이미지화시켜 처리 유창성 유형이 소비비전과 유통채널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통해, 심상유창성(연상적 유창성과 표현적 유창성)과 처리유창성(개념적 유창성과 지각적 유창성)이 소비비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비전이 유통채널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각된 위험이 낮은 상황에서 동시에 많은 제품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에는, 의사 결정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휴리스틱스를 활용하여 선택의 과정을 단순화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위험이 낮은 식료품 구입상황을 제시하여 소비자들이 유통채널을 선택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심상유창성에 해당되는 연상적 유창성과 표현적 유창성이 소비비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설1의 검증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1은 채택되었다. 두번째, 처리유창성에 해당되는 개념적유창성과 지각적유창성이 소비비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설 2의 검증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2 또한 채택되었다. 세 번째, 유통채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가설 3인 연상적유창성과 표현적유창성이 유통채널 선호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검증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네 번째, 연구가설4인 개념적유창성과 지각적유창성이 유통채널 선호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검증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소비비전이 유통채널선호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설5의 검증결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설5는 채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모든 가설이 지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의식영역에 대한 연구에서 유통채널에 관한 연구로 접근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만족을 알아내는데 더 용의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전통적인 소비자행동 모델에 의하면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할 때 문제를 정립하고 이에 따른 합리적 의사결정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다양해지는 유통채널에 관한 소비자들의 선택과 소비과정에서 다양한 감정을 유발시키고 명확한 분류를 통한 소비보다는 소비자가 인식하는 부분에 따라 조장하는 경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유통채널에 관한 연구와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는 전통적인 모델보다는 상상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 소비비전의 접근이 더 유용할 것이라 보았다. Consumers can choose variously single-channel(online or offline), multi-channel, omni-channel by their lifestyle, tendency, preferenc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asons consumers choose shopping channel in a view of distribution firms. This study aims to examine striking phenomenon recently in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causes of consumers’ choice of shopping channel for presenting meaningful strategic implications. As a type of distribution firm becomes diversified, it is needed to analyze images of distribution channel that is exposed unconsciously in a view of buyer and then, measure preference of distribution channel. Many previous researches focused on store environment. There is little research about consumers’ decision standards or approaches to channel in situation that specific distribution channel is designated. Thus, this study verify the impact of processing fluency type on consumption vision and distribution channel evaluation. This study presents grocery purchase situation that related to low perceived risk and examine impact factors on consumer choice of distribution channel. The results reveal that fistly, associative fluency and expressive fluency(imagery fluency) influence on consumer vision. Hypothesis 1 is accepted. Secondly, conceptual fluency and perceptual fluency(processing fluency) have positive effect on consumer vision(hypothesis 2 also is accepted). Thirdly, hypothesis 3 that assumes associative fluency and expressive fluency has positive impact on preference of distribution channel is supported. Fourthly, conceptual fluency and perceptual fluency influence on preference of distribution channel positively. Hypothesis 4 is accepted. Finally, this study verify the positive influence of consumer vision on preference of distribution channel(hypothesis 5 is support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approach on consumer vision focusing on imagery processing rather than traditional model is more useful.

      • 인터넷 쇼핑몰 특성 및 상품 특성이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구매의 한ㆍ중 비교를 중심으로

        두아남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인터넷 이용자의 급증과 더불어 소비자들이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구매행위가 급증하는 추세에서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화장품 구매 시 인터넷 쇼핑몰 특성과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특성이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양국 소비자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은 물론 중국의 화장품산업에 속한 기업들이 인터넷 쇼핑에 대한 소비자행동을 이해하고,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구매 후 만족과 재구매의도를 우호적으로 조작하는데 필요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마케팅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이론적 토대를 확립하고 이에 따른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E-Mail과 직접조사방식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을 분석하고, 설정된 연구가설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넷쇼핑몰의 정보, 의사소통, 안전성, 거래로 하위변수로 구성한 쇼핑몰특성은 화장품 구매 고객의 만족도에 한국과 중국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상품품질, 상품가격, 상품다양성의 하위변수로 구성된 인터넷쇼핑몰에서 거래되는 상품의 특성도 화장품 구매 고객의 만족도에 한국과 중국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인터넷쇼핑몰을 통해 화장품을 구매하는 한국과 중국 고객의 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인터넷쇼핑몰의 쇼핑몰특성과 상품특성이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의 인과관계는 한국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에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의 인터넷쇼핑몰을 통한 화장품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서 자국시장은 물론 각각 한국과 중국시장을 목표로 인터넷쇼핑몰의 마케팅전략을 기획하는 기업의 입장에서 정보, 의사소통, 안전성, 거래 등 쇼핑몰 특성과 품질, 가격, 구색다양성 등의 상품 특성을 조작적으로 활용하여 만족과 재구매의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trend of sudden increase of internet users and consumers’ purchase behaviors through internet shopping mall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internet shopping mall features which the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re using for cosmetic purchase and the influence of internet shopping mall product features on the user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the differences existing between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Through this, the influence factors which are necessary when the Chinese enterprises in the cosmetics industry operate the satisfaction after purchase and the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internet shopping mall in a friendly way and understand the consumers’ behaviors of internet shopping were identified. It is aim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in which the factors can be used actively. With these purposes, this study built up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designed the research model accordingly. In order to verify all thes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correlations were verified. The materials for verification analysis consisted of the questionnaires in which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were taken as subjects.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by email and from direct surve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The established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identified that the shopping mall features which consist of the information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e communication, the stability, and the trans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smetics consumers’ satisfaction both in Korea and China. In addition, it is identified that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s the product features which consist of the product quality, the product price, and the diversity of the produc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smetics consumers’ satisfaction both in Korea and China. Finally, the satisfaction of the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who purchase cosmetics from the internet shopping mall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s that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in the causal aspect of influence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features and product features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With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cosmetics purchase behaviors, these research results were significant that they provide the basis for the exploration of the improvement plan of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r the Korean and Chinese enterprises which are planning the marketing strategies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with their domestic market as target market by using the shopping mall features like information, communication, stability and transaction and the product features like quality, price and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