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중국인 이주민과 관광객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용해연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최근 증가하는 중국 이주민과 관광객에 대한 인식을 다각도로 측정하고 다민족, 다문화 사회에서 중국 이주민과 관광객이 지역 주민들과의 공존 또는 갈등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봐야 하는지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실질적으로 조사를 통해 지역 대학생들이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고, 중국인 이주민과 관광객의 인식에 미치는 형성요인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제주시 및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11월 1일부터 11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68부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 for window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중국 이주민 및 관광객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 ‘여성’ , 학년은 ‘1학년’이, 학년이 높을수록 응답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은 ‘제주지역’, 종교는 ‘있는 집단’, 생활수준은 보통으로 ‘중’ 집단’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둘째, 중국인 이주민과 관광객에 대한 국내 대학생들의 인식은 남성보다는 여성, 학년은 1학년이, 제주시에 거주하는 대학생이, 중국인 이주민과 접촉빈도가 많은 짐단이, 종교가 없는 집단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생활수준은 ‘상’ 집단이 긍정적 인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인 이주민과 관광객의 태도에 대학생들은 부정적인 태도가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범죄율을 높이며, 일자리와 복지에 대한 부담을 주고, 세금부담이 늘어갈 것이며, 자녀와의 갈등을 유발하는 것에 따른 중국인 이주민과 관광객에 대한 태도 인식은 모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인 이주민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거주지역이 제주지역인 경우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주민 태도 수준이 낮고, 한국인 자긍심 수준이 낮으며, 단일 민족에 대한 선호도가 낮은 중국인 이주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인 관광객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성별이 여성인 경우, 거주지역이 제주시인 경우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광객 태도 수준이 낮은 집단이 중국인 관광객 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국내 대학생들은 중국인 이주민과 관광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상당히 높았고 최근 보이고 있는 차오포비아 현상은 이러한 결과를 재차 확인할 수 있었고, 중국인 이주민와 관광객 증가는 앞으로 더 많은 지역으로 확대될 예정인 점을 감안해서 제주지역과 광주지역은 외국계 이주민에 대한 다문화 복지정책을 더 이상 빼놓을 수 없게 되었으며, 나아가 외국인 이주민들에 대한 다문화 시민성과 다문화 복지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문화를 체계적이며 올바르게 받아들일 수 있는 문화적 상호공존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교육적 차원에서 접근 되어야 할 것이며, 외국인의 인식 변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인종적 문화적 갈등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국민적 외국인 기본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After measuring the perceptions of Chinese immigrants and tourists, whose number has been rising in recent years, among college students at various angles and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how to look at coexistence and conflict between local residents and Chinese immigrants and tourists in a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set out to conduct a practical survey, analyze local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and identify factors to affect the perceptions of Chinese immigrants and tourist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Jeju City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on November 1~11, 2016. Total 26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and went through the data coding and cleaning process for analysis with the SPSS for Window 21.0 program.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Chinese immigrants and tourists amo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recorded a higher response rat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and that the "freshmen" showed a higher response rate than other graders. As the grade went up, the response rate went down. The highest response rate was found among those who lived in the "Jeju area," among those who "had religion," and among those who belonged to the "middle group" of living standard. Second, as for the perceptions of Chinese immigrants and tourists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nation, they were negatively perceived by those who were female, were in the freshman year, lived in the Jeju City, made frequent contacts with Chinese immigrants, and had no religion. They were positively perceived by those who belonged to the "upper" group of living standard. Third, the college students exhibited very strong negative attitudes toward Chinese immigrants and tourists and had negative perceptions of both Chinese immigrants and tourists for higher crime rates, burdens on jobs and welfare, greater tax burdens, and conflicts with their children. Fourth, the study specifically looked into the causes to influence their perceptions of Chinese immigrants and found that the area of residence, especially the Jeju area, had impacts on their perceptions of Chinese immigrants among their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negative perceptions of Chinese immigrants were high among those who had a low attitude level toward immigrants, low pride as Korean people, and low preference for a single-race nation. Finally, of their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female) and area of residence(Jeju City) had impacts on their perceptions of Chinese tourists. The negative perceptions of Chinese tourists were high among those who had a low attitude level toward tourist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college students in the nation had very high negative perceptions of Chinese immigrants and tourists, which is reconfirmed by the recent emergence of chaophobia. Since it is predicted that the growth of Chinese immigrants and tourists will expand to many more areas, both Jeju and Gwangju can no longer afford to leave out multicultural welfare policies for foreign immigrants and need to change their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welfare policies for them. It is needed to develop programs for cultural mutual coexistence and take an educational approach toward them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accept a variety of culture in a desirable and systematic way. It is also required to provide basic national education for foreigners to have ongoing impacts on the changing perceptions of foreigners and prevent the issues of racial and cultural conflicts in advance.

      •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이 개인의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영숙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에 있어 지역사회의 독특한 생활양식과 문화를 대변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을 활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개인의 기부가 기부의도 및 기부동기 등 개인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신뢰, 규범, 네트워크, 참여와 같은 유무형 자본이나 개인의 문화적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출발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기부를 단순한 자선과 소극적 대인 서비스 차원으로 인식하여 개인적 요인, 동기적 요인에 초점을 둔 변수를 설정하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기부지속성 측정지표를 사회관계론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기부횟수, 기부금액, 기부지속의향, 기부추천의향으로 세분하여 구성하였고,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는 Putnam의 사회적 자본지수와 Esser의 사회적 자본 구조도를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신뢰, 사회규범, 사회참여, 네트워크로 세분하여 구성하였다. 그리고 문화성향은 Singelis와 Triandis(1995)가 개발하고, 김기범(1996)이 표준화한 4가지 문화성향(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수평적 집단주의)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타지역에 비해 개인 기부자 비율이 월등히 높을 뿐만 아니라 행정구역상 단일 행정구역으로 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섬이라는 지역적 특성과 독특한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로 한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의 기부경험이 있는 일반도민으로서 총 550부의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이 중 미회수 및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530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유교일수록, 월평균가구 총 소득이 높을수록, 정기적으로 기부할수록 기부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 거주지, 직업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월평균 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기부횟수, 기부지속의향, 기부추천의향, 기부지속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기부금액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서, 제주지역은 과거부터 상부상조와 수눌음 등 자신이 경제적으로 부유하지 않더라도 이웃을 돕고자 하는 실천적 나눔에 대한 전통이 남아있어 고소득가구와 저소득가구의 기부금액 혹은 기부욕구가 차이가 없게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자본의 요인 중 신뢰와 사회참여는 기부지속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기부횟수, 기부금액, 기부지속의향, 기부추천의향, 기부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규범은 기부지속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회규범의 척도는 지역사회주민의 규범준수 여부, 지역사회 내 출신지역에 따른 차별 여부, 지역 내 의사존중과 반영여부,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청렴정도 인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현대사회에서 기부가 사회규범 수준이 높고, 사회적 계층이 높은 사람들만 하는 어려운 행위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누구나 할 수 있는 보편적인 행위로 인식이 확대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는 유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문화성향 요인 중 수직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개인주의는 기부지속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집단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이타심이 발현가능성이 높으며, 기부행동이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타적 나눔이라고 할 때, 집단주의 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높게 나타난 연구들(김선우․김난도, 2010; 홍승범・박혜경, 2013)과는 부합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일면 제주지역만의 독특한 문화성향이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다른 일면으로는 문화성향과 기부지속성을 설명하는 제3의 다른 요인에 의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인지를 보다 엄밀히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적 자본과 문화성향을 동시에 투입하여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본만 투입했을 때보다 기부지속성에 대한 설명력을 2.5%-4.2%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기부지속의향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즉 문화성향은 기부지속성을 설명하는 유용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 관점과 문화성향 관점에서 기부지속성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선행연구에서는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자본의 다양한 구성요인과 문화성향을 검증한 연구들이 부족하고, 기부자의 인구사회적 요인, 기부기관의 신뢰도 등의 변인을 사용하여 측정한 연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관련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과거 이타성과 이기성이라는 인간의 이원적 본성 즉 개인적 요인 중심의 연구를 넘어서 사회관계적 측면, 문화적 측면에 주목함으로서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으로 지평을 확장하여 살펴보았다는데 의미가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하여 신뢰와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수직적 개인주의 및 수평적 개인주의가 높을수록 기부지속성이 높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자본의 하위 구성요인들과 개인의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을 실천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특히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을 설명하는 유용한 변수임이 확인됨에 따라 기부를 지속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문화적 성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 factors on the continuity of individual donations utilizing social capital and cultural inclination that can represent local society's unique life style and its culture.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individual donations can be influenced by not only individual factors such as donation intention and donation motives but also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including local society's trust, norms and participation or cultural inclination. Preceding researches have understood donations as simple charity or passive service to other people, so they have set variables mainly focused on individual factors and motivation factors. Therefore, to approach the measurement indicators of donation continuity from social relations' point of view, this study subdivided indicators as frequency of donations, amount of donations, intention of donations continuity, intention of donations recommendation. And based on Putnam's social capital index and Esser's social capital structure chart, this study subdivided measurement indicators of social capital as trust, social norms, social participation and network, which have showed in various preceding researches. In terms of cultural inclination, this study utilized four cultural inclination factors(vertical individualism, horizontal individualism, vertical collectivism, horizontal collectivism) developed by Singelis and Triandis(1995) and standardized by Kim Gi-beom(1996).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o that this study can secure higher reliability of measurement with its comparatively high rate of individual donations and formation of a single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 local characteristic as an island which has its own unique social network.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general residents over 18 living in Jeju who have donated before. I distributed 550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530 data except unanswered and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more the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average income are higher, and one has Confucian belief and donates regularly, the higher their continuity of donations.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ex, residential district, jobs. Meanwhile, the more monthly average income is higher, the higher the frequency of donations, continuity of donations, intention of donations continuity, intention of donations recommendation. However, the amount of donations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is come out by reflec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Jeju has long had mutual aid tradition called suneulem so Jeju people try to help their neighbors in need even though they are not wealthy enough.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at Jeju's mutual aid characteristic influenced the fac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donations and intention of donations between the highly income household and low income household. Second, among the factors of social capital,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are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ontinuity of donations. Namely, it turned out that the more the trust level and social participation level are high, the higher the frequency of donations, amount of donations, intention of donations continuity, intention of donations recommendation and donations continuity. Meanwhile, social norms do not influence the donations continuity. The index of social norms of this study consists of norm observance by local residents, discrimination depending on the region of origin in local society, respect and reflection of opinion in local society, recognition of integrity degree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It is a useful result in understanding the fact that, in modern society, donations are not difficult act to be done only by those who has high social norms and social status, but a general act done by everybody. Third, among cultural inclination factors, vertical individualism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have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the donations continuity. This fact does not fit preceding research results (Kim Seon-woo ․ Kim Nan-do, 2010; Hong Seong-beom・Park Hye-kyeong, 2013) that the more the collectivism tendency is strong, the higher the chance of expression of altruism. And if donations are altruistic sharing to social value, collectivism tendency highly influences on the continuity of don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 is caused by Jeju's own unique cultural inclination, but this may be the point that needs further investigation whether there is another factor that can explain cultural inclination and the donations continuity.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zing result of social capital and cultural inclination on donations continuity, those two factors boost explanation power of donations continuity 2.5%-4.2% than analyzing only with social capital. Especially, they increase the explanation power of donations continuity the highest. It confirms that cultural inclination is a useful variable in explaining donations continuity. Based on those positi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strategies encouraging donations continuity with social capital and cultural inclination's points of view. First, as preceding researches lack social capital's various organizing factors and cultural inclination as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s continuity and most of the researches only used donor'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credibility of donating organization as variables, this result can offer a new perspective to related researchers. Second, as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s, this study took note of social relations and cultural aspects beyond the preceding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individual factors that premise dualistic human nature of altruism and selfishness. Therefore,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erms of expanding variables even to social and cultural aspects. Third, through this research, it verified that the more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rate, vertical individualism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are high, the higher the donations continu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social capital's sub-components and cultural inclination a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s continuity. Especially, as it is confirmed that cultural inclination is a useful variable in explaining donations continuity, individual cultural inclin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ncourage donations continuously.

      • 특별사법경찰행정 수사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고정윤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s society is changing very fast and developing through complicated interactions.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knowledge society, international exchange has been constantly increasing. This globalization, however, doesn't always lead to positive effects. Due to the rapid changes in modern society and the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different types of crime including motiveless crime, juvenile crime, and high-tech crime is increasing. Moreover, they are getting not only more outrageous but also more massive, involving a wide area. Such changes require the specialties in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criminal justice area. The lack of expertise doesn't allow the General Judicial Police Officials to investigate crimes efficiently and appropriately. As a solution, we are operating the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which empowers government officials in different sectors to investigate crimes on their sectors with Judicial Police Powers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security service for the citizens. Therefore, the Special Judicial Police Administration needs to make its efforts to provide the citizens with a high level of investigative service. For this matter, the Special Judicial Police Administration should improve its investigative power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on specific sectors. To have investigations specialized, firstly, the Special Judicial Police Administration should foster professionals. Secondly, through the continuous education for investigative skills they should develop their expertise for investigations so that they can provide the public-oriented police-administrative service. Lastly, the government should encourage the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ials engaged in investigations. Improving the Special Judicial Police Administration's investigating power cannot be considered as an abuse of human rights or an administrative regulation, bu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policy for the citizens. It can benefit the public that the Special Judicial Police Administration improves its investigative power. And the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ials can strengthen their status as professionals for investigations by striving to improve their investigating power. 오늘날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복잡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이른바 정보통신기술 및 지식정보사회로의 발달과 더불어 국제적인 교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화 추세는 긍정적인 측면만을 유도하지 않는다. 현대의 급격한 사회변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양적으로는 동기 없는 무분별한 범죄와 청소년범죄, 컴퓨터와 같은 첨단기술을 이용한 범죄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질적으로는 흉폭화, 집단화, 기동화, 광역화의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모든 분야에서 전문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형사사법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수사기관인 일반사법경찰관리가 전문분야에 대한 범죄수사는 전문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효과적이고 적정한 수사를 기대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로 각 전문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일반 행정공무원으로 하여금 전문분야에서 발생하는 범죄에 대해 사법경찰권을 부여받아 수사함으로 국민에게 높은 수준의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특별사법경찰제도를 운영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특별사법경찰행정은 보다 질 높은 수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정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전문적 교육을 통하여 특별사법경찰행정의 수사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또한 조직적 측면에서는 수사에 대한 전문화를 위해서 우선,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수사기법 교육을 통해서 수사에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 창조를 통해 국민중심 봉사중심의 고객지향적인 치안행정의 모습으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사의 전문화를 위해서 수사 분야에 종사하는 특별사법경찰공무원에게 사기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행정당국에도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할 것이다. 특별사법경찰행정 수사력의 강화는 국민의 인권 침해적·행정 규제적 측면으로 인식되어서는 안 되며 국민을 위한 정책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특별사법경찰행정수사가 전문화되어 수사력이 향상되면 당연히 그 이익은 국민으로 돌아 갈 것이며, 특별사법경찰은 수사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분발한다면 전문분야 수사 전문가로서 국민의 특별사법경찰로 거듭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 어린이집 교사의 CCTV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진연아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어린이집에 CCTV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된 후 전국 대부분의 어린이집에 의무 설치되었다. 설치취지를 이해한 후 CCTV 설치의 필요성, 효과성, 미설치 된 기관에 대한 선호도, 설치 후의 느낌, 사생활과 인권 침해 정도의 인식을 살펴보면서 어린이집 교사의 CCTV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과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현장에서 교사들이 느끼는 부작용을 줄이고 긍정적인 요소를 생각하는 기회가 되면서 CCTV에 대한 인식과 조직몰입,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영아들의 안전을 증진시키며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조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소재 국공립, 법인‧단체, 공공형민간, 민간, 직장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360부를 배포‧회수 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 50부를 제외한 310부를 최종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카이제곱(X2)검증, 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CCTV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CTV 설치 필요성에서는 결혼유무, CCTV 설치의 주된 목적에서는 자격증, CCTV 미설치 어린이집의 근무 선호도에 대해서는 연령대와 근무년수, CCTV 관리주체에서는 근무년수와 자격증에서 인식 차이를 나타냈고, CCTV 설치 이후의 느낌에서는 담당학급서, CCTV 설치 전‧후 느끼는 변화에서는 연령대와 담당학급, CCTV 활용의 부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최종학력에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몰입의 하위변인인 정서몰입, 규범몰입, 지속몰입과 심리적 소진의 하위변인이 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결여는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CCTV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의 정서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연령이 높을수록 정서몰입이 높아지고, CCTV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어린이집 교사의 CCTV에 대한 인식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들이 CCTV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정서적 고갈이 낮아지고, 교사들의 연령이 높을수록, CCTV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비인간화가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CCTV를 긍정적으로 인식 할수록 개인적 성취감 결여가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분석결과에 따른 제언을 제시하면, 교사와 부모 간의 상호존중과 신뢰가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 하며, CCTV를 악용하지 않도록 학부모들에 대한 소정의 교육이나 안내 지침 마련, 대국민 캠페인 등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어린이집 교사로서 전문적 정체성을 갖게 하고,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는 어린이집 교사 관련 일부 법‧제도 보완 등 법적인 제고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입장에서 긍정적으로 사용되어진 CCTV 사례나 CCTV에 대한 토론과 공론화 과정, 정기적인 연수 등의 교육을 통하여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변화를 이끌어 내는 제도적 방안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fter enactment of the Infant Child Care Act, which mandates the installation of CCTV in daycare centers, it is obligatory for most daycare centers nationwide. After understanding the intent of the installation,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CCTV in daycare center teach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considering the need & effect of CCTV installation, preference for No-CCTV institution, feeling after installation, and awareness of privacy and human rights violation. This is an opportunity to reduce teachers' side effects and to think about positive factors in the field, so 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CTV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burnout, ultimately to improve the safety of infan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In this study, 36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retrieved for teachers working in national, public, corporative, private, public-private Daycare centers in Jeju,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inally, 310 copies were analyzed except for 50 untrustworthy on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methods used in the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hi square (X2) verification,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CTV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necessity of CCTV installation, there was a perception difference by marriage status. And the main purpose of CCTV installation was affected by certifications, the preference of CCTV-free nursery by age & working years, the management of CCTV by working years & certifications, the feeling after CCTV installation by the class in charge, the before & after CCTV installation by age and class in charge, and the side effect of CCTV installation by final education status, etc. Secon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the emotional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persistent commitment as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emotional depletion, dehumaniza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at are the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exhaustion. Third, the perception of CCTV in nursery school teachers affects emo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igher the age of teachers, the higher the emotional commitment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CCTV. Fourth, the perception of CCTV in daycare teachers affected psychological exhaustion.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CCTV, the lower the emotional exhaustion. The higher the age of teachers,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CCTV, the lower the dehumanization. The more positive the perception of CCTV, the lower the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mutual respect and trust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s should be the first priority and policy measures should be taken such as providing parents with CCTV education or guidance and campaigning for the people who can abuse CCTV.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aws and systems related to nursery school teachers who can have a professional identity as a nursery school teacher and promote morale. Finally, it seems that there is also a need for a systematic way to nurture changes in the awareness of daycare teachers through positive CCTV cases, discussions on CCTV, public relations process, and regular training.

      • 청소년의 화폐태도가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 :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태한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르바이트 경험 실태,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에 관한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화폐태도가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의 관계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의 매 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으로, 비합리적 소비성향을 감소시키고 합리적인 소비성향 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제주도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 로 실시하였고, 설문지 700부를 배부하였으며, 634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 과 기술통계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으며, 요인분석과 신 뢰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쉐페의 다중범위검정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르바이트 실태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의 52.5%가, 대학생의 90.1%가 아르바이트를 경험하였다. 소득에 대한 사용처는 고등학생이 옷, 신발 등 패션비 용에 사용하는 경우가 37.6%로 가장 많았고, 대학생은 학비나 생활비에 사용하 는 경우가 37.9%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도 시작동기, 주된 근무시기, 주중 근무 일수, 일간 근무시간, 월 평균소득, 처음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나이 등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실태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화폐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별, 학교 급별, 고등학교-학년, 거주형태, 경제적 형편,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 소득사 용처, 일간근무시간, 월평균소득, 처음으로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나이에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소비행태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성별, 학교 급별, 학년, 가족형태,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 시작동기, 소득사용처에서 유 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교 급별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의 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한 결과 고등학 생과 대학생 모두 소비행태의 하위요인별로 화폐태도의 하위요인이 대부분 정(+) 의 영향을 미쳤고, 일부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 관계는 고등학생과 대학 생 집단 간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별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의 관계는 어떠한지 분석 한 결과 소비행태의 하위요인별로 화폐태도의 하위요인이 대부분 정(+)의 영향을 미쳤고, ‘경험 유’ 집단에서만 일부가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 관계는 ‘경험 유’와 ‘경험 무’의 집단 간 다르게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 급별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의 관계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은 매개효 과가 있을 것인가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은 화폐태도와 소 비행태와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화폐태도의 하위요 인 중 미래안정의 도구와 소비행태와의 관계에서는 아르바이트 경험의 매개효과 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은 화폐태도와 소비행태와 의 관계에서 모두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장차 주된 소비자로서 현명한 소비생 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합리적인 소비성향을 증가시키는 방안들을 모색하 였다. 비합리적 소비를 지양하고, 합리적 소비를 지향함으로써 똑똑한 소비자, 현 명한 소비자, 합리적 소비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향상된 재화와 서비스 즉, 향상된 복지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과 행 복을 추구하게 되는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money attitude on consumption behavior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art-time job experiences on the relation between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by looking at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part-time job experiences,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in Jeju Island. Ultimately, this research attempted to seek ways to reduce irra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to increase rational propensity to consume. A survey fo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Jeju Island by distributing 700 questionnaires. 634 of thos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18.0. Wit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main results of the above analy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reality of part-time job experiences showed that 52.5%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90.1% of the university students had part-time job experiences. In addition to this, the high school and the university student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reality of their part-time job experiences in many other factors including the motive for starting part-time jobs, income usage, main working time, the number of working days in a week, working hours in a day,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age at which they had the first experience of working part-time.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whether socio-demographic factors would make a difference to money attitude display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gender, school level, the grade in high school, the type of residence, economic situations, part-time job experiences, the usage of earnings, working hours in a day,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age at which they had the first experience of working part-time.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whether socio-demographic factors would make a difference to consumption behavior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school level, the grade, the type of family, part-time job experiences, the motive for starting part-time jobs, and the usage of earnings.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by school level exhibited that most sub-factors of money attitude had positive effects on each sub-factor of consumption behaviors in both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A few sub-factors had negative effects and the patterns of the relationship were different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Fif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link between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depending on part-time job experiences showed thatmost sub-factors of money attitude had positive effects on each sub-factor of consumption behaviors and some of the sub-factors had negative effects only in the group of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working part-time'. The relationship displayed different patterns between the groups who 'had' and 'did not have the experience of working part-time'. Six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if part-time job experiences would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by school level revealed that the high school students' part-time job experiences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their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means of future sta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 of part-time job experiences was not found. Meanwhil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of working part-time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link between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behaviors. This study tried to find ways to help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increase their ra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so that they can lead a sensible consumption life as main consumers in the future. This research tried to do so because students who abstain from irrational consumption and pursue rational consumption can become smart, wise, and rational consumers and, as a consequence, they can benefit from improved goods and services, in other words, improved welfare services. Eventually, their rational consumption propensity will become a driving force behind the pursuit of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 下位職公務員의 組織沒入에 관한 硏究 : 濟州特別自治道를 中心으로

        신미옥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신뢰와 양성평등인식수준․승진차별 인식수준, 직무만족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고,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연구 분석 틀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설문조사법을 통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은 사회과학 통계프로그램인 SPSS WIN(12.0)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응답자의 인사정책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소속조직의 보직배치 및 순환에 대한 인식수준은 각 개인별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직배치 및 순환에 대한 인식수준과는 달리 소속조직의 업무분장에 따른 성차별 인식수준에서는 응답자 모두가 성차별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보직할당제에 있어서 대부분 응답자들이 보직할당제에 대하여 찬성하였으나, 읍면동에 근무하는 응답자는 보직할당제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사 발령 시 희망근무기관 조사에서는 1순위로 도본청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2순위로 행정시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실증분석의 결과 첫 번째, ‘개인별 특성요인에 따른 신뢰수준, 양성평등 및 승진차별 인식수준,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에서는 부분적으로 개인별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 ‘신뢰수준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서는 조직신뢰․상관신뢰․동료신뢰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동료신뢰가 46.3(ad R2)%로 세 가지 변수 중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세번 째 연구문제 ‘양성평등 및 승진차별 인식수준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하여는 양성평등 인식수준 및 승진차별 인식수준 모두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성평등 인식수준이 조직몰입에 23.1(ad R2)%, 승진차별 인식수준이 조직몰입에 7.6(ad R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네번째 연구문제 ‘직무만족수준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하여는 직무만족수준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43.3(ad R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모든 요인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동료신뢰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제주특별자치도 하위직 공무원의 조직몰입 제고를 위하여 우선 조직구성원들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조직몰입에 주요 영향 요인인 동료신뢰․직무만족을 위한 조직문화의 긍정적 형성과 이를 촉진할 수 있는 공식적, 비공식적활동을 확대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특히나 조직내 신뢰양상은 조직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료 분석에 사용된 모든 측정치들은 제주특별자치도 소속 개별 공무원들의 주관적인 인식에 근거하고 있다. 이는 개인의 주관적인 편향성이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방향으로의 편향(social desirability bias)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조직의 특성이 설문조사 결과에 반영됨에 따라서 다른 조직에 결과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나타난다. 더불어 향후 연구에서 다른 조직과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있어서 객관적인 지표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로 조직몰입 연구에 있어서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요인을 가지고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에 조직몰입 영향요인에 있어서도 다양한 요인이 발생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의 영향요인을 가져와 영향정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가졌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내용을 정리함으로써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재정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 본 연구는 특정 시점에서 횡단적 연구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당시 상황적 특성에 따른 오염효과를 배제할 수 없으므로, 관계의 정확한 검정을 위해서는 조사시점을 달리한 종단적 연구의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또 조직몰입에 대한 우리나라 공직사회에 맞는 새로운 척도 개발과 표준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네 번째로, 본 연구는 하위직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를 실증분석한 논문으로 조직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 여는 하위직공무원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속하는 5급 이상의 공무원의 조직몰입도도 중요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조직몰입의 제고방안을 제언하는데 있어 전체 조직의 조직몰입 제고 방안을 제시 하는데 한계가 발생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조직전체에 대한 연구의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As a study that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the trust, the recognition level of gender equality․the recognition level of discrimination in promotion, an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looked into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n, the study composed an analytical tool for research based on the review. Also, with a view to discovering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hrough a survey research metho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study performed a reliability analysis, a factor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 t-test, ANOVA,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SPSS WIN (12.0), a social scientific statistical program.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spondents' recognition level of the personnel policy a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cognition level of appointment allocation and circulation in one's organization, each of respondents perceived those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characteristic. However, unlike the recognition level of appointment allocation and circulation, in the recognition level of sexual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role sharing in one's organization, all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not to feel sexual discrimination. Also, concerning the appointment allocation system, most respondents were for this system; however, respondents who were working in the unit of town, village, and district, were shown to recognize the appointment allocation system negatively. Lastly, in the survey of their desired institution regarding working during personnel changes, respondents selected a provincial office as their top priority, and then selected an administrative city a second top priority. Also, as a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first, in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reliability level, the recognition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discrimination in promo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there appeared a difference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part. In the second research problem, 'Will the reliability level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 the organizational trust․leader trust ․co-worker trus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and from among others, co-worker trust displayed the highest accountability out of the three variables, posting a 46.3(ad R2)%. As regards the third research problem, 'Will the recognition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discrimination in promotion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both the recognition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discrimination in promotion were discover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gender equality demonstrated accountability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tituting a 23.1(ad R2)%,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discrimination in promotion exhibited accountability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marking a 7.6(ad R2)%. In relation to the fourth research problem, 'Will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ccountability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ording a 43.3(ad R2)%. When looking into the summarized results, all factors concern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ach factor were discover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out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worker trust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junior level civil officer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t is imperative to seek ways to increase responsibility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more than any other. Naturally, it would be necessary to extend support for both official and non-official activities that may positively create and promote organizational culture for reliability on peers․job satisfaction, which are major influential factor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ticularly, the pattern of trust within an organization will be important for achieving the organizational goal.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may be as follows. First, all measured value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re based on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individual civil officers who belonged to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is can be a subjective bias of an individual or a social desirability bias. In addition, there appear to be limitations in reflecting these results to another organization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a certain organization were reflected in the survey research results. Plus, there would be a need for developing an objective index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a comparative study with another organization in follow-up studies. Second, the study looked into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various factors in studi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many scholars. Thus, there appeared to be various factors also among influential factors regar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vel of effect by taking influential factors from existing studies. Accordingly, follow-up studies should conduct research into the re-summarization of influential factors regar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summarizing research contents concerned with diverse organizational commitments. Third, this study is limited to traversal research at a specific point in time; thus, it is unable to exclude a pollution effect according to the situational character of the time. Hence, it would be necessary to attempt vertical research of which the point in time for investigation becomes different for an accurat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Furthermore, new scales need to be developed and standardized suitable for Korean civil service society regar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is study is a paper that empirically analyzed research into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junior level civil officers. Thus, in order to achieve performances of an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not only of junior level civil officers but also of civil officers at the 5th level or over, who belong to manager positions, would be important. Therefore, there appeared limitations in this study in proposing solutions for enhanc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ntire organization for the proposal of solutions for in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ly, follow-up studies will need to attempt research into the entire organization. keyword : organizational commitment, trust, gender equality, promotion, job satisfaction.

      •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성현숙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relations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educare teachers in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There are several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such aim of study like following;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educare teachers, secondly, Are there any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by working center characteristics of educare teachers, and thirdl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eneral, working center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of educare teachers. The sampl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350 educare teachers who working at private, corporate, and national or public etc educare centers in Jeju,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s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etc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l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of Age, marriage, education, years of experience etc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have relation with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educare teachers. Secondly, the work related characteristic variables of types of facility, location of facility, a pay level etc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have relation with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educare teachers. Thirdly, relationship with educare center director among the job satisfaction variables is the largest effective variable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educare teachers. and the job itself variable is the second.

      • 제주지역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수경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social worker experience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services to client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traumas, which affects burnout of social workers as well as mental difficulties such as depression. Furthermore, That's why it left Social welfar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on burnout in social work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secondary trauma stress and burnout. And to seek intervention and policy suggestions for preven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for 187 social workers in Jeju. Data were collected for two month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8. K-STSS were used to measure social worker's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D-RISC were used to measure the resilience. MBI were used to measure social worker's burnout and 8 items fo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8.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urnout of social worker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showed to be lower than average level, and the resilience shown to be higher than averag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negatively with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Resilience. Second, the higher the avoidance, the more emotional depletion, the lowered individual achievement, the more impersonal the client, and the hyperarousa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but the intrus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Third,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lower the emotional exhaustion, th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the depersonalization of the client. Fourth, as a result of check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t shows that the moderating effect is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usion and the emotional exhaus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resili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It is necessary to survey of secondary trauma stress and burnout for all social worker in Jeju. A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intervention programs in order to prevent and alleviate burnout in social worker by decreas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increasing resilience.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외상을 경험한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겪게 되며, 이는 우울 등 정신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게 되고 나아가 사회복지사가 이직을 고려하거나 사회복지현장을 떠나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직무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방안 및 정책적 제언을 모색해보기 위함이다. 제주지역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187명을 대상으로 자가기입식 설문이 이루어졌으며, 2018년 8월부터 9월까지 약 2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척도 K-STSS 17문항과 직무소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MBI 22문항, 레질리언스를 측정하기 위해 CD-RISC 25문항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8문항을 포함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소진 평균은 2.72점,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평균은 2.48로 평균보다 낮았으며, 레질리언스는 3.56점으로 평균이상으로 나타났다. 직무소진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가, 레질리언스의 경우 직무소진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회피적 사고가 심할수록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저하,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각성은 정서적 고갈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보였으나, 침습적 사고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레질리언스가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저하,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침습적 사고와 정서적 고갈의 관계에서만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다른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레질리언스가 직무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사회복지사들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파악이 요구되며,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조기중재, 직무소진 예방과 레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예방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중·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혜숙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학교, 일반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적응의 차이와 영향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요인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고등학생 시기의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학교적응에 필요한 구체적인 요인들을 살펴보고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중·고등학생 남녀 7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689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유형별 스트레스 요인은 학교스트레스와 가정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스트레스 지각 수준은 특성화고등학교가 가장 높고, 중학교, 일반고등학교 순이며, 가정스트레스는 중학교가 가장 높고, 일반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적극적 대처방식 사용은 일반고등학교, 중학교, 특성화고등학교 순이며,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은 특성화고등학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학교적응은 일반고등학교가 가장 높고, 중학교, 특성화고등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스트레스 지각이 높으며, 여학생이 사회적지지 추구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적응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스트레스 요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스트레스는 중학교, 일반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는 학교스트레스와 대인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일반고등학교는 학교, 가정, 대인, 자아스트레스 모두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고등학교는 중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에 비해 다양한 스트레스를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중학교, 일반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모두 적극적 대처방식의 문제중심적 대처방식과 사회적지지 추구방식이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는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이 교사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극적 대처방식의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은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사회적지지 추구방식은 가정스트레스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극적 대처방식의 정서완화적 대처방식은 가정스트레스, 대인스트레스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소망적사고 대처방식은 대인스트레스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중·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을 위해서는 학교스트레스와 가정스트레스의 감소가 필요하며,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는 스트레스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듯이, 적극적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하여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a difference and effect of junior high school, ordinary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tressor, stress coping strategy, and school adaptation, and to grasp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or and school adaptation. These results of study are intended to understand stress at junior high school·high school days and to carefully observe specific factors necessary for school adaptation, and to provide necessary baseline data. To this end, 750 male and female junior high school·high school student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surveyed. And 689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tiliz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18.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e study. The results produc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stressor according to school typ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school stress and home stress. The level of school stress perception was the highest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being followed by the junior high school, and ordinary high school. And in case of home stress, the junior high school showed the highest level, being followed by the ordinary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Next, with regard to stress coping strategy, active coping strategy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ordinary high school, being followed by the junio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was most frequently shown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Besides, it was shown that overall school adaptation was the best in the ordinary high school, being followed by the junio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n the other hand, female students' level of stress perception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And it was shown that female students used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a lot.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adaptation was shown according to gender. Second, with regard to an effect that stressor had on the school adaptation, it was shown that school stress had an effect on all of junior high school, ordinary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in case of junio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chool stress and interpersonal stress had an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in case of ordinary high school, it was shown that all of school, home, interpersonal, self-identity stress had an effect on the school adaptation. Accordingly, it was shown that various stresses were perceived in the ordinary high school in comparison with junio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ird, with regard to an effect that stress coping strategy had on school adaptation, it was shown that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and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ctive coping strategy,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in all of junior high school, ordinary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it was shown that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had a negative effect on adjustment to teacher in the junior high school. Fourth,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ctive coping strateg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And it was shown that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And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passive coping strateg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stress, interpersonal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And it was shown that wishful thinking coping strateg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duce school stress and home stress in order that junior high school·high school students adjust to their school. And as it is shown that actively coping with stres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so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will be utilized as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which can improve school adaptation by actively coping with stress.

      • 청소년 복지태도의 유형화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상미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내 3개 중학교 316명, 3개 고등학교 345명, 2개 대학교 310명으로 총 97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복지태도 유형화와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태도의 구성요소별 수준은 국가책임(4.30점), 효과성(3.88점), 실천의 지(3.87점) 순으로 나타나 대부분 높은 평균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복지태도의 수준은 여자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교 급별에서는 학년이 높을수록 복지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셋째, 복지태도를 국가책임, 효과성, 실천의지로 개념화하고, 이러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복지태도의 영역을 유형화 하였다. 그 결과, 국가주도 이타형, 민간주도 이타형, 민간의존 이타형, 국가주도 배타형, 민간주도 배타형, 국가의존 배타형, 민간의존 배타형 등의 여덟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유형들의 분포를 살펴보 면, 민간의존 배타형이 28.2%로 가장 많았으며, 국가주도 이타형이 22.6%를 차지 하고 있었다. 넷째, 어떠한 영향요인에 의해 바람직한 복지태도 유형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 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지태도의 구성요소별 분석인 1차원 분석, 2차원 분석, 3차원 분석에서는 인권의식의 하위변인 중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인식이 높을수록 바람직한 복지태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대중 매체 이용경험에서는 부모와 함께 영상물 시청을 하는 집단일수록 바람직한 복 지태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았다. 정치적 효능감에서는 내재적 효능감이 높을수 록 긍정적인 복지태도가 나타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을 실시한 결과, 국가책임에서는 가정소득,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사회적 약자· 소수자의 권리, 인터넷 의견교환, 부모와의 영상물 시청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기능의 효과성에서는 학교급별, 시민·정치적 권리, 경제·사회·문화 적 권리,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권리, 인터넷 의견 교환, 부모와의 영상물 시청, 내재적 효능감이 영향을 미쳤다. 복지실천의지는 시민·정치적 권리, 경제·사회·문화적 권리,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권리, 부모와의 영상물 시청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태도 전체에 대해서는 가정소득, 시민·정치적 권리, 경제· 사회·문화적 권리,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권리, 인터넷 의견교환, 부모와의 영상 물 시청, 내재적 효능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종합할 때 인권의식, 정치효능감, 대중매체 이용경험은 복지태도 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복지태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복지태 도를 국가책임, 효과성, 실천의지의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개념으로 체계 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복지태도를 세 가지 구성요소의 높고 낮음을 조합한 1차원 분석, 2차원 분석, 3차원 분석 등을 통해서 여덟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국가주도 이타형, 민간 주도 이타형, 국가의존 이타형, 민간의존 이타형, 국가주도 배타형, 민간주도 배 타형, 국가의존 배타형, 민간의존 배타형으로 명명된 여덟 가지 유형은 청소년의 복지태도 실태를 진단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복지태도의 재개념화는 복지교육을 통해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와 방향을 명확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는 복지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 다. 넷째, 중·고·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의 복지태도 실태에 대한 연구는 청 소년의 복지태도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탐색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 다. 다섯째, 본 연구는 복지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검증을 통해 복지태도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선 학교 급별 발달단계를 고려한 복지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성찰해 볼 수 있다. 또한 남녀에 따른 복지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성별에 따른 복지교육정책을 달리 시 행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여섯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 교과서가 복지태도 함양에 있어서 판 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통합사회과에서 복지와 관련된 내용이 복지태도를 고 르게 양성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는지 검토함으로써, 최근 실시되고 있는 교육과정 에서의 복지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일곱째, 본 연구는 제주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복지태도의 세 가지 구성요소 를 중심으로 유형화 하였고, 유형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이 러한 지방정부차원에서의 복지태도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정 부차원에서의 정책을 집행함에 있어 국민들의 복지태도에 대한 의식수준을 파악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typology of adolescence’s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and influencing factors with a total of 971 students (316 students from 3 middle schools, 345 students from 3 high schools, and 310 college students from 2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factors constructing their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showed overall high average distribution; government’s responsibility (4.30), effectiveness (3.88), and willingness to act (3.87), respectively. Secondly, female students have a higher level of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than male students do. When it comes to grades, the higher grades, the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system. Thirdly, the attitudes were conceptualized as consisting of government’s responsibility, effectiveness, and willingness to act. The conceptualized attitudes led the scopes of the attitudes to be classified into 8 different types; government-leading altruistic type(22.66%), private-leading altruistic type(6.69%), government-depending altruistic type(8.75%), private-depending altruistic type(8.03%), government-leading exclusive type(8.55%), private-leading exclusive type(9.37%), government-depending exclusive type(7.72%), and private-depending exclusive type(28.22%). Fourthly, based on the analysis of logistic regression, the higher consciousness of right regarding economy, society, and culture which were sub-variables of human right, the higher likelihood of government-leading altruistic type through 1, 2, and 3 dimensional analysis by constructing factors. In terms of the experiences of mess media, a group of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mess media with their parents’ presence were more likely to prefer government-leading altruistic type of attitude than other groups. The stronger internal efficacy they have,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hey have when it comes to political efficacy. Lastly, the result of analysis of hierarchical regression presented that government’s responsibility over social welfare system would be influenced by house income, social/economic/cultural rights, the rights of marginalized groups,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experiences of mess media with parents. Also,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functioning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grades, civil and political rights, social/economic/cultural rights, the rights of marginalized groups,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internal efficacy. Additionally, willingness to engage in social welfare was influenced by civil and political rights, social/economic/cultural rights, the rights of marginalized groups, the experiences of mess media with parents. Overall, it is confirmed that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had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house income, social/economic/cultural rights, the rights of marginalized groups,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experiences of mess media with parents,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 internal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described abo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introduced as follows. Firstl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could be practically conceptualized as a combination of government’s responsibility, effectiveness, and willingness to act. Secondly, the attitudes could be classified into 8 types by the 1, 2, and 3 dimensional analysis; government-leading altruistic type, private-leading altruistic type, government-depending altruistic type, private-depending altruistic type, government-leading exclusive type, private-leading exclusive type, government-depending exclusive type, and private-depending exclusive type. It is believed that this typologically unique approach could be utilized as a practical and useful tool to make a diagnosis of adolescence’s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Thirdly, re-conceptualization of social welfare attitudes would probably be helpful to set a goal and direction of education in terms of social welfare. Simultaneously, this advantage would contribute to a educational structure of social welfare. Fourthly,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facilitate more deepen understandings of adolescence’s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and discover latent or manifest problems and issues. Fifth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practical plans and approaches in order to enhance attitudes about social welfar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hat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would be evaluated in an appropriate way with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ver social welfare attitudes. Also, there should a distinguishable method to decide a proper educational approach by gender. Sixthly, a newly designed textbook ‘Society’ based on 2015 curriculum could be investigated if it provides enough background nurturing positive attitudes of social welfare. Lastly, although this study was performed over adolescence at a local level within Jeju area in terms of their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imported and utilized at a national level to verify the attitudes of entire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