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점토활동에 나타난 영아의 표상과 도구 사용 방법의 미시발생적(microgenetic) 변화

        한영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1. 점토 활동에 나타난 만2세 학급 영아의 표상 변화 양상과 다양성은 어떠한가? 1-1. 영아가 나타내는 표상의 수는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1-2. 영아가 나타내는 표상의 변화 경로는 어떠한가? 1-3. 영아가 나타내는 표상의 변화 속도는 어떠한가? 2. 점토 활동에 나타난 만2세 학급 영아의 도구 사용 방법 변화 양상과 다양성은 어떠한가? 2-1. 영아의 도구 사용 방법의 수는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2-2. 영아의 도구 사용 방법의 변화 경로는 어떠한가? 2-3. 영아의 도구 사용 방법의 변화 속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W어린이 연구원에 다니고 있는 만2세 학급 영아 9명이다. 영아들이 점토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표상과 도구 사용 방법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색점토와 점토활동 도구를 제시하였고, 한 영아 당 참여 시간을 200분으로 적용하였다. 점토활동에 나타나는 변화의 측면을 알아보기 위하여 Flynn과 Siegler(2007)가 제시한 다섯 가지 측면을 번안, 수정하고 유아교육전문가 1인의 검증을 받아 관찰에 사용하였다. 영아들의 표상 변화 양상 및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해 Wolf와 Perry(1988), Lowenfeld와 Brittain(1982), Golomb(2004), Piaget(1967, 1969), Wittmer와 Peterson(2011)의 연구를 참고하여 정교성, 사실성, 표현성, 의도성이라는 네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영아들의 도구 사용 방법 변화 양상 및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해 김희진·김언아·홍희란(2004b), Wittmer와 Peterson(2011)의 연구를 참고로 도구 사용 범주를 정리하고, 유아교육전문가 1인의 검증을 받아 사용하였다. 만2세 학급 영아 2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활동 시간 및 장소의 적합성과 자료 및 제시 방법의 적절성, 관찰 대상 영아의 적정 수 등을 알아보고 수정하였다. 본 연구는 영아들이 연속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오전과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동일한 색점토와 점토 도구를 제시하였다. 매 관찰마다 영아들의 활동을 기록하고 비디오 촬영하여 활동 직후 전사한 부분과 촬영한 내용을 비교, 대조 하였다. 각 영아별로 표상의 수와, 네 가지 측면에서의 변화 경로, 표상의 변화 속도를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각 영아가 보여주는 도구 사용 방법의 수와 변화 경로, 변화 속도를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상의 수와 속도는 개인 간 차이가 뚜렷하였고, 일부 영아에게서 개인 내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대상 영아의 절반 이상이 활동 시간 경과에 따라 표상의 수가 증가하였다. 표상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영아들이 특정 범주의 표상을 반복하고, 표상 수 증가에 따라 표상이 속하는 종류의 수와 범위도 확대되었다. 또한, 표상의 내용이 구체화 되었으며, 영아마다 변화 양상이 다양하였다. 표상의 수와 속도 간에는 일관성 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표상의 변화 경로는 정교성, 사실성, 표현성, 의도성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영아들은 점토활동을 통해 일관성 있는 변화를 보여주거나 점차 발전하였으며 점차 후퇴하는 변화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영아들은 점토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점차 발전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표상의 네 가지 변화 경로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었다. 표상의 변화 경로 역시 개인 간 차이가 개인 내 차이보다 크게 나타났다. 셋째, 도구 사용 방법의 수와 속도는 개인 간 차이가 분명하였고, 몇몇 영아에게서 개인 내 차이도 나타났다. 대상 영아들 모두 시간 경과에 따라 많은 수의 도구 사용 방법을 보여주었다. 도구 사용 방법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영아마다 도구 사용 방법의 내용이 각기 달랐으며, 선호하는 특정 유형을 빈번하게 나타냈다. 도구 사용 방법의 변화 속도 역시 개인 간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도구 사용 방법 수와 속도는 일관성 있게 변화하지 않았다. 넷째, 도구 사용 방법의 변화 경로는 영아 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영아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방법을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영아에 따라 사용 방법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사용 목적에도 차이가 있었다. 일부 영아의 경우 개인 내에서도 도구 사용의 방법과 목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다. 연구를 통해 동일한 활동에 참여한 영아들의 개인 간, 개인 내 차이가 매우 다양하며, 교사 및 성인이 영아들의 미세한 변화를 포착하여 그에 적합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microgenetic changes in how to use a tool and the representation appeared by young children in their clay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ere identified. 1. How does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appear in clay activity? 1-1. How does the number of representation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line? 1-2. How does the path of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change? 1-3. How often does the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change? 2. How does young children's way to use tools appear in clay activity? 2-1. How does the number of way to use tools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line? 2-2. How does the path of young children's way to use tools change? 2-3. How often does the young children's way to use tools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9 children in a 2 and 3-year-old children class at W Children Institute located in Seoul city. To look into the changes in how to use tools and the representation appeared by the young children in their clay activities, the color clay and clay activities tools were presented and 200 minutes were given per child as the participation time. To find out the aspects of changes in the clay activities, the adaptation and modification were made on the five aspects suggested by Flynn and Siegler(2007) and then verifi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 in order to be applied to the observation. To look into the variability and the changes in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the researches by Wolf and Perry(1988), Lowenfeld and Brittain(1982), Golomb(2004), Piaget(1967, 1969), Wittmer and Peterson(2011) were referred and then divided into four aspects: Accuracy, Reality, Expression and Intention. To find out the variability and the changes in young children's way to use tools, the research by Kim Hee-jin, Kim Un-A, & Hong Hee-Ran (2004b) and that by Wittmer and Peterson(2011) were referred to classify the using tools categories, and then verifi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 in order to be applied to this study.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performed with the subjects, two 2-year-old children to find out the suitability of activity time and place; the appropriacy of data and proposal method; the adequate number of young children as the subject, and then the modification was made on such results. In this study, the same color clay and clay tools were given in the free choice activity time in the morning and the day time, so that the young children would be involved in the continuous activity. At every observation case, the young children's activities were recorded and video taped in order to compare between the tapes and the transferred parts immediately after such activities. The record and the analysis were made on the path of changes and the rate of change in representation from four aspects, as well as the number of representation cases per child. The number of the way to use tools, the path in changes and the rate of changes were also recorded and analyzed, as shown by each chil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each individual clearly showed discrete difference in the number and the rate of representation, with the difference inside an individual observed in some young children. More than half of the young children showed the increased number of representations as more activity time has passed. From the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representation, the young children repeated the representation in the particular category, and the number and the scope of representation types also expanded as the number of representation increased. In addition, the contents of representation became more concrete with the variability in the changes per young child. There was no consistent change between the number and the rate of representation. Second, the path of changes in representation was looked into from the four aspects of accuracy, reality, expression and intention. The young children showed consistent changes or gradual development through the clay activities or sometimes, showed gradually regressed changes. Most of the you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clay activities continuously, showing gradually improved aspects. It was found that the four paths of changes in represent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 path of change in representation also showed greater difference in inter-individual rather than that in intra-individual. Third, there was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s in the number and the rate of way to use tools, with the difference intra-individual in some young children as well. All the subject young children showed more number of way to use tools as more time has passed.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divided types of way to use tools, every young child had different way to use tools, with the frequent preferred particular type per young child. The rate of changes in the way to use tools was also different between the individuals, while the number and the rate of the way to use tools did not show consistent changes. Fourth, the path of changes in the way to use tools showed the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young children. The young children frequently used their own preferred methods. Also in the case of using the same tool, every young child was different in how to use the tool and in the purpose of use as well. Some young children had the purpose and the way to use tools changed by the time line even intra-individual.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pretty variabl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individual and the intra-individual among the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ame activities, and it is important that the teachers and the adults capture and understand the minute changes of young children and then provide proper support.

      • 관여수준과 소구유형이 소비자의 정보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검색유인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곽용덕 연세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is a study of the difference in consumer reaction on advertisements based on product involvement and advertisement appro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FCB Grid Model, advertisements are sorted in 4 formats by product involvement and advertisement approaching methods. To prevent the influence of each consumer's personality, survey samples are equally allotted by sex and age. Valuation is practiced by 6 reliable measurements of advertisement reaction and different levels, which are sectioned by formats of presented ads, are used in further analysis.Presented advertisements are visual ads of high involvementrational product 'Think pad' and high involvementemotional product 'X-note', low involvementrational product 'Condition' and low involvement emotional product 'Need 2%'.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The level of advertisement reaction, information search and consumer's interest are differentiated by the format of advertisements, consumer's involvement and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4 information searching ads, the main factor stimulating consumer's interest is information search, and the main factor influencing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is activity of emotion. These results show that advertisements which stir curiosity and excite consumers mainly affect information research. When target consumers are lowly involved or emotional, the factors of emotional activity should be handled more importantly. On the other hand, when target consumers are highly involved or rational, the factors of brand attitude are relatively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product are decisive factors.This study gives an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searching advertisement in the viewpoint of consumers, and the basic information to understand formats of information searching advertisement which can draw consumers to affirmative attitude by concerning different approaching methods, involvement and personality. 본 연구는 제품관여도와 광고소구 방법에 의해 제작된 광고에 대한 소비자반응의 차이점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먼저 광고물을 FCB Grid 모델에 따라 제품관여도와 소구 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4가지 형태의 광고물을 준비 하였으며, 소비자 특성에 따라 광고물의 평가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개별 광고물을 측정하는 소비자를 성별, 연령별로 동일하게 할당함으로써 개별 광고물을 측정하더라도 동일한 소비자 집단이 측정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유도하도록 한 후 각각의 광고물에 대한 평가를 받도록 하였다. 광고물을 평가하는 차원은 타당성이 검증된 6가지의 광고 반응 차원을 이용하였으며, 제시된 광고물의 형태에 따라 각기 다른 차원이 이후의 분석에 이용되었다. 제시된 광고물은 고관여이성적 제품인 씽크패드 와 고관여 감성적인 제품인 엑스노트, 저관여이성적인 제품인 컨디션과 저관여감성적인 제품 2프로 부족할 때의 동영상 광고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제시된 광고물과의 형태, 소비자 관여도 및 개인성향에 따라 광고반응 차원 및 정보탐색도, 구매의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4종의 검색유인광고를 분석하여 본 결과 구매의도를 자극 하는 여러 요인 중 정보 탐색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정보탐색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활성화 임을 알 수 있다. 즉, 소비자에게 감정활성화 즉 궁금함 또는 흥분을 제고 시키는 광고가 정보탐색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소비자의 관여도가 낮거나 감성적 성향을 가진 소비자집단을 타겟으로 하는 경우 감정활성화 요인은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 져야 할 것이다. 반면에 소비자의 관여도가 높거나 이성적인 성향을 가진 소비자 집단은 소비자의 정보탐색에는 상표태도가 상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상표태도를 형성하는 제품의 신뢰도나 제품 만족도가 보다 더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다.본 연구를 통해 인터넷 마케팅과 연계한 검색유인광고를 소비자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광고 소구방법, 소비자의 관여도,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긍정적인 소비자 태도 변화를 도출할 수 있는 검색유인광고 유형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현황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양혜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public kindergartens and how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those activiti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and strengthen the quality of extra curriculum activities for a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above,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as below; 1.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 of full-day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public kindergartens? 2. What is the perception of teachers towards full-day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public kindergartens? 3. What is the perception of parents towards full-day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public kindergartens?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81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151 parents. The research tool was developed in consultation with an expe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aking references such as questionnaires developed by Kim Beop Jeong(2005), Park Min Seong(2005), Choi Su Yeon(2010), official notice on extra curriculum activities and opinions from the teachers and parents etc.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public kindergartens run 1-2, sometimes as many as 6 different types of extra curriculum activities. Looking at the type of activity, physical education was most common with art, science and music following after respectively. Most children in full-day classes and more than half of children in half-day classes were participating in extra curriculum activities. The size of these activities were mainly in large groups, physical education classes being the largest where as science, art, music classes relatively in smaller groups. The frequency of these activities was mostly once a week and usually lasted 40-50 minutes. Fees to participate in such activities were either free-of-charge or costed between the range of 10,000 won to 20,000 won per child. Instructors of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were mostly college graduates majoring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Besides the extra curriculum activities in kindergartens, over half of the children were taking part in other activities privately, about 1.6 activities per child. In addition, most public kindergartens were utilizing extra curriculum programs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ut some were running their own. Kindergarten teachers usual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s assistant teachers while negotiating and discussing actively with the instructors hired from outside. Second, in regards to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towards extra curriculum activities, 71.6% of the teachers endorsed the activities with the top reason being ‘able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 to children’. On the hand, teachers who were against the activities disapproved mainly due to overload of work. When asked about which activities are required in extra curriculum programs, teachers replied in the order of physical education, music, science, art, foreign language etc. Teachers highly regarded the expertise of the instructors and their understand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on the overall, expressed more than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More importantly, they thought children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activities without much stress and perceived parents did not feel big financial burden to support these activities. They replied 2-3 activities, 1-2 times a week, each activity duration of 40-50 minutes as adequate. Interestingly , opinions on whether to link the regular curriculum to these extra curriculum and whether class teachers should participate or not were divergent. In regards to difficulties they face, recruiting the right eligible instructors from outside and overload of work etc were addressed. Third, in regards to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towards extra curriculum activities, 93.4% of the parents endorsed the activities with the top reason being ‘able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 to children’ in par with the teachers’ view. It was found that most parents choose kindergartens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ve extra curriculum or not and listed physical education, art, music, science, foreign language etc as necessary activities. Most parents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expertise of the instructors,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and the understanding level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etc. More importantly, they thought children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activities without much stress and that financial burden of supporting these activities was low below average. They replied 2-3 activities, 1-2 times a week, each activity duration of 30-40 minutes as adequate. In addition, parents addressed the content of extra curriculum activities, lack of information on the instructors, lack of variety in program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n children by the instructors etc as problems to be solved. 본 연구에서는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각각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면서도 질 높은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현황은 어떠한가? 2.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공립유치원의 교사 81명과 학부모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김법정(2005), 박민성(2005), 최수연(2010)의 질문지와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관한 공문, 교사와 학부모의 의견 등을 토대로 연구자가 유아교육 전문가 1인과 협의·검토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평균 1∼2개에서 최대 6개의 활동을 실시하고 있었다. 활동의 종류로는 체육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미술, 과학, 음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종일반 유아의 대부분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반일반 유아도 과반수가 참여하고 있었다. 집단 구성은 주로 대집단이었으며 특히 체육의 경우 대집단 활동이 많았고, 상대적으로 과학, 미술, 음악은 소집단의 구성도 많았다. 활동 횟수는 주 1회가 가장 많았고, 활동 시간은 보통 40분∼50분이었으며, 활동비용은 무상이거나 1∼2만 원대가 가장 많았다. 종일제 특성화 강사는 주로 예·체능을 전공하였고 대졸 출신이 많았다. 유아의 과반수는 종일제 특성화 활동 외에도 1인당 1.6개의 특별활동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특별활동의 실시 비율도 높아졌다.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교육과학기술부가 개발한 특성화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으나 일부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담임교사는 주로 보조 교사로 참여하며 특성화 활동 강사와 수시로 협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71.6%의 교사가 종일제 특성화 활동을 찬성하였으며, 다양한 경험의 제공을 가장 큰 이유로 손꼽은 반면 반대의 이유로는 교사의 업무 부담의 과중이 가장 많았다. 한편 교사는 필요한 종일제 특성화 활동으로 체육, 음악, 과학, 미술, 외국어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교사는 특성화 강사의 전문성과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도, 활동 내용의 적절성 등이 대체로 높다고 평가하며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만족을 보였다. 또한 교사는 종일제 특성화 활동으로 인한 유아의 스트레스가 적으며 만족도는 높고,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은 적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적정한 특성화 활동의 개수는 2∼3개, 주당 횟수는 주 1∼2회이며, 1회 활동 시간으로 40분∼50분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한편 정규 교육과정과의 연계와 담임교사의 특성화 활동 참여에 대해서는 교사 간 의견이 분분하였으며, 특성화 강사의 채용과 과중한 업무 부담 등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공립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93.4%가 종일제 특성화 활동을 찬성하였으며, 교사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경험의 제공을 가장 큰 이유로 손꼽았다. 학부모는 대체로 종일제 특성화 활동 실시 여부를 고려해 유치원을 선정하지는 않으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활동은 체육, 미술, 음악, 과학, 외국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부모는 강사의 전문성, 활동 내용의 적절성,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도 등을 높게 인식함으로써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한편 학부모가 인식하는 특성화 활동으로 인한 유아의 스트레스는 적고 만족도는 높았으며, 학부모의 특성화 활동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은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가 생각하는 적정한 특성화 활동의 개수는 2∼3개, 주당 횟수는 주 1∼2회이며, 1회 활동 시간으로 30분∼40분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한편 학부모는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내용 및 강사에 대한 안내 부족,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강사의 유아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을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 대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인식

        홍누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 folds. First, it aims to examine the level awareness of mothers who are North Korean defectors have regarding the children’s rights and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these rights through factors such as family structure and South Korean educa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 the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think about the rights of their children?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about the rights of their children depending on their family structur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se participants had children aged three to five-year-ol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wareness these mothers have of their children’s rights, I have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and applied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topic analysi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aking data into a co-occurrence matrix with selected words, key-word analysis, keyword-centr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analysis. Furthermore, I hav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about their children’s rights by family structure, the interview text materia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others' groups, and text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cosine similarity, QAP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and permutation tests were employe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recognized children’s right for protection and the right to education as critical concepts. Regarding the right to protection, the mothers recognized parents, families, daycare centers, and the state as the primary agents of the right to protection. They recognized that they had the right to protection from discrimination despite the diversity in culture and family background. In a similar context, the mothers recognized the right to education about income and the right to receive proper attention, guidanc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right to expression. Furthermore, these mothers recognized that their children had the right to express their opinions freely and to be respected by their parents. These rights were concepts that the mothers had acquired in South Korea. Second,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had different perceptions depending on the family structur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South Korea. Specifically, single-parent mothers viewed education as a protective fence. On the other hand, mothers with marriage partners mentioned recognized that children had the right to develop abilities and skills. Furthermore,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had different perceptions about their children’s right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in South Korea. Mothers with no educational background in South Korea focused on the most fundamental parental responsibilities. On the other hand, mothers attending college or with higher degrees were more aware of the rights of children that the South Korean society considers appropriate and healthy.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I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Fir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enhance partnership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and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must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reflect the nee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efectors mothers and childre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as it provides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awareness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have of their children’s rights. The present study provides timely evidence of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t a time where an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defectors is critically required. Furthermore, it advances the current knowledge base by uncov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erceptions based on various backgrounds and circumstances.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가정 형태, 남한 학력에 따른 권리 인식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 대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 대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인식은 가정 형태, 남한 학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며, 만 3세에서 만 5세까지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40명이었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면담 텍스트 자료를 생성한 뒤, 텍스트 연결망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분석은 자연어 처리, 행렬화, 핵심어 분석, 핵심어 중심 연결망 분석, 실루엣 계수를 이용한 토픽 분석을 실시하였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가정 형태, 남한 학력에 따른 권리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면담 텍스트 자료를 어머니 집단에 따라 분류하고,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은 코사인 유사도를 이용한 단어 유사도 분석, QAP(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상관분석과 순열검정을 이용한 텍스트 연결망 유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서 보호 받을 권리, 교육 받을 권리를 핵심 개념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보호 받을 권리와 관련하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보호권의 이행 주체로 부모, 가정, 어린이집, 국가를 인식하였고, 자녀가 어떤 문화와 가정에 속하든지 차이를 인정받고 차별을 받지 않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교육 받을 권리와 관련하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교육권을 소득과 연관 지어 인식하였고, 자녀가 국가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받을 권리, 부모와 교사의 협력을 통해 관심과 지도를 받을 권리, 본인 의사를 언어로 표현하는 것에 대한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자녀가 자유롭게 의견을 말할 권리와 부모에게 의견을 존중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자녀의 권리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남한에 와서 새롭게 알게 되었거나, 남한에서 공부를 하며 알게 된 것이었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가정 형태, 남한 학력에 따라 권리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가정 형태에 따라 유아기 자녀의 교육 받을 권리를 다른 맥락에서 설명하고 있었다. 한부모 가정 어머니는 자녀의 교육권에 대해, 자녀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 기회를 보장받는 것과 교육 받는 여건에 초점을 맞추고, 현재 교육이 울타리의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양부모 가정 어머니는 자녀의 교육권에 있어 부모의 역할을 언급하였고,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상의 관점을 가지고 자녀의 능력과 자질을 개발할 권리를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남한 학력에 따라 유아기 자녀의 권리를 부모와 연결 지어 다른 맥락에서 설명하고 있었다. 남한 교육경험이 없는 어머니들은 자녀가 성장하는데 필요한 부모의 기본적인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반면, 대학교에 재학 중인 어머니와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어머니들은 남한 사회가 보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유아의 권리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와 자녀를 위한 세심하고 긴밀한 협력 도모할 필요가 있고, 교사교육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와 자녀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선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가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관심사를 반영하고, 이들의 요구에 맞는 특화된 내용과 방식에 중점을 맞추어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해가 더욱 필요해진 시점에서 유아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어머니의 권리 인식 및 어머니의 다양한 배경과 상황에 따른 권리 인식의 특성에 대해 다각적인 이해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 유치원 독립편성 전일반에서의 일상생활 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진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learning how character education through routine daily-life guidance in the all-day kindergarten class influences a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along with providing preliminary reference to improve a child’s pro-social behavior. The following are the subjects for inquiry designed for the research objectives: 1. How does routine daily-life guidance through character education in the all-day class affect a child’s pro-social behavior? 2. What are the influences that the three types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routine daily-life guidance exert upon a child’s pro-social behavior? 1) How does individual character education in everyday life influence a child’s pro-social behavior? 2) How does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eacher-driven activities influence a child’s pro-social behavior? 3) How does character education through problem situations influence a child’s pro-social behavior?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ction research done in the independently organized all-day class named the "Sarang Class" at Somang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venteen 4 and 5 year-old ones of twenty 3-5 year-old children in the class. The tool implemented in the research was Kim Young-ok(2003)'s pro-social behavior test tool. For the sake of the research, I acknowledged the problems of the character education conducted in the all-day class and sought for solutions for them. I also planned three types of character education methods through routine daily-life guidance and consistently practiced them for 5 weeks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on the working days from September 24, 2012 to October 31 of the same year. Of the three types,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individual method was implemented every day whil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eacher-driven one was designed to be used once or twice a week. Then, th third type, character education in daily life through problem situations was done in an individual or a group form whenever problem situations and dilemmas happened when the individual character education was being practiced. To study the result of the different types of character education, I compared the Children's averaged out pro-social behavior grades before and after the character education and analyzed teacher's instruction strategies, children observation data, an interview with the colleague teacher, teacher journals, etc. The following are the summarized outcomes of this research: Firstly, character education through routine daily-life guidance exerts positive influences on improvement of a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For such education, care, respect, cooperation, share and order are selected as human virtues, and education to realize the worth of the virtues is conducted, because they equal to pro-social behaviors such as leadership, helping others, communication, leading care, approaching others, sharing, empathy and controlling emotions that are required to get along with others, overcome conflicts and live peacefully. Secondly, three types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routine daily-life guidance also exert positive influences on improvement of pro-social behavior of the preschooler who attends the all-day kindergarten class. With sole individual character education through routine daily-life guidance, the teacher could find it hard to guide the children to acknowledge human virtues and with only teacher-driven character education, she could have trouble leading her children to practice the value of the virtues continuously. Moreover, we can conclude that character education have fully exerted positive influences upon a child's pro-social behavior only when the three types of character education are done together as character education through problem situations can be conducted when the other two types of character education are practiced. This research accentuates the need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routine daily-life guidance. On the other hand,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should take, and specific instruction methods. I hope this research helps teachers in the field practice proper and practical character education to our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연구를 통해 유치원 독립편성 전일반에서의 일상생활 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인성교육 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독립편성 전일반에서의 일상생활 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유치원 독립편성 전일반에서의 일상생활 지도를 통한 세 가지 유형의 인성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가. 일상생활에서의 개별적인 인성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 교사 주도 활동을 통한 일상생활에서의 인성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 문제 상황을 통한 일상생활에서의 인성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실행연구를 통해 서울시에 위치한 대학부속유치원인 소망유치원의 독립편성 전일학급인 사랑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이 학급의 만 3·4·5세 24명의 유아 중 만 4·5세 유아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교사가 평정하는 김영옥(2003)의 친사회적 행동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독립편성 전일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성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문제점에 따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치원 독립편성 전일반에서의 일상생활 지도를 통한 인성교육 방법을 세 가지 유형으로 계획하여 2012년 9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5주 동안 오전·오후의 하루일과 운영 중에 지속적으로 실행하였다. 인성교육 방법의 세 가지 유형 중 일상생활에서의 개별적인 인성교육은 매일 지속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교사 주도 활동을 통한 일상생활에서의 인성교육은 주 1∼2회로 계획하여 실행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유형인 문제 상황을 통한 일상생활에서의 인성교육은 일상생활에서의 개별적인 인성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문제 상황이나 딜레마 상황이 생길 때마다 개별 혹은 집단의 형태로 수시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사전점수와 사후점수 간의 평균을 산출하여 비교하였으며, 교사의 교수전략을 체크한 자료와 유아 관찰 자료, 교사 저널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 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은 유치원 독립편성 전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 이유는 유치원 독립편성 전일반에서의 일상생활 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을 위해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등의 인성덕목을 선정하고 인성덕목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을 하게 되는데, 이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갈등을 극복하며 평화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 등의 발달을 돕는 친사회적 행동과도 일치하기 때문이다. 둘째, 일상생활 지도를 통한 세 가지 유형의 인성교육 방법은 유치원 독립편성 전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상생활에서의 개별적인 인성교육만으로는 인성덕목의 가치를 인식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며, 교사 주도 활동을 통한 일상생활에서의 인성교육만으로 인성덕목에 대한 가치를 지속적으로 실천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문제 상황을 통한 일상생활에서의 인성교육은 앞의 두 가지 유형의 실행과정을 통해서 나타날 수 있는 인성교육 방법이므로 이 세 가지 유형의 인성교육 방법이 함께 실행됨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 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인성교육의 방향과 구체적인 지도 방법을 제시해 주었다는 데 의의를 지니는 연구이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에게 효율적인 인성교육을 실천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청소년의 흡연 환경과 금연시도경험의 관련성

        이국화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배경 및 목적 : 오늘날 청소년들은 각종시험과 입시 스트레스, 가정환경, 또래와의 관계 등으로 일탈 행위에 빠지게 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흡연이다. 청소년의 흡연은 사회적 비행행위로 간주되고 있으며, 니코틴 중독으로 습관화 되면 쉽게 교정이 어렵다. 또한 청소년기는 신체, 정신적으로 발달단계에 있으므로 중독성이나 건강의 심각성이 더 커 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흡연을 줄이고 조기 금연을 유도하여 효과적인 금연 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 참여한 학생 72.060명 중 금연시도 질문에 ‘있음’, ‘없음’으로 응답한 전체 학생의 8.75%인 6,307명(남학생 4,859명, 여학생 1,448명)을 대상으로 조사 대상자의 흡연 환경 요인과 건강 행위 요인(신체활동, 식습관) 및 인구 사회학적, 정신건강, 물질사용 경험, 주관적 건강에 대한 주요 변수의 특성과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SAS 9.2 프로그램으로 Survey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X2-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남학생 4,859명 중 금연시도경험군은 71.3%(3,459명), 금연시도비경험군은 28.7%(1,400명)이었고, 여학생 1,448명 중 금연시도경험군은 71.4% (1,028명), 금연시도비경험군은 28.6%(420명)이었다. 인구 사회학적 요인(성별, 학년, 학업성적, 경제상태, 일주일 평균용돈), 신체활동 요인(걷기, 체중 조절), 식습관 요인(과일, 고카페인, 패스트푸드), 정신건강 요인(주관적 행복감, 수면시간, 슬픔·절망감 경험), 물질사용 요인(음주 및 약물 경험)을 통제한 상태에서 1일 흡연량이 1개비와 2~9개비일 때, 편의점이나 친구·선배, 주변(길거리)에서 담배를 구매하는 경우, 담배구입 시도를 하지 않거나 쉬운 것보다 어려울 때, 간접흡연 노출이 주 1~4일인 경우, 금연홍보 인지가 있거나 흡연 예방 교육 및 전자담배 경험이 있을 때, 체중 조절을 위한 노력을 하는 경우, 과일 섭취가 주 1회 이상 있을 때, 경제상태가 ‘상’ 보다 ‘중,’ ‘하’ 일 때 관련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간접흡연 노출이 주 5~7일이거나, 고등학생인 경우, 고카페인 섭취, 주관적 행복감에서 불행한 경우, 수면시간이 충분할 때, 일주일 평균용돈이 12만 원 이상인 경우 금연시도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남학생에서는 흡연량, 담배 구매 방법, 금연홍보 인지, 간접흡연 노출, 흡연 예방 교육 경험, 전자담배 경험, 학년, 체중 조절, 과일섭취, 주관적 행복감, 슬픔·절망감 경험, 경제상태, 일주일 평균용돈이 금연시도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 여학생에서는 흡연량, 담배 구매 방법, 금연홍보 인지, 간접흡연 노출, 전자담배 경험, 고카페인 섭취가 통계적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 이 연구는 금연시도 관련성으로 많이 알려지지 않았던 담배 구매 용이성이나 담배 구매 방법, 전자담배 경험, 체중 조절, 주관적 행복감 등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우리나라 전국의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표본 추출한 대표성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이전의 연구들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흡연청소년의 금연성공을 위하여 금연시도 관련 요인으로 제시된 요인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금연시도 정책을 위하여 청소년들의 건강과 금연시도 성공 관련 요인 규명을 위한 추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고, 다차원적인 접근을 위한 연구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흡연을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Modern day adolescents today undergo various trials such as collage entrance examination, family issues and other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peers, eventually leading to deviations. One of the typical deviation act is smoking. Adolescent smoking is regarded as a social delinquent act and smoking is a difficult habit to overcome because the strong toxicity of nicotine addiction. Adolescence is a stage that includes psychological and physical development, therefore the toxicity and health severity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adults. On this account, we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ful in decreasing adolescent smoking by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anti-smoking policy and early stage quitting. Methods : Data from self-reported,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administered at the t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WS-Ⅹ) in 2014 were analyzed(n=72 ,060): adolescent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rough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e survey. With 6,307 students(male n=4,859, female n=1,448) that composes 8.75% of the total students, smoking environment factors and health maintaining factors(physical activity and eating habits) and socio-demographic, mental health, use of material factors, and other subjective variables were regulated. Using a survey procedure in the SAS 9.2 program, we analyzed the frequency, X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Out of 4,859 male students, 71.3%(n=3,459) tried to quit smoking and 28.7%(n=1,400) did not attempt quitting.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71.4%(n=1,028) out of 1,448 students tried to quit, but 28.6%(n=420) did not attempt. We regulated the disruption variables such as socio-demographic factors(sex, school grade, school records, economic conditions and weekly allowance average), physical activity factors(walking, weight control), eating habits(fruit, high caffeine, fast food), mental health factors (subjective happiness, sleeping hour, experience of sadness and despair) and the use of material factors(alcohol and drug experience). We observed that when the daily smoking amount was one cigarette or 2-9 cigarettes the quitting attempt experience increased. Also when the purchase of cigarettes was done from convenience stores or from other friend or surroundings(streets) or when it was more difficult to purchase, the quitting attempt increased as well. When the passive smoking exposure was 1-4 times a week, we also observed that the quitting attempt increased. Recognition in media such as public promotion of quitting o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was related to the quitting attempts. Other reasons like experience of electronic cigarettes, weight control, fruit uptake frequency and high economical conditions were related to the increased quitting attempt experience. However when the average passive smoking exposure was 5-7 days in a week, the quitting attempt experience decreased. When the subject is a high school student the quitting attempt experience was decreased as well. Also high caffeine intakes, low subjective happiness, lack of sleeping hour, and when the average of weekly allowance was higher than 120,000 won, we observed that the quitting attempt experience decreased. In case of the male students, the smoking amount, the cigarette purchasing method, the recognition of public promotion of quitting, passive smoking exposur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experience, experience of electronic cigarettes, grade of school, weight control, fruit intake, subjective happiness, experience of sadness and despair, economical conditions, average of weekly allowance wa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quitting attempts. However, female students quitting attempt was related to the smoking amount, purchasing method, the recognition of public promotion, passive smoking exposure, experience of electronic cigarettes, and high intake of caffeine. Conclusions : In this study, factors that are not known to be related with smoking such as the purchase convenience or method, the experience of electronic cigarettes, weight control, subjective happiness and others, were investigated. Also this research was done with subjects who are currentl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which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ther studies. For the success in quit smoking and the development of a efficient quit smoking attempt policy, further studies must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trigger adolescence smoking. Furthermore, research with multidimensional approach should be done to prevent the fundamental reason of adolescence smoking.

      • 코퍼스 기반 사전을 활용한 중학생 영어 어휘학습의 효과

        안인숙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TESOL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영어수업에서 영어사전을 활용한 유의어 어휘학습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영어사전 사용의 필요성을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인식시키고 코퍼스 기반 사전과 비코퍼스 기반 사전 사용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먼저 중학교 1학년 72명을 대상으로 영어사전 사용 실태에 관한 사전 설문(pre-survey)을 실시한 후 세 집단을 대상으로 우리말 뜻이 유사한 유의어 say/tell ‘-를 말하다’, big/large ‘큰’, catch/hold ‘-를 잡다’ 세 쌍을 선정하여 각각의 수업모형에 따른 유의어 어휘학습을 실시 한 후 어휘력 평가를 통해 집단별 어휘 성취도를 알아보고 사후 설문을 통해 각각의 사전 활용 어휘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코퍼스(corpus)를 기반으로 제작된 코퍼스 기반 영영사전(Corpus-based Monolingual Dictionary)의 한 종류인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2009, 5th edition, LDOCE 5)의 DVD-ROM 장치를 사용하는 24명의 실험집단 1과 웹 기반 네이버(NAVER) 사전에서 제공하는 두산동아 프라임 영한사전(2008, 6th edition)을 사용하는 24명의 실험집단 2, 두 실험집단과 달리 사전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교사의 설명에 의존하여 어휘수업을 실시하는 24명의 통제집단에게 사전 어휘평가(pre-test)를 실시 한 후 정규 영어수업 45분 수업 중 20분씩을 할애하여 유의어 한 쌍에 대한 수업을 Pre-task 1차시, During-task 2차시, Post-task 1차시로 실시하였다. 유의어 12차시 수업을 6주에 걸쳐 실시한 후 어휘능력 향상을 알아보는 사후 어휘평가(post-test)와 각각의 사전 사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영어에 대한 흥미도, 어휘학습에 대한 태도, 영어사전 사용에 대한 태도)과 만족도를 알아보는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활용 어휘학습은 사전을 활용하지 않은 어휘학습과 비교하여 중학생의 어휘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을 활용한 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어휘평가 사후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사전을 사용한 두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코퍼스 사전 활용 수업과 비코퍼스 사전 활용 학습은 교사주도 어휘학습보다 어휘평가 평균은 향상되었지만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사전 활용 어휘학습은 사전을 활용하지 않은 어휘학습과 비교하여 중학생의 정의적 측면에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정의적 영역 사후 설문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사전을 사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사전 활용 어휘학습은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코퍼스 기반 사전을 활용한 어휘학습은 비코퍼스 기반 사전을 활용한 어휘학습과 비교하여 어휘능력 향상과 정의적 측면에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두 실험집단 간의 사후 어휘평가 점수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살펴본 결과, 어휘 학습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코퍼스 기반 사전 활용 유의어 수업을 실시한 중학교 1학년 학습자들이 높은 향상을 보였다. 하지만, 정의적 영역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결과 코퍼스 기반 사전 집단과 비코퍼스 사전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즉 코퍼스 기반 사전 활용이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영어사전을 활용한 유의어 어휘학습은 중학생들의 유의어 어휘능력을 향상시키며 코퍼스 기반 영영사전 사용이 비코퍼스 기반 영한사전 사용보다 어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코퍼스 기반 영영사전 사용에 대한 만족도와 흥미도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지만 단일어 사전에 대한 학습 부담을 보완할 수 있는 코퍼스 기반 영영한 사전을 대안으로 사용하여 지속적인 영어 어휘학습이 이루어진다면 사전 사용에 대한 만족도와 사전 활용 가능성 또한 더 향상 될 것으로 예상된다.

      • TEE 인증과 베스트영어교사 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 제주도 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장모나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TESOL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교육부는 2010년부터 교실 영어사용의 활성화를 위해 TEE(Teach English in English) 인증제를 시행해왔다. TEE 인증을 취득한 교사는 초등학교에서 영어전담교사로서 원어민보조교사와 협력수업을 할 수 있다. 인구밀도가 낮은 제주도의 영어전담교사 배치율은 전국의 평균을 밑돌고 있으며, 1년 단위로 계약하여 배치되는 원어민보조교사는 잦은 교체·이동으로 정규교사와 같은 임무를 수행하기가 쉽지 않다(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15b). 베스트영어교사 제도는 이와 같은 원어민보조교사 활용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TEE 인증교사가 원어민 교사를 대체할 수 있도록 마련한 제도이다. 우수한 내국인 교사가 원어민 교사 역할을 한다는 베스트영어교사제는 2013년부터 제주도에서 시작되어 지금까지 전국에서 유일하게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TEE 인증제 시행 이후 제주도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TEE 인증 평가 개발 관련(홍경선 외, 2011)을 제외하고는 실적이 미미하고, 베스트영어교사 제도에 대한 연구도 현재까지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도 내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TEE 인증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베스트영어교사제도에 대한 교사와 학생, 학부모들의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제주도 내 전체 112개의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영어담당교사와 TEE 인증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또한, 9개의 모든 베스트영어학교소속의 교사 9명, 학생 240명, 학부모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고, 교사 9명과 학생, 학부모 10명에 대해서는 심층면접을 하였다. 설문 및 심층면접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커트 5단계 척도로 알아본 제주도 내 초등학교 영어 교과 담당 교사들의 TEE 수업에 대한 관심도는 3.79점으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다만 TEE 인증의 필요성과 취득 희망 여부는 교사별 편차가 두드러졌다. 수업 중 TEE의 활용 실태는 평균 2.45점(약 60%)으로 높다고 볼 수는 없으나, 교사가 인지하는 교수능력(4.34점)과 교육적 자질에 대한 자신감(4.17점)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교실 영어사용이 어렵다고 답변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이해능력 부족을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꼽았다. 또한 전체 응답 교사 중 74.85%는 TEE 인증을 가진 교사가 원어민을 대체하는 베스트영어학교 제도의 확대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의사를 밝혔다. 둘째, 베스트영어교사의 경우 자신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4.50점) 만족도는 최저치를 보였다(3.54점). 즉, 수업에 대해 자신감은 높지만, 만족도는 낮았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 업무 관심도는 자신감에 비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생과 학부모는 원어민을 대체하고 있는 베스트영어교사가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해 모든 영역에서 4점 이상을 보여 흥미, 이해, 전반적인 만족감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모든 영역에서 학부모 보다는 학생들의 만족도가 약간 더 높았으며, 학생들은 학부모가 인식하는 것보다 베스트영어교사의 영어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더 높았다. 셋째, 베스트영어교사들이 갖는 효능감과 중압감의 요인을 보면 다음과 같다. 베스트영어교사들의 자존감은 교사가 지녀야 할 책임감과 열의, 그리고 전문 교원으로서의 자질에서 비롯되고 있었다. 원어민 교사 역할을 대체하여 교육예산 절감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한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반면 베스트영어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중압감의 요인을 살펴보면, (1) 베스트라는 용어에 대한 외부의 부정적인 인식과 이에 따른 거부감, (2) 초과 수업이나 수업 외적인 업무에 대한 부담, (3) 100%에 가까운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에 대한 언어적인 부담감 등이다. 결론적으로 제주도의 베스트영어교사 제도는 초등교사가 비원어민 교사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효과적인 TEE 영어 수업을 구현하는데 이상적인 시스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우수한 내국인 교사가 원어민 교사를 대체하면서 학생과 학부모의 기대에 부응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제도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의 다양한 영어 교수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후속연구가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

      • 고령자의 활동적 노화 지수와 인지기능 감소의 관련성 : 고령화연구패널조사(2008년, 2016년)를 이용하여

        한아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배경 및 목적 : 우리나라는 2018년에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4.3%를 넘어서며 ‘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 서구 복지국가들에서는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로 1990년대부터‘활동적 노화’담론이 새롭게 발전되었다. 2002년 국제보건기구(WHO)는 활동적 노화를 개인과 조직, 사회의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건강과 참여, 보장의 기회를 통해 적극적인 삶을 실현하는 노화의 과정으로 정의하였는데, 이는 건강차원, 참여차원, 안전차원으로 구성된다.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개별 독립변수 또는 활동적 노화의 구성요소인 건강, 참여 차원의 요인만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감소와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활동 능력 및 건강한 고령화의 정도를 입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활동적 노화 지수(Active Aging Index, AAI) 측정방법을 활용하여 활동적 노화 지수와 인지기능 감소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KLoSA) 제 2차(2008년), 제 6차(2016년) 자료를 이용하여 2008년을 기준시점으로 만 55세 이상의 K-MMSE 점수가 24점 이상인 3,03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016년 시점에서 K-MMSE 점수가 24점 미만인 대상자를 ‘인지기능 감소’군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자는 64.8세(표준오차 6.83), 여자는 64.0세(표준오차 6.48)였다. 대상자의 활동적 노화 지수는 2008년 기준의 건강, 참여, 안전 점수 및 그 평균 점수로 판단하였고, 이는 각각 0~1점 사이로 표기하였다. 활동적 노화 지수와 인지기능 감소의 관련성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변수 보정 모형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거주 지역, 혼인 유무)과 건강행태(흡연, 음주, 운동여부)를 모형에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 활동적 노화의 세 가지 차원에 따른 지수 평균은 건강차원 0.64±0.22점, 참여차원 0.56±0.17점, 안전차원 0.70±0.24점이었다. 종합차원 평균은 0.63±0.15점 이었다. 활동적 노화 지수와 인지기능 감소의 관련성을 다변수 보정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낮은 수준의 건강차원 그룹이 8년 후 인지기능 감소 그룹에 속할 오즈비는 1.32(95% CI: 1.06-1.64)였으며, 이는 중간 수준의 건강 점수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참여차원 점수는 중간 수준군에 비해 낮은 수준 군의 인지기능 감소 오즈비가 1.52(95% CI: 1.20-1.94)로 유의하게 높았다. 안전차원 점수도 중간 수준군에 비해 낮은 수준군의 인지기능 감소에 대한 오즈비가 1.59(95% CI: 1.26-1.99)로 유의하게 높았다. 세 차원의 평균으로 산출한 종합차원의 경우, 지수 중간 수준군에 비해 낮은 수준군 인지기능 감소 오즈비가 1.69(95% CI: 1.36-2.11)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높은 수준 군은 0.87(95% CI: 0.63-1.20)로 나타났다. 결론 : 평균 64.4세(표준오차 6.67)의 한국 고령자에서 활동적 노화 지수가 낮은 경우 8년 추적 후 인지기능이 감소할 위험이 69% 높았다. 건강 차원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 수준을 통제한 후에는 인지기능 감소와 건강 점수의 관련성이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참여 차원과 안전 차원의 점수는 혼란변수(인구 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수준)를 통제한 후에도 인지기능 감소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인지기능의 변화와 관련성이 있는 주요 변수로 건강차원 뿐 아니라 참여차원과 안전차원까지 입체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고령자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참여 및 안전 차원에 대한 연구와 사회적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Objective : In 2018,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65≥) exceeded 14.3% and entered the aging society. In the case of Western welfare states, since the 1990s the ‘active aging’ has been newly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aging society. In 2020, WHO defined ‘active aging’ as the process of aging that leads to active life through opportunities for health, participation, and safety in the multi-dimensional domains of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society. Most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with cognitive decline using only individual independent variables or health and participation index factors that are components of active ag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e aging index and cognitive decline by using the active aging index(AAI), which is used to measure the elderly's activity ability and healthy aging. Method : This study utilized the 2nd(2008) and 6th(2016) of the aging research panel(KLoS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37 people with a K-MMSE score at least 24 points and at least 55 years of age as of 2008. As of 2016, the subjects with a K-MMSE score of less than 24 were selected as the cognitive decline group. The mean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64.8 years old for men(standard deviation, SD : 6.83) and 64.0 years old for women(SD : 6.48). The active aging index(0 to 1) was measured by health, participation, safety score and their average score in 2008.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ctive aging index and cognitive function decline. Multivariate correction models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ge, education, residence, marriage) and health behaviors(smoking, drinking, exercising). Result : The mean scores of each active aging index were 0.64 ± 0.22 points for health index 0.56 ± 0.17 points for participation index, and 0.70 ± 0.24 points for safety index. The mean score of the overall active aging index was 0.56 ± 0.17 points.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correction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e aging index and the cognitive decline, the odds ratio to be included in cognitive decline group after 8 years was 1.32(95% CI: 1.06-1.64) in low-health index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mid-level group. In the participant index, the low-leve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of 1.52(95% CI: 1.20-1.94) compared to the mid-level group. In the safety index, the odds ratio for cognitive decline in the lower level group was 1.59(95% CI: 1.26-1.99),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id-level group. Compared to the mean score of the overall active aging index of each group, the low-level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of 1.69(95% CI: 1.36-2.11) than that of the mid-level group, and the high-level group had 0.87(95% CI: 0.63-). 1.20). Conclusion : In the Korean elderly aged 64.4 years(SD : 6.67), the low active aging index group showed a 69% higher risk to be included in the cognitive decline group after 8 years of follow-up. In terms of health,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decline and health index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However, the index of participation and safe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gnitive decline even though controlling for disruption variables(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health but also participation and safety as the main variables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cognitive fun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health factors but also participation factors and safety factors as the main variables related to th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ocial factors and participation and safety factors for active aging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