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계획서를 통한 학교자율장학의 실천과 교사발달 연구 :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승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Education offices advise individual schools to establish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plans and reflect it in the school management plan books. Unlike in the past, supervision focuses on support rather check and correction. Supervision by education offices is now called as “consulting supervision” and it works to solve problems from individual schools.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completely focuses on teacher development and individual schools specify their own supervision plan in the school management plan book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by school management plan book on teacher development through case studies from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s. The questions established for this study are: 1) What do the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s expect from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2) What is the process of plan and implementation of school-base autonomous supervision by school management plan book? 3) How does the school-base autonomous supervision by school management plan book influence on teacher development? This study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0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s, one to three times and one to one and half hours per person.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in-depth interview shows that teachers have misperception and strong reluctance on supervision. They regarded the supervision as reluctant event, unnecessary miscellaneous work and assessment which is not reliable. However, they provided the positive feedback about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during the deep conversation on its meaning and role. It was also revealed that teachers who had worked for companies needed the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y to harmonize with school culture and job characteristics and inexperienced teacher had hard time due to lack of skills in teaching, management of student conduct, administrative work, etc. Second, it was found that autonomous supervision for technical high school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education plan of each school. The education plan was found to be developing a voluntary supervision plan based on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self-training scholarships presented in the "2018 Junior High School supervision Plan". However, since all opinions of the members of the school are being collected but not shared, there were problems that could not directly detect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onomous supervision of technical high schools established through the school management plan book were managed properly by the plan and were able to help teachers develop their teachers. In particular, the opinion that a peer supervision has the greatest impact was foun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proposal was suggested for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nd teacher development by school management plan book 교육청은 중등장학 계획을 통해 단위학교가 학교자율장학 계획을 수립하여 학교교육계획서에 반영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과거와는 달리 장학은 교육청 중심의 감독위주 활동으로 운영되지 않으며 장학지도는 문제의 점검과 정정을 위한 지시적 기능이 아닌 현장지원에 초점을 맞추어 운영되고 있다. 교육청에서 주관하는 장학은 컨설팅장학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단위학교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요청받아 지원해 주는 컨설팅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중등장학 계획의 학교자율장학은 교사발달을 위한 교사역량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단위학교는 학교교육계획서를 통해 학교자율장학 계획을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계획서를 통해 수립된 학교자율장학에 대한 실천이 교사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특성화고등학교의 전문교과 교사들의 사례를 통해 파악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학교교육계획서를 통해 이루어지는 학교자율장학에 대해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가? 둘째, 학교교육계획서를 통한 학교자율장학은 어떻게 계획되고 실행되는가? 셋째, 학교교육계획서를 통해 수립된 학교자율장학이 교사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의 사례연구를 사용하였다. 서울시 소재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10명의 전공교과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에 대해 1∼3회, 1회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면담을 통해 교사들이 장학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거센 거부감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학을 피하고 싶은 행사, 불필요한 잡무, 신뢰성 없는 평가 등으로 여기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자율장학에 대한 의미와 역할에 대한 대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교자율장학의 긍정적 인식에 대한 피드백을 들을 수 있었다. 특히 기업체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던 교사들의 경우 학교문화와 직무의 특성에 따른 교사발달이 요구되었으며 학교현장을 처음 경험하는 교사들은 교수학습 방법, 학생생활지도, 행정업무의 미숙으로 인해 교직 초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발달의 각 단계 중 전문적 발달영역과 조직적 발달영역의 역량을 키워낼 수 있도록 교내에서 적절한 학교자율장학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터뷰에 응해준 모든 교사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의 학교자율장학은 학교교육계획서를 통해 수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교육계획서는 「2018학년도 중등장학 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교자율장학의 운영 방향을 중심으로 단위학교의 실정에 알맞게 학교자율장학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단위학교의 학교자율장학이 학교구성원들의 모든 의견이 수렴되고 있지만 공유되고 있지 않아 학교자율장학에 대한 효과를 직접적으로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교교육계획서를 통해서 수립된 특성화고등학교의 학교자율장학 중 동료장학이 교사들의 교사발달에 상당한 도움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공동체를 통한 동료장학이 가장 큰 효과가 있다는 의견을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론은 교육계획서를 통한 학교자율장학의 실천을 통해 교사발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언을 제시하였고 이번 연구에서 깊게 진행되지 못했던 내용들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 및 교직관과 소진경험과의 관계

        김주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correl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tivation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their occupational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and burnout experience. For this, we set up the research questions like following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and their burnout experience?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occupational view on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ir burnout experience? In order to answer questions above, we distributed 320 questionnaire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sking their motivation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occupational view on the profession, and burnout experience, and 297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2.0.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mong motivation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occupational view on the profession, and burnout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examined with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lik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the general tendency among motivation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occupational view on the profession, and burnout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tend to prefer active motivation to pass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when they choose teaching profession. In addi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found to engage in the profession with occupational view of professionalism and occupational view of sacredness than occupational view of labor. Last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vel of burnout experience was lower than the medium level showing a moderate intensity, meanwhil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emotional exhaustion was higher than depersonalization which is a subordinate field of burnout; but, all three areas were lower than moderate level in overall. Second,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experience while passive motiv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detail, selection of teaching profession affected by the active motiv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a significant level with all three subordinate fields of burnout experience including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In addition, selection of teaching profession due to materi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while it showed a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in an insignificant level. Lastly, selection of teaching profession affected by the passive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Third,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view on teaching profession and respective fields of burnout experience, teachers who prefer occupational view of sacredness or occupational view of professionalism tend to go through burnout experience less frequently, meanwhile teachers who prefer occupational view of labor showed a higher frequency in undergoing burnout experience. In detail, occupational view of sacredness had an in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haustion which is a subordinate field of burnout experience, whi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in a significant level. Occupational view of professionalism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three subordinate fields of burnout experience. Lastly, occupational view of labor showed an in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while i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in a significant level. Through the study on correl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selecting teaching profession, their occupational view on profession and burnout experience, it is found that possibility to undergo burnout experience would decrease as they choose the profession with the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and as they engage in the profession with the occupational view of sacredness and professionalism.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직선택동기 및 교직관과 소진경험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는 소진경험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관은 소진경험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 경기도 그리고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관 그리고 소진경험을 묻는 32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97부에 대해 통계처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 및 교직관과 소진경험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관 그리고 소진경험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교사는 교직을 선택할 때, 수동적 동기보다 능동적 동기나, 물질적 동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은 노동직관에 비해 전문직관이나 성직관을 가지고 교직에 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소진경험정도는 보통 이하로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으며, 소진의 하위영역인 비인간화에 비해 개인의 성취감 상실과 정서적 고갈 수준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세 영역 모두 보통 이하의 수준이었다. 둘째, 능동적 동기와 물질적 동기는 소진경험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동적동기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능동적 동기에 의한 교직 선택은 소진경험의 하위 영역인 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 그리고 개인적 성취감 상실 세 가지 영역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또 물질적 동기에 의한 교직선택은 개인적 성취감 상실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수동적 동기에 의한 교직선택은 정서적 고갈과 비인간화, 그리고 개인적 성취감 상실 세 가지 영역 모두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교직관과 소진경험과의 각 영역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성직관이나 전문직관을 선호하는 교사일수록 소진경험을 덜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노동직관을 선호하는 교사일수록 소진경험을 많이 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성직관은 소진경험의 하위 영역인 정서적 고갈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았으며, 비인간화와 개인적 성취감 상실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문직관은 소진경험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상실의 세 영역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노동직관과 소진경험의 하위영역인 개인적 성취감 상실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지만,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초등학교 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직선택동기와 교직관이 소진경험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 가에 대한 이 연구를 통하여 교사가 능동적 동기와 물질적 동기를 가지고 교직을 선택할수록, 또 성직관이나 전문직관을 가지고 교직에 임할수록 소진을 경험할 위험이 줄어든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부모교육에 대한 초등 아동과 학부모의 인식

        박선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ers and parents about paternal education and maternal education in a bid to pave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arent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boosting parent-child understand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outlook of school children and parents on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and current parent education methods? 2. What is the outlook of school children and parents on the content of parent education, paternal education and maternal education? 3. What are the needs of school children and parents for the form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14 people from two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a small urban community in Gyeonggi province. They involved 268 fifth and sixth graders, 212 fathers and 234 mothers. As for data handling, SAS program was utiliz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utiliz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ather, mother and child groups. To track any possible intergroup gaps, x²-test, one- way ANOVA, Scheffe post-hoc analysis and t-test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the parents felt much more need for that than the children,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arents considered it necessary to receive parent education all the time, whereas many children had little thought of it in the past and newly felt the need for that. As for the reason, both groups found parent education to be necessary for having the right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raising them in the right manner. The fathers made the most use of newspapers and journals to improve their child education. The mothers relied on books in that regard, and the children relied on books as well. The mothers had more chances to be exposed to television, radio and lectures and got a lot of help from their acquaintances. Second, as for the content of parent education geared toward fathers and mothers, they put emphasis on every part of parent education. The fathers and mothers gave priority to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hildren attached the most importance to child education and education about paternal and maternal roles. When the fathers and mothers were compared, both groups had a strong need for maternal education, and the mothers asked for paternal education more than the fathers themselves. Specifically, the intergroup gap was more distinctive in needs for father's self-realization. Third, in regard to the type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all the three groups had the most preference for the kind of programs in which every family member could be involved. The children asked for more programs in which fathers and mothers could participate separately than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also called for programs that catered to parents of transfer students. As to lecturers, every group preferred child education experts. As for parent education frequency, the parents wanted to receive that education once a semester, and the children preferred monthly parent education. Thus, both of the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had a strong need for parent education, and their disagreement of opinion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programs are prepared and provided. Specifically, the kinds of programs in which every family could take part were preferred, and it indicates that there should be efforts to improve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light of the mutual influence of family members. Especially, fathers should be helped to wake up to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in term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y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receive parent education. 본 연구는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에 아동을 포함시키고,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내용을 따로 알아봄으로써 부모-자녀 상호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의 필요성, 현재 활용하고 있는 방법에 대해 초등 아동과 학부모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부모교육의 내용에 대한 초등 아동과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어머니 대상 부모교육의 내용에 대한 초등 아동과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아버지 대상 부모교육의 내용에 대한 초등 아동과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형태에 대한 초등 아동과 학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소재 중소도시의 두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268명, 아버지 212명, 어머니 234명, 총 71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처리는 SAS로 통계처리를 하고 아버지, 어머니, 아동, 세 집단으로 나누어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교차분석(x²)과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 t-검증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부모가 아동에 비해 훨씬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경우는 항상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는 데에 비해 아동의 경우는 이전에는 생각해 본 적이 별로 없었으나 지금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부모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부모와 아동 모두 아이를 이해하고 바르게 키우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자녀 교육에 도움을 얻기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방법에 대해 아버지는 ‘신문ㆍ잡지’, 어머니와 아동은 ‘책’이라고 응답하였다. 어머니가 TVㆍ라디오, 강연회를 접할 기회가 좀 더 많으며 주변사람들에게서 많이 도움을 받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ㆍ아버지 대상 부모교육 내용은 전체적으로 모든 항목에 대해 높은 요구도를 보이며, 순서상으로는 아버지와 어머니는 '자녀와의 대화기법'이, 아동의 경우는 '자녀교육과 어머니ㆍ아버지의 역할'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아버지와 어머니, 두 집단을 비교해보면 어머니 대상 교육내용은 두 집단 모두 요구도가 높았으나 아버지 대상 교육내용에대해서는 당사자인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요구도가 더 높았다. 특히 '아버지의 자아실현'항목에 대해서는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졌다. 셋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한 요구는 세 집단 모두 온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 가장 높았다. 아동이 부모에 비해 더 많이 원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각각 참여하는 프로그램, 전학 온 아동의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이 있었다. 부모교육 강사는 세 집단 모두 아동교육 전문가를, 부모교육 횟수에 대해서는 부모는 한 학기에 한번, 아동은 한 달에 한번 교육받기를 가장 원했다. 이처럼 초등 아동과 부모 모두 부모교육에 대하여 높은 요구를 보이며, 서로 의견의 차이를 보이는 부분을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에 적절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온 가족이 함께 참여하기를 원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가족을 체계적 관점에서 가족 구성원 모두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바라보고 보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아버지들에게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아버지 역할을 더욱 부각시키고 아버지 교육을 접할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해주어야 한다.

      • 우리나라 지방교육자치의 주요 쟁점에 대한 헌법재판소 및 법원 판례 분석

        김종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Since the Education Act enacted in December 1949,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which has significant significance as the found ation of the nation's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has shown serious conflicts at the time of its introduction and later implementa tion. Although practical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has been in effect since June 1991, conflicts and legal disputes have continued mainly concerning the principle of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the election system of education committees and superintendents, decentra lization of education, relations with local autonomy, and major issues of provincial education finances. Accordingly,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 are influencing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as interpr etative participants in education policies. However, no comprehensive analysis of cases related to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has been conducted. In particular, Research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precedents including constitutional and legal judgments and reasons related to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is the necessity of deriving constitutional and legal standards for the unclear concept, scope, and authority of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that cause legal disputes. The need to discuss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in consideration of constitutional and legal standards rather than interests, the impact of the two institutions in the past on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the need to predict possible legal disputes in the future, and critically analyze the judgments of the two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w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nece ssity, etc. Therefore, this study has two main purposes. First, the purpose of the analysis is to identify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past lawsuits and appeals related to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over the past 30 year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courts from 1991 to 2020. Seco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s judgment on the major issues analyzed in this study, and to constitutionally and legally review the details of the major issues of provincial education based o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s judg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i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court cas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to propose constitutional and legally appropriate directions in the revision of laws related to changes in provincial education aut onomy. There are two main research problems. First, after 1991, what are the general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related precedents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courts? Second, what are the case contents, core issues, judgment results and reasons of the case law on the major issues of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since 1991, and reviewed detailed issues for each major issue based on the judg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 on the major issues. What is the result?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based on major issues by period, claimant (plaintiff), case type, and decision type (sentence type) to analyze trends and characteristics by period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court precedents' in detail.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Constitutional Court and Court's judgment on major issues'. To this end, 160 cases of constitutional court precedents and 259 cases of court precedents were systematically collected and selected through two criteria and five key words. In particular,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flict pattern since 1991, the period of stable implementation of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every 10 years (the first period), the introduction period of the integrated education committee and the superintendent's direct residents system (the second period), abolition of the Board of Education and the election of the elected superintendent of education(the third period).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three period divisions of the perio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To summarize the main conseq uenc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s case trends and tim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overall number of Constitutional Court cases increased sharply from the second period, while the number of court cases did not increase sharply at any given time. Second, both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cases related to administrative activities by the superintendent of edu cation than cases related to major issues. Third, the proportion of cases related to the election system was the highest among major issues i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court cases. The Constitutional Court mainly judged on the unconstitutional elements of the election system, while the court judged on cases related to election crimes. Fourth, the number of cases related to educational decentralization increased sha rply in the third period. The main reason for this result can be seen as the influence and status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due to the direct election system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which be gan in the third period. Fifth, the number of cases related to the rel ationship with the local autonomy and provincial education finance was generally low.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as an unusual result, considering the conflict related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autonomy that occurr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provincial educa tion autonomy. In summary, among the major issues in the implementation of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over the past 30 years, requests for adjudication and lawsuits regarding the election system and decen tralization of education have mainly been filed. Relatively There were relatively few requests for trials and lawsuits for relations with local autonomy and provincial education finances. To summarize the major consequenc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s judgment on major issues, first, in case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the Constitutional Court presented the constitutional essence of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and emphasized the balance of these elements. In addition, the princ iple of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was determined to ensure the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olicies by educators and education experts to protect education from outside influences such as politics. Second, in cases related to the election system, the Constitutional Court emphasized the guarantee of students' right to receive education and the selection system to protect education from the negative effects of politics, and determined that the system properly reflected the balance of cons titutional essence. Third, in cases related to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 courts are responsible for the need for unified nationwide processing. Standards for classifying educational affairs, such as expenses burden and responsible attribution entity, were presented. Fourth, in the case law related to the relationship with local autonomy,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 both decided that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could not legally argue as the same subject of rights. Fifth, in cases rela ted to provincial education finance,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d that provincial education finances need to reduce dependence on the central government and strengthen independence in order to realize full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In conclusio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s were influ encing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by clearly presenting ambiguous concepts, scope, and authority, especially on the election system and educational decentralization, but the standards and directions presen ted by the two agencies were not properly reflected. provincial education authorities, such as strengthening political influence in education due to the controversial direct election system of education superintendents, the abolition of the education committee as a voting institution, and low degree of independence in provincial education finance, have failed to realize most of the constitutional and legal standards and direc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an ins titutional alternative that appropriately reflects the constitutional and legal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and the specificity of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system that reflects the constitutional essence in a balanced manner, weaken political influence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residents' direct election system, gradually introduce a limited residents' direct election system, block candidates' electoral crimes, legislate to clear standards on the aut hority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the Minister of Ed ucation, stop attempts to integrate provincial education autonomy by local autonomy, and expand the independence of provincial education finances. 1949년 12월 제정된 ⌜교육법⌟ 이후 우리나라 교육행정 체제의 근간으로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 지방교육자치는 도입 당시 및 이후 시행과정에서 첨예한 갈등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1991년 6월부터 실질적인 지방교육자치를 시행하고 있지만, 주로 지방교육자치의 원리, 교육위원회 및 교육감 선출제도, 교육분권, 일반자치와의 관계, 지방교육재정의 주요 쟁점 관련 갈등과 법적 분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헌법재판소 및 법원은 해석적 교육정책참여자로서 지방교육자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지방교육자치 관련 판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지방교육자치 관련 헌법적·법적 판단과 이유를 포함하는 판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법적 분쟁을 야기하는 지방교육자치의 불분명한 개념, 범위, 권한에 대한 헌법적·법적 기준 도출의 필요성, 정치적 이해관계가 아닌 헌법적·법적 기준을 고려한 지방교육자치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과거 두 기관이 지방교육자치에 미친 영향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분쟁 예측의 필요성, 두 기관의 판단을 비판적으로 분석할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목적을 지닌다. 첫째, 1991년부터 2020년까지 이루어진 우리나라 헌법재판소 및 법원의 지방교육자치 관련 판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지방교육자치 실시 이후 30년 간 이루어진 과거 지방교육자치 관련 소송 및 심판청구에서 나타난 경향과 특징을 파악함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지방교육자치 주요 쟁점 관련 다양한 판례에서 나타난 헌법재판소 및 법원의 판단을 분석하고, 본 연구에서 분석한 주요 쟁점에 대한 헌법재판소 및 법원의 판단을 기준으로 지방교육자치 주요 쟁점별 세부쟁점들을 헌법적·법적으로 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헌법재판소 및 법원 판례를 전수조사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결과는 향후 지방교육자치의 변화 관련 법률개정에서 헌법적·법적으로 적절한 방향성을 제안하는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1991년 이후 헌법재판소 및 법원의 지방교육자치 관련 판례의 전반적인 경향 및 시기별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1991년 이후 지방교육자치의 주요 쟁점에 대한 판례의 사건내용, 핵심쟁점, 판단결과 및 이유는 무엇이며, 주요 쟁점별 세부 쟁점들을 주요 쟁점에 대한 헌법재판소 및 법원의 판단을 기준으로 검토한 결과는 어떠한가? 또한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서 세부적으로‘헌법재판소 및 법원 판례의 경향 및 시기별 특징’의 분석을 위해 시기별 주요쟁점, 청구인(원고), 사건유형, 결정유형(선고유형)을 기준으로 양적 내용분석을 활용하였고,‘주요 쟁점에 대한 헌법재판소 및 법원의 판단’의 분석을 위해 질적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기준과 다섯 가지 검색어를 통해 체계적으로 헌법재판소 판례 160건과 법원 판례 259건을 수집 및 선별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1991년 이후 갈등 양상을 기준으로 10년 단위로 지방교육자치 안정적 시행기(제1기), 통합형 교육위원회 및 교육감 주민직선제 도입기(제2기), 교육위원회 폐지 및 민선 교육감 선출기(제3기)의 세 가지 시기 구분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헌법재판소 및 법원의 판례 경향 및 시기별 특징에 대한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전반적인 헌법재판소 판례건수는 제2기부터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법원 판례건수는 특정 시기에서 급격한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헌법재판소 및 법원 모두 주요 쟁점 관련 판례보다 교육감의 행정행위 관련 판례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셋째, 헌법재판소 및 법원 판례에서 공통적으로 주요 쟁점 중 선출제도 관련 판례건수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헌법재판소는 주로 선출제도의 위헌적 요소에 대한 판단을 하였고, 법원은 선거범죄 관련 사건에 대한 판단을 하였다. 넷째, 제3기에서 교육분권 관련 판례가 급격한 증가하였다. 이 결과의 주요 원인을 제3기부터 시작된 교육감 주민직선제로 인한 교육감의 영향력과 위상 강화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일반자치와의 관계 및 지방교육재정 관련 판례건수는 전반적으로 낮은 빈도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교육자치 시행과정에서 발생했던 일반자치와의 관계 관련 갈등 양상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결과로 볼 수 있다. 종합하면, 지난 30년 간 지방교육자치 시행과정에서 주요 쟁점 중 선출제도 및 교육분권에 대한 심판청구와 소송이 주로 제기되었고, 이에 비하여 일반자치와의 관계 및 지방교육재정에 대한 심판청구와 소송은 상대적으로 적게 제기된 결과가 나타났다. 주요 쟁점에 대한 헌법재판소 및 법원의 판단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지방교육자치의 원리 관련 판례에서 헌법재판소는 지방교육자치의 헌법적 본질인‘민주주의·지방자치·교육자주’를 제시하고, 이 본질들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의 원리는 지방교육자치의 핵심원리로서 정치 등 외부 영향으로부터 교육을 보호하기 위해 교육자 및 교육전문가에 의한 교육정책의 형성과 집행을 보장한다고 판단하였다. 둘째, 선출제도 관련 판례에서 헌법재판소는 학생의 교육기본권인 헌법 제31조 교육을 받을 권리의 보장 및 정치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교육을 보호하는 선출제도를 강조하였고, 주민직선제 등 대안 중에서 학교운영위원회 위원 전원 선출제도가 헌법적 본질의 균형을 적절히 반영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교육분권 관련 판례에서 법원은 전국적으로 통일적인 처리가 필요한 사무. 경비부담 및 책임귀속주체 등 교육사무 구분기준을 제시하였다. 넷째, 일반자치와의 관계 관련 판례에서 헌법재판소와 법원은 모두 교육감과 일반자치단체장은 동일한 권리주체로서 법적으로 다툴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다섯째, 지방교육재정 관련 판례에서 헌법재판소는 온전한 지방교육자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지방교육재정은 중앙정부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고, 자립성과 독립성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결론적으로 헌법재판소 및 법원은 주요 쟁점 중에서 선출제도와 교육분권을 중심으로 모호한 개념, 범위, 권한에 대한 헌법적·법적 기준 및 방향성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방식을 통해 지방교육자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두 기관이 제시하는 기준과 방향성은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쟁점이 되는 교육감 주민직선제로 인한 교육에서 정치적 영향력 강화, 교육감과 교육부장관의 권한 갈등, 의결기관으로서 교육위원회의 폐지, 지방교육재정의 낮은 자립도 등 현재 지방교육자치는 전반적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헌법적·법적 기준 및 방향성을 대부분 구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지방교육자치에 대한 헌법적·법적 기준 및 방향성과 교육의 특수성을 적절하게 반영한 제도적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헌법적 본질을 균형 있게 반영한 지방교육자치제도의 형성, 주민직선제 시행과정에서 정치적 영향력 약화, 제한적 주민직선제의 점진적 도입, 후보자의 선거범죄 차단 방안, 교육감 및 교육부장관 권한 소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의 법제화, 일반자치의 지방교육자치 통합 시도 중단, 지방교육재정의 자립성 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 교육부장관 인사청문회의 효과성에 대한 사례 연구 : 지명·준비 과정과 공격·방어 전략을 중심으로

        유동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confirmation hearing for the Secretary of Education by analyzing the hearing process for the Secretary of Educatio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hearing by the nominees and hearing committee members, and attack and defense strategi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based on what criteria and background, do the presidents nominate the nominees for the Secretary of Education? (2) how do the nominees prepare for the confirmation hearing? (3) how do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prepare for the hearing? (4) what is like the attack strategy by the committee members and defense strategy by the nominees? (5) is the current confirmation hearing system effective in terms of meeting its purpose, efficiency, impartiality, and satisfaction? To answer the questions, the study selected the confirmation hearings of Shin-il Kim from the Moo-hyun Roh’s regime and Do-yeon Kim from Myung-bak Lee’s and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Performing critical analysis on other related reports and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also analyzed the framework of communication attack and defense strategy by Benoit & Wells (1996). First, the nomination process highlighted social and political interests at that time, relatedness with administrative philosophy of the regime, career and job competency. It also stressed nominees’ moral character regarding committing speculation, irregularities in military conscription, tax evasion, and plagiarism. However, such trend of nomination process could cause the President to nominate a nominees just based on the moral character and possibility of passing the hearings. Second, the nominees received assistance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preparing for the hearing. This provided the nominees with realistic understanding on the job of the Secretary and helped a smooth preparation for the hearing. There were also cases that nominees uncritically accepted advices from the MOE, which resulted in the nominees refusing committed members ‘ requests on submission of information and denying expression clear stance on certain matters. Third, the committee members took on investigations on the nominees’ qualification and job competency with help from their legislative staffs. Then, with administrative members of their affiliated parties, they decided order of questions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important topics. However, the committee members perce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ittee and candidate as hierarchical, and did not give the nominees much opportunities to speak. At the same time, the committee members used the hearings as a place to play bipartisan competition. For instance, the committee members of opposition parties flaunted their presence and criticized the incompetency and negative aspects of the ruling parties while the members of ruling parties insisted that the nominees were equipped with expertise and high moral character and the opposition parties attacked without evidence. Fourth, in the hearings of Shin-il Kim and Do-yeon Kim, the ruling parties took the strategies of ‘accountability’ while the opposition parties took the strategies ‘emphasizing responsibility for the act’ and strategy of ‘general criticism.’ However, such strategies were shifted vice versa between the parties as the regime chang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ffiliated parties’ ideology and notions, Hannara Party stressed autonomy and excellence while Woori Party ‘equality and equity. The two nominees utilized commonly taken defense strategies such as ’acceptance and mortification,’ ‘support and bolstering,’ and ‘providing corrective actions.’ The defense strategies of the nominees shifted according to their position—ruling party defending and of opposition party attacking. Fifth, it was observed that the orignal purpose and efficiency of hearings was harmed from being achieved because of high-ranked officials’s attitude just to complete the hearings without any difficulties and nominees’ uncritical acceptance of officials’ opinions with passively responding to questions. In addition, the purpose, the efficiency, impartiality, and satisfaction seemed to be damaged due to high ratio of newly-elected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in the committee, committee members’ overbearing attitudes towards the nominees, and hierarchical attitudes towards the nominees, strong bias towards one’s affiliated ideology, lack of opportunities given to the nominees to answer, and excessive expression of political intention. Different from the United States, the hearing report can be accepted without vote on the ratification of the hearing, and the President can appoint the nominee as the Secretary regardless of the result of hearing. These aspects of hearing process in Korea can threaten its purpose and impartiality.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the 10 confirmation hearings on the candidates for secretary of education since his introduction in 2005 have not generally been sufficiently effective in nominating or preparing proces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the President should keep a pool of competent candidates for the Secretary of Education, nominate a candidate with prudence, and provide clear reasons for the nomination. The President should explain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nominee in detail, thus, allow the public to judge the nominee’s capability with the information, and encourage the public opinions to be reflected in hearing. Second, the President, together with committee members of both parties and experts should work on creating legal criteria on nomination of the Secretary of Education. This can help hearing to become a place for constructive discussion focusing on understanding nominee’s opinions on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ent issues. Third, the nominee should take the advices offered by the officials of MOE with a critical eye and take more active efforts in exchanging in-depth opinions with committee members at hearing. Fourth, to make hearing as a place of examining the qualification of the nominee, it seems necessary to improve the substantiality of hearing system, first by reducing the committee members by ten. Then, the ratio of newly-elected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in hearing committee should reflect the current proportional share of those two groups in the congress. Furthermore, there should be separate time limit for committee members’ questioning and for nominee’s answering. Fifth, the grounds for the hearing and process tak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hearing should be stipulated. constitutional grounds should be explained clearly. By explicitly defining the criteria on selection of hearing report and regulations on vote on confirmation by the standing committee or congress in the laws of confirmational hearing and congressional law, it will be possible to avoid wasteful political disputes on nominee’s competency. 본 연구는 대통령의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선 과정, 후보자와 청문위원 측의 인사청문회 준비 과정 및 공격-방어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교육부 장관 인사청문회의 효과성을 검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통령은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어떤 배경과 기준으로 지명하는가? 둘째, 후보자는 인사청문회를 어떻게 준비하는가? 셋째, 여·야 청문위원 측은 인사청문회를 어떻게 준비하는가? 넷째, 인사청문회에서 청문위원 측의 공격 전략과, 장관 후보자의 방어 전략은 어떠한가? 다섯째, 현재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제도 운영의 목표달성도, 효율성, 공정성, 만족도의 측면에서 효과적인가?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하여 대통령의 후보자 인선 과정, 후보자와 청문위원 측의 인사청문회 준비 및 전략을 잘 드러내는 노무현 정부의 김신일, 이명박 정부의 김도연, 두 교육부 장관 인사청문회를 선택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기록 자료와 면담 자료에 대한 비판적 사례 분석과 함께 Benoit & Wells(1996)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공격 및 방어 전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통령의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 과정은 지명 당시의 정치·사회적 요구, 정부 국정철학과의 관련성, 후보자의 경력 및 직무 역량을 고려하되 투기 의혹, 병역 비리, 세금 포탈, 논문 표절 등의 도덕성 문제에 대해 한층 강도 높은 검증을 통해 진행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대통령이 도덕성이나 인사청문회 통과 가능성 위주로만 인선할 개연성도 생기고 있었다. 둘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대통령의 지명 직후 교육부 공무원들의 지원 체계 속에 인사청문회를 준비하였다. 이는 후보자가 소관 업무를 빠른 시일 내에 파악하고 인사청문회를 원활하게 준비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후보자가 이들의 조언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청문회 통과만을 위해 청문위원 측의 자료 제출 요구를 거절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분명하게 밝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셋째, 청문위원 측은 각 의원실 별로 보좌진들의 도움 하에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을 검증한 후 소속 당 간사를 중심으로 청문회 질의 순서나 담당 주제를 분담하여 청문회를 준비하였다. 청문위원들은 후보자와 청문위원 간의 관계를 피검증자와 검증자 간의 수직적인 관계로 인식하고 후보자를 강하게 몰아붙이면서 후보자에게 발언 기회를 잘 주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야당 위원들은 국민들에게 야당의 존재감을 과시하면서 집권당의 무능과 부정적 요소를 강조하고, 여당 위원들은 후보자가 전문성과 도덕성을 갖춘 인재이며 야당의 공격은 근거 없는 모략임을 주장하면서 정치적 공방의 장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넷째, 김신일·김도연 두 교육부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여당은 ‘책무 관련성’ 전략을, 야당은 ‘행위의 책임성 강조’ 전략이나 ‘일반적 부정’ 전략 위주로 질의를 하였으며, 이러한 공격 전략은 정권 교체에 따라 여·야를 기준으로 상반되게 바뀌고 있었다. 또, 소속당의 이념과 노선에 따라 한나라당은 자율성과 수월성을, 열린우리당(민주통합당)은 평등성과 형평성을 강조하였다. 반면 두 후보자는 공통적으로 ‘인정과 굴복’ 전략, ‘지지와 보강’ 전략, ‘교정적 행위의 제시’ 전략 순으로 방어 전략을 사용하였다. 후보자의 방어 전략도 정권 교체에 관계없이 여방야공(與防野攻)의 대립 구도를 전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교육부장관 인사청문회는 후보자에 대한 대통령의 부실한 사전 검증과 청문회 통과 가능성만을 염두에 둔 후보자 인선, 교육부 고위 공무원들의 청문회 무사통과 지상주의 및 이에 대한 후보자의 무비판적 수용과 소극적 답변 태도 등으로 인해 목표 달성도와 효율성 측면에서 본래의 목적 달성에 지장을 받고 있었다. 또, 청문위원 측의 높은 초선 및 비례 대표 비율과 여방야공적 태도, 후보자에 대한 고압적 입장과 수직적 관계 인식, 강한 이념 지향성, 후보자의 답변 기회 부족, 정치적 의도 과잉 등은 인사청문회의 목표달성도·능률성·공정성·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국과는 달리 인사청문회 종료 이후 인준 투표 없이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여부만 결정할 수 있다는 점, 인사청문회 결과와 상관없이 대통령이 후보자를 자의적으로 임명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인사청문회의 목표달성도와 공정성을 위협하는 요소로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론은 2005년 도입 이래 10차례 실시된 우리나라 교육부 장관 인사청문회는 지명, 준비과정 등에서 대체로 효과성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된다. 첫째, 대통령은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재 풀을 잘 갖추고, 후보자를 신중하게 지명하여야 하며, 후보자 지명시 그 이유를 인사청문요청안 등에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대통령은 후보자에 대한 인사검증 내용이나 후보자의 장·단점을 소상히 밝혀 국민들로 하여금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을 판단하게 하고 그 여론을 인사청문회에 반영해야 한다. 둘째, 대통령, 여·야 청문위원 측, 전문가 집단 등이 함께 교육부 장관의 자격 기준을 합의하여 법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정쟁을 막고 인사청문회를 후보자의 정책과 현안에 대한 입장을 듣고 바람직한 정책 방향과 대안을 건설적으로 토론하는 장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셋째, 인사청문회에 임하는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교육부 공무원의 조언을 참고하되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함은 물론 청문회 석상에서 정책과 현안을 놓고 청문위원들과 충분한 의견 교환과 토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 넷째, 인사청문회가 실질적인 후보자 검증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청문위원 숫자를 10명 이내로 줄여 청문회 운영을 내실화하고, 전체 의원 중 초선 및 비례대표 분포 비율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 인원을 배분하고 청문위원들의 질의 시간과 후보자의 답변 시간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등 제도적 개선이 요청된다. 다섯째, 인사청문회 관련 근거와 청문회 결과에 따른 처리 방식을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헌법적 근거를 확실히 하고, 「인사청문회법」이나 「국회법」등에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기준과 상임위원회 또는 국회 차원의 인준표결 규정을 명확히 하여,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에 대한 소모적이고 정치적인 논란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 자녀양육스트레스와 부모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윤은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교육에 관한 견해와 요구도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비교하여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자녀 지도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부모들의 부모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자녀양육스트레스와 부모교육 요구도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자녀양육스트레스와 부모교육 요구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에 소재하는 중학교 6개를 추출하여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 198명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와 부모교육 요구도 검사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for Window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부모들은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서귀포시 지역 부모들이 제주시 지역 부모들보다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그 필요 이유는 부모 자신의 올바른 가치관과 모범적인 생활을 위해서와 자녀와 효과적으로 대화를 나누기 위해서라는 부모가 가장 많았다. 둘째, 부모교육 참가 경험은 부모교육에 관해 들어보았다가 제주시 78.5% 서귀포시 93.7%로 부모교육 실시가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모교육에 참가한 후 도움 정도는 제주시 82.7%, 서귀포시 90.7%가 도움이 되었다고 나타났다. 부모교육에 참가하지 않은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을 받는 적당한 시기는 ‘평생 동안 계속 되어야한다’가 많았으며, 부모교육을 받을 때 고려할 사항으로는 ‘교육내용’이 많았다. 교육 기관은 사회복지전문기관, 자녀의 소속 학교가 많았으며. 한 프로그램 당 교육비는 무료가 많았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는 부모가 거주하는 지역, 연령, 학력, 직업, 월가계 평균수입, 주택소유형태, 가족구성형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서귀포시 지역보다는 제주시 지역의 부모가, 부모의 연령이 50대 이상일수록, 부모의 학력이 고졸이하일수록, 부모의 직업이 전업주부일수록, 월평균 가계 소득이 적을수록, 주거를 소유하고 있지 않을수록, 한부모가정일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교육 요구도는 부모가 거주하는 지역과 부모의 직업 및 배우자의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서귀포시에 거주하는 부모들이 제주시에 거주하는 부모들보다 부모자신을 위한 프로그램 요구도가 높았다. 또한 부모 본인이 전업주부일때보다 직업을 가질수록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배우자의 연령이 50대 이상일수록 자녀의 사회성 지도 교육요구가 높았다. 여섯째, 양육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부모교육 요구도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육 스트레스 중 일상적인 스트레스는 자녀의 학습과 진로지도영역, 자녀의 성장발달에 대한 이해, 자녀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부모자신성장을 위한 프로그램 요구도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는 자녀의 습관과 행동수정 지도에,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는 자녀의 사회성 지도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부모교육 요구도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양육스트레스를 가진 부모들은 부모교육을 요구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 결과는 앞으로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삶의 수준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었으며, 부모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삶의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가 자녀들을 어떻게 양육해야 할 것인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부모의 삶의 수준이 낮을수록 양육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었으며, 부모교육요구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삶의 수준이 낮을수록 부모가 자녀들을 양육하는데 힘들어 관심조차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양육스트레스와 부모교육요구, 두 개념 간의 관계를 살펴 볼 때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부모들의 수준을 잘 살펴 양육 스트레스 해소 방안 및 자녀양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할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할 수 있다.

      • 초등학교 교육에 대한 학부모 기대 분석 연구

        서미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학교교육에 대한 기대요구가 무엇인지 조사ㆍ분석하여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교육계획을 보다 더 잘 수립하고 실천하여 공교육인 학교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다음을 조사ㆍ분석하였다. ①학교교육 목표에 대한 학부모 기대는 무엇인가? ②학교장의 학교경영에 대한 학부모 기대는 무엇인가? ③담임의 학급경영에 대한 학부모 기대는 무엇인가? ④학교시설 환경에 대한 학부모 기대는 무엇인가? ⑤생활지도에 대한 학부모 기대는 무엇인가? ⑥학교운영에 대한 학부모 참여요구는 무엇인가?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수도권 소재 1개 초등학교의 학부모 1,00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개인적 배경변인인 성별, 학력별, SES별로 빈도에 따라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검증을 위하여 카이스퀘어()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학부모들의 학교교육 목표에 대한 기대는 바른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인성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고 본 연구 대상교의 교육에 대해 비교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학교장의 학교경영에 대해 학부모들은 학교장이 학교와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운영 및 관리를 해주기 기대하였고 학교경영자로서 학교장은 훌륭한 인간성을 지닌 교사의 능력을 우선하여야 하며 인성교육에 중점을 둔 교육과정의 이행을 기대하였다. 또한 학부모가 바라는 이상적인 학교장 상은 교육자로서 품성과 자질을 갖춘 전문적인 능력이 높은 학교장을 기대하였다. 학교장의 학교경영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한다고 답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 대상 학교 학교장의 공개경영 원칙 경영방침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셋째, 담임의 학급경영에서 학부모가 기대하는 담임교사는 학생들의 인성교육을 중시하는 친절한 교사였고, 담임교사와는 한 학기에 한번 정도로 상담하기를 원하며 자녀의 소질계발 및 적성문제에 대하여 상담하기를 기대하였다. 또 대다수의 학부모들은 담임교사의 수업참관을 원하고 있으며 이는 교원평가와 함께 현장에서 늘 실행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학부모가 기대하는 학급 아동 수는 30명이었으며 국가는 이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학급 아동 수 감소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넷째, 학부모의 교육시설 환경에 대한 기대는 자녀가 다니고 있는 학교교육시설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하고 있으나 위생청결의 화장실 시설, 교실내부의 냉ㆍ난방시설의 부족을 들고 있었다. 학교발전기금에 대한 학부모들의 의견은 내 자녀에게 혜택이 온다면 협조하겠다고 하였으며, 이는 현재 단위학교 경영의 재정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국가에서 건전한 기부문화 조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다섯째, 학부모의 생활지도에 대한 기대는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해 잘 적응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학교에서의 자녀 행동에 대하여는 잘 모르고 있다고 답하는 차이점이 있었다. 또 생활태도가 나쁜 아동에 대하여 학부모는 교사가 학부모에게 알려 함께 지도하기를 기대하였다. 오늘 날 이혼가정의 급증, 핵가족화, 두 자녀 이하 키우기, 맞벌이 부부의 증가, 물질문명의 풍족, 컴퓨터게임 중독 현상 등으로 학교현장에서는 아동의 생활지도에 어려움이 급증하고 있으므로 학교는 학부모들과 협력하여 아동의 생활지도 문제해결에 노력하여야 한다.여섯째, 학교운영에 대한 학부모 참여로는 학교선택권, 양질의 교육을 요구할 권리, 학교교육 참여권에 대해 보통, 잘 모르고 있다고 답하였으며 참여 경험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학부모들은 학교교육 활동에 참여이유로 학부모와 교사가 협력하여야 자녀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학교장과 교사들은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방안을 모색하고 함께 협력하여 아동교육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만 한다. 또 학부모들의 학교운영에 대한 가장 큰 기대는 학교에서 자녀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이는 학부모로서는 당연한 요구와 기대이며 학교교육을 이끌어 가는 학교장과 교사들은 학부모의 자녀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학교 환경조성과 함께 질 높은 학교교육이 되도록 힘써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nd analyze parents' expectation of their children's elementary education and thereupon, provide for the data useful to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an educational scheme for normalization of the public school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its quality. For this purpose, those parents in 'G' city in the capital area were sampl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1) What expectations do parents have of the school education goals?; (2) What do parents expect of principal's school administration?; (3) What expectations do parents have of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4) What do parents expect of the school facilities and environment?; (5) What expectations do parents have of teachers' guidance of children' life?; (6) What needs do parents have for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operation?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e above questions, parents were surveyed, and among them, 1,003 parent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processed for frequency (%) analysis of parents'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cademic background, SES) as well as for Chi-Square Test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most parents answered that school education should focus on development of children's desirable personality, while being satisfied with their children's public elementary education.Second, parents expected that the principal would operate and manage the curriculum suitable to the conditions of school and community, and would put priority on teachers' good personality. They expected to see the school education focused on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addition, an ideal image of principal in view of parents was a professional armed with good personality and trait. Most of the parents were relatively much satisfied with principal's school administration, which seems to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principal has endeavored to manage the school in a transparent way and without giving any financial burden to them.Third, parents expected teachers to emphasize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their classroom management, and they wanted to consult the teacher once a semester at least, particularly about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s gift and aptitude.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parents wanted to observe the classroom education, which must be a challenge for the public school education, together with assessment of teachers' performances. The number of a classroom desired by parents was 30, which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is obliged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room.Fourth, parents were more or less satisfied with school facilities, but they pointed out the poor toilettes and in-classroom air conditioning facilities. Parents opined that they would be willing to contribute to a school development fund if their children should benefit from it, which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is obliged to finance healthy educational programs more positively.Fifth, parents perceived that their children were adapting well to school life, but they were not much informed of their children's behaviors in school. Some parents with the children showing bad attitudes hoped that teachers would inform them of the attitudes, so that both of teachers and parents could guide the naughty children together. Since it becomes more and more difficult to guide children appropriately at school due to rapidly increasing divorces, nuclear families, fewer number of children per family, increasing working couples, mammonism, addition to computer games, etc., schools are requested to cooperate with parents to solve children's problems.Sixth, parents were not much or little informed of their rights to select schools, request for quality education and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while they had not much participated in school education. Parents felt that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would conduce to cooper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for quality education. So, principal and teachers should join hands to explore the ways to encourage par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for a cooperative education of children. Above all, parents' highest expectation was a safe school environment. Since such an expectation is quite natural, principal and teachers are obliged to create a school environment where children can live a safe school life, receiving quality education.

      • 단위학교의 학업 수월성, 형평성, 교사 책무성 이행의 관계에 대한 혼합 연구 :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모영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Although the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 in Korea has been established for more than 20 years, there are widespread concerns when it comes to the quality of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s. In particular, in the educational accountability system, teachers are the main implementers who take great responsibility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fulfillment of teachers’ educational accountability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directly affects the improvement of school accountability,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chool’s academic performance.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llowing three: 1) the levels, trends, and relationships of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in general high schools, 2) the effect of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on the schools’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and 3) whether the pattern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in the same school or school lo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f teachers' fulfillment of their educational accountability which has been relatively not thoroughly discussed. Also,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ccountability.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levels, trends, and relationships of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in general high schools? Second, does teachers’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to enhance school accountability affect school’s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Third, does teachers’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affect school’s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The study used mixed methods based on the explanatory sequential design, includ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n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General High Shcools’ datasets from 2nd (2006) to 4th (2012) cycles provid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case studies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total of 460 general high schoo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hich consist of 129 schools in 2006, 164 schools in 2009, and 167 schools in 2012. Among them, 174 schools were in metropolitan areas and 284 schools were in non-metropolitan area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an unconditional model to identify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nd a two-way fixed effect model were appl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comprehensively, a follow-up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of 5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varies significantly across schools. The ICC ranged from 16% to 32%, indicating a large disparity in academic performances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In particular, this disparity between schools was affected by non-school factors, such as socio-economic backgrounds depending on regions, school environments, and school preferences of students and parents. Second, on average, the socio-economic status of students within the same school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particular, this tendency was strengthened over time. This was due to the academic indifference, poor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nd lack of cultural and social capital of students who have the relatively disadvantaged socio-economic backgrounds. On the other hand,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guiding low-achieving students due to the students' alienation in the classroom, learned helplessness of low-achieving students, and practical issues such as teaching to the test. Third, school’s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are related with each other rather than independent. As the academic excellence measured by school’s average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the equality was undermined. Conversely, as the school’s average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the ratio of the underachieving students in the school decreased. In addition, higher equality led to a higher proportion of underachieving students in the school, which means the sub-concepts of academic equity are operating in different directions. Fourth, there was a regional disparity in schools’ academic performances. Academic excellence was higher in metropolitan area than non-metropolitan areas but regional disparities tended to decrease. Also, equality was worse in the metropolitan schools, whereas adequacy was worse in non-metropolitan schools. Moreover, in metropolitan schools, the higher the academic excellence, the lower the adequacy, but the equality was not related to academic excellence and adequac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chools in non-metropolitan areas, the higher academic excellence shows the worse equality and better adequacy. Furthermore, as equality deteriorated, adequacy increased.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regions, not only socio-economic backgrounds, but als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differences in teachers’ works played a mixed role. Next, the overall effect of the educational accountability implementation to enhance school accountability on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teachers implemented educational accountability, the adequacy in mathematics worse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these results were based on mechanisms such as contents of school accountability limited to college admission performances, privileged student bias, questioning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activities, and superficial program operation. Second, when teachers implement educational accountability using the school accountability reinforcement mechanism, the higher the teacher autonomy, the equality of math achievement decreased. The study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se results were influenced by the upper-level institutions undermining the substantial autonomy of schools and teachers through excessiv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r shifting the responsibility of upper-level institutions to the schools and teachers.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schools,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for strengthening school accountability overall had no effect on school’s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Compared to non-metropolitan areas, in metropolitan schools, as a large amount of schools used the accountability reinforcement mechanism, the mathematics achievement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eacher autonomy and collaboration differed depending on school loca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teachers'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for teaching and learning improve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overall. Furthermore, the more teachers used educational accountability mechanism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students showing poor performances in mathematics increased. The interaction effect of teacher autonomy and collaboration also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as a mechanism to explain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eacher’s personal accountability as guilt’, ‘lack of systematic evaluation system and policy support,’ and ‘a crippled operation of curriculum’ were suggested. In addition, the closed teaching culture, difficulties in sharing common goals, and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s were found to hinder teachers’ continuous and spontaneous implementation of accountability. Meanwhile,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schools,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had no effect on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Also, the interaction effect of teacher autonomy and collaboration was different in two reg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excellence and equality and adequacy, which are sub-concepts of academic equity, are closely related. Second, it was found that teachers'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for strengthening school accountability and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was not positively associated with schools’ academic performances in general, instead it worsened the adequacy of academic equity. Third, overall, the interaction effect of teachers’ autonomy and collabor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levels, trends, and the relationship of school academic excellence and equity, and the effect of teachers'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according to school location.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f non-school factors on students’ achievements and to improve the educational quality of general high schools, students assessments in school and provided feedback need to be reinforced to contribute to students’ learning growth.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eachers in unit schools are best aware of individual student' educational needs and are the main agents in the fulfillment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teachers' autonomy and cooperation culture for supporting teacher’s fulfillment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In addition, differentiated support for the unit school is required, considering the educational conditions and contexts of schools depending on school location. 우리나라에서 20년 이상 교육 책무성 체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육의 질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어 교육 책무성 체제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요청된다. 특히 최종 책무 이행자이자 교수·학습 활동의 핵심적 주체인 교사의 책무성 이행은 단위학교의 책무성 제고, 교육의 질 개선, 성과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업 수월성 및 형평성의 수준, 추이, 관계를 분석하고, 교사의 교육 책무성 이행이 단위학교의 학업 수월성, 형평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양상은 단위학교 교사들의 특성이나 학교 소재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업성취도에서 수월성과 형평성의 수준 및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 책무성 제고를 위한 교사의 교육 책무성 이행은 단위학교의 학업 수월성, 형평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교사의 교육 책무성 이행은 단위학교의 학업 수월성, 형평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설명적 순차 설계에 기반한 혼합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다. 양적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2∼4주기(2006, 2009, 2012년) 일반계 고등학교 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종 표본은 총 460개교(2006년 129개교, 2009년 164개교, 2012년 167개교)이다. 대도시 학교는 174개교이며, 비대도시 학교는 284개교가 포함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독립표본 t검정, 학교 간 차이에 대한 무조건 모형 분석, 이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교사 5명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양적 및 질적 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단위학교의 학업 수월성, 형평성의 수준, 추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산은 학교 소속에 의해 크게 결정되었다. 전체 분산 중 학교 간 분산의 비율은 16~32% 수준이었는데, 이는 학교 간 학업 격차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 간 차이에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배경, 학교의 여건, 교육 수요자의 학교 선호도 등 교육 외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학업 형평성 중 공정성이 악화되었다. 이는 열악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의 학업 무관심, 저조한 사교육 참여, 문화·사회적 자본 결핍이 작용하고 있었다. 한편 저성취 학생 지도에는 학급 내 편차, 시험 진도 대비, 저성취 학생의 학습된 무력감, 저조한 수업 참여가 난점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학교의 학업 수월성, 형평성은 상호연관되어 있다. 수월성이 높아질수록 공정성은 악화되고, 적정성은 완화되었다. 또한 공정성이 높아지면 적정성은 악화되어 학업 형평성의 하위 개념들이 다른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 소재지별 학업 수월성, 형평성에 차이가 있었다. 수월성은 대도시 학교에서 더 높았으나 지역 간 격차는 완화되었다. 공정성은 대도시, 적정성은 비대도시 지역 학교에서 양호하지 못하였다. 대도시 지역 학교에서는 수월성이 높을수록 적정성이 완화되었으나, 공정성은 수월성, 적정성과 상관이 없었다. 한편, 비대도시 지역 학교는 수월성이 높을수록 공정성이 악화되고, 적정성이 완화되었다. 또한 공정성이 악화되면 적정성이 완화되었다. 학교 소재지별 차이에는 학생 구성과 업무 특성 차이, 투입 중심 지원의 한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학교 책무성 제고를 위한 교육 책무성 이행이 학업 수월성,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은 전반적으로 없었고, 오히려 수학 과목의 적정성을 악화시켰다. 이에는 ‘대입 중심의 책무 내용’, ‘특권 학생 편의’, ‘방과후 실효성에 대한 의문’, ‘보여주기식 업무’가 작용하였다. 또한 학교 내 교사들이 자율성이 높을 때, 책무성 이행이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악화되었다. 교사들은 관리·감독으로 인한 실질적인 자율성 저해, 책임 떠넘기기가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대도시, 비대도시 지역 학교 모두 책무성 이행의 효과는 없었다. 오히려 대도시 학교에서는 책무성 이행이 학업 수월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교사 자율성, 협력의 상호작용은 학교 소재지에 따라 달랐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교육 책무성 이행의 효과는 없었으며, 오히려 학교의 수학 저성취 학생 비율을 증가시켰다. 교사 자율성, 협력의 상호작용 역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에는 ‘죄책감으로서의 책무’, ‘프로세스, 지원책 부족’, ‘교육과정 파행’이 원인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폐쇄적 교직문화, 목표 공유에 대한 어려움, 과도한 행정 업무가 지속적, 자발적 책무 이행을 저해하였다. 대도시, 비대도시 지역의 학교 모두 책무성 이행의 긍정적 효과는 없었다. 교사 자율성, 협력의 조절효과는 학교 소재지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상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볼 때,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의 학업 수월성과 형평성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둘째, 교사의 교육 책무성 이행은 전반적으로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학업 형평성의 적정성 측면을 악화시켰다. 셋째, 학교 내 교사의 자율성 및 협력은 교육 책무성 이행의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학교 소재지에 따라 학업 수월성, 형평성의 수준, 추이, 관계, 교사 책무성 이행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었다. 연구의 결과, 결론은 교육 외적 요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일반계 고등학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사에 의한 학생 평가와 환류 과정이 학생의 학업적 성장에 기여하도록 내실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교사는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가장 잘 알고 있고, 책무 이행의 최종적, 핵심적 주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교사의 책무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실질적인 자율성과 협력 문화를 제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 소재지별 교육적 여건, 맥락이 다름을 고려하여, 차별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