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학 기반의 서비스본질과 직무성과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서비스산업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변미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에서 서비스본질과 직무성과와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깊이있는 논의를 위해 연구하였다. 서비스산업은 고용창출 및 고부가가치 창출로 인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성장은 답보상태에 놓여있다. 이는 서비스산업의 육성 정책이 눈에 보이는 단기적인 성과만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무형재화 중심의 현대 경제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과거 유형재화 중심의 산업 경제시대에 등장한 서비스 이론으로 무형재화 기반의 현대 경제시대의 특성을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현대 경제에 부합한 새로운 서비스이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김현수(2017c)는 철학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본질(상호작용성, 수평성, 관계성, 조화성)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서비스본질 연구는 서비스연구의 기초 연구가 되며, 서비스경제 시대에 중요한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의 변화를 통찰하고 능동적이며 선제적인 대응 방안으로 철학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본질에 대해 규명해보고, 서비스산업별 직무성과와의 영향 관계를 깊이있게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는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동시에 경영학의 위상을 향상시키는 연구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서비스산업을 4개의 큰 산업군으로 분류한 OECD의 서비스 산업 분류를 바탕으로 4개 각 산업군에 대해 대표적 산업으로서 의료 · 보건서비스업, 운수서비스업, 금융 · 보험서비스업, 숙박 · 음식서비스업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서비스본질과 성과와의 연관성 검토를 위한 통계적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실증적 분석 방법을 택하게 되었다. 먼저 국내외 논문, 학술지, 단행본등의 기존 문헌을 토대로 그동안의 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된 개념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서비스산업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0일부터 2019년 10월 19일까지 1차 조사 후에, 2차 조사는 2020년 1월 15일부터 2020년 3월 08일까지 온라인 설문과 방문설문 및 지인설문을 통해 통계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오류검사를 통해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하고 산업별 각각 300부씩 총 1200부를 연구자료에 활용하였다. 속성 및 변수의 추출항목은 내용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속성에 맞게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설문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상관분석을 통해 서비스본질과 성과와의 상호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먼저 전체 서비스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본질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 수평성, 조화성에서 정(+)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반면 관계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서비스산업에서 서비스본질이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이 증명되었다. 다음으로 서비스산업별로 서비스본질과 성과와의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첫째, 운수서비스업에서는 서비스본질의 상호작용성과 조화성이 직무성과에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관계성과 수평성이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금융 · 보험서비스업에서는 서비스본질의 상호작용성과 수평성이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관계성과 조화성은 직무성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숙박 · 음식서비스업에서는 서비스본질의 상호작용성, 수평성, 조화성이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고, 관계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료 · 보건서비스업에서는 서비스본질의 상호작용성과 수평성이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반면 관계성과 조화성은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우선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서비스연구 프레임의 가장 기초이며 기반이 되는 서비스본질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 정의해보고, 서비스본질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실증분석하여 심층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서비스본질이 현대 경제에 부합한 이론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하고 깊이있는 연구를 통해 향후 서비스본질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이론을 견고히 다지는 기여하였다. 셋째, 서비스본질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서비스산업에 적합한 척도를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수정 · 보완하여 조금 더 정확성을 기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비해 변수 간의 관계 설명이 다소 보강되어 조금 더 명확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었고, 검증 결과에 대한 논리적 분석도 보완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서비스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본질을 강화하여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원천으로 삼아야 하며, 산업별로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본질적 요인을 육성 · 개발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서비스본질이 서비스산업에서 중요한 본질임이 증명된 만큼 서비스본질 요소를 서비스산업별 특성에 맞게 메뉴얼화하여 직원들에게 교육시킨 후 행동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정부차원에서의 서비스산업 육성정책에 서비스본질 요소를 채택하여 발전시키는 정책방향 모색 되어야 한다. 다음과 같이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본 연구가 종사자와 고객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수행되다 보니, 서비스본질과 성과와의 관계성을 확인하는 데 있어 조금은 미흡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는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경영성과도 제고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도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OECD 서비스산업분류 기준을 사용하여 다양한 서비스산업군에서 대표적인 4개 개별 산업만을 측정하였기에 모든 서비스 기업에 보편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에는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시키면서 동시에 설명력과 유용성을 위해 단일 업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도 필요하다. 셋째, 향후 연구는 매개변수나 조절변수 등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며, 성과의 지표를 재무적인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서비스본질과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서비스본질을 측정함에 있어 김현수(2017c)가 제시한 서비스본질 내용을 모두 포함하지 못한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서비스본질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모든 내용이 측정될 수 있는 정확한 측정 도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service nature on job performance in the service industry. Despite the importance of creating jobs and high value-added services, the growth in the service industry remains at a standstill This is because the policy of fostering the service industry is focused on improving only visible short-term performance and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economy centered on intangible goods. The service theory that emerged in the industrial economic era centered on tangible goods in the past has limitation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economic era based on intangible goods. This has led many researchers to raise the need for a new service theory in line with the modern economy. In response, Kim Hyun-soo (2017c) presented the philosophy-based service nature (interaction, horizontality, relationship and harmony). Although this research on service nature form the basis of service studies and is important in the service economy era, such research is far from 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hilosophy-based service nature and identify the effect on job performance by service industry in order to look into these changes of times and take a proactive countermeasure, This study is also a study that can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industry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status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service industry by the OECD, which classified the entire service industry into four large industry groups, we derived medical and health industries, transportation industry, financial and insurance industries, accommodation and food industries as representative service industries for each of the four industry groups. We also chose an empirical analysi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s a statistical analysis was essentia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nature and job performance. First,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f papers, books, and journals at home and abroad, we examined the studies so far and their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n we set up a model and derived a hypothesis by using the concept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Statistical data for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fter the first survey of employees working in the service industries derived from this study from October 10 to 19, 2019, the second survey from was held from January 15 to March 8, 2020 to collect statistical data through online surveys, door-to-door surveys and acquaintance surveys. A total of 1,200 cases, 300 each for each industry, were used for research, except for data that were deemed to be poor or unreliable through error tests. Extract items of attributes and variable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nature of this study based on prior studi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2.0 and AMOS 22.0. Fir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ere ver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ervice nature and job performance was examined. Finally, the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a structural model equation.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first,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service nature on job performance for the entire service industry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 in interaction, horizontality and harmony. On the other hand, relationship did not affect job performance. This proves that service nature are important factors in improving performance in the service industry.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rvice nature on job performance by service industry, first, the interaction and harmony of service natur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in the transportation industry, whereas the hypothesis that relationship and horizontality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was rejected. Second, in the financial and insurance industries, the interaction and horizontality of service nature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while relationship and harmony were proven to have little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rd, in the accommodation and food industries, the interaction, horizontality and harmony of service nature were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relationship did not affect job performance. Fourth, in the medical and health industries, the interaction and horizontality of service nature were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relationship and harmony did not have an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s for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service nature, which constitute the foundation underlying the service research frame, were defin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rect effect of service essentials on job performance and verified it in depth. Second,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theory of service essentials conforms to the modern economy, and intends to provide the basis for future study of service essentials through various and in-depth research. In addition,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solidifying the foundation for the new theory. Third, in order to empirically verify service nature, accuracy was enhanced with a measure suitable for the service industry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existing studies. Fourth, this study was able to provide a clearer logical basis for the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compared to the existing studies, and also supplemented the logical analysis of the verification results. As for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service nature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service industry should be strengthened and used as a source to drive growth, and a marketing strategy is needed to foster and develop nature factors that have a higher impact on each industry. Second, since service nature have proven to be important nature in the service industry, nature factors of service should be customiz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rvice industry for educating employees so that they can be acted upon. Third, the government should explore its policy in the direction of adopting and developing the elements of service essentials in fostering the service industr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and customers, it falls short of full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nature and performa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is also needed to enhance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this study measured only four industries typical of various service industries using the OECD service industry classification criteria, so there is a limit to applying this universally to all service enterprises. In the future,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o various industries while at the same time conducting research on a single industry for better explanation and usefulness.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variables such as parameters and control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nature and performance by measuring performance using financial measurement methods. Fourth, there are limitations of not including all service nature presented by Kim Hyun-soo (2017c) in measuring service nature. Therefore, future research requires a more accurate measuring tool that allows everything to be measured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service nature.

      • 모델 변환 기법을 이용한 UML 모델 기반 UTP 테스트 케이스 생성 자동화 방안

        김진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thesis suggests UML model based test case generation method using model transformation. In model-based testing using UML models, test cases are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UML models. However, UML models are represented as various diagrams such as class diagram, sequence diagram, activity diagram, and so on. Each diagram has its own elements and representations. Also, test method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agram. To solve the problem, this thesis proposes test methods and test case derivation methods to generate test cases from each UML models. According to test strategies, test cases are generated from each diagrams. On the other hands, this thesis presents automated the test case generation from UML models, via the model transformation method that represents test cases as model using UTP. Furthermore, this thesis suggests model transformation processes to generate test cases from each diagram and proposes model transformation rules that are applied to the model transformation processes. Finally, we present a case study for test cases generation from each UML model. We apply our suggested transform rules to class diagram, sequence diagram, activity diagram.

      • 고장 예측 능력을 반영한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 모델 선택 방법

        박용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thesis suggests methods for selecting a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considering failure prediction ability with multiple goodness-of-fit evaluation methods.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s (SRGMs) are us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software reliability and to determine the software release date or additional testing efforts using software failure data. Because a single SRGM is not universally applicable to all kinds of software, the selection of an optimal SRGM suitable to a specific case has been an important issue. The existing methods for selecting SRGM have evaluated by only SRGM's goodness-of-fit (GOF) to collected failure data and without considering the accuracy of future failure prediction. In this thesis, we propose methods for selecting SRGM considering not only the trend of failure data but also failure prediction ability. In addition, during evaluating trend and failure prediction ability, two GOF evaluation approaches are applied: one is using only one GOF evaluation and the other is a distance approach based on the various GOF evaluations. To justify our approach, we identify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existing SRGM selection methods through experiments and show that our method for selecting SRGMs is superior to the existing methods with respect to the accuracy of future failure prediction.

      • 서비스 본질 특성의 경영혁신 영향 연구 : 중소제조기업을 중심으로

        이정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서비스경영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한국 중소제조기업의 서비스본질의 특성이 경영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연구하게 되었다. 서비스 경제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철학은 서비스 본질에 부합하고 서비스경제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김현수, 2017b). 이에, 서비스본질의 특성을 관계성, 조화성, 수평성, 상호작용성, 경험가치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동태적 역량, 네트워크 역량, 신 경영 및 공동가치창출이 경영혁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어떤 서비스본질 특성의 메커니즘에 기인한 것인지를 검증할 목적으로 연구가 설계되었다. 기존의 서비스 연구는 산업경제의 발전을 이끌었던 유형 재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무형적 가치의 산물인 서비스는 간과 되었고, 이로 인해 서비스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다소 편향적이었다. 서비스경제사회가 도래함에 소비와 생산 환경이 크게 변하였지만 한국은 이에 맞는 새로운 지형변화에서 본질을 놓쳤고, 중소제조업의 경쟁력은 한계에 이르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특성을 본질적이고 철학적으로 접근하여 서비스의 특성을 재조명하여, 이에 대한 필요역량을 찾아내고 강화시켜 새로운 경쟁원천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제성장으로 이어지는 경영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분석하여 중소제조기업의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활용하려는 목적이 있다. 이에,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서비스 연구를 검토하고, 이에 근거하여 연구모델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100명~500명의 상시근무자 수의 규모를 갖는 국내 중소기업 71개를 편의적 샘플링 하여 각 기업체에서 4명의 근로종사자에게 2017년 8월~9월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한 코딩에서 부실응답으로 판단되는 데이터들을 제외시킨 후, 총 63개의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231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토대로 분석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는 단계에서는 경영혁신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외생변수인 제조기업의 산업 군, 조직원 수, 응답자의 성별, 근속연수, 근무지역 등을 통제 변수로 활용하였다. 검증결과, 관계성, 조화성, 수평성, 경험 가치는 신 경영에 영향을 주고, 신 경영은 경영혁신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으나, 가치공동창출을 통해 경영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서비스본질의 특성으로 관계성, 상호작용성, 경험 가치는 동태적 역량에 영향을 주었고, 5가지 본질의 특성은 모두 네트워크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가치공동창출에 영향을 주어 경영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우선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서비스 본질의 특성을 도출하고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서비스본질의 특성이 경영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둘째, 서비스경제시대에 적합한 역량중심과 가치공동창출 관점에서 경영혁신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고 영향관계를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핵심역량인 동태적 역량과 네트워크 역량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역량은 경제의 불확실성과 수요변동성 심화로 인해 환경변화 대응력의 중요성에 기인한 것이며, 서비스경제에서 창조와 융합의 활성화로 기업 간의 네트워크 구조로 인한 네트워크 역량을 도출하게 된 것으로 경영혁신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셋째, 신 경영에 대한 변수를 본 연구를 통해 정의하고, 신 경영은 경영혁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가설은 기각되었지만, 관계성, 상호작용성, 수평성, 경험 가치는 신 경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이러한 특성이 서비스경제시대에 중요함이 입중 되었다. 네 번째, 서비스본질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척도를 최초로 개발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중소제조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서비스본질의 특성이 조직체계에 반영되도록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서비스경제시대에 맞는 서비스본질의 철학과 특성을 종사자들에게 교육하여 새로운 지형변화에 대응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신 경영은 서비스경영을 의미하는 새로운 개념으로 중소제조기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응용, 활용, 증진 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 연구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서비스본질의 특성 중 관계성과 상호작용성, 경험가치가 동태적 역량과 네트워크 역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통해 4차 산업 혁명시대에 직면한 우리나라가 제조기업이 경쟁력을 갖고, 산업의 공진적 발전을 위한 확대방안을 함께 모색해 나가기 위한 산업생태계내의 구조변화가 필요하다. 다음과 같이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샘플링 하여 연구하였기에 기업 규모가 국한되어 있어 본 연구를 보편화시키기에 한계가 있다. 대기업 및 중견기업 또는 해외기업 등에도 이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하여 깊이 있는 성찰이 필요하다. 두 번째, 신 경영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았기에 서비스기업이나 대기업을 대상으로 확대 연구하여 상관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설문 조사 대상자의 연령대와 근속년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기업의 샘플수를 좀 더 광범위하게 확장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경영혁신의 지표를 비재무적 관점으로 국한시켰다는 한계가 있다. 중소제조기업의 혁신 현상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확하고 구체적인 요인을 고려한 상황접근을 통해 분석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effect the service nature characteristics of Korean, small and medium size manufacturing firms, on management innovation. A desirable philosophy in accordance with the service economy should be able to reflect the service nature characteristics(Kim, Hyunsoo, 2017b). For this reason,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nature are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harmony, equality, interactivity, and experiential valu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how dynamic capacity, network capacity, new management, and co-creation values are influenced by management innovation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mechanism of service nature. Existing service research was centered on tangible goods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economy. Unfortunately, the services which are the product of intangible value were overlooked, additionally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services were somewhat biased. Although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environment changed drastical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economy society, Korea misses its essence in the new chang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firms has reached its limi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secure a new source of competition by identifying and strengthening the necessary capabilities of services. This approach was accomplished by re-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s in a fundamental and philosophical way. The aimed is to utilize this approach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firms by verifying and analyzing the impact on business innovation leading to economic growth.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existing service research was analyzed, an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71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with 100 to 500 regular employees were sampled conveniently. Surveys were condu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7 with 4 employees per each companies. After eliminating the data that were judged to be an anomaly in the coding for data analysis, a total of 63 companies were analyzed based on 231 valid questionnaires. During the verifying stage of the hypothesis, the external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industrial groups, number of employees, gender of the respondents, years of service, and working area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the relationship, harmony, equality, and experiential value influenced the new management describe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the co-creation valu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management innovation. Likewise, the study revealed the only following service nature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interactivity, and experiential value, influenced dynamic competency. It also proved that all five service nature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harmony, equality, interactivity, and experiential value, influenced network competency. Similarly, the co-creation value also had positive effect on the subordination variable identify management inno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nature i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demonstrate that the nature of the servic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anagement innovation variable. Second, the study verified in this service economy era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the capacity center and co-creation value. From the positive correlation, the management innovation model was developed and the importance of dynamic and network capacity where identify as core elements of the study. These competencies provide of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 leading to the network capacity network structure among companies. Third, this study defines the variables for new management and influence of relationship, interactivity, eaulity, and experiential value. Fourth,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used to demonstrate empir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nature.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 manufacturing firms,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nature and reflected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pe with changes by educating employee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n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rvice economy era. Also, the concept of new management is a contemporary term used to describe service management. This terminology is necessary to continue a systematic research to be applied and to promote effectiveness in the field of small and medium size manufacturing firms. Since we are confronted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industrial ecosystem and explore the expansion plans to include resonance developm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since the sample size is small and the size of the firm is limited, it is not feasible to universalize the study. It is needed to confirm that large corporations, midsize companies, and overseas companies can achieve the same results. Second, the research on new management is limited and future studies are recommended to continue the correlation with service companies and large corpor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ge and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for the survey participants. Fourth, there is also a need to expand the sample size of compani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analyze through the situation approach and consider the precise and concrete factors that can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innovation phenomenon of small and midsize manufacturing firms.

      • 서비스품질 측정척도 개선에 관한 연구

        속려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요약 과학 기술의 발전하여 인터넷의 일반화로 되면서 좋은 서비스 정보가 쉽게 알 수 있어서 사람들은 서비스에 대한 높은 품질의 서비스 요구하게 됐다. 기업들 간에 치열적인 경쟁도 시작하고 서비스품질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키우는 것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사회경제서비스화 대세로 되면서 서비스 연구도 서비스 활동의 발전과 함께 활성화되었다. 현대 서비스의 본질인 관계 중심이 부합하여 기업의 경영활동은 치열적인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서비스품질이 개선해야 더 많은 가치 창출할 수 있다. 서비스의 경영적 특성이 이유재(1997)(무형성, 비분리성, 비일관성, 무재고성)이지만 시대의 변천에 따라 서비스산업화 된 가고 있어서 현대 서비스의 본질인 관계 중심이 부합하여 현대에 서비스 본질은 김현수(2015)(관계성, 쌍방향성, 수평성, 조화성)이다. 이에 따라 서비스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현대 서비스의 본질을 고려하여 병행하면서 서비스품질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 동물매개교육(AAE)이 유아의 인성 및 코르티솔 수준에 미치는 효과

        이슬 한양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국문 초록 동물매개교육(AAE)이 유아의 인성 및 코르티솔 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이슬 지도교수 : 김현수 · 고인숙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매개교육(AAE)이 유아의 인성 및 코르티솔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며,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동물매개교육(AAE)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동물매개교육(AAE)이 유아의 코르티솔 수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동물매개교육(AAE) 과정에서 유아의 개별 사례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S 어린이집의 5세, 6세, 7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인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백선미(2015)가 개발한 유아인성평가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코르티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Cortisol ELISA Kit를 사용하였다. 또한 동물매개교육(AAE) 프로그램의 전 회기를 녹화하여 매 회기마다 관찰되는 유아의 언행을 관찰기록지에 전사하였다. 동물매개교육(AAE) 프로그램은 2019년 10월 18일부터 2019년 12월 20일까지 10주 간 주 1회 각 50분씩 실험집단에게 실시하였으며, 동물매개심리상담사와 치료도우미동물로 인증 받은 반려견 2두(골든리트리버, 말티즈)가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과 집단 간 사후 차이 검증을 위하여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내 사전-사후 차이 검증을 위하여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에서 제기한 동물매개교육(AAE)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사전 동질성이 검증되었으며, 사후 차이 검증에서는 인성 전체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사후 차이 검증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인성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효과크기가 더욱 크고 사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고려하면 이는 동물매개교육(AAE)의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연구문제 2에서 제기한 동물매개교육(AAE)이 유아의 코르티솔 수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사전 동질성이 검증되었으며, 사후 차이 검증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사후 차이 검증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집단은 평균값이 감소한 반면 통제집단은 평균값이 상승하였고 사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고려하면 이는 동물매개교육(AAE)의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연구문제 3에서 제기한 동물매개교육(AAE) 과정에서 유아의 개별 사례에 대해 분석한 결과, 회기가 거듭될수록 인성 및 코르티솔 수준의 변화에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으므로 이는 동물매개교육(AAE)의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동물매개교육(AAE)이 유아의 인성 및 코르티솔 수준 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려견을 매개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어린이집 현장에 적용하여 검증해 봄으로써, 유아의 인성 함양을 도모하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Effect of Animal-Assisted Education(AAE) on Young Children's Virtues and Cortisol Levels Lee, Seul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Advisor : Professor. Kim, Hyun Soo Professor. Koh, In S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Education(AAE) on the children's virtues and cortisol levels of young children,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Animal-Assisted Education(AAE) on the virtues of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Animal-Assisted Education(AAE) on cortisol levels in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individual cases of young children in the course of Animal-Assisted Education(AA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children aged 5, 6 and 7 (t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en in the control group) of S day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the age and gender of each group were equally allocated. As a research tool, the researcher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young children's virtues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Seon-Mi Baek (2015), and used an ELISA reader (Spectra max 190,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to measure cortisol levels. Besides, by recording the entire session of the Animal-Assisted Education(AAE) program, the virtues of the young children observed at each session was transferred to the observation record. The Animal-Assisted Education(AAE) program was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for ten weeks from October 18, 2019, to December 20, 2019, and two certified animal dogs (large dog Golden Retriever and small dog Maltese) and animal meditation counselors participated.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0.0. Th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e-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o verify the post-difference between groups.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pre-post differences in the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Education(AAE) on the virtues of young children brought up in Research Question 1 showed that prior homogeneity was verifi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found throughout the virtues test of post-difference. Looking at the sub-factors of virtu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onsideration', 'respect', and 'responsibility',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ooperation'.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roughout the virtu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effect of the Animal-Assisted Education(AAE) give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s a larger effect siz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ost-control group. Looking at the sub-factors of virtu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consideration', 'respect', 'responsibility', and 'cooperation'.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ideration', 'respect',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ibility' and 'cooperation'.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Education(AAE) on the cortisol levels of young children raised in Research Question 2 showed that prior homogeneity was verifi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found in post-difference verification. The pre-post differences verific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given that the mean value decrease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group increas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subsequently occurred,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effect of Animal-Assisted Education(AAE). Third, the analysis of individual cases of young children in the course of the Animal-Assisted Education(AAE) raised in Research Question 3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changes in virtues and cortisol levels over tim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effect of Animal-Assisted Education(AA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Animal-Assisted Education(AA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virtues and cortisol levels.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posed primary data to promote the virtues cultivation of young children and reduce the levels of cortisol, a stress hormone, by applying and verifying an educational program mediated by a companion dog at a daycare center. Keywords : Animal-Assisted Education, companion-dog, young children, virtues, cortisol, stress hormone

      • 유아의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어머니 성격특성의 조절효과

        김문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성격특성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력과 유아의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어머니 성격특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자극추구기질, 위험회피기질)과 어머니의 성격특성(개방성, 외향성, 신경증) 중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을 예측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둘째, 어머니의 성격특성은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 4, 5세 유아 248명(남아 122명, 여아 126명)이며,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유아의 어머니에 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김현수, 이미연, 김송이(2016)가 구성한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척도’, 민병배와 오현숙(2005)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기질 및 성격검사 유아용(JTCI 3-6) 척도’, IPIP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Goldberg, 1999) ‘5요인 성격특성 척도’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단순기울기분석(simple slope analysis)을 실시하여 통계적 검증을 확인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의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기질 중 자극추구기질과 위험회피기질 모두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성격특성과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신경증은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어머니의 외향성과 개방성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1은 다음과 같다. 유아의 자극추구기질, 위험회피기질 2개의 변인과 어머니의 개방성, 외향성, 신경증 성격특성 3개의 변인, 총 5개의 변인을 각각 투입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자극추구기질과 위험회피기질, 어머니의 외향성 3개의 변인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자극추구기질과 위험회피 기질은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성격특성 중 개방성과 신경증은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외향성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3개의 변인 중 자극추구기질(β=.63, p<.001)이 45% 정도로 설명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위험회피기질(β=.10, p<.05), 어머니의 외향성(β=-.09, p<.05) 순으로 1%씩 증가하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유아의 기질 중 특히 자극추구기질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연구문제 2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자극추구기질 및 위험회피기질에 어머니의 개방성, 외향성, 신경증 성격특성 각각을 투입하여 상호작용 변인들을 포함시킨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위험회피기질과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어머니 신경증 성격특성이 조절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어머니의 신경증이 낮은 경우에는 유아의 위험회피기질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어머니의 신경증이 높은 경우에는 유아의 위험회피기질이 높을수록 유아가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노출될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가 신경증 성격특성이 높은 경우 유아의 위험회피 기질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재검증하여 유아의 자극추구 기질과 위험회피 기질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노출되기 쉬운 기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관계에서 어머니의 성격특성이라는 개입 가능한 요인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머니의 유아 스마트폰 사용 지도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의 필요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Early Protection of Swine against Foot-and-Mouth Disease Using a Co-application of Vaccine and Anti-Viral Adenoviruses

        유수화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구제역바이러스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질병이다. 이 구제역 바이러스는 우제류에 감염되는 매우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이다. 현재 구제역에 사용 되는 백신은 virion을 화학적으로 불활화하여 오일 어쥬번트와 혼합한 백신을 사용한다. 구제역 백신은 FMDV에 대한 면역적 방어가 백신 접종 후 4-7일 이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전의 실험에서 재조합 아데노 바이러스(Ad-porcine interferon-αγ(Ad-IFN-αγ)와 FMDV의 2B 와 3C regions를 타겟으로 하는 Ad-3siRNA)가 FMDV 방어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구제역에 완벽한 면역적 방어를 얻기 위하여 Ad-IFN-αγ 와 Ad-3siRNA를 혼합하고 FMDV vaccine 과 동시에 접종하였다. 마우스와 돼지의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우리는 Ad-IFN-αγ 와 Ad-3siRNA를 혼합하고 commercial FMDV vaccine 과 병용투여 하고 24시간 후에 FMDV 의 면역 반응이 증가하였다. FMDV vaccine과 재조합 아데노 바이러스 (Ad-IFN-αγ and Ad-3 siRNA)의 병용투여는 마우스와 돼지에서 감염을 늦추거나 완벽한 방어가 일어나게 한다. 이로써 FMD 백신과 항 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재조합 아데노 바이러스의 병용투여는 FMDV전파를 줄일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