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Optimal Stopping Problem in Finance

        양승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this paper we solve an optimal stopping problem in finance, particularly, optimal stopping time problem of an asset, when the state variable follows a diffusion, a compound Poisson process, and a Poisson random measure, repectively. We guess the solution and then establish that the proposed solution is correct by verifying variational inequalities.

      • 중학교 2학년 도형의 닮음 단원의 수준별 수업모형 개발

        이현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ncrete model lesson plans about leveling instruction, which has been paid more attention in the education field nowadays. This study focuses on the 'Similar figure' unit for the 2nd graders of middle school in mathematics.Firstly, this study analyzes leveling instruction of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how 7th Educational Curriculum will be revised to meet students' need. Secondly, this study reviews several theories that support the leveling instruction and som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on Mathematics. Based on reviewed theories and methodology, concrete instructional models for leveling classes is developed, focusing on the 'Similar figure' unit for the 2nd graders of middle school. Referred to theory of Levels of Geometric Understanding of Van Hiele and preceding studies, model lesson plans are formulated for different cognitive levels of students, such as basic,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 현장의 현안으로 떠오른 수준별 수업 지도에 대하여 그 지도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이를 위하여, 첫째 수준별 수업에 대한 7차 교육과정과 개정안의 정책 방향을 알아보았고, 둘째 수준별 수업을 지지하는 이론들과 몇 가지 수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것을 근거로 중학교 2학년 닮음의 도형 단원을 가지고 실제로 수준별 수업을 가상하여 지도 모형을 개발하여 보았다. 반힐레의 기하학습 수준 이론과 선행 연구들의 연구 내용을 근거로 학생들을 보충반, 기초반, 심화반으로 나누어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학습지도안을 구상하였다.

      • 윤리적 리더십, 조직시민행동 및 성과의 관계에서 윤리적 풍토 및 조직동일시의 조절효과

        김동호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Ethical leadership is quite recent leadership theory. Leader's ethics research have treated exist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uthentic leadership. Howev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phasize visionary, value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Authentic leadership also do perception leader's authenticity. Ethical leadership theory is based on social learning theory. According to social learning theory, person who are learning others' act and attitude imitate their role models. Leader emphasize communication, moderate his act with moral person and have an influence with follower in ethical leadership. Look into existing research, ethical leadership effect on variance about individual. Consequently, I proceed that ethical leadership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m perform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expression of attachment of organization with an act spontaneous and out-role. Because of not happens with rewards or under pressure, it gets an influence on leader. Performance doesn't happen directly b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Nevertheless, it must be need to get goals in organization. Nowadays, because of getting smaller team, person usually have to do decision-making. So leader have to communicate and propose the rules to properly make a decision.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ethical leader promote follower's act through communication. Moderating role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thical climate only effect on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 Realization of real-time height control in 3D concrete printing using depth sensor

        이재화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new construction methods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have been receiving attention in the construction field along with mega trend for digital transformation. 3D printing technology generally adopted in the construction field is similar to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technology in which filaments are melted and stacked, and is called a material extrusion method. In FDM technology that melts and extrudes high-temperature materials and then hardens them, the curing speed of the materials is very fast, while the shape change of the lower layer for the upper layer load is very small after curing. However, the concrete material in 3D concrete printing has a problem in that shape reten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and deflection of the lower layer material occurs as the upper layer load increa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uild quality by developing 3D printing control technology on the side of equipment by reflecting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To overcome this problem, a real-time control system that measures the height of layers in a printing nozzle using a 1D laser distance sensor has been implemented. However, this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height at a single point at a time through a single point laser, and the error of measurement may exist because it does not measure the average layer height. In this thesis, an algorithm was proposed to collect and process the height values of the future path scanned at a previous point in time. This was done by scanning a wide area using a low-cost depth sensor to acquire point cloud data so that the average layer height information can be measured robustly.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his algorithm was verified by experimenting with real-time control of gap between the nozzle and the extruded layer of the printer. The 3D concrete printing process monitoring using the proposed depth sensor uses point cloud-based concrete shape information. In addition to measuring the height of the extruded layer,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checking the misalignment of the extruded material, adjusting the amount of extruding by the measurement of extrusion volume, and detecting and compensating for the occurrence of extrusion fault. If the advanced printing technology that can adjust the printing command in real-time by the feedback of height information is applied with 6-axis robot printers,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the atypical concrete shell structure effectively by printing structure on the surface of complex curved frame and then removing the frame after hardening of material. 최근 각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이라는 이슈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 분야에서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건설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건설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되고 있는 3D 프린팅 기술은 필라멘트를 녹여서 적층하는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기술과 유사한 기술로서 재료 압출(Material Extrusion) 방식으로 명명되고 있다. 고온의 재료를 녹여 압출하여 경화시키는 FDM 기술에서는 재료의 경화 속도가 매우 빠르며, 경화 후에 상층부 하중에 대한 하층 레이어의 형상 변화가 매우 작은 데 반해, 3D 콘크리트 프린팅에서의 콘크리트 재료는 형상 유지능력이 떨어지고, 상층부 하중 증가에 따라 하층부 재료의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을 반영하여 장비 측면에 있어서 3D 프린팅 제어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조형 품질(Build Quality)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1D 레이저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프린팅 노즐에서 레이어의 높이를 측정하고 재료의 처짐에 대응하는 실시간 제어시스템을 구현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이는 단일 포인트 레이저를 통해 어느 한순간, 한 지점에서 높이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평균적인 레이어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측정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int cloud data를 취득할 수 있는 저가의 심도 센서를 이용하여 넓은 범위를 스캔함으로써 이전 시점에서 취득한 선행 경로의 높이 값들을 취합, 가공하여 평균적인 레이어 높이 정보를 안정되게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프린터의 노즐과 압출된 레이어 사이의 간격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실험을 통하여 본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심도 센서를 이용한 3D 콘크리트 프린팅 과정 모니터링은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의 콘크리트 형상정보 계측을 이용하는 방식이며, 이 방법은 압출 레이어의 높이 측정뿐만 아니라 압출된 재료의 이탈 여부 확인, 압출된 재료의 부피 측정을 통한 압출량 조절, 압출 불량이 일어난 곳을 감지하고 보강해주는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추후, 본 연구에서 구현한 실시간 높이 측정 정보에 따라 프린팅 명령을 실시간으로 조정하는 발전된 프린팅 기술이 6축 로봇 프린터에 적용이 된다면, 복잡한 곡면의 프레임 위에 프린팅한 뒤, 재료가 굳으면 프레임을 제거하는 방식을 통해 비정형 콘크리트 쉘 구조 프린팅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데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 VDT 증후군 개선 운동프로그램이 사무직 근로자의 척추정렬과 경부 통증에 미치는 효과

        이서연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영상표시장치 증후군(VDT Syndrome,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을 가진 남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VDT 증후군 개선 운동프로그램이 신체조성, 척추만곡도에서의 흉추(Kyphotic, KL) 및 요추(Lordotic, LA) 그리고 경부기능장애지수(NDI, Neck Disability Index)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신체 조성에서 비만이 아닌 실험군 13명, 비교군 8명 총 21명으로 VDT 증후군을 가진 30~50대 사무직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8주간 총 60분(준비운동 15분, 본 운동 45분)의 척추 교정 운동과 함께 사무실의 VDT 작업환경 개선을 위하여 인간공학적 설정 방법을 연구자가 편집하고 출력하여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였다.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군에게는 실험군과 같은 VDT 작업환경 설정에 대한 유인물을 제공하였고, 개선 방법을 적용하였는지에 대해서만 피드백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측정 변인은 신체조성, 흉추 및 요추만곡도, NDI이며, 두 집단 모두 사전 및 사후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 조성의 체중 및 체지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척추의 만곡도 또한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의 사전 사후 효과 검증을 위하여 대응 표본을 진행한 결과,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p<.01). NDI에서는 실험군과 비교군의 사전·사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5). 이 연구에서 적용된 VDT 개선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척추의 만곡도와 NDI의 긍정적인 변화가 다수의 정상 신체조성을 가진 사무직 근로자 및 일반인들에게도 적용되어 올바른 자세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으로 처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노년층의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인식 및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 대구시 노년층을 중심으로

        박희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미 도래하고 있는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에 발맞추어, 다가오는 미래에 대한 사회적인 문제와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노인을 위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해 노인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고,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지에 대해 본 논문에서 살펴보았다. 종합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 무료 이용기준인 65세 이상보다 예비 노년층인 65세 미만의 수요자들에서 나이에 따른 건강적인 측면이나, 새로운 문물에 대한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일반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듯이, 평소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건강관리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쓰며,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한 이해도 및 이용의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건강 관련 도구 활용여부나 향후 활용 의사에서도 높은 수치를 보였고, 이용의향에서도 높은 의사를 표명하였다. 상대적으로 건강관리에 대해서 투자와 신경을 많이 쓰는 여성 쪽에서 남성보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도출해 볼 수 있다. 셋째, 배우자나 가족과 같이 살고 있지 않은, 독신 집단에서 헬스케어 서비스 문제도에 대해 다른 집단보다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도 다소 떨어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챙겨야 될 가족구성원이 없다보니, 심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자연스레 도태됨으로써, 건강에 대한 관심도 자체가 줄어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넷째, 소득 수준에 따르면, 1천만원 미만 집단이 소득 수준이 높은 집단보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이해도나, 이용의향, 건강관리 등에서 수치가 낮게 도출되었다. 건강관리보다 생계유지에 관심을 보일 수 밖에 없는 현실에서 자유롭지 못한 실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최종학력 차이에 따르면, 고졸 이하가 대졸 이상보다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며, 서비스 문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평소 건강관리도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으로 다가올 혁명가운데 하나인,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한 정보나, 관련 지식을 접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위와 같은 결과가 도출 되었으리라 생각되어 진다. 여섯째, 컴퓨터 사용수준이나 스마트폰 사용여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사용수준이 높고, 스마트폰 사용자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나 의향은 높지만, 실제 겪게 될 서비스 문제점이나 품질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급변하는 세계적인 트렌드에 발맞추어서, 일상생활 속에 녹아들게 될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해서 받아들여야 한다는 입장은 있지만, 그로 인해 파생될 문제점에 대해서도 한번쯤 미리 생각해보자는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first to A study on recognition and use intention of smart health care service for the reduction of elderly medical expenses in the coming age of 100. The comprehensiv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from the general point of view that consumers who are under 65 years old, who are 65 years old or younger than subway free usage standards, have a relatively low sense of health according to their age or a new culture, It shows that there is a high level of interest, a lot of care about health care, and a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smart healthcare services. Second, according to gender analysis, women showed higher levels of use of health - related tools than men, and they expressed higher intention to use. It can be deduced that women who spend a lot of their time investing and care about health care have a positive opinion about smart health care services than men. Third, we found that the single-person group, which did not live with the spouse or family, had negative thoughts about the health care service problem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ervice was somewhat lower than the other groups. As there is no family member to be cared for, it is thought that the interest in health itself has been reduced by being slaughtered naturally,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Fourth,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the group of less than 10 million won has lower figures in understanding smart health care service, intention to use, and health care than the group with high income level. It can be seen that it is not free from the fact that it can not but show interest in sustenance rather than health care. Fifth,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final education, lower than high school graduates have lower understanding of service than university graduates, have negative thoughts about service problem, and have neglected the usual health care. It is thought that the above results have been obtained because there is relatively little opportunity to get information about smart health care service and related knowledge, which is one of the upcoming revolution in the 4th industry. Sixth, the level of computer use and the use of smartphones are relatively high, and users of smartphones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ntion toward services than those who do not. . This is in line with the fast-paced global trends, and there is a stance that we should accept smart health care services that will be incorporated into everyday life, but it is meaningful to think about the problems that will arise once in a while.

      • Option pricing problems under Markov and non-Markov models with multiscale stochastic volatility

        이민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this thesis, we study some new models that extend the Black- Scholes model with stochastic volatility and stochastic elasticity and drive the price of a variety of European vanilla options and a risky bond under these models. First, we take non-Markovian models in terms of stochastic delay di?erential equations and derive option prices by using the combined multiscale asymptotic method and martingale method. Some numerical experiments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 stochastic volatility and delay on the option prices. Also, we obtain the price of the barrier option and the zero-coupon default bond under the stochastic elasticity of variance model.

      • 수리논술 문제 분석 및 지도방안 : 실생활 관련 문제 중심으로

        송인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수리논술 문제를 올바르게 지도하여 공교육의 정상화에 노력하고 효율적이고 의미 있는 수리논술지도를 위해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입수리논술 기출문제 또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수리논술 자료집에 있는 예상문제 가운데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폴리아의 문제해결 4단계에 맞추어 해결하는 과정을 연구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mathematics teachers can teach students mathematics involved essay question. Therefore, this paper is about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s based on Polya's educational method of problem solving, related to the real life, of the expected problems in the mathematics essay source book, given by the university, or in the mathematics part of the last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 ICT활용 교육으로 인한 수학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 「도형」 단원 중심으로

        신보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application of computers is the most important project of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Because students are familiar with computers, they will learn easily using computers. Due to merits of ICT, ICT is often used in Mathematics classes. Concurrently, the weakness of ICT keeps us from using I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treme didactic phenomena based on didactic transposition among weak points of ICT and improve ICT. This research is conducted as follows:First, overall facts of ICT-aided education are investigated. Second, availabl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on ICT are composed. Third, this study researches four extreme didactic phenomena that are found in ICT-aided Mathematics classes. Fourth, based on three ICT-aided strategies that are selected among many strategies, extreme phenomena are found in real classroom. Lastly,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 in extreme phenomena. 컴퓨터 환경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현대 수학교육에서 컴퓨터의 활용은 불가피하며, 보다 친숙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ICT 수학 수업이 적극 권장되며 실시되고 있으나, 이면의 단점들로 인해 수학 수업에서 ICT활용을 꺼려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T활용이 가지는 단점 중 교수학적 변환의 극단적인 현상에 대한 발견과 그 개선점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본 연구는 GSP, 웹 내용, 웹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세 가지 전략으로 수업을 실시하고 교수학적 변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극단적 현상인 메타 인지적 이동, 토파즈 효과, 죠르단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수학 수업에서 ICT활용을 꺼려하는 이유임을 알고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수학 관련 소프트웨어의 선행 학습, 웹 내용을 활용할 경우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생들의 인식, 시뮬레이션의 순서를 고려한 수업과 학습되는 과정을 알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개선점을 제안하였다.본 연구를 통행 ICT를 활용한 수업이 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많은 장점들이 더 부각될 수 있는 수학 수업이 진행되길 바란다.

      • 5 Tool Player 양성을 위한 유소년 야구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윤동일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소년 트레이닝의 기본 원리를 적용하여 야구 기술훈련과 밴드 트레이닝으로 구성된 복합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야구 경기력 요인인 5 Tool(배팅 파워, 평균 타율, 주루 능력, 수비 능력, 송구 능력) 중, 송구 능력의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있다. 피험자들은 만 14세 이하 남자 중학교 야구 선수 중 근 골격계 질환이 없는 6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변인들로는 신체조성(신장, 체중, 체지방률), 등속성 검사(견관절 300degree/sec/180degree/sec. 슬관절 180degree/sec/60degree/sec), 체력요인(악력, 배근력), 투구 속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 전 후의 차이 비교를 위하여 대응표본 검정을 사용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한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조성의 경우 신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체중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차이를 보였다(p<.05). 등속성 근력 변화에서는 견관절의 경우 주측 300degree/sec에서 유의하게 향상되는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180degree/sec에서도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유의수준에 가깝게 나타났다(p=.058). 슬관절의 경우 등속성 근력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체력 요인 중 악력 및 배근력의 경우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투구 속도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따라서 밴드 트레이닝을 포함한 복합 트레이닝은 유소년 야구 선수의 체력 및 투구 속도 향상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하여 5 Tool Player 양성을 위한 개발 및 적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basic principles of youth training and to find out how a complex training program composed of baseball skill training and band training has an effect on the throwing ability among the five tools (batting power, average batting ability, base running, defence ability and throwing ability). Six athletes of middle school under 15 years old without muscle skeletal diseas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ody composition (height, weight, body fat percentage), isokinetic test (shoulder joint 300degree/sec / 180degree/sec, knee 180degree/sec / 60degree/sec), Physical strength (grip strength, back strength) and pitching speed were measured. For data analysis, the corresponding sample 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to .05. Body compos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kidney and body weigh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 <.05). In isokinetic muscle strength change, shoulder joint was significantly improved at 300degree/second (p <.05). Also,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180 degree/sec, but it was close to significance level (p = .05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sokinetic muscle strength in the knee (P> .05). Among the physical strength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ip strength and back strength (p <.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itching speed (p <.05). Therefore, the combined training including band training shows the improvement of fitness and pitching speed of youth baseball play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ill be helpful to develop and apply 5 Tool Play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