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 주체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기희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of university student agency.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construct factors are consisted of university student agency? Second, what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gency scal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ages of the university student agency scale are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 agency scale was conducted through the stages of development plan, item development, and pilot survey. First, in the development plan stage, the purpose, target, and type of scale development were determined. Second, in the item development stage, previous studies both domestic and abroad were analyzed and concepts consisting of three factors: autonomy, responsibility, and capabilities were derived through professional advisory. Third, an initial pool of 96 preliminary items were composed using the Likert 5-point scale by analyzing the scale items of previous studies. After that,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professional review, and the preliminary items were revised. The first pilot survey was conducted on 231 college students in Busan and the Gyeongnam areas, and the distribution of item responses, item preference, and item discrimination were confirmed with the collected data and reduced to 42 items. The final 24 items were selected by conducting a second pilot survey on 270 college students in Seoul including Gyeonggi and Gyeongsang regions. The valida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 agency scale was as follows. Firs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data of 440 university students, and the agency scale was identified as a second order model including construct factors: autonomy, responsibility, and capabilities. Specifically, the sub-factors and items are self-determination (5 questions), self-worth (4 questions), role responsibility (5 questions), moral responsibility (4 questions), practice capability (4 questions), and affiliation capability (3 questions). The fit of model of the university student agency scale was confirmed with the standard index, and the final scale could be used regardless of gender. Second,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 agency and agency for learning. The concurrent validity was confirmed i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Convergence validity was identified as indicating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in contrary to this,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showing a low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ernal locus of control. Finally, the result of the reliability for the final 24 items is the overall 929, autonomy .884, responsibility .881, capabilities .835, and the range of sub-factors was .818 to .884. The final scale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autonomy (self-determination, self-worth), responsibility (role responsibility, moral responsibility), and capabilities (practice capability, affiliation capability). It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overall level of university student agency using the Likert scale with a total of 24 items. The higher the score of this scale, the higher the student ag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versity student agency scal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 reliable and valid scale that can measure the university student agency. Through this scale, it will be possible to confirm the construct factors and other intertwined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 agency that affect agency. The agency scale contributes to be a diagnostic tool that students use to increase their agency, and provides fundamental data on university student agenc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주체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주체성 척도는 어떤 요인들로 구성되었는가? 둘째, 개발된 대학생 주체성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어떠한가? 대학생 주체성 척도의 개발 단계와 타당화 검증 단계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 주체성 척도 개발 단계는 개발계획 수립, 문항 개발, 예비조사 단계를 거쳐 이루어졌다. 첫째, 개발계획 수립단계에서는 척도 개발의 목적, 검사 대상과 유형을 결정하였다. 둘째, 문항 개발 단계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주체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는 국내외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주체성의 구성요인을 자율성, 책임, 역량의 세 가지 개념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주체성을 측정한 선행연구의 척도 문항을 분석하여 예비문항 96개를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이후, 전문가 검토를 거쳐 내용타당도를 검증받고, 예비문항을 재수정 하였다. 부산·경남권 대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로 문항반응분포, 문항양호도, 문항변별도를 확인하여 42문항으로 축소하였다. 수도권·경상권 대학생 270명에게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24문항을 선정하였다. 대학생 주체성 척도 타당화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대학생 44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대학생 주체성 척도는 자율성, 책임, 역량의 세 개의 요인에 각각 하위요인을 포함하는 2차 구조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하위요인과 문항 구성은 자기결정(5문항), 자기가치(4문항), 역할책임(5문항), 도덕적 책임(4문항), 실천역량(4문항), 관계역량(3문항)이다. 대학생 주체성 척도의 모형 적합도는 양호한 수준을 보였으며, 개발된 척도는 성별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대학생 주체성과 학습주체성의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통제내외소재 중 내적통제소재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수렴타당도를 확인하고, 외적통제소재와는 낮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 확정된 대학생 주체성 24문항 척도의 문항의 내적합치도 계수는 전체 .929, 자율성 .884, 책임 .881, 역량 .835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의 범위는 .818 ~ .884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생 주체성 척도는 자율성(자기결정, 자기가치), 책임(역할책임, 도덕적 책임), 역량(실천역량, 관계역량)의 세 가지 요인으로 각 요인의 하위요인을 포함하는 2차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척도는 전체 24문항으로 구성되었고,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응답자의 전반적인 주체성 수준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본 척도의 점수는 높을수록 주체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대학생 주체성 척도는 대학생의 주체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 있고 타당한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이 척도를 통해 대학생 주체성의 구성 요인을 확인하고, 주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주체성 척도는 대학생들의 주체성을 높이는데 사용할 수 있는 검사 도구로써 향후 대학생 주체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감정코칭 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공감에 미치는 영향

        정성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감정코칭 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의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온라인 홍보를 통해 모집한 후, 실험집단에 14명, 통제집단에 15명으로 구성한 결과를 활용하였다. 실험집단에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감정코칭 놀이 프로그램을 회기당 9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지도 하지 않았다. 측정도구는 양육효능감 척도(K-EGSCP), 공감 척도(BES-A)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와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양적 분석 결과가 가지는 한계를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감정코칭 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할 때, 실험집단의 양육효능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감정코칭 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할 때, 실험집단의 공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볼 때,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감정코칭 놀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공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운영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중국인 유학생의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과 학업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

        멍, 웨이웨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자기효능감과 학업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중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373명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학업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는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학업스트레스는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스트레스를 거쳐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간접효과 경로를 제시함으로써 중국인 유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개입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ual mediating model to find out whether the self-efficacy and academic stress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path that mindfulness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is purpose, 380 Chinese students in Korea were measured for mindfulness,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and academic str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academic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self-efficacy and academic stress were found to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that sequentially mediates the effects of mindful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provide suseful enlightenment for improv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by suggesting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path that mindfulness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efficacy and academic stress.

      • 연령과 성별에 따른 명사-명사 결합개념 해석의 차이

        김은진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와 아동기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연령과 성별에 따른 명사-명사 결합개념의 해석방법 선호도와 해석능력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명사-명사 결합개념 해석 과제는 어린이들이 그들 주변에서 쉽게 접할 있는 친숙한 보통명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연구자가 명사-명사 결합개념에 관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신뢰도가 검증된 측정도구를 참고하여 직접 고안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의 순으로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사-명사 결합개념의 해석 선호도는 연령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연령에 따른 명사-명사 결합개념 해석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유아와 초등학교 고학년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명사-명사 결합개념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각 연령의 성별에 따른 해석방법 선호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연령의 성별에 따른 명사-명사 결합개념 해석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유아와 아동이 어떻게 새로운 결합개념을 해석하느냐를 이해하는 것은 어린이들이 어떻게 새로운 개념을 학습하고 해석하느냐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어린이들로 하여금 스스로 새로운 결합개념을 생성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하도록 시킴으로써, 어린이들에게 창의적 과정을 이해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n the interpretation of noun-noun combination depending on age and gender of Children. The reason why research on the interpretation of noun-noun combination is important is that understanding how to interpret conceptual combination provides some insights on how to learn new concepts and the methods to study and teach creativity. The concrete purposes to carry out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bout the difference in the methods of the interpretation of noun-noun combination depending on age of children? Second, what about the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the interpretation of noun-noun combination depending on age of children? Third, what about the difference in the methods of the interpretation of noun-noun combination depending on gender of each age of children? Fourth, what about the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the interpretation of noun-noun combination depending on gender of each age of children ? Subjects were 210(105 male, 105 female)who were consisted children of kindergarten, elementary students of lower classes(3th grade) and elementary students of higher classes(6th grade). They were selected from three kindergarten and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Busan. They were given interpretation tasks. Children of kindergarten had to finish test of 15 questions within 60 minutes, elementary students of lower classes and elementary students of higher classes had to finish it within 40 minutes. Data were analyzed by one way ANOVA, Chi-square test, two 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of the children of kindergarten, elementary students of lower classes and elementary students of higher classes prefer thematic relation interpretation to property interpretation. Therefo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noun-noun combination depending on age. Second, as children grew older, the ability of the interpretation of noun-noun combination became more and more outcasting. Especial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tudents of higher classes. Third, all of Boys and girls prefer thematic relation interpretation to property interpretation. Therefo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noun-noun combination depending on gender. Fourth, the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the interpretation of noun-noun combination depending on gender didn't exist the children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tudents of lower classes. But Girls were superior to boys of elementary students of higher classes in the case of interpretation of noun-noun combination.

      •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 및 적용

        윤채영 부산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상황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학습컨설팅모형을 개발하고, 개발된 모형을 학교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개발과 모형 적용의 2개 연구로 나눠 진행되었다. 먼저, 모형개발연구는 Molenda와 Persing, Reigeluth(1996)가 개발한 교수설계 모형인 ADDIE모형의 절차에 따라 실시되었다. 요구조사와 문헌분석을 통해 컨설팅과정, 주요 컨설팅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설계과정에서 모형개발의 방향 및 목표, 학습컨설팅 구성요소, 컨설팅과정, 학습컨설팅에 적합한 의사결정과정을 선정하였다. 개발과정에서는 선정된 내용을 분류하고 계열화하여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과정과 학교기반 학습컨설팅을 위한 의사결정과정을 구조화하였다.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은 컨설팅과정과 의사결정과정이 병행되어 순환하는 구조로 개발되었다. 그리고 실행과정에서 개발된 모형을 초등학교 현장에 학습부진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하여 모형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실행결과, 학습컨설팅 모형을 기반으로 실시한 학습컨설팅은 학생들의 시간관리능력과 학업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 평가과정에서는 학습컨설팅이 이론과 실천을 연계하는 분야임을 감안해 현장전문가와 이론전문가 4인으로 구성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모형체제의 설명력, 유용력, 타당성, 이해도, 보편성을 평가하여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포커스그룹인터뷰 결과를 반영하여 모형을 수정하여 최종 모형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은 학습컨설팅을 의뢰한 중학교 교과학습부진학생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 학습컨설팅은 진단과 프로그램 개발에 전문가인 학습컨설턴트 3인이 직접 진행하였다. 이는 Shein(1990)의 전문가 모형에 따른 것이었다. 그리고 학습부진학생들이 당면한 학습전략 결손문제를 처치하는 처방적 접근방식을 채택하였다. 학습컨설팅의 진단단계에서는 최초 담임교사가 추천한 교과부진학생 24명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부진 원인을 진단하고자 학습전략검사, 학업동기검사와 학생들의 실제 학습전략의 사용을 관찰하기위해 제작된 수행평가 문항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학습전략 사용에 대한 상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진단과정을 거친 학습부진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전략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학습컨설턴트와 컨설티인 담당교사, 컨설팅 협의팀은 중학생 학습부진학생들에게 단순한 수준의 읽기 전략을 가르치는 것은 교과의 학습 난이도가 높아지고 내용 텍스트도 길고 어려워지는 중학교 수준에서는 도움이 안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중학교 2학년 수준의 읽기자료로 읽기과정에서 이해 수준을 점검하고, 다양한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해결해 나가는 효과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읽기 상위인지전략이 포함된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입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학습부진 중학생의 읽기전략에 대한 상위인지 인식과 학습동기에 나타난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개입프로그램이 학습동기의 정의적 측면에서는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하지만 읽기전략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특히 학습부진 중학생의 읽기전략에 대한 상위인지의 하위요인 중 특히 문제해결전략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다.

      • 고등학생의 마음챙김과 자기조절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임지현 부산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과 자기조절능력이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471명의 남녀고등학생이며, 마음챙김 척도, 자기조절능력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이용하여 질문에 응답하는 형식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은 마음챙김 및 자기조절능력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음챙김이 자기조절능력보다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마음챙김의 하위요인인 탈중심적 주의와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동기적 요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탈중심적 주의는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환경에 대한 통제에, 동기적 요인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수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 and self-regulation ability on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1 high school students of both sexes in Busan. They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aires which contained the measuring tools of the Mindfulness Scale, Self-regulation Ability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rogram.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produced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mindfulness and self-regul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al analysis shows that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indfulness and self-regulation ability, but mindfulness and self-regulation ability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Seco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mindfulness has a higher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self-regulation ability. Third, the two factors, motivational regulation of self-regulation ability and decentering of mindfulness, have high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Fourth, motivational regulation of self-regulation ability has a high effect on self-accepta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centering of mindfulness has a high effect on environmental mastery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ed the two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motivational regulation and decentering, play important rol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훈육유형에 따른 교사신뢰와 자기결정성학습동기의 차이

        고유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the desirable teacher’s discipline type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elf-determination as well as student’s trust in teachers which influences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by looking into how different student’s trust in teachers and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are according to teacher’s discipline type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In line with the study objectiv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in student’s trust in teachers according to the teacher’s discipline type perceived by students?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in student’s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discipline type perceived by students?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five hundred students who are attending in the second grade of three academic high schools located in Ulsan metropolitan city. Total of 431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except 47 unfaithful responses and 22 uncollected respons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arried out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Scheffe test was used for follow-up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teacher’s discipline typ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mak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to student’s trust in teachers. Student’s trust in teacher was higher when high school student perceived their teacher’s discipline type as democratic, supporter and compromiser than as noninterventionist and autocracy type. Also, the score of student’s trust in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ts all sub-factors; openness, ability, integrity, caring, reliability, intimacy. Second,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according to teacher’s discipline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